KR20090070737A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a frame in a communication system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a frame in a communication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0737A
KR20090070737A KR1020070138854A KR20070138854A KR20090070737A KR 20090070737 A KR20090070737 A KR 20090070737A KR 1020070138854 A KR1020070138854 A KR 1020070138854A KR 20070138854 A KR20070138854 A KR 20070138854A KR 20090070737 A KR20090070737 A KR 200900707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transmit
transition gap
subfram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88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391727B1 (en
Inventor
오창윤
노원일
임근휘
장영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388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1727B1/en
Publication of KR20090070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073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1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172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0006Assessment of spectral gaps suitable for allocating digitally modulated signals, e.g. for carrier allocation in cognitive radi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08User group management

Abstract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constructing a frame in a communication system are provided to enable a mobile terminal to smoothly switch an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while maximally maintaining a frame structure of an H-FDD(Half Duplex-Frequency Division Duplex) mode. A base station separates the first and second sub frames as much as a section to which the first transmit/receive transition gap and the first transmit/receive transition gap are added and separates the third and fourth frames as much as one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symbol section, thereby configuring a frame. The first sub frame comprises downlink data of mobile terminals included in the first group in the first frequency band. The second sub frame comprises the downlink data of the mobile terminals included in the second group.

Description

통신 시스템에서 프레임 구성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A FRAME IN A COMMUNICATION SYSTEM}Apparatus and method for frame construc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A FRAME IN A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통신 시스템에서 프레임 구성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munica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a frame in a communication system.

일반적인 통신 시스템에서 송수신기, 일예로, 기지국(BS: Base Station) 또는 이동 단말기(MS: Mobile Station)는 상호 데이터 교환을 위해서 프레임(frame) 구조를 사용한다. 상기한 통신 시스템은 기지국과 이동 단말기 간에 데이터 전송을 위한 프레임 구조를 사용하며, 이에 따라 상기 기지국은 각 프레임의 자원을 이동 단말기들에게 효율적으로 할당하여 사용하도록 한다.In a general communication system, a transceiver, for example, a base station (BS) or a mobile station (MS) uses a frame structure for mutual data exchange. The communication system uses a frame structure for data transmission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mobile terminal, so that the base station efficiently allocates resources of each frame to the mobile terminals.

그러면, 상기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이동 단말기와 프레임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경우 프레임 구조를 하기의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Then, when the base station transmits and receives data using the frame with the mobile terminal in the communication system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ure 1 below.

도 1은 일반적인 통신 시스템의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rame structure of a general communication system.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통신 시스템은 일예로, 시간 분할 듀플렉스(TDD: Time Division Duplexing, 이하 'TDD'라 칭하기로 한다) 방식을 사용한다고 가정하 기로 한다. 상기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과 이동 단말기 간에 송수신되는 프레임을 일예로 설명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1, it is assumed that the communication system uses a time division duplex (TDD) scheme as an example. An example of a frame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a base station and a mobile terminal of the communication system will be described.

하나의 프레임은 하향링크(downlink) 구간과 상향링크(uplink) 구간을 포함한다. 상기 하향링크 구간은 프리앰블(preamble), 맵(map), 하향링크 데이터 버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상향링크 프레임 구간은 상향링크 데이터 버스트를 포함한다.One frame includes a downlink section and an uplink section. The downlink period includes a preamble, a map, and a downlink data burst, and the uplink frame period includes an uplink data burst.

상기 프리앰블은 동기 획득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한다.The preamble includes information for performing synchronization acquisition.

상기 맵은 상기 프레임에 포함된 프레임 제어 헤더 등으로부터 복원이 가능한 정보이며, 상기 프레임 내에 데이터 버스트의 위치, 크기 등과 같은 데이터 추출 정보와 수신기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여러 가지 정보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을 수신한 수신기는 상기 맵 정보를 분석함으로서 상기 프레임 내 상기 이동 단말기에게 수신되는 데이터 버스트를 추출한다.The map is information that can be restored from a frame control header or the like included in the frame, and includes data extraction information such as the position and size of a data burst in the frame and various information for providing a service to a receiver. Accordingly, the receiver receiving the frame extracts a data burst received by the mobile terminal in the frame by analyzing the map information.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 버스트는 기지국이 이동 단말기로 송신하는 하향링크 데이터이고,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 버스트는 이동 단말기가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상향링크 데이터이다.The downlink data burst is downlink data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to the mobile terminal, and the uplink data burst is uplink data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 to the base station.

또한, 상기 프레임은 송/수신 천이 갭(TTG: Transmit/receive Transition Gap, 이하 'TTG'라 칭하기로 한다)과 수/송신 천이 갭(RTG: Receive/transmit Transition Gap, 이하 'RTG'라 칭하기로 한다)을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TTG와 상기 RTG는 상기 프레임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 시 보호 구간 역할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frame is referred to as a transmit / receive transition gap (TTG) and a transmit / receive transition gap (RTG). It is included). Here, the TTG and the RTG serve as a guard interval when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hrough the frame.

상기 도 1에는 두 개의 프레임이 도시되어 있으며, 일예로 하나의 프레임 구간의 길이는 2msec 내지 20msec의 값을 가지며, 여기서는 5msec(하향링크 구간 + 상향링크 구간 + TTG + RTG)인 경우를 가정한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A 심볼들과 B 심볼들의 합은 일예로 47 심볼들(47 symbols = A symbols + B symbols)이라고 가정한다.In FIG. 1, two frames are shown. For example, a length of one frame section has a value of 2 msec to 20 msec. Here, it is assumed that 5 msec (downlink section + uplink section + TTG + RTG). For example, it is assumed that the sum of the A symbols and the B symbols shown in the figure is 47 symbols (A symbols + B symbols).

도 1은 상기 기지국과 상기 이동 단말기가 데이터 송수신에 시간 분할 듀플렉스(TDD: Time Division Duplex)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를 일예로 설명한 것이다. 상기 TDD 방식을 사용하는 기지국과 이동 단말기는 상향링크와 하향링크에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시간 영역에서 분할하여 사용한다.FIG. 1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base station and the mobile terminal use a time division duplex (TD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he base station and the mobile terminal using the TDD scheme divide the same frequency band in the time domain for uplink and downlink.

하지만 상기 기지국과 상기 이동 단말기가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DD: 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주파수 영역을 구분하여 사용하므로 상기 시간 분할 듀플렉스 방식에서 사용되는 프레임 구조를 사용할 경우 자원 효율면에서 낭비가 심하다. 예를 들어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 방식의 통신 시스템을 고려하기로 한다. 상기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 방식의 통신 시스템은 적어도 두 개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기지국과 이동 단말기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이 가능하다.However, when the base station and the mobile station use a frequency division duplex (FDD) scheme, frequency domains are divided and used. Thus, when the frame structure used in the time division duplex scheme is used, waste in terms of resource efficiency Severe. For example, consider a frequency division duplex communication system. In the frequency division duplex communication system, a base station and a mobile terminal can transmit and receive data using at least two frequency bands.

상기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 통신 시스템은 전이중 방식으로 동작하는 주파수 듀플렉스 방식, 즉 전이중-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ull duplex-Frequency Division Duplex, 이하 'F-FDD'라 칭하기로 한다) 방식과 반이중 방식으로 동작하는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 방식, 즉 반이중-주파수 분할 듀플렉스 방식(Half duplex-Frequency Division Duplex, 이하 'H-FDD'라 칭하기로 한다)으로 구분할 수 있다.The frequency division duplex communication system operates in a full duplex frequency duplex, that is, full duplex-frequency division duplex (F-FDD) and half frequency duplex. It may be classified into a duplex method, that is, a half duplex-frequency division duplex method (hereinafter, referred to as H-FDD).

상기 F-FDD 방식은 이동 단말기가 제 1 주파수 대역을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는 제 2 주파수 대역을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 신호를 송신한다. 하지만, 상기 H-FDD 방식은 이동 단말기가 제 1 주파수 대역을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면서 제 2 주파수 대역을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 신호를 송신할 수 없다.In the F-FDD scheme, a mobile terminal receives a signal from a base station through a first frequency band, and the mobile terminal transmits a signal to the base station through a second frequency band. However, the H-FDD scheme cannot transmit a signal to the base station through the second frequency band while the mobile terminal receives a signal from the base station through the first frequency band.

기본적으로 F-FDD 기능을 가지는 기지국은 F-FDD 방식의 이동 단말기뿐만 아니라, H-FDD 기지국이 F-FDD 방식의 이동 단말기와 H-FDD 방식의 이동 단말기를 동시에 지원하는 경우나 H-FDD 방식의 이동 단말기만을 지원하는 경우에 기본적으로 H-FDD 방식의 이동 단말기에 맞추어서 프레임 구조가 설계되어야 한다.Basically, a base station having an F-FDD function is not only an F-FDD mobile terminal but also an H-FDD base station supporting an F-FDD mobile terminal and an H-FDD mobile terminal simultaneously or an H-FDD system. In case of supporting only the mobile terminal, the frame structure should be designed in accordance with H-FDD type mobile terminal.

따라서 상기 H-FDD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은 이동 단말기가 제 1 주파수 대역을 통해 신호를 수신한 후, 제 2 주파수 대역을 통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도록 하향링크 구간과 상향링크 구간 사이에 보호 구간, 즉 동작 전환 구간을 설정해야 한다.Therefore, in the communication system using the H-FDD scheme, the mobile terminal receives a signal through a first frequency band and then a guard period between a downlink period and an uplink period so that the mobile station can transmit a signal through a second frequency band. That is, the operation switching interval should be set.

이때, 상기 통신 시스템은 상기 H-FDD 방식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기가 신호를 수신하는 주파수 대역과 신호를 전송하는 주파수 대역이 다르기 때문에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TDD 방식과 동일하게 동작 전환 구간을 설정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H-FDD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전환을 위한 구간을 포함하는 프레임 구조를 필요로 한다.In this case, since the frequency band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receives the signal and the frequency band in which the signal is transmitted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the H-FDD scheme, the communication system performs the operation switching perio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TDD scheme. It cannot be set.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frame structure including an interval for switching the operation of a mobile terminal in a communication system using the H-FDD schem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통신 시스템에서 프레임 구성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a frame in a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반이중-주파수 분할 듀플렉스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의 프레임 구성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a frame in a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half-frequency split duplex schem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반이중-주파수 분할 듀플렉스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의 동작 전환 구간이 설정된 프레임 구성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figuring a frame in which an operation switching interval of a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half-frequency split duplex scheme is set.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통신 시스템에서 반이중-주파수 분할 듀플렉스 방식의 이동 단말기와 통신하는 기지국의 프레임 구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기지국은 제 1 주파수 대역에서 제 1 그룹에 포함된 이동 단말기들의 하향링크 데이터를 포함한 제 1 서브 프레임과 제 2 그룹에 포함된 이동 단말기들의 하향링크 데이터를 포함한 제 2 서브 프레임은 제 1 송/수신 천이 갭과 제 1 수/송신 천이 갭이 더해진 구간만큼 이격하고, 제 2 주파수 대역에서 제 2 그룹에 포함된 이동 단말기들의 상향링크 데이터를 포함한 제 3 서브 프레임과 상기 제 1 그룹에 포함된 이동 단말기들의 상향링크 데이터를 포함한 제 4 서브 프레임은 1개의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심볼 구간만큼 이격한다.A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relates to a frame configuration method of a base station communicating with a mobile terminal of the half-frequency split duplex method in a communication system. In the first frequency band, the base station includes a first subframe including downlink data of mobile terminals included in a first group and a second subframe including downlink data of mobile terminals included in a second group. A third subframe including uplink data of mobile terminals included in the second group in a second frequency band, spaced apart by a period in which a reception transition gap and a first number / transmit transition gap are added, and a movement included in the first group The fourth subframe including the uplink data of the terminals are spaced by one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ymbol interval.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통신 시스템에서 반이중-주파수 분할 듀플렉스 방식의 이동 단말기와 통신하는 프레임 구성 장치에 관한 것이 다. 상기 프레임 구성 장치는 제 1 주파수 대역에서 제 1 그룹에 포함된 이동 단말기들의 하향링크 데이터를 포함한 제 1 서브 프레임과 제 2 그룹에 포함된 이동 단말기들의 하향링크 데이터를 포함한 제 2 서브 프레임은 제 1 송/수신 천이 갭과 제 1 수/송신 천이 갭이 더해진 구간만큼 이격하고, 제 2 주파수 대역에서 제 2 그룹에 포함된 이동 단말기들의 상향링크 데이터를 포함한 제 3 서브 프레임과 상기 제 1 그룹에 포함된 이동 단말기들의 상향링크 데이터를 포함한 제 4 서브 프레임은 1개의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심볼 구간만큼 이격하여 프레임을 구성하는 기지국을 포함한다.A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relates to a frame configuration device for communicating with a mobile terminal of the half-frequency split duplex method in a communication system. The frame forming apparatus may include a first subframe including downlink data of mobile terminals included in a first group and a second subframe including downlink data of mobile terminals included in a second group in a first frequency band. A third sub-frame including uplink data of mobile terminals included in the second group in the second frequency band and spaced apart by the interval where the transmit / receive transition gap and the first receive / transmit transition gap are added, and included in the first group The fourth subframe including the uplink data of the mobile terminals includes a base station constituting the frame spaced apart by one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ymbol interval.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서 반이중-주파수 분할 듀플렉스(Half Duplex-Frequency Division Duplex, 이하 H-FDD라 칭함) 방식의 이동 단말기와 통신하는 경우, 시분할 듀플렉스 방식의 프레임 구성에 포함되는 심볼들 중 하나 이상의 심볼들을 동작 전환 구간으로 추가적으로 사용하여 상기 H-FDD 방식의 동작 전환 구간을 설정함으로써, 상기 시분할 복신 방식의 프레임 구조를 최대한 유지하면서 이동 단말기가 원활하게 동작을 전환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when communicating with the mobile terminal of the half-duplex-frequency division duplex (H-FDD) scheme in a communication system, one or more of symbols included in the time division duplex frame configuration By additionally using symbols as the operation switching interval, the operation switching interval of the H-FDD scheme is set, and thus the mobile terminal can smoothly switch the operation while maintaining the frame structure of the time division duplex scheme as much as possibl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nly parts necessary for understanding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nd descriptions of other parts will be omitted so as not to distract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서 프레임 구성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은 전이중-주파수 듀플렉스 방식(Full duplex-Frequency Division Duplex, 이하 'F-FDD'라 칭하기로 한다) 방식의 기지국이 반이중-주파수 분할 듀플렉스(Half duplex-Frequency Division Duplex, 이하 'H-FDD'라 칭하기로 한다) 방식의 이동 단말기를 지원하기 위한 프레임 구성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rame configuration apparatus and method in a communication system.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is a full duplex-Frequency Division Duplex (hereinafter referred to as 'F-FDD') base station is a half duplex-Frequency Division Duplex (hereinafter referred to as 'H-FDD') Provided is a frame configu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a mobile terminal of the FDD 'method).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송수신기는 일예로 기지국(BS: Base Station) 또는 이동 단말기(Mobile Station)라고 가정하기로 한다. 상기 기지국과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 방식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 방식은 F-FDD와 H-FDD 방식을 사용하여 상호 간에 통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동 단말기가 특히, 상기 반이중-주파수 듀플렉스 방식을 사용하여 기지국과 통신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는 데이터 송수신 시에 반이중 방식으로 동작, 즉 특정 시점에서 데이터 송신 또는 수신 중 하나의 동작만을 수행한다고 가정한다.It is assumed that a transceiver of th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base station (BS) or a mobile station (Mobile Station). The base station and the mobile terminal may use the frequency division duplex scheme, and the frequency division duplex scheme ma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using the F-FDD and H-FDD schemes. In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describ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mobile terminal communicates with the base station using the half-frequency duplex scheme. Therefore, it is assumed that the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only one operation of data transmission or reception at a specific time in half-duplex operation.

기존의 시간 분할 듀플렉스(Time Division Duplex, 이하 'TDD'라 칭하기로 한다)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는 송신 천이 갭(Transmit/receive Transition Gap, 이하 'TTG'라 칭하기로 한다)과 수신 천이 갭(Receive/transmit Transition Gap, 이하 'RTG'라 칭하기로 한다)을 포함한다.In a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conventional time division duplex (hereinafter, referred to as 'TDD') scheme, a transmit / receive transition gap (hereinafter referred to as 'TTG') and a receive transition gap ( Receive / transmit Transition Gap, hereinafter referred to as 'RTG').

예를 들어, 대역폭이 10M인 경우, 상기 TDD시스템은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전환을 위한 최대 이동 단말기 송/수신 천이 갭(Subscriber Station Transmit/receive Transition Gap, 이하 'SSTTG'라 칭하기로 한다)과 이동 단말기 수/송신 천이 갭(SSRTG: Subscriber Station Receive/transmit Transition Gap)은 50us를 고려한다. 상기 TTG는 상기 SSRTG와 라운드 트립 딜레이(Round Trip Delay, 이하 'RTD'라 칭하기로 한다)를 더한 값으로 설정되고, 상기 RTG는 상기 SSTTG에서 RTD를 뺀 값으로 설정된다. For example, when the bandwidth is 10M, the TDD system transmits a maximum mobile terminal transmit / receive gap (Subscriber Station Transmit / receive Transition Gap, hereinafter referred to as 'SSTTG') for switch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The Subscriber Station Receive / Transmit Transition Gap (SSRTG) considers 50 us. The TTG is set to a value obtained by adding the SSRTG and a round trip delay (hereinafter, referred to as 'RTD'), and the RTG is set to a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RTD from the SSTTG.

한편, 상기 H-FDD 시스템에서는 상기 SSTTG와 상기 SSRTG 값이 현재의 50us보다 큰 100us 정도의 값으로 설정해야 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상기 TDD 시스템의 TTG와 RTG를 각각 TTG'과 RTG'으로 칭하기로 한다.Meanwhile, in the H-FDD system, the SSTTG and SSRTG values should be set to values of about 100us larger than the current 50u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TG and RTG of the TDD system will be referred to as TTG 'and RTG', respectively.

상기 TDD 시스템은 대역폭이 일예로, 10M인 경우에는 하나의 프레임은 47개의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 Access, 이하 'OFDMA'라 칭하기로 한다) 심볼들과 하나의 TTG(TDD)와 하나의 RTG(TDD)를 포함한다. 이때, 하나의 OFDMA 심볼은 일예로, 102.87us의 크기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F-FDD 시스템은 상기 H-FDD 방식의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전환을 위해 상기 TTD시스템의 SSTTG와 SSRTG보다 100us를 더 필요로 한다. 따라서 상기 F-FDD 시스템은 상기 TDD 시스템의 47개의 OFDMA 심볼들 중 하나의 OFDMA 심볼을 이용하여 상기 TTG(TDD) 구간과 RTG(TDD) 구간을 확장하여 일예로, 하기의 수학식 1과 같이 상기 H-FDD 방식의 단말에 대한 TTG와 RTG로 사용할 수 있다.In the TDD system, for example, when the bandwidth is 10M, one frame includes 47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 Access (OFDMA) symbols and one TTG (TDD). It contains one RTG (TDD). At this time, one OFDMA symbol is composed of a size of 102.87us, for example. In this case, the F-FDD system requires 100us more than SSTTG and SSRTG of the TTD system in order to switch the operation of the H-FDD mobile terminal. Accordingly, the F-FDD system extends the TTG (TDD) section and the RTG (TDD) section by using one OFDMA symbol among the 47 OFDMA symbols of the TDD system. For example, as shown in Equation 1 below. It can be used as TTG and RTG for the H-FDD type UE.

TTG = TTG' + (1 OFDMA symbol / 2)TTG = TTG '+ (1 OFDMA symbol / 2)

RTG = RTG' + (1 OFDMA symbol / 2)RTG = RTG '+ (1 OFDMA symbol / 2)

여기서 상기 TTG는 H-FDD 방식으로 동작하는 이동 단말기의 TTG를 나타내고, 상기 RTG는 H-FDD 방식으로 동작하는 이동 단말기의 RTG를 나타내고, 상기 TTG'는 TDD 방식으로 동작하는 이동 단말기의 TTG를 나타내고, 상기 RTG'는 TDD 방식으로 동작하는 이동 단말기의 RTG를 나타낸다.The TTG represents a TTG of a mobile terminal operating in an H-FDD scheme, the RTG represents an RTG of a mobile terminal operating in an H-FDD scheme, and the TTG ′ represents a TTG of a mobile terminal operating in a TDD scheme. The RTG ′ denotes an RTG of a mobile terminal operating in a TDD scheme.

상기 수학식 1에서 상기 H-FDD 방식으로 동작하는 이동 단말기의 TTG와 RTG는 상기 TDD 방식의 통신 시스템에서 TTG'과 RTG'에 한 개의 OFDMA 심볼의 반(1/2)이 추가된 값으로 설정된 것을 일예로 설명하였다. 그러므로 상기 TTG'와 상기 RTG'에 적어도 하나의 OFDMA 심볼을 사용하여 상기 TTG와 상기 RTG를 설정할 수도 있다.In Equation 1, TTG and RTG of the mobile terminal operating in the H-FDD scheme are set to a value in which half (1/2) of one OFDMA symbol is added to TTG 'and RTG' in the TDD communication system. This is described as an example. Therefore, the TTG and the RTG may be configured by using at least one OFDMA symbol for the TTG 'and the RTG'.

상기 H-FDD 방식으로 동작하는 이동 단말기가 기지국과의 통신에 사용되는 프레임 구조는 하기의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A frame structure used for communication with a base station by a mobile terminal operating in the H-FDD schem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below.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H-FDD 방식의 이동 단말기의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rame structure of an H-FDD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일예로 두 개의 주파수 대역이 도시되어 있으며, 제 1 주파수 대역은 기지국과 상기 H-FDD 방식으로 동작하는 이동 단말기의 하향링크 데이터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이고, 제 2 주파수 대역은 기지국과 상기 H- FDD 방식으로 동작하는 이동 단말기의 상향링크 데이터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이라고 가정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2, for example, two frequency bands are illustrated. A first frequency band is a frequency band used for downlink data transmission between a base station and a mobile terminal operating in the H-FDD scheme, and a second frequency band. It is assumed that the band is a frequency band used for uplink data transmission between a base station and a mobile terminal operating in the H-FDD scheme.

한편, 본 발명에서는 주파수 대역의 효율적인 사용을 위해 상기 기지국의 셀 내 H-FDD 방식으로 동작하는 이동 단말기를 두 개의 그룹으로 구분한다. 그리고 제 1 그룹의 이동 단말기들이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에는 제 2 그룹의 이동 단말기들이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제 1 그룹의 이동 단말기들이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 2 그룹의 이동 단말기들이 데이터를 수신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terminal operating in the H-FDD scheme in the cell of the base station is divided into two groups for efficient use of the frequency band. When the first group of mobile terminals transmits data, the second group of mobile terminals receives data. When the first group of mobile terminals receives data, the second group of mobile terminals receive data. Receive.

상기 기지국은 상기 H-FDD 방식의 이동 단말기들을 셀의 부하 특성, 이동 단말기 위치, 각 그룹별 이동 단말기 개수, 셀 부하 특성을 고려하여 각 그룹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일예로, 기지국은 이동 단말기로 변경된 그룹 정보를 통보하는 것이 가능하며, 각 이동 단말기들은 기지국으로부터 통보받은 그룹 정보를 통해 자신이 속한 이동 단말기 그룹을 결정하고, 결정된 이동 단말기 그룹에 해당하는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The base station may classify the H-FDD-type mobile terminals into groups according to cell load characteristics, mobile terminal positions, the number of mobile terminals in each group, and cell load characteristics. For example, the base station can notify the changed group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each mobile terminal determines the mobile terminal group to which it belongs through the group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and transmits and receives data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mobile terminal group Can be done.

여기서 상기 기지국이 상기 이동 단말기들을 각 그룹으로 구분하는 동작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Here, since the base station divides the mobile terminals into groups,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은 프리앰블(preamble), 공통맵(common map), 제 1 그룹 맵(group #1 map), 제 1 그룹 하향링크 데이터 버스트, 제 2 그룹 맵(group #2 map), 제 2 그룹 하향링크 데이터 버스트를 포함한다.The first frequency band includes a preamble, a common map, a first group map, a first group downlink data burst, a second group map, and a second group map. Group downlink data bursts.

상기 프리앰블은 동기 획득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한다.The preamble includes information for performing synchronization acquisition.

상기 공통맵은 상기 프레임에 포함된 프레임 제어 헤더 등으로부터 복원이 가능한 정보이며, 일예로, 상기 제 1 그룹 맵, 상기 제 2 그룹 맵의 위치, 크기 등과 같은 맵 추출 정보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맵을 수신한 이동 단말기들은 상기 이동 단말기들 각각의 그룹에 해당하는 제 1 그룹 맵 또는 제 2 그룹 맵을 수신할 수 있다.The common map is information that can be restored from a frame control header or the like included in the frame. For example, the common map includes map extraction information such as the position and size of the first group map and the second group map. Accordingly, the mobile terminals receiving the map may receive a first group map or a second group map corresponding to each group of the mobile terminals.

상기 제 1 그룹 맵은 상기 프레임 내에 제 1 그룹의 이동 단말기들의 데이터 버스트의 위치, 크기 등과 같은 데이터 추출 정보와 상기 제 1 그룹의 이동 단말기들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여러 가지 정보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제 1 그룹 맵을 수신한 이동 단말기는 상기 제 1 그룹 맵 정보를 분석함으로서 상기 프레임 내 상기 제 1 그룹의 이동 단말기에게 수신되는 데이터 버스트를 추출한다.The first group map includes data extraction information such as the location and size of a data burst of the first group of mobile terminals in the frame and various information for providing a service to the first group of mobile terminals. Accordingly, the mobile terminal receiving the first group map extracts a data burst received by the mobile terminal of the first group in the frame by analyzing the first group map information.

상기 제 2 그룹 맵은 상기 프레임 내에 제 2 그룹의 이동 단말기들의 데이터 버스트의 위치, 크기 등과 같은 데이터 추출 정보와 상기 제 2 그룹의 이동 단말기들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여러 가지 정보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제 2 그룹 맵을 수신한 이동 단말기는 상기 제 2 그룹 맵 정보를 분석함으로서 상기 프레임 내 상기 제 2 그룹의 이동 단말기에게 수신되는 데이터 버스트를 추출한다.The second group map includes data extraction information such as the location and size of data bursts of the second group of mobile terminals in the frame and various information for providing a service to the second group of mobile terminals. Accordingly, the mobile terminal receiving the second group map extracts a data burst received by the mobile terminal of the second group in the frame by analyzing the second group map information.

상기 제 1 그룹 하향링크 데이터 버스트는 기지국이 제 1 그룹의 이동 단말기로 송신하는 하향링크 데이터이고, 상기 제 2 그룹 하향링크 데이터 버스트는 기지국이 제 2 그룹의 이동 단말기로 송신하는 하향링크 데이터이다.The first group downlink data burst is downlink data transmitted by the base station to the mobile station of the first group, and the second group downlink data burst is downlink data transmitted by the base station to the mobile station of the second group.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은 제 1 그룹 상향링크 데이터 버스트, 제 2 그룹 상향링크 데이터 버스트를 포함한다.The second frequency band includes a first group uplink data burst and a second group uplink data burst.

상기 제 1 그룹 상향링크 데이터 버스트는 제 1 그룹의 이동 단말기가 기지 국으로 송신하는 상향링크 데이터이고, 상기 제 2 그룹 상향링크 데이터 버스트는 제 2 그룹의 이동 단말기가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상향링크 데이터이다.The first group uplink data burst is uplink data transmitted by a mobile station of a first group to a base station, and the second group uplink data burst is uplink data transmitted by a mobile station of a second group to a base station. .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은 47개의 OFDMA 심볼들, TTG', RTG'를 포함한다. 상기 프리앰블, 공통맵, 제 1 그룹 맵, 제 1 그룹 하향링크 데이터 버스트를 포함한 제 1 서브 프레임과, 상기 제 2 그룹 맵과 상기 제 2 그룹 하향링크 데이터 버스트를 포함한 제 2 서브프레임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서브 프레임과 상기 제 2 서브 프레임 간에는 TTG'와 RTG'가 더해진 크기의 갭(gap)이 삽입된다. 상기 TTG'과 상기 RTG'는 TDD 방식의 통신 시스템에서 정의된 TTG, RTG를 의미한다.The first frequency band includes 47 OFDMA symbols, TTG ', RTG'. And a first subframe including the preamble, the common map, the first group map, and the first group downlink data burst, and a second subframe including the second group map and the second group downlink data burst. A gap having a size of TTG 'and RTG' is added between the first subframe and the second subframe. The TTG 'and the RTG' mean TTG and RTG defined in a TDD communication system.

상기 서브 프레임은 하나의 프레임 내에서 OFDMA 심볼들의 집합을 의미하고, 상기 서브 프레임은 상기 TTG, RTG, TTG', RTG' 등에 의해 구분된다.The subframe means a set of OFDMA symbols within one frame, and the subframe is divided by the TTG, RTG, TTG ', RTG', and the like.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은 제 2 그룹 상향링크 데이터 버스트를 포함한 제 3 서브 프레임과 상기 제 1 그룹 상향링크 데이터 버스트를 포함한 제 4 서브 프레임을 포함한다. 상기 제 3 서브 프레임과 상기 제 4 서브 프레임 간에 1 OFDM 심볼 크기의 갭(gap)이 삽입된다.The second frequency band includes a third subframe including a second group uplink data burst and a fourth subframe including the first group uplink data burst. A gap of 1 OFDM symbol size is inserted between the third subframe and the fourth subframe.

상기 제 3 서브 프레임 이전에는 상기 수학식 1의 TTG가 삽입되며, 상기 TTG는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의 공통맵의 종료 시점에 삽입된다. 또한, 상기 제 4 서브 프레임 이후에는 상기 수학식 1의 RTG가 삽입되며, 상기 RTG는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에서는 다음 프레임이 시작, 즉 다음 프레임의 프리앰블 시작 시점 이전에 삽입된다.The TTG of Equation 1 is inserted before the third subframe, and the TTG is inserted at the end of the common map of the first frequency band. In addition, the RTG of Equation 1 is inserted after the fourth subframe, and the RTG is inserted in the first frequency band before the start of the next frame, that is, before the start of the preamble of the next frame.

그러므로 본 발명의 기지국은 적어도 두 개의 그룹으로 구분된 H-FDD 방식의 이동 단말기들과 통신할 수 있으며, 제 1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제 1 서브 프레임을 송신하고, 상기 TTG'와 상기 RTG'가 더해진 크기의 갭을 두고 상기 제 2 서브 프레임을 송신한다. 또한,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제 3 서브 프레임을 송신하고, 1 OFDMA 심볼 크기의 갭을 두고 상기 제 4 서브 프레임을 송신한다.Therefore, the base s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ommunicate with H-FDD-type mobile terminals divided into at least two groups, and transmits the first subframe in a first frequency band and adds the TTG 'and the RTG'. The second subframe is transmitted with a size gap. In addition, the third subframe is transmitted in the second frequency band, and the fourth subframe is transmitted with a gap of one OFDMA symbol size.

여기서 상기 제 1 OFDMA 심볼 크기의 갭, 즉 제 1 OFDMA 심볼 구간의 절반에 해당하는 시점은 상기 제 1 서브 프레임 송신 이후 TTG'가 종료되는 시점과 동일하게 설정된다.Herein, a time point corresponding to a gap of the first OFDMA symbol size, that is, half of the first OFDMA symbol period, is set to be the same as the time point at which TTG 'ends after the first subframe transmission.

상기 프레임 구조를 사용하여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과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에서 기지국은 H-FDD 방식을 사용하는 이동 단말기에게 상기 수학식 1에서와 같은 TTG와 RTG를 두고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다.Using the frame structure, the base station in the first frequency band and the second frequency band can transmit and receive data to the mobile terminal using the H-FDD scheme with the TTG and RTG as in Equation (1).

하기의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이 H-FDD 방식의 단말기를 지원하기 위해 운용되는 프레임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예로, 5ms의 프레임은 46개의 OFDMA 심볼들과 TTG, RTG로 구성된다. 1 OFDMA 심볼이 H-FDD 방식의 지원을 위해 TTG, RTG 값을 늘려주기 위해 사용하기 때문에 가용 심볼의 개수는 47개에서 46개로 감소한다. 3 and 4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frame structure operated by a base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upport an H-FDD type terminal. For example, a 5 ms frame consists of 46 OFDMA symbols, TTG, and RTG. Since one OFDMA symbol is used to increase the TTG and RTG values to support the H-FDD scheme, the number of available symbols is reduced from 47 to 46.

다음으로 H-FDD 방식을 사용하는 제 1 그룹의 이동 단말기가 수신하는 프레임을 하기의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Next, a frame received by the first group of mobile terminals using the H-FDD schem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H-FDD 방식을 사용하는 제 1 그룹의 이동 단말기가 수신하는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rame received by a first group of mobile terminals using an H-FDD sche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그룹의 이동 단말기는 기지국으로부터 제 1 주 파수 대역을 통해 프리앰블과 공통맵을 수신한다.Referring to FIG. 3, the mobile station of the first group receives the preamble and the common map from the base station through the first frequency band.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공통 맵을 통해서 제 1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제 1 그룹의 이동 단말기에 해당하는 제 1 그룹 맵을 수신한다.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제 1 그룹 맵을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에게 할당된 하향링크 데이터 버스트들을 수신한다.The mobile terminal receives a first group map corresponding to the first group of mobile terminals in a first frequency band through the common map. The mobile terminal receives downlink data bursts assigned to the mobile terminal through the first group map.

상기 이동 단말기는 제 1 주파수 대역을 통해 하향링크 데이터 버스트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고, 제 2 주파수 대역을 통해 상향링크 데이터 버스트를 상기 기지국으로 송신한다.The mobile terminal receives a downlink data burst from the base station through a first frequency band, and transmits an uplink data burst to the base station through a second frequency band.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 버스트 수신 완료 시점과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 버스트 송신 시점 이전에 동작 전환 구간 즉, TTG를 포함하고,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 버스트 송신 완료 시점 이후에 동작 전환 구간 즉, RTG를 포함한다.The mobile terminal includes an operation switching period, that is, TTG, before the downlink data burst reception time and the uplink data burst transmission time, and includes an operation switching period, that is, RTG, after the uplink data burst transmission time. do.

따라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본 발명에서 제안된 프레임 구조를 통해 H-FDD 방식의 사용에 따른 송수신 모드의 동작 전환에 필요한 동작 전환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mobile terminal may include an operation switching section required for operation switching of the transmission / reception mode according to the use of the H-FDD scheme through the frame structure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다음으로 H-FDD 방식을 사용하는 제 2 그룹의 이동 단말기가 수신하는 프레임을 하기의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Next, a frame received by the second group of mobile terminals using the H-FDD schem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H-FDD 방식을 사용하는 제 2 그룹의 이동 단말기가 수신하는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rame received by a second group of mobile terminals using the H-FDD sche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 2 그룹의 이동 단말기는 기지국으로부터 제 1 주 파수 대역을 통해 프리앰블과 공통맵을 수신한다.Referring to FIG. 4, the second group of mobile terminals receives a preamble and a common map from a base station through a first frequency band.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공통맵을 수신한 이후에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을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 상향링크 데이터 버스트를 송신한다.After receiving the common map, the mobile terminal transmits an uplink data burst to the base station through the second frequency band.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 버스트를 송신하고, 상기 공통 맵을 통해서 제 1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제 1 그룹의 이동 단말기에 해당하는 제 1 그룹 맵을 수신한다.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제 1 그룹 맵을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에게 할당된 하향링크 데이터 버스트들을 수신한다.The mobile terminal transmits the uplink data burst and receives a first group map corresponding to the first group of mobile terminals in a first frequency band through the common map. The mobile terminal receives downlink data bursts assigned to the mobile terminal through the first group map.

상기 이동 단말기는 제 2 주파수 대역을 통해 상향링크 데이터 버스트를 상기 기지국으로 송신하고, 제 1 주파수 대역을 통해 제 1 그룹 맵과 하향링크 데이터 버스트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다.The mobile terminal transmits an uplink data burst to the base station through a second frequency band, and receives a first group map and a downlink data burst from the base station through a first frequency band.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공통맵 수신 완료 시점과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 송신 시점 이전에 동작 전환 구간 즉, TTG를 포함하고,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 버스트 송신 완료 시점과 상기 제 2 그룹 맵 수신 시점 이전에 동작 전환 구간 즉, RTG를 포함한다.The mobile terminal includes an operation switching period before the common map reception completion time and the uplink data transmission time, that is, a TTG, and includes an operation switching period before the uplink data burst transmission completion time and the second group map reception time. That includes RTG.

따라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본 발명에서 제안된 프레임 구조를 통해 H-FDD 방식의 사용에 따른 송수신 모드의 동작 전환에 필요한 동작 전환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mobile terminal may include an operation switching section required for operation switching of the transmission / reception mode according to the use of the H-FDD scheme through the frame structure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제안된 하나의 프레임은 47 OFDMA 심볼, TTG', RTG'를 포함한 크기를 갖게 된다.Therefore, one frame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ize including 47 OFDMA symbols, TTG ', RTG'.

상기 기지국은 내부에 일예로, 스케줄러, 맵 생성부, 프레임 생성부, 송신 부, 수신부를 구비한다.The base station includes, for example, a scheduler, a map generator, a frame generator, a transmitter, and a receiver.

상기 스케줄러는 각 단말기 그룹별 데이터를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데이터의 자원 할당 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맵 생성부는 상기 데이터 자원 할당 정보를 사용하여 공통 맵과 각 그룹 맵을 생성한다. 상기 프레임 생성부는 상기 분류된 데이터와 맵을 사용하여 프레임을 생성하고,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도 2에서와 같은 각 서브 프레임들 간 갭과 동작 전환 구간을 포함한 프레임을 통해 해당 이동 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The scheduler classifies data for each terminal group and generates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 of the classified data. The map generator generates a common map and each group map by using the data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 The frame generation unit generates a frame using the classified data and a map, and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transmits / receives data with the corresponding mobile terminal through a frame including a gap between each subframe and an operation switching section as shown in FIG. 2. Can be.

상기 프레임 생성부는 두 개의 주파수 대역을 기준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은 제 1 서브 프레임 구간과 제 2 서브 프레임 구간을 생성하고,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은 제 3 서브 프레임 구간과 제 4 서브 프레임 구간을 생성한다. 상기 기지국은 생성된 서브 프레임 구간을 통해 제 1 서브 프레임과 제 2 서브 프레임을 해당 이동 단말기들로 송신하고, 상기 제 3 서브 프레임과 상기 제 4 서브 프레임을 이동 단말기들로부터 수신한다.The frame generator is configured based on two frequency bands, wherein the first frequency band generates a first sub frame period and a second sub frame period, and the second frequency band includes a third sub frame period and a fourth sub period. Create a frame section. The base station transmits the first subframe and the second subframe to the corresponding mobile terminals through the generated subframe period, and receives the third subframe and the fourth subframe from the mobile terminals.

상기 프레임 생성부는 제 1 프레임과 제 2 프레임 사이에 TTG'과 RTG'가 더해진 구간만큼 이격하고, 제 3 서브 프레임과 제 4 서브 프레임은 1개의 OFDMA 심볼만큼 이격한다.The frame generator is spaced apart by a period where TTG 'and RTG' are added between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and the third subframe and the fourth subframe are spaced apart by one OFDMA symbol.

상기 제 1 서브 프레임의 공통맵 송신 시점 이후 TTG만큼 이격한 시점에 제 3 서브 프레임의 시작 시점이 설정되고, 상기 제 4 서브 프레임 수신 시점 이후 RTG만큼 이격하여 다음 프레임의 시작 시점이 설정된다. 상기 기지국은 상기 RTG가 종료된 시점에 제 1 주파수 대역을 통해 다음 프레임의 프리앰블을 송신한다.A start point of a third subframe is set at a point spaced apart by TTG after a common map transmission point of the first subframe, and a start point of a next frame is set at a point spaced apart by RTG after the point of reception of the fourth subframe. The base station transmits a preamble of a next frame through a first frequency band when the RTG ends.

이때 상기 이동 단말기는 H-FDD 방식으로 동작하며, 상기 도 2에 도시한 프레임 구조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여기서 해당 이동 단말기는 자신이 포함된 그룹에 해당하는 프레임을 통해 기지국과 데이터를 송수신한다.At this time, the mobile terminal operates in the H-FDD scheme and can communicate through the frame structure shown in FIG. Here, the mobile terminal transmits and receives data with the base station through a frame corresponding to the group including the mobile terminal.

상기 H-FDD 방식의 이동 단말기를 포함한 통신 시스템은 상기 H-FDD 이동 단말기를 지원하기 위해 일예로, 1개의 OFDMA 심볼을 사용하여 기존 TDD 통신 시스템의 TTG'와 RTG'를 확장하였다. 상기 H-FDD 방식의 이동 단말기는 본 발명에서 제안된 TTG와 RTG를 통해 데이터 송수신에 따른 주파수 대역 변경에 따른 송수신 모드 전환에 기존 TDD 프레임의 구조를 최대로 유지하면서 TTG', RTG'의 값을 확장할 수 있다.In order to support the H-FDD mobile terminal, the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the H-FDD-type mobile terminal, for example, has extended TTG 'and RTG' of the existing TDD communication system by using one OFDMA symbol. The H-FDD mobile terminal maintains the TTG 'and RTG' values while maintaining the structure of the existing TDD frame to the maximum in the transmission / reception mode switching according to the frequency band change according to the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through the TTG and the RTG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xtended.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Meanwhil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not only by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but also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도 1은 일반적인 통신 시스템의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도면,1 illustrates a frame structure of a general communication system;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H-FDD 방식의 이동 단말기의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도면,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rame structure of an H-FDD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H-FDD 방식을 사용하는 제 1 그룹의 이동 단말기가 수신하는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rame received by a first group of mobile terminals using an H-FDD sche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H-FDD 방식을 사용하는 제 2 그룹의 이동 단말기가 수신하는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rame received by a second group of mobile terminals using the H-FDD sche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4)

통신 시스템에서 반이중-주파수 분할 듀플렉스 방식의 이동 단말기와 통신하는 기지국의 프레임 구성 방법에 있어서,A frame configuration method of a base station communicating with a mobile terminal of a half-frequency split duplex method in a communication system, 제 1 주파수 대역에서 제 1 그룹에 포함된 이동 단말기들의 하향링크 데이터를 포함한 제 1 서브 프레임과 제 2 그룹에 포함된 이동 단말기들의 하향링크 데이터를 포함한 제 2 서브 프레임은 제 1 송/수신 천이 갭과 제 1 수/송신 천이 갭이 더해진 구간만큼 이격하는 과정과,A first transmission / reception transition gap includes a first subframe including downlink data of mobile terminals included in a first group and a second subframe including downlink data of mobile terminals included in a second group in a first frequency band. Spaced apart by the interval where the first number / transmit transition gap is added; 제 2 주파수 대역에서 제 2 그룹에 포함된 이동 단말기들의 상향링크 데이터를 포함한 제 3 서브 프레임과 상기 제 1 그룹에 포함된 이동 단말기들의 상향링크 데이터를 포함한 제 4 서브 프레임은 1개의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심볼 구간만큼 이격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구성 방법.In the second frequency band, a third subframe including uplink data of mobile terminals included in the second group and a fourth subframe including uplink data of mobile terminals included in the first group include one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And a process of spaced apart by an access symbol interval.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1 그룹에 포함된 이동 단말기들은 상기 제 2 그룹에 포함된 이동 단말기와 데이터 송수신 동작이 상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구성 방법.The mobile terminal included in the first group is a frame configura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operation is in conflict with the mobile terminal included in the second group.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1 서브 프레임은 프리앰블, 공통맵, 제 1 그룹 맵, 제 1 그룹 하향링크 데이터 버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서브 프레임은 제 2 그룹 맵, 제 2 그 룹 하향링크 데이터 버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서브 프레임은 제 2 그룹 상향링크 데이터 버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4 서브 프레임은 제 1 그룹 상향링크 데이터 버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구성 방법.The first subframe includes a preamble, a common map, a first group map, and a first group downlink data burst, the second subframe includes a second group map and a second group downlink data burst, And wherein the third subframe includes a second group uplink data burst, and the fourth subframe includes a first group uplink data burst.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제 1 서브 프레임의 공통맵 송신 완료 시점 이후에 제 2 송/수신 천이 갭만큼 이격하여 제 3 서브 프레임 구간의 시작 시점을 설정하는 과정과,Setting a start time point of a third subframe period by spaced apart by a second transmit / receive transition gap after completion of the common map transmission of the first subframe; 상기 제 4 서브 프레임 구간의 종료 시점 이후에 제 2 수/송신 천이 갭만큼 이격하여 다음 프레임의 시작 시점을 설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프레임 구성 방법.And setting a start time point of a next frame spaced apart by a second number / transmit transition gap after an end time point of the fourth sub frame period.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제 1 송/수신 천이 갭은 시분할 듀플렉스 방식의 통신 시스템의 송/수신 천이 갭이고, 상기 제 1 수/송신 천이 갭은 시분할 듀플렉스 방식의 통신 시스템의 수/송신 천이 갭이고, 상기 제 2 송/수신 천이 갭은 상기 제 1 송/수신 천이 갭에 1/2개의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심볼이 추가된 갭이고, 상기 제 2 수/송신 천이 갭은 상기 제 1 수/송신 천이 갭에 1/2개의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심볼이 추가된 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구성 방법.The first transmit / receive transition gap is a transmit / receive transition gap of a time division duplex communication system, and the first transmit / receive transition gap is a receive / transmit transition gap of a time division duplex communication system. The reception transition gap is a gap in which 1/2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ymbols are added to the first transmission / reception transition gap, and the second reception / transmission transition gap is 1 / second to the first reception / transmission transition gap. And a gap in which two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ymbols are added.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1개의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심볼의 1/2 시점은 상기 제 1 서브 프레임 이후 상기 제 1 송/수신 천이 갭의 종료 시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구성 방법.And a half time point of the one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ymbol is an end time point of the first transmission / reception transition gap after the first subframe.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과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 각각의 프레임의 크기는 46개의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심볼과, 제 2 송/수신 천이 갭, 제 2 수/송신 천이 갭을 포함한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구성 방법.The size of each frame of the first frequency band and the second frequency band is a size including 46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ymbols, a second transmit / receive transition gap, and a second transmit / receive transition gap. How frames are organized. 통신 시스템에서 반이중-주파수 분할 듀플렉스 방식의 이동 단말기와 통신하는 프레임 구성 장치에 있어서,A frame configuration apparatus for communicating with a half-frequency split duplex mobile terminal in a communication system, 제 1 주파수 대역에서 제 1 그룹에 포함된 이동 단말기들의 하향링크 데이터를 포함한 제 1 서브 프레임과 제 2 그룹에 포함된 이동 단말기들의 하향링크 데이터를 포함한 제 2 서브 프레임은 제 1 송/수신 천이 갭과 제 1 수/송신 천이 갭이 더해진 구간만큼 이격하고, 제 2 주파수 대역에서 제 2 그룹에 포함된 이동 단말기들의 상향링크 데이터를 포함한 제 3 서브 프레임과 상기 제 1 그룹에 포함된 이동 단말기들의 상향링크 데이터를 포함한 제 4 서브 프레임은 1개의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심볼 구간만큼 이격하여 프레임을 구성하는 기지국을 포함하는 프레임 구성 장치.A first transmission / reception transition gap includes a first subframe including downlink data of mobile terminals included in a first group and a second subframe including downlink data of mobile terminals included in a second group in a first frequency band. And a third sub-frame including uplink data of mobile terminals included in the second group in the second frequency band and spaced apart by a period where the first number / transmit transition gap is added and uplinks of the mobile terminals included in the first group. And a fourth subframe including link data comprises a base station configured to form a frame by one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ymbol interval.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제 1 그룹에 포함된 이동 단말기들은 상기 제 2 그룹에 포함된 이동 단말기와 데이터 송수신 동작이 상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구성 장치.The mobile terminal included in the first group is a frame configur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operation is in conflict with the mobile terminal included in the second group.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제 1 서브 프레임은 프리앰블, 공통맵, 제 1 그룹 맵, 제 1 그룹 하향링크 데이터 버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서브 프레임은 제 2 그룹 맵, 제 2 그룹 하향링크 데이터 버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서브 프레임은 제 2 그룹 상향링크 데이터 버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4 서브 프레임은 제 1 그룹 상향링크 데이터 버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구성 장치.The first subframe includes a preamble, a common map, a first group map, and a first group downlink data burst, and the second subframe includes a second group map and a second group downlink data burst. And the third subframe includes a second group uplink data burst, and the fourth subframe includes a first group uplink data burst. 제 10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기지국은 상기 제 1 서브 프레임의 공통맵 송신 완료 시점 이후에 제 2 송/수신 천이 갭만큼 이격하여 제 3 서브 프레임 구간의 시작 시점이 설정하고, 상기 제 4 서브 프레임 구간의 종료 시점 이후에 제 2 수/송신 천이 갭만큼 이격하여 다음 프레임의 시작 시점이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구성 장치.The base station sets a start time of a third subframe period after being spaced apart by a second transmit / receive transition gap after the completion of the common map transmission of the first subframe, and after the end time of the fourth subframe period. And a start time point of the next frame spaced apart by two male / transmit transition gaps. 제 1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제 1 송/수신 천이 갭은 시분할 듀플렉스 방식의 통신 시스템의 송/수신 천이 갭이고, 상기 제 1 수/송신 천이 갭은 시분할 듀플렉스 방식의 통신 시스 템의 수/송신 천이 갭이고, 상기 제 2 송/수신 천이 갭은 상기 제 1 송/수신 천이 갭에 1/2개의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심볼이 추가된 갭이고, 상기 제 2 수/송신 천이 갭은 상기 제 1 수/송신 천이 갭에 1/2개의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심볼이 추가된 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구성 장치.The first transmit / receive transition gap is a transmit / receive transition gap of a time division duplex communication system, and the first transmit / receive transition gap is a receive / transmit transition gap of a time division duplex communication system, and the second A transmit / receive transition gap is a gap in which 1/2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ymbols are added to the first transmit / receive transition gap, and the second transmit / receive transition gap is 1 in the first receive / transmit transition gap. And / or two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ymbols. 제 1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1개의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심볼의 1/2 시점은 상기 제 1 서브 프레임 이후 상기 제 1 송/수신 천이 갭의 종료 시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구성 장치.And a half time point of the one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ymbol is an end time point of the first transmission / reception transition gap after the first subframe. 제 1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과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 각각의 프레임의 크기는 46개의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심볼과, 제 2 송/수신 천이 갭, 제 2 수/송신 천이 갭을 포함한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구성 장치.The size of each frame of the first frequency band and the second frequency band is a size including 46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ymbols, a second transmit / receive transition gap, and a second transmit / receive transition gap. Frame construction device.
KR1020070138854A 2007-12-27 2007-12-27 Apparatu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a frame in a communication system KR10139172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8854A KR101391727B1 (en) 2007-12-27 2007-12-27 Apparatu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a frame in a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8854A KR101391727B1 (en) 2007-12-27 2007-12-27 Apparatu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a frame in a communication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0737A true KR20090070737A (en) 2009-07-01
KR101391727B1 KR101391727B1 (en) 2014-05-07

Family

ID=41322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8854A KR101391727B1 (en) 2007-12-27 2007-12-27 Apparatu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a frame in a communication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1727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0385A (en) * 2011-03-11 2014-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and device for terminal to transmit/receive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having carrier aggregation technique applied thereto
US20230199687A1 (en) * 2021-12-16 2023-06-22 Qualcomm Incorporated Timing advance configuration for uplink communication resource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05943B2 (en) 2006-05-18 2012-11-06 Qualcomm Incorporated Half-duplex communication in a frequency division duplex system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0385A (en) * 2011-03-11 2014-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and device for terminal to transmit/receive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having carrier aggregation technique applied thereto
US20230199687A1 (en) * 2021-12-16 2023-06-22 Qualcomm Incorporated Timing advance configuration for uplink communication resources
US11832091B2 (en) * 2021-12-16 2023-11-28 Qualcomm Incorporated Timing advance configuration for uplink communication resour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1727B1 (en) 2014-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97271B2 (en) Uplink multi-TTI scheduling in TDD system
US10716154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via sidelink and terminal
US11006345B2 (en) Relay communication system
KR10086633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multi link in multi-hop relay cellular network
KR10090137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multi link without interference the inside of cell in multi-hop relay cellular network
US8213345B2 (en)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for uplink control signaling in time division OFDMA system
US9215730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the PDCCH signal
US20100290372A1 (en) Method for multiple tdd systems coexistence
EP3291599B1 (en) User device and base station
KR101336686B1 (en) Method and device for scheduling resource between different tdd systems
US8345582B2 (en)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base station apparatus, user apparatus and method
KR2007003117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ting multi link in multi-hop relay cellular network
JP2006005932A (en) Method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and signal containing frame generated by the method
CN104393905A (en) Method for prioritizing operation of relay nod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the same
CN102036359B (en) Method and equipment for transmitting uplink transmission information
CN101227228B (en) Method for transmission in wireless telecommunication system
CN103004273A (en) Wireless base station and communications control method
EP2164185A2 (en) OFDMA-based operation of a wireless subscriber terminal in a plurality of cells
WO2014126395A1 (en) Method for allotting system bandwidth in wireless access system supporting machine-type communication and appratus for supporting same
EP1879409A1 (en) Time frame structure of a multi hop radio communication system
CN101400146A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expanding coverage scope
EP196254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ntrol information in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1442755B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capable of supporting Relay
EP3369279A1 (en) Base station and wireless device use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1442357A (en) Method and system for wireless transmission adopting Relay supported frame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