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6042A - Head mounted display terminal having a light shutter - Google Patents

Head mounted display terminal having a light shut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6042A
KR20090066042A KR1020070133643A KR20070133643A KR20090066042A KR 20090066042 A KR20090066042 A KR 20090066042A KR 1020070133643 A KR1020070133643 A KR 1020070133643A KR 20070133643 A KR20070133643 A KR 20070133643A KR 20090066042 A KR20090066042 A KR 200900660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shutter
unit
amount
shutter unit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36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367958B1 (en
Inventor
배유동
이준영
강성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33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7958B1/en
Publication of KR20090066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604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7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795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6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2Viewing or reading apparatus
    • G02B27/022Viewing apparatu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1/00Non-optical adjuncts; Attachment thereof
    • G02C11/10Electronic devices other than hearing ai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1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 G02B6/12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of the integrated circuit kind
    • G02B2006/12133Functions
    • G02B2006/12138Senso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32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binocular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027/0178Eyeglass ty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A head-mounted display terminal with a light shutter is provided to enable users to selectively adjust the amount of incident light when they desire to see images through the head-mounted display terminal. A head-mounted display terminal with a light shutter is composed of a display unit(150), a light shutter(160) and a controller. The display unit is integrated with the glasses of a goggle to display image signals. The light shutter is designed to block the one side of the display unit while adjusting the amount of incident light according to electrical states. The controller adjusts the amount of incident light thrown on the display unit and controls the amount of the light transmitted through the light shutter. The light shutter is contact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display unit in order to cover the display unit. The light shutter consists of a top and bottom electrode, a plurality of microcapsules and internal electrode.

Description

광 셔터를 구비한 두부 탑재형 표시 단말기{Head mounted Display terminal having a light shutter}Head mounted display terminal having a light shutter}

본 발명은 정보 단말기(Information Terminal)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광 셔터(light shutter)를 구비한 두부 탑재형 표시(HMD, Head Mounted Display)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form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head mounted display (HMD) terminal having a light shutter.

통상적으로 휴대용 정보 단말기라는 것은 휴대폰 뿐 아니라 PDA(Personal Data Assistant)와 스마트 폰(Smart Phone)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모두 포함하는 것이다. 이러한 휴대용 정보 단말기는 그 휴대성이 중요한 장점이 된다. In general, a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includes not only a mobile phone but als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PDA (Personal Data Assistant) and a smart phone. Such a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is an important advantage of its portability.

따라서 이러한 휴대용 정보 단말기의 휴대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수많은 방법들이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휴대용 정보 단말기의 휴대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방법 중의 하나로써 현재 주목받고 있는 것은 바로 HMD(Head Mounted Display)를 이용하는 방법이다. HMD라는 것은 일반적으로 가상현실(Virtual Reality) 또는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눈앞에 영상을 펼쳐보이게 하는 영상 장치를 말하는 것으로, 보안경 또는 헬멧의 형태를 가지고 있다. Therefore, a number of methods have emerged to increase the portability of such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s. As one of the methods for increasing the portability of such a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which is currently drawing attention is a method using a head mounted display (HMD). HMD generally refers to an image device that displays an image in front of a user in a virtual reality or augmented reality system, and has a form of a safety glasses or a helmet.

이러한 HMD를 이용하게 되면, 사용자는 단지 모니터와 같은 2차원적인 화면 과 키보드 또는 마우스등과 같은 평면적인 입력 장치를 통해 컴퓨터를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입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는 가상현실 화면에서 원하는 메뉴를 직접 손으로 가리키거나 잡는 등의 움직임을 통해 컴퓨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With this HMD, the user does not just control the computer through a two-dimensional screen such as a monitor and a flat input device such as a keyboard or a mouse, but directly selects a desired menu from a three-dimensional virtual reality screen. Control your computer by pointing or grabbing it with your hands.

이를 위해 두부 탑재형 표시 단말기(이하, "HMD 단말기"로 축약함)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초경량의 마이크로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글라스 형태의 표시부와,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입력 장치, 그리고 이러한 입력 장치의 신호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을 키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센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To this end, the head mounted display terminal (hereinafter, abbreviated as "HMD terminal") includes a glass-type display unit equipped with an ultra-light micro display for displaying an image, an input device capable of detecting a user's movement, and such an input. It may be configured as a sensor for detecting a signal of the device to recognize the user's movement as a key.

두부 탑재형 표시 장치(HMD)는 사람의 눈앞을 완전히 가린 채로 화면을 보여주게 하여, 첫째 외부 환경에 대한 인식을 할 수 없어서 안전에 대한 우려가 있고, 둘째 타인이 보기에 밀폐된 장치를 눈앞에 걸쳐 바보같이 보이는 미관상의 문제가 있었다. 이를 보완하고 또한 휴대성을 강화하기 위해 고글(goggle) 형태이며, 가볍고 얇은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시스루 타입(see-through type)의 HMD 단말기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시스루 타입의 HMD 단말기는 그 고글의 렌즈가 투명하므로 전원이 꺼진 상태에서는 외부가 그대로 보여 마치 선글라스를 착용한 것처럼 보이며, 또한 전원을 켜서 화상 신호(예컨대, 영화나 TV 화면)를 표시하면, 눈앞은 소정 크기의 화상 신호가 표시되고, 화상 신호가 표시되지 않는 그 주변은 투명한 렌즈이므로 주위시야를 확보 할 수 있어 안전상의 문제가 완화된다. The head mounted display device (HMD) allows the user to show the screen completely hidden in front of a person's eyes, so that they cannot recognize the external environment first, which is a safety concern. There was an aesthetic problem that looked silly on. To compensate for this and to enhance portability, a see-through type HMD terminal having a goggle shape and a light and thin display is being developed. The see-through type HMD terminal has a transparent goggle lens, so when the power is turned off, the outside is visible as if wearing sunglasses, and when the power is turned on to display an image signal (eg, a movie or TV screen), Since an image signal of a predetermined size is displayed, and the periphery of which the image signal is not displayed is a transparent lens, the peripheral field of view can be secured and safety problems are alleviated.

그러나 시스루 타입의 HMD 단말기는 주위 시야가 확보되는 만큼, 외부 광에 의해 화상이 흐려 보이게 되므로, 정상적인 화상을 보려면 표시 장치로 입사되는 빛을 완전히 차단하거나, 표시 장치에 고휘도를 구현하여야만 한다. However, as the see-through type HMD terminal secures an ambient view, the image is blurred by external light. Therefore, in order to view a normal image, light that is incident on the display device must be completely blocked or high brightness must be implemented in the display device.

입사되는 빛을 완전히 차단하게 되면, 외부 환경에 대한 인식을 갖기 위해 폐쇄형이 아닌 시스루 타입을 선택하였으나, 화상을 제대로 보기위해 다시 외부 광으로부터 완전 차단해야하는 모순이 있다. 또한, 고휘도를 구현하는 경우, 휴대성이 강조된 HMD에서 전력 소모의 문제가 크고, 게다가 눈에 들어오는 빛의 세기가 커져 눈 건강상의 문제가 발생한다. When the incident light is completely blocked, the see-through type is selected to have a perception of the external environment, but there is a contradiction that it must be completely blocked again from the external light in order to properly see the image. In addition, in the case of implementing high brightness, the problem of power consumption is large in the HMD emphasized portability, and the intensity of light entering the eye is increased, thereby causing eye health problems.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의 목적은 두부 탑재형 표시 단말기를 통해 화상을 보고자 할 때, 선택적으로 입사하는 빛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두부 탑재형 표시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problems is to provide a head mounted display terminal that can selectively adjust the amount of incident light when viewing an image through the head mounted display terminal.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고글 형의 두부 탑재형 표시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고글의 글라스에 일체되며, 화상 신호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의 일면을 차단하도록 설치되며 전기적 상태에 따라 빛의 투과 양을 조절하는 광셔터부; 및 상기 표시부에 입사되는 빛의 양을 조절하도록 상기 광셔터부의 빛의 투과 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 goggle-type head mounted display termina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comprising: a display unit integrated with a glass of the goggles and displaying an image signal; An optical shutter unit installed to block one surface of the display unit and controlling an amount of light transmission according to an electrical state;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an amount of light transmitted through the optical shutter unit to adjust an amount of light incident on the display unit.

상기 두부 탑재형 표시 단말기는, 상기 광셔터부로 입사되는 빛의 양을 감지하는 광센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광센서부가 더 포함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센서부가 감지한 빛의 양에 따라 상기 표시부에 입사되는 빛의 양을 조절하도록 상기 광셔터부의 빛의 투과 양을 제어할 수 있다.The head mounted display terminal further includes an optical sensor unit configured to detect an amount of light incident on the optical shutter unit. When the optical sensor unit is further included,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amount of light transmitted through the optical shutter unit to adjust the amount of light incident on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amount of light detected by the optical sensor unit.

여기서, 상기 광셔터부는 상기 표시부를 가리도록 상기 표시부의 바깥 면에 접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Here, the optical shutter unit is installed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display unit to cover the display unit.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광셔터부는 상호 이격되어 대향하는 상부 및 하부 전극; 상기 상부 및 하부 전극 사이에 형성되며, 내부에 흑색 잉크 미립자 및 투명 유체를 봉인한 다수개의 마이크로캡슐; 및 상기 각 마이크로캡슐을 구분하도록 하부 전극 상에 형성되는 내부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광셔터부는 상기 상부, 하부 및 내부 전극을 양극 또는 음극으로 대전시켜 전기적 인력 또는 반발력에 의해 상기 흑색 잉크 미립자를 이동시킴으로써 빛의 투과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optical shutte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upper and lower electrod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plurality of microcapsules form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electrodes and sealing black ink particles and a transparent fluid therein; And an internal electrode formed on the lower electrode to distinguish each microcapsule. The optical shutter unit charges the upper, lower, and internal electrodes with an anode or a cathode to move the black ink fine particles by electric attraction or repulsion, thereby controlling the amount of light transmitted.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상기 광셔터부는 상호 이격되어 대향하는 상부 및 하부 전극; 및 상기 상부 및 하부 전극 사이에 형성되며, 내부에 원형의 판 및 상기 판에 정렬된 흑색 잉크 미립자를 봉인한 다수개의 마이크로캡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광셔터부는 상기 상부 및 하부 전극을 양극 또는 음극으로 대전시켜 전기적 인력 또는 반발력에 의해 상기 흑색 잉크 미립자를 이동시킴으로써 빛의 투과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optical shutter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face the upper and lower electrodes; And a plurality of microcapsules form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electrodes and sealing the black ink fine particles aligned on the plate and the circular plate therein. The optical shutter unit controls the amount of light transmitted by charging the upper and lower electrodes with an anode or a cathode to move the black ink fine particles by electric attraction or repulsion.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상기 광셔터부는 상호 이격되어 대향하는 상부 및 하부의 유리막; 상기 상부 및 하부의 유리막에 내접하여 형성된 ITO막; 상기 ITO막에 내접하여 형성된 산화실리콘막; 상기 산화실리콘막에 내접하여 형성된 폴리미드막; 및 상기 폴리미드막 사이에 형성되는 콜레스테릭 액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광셔터부는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에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인가한 전압의 크기에 따라 빛의 투과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tical shutter parts may include: upper and lower glass film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 ITO film formed in contact with the upper and lower glass films; A silicon oxide film formed internally in contact with the ITO film; A polyamide film inscribed in contact with the silicon oxide film; A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holesteric liquid crystal formed between the polyamide film. The optical shutter unit may apply a voltage to the cholesteric liquid crystal to adjust the amount of light transmitted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applied voltage.

본 발명에 따르면, 두부 탑재형 표시 단말기의 표시부의 전면을 가리도록 광셔터부를 부착하고, 광셔터부를 통해 표시부에 입사하는 빛의 투과량을 전기적으로 제어하고, 표시부의 외부 빛의 간섭 없이 안정적으로 화상 신호를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두부 탑재형 표시 단말기의 사용을 늘릴 수 있는 이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ptical shutter unit is attached to cover the entire surface of the display unit of the head mounted display terminal, and electrically controls the amount of light incident on the display unit through the optical shutter unit, and the image is stably maintained without interference of external light of the display unit. You can display the signal.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use of the head mounted display terminal can be increased.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nly parts necessary for understanding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nd descriptions of other parts will be omitted so as not to distract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발명은 두부 탑재형 표시 장치(HMD)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모든 휴대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함에 있어서는 편의상 휴대 단말기를 이동통신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head mounted display device (HMD), but may be applied to all portable terminal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mobile terminal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convenience. .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이고 있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무선 통신부(110), 오디오 처리부(120), 입력부(130), 메모리부(140), 표시부(150), 광셔터부(160), 광센서부(170) 및 제어부(1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Referring to FIG. 1,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an audio processor 120, an input unit 130, a memory unit 140, a display unit 150, and an optical shutter unit 160. ), The optical sensor unit 170 and the controller 180 is configured.

무선 통신부(110)는 안테나(ANT)를 통해 기지국과 RF(Radio Frequency) 신호를 송, 수신하는데, 수신되는 신호를 IF(Intermediate Frequency)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로 출력하고, 제어부로부터 입력되는 IF신호를 RF신호로 변환하여 송신한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transmits and receives a radio frequency (RF) signal with a base station through an antenna ANT.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converts the received signal into an intermediate frequency (IF) signal and outputs it to a control unit. Is converted into RF signal and transmitted.

오디오 처리부(120)는 마이크(MIC, mike) 및 스피커(SPK, speaker)를 구비하며, 또한, 오디오 처리부(120)는 코덱(CODEC)과 증폭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코 덱(CODEC)은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PCM(Pulse Code Modulation) 부호화(Encoding)하여 음성 데이터를 제어부(180)에 출력하고 제어부(180)로부터 입력되는 음성데이터를 PCM 복호화(Decoding)하여 증폭부를 통해 스피커(SPK)로 출력한다. 그리고 증폭부는 마이크(MIK)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나 스피커로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증폭하는데, 스피커(SPK)의 음량과 마이크(MIC)의 이득을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조절한다. The audio processor 120 includes a microphone MIC and a speaker, and the audio processor 120 includes a codec and an amplifier. The codec is PCM (Pulse Code Modulation) encoding the voice signal input from the microphone (MIC) to output the voice data to the controller 180 and PCM decoding the voice data input from the controller 180 ( Decoding) and outputs to the speaker (SPK) through the amplifier. The amplifier amplifies the voice signal input from the microphone MIK or the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speaker, and adjusts the volume of the speaker SPK and the gain of the microphone MIC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80.

입력부(130)는 입력을 위한 장치로, 통상적인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와는 달리 파워 온/오프 또는 가상 화면 온/오프와 같이 사용자가 HMD를 통한 가상 화면을 이용한 메뉴 선택으로 실행할 수 없는 몇 가지 키들만을 물리적으로 구비하고, 이외의 키는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여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Input unit 130 is a device for input, unlike the keypad of a typical mobile terminal, such as power on / off or virtual screen on / off, some keys that the user can not execute by menu selection using the virtual screen through the HMD Only physically provided, other keys allow the user's motion to be detected and entered.

메모리부(140)는 ROM(Read Only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로 구성되어 있으며, 휴대 단말기 구동에 필요한 OS, 도는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고, 휴대 단말기 사용시 발생하는 사용자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The memory unit 140 includes a read only memory (ROM), a random access memory (RAM), and a flash memory. The memory unit 140 stores an OS and an application required for driving the portable terminal, and user data generated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used. Etc. It serves to store.

표시부(150)는 HMD(Head Mounted Display)를 구비하고 있으며, HMD에 마이크로 디스플레이를 구비하여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입력되는 화상 신호를 사용자에게 입체적인 화면(가상 화면)으로 표시한다. 이러한 화면 신호를 공급하기 위해 표시부(150)는 광학 엔진(151)을 구비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50 includes a head mounted display (HMD), and includes a micro display in the HMD to display an image signal inpu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80 as a stereoscopic screen (virtual screen) to the user. In order to supply such a screen signal, the display unit 150 may include an optical engine 151.

광셔터부(16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그 전원이 공급되는 온 상태 또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오프 상태가 된다. 온 상태인 경우, 광셔터부(160)는 입 사하는 빛을 차단하여 표시부로 빛이 입사하지 못하도록 한다. 또한, 오프 상태인 경우, 광셔터부(160)는 빛을 투과시켜 표시부로 빛이 입사하도록 한다. 이러한 광셔터부(160)의 동작은 하기에서 좀 더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The optical shutter unit 160 is in an on state in which power is supplied or in an off state in which power is not suppli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80. In the on state, the light shutter unit 160 blocks the incident light to prevent light from entering the display unit. In the off state, the optical shutter unit 160 transmits light to allow light to enter the display unit. The operation of the optical shutter unit 16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광센서부(170)는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로 입사하는 외부의 빛을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이러한 광센서부(170)를 통해 외부의 빛의 입사량을 감지하고, 이에 따라 광셔터부(160)를 제어한다. 즉, 제어부(180)는 빛의 입사량이 기 설정된 임계치 이상이면, 광셔터부(160)를 온 상태로 제어하고, 빛의 입사량이 임계치 미만이면 오프 상태로 제어한다. The optical sensor unit 170 detects external light incident on the display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controller 180 detects an incident amount of external light through the optical sensor unit 170 and controls the optical shutter unit 160 accordingly. That is, the controller 180 controls the optical shutter unit 160 to be in an on state when the amount of incident ligh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threshold and in an off state when the amount of light is less than the threshold.

여기서 제어부(180)는 휴대 단말기의 각 부분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한 화상 신호, 저장부에 기 저장된 화상 신호 등을 표시부(140)를 통해 표시하도록 한다. 여기서, 제어부(180)는 표시부(150)로 입사되는 빛의 투과 양을 조절하도록 광셔터부(160)를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180)는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의 입력 신호를 감지하여, 광셔터부(160)를 제어하거나, 광센서부(170)를 통해 감지한 입사량에 따라 광셔터부(160)를 제어할 수 있다. Herein, the controller 180 controls each part of the portable terminal. In addition, the controller 180 displays the image signal receiv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and the image signal pre-stored in the storage unit through the display unit 140. Herein, the controller 180 controls the optical shutter unit 160 to adjust the amount of light transmitted to the display unit 150. At this time, the controller 180 detects an input signal of the user through the input unit, and controls the optical shutter unit 160 or controls the optical shutter unit 160 according to the incident amount detected by the optical sensor unit 170. can do.

제어부(180)는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으로, 전화 통화나 데이터 통신,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프로토콜에 따라 음성신호 및 데이터를 처리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180)는 베이스 밴드 처리부를 구비하며, 베이스밴드 처리부는 제어부(180)와 무선통신부(210)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BBA(Baseband Analog ASIC)로서, 제어부(180)로부터 인가되는 베이스밴드의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IF신호로 변환 하여 무선통신부(110)에 인가하며, 무선통신부(110)로부터 인가되는 아날로그 IF신호를 베이스밴드의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80)에 인가한다. The controller 180 is a func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processes voice signals and data according to a protocol for a telephone call, data communication, and wireless Internet connection. To this end, the controller 180 is provided with a baseband processor, the baseband processor is a baseband analog ASIC (BBA) that provides an interface between the controller 18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the base applied from the controller 180 The digital signal of the band is converted into an analog IF signal and appli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and the analog IF signal appli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is converted into a digital signal of the baseband and applied to the controller 180.

또한 도시되진 않았으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메모리 카드와 같은 외부 저장 매체를 삽입하여 데이터 저장을 가능토록 하는 저장매체 삽입부, 외부 디지털 기기와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연결 단자, 충전용 단자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는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방송 신호 수신 모듈, 디지털 음원 재생을 위한 MP3 모듈 등의 부가 기능을 갖는 유닛들을 선택적으로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orage medium inserting unit for inserting an external storage medium such as a memory card to store data, a connection terminal for exchanging data with an external digital device, and a charging unit. The terminal may be provided. 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units having additional functions, such as a broadcast signal receiving module for receiving digital broadcast, an MP3 module for digital sound source reproduction.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휴대 기기의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상기 언급된 유닛들과 동등한 수준의 유닛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 추가로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은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ccording to the convergence trend of digital devices, the variations of mobile devices are very diverse and cannot be enumerated. However, a unit equivalent to the above-mentioned units may be further included in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easi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HMD 단말기의 모습을 보이고 있는 도면이다. 2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the HMD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고글(Goggle) 형태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도 1에서 보인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블록 구성도를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부(150)는 도 2의 글라스(glass) 부분이 된다. 즉, 표시부(150)는 글라스 부분에 일체된다. 표시부(150)는 마이크로 디스플레이를 구비하여 화면을 표시한다. 이때, 화면의 표시는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안쪽으로 표시된다. Referring to Figure 2 it can be seen that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goggle (Goggle) form. Referring to the block diagram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 the display unit 15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ecomes a glass portion of FIG. 2. That is, the display unit 150 is integrated into the glass portion. The display unit 150 includes a micro display to display a screen. At this time, the display of the screen is displayed inward for the user to see.

또한,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부(150)는 고글의 테 부분에 광학 엔진(151)을 장착하여 화상 신호를 만들고, 글라스 내에 얇은 광도파로로 화상 신호를 전달한다. 이때, 상기 화상 신호는 DOE(Diffractive optical element) 기술 및 홀로그램 기술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함이 바람직하다. 화상 신호는 글라스에서 반사 또는 굴절되어 사용자에게 인식되도록 한다. 또한, 표시부(150)를 가리도록 표시부(150)의 바깥 면에 접하여 광셔터부(160)가 설치된다. 또한, 광센서부(170)는 글라스의 테 부분 어느 곳이라도 설치될 수 있으나, 광셔터부(160)로 입사하는 빛을 감지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as shown, the display unit 150 mounts the optical engine 151 on the frame of the goggles to produce an image signal, and transmits the image signal to a thin optical waveguide in the glass.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image signal uses any one of a diffractive optical element (DOE) technology and a hologram technology. The image signal is reflected or refracted in the glass to be recognized by the user. In addition, the optical shutter unit 160 is installed to contact the outer surface of the display unit 150 so as to cover the display unit 150. In addition, the optical sensor unit 170 may be installed anywhere in the frame portion of the glass, but is preferably installed at a position capable of detecting light incident to the optical shutter unit 160.

그리고 도 1에서 보인 무선 통신부(110), 오디오처리부(120), 입력부(130), 메모리부(140), 광센서부(170)는 도 2에서 보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글라스의 테 부분에 위치한다. In addi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the audio processing unit 120, the input unit 130, the memory unit 140, and the optical sensor unit 170 shown in FIG. 1 are formed on the rim portion of the glas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Located.

이때, 도 1에서 보인 무선 통신부(110), 오디오처리부(120), 입력부(130), 메모리부(140), 광센서부(170)는 도 2에서 보이고 있는 고글의 테 부분, 즉, 우측 테와 우측 걸이, 좌측 테, 그리고 좌측 걸이 부분에 각각 나뉘어 내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와 키입력부(130)가 우측 걸이 부분에 내장되고, 우측 테 부분에 무선 통신부(110)가 내장될 수도 있다. 또한 좌측 걸이 부분에 메모리부(140)가 내장되고, 좌측 테 부분에 광센서부(170)를 구비할 수도 있다. At this time,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the audio processing unit 120, the input unit 130, the memory unit 140, the optical sensor unit 170 shown in FIG. And on the right hook, left rim, and left hook. For example, the controller 180 and the key input unit 130 may be embedded in the right hook portion,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be embedded in the right frame portion. In addition, the memory unit 140 may be built in the left hook portion, and the optical sensor unit 170 may be provided in the left frame portion.

그러나 이러한 위치는 얼마든지 편의상 또는 다른 이유로 바뀔 수 있음이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광센서부(170)가 하나뿐이나, 광셔터부로 입사하는 빛의 양을 감지하는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다수의 광센서부(170)를 구비할 수도 있음 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이 도 2에서 보이고 있는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음은 당연하다. However, of course, this position can be changed for convenience or other reasons.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only one optical sensor unit 170, of course,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optical sensor unit 170 to increase the accuracy of detecting the amount of light incident to the optical shutter unit. Therefore,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 shown in FIG.

상기한 광셔터부(16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온(ON)되거나 오프(OFF)된다. 이러한 광셔터부(160)의 동작을 살펴보기로 한다. The optical shutter unit 160 is turned on or off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80. The operation of the optical shutter unit 160 will be described.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셔터부(16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3a 및 도 3b는 도 2에서 보인 휴대 단말기의 A-A'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이때, 도 3a는 광셔터부(160)가 오프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b는 광셔터부(160)가 온 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3A and 3B are diagrams for describing an operation of the optical shutter unit 16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and 3B show cross-sectional views of A-A 'of the mobile terminal shown in FIG. 3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se where the optical shutter unit 160 is turned off, and FIG. 3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se where the optical shutter unit 160 is turned on.

도 3a를 참조하면, 광셔터부(160)가 오프(off)되면, 빛은 광셔터부(160) 및 표시부(150)를 투과하여 사용자의 눈으로 입사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표시부(150) 및 광셔터부(160) 외부의 풍경을 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A, when the optical shutter unit 160 is turned off, light passes through the optical shutter unit 160 and the display unit 150 and enters the user's eyes. Accordingly, the user can see the scenery outside the display unit 150 and the optical shutter unit 160.

도 3b를 참조하면, 광셔터부(160)가 온 되면, 빛은 광셔터부(160)를 투과하지 못한다. 이때, 표시부(150)에는 광학 엔진(151)으로부터 화상 신호가 입력되며, 사용자는 표시부(150)에 표시된 화상 신호를 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B, when the optical shutter unit 160 is turned on, light does not pass through the optical shutter unit 160. In this case, an image signal is input from the optical engine 151 to the display unit 150, and the user may see the image signal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0.

그러면, 상술한 바와 같은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광셔터부(160)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종이 방식의 광셔터부(160)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Next, the optical shutter unit 160 for executing the func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optical paper type shutter unit 16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셔터부(160)는 상호 이격되어 대향하는 상부 및 하부 전극(401 및 403)과, 상부 및 하부 전극(401, 403) 사이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마이크로캡슐(405) 및 각 마이크로캡슐(405)을 구분하도록 하부 전극(403) 상에 형성되는 내부 전극(40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마이크로캡슐(405) 내부에 봉입된 흑색 잉크 미립자(409) 및 투명 유체(411)를 더 포함한다. As shown, the optical shutter unit 16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lurality of upper and lower electrodes 401 and 403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form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electrodes (401, 403) And an internal electrode 407 formed on the lower electrode 403 to distinguish the microcapsules 405 and each microcapsule 405. In addition, the microcapsules further include black ink particles 409 and transparent fluid 411 encapsulated in the inside.

여기서, 상부 및 하부 전극(401, 403)은 판형이며, 하부 전극(403)은 다수개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하부 전극(403)은 각각 마이크로캡슐(405) 및 내부 전극(407)에 대응하여 위치하거나, 두 개가 하나의 마이크로캡슐(405)에 대응하여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 전극(407)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Here, the upper and lower electrodes 401 and 403 are plate-shaped, the lower electrode 403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In addition, the lower electrodes 403 may be locat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microcapsules 405 and the internal electrodes 407, respectively, or two may be locat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microcapsules 405. In addition, the internal electrode 407 may be selectively formed and used as necessary.

상부, 하부 및 내부 전극(401, 403, 409)은 빛의 투과가 자유로운 투명 전극이며,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양극(+) 또는 음극(-)으로 대전된다. 각 마이크로캡슐(405)은 하나의 화소를 나타내며, 각 마이크로캡슐(405) 내부에는 다수개의 흑색 잉크 미립자(409) 및 투명 유체(411)를 포함한다. 흑색 잉크 미립자(409)는 불투명하며 음전하(-)를 가진다. 또한, 투명 유체(411)는 빛의 투과가 자유로운 유체이다. 흑색 잉크 미립자(409) 및 투명 유체(411)는 비중이 거의 동일하여 그 위치가 정렬이 되면 안정적으로 정렬 상태를 유지한다. The upper, lower, and inner electrodes 401, 403, and 409 are transparent electrodes free of light, and are charged to the positive electrode (+) or the negative electrode (−)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80. Each microcapsule 405 represents one pixel, and each microcapsule 405 includes a plurality of black ink fine particles 409 and a transparent fluid 411. The black ink fine particles 409 are opaque and have a negative charge (−). In addition, the transparent fluid 411 is a fluid free of light transmission. The black ink fine particles 409 and the transparent fluid 411 have almost the same specific gravity so that their alignment is stably maintained when the positions thereof are aligned.

따라서 음전하(-)를 가지는 흑색 잉크 미립자(409)는 상기 각 전극들(401, 403, 407)의 대전 상태에 따라 인력 또는 반발력에 의해 이동한다. Therefore, the black ink fine particles 409 having negative charges (-) move by attraction or repulsive force depending on the state of charge of the electrodes 401, 403, 407.

그러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셔터부(160)의 동작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5a 및 도 5b는 상기 도 4에서 설명한 광셔터부(16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 하부 전극(403)은 다수개로 구분되며, 각각 마이크로캡 슐(405) 및 내부 전극(407)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구조이다. Then, the operation of the optical shutter unit 16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5A and 5B are diagrams for describing an operation of the optical shutter unit 16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Here, the lower electrode 403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tructures, each having a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microcapsules 405 and the internal electrode 407.

도 5a에 온 상태의 광셔터부(160)를 도시하였다. 도시한 바와 같이, 온 상태에서 하부 전극(403)은 양극(+)으로 대전되고, 상부 전극(401)은 음극(-)으로 대전된다. 그러면, 마이크로캡슐(405) 내부의 흑색 잉크 미립자(409)는 음극(-)을 가지므로, 흑색 잉크 미립자(409)는 하부 전극(403)의 전기적 인력에 의해 마이크로캡슐(405) 내에서 하부로 끌려온다. 이에 따라, 흑색 잉크 미립자(409)는 입사하는 빛의 투과를 막는다. An optical shutter unit 160 in an on state is illustrated in FIG. 5A. As shown, in the on state, the lower electrode 403 is charged with the positive electrode (+), and the upper electrode 401 is charged with the negative electrode (−). Then, since the black ink fine particles 409 inside the microcapsules 405 have a negative electrode (-), the black ink fine particles 409 are lowered in the microcapsules 405 by the electric attraction of the lower electrode 403. Attracted. As a result, the black ink fine particles 409 prevent transmission of incident light.

도 5b에 오프 상태의 광셔터부(160)를 도시하였다. 도시한 바와 같이, 오프 상태에서 마이크로캡슐(405)에 대응하도록 배치되는 하부 전극(403)은 음극(-)으로 대전되고, 마이크로캡슐(405)의 양쪽에 배열되는 내부 전극(407)은 양극(+)으로 대전된다. 그러면, 흑색 잉크 미립자(409)와 하부 전극(403)간에는 반발력이 생기고, 내부 전극(407)과 흑색 잉크 미립자(409)간에는 인력이 생긴다. 5B shows the optical shutter unit 160 in an off state. As shown, the lower electrode 403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microcapsules 405 in the off state is charged to the negative electrode (-), and the internal electrodes 407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microcapsules 405 are positive ( +) Is charged. As a result, a repulsion force is generated between the black ink fine particles 409 and the lower electrode 403, and an attractive force is generated between the internal electrode 407 and the black ink fine particles 409.

흑색 잉크 미립자(409)는 인력 및 반발력에 의해 내부 전극(407)이 위치한 양쪽 방향으로 끌려가고, 이에 따라, 흑색 잉크 미립자(409)는 상부 전극(401)과 하부 전극 간에 빛이 자유롭게 투과되도록, 마이크로캡슐(405)의 종단을 개방한다. The black ink fine particles 409 are attracted in both directions in which the internal electrodes 407 are located by the attraction force and the repulsive force, so that the black ink fine particles 409 freely transmit the light between the upper electrode 401 and the lower electrode. Open the end of the microcapsules 405.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광셔터부(160)의 동작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6a 및 도 6b는 상기 도 4에서 설명한 광셔터부(16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 하부 전극(403)은 다수개로 구분되며, 하부 전극 두 개가 하나의 마이크로캡슐(405)에 대응하여 위치한다. Next, the operation of the optical shutter unit 16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6A and 6B are diagrams for describing an operation of the optical shutter unit 16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Here, the lower electrode 403 is divided into a plurality, and two lower electrodes are positioned corresponding to one microcapsule 405.

도 6a에 온 상태의 광셔터부(160)를 도시하였다. 도 5a에서 설명한 바와 같 이, 온 상태에서 하부 전극(403)은 양극(+)으로 대전되고, 상부 전극(401)은 음극(-)으로 대전된다. 그러면, 마이크로캡슐(405) 내부의 흑색 잉크 미립자(409)는 음극(-)을 가지므로, 흑색 잉크 미립자(409)는 하부 전극(403)의 전기적 인력에 의해 마이크로캡슐(405) 내에서 하부로 끌려온다. 이에 따라, 흑색 잉크 미립자(409)는 입사하는 빛의 투과를 막는다. 6A illustrates the optical shutter unit 160 in an on state.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A, in the on state, the lower electrode 403 is charged with the positive electrode (+), and the upper electrode 401 is charged with the negative electrode (−). Then, since the black ink fine particles 409 inside the microcapsules 405 have a negative electrode (-), the black ink fine particles 409 are lowered in the microcapsules 405 by the electric attraction of the lower electrode 403. Attracted. As a result, the black ink fine particles 409 prevent transmission of incident light.

도 6b에 오프 상태의 광셔터부(160)를 도시하였다. 도시한 바와 같이, 오프 상태에서 하부 전극(403)은 두 세트씩 양극(+) 및 음극(-)으로 번갈아가며 대전된다. 내부 전극(407)은 가장 가까이에 위치한 하부 전극(403)과 같은 극성으로 대전된다. 6B illustrates the optical shutter unit 160 in an off state. As shown, in the off state, the lower electrode 403 is charged alternately to the positive electrode (+) and the negative electrode (−) in two sets. The internal electrode 407 is charged with the same polarity as the lower electrode 403 located closest to it.

그러면, 흑색 잉크 미립자(409)는 인력 및 반발력에 의해 양극(+)으로 대전된 내부 전극(407)이 위치한 양쪽 방향으로 끌려가고, 이에 따라, 흑색 잉크 미립자(409)는 상부 전극(401)과 하부 전극 간에 빛이 자유롭게 투과되도록, 마이크로캡슐(405)의 오른편 또는 왼편을 개방한다. 이는 도 5b를 참조로 하는 실시 예보다 좀 더 넓은 면을 개방하는 효과가 있다. Then, the black ink fine particles 409 are attracted in both directions in which the internal electrode 407 charged to the positive electrode (+) is attracted by the attraction force and the repulsive force, so that the black ink fine particles 409 are connected to the upper electrode 401. The right or left side of the microcapsules 405 is opened to allow light to pass freely between the lower electrodes. This has the effect of opening a wider surface than the embodiment with reference to Figure 5b.

다음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광셔터부(160)의 동작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셔터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도 7a 및 도 7b에 보인 광셔터부(160)는 상기 도 4에서 설명한 광셔터부(160)에서 내부 전극(407)이 생략된 형태이며, 마이크로캡슐(405) 내부의 흑색 잉크 미립자(409)는 원형의 판(413)에 정렬된 형태이다. Next, the operation of the optical shutter unit 16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7A and 7B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optical shutter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A and 7B is a form in which the internal electrode 407 is omitted from the optical shutter unit 16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and black ink fine particles 409 in the microcapsule 405. ) Is aligned to the circular plate 413.

도 7a에 온 상태의 광셔터부(160)를 도시하였다. 도시한 바와 같이, 온 상태 에서 상부 및 하부 전극(401, 403)은 음극(-)으로 대전된다. 그러면, 마이크로캡슐(405) 내부의 흑색 잉크 미립자(409)는 음극(-)을 가지므로, 반발력에 의해 횡으로 배열된다. 이에 따라, 흑색 잉크 미립자(409)는 입사하는 빛의 투과를 막는다. 7A illustrates the optical shutter unit 160 in an on state. As shown, in the on state, the upper and lower electrodes 401 and 403 are charged with a negative electrode (-). Then, since the black ink fine particles 409 in the microcapsules 405 have a negative electrode (-), they are arranged laterally by the repulsive force. As a result, the black ink fine particles 409 prevent transmission of incident light.

도 7b에 오프 상태의 광셔터부(160)를 도시하였다. 도시한 바와 같이, 오프 상태에서 상부 및 하부 전극(401, 403)은 양극(+)으로 대전된다. 그러면, 마이크로캡슐(405) 내부의 흑색 잉크 미립자(409)는 음극(-)을 가지므로, 인력에 의해 종으로 배열된다. 이에 따라, 흑색 잉크 미립자(409)는 입사하는 빛의 투과를 자유롭게 한다. 7B shows the optical shutter unit 160 in an off state. As shown, in the off state, the upper and lower electrodes 401 and 403 are charged to the positive electrode (+). Then, since the black ink fine particles 409 in the microcapsules 405 have a negative electrode (-), they are vertically arranged by attraction. As a result, the black ink fine particles 409 freely transmit the incident light.

상기한 실시 예 외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셔터부(160)는 콜레스테릭 액정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콜레테릭 액정을 이용한 광셔터부(16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optical shutter unit 16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using a cholesteric liquid crystal. 8 is a view for explaining an optical shutter unit 160 using a cholesteric liquid cryst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셔터부(160)는, 상호 이격되어 대향하는 상부 및 하부의 유리막(801)과, 상기 상부 및 하부의 유리막(801)에 내접하여 형성된 ITO막(803)과, 상기 ITO막(803)에 내접하여 형성된 산화실리콘(SiO2)막(805)과, 상기 산화실리콘막(805)에 내접하여 형성된 폴리미드(Polymide)막(807)과 상기 폴리미드막(807) 사이에 형성되는 콜레스테릭 액정(809)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Referring to FIG. 8, the optical shutter unit 16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by integrating the upper and lower glass layers 801 and the upper and lower glass layers 801 which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film 803, a silicon oxide (SiO 2) film 805 formed in an indirect contact with the ITO film 803, a polyimide film 807 formed by in contact with the silicon oxide film 805, and the poly The cholesteric liquid crystal 809 formed between the mid film 807 is comprised.

콜레스테릭 액정은 전압에 따라 반사율이 변하며, 투명 또는 반투명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제어부(180)는 제어 신호(전압의 크기)를 통해 광셔터부(160)의 투명 또는 반투명 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The cholesteric liquid crystals have reflectance changes with voltage, and remain transparent or translucent. Accordingly, the controller 180 may adjust the transparent or translucent state of the optical shutter unit 160 through a control signal (voltage magnitude).

상기에서는 다양한 광셔터부(160)의 예들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광셔터부(160)는 표시부(150)에 화상 신호가 표시되는 경우, 외부로부터 표시부(150)로 입사하는 빛의 투과량을 조절한다. 따라서, 표시부(150)는 외부의 빛의 간섭 없이 화상 신호를 표시할 수 있다. In the above, examples of various optical shutter units 160 have been described. When the image signal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0, the optical shutter unit 160 adjusts the amount of light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to the display unit 150. Accordingly, the display unit 150 may display an image signal without interference of external light.

또한, 광셔터부(160)는 사용자의 입력 신호에 따라 그 빛의 투과량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광셔터부(160)의 투과량 조절은 광센서부(170)가 감지한 빛의 양에 따라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광센서부(170)를 통해 입사하는 빛의 양을 감지하고, 그 빛의 양에 따라 광셔터부(160)를 제어하여 광셔터부(160)를 투과하는 빛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ptical shutter unit 160 may adjust the amount of light transmitted according to the user's input signal. In addition, the transmission amount control of the optical shutter unit 160 may be automatically adjust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light detected by the optical sensor unit 170. That is, the controller 180 detects the amount of light incident through the optical sensor unit 170, and controls the optical shutter unit 160 according to the amount of light, thereby controlling the amount of light passing through the optical shutter unit 160. You can adjust the amount.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specific embodiments,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not only by the claims below, but also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이고 있는 도면. 1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HMD 단말기의 모습을 보이고 있는 도면. 2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the HMD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셔터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3a and 3b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optical shutte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종이 방식의 광셔터부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4 is a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optical paper shutter unit of an electronic paper ty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 및 도 5b는 상기 도 4에서 설명한 광셔터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5A and 5B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optical shutter uni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6a 및 도 6b는 상기 도 4에서 설명한 광셔터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6A and 6B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optical shutter uni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셔터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7a and 7b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optical shutte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콜레테릭 액정을 이용한 광셔터부(16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8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tical shutter unit 160 using a cholesteric liquid cryst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0)

고글 형의 두부 탑재형 표시 단말기에 있어서, In the goggle-type head mounted display terminal, 상기 고글의 글라스에 일체되며, 화상 신호를 표시하는 표시부; A display unit integrated with the glass of the goggles and displaying an image signal; 상기 표시부의 일면을 차단하도록 설치되며 전기적 상태에 따라 빛의 투과 양을 조절하는 광셔터부; 및 An optical shutter unit installed to block one surface of the display unit and controlling an amount of light transmission according to an electrical state; And 상기 표시부에 입사되는 빛의 양을 조절하도록 상기 광셔터부의 빛의 투과 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셔터를 구비한 두부 탑재형 표시 단말기.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the amount of light transmitted to the optical shutter unit to adjust the amount of light incident on the display unit. 청구항 1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광셔터부는 The optical shutter unit 상기 표시부를 가리도록 상기 표시부의 바깥 면에 접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 탑재형 표시 단말기. A head-mounted display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display portion to cover the display por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광셔터부는 The optical shutter unit 상호 이격되어 대향하는 상부 및 하부 전극; Upper and lower electrod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상기 상부 및 하부 전극 사이에 형성되며, 내부에 흑색 잉크 미립자 및 투명 유체를 봉인한 다수개의 마이크로캡슐; 및 A plurality of microcapsules form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electrodes and sealing black ink particles and a transparent fluid therein; And 상기 각 마이크로캡슐을 구분하도록 하부 전극 상에 형성되는 내부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 탑재형 표시 단말기. And an internal electrode formed on a lower electrode so as to distinguish each of the microcapsules. 상기 광셔터부는 The optical shutter unit 상기 상부, 하부 및 내부 전극을 양극 또는 음극으로 대전시켜 전기적 인력 또는 반발력에 의해 상기 흑색 잉크 미립자를 이동시킴으로써 빛의 투과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 탑재형 표시 단말기. The upper, lower and internal electrodes are charged with a positive electrode or a negative electrode to move the black ink fine particles by electric attraction or repulsive force to control the amount of light transmitted. 청구항 1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광셔터부는 The optical shutter unit 상호 이격되어 대향하는 상부 및 하부 전극; 및 Upper and lower electrod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상기 상부 및 하부 전극 사이에 형성되며, 내부에 원형의 판 및 상기 판에 정렬된 흑색 잉크 미립자를 봉인한 다수개의 마이크로캡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 탑재형 표시 단말기. And a plurality of microcapsules form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electrodes and sealing black ink fine particles arranged in the circular plate and the plate therein. 청구항 3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상기 광셔터부는 The optical shutter unit 상기 상부 및 하부 전극을 양극 또는 음극으로 대전시켜 전기적 인력 또는 반발력에 의해 상기 흑색 잉크 미립자를 이동시킴으로써 빛의 투과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 탑재형 표시 단말기. A charge-mounted display terminal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pper and lower electrodes are charged with a positive electrode or a negative electrode to move the black ink fine particles by electric attraction or repulsion to adjust the amount of light transmitted. 청구항 1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광셔터부는 The optical shutter unit 상호 이격되어 대향하는 상부 및 하부의 유리막; Upper and lower glass film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상기 상부 및 하부의 유리막에 내접하여 형성된 ITO막; An ITO film formed in contact with the upper and lower glass films; 상기 ITO막에 내접하여 형성된 산화실리콘막; A silicon oxide film formed internally in contact with the ITO film; 상기 산화실리콘막에 내접하여 형성된 폴리미드막; 및 A polyamide film inscribed in contact with the silicon oxide film; And 상기 폴리미드막 사이에 형성되는 콜레스테릭 액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 탑재형 표시 단말기. A head mounted display terminal comprising a cholesteric liquid crystal formed between the polyamide film. 청구항 7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상기 광셔터부는 The optical shutter unit 상기 콜레스테릭 액정에 전압을 인가하여 Voltage is applied to the cholesteric liquid crystal 상기 인가한 전압의 크기에 따라 빛의 투과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 탑재형 표시 단말기. A head mounted display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light transmitted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applied voltage. 청구항 1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광셔터부로 입사되는 빛의 양을 감지하는 광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 탑재형 표시 단말기. The head mounted display terminal further comprises an optical sensor unit for sensing an amount of light incident to the optical shutter unit. 청구항 9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상기 제어부는 The control unit 상기 광센서부가 감지한 빛의 양에 따라 상기 표시부에 입사되는 빛의 양을 조절하도록 상기 광셔터부의 빛의 투과 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 탑재형 표시 단말기. The head mounted display terminal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mount of light transmitted through the optical shutter unit is controlled to adjust the amount of light incident on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amount of light sensed by the optical sensor unit.
KR1020070133643A 2007-12-18 2007-12-18 Head mounted Display terminal having a light shutter KR10136795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3643A KR101367958B1 (en) 2007-12-18 2007-12-18 Head mounted Display terminal having a light shut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3643A KR101367958B1 (en) 2007-12-18 2007-12-18 Head mounted Display terminal having a light shut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6042A true KR20090066042A (en) 2009-06-23
KR101367958B1 KR101367958B1 (en) 2014-02-26

Family

ID=40994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3643A KR101367958B1 (en) 2007-12-18 2007-12-18 Head mounted Display terminal having a light shut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7958B1 (en)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3620B1 (en) * 2011-11-24 2013-06-11 주식회사 한국 오.지.케이 Depending on ambient illumination which automatically adjust transmittance of lens Goggles
CN103383491A (en) * 2013-07-03 2013-11-06 成都理想境界科技有限公司 See-through rate adjustable head mounted display device
KR101385681B1 (en) * 2012-11-08 2014-04-15 삼성전자 주식회사 Head-mount type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5099216A1 (en) * 2013-12-24 2015-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Head-mounte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WO2017086542A1 (en) * 2015-11-16 2017-05-26 주식회사 스포컴 Functional electrochromic eyewear
US9898995B2 (en) 2013-11-18 2018-02-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Head-mounte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hanging light transmittance of the same
US10001647B2 (en) 2012-10-24 2018-06-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providing virtual image to user in head-mounted display device, machine-readable storage medium, and head-mounted display device
CN109387989A (en) * 2017-08-09 2019-02-26 虹彩光电股份有限公司 The wearable vision attemperation apparatus in hea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6061B1 (en) * 2016-04-18 2023-04-2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Apparatus for electrically adjusting quantity of light, camera module including the apparatus, and the mobile device including the modul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77366B2 (en) 1997-01-20 2007-02-0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Head mounted display device for vehicle
US6456438B1 (en) 1999-08-12 2002-09-24 Honeywell Inc. Variable immersion vignetting display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3620B1 (en) * 2011-11-24 2013-06-11 주식회사 한국 오.지.케이 Depending on ambient illumination which automatically adjust transmittance of lens Goggles
US10001647B2 (en) 2012-10-24 2018-06-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providing virtual image to user in head-mounted display device, machine-readable storage medium, and head-mounted display device
US10775623B2 (en) 2012-10-24 2020-09-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providing virtual image to user in head-mounted display device, machine-readable storage medium, and head-mounted display device
KR101385681B1 (en) * 2012-11-08 2014-04-15 삼성전자 주식회사 Head-mount type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4073766A1 (en) * 2012-11-08 2014-05-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Head-mounte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3383491A (en) * 2013-07-03 2013-11-06 成都理想境界科技有限公司 See-through rate adjustable head mounted display device
US9898995B2 (en) 2013-11-18 2018-02-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Head-mounte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hanging light transmittance of the same
US10242639B2 (en) 2013-11-18 2019-03-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Head-mounte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hanging light transmittance of the same
US10714047B2 (en) 2013-11-18 2020-07-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Head-mounte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hanging light transmittance of the same
WO2015099216A1 (en) * 2013-12-24 2015-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Head-mounte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WO2017086542A1 (en) * 2015-11-16 2017-05-26 주식회사 스포컴 Functional electrochromic eyewear
CN109387989A (en) * 2017-08-09 2019-02-26 虹彩光电股份有限公司 The wearable vision attemperation apparatus in hea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7958B1 (en) 2014-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7958B1 (en) Head mounted Display terminal having a light shutter
US10146261B2 (en) Wearable apparatus having a flexible electrophoretic display
EP2795888B1 (en) Head-mounted display
US9766462B1 (en) Controlling display layers of a head-mounted display (HMD) system
US10338389B2 (en) Head mounted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image and method thereof
JP6035415B2 (en) Wearable device with input and output structure
JP6158317B2 (en) Glasses adapter
TWI598634B (en) Head mounted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image and method thereof
KR102320737B1 (en) Head mounted electronic device
US20160004103A1 (en) Electronic ornamentation for eyewear
US20150009309A1 (en) Optical Frame for Glasses and the Like with Built-In Camera and Special Actuator Feature
CN114450626A (en) Eye-worn device battery equipped with phase change material for temperature adjustment
CN110764301A (en) Electronic device
CN105700267B (en) Electro-optical device and wearable electronic device
EP2595394B1 (en) Stereoscopic display device and mobile device having the same
KR20150131577A (en) Glass Type Terminal
CN113741069B (en) Visual angle controllable module, visual angle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equipment
US20220163806A1 (en) Eyeglass device with touch sensor and method of use
US10180769B1 (en) Symbol display
KR20150141083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0943959B1 (en) Display device with a light modulating layer
CN113740997A (en) Lens assembly, camera module and electronic equipment
KR20120016390A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 system withliquid crystal glasses
JP2011180338A (en) Peeping preventing device
US20220365370A1 (en) Eyewear electrochromic lens with multiple tint reg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