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5749A - Hearing aid and method for audiometry thereof - Google Patents

Hearing aid and method for audiometry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5749A
KR20090065749A KR1020070133220A KR20070133220A KR20090065749A KR 20090065749 A KR20090065749 A KR 20090065749A KR 1020070133220 A KR1020070133220 A KR 1020070133220A KR 20070133220 A KR20070133220 A KR 20070133220A KR 20090065749 A KR20090065749 A KR 200900657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ource
hearing
sound
hearing aid
measur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32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승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오사운드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오사운드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오사운드랩
Priority to KR10200701332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65749A/en
Publication of KR20090065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574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30Monitoring or testing of hearing aids, e.g. functioning, settings, battery power
    • H04R25/305Self-monitoring or self-tes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70Adaptation of deaf aid to hearing loss, e.g. initial electronic fi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25/00Details of deaf aids covered by H04R25/00,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25/43Signal processing in hearing aids to enhance the speech intelligibilit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A hearing aid and a method for audiometry thereof are provided to obtain a correcting result of an optimized hearing aid by finding a sound source suitable for a measured hearing ability property. A sound source part(403) provides a reference sound for measuring a sound source and hearing. The reference sound for measuring of the sound source part is used based on a frequency band feature. A part of 500Hz~2KHz having high sound energy is used as the sound source. A control part(405) outputs a signal-processed sound source. The control part performs a hearing correction based on a measured result. The control part outputs the signal-processed sound source to a receiver by reflecting a correcting value. A calculation amplification and signal processing part(404) amplifies the sound source provided in the sound source part. The calculation amplification and signal processing part performs a signal processing according to the correcting value outputted from the control part.

Description

보청기 및 그 청력 측정 방법{Hearing aid and Method for audiometry thereof}Hearing aids and hearing methods for hearing

본 발명은 보청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청력 검사에 있어서 각 청력별로 보정 처리된 기준 음원을 사용하여 실제 생활과 근접한 검사자의 청력을 찾아내고 이를 바탕으로 검사자에 적합한 보청기 보정치를 계산하도록 하는 보청기 및 그 청력 측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ring aid, and more particularly, in a hearing test, using a reference sound source corrected for each hearing to find a hearing person's hearing close to real life, and based on this, a hearing aid to calculate a hearing aid correction value suitable for the examiner. And a hearing measuring method thereof.

일반적으로 청력 검사를 하기 위하여 이비인후과 또는 보청기 전문점을 방문하여 많은 시간을 소요되고, 검사시 순음(pure tone) 또는 복합음(band tone)을 사용하여 검사자의 조작에 의하여 특정 주파수 대역을 선정한 후 검사음의 강도를 수동으로 조절하여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의 청력을 결정하고, 다음 단계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선정하여 그 대역에서의 청력을 측정하는 일을 되풀이하게 되는데 순음을 이용한 결과로 보청기를 보정하면 실제 상황에서의 청력 손실보다 과도한 이득으로 보정되기 때문에 보청기 사용자들에게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In general, it takes a lot of time to visit an otorhinolaryngology or hearing aid specialist to perform the hearing test, select a specific frequency band by the tester's operation using a pure tone or a band tone during the test By manually adjusting the intensity, the hearing in a specific frequency band is determined, and the next step is to select another frequency band and measure the hearing in that band. There is a problem that causes inconvenience to hearing aid users because it is corrected by excessive gain than hearing loss.

또한, 종래에는 측정한 결과를 바탕으로 보정한 결과를 확인하는 과정이 충분치 않아 추가 보정에 의하여 만족한 결과를 얻는데 수 주일 또는 수개월이 소요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예로서, 6개 또는 그 이상의 주파수 대역의 순음(pure tone) 또는 복합음(band tone)을 사용하여 검사자의 조작에 의하여 특정 주파수 대역을 선정한 후 검사음의 강도를 수동으로 조절하여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의 청력을 결정하고, 다음 단계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선정하여 그 대역에서의 청력을 측정하는 일을 되풀이 한다. 측정된 결과를 바탕으로 Lybarger가 제안한 1/2 보정법, FIG 6. 보정법, IHAFF 보정법, 압축역치 보정법, 최대출력 보정법 등을 사용하여 이득(gain)과 역동범위(dynamic range)를 조정하여 보청기를 보정 하였다. In addition, conventionally, the process of confirming the result of the correction based on the measured result is not enough, there is inconvenience in that it takes several weeks or months to obtain a satisfactory result by additional correction. For example, using a pure tone or a band tone of six or more frequency bands, a specific frequency band is selected by a tester's operation, and then the intensity of the test sound is manually adjusted to perform a specific frequency band. Determining your hearing, the next step is to select another frequency band and measure your hearing in that band. Based on the measured results, gain and dynamic range are calculated using Lybarger's proposed 1/2 correction method, FIG 6. correction method, IHAFF correction method, compression threshold correction method, and maximum output correction method. Hearing aid was calibrated by adjusting.

종래의 청각 능력 측정 방법은 검사자의 주파수 선택과정, 검사음 제시과정, 피 측정자의 정신 집중도 등에 따라 검사 결과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고, 청력 검사시 순음을 사용하면 복합음을 이용 할 때보다 청력 손실이 크게 나타난다. In the conventional method of measuring hearing ability, test results may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frequency selection process, test sound presentation process, and mental concentration of the test subject. appear.

도 1은 일반적인 보청기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general hearing aid.

종래의 보청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이크(101), 신호처리기(102), 리시버(103)로 구성되어 진다. A conventional hearing aid is composed of a microphone 101, a signal processor 102, and a receiver 103 as shown in FIG.

도 2는 일반적인 사람의 청력을 나타낸 그래프로서, 일반적으로 사람의 청력은 도시된 바와 같이 나이가 들면서 전체적으로 청력이 저하되고 고주파 영역의 청력 저하가 두드러진다. Figure 2 is a graph showing the hearing of a general person, generally hearing loss of a person as a general hearing as shown, the overall hearing deterioration and hearing loss in the high frequency region is prominent.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청력 측정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3 is a flow chart showing a hearing measur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시된 바와 같이, 주파수 대역을 선택하는 단계(S101), 검사음 강도를 조절하는 단계(S102); 해당 주파수 대역의 청각능력을 결정하는 단계(S103); 모든 주파수 대역의 검사가 끝날 때 까지 다른 주파수 대역을 선택하고 상기 검사음 강도를 조절하는 단계(S104~S105)를 수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As shown, step (S101) of selecting a frequency band, adjusting the test sound intensity (S102); Determining a hearing ability of a corresponding frequency band (S103); Selecting a different frequency band and adjusting the test sound intensity (S104 to S105) is performed until all the frequency bands are inspected.

이와 같이, 종래에는 사람마다 다르게 나타나는 청력 저하를 측정하기 위하여 순음을 사용하여 주파수 별로 반복적으로 측정하여 청력에 대한 결과를 얻었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측정을 위하여 사용되는 리시버는 실제 사용 될 제품과 특성이 다른 측정 전용 리시버를 사용한다. As such, in the related art, in order to measure hearing loss that is different from person to person, pure sound is repeatedly measured for each frequency to obtain a result of hearing. In this process, the receiver used for measurement uses a measurement-only receiver that differs from the actual product.

따라서, 종래의 보청기 및 그 청력 측정 방법에 의하면, 순음을 이용한 결과로 보청기를 보정하면 실제 상황에서의 청력 손실보다 과도한 이득으로 설정되기 때문에 보청기 사용자들에게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hearing aid and its hearing measurement method, since the hearing aid is corrected as a result of using pure sound, it is set to an excessive gain than the hearing loss in a real situation, which causes inconvenience to hearing aid users.

또한, 측정 과정에서 사용되는 전용 측정용 프루부(probe: 마이크 및 리시버)와 보청기에 사용될 마이크 및 리시버와 달라 원하는 특성과 다른 특성의 제품을 사용하게 되어 오차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an error occurs because a product having a characteristic different from a desired characteristic is different from that of a probe (microphone and receiver) and a microphone and receiver used in a hearing aid.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청력 검사에 있어서 각 청력별로 보정 처리된 기준 음원을 사용하여 실제 생활과 근접한 검사자의 청력을 찾아내고 이를 바탕으로 검사자에 적합한 보청기 보정치를 계산하고, 계산 된 보정치를 실제 생활과 비슷한 환경의 음원에 적용하여 보청기 사용을 보다 효율적으로 하도록 하는 보청기 및 그 청력 측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overcom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in the hearing test using the reference sound source corrected for each hearing to find the hearing of the examiner close to the real life and based on this calculates the hearing aid correction value suitable for the examin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hearing aid and a method for measuring hearing by applying the calculated correction value to a sound source in an environment similar to real lif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 및 그 청력 측정 방법은, 각 청력 단계별로 보정치가 적용되어 신호처리된 음원을 제공하여 제1단계 검사를 하고 필요에 따라 500Hz부터 2kHz 의 주파수 성분 및 청각 장애가 있는 부분에 대하여 세밀하게 보정된 음원을 2단계 검사에 사용하거나 일반적인 방법과 같이 순음 또는 복합음을 사용하여 세밀하게 측정한다. 측정 데이터를 바탕으로 보청기 내부 전자 회로의 주파수 밴드별 증폭, 역동범위 조정, 잡음 및 하울링 제거등의 보정 연산치를 적용한 음원으로 검증 단계를 거친 후 보청기에 보정 연산치를 적용한다. 이때, 순음을 사용하여 세밀하게 측정하는 경우에는 보정 단계에서 과도한 이득이 가해지지 않도록 보정치를 계산하게 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hearing aid and the hearing meas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sound source processed by applying a correction value for each hearing stage, and perform a first stage test, and if necessary, frequency components and hearing of 500 Hz to 2 kHz. Finely calibrated sound sources for impaired areas are used for two-stage inspection or finely measured using pure or compound sound as in the usual method. Based on the measurement data, the correction operation values are applied to the hearing aid after applying the calibration calculation values such as amplification, dynamic range adjustment, noise and howling rejection of the internal electronic circuit of the hearing aid. In this case, in the case of fine measurement using pure sound, the correction value is calculated so that excessive gain is not applied in the correction step.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 및 그 청력 측정 방법에 의하면, 본인의 청력 특성을 스스로 또는 주변의 도움을 받아 측정하여 청각의 이상을 진단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청각 장애자들은 시간적인 여유를 가지고 반복적으로 기준 음원을 청취하면서 본인에 적합한 음원을 찾아 정밀 측정의 기준으로 사용하고, 측정된 결과치를 적용하여 만든 음원으로 결과를 스스로 확인하는 과정을 통하여 보다 최적화된 보 청기 보정 결과를 얻을 수 있고, 이 결과가 보청기 착용과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므로 보청기 사용후에 대한 예측을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hearing aid and the hearing meas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helps to diagnose hearing abnormalities by measuring their hearing characteristics by themselves or with the help of the surroundings. People with hearing disabilities can listen to the reference sound source repeatedly with time, find a sound source suitable for themselves, use it as a criterion for precise measurement, and verify the result with a sound source created by applying the measured results. Hearing aid correction results can be obtained, and these results have the same effect as wearing hearing aids, making it possible to predict after use of hearing aids.

본 발명은 충분한 시간적인 여유를 가지고 신중하게 측정 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적응하는 시간을 절약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청력 측정 및 보정치 검증의 단계가 실제 보청기 시용 상황과 동일한 장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carefully measure with sufficient time margin, and has the advantage of saving time to adapt. In addition, the steps of hearing measurement and verification of corrections have the same advantages as the actual use of hearing aid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in their usual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s may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best explain their invention in the best way possible.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the drawing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that can be replaced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equivalents and variations.

본 발명은 보청기를 위주로 설명하고 있으나 헤드셋과 같은 다른 음향 관련 기기도 동일하게 적용 될 수 있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mainly for hearing aids, other sound-related devices such as headsets can be equally applied.

사람의 청각 시스템은 물리적인 음의 크기와 그 음에 대한 사람의 주관적인 판단의 크기인 라우드니스(loudness)는 비선형적이다. 따라서, 하나의 크기의 음만 을 청력 검사용으로 사용하면, 다른 주파수 대역이나 다른 크기의 신호음에 대하여 실제 피측정자가 가지고 있는 청각 특성을 나타내지 않는다. 또한, 음의 크기를 세분하여 청력 검사에 사용하면 이 비선형성을 보정 할 수는 있지만 그렇다고 너무 많은 수로 세분화하면 실제 측정에 있어 피 측정자의 판단에 혼란을 초래하게 된다.The human auditory system is non-linear in loudness, the magnitude of the physical sound and the subjective judgment of the sound of the sound. Therefore, when only one loudness is used for the hearing test, it does not represent the auditory characteristics of the actual subject with respect to a different frequency band or a different loudness. In addition, subdividing the loudness into the hearing test can correct this nonlinearity, but subdividing it into too many confuses the subject's judgment in the actual measurement.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hear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보청기에서 사용 될 마이크(401)와 리시버(402), 그리고 음원을 제공하는 음원부(403)와, 음성 신호를 처리하는 연산증폭 및 신호처리부(404), 그리고 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405)로 구성된다. As shown in FIG. 4, a microphone 401 and a receiver 402 to be used in the hearing aid of the present invention, a sound source unit 403 for providing a sound source, and an operational amplification and signal processor 404 for processing a voice signal. And a controller 405 for controlling this.

음원부(403)는 음원 및 청각 측정용 기준음을 제공한다. 상기 음원부(403)의 측정용 기준음은 주파수 밴드별 특징을 기준으로 사용하고, 상기 음원은 음성 에너지가 많은 500Hz부터 2kHz 의 부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ound source unit 403 provides a sound source and reference sound for auditory measurement. The reference sound for measurement of the sound source unit 403 is used as a reference for each frequency band characteristics, the sound source is preferably used a portion of 500Hz to 2kHz with a lot of voice energy.

제어부(405)는 신호 처리된 음원을 출력시키고, 측정 결과를 바탕으로 청각 보정을 수행하며, 보정치를 반영하여 신호 처리된 음원을 리시버로 출력하고 검증한다.The control unit 405 outputs the signal processed sound source, performs auditory correction based on the measurement result, and outputs and verifies the signal processed sound source to the receiver by reflecting the correction value.

연산증폭 및 신호처리부(404)는 상기 음원부(403)에서 제공된 음원을 증폭시키고, 상기 제어부(405)에서 출력된 보정치에 따른 신호처리를 수행한다.The operation amplification and signal processing unit 404 amplifies the sound source provided by the sound source unit 403 and performs signal processing according to the correction value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405.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청력 측정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5 is a flowchart showing a hearing meas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 음원을 출력하고, 가장 청감이 우수한 음원을 선택하는 단계(S410~S420)는 미리 준비된(신호 처리 된) 음원을 도 6과 같이 단계별로 출력하여 주어진 순서에 따라 이전 음원보다 청감이 좋거나 나쁨만을 선정하면 된다.As shown, the step (S410 ~ S420) of outputting the reference sound source, the most excellent sound source (S410 ~ S420) outputs the pre-prepared (signaled) sound source step by step as shown in Figure 6 than the previous sound source in a given order Select only good or bad hearing.

즉, 도 6에서는 음원i를 출력하고(S411), 음원i와 i-1의 청감을 비교하고(S412), 음원 i-1가 i보다 청감이 우수한가를 판단하여 우수할때까지 계속 비교 작업을 실시한다(S413). 이후, 음원i-1 주변의 음원(예, 음원 i-2, i-1, i)을 반복 출력 및 청취를 통하여 최종음원을 선정한다(S414). That is, in FIG. 6, the sound source i is output (S411), the sound source i is compared with the hearing of i-1 (S412), and the sound source i-1 judges whether the hearing is better than i, and the comparison operation is continued until excellent. (S413). Thereafter, the final sound source is selected by repeatedly outputting and listening to the sound sources (eg, sound sources i-2, i-1, i) around the sound source i-1 (S414).

따라서, 상기 음원을 리시버(402)를 통하여 반복 출력하고, 사용자는 상기 출력되는 음원을 듣고 별도의 키버튼(미도시)을 조작하여 제어부(405)로 하여금 특정 음원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S420).Therefore, the sound source may be repeatedly output through the receiver 402, and the user may listen to the output sound source and operate a separate key button (not shown) to allow the controller 405 to select a specific sound source (S420). ).

이후, 상기 단계에서 선택된 음원에 기준한 청각 측정용 기준음을 출력한다(S430).Thereafter, the reference sound for audible measurement based on the sound source selected in the step is output (S430).

한편, 사용자의 사용 인지 능력에 따라 직접 음원을 선정 하여 사용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청감이 우수한 음원이 선정되면 청감이 우수한 음원을 포함하여 그 이전과 이후의 음원을 시간적인 여유를 가지고 반복하여 실행하고 최종적으로 피 측정자에게 적합한 특성의 음원을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좀 더 사실에 근접한 청각 특성을 선정하기 위함이다. 필요에 따라 최종적으로 선정된 음원과 비슷한 특성의 다른 음원을 사용하여 좀 더 세부적인 청감특성을 선정 할 수도 있다. 이후, 필요에 따라 500Hz부터 2kHz 의 주파수 성분 및 청각 장애가 있는 부분에 대하여 세밀하게 보정된 음원을 2단계 검사에 사용하거나 일반적인 방법과 같이 순음 또는 복합음을 사용하여 세밀하게 측정한다.On the other hand, it is also possible to select and use the sound source directly according to the user's cognitive ability. When a sound source with good hearing is selected, it is desirable to repeatedly execute the sound source before and after including a sound source with excellent hearing with time allowance and finally select a sound source having a characteristic suitable for the subject. This is to select a more realistic auditory characteristic. If necessary, more detailed auditory characteristics may be selected using other sound sources similar to those of the final selected sound source. Then, if necessary, finely calibrated sound sources for frequency components and hearing impaired parts of 500 Hz to 2 kHz are used for the two-stage test, or finely measured using pure or compound sound as in the usual method.

상기에서 500Hz부터 2kHz에 대하여 세분하는 이유는 음성에너지의 주파수 대역 분포를 보면 95%의 에너지가 1kHz 이하에 존재하지만, 500Hz 이하의 주파수 대역은 대체로 모음에 관련되기 때문에 말소리 명료도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는다. 이에 반해 500Hz 부터 2kHz의 주파수 성분은 주요 자음의 발음과 관련된 에너지가 많이 포함되어 있어 말소리 명료도의 70%를 결정한다. 따라서 500Hz부터 2kHz 의 주파수 성분에 대하여 정확하게 보정하지 않으면 말소리의 변별력이 상당히 떨어지게 되기 때문이고, 청력에 문제가 있는 부분을 세분하는 이유는 좀 더 관심을 가지고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The reason for subdividing from 500Hz to 2kHz is that 95% of energy exists in 1kHz or less in the frequency band distribution of voice energy, but the frequency band below 500Hz is almost related to vowel and thus has little effect on speech intelligibility. . On the other hand, the frequency component of 500Hz to 2kHz contains a lot of energy related to the pronunciation of the main consonants, which determines 70% of speech intelligibility. Therefore, if you do not correct the frequency components from 500Hz to 2kHz correctly, the discriminating power of speech sounds is significantly reduced, and the reason for subdividing the problem of hearing problem is to measure with more interest.

상기 단계에서 일반적인 방법과 같이 순음 또는 복합음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 7과 같이 이전 단계의 음원 선정을 통한 청각 능력 측청치를 바탕으로 세부 청각 능력 검사를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청각능력 측정 방법과 같이 순음을 출력하는 방법을 통하여 세밀하게 진행하여 도 7의 점선 내부에서 피 측정자의 청각능력이 결정 된다.In the case of using a pure tone or a compound sound as in the general method in the above step, as shown in FIG. In detail through the output method, the auditory ability of the subject is determined within the dotted line of FIG. 7.

상기 단계에서 선택되어진 방법에 의하여 측정된 결과를 바탕으로 도 8과 같이 연산증폭 및 신호처리부(404)에 설정될 청각 보정을 위한 각 주파수 밴드별 증폭, 역동범위 조정과 잡음 및 하울링 제거 등의 보정 연산처리 등이 본 발명의 프로세스에 따라 자동으로 계산하여 보청기에 사용할 보정치를 구한다(S440). Based on the result measured by the method selected in the above step, as shown in FIG. 8, amplification, dynamic range adjustment and noise and howling removal for each frequency band for auditory correction to be set in the operational amplification and signal processing unit 404, as shown in FIG. The calculation process and the like are automatically calculated according to the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obtain a correction value to be used in the hearing aid (S440).

보정치를 구하는 과정중 순음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보정 단계에서 과도한 이득이 가해지지 않도록 배려된다.When pure sound is used in the process of obtaining the correction value, consideration is given to avoiding excessive gain in the correction step.

보정된 결과의 검증을 위하여 보정 연산처리 과정을 통하여 얻어진 보정치들 을(신호처리 되지 않은) 순수한 음원에 적용하여 신호처리 한 음원을 들려 주어 보청기 사용 상태에서 들을 수 있는 청력과 음의 청감 등에 대한 검증 단계를 수행한다(S450). In order to verify the corrected result, the correction values obtained through the correction calculation process are applied to the pure sound source (unsignaled), and the sound processed by the sound source is heard to verify hearing and sound hearing in the state of hearing aid use. Perform the step (S450).

이때 여러가지 다른 환경에서 얻은 음원에 피 측정자의 보정치들을 적용하여 신호처리 한 음원을 사용하여 실제 보청기 착용에 대한 예측을 할 수 있다.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predict the actual hearing aid wear by using the sound source processed by applying the correction values of the subject to the sound sources obtained in various environments.

검증 단계(S450)를 거친 피 측정자의 보정치들이 보청기 내부에 있는 연산증폭 및 신호처리부(404)에 설정 저장하여 완벽한 보청기(400)가 완성된다.Compensation values of the subject through the verification step (S450) are set and stored in the operational amplification and signal processing unit 404 in the hearing aid, thereby completing the complete hearing aid 400.

이와 같은 과정을 양쪽귀에 모두에 대하여 각각 실시할 수 있다(S470~S480).This process can be performed for both ears, respectively (S470-S480).

상기 본 발명의 과정중 보청기(400)의 내부 연산증폭 및 신호처리부(404)에 보정치가 설정되는 과정외에는, 일반인들이 on-line 또는 off-line 상에서 피 검사자가 스스로 또는 주변의 도움을 받아 자신에게 맞는 청각 특성을 스스로 진단하고 보청기 사용후의 결과를 경험 할 수 있다. 위 과정들은 프로그램이 가능한 MP3, 전화기, 오디오등의 개인 음향기기에 적용하여 사용자에게 맞추어진 청각 특성 보정을 거친 음향을 공급 받을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process of setting the internal operational amplification of the hearing aid 400 and the correction value in the signal processing unit 404 during the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eneral public on the on-line or off-line by the examinee himself or herself with the help of the surroundings Self-diagnostic hearing characteristics can be self-assessed and experienced after hearing aid use. The above processes can be applied to personal audio equipment such as programmable MP3, telephone, audio, etc., so that the user can receive sound that has been calibrated to the user.

본 발명에 의하면 on-line 또는 off-line 상에서 피 검사자가 스스로 또는 주변의 도움을 받아 자신에게 맞는 청각 특성과 이를 이용한 보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을 구현하는 데에 있어 PC 또는 전용 장비를 이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MP3, 전화기, 오디오등의 개인 음향기기에 적용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line or off-line can be inspected by the examinee with his or her surroundings and correct the auditory characteristics suitable for them. In addition, a PC or dedicated equipment may be used to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personal audio equipment such as MP3, telephone, and audio.

따라서, 본인의 청력 특성을 스스로 또는 주변의 도움을 받아 측정하여 청각의 이상을 진단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청각 장애자들은 시간적인 여유를 가지고 반복적으로 기준 음원을 청취하면서 본인에 적합한 음원을 찾아 정밀 측정의 기준으로 사용하고, 측정된 결과치를 적용하여 만든 음원으로 결과를 스스로 확인하는 과정을 통하여 보다 최적화된 보청기 보정 결과를 얻을 수 있고, 이 결과가 보청기 착용과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므로 보청기 사용후에 대한 예측을 할 수 있다.Therefore, it helps to diagnose hearing abnormalities by measuring one's hearing characteristics by himself or with the help of the surroundings. Hearing impaired people have the time to listen to the reference sound source repeatedly, find a sound source that is suitable for them, use it as a criterion for precise measurement, and check the result with a sound source that is made by applying the measured result. A correction result can be obtained, and the result shows the same effect as that of wearing a hearing aid, so that the prediction can be made after using the hearing ai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way of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hich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modif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odifications are possible. 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only by the claims set forth below, and all equivalent or equivalent modifications thereof will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일반적인 보청기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typical hearing aid.

도 2는 일반적인 사람의 청력을 나타낸 그래프.2 is a graph showing the hearing of a general person.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청력 측정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3 is a flow chart showing a hearing measur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Figure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hear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청력 측정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 5 is a flowchart showing a hearing meas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상기 도 5의 음원 선택 단계를 더욱 상세히 나타낸 플로우챠트.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sound source selection step of FIG. 5 in more detail.

도 7은 피 측정자의 청각능력 결정 과정을 나타낸 그래프.7 is a graph illustrating a process of determining hearing ability of a subject.

도 8은 청각 보정을 위한 보정치를 구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그래프.8 is a graph illustrating a process of obtaining a correction value for auditory correc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401 : 마이크401: microphone

402 : 리시버402: Receiver

403 : 음원부403: sound source

404 : 신호처리부404: signal processing unit

405 : 제어부405: control unit

Claims (6)

음원 및 청각 측정용 기준음을 제공하는 음원부,A sound source unit for providing a sound source and reference sound for auditory measurement, 신호 처리된 음원을 출력시키고, 측정 결과를 바탕으로 청각 보정을 수행하며, 보정치를 반영하여 신호 처리된 음원을 리시버로 출력하고 검증하는 제어부;A controller for outputting a signal processed sound source, performing auditory correction based on the measurement result, and outputting and verifying the signal processed sound source to the receiver by reflecting the correction value; 상기 음원부에서 제공된 음원을 증폭시키고,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된 보정치에 따른 신호처리를 수행하는 연산증폭 및 신호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청기.And amplifying a sound source provided by the sound source unit and performing a signal processing according to the correction value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음원부의 측정용 기준음은 주파수 밴드별 특징을 기준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청기.Hearing aid, characterized in that the reference sound for the measurement of the sound source is used as a reference for each frequency band characteristic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음원부의 음원은 음성 에너지가 많은 500Hz부터 2kHz 의 부분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청기.The sound source of the sound source unit is a hearing aid, characterized in that using a portion of 500Hz to 2kHz with a lot of voice energy. 신호 처리된 음원을 출력하는 단계;Outputting a signal processed sound source; 볼륨을 조절하여 청감이 우수한 음원을 선택하는 단계;Selecting a sound source with excellent hearing by adjusting the volume; 선택된 음원에 기준한 청각 측정용 기준음을 출력하는 단계;Outputting a reference sound for auditory measurement based on the selected sound source; 측정 결과를 바탕으로 청각 보정을 수행하는 단계;Performing auditory correction based on the measurement result; 보정치를 반영하여 신호 처리된 음원을 출력하고 검증하는 단계;Outputting and verifying a sound source processed by reflecting the correction value; 보청기 내의 연산증폭 및 신호처리부에 상기 보정치를 설정 저장하는 단계;로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력 측정 방법.And setting and storing the correction value in the operational amplification and signal processing unit in the hearing aid.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측정용 기준음은 주파수 밴드별 특징을 기준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력 측정 방법.The measurement reference sound is a hearing measuremen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used as a reference for each frequency band characteristic.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음원은 음성 에너지가 많은 500Hz부터 2kHz 의 부분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력 측정 방법.The sound source is a method for measuring hearing, characterized in that using a portion of 500Hz to 2kHz a lot of voice energy.
KR1020070133220A 2007-12-18 2007-12-18 Hearing aid and method for audiometry thereof KR2009006574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3220A KR20090065749A (en) 2007-12-18 2007-12-18 Hearing aid and method for audiometry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3220A KR20090065749A (en) 2007-12-18 2007-12-18 Hearing aid and method for audiometry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5749A true KR20090065749A (en) 2009-06-23

Family

ID=40993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3220A KR20090065749A (en) 2007-12-18 2007-12-18 Hearing aid and method for audiometry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65749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8766A (en) * 2009-08-18 2011-02-24 삼성전자주식회사 Sound source playing apparatus for compensating output sound source signal and method of performing thereof
KR101117255B1 (en) * 2010-03-19 2012-03-16 주식회사 바이오사운드랩 Apparatus for sound converting having function of hearing correction
KR101995670B1 (en) * 2017-06-14 2019-07-02 핑 자오 Personalized system of smart headphone device with oriented chatting function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8766A (en) * 2009-08-18 2011-02-24 삼성전자주식회사 Sound source playing apparatus for compensating output sound source signal and method of performing thereof
KR101117255B1 (en) * 2010-03-19 2012-03-16 주식회사 바이오사운드랩 Apparatus for sound converting having function of hearing correction
KR101995670B1 (en) * 2017-06-14 2019-07-02 핑 자오 Personalized system of smart headphone device with oriented chatting function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82131B2 (en) Method and system for self-managed sound enhancement
US10356535B2 (en) Method and system for self-managed sound enhancement
EP2640095B1 (en) Method for fitting a hearing aid device with active occlusion control to a user
JP4558044B2 (en) Equalization method and apparatus based on audiogram
JP6279757B2 (en) Method for fitting a hearing aid system and hearing aid fitting system
US20090285406A1 (en) Method of fitting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to a hearing impaired user
JP2016525315A (en) Hearing aid fitting system and method using speech segments representing appropriate soundscape
US8917892B2 (en) Automated real speech hearing instrument adjustment system
KR101760753B1 (en) Hearing assistant device for informing state of wearer
WO2022206049A1 (en) Audio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and device and storage medium
JP2532007B2 (en) Hearing aid fitting device
KR20090065749A (en) Hearing aid and method for audiometry thereof
JP3482465B2 (en) Mobile fitting system
AU2010347009B2 (en) Method for training speech recognition, and training device
EP4014513A1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fitting hearing assistance devices
KR101490331B1 (en) Hearing aid for providing fitting sequence and fitt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0917714B1 (en) Observation device for hearing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300039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innitus evaluation with test sound automatically adjusted for loudness
KR102350890B1 (en) Portable hearing test device
Bramsløw et al. Hearing aids
KR102403996B1 (en) Channel area type of hearing aid, fitting method using channel area type, and digital hearing aid fitting thereof
TWI498104B (en) Hearing ability testing method and system
Sokolova Applications of Open Source Software for Hearing Aid Amplification and Hearing Loss Simulation
Alzaga et al. Audio-processed hearing aid using noise filtration for elderly people
CN117156365A (en) Method of fitting a hear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