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4814A - 고객 인식 기반 맞춤형 금융상품 홍보 기능을 구비한뱅크로봇 및 뱅크로봇 운용 방법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고객 인식 기반 맞춤형 금융상품 홍보 기능을 구비한뱅크로봇 및 뱅크로봇 운용 방법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4814A
KR20090064814A KR1020070132151A KR20070132151A KR20090064814A KR 20090064814 A KR20090064814 A KR 20090064814A KR 1020070132151 A KR1020070132151 A KR 1020070132151A KR 20070132151 A KR20070132151 A KR 20070132151A KR 20090064814 A KR20090064814 A KR 200900648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tomer
information
bank
robot
bank rob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2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6512B1 (ko
Inventor
최광호
최진욱
김진
이용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한은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한은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한은행
Priority to KR1020070132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6512B1/ko
Publication of KR20090064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48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65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65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003Home robots, i.e. small robots for domestic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006Exoskeletons, i.e. resembling a human fig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객 인식 기반 맞춤형 금융상품 홍보 기능을 구비한 뱅크로봇 및 뱅크로봇 운용 방법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고객 인식 기반 맞춤형 금융상품 홍보 기능을 구비한 뱅크로봇은, 화상 인식수단을 통해 인식되는 응대 대상 고객의 안면 화상 데이터에 대한 안면 인식 데이터-상기 안면 화상 데이터에 포함된 눈, 코, 입, 귀의 상대적인 위치, 모양, 방향 데이터-를 인식하는 안면 인식부와, 상기 안면 인식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응대 대상 고객이 상기 은행의 금융거래 고객인지 인식하는 고객 인식부와, 상기 뱅크로봇의 동작모드를 상기 인식된 금융거래 고객에 대한 금융상품 홍보 모드로 설정하는 동작모드 설정부와, 상기 금융상품 홍보 모드에 대응하는 금융상품 홍보 시나리오를 선택하는 시나리오 선택부 및 상기 금융상품 홍보 시나리오에 대응하는 금융상품 홍보 단계를 검증하는 시나리오 검증부를 구비한다.
고객인식, 금융상품홍보, 뱅크로봇

Description

고객 인식 기반 맞춤형 금융상품 홍보 기능을 구비한 뱅크로봇 및 뱅크로봇 운용 방법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Method for Operating Bank Robot with Customer Identification Base Ordered Financial Goods Advertisement Application, Bank Robot and Recording Medium}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고객인식 기반 맞춤형 금융상품 홍보 기능을 구비한 뱅크로봇 운용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은행지점(또는 공공장소)에서 고객인식 기반 맞춤형 금융상품 홍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뱅크로봇 기능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뱅크로봇 운용장소에 대한 맵 데이터를 제작하기 위한 뱅크로봇 초기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폐쇄형 운용장소에 대한 외부 경계 맵 데이터를 제작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개방형 운용장소에 대한 외부 경계 맵 데이터를 제작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뱅크로봇 운용장소에 대한 내부 맵 데이 터를 제작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와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뱅크로봇이 은행지점(또는 공공장소) 상의 뱅크로봇 동작 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른 화상 인식을 통한 고객 인식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른 화상 인식을 통한 고객 인식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른 화상 인식과 RFID 인식을 통한 고객 인식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른 화상 인식과 RFID 인식을 통한 고객 인식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른 화상 인식과 RFID 인식을 통한 고객 인식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a와 도 1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른 뱅크로봇의 동작모드 설정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른 뱅크로봇의 동작모드 설정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른 뱅크로봇의 동작모드 설정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뱅크로봇을 통한 고객 인식 기반 맞춤 형 금융상품 홍보 및 가입 처리를 위한 가상 대면 인증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a와 도 17b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뱅크로봇을 통한 가상 대면 거래 방식의 금융상품 가입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뱅크로봇을 통한 가상 대면 거래 방식의 금융거래를 위한 가상 대면 인증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a와 도 19b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뱅크로봇을 통한 가상 대면 거래 방식의 금융거래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0 : 뱅크로봇 105 : 화상 입력장치
110 : 화면 출력장치 115 : RFID 리더장치
120 : 무선 통신수단 125 : 카드 리더장치
130 : 신분증 스캔장치 135 : 무선 AP
140 : 로봇제어 장치 145 : 고객관리 서버
150 : 고객관리 D/B 155 : 금융사 서버
본 발명은 화상 인식수단을 통해 인식되는 응대 대상 고객의 안면 화상 데이 터에 대한 안면 인식 데이터-상기 안면 화상 데이터에 포함된 눈, 코, 입, 귀의 상대적인 위치, 모양, 방향 데이터-를 인식하는 안면 인식부와, 상기 안면 인식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응대 대상 고객이 상기 은행의 금융거래 고객인지 인식하는 고객 인식부와, 상기 뱅크로봇의 동작모드를 상기 인식된 금융거래 고객에 대한 금융상품 홍보 모드로 설정하는 동작모드 설정부와, 상기 금융상품 홍보 모드에 대응하는 금융상품 홍보 시나리오를 선택하는 시나리오 선택부 및 상기 금융상품 홍보 시나리오에 대응하는 금융상품 홍보 단계를 검증하는 시나리오 검증부를 구비하는 고객 인식 기반 맞춤형 금융상품 홍보 기능을 구비한 뱅크로봇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기술의 지속적인 발전으로 인터넷 뱅킹, 무선 뱅킹, 텔레 뱅킹 및 홈 뱅킹과 같은 다양한 비대면 금융거래 채널이 상용화되어 금융거래 채널이 다양한 형태로 분산되면서, 과거 대면 방식의 금융거래 채널을 제공하던 은행 창구는 상기 금융거래 채널 기능 이외에 마케팅 채널이나 대외 홍보 채널 등의 기능을 더 수행하고 있다.
최근, 은행 간 경쟁이 심화되면서 각 은행들은 과거 어느 때보다 은행 이미지 쇄신과 신뢰도 제고에 열을 올리고 있으나, 상기 은행 창구를 통한 고객 대면 방식의 이미지 쇄신과 신뢰도 제고 방법, 또는 종래 대중 매체를 이용한 광고 기반 이미지 쇄신과 신뢰도 제고 이외에 별다른 방법을 찾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비대면 금융거래 채널이 확충 되면서 상기 은행 창구를 통한 마케팅(또는 대외 홍보)를 할 수 있는 일부 여유가 생겼으나, 은행 특성 상 하루 중 특정 시간대, 또는 일주일 중 특정 요일, 또는 월 중 특정 일에 창구 업무가 집중되는 현상은 전혀 개선되고 있지 않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상 인식수단을 통해 인식되는 응대 대상 고객을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응대 대상 고객의 안면 화상 데이터(또는 상기 응대 대상 고객이 소지한 통장/카드에 구비된 RFID 태그)를 통해 상기 응대 대상 고객이 상기 은행의 금융거래 고객인지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응대 대상 고객이 상기 은행의 금융거래 고객으로 확인되면, 상기 뱅크로봇의 동작모드를 상기 인식된 금융거래 고객에게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융상품을 홍보하는 금융상품 홍보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객 인식 기반 맞춤형 금융상품 홍보 기능을 구비한 뱅크로봇 운용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객 인식 기반 맞춤형 금융상품 홍보 기능을 구비한 뱅크로봇은, 화상 인식수단을 통해 인식되는 응대 대상 고객의 안면 화상 데이터에 대한 안면 인식 데이터-상기 안면 화상 데이터에 포함된 눈, 코, 입, 귀의 상대적인 위치, 모양, 방향 데이터-를 인식하는 안면 인식부와, 상기 안면 인식 데이터에 대응 하는 상기 응대 대상 고객이 상기 은행의 금융거래 고객인지 인식하는 고객 인식부와, 상기 뱅크로봇의 동작모드를 상기 인식된 금융거래 고객에 대한 금융상품 홍보 모드로 설정하는 동작모드 설정부와, 상기 금융상품 홍보 모드에 대응하는 금융상품 홍보 시나리오를 선택하는 시나리오 선택부 및 상기 금융상품 홍보 시나리오에 대응하는 금융상품 홍보 단계를 검증하는 시나리오 검증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고객 인식 기반 맞춤형 금융상품 홍보 기능을 구비한 뱅크로봇은, 화상 인식수단을 통해 인식되는 응대 대상 고객이 소지한 물건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RFID 태그로부터 RFID 정보를 리딩하는 RFID 리더부와, 상기 리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RFID 정보에 대응하는 RFID 태그를 소지한 응대 대상 고객이 상기 은행의 금융거래 고객인지 인식하는 고객 인식부와, 상기 뱅크로봇의 동작모드를 상기 인식된 금융거래 고객에 대한 금융상품 홍보 모드로 설정하는 동작모드 설정부와, 상기 금융상품 홍보 모드에 대응하는 금융상품 홍보 시나리오를 선택하는 시나리오 선택부 및 상기 금융상품 홍보 시나리오에 대응하는 금융상품 홍보 단계를 검증하는 시나리오 검증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객 인식 기반 맞춤형 금융상품 홍보 기능을 구비한 뱅크로봇에 있어서, 상기 고객 인식부는, 상기 뱅크로봇을 운용하는 은행의 금융거래 고 객에 대한 고객 인식 데이터-금융거래 고객의 안면 인식 데이터, 또는 금융거래 고객의 신분증에 구비된 증명사진에 대응하는 고객 이미지 인식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연계하여 상기 안면 인식 데이터와 상기 고객 인식 데이터를 비교하고, 상기 안면 인식 데이터와 상기 고객 인식 데이터가 매칭되면, 상기 응대 대상 고객을 상기 은행의 금융거래 고객으로 인식하거나, 또는 상기 뱅크로봇을 운용하는 은행의 금융거래 고객에 대한 고객 인식 데이터-금융거래 고객의 안면 인식 데이터, 또는 금융거래 고객의 신분증에 구비된 증명사진에 대응하는 고객 이미지 인식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매체를 운용하는 통신망 상의 서버로 상기 안면 인식 데이터를 전송하여 상기 고객 인식 데이터와 비교되도록 처리하고, 상기 안면 인식 데이터와 상기 고객 인식 데이터가 매칭되면, 상기 응대 대상 고객을 상기 은행의 금융거래 고객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객 인식 기반 맞춤형 금융상품 홍보 기능을 구비한 뱅크로봇에 있어서, 상기 고객 인식부는, 상기 뱅크로봇을 운용하는 은행에서 금융거래 고객에 발급한 통장(또는 카드)에 구비된 RFID 태그에 저장된 고객 식별용 RFID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연계하여 상기 리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RFID 정보와 상기 고객 식별용 RFID 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RFID 정보가 고객 식별용 RFID 정보와 매칭되면, 상기 응대 대상 고객을 상기 은행의 금융거래 고객으로 인식하거나, 또는 상기 뱅크로봇을 운용하는 은행에서 금융거래 고객에 발급한 통장(또는 카드)에 구비된 RFID 태그에 저장된 고객 식별용 RFID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매체를 운용 하는 통신망 상의 서버로 상기 RFID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고객 식별용 RFID 정보와 비교되도록 처리하고, 상기 RFID 정보가 고객 식별용 RFID 정보와 매칭되면, 상기 응대 대상 고객을 상기 은행의 금융거래 고객으로 인식하거나, 또는 상기 고객 식별용 RFID 정보가 뱅크로봇을 운용하는 은행에서 정의한 고유한 고객식별코드 체계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리딩된 RFID 정보 중 상기 고객식별코드 체계를 포함하는 RFID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고객식별코드 체계를 포함하는 RFID 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응대 대상 고객을 상기 은행의 금융거래 고객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객 인식 기반 맞춤형 금융상품 홍보 기능을 구비한 뱅크로봇은, 음성인식 기능을 구비한 음성 입력수단을 통해 상기 인식된 금융거래 고객으로부터 입력되는 고객 음성 데이터를 인식하여 금융상품 홍보 대상과 매칭되는 고객 발화 예상 정보를 포함하는지 확인하고, 음성발화 기능을 구비한 음성 출력수단을 통해 고객 음성 데이터에 대응하는 모범 응답을 발화하여 음성 출력하거나, 또는 음성발화 기능을 구비한 음성 출력수단을 통해 상기 인식된 금융거래 고객에게 금융상품 홍보 유도 발화 정보를 발화하여 음성 출력하고, 음성인식 기능을 구비한 음성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고객 음성 데이터가 금융상품 홍보 대상과 매칭되는 예상응답 정보를 포함하는지 확인하는 고객 응대 처리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고객 인식 기반 맞춤형 금융상품 홍보 기능을 구비한 뱅크로봇 운용 방법은, 화상 인식수단을 통해 인식되는 응대 대상 고객을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응대 대상 고객의 안면 화상 데이터(또는 상기 응대 대상 고객이 소지한 통장/카드에 구비된 RFID 태그)를 통해 상기 응대 대상 고객이 상기 은행의 금융거래 고객인지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응대 대상 고객이 상기 은행의 금융거래 고객으로 확인되면, 상기 뱅크로봇의 동작모드를 상기 인식된 금융거래 고객에게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융상품을 홍보하는 금융상품 홍보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전술한 고객 인식 기반 맞춤형 금융상품 홍보 기능을 구비한 뱅크로봇 운용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 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기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발명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만약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구성 중에서 종래에 기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요소와 본 발명을 위해 추가된 구성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적 특징을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용어를 적절하게 변형, 또는 통합, 또는 분리하여 사용할 것이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 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면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고객인식 기반 맞춤형 금융상품 홍보 기능을 구비한 뱅크로봇(100) 운용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은 은행지점(또는 공공장소)에서 화상 인식 및/또는 고객이 소지한 통장/카드에 구비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를 기반으로 상기 뱅크로봇(100) 근처에 위치하는 복수의 고객 중 상기 뱅크로봇(100)을 운용하는 은행의 금융거래 고객(이하, "당행 고객"이라고 한다.) 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당행 고객에 대한 고객관련 정보(예컨대, 계좌정보, 홍보 대상 상품 정보, 고객관계관리 정보 등)를 확인한 후, 상기 고객관련 정보를 통해 상기 고객을 대상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객 맞춤형 금융상품을 홍보하는 뱅크로봇(100) 운용 시스템 구성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뱅크로봇(100) 운용 시스템 구성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뱅크로봇(100) 운용 시스템은, 은행지점(또는 공공장소)에 구비되며 도면2에 도시된 뱅크로봇(100) 기능 구성을 구비한 뱅크로 봇(100)과, 상기 뱅크로봇(100)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무선 통신채널이 연결된 무선AP(135)(또는 기지국)과, 상기 무선AP(135)를 통해 상기 뱅크로봇(100)을 제어하는 로봇제어 장치(140)와,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와 금융망(예컨대, 당행망, CD공동망)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뱅크로봇(100)을 통한 가상 대면 거래에 대응하는 금융거래(또는 금융상품 홍보에 따른 금융상품 가입) 업무를 처리하는 금융시스템 및 금융사 서버(15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고객인식 기반 맞춤형 금융상품 홍보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당행 고객에 대한 고객 정보와 고객 인식 데이터와 고객 식별용 RFID 정보 및 상기 당행 고객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객관련 정보를 연계하여 저장하는 고객관리 D/B(150)를 구비(또는 관리)하는 고객관리 서버(145)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AP(135)는 CDMA/WCDMA 기반 이동 통신망, HSDPA 기반 무선 통신망, IEEE 802.16.x 기반 휴대 인터넷 등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광역 무선망 상의 기지국으로 대체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뱅크로봇(100)은 상기 광역 무선망을 통해 상기 기지국과 무선 통신채널을 연결할 수 있으며, 상기 광역 무선망을 이용하여 상기 뱅크로봇(100)을 운용하는 것은 본 발명의 한 실시 방법에 포함되는 것이 명백하다.
상기 뱅크로봇(100)은 인간형 몸체에 바퀴 형태(또는 이족 보행 형태)의 자율적 이동수단(215)을 구비하고, 가상 대면 인증을 처리하기 위한 화상 인식장치와 신분증 스캔장치(130)를 구비하며, 상기 가상 대면 인증에 따른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를 처리하기 위한 화면 출력장치(110)와 키 입력장치와 카드 리더장치(125) 및 RFID 리더장치(115)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은행지점(또는 공공장소)에 구비된 무선AP(135)와 무선 통신채널을 연결하기 위한 무선 통신수단(120)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뱅크로봇(100)의 기술적 특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면2를 참조하기로 한다.
상기 무선AP(135)는 상기 은행지점(또는 공공장소)에 구비된 뱅크로봇(100)과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UWB(Ultra Wide Band system)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근거리 통신수단과, IEEE 802.11.x 기반 무선랜 프로토콜을 이용한 무선 통신채널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무선 통신채널을 기반으로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에서 상기 뱅크로봇(100)을 실시간 제어 및 감시하기 위한 로봇제어 통신채널과, 상기 뱅크로봇(100)을 통한 가상 대면 거래를 처리하기 위한 금융거래 통신채널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로봇제어 통신채널은 상기 뱅크로봇(100)과 무선AP(135) 간 무선 통신채널을 기반으로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에서 상기 뱅크로봇(100)과 통신 채널이 연결되어 있는지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상기 뱅크로봇(100)의 현재위치(또는 이동경로)를 추적하는 뱅크로봇(100) 감시 채널, 상기 뱅크로봇(100)의 동작모드를 확인하는 동작모드 확인 채널, 상기 뱅크로봇(100)의 동작모드를 원격으로 설정하는 동작모드 설정 채널, 상기 뱅크로봇(10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정보(또는 데이터)를 상기 뱅크로봇(100)으로 제공하는 정보 제공 채널, 상기 뱅크로봇(100)에서 상기 뱅크로봇(100)의 동작모드에 대응하는 금융상품 홍보 시나리오(또는 금융거래 시나리오)에 따라 상기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를 처리하고 있는지 검증하는 동작 시나리오 검증 채널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뱅크로봇(100) 감시 채널은, 상기 뱅크로봇(100)이 종래 CD/ATM과 같이 고정되지 않고 자율적으로 이동하는 이동 특성에 따라 상기 뱅크로봇(100)을 관리하는 관리직원의 시선에서 벗어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며, 상기 뱅크로봇(100)이 도난 당하거나, 또는 상기 관리직원의 시선에서 벗어난 상태에서 해커에 의해 조작 당하는 경우, 뱅킹시스템이 위험에 노출될 수 있는 위험성이 항상 상존하기 때문에 상기 뱅크로봇(100)이 도난, 유실, 오작동되지 않고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지 실시간 감시하고, 상기 뱅크로봇(100)의 현재위치(또는 이동경로)를 추적하는 통신채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뱅크로봇(100) 감시 채널을 통해 감시되는 뱅크로봇(100) 동작 상태는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에 구비된 뱅크로봇(100) 로그 정보에 실시간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동작모드 확인 채널은, 상기 뱅크로봇(100)과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 대상 고객 간 대화, 또는 상기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 대상 고객의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 대상 선택에 따라 자동 설정되는 상기 뱅크로봇(100)의 동작모드를 원격으로 확인하기 위한 통신채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동작모드 확인 채널을 통해 확인되는 상기 뱅크로봇(100)의 동작모드는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에 구비된 뱅크로봇(100) 로그 정보에 실시간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동작모드 설정 채널은,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에서 상기 뱅크로봇(100)의 동작모드를 특정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를 처리하기 위한 동작모드로 원격 설정하기 위한 통신채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동작모드 설정 채널을 통해 설정된 상기 뱅크로봇(100)의 동작모드는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에 구비된 뱅크로봇(100) 로그 정보에 실시간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보 제공 채널은, 상기 은행지점(또는 공공장소)에서 상기 뱅크로봇(100)이 동작하기 위해 필요한 각종 정보(또는 데이터)를 로봇제어 장치(140)에서 상기 뱅크로봇(100)으로 제공하기 위한 통신채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정보 제공 채널을 통해 상기 뱅크로봇(100)으로 제공된 정보(또 는 데이터)는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에 구비된 뱅크로봇(100) 로그 정보에 실시간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정보 제공 채널을 통해 상기 뱅크로봇(100)으로 제공되는 정보(또는 데이터)는 상기 은행지점(또는 공공장소)에 대한 운용장소 맵 데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동작 시나리오 검증 채널은, 상기 뱅크로봇(100)의 동작모드가 특정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를 처리하기 위한 동작모드로 자동 설정(또는 원격 설정)된 후, 상기 뱅크로봇(100)이 상기 동작모드에 대응하는 금융상품 홍보 시나리오(또는 금융거래 시나리오)에 따라 상기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를 적절히 처리하고 있는지 검증하는 통신채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동작 시나리오 검증 채널을 통해 검증되는 상기 뱅크로봇(100)의 시나리오 검증 정보는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에 구비된 뱅크로봇(100) 로그 정보에 실시간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동작 시나리오 검증 채널은, 상기 뱅크로봇(100)에서 특정 금융상품 홍보 시나리오(또는 금융거래 시나리오) 단계를 수행한 후, 상기 시나리오 단계에 대한 검증 값(또는 인증 값)을 생성하여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로 전송하면,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에서 상기 검증 값(또는 인증 값)을 승인(또는 인증)하는 통신채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에서 상기 검증 값(또는 인증 값)을 승인(또는 인증)한 후, 상기 뱅크로봇(100)은 다음 시나리오 단계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특정 금융상품 홍보 시나리오(또는 금융거래 시나리오)에 따라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를 수행하는 동안 상기 동작 시나리오가 검증되지 않으면,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는 상기 동작 시나리오가 검증되지 않은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를 취소 처리하고, 상기 뱅크로봇(100) 역시 상기 동작 시나리오가 검증되지 않은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를 취소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금융거래 통신채널은 상기 뱅크로봇(100)과 무선AP(135) 간 무선 통신채널을 기반으로 상기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 대상 고객이 상기 뱅크로봇(100)을 통해 요청한 금융거래(또는 금융상품 가입)을 처리하기 위한 통신채널로서, 상기 금융거래 통신채널을 통해 송수신되는 각종 정보(또는 데이터)는 상기 로봇제어 통신채널의 동작 시나리오 검증 채널을 통해 실시간 검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뱅크로봇(100)을 운용하는 은행에서 정의한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 절차에 따라 금융거래(또는 금융상품 가입)을 처리하기 위해 송수신되는 정보(또는 데이터) 구 조와, 그 송수신 순서를 유추할 수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 상기 로봇제어 통신채널과 금융거래 통신채널은 상기 무선 통신채널에 구비되는 통신 프로토콜 상의 채널을 기본적으로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로봇제어 통신채널과 금융거래 통신채널은 별도의 무선 주파수 대역폭을 갖는 별도의 통신채널, 또는 서로 다른 통신 주소를 갖는 별도의 통신채널 형태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는 상기 무선AP(135)를 통해 상기 뱅크로봇(100)을 제어하고, 상기 은행지점(또는 공공장소)을 포함하는 뱅크로봇(100) 운용장소에 구비된 금융망(예컨대, 당행망, CD공동망 등)을 통해 상기 은행에 구비된 금융시스템(또는 금융사 서버(155))와 연계하여 상기 뱅크로봇(100)으로부터 요청되는 금융거래(또는 금융상품 가입) 요청을 처리하는 단말(또는 서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하나의 로봇제어 장치(140)가 상기 뱅크로봇(100) 운용장소에 구비된 복수의 뱅크로봇(100)을 제어 및 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는, 상기 은행지점(또는 공공장소)을 포함하는 뱅크로봇(100) 운용장소에 대한 운용장소 맵 데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뱅크로봇(100)의 현재 위치를 상기 운용장소 맵 데이터와 연계하여 저장(또는 운용장소 맵 데이터 상에 표시하여 출력)하거나, 또는 상기 뱅크로봇(100)이 상기 뱅크로봇(100) 운용장소를 이동하는 경우, 상기 뱅크로봇(100)의 이동 경로를 상기 운용장소 맵 데이터와 연계하여 저장(또는 운용장소 맵 데이터 상에 표시하여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는, 상기 뱅크로봇(100) 운용장소 상의 뱅크로봇(100) 위치정보와, 상기 뱅크로봇(100) 위치에서 자동 설정(또는 원격 설정)되는 뱅크로봇(100) 동작모드 정보와, 상기 뱅크로봇(100)의 동작모드에 대응하는 동작 시나리오 검증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뱅크로봇(100) 로그 정보를 상기 로봇제어 통신채널을 통해 확인하여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는, 상기 뱅크로봇(100)의 동작모드가 특정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를 처리하기 위한 동작모드로 자동 설정(또는 원격 설정)되고, 상기 뱅크로봇(100)에서 상기 금융거래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설정된 동작모드에 대응하는 시나리오에 따라 상기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를 처리하기 위한 정보(또는 데이터)를 전송하면, 상기 뱅크로봇(100) 운용장소에 구비된 금융망(예컨대, 당행망, CD공동망 등)을 통해 상기 은행에 구비된 금융시스템(또는 금융사 서버(155))와 연계하여 상기 뱅크로봇(100)으로부터 요청되는 금융거래(또는 금융상품 가입) 요청을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는 상기 뱅크로봇(100) 운용장소에 구비된 금융망 중, 당행망을 통해 상기 은행에 구비된 금융시스템과 연계하여 상기 뱅크로봇(100)으로부터 요청되는 금융거래(또는 금융상품 가입) 요청을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는 상기 뱅크로봇(100) 운용장소에 구비된 가상의 창구단말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때 상기 뱅크로봇(100)을 통해 제공 가능한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 종류는 상기 창구단말을 통해 제공 가능한 모든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는 상기 뱅크로봇(100) 운용장소에 구비된 금융망 중, CD공동망을 통해 상기 은행에 구비된 금융사 서버(155)와 연계하여 상기 금융시스템을 통해 상기 뱅크로봇(100)으로부터 요청되는 금융거래(또는 금융상품 가입) 요청을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는 상기 뱅크로봇(100) 운용장소에 구비된 가상의 CD/ATM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때 상기 뱅크로봇(100)을 통해 제공 가능한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 종류는 상기 CD/ATM을 통해 제공 가능한 모든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 뱅크로봇(100)의 자율적 이동 특성에 따른 도난 위험성에 따라 상기 뱅크로봇(100)을 통한 금융거래 종류 중 현금 인출 기능을 생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융시스템은 고객에게 개설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융계좌를 관리하고, 상기 금융계좌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융거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은행에 구비되는 전산시스템으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은행지점(또는 공공장소)에서 발생하는 여신 또는 수신 또는 신탁 또는 외국환과 같은 창구업무를 처리하는 계정계와, 본부업무의 처리와 영업점 정보지원 및 고객정보 관리를 처리하는 정보계와, 상기 금융시스템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금융시스템(또는 결제시스템) 간 상호접속,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통신망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대면 금융거래 수단(예컨대, 인터넷 뱅킹, 무선 뱅킹, IC칩 기반 무선 뱅킹, 텔레 뱅킹, TV 뱅킹 등)에서 상기 금융시스템으로 접근,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동망(예컨대, CD공동망, 금융공동망)을 통한 다양한 금융거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대외계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금융시스템은 상기 금융시스템 내 구성 요소간 인터페이싱을 제공하는 미들웨어(Middleware) 플랫폼에 해당하는 인터페이스 모듈과, 상기 금융시스템 내 구성요소에서 각각의 기능수행을 위해 요구되는 소정의 정보(예컨대, 원장 정보, 또는 고객 정보, 또는 경영 정보 등)를 저장 및 관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금융시스템은 당업자의 의도 또는 상기 금융시스템이 구비되는 각 은행의 종류(예컨대, 시중은행, 저축은행, 신탁은행)와 상기 금융시스템의 목적 및 특징에 따라, 외국환계 모듈(도시생략), 투자금융계 모듈(도시생략), 국제계 모듈(도시생략)과 같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가 더 포함되는 것이 가능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금융시스템에 대한 상세한 기술적 사항을 기 숙지하고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가 가상의 창구단말의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는 당행망을 통해 상기 금융시스템에 구비된 계정계와 정보계와 연계하여 상기 뱅크로봇(100)의 동작모드에 대응하는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를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가 가상의 CD/ATM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는 CD공동망을 통해 상기 은행에 구비된 금융사 서버(155)(예컨대, CD공동망 서버)에 접속하고, 상기 금융사 서버(155)와 연계하여 상기 금융시스템의 대외계를 통해 상기 뱅크로봇(100)의 동작모드에 대응하는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를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객관리 서버(145)는 상기 고객인식 기반 맞춤형 금융상품 홍보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당행 고객에 대한 고객 정보와 고객 인식 데이터와 고객 식별용 RFID 정보 및 상기 당행 고객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객관련 정보를 연계하여 저장하는 고객관리 D/B(150)를 구비하거나,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동하여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와 통신망을 통해 통신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고객관리 D/B(150)는 상기 금융시스템에 DBMS 상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상기 고객관리 서버(145)는 상기 DBMS를 운용 및 관리하는 금융시스템 상의 정보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고객관리 D/B(150)는 상기 금융시스템과 연계된 별도의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상기 고객관리 서버(145)는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고객관리 D/B(150)를 운용 및 관리하는 DB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고객관리 D/B(150)는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에 구비된 저장장치에 구비된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상기 고객관 리 서버(145)는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에서 상기 고객관리 D/B(150)를 운용 및 관리하는 DB관리 수단(도시생략)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고객관리 D/B(150)는 상기 뱅크로봇(100)의 메모리부(266)에 구비된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상기 고객관리 서버(145)는 상기 뱅크로봇(100) 상에서 상기 고객관리 D/B(150)를 운용 및 관리하는 DB관리 수단(도시생략)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객관리 D/B(150)에 저장되는 상기 고객 정보는, 상기 뱅크로봇(100)을 운용하는 은행의 금융거래 고객에 대한 고객 개인정보(예컨대, 고객 성명, 주민등록번호, 주소,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메일주소 등)와, 상기 고객의 회원정보(예컨대, 회원ID 정보, 또는 고객식별번호)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고객 정보는 상기 금융시스템 상의 DBMS에 구비된 고객원장 정보와 매칭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객 인식 데이터는, 상기 당행 고객이 상기 뱅크로봇(100)을 통해 적어도 한번 이상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를 제공받은 경우, 상기 뱅크로 봇(100)에 구비된 화상 인식수단(210)을 통해 인식된 고객의 안면 화상 데이터와, 상기 안면 화상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고객 안면의 눈, 코, 입, 귀의 상대적인 위치, 모양, 방향 데이터를 포함하는 안면 인식 데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고객 인식 데이터는, 상기 고객의 신분증으로부터 스캔된 신분증 이미지 컨텐츠 중 상기 고객 증명 사진에 대응하는 고객 이미지 데이터와, 상기 고객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고객 안면의 눈, 코, 입, 귀의 상대적인 위치, 모양, 방향 데이터를 포함하는 고객 이미지 인식 데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객 식별용 RFID 정보는, 상기 은행에서 상기 당행 고객에게 발급(또는 제공)한 통장/카드에 구비된 RFID 태그에 구비된 금융관련 RFID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고객 식별용 RFID 정보는 표준 RFID 코드 체계를 따르되, 금융권(또는 은행)에서 고객 식별용으로 사용되도록 정의된 코드 식별 체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고객 식별용 RFID 정보는 표준 RFID 코드 체계를 따르되, 상기 뱅크로봇(100)을 운용하는 은행에서 정의한 고유한 고객식별코드 체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객관련 정보는, 상기 은행에 상기 고객 명의로 개설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융상품과 매칭되는 계좌정보, 상기 은행에서 상기 고객에게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융거래를 제공하는 동안 획득된 고객관계관리(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CRM) 정보, 상기 고객관계관리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고객에게 홍보하도록 설정된 금융상품 홍보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은행지점(또는 공공장소)에서 고객인식 기반 맞춤형 금융상품 홍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뱅크로봇(100) 기능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2는 은행의 지점(예컨대, 영업점, 이동지점 등), 또는 공공장소(예컨대, 역사, 공항 등)에서 화상 인식 및/또는 고객이 소지한 통장/카드에 구비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를 기반으로 상기 뱅크로봇(100) 근처에 위치하는 복수의 고객 중 상기 뱅크로봇(100)을 운용하는 은행의 금융거래 고객(이하, "당행 고객"이라고 한다.) 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당행 고객에 대한 고객관련 정보(예컨대, 계좌정보, 홍보 대상 상품 정보, 고객관계관리 정보 등)를 확인한 후, 상기 고객관련 정보를 통해 상기 고객을 대상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객 맞춤형 금융상품을 홍보하는 기능을 구비한 뱅크로봇(100)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2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은행지점(또는 공공장소)에서 고객인식 기반 맞춤형 금융상품 홍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뱅크로봇(100) 기능 구성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2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하, 본 도면2에서 상기 뱅크로봇(100)에 구비되는 복수의 기능 구성요소가 연계하여 하나의 뱅크로봇(100)의 기능을 실현하되, 상기 뱅크로봇(100)에 구비된 주 제어부(230)에 의해 직접적으로 제어되지 않고, 일정 범위 내의 자유도를 가지고 동작(예컨대, 상기 뱅크로봇(100)에 구비된 주 제어부(230)의 정보처리 기능을 분산하여 상기 주 제어부(230)의 명령, 또는 상기 주 제어부(230)에 의해 직접적으로 제어되는 기능 구성부의 명령을 판독하여 동작하는)하는 기능 구성부 집합을 편의상 "수단"이라고 하고, 상기 수단들을 제어하거나, 또는 수단으로부터 입.출력되는 각종 정보를 처리하며, 상기 뱅크로봇(100)에 구비된 주 제어부(230)에 의해 직접 제어되는 기능 구성요소를 편의상 "부"라고 명명하여 상기 뱅크로봇(100)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여기서 상기 수단과 부의 명명은 상기 뱅크로봇(100)의 기술적 특징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수단에 포함된 각각의 기능 구성부가 상기 주 제어부(230)에 의해 직접적으로 제어되어도 무방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2를 참조하면, 당행 고객에게 고객인식 기반 맞춤형 금융상품 홍보 서비스(또는 가상 대면 인증 방식의 금융거래)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주 제어부(230)는 상기 뱅크로봇(10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통신부(254), 화면 출력부(256), 키 입력부(258), 카드 리더부(260), RFID 리더부(262), 신분증 스캔부(264), 메모리부(266), 위치 제어부(252), 안면 인식부(214) 및 고객 응대 처리부(225)를 각각 제어하고, 각 기능 구성부 간 정보(또는 데이터) 통신을 제어 및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주 제어부(230)는 하드웨어적으로 상기 무선 통신부(254), 화면 출력부(256), 키 입력부(258), 카드 리더부(260), RFID 리더부(262), 신분증 스캔부(264), 메모리부(266), 위치 제어부(252), 안면 인식부(214) 및 고객 응대 처리부(225)를 각각 제어하고, 각 기능 구성부 간 정보(또는 데이터) 통신을 제어 및 관리함으로써, 상기 당행 고객에게 고객인식 기반 맞춤형 금융상품 홍보 서비스(또는 가상 대면 인증 방식의 금융거래)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뱅크로봇(100)에 구비되는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와, 상기 프로그 램 코드를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주 제어부(230)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상기 무선 통신부(254), 화면 출력부(256), 키 입력부(258), 카드 리더부(260), RFID 리더부(262), 신분증 스캔부(264), 메모리부(266), 위치 제어부(252), 안면 인식부(214) 및 고객 응대 처리부(225)를 각각 제어하고, 각 기능 구성부 간 정보(또는 데이터) 통신을 제어 및 관리함으로써, 상기 당행 고객에게 고객인식 기반 맞춤형 금융상품 홍보 서비스(또는 가상 대면 인증 방식의 금융거래)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뱅크로봇(100)에 구비되는 프로그램 코드를 총칭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의해, 이하 본 도면2에서 상기 뱅크로봇(100)이 상기 당행 고객에게 고객인식 기반 맞춤형 금융상품 홍보 서비스(또는 가상 대면 인증 방식의 금융거래)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뱅크로봇(100)에 구비되어야 할 각 프로그램 코드에 대응하는 기능 구성부를 편의상 본 주 제어부(230) 내에 도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고객인식 기반 맞춤형 금융상품 홍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뱅크로봇(100)은, 상기 은행지점(또는 공공장소)를 방문한 고객 중 당행 고객을 응대하고, 상기 당행 고객에게 음성발화 및 음성인식을 기반으로 금융상품 홍보 또는 가상 대면 방식의 금융거래를 유도하기 위한 음성 출력수단(200)과 음성 입력수단(205)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음성 출력수단(200)과 음성 입력수단(205)을 제어하며, 상기 음성 입력수단(205)을 통해 입력되는 음성 인식 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고객에 대한 응대 상황을 확인하고, 응대 상황 별 발화 정보를 상기 음성 출력수단(200)을 통해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고객 응대 처리부(225)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뱅크로봇(100)의 전면에 위치하는 복수의 고객 중 상기 음성 출력수단(200)과 음성 입력수단(205) 및 고객 응대 처리부(225)에 의해 응대 받는 응대 대상 고객을 인식하는 화상 인식수단(210)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은행지점(또는 공공장소)를 방문한 고객 중 당행 고객을 인식하고, 상기 당행 고객을 응대하여 고객인식 기반 맞춤형 금융상품 홍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화상 인식수단(210)은, 상기 뱅크로봇(100)의 안면(또는 전면)부에 위치한 화상 입력장치(105)를 제어하며, 상기 화상 입력장치(105)로부터 상기 뱅크로봇(100)의 전면에 위치하는 복수의 고객에 대한 화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카메라부(212)와, 상기 카메라부(212)를 통해 획득된 화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응대 대상 고객에 대한 화상 데이터를 인식하는 화상 인식부(213)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뱅크로봇(100)의 안면(또는 전면)부에 위치한 화상 입력장치(105)는, 동일한 촬영(또는 화상획득) 조건(예컨대, 렌즈 배율(또는 굴절율), CCD(Charged Coupled Device) 감도, 해상도, 색상수 등)을 기반으로 자동 초점 제어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카메라(또는 디지털 캠코더) 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 로 하며, 적어도 두개 이상의 화상 입력장치(105)가 일정 간격(또는 거리)를 두고 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화상 입력장치(105)는 상기 뱅크로봇(100)의 안면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인간의 좌안과 우안과 같이 좌우 방향으로 일정 간격 떨어져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카메라부(212)는 상기 화상 입력장치(105)가 상기 뱅크로봇(100)의 전면에 위치하는 복수의 고객에 대한 화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화상 입력장치(105)를 통해 촬영된 화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카메라부(212)는 상기 화상 입력장치(105)가 상기 뱅크로봇(100)의 전면에 위치하는 복수의 고객에 대한 화상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화상 데이터에 포함된 복수의 피사체 중, 고객 안면을 자동 인식하여 복수의 피사체에 대한 복수의 초점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초점제어 과정에서 화상 입력장치(105)의 렌즈 이격거리 정보와, 상기 이격된 렌즈의 굴절율 정보(또는 배율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초점제어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카메라부(212)는 상기 화상 입력장치(105)의 촬영 방향(Line Of Sight; LOS)을 일정 범위 내에서 상하/좌우 방향으로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화상 입력장치(105)가 구비된 뱅크로봇(100)의 안면부를 일정 범위 내에서 상하/좌우 방향으로 제어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상 인식부(213)는 상기 카메라부(212)를 통해 적어도 두개 이상의 화상 입력장치(105)로부터 획득된 화상 데이터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화상 인식부(213)는 상기 획득된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복수의 초점에 대한 복수의 초점제어 정보를 기반으로 복수의 고객 안면에 대한 초점거리를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연산된 복수의 초점거리를 기반으로 복수의 고객 별 깊이값을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화상 인식부(213)는 상기 연산된 초점거리가 가장 가까운 고객을 상기 응대 대상 고객으로 인식하거나, 또는 상기 연산된 고객 별 깊이값이 가장 작은 고객을 상기 응대 대상 고객으로 인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화상 인식부(213)는 상기 획득된 화상 데이터에 대한 안면 인식을 통해 상기 뱅크로봇(100)을 바라보고(또는 상기 화상 입력장치(105)와 시선방 향(LOS)이 일치하고), 상기 뱅크로봇(100)을 향해 발화하고 있는(예컨대, 고객 안면 중 입술이 움직이고 있는) 고객을 상기 응대 대상 고객으로 인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응대 대상 고객이 인식되면, 상기 화상 인식부(213)는 상기 화상 데이터에 포함된 복수의 고객 화상 데이터 중 상기 응대 대상 고객 화상 데이터를 상기 응대 대상 고객 화상 데이터의 안면을 인식하는 안면 인식부(214)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응대 대상 고객이 당행 고객인지 인식하기 위해, 상기 뱅크로봇(100)은, 당행 고객에 대한 고객 정보와, 상기 당행 고객에 대한 고객 인식 데이터와 고객 식별용 RFID 정보 및 상기 당행 고객에 대한 고객관련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연계하여 저장하는 메모리부(266)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당행 고객에 대한 고객 정보와, 상기 당행 고객에 대한 고객 인식 데이터와 고객 식별용 RFID 정보 및 상기 당행 고객에 대한 고객관련 정보 중 일부(또는 전체)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통신망 상의 고객관리 서버(145)에 구비된 고객관리 D/B(150)에 저장되거나, 또는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에 구비된 고객관리 D/B(150)에 저장되거나, 또는 상기 금융시스템 상의 DBMS에 저장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여기서, 상기 고객 정보는, 상기 뱅크로봇(100)을 운용하는 은행의 금융거래 고객에 대한 고객 개인정보(예컨대, 고객 성명, 주민등록번호, 주소,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메일주소 등)와, 상기 고객의 회원정보(예컨대, 회원ID 정보, 또는 고객식별번호)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고객 정보는 상기 금융시스템 상의 DBMS에 구비된 고객원장 정보와 매칭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객 인식 데이터는, 상기 당행 고객이 상기 뱅크로봇(100)을 통해 적어도 한번 이상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를 제공받은 경우, 상기 뱅크로봇(100)에 구비된 화상 인식수단(210)을 통해 인식된 고객의 안면 화상 데이터와, 상기 안면 화상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고객 안면의 눈, 코, 입, 귀의 상대적인 위치, 모양, 방향 데이터를 포함하는 안면 인식 데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고객 인식 데이터는, 상기 고객의 신분증으로부터 스캔된 신분증 이미지 컨텐츠 중 상기 고객 증명 사진에 대응하는 고객 이미지 데이터와, 상기 고객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고객 안면의 눈, 코, 입, 귀의 상대적인 위치, 모 양, 방향 데이터를 포함하는 고객 이미지 인식 데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객 식별용 RFID 정보는, 상기 은행에서 상기 당행 고객에게 발급(또는 제공)한 통장/카드에 구비된 RFID 태그에 구비된 금융관련 RFID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고객 식별용 RFID 정보는 표준 RFID 코드 체계를 따르되, 금융권(또는 은행)에서 고객 식별용으로 사용되도록 정의된 코드 식별 체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고객 식별용 RFID 정보는 표준 RFID 코드 체계를 따르되, 상기 뱅크로봇(100)을 운용하는 은행에서 정의한 고유한 고객식별코드 체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객관련 정보는, 상기 은행에 상기 고객 명의로 개설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융상품과 매칭되는 계좌정보, 상기 은행에서 상기 고객에게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융거래를 제공하는 동안 획득된 고객관계관리(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CRM) 정보, 상기 고객관계관리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고객에게 홍보하도록 설정된 금융상품 홍보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 람직하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응대 대상 고객이 당행 고객인지 인식하기 위해, 상기 뱅크로봇(100)은, 상기 화상 인식수단(210)을 통해 인식된 응대 대상 고객 화상 데이터 중 안면 화상 데이터에 포함된 눈, 코, 입, 귀의 상대적인 위치, 모양, 방향 데이터를 포함하는 안면 인식 데이터를 인식하는 안면 인식부(214)와, 당행 고객에 대한 복수의 고객 인식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266)(또는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를 통해 통신망 상의 고객관리 D/B(150))와 연계하여 상기 안면 인식부(214)를 통해 인식된 안면 인식 데이터와 상기 메모리부(266)(또는 고객관리 D/B(150))에 구비된 복수의 고객 인식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응대 대상 고객이 당행 고객인지 인식하는 고객 인식부(236)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면 인식부(214)는 상기 화상 인식수단(210)을 통해 인식된 상기 응대 대상 고객의 안면 화상 데이터에 포함된 눈, 코, 입, 귀 등의 안면 객체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눈, 코, 입, 귀 등의 상대적인 위치 데이터와, 상기 인식된 눈, 코, 입, 귀 등의 모양(또는 형태) 데이터와, 상기 인식된 눈, 코, 입, 귀 등의 방향 데이터를 포함하는 안면 인식 데이터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안면 인식 부(214)가 상기 응대 대상 고객의 안면 화상 데이터에 포함된 눈, 코, 입, 귀의 상대적인 위치, 모양, 방향 데이터를 포함하는 안면 인식 데이터를 인식하는 기술적 특징을 기 숙지하고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안면 인식부(214)에 의해 상기 응대 대상 고객의 안면 인식 데이터가 인식되고, 상기 메모리부(266)에 복수의 당행 고객에 대한 고객 인식 데이터가 저장된 경우, 상기 고객 인식부(236)는 상기 응대 대상 고객의 안면 인식 데이터와 메모리부(266)에 저장된 고객 인식 데이터에 포함된 복수의 안면 인식 데이터(또는 고객 이미지 인식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고객이 상기 뱅크로봇(100)을 운용하는 은행의 금융거래 고객(=당행 고객)인지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고객 인식 데이터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통신망 상의 고객관리 서버(145)에 구비된 고객관리 D/B(150)에 저장된 경우, 상기 고객 인식부(236)는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를 통해 상기 통신망 상의 고객관리 서버(145)로 상기 응대 대상 고객의 안면 인식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상기 고객관리 서버(145)에서 상기 응대 대상 고객의 안면 인식 데이터와 상기 고객관리 D/B(150)에 저장된 고객 인식 데이터에 포함된 복수의 안면 인식 데이터(또는 고객 이미지 인식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고객이 상기 뱅크로봇(100)을 운용하는 은행의 금융거래 고객(=당행 고객)인지 인식하도록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상기 고객 인식 데이터가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에 구비된 고객관리 D/B(150)에 저장된 경우, 상기 고객 인식부(236)는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로 상기 응대 대상 고객의 안면 인식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에서 상기 응대 대상 고객의 안면 인식 데이터와 상기 고객관리 D/B(150)에 저장된 고객 인식 데이터에 포함된 복수의 안면 인식 데이터(또는 고객 이미지 인식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고객이 상기 뱅크로봇(100)을 운용하는 은행의 금융거래 고객(=당행 고객)인지 인식하도록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상기 고객 인식 데이터가 상기 금융시스템 상의 DBMS에 저장된 경우, 상기 고객 인식부(236)는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를 통해 상기 금융시스템으로 상기 응대 대상 고객의 안면 인식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상기 금융시스템에서 상기 응대 대상 고객의 안면 인식 데이터와 상기 고객관리 D/B(150)에 저장된 고객 인식 데이터에 포함된 복수의 안면 인식 데이터(또는 고객 이미지 인식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고객이 상기 뱅크로봇(100)을 운용하는 은행의 금융거래 고객(=당행 고객)인지 인식하도록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응대 대상 고객이 당행 고객인지 인식하기 위해, 상기 뱅크로봇(100)은, 상기 화상 인식수단(210)을 통해 인식된 응대 대상 고객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응대 대상 고객이 소지한 물건에 구비된 RFID 태그에 구비된 RFID 정보를 인식하는 RFID 리더부(262)와, 상기 인식된 복수의 RFID 정보 중, 상기 은행에서 고객에게 발급한 통장/카드에 구비된 금융관련 RFID 정보를 인식하는 고객 인식부(236)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RFID 리더부(262)는 ISO/IEC 18000 시리즈 규격 중 어느 하나의 규격에 따라 상기 뱅크로봇(100) 근처에서 RFID 무선 주파수 도달 범위에 존재하는 응대 대상 고객이 소지한 물건에 구비된 RFID 태그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RFID 정보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RFID 리더부(262)가 ISO/IEC 18000 시리즈 규격에 따라 상기 응대 대상 고객이 소지한 물건에 구비된 RFID 태그로부터 상기 복수의 RFID 정보를 리딩하는 기술적 특징을 기 숙지하고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RFID 리더부(262)를 통해 응대 대상 고객이 소지한 물건에 구비된 RFID 태그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RFID 정보가 인식되면, 상기 고객 인식부(236)는 상기 RFID 리더부(262)를 통해 인식된 상기 인식된 복수의 RFID 정보 중, 상기 은행에서 고객에게 발급한 통장/카드에 구비된 금융관련 RFID 정보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은행에서 고객에게 발급한 통장/카드에 구비된 금융관련 RFID 정보가 표준 RFID 코드 체계를 따르되, 금융권(또는 은행)에서 고객 식별용으로 사용되도록 정의된 코드 식별 체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금융관련 RFID 정보와 매칭되는 상기 고객 식별용 RFID 정보가 상기 메모리부(266)에 저장된 경우, 상기 고객 인식부(236)는 상기 RFID 리더부(262)를 통해 리딩된 RFID 정보 중 상기 메모리부(266)에 저장된 고객 식별용 RFID 정보와 매칭되는 금융관련 RFID 정보가 존재하는지 확인함으로써, 상기 RFID 정보에 상기 고객 식별용 RFID 정보와 매칭되는 금융관련 RFID 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응대 대상 고객을 상기 뱅크로봇(100)을 운용하는 은행의 금융거래 고객(=당행 고객)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만약 상기 은행에서 고객에게 발급한 통장/카드에 구비된 금융관련 RFID 정보가 표준 RFID 코드 체계를 따르되, 금융권(또는 은행)에서 고객 식별용으로 사용되도록 정의된 코드 식별 체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금융관련 RFID 정보와 매칭되는 고객 식별용 RFID 정보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통신망 상의 고객관리 서버(145)에 구비된 고객관리 D/B(150)에 저장된 경우, 상기 고객 인식부(236)는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를 통해 상기 통신망 상의 고객관리 서버(145)로 상기 RFID 리더부(262)를 통해 인식된 RFID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상기 고객관리 서버(145)에서 상기 RFID 정보와 상기 고객관리 D/B(150)에 저장된 고객 식별용 RFID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RFID 정보 중 상기 고객 식별용 RFID 정보와 매칭되는 금융관련 RFID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도록 처리하고, 상기 RFID 정보에 상기 고객 식별용 RFID 정보와 매칭되는 금융관련 RFID 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응대 대상 고객을 상기 뱅크로봇(100)을 운용하는 은행의 금융거래 고객(=당행 고객)으로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상기 은행에서 고객에게 발급한 통장/카드에 구비된 금융관련 RFID 정보가 표준 RFID 코드 체계를 따르되, 금융권(또는 은행)에서 고객 식별용으로 사용되도록 정의된 코드 식별 체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금융관련 RFID 정보와 매칭되는 고객 식별용 RFID 정보가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에 구비된 고객관리 D/B(150)에 저장된 경우, 상기 고객 인식부(236)는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로 상기 RFID 리더부(262)를 통해 인식된 RFID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에서 상기 RFID 정보와 상기 고객관리 D/B(150)에 저장된 고객 식별용 RFID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RFID 정보 중 상기 고객 식별용 RFID 정보와 매칭되는 금융관련 RFID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도록 처리하고, 상기 RFID 정보에 상기 고객 식별용 RFID 정보와 매칭되는 금융관련 RFID 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응대 대상 고객을 상기 뱅크로봇(100)을 운용하는 은행의 금융거래 고객(=당행 고객)으로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상기 은행에서 고객에게 발급한 통장/카드에 구비된 금융관련 RFID 정보가 표준 RFID 코드 체계를 따르되, 금융권(또는 은행)에서 고객 식별용으로 사용 되도록 정의된 코드 식별 체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금융관련 RFID 정보와 매칭되는 고객 식별용 RFID 정보가 상기 금융시스템 상의 DBMS에 저장된 경우, 상기 고객 인식부(236)는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를 통해 상기 금융시스템으로 상기 RFID 리더부(262)를 통해 인식된 RFID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상기 금융시스템에서 상기 RFID 정보와 상기 고객관리 D/B(150)에 저장된 고객 식별용 RFID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RFID 정보 중 상기 고객 식별용 RFID 정보와 매칭되는 금융관련 RFID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도록 처리하고, 상기 RFID 정보에 상기 고객 식별용 RFID 정보와 매칭되는 금융관련 RFID 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응대 대상 고객을 상기 뱅크로봇(100)을 운용하는 은행의 금융거래 고객(=당행 고객)으로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은행에서 고객에게 발급한 통장/카드에 구비된 금융관련 RFID 정보가 표준 RFID 코드 체계를 따르되, 상기 뱅크로봇(100)을 운용하는 은행에서 정의한 고유한 고객식별코드 체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경우, 상기 고객 인식부(236)는 상기 RFID 리더부(262)를 통해 인식된 RFID 정보에 상기 고객식별코드 체계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독함으로써, 상기 고객식별코드 체계를 포함하는 RFID 정보를 구비한 RFID 태그를 대상 고객을 상기 뱅크로봇(100)을 운용하는 은행의 금융거래 고객(=당행 고객)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고객 인식부(236)에 의해 응대 대상 고객이 당행 고 객으로 인식되면, 상기 뱅크로봇(100)은 상기 당행 고객으로 인식된 고객을 응대하여 고객인식 기반 맞춤형 금융상품 홍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당행 고객에게 음성 출력할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 유도 발화 정보와, 상기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 유도 발화 정보에 대응하는 복수의 고객 예상응답 정보를 연계하여 저장하고, 상기 음성 출력수단(200)을 통해 상기 당행 고객에게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를 유도하기 위해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 유도 발화 정보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발화 데이터를 음성 출력하도록 처리하고, 상기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 유도 발화에 대응하여 상기 음성 입력수단(205)을 통해 인식되는 고객음성 인식 데이터를 상기 고객 예상응답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고객이 원하는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 대상 정보를 확인하는 고객 응대 처리부(225)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당행 고객에게 음성 출력할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 유도 발화 정보와, 상기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 유도 발화 정보에 대응하는 복수의 고객 예상응답 정보는, 상기 뱅크로봇(100)에 구비된 메모리부(266)에 저장되어도 무방하며, 상기 뱅크로봇(100) 상의 저장 위치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 유도 발화 정보는, 상기 뱅크로봇(100) 이 상기 당행 고객에게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 유도를 위해 선 발화하는 정보로서, 고객 응대 발화 정보와, 상기 고객 응대 후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 유도 발화 정보를 순차적으로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 유도 발화 정보에 대응하는 복수의 고객 예상응답 정보는, 상가 음성 출력수단(200)을 통해 상기 당행 고객에게 발화된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 유도 발화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당행 고객으로부터 발화되어 상기 음성 입력수단(205)을 통해 인식될 것으로 예상되는 고객 음성 인식 데이터와 매칭되는 예상응답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고객 응대 처리부(225)는 상기 은행지점(또는 공공장소)를 방문한 고객을 응대 및 고객인식 기반 맞춤형 금융상품 홍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당행 고객으로부터 발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객 발화 예상 정보와, 상기 고객 발화 예상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당행 고객에게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를 유도하기 위한 복수의 모범응답 발화 정보를 연계하여 저장하고, 상기 음성 입력수단(205)을 통해 상기 당행 고객으로부터 인식되는 고객음성 인식 데이터와 매칭되는 고객 발화 예상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고객 발화 예상 정보와 연계된 복수의 모범응답 발화 정보 중 상기 당행 고객에게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를 유도하기 위한 모범응답 발화 정보를 상기 음성 출력수단(200)을 통해 음성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당행 고객으로부터 발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객 발화 예상 정보와, 상기 고객 발화 예상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당행 고객에게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를 유도하기 위한 복수의 모범응답 발화 정보는, 상기 뱅크로봇(100)에 구비된 메모리부(266)에 저장되어도 무방하며, 상기 뱅크로봇(100) 상의 저장 위치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고객 발화 예상 정보는, 상기 뱅크로봇(100)의 전면에 위치하고, 상기 뱅크로봇(100)을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당행 고객이 상기 뱅크로봇(100)에게 발화함으로써, 상기 음성 입력수단(205)을 통해 인식될 것으로 예상되는 상기 당행 고객의 예상 발화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고객 발화 예상 정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객 질의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고객 발화 예상 정보는 상기 고객 질의 정보에 포함될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워드 정보(예컨대, 금융거래 키워드, 또는 금융상품 키워드 등)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객 발화 예상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당행 고객에게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를 유도하기 위한 복수의 모범응답 발화 정보는, 상기 고객 발화 예상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객 질의 정보에 대응하는 모범답변 정보로서, 상기 모법답변은 상기 고객 질의에 답변하되, 상기 당행 고객에게 상기 뱅크로봇(100)을 통해 제공 가능한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를 유도하는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은행지점(또는 공공장소)를 방문한 고객을 응대 및 고객인식 기반 맞춤형 금융상품 홍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음성 출력수단(200)은 상기 당행 고객에게 출력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화 데이터에 대응하는 디지털 발화 음성 신호를 생성하는 발화 생성부(204)와, 발화 데이터에 대응하는 디지털 발화 음성 신호를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뱅크로봇(100)에 구비된 음성 출력장치(202)(예컨대,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203)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음성 입력수단(205)은 상기 뱅크로봇(100)에 구비된 음성 입력장치(206)를 통해 상기 당행 고객으로부터 발화된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디지털 음성 신호로 변환하는 음성 입력부(207)와, 상기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디지털 음성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디지털 음성 신호로부터 상기 당행 고객의 음성 신호만 선택적으로 증폭하고, 나머지 잡음을 필터링하여 소거하는 음원 정위부(209)(209)와, 상기 정 위된 디지털 음성 신호를 인식하여 상기 당행 고객에 대한 고객음성 인식 데이터를 인식하는 음성 인식부(208)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화상 인식부(213)에 의해 상기 당행 고객이 인식되면, 상기 고객 응대 처리부(225)는 상기 인식된 당행 고객에 대한 고객 응대 발화 정보와, 상기 고객 응대 후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 유도 발화 정보를 순차적으로 상기 발화 생성부(204)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객 응대 처리부(225)에 의해 상기 인식된 당행 고객에 대한 고객 응대 발화 정보와, 상기 고객 응대 후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 유도 발화 정보를 순차적으로 제공되면, 상기 발화 생성부(204)는 상기 발화 정보에 대응하는 디지털 발화 음성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발화 생성부(204)는 TTS(Text To Speech) 방식에 따라 상기 고객 응대 발화 정보와, 상기 고객 응대 후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 유도 발화 정보를 순차적으로 발화하는 디지털 발화 음성 신호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화 생성부(204)에 의해 상기 고객 응대 발화 정보와, 상기 고객 응대 후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 유도 발화 정보를 순차적으로 포함하는 디지털 발화 음성 신호가 생성되면, 상기 음성 출력부(203)는 상기 생성된 디지털 발화 음성 신호를 디코딩하여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뱅크로봇(100)에 구비된 음성 출력장치(202)(예컨대,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객 응대 발화 정보와, 상기 고객 응대 후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 유도 발화 정보를 순차적으로 포함하는 음성 신호가 출력된 후, 상기 음성 입력부(207)는 상기 당행 고객으로부터 발화된 후, 상기 뱅크로봇(100)에 구비된 음성 입력장치(206)를 통해 입력되는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입력된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엔코딩하여 디지털 음성 신호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음성 입력부(207)를 통해 상기 디지털 음성 신호가 엔코딩되면, 상기 음원 정위부(209)(209)는 상기 디지털 음성 신호로부터 상기 당행 고객의 음성 신호만 선택적으로 증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당행 고객의 음성 신호 이외에 나머지 잡음은 필터링하여 소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음원 정위부(209)(209)가 상기 당행 고객의 음성 신호만 선택적으로 증폭하고, 나머지 잡음 을 필터링하는 다양한 실시 방법(또는 알고리즘)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음원 정위부(209)(209)에 의해 상기 당행 고객의 음성 신호가 선택적으로 정위되면, 상기 음성 인식부(208)는 상기 정위된 디지털 음성 신호를 인식하여 상기 당행 고객에 대한 고객음성 인식 데이터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인식된 고객음성 인식 데이터를 상기 고객 응대 처리부(225)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음성 인식부(208)는 상기 정위된 디지털 음성 신호를 패턴 인식(또는 자연어 처리) 알고리즘에 따라 인식하거나, 또는 상기 정위된 디지털 음성 신호를 STT(Speech To Text) 방식에 따라 처리하여 상기 당행 고객에 대한 고객음성 인식 데이터를 인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음성 인식부(208)가 상기 당행 고객에 대한 고객음성 인식 데이터를 인식하는 기술적 특징을 기 숙지하고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음성 인식부(208)를 통해 상기 고객음성 인식 데이터가 제공되면, 상기 고객 응대 처리부(225)는 상기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 유도 발화 정보와 연 계된 복수의 고객 예상응답 정보 중 상기 인식된 상기 인식된 고객음성 인식 데이터와 매칭되는 고객 예상응답 정보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만약 상기 인식된 고객음성 인식 데이터와 매칭되는 고객 예상응답 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고객 응대 처리부(225)는 상기 고객 예상응답 정보를 상기 음성 출력수단(200)을 통해 발화되어 상기 당행 고객에게 음성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고객음성 인식 데이터는 상기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 유도 발화 정보에 대응하는 특정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를 요청(또는 고객 승인)하는 고객 예상응답 정보와 매칭되는 것이 가능하며, 이 경우 상기 고객 응대 처리부(225)는 상기 고객음성 인식 데이터(또는 고객 예상응답 정보)에 대응하는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를 위한 상기 뱅크로봇(100)의 동작모드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확인된 뱅크로봇(100) 동작모드 정보를 상기 주 제어부(230)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화상 인식부(213)에 의해 상기 당행 고객이 인식되면, 상기 고객 응대 처리부(225)는 상기 당행 고객으로부터 발화되어 상기 음성 입력수단(205)을 통해 입력, 정위 및 인식되는 고객음성 인식 데이터와 매칭되는 고객 발화 예상 정보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만약 상기 고객음성 인식 데이터와 매칭되는 고객 발화 예상 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고객 응대 처리부(225)는 상기 고객 발화 예상 정보와 연계된 복수의 모범응답 발화 정보 중 상기 당행 고객에게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를 유도하기 위한 특정 모범응답 발화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모범응답 발화 정보를 상기 음성 출력수단(200)을 통해 음성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고객음성 인식 데이터는 상기 고객 발화 예상 정보 중 상기 당행 고객이 상기 뱅크로봇(100)에게 특정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를 요청(또는 고객 승인)하는 고객 발화 예상 정보와 매칭되는 것이 가능하며, 이 경우 상기 고객 응대 처리부(225)는 상기 고객음성 인식 데이터(또는 고객 발화 예상 정보)에 대응하는 고객인식 기반 맞춤형 금융상품 홍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상기 뱅크로봇(100)의 동작모드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확인된 뱅크로봇(100) 동작모드 정보를 상기 주 제어부(230)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객인식 기반 맞춤형 금융상품 홍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뱅크로봇(100)은, 상기 은행지점(또는 공공장소) 내에서 상기 뱅크로봇(100)의 위치를 상기 은행지점(또는 공공장소)에 방문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객에게 고객인식 기반 맞춤형 금융상품 홍보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결정된 뱅크로봇(100) 동작 위치로 이동시키는 자율적 이동수단(215)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자율적 이동수단(215)을 제어하며, 상기 뱅크로봇(100)이 운용되는 은행지점(또는 공공장소) 내에서 상기 뱅크로봇(100) 동작 위치가 결정되면, 상기 은행지점(또는 공공장소)에 대한 운용장소 맵 데이터와 상기 운용장소 맵 데이터 상의 동선 제어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뱅크로봇(100)의 현재 위치에서 상기 뱅크로봇(100) 동작 위치까지 이동할 이동 경로 정보를 설정하는 위치 제어부(252)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뱅크로봇(100)이 상기 뱅크로봇(100) 동작 위치로 이동하기 위한 이동 경로 상의 장애요소를 검출하거나, 또는 장애 회피 경로를 재탐색하기 위한 상기 은행지점(또는 공공장소) 상의 장애 회피 위치를 검출하는 화상 인식수단(210)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뱅크로봇(100)의 위치를 상기 은행지점(또는 공공장소) 내 구비된 뱅크로봇(100) 동작 위치로 이동하기 위해, 상기 화상 인식수단(210)은, 상기 뱅크로봇(100)의 안면(또는 전면)부에 위치한 화상 입력장치(105)를 제어하며, 상기 화상 입력장치(105)를 통해 상기 뱅크로봇(100)의 현재 위치에서 상기 자율적 이동수단(215)을 통해 이동하는 이동 경로에 대한 화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카메라부(212)와, 위치하는 복수의 고객에 대한 화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카메라부(212)와, 상기 카메라부(212)를 통해 획득된 화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이동 경로 상의 장애요소(예컨대, 고객, 또는 물건)를 인식하는 화상 인식부(213)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뱅크로봇(100)의 안면(또는 전면)부에 위치한 화상 입력장치(105)는, 동일한 촬영(또는 화상획득) 조건(예컨대, 렌즈 배율(또는 굴절율), CCD(Charged Coupled Device) 감도, 해상도, 색상수 등)을 기반으로 자동 초점 제어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카메라(또는 디지털 캠코더) 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적어도 두개 이상의 화상 입력장치(105)가 일정 간격(또는 거리)를 두고 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화상 입력장치(105)는 상기 뱅크로봇(100)의 안면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인간의 좌안과 우안과 같이 좌우 방향으로 일정 간격 떨어져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카메라부(212)는 상기 화상 입력장치(105)가 상기 뱅크로봇(100)의 전면에 위치하는 복수의 고객에 대한 화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화상 입력장치(105)를 통해 촬영된 화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카메라부(212)는 상기 카메라부(212)는 상기 화상 입력장치(105)의 촬영 방향(Line Of Sight; LOS)을 일정 범위 내에서 상하/좌우 방향으로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화상 입력장치(105)가 구비된 뱅크로 봇(100)의 안면부를 일정 범위 내에서 상하/좌우 방향으로 제어함으로써, 상기 화상 입력장치(105)를 통해 상기 뱅크로봇(100)의 현재 위치에서 상기 자율적 이동수단(215)을 통해 이동할 이동 경로에 대한 화상 데이터를 획득하도록 하고, 상기 화상 데이터에 포함된 이동 경로 상에 상기 뱅크로봇(100)의 이동을 방해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피사체(예컨대, 고객, 또는 물건)이 위치하는지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이동 경로가 N(N>=1)개의 방향 전환점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이동 경로 상의 제1 방향 전환점까지의 이동 경로 상에 상기 뱅크로봇(100)의 이동을 방해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피사체(예컨대, 고객, 또는 물건)이 위치하는지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후 상기 확인 과정은 제2 방향 전환점에서 제N 방향 전환점까지 반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뱅크로봇(100)의 이동 경로 상에(또는 상기 이동 경로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향 전환점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뱅크로봇(100)의 현재 위치에서 다음 방향 전환점까지) 상기 뱅크로봇(100)의 이동을 방해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피사체(예컨대, 고객, 또는 물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카메라부(212)는 상기 뱅크로봇(100)의 현재 위치에서 상기 이동 경로에 따른 뱅크로봇(100) 동작 위치(또는 상기 뱅크로봇(100)의 현재 위치에서 다음 방향 전환점)에 대한 화상 입력장치(105) 초점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초 점제어 과정에서 화상 입력장치(105)의 렌즈 이격거리 정보와, 상기 이격된 렌즈의 굴절율 정보(또는 배율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초점제어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뱅크로봇(100)의 이동 경로 상에(또는 상기 이동 경로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향 전환점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뱅크로봇(100)의 현재 위치에서 다음 방향 전환점까지) 상기 뱅크로봇(100)의 이동을 방해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피사체(예컨대, 고객, 또는 물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카메라부(212)는 상기 화상 입력장치(105)의 촬영 방향(Line Of Sight; LOS)을 일정 범위 내에서 상하/좌우 방향으로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화상 입력장치(105)가 구비된 뱅크로봇(100)의 안면부를 일정 범위 내에서 상하/좌우 방향으로 제어함으로써, 상기 화상 입력장치(105)를 통해 상기 뱅크로봇(100)의 현재 위치에서 상기 뱅크로봇(100) 동작 위치 사이에 장애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위치(또는 공간)에 대한 화상 데이터를 획득하도록 하고, 상기 뱅크로봇(100)의 현재 위치에서 장애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위치(또는 공간)에 대한 화상 입력장치(105) 초점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초점제어 과정에서 화상 입력장치(105)의 렌즈 이격거리 정보와, 상기 이격된 렌즈의 굴절율 정보(또는 배율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초점제어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상 인식부(213)는 상기 카메라부(212)를 통해 적어도 두개 이상의 화 상 입력장치(105)로부터 획득된 화상 데이터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획득된 화상 데이터에 상기 뱅크로봇(100)의 이동을 방해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피사체(예컨대, 고객, 또는 물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화상 인식부(213)는 상기 획득된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초점제어 정보(예컨대, 렌즈 이격거리 정보와, 상기 이격된 렌즈의 굴절율 정보(또는 배율 정보))를 상기 뱅크로봇(100)의 현재 위치에서 상기 이동 경로에 따른 뱅크로봇(100) 동작 위치(또는 상기 뱅크로봇(100)의 현재 위치에서 다음 방향 전환점)까지 초점거리를 연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획득된 화상 데이터에 상기 뱅크로봇(100)의 이동을 방해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피사체(예컨대, 고객, 또는 물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화상 인식부(213)는 상기 획득된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초점제어 정보(예컨대, 렌즈 이격거리 정보와, 상기 이격된 렌즈의 굴절율 정보(또는 배율 정보))를 상기 뱅크로봇(100)의 현재 위치에서 장애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위치(또는 공간)까지 초점거리를 연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뱅크로봇(100)의 위치를 상기 은행지점(또는 공공장소) 내 구비된 뱅크로봇(100) 동작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상기 화상 인식수단(210)에서 상기 이동 경로에 대한 화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과정, 상기 화상 데이터에 상기 뱅크로봇(100)의 이동을 방해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피사체(예컨대, 고객, 또는 물건)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과정, 만약 상기 화상 데이터에 뱅크로봇(100)의 이동을 방해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피사체(예컨대, 고객, 또는 물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획득된 화상 데이터에 대한 초점제어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뱅크로봇(100)의 현재 위치에서 상기 이동 경로에 따른 뱅크로봇(100) 동작 위치(또는 상기 뱅크로봇(100)의 현재 위치에서 다음 방향 전환점)까지 초점거리를 연산하는 과정, 또는 상기 화상 데이터에 뱅크로봇(100)의 이동을 방해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피사체(예컨대, 고객, 또는 물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장애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위치(또는 공간)에 대한 화상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화상 데이터에 대한 초점제어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뱅크로봇(100)의 현재 위치에서 장애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위치(또는 공간)까지 초점거리를 산출하는 과정을 주기적으로 반복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반복 주기는 상기 뱅크로봇(100)의 이동 속도에 반비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뱅크로봇(100)의 위치를 상기 은행지점(또는 공공장소) 내 구비된 뱅크로봇(100) 동작 위치로 이동하기 위해, 상기 자율적 이동수단(215)은, 상기 이동 경로 상에 상기 뱅크로봇(100)의 이동을 방해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피사체(예컨대, 고객, 또는 물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화상 인식수단(210)을 통해 획득된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초점제어 정보와 상기 화상 입력장치(105) 간 거리를 기반으로 상기 뱅크로봇(100)의 현재 위치에서 상기 이동 경로에 따른 뱅크로봇(100) 동작 위치(또는 상기 뱅크로봇(100)의 현재 위치에서 다음 방향 전환점)까지 이동 거리를 산출하거나, 또는 상기 이동 경로 상에 상기 뱅크로봇(100)의 이동을 방해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피사체(예컨대, 고객, 또는 물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화상 인식수단(210)을 통해 획득된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초점제어 정보와 상기 화상 입력장치(105) 간 거리를 기반으로 상기 뱅크로봇(100)의 현재 위치에서 상기 장애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위치(또는 공간)까지 이동 거리를 산출하는 거리 산출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이동 경로 상에 상기 뱅크로봇(100)의 이동을 방해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피사체(예컨대, 고객, 또는 물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거리 산출부는 상기 화상 인식수단(210)을 통해 획득된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초점제어 정보와 상기 화상 입력장치(105) 간 거리를 기반으로 삼각 측량법에 따라 상기 뱅크로봇(100)의 현재 위치에서 상기 이동 경로에 따른 뱅크로봇(100) 동작 위치(또는 상기 뱅크로봇(100)의 현재 위치에서 다음 방향 전환점)까지 이동 거리를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이동 경로 상에 상기 뱅크로봇(100)의 이동을 방해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피사체(예컨대, 고객, 또는 물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거리 산출부는 상기 화상 인식수단(210)을 통해 획득된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초점제어 정보와 상기 화상 입력장치(105) 간 거리를 기반으 로 삼각 측량법에 따라 상기 뱅크로봇(100)의 현재 위치에서 상기 장애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위치(또는 공간)까지 이동 거리를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뱅크로봇(100)의 위치를 상기 은행지점(또는 공공장소) 내 구비된 뱅크로봇(100) 동작 위치로 이동하기 위해, 상기 자율적 이동수단(215)은, 상기 뱅크로봇(100) 동작 위치가 결정되고, 상기 뱅크로봇(100)이 운용되고 있는 은행지점(또는 공공장소)에 대응하는 운용장소 맵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뱅크로봇(100)의 현재 위치에서 상기 뱅크로봇(100) 동작 위치까지 이동할 이동 경로 정보가 설정되면, 상기 화상 인식수단(210)을 통해 상기 이동 경로 상에 장애요소가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상기 장애요소에 따라 상기 뱅크로봇(100)의 위치를 현재 위치에서 상기 뱅크로봇(100) 동작 위치까지 이동시킬 이동 계획을 설정하는 이동 계획 설정부(218)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뱅크로봇(100)의 동작 위치는 상기 뱅크로봇(100)에 구비된 위치 제어부(252)에 의해 메모리부(266)에 저장된 복수개의 금융거래 시나리오, 또는 금융상품 홍보 시나리오 중, 상기 뱅크로봇(100)의 동작모드에 대응하는 시나리오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은행지점(또는 공공장소) 내에서 상기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 시나리오에 따른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를 최적화하여 수행할 위치로 자동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뱅크로봇(100)의 현재 위치에서 상기 뱅크로봇(100) 동작 위치까지의 이동 경로 정보는 상기 은행지점(또는 공공장소)에 대한 운용장소 맵 데이터와 동선 제어 데이터를 기반으로 이론적으로 최단 경로로 자동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운용장소 맵 데이터와 동선 제어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뱅크로봇(100)의 현재 위치에서 상기 뱅크로봇(100) 동작 위치까지의 이동 경로 정보가 설정되면, 상기 이동 계획 설정부(218)는 상기 화상 인식수단(210)과 연계하여 상기 이동 경로에 대한 화상 데이터를 획득하도록 처리하고, 상기 획득된 화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이동 경로 상의 장애요소(예컨대, 고객, 또는 물건)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만약 상기 이동 경로 상에 장애요소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이동 계획 설정부(218)는 상기 화상 인식수단(210)과 연계하여 상기 장애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위치에 대한 화상 데이터를 획득하도록 처리하고, 상기 획득된 화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뱅크로봇(100)이 실제 이동할 신규 이동 경로를 재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이동 경로 상에 장애요소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이동 계획 설정부(218)는 상기 운용장소 맵 데이터와 동선 제어 데이터를 기반으로 생성된 이동 경로 정보를 상기 뱅크로봇(100)이 실제 이동할 실제 이동 경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상기 뱅크로봇(100)이 실제 이동할 신규(또는 실제) 이동 경로가 설정되면, 상기 이동 계획 설정부(218)는 상기 이동 경로에 포함된 N(N>=1)개의 방향 전환점 중, 현재 위치에서 제1 방향 전환점(또는 이동 경로에 방향 전환점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뱅크로봇(100) 동작 위치)까지의 이동 계획 정보를 수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이동 계획 정보는 상기 뱅크로봇(100)의 현재 위치에서 상기 제1 방향 전환점(또는 이동 경로에 방향 전환점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뱅크로봇(100) 동작 위치)으로 이동하기 위한 방향 전환 정보와 이동 속도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뱅크로봇(100)이 상기 이동 경로에 포함된 N(N>=1)개의 방향 전환점 중, 제n(1<=n<=N) 방향 전환점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이동 계획 설정부(218)는 상기 제n 방향 전환점에서 제(n+1) 방향 전환점(또는 뱅크로봇(100) 동작 위치)까지의 이동 계획 정보를 수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이동 계획 정보는 상기 뱅크로봇(100)의 제n 방향 전환점에서 상기 제(n+1) 방향 전환점(또는 뱅크로봇(100) 동작 위치)으로 이동하기 위한 방향 전환 정보와 이동 속도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뱅크로봇(100)의 위치를 상기 은행지점(또는 공공장소) 내 구비된 뱅크로봇(100) 동작 위치로 이동하기 위해, 상기 자율적 이동수단(215)은, 상기 뱅크로봇(100)의 하단에 구비되는 적어도 3개 이상의 바퀴와, 상기 바퀴를 구동하는 모터부(도시생략)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이동 기구부(220)와, 상기 이동 계획 설정부(218)에 의해 설정된 이동 계획 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이동 계획 정보에 포함된 방향 전환 정보에 따라 상기 뱅크로봇(100)의 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방향전환 명령과, 상기 이동 계획 정보에 포함된 이동 속도 정보에 따라 상기 방향 전환된 뱅크로봇(100)의 위치를 이동 시키기 위한 이동 명령을 생성하는 이동 지시부(217)와, 상기 방향전환 명령 및 이동 명령에 따라 상기 이동 기구부(220)를 제어하는 이동 제어부(216)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 기구부(220)는 상기 뱅크로봇(100)의 하단에 구비되며, 평지에서 상기 뱅크로봇(100)을 안정하게 이동 시키기 위한 적어도 3개 이상의 바퀴와, 상기 바퀴들을 구동하는 모터부(도시생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이동 기구부(220)는 상기 3개 이상의 바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바퀴를 회전하여 상기 뱅크로봇(100)의 방향을 일정 회전 반경 내에서 전환하도록 처리하는 방향 전환부(도시생략)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이동 기구부(220)는 상기 3개 이상의 바퀴 중 적어도 두 종류 이상의 바퀴의 회전 속도(또는 회전 방향)를 서로 다르게 제어하여 정지 상태(또는 이동 중)에서 상기 뱅크로봇(100)의 방향을 전환하도록 처리하는 방향 전환부(도시생략)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이동 기구부(220)는 상기 바퀴와 모터부(도시생략) 및 방향 전환부 이외에 이족 보행 기구부(도시생략)가 구비되어도 무방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이동 계획 설정부(218)에 의해 상기 이동 계획 정보가 설정되면, 상기 이동 지시부(217)는 상기 설정된 이동 계획 정보에 따라 상기 뱅크로봇(100)의 이동 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방향전환 명령을 생성하여 상기 이동 제어부(216)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대응하여 상기 이동 제어부(216)는 전원 공급부(도시생략)로부터 상기 이동 기구부(220)로 제공되는 전원 특성(또는 회로 신호)을 제어하여 상기 뱅크로봇(100)의 방향을 상기 방향전환 명령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 지시부(217)는 상기 설정된 이동 계획 정보에 따라 상기 뱅 크로봇(100)이 정지 상태에서 일정 이동 속도로 이동하기 위한 이동 명령을 생성하여 상기 이동 제어부(216)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대응하여 상기 이동 제어부(216)는 전원 공급부(도시생략)로부터 상기 이동 기구부(220)로 제공되는 전원 특성(또는 회로 신호)을 제어하여 상기 뱅크로봇(100)이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뱅크로봇(100)의 위치를 상기 은행지점(또는 공공장소) 내 구비된 뱅크로봇(100) 동작 위치로 이동하기 위해, 상기 뱅크로봇(100)은, 상기 뱅크로봇(100)이 운용되는 은행지점(또는 공공장소)에 대한 운용장소 맵 데이터와, 상기 운용장소 맵 데이터 상에서 상기 뱅크로봇(100)이 이동할 수 있는 동선 제어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메모리부(266)에 저장된 복수의 시나리오 정보 중 상기 뱅크로봇(100)의 동작모드에 대응하는 시나리오 정보에 대응하는 뱅크로봇(100) 동작 위치가 결정되면, 상기 운용장소 맵 데이터와 동선 제어 데이터를 통해 상기 뱅크로봇(100)이 현재 위치에서 상기 뱅크로봇(100) 동작 위치까지 이동하기 위한 이동 경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자율적 이동수단(215)으로 제공하는 위치 제어부(252)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뱅크로봇(100)이 운용되는 은행지점(또는 공공장소)에 대한 운용장소 맵 데이터와, 상기 운용장소 맵 데이터 상에서 상기 뱅크로봇(100)이 이동할 수 있는 동선 제어 데이터는, 상기 뱅크로봇(100)에 구비된 메모리부(266)에 저 장되어도 무방하며, 상기 뱅크로봇(100) 상의 저장 위치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운용장소 맵 데이터는, 상기 뱅크로봇(100)이 운용되는 은행지점(또는 공공장소)에 대한 2차원 맵 데이터, 또는 3차원 맵 데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운용장소 맵 데이터는 은행지점과 같이 벽면으로 둘러싸이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입구가 구비된 폐쇄형 맵 데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운용장소 맵 데이터 상의 좌표 기준 간격은 상기 뱅크로봇(100)의 실측 기준 간격과 일대일 매칭(또는 비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운용장소 맵 데이터가 은행지점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맵 데이터는 창구직원이 사용하는 책상/의자, 고객용 의자, 에어컨, 전표작성 테이블, CD/ATM 등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고정 객체(Fixed Object)와, 적어도 두개 이상의 고정 객체 거리가 상기 뱅크로봇(100)의 폭보다 작아서 상기 뱅크로봇(100)이 통과할 수 없는 섀도우 객체(Shadow Object)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운용장소 맵 데이터는 공공장소와 같이 일정 범위 내에서 맵 영역을 한정하는 구조물이 없는 개방형 맵 데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운용장소 맵 데이터가 공원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맵 데이터 상에는 공원용 의자, 나무, 놀이기구, 화단 등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고정 객체와, 상기 고정 객체에는 포함되지 않지만 비포장 도로, 웅덩이/연못 등과 같이 상기 뱅크로봇(100)이 접근할 수 없는 준 고정 객체와, 적어도 두개 이상의 고정 객체(또는 준 고정 객체) 거리가 상기 뱅크로봇(100)의 폭보다 작아서 상기 뱅크로봇(100)이 통과할 수 없는 섀도우 객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운용장소 맵 데이터 상의 좌표 기준 간격은 상기 뱅크로봇(100)의 실측 기준 간격과 일대일 매칭(또는 비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운용장소 맵 데이터는 상기 은행지점(또는 공공장소)에서 상기 뱅크로봇(100)이 현재 위치하고 있는 좌표 값을 포함하는 뱅크로봇(100) 현재 위치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뱅크로봇(100) 현재 위치 정보는 상기 뱅크로봇(100)의 위치 이동에 따라 실시간(또는 주기적)으로 갱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동선 제어 데이터는 상기 운용장소 맵 데이터 상에서 상기 뱅크로 봇(100)이 상기 고정 객체, 준 고정 객체, 섀도우 객체를 회피하여 이동할 수 있는 동선 정보(예컨대, 백터 정보)와, 동선에 따라 이동하기 위해 각 방향 전환점에서 상기 뱅크로봇(100)이 방향전환을 위해 일정 방향으로 회전해야 하는 회전각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동선 제어 데이터는 상기 은행지점(또는 공공장소)에서 고객이 이동하는 고객 동선 데이터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상기 뱅크로봇(100) 동작 위치는 상기 고객 동선 상에 위치하지 않도록(또는 고객 동선에 방해되지 않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뱅크로봇(100)에 구비된 메모리부(266)에 저장된 복수의 시나리오 정보 중 상기 뱅크로봇(100)의 동작모드에 대응하는 시나리오 정보가 선택되고, 상기 시나리오 정보에 포함된 뱅크로봇(100) 동작 위치가 확인되면, 상기 위치 제어부(252)는 상기 운용장소 맵 데이터 상에서 상기 뱅크로봇(100)의 현재 위치와 상기 뱅크로봇(100) 동작 위치 정보를 연결하는 동선 정보와 상기 동선의 각 방향 전환점에 대한 회전각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동선 제어 데이터를 확인하고, 상기 동선 제어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뱅크로봇(100)이 현재 위치에서 상기 뱅크로봇(100) 동작 위치까지 이동하기 위한 이동 경로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이동 경로 정보는 상기 뱅크로봇(100)의 현재 위치에서 상기 뱅크로봇(100) 동작 위치까지의 백터 값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이동 경로 정보는 상기 뱅크로봇(100)의 현재 위치에서 상기 뱅크로봇(100) 동작 위치까지의 2차원(또는 3차원) 좌표 값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상기 위치 제어부(252)는 상기 생성된 이동 경로 정보를 상기 자율적 이동수단(215)으로 제공함으로써, 상기 자율적 이동수단(215)이 상기 이동 경로를 따라 상기 뱅크로봇(100) 동작 위치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객인식 기반 맞춤형 금융상품 홍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뱅크로봇(100)은, 상기 은행지점(또는 공공장소)를 방문한 고객에 대한 가상의 대면 인증을 처리하기 위해 상기 당행 고객에 대한 안면 화상 데이터를 인식하는 화상 인식수단(210)과, 상기 안면 화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당행 고객의 안면 인식 데이터를 획득하는 안면 인식부(214)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은행지점(또는 공공장소)를 방문한 고객에 대한 가상의 대면 인증을 처리하기 위해, 상기 화상 인식수단(210)은, 상기 뱅크로봇(100) 의 안면(또는 전면)부에 위치한 화상 입력장치(105)를 제어하며, 상기 화상 입력장치(105)로부터 상기 뱅크로봇(100)의 전면에서 상기 고객 응대 처리부(225)에 의해 응대받고 있는 당행 고객의 안면 화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카메라부(212)와, 상기 카메라부(212)를 통해 획득된 상기 당행 고객의 안면 화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당행 고객에 대한 안면 화상 데이터를 인식하는 화상 인식부(213)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뱅크로봇(100)의 안면(또는 전면)부에 위치한 화상 입력장치(105)는, 동일한 촬영(또는 화상획득) 조건(예컨대, 렌즈 배율(또는 굴절율), CCD(Charged Coupled Device) 감도, 해상도, 색상수 등)을 기반으로 자동 초점 제어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카메라(또는 디지털 캠코더) 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적어도 두개 이상의 화상 입력장치(105)가 일정 간격(또는 거리)를 두고 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화상 입력장치(105)는 상기 뱅크로봇(100)의 안면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인간의 좌안과 우안과 같이 좌우 방향으로 일정 간격 떨어져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카메라부(212)는 상기 화상 입력장치(105)가 상기 뱅크로봇(100)의 상기 뱅크로봇(100)의 전면에서 상기 고객 응대 처리부(225)에 의해 응대받고 있는 당행 고객의 안면 화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화상 입력장치(105)를 통해 촬영된 당행 고객의 안면 화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카메라부(212)는 상기 화상 입력장치(105)가 상기 뱅크로봇(100)의 전면에 위치하는 당행 고객의 안면 화상 데이터에 대한 초점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초점제어 과정에서 화상 입력장치(105)의 렌즈 이격거리 정보와, 상기 이격된 렌즈의 굴절율 정보(또는 배율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초점제어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카메라부(212)는 상기 화상 입력장치(105)의 촬영 방향(Line Of Sight; LOS)을 일정 범위 내에서 상하/좌우 방향으로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화상 입력장치(105)가 구비된 뱅크로봇(100)의 안면부를 일정 범위 내에서 상하/좌우 방향으로 제어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상 인식부(213)는 상기 카메라부(212)를 통해 적어도 두개 이상의 화상 입력장치(105)로부터 획득된 화상 데이터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화상 인식부(213)는 상기 획득된 당행 고객의 안면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초점제어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안면 화상 데이터에 대한 초점거리를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연산된 초점거리를 기반으로 상기 당행 고객의 안면 화상 데이터에 대한 3차원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화상 인식부(213)는 상기 안면 화상 데이터에 대한 3차원 화상 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상기 당행 고객이 안면 화상 데이터를 악의적으로 도용(예컨대, 사진이나 탈을 얼굴에 써서 타인의 안면 화상 데이터를 도용)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은행지점(또는 공공장소)를 방문한 고객에 대한 가상의 대면 인증을 처리하기 위해, 상기 뱅크로봇(100)은, 상기 당행 고객의 안면 화상 데이터에 포함된 눈, 코, 입, 귀의 상대적인 위치, 모양, 방향 데이터를 포함하는 안면 인식 데이터를 인식하는 안면 인식부(214)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면 인식부(214)는 상기 화상 인식수단(210)을 통해 인식된 상기 당행 고객의 안면 화상 데이터에 포함된 눈, 코, 입, 귀 등의 안면 객체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눈, 코, 입, 귀 등의 상대적인 위치 데이터와, 상기 인식된 눈, 코, 입, 귀 등의 모양(또는 형태) 데이터와, 상기 인식된 눈, 코, 입, 귀 등의 방향 데이터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안면 인식부(214)가 상기 당행 고객의 안면 화상 데이터에 포함된 눈, 코, 입, 귀의 상대적인 위치, 모양, 방향 데이터를 포함하는 안면 인식 데이터를 인식하는 기술적 특징을 기 숙지하고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하기로 한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당행 고객에게 고객인식 기반 맞춤형 금융상품 홍보 서비스(또는 가상 대면 인증 방식의 금융거래)를 제공하는 뱅크로봇(100)은, 상기 은행지점(또는 공공장소)에 구비된 로봇제어 장치(140)와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UWB(Ultra Wide Band system)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근거리 통신수단과, IEEE 802.11.x 기반 무선랜 프로토콜을 이용한 무선 통신채널을 연결하는 무선 통신부(254)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선 통신부(254)는 상기 은행지점(또는 공공장소)에 구비된 로봇제어 장치(140)와 유선으로 연결된 무선 AP(Access Point), 또는 기지국과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UWB(Ultra Wide Band system)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근거리 통신수단과, IEEE 802.11.x 기반 무선랜 프로토콜을 이용한 무선 통신채널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무선 AP(또는 기지국)을 통해 상기 은행지점(또는 공공장소)에 구비된 로봇제어 장치(140)와 로봇 제어 및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를 위한 통신채널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무선 통신부(254)와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 사이에 연결되는 무선 통신채널은 상기 뱅크로봇(100)과 로봇제어 장치(140) 간 송수신되는 트래픽 데이터가 외부에 노출되거나, 또는 임의의 근거리 통신장치가 상기 금융거래 통신채널에 접근하는 것을 차단하는 고수준의 보안 통신채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2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뱅크로봇(100)과 로봇제어 장치(140) 간 고수준 보안 통신채널에 대한 기술적 특징을 기 숙지하고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 통신부(254)는 상기 무선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은행지점(또는 공공장소)에 구비된 로봇제어 장치(140)와 상기 뱅크로봇(100) 제어를 위한 로봇제어 통신채널을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 통신부(254)는 상기 무선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와 금융거래 통신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의 중계를 통해 금융망(예컨대, 당행망, CD공동망 등)에 접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선 통신부(254)와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 사이에 상기 금융거래 통신채널이 연결된 경우,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는 상기 뱅크로봇(100)과 연결된 로봇제어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금융거래 통신채널을 기반으로 상기 뱅크로봇(100)을 통해 이루어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융거래가 기 설정된 금융거래 시나리오에 따라 수행되는지 검증하거나, 또는 상기 뱅크로봇(100)을 통해 이루어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융상품 홍보가 기 설정된 금융상품 홍보 시나리오에 따라 수행되는지 검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무선 통신부(254)와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 사이에 상기 금융거래 통신채널이 연결되고, 상기 뱅크로봇(100)을 통해 이루어지는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가 기 설정된 시나리오에 따라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는 상기 뱅크로봇(100)을 운영하는 은행에 구비된 금융시스템 입장에서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는 가상의 창구단말의 기능을 수행하거나, 또는 가상의 CD/ATM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 통신부(254)는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에 구비된 무선 AP와 상기 무선 통신채널을 연결하는 무선 주파수 신호에 대한 신호 세기를 주기적으로 확인하는 기능이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신호 세기가 일정 기준 값보다 작아지는 경우, 이를 주 제어부(230)로 통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위치 제어부(252)는 상기 자율적 이동수단(215)과 연계하여 상 기 뱅크로봇(100)의 위치를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에 구비된 무선 AP와 보다 더 근접한 위치로 이동하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무선 AP와 뱅크로봇(100) 사이에 무선 주파수 송수신에 장애가 되는 고정 객체(예컨대, 금속 구조물)가 없는 위치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당행 고객에게 고객인식 기반 맞춤형 금융상품 홍보 서비스(또는 가상 대면 인증 방식의 금융거래)를 제공하는 뱅크로봇(100)은, 상기 뱅크로봇(100)의 동작모드가 상기 뱅크로봇(100)을 통해 제공 가능한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에 대응하는 특정 동작모드로 설정되면, 상기 동작모드에 대응하는 금융상품 홍보 시나리오(또는 금융거래 시나리오) 정보를 포함하는 메모리부(266)와 연계하여 상기 뱅크로봇(100)에 구비된 화면 출력장치(110)로 상기 금융상품 홍보 시나리오(또는 금융거래 시나리오) 정보와 연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융상품 홍보 인터페이스(또는 금융거래 인터페이스) 화면을 상기 시나리오에 따라 출력하도록 처리하는 화면 출력부(256)와, 상기 화면 출력부(256)를 통해 상기 뱅크로봇(100)의 동작모드에 대응하는 금융상품 홍보 인터페이스(또는 금융거래 인터페이스) 화면 출력 시, 상기 인터페이스 화면에 포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융거래 정보(또는 금융상품 가입 정보)를 입력하도록 처리하는 키 입력부(258)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뱅크로봇(100)의 동작모드는 상기 고객 응대 처리부(225)에서 상기 음성 출력수단(200), 음성 입력수단(205) 및 화상 인식수단(210)과 연계하여 상기 뱅크로봇(100)의 전면에 위치한 복수의 고객 중 특정 당행 고객과 고객 응대 대화(예컨대, 뱅크로봇(100)의 발화와 이에 따른 당행 고객 응답 분석, 또는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의 발화 분석)를 통해 자동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뱅크로봇(100)의 동작모드는 상기 화면 출력부(256)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 선택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 상기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 선택 인터페이스에 대응하여 상기 키 입력부(258)를 통해 선택되는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에 대응하는 동작모드로 수동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뱅크로봇(100)의 동작모드는 상기 무선 통신부(254)를 통해 로봇제어 장치(140)로부터 동작모드 설정 정보를 수신함에 의해, 상기 동작모드 설정 정보에 대응하는 동작모드로 자동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시 방법 중 어느 하나의 실시 방법을 통해 뱅크로봇(100)의 동작모드가 상기 뱅크로봇(100)을 통해 제공 가능한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에 대응하는 특정 동작모드로 설정되면, 상기 화면 출력부(256)는 상기 동작모드에 대응하 는 금융상품 홍보 시나리오(또는 금융거래 시나리오) 정보를 포함하는 메모리부(266)와 연계하여 상기 동작모드에 대응하는 소정의 금융상품 홍보 시나리오(또는 금융거래 시나리오)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메모리부(266)와 연계하여 상기 확인된 금융상품 홍보 시나리오(또는 금융거래 시나리오) 정보와 연계된 복수의 금융상품 홍보 인터페이스(또는 금융거래 인터페이스) 중, 제1 금융상품 홍보 인터페이스(또는 금융거래 인터페이스) 화면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제1 금융상품 홍보 인터페이스(또는 금융거래 인터페이스) 화면을 상기 뱅크로봇(100)에 구비된 화면 출력장치(110)로 출력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후, 상기 키 입력부(258)를 통해 상기 제1 금융상품 홍보 인터페이스(또는 금융거래 인터페이스) 화면에 대응하는 제1 금융거래 정보(또는 금융상품 가입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화면 출력부(256)는 상기 금융상품 홍보 시나리오(또는 금융거래 시나리오) 정보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266)와 연계하여 제M(M=2,3,...) 금융상품 홍보 인터페이스(또는 금융거래 인터페이스) 화면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제M(M=2,3,...) 금융상품 홍보 인터페이스(또는 금융거래 인터페이스) 화면을 상기 뱅크로봇(100)에 구비된 화면 출력장치(110)로 출력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키 입력부(258)는 상기 화면 출력부(256)를 통해 상기 뱅크로봇(100)에 구비된 화면 출력장치(110)로 제m(1<=m<=M) 금융상품 홍보 인터페이스(또는 금융거 래 인터페이스) 화면이 출력되면, 상기 뱅크로봇(100)에 구비된 키 입력장치(예컨대, 상기 화면 출력장치(110)와 연계된 터치패드 입력장치, 또는 키패드, 또는 키보드)를 통해 상기 제m(1<=m<=M) 금융상품 홍보 인터페이스(또는 금융거래 인터페이스) 화면에 대응하는 제m(1<=m<=M) 금융거래 정보(또는 금융상품 가입 정보)가 입력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당행 고객에게 고객인식 기반 맞춤형 금융상품 홍보 서비스(또는 가상 대면 인증 방식의 금융거래)를 제공하는 뱅크로봇(100)은, 상기 당행 고객이 소지한 카드(또는 통장)에 구비된 MS(Magnetic Stripe), 또는 IC(Integrated Circuit)칩으로부터 금융정보(예컨대, 계좌정보, 통장정보 등)를 리딩하는 카드 리더부(26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면 출력부(256)를 통해 상기 화면 출력장치(110)에 상기 뱅크로봇(100)의 동작모드에 대응하는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를 위한 시나리오 정보에 따라 제m(1<=m<=M) 금융상품 홍보 인터페이스(또는 금융거래 인터페이스) 화면이 출력되고, 상기 제m(1<=m<=M) 금융상품 홍보 인터페이스(또는 금융거래 인터페이스) 화면에 상기 당행 고객이 소지한 카드(또는 통장)에 구비된 MS, 또는 IC칩으로부터 금융정보를 리딩하도록 요청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포함된 경우, 상기 카드 리더부(260)는 상기 당행 고객이 소지한 카드(또는 통장)에 구비된 MS, 또는 IC칩으로부터 상기 뱅크로봇(100)의 동작모드에 대응하는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 거래)를 처리하기 위한 금융정보(예컨대, 계좌정보, 통장정보 등)를 리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카드 리더부(260)가 ISO/IEC 7810 규격에 따라 상기 당행 고객이 소지한 카드(또는 통장)에 구비된 MS로부터 상기 금융정보를 리딩하는 기술적 특징, 또는 ISO/IEC 7816 규격(또는 ICO/IEC 14443 규격)에 따라 상기 당행 고객이 소지한 카드(또는 통장)에 구비된 IC칩으로부터 상기 금융정보를 리딩하는 기술적 특징을 기 숙지하고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하기로 한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당행 고객에게 고객인식 기반 맞춤형 금융상품 홍보 서비스(또는 가상 대면 인증 방식의 금융거래)를 제공하는 뱅크로봇(100)은, 상기 당행 고객이 소지한 카드(또는 통장)에 구비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로부터 금융관련 RFID 정보를 리딩하는 RFID 리더부(262)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면 출력부(256)를 통해 상기 화면 출력장치(110)에 상기 뱅크로봇(100)의 동작모드에 대응하는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를 위한 시나리오 정보에 따라 제m(1<=m<=M) 금융상품 홍보 인터페이스(또는 금융거래 인터페이스) 화면이 출력되고, 상기 제m(1<=m<=M) 금융상품 홍보 인터페이스(또는 금융거래 인터 페이스) 화면에 상기 당행 고객이 소지한 카드(또는 통장)에 구비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로부터 금융관련 RFID 정보를 리딩하도록 요청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포함된 경우, 상기 RFID 리더부(262)는 ISO/IEC 18000 시리즈 규격 중 어느 하나의 규격에 따라 상기 RFID 리더부(262)의 무선 주파수 도달 범위에 존재하는 RFID 태그로부터 금융관련 RFID 정보를 리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RFID 리더부(262)가 ISO/IEC 18000 시리즈 규격에 따라 상기 당행 고객이 소지한 카드(또는 통장)에 구비된 RFID 태그로부터 상기 금융관련 RFID 정보를 리딩하는 기술적 특징을 기 숙지하고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하기로 한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당행 고객에게 고객인식 기반 맞춤형 금융상품 홍보 서비스(또는 가상 대면 인증 방식의 금융거래)를 제공하는 뱅크로봇(100)은, 상기 당행 고객이 소지한 신분증(예컨대,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등)의 전면/후편의 스캐닝하여 신분증 이미지 컨텐츠를 획득하는 신분증 스캔부(264)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면 출력부(256)를 통해 상기 화면 출력장치(110)에 상기 뱅크로봇(100)의 동작모드에 대응하는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를 위한 시나리오 정보에 따라 제m(1<=m<=M) 금융상품 홍보 인터페이스(또는 금융거래 인터페이스) 화 면이 출력되고, 상기 제m(1<=m<=M) 금융상품 홍보 인터페이스(또는 금융거래 인터페이스) 화면에 상기 당행 고객에 대한 고객인식 기반 맞춤형 금융상품 홍보 서비스(또는 가상 대면 인증 방식의 금융거래)를 처리하기 위해 상기 고객이 소지한 신분증(예컨대,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등)의 전면/후편의 스캐닝하도록 요청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포함된 경우, 상기 신분증 스캔부(264)는 이미지 스캔 방식에 따라 상기 당행 고객이 소지한 신분증(예컨대,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등)의 전면/후편의 스캐닝하여 신분증 이미지 컨텐츠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신분증 스캔부(264)가 이미지 스캔 방식에 따라 상기 당행 고객이 소지한 신분증의 전면/후편을 스캐닝하여 신분증 이미지 컨텐츠를 획득하는 기술적 특징을 기 숙지하고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하기로 한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당행 고객에게 고객인식 기반 맞춤형 금융상품 홍보 서비스(또는 가상 대면 인증 방식의 금융거래)를 제공하는 뱅크로봇(100)은, 상기 뱅크로봇(100)이 상기 은행지점(또는 공공장소)에서 상기 당행 고객에게 제공 가능한 복수의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에 대응하는 복수의 동작모드 정보와, 상기 동작모드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나리오 정보 및 상기 시나리오 정보에 대응하는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를 위한 인터페이스 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저장하는 메모리부(266)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모리부(266)는 상기 뱅크로봇(100)이 상기 무선 통신부(254)를 통해 통신 연결된 로봇제어 장치(140)와 연계하여 고객인식 기반 맞춤형 금융상품 홍보 서비스(또는 가상 대면 인증 방식의 금융거래)를 제공할 수 있는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에 대응하는 복수의 동작모드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266)는 상기 뱅크로봇(100)이 로봇제어 장치(140)와 연계하여 제공할 수 있는 복수의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에 대응하는 복수의 동작모드 중, 어느 하나의 동작모드에 대응하여 실제 창구직원과 대면 인증하지 않고, 상기 창구직원을 대신하여 상기 뱅크로봇(100)과 가상의 대면 인증을 처리한 후, 상기 동작모드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를 제공하는 금융상품 홍보 시나리오(또는 금융거래 시나리오) 정보를 상기 동작모드 정보와 연계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뱅크로봇(100)의 동작모드에 대응하는 금융거래 시나리오 정보는, 상기 뱅크로봇(100)의 동작모드에서 상기 금융거래 대상 고객이 실제 창구직원과 대면 인증하지 않고, 상기 창구직원을 대신하여 상기 뱅크로봇(100)과 가상의 대면 인증을 한 것으로 처리하는 가상 대면 인증 시나리오 정보와, 상기 가상 대면 인증 시나리오 전/후에 상기 화면 출력부(256)를 통해 상기 뱅크로봇(100)에 구비된 화면 출력장치(110)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융거래 인 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출력 시나리오 정보와, 상기 금융거래 인터페이스 화면을 기반으로 상기 뱅크로봇(100)에 구비된 키 입력장치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융거래 정보를 입력되도록 처리하기 위한 정보 입력 시나리오 정보와, 상기 금융거래 대상 고객이 소지한 카드(또는 통장)에 구비된 MS/IC칩으로부터 금융정보를 리딩하기 위한 카드(또는 통장) 리딩 시나리오 정보와, 상기 금융거래 대상 고객이 소지한 카드(또는 통장)에 구비된 RFID 태그로부터 금융관련 RFID 정보를 리딩하기 위한 RFID 리딩 시나리오 정보와, 상기 입력된 금융거래 정보, 또는 상기 리딩된 금융정보, 또는 금융관련 RFID 정보가 시나리오에 따라 유효한지 검증하기 위한 정보 검증 시나리오 정보와, 상기 입력(또는 리딩)된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금융거래 요청 정보를 상기 금융거래 통신채널을 통해 전송하고, 상기 금융거래 요청 정보에 대응하는 금융거래 처리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정보 송수신 시나리오 정보와, 금융거래 취소 시나리오 정보 등을 일련의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뱅크로봇(100)의 동작모드에 대응하는 금융상품 홍보 시나리오 정보는, 상기 뱅크로봇(100)의 동작모드에서 상기 금융상품 홍보 대상 고객이 실제 창구직원과 대면 인증하지 않고, 상기 창구직원을 대신하여 상기 뱅크로봇(100)과 가상의 대면 인증을 한 것으로 처리하는 가상 대면 인증 시나리오 정보와, 상기 가상 대면 인증 시나리오 전/후에 상기 화면 출력부(256)를 통해 상기 뱅크로봇(100)에 구비된 화면 출력장치(110)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융상품 홍보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출력 시나리오 정보와, 상기 금융상품 홍보 인터페이스 화면을 기반으로 상기 뱅크로봇(100)에 구비된 키 입력장치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융상품 가입 정보를 입력되도록 처리하기 위한 정보 입력 시나리오 정보와, 상기 금융상품 홍보 대상 고객이 소지한 카드(또는 통장)에 구비된 MS/IC칩으로부터 금융정보를 리딩하기 위한 카드(또는 통장) 리딩 시나리오 정보와, 상기 금융상품 홍보 대상 고객이 소지한 카드(또는 통장)에 구비된 RFID 태그로부터 금융관련 RFID 정보를 리딩하기 위한 RFID 리딩 시나리오 정보와, 상기 입력된 금융상품 가입 정보, 또는 상기 리딩된 금융정보, 또는 금융관련 RFID 정보가 시나리오에 따라 유효한지 검증하기 위한 정보 검증 시나리오 정보와, 상기 입력(또는 리딩)된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금융상품 가입 요청 정보를 상기 금융거래 통신채널을 통해 전송하고, 상기 금융상품 가입 요청 정보에 대응하는 금융상품 가입 처리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정보 송수신 시나리오 정보와, 금융상품 가입 취소 시나리오 정보 등을 일련의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금융상품 홍보 시나리오(또는 금융거래 시나리오) 정보에 포함된 인터페이스 출력 시나리오 정보의 인터페이스 출력 순서와, 상기 정보 입력 시나리오 정보, 또는 카드(또는 통장) 리딩 시나리오 정보와, 또는 RFID 리딩 시나리오 정보 등의 정보 입력(또는 리딩) 순서와, 상기 정보 송수신 시나리오 정보의 정보 송수신 순서 등은, 상기 뱅크로봇(100)을 운용하는 은행에서 정의한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 절차를 포함하도록 정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각 은행 별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 절차에 따라 상기 금융상품 홍보 시나리오(또는 금융거래 시나리오) 정보에 포함된 세부 시나리오의 동작 순서를 정의하는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하기로 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각 은행 별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 절차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266)는 상기 금융상품 홍보 시나리오(또는 금융거래 시나리오) 정보에 포함된 인터페이스 출력 시나리오 정보에 따라 상기 화면 출력부(256)를 통해 상기 화면 출력장치(110)로 출력될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융상품 홍보 인터페이스(또는 금융거래 인터페이스) 화면에 대응하는 인터페이스 정보를 상기 금융상품 홍보 시나리오(또는 금융거래 시나리오) 정보와 연계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뱅크로봇(100)은, 상기 당행 고객에게 고객인식 기반 맞춤형 금융상품 홍보 서비스(또는 가상 대면 인증 방식의 금융거래)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뱅크로봇(100)이 부팅된 후, 상기 무선 통신부(254)를 통해 상기 은행지점(또는 공공장소)에 구비된 로봇제어 장치(140)와 로봇제어 통신채널이 연결되는지 확인하거나, 또는 상기 뱅크로봇(100)의 동작모드가 설정된 후, 상기 무선 통신부(254)를 통해 상기 은행지점(또는 공공장소)에 구비된 로봇제어 장치(140)와 금융거래 통신채널이 연결되는지 확인하는 통신채널 연결 확인부(232)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뱅크로봇(100)에 구비된 전원 공급부(도시생략)로부터 전원이 공급되어 부팅되면, 상기 통신채널 연결 확인부(232)는 상기 무선 통신부(254)를 통해 상기 은행지점(또는 공공장소)에 구비된 로봇제어 장치(140)와 로봇제어 통신채널을 연결하도록 요청하고, 상기 무선 통신부(254)에 의해 로봇제어 장치(140)와 로봇제어 통신채널을 연결되는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통신채널 연결 확인부(232)에 의해 상기 은행지점(또는 공공장소)에 구비된 로봇제어 장치(140)와 상기 로봇제어 통신채널을 연결된 것이 확인되지 않으면, 상기 뱅크로봇(100)은 기동하지 않고 상기 로봇제어 통신채널이 연결될 때까지 대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통신채널 연결 확인부(232)에 의해 상기 은행지점(또는 공공장소)에 구비된 로봇제어 장치(140)와 로봇제어 통신채널을 연결된 것이 확인된 후, 상기 뱅크로봇(100)은 주기적으로(또는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 관련 이벤트에 대응하여) 상기 무선 통신부(254)를 통해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와 상기 로봇제어 통신채널이 유지되고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로봇제어 통신채널이 단절된 경우, 상기 뱅크로봇(100)은 기동을 중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후 상기 뱅크로봇(100)과 로봇제어 장치(140)는 상기 금융상품 홍보 시나리오(또는 금융거래 시나리오) 정보에 포함된 금융거래 취소 시나리오(또는 금융상품 가입 취소 시나리오) 정보에 따라 로봇제어 통신채널이 단절되는 시점에 수행되고 있던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를 각각 취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뱅크로봇(100)의 동작모드가 상기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를 위한 특정 동작모드로 설정되면, 상기 통신채널 연결 확인부(232)는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와 상기 로봇제어 통신채널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무선 통신부(254)를 통해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와 상기 뱅크로봇(100)의 동작모드에 대응하는 금융거래 통신채널이 연결되는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통신채널 연결 확인부(232)에 의해 상기 은행지점(또는 공공장소)에 구비된 로봇제어 장치(140)와 상기 금융거래 통신채널을 연결된 것이 확인되지 않으면, 상기 뱅크로봇(100)은 상기 뱅크로봇(100)의 동작모드에 대응하는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 기능을 수행하지 않고 상기 금융거래 통신채널이 연결될 때까지 대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통신채널 연결 확인부(232)에 의해 상기 은행지점(또는 공공장소)에 구비된 로봇제어 장치(140)와 상기 로봇제어 통신채널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금융거래 통신채널이 연결된 후, 상기 뱅크로봇(100)은 주기적으로(또는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 관련 이벤트에 대응하여) 상기 무선 통신부(254)를 통해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와 상기 금융거래 통신채널이 유지되고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금융거래 통신채널이 단절된 경우, 상기 뱅크로봇(100)은 상기 뱅크로봇(100) 동작모드에 대응하는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를 중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후 상기 뱅크로봇(100)과 로봇제어 장치(140)는 상기 금융상품 홍보 시나리오(또는 금융거래 시나리오) 정보에 포함된 금융거래 취소 시나리오(또는 금융상품 가입 취소 시나리오) 정보에 따라 금융거래 통신채널이 단절되는 시점에 수행되고 있던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를 각각 취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뱅크로봇(100)은, 상기 당행 고객에게 고객인식 기반 맞춤형 금융상품 홍보 서비스(또는 가상 대면 인증 방식의 금융거래)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고객 응대 처리부(225)와 연계하여 상기 뱅크로봇(100)을 통해 제공 가능한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에 대응하는 뱅크로봇(100) 동작모드를 설정하거나, 또는 상기 화면 출력부(256) 및 키 입력부(258)와 연계하여 상기 뱅크로봇(100)을 통해 제공 가능한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에 대응하는 뱅크로 봇(100) 동작모드를 설정하거나, 또는 상기 무선 통신부(254)를 통해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로부터 수신되는 동작모드 설정 정보에 따라 상기 뱅크로봇(100) 동작모드를 설정하는 동작모드 설정부(234)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고객 응대 처리부(225)에서 상기 음성 출력수단(200), 음성 입력수단(205) 및 화상 인식수단(210)과 연계하여 상기 뱅크로봇(100)의 전면에 위치한 복수의 고객 중 특정 당행 고객과 고객 응대 대화(예컨대, 뱅크로봇(100)의 발화와 이에 따른 당행 고객 응답 분석, 또는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의 발화 분석)를 통해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 대상 정보를 확인하여 제공하면, 상기 동작모드 설정부(234)는 상기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 대상 정보에 대응하는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를 처리하기 위한 동작모드를 상기 뱅크로봇(100)의 동작모드로 자동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화면 출력부(256)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 선택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 상기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 선택 인터페이스에 대응하여 상기 키 입력부(258)를 통해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 대상이 선택되면, 상기 동작모드 설정부(234)는 상기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 선택 정보에 대응하는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를 처리하기 위한 동작모드를 상기 뱅크로봇(100)의 동작모드로 자동 설 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 통신부(254)를 통해 로봇제어 장치(140)로부터 동작모드 설정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동작모드 설정부(234)는 상기 동작모드 설정 정보에 대응하는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를 처리하기 위한 동작모드를 상기 뱅크로봇(100)의 동작모드로 자동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뱅크로봇(100)은, 상기 당행 고객에게 고객인식 기반 맞춤형 금융상품 홍보 서비스(또는 가상 대면 인증 방식의 금융거래)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동작모드 설정부(234)에 의해 상기 뱅크로봇(100)의 동작모드가 설정되면, 상기 메모리부(266)와 연계하여 상기 설정된 동작모드에 대응하는 금융상품 홍보 시나리오(또는 금융거래 시나리오) 정보를 선택하는 시나리오 선택부(238)와, 상기 메모리부(266)와 연계하여 상기 선택된 시나리오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화면 출력부(256)와 연계하여 상기 시나리오 정보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융상품 홍보 인터페이스(또는 금융거래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하는 인터페이스 출력부(24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동작모드 설정부(234)에 의해 상기 뱅크로봇(100)의 동작모드가 설정되 면, 상기 시나리오 선택부(238)는 상기 메모리부(266)와 연계하여 상기 설정된 동작모드에 대응하는 금융상품 홍보 시나리오(또는 금융거래 시나리오) 정보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뱅크로봇(100)의 동작모드에 대응하는 금융거래 시나리오 정보는, 상기 뱅크로봇(100)의 동작모드에서 상기 금융거래 대상 고객이 실제 창구직원과 대면 인증하지 않고, 상기 창구직원을 대신하여 상기 뱅크로봇(100)과 가상의 대면 인증을 한 것으로 처리하는 가상 대면 인증 시나리오 정보와, 상기 가상 대면 인증 시나리오 전/후에 상기 화면 출력부(256)를 통해 상기 뱅크로봇(100)에 구비된 화면 출력장치(110)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융거래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출력 시나리오 정보와, 상기 금융거래 인터페이스 화면을 기반으로 상기 뱅크로봇(100)에 구비된 키 입력장치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융거래 정보를 입력되도록 처리하기 위한 정보 입력 시나리오 정보와, 상기 금융거래 대상 고객이 소지한 카드(또는 통장)에 구비된 MS/IC칩으로부터 금융정보를 리딩하기 위한 카드(또는 통장) 리딩 시나리오 정보와, 상기 금융거래 대상 고객이 소지한 카드(또는 통장)에 구비된 RFID 태그로부터 금융관련 RFID 정보를 리딩하기 위한 RFID 리딩 시나리오 정보와, 상기 입력된 금융거래 정보, 또는 상기 리딩된 금융정보, 또는 금융관련 RFID 정보가 시나리오에 따라 유효한지 검증하기 위한 정보 검증 시나리오 정보와, 상기 입력(또는 리딩)된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금융거래 요청 정보를 상기 금융거래 통신채널을 통해 전송하고, 상기 금융거래 요청 정보에 대응하는 금융거래 처리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정보 송수신 시나리오 정보와, 금융거래 취소 시나리오 정보 등을 일련의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뱅크로봇(100)의 동작모드에 대응하는 금융상품 홍보 시나리오 정보는, 상기 뱅크로봇(100)의 동작모드에서 상기 금융상품 홍보 대상 고객이 실제 창구직원과 대면 인증하지 않고, 상기 창구직원을 대신하여 상기 뱅크로봇(100)과 가상의 대면 인증을 한 것으로 처리하는 가상 대면 인증 시나리오 정보와, 상기 가상 대면 인증 시나리오 전/후에 상기 화면 출력부(256)를 통해 상기 뱅크로봇(100)에 구비된 화면 출력장치(110)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융상품 홍보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출력 시나리오 정보와, 상기 금융상품 홍보 인터페이스 화면을 기반으로 상기 뱅크로봇(100)에 구비된 키 입력장치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융상품 가입 정보를 입력되도록 처리하기 위한 정보 입력 시나리오 정보와, 상기 금융상품 홍보 대상 고객이 소지한 카드(또는 통장)에 구비된 MS/IC칩으로부터 금융정보를 리딩하기 위한 카드(또는 통장) 리딩 시나리오 정보와, 상기 금융상품 홍보 대상 고객이 소지한 카드(또는 통장)에 구비된 RFID 태그로부터 금융관련 RFID 정보를 리딩하기 위한 RFID 리딩 시나리오 정보와, 상기 입력된 금융상품 가입 정보, 또는 상기 리딩된 금융정보, 또는 금융관련 RFID 정보가 시나리오에 따라 유효한지 검증하기 위한 정보 검증 시나리오 정보와, 상기 입력(또는 리딩)된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금융상 품 가입 요청 정보를 상기 금융거래 통신채널을 통해 전송하고, 상기 금융상품 가입 요청 정보에 대응하는 금융상품 가입 처리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정보 송수신 시나리오 정보와, 금융상품 가입 취소 시나리오 정보 등을 일련의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시나리오 선택부(238)에 의해 상기 뱅크로봇(100) 동작모드에 대응하는 금융상품 홍보 시나리오(또는 금융거래 시나리오) 정보가 선택되면, 상기 인터페이스 출력부(240)는 상기 메모리부(266)와 연계하여 상기 선택된 금융상품 홍보 시나리오(또는 금융거래 시나리오)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 정보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인터페이스 출력부(240)는 상기 화면 출력부(256)와 연계하여 상기 선택된 금융상품 홍보 시나리오(또는 금융거래 시나리오)에 포함된 가상 대면 인증 시나리오 정보에 따라 가상 대면 인증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 출력부(240)는 상기 화면 출력부(256)와 연계하여 상기 선택된 금융상품 홍보 시나리오(또는 금융거래 시나리오)에 포함된 인터페이스 출력 시나리오 정보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융상품 홍보 인터페이스(또는 금융거래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뱅크로봇(100)은, 상기 금융거래 대상 고객에게 고객인식 기반 맞춤형 금융상품 홍보 서비스(또는 가상 대면 인증 방식의 금융거래)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인터페이스를 출력부를 통해 상기 금융거래 시나리오 정보에 포함된 가상 대면 인증 시나리오에 따라 가상 대면 인증 인터페이스 화면 출력시, 상기 가상 대면 인증 인터페이스 화면을 기반으로 상기 안면 인식부(214)를 통해 인식된 상기 고객의 안면 인식 데이터와, 상기 신분증 스캔부(264)를 통해 인식된 고객 이미지 인식 데이터를 비교, 분석하여 상기 고객을 가상으로 대면 인식하는 가상 대면 인증부(242)와, 상기 인터페이스를 출력부를 통해 상기 금융거래 시나리오 정보에 포함된 인터페이스 출력 시나리오 정보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융거래 인터페이스 화면 출력시, 상기 금융거래 인터페이스 화면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융거래 관련 정보(예컨대, 금융거래 정보, 금융정보, 금융거래 처리 정보 등)를 출력하도록 처리하거나, 또는 상기 금융거래 인터페이스 화면에 포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키 입력부(258)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융거래 정보를 입력하도록 처리하거나, 또는 상기 금융거래 인터페이스 화면에 포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카드 리더부(260)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융정보(예컨대, 계좌정보, 통장정보 등)를 리딩하도록 처리하거나, 또는 상기 금융거래 인터페이스 화면에 포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RFID 리더부(262)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융관련 RFID 정보를 리딩하도록 처리하는 정보 처리부(244)와, 상기 금융거래 시나리오 정보에 따라 상기 정보 처리부(244)를 통해 입 력(또는 리딩)된 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융거래 요청 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부(254)를 통해 연결된 금융거래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로 전송하는 정보 전송부(246)와, 상기 금융거래 시나리오 정보에 따라 상기 금융거래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로부터 상기 금융거래 요청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융거래 처리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송부(248)와, 상기 가상 대면 인증부(242)가 상기 금융거래 시나리오 정보에 따라 상기 고객의 가상으로 대면 인증하고, 상기 정보 처리부(244)가 상기 금융거래 시나리오 정보에 따라 각종 정보를 입출력 및 리딩하고, 상기 정보 전송부(246)가 상기 금융거래 시나리오 정보에 따라 상기 금융거래 통신채널을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융거래 요청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정보 수송부(248)가 상기 금융거래 시나리오 정보에 따라 상기 금융거래 통신채널을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융거래 처리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검증하는 시나리오 검증부(25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터페이스를 출력부를 통해 상기 금융거래 시나리오 정보에 포함된 가상 대면 인증 시나리오에 따라 가상 대면 인증 인터페이스 화면 출력시, 상기 가상 대면 인증부(242)는 상기 가상 대면 인증 시나리오에 따라 상기 화상 인식수단(210)을 통해 인식된 상기 금융거래 대상 고객의 안면 화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안면 인식부(214)를 통해 인식된 안면 인식 데이터와, 상기 신분증 스캔부(264)를 통해 스캔된 신분증 이미지 컨텐츠에 포함된 고객 이미지 데이터(예컨 대, 신분증에 포함된 고객증명 사진에 대응하는 이미지 컨텐츠 데이터)를 통해 인식된 고객 이미지 인식 데이터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상기 금융거래 대상 고객을 상기 창구직원의 육안으로 대면 인증한 것과 같이 가상으로 대면 인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터페이스를 출력부를 통해 상기 금융거래 시나리오 정보에 포함된 인터페이스 출력 시나리오 정보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융거래 인터페이스 화면 출력시, 상기 정보 처리부(244)는 상기 출력된 금융거래 인터페이스 화면에 포함된 정보출력 항목에 기 확인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융거래 관련 정보(예컨대, 금융거래 정보, 금융정보, 금융거래 처리 정보 등)를 출력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인터페이스를 출력부를 통해 상기 금융거래 시나리오 정보에 포함된 인터페이스 출력 시나리오 정보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융거래 인터페이스 화면 출력되고, 상기 금융거래 인터페이스 화면에 상기 키 입력부(258)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융거래 정보를 입력하도록 처리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포함된 경우, 상기 정보 처리부(244)는 상기 금융거래 시나리오 정보에 포함된 정보 입력 시나리오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키 입력부(258)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융거래 정보를 입력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인터페이스를 출력부를 통해 상기 금융거래 시나리오 정보에 포함된 인터페이스 출력 시나리오 정보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융거래 인터페이스 화면 출력되고, 상기 금융거래 인터페이스 화면에 상기 카드 리더부(260)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융정보(예컨대, 계좌정보, 통장정보 등)를 리딩하도록 처리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포함된 경우, 상기 정보 처리부(244)는 상기 금융거래 시나리오 정보에 포함된 카드(또는 통장) 리딩 시나리오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카드 리더부(260)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융정보(예컨대, 계좌정보, 통장정보 등)를 리딩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인터페이스를 출력부를 통해 상기 금융거래 시나리오 정보에 포함된 인터페이스 출력 시나리오 정보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융거래 인터페이스 화면 출력되고, 상기 금융거래 인터페이스 화면에 상기 RFID 리더부(262)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융관련 RFID 정보를 리딩하도록 처리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포함된 경우, 상기 정보 처리부(244)는 상기 금융거래 시나리오 정보에 포함된 RFID 리딩 시나리오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RFID 리더부(262)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융관련 RFID 정보를 리딩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보 처리부(244)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가 입력(또는 리딩) 시, 상기 시나리오 검증부(250)는 상기 금융거래 시나리오 정보에 포함된 정보 검증 시나리오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입력(또는 리딩)되는 정보가 상기 정보 입력 시나리오, 또는 상기 카드(또는 통장) 리딩 시나리오, 또는 상기 RFID 리딩 시나리오 정보에 따라 유효하게 입력(또는 리딩)되는지 검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정보 검증 시나리오 정보는 상기 정보 입력 시나리오에 따른 각 정보 입력 단계를 인증하거나, 또는 카드(또는 통장) 리딩 시나리오에 따른 각 카드(또는 통장) 리딩 단계를 인증하거나, 또는 상기 RFID 리딩 시나리오 정보에 따른 각 RFID 리딩 단계를 인증하는 인증 값과, 인증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정보 검증 시나리오에 따라 상기 정보 처리부(244)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입력(또는 리딩)한 것에 대한 유효성이 검증되지 않으면, 상기 시나리오 검증부(250)는 상기 금융거래 시나리오 정보에 포함된 금융거래 취소 시나리오 정보에 따라 상기 검증되지 않은 금융거래가 취소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보 처리부(244)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가 입력(또는 리딩)되고, 상기 시나리오 검증부(250)에 의해 상기 입력(또는 리딩)된 정보가 검증되면, 상기 정보 전송부(246)는 상기 금융거래 시나리오 정보에 포함된 정보 송수신 시나리오 정보에 따라 상기 정보 처리부(244)를 통해 입력(또는 리딩)된 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융거래 요청 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부(254)를 통해 연결된 금융거래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정보 전송부(246)에서 상기 금융거래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금융거래 요청 정보를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로 전송시, 상기 정보 송수신 시나리오 정보는 상기 로봇제어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뱅크로봇(100)과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가 상호 연계하여 상기 전송되는 금융거래 요청 정보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하도록 처리하는 암호화/복호화 기반 보안 시나리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보 전송부(246)에 의해 상기 금융거래 요청 정보가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로 전송시, 상기 시나리오 검증부(250)는 상기 금융거래 시나리오 정보에 포함된 정보 검증 시나리오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전송되는 금융거래 요청 정보가 상기 정보 송수신 시나리오에 따라 유효하게 전송되는지 검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정보 검증 시나리오 정보는 상기 정보 송수신 시나리오에 따른 각 정보 전송 단계를 인증하는 인증 값과, 인증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정보 검증 시나리오에 따라 상기 정보 전송부(246)를 통해 상기 금융거래 요청 정보를 전송한 것에 대한 유효성이 검증되지 않으면, 상기 시나리오 검증부(250)는 상기 금융거래 시나리오 정보에 포함된 금융거래 취소 시나리오 정보에 따라 상기 검증되지 않은 금융거래가 취소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보 전송부(246)에 의해 상기 금융거래 요청 정보가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로 전송되고, 상기 시나리오 검증부(250)에 의해 상기 금융거래 요청 정보 전송 과정이 검증되면, 상기 정보 수송부(248)는 상기 금융거래 시나리오 정보에 포함된 정보 송수신 시나리오 정보에 따라 상기 금융거래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로부터 상기 금융거래 요청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융거래 처리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정보 수송부(248)에서 상기 금융거래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로부터 상기 금융거래 처리 정보를 수신시, 상기 정보 송수신 시나리오 정보는 상기 로봇제어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뱅크로봇(100)과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가 상호 연계하여 상기 수신되는 금융거래 처리 정보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하도록 처리하는 암호화/복호화 기반 보안 시나리오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보 수송부(248)에 의해 상기 금융거래 처리 정보가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로부터 수신시, 상기 시나리오 검증부(250)는 상기 금융거래 시나리오 정보에 포함된 정보 검증 시나리오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수신되는 금융거래 처리 정보가 상기 정보 송수신 시나리오에 따라 유효하게 전송되는지 검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정보 검증 시나리오 정보는 상기 정보 송수신 시나리오에 따른 각 정보 수신 단계를 인증하는 인증 값과, 인증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정보 검증 시나리오에 따라 상기 정보 수송부(248)를 통해 상기 금융거래 처리 정보를 수신한 것에 대한 유효성이 검증되지 않으면, 상기 시나리오 검증부(250)는 상기 금융거래 시나리오 정보에 포함된 금융거래 취소 시나리오 정보에 따라 상기 검증되지 않은 금융거래가 취소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보 수송부(248)에 의해 상기 금융거래 처리 정보가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로부터 수신되고, 상기 시나리오 검증부(250)에 의해 상기 금융거래 처리 정보 수신 과정이 검증되면, 상기 정보 처리부(244)는 상기 금융거래 시나리오에 따라 상기 수신된 금융거래 처리 정보를 상기 금융거래 인터페이스 화면에 포함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뱅크로봇(100)은, 상기 금융상품 홍보 대상 고객에게 고객인식 기반 맞춤형 금융상품 홍보 서비스(또는 가상 대면 인증 방식의 금융거래)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인터페이스를 출력부를 통해 상기 금융상품 홍보 시나리오 정보에 포함된 가상 대면 인증 시나리오에 따라 가상 대면 인증 인터페이스 화면 출력시, 상기 가상 대면 인증 인터페이스 화면을 기반으로 상기 안면 인식부(214)를 통해 인식된 상기 고객의 안면 인식 데이터와, 상기 신분증 스캔부(264)를 통해 인식된 고객 이미지 인식 데이터를 비교, 분석하여 상기 고객을 가상으로 대면 인식하는 가상 대면 인증부(242)와, 상기 인터페이스를 출력부를 통해 상기 금융상품 홍보 시나리오 포함된 인터페이스 출력 시나리오 정보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융상품 홍보 인터페이스 화면 출력시, 상기 금융상품 홍보 인터페이스 화면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융상품 홍보 정보를 출력하도록 처리하거나, 또는 상기 금융상품 홍보 인터페이스 화면에 포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키 입력부(258)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융상품 가입 정보를 입력하도록 처리하거나, 또는 상기 금융상품 홍보 인터페이스 화면에 포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카드 리더부(260)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융정보(예컨대, 계좌정보, 통장정보 등)를 리딩하도록 처리하거나, 또는 상기 금융상품 홍보 인터페이스 화면에 포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RFID 리더부(262)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융관련 RFID 정보를 리딩하도록 처리하는 정보 처리부(244)와, 상기 금융상품 홍보 시나리오 정보에 따라 상기 정보 처리부(244)를 통해 입력(또는 리딩)된 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융상품 가입 요청 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부(254)를 통해 연결된 금융거래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로 전송하는 정보 전송부(246)와, 상기 금융상품 홍보 시나리오 정보에 따라 상기 금융거래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로부터 상기 금융상품 가입 요청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융상품 가입 처리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송부(248)와, 상기 가상 대면 인증부(242)가 상기 금융상품 홍보 시나리오 정보에 따라 상기 고객의 가상으로 대면 인증하고, 상기 정보 처리부(244)가 상기 금융상품 홍보 시나리오 정보에 따라 각종 정보를 입출력 및 리딩하고, 상기 정보 전송부(246)가 상기 금융상품 홍보 시나리오 정보에 따라 상기 금융거래 통신채널을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융상품 가입 요청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정보 수송부(248)가 상기 금융상품 홍보 시나리오 정보에 따라 상기 금융거래 통신채널을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융상품 가입 처리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검증하는 시나리오 검증부(25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터페이스를 출력부를 통해 상기 금융상품 홍보 시나리오 정보에 포함된 가상 대면 인증 시나리오에 따라 가상 대면 인증 인터페이스 화면 출력시, 상기 가상 대면 인증부(242)는 상기 가상 대면 인증 시나리오에 따라 상기 화상 인식수 단(210)을 통해 인식된 상기 금융상품 홍보 대상 고객의 안면 화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안면 인식부(214)를 통해 인식된 안면 인식 데이터와, 상기 신분증 스캔부(264)를 통해 스캔된 신분증 이미지 컨텐츠에 포함된 고객 이미지 데이터(예컨대, 신분증에 포함된 고객증명 사진에 대응하는 이미지 컨텐츠 데이터)를 통해 인식된 고객 이미지 인식 데이터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상기 금융상품 홍보 대상 고객을 상기 창구직원의 육안으로 대면 인증한 것과 같이 가상으로 대면 인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터페이스를 출력부를 통해 상기 금융상품 홍보 시나리오 정보에 포함된 인터페이스 출력 시나리오 정보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융상품 홍보 인터페이스 화면 출력시, 상기 정보 처리부(244)는 상기 출력된 금융상품 홍보 인터페이스 화면에 포함된 정보출력 항목에 기 확인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융상품 홍보 정보를 출력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인터페이스를 출력부를 통해 상기 금융상품 홍보 시나리오 정보에 포함된 인터페이스 출력 시나리오 정보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융상품 홍보 인터페이스 화면 출력되고, 상기 금융상품 홍보 인터페이스 화면에 상기 키 입력부(258)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융상품 가입 정보를 입력하도록 처리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포함된 경우, 상기 정보 처리부(244)는 상기 금융상품 홍보 시나리오 정보에 포함된 정보 입력 시나리오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를 통해 상기 키 입력부(258)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융상품 가입 정보를 입력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인터페이스를 출력부를 통해 상기 금융상품 홍보 시나리오 정보에 포함된 인터페이스 출력 시나리오 정보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융상품 홍보 인터페이스 화면 출력되고, 상기 금융상품 홍보 인터페이스 화면에 상기 카드 리더부(260)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융정보(예컨대, 계좌정보, 통장정보 등)를 리딩하도록 처리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포함된 경우, 상기 정보 처리부(244)는 상기 금융상품 홍보 시나리오 정보에 포함된 카드(또는 통장) 리딩 시나리오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카드 리더부(260)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융정보(예컨대, 계좌정보, 통장정보 등)를 리딩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인터페이스를 출력부를 통해 상기 금융상품 홍보 시나리오 정보에 포함된 인터페이스 출력 시나리오 정보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융상품 홍보 인터페이스 화면 출력되고, 상기 금융상품 홍보 인터페이스 화면에 상기 RFID 리더부(262)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융관련 RFID 정보를 리딩하도록 처리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포함된 경우, 상기 정보 처리부(244)는 상기 금융상품 홍보 시나리오 정보에 포함된 RFID 리딩 시나리오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RFID 리더부(262)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융관련 RFID 정보를 리 딩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보 처리부(244)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가 입력(또는 리딩)시, 상기 시나리오 검증부(250)는 상기 금융상품 홍보 시나리오 정보에 포함된 정보 검증 시나리오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입력(또는 리딩)되는 정보가 상기 정보 입력 시나리오, 또는 상기 카드(또는 통장) 리딩 시나리오, 또는 상기 RFID 리딩 시나리오 정보에 따라 유효하게 입력(또는 리딩)되는지 검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정보 검증 시나리오 정보는 상기 정보 입력 시나리오에 따른 각 정보 입력 단계를 인증하거나, 또는 카드(또는 통장) 리딩 시나리오에 따른 각 카드(또는 통장) 리딩 단계를 인증하거나, 또는 상기 RFID 리딩 시나리오 정보에 따른 각 RFID 리딩 단계를 인증하는 인증 값과, 인증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정보 검증 시나리오에 따라 상기 정보 처리부(244)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입력(또는 리딩)한 것에 대한 유효성이 검증되지 않으면, 상기 시나리오 검증부(250)는 상기 금융상품 홍보 시나리오 정보에 포함된 금융상품 가입 취소 시나리오 정보에 따라 상기 검증되지 않은 금융상품 가입이 취소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보 처리부(244)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가 입력(또는 리딩)되고, 상기 시나리오 검증부(250)에 의해 상기 입력(또는 리딩)된 정보가 검증되면, 상기 정보 전송부(246)는 상기 금융상품 홍보 시나리오 정보에 포함된 정보 송수신 시나리오 정보에 따라 상기 정보 처리부(244)를 통해 입력(또는 리딩)된 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융상품 가입 요청 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부(254)를 통해 연결된 금융거래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정보 전송부(246)에서 상기 금융거래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금융상품 가입 요청 정보를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로 전송시, 상기 정보 송수신 시나리오 정보는 상기 로봇제어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뱅크로봇(100)과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가 상호 연계하여 상기 전송되는 금융상품 가입 요청 정보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하도록 처리하는 암호화/복호화 기반 보안 시나리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보 전송부(246)에 의해 상기 금융상품 가입 요청 정보가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로 전송시, 상기 시나리오 검증부(250)는 상기 금융상품 홍보 시나리오 정보에 포함된 정보 검증 시나리오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전송되는 금융상품 가입 요청 정보가 상기 정보 송수신 시나리오에 따라 유효하게 전송되는지 검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정보 검증 시나리오 정보는 상기 정보 송수신 시나리오에 따른 각 정보 전송 단계를 인증하는 인증 값과, 인증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정보 검증 시나리오에 따라 상기 정보 전송부(246)를 통해 상기 금융상품 가입 요청 정보를 전송한 것에 대한 유효성이 검증되지 않으면, 상기 시나리오 검증부(250)는 상기 금융거래 시나리오 정보에 포함된 금융상품 가입 취소 시나리오 정보에 따라 상기 검증되지 않은 금융상품 가입이 취소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보 전송부(246)에 의해 상기 금융상품 가입 요청 정보가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로 전송되고, 상기 시나리오 검증부(250)에 의해 상기 금융상품 가입 요청 정보 전송 과정이 검증되면, 상기 정보 수송부(248)는 상기 금융상품 홍보 시나리오 정보에 포함된 정보 송수신 시나리오 정보에 따라 상기 금융거래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로부터 상기 금융상품 가입 요청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융상품 가입 처리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정보 수송부(248)에서 상기 금융거래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로부터 상기 금융상품 가입 처리 정보를 수신시, 상기 정보 송수신 시나리오 정보는 상기 로봇제어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뱅크로봇(100)과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가 상호 연계하여 상기 수신되는 금융상품 가입 처리 정보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하도록 처리하는 암호화/복호화 기반 보안 시나리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보 수송부(248)에 의해 상기 금융상품 가입 처리 정보가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로부터 수신시, 상기 시나리오 검증부(250)는 상기 금융상품 홍보 시나리오 정보에 포함된 정보 검증 시나리오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수신되는 금융상품 가입 처리 정보가 상기 정보 송수신 시나리오에 따라 유효하게 전송되는지 검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정보 검증 시나리오 정보는 상기 정보 송수신 시나리오에 따른 각 정보 수신 단계를 인증하는 인증 값과, 인증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정보 검증 시나리오에 따라 상기 정보 수송부(248)를 통해 상기 금융상품 가입 처리 정보를 수신한 것에 대한 유효성이 검증되지 않으면, 상기 시나리오 검증부(250)는 상기 금융거래 시나리오 정보에 포함된 금융상품 가입 취소 시나리오 정보에 따라 상기 검증되지 않은 금융상품 가입이 취소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보 수송부(248)에 의해 상기 금융상품 가입 처리 정보가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로부터 수신되고, 상기 시나리오 검증부(250)에 의해 상기 금융상품 가입 처리 정보 수신 과정이 검증되면, 상기 정보 처리부(244)는 상기 금융상품 홍보 시나리오에 따라 상기 수신된 금융상품 가입 처리 정보를 상기 금융상품 홍보 인터페이스 화면에 포함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뱅크로봇(100) 운용장소에 대한 맵 데이터를 제작하기 위한 뱅크로봇(100) 초기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3은 상기 도면2에 도시된 뱅크로봇(100)이 은행지점(또는 공공장소)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뱅크로봇(100)에 구비된 화상 인식수단(210)과 자율적 이동수단(215)을 기반으로 상기 뱅크로봇(100)이 은행지점(또는 공공장소)를 포함하는 뱅크로봇(100) 운용장소에 대한 맵 데이터를 제작하기 위한 초과화 과정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3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뱅크로봇(100) 운용장소에 대한 맵 데이터를 제작하기 위한 뱅크로봇(100) 초기화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3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컨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3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외부 통신수단(예컨대, 상기 뱅크로봇(100)과 로봇제어 장치(140) 간 로봇제어 통신채널, 또는 상기 뱅크로봇(100)에 구비된 유선 통신수단(도시생략))을 통해 상기 운용장소 맵 데이터를 다운로드하여 저장하는 과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 가능한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명백함을 밝혀두는 바이다.
또한, 본 도면3에 도시된 실시 방법은 상기 뱅크로봇(100)이 은행지점(또는 공공장소)에 최초 설치되는 실시 방법을 도시하여 설명하지만, 상기 운용장소 맵 데이터를 제작하는 과정이 상기 최초 설치 시점에만 적용되는 것은 결코 아니며,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뱅크로봇(100) 운용장소의 인테리어가 변경되거나, 또는 고정 객체(또는 준 고정 객체, 또는 섀도우 객체)의 추가(또는 제거)에 따라 주기적으로 반복 처리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3을 참조하면, 상기 도면2에 도시된 뱅크로봇(100)이 은행지점(또는 공공장소)에 설치된 후, 상기 뱅크로봇(100)에 전원(예컨대, 뱅크로봇(100)에 구비된 배터리 전원)이 입력되어 부팅되면, 상기 뱅크로봇(100)은 무선 통신부(254)를 통해 상기 뱅크로봇(100) 운용장소에 구비된 무선AP(135)와 무선 통신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무선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로봇제어 장치(140)와 로봇제 어 통신채널이 연결되는지 확인한다(300).
여기서, 상기 로봇제어 통신채널은 상기 뱅크로봇(100)과 무선AP(135) 간 무선 통신채널을 기반으로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에서 상기 뱅크로봇(100)과 통신채널이 연결되어 있는지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상기 뱅크로봇(100)의 현재위치(또는 이동경로)를 추적하는 뱅크로봇(100) 감시 채널, 상기 뱅크로봇(100)의 동작모드를 확인하는 동작모드 확인 채널, 상기 뱅크로봇(100)의 동작모드를 원격으로 설정하는 동작모드 설정 채널, 상기 뱅크로봇(100)에서 상기 뱅크로봇(100)의 동작모드에 대응하는 금융상품 홍보 인터페이스(또는 금융거래 인터페이스)에 따라 상기 고객인식 기반 맞춤형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를 처리하고 있는지 검증하는 동작 시나리오 검증 채널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뱅크로봇(100) 감시 채널은, 상기 뱅크로봇(100)이 종래 CD/ATM과 같이 고정되지 않고 자율적으로 이동하는 이동 특성에 따라 상기 뱅크로봇(100)을 관리하는 관리직원의 시선에서 벗어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며, 상기 뱅크로봇(100)이 도난 당하거나, 또는 상기 관리직원의 시선에서 벗어난 상태에서 해커에 의해 조작 당하는 경우, 뱅킹시스템이 위험에 노출될 수 있는 위험성이 항상 상존하기 때문에 상기 뱅크로봇(100)이 도난, 유실, 오작동되지 않고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지 실시간 감시하고, 상기 뱅크로봇(100)의 현재위치(또는 이동경로)를 추적하는 통신 채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뱅크로봇(100) 감시 채널을 통해 감시되는 뱅크로봇(100) 동작 상태는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에 구비된 뱅크로봇(100) 로그 정보에 실시간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동작모드 확인 채널은, 상기 뱅크로봇(100)과 당행 고객 간 대화, 또는 상기 당행 고객의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 대상 선택에 따라 자동 설정되는 상기 뱅크로봇(100)의 동작모드를 원격으로 확인하기 위한 통신채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동작모드 확인 채널을 통해 확인되는 상기 뱅크로봇(100)의 동작모드는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에 구비된 뱅크로봇(100) 로그 정보에 실시간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동작모드 설정 채널은,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에서 상기 뱅크로봇(100)의 동작모드를 고객인식 기반 맞춤형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를 처리하기 위한 동작모드로 원격 설정하기 위한 통신채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동작모드 설정 채널을 통해 설정된 상기 뱅크로봇(100)의 동작모드는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에 구비된 뱅크로봇(100) 로그 정보에 실시간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동작 시나리오 검증 채널은, 상기 뱅크로봇(100)의 동작모드가 고객인식 기반 맞춤형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를 처리하기 위한 동작모드로 자동 설정(또는 원격 설정)된 후, 상기 뱅크로봇(100)이 상기 동작모드에 대응하는 금융상품 홍보 인터페이스(또는 금융거래 인터페이스)에 따라 상기 고객인식 기반 맞춤형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를 적절히 처리하고 있는지 검증하는 통신채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동작 시나리오 검증 채널을 통해 검증되는 상기 뱅크로봇(100)의 시나리오 검증 정보는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에 구비된 뱅크로봇(100) 로그 정보에 실시간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동작 시나리오 검증 채널은, 상기 뱅크로봇(100)에서 특정 금융상품 홍보 인터페이스(또는 금융거래 인터페이스) 단계를 수행한 후, 상기 시나리오 단계에 대한 검증 값(또는 인증 값)을 생성하여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로 전송하면,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에서 상기 검증 값(또는 인증 값)을 승인(또는 인증)하는 통신채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에서 상기 검증 값(또는 인증 값)을 승인(또는 인증)한 후, 상기 뱅크로봇(100)은 다음 시나리오 단계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특정 금융상품 홍보 인터페이스(또는 금융거래 인터페이스)에 따라 고객인식 기반 맞춤형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를 수행하는 동안 상기 동작 시나리오가 검증되지 않으면,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는 상기 동작 시나리오가 검증되지 않은 고객인식 기반 맞춤형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를 취소 처리하고, 상기 뱅크로봇(100) 역시 상기 동작 시나리오가 검증되지 않은 고객인식 기반 맞춤 형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를 취소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뱅크로봇(100)과 로봇제어 장치(140) 간 로봇제어 통신채널이 연결되면(305), 상기 뱅크로봇(100)은 상기 위치 제어부(252)(또는 메모리부(266)) 상에 상기 뱅크로봇(100) 운용장소에 대한 운용장소 맵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한다(310).
만약 상기 뱅크로봇(100) 운용장소에 대한 운용장소 맵 데이터가 기 저장되어 있다면(315), 상기 뱅크로봇(100)은 상기 운용장소 맵 데이터 제작 과정을 생략한다.
반면 상기 뱅크로봇(100) 운용장소에 대한 운용장소 맵 데이터가 기 저장되어 있지 않다면(315), 상기 뱅크로봇(100)은 상기 뱅크로봇(100)의 동작모드를 상기 운용장소 맵 데이터 제작모드로 설정하고(320), 상기 뱅크로봇(100)에 구비된 화면 출력장치(110)를 통해 상기 뱅크로봇(100) 운용장소가 폐쇄형인지, 또는 개방형인지 설정하도록 요청한다(325).
만약 상기 뱅크로봇(100) 운용장소가 폐쇄형으로 설정되면(330), 상기 뱅크로봇(100)은 상기 화면 출력장치(110)를 통해 상기 뱅크로봇(100) 운용장소 상에서 상기 뱅크로봇(100)에 구비된 배터리를 충전하는 전원공급 위치(예컨대, 상기 뱅크 로봇(100)의 홈 위치)로 상기 뱅크로봇(100)을 이동하도록 요청하고(335), 상기 뱅크로봇(100)의 위치가 상기 전원공급 위치로 이동하면(340), 도면4에 도시된 폐쇄형 운용장소에 대한 외부 경계 맵 데이터 제작 과정을 수행한다.
반면 상기 뱅크로봇(100) 운용장소가 개방형으로 설정되면(330), 상기 뱅크로봇(100)은 상기 화면 출력장치(110)를 통해 상기 뱅크로봇(100) 운용장소 상에서 상기 무선AP(135)가 구비된 무선AP(135) 위치로 상기 뱅크로봇(100)을 이동하도록 요청하고(345), 상기 뱅크로봇(100)의 위치가 상기 무선AP(135) 위치로 이동하면(350), 도면5에 도시된 개방형 운용장소에 대한 외부 경계 맵 데이터 제작 과정을 수행한다.
도면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폐쇄형 운용장소에 대한 외부 경계 맵 데이터를 제작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4는 상기 도면2에 도시된 뱅크로봇(100)이 은행지점(또는 공공장소)에 설치된 후, 상기 도면3에 도시된 운용장소 맵 데이터 제작 초기화 과정을 통해 폐쇄형 운용장소에 대한 맵 데이터를 제작하는 것으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뱅크로봇(100)에서 상기 폐쇄형 운용장소의 벽면에 포함하는 외부 경계 맵 데이터를 제작하는 과정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4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폐쇄형 운용장소에 대한 외부 경계 맵 데이터를 제작하는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4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컨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4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외부 통신수단(예컨대, 상기 뱅크로봇(100)과 로봇제어 장치(140) 간 로봇제어 통신채널, 또는 상기 뱅크로봇(100)에 구비된 유선 통신수단(도시생략))을 통해 상기 운용장소 맵 데이터를 다운로드하여 저장하는 과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 가능한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명백함을 밝혀두는 바이다.
또한, 본 도면4에 도시된 실시 방법은 상기 뱅크로봇(100)이 은행지점(또는 공공장소)에 최초 설치되는 실시 방법을 도시하여 설명하지만, 상기 운용장소 맵 데이터를 제작하는 과정이 상기 최초 설치 시점에만 적용되는 것은 결코 아니며,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뱅크로봇(100) 운용장소의 인테리어가 변경되거나, 또는 고정 객체(또는 준 고정 객체, 또는 섀도우 객체)의 추가(또는 제거)에 따라 주기적으로 반복 처리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는, 본 도면4에 도시된 실시 방법은 상기 뱅크로봇(100)을 운용하는 은행지점(또는 공공장소)에서 상기 뱅크로봇(100)에 구비된 배터리를 충전하는 위치를 상기 뱅크로봇(100)의 홈 위치로 설정하여 상기 맵 데이터를 제작하는 것으로 도시하여 설명하지만,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하며, 상기 뱅크로봇(100)의 홈 위치는 은행지점(또는 공공장소)의 어느 위치에 설정되어도 무방하다.
도면4를 참조하면, 상기 도면2에 도시된 뱅크로봇(100)이 은행지점(또는 공공장소)에 설치된 후, 상기 도면3에 도시된 운용장소 맵 데이터 제작 초기화 과정을 통해 폐쇄형 운용장소에 대한 맵 데이터를 제작하는 것으로 설정되면, 상기 뱅크로봇(100)은 화상 인식수단(210)을 통해 좌/우 방향 중 상기 폐쇄형 운용장소의 벽면을 인식한다(400).
만약 상기 화상 인식수단(210)을 통해 상기 폐쇄형 운용장소의 벽면이 인식되면(405), 상기 뱅크로봇(100)은 상기 전원공급 위치를 상기 운용장소 맵 데이터 제작을 위한 원점으로 설정하고(410), 상기 화상 인식수단(210)을 통해 상기 인식된 좌/우 벽면 중 일방향을 상기 운용장소 맵 데이터 제작을 위한 뱅크로봇(100)의 이동 방향으로 설정한다(415).
이후, 상기 뱅크로봇(100)은 상기 화상 인식수단(210)을 통해 상기 이동 방향에 대한 고정 객체(또는 준 고정 객체, 또는 섀도우 객체)를 인식하고(420), 상기 원점을 기준으로 상기 고정 객체(또는 준 고정 객체, 또는 섀도우 객체)를 회피하여 상기 이동 방향에 대한 뱅크로봇(100)의 이동 위치를 확인하고(425), 상기 뱅 크로봇(100)에 구비된 자율적 이동수단(215)을 통해 상기 뱅크로봇(100)을 상기 확인된 뱅크로봇(100)의 이동 위치로 이동하도록 처리하고, 상기 이동 중에 상기 뱅크로봇(100)의 이동 거리와 이동 경로 정보를 생성한 후(430), 상기 생성된 이동 거리와 이동 경로 정보를 포함하는 폐쇄형 운용장소의 외부 경계 맵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뱅크로봇(100)에 구비된 위치 제어부(252)(또는 메모리부(266))에 저장한다(43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폐쇄형 운용장소의 외부 경계 맵 데이터를 생성 및 저장 과정은 상기 뱅크로봇(100)이 폐쇄형 운용장소의 외부경계를 따라 상기 원점으로 회귀할 때까지 반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뱅크로봇(100)이 상기 폐쇄형 운용장소의 외부경계를 따라 상기 원점으로 회귀하면(440), 상기 뱅크로봇(100)은 도면6에 도시된 운용장소 내부 맵 데이터 제작 과정을 수행한다.
도면5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개방형 운용장소에 대한 외부 경계 맵 데이터를 제작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5는 상기 도면2에 도시된 뱅크로봇(100)이 은행지점(또는 공공장소)에 설치된 후, 상기 도면3에 도시된 운용장소 맵 데이터 제작 초기 화 과정을 통해 개방형 운용장소에 대한 맵 데이터를 제작하는 것으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뱅크로봇(100)에서 상기 개방형 운용장소에 구비된 무선AP(135)를 기준으로 최대 뱅크로봇(100) 운용거리 내에서 상기 뱅크로봇(100)이 동작하는 외부 경계 맵 데이터를 제작하는 과정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5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개방형 운용장소에 대한 외부 경계 맵 데이터를 제작하는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5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컨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5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외부 통신수단(예컨대, 상기 뱅크로봇(100)과 로봇제어 장치(140) 간 로봇제어 통신채널, 또는 상기 뱅크로봇(100)에 구비된 유선 통신수단(도시생략))을 통해 상기 운용장소 맵 데이터를 다운로드하여 저장하는 과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 가능한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명백함을 밝혀두는 바이다.
또한, 본 도면5에 도시된 실시 방법은 상기 뱅크로봇(100)이 은행지점(또는 공공장소)에 최초 설치되는 실시 방법을 도시하여 설명하지만, 상기 운용장소 맵 데이터를 제작하는 과정이 상기 최초 설치 시점에만 적용되는 것은 결코 아니며,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뱅크로봇(100) 운용장소의 인테리어가 변경되거나, 또 는 고정 객체(또는 준 고정 객체, 또는 섀도우 객체)의 추가(또는 제거)에 따라 주기적으로 반복 처리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는, 본 도면5에 도시된 실시 방법은 상기 뱅크로봇(100)을 운용하는 은행지점(또는 공공장소)에서 상기 뱅크로봇(100)과 무선 통신채널을 연결하는 무선AP(135) 위치를 상기 운용장소 맵 데이터를 제작하기 위한 원점으로 설정하는 것으로 도시하여 설명하지만,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하며, 상기 운용장소 맵 데이터를 제작하기 위한 원점은 은행지점(또는 공공장소)의 어느 위치에 설정되어도 무방하다.
도면5를 참조하면, 상기 도면2에 도시된 뱅크로봇(100)이 은행지점(또는 공공장소)에 설치된 후, 상기 도면3에 도시된 운용장소 맵 데이터 제작 초기화 과정을 통해 개방형 운용장소에 대한 맵 데이터를 제작하는 것으로 설정되면, 상기 뱅크로봇(100)은 화면 출력장치(110)로 상기 뱅크로봇(100) 운용장소에 구비된 무선AP(135)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뱅크로봇(100)이 동작할 최대 뱅크로봇(100) 운용 거리를 입력하도록 요청하고(500), 만약 상기 최대 뱅크로봇(100) 운용 거리가 입력되면(505), 상기 뱅크로봇(100)은 상기 무선AP(135) 위치를 상기 운용장소 맵 데이터를 제작하기 위한 원점으로 설정한다(510).
이후, 상기 뱅크로봇(100)은 상기 화상 인식수단(210)을 통해 상기 전/후/좌 /우 방향 중 고정 객체(또는 준 고정 객체, 또는 섀도우 객체)가 없거나, 또는 가장 먼 거리에 상기 고정 객체(또는 준 고정 객체, 또는 섀도우 객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인식되는 일방향을 상기 운용장소 맵 데이터 제작을 위한 뱅크로봇(100)의 이동 방향으로 설정한다(515).
이후, 상기 뱅크로봇(100)은 상기 화상 인식수단(210)을 통해 상기 이동 방향에 대한 고정 객체(또는 준 고정 객체, 또는 섀도우 객체)를 인식하고(520), 상기 원점을 기준으로 상기 고정 객체(또는 준 고정 객체, 또는 섀도우 객체)를 회피하여 상기 이동 방향에 대한 뱅크로봇(100)의 이동 위치를 확인하고(525), 상기 뱅크로봇(100)에 구비된 자율적 이동수단(215)을 통해 상기 뱅크로봇(100)을 상기 확인된 뱅크로봇(100)의 이동 위치로 이동하도록 처리하고, 상기 이동 중에 상기 뱅크로봇(100)의 이동 거리와 이동 경로 정보를 생성한 후(530), 상기 생성된 이동 거리와 이동 경로 정보를 포함하는 개방형 운용장소의 외부 경계 맵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뱅크로봇(100)에 구비된 위치 제어부(252)(또는 메모리부(266))에 저장한다(53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개방형 운용장소의 최대 뱅크로봇(100) 운용 거리까지의 맵 데이터를 생성 및 저장 과정은 상기 뱅크로봇(100)이 상기 원점을 기준으로 상기 최대 뱅크로봇(100) 운용 거리에 도달할 때까지 반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뱅크로봇(100)이 상기 개방형 운용장소의 일방향을 따라 상기 최대 뱅크로봇(100) 운용 거리에 도달하면(540), 상기 뱅크로봇(100)은 상기 뱅크로봇(100)이 도달한 현재 위치를 외부 경계 맵 데이터를 제작하기 위한 기준점으로 설정하고(545), 상기 기준점을 기준으로 상기 최대 뱅크로봇(100) 운용 거리를 초과하지 않는 일 방향으로 상기 뱅크로봇(100)의 이동방향(예컨대, 원점과 뱅크로봇(100)의 현재 위치를 연결하는 직선의 90도 이내의 방향)을 설정한 후(550), 상기 뱅크로봇(100)이 상기 기준점으로 회귀할 때까지 상기 뱅크로봇(100) 운용장소의 외부 경계 맵 데이터를 제작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상기 뱅크로봇(100)이 상기 기준점으로 회귀하면(555), 상기 뱅크로봇(100)은 도면6에 도시된 운용장소 내부 맵 데이터 제작 과정을 수행한다.
도면6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뱅크로봇(100) 운용장소에 대한 내부 맵 데이터를 제작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6은 상기 도면2에 도시된 뱅크로봇(100)이 은행지점(또는 공공장소)에 설치된 후, 상기 도면3에 도시된 운용장소 맵 데이터 제작 초기화 과정과, 도면4 또는 도면5에 도시된 외부 경계 맵 데이터 제작 과정을 수행한 경우, 상기 뱅크로봇(100) 운용장소에 대한 내부 맵 데이터를 제작하는 과정에 대 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6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뱅크로봇(100) 운용장소에 대한 내부 맵 데이터를 제작하는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6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컨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6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외부 통신수단(예컨대, 상기 뱅크로봇(100)과 로봇제어 장치(140) 간 로봇제어 통신채널, 또는 상기 뱅크로봇(100)에 구비된 유선 통신수단(도시생략))을 통해 상기 운용장소 맵 데이터를 다운로드하여 저장하는 과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 가능한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명백함을 밝혀두는 바이다.
또한, 본 도면6에 도시된 실시 방법은 상기 뱅크로봇(100)이 은행지점(또는 공공장소)에 최초 설치되는 실시 방법을 도시하여 설명하지만, 상기 운용장소 맵 데이터를 제작하는 과정이 상기 최초 설치 시점에만 적용되는 것은 결코 아니며,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뱅크로봇(100) 운용장소의 인테리어가 변경되거나, 또는 고정 객체(또는 준 고정 객체, 또는 섀도우 객체)의 추가(또는 제거)에 따라 주기적으로 반복 처리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6을 참조하면, 상기 도면2에 도시된 뱅크로봇(100)이 은행지점(또는 공공장소)에 설치된 후, 상기 도면3에 도시된 운용장소 맵 데이터 제작 초기화 과정과, 도면4 또는 도면5에 도시된 외부 경계 맵 데이터 제작 과정을 수행한 경우, 상기 뱅크로봇(100)은 상기 회귀점(예컨대, 도면4에 도시된 원점, 또는 도면5에 도시된 기준점)을 기준으로 상기 운용장소 내부 맵 데이터를 제작하기 위한 제i(i=1) 기준점 위치를 확인한다(600).
여기서, 상기 운용장소 내부 맵 데이터를 제작하기 위한 제i(i=1) 기준점 위치는 상기 외부 경계를 벗어나지 않는 운용장소 내부 방향의 임의 위치로 확인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상기 뱅크로봇(100)은 상기 화상 인식수단(210)을 통해 상기 제i 기준점 방향에 대한 고정 객체(또는 준 고정 객체, 또는 섀도우 객체)를 인식하고(605), 상기 인식된 고정 객체(또는 준 고정 객체, 또는 섀도우 객체)를 회피하여 상기 뱅크로봇(100)을 상기 제i 기준점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뱅크로봇(100) 이동 위치를 확인한다(610).
이후, 상기 뱅크로봇(100)은 자율적 이동수단(215)을 통해 상기 뱅크로봇(100)의 위치를 뱅크로봇(100) 이동 위치로 이동하도록 처리하고, 상기 이동 중에 상기 뱅크로봇(100)의 이동 거리와 이동 경로 정보를 생성한 후(615), 상기 생 성된 이동 거리와 이동 경로 정보를 포함하는 운용장소의 내부 맵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뱅크로봇(100)에 구비된 위치 제어부(252)(또는 메모리부(266))에 저장한다(620).
이후, 상기 뱅크로봇(100)은 상기 뱅크로봇(100)의 현재 위치(예컨대, 제i 기준점 위치)를 상기 운용장소 내부 맵 데이터를 제작하기 위한 제i 기준점으로 설정하고(625), 상기 뱅크로봇(100)의 화상 인식수단(210)을 통해 상기 도면4 또는 도면5에 도시된 외부 경계 맵 데이터 제작 과정을 통해 제작된 외부 경계 안쪽의 일방향에 대한 고정 객체(또는 준 고정 객체, 또는 섀도우 객체)를 인식하고(630), 상기 인식된 고정 객체(또는 준 고정 객체, 또는 섀도우 객체)를 회피하여 상기 뱅크로봇(100)을 외부 경계 안쪽의 일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뱅크로봇(100) 이동 위치를 확인한다(635).
이후, 상기 뱅크로봇(100)은 자율적 이동수단(215)을 통해 상기 뱅크로봇(100)의 위치를 뱅크로봇(100) 이동 위치로 이동하도록 처리하고, 상기 이동 중에 상기 뱅크로봇(100)의 이동 거리와 이동 경로 정보를 생성한 후(640), 상기 생성된 이동 거리와 이동 경로 정보를 포함하는 운용장소의 내부 맵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뱅크로봇(100)에 구비된 위치 제어부(252)(또는 메모리부(266))에 저장한다(64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뱅크로봇(100)이 상기 운용장소의 내부 맵 데이터 내의 모든 고정 객체(또는 준 고정 객체, 또는 섀도우 객체)가 확인될 때까지 상기 과정을 반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운용장소의 내부 맵 데이터 내의 고정 객체(또는 준 고정 객체, 또는 섀도우 객체)가 확인되지 않은 영역이 존재하하여 상기 운용장소 맵 데이터가 완성되지 않으면(650), 상기 뱅크로봇(100)은 상기 운용장소의 내부 맵 데이터 내의 고정 객체(또는 준 고정 객체, 또는 섀도우 객체)가 확인될 때까지 화상 인식수단(210)을 통해 상기 제i 기준점을 기준으로 상기 운용장소 내부 맵 데이터를 제작하기 위한 제(i=i+1) 기준점 위치를 확인하고(655), 상기 화상 인식수단(210)을 통해 상기 제i 기준점 방향에 대한 고정 객체(또는 준 고정 객체, 또는 섀도우 객체)를 인식하여 상기 운용장소 내부 맵 데이터를 제작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도면4 또는 도면5에 도시된 외부 경계 맵 데이터 제작 과정과, 본 도면6에 도시된 운용장소 내부 맵 데이터 제작 과정을 통해 상기 뱅크로봇(100) 운용장소에 설치된 고정 객체(또는 준 고정 객체, 또는 섀도우 객체)에 대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운용장소 맵 데이터가 제작된다.
도면7a와 도면7b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뱅크로봇(100)이 은행지점(또는 공공장소) 상의 뱅크로봇(100) 동작 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 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7a와 도면7b는 상기 도면2에 도시된 뱅크로봇(100)이 상기 도면3에서 도면6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제작된 운용장소 맵 데이터(또는 외부 통신수단을 통해 뱅크로봇(100)으로 제공된 운용장소 맵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은행지점(또는 공공장소)에 방문한 고객의 동선을 방해하지 않으며, 상기 은행지점(또는 공공장소)에 방문한 고객과 고객인식 기반 맞춤형 금융상품 홍보 서비스(또는 가상 대면 인증 방식의 금융거래)를 처리할 수 있는 뱅크로봇(100) 동작 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7a와 도면7b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뱅크로봇(100)이 은행지점(또는 공공장소) 상의 뱅크로봇(100) 동작 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7a와 도면7b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7a와 도면7b를 참조하면, 상기 도면2에 도시된 뱅크로봇(100)은 뱅크로봇(100) 동작 위치로 이동하기 전에 무선 통신부(254)를 통해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로봇제어 장치(140)와 로봇제어 통신채널이 연결되는지 확인한다(700).
여기서, 상기 로봇제어 통신채널은 상기 뱅크로봇(100)과 무선AP(135) 간 무 선 통신채널을 기반으로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에서 상기 뱅크로봇(100)과 통신채널이 연결되어 있는지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상기 뱅크로봇(100)의 현재위치(또는 이동경로)를 추적하는 뱅크로봇(100) 감시 채널, 상기 뱅크로봇(100)의 동작모드를 확인하는 동작모드 확인 채널, 상기 뱅크로봇(100)의 동작모드를 원격으로 설정하는 동작모드 설정 채널, 상기 뱅크로봇(100)에서 상기 뱅크로봇(100)의 동작모드에 대응하는 금융상품 홍보 인터페이스(또는 금융거래 인터페이스)에 따라 상기 고객인식 기반 맞춤형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를 처리하고 있는지 검증하는 동작 시나리오 검증 채널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뱅크로봇(100) 감시 채널은, 상기 뱅크로봇(100)이 종래 CD/ATM과 같이 고정되지 않고 자율적으로 이동하는 이동 특성에 따라 상기 뱅크로봇(100)을 관리하는 관리직원의 시선에서 벗어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며, 상기 뱅크로봇(100)이 도난 당하거나, 또는 상기 관리직원의 시선에서 벗어난 상태에서 해커에 의해 조작 당하는 경우, 뱅킹시스템이 위험에 노출될 수 있는 위험성이 항상 상존하기 때문에 상기 뱅크로봇(100)이 도난, 유실, 오작동되지 않고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지 실시간 감시하고, 상기 뱅크로봇(100)의 현재위치(또는 이동경로)를 추적하는 통신채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뱅크로봇(100) 감시 채널을 통해 감시되는 뱅크로봇(100) 동작 상태는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에 구비된 뱅크로봇(100) 로그 정보에 실시간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동작모드 확인 채널은, 상기 뱅크로봇(100)과 당행 고객 간 대화, 또는 상기 당행 고객의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 대상 선택에 따라 자동 설정되는 상기 뱅크로봇(100)의 동작모드를 원격으로 확인하기 위한 통신채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동작모드 확인 채널을 통해 확인되는 상기 뱅크로봇(100)의 동작모드는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에 구비된 뱅크로봇(100) 로그 정보에 실시간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동작모드 설정 채널은,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에서 상기 뱅크로봇(100)의 동작모드를 고객인식 기반 맞춤형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를 처리하기 위한 동작모드로 원격 설정하기 위한 통신채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동작모드 설정 채널을 통해 설정된 상기 뱅크로봇(100)의 동작모드는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에 구비된 뱅크로봇(100) 로그 정보에 실시간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동작 시나리오 검증 채널은, 상기 뱅크로봇(100)의 동작모드가 고객인식 기반 맞춤형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를 처리하기 위한 동작모드로 자동 설정(또는 원격 설정)된 후, 상기 뱅크로봇(100)이 상기 동작모드에 대응하는 금융상품 홍보 인터페이스(또는 금융거래 인터페이스)에 따라 상기 고객인식 기반 맞춤형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를 적절히 처리하고 있는지 검증하는 통신채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동작 시나리오 검증 채널을 통해 검증되는 상기 뱅크로봇(100)의 시나리오 검증 정보는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에 구비된 뱅크로봇(100) 로그 정보에 실시간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동작 시나리오 검증 채널은, 상기 뱅크로봇(100)에서 특정 금융상품 홍보 인터페이스(또는 금융거래 인터페이스) 단계를 수행한 후, 상기 시나리오 단계에 대한 검증 값(또는 인증 값)을 생성하여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로 전송하면,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에서 상기 검증 값(또는 인증 값)을 승인(또는 인증)하는 통신채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에서 상기 검증 값(또는 인증 값)을 승인(또는 인증)한 후, 상기 뱅크로봇(100)은 다음 시나리오 단계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특정 금융상품 홍보 인터페이스(또는 금융거래 인터페이스)에 따라 고객인식 기반 맞춤형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를 수행하는 동안 상기 동작 시나리오가 검증되지 않으면,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는 상기 동작 시나리오가 검증되지 않은 고객인식 기반 맞춤형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를 취소 처리하고, 상기 뱅크로봇(100) 역시 상기 동작 시나리오가 검증되지 않은 고객인식 기반 맞춤형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를 취소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뱅크로봇(100)과 로봇제어 장치(140) 간 로봇제어 통신채널이 연 결되면(705), 상기 뱅크로봇(100)은 상기 로봇제어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로부터 상기 은행지점(또는 공공장소)에 방문한 고객을 대상으로 고객인식 기반 맞춤형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를 위한 동작 명령이 수신되는지 확인한다(710).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동작 명령은 상기 뱅크로봇(100)에 구비된 발화 기능을 기반으로 상기 은행지점(또는 공공장소)에 방문한 고객이 원하는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 대상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고객인식 기반 맞춤형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를 처리하도록 하는 자율적 동작 명령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동작 명령은 상기 뱅크로봇(100)이 구비된 은행지점(또는 공공장소)에서 이루어지는 창구업무 중 일부를 상기 뱅크로봇(100)이 담당하도록 처리하는 금융거래 대상 지정 동작 명령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반적으로 상기 금융거래 대상 지정 동작 명령은 상기 동작모드 설정 정보와 함께 상기 뱅크로봇(100)으로 수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로봇제어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동작 명령이 수신되면(715), 상기 뱅크로봇(100)은 화상 인식수단(210)을 통해 상기 은행지점(또는 공공장송) 내에서 고객의 동선에 방해되지 않으며, 고객과 근거리로 접근하기 위한 뱅크로봇(100) 동작 위치를 확인하고(720), 상기 운용장소 맵 데이터와 동선 제어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뱅크로봇(100)이 위치한 현재 위치에서 상기 확인된 뱅크로봇(100) 동작 위치까지 이동경로 정보를 설정한다(725).
이후, 상기 뱅크로봇(100)은 상기 자율적 이동수단(215)을 통해 상기 이동경로를 따라 상기 뱅크로봇(100)의 위치를 상기 확인된 뱅크로봇(100) 동작 위치로 이동 시키고, 상기 이동 중에 상기 로봇제어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뱅크로봇(100)의 위치정보를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로 전송하여 뱅크로봇(100) 로그 정보에 저장되도록 처리한다(730).
또한, 상기 뱅크로봇(100)은 상기 뱅크로봇(100) 동작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상기 화상 인식수단(210)을 통해 상기 뱅크로봇(100) 전면(또는 이동경로)에 고객이 접근하는지 확인한다(735).
만약 상기 뱅크로봇(100) 이동 중(예컨대, 상기 뱅크로봇(100) 동작 위치에 도착하기 전)에 상기 뱅크로봇(100) 전면에 상기 고객이 접근한 것이 확인되지 않으면(740), 상기 뱅크로봇(100)은 상기 운용장소 맵 데이터와 동선 제어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뱅크로봇(100)의 현재 위치가 뱅크로봇(100) 동작 위치에 도착했는지 확인하고(775), 상기 뱅크로봇(100)이 상기 뱅크로봇(100) 동작 위치에 도착할 때까지 상기 과정을 반복한다.
만약 상기 뱅크로봇(100)의 위치가 상기 뱅크로봇(100) 동작 위치에 도달하면(780), 상기 뱅크로봇(100)은 상기 자율적 이동수단(215)을 통해 상기 뱅크로봇(100)의 위치를 이동하는 것을 정지하고(785), 상기 로봇제어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로 상기 뱅크로봇(100)의 위치정보를 전송한다(790).
반면 상기 뱅크로봇(100) 이동 중(예컨대, 상기 뱅크로봇(100) 동작 위치에 도착하기 전)에 상기 뱅크로봇(100) 전면에 상기 고객이 접근한 것이 확인되면(740), 상기 뱅크로봇(100)은 상기 운용장소 맵 데이터와 동선 제어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뱅크로봇(100)의 현재 위치가 상기 은행지점(또는 공공장소)에 방문한 고객의 동선을 방해하는지 확인한다(745).
만약 상기 뱅크로봇(100)의 현재 위치가 상기 은행지점(또는 공공장소)에 방문한 고객의 동선을 방해하지 않는다면(750), 상기 뱅크로봇(100)은 현재 위치를 상기 동작 명령에 대응하는 고객인식 기반 맞춤형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를 위한 뱅크로봇(100) 동작 위치로 재설정하고(755), 상기 자율적 이동수단(215)을 통해 상기 뱅크로봇(100)의 위치를 이동하는 것을 정지하고(785), 상기 로봇제어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로 상기 뱅크로봇(100)의 위치정보를 전송한다(790).
만약 상기 뱅크로봇(100)의 현재 위치가 상기 은행지점(또는 공공장소)에 방문한 고객의 동선을 방해한다면(750), 상기 뱅크로봇(100)은 음성 출력수단(200)을 통해 뱅크로봇(100) 동작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고객 위치변경 요청 발화가 음성 출력되도록 처리한 후(760), 상기 화면 인식수단을 통해 상기 뱅크로봇(100) 전면(또는 이동경로)에 위치한 고객의 위치가 변경되는지 확인한다(765).
만약 상기 뱅크로봇(100) 전면(또는 이동경로)에 위치한 고객의 위치가 변경되면(770), 상기 뱅크로봇(100)은 상기 운용장소 맵 데이터와 동선 제어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뱅크로봇(100)의 현재 위치가 뱅크로봇(100) 동작 위치에 도착했는지 확인하고(775), 상기 뱅크로봇(100)이 상기 뱅크로봇(100) 동작 위치에 도착할 때까지 상기 과정을 반복한다.
만약 상기 뱅크로봇(100)의 위치가 상기 뱅크로봇(100) 동작 위치에 도달하면(780), 상기 뱅크로봇(100)은 상기 자율적 이동수단(215)을 통해 상기 뱅크로봇(100)의 위치를 이동하는 것을 정지하고(785), 상기 로봇제어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로 상기 뱅크로봇(100)의 위치정보를 전송한다(790).
도면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른 화상 인식을 통한 고객 인식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8은 상기 도면2에 도시된 뱅크로봇(100)에서 상기 화면 인식수단을 통해 상기 뱅크로봇(100) 전면에 위치하는 복수의 고객 중 응대 대상 고객을 인식하고, 상기 응대 대상 고객에 대한 안면 인식을 통해 상기 응대 대상 고객을 당행 고객으로 인식하는 과정에 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복수의 당행 고객에 대한 안면 인식 데이터, 또는 고객 이미지 인식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고객 인식 데이터가 상기 뱅크로봇(100)에 구비된 메모리부(266)에 저장된 경우, 상기 뱅크로봇(100)에서 상기 안면 인식 데이터와 상기 메모리부(266)에 저장된 고객 인식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응대 대상 고객을 당행 고객으로 인식하는 실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8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화상 인식을 통한 고객 인식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8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8을 참조하면, 상기 도면2에 도시된 뱅크로봇(100)은 상기 화상 인식수단(210)을 통해 상기 뱅크로봇(100)의 전면에 위치하는 복수의 고객을 인식하고(800), 상기 인식된 복수의 고객 중 응대 대상 고객을 인식한다(805).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화상 인식부(213)수단은 상기 뱅크로봇(100)의 전면에 위치하는 복수의 고객 중, 상기 화상 인식수단(210)과 가장 근거리에 위치하는(예컨대, 초점거리가 짧거나, 또는 깊이값이 작은) 고객을 상기 응대 대상 고객으로 인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화상 인식수단(210)은 상기 뱅크로봇(100)의 전면에 위치하는 복수의 고객 중 상기 화상 인식수단(210)과 시선방향(LOS)이 일치하는(예컨대, 상기 뱅크로봇(100)을 바라보고 있는) 고객 중, 상기 뱅크로봇(100)을 향해 발화하고 있는(예컨대, 고객 안면 중 입술이 움직이고 있는) 고객을 상기 응대 대상 고객으로 인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상기 뱅크로봇(100)은 상기 응대 대상 고객에 대한 안면 화상 데이터를 인식하고(810), 상기 응대 대상 고객의 안면 화상 데이터에 대한 안면 인식 데이터를 인식한다(81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뱅크로봇(100)은 상기 응대 대상 고객의 안면 화상 데이터에 포함된 눈, 코, 입, 귀 등의 안면 객체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눈, 코, 입, 귀 등의 상대적인 위치 데이터와, 상기 인식된 눈, 코, 입, 귀 등의 모양(또는 형태) 데이터와, 상기 인식된 눈, 코, 입, 귀 등의 방향 데이터를 포함하는 안면 인식 데이터를 인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응대 대상 고객의 안면 인식 데이터가 인식되면(820), 상기 뱅크로봇(100)은 상기 메모리부(266)에 저장된 고객 인식 데이터(예컨대, 복수의 당행 고객에 대한 안면 인식 데이터, 또는 고객 이미지 인식 데이터)와 상기 응대 대상 고객의 안면 인식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인식 데이터가 매칭되는지 확인한다(825).
만약 상기 응대 대상 고객의 안면 인식 데이터와 상기 메모리부(266)에 저장된 고객 인식 데이터가 매칭되지 않으면(830), 상기 뱅크로봇(100)은 상기 화면 인식수단을 통해 상기 뱅크로봇(100)의 전면에 위치하는 복수의 고객 중 응대 대상 고객을 인식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반면 상기 응대 대상 고객의 안면 인식 데이터와 상기 메모리부(266)에 저장된 고객 인식 데이터가 매칭된다면(830), 상기 뱅크로봇(100)은 상기 응대 대상 고객을 당행 고객으로 인식한다(835).
도면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른 화상 인식을 통한 고객 인식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9는 상기 도면2에 도시된 뱅크로봇(100)에서 상기 화면 인식수단을 통해 상기 뱅크로봇(100) 전면에 위치하는 복수의 고객 중 응대 대상 고객을 인식하고, 상기 응대 대상 고객에 대한 안면 인식을 통해 상기 응대 대상 고객을 당행 고객으로 인식하는 과정에 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복수의 당행 고객에 대한 안면 인식 데이터, 또는 고객 이미지 인식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고객 인식 데이터가 도면1에 도시된 통신망 상의 고객관리 서버(145)에 구비된 고객관리 D/B(150)에 저장된 경우, 상기 뱅크로봇(100)에서 상기 응대 대상 고객의 안면 인식 데이터를 로봇제어 장치(140)를 통해 상기 통신망 상의 고객관리 서버(145)로 전송하면, 상기 고객관리 서버(145)에서 상기 응대 대상 고객의 안면 인식 데이터를 고객관리 D/B(150)에 저장된 상기 고객 인식 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응대 대상 고객을 당행 고객으로 인식하도록 처리하는 실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9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화상 인식을 통한 고객 인식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9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컨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9 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고객관리 D/B(150)가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에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뱅크로봇(100)을 운용하는 금융시스템 상의 DBMS에 구비된 경우, 상기 고객관리 D/B(150)를 통해 상기 응대 대상 고객을 당행 고객으로 인식하는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9를 참조하면, 상기 도면2에 도시된 뱅크로봇(100)은 상기 화상 인식수단(210)을 통해 상기 뱅크로봇(100)의 전면에 위치하는 복수의 고객을 인식하고(900), 상기 인식된 복수의 고객 중 응대 대상 고객을 인식한다(905).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화상 인식부(213)수단은 상기 뱅크로봇(100)의 전면에 위치하는 복수의 고객 중, 상기 화상 인식수단(210)과 가장 근거리에 위치하는(예컨대, 초점거리가 짧거나, 또는 깊이값이 작은) 고객을 상기 응대 대상 고객으로 인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화상 인식수단(210)은 상기 뱅크로봇(100)의 전면에 위치하는 복수의 고객 중 상기 화상 인식수단(210)과 시선방향(LOS)이 일치하는(예컨대, 상기 뱅크로봇(100)을 바라보고 있는) 고객 중, 상기 뱅크로봇(100)을 향해 발화하고 있는(예컨대, 고객 안면 중 입술이 움직이고 있는) 고객을 상기 응대 대상 고객으로 인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상기 뱅크로봇(100)은 상기 응대 대상 고객에 대한 안면 화상 데이터를 인식하고(910), 상기 응대 대상 고객의 안면 화상 데이터에 대한 안면 인식 데이터를 인식한다(91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뱅크로봇(100)은 상기 응대 대상 고객의 안면 화상 데이터에 포함된 눈, 코, 입, 귀 등의 안면 객체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눈, 코, 입, 귀 등의 상대적인 위치 데이터와, 상기 인식된 눈, 코, 입, 귀 등의 모양(또는 형태) 데이터와, 상기 인식된 눈, 코, 입, 귀 등의 방향 데이터를 포함하는 안면 인식 데이터를 인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응대 대상 고객의 안면 인식 데이터가 인식되면(920), 상기 뱅크로봇(100)은 로봇제어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로 상기 응대 대상 고객의 안면 인식 데이터를 전송하고(925), 이에 대응하여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는 통신망 상의 고객관리 서버(145)로 상기 응대 대상 고객의 안면 인식 데이터를 전송한다(930).
이후, 상기 고객관리 서버(145)는 상기 고객관리 D/B(150)에 저장된 고객 인식 데이터(예컨대, 복수의 당행 고객에 대한 안면 인식 데이터, 또는 고객 이미지 인식 데이터)와 상기 응대 대상 고객의 안면 인식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인식 데 이터가 매칭되는지 확인한다(935).
만약 상기 응대 대상 고객의 안면 인식 데이터와 상기 고객관리 D/B(150)에 저장된 고객 인식 데이터가 매칭되지 않으면(940), 상기 고객관리 서버(145)는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로 상기 응대 대상 고객의 안면 인식 데이터에 대한 당행고객 미승인 정보를 전송하고(945), 이에 대응하여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는 상기 뱅크로봇(100)으로 상기 안면 인식 데이터에 대한 당행고객 미승인 정보를 전송하며(950), 상기 뱅크로봇(100)은 상기 당행고객 미승인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화면 인식수단을 통해 상기 뱅크로봇(100)의 전면에 위치하는 복수의 고객 중 응대 대상 고객을 인식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반면 상기 응대 대상 고객의 안면 인식 데이터와 상기 메모리부(266)에 저장된 고객 인식 데이터가 매칭된다면(940), 상기 고객관리 서버(145)는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로 상기 응대 대상 고객의 안면 인식 데이터에 대한 당행고객 승인 정보를 전송하고(955), 이에 대응하여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는 상기 뱅크로봇(100)으로 상기 안면 인식 데이터에 대한 당행고객 승인 정보를 전송하며(960), 상기 뱅크로봇(100)은 상기 당행고객 승인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응대 대상 고객을 당행 고객으로 인식한다(965).
도면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른 화상 인식과 RFID 인식을 통한 고 객 인식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0은 상기 도면2에 도시된 뱅크로봇(100)에서 상기 화면 인식수단을 통해 상기 뱅크로봇(100) 전면에 위치하는 복수의 고객 중 응대 대상 고객을 인식하고, 상기 응대 대상 고객이 소지한 물건에 구비된 RFID 태그에 대한 RFID 인식을 상기 응대 대상 고객을 당행 고객으로 인식하는 과정에 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복수의 당행 고객에게 발급된 통장/카드에 구비된 RIFD 태그에 구비된 금융정보 RFID 정보와 매칭되는 고객 식별용 RFID 정보가 상기 뱅크로봇(100)에 구비된 메모리부(266)에 저장된 경우, 상기 뱅크로봇(100)에서 상기 RFID 정보와 상기 메모리부(266)에 저장된 고객 식별용 RFID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응대 대상 고객을 당행 고객으로 인식하는 실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0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화상 인식과 RFID 인식을 통한 고객 인식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0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컨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0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응대 대상 고객에 대한 안면 인식 과정을 통해 상기 응대 대상 고객이 당행 고객인지 1차 인식한 후, 상기 RFID 태그를 통해 상기 응대 대상 고객이 당행 고객인지 2차 인식하는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10을 참조하면, 상기 도면2에 도시된 뱅크로봇(100)은 상기 화상 인식수단(210)을 통해 상기 뱅크로봇(100)의 전면에 위치하는 복수의 고객을 인식하고(1000), 상기 인식된 복수의 고객 중 응대 대상 고객을 인식한다(1005).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화상 인식부(213)수단은 상기 뱅크로봇(100)의 전면에 위치하는 복수의 고객 중, 상기 화상 인식수단(210)과 가장 근거리에 위치하는(예컨대, 초점거리가 짧거나, 또는 깊이값이 작은) 고객을 상기 응대 대상 고객으로 인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화상 인식수단(210)은 상기 뱅크로봇(100)의 전면에 위치하는 복수의 고객 중 상기 화상 인식수단(210)과 시선방향(LOS)이 일치하는(예컨대, 상기 뱅크로봇(100)을 바라보고 있는) 고객 중, 상기 뱅크로봇(100)을 향해 발화하고 있는(예컨대, 고객 안면 중 입술이 움직이고 있는) 고객을 상기 응대 대상 고객으로 인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상기 뱅크로봇(100)은 상기 RIFD 리더장치를 통해 응대 대상 고객이 소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건에 구비된 RFID 태그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RFID 정보를 인식한다(1010).
만약 상기 응대 대상 고객이 소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건에 구비된 RFID 태그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RFID 정보가 인식되면(1015), 상기 뱅크로봇(100)은 상기 메모리부(266)에 저장된 고객 식별용 RFID 정보(예컨대, 복수의 당행 고객에게 발급된 통장/카드에 구비된 RFID 태그에 구비된 금융관련 RFID 정보)와 상기 응대 대상 고객의 RFID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RFID 정보가 매칭되는지 확인한다(1020).
만약 상기 응대 대상 고객의 RFID 정보와 상기 메모리부(266)에 저장된 고객 식별용 RFID 정보가 매칭되지 않으면(1025), 상기 뱅크로봇(100)은 상기 화면 인식수단을 통해 상기 뱅크로봇(100)의 전면에 위치하는 복수의 고객 중 응대 대상 고객을 인식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반면 상기 응대 대상 고객의 RFID 정보와 상기 메모리부(266)에 저장된 고객 식별용 RFID 정보가 매칭된다면(1025), 상기 뱅크로봇(100)은 상기 응대 대상 고객을 당행 고객으로 인식한다(1030).
도면11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른 화상 인식과 RFID 인식을 통한 고객 인식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1은 상기 도면2에 도시된 뱅크로봇(100)에서 상기 화면 인식수단을 통해 상기 뱅크로봇(100) 전면에 위치하는 복수의 고객 중 응대 대상 고객을 인식하고, 기 응대 대상 고객이 소지한 물건에 구비된 RFID 태그에 대한 RFID 인식을 상기 응대 대상 고객을 당행 고객으로 인식하는 과정에 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복수의 당행 고객에게 발급된 통장/카드에 구비된 RIFD 태그에 구비된 금융정보 RFID 정보와 매칭되는 고객 식별용 RFID 정보가 도면1에 도시된 통신망 상의 고객관리 서버(145)에 구비된 고객관리 D/B(150)에 저장된 경우, 상기 뱅크로봇(100)에서 상기 응대 대상 고객의 RFID 정보를 로봇제어 장치(140)를 통해 상기 통신망 상의 고객관리 서버(145)로 전송하면, 상기 고객관리 서버(145)에서 상기 응대 대상 고객의 RFID 정보를 고객관리 D/B(150)에 저장된 상기 고객 식별용 RFID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응대 대상 고객을 당행 고객으로 인식하도록 처리하는 실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1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화상 인식과 RFID 인식을 통한 고객 인식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1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컨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1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고객관리 D/B(150)가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에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뱅크로봇(100)을 운용하는 금융시스템 상의 DBMS에 구비된 경우, 상기 고객관리 D/B(150)를 통해 상기 응대 대상 고객을 당행 고객으로 인식하는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1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응대 대상 고객에 대한 안면 인식 과정을 통해 상기 응대 대상 고객이 당행 고객인지 1차 인식한 후, 상기 RFID 태그를 통해 상기 응대 대상 고객이 당행 고객인지 2차 인식하는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11을 참조하면, 상기 도면2에 도시된 뱅크로봇(100)은 상기 화상 인식수단(210)을 통해 상기 뱅크로봇(100)의 전면에 위치하는 복수의 고객을 인식하고(1100), 상기 인식된 복수의 고객 중 응대 대상 고객을 인식한다(1105).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화상 인식부(213)수단은 상기 뱅크로봇(100)의 전면에 위치하는 복수의 고객 중, 상기 화상 인식수단(210)과 가장 근거리에 위치하는(예컨대, 초점거리가 짧거나, 또는 깊이값이 작은) 고객을 상기 응대 대상 고객으로 인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화상 인식수단(210)은 상기 뱅크로봇(100)의 전면에 위치하는 복수의 고객 중 상기 화상 인식수단(210)과 시선방향(LOS)이 일치하는(예컨대, 상기 뱅크로봇(100)을 바라보고 있는) 고객 중, 상기 뱅크로봇(100)을 향해 발화하고 있는(예컨대, 고객 안면 중 입술이 움직이고 있는) 고객을 상기 응대 대상 고객으로 인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상기 뱅크로봇(100)은 상기 RIFD 리더장치를 통해 응대 대상 고객이 소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건에 구비된 RFID 태그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RFID 정보를 인식한다(1110).
만약 상기 응대 대상 고객이 소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건에 구비된 RFID 태그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RFID 정보가 인식되면(1115), 상기 뱅크로봇(100)은 로봇제어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로 상기 응대 대상 고객의 RFID 정보를 전송하고(1120), 이에 대응하여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는 통신망 상의 고객관리 서버(145)로 상기 응대 대상 고객의 RFID 정보를 전송한 다(1125).
이후, 상기 고객관리 서버(145)는 상기 고객관리 D/B(150)에 저장된 고객 식별용 RFID 정보(예컨대, 복수의 당행 고객에게 발급된 통장/카드에 구비된 RFID 태그에 구비된 금융관련 RFID 정보)와 상기 응대 대상 고객의 RFID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RFID 정보가 매칭되는지 확인한다(1130).
만약 상기 응대 대상 고객의 RFID 정보와 상기 고객관리 D/B(150)에 저장된 고객 식별용 RFID 정보가 매칭되지 않으면(1135), 상기 고객관리 서버(145)는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로 상기 응대 대상 고객의 RFID 정보에 대한 당행고객 미승인 정보를 전송하고(1140), 이에 대응하여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는 상기 뱅크로봇(100)으로 상기 RFID 정보에 대한 당행고객 미승인 정보를 전송하며(1145), 상기 뱅크로봇(100)은 상기 당행고객 미승인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화면 인식수단을 통해 상기 뱅크로봇(100)의 전면에 위치하는 복수의 고객 중 응대 대상 고객을 인식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반면 상기 응대 대상 고객의 RFID 정보와 상기 메모리부(266)에 저장된 고객 식별용 RFID 정보가 매칭된다면(1135), 상기 고객관리 서버(145)는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로 상기 응대 대상 고객의 RFID 정보에 대한 당행고객 승인 정보를 전송하고(1150), 이에 대응하여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는 상기 뱅크로봇(100)으로 상 기 RFID 정보에 대한 당행고객 승인 정보를 전송하며(1155), 상기 뱅크로봇(100)은 상기 당행고객 승인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응대 대상 고객을 당행 고객으로 인식한다(1160).
도면12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른 화상 인식과 RFID 인식을 통한 고객 인식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2는 상기 도면2에 도시된 뱅크로봇(100)에서 상기 화면 인식수단을 통해 상기 뱅크로봇(100) 전면에 위치하는 복수의 고객 중 응대 대상 고객을 인식하고, 상기 응대 대상 고객이 소지한 물건에 구비된 RFID 태그에 대한 RFID 인식을 상기 응대 대상 고객을 당행 고객으로 인식하는 과정에 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상기 당행 고객에게 발급된 통장/카드에 구비된 RIFD 태그에 구비된 금융정보 RFID 정보가 상기 은행에서 정의한 고유한 고객식별체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경우, 상기 뱅크로봇(100)에서 상기 RFID 정보가 상기 고객식별체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는지 판독하여 상기 응대 대상 고객을 당행 고객으로 인식하는 실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2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화상 인식과 RFID 인식을 통한 고객 인식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2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컨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2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응대 대상 고객에 대한 안면 인식 과정을 통해 상기 응대 대상 고객이 당행 고객인지 1차 인식한 후, 상기 RFID 태그를 통해 상기 응대 대상 고객이 당행 고객인지 2차 인식하는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12를 참조하면, 상기 도면2에 도시된 뱅크로봇(100)은 상기 화상 인식수단(210)을 통해 상기 뱅크로봇(100)의 전면에 위치하는 복수의 고객을 인식하고(1200), 상기 인식된 복수의 고객 중 응대 대상 고객을 인식한다(1205).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화상 인식부(213)수단은 상기 뱅크로봇(100)의 전면에 위치하는 복수의 고객 중, 상기 화상 인식수단(210)과 가장 근거리에 위치하는(예컨대, 초점거리가 짧거나, 또는 깊이값이 작은) 고객을 상기 응대 대상 고객으로 인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화상 인식수단(210)은 상기 뱅 크로봇(100)의 전면에 위치하는 복수의 고객 중 상기 화상 인식수단(210)과 시선방향(LOS)이 일치하는(예컨대, 상기 뱅크로봇(100)을 바라보고 있는) 고객 중, 상기 뱅크로봇(100)을 향해 발화하고 있는(예컨대, 고객 안면 중 입술이 움직이고 있는) 고객을 상기 응대 대상 고객으로 인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상기 뱅크로봇(100)은 상기 RIFD 리더장치를 통해 응대 대상 고객이 소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건에 구비된 RFID 태그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RFID 정보를 인식한다(1210).
만약 상기 응대 대상 고객이 소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건에 구비된 RFID 태그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RFID 정보가 인식되면(1215), 상기 뱅크로봇(100)은 상기 인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RFID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RFID 정보가 상기 은행에서 정의한 고객식별체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는지 확인한다(1220).
만약 상기 응대 대상 고객의 RFID 정보 중 상기 고객식별체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RFID 정보가 없다면(1225), 상기 뱅크로봇(100)은 상기 화면 인식수단을 통해 상기 뱅크로봇(100)의 전면에 위치하는 복수의 고객 중 응대 대상 고객을 인식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반면 상기 응대 대상 고객의 RFID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RFID 정보가 상기 고객식별체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면(1225), 상기 뱅크로봇(100)은 상기 응대 대상 고객을 당행 고객으로 인식한다(1230).
도면13a와 도면1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른 뱅크로봇(100)의 동작모드 설정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3a와 도면13b는 상기 도면2에 도시된 뱅크로봇(100)이 상기 도면7a와 도면7b에 도시된 뱅크로봇(100) 위치 이동 과정을 통해 뱅크로봇(100) 동작 위치로 이동한 후, 상기 도면8 또는 도면9에 도시된 화상 인식 기반 고객 인식 과정, 또는 도면10 또는 도면11 또는 도면12에 도시된 화상 및 RFID 인식 기반 고객 인식 과정을 통해 상기 응대 대상 고객이 당행 고객으로 인식되면, 상기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 유도 발화를 통해 상기 당행 고객에게 고객인식 기반 맞춤형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를 제공하기 위한 뱅크로봇(100) 동작모드를 자동 설정하는 과정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3a와 도면13b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뱅크로봇(100)의 동작모드 설정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3a와 도면13b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13a와 도면13b를 참조하면, 상기 도면2에 도시된 뱅크로봇(100)은 상기 도면7a와 도면7b에 도시된 뱅크로봇(100) 위치 이동 과정을 통해 뱅크로봇(100) 동작 위치로 이동한 후, 상기 도면8 또는 도면9에 도시된 화상 인식 기반 고객 인식 과정, 또는 도면10 또는 도면11 또는 도면12에 도시된 화상 및 RFID 인식 기반 고객 인식 과정을 통해 상기 응대 대상 고객이 당행 고객으로 인식되는지 확인하며(1300), 만약 상기 응대 대상 고객이 당행 고객으로 인식되면(1305), 상기 뱅크로봇(100)은 상기 화상 인식수단(210)과 음성 입력수단(205)을 통해 상기 당행 고객이 발화하고 있는지 확인한다(131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뱅크로봇(100)은 상기 화상 인식수단(210)을 통해 상기 당행 고객이 발화하고 있는(예컨대, 고객 안면 중 입술이 움직이고 있는)지 확인하고, 상기 고객의 발화와 동기화되어 상기 음성 입력수단(205)을 통해 상기 고객의 음성이 입력되는지 확인함으로써, 상기 당행 고객이 발화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확인결과 상기 당행 고객이 발화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지 않으면(1315), 상기 뱅크로봇(100)은 당행 고객에 대한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 유도 발화 정보를 확인하고(1320), 상기 음성 출력수단(200)을 통해 상기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 유도 발화 정보를 발화하여 음성 출력한 후(1325), 상기 화상 인식수단(210)과 음성 입력수단(205)을 통해 상기 당행 고객으로부터 상기 금융상 품 홍보(또는 금융거래) 유도에 따른 고객 응답이 발화되는지 확인하는데(1330), 만약 상기 고객의 응답 발화가 확인되면(1335), 상기 뱅크로봇(100)은 상기 음성 입력수단(205)을 통해 입력된 상기 고객 응답 발화를 음성 인식하여 상기 고객 예상응답 정보와 매칭되는지 확인한다(1380).
반면 상기 확인결과 상기 당행 고객이 발화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면(1315), 상기 뱅크로봇(100)은 상기 고객 발화를 음성 인식하여 상기 고객 발화 예상 정보와 매칭되는지 확인한다(1340).
만약 상기 음성 인식된 정보가 상기 고객 발화 예상 정보와 매칭되지 않으면(1345), 상기 뱅크로봇(100)은 당행 고객에 대한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 유도 발화 정보를 확인하고(1320), 상기 음성 출력수단(200)을 통해 상기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 유도 발화 정보를 발화하여 음성 출력한 후(1325), 상기 화상 인식수단(210)과 음성 입력수단(205)을 통해 상기 당행 고객으로부터 상기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 유도에 따른 고객 응답이 발화되는지 확인하는데(1330), 만약 상기 고객의 응답 발화가 확인되면(1335), 상기 뱅크로봇(100)은 상기 음성 입력수단(205)을 통해 입력된 상기 고객 응답 발화를 음성 인식하여 상기 고객 예상응답 정보와 매칭되는지 확인한다(1380).
반면 상기 음성 인식된 정보가 상기 고객 발화 예상 정보와 매칭되면(1345), 상기 뱅크로봇(100)은 상기 고객 발화 예상 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고객이 요청하는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 대상을 확인한다(1350).
만약 상기 고객이 요청하는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 대상이 확인되면(1355), 상기 뱅크로봇(100)은 상기 뱅크로봇(100)의 동작모드를 상기 확인된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 대상에 대응하는 동작모드로 설정하고(1394), 상기 로봇제어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로 상기 뱅크로봇(100) 동작모드 정보를 전송한다(1396).
반면 상기 고객이 요청하는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 대상이 확인되지 않으면(1355), 상기 뱅크로봇(100)은 상기 고객 발화 예상 정보와 연계된 모범응답 발화 정보 중 상기 고객인식 기반 맞춤형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를 유도하는 모범응답 발화 정보를 확인하고(1360), 상기 음성 출력수단(200)을 통해 상기 모범응답 발화 정보를 음성 출력한 후(1365), 상기 화상 인식수단(210)과 음성 입력수단(205)을 통해 상기 고객인식 기반 맞춤형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 고객으로부터 상기 모법응답 발화에 따른 고객 응답이 발화되는지 확인하는데(1370), 만약 상기 고객의 응답 발화가 확인되면(1375), 상기 뱅크로봇(100)은 상기 음성 입력수단(205)을 통해 입력된 상기 고객 응답 발화를 음성 인식하여 상기 고객 예상응답 정보와 매칭되는지 확인한다(1380).
만약 상기 고객 응답 발화를 음성 인식한 정보가 상기 고객 예상응답 발화 정보와 매칭되지 않는다면(1385), 상기 뱅크로봇(100)은 고객인식 기반 맞춤형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 고객에 대한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 유도 발화 정보를 확인하고(1320), 상기 음성 출력수단(200)을 통해 상기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 유도 발화 정보를 발화하여 음성 출력한 후(1325), 상기 화상 인식수단(210)과 음성 입력수단(205)을 통해 상기 당행 고객으로부터 상기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 유도에 따른 고객 응답이 발화되는지 확인하는데(1330), 만약 상기 고객의 응답 발화가 확인되면(1335), 상기 뱅크로봇(100)은 상기 음성 입력수단(205)을 통해 입력된 상기 고객 응답 발화를 음성 인식하여 상기 고객 예상응답 정보와 매칭되는지 재확인한다(1380).
반면 상기 고객 응답 발화를 음성 인식한 정보가 상기 고객 예상응답 발화 정보와 매칭되면(1385), 상기 뱅크로봇(100)은 상기 고객 예상응답 발화 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고객이 요청하는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 대상을 확인한다(1390).
만약 상기 고객이 요청하는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 대상이 확인되면(1392), 상기 뱅크로봇(100)은 상기 뱅크로봇(100)의 동작모드를 상기 확인된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 대상에 대응하는 동작모드로 설정하고(1394), 상기 로봇제어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로 상기 뱅크로봇(100) 동작모드 정보를 전송한다(1396).
도면1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른 뱅크로봇(100)의 동작모드 설정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4는 상기 도면2에 도시된 뱅크로봇(100)이 상기 도면7a와 도면7b에 도시된 뱅크로봇(100) 위치 이동 과정을 통해 뱅크로봇(100) 동작 위치로 이동한 후, 상기 도면8 또는 도면9에 도시된 화상 인식 기반 고객 인식 과정, 또는 도면10 또는 도면11 또는 도면12에 도시된 화상 및 RFID 인식 기반 고객 인식 과정을 통해 상기 응대 대상 고객이 당행 고객으로 인식되면, 상기 뱅크로봇(100)에 구비된 화면 출력장치(110)로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 선택 인터페이스를 출력 및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 선택을 통해 상기 당행 고객에게 고객인식 기반 맞춤형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를 제공하기 위한 뱅크로봇(100) 동작모드를 수동 설정하는 과정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4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뱅크로봇(100)의 동작모드 설정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4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14를 참조하면, 상기 도면2에 도시된 뱅크로봇(100)은 상기 도면7a와 도 면7b에 도시된 뱅크로봇(100) 위치 이동 과정을 통해 뱅크로봇(100) 동작 위치로 이동한 후, 상기 도면8 또는 도면9에 도시된 화상 인식 기반 고객 인식 과정, 또는 도면10 또는 도면11 또는 도면12에 도시된 화상 및 RFID 인식 기반 고객 인식 과정을 통해 상기 응대 대상 고객이 당행 고객으로 인식되는지 확인하며(1400), 만약 상기 응대 대상 고객이 당행 고객으로 인식되면(1405), 상기 뱅크로봇(100)은 상기 화면 출력장치(110)로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 선택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 키 입력을 통해 상기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 대상이 선택되는지 확인한다(1410).
만약 상기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 대상이 선택되면(1415), 상기 뱅크로봇(100)은 상기 뱅크로봇(100)의 동작모드를 상기 선택된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 대상에 대응하는 동작모드로 설정하고(1420), 상기 로봇제어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로 상기 뱅크로봇(100) 동작모드 정보를 전송한다(1425).
도면1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른 뱅크로봇(100)의 동작모드 설정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5는 상기 도면2에 도시된 뱅크로봇(100)이 상기 도면7a와 도면7b에 도시된 뱅크로봇(100) 위치 이동 과정을 통해 뱅크로봇(100) 동작 위치로 이동한 후, 상기 도면8 또는 도면9에 도시된 화상 인식 기반 고객 인식 과정, 또는 도면10 또는 도면11 또는 도면12에 도시된 화상 및 RFID 인식 기반 고객 인식 과정을 통해 상기 응대 대상 고객이 당행 고객으로 인식되면,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로봇제어 장치(140)로부터 상기 당행 고객에게 제공할 고객인식 기반 맞춤형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에 대응하는 동작모드 설정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뱅크로봇(100)의 동작모드를 상기 수신된 동작모드 설정 정보에 대응하는 동작모드로 원격 설정하는 과정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5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뱅크로봇(100)의 동작모드 설정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5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15를 참조하면, 상기 도면2에 도시된 뱅크로봇(100)은 상기 도면7a와 도면7b에 도시된 뱅크로봇(100) 위치 이동 과정을 통해 뱅크로봇(100) 동작 위치로 이동한 후, 상기 도면8 또는 도면9에 도시된 화상 인식 기반 고객 인식 과정, 또는 도면10 또는 도면11 또는 도면12에 도시된 화상 및 RFID 인식 기반 고객 인식 과정을 통해 상기 응대 대상 고객이 당행 고객으로 인식되는지 확인하며(1500), 만약 상기 응대 대상 고객이 당행 고객으로 인식되면(1505), 상기 뱅크로봇(100)은 상기 로봇제어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로봇제어 장치(140)로부터 상기 당행 고객에 대한 동작모드 설정 정보가 수신되는지 확인한다(1510).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뱅크로봇(100)은 상기 당행 고객에 대한 고객정보를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로 전송하고,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로부터 상기 당행 고객에 대한 동작모드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뱅크로봇(100)은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로부터 상기 인식된 임의의 당행 고객에 대한 동작모드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로부터 동작모드 설정 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1515), 상기 뱅크로봇(100)은 상기 도면13a와 도면13b에 도시된 뱅크로봇(100) 동작모드 자동 설정 과정을 통해 발화 유도에 따라 상기 뱅크로봇(100)의 동작모드를 자동 설정하거나, 또는 도면14에 도시된 뱅크로봇(100) 동작모드 수동 설정 과정을 통해 화면 선택에 따라 상기 뱅크로봇(100)의 동작모드를 수동 설정한다(1520).
반면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로부터 동작모드 설정 정보가 수신되면(1515), 상기 뱅크로봇(100)은 상기 수신된 동작모드 설정 정보에 대응하는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 유도 발화 정보를 확인하고(1525), 상기 화상 인식수단(210)을 통해 상기 뱅크로봇(100)의 전면에 위치하는 복수의 고객 중 당행 고객을 인식한 다(1530).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화상 인식부(213)수단은 상기 뱅크로봇(100)의 전면에 위치하는 복수의 고객 중, 상기 화상 인식수단(210)과 가장 근거리에 위치하는(예컨대, 초점거리가 짧거나, 또는 깊이값이 작은) 고객을 상기 당행 고객으로 인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화상 인식수단(210)은 상기 뱅크로봇(100)의 전면에 위치하는 복수의 고객 중 상기 화상 인식수단(210)과 시선방향(LOS)이 일치하는(예컨대, 상기 뱅크로봇(100)을 바라보고 있는) 고객 중, 상기 뱅크로봇(100)을 향해 발화하고 있는(예컨대, 고객 안면 중 입술이 움직이고 있는) 고객을 상기 당행 고객으로 인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상기 뱅크로봇(100)은 상기 음성 출력수단(200)을 통해 상기 확인된 당행 고객에게 상기 동작모드 설정에 다른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 발화 정보를 발화하여 음성 출력하고(1535), 상기 화상 인식수단(210)과 음성 입력수단(205)을 통해 상기 당행 고객으로부터 상기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 유도에 따른 고객 응답이 발화되어 입력되는지 확인한다(1540).
만약 상기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 유도에 따른 상기 고객의 응답 발 화가 확인되면(1545), 상기 뱅크로봇(100)은 상기 고객 응답 발화를 음성 인식하여 상기 동작모드 설정에 따른 고객 예상응답 정보와 매칭하는지 확인한다(1550).
만약 음성 인식된 고객 발화가 상기 동작모드 설정에 따른 고객 예상응답 정보와 매칭되지 않는다면(1555), 상기 뱅크로봇(100)은 상기 음성 출력수단(200)을 통해 상기 확인된 당행 고객에게 상기 동작모드 설정에 다른 금융상품 홍보(또는 금융거래) 발화 정보를 발화하여 음성 출력하는 과정은 반복한다.
반면 음성 인식된 고객 발화가 상기 동작모드 설정에 따른 고객 예상응답 정보와 매칭되면(1555), 상기 뱅크로봇(100)은 상기 뱅크로봇(100)의 동작모드를 상기 동작모드 설정 정보에 대응하는 동작모드로 설정하고(1560), 상기 로봇제어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로 상기 뱅크로봇(100) 동작모드 정보를 전송한다(1565).
도면16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뱅크로봇(100)을 통한 고객 인식 기반 맞춤형 금융상품 홍보 및 가입 처리를 위한 가상 대면 인증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6은 상기 도면2에 도시된 뱅크로봇(100)의 동작모드가 도면13a와 도면13b에 도시된 뱅크로봇(100) 동작모드 자동 설정 과정, 또는 상 기 도면14에 도시된 뱅크로봇(100) 동작모드 수동 설정 과정, 또는 상기 도면15에 도시된 뱅크로봇(100) 동작모드 원격 설정 과정 중 어느 하나의 동작모드 설정 과정을 통해 금융상품 홍보 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뱅크로봇(100)에서 상기 설정된 동작모드에 따른 금융상품 홍보 시나리오에 따라 금융상품 홍보 및 금융상품 가입을 위한 가상 대면 인증 과정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6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뱅크로봇(100)을 통한 고객 인식 기반 맞춤형 금융상품 홍보 및 가입 처리를 위한 가상 대면 인증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6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컨대, 본 도면16에 도시된 실시 방법은 편의상 상기 뱅크로봇(100)의 동작모드가 설정된 후 상기 가상 대면 인증 과정을 수행하는 것으로 도시하여 설명하지만, 상기 가상 대면 인증 과정이 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며, 상기 뱅크로봇(100)에 구비된 금융상품 홍보 시나리오에 따라 금융상품 홍보가 완료되기 전 어느 시점에 제공되는 것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도면16을 참조하면, 상기 도면2에 도시된 뱅크로봇(100)은 상기 도면13a와 도면13b에 도시된 뱅크로봇(100) 동작모드 자동 설정 과정, 또는 상기 도면14에 도시된 뱅크로봇(100) 동작모드 수동 설정 과정, 또는 상기 도면15에 도시된 뱅크로 봇(100) 동작모드 원격 설정 과정 중 어느 하나의 동작모드 설정 과정을 통해 상기 뱅크로봇(100)의 동작모드가 금융상품 홍보 모드로 설정되는지 확인하며(1600), 만약 상기 뱅크로봇(100)의 동작모드가 금융상품 홍보 모드로 설정되면(1605), 상기 뱅크로봇(100)은 상기 메모리부(266)로부터 상기 설정된 동작모드(예컨대, 금융상품 홍보 모드)에 대응하는 소정의 금융상품 홍보 시나리오 정보를 선택한다(1610).
여기서, 상기 선택된 금융상품 홍보 시나리오 정보는 상기 설정된 뱅크로봇(100)의 동작모드에서 상기 고객이 요청한 금융상품 홍보를 처리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융상품 홍보 시나리오 중, 상기 고객의 금융상품 홍보 조건에서 상기 금융상품 홍보를 가장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시나리오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뱅크로봇(100)의 동작모드에 대응하는 금융상품 홍보 시나리오 정보는, 상기 뱅크로봇(100)의 동작모드에서 상기 금융상품 홍보 대상 고객이 실제 창구직원과 대면 인증하지 않고, 상기 창구직원을 대신하여 상기 뱅크로봇(100)과 가상의 대면 인증을 한 것으로 처리하는 가상 대면 인증 시나리오 정보와, 상기 가상 대면 인증 시나리오 전/후에 상기 화면 출력부(256)를 통해 상기 뱅크로봇(100)에 구비된 화면 출력장치(110)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융상품 홍보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출력 시나리오 정보와, 상기 금융상품 홍보 인터페이스 화면을 기반으로 상기 뱅크로봇(100)에 구 비된 키 입력장치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융상품 가입 정보를 입력되도록 처리하기 위한 정보 입력 시나리오 정보와, 상기 금융상품 홍보 대상 고객이 소지한 카드(또는 통장)에 구비된 MS/IC칩으로부터 금융정보를 리딩하기 위한 카드(또는 통장) 리딩 시나리오 정보와, 상기 금융상품 홍보 대상 고객이 소지한 카드(또는 통장)에 구비된 RFID 태그로부터 금융관련 RFID 정보를 리딩하기 위한 RFID 리딩 시나리오 정보와, 상기 입력된 금융상품 가입 정보, 또는 상기 리딩된 금융정보, 또는 금융관련 RFID 정보가 시나리오에 따라 유효한지 검증하기 위한 정보 검증 시나리오 정보와, 상기 입력(또는 리딩)된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금융상품 가입 요청 정보를 상기 금융거래 통신채널을 통해 전송하고, 상기 금융상품 가입 요청 정보에 대응하는 금융상품 가입 처리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정보 송수신 시나리오 정보와, 금융상품 가입 취소 시나리오 정보 등을 일련의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설정된 뱅크로봇(100) 동작모드에 대응하는 금융상품 홍보 시나리오가 선택되면(1615), 상기 뱅크로봇(100)은 상기 로봇제어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로 상기 선택된 금융상품 홍보 시나리오 정보에 대응하는 시나리오 선택 정보를 전송함으로써(1620), 상기 뱅크로봇(100)에서 선택된 금융상품 홍보 시나리오 정보가 상기 뱅크로봇(100) 로그 정보에 포함되도록 처리한다.
이후, 상기 뱅크로봇(100)은 상기 선택된 금융상품 홍보 시나리오에 따라 상 기 화면 출력장치(110)로 금융상품 홍보 정보를 출력하고(1625), 상기 고객에게 상기 금융상품 홍보 정보에 대응하는 금융상품을 가입하도록 유도하는 발화(또는 금융상품 가입 선택)을 통해 상기 고객이 상기 금융상품에 가입 요청하는 확인한다(1630).
만약 상기 고객의 금융상품 가입 요청이 확인되지 않으면(1635), 상기 뱅크로봇(100)은 상기 화면 출력장치(110)로 상기 금융상품 홍보 정보를 출력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반면 상기 고객의 금융상품 가입 요청이 확인되지 않으면(1635), 상기 뱅크로봇(100)은 상기 화면 출력장치(110)로 상기 선택된 금융상품 홍보 시나리오에 포함된 가상 대면 인증 시나리오에 따른 가상 대면인증 인터페이스를 출력한다(1640).
여기서, 상기 가상 대면인증 인터페이스는 상기 뱅크로봇(100)에 구비된 화상 인식수단(210)을 통해 상기 고객의 안면 화상 데이터를 인식하도록 요청하고, 상기 뱅크로봇(100)에 구비된 신분증 스캔장치(130)를 통해 상기 고객의 신분증을 스캔하도록 요청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상 대면인증 인터페이스가 출력되면, 상기 뱅크로봇(100)은 상기 가 상 대면인증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상기 화상 인식수단(210)을 통해 상기 고객의 안면 화상 데이터를 인식하고(1645), 상기 인식된 안면 화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고객 안면의 패턴(예컨대, 눈, 코, 입, 귀의 상대적인 위치, 모양, 방향 등)을 포함하는 안면 인식 데이터를 인식한다(1650).
또한, 상기 뱅크로봇(100)은 상기 가상 대면인증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상기 신분증 스캔장치(130)를 통해 상기 고객의 신분증 이미지 컨텐츠를 생성하고(1655), 상기 신분증 이미지 컨텐츠로부터 상기 고객에 대한 고객 이미지 데이터(예컨대, 신분증에 포함된 고객 증명사진에 대응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확인하고(1660), 상기 확인된 고객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상기 고객 안면의 패턴(예컨대, 눈, 코, 입, 귀의 상대적인 위치, 모양, 방향 등)을 포함하는 고객 이미지 인식 데이터를 인식한다(1665).
만약 상기 화상 인식수단(210)을 통해 인식된 안면 화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고객의 안면 인식 데이터가 인식되면(1670), 상기 신분증 스캔장치(130)를 통해 인식된 상기 신분증 이미지 컨텐츠로부터 상기 고객 이미지 인식 데이터가 인식되면(1675), 상기 뱅크로봇(100)은 상기 고객의 안면 인식 데이터와 고객 이미지 인식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금융상품 홍보 대상 고객에 대한 가상 대면 인증을 처리한다(1680).
만약 상기 가상대면 인증이 확인되지 않으면(1670), 상기 뱅크로봇(100)은 상기 화면 출력장치(110)로 상기 금융상품 홍보 정보를 출력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반면 상기 가상대면 인증이 확인되면(1670), 상기 뱅크로봇(100)은 도면17a와 도면17b에 도시된 뱅크로봇(100)을 통한 금융상품 가입 과정을 수행한다.
도면17a와 도면17b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뱅크로봇(100)을 통한 가상 대면 거래 방식의 금융상품 가입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7a와 도면17b는 상기 도면2에 도시된 뱅크로봇(100)의 동작모드가 도면13a와 도면13b에 도시된 뱅크로봇(100) 동작모드 자동 설정 과정, 또는 상기 도면14에 도시된 뱅크로봇(100) 동작모드 수동 설정 과정, 또는 상기 도면15에 도시된 뱅크로봇(100) 동작모드 원격 설정 과정 중 어느 하나의 동작모드 설정 과정을 통해 금융상품 홍보 모드로 설정된 후, 상기 도면16에 도시된 가상 대면 인증 과정을 통해 가상 대면 인증이 확인되면, 상기 뱅크로봇(100)에서 상기 설정된 동작모드에 따른 금융상품 홍보 시나리오에 따라 상기 금융상품에 가입하는 과정에 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상기 금융상품 홍보 화면에 금융거래 선택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실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7a와 도 면17b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뱅크로봇(100)을 통한 가상 대면 거래 방식의 금융상품 가입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7a와 도면17b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컨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7a와 도면17b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금융거래 선택 인터페이스가 생략된 금융상품 홍보 화면을 출력하는 실시 방법, 또는 역으로 상기 금융상품 가입 인터페이스 상의 일정 영역에 상기 금융거래 선택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실시 방법 등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은 상기 유추 가능한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17a와 도면17b를 참조하면, 상기 도면2에 도시된 뱅크로봇(100)은 상기 도면13a와 도면13b에 도시된 뱅크로봇(100) 동작모드 자동 설정 과정, 또는 상기 도면14에 도시된 뱅크로봇(100) 동작모드 수동 설정 과정, 또는 상기 도면15에 도시된 뱅크로봇(100) 동작모드 원격 설정 과정 중 어느 하나의 동작모드 설정 과정을 통해 상기 뱅크로봇(100)의 동작모드가 금융상품 홍보 모드로 설정된 후, 상기 도면16에 도시된 가상 대면 인증 과정을 통해 가상 대면 인증이 확인되면, 상기 뱅크로봇(100)은 상기 화면 출력장치(110)로 상기 선택된 금융상품 홍보 시나리오에 포함된 인터페이스 출력 시나리오 정보에 따라 상기 고객관련 정보(예컨대, 상기 당행 고객의 고객 인식 데이터(또는 고객 식별용 RFID 정보와 연계하여 상기 뱅크로봇(100)의 메모리부(266)에 저장된 고객관련 정보, 또는 상기 당행 고객의 고객 인식 데이터(또는 고객 식별용 RFID 정보와 연계하여 통신망 상의 고객관리 D/B(150)에 저장된 고객관련 정보)에 포함된 금융상품 홍보 정보를 포함하는 금융상품 홍보 화면을 출력하며(1700), 상기 금융상품 홍보 화면에 상기 고객관련 정보에 포함된 계좌정보를 이용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융거래를 선택하는 금융거래 선택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여 출력한다(1700).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금융상품 홍보 시나리오에 따라 상기 금융상품 홍보 화면에 상기 금융거래 선택 인터페이스가 생략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금융거래 선택 인터페이스는 상기 금융상품 홍보 시나리오에 따라 금융상품 홍보 화면 대신에 상기 금융상품 가입 인터페이스에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후, 상기 뱅크로봇(100)은 상기 화면 출력장치(110)로 출력되고 있는 상기 금융상품 홍보 화면에 포함된 금융상품에 대한 당행 고객의 가입 요청(또는 승인) 여부를 확인한다(1705).
만약 상기 금융상품 홍보 화면에 포함된 금융상품에 대한 당행 고객의 가입 요청(또는 승인)이 확인되지 않으면(1710), 상기 뱅크로봇(100)은 상기 금융거래 선택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당행 고객으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융거래가 선택되는지 확인하는데, 만약 상기 금융거래 선택 인터페이스를 통해 소정의 금융거래가 선택되면, 상기 뱅크로봇(100)은 도면19a와 도면19b에 도시된 금융거래 과정을 수행한다.
반면 상기 금융상품 홍보 화면에 포함된 금융상품에 대한 당행 고객의 가입 요청(또는 승인)이 확인되면(1710), 상기 뱅크로봇(100)은 상기 화면 출력장치(110)로 상기 선택된 금융상품 홍보 시나리오에 포함된 인터페이스 출력 시나리오 정보에 따라 제m(m=1) 금융상품 가입 인터페이스를 출력한다(1720).
여기서, 상기 제m 금융상품 가입 인터페이스는 금융상품 홍보 종류에 따라 다르며, 동일한 금융상품 홍보라고 할지라도 각 은행에서 정의한 금융상품 홍보 절차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은 상기 제1 금융상품 가입 인터페이스 특성에 의해 제약되지 아니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이후, 상기 뱅크로봇(100)은 상기 제m 금융상품 가입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금융상품 홍보 시나리오 정보에 포함된 정보 입력 시나리오 정보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입력(또는 리딩)되는지 확인한다(1725).
여기서, 상기 정보 입력 시나리오에 따라 제m 금융상품 가입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는 상기 뱅크로봇(100)에 구비된 키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되는 금융상품 가입 정보, 카드 리더장치(125)를 통해 리딩되는 금융정보, RFID 리더장치(115)를 통해 리딩되는 금융관련 RFID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제m 금융상품 가입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정보 입력 시나리오 정보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가 입력(또는 리딩)되면(1730), 상기 뱅크로봇(100)은 상기 금융상품 홍보 시나리오 정보에 포함된 정보 검증 시나리오 정보에 따라 상기 제m 금융상품 가입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또는 리딩)된 정보에 대한 로봇 측 시나리오 검증 유효성을 확인한다(1735).
여기서, 상기 정보 검증 시나리오 정보는 상기 정보 입력 시나리오에 따른 각 정보 입력 단계를 인증하거나, 또는 카드(또는 통장) 리딩 시나리오에 따른 각 카드(또는 통장) 리딩 단계를 인증하거나, 또는 상기 RFID 리딩 시나리오 정보에 따른 각 RFID 리딩 단계를 인증하는 인증 값과, 인증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로봇 측 시나리오 검증 유효성 확인은 상기 인증 값과 인증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상기 시나리오에 따른 정보 입력(또는 리딩) 유효성을 인증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로봇 측 시나리오 검증 유효성이 확인되지 않으면(1740), 상기 뱅크로봇(100)은 상기 금융상품 가입을 취소하고, 로봇제어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로 상기 시나리오 검증 유효성 오류 정보를 전송함으로써(1745), 상기 뱅크로봇(100) 로그 정보에 상기 시나리오 검증 유효성 오류 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에서도 상기 금융상품 가입을 취소하도록 처리한다.
반면 상기 로봇 측 시나리오 검증 유효성이 확인되면(1740), 상기 뱅크로봇(100)은 상기 로봇제어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로 시나리오 검증 요청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에서 제어 측 시나리오 유효성을 검증하도록 처리한다(1750).
여기서, 상기 시나리오 검증 요청 정보는 상기 로봇 측 시나리오 검증 유효성 확인 결과에 따라 생성되는 검증 값(또는 인증 값)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시나리오 단계가 유효하다면,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에서 상기 검증 값(또는 인증 값)이 인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상기 뱅크로봇(100)은 상기 로봇제어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제어 측 시나리오 유효성이 검증되었는지 확인한다(1755).
만약 상기 제어 측 시나리오 유효성이 검증되지 않으면(1760), 상기 뱅크로봇(100)은 상기 금융상품 가입을 취소하고, 로봇제어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로 상기 시나리오 검증 유효성 오류 정보를 전송함으로써(1745), 상기 뱅크로봇(100) 로그 정보에 상기 시나리오 검증 유효성 오류 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에서도 상기 금융상품 가입을 취소하도록 처리한다
반면 상기 제어 측 시나리오 유효성이 검증되면(1760), 상기 뱅크로봇(100)은 상기 금융상품 홍보 시나리오에 포함된 정보 송수신 시나리오 정보에 따라 상기 제m 금융상품 가입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또는 리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금융상품 가입 요청 정보를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로 전송할지 확인한다(1765).
만약 상기 정보 송수신 시나리오 정보에 따라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로 상기 금융상품 가입 요청 정보를 전송하지 않는다면(1770), 상기 뱅크로봇(100)은 상기 화면 출력장치(110)로 상기 금융상품 홍보 시나리오에 대응하는 제(m=m+1) 금융상품 가입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1775), 상기 제m 금융상품 가입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금융상품 홍보 시나리오 정보에 포함된 정보 입력 시나리오 정보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입력(또는 리딩)되는지 확인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반면 상기 정보 송수신 시나리오 정보에 따라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로 상 기 금융상품 가입 요청 정보를 전송한다면(1770), 상기 뱅크로봇(100)은 상기 금융상품 홍보 시나리오 정보에 포함된 정보 송수신 시나리오 정보에 따라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와 금융거래 통신채널을 연결한다(1780).
여기서, 상기 금융거래 통신채널은 상기 뱅크로봇(100)과 무선AP(135) 간 무선 통신채널을 기반으로 상기 금융상품 홍보 대상 고객이 상기 뱅크로봇(100)을 통해 요청한 금융상품 가입을 처리하기 위한 통신채널로서, 상기 금융거래 통신채널을 통해 송수신되는 각종 정보(또는 데이터)는 상기 로봇제어 통신채널의 동작 시나리오 검증 채널을 통해 실시간 검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뱅크로봇(100)을 운용하는 은행에서 정의한 금융상품 홍보 절차에 따라 금융상품 가입을 처리하기 위해 송수신되는 정보(또는 데이터) 구조와, 그 송수신 순서를 유추할 수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하기로 한다.
이후, 상기 뱅크로봇(100)은 상기 금융상품 홍보 시나리오 정보에 포함된 정보 송수신 시나리오 정보에 따라 상기 입력(또는 리딩)된 정보를 포함하는 금융상품 가입 요청 정보를 전송하고(1785), 상기 정보 송수신 시나리오 정보에 따라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로부터 상기 금융상품 가입 요청 정보에 대응하는 금융상품 가입 처리 정보가 수신되는지 확인한다(1790).
만약 상기 정보 송수신 시나리오 정보에 따라 상기 금융상품 가입 처리 정보가 수신되면(1792), 상기 뱅크로봇(100)은 상기 금융상품 가입 처리 정보를 화면 출력장치(110)로 출력하고, 상기 금융상품 홍보 시나리오에 따라 상기 금융상품 홍보가 완료되었는지 확인한다(1794).
만약 상기 금융상품 홍보 시나리오에 따라 상기 금융상품 홍보가 완료되지 않았다면(1796), 상기 뱅크로봇(100)은 상기 화면 출력장치(110)로 상기 금융상품 홍보 시나리오에 대응하는 제(m=m+1) 금융상품 가입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1775), 상기 제m 금융상품 가입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금융상품 홍보 시나리오 정보에 포함된 정보 입력 시나리오 정보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입력(또는 리딩)되는지 확인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반면 상기 금융상품 홍보 시나리오에 따라 상기 금융상품 가입이 완료되면(1796), 상기 뱅크로봇(100)은 상기 로봇제어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로 상기 금융상품 가입 결과를 전송함으로써(1798), 상기 뱅크로봇(100) 로그 정보에 상기 금융상품 가입 결과가 저장되도록 처리한다.
도면18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뱅크로봇(100)을 통한 가상 대면 거래 방식의 금융거래를 위한 가상 대면 인증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8은 상기 도면2에 도시된 뱅크로봇(100)의 동작모드가 도면13a와 도면13b에 도시된 뱅크로봇(100) 동작모드 자동 설정 과정, 또는 상기 도면14에 도시된 뱅크로봇(100) 동작모드 수동 설정 과정, 또는 상기 도면15에 도시된 뱅크로봇(100) 동작모드 원격 설정 과정 중 어느 하나의 동작모드 설정 과정을 통해 금융거래 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뱅크로봇(100)에서 상기 설정된 동작모드에 따른 금융거래 시나리오에 따라 가상 거래 방식의 금융거래를 처리하기 위한 가상 대면 인증 과정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8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뱅크로봇(100)을 통한 가상 대면 거래 방식의 금융거래를 위한 가상 대면 인증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8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컨대, 본 도면18에 도시된 실시 방법은 편의상 상기 뱅크로봇(100)의 동작모드가 설정된 후 상기 가상 대면 인증 과정을 수행하는 것으로 도시하여 설명하지만, 상기 가상 대면 인증 과정이 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며, 상기 뱅크로봇(100)에 구비된 금융거래 시나리오에 따라 금융거래가 완료되기 전 어느 시점에 제공되는 것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도면18을 참조하면, 상기 도면2에 도시된 뱅크로봇(100)은 상기 도면13a와 도면13b에 도시된 뱅크로봇(100) 동작모드 자동 설정 과정, 또는 상기 도면14에 도시된 뱅크로봇(100) 동작모드 수동 설정 과정, 또는 상기 도면15에 도시된 뱅크로봇(100) 동작모드 원격 설정 과정 중 어느 하나의 동작모드 설정 과정을 통해 상기 뱅크로봇(100)의 동작모드가 금융거래 모드로 설정되는지 확인하며(1800), 만약 상기 뱅크로봇(100)의 동작모드가 금융거래 모드로 설정되면(1805), 상기 뱅크로봇(100)은 상기 메모리부(266)로부터 상기 설정된 동작모드(예컨대, 금융거래 모드)에 대응하는 소정의 금융거래 시나리오 정보를 선택한다(1810).
여기서, 상기 선택된 금융거래 시나리오 정보는 상기 설정된 뱅크로봇(100)의 동작모드에서 상기 고객이 요청한 금융거래를 처리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융거래 시나리오 중, 상기 고객의 금융거래 조건에서 상기 금융거래를 가장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시나리오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고객이 RFID 태그가 구비된 통장(또는 카드)를 소지한 경우, 상기 금융거래 시나리오 정보는 상기 통장(또는 카드)에 구비된 RFID 태그로부터 금융관련 RIFD 정보를 리딩하는 절차가 포함된 금융거래 시나리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뱅크로봇(100)의 동작모드에 대응하는 금융거래 시나리오 정보는, 상기 뱅크로봇(100)의 동작모드에서 상기 금융거래 대상 고객이 실제 창구직원과 대면 인증하지 않고, 상기 창구직원을 대신하여 상기 뱅크로봇(100)과 가상의 대면 인증을 한 것으로 처리하는 가상 대면 인증 시나리오 정보와, 상기 가상 대면 인증 시나리오 전/후에 상기 화면 출력부(256)를 통해 상기 뱅크로봇(100)에 구비된 화면 출력장치(110)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융거래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출력 시나리오 정보와, 상기 금융거래 인터페이스 화면을 기반으로 상기 뱅크로봇(100)에 구비된 키 입력장치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융거래 정보를 입력되도록 처리하기 위한 정보 입력 시나리오 정보와, 상기 금융거래 대상 고객이 소지한 카드(또는 통장)에 구비된 MS/IC칩으로부터 금융정보를 리딩하기 위한 카드(또는 통장) 리딩 시나리오 정보와, 상기 금융거래 대상 고객이 소지한 카드(또는 통장)에 구비된 RFID 태그로부터 금융관련 RFID 정보를 리딩하기 위한 RFID 리딩 시나리오 정보와, 상기 입력된 금융거래 정보, 또는 상기 리딩된 금융정보, 또는 금융관련 RFID 정보가 시나리오에 따라 유효한지 검증하기 위한 정보 검증 시나리오 정보와, 상기 입력(또는 리딩)된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금융거래 요청 정보를 상기 금융거래 통신채널을 통해 전송하고, 상기 금융거래 요청 정보에 대응하는 금융거래 처리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정보 송수신 시나리오 정보와, 금융거래 취소 시나리오 정보 등을 일련의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설정된 뱅크로봇(100) 동작모드에 대응하는 금융거래 시나리오가 선택되면(1815), 상기 뱅크로봇(100)은 상기 로봇제어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로 상기 선택된 금융거래 시나리오 정보에 대응하는 시나리오 선택 정보를 전송함으로써(1820), 상기 뱅크로봇(100)에서 선택된 금융거래 시나리오 정보가 상기 뱅크로봇(100) 로그 정보에 포함되도록 처리한다.
이후, 상기 뱅크로봇(100)은 상기 화면 출력장치(110)로 상기 선택된 금융거래 시나리오에 포함된 가상 대면 인증 시나리오에 따른 가상 대면인증 인터페이스를 출력한다(1825).
여기서, 상기 가상 대면인증 인터페이스는 상기 뱅크로봇(100)에 구비된 화상 인식수단(210)을 통해 상기 고객의 안면 화상 데이터를 인식하도록 요청하고, 상기 뱅크로봇(100)에 구비된 신분증 스캔장치(130)를 통해 상기 고객의 신분증을 스캔하도록 요청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상 대면인증 인터페이스가 출력되면, 상기 뱅크로봇(100)은 상기 가상 대면인증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상기 화상 인식수단(210)을 통해 상기 고객의 안면 화상 데이터를 인식하고(1830), 상기 인식된 안면 화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고객 안면의 패턴(예컨대, 눈, 코, 입, 귀의 상대적인 위치, 모양, 방향 등)을 포함하는 안면 인식 데이터를 인식한다(1835).
또한, 상기 뱅크로봇(100)은 상기 가상 대면인증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상기 신분증 스캔장치(130)를 통해 상기 고객의 신분증 이미지 컨텐츠를 생성하고(1840), 상기 신분증 이미지 컨텐츠로부터 상기 고객에 대한 고객 이미지 데이터(예컨대, 신분증에 포함된 고객 증명사진에 대응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확인하고(1845), 상기 확인된 고객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상기 고객 안면의 패턴(예컨대, 눈, 코, 입, 귀의 상대적인 위치, 모양, 방향 등)을 포함하는 고객 이미지 인식 데이터를 인식한다(1850).
만약 상기 화상 인식수단(210)을 통해 인식된 안면 화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고객의 안면 인식 데이터가 인식되면(1855), 상기 신분증 스캔장치(130)를 통해 인식된 상기 신분증 이미지 컨텐츠로부터 상기 고객 이미지 인식 데이터가 인식되면(1860), 상기 뱅크로봇(100)은 상기 고객의 안면 인식 데이터와 고객 이미지 인식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금융거래 대상 고객에 대한 가상 대면 인증을 처리한다(1865).
만약 상기 가상대면 인증이 확인되지 않으면(1870), 상기 뱅크로봇(100)은 상기 고객에 대한 금융거래를 취소 처리하고(1875), 상기 로봇제어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로 상기 금융거래 취소 정보를 전송함으로써(1880), 상기 뱅크로봇(100) 로그 정보에 상기 금융거래 취소 정보가 저장되도록 처리한다.
반면 상기 가상대면 인증이 확인되면(1870), 상기 뱅크로봇(100)은 도면19a와 도면19b에 도시된 뱅크로봇(100)을 통한 금융거래 과정을 수행한다.
도면19a와 도면19b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뱅크로봇(100)을 통한 가상 대면 거래 방식의 금융거래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9a와 도면19b는 상기 도면2에 도시된 뱅크로봇(100)의 동작모드가 도면13a와 도면13b에 도시된 뱅크로봇(100) 동작모드 자동 설정 과정, 또는 상기 도면14에 도시된 뱅크로봇(100) 동작모드 수동 설정 과정, 또는 상기 도면15에 도시된 뱅크로봇(100) 동작모드 원격 설정 과정 중 어느 하나의 동작모드 설정 과정을 통해 금융거래 모드로 설정된 후, 상기 도면18에 도시된 가상 대면 인증 과정을 통해 가상 대면 인증이 확인되거나, 또는 도면17a와 도면17b에 도시된 금융상품 가입 과정 중 금융거래가 선택되면, 상기 뱅크로봇(100)에서 상기 설정된 동작모드에 따른 금융거래 시나리오에 따라 가상 대면 방식의 금융거래를 처리하는 과정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9a와 도면19b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뱅크로봇(100)을 통한 가상 대면 거래 방식의 금융거래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9a와 도면19b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 다.
도면19a와 도면19b를 참조하면, 상기 도면2에 도시된 뱅크로봇(100)은 상기 도면13a와 도면13b에 도시된 뱅크로봇(100) 동작모드 자동 설정 과정, 또는 상기 도면14에 도시된 뱅크로봇(100) 동작모드 수동 설정 과정, 또는 상기 도면15에 도시된 뱅크로봇(100) 동작모드 원격 설정 과정 중 어느 하나의 동작모드 설정 과정을 통해 상기 뱅크로봇(100)의 동작모드가 금융거래 모드로 설정된 후, 상기 도면18에 도시된 가상 대면 인증 과정을 통해 가상 대면 인증이 확인되거나, 또는 도면17a와 도면17b에 도시된 금융상품 가입 과정 중 금융거래가 선택되면, 상기 뱅크로봇(100)은 상기 화면 출력장치(110)로 상기 선택된 금융거래 시나리오에 포함된 인터페이스 출력 시나리오 정보에 따라 제m(m=1) 금융거래 인터페이스를 출력한다(1900).
여기서, 상기 제1 금융거래 인터페이스는 금융거래 종류에 따라 다르며, 동일한 금융거래라고 할지라도 각 은행에서 정의한 금융거래 절차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은 상기 제1 금융거래 인터페이스 특성에 의해 제약되지 아니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이후, 상기 뱅크로봇(100)은 상기 제m 금융거래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금융거래 시나리오 정보에 포함된 정보 입력 시나리오 정보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의 정보를 입력(또는 리딩)되는지 확인한다(1905).
여기서, 상기 정보 입력 시나리오에 따라 제m 금융거래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는 상기 뱅크로봇(100)에 구비된 키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되는 금융거래 정보, 카드 리더장치(125)를 통해 리딩되는 금융정보, RFID 리더장치(115)를 통해 리딩되는 금융관련 RFID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제m 금융거래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정보 입력 시나리오 정보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가 입력(또는 리딩)되면(1910), 상기 뱅크로봇(100)은 상기 금융거래 시나리오 정보에 포함된 정보 검증 시나리오 정보에 따라 상기 제m 금융거래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또는 리딩)된 정보에 대한 로봇 측 시나리오 검증 유효성을 확인한다(1915).
여기서, 상기 정보 검증 시나리오 정보는 상기 정보 입력 시나리오에 따른 각 정보 입력 단계를 인증하거나, 또는 카드(또는 통장) 리딩 시나리오에 따른 각 카드(또는 통장) 리딩 단계를 인증하거나, 또는 상기 RFID 리딩 시나리오 정보에 따른 각 RFID 리딩 단계를 인증하는 인증 값과, 인증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로봇 측 시나리오 검증 유효성 확인은 상기 인증 값과 인증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상기 시나리오에 따른 정보 입력(또는 리딩) 유효성을 인증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로봇 측 시나리오 검증 유효성이 확인되지 않으면(1920), 상기 뱅크로봇(100)은 상기 금융거래를 취소하고, 로봇제어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로 상기 시나리오 검증 유효성 오류 정보를 전송함으로써(1925), 상기 뱅크로봇(100) 로그 정보에 상기 시나리오 검증 유효성 오류 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에서도 상기 금융거래를 취소하도록 처리한다.
반면 상기 로봇 측 시나리오 검증 유효성이 확인되면(1920), 상기 뱅크로봇(100)은 상기 로봇제어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로 시나리오 검증 요청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에서 제어 측 시나리오 유효성을 검증하도록 처리한다(1930).
여기서, 상기 시나리오 검증 요청 정보는 상기 로봇 측 시나리오 검증 유효성 확인 결과에 따라 생성되는 검증 값(또는 인증 값)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시나리오 단계가 유효하다면,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에서 상기 검증 값(또는 인증 값)이 인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상기 뱅크로봇(100)은 상기 로봇제어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제어 측 시나리오 유효성이 검증되었는지 확인한다(1935).
만약 상기 제어 측 시나리오 유효성이 검증되지 않으면(1940), 상기 뱅크로봇(100)은 상기 금융거래를 취소하고, 로봇제어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로 상기 시나리오 검증 유효성 오류 정보를 전송함으로써(1925), 상기 뱅크로봇(100) 로그 정보에 상기 시나리오 검증 유효성 오류 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에서도 상기 금융거래를 취소하도록 처리한다
반면 상기 제어 측 시나리오 유효성이 검증되면(1940), 상기 뱅크로봇(100)은 상기 금융거래 시나리오에 포함된 정보 송수신 시나리오 정보에 따라 상기 제m 금융거래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또는 리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금융거래 요청 정보를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로 전송할지 확인한다(1945).
만약 상기 정보 송수신 시나리오 정보에 따라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로 상기 금융거래 요청 정보를 전송하지 않는다면(1950), 상기 뱅크로봇(100)은 상기 화면 출력장치(110)로 상기 금융거래 시나리오에 대응하는 제(m=m+1) 금융거래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1955), 상기 제m 금융거래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금융거래 시나리오 정보에 포함된 정보 입력 시나리오 정보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입력(또는 리딩)되는지 확인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반면 상기 정보 송수신 시나리오 정보에 따라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로 상 기 금융거래 요청 정보를 전송한다면(1950), 상기 뱅크로봇(100)은 상기 금융거래 시나리오 정보에 포함된 정보 송수신 시나리오 정보에 따라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와 금융거래 통신채널을 연결한다(1960).
여기서, 상기 금융거래 통신채널은 상기 뱅크로봇(100)과 무선AP(135) 간 무선 통신채널을 기반으로 상기 금융거래 대상 고객이 상기 뱅크로봇(100)을 통해 요청한 금융거래를 처리하기 위한 통신채널로서, 상기 금융거래 통신채널을 통해 송수신되는 각종 정보(또는 데이터)는 상기 로봇제어 통신채널의 동작 시나리오 검증 채널을 통해 실시간 검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뱅크로봇(100)을 운용하는 은행에서 정의한 금융거래 절차에 따라 금융거래를 처리하기 위해 송수신되는 정보(또는 데이터) 구조와, 그 송수신 순서를 유추할 수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하기로 한다.
이후, 상기 뱅크로봇(100)은 상기 금융거래 시나리오 정보에 포함된 정보 송수신 시나리오 정보에 따라 상기 입력(또는 리딩)된 정보를 포함하는 금융거래 요청 정보를 전송하고(1965), 상기 정보 송수신 시나리오 정보에 따라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로부터 상기 금융거래 요청 정보에 대응하는 금융거래 처리 정보가 수신되는지 확인한다(1970).
만약 상기 정보 송수신 시나리오 정보에 따라 상기 금융거래 처리 정보가 수신되면(1975), 상기 뱅크로봇(100)은 상기 금융거래 처리 정보를 화면 출력장치(110)로 출력하고, 상기 금융거래 시나리오에 따라 상기 금융거래가 완료되었는지 확인한다(1980).
만약 상기 금융거래 시나리오에 따라 상기 금융거래가 완료되지 않았다면(1985), 상기 뱅크로봇(100)은 상기 화면 출력장치(110)로 상기 금융거래 시나리오에 대응하는 제(m=m+1) 금융거래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1955), 상기 제m 금융거래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금융거래 시나리오 정보에 포함된 정보 입력 시나리오 정보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입력(또는 리딩)되는지 확인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반면 상기 금융거래 시나리오에 따라 상기 금융거래가 완료되면(1985), 상기 뱅크로봇(100)은 상기 로봇제어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로봇제어 장치(140)로 상기 금융거래 결과를 전송함으로써(1990), 상기 뱅크로봇(100) 로그 정보에 상기 금융거래 결과가 저장되도록 처리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은행지점(또는 공공장소)에 구비되어 운용되는 뱅크로봇 을 대외 홍보 수단으로 사용함으로써, 다른 은행에 비해 혁신적으로 이미지 쇄신 및 신뢰도를 제고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은행지점에 구비되어 운용되는 뱅크로봇을 운용함에 있어서, 상기 은행 창구업무에 여유가 발생하는 시간 대, 요일, 일에는 상기 뱅크로봇을 은행 홍보 수단으로 사용하고, 상기 은행 창구업무가 집중되는 시간 대, 요일, 일에는 상기 뱅크로봇을 창구업무 대체 수단으로 사용함으로써, 상기 은행 홍보 효과와 함께 창구업무를 분산시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은행지점(또는 공공장소)에 구비되어 운용되는 뱅크로봇을 통해 복수의 고객 중 상기 뱅크로봇을 운용하는 은행의 금융거래 고객을 선택적으로 인식하여, 상기 은행 거래 고객을 대상으로 맞춤형 금융상품 홍보 및 다양한 금융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Claims (7)

  1. 화상 인식수단을 통해 인식되는 응대 대상 고객의 안면 화상 데이터에 대한 안면 인식 데이터-상기 안면 화상 데이터에 포함된 눈, 코, 입, 귀의 상대적인 위치, 모양, 방향 데이터-를 인식하는 안면 인식부;
    상기 안면 인식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응대 대상 고객이 상기 은행의 금융거래 고객인지 인식하는 고객 인식부;
    상기 뱅크로봇의 동작모드를 상기 인식된 금융거래 고객에 대한 금융상품 홍보 모드로 설정하는 동작모드 설정부;
    상기 금융상품 홍보 모드에 대응하는 금융상품 홍보 시나리오를 선택하는 시나리오 선택부; 및
    상기 금융상품 홍보 시나리오에 대응하는 금융상품 홍보 단계를 검증하는 시나리오 검증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객 인식 기반 맞춤형 금융상품 홍보 기능을 구비한 뱅크로봇.
  2. 화상 인식수단을 통해 인식되는 응대 대상 고객이 소지한 물건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RFID 태그로부터 RFID 정보를 리딩하는 RFID 리더부;
    상기 리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RFID 정보에 대응하는 RFID 태그를 소지한 응대 대상 고객이 상기 은행의 금융거래 고객인지 인식하는 고객 인식부;
    상기 뱅크로봇의 동작모드를 상기 인식된 금융거래 고객에 대한 금융상품 홍보 모드로 설정하는 동작모드 설정부;
    상기 금융상품 홍보 모드에 대응하는 금융상품 홍보 시나리오를 선택하는 시나리오 선택부; 및
    상기 금융상품 홍보 시나리오에 대응하는 금융상품 홍보 단계를 검증하는 시나리오 검증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객 인식 기반 맞춤형 금융상품 홍보 기능을 구비한 뱅크로봇.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 인식부는,
    상기 뱅크로봇을 운용하는 은행의 금융거래 고객에 대한 고객 인식 데이터-금융거래 고객의 안면 인식 데이터, 또는 금융거래 고객의 신분증에 구비된 증명사진에 대응하는 고객 이미지 인식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연계하여 상기 안면 인식 데이터와 상기 고객 인식 데이터를 비교하고, 상기 안면 인식 데이터와 상기 고객 인식 데이터가 매칭되면, 상기 응대 대상 고객을 상기 은행의 금융거래 고객으로 인식하거나, 또는
    상기 뱅크로봇을 운용하는 은행의 금융거래 고객에 대한 고객 인식 데이터-금융거래 고객의 안면 인식 데이터, 또는 금융거래 고객의 신분증에 구비된 증명사진에 대응하는 고객 이미지 인식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매체를 운용하는 통신망 상의 서버로 상기 안면 인식 데이터를 전송하여 상기 고객 인식 데이터와 비교되도 록 처리하고, 상기 안면 인식 데이터와 상기 고객 인식 데이터가 매칭되면, 상기 응대 대상 고객을 상기 은행의 금융거래 고객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객 인식 기반 맞춤형 금융상품 홍보 기능을 구비한 뱅크로봇.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 인식부는,
    상기 뱅크로봇을 운용하는 은행에서 금융거래 고객에 발급한 통장(또는 카드)에 구비된 RFID 태그에 저장된 고객 식별용 RFID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연계하여 상기 리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RFID 정보와 상기 고객 식별용 RFID 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RFID 정보가 고객 식별용 RFID 정보와 매칭되면, 상기 응대 대상 고객을 상기 은행의 금융거래 고객으로 인식하거나, 또는
    상기 뱅크로봇을 운용하는 은행에서 금융거래 고객에 발급한 통장(또는 카드)에 구비된 RFID 태그에 저장된 고객 식별용 RFID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매체를 운용하는 통신망 상의 서버로 상기 RFID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고객 식별용 RFID 정보와 비교되도록 처리하고, 상기 RFID 정보가 고객 식별용 RFID 정보와 매칭되면, 상기 응대 대상 고객을 상기 은행의 금융거래 고객으로 인식하거나, 또는
    상기 고객 식별용 RFID 정보가 뱅크로봇을 운용하는 은행에서 정의한 고유한 고객식별코드 체계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리딩된 RFID 정보 중 상기 고객식별코드 체계를 포함하는 RFID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고객식별코드 체계를 포함하는 RFID 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응대 대상 고객을 상기 은행의 금융거래 고객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객 인식 기반 맞춤형 금융상품 홍보 기능을 구비한 뱅크로봇.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음성인식 기능을 구비한 음성 입력수단을 통해 상기 인식된 금융거래 고객으로부터 입력되는 고객 음성 데이터를 인식하여 금융상품 홍보 대상과 매칭되는 고객 발화 예상 정보를 포함하는지 확인하고, 음성발화 기능을 구비한 음성 출력수단을 통해 고객 음성 데이터에 대응하는 모범 응답을 발화하여 음성 출력하거나, 또는
    음성발화 기능을 구비한 음성 출력수단을 통해 상기 인식된 금융거래 고객에게 금융상품 홍보 유도 발화 정보를 발화하여 음성 출력하고, 음성인식 기능을 구비한 음성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고객 음성 데이터가 금융상품 홍보 대상과 매칭되는 예상응답 정보를 포함하는지 확인하는 고객 응대 처리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객 인식 기반 맞춤형 금융상품 홍보 기능을 구비한 뱅크로봇.
  6. 화상 인식수단을 통해 인식되는 응대 대상 고객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응대 대상 고객의 안면 화상 데이터(또는 상기 응대 대상 고객이 소지 한 통장/카드에 구비된 RFID 태그)를 통해 상기 응대 대상 고객이 상기 은행의 금융거래 고객인지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응대 대상 고객이 상기 은행의 금융거래 고객으로 확인되면, 상기 뱅크로봇의 동작모드를 상기 인식된 금융거래 고객에게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융상품을 홍보하는 금융상품 홍보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객 인식 기반 맞춤형 금융상품 홍보 기능을 구비한 뱅크로봇 운용 방법.
  7. 상기 제 6항의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070132151A 2007-12-17 2007-12-17 고객 인식 기반 맞춤형 금융상품 홍보 기능을 구비한뱅크로봇 및 뱅크로봇 운용 방법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1009765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2151A KR100976512B1 (ko) 2007-12-17 2007-12-17 고객 인식 기반 맞춤형 금융상품 홍보 기능을 구비한뱅크로봇 및 뱅크로봇 운용 방법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2151A KR100976512B1 (ko) 2007-12-17 2007-12-17 고객 인식 기반 맞춤형 금융상품 홍보 기능을 구비한뱅크로봇 및 뱅크로봇 운용 방법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4814A true KR20090064814A (ko) 2009-06-22
KR100976512B1 KR100976512B1 (ko) 2010-08-17

Family

ID=40993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2151A KR100976512B1 (ko) 2007-12-17 2007-12-17 고객 인식 기반 맞춤형 금융상품 홍보 기능을 구비한뱅크로봇 및 뱅크로봇 운용 방법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6512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39871A2 (en) * 2010-09-20 2012-03-29 Microsoft Corporation Automatic customized advertisement generation system
US8667519B2 (en) 2010-11-12 2014-03-04 Microsoft Corporation Automatic passive and anonymous feedback system
KR101398528B1 (ko) * 2012-06-22 2014-05-30 주식회사 우리은행 고객 인식 기반 금융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05798925A (zh) * 2016-05-14 2016-07-27 浙江维融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智慧银行网点实体机器人
US9674563B2 (en) 2013-11-04 2017-06-06 Rovi Guid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commending content
CN106970630A (zh) * 2017-05-23 2017-07-21 上海棠棣信息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机器人主动提供服务的方法及装置、机器人
US10085072B2 (en) 2009-09-23 2018-09-25 Rovi Guid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ally detecting users within detection regions of media devices
CN109015593A (zh) * 2018-09-21 2018-12-18 中新智擎科技有限公司 一种广告机器人及其广告投放方法
CN111070214A (zh) * 2018-10-18 2020-04-28 Lg电子株式会社 机器人
US11386703B2 (en) 2016-06-22 2022-07-12 Laurel Precision Machines Co., Ltd. Counter reception system and service robot
US20230059969A1 (en) * 2021-08-19 2023-02-23 Bank Of America Corporation Automated teller machine (atm) pre-stage robotic technology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01539A (ja) * 2004-04-09 2005-10-27 Oki Electric Ind Co Ltd 顔認証による本人確認システム
KR20060047271A (ko) * 2004-04-28 2006-05-18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창구 서비스 자동화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60016910A (ko) * 2004-08-19 2006-02-23 주식회사 에프엘테크놀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순서를 부여하고 그 순서에 따라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435980Y1 (ko) * 2006-09-13 2007-03-30 주식회사 케이엠씨 지능형 안내로봇 시스템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85072B2 (en) 2009-09-23 2018-09-25 Rovi Guid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ally detecting users within detection regions of media devices
WO2012039871A3 (en) * 2010-09-20 2012-05-31 Microsoft Corporation Automatic customized advertisement generation system
WO2012039871A2 (en) * 2010-09-20 2012-03-29 Microsoft Corporation Automatic customized advertisement generation system
US8667519B2 (en) 2010-11-12 2014-03-04 Microsoft Corporation Automatic passive and anonymous feedback system
KR101398528B1 (ko) * 2012-06-22 2014-05-30 주식회사 우리은행 고객 인식 기반 금융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9674563B2 (en) 2013-11-04 2017-06-06 Rovi Guid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commending content
CN105798925A (zh) * 2016-05-14 2016-07-27 浙江维融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智慧银行网点实体机器人
US11386703B2 (en) 2016-06-22 2022-07-12 Laurel Precision Machines Co., Ltd. Counter reception system and service robot
CN106970630A (zh) * 2017-05-23 2017-07-21 上海棠棣信息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机器人主动提供服务的方法及装置、机器人
CN109015593A (zh) * 2018-09-21 2018-12-18 中新智擎科技有限公司 一种广告机器人及其广告投放方法
CN111070214A (zh) * 2018-10-18 2020-04-28 Lg电子株式会社 机器人
KR20200046186A (ko) * 2018-10-18 2020-05-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및 그의 제어 방법
US11285611B2 (en) 2018-10-18 2022-03-29 Lg Electronics Inc. Robot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of
CN111070214B (zh) * 2018-10-18 2023-04-14 Lg电子株式会社 机器人
US20230059969A1 (en) * 2021-08-19 2023-02-23 Bank Of America Corporation Automated teller machine (atm) pre-stage robotic technology
US11663567B2 (en) * 2021-08-19 2023-05-30 Bank Of America Corporation Automated teller machine (ATM) pre-stage robotic technolog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6512B1 (ko) 2010-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6512B1 (ko) 고객 인식 기반 맞춤형 금융상품 홍보 기능을 구비한뱅크로봇 및 뱅크로봇 운용 방법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102513297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기능 실행 방법
CN108713307B (zh) 使用机载系统认证交易中用户的方法、设备和系统
US1110043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bile authorizations
EP3374916B1 (en) Facial profile modification for hands free transactions
US8583498B2 (en) System and method for biometrics-based fraud prevention
US20160275760A1 (en) Processing automated banking transactions requiring approval
CN103366277B (zh) 用于身份识别验证和购买验证的方法和设备
CN106030598A (zh) 用于移动装置的信任代理认证方法
JP2016051482A (ja) 認証システムにおいてユーザを登録および認証するための方法、顔認証システム、ならびに認証システムにおいてユーザを認証するための方法
US20200202313A1 (en) Augmented reality enhancements for financial activities
US20200293639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ensuring that an individual is authorized to conduct an activity
US11462095B2 (en) Facility control methods and apparatus
US20230196423A1 (en) Vehicle identificatio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uthentication and notification
US10922911B2 (en) Collapsible and deployable interactive structure and system of use
KR20090064819A (ko) 환전거래 기능을 구비한 뱅크로봇과 환전처리 방법과 이를위한 기록매체
JP2019106018A (ja) 端末装置、サービス申込み受付方法、プログラム
EP3673439A1 (en) Motion based account recognition
CN104050560A (zh) 用于车辆可访问的atm交易的方法和设备
WO2017122055A1 (en) A system for proximate and/or remote electronic transaction authorization based on user authentication and/or biometric identification
US10510054B1 (en) Augmented reality enhancements for financial activities
US11546728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resence sensing reporting
KR20090064809A (ko) 은행지점 업무 지원용 뱅크로봇과 은행지점 업무 지원 방법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
US20210158365A1 (en) Sale authorization system
KR100976514B1 (ko) 전자문서 처리 기능을 구비한 뱅크로봇 및 뱅크로봇 운용방법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