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3702A - 신호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신호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3702A
KR20090063702A KR1020070131160A KR20070131160A KR20090063702A KR 20090063702 A KR20090063702 A KR 20090063702A KR 1020070131160 A KR1020070131160 A KR 1020070131160A KR 20070131160 A KR20070131160 A KR 20070131160A KR 20090063702 A KR20090063702 A KR 200900637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signal
signal processing
units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1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수혁
노영중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311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63702A/ko
Priority to US12/141,148 priority patent/US20090157917A1/en
Priority to EP08171122A priority patent/EP2071829A1/en
Publication of KR20090063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37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8Signal distribution or switch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31Monitoring of peripheral device or external card, e.g. to detect processing problems in a handheld device or the failure of an external recording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호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신호처리장치는, 복수의 입력잭이 각각 연결될 수 있는 복수의 입력단자부와; 복수의 입력잭으로부터 입력되는 복수의 입력신호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접속부를 포함하고, 복수의 입력신호를 복수의 접속부를 통해 입력받아 처리하는 신호처리부와; 복수의 입력단자부와, 복수의 접속부 사이에 마련되어, 복수의 입력단자부를 복수의 접속부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스위칭부와; 복수의 입력신호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는 정보검출부와; 정보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정보에 따라 복수의 입력신호와, 복수의 접속부가 상호 대응하도록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잘못 연결된 입력단자를 보다 쉽게 재연결할 수 있다.

Description

신호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신호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복수의 입력잭을 통해 복수의 입력신호를 입력받는 신호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TV, 셋톱박스 등의 신호처리장치는 외부의 신호공급원으로부터 복수의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예컨대, TV는 비디오 및 DVD플레이어 등의 외부장치와 연결되어 다양한 형식의 영상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신호처리장치는 입력단자부를 통해 신호를 입력받는다. 입력단자의 종류로는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단자, 컴포지트(Composite)단자, S-비디오단자, 컴포넌트(Component)단자 등이 있다. 컴포지트단자는 일상적인 아날로그 연결에 가장 자주 쓰이는 연결 단자이다. RCA케이블이 이러한 컴포지트 연결에 주로 쓰인다. 컴포지트단자는 영상의 Y(휘도신호), C(색상신호)신호가 합쳐져서 전송되는 것을 의미한다. S-비디오단자 혹은 Y/C단자는 Y, C신호가 분리되어서 전송되는 것을 의미한다.
컴포넌트 단자는 영상신호가 Y, Pb, Pr신호로 분리되서 입력된다. Y, Pb, Pr의 의미는 Y신호는 휘도신호이고 Pb는 블루색상신호, Pr은 레드색상신호이다. 그린색상신호는 휘도신호에 포함되어 있다. 신호를 나누어 전송하면 신호간섭이 줄어들어 더욱 선명한 화질의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컴포지트 단자는 RCA케이블 한 가닥으로 영상 신호를 전송하는데 반해 컴포넌트단자는 Y, Pb, Pr을 각각 한 가닥씩 나누어 영상 신호를 전송한다. 또한 영상신호 외에 스테레오 방식의 음성신호는 오른쪽(R) 및 왼쪽(L)음성신호로 분리 되서 입력될 수 있다. 즉, 신호처리장치가 컴포넌트 방식의 영상신호나 스테레오 방식의 음성신호를 입력받기 위해서는 복수의 입력단자가 필요하다.
그런데 종래의 신호처리장치는 사용자가 입력잭을 입력단자에 잘못 연결했을 경우, 사용자가 잘못 연결된 입력단자를 찾아 일일이 재연결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예컨대, 컴포넌트 단자의 경우 Y, Pb, Pr 세 개의 단자로 구성되는데, 그 입력잭의 형태가 동일하기 때문에 잘못 연결할 가능성이 크다.
또한 입력단자의 종류 및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주변기기들을 입력단자에 정확히 연결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에게 상당한 사전지식이 요구되어 진다. 따라서 신호처리장치는 사용자에게 입력단자의 연결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정확하고 이해하기 쉬운 형태로 전달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잘못 연결된 입력단자를 보다 쉽게 재연결할 수 있는 신호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입력단자의 연결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정확하고 이해하기 쉬운 형태로 전달할 수 있는 신호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신호처리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입력잭이 각각 연결될 수 있는 복수의 입력단자부와; 복수의 입력잭으로부터 입력되는 복수의 입력신호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접속부를 포함하고, 복수의 입력신호를 복수의 접속부를 통해 입력받아 처리하는 신호처리부와; 복수의 입력단자부와, 복수의 접속부 사이에 마련되어, 복수의 입력단자부를 복수의 접속부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스위칭부와; 복수의 입력신호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는 정보검출부와; 정보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정보에 따라 복수의 입력신호와, 복수의 접속부가 상호 대응하도록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신호처리장치는, 신호처리부에서 처리된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입력잭과 복수의 입력단자부와의 연결 상태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신호처리장치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는 사용자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제어부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복수의 입력신호와, 복수의 접속부가 상호 대응하도록 스위칭부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신호처리장치는, 정보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정보에 기초하여 UI를 생성하는 UI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정보검출부는, 복수의 입력신호 중 Y신호는 동기신호의 존재여부로 판별하고, Pb 및 Pr 신호는 위상차로 판별할 수 있다.
복수의 입력단자부는, 복수의 입력잭 각각의 연결여부를 감지할 수 있고, 복수의 입력잭 각각에 대응하여 표시가 되어 있을 수 있다.
입력신호는 음성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복수의 입력신호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접속부를 포함하고, 복수의 입력신호를 복수의 접속부를 통해 입력받아 처리하는 신호처리부를 포함하는 신호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입력잭으로부터 입력되는 복수의 입력신호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와; 검출된 정보에 따라 복수의 입력신호와, 복수의 접속부를 상호 대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의해서도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신호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복수의 입력잭과 복수의 입력단자부와의 연결 상태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응시키는 단계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복수의 입력신호와, 복수의 접속부를 상호 대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신호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검출된 정보에 기초하여 UI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검출하는 단계는, 복수의 입력신호 중 Y신호는 동기신호의 존재여부로 판별 하고, Pb 및 Pr 신호는 위상차로 판별하는 단계와, 복수의 입력잭 각각의 연결여부를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신호는 음성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신호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은 잘못 연결된 입력단자를 보다 쉽게 재연결할 수 있다.
또한, 신호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은 입력단자의 연결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정확하고 이해하기 쉬운 형태로 전달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처리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처리장치(100)는 복수의 입력잭을 통해 복수의 입력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예컨대, 신호처리장치(100)는 TV, 셋톱박스 등으로 구현되어 복수의 RCA 입력단자를 통해 컴포넌트 방식의 영상신호나 스테레오 방식의 음성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처리장치(100)는 복수의 입력단자부(110), 스위칭부(120), 신호처리부(130), 표시부(140), 정보검출부(150), UI생성부(160), 사용자입력부(170) 및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입력단자부(110)는 복수의 입력잭(도시 안 됨)이 각각 연결될 수 있 다. 예컨대, 입력잭은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RCA잭일 수 있고, 복수의 입력단자부(110)는 Y, Pb, Pr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는 3개의 RCA단자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입력단자부(110)는 복수의 입력잭 각각의 연결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각각의 입력잭에는 입력잭의 연결에 따라 기계적으로 스위칭동작이 일어나는 회로가 마련될 수 있다. 입력단자에 입력잭이 연결된 경우, 입력단자는 하이(high) 또는 로우(low)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복수의 입력단자부(110)의 구조 및 출력신호는 다양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입력단자부(110)는 복수의 입력잭 각각에 대응하는 표시가 되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편의를 위해 영상신호 입력단자에는 Y, Pb, Pr 별로 음성신호 단자는 R, L별로 문자 또는 그림 등으로 표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위칭부(120)는 복수의 입력단자부(110)와, 복수의 접속부(131,132,133) 사이에 마련되어, 복수의 입력단자부(110)를 복수의 접속부(131,132,133)에 선택적으로 연결한다. 스위칭부(12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입력단자부(111,112,113) 각각을 어느 하나의 접속부(131,132,133)에 선택적으로 연결한다.
신호처리부(130)는 복수의 입력잭으로부터 입력되는 복수의 입력신호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접속부(131,132,133)를 포함하고, 복수의 입력신호를 복수의 접속부(131,132,133)를 통해 입력받아 처리한다. 입력신호는 영상신호뿐만 아니라 음성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접속부1(131)은 Y신호를 입력받고, 접속부2(132)는 Pb신호를 입력받 고, 접속부3(133)은 Pr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신호처리부(120)는 컴포넌트 신호처리모듈(도시 안 됨) 및 스테레오 음성신호 처리모듈(도시 안 됨)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140)는 신호처리부(130)에서 처리된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표시한다. 표시부(140)는 영상신호 출력을 위해 CRT(cathode ray tube),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음성신호 출력을 위해 스피커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정보검출부(150)는 복수의 입력신호에 대한 정보를 검출한다. 구체적으로, 정보검출부(150)는 복수의 입력신호 중 Y신호는 동기신호의 존재여부로 판별하고, Pb 및 Pr 신호는 위상차로 판별할 수 있다.
예컨대, 정보검출부(150)는 각 입력단자부(111,112,113)를 통해 입력된 입력신호에 동기신호가 있는지 판별하여 동기신호가 존재할 경우, 해당 입력단자로 Y신호가 입력되고 있음을 판단한다. 다음으로 Y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단자 외의 입력단자에서 색차신호의 위상차를 판별하여 Pb, Pr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단자를 판단할 수 있다. 입력신호에 대한 정보는 입력신호의 종류에 따라 다양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다.
UI생성부(160)는 정보검출부(150)에 의해 검출된 정보에 기초하여 UI를 생성한다. UI생성부(160)는 OSD처리부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신호처리부(130)에 포함될 수도 있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UI는 문자 또는 기호를 이용하여 AV신호 및 컴포넌트 신호 별로 각 입력단자의 연결 상태를 상세하고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입력부(170)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는다. 예컨대, 사용자입력부(170)는 리모콘 등으로 구현될 수 있고,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 제어부(180)에 전달한다.
제어부(180)는 정보검출부(150)에 의해 검출된 정보에 따라 복수의 입력신호와, 복수의 접속부(131,132,133)가 상호 대응하도록 스위칭부(120)를 제어한다.
예컨대, 신호처리부(130)의 접속부1(131)은 Y신호 단자이고, 접속부2(132)는 Pb신호 단자이고, 접속부3(133)은 Pr신호 단자라고 가정하자. 정보검출부(150)의 검출 결과 입력단자1(111)을 통해 Y신호가 입력되고, 입력단자2(112)를 통해 Pb신호, 입력단자3(113)을 통해 Pr신호가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어부(180)는 입력단자1(111)은 접속부1(131)에, 입력단자2(112)는 접속부2(132)에, 입력단자3(113)은 접속부3(133)에 연결되도록 스위칭부(120)를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복수의 입력잭과 복수의 입력단자부(110)와의 연결 상태를 표시부(140)에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UI생성부(160)를 제어하여 입력신호 별로 각 입력단자의 연결 상태를 상세하고 쉽게 파악할 수 있는 UI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복수의 입력신호와, 복수의 접속부(131,132,133)가 상호 대응하도록 스위칭부(120)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신호처리장치(100)는 먼저 입력신호를 처리하여 표시부(140)에 표시하고, 영상이 정상적으로 표시되는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확인한다. 만약 영상 이 제대로 표시되지 않을 경우, 정보검출부(150)에 의해 검출된 정보에 따라 복수의 입력신호와, 복수의 접속부(131,132,133)가 상호 대응하도록 스위칭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신호처리장치(100)는 자동으로 스위칭하여 입력신호를 처리할 수 있고, 먼저 입력신호를 처리하여 표시한 후 이상이 있을 경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스위칭하여 입력신호를 처리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호처리장치(100A)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처리장치(100A)는 복수의 입력단자부(110), 스위칭부(120), 신호처리부(130), 정보검출부(150) 및 제어부(18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신호처리장치(100A)에 관하여 상기 도 1과 관련하여 설명된 신호처리장치(100)와 동일 내지는 유사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처리장치(100)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신호처리장치(100)는 입력신호 정보를 검출한다(S10). 정보검출부(150)는 복수의 입력신호 중 Y신호는 동기신호의 존재여부로 판별하고, Pb 및 Pr 신호는 위상차로 판별할 수 있다.
입력단자1(111)을 통해 입력되는 입력신호에 동기신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S21). 단계 S21에서 동기신호가 존재할 경우, 입력단자2,3은 Pb, Pr신호로 판단한다(S31).
단계 S21에서 동기신호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입력단자2(112)를 통해 입력되는 입력신호에 동기신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S22). 단계 S22에서 동기신호가 존재할 경우, 입력단자1,3은 Pb, Pr신호로 판단한다(S32).
단계 S22에서 동기신호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입력단자3(113)을 통해 입력되는 입력신호에 동기신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S23). 단계 S23에서 동기신호가 존재할 경우, 입력단자1,2는 Pb, Pr신호로 판단한다(S33).
단계 S23에서 동기신호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에러 메시지를 표시한다(S40). 콤포넌트 입력단자의 모든 입력신호에 Y신호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므로 에러 메시지 또는 영상 메시지가 아님을 표시한다.
다음으로, 신호처리장치(100)는 입력신호를 처리하여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S50). 그리고 OSD로 메시지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정상적인 영상이 표시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60). 신호처리장치(100)는 사용자가 스왑기능을 선택했는지 판단한다(S70).
단계 S70에서 스왑기능이 선택된 경우, 신호처리장치(100)는 Pb, Pr신호가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된 입력단자 2개를 서로 스위칭한다(S80). 즉, 신호처리장치(100)는 먼저 입력신호를 처리하여 표시부(140)에 표시하고, 영상이 정상적으로 표시되는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확인한다. 만약 영상이 제대로 표시되지 않을 경우, 정보검출부(150)에 의해 검출된 정보에 따라 복수의 입력신호와, 복수의 접속부(131,132,133)가 상호 대응하도록 스위칭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처리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처리장치 UI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호처리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처리장치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신호처리장치 110 : 복수의 입력단자부
120 : 스위칭부 130 : 신호처리부
140 : 표시부 150 : 정보검출부
160 : UI생성부 170 : 사용자입력부
180 : 제어부

Claims (16)

  1. 신호처리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입력잭이 각각 연결될 수 있는 복수의 입력단자부와;
    상기 복수의 입력잭으로부터 입력되는 복수의 입력신호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접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입력신호를 상기 복수의 접속부를 통해 입력받아 처리하는 신호처리부와;
    상기 복수의 입력단자부와, 상기 복수의 접속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복수의 입력단자부를 상기 복수의 접속부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스위칭부와;
    상기 복수의 입력신호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는 정보검출부와;
    상기 정보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의 입력신호와, 상기 복수의 접속부가 상호 대응하도록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부에서 처리된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입력잭과 상기 복수의 입력단자부와의 연결 상태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처리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는 사용자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복수의 입력신호와, 상기 복수의 접속부가 상호 대응하도록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정보에 기초하여 UI를 생성하는 UI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검출부는, 상기 복수의 입력신호 중 Y신호는 동기신호의 존재여부로 판별하고, Pb 및 Pr 신호는 위상차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처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입력단자부는, 상기 복수의 입력잭 각각의 연결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처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입력단자부는, 상기 복수의 입력잭 각각에 대응하여 표시가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처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신호는 음성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처리장치.
  9. 복수의 입력신호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접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입력신호를 상기 복수의 접속부를 통해 입력받아 처리하는 신호처리부를 포함하는 신호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입력잭으로부터 입력되는 복수의 입력신호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의 입력신호와, 상기 복수의 접속부를 상호 대응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입력잭과 상기 복수의 입력단자부와의 연결 상태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복수의 입력신호와, 상기 복수의 접속부를 상호 대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된 정보에 기초하여 UI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입력신호 중 Y신호는 동기신호의 존재여부로 판별하고, Pb 및 Pr 신호는 위상차로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입력잭 각각의 연결여부를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신호는 음성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검출된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의 입력신호를 상기 복수의 접속부에 스위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0070131160A 2007-12-14 2007-12-14 신호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90063702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1160A KR20090063702A (ko) 2007-12-14 2007-12-14 신호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2/141,148 US20090157917A1 (en) 2007-12-14 2008-06-18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08171122A EP2071829A1 (en) 2007-12-14 2008-12-09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1160A KR20090063702A (ko) 2007-12-14 2007-12-14 신호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3702A true KR20090063702A (ko) 2009-06-18

Family

ID=40433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1160A KR20090063702A (ko) 2007-12-14 2007-12-14 신호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90157917A1 (ko)
EP (1) EP2071829A1 (ko)
KR (1) KR2009006370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89784B2 (en) * 2010-12-31 2013-07-16 Silicon Image, Inc. Adaptive interconnection scheme for multimedia devices
DE102011015587A1 (de) * 2011-03-30 2012-10-04 Neutrik Aktiengesellschaft Schaltvorrichtung
CN103794190B (zh) * 2012-10-26 2016-08-10 纬创资通股份有限公司 具有静电放电防护功能的连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151462C (en) * 1992-12-09 2004-02-24 John S. Hendricks Television program delivery system
GB2300946B (en) * 1995-05-17 1999-10-20 Altera Corp Tri-statable input/output circuitry for programmable logic
JP2000253418A (ja) * 1999-03-03 2000-09-14 Alps Electric Co Ltd 映像信号処理回路、ビューファインダ装置、テレビジョンカメラ及び映像モニタ装置
JP4135047B2 (ja) * 1999-11-17 2008-08-20 ソニー株式会社 情報伝送システム、情報出力装置、情報入力装置および接続関係特定方法
US7202613B2 (en) * 2001-05-30 2007-04-10 Color Kinetics Incorporated Controlled lighting methods and apparatus
US7362383B2 (en) * 2001-08-31 2008-04-22 Thomson Licensing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utilizing a single video input of an electronic audio/visual signal receiver as an input for multiple video signal formats
FR2830156B1 (fr) * 2001-09-25 2004-11-26 Henri Lee Systeme de distribution tv et unite de traitement utilisee dans ce systeme de distribution
US7333478B2 (en) * 2002-05-30 2008-02-19 Garth Wiebe Methods and apparatus for transporting digital audio-related signals
JP2004056719A (ja) * 2002-07-24 2004-02-19 Plus Vision Corp 画像処理装置の画像信号入出力端子
KR100512947B1 (ko) * 2003-01-16 2005-09-07 삼성전자주식회사 출력신호제어가 가능한 콤비네이션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EP1453325A1 (en) * 2003-02-28 2004-09-01 Deutsche Thomson-Brandt Gmbh Video apparatus with video signal detection and respective method for recognizing a video signal
JP2005159779A (ja) * 2003-11-27 2005-06-16 Hitachi Ltd 受信装置、表示装置および記録装置
US20050177653A1 (en) * 2004-02-06 2005-08-11 Via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installing a AV system easily and flexibly
US20050231642A1 (en) * 2004-03-29 2005-10-20 Numark Industries, Llc Disc jockey audio/video mixer
KR101101674B1 (ko) * 2004-10-08 2011-12-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외부입력 표시장치 및 방법
US20060131432A1 (en) * 2004-12-07 2006-06-22 Paul Atkinson Method and system for identifying a target
KR100789541B1 (ko) 2005-06-28 2008-0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표시 기기에서 케이블 연결 자동 보상 장치 및 방법
TWI384870B (zh) * 2006-01-03 2013-02-01 Mstar Semiconductor Inc 自動偵測影音訊號的影音切換方法及其相關裝置
US20080062328A1 (en) * 2006-09-11 2008-03-13 Brett Bilbrey Signal format selection based on physical connections
FR2910217A1 (fr) * 2006-12-14 2008-06-20 St Microelectronics Sa Cellule de detection video
KR20080103740A (ko) * 2007-05-25 2008-11-28 삼성전자주식회사 통합 단자를 갖는 영상기기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71829A1 (en) 2009-06-17
US20090157917A1 (en) 2009-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1140B1 (ko) 입력 신호의 검출 방법 및 이를 구현한 방송 수신기
US8208073B2 (en) Display device, display method, supply device, supply method, storage medium, and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the display of information provided from a supply device
KR100510142B1 (ko) 디스플레이 기기에서 다중 비디오 입력 신호를 처리하는장치 및 방법
US7970222B2 (en) Determining a delay
US8964125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image display apparatus
JP5656337B2 (ja) 表示装置
US20080129883A1 (en) Video receiving apparatus and video receiving method
KR20040025370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에 입력되는 신호의체크방법
KR20090063702A (ko) 신호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8934057B2 (en) Display apparatus
KR20010039340A (ko) 외부입력 연결인식장치 및 입력선택방법
JP2005043896A (ja) 補助画面の主画面転換装置および方法
KR101507512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100271386A1 (en) Method for setting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JP2004021054A (ja) 映像表示装置
KR100408069B1 (ko) 디지털 티브이의 입력신호 선택 방법 및 장치
KR20020082563A (ko) 공용의 영상신호입력단을 구비한 영상재생장치 및 이를통한 영상재생방법
KR100549074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0144957B1 (ko) 텔레비젼의 잭 스위칭 방법 및 그 장치
JP2019020613A (ja) 表示装置、表示制御装置、及び表示方法
JP2008219544A (ja) 表示装置
KR20080093235A (ko) Av 입력신호 판단기능을 구비한 영상재생장치 및 그 방법
KR20050107937A (ko) 디지털 티브이의 입력신호 선택 장치
JP2012142716A (ja) 映像音声出力装置
KR20080012646A (ko)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