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1179A - 데이터 입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터 입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1179A
KR20090061179A KR1020070128078A KR20070128078A KR20090061179A KR 20090061179 A KR20090061179 A KR 20090061179A KR 1020070128078 A KR1020070128078 A KR 1020070128078A KR 20070128078 A KR20070128078 A KR 20070128078A KR 20090061179 A KR20090061179 A KR 200900611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pecific object
motion
measurement
inpu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8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용기
조일연
정현태
이동우
선우존
한동원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701280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61179A/ko
Priority to PCT/KR2008/003397 priority patent/WO2009075433A1/en
Publication of KR20090061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11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propagating acoustic wa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 G06F3/042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using a single imaging device like a video camera for tracking the absolute position of a single or a plurality of objects with respect to an imaged reference surface, e.g. video camera imaging a display or a projection screen, a table or a wall surface, on which a computer generated image is displayed or projec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 입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원핸드 키보드, 미니쿼티 키보드, 롤업 키보드, 버츄얼 레이저 키보드, 트위들러, 장갑형 입력 장치, 3차원 공간펜 등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종래 방법과는 달리, 계측 범위 내의 특정 객체에 대한 움직임을 계측하여 그 계측 영상을 전달하는 움직임 계측 수단과, 계측 영상을 이용하여 특정 객체의 수치와 움직임에 대한 계측 변화율을 산출하고, 2차원 데이터로 변환하며, 그에 대응하는 패턴을 인식하여 해당 패턴 데이터를 생성하는 신호 처리 수단을 포함하는 데이터 입력 장치를 구현함으로써, 시계 형태, 팔찌 형태, 밴드 형태, 반지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갖는 데이터 입력 장치를 구현하여 웨어러블 컴퓨팅 환경에서 효과적으로 데이터를 입력 처리할 수 있는 것이다.
데이터 입력 장치, 움직임 계측, 계측 영상

Description

데이터 입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처리 방법{DATA INPUT APPARATUS AND DATA PROCESSING METHOD USING BY IT}
본 발명은 데이터 입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객체의 움직임(motion)을 계측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데 적합한 데이터 입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정보통신부 및 정보통신연구진흥원의 IT신성장동력핵심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2005-S-065-03, 과제명: 웨어러블 퍼스널 스테이션 개발].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컴퓨터 등과 같은 전자기기에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장치는 키보드(keyboard), 마우스(mouse), 터치 패드(touch pad), 멀티터치 장치(multi-touch apparatus)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발전되어져 왔다. 이러한 데이터 입력 장치는 고정되거나 제한된 공간에서 명령 혹은 데이터를 입력해야만 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이동하는 웨어러블(wearable) 컴퓨팅 환경과 같은 분야에는 적합하지 않다.
여기에서, 데이터 입력 장치 중 키보드는, 순수 기계식 키보드(pure mechanical keyboard), 폼 일레멘트 타입 키보드(form element type keyboard), 러버 돔 타입 키보드(rubber dome type keyboard), 캐패시터 스위치 타입 키보드(capacitive switch type keyboard), 멤브레인 키보드(membrane keyboard), 혼합형 키보드(composite type keyboard)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키보드에서 검출된 키의 위치가 스캔 코드로 변환되어 전송되는 방식으로 데이터가 처리되며, 마우스에는 볼마우스, 휠마우스, 광마우스 등이 사용되고 있고, 입력 감지가 구비된 작은 평판으로 마우스를 대신하는 터치 패드(또는 터치 스크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웨어러블 컴퓨팅 환경에 적용할 수 있는 원핸드 키보드(one-hand keyboard), 미니쿼티 키보드(mini-Qwerty keyboard), 롤업 키보드(roll-up keyboard), 버츄얼 레이저 키보드(virtual laser keyboard) 등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원핸드 키보드와 마우스를 결합한 트위들러(Twiddler), 장갑형 입력 장치, 3차원 공간펜 등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종래에 개발되어 있는 데이터 입력 장치 중 원핸드 키보드, 미니쿼티 키보드, 트위들러 등은 그 장치에 입력키를 배치하여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도록 했지만, 항상 손에 쥐고 있거나 사용 방법을 새로 배워야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장갑형 입력 장치는 장갑 형태에 각종 센서들을 부착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데이터를 입력하고 싶을 경우에 착용하고 있어야 하며, 항시 착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또한, 3차원 공간펜 등과 같은 동작 인식펜은 그 장치 속에 내장된 센서로 허공에서 취하는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하지만 사용자가 항상 주머니 혹은 가방에 따로 가지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착용이 용이한 데이터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객체의 움직임을 촬영한 영상 패턴을 인식함으로써, 해당 패턴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입력할 수 있는 데이터 입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처리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객체의 움직임을 촬영한 영상을 이용하여 객체 변화율 및 그 움직임 변화율을 산출하여 영상 패턴을 인식할 수 있는 데이터 입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처리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일 관점에서 본 발명은, 계측 범위 내의 특정 객체에 대한 움직임을 계측하여 그 계측 영상을 전달하는 움직임 계측 수단과, 상기 계측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특정 객체의 수치와 움직임에 대한 계측 변화율을 산출하고, 2차원 데이터로 변환하며, 그에 대응하는 패턴을 인식하여 해당 패턴 데이터를 생성하는 신호 처리 수단을 포함하는 데이터 입력 장치를 제공한다.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계측 범위 내에 특정 객체의 움직임에 대한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특정 객체의 움직임을 계측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계측된 움직임에 대한 계측 영상을 신호 처리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신호 처리된 계측 영상 을 이용하여 상기 특정 객체의 수치와 움직임에 대한 계측 변화율을 산출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산출된 계측 변화율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2차원 데이터로 변환하는 제 4 단계와, 상기 변환된 2차원 데이터를 기 저장된 패턴 정보와 비교하여 패턴을 인식하는 제 5 단계와, 상기 인식된 패턴에 대응하는 패턴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6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입력 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손목 착용형 데이터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움직임 발생한 객체를 계측하여 그 계측 영상을 입력시키고, 이러한 계측 영상에 대해 객체의 변화율 및 움직임 변화율을 산출한 후에, 2차원 데이터로 변환하여 기 저장된 패턴 정보와 비교한 후 그 패턴을 인식한 후 그에 대응하는 패턴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일반적으로 착용하는 시계 혹은 손목밴드와 크게 다르지 않아서 사용자가 장시간 착용해도 편안한 착용감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손등 혹은 손바닥의 계측 범위 내에 글을 쓰는 동작을 포함한 다양한 동작을 인식함으로 해서 선행학습 없이 사용 가능하여 사용자 친화적인 입력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요지는, 데이터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동작키 신호가 입력되면 움직임 이벤트 발생에 따라 이미지 센서를 통해 객체의 움직임을 계측하고, 그 계측 영상을 이용하여 객체 변화율 및 그 움직임 변화율을 산출한 후, 산출된 데이터를 2차원 데이터로 변환하며, 변환된 데이터를 기 저장된 패턴 정보와 비교하여 그에 대응하는 패턴을 인식하여 해당 패턴 데이터를 생성 전송한다는 것이며, 이러 한 기술적 수단을 통해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객체의 움직임을 촬영한 영상 패턴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데 적합한 데이터 입력 장치의 블록구성도로서, 움직임 계측 수단(100), 신호 처리 수단(200) 및 통신 수단(300)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입력 장치는, 손목 착용형 데이터 입력 장치로서, 손등이나 손바닥 상에 위치하는 객체(예를 들면, 손가락 등)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것으로 하여 이하에서는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움직임 계측 수단(100)은 초음파, 적외선, 레이저 등과 같은 방사 장치를 구비하여 반사되는 신호를 계측하거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객체에 대한 영상을 이미지 센서를 통해 계측하는 것으로서, 이미지 센서를 통해 객체의 움직임을 계측하는 경우 동작키 신호가 입력되면, 그 계측 범위 내에 움직임 이벤트가 발생하는지를 체크한 후에, 움직임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객체의 움직임을 이미지 센서를 통해 감지하여 그 객체의 움직임에 대한 계측 영상을 생성하고, 그 영상에 대한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신호 처리 수단으로 전달한다.
여기에서, 계측 영상에 대한 신호 처리는, 카메라가 갖는 노출, 감마, 이득조정, 화이트 밸런스, 컬러 매트릭스 등을 수행한 후에, ADC(Analog-to-Digital Converter)를 통해 촬영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라 계측하고자 하는 객체가 움직임 계측 수단과 종적인 방향으로 움직인 경우를 예시한 도면으로, 손목 부착형 데이터 입력 장치의 움직임 계측 수단(100)을 이용하여 손등에 위치하는 객체인 손가락을 계측한 계측 영상을 나타내는데, 움직임 계측 수단(100)과 객체인 손가락이 종적인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도 3a 및 도 3b의 계측 영상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가락의 굵기 수치가 변화한 계측 영상을 획득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라 계측하고자 하는 객체가 움직임 계측 수단과 횡적인 방향으로 움직인 경우를 예시한 도면으로, 손목 부착형 데이터 입력 장치의 움직임 계측 수단(100)을 이용하여 손등에 위치하는 객체인 손가락을 계측한 계측 영상을 나타내는데, 움직임 계측 수단(100)과 객체인 손가락이 횡적인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도 4a 및 도 4b의 계측 영상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가락의 위치가 변화한 계측 영상을 획득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신호 처리 수단(200)은 소정의 영상 분석 프로그램, 움직임 산출 프로그램, 패턴 인식 프로그램 등을 이용하여 객체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패턴을 인식하는 것으로서, 움직임 계측 수단(100)으로부터 전달되는 객체 움직임에 대한 계측 영상을 소정의 영상 분석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는데, 계측 영상에서 움직임 산출 프로그램을 통해 객체의 변화율(즉, 객체의 수치 변화율)과 움직임 변화율(즉, 객체의 위치 변화율)을 포함하는 계측 변화율을 산출한 후에, 이러한 각각의 변화율에 따라 그 계측 영상을 2차원 궤적의 데이터로 변환하며, 이러한 변환 데이터를 기 저장된 패턴 정보와 비교하여 특정 패턴으로 인식하고, 그에 대응하는 패턴 데이터(예를 들면, 동작 제어신호 등)를 생성하여 제공한다.
일 예로서, 도 3a 및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움직임 계측 수단(100)과 객체인 손가락이 종적인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손가락의 굵기 수치가 변화한 계측 영상을 통해 객체의 변화율(즉, 손가락 수치 변화율)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도 4a 및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움직임 계측 수단(100)과 객체인 손가락이 횡적인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손가락의 위치가 변화한 계측 영상을 통해 움직임 변화율(즉, 손가락 위치 변화율)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에서,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계측 영상을 통해 객체의 움직임 정보를 산출하여 영상 패턴을 인식하는데 적합한 신호 처리 수단의 상세 블록구성도로서, 신호 처리 수단(200)은 움직임 산출부(202), 변환부(204) 및 패턴 인식부(206)를 포함한다.
이러한 도면을 참조하여 신호 처리 수단(2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움직임 산출부(202)는 움직임 계측 수단(100)으로부터 전달되는 객체 움직임에 대한 계측 영상을 소정의 영상 분석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고, 계측 영상에서 움직임 산출 프로그램을 통해 객체의 변화율(즉, 객체의 수치 변화율)과 움직임 변화율(즉, 객체의 위치 변화율)을 포함하는 계측 변화율을 산출하는데, 예를 들면, 도 3a 및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적인 움직임이 있는 경우 객체인 손가락의 굵기의 변화율을 산출하고, 도 4a 및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객체인 손가락의 위치 변화율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변환부(204)는 움직임 산출부(202)로부터 산출된 객체의 변화율과 움직임 변화율을 전달받아 이를 2차원 궤적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전달한다.
다음에, 패턴 인식부(206)는 변환부(204)로부터 전달되는 2차원 궤적의 데이터를 기 저장된 패턴 정보와 비교한 후, 그 데이터에 대응하는 패턴 데이터(예를 들면, 동작 제어신호 등)를 생성한다.
한편, 통신 수단(300)은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Zigbee, 무선랜(Wireless LAN)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신호 처리 수단(200)으로부터 전달되는 패턴 데이터(예를 들면, 동작 제어신호 등)를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외부 장치로 전송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데이터 입력 장치에 대한 일 예로서,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손목 착용형 데이터 입력 장치를 예시한 도면으로, 움직임 계측 수단(100)이 손등을 향하도록 설치되고, 손등에 위치하는 손가락(객체)의 움직임을 계측하여 그 계측 영상을 통해 데이터를 입력하는 손목 착용형 데이터 입력 장치를 구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입력 장치에 대한 다른 예로서, 도 5b는 본 발명에 따라 프로젝션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손목 착용형 데이터 입력 장치를 예시한 도면으로, 움직임 계측 수단(100)과 프로젝션 디스플레이(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수단)가 손등을 향하도록 설치되고, 손등에 위치하는 계측 범위의 프로젝션된 영상 위에서 손가락(객체)의 움직임을 계측하여 그 계측 영상을 통해 데이터를 입력하는 손목 착용형 데이터 입력 장치를 구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5a 및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이터 입력 장치가 시계 형태로 구현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시계 형태 대신에 팔찌 형태, 밴드 형태, 반지 형태 등의 데이터 입력 장치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손목 착용형 데이터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움직임 발생한 객체를 계측하여 그 계측 영상을 입력시키고, 이러한 계측 영상에 대해 객체의 변화율 및 움직임 변화율을 산출한 후에, 2차원 데이터로 변환하여 기 저장된 패턴 정보와 비교한 후 그 패턴을 인식한 후 그에 대응하는 패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데이터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동작키 신호가 입력되면 움직임 이벤트 발생에 따라 이미지 센서를 통해 객체의 움직임을 계측하고, 그 계측 영상을 이용하여 객체 변화율 및 그 움직임 변화율을 산출한 후, 산출된 데이터를 2차원 데이터로 변환하며, 변환된 데이터를 기 저장된 패턴 정보와 비교하여 그에 대응하는 패턴을 인식하여 해당 패턴 데이터를 생성 전송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객체의 움직임을 촬영한 영상 패턴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데이터 입력 장치의 대기 모드에서(단계602), 데이터 입력 장치에서는 사용자가 도시 생략된 입력 수단, 예를 들어 버튼 등을 이용하여 데이터 입력 장치의 동작을 온(ON)시키는 키를 입력할 경우 이에 따라 발생하는 동작키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체크한다(단계604).
상기 단계(604)에서의 체크 결과, 동작키 신호가 입력될 경우 데이터 입력 장치에서는 각 구성부를 활성화시키고, 움직임 계측 수단(100)에서는 계측 범위 내의 특정 객체(예를 들면, 손가락 등)의 움직임에 대한 이벤트가 발생하는지를 체크한다(단계606).
상기 단계(606)에서의 체크 결과, 움직임에 대한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 움직임 계측 수단(100)에서는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객체의 움직임을 이미지 센서를 통해 계측하여 그 객체의 움직임에 대한 계측 영상을 생성하고, 그 영상에 대한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신호 처리 수단으로 전달한다(단계608, 610). 여기에서, 움직임 계측 수단(100)에서는 이미지 센서 대신에 초음파, 적외선, 레이저 등과 같은 방사 장치를 이용하여 객체(예를 들면, 손가락 등)의 움직임을 계측할 수 있으며, 계측 영상에 대한 신호 처리는, 카메라가 갖는 노출, 감마, 이득조정, 화이트 밸런스, 컬러 매트릭스 등을 수행한 후에, ADC를 통해 촬영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신호 처리 수단(200)의 움직임 산출부(202)에서는 움직임 계측 수단(100)으로부터 전달되는 객체의 움직임에 대한 계측 영상을 소정의 영상 분석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며, 이를 통해 계측 영상에 포함되는 객체의 수치 변화율을 산출한다(단계612). 예를 들면, 손등에 위치하는 객체인 손가락이 움직임 계측 수단(100)과 종적으로 이동할 경우 도 3a 및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은 계측 영상이 획득되며, 이를 통해 손가락 수치(즉, 손가락 굵기)의 변화가 발생하고, 이러한 수치 변화율을 산출하게 된다.
다음에, 신호 처리 수단(200)의 움직인 산출부(202)에서는 계측 영상에 포함 되는 객체의 움직임 변화율을 산출한다(단계614). 예를 들면, 손등에 위치하는 객체인 손가락이 움직임 계측 수단(100)과 횡적으로 이동할 경우 도 4a 및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은 계측 영상이 획득되며, 이를 통해 손가락의 위치 변화가 발생하고, 이러한 위치 변화율을 산출하게 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에서는 단계612에서의 객체 변화율 산출 과정과, 단계614의 움직임 변화율 산출 과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손등에 위치하는 객체인 손가락이 움직임 계측 수단(100)과 종적으로만 이동할 경우 단계612의 객체 변화율 산출 과정만을 수행할 수 있고, 손등에 위치하는 객체인 손가락이 움직임 계측 수단(100)과 횡적으로만 이동할 경우 단계614의 움직임 변화율 산출 과정만을 수행할 수도 있다.
그리고, 신호 처리 수단(200)의 변환부(204)에서는 움직임 산출부(202)를 통해 객체 변화율과 움직임 변화율이 산출된 데이터를 2차원 궤적으로 변환한 후에 그 변환 데이터를 패턴 인식부(206)로 전달한다(단계616).
다음에, 신호 처리 수단(200)의 패턴 인식부(206)는 소정의 패턴 인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변환부(204)로부터 전달되는 변환 데이터를 기 저장된 패턴 정보와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에 따라 데이터의 패턴을 인식한다(단계618). 여기에서, 기 저장된 패턴 정보는 예를 들면, 데이터 패턴와 그에 대응하는 동작 제어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패턴 인식부(206)에서는 기 저장된 패턴 정보를 참조하여 인식된 패턴에 대응하는 패턴 데이터(예를 들면, 동작 제어신호 등)를 생성하여 통신 수단(300)으로 제공하며, 통신 수단(300)에서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외부 장치로 해당 패턴 데이터를 전송한다(단계620).
따라서, 손목 착용형 데이터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움직임 발생한 객체를 계측하여 그 계측 영상을 입력시키고, 이러한 계측 영상에 대해 객체의 변화율 및 움직임 변화율을 산출한 후에, 2차원 데이터로 변환하여 기 저장된 패턴 정보와 비교한 후 그 패턴을 인식한 후 그에 대응하는 패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객체의 움직임을 촬영한 영상 패턴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데 적합한 데이터 입력 장치의 블록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계측 영상을 통해 객체의 움직임 정보를 산출하여 영상 패턴을 인식하는데 적합한 신호 처리 수단의 상세 블록구성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라 계측하고자 하는 객체가 움직임 계측 수단과 종적인 방향으로 움직인 경우를 예시한 도면,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라 계측하고자 하는 객체가 움직임 계측 수단과 횡적인 방향으로 움직인 경우를 예시한 도면,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손목 착용형 데이터 입력 장치를 예시한 도면,
도 5b는 본 발명에 따라 프로젝션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손목 착용형 데이터 입력 장치를 예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객체의 움직임을 촬영한 영상 패턴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움직임 계측 수단 200 : 신호 처리 수단
202 : 움직임 산출부 204 : 변환부
206 : 패턴 인식부 300 : 통신 수단

Claims (15)

  1. 계측 범위 내의 특정 객체에 대한 움직임을 계측하여 그 계측 영상을 전달하는 움직임 계측 수단과,
    상기 계측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특정 객체의 수치와 움직임에 대한 계측 변화율을 산출하고, 2차원 데이터로 변환하며, 그에 대응하는 패턴을 인식하여 해당 패턴 데이터를 생성하는 신호 처리 수단
    을 포함하는 데이터 입력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입력 장치는,
    상기 생성된 패턴 데이터를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통신 수단
    을 더 포함하는 데이터 입력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입력 장치는,
    상기 계측 범위에 프로젝션 영상을 표시하는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수단
    을 더 포함하는 데이터 입력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입력 장치는, 시계 형태, 팔찌 형태, 밴드 형태, 반지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 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계측 수단은, 상기 움직임을 계측하기 위해 초음파, 적외선 또는 레이저를 포함하는 방사 장치를 구비하거나 이미지 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수단은, 상기 계측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특정 객체가 상기 움직임 계측 수단과 종적으로 이동한 경우와 횡적으로 이동한 경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상기 계측 변화율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수단은, 상기 특정 객체가 상기 움직임 계측 수단과 종적으로 이동한 경우 상기 특정 객체의 수치 변화율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수단은, 상기 특정 객체가 상기 움직임 계측 수단과 횡적으로 이동한 경우 상기 특정 객체의 위치 변화율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 장치.
  9. 계측 범위 내에 특정 객체의 움직임에 대한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특정 객체의 움직임을 계측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계측된 움직임에 대한 계측 영상을 신호 처리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신호 처리된 계측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특정 객체의 수치와 움직임에 대한 계측 변화율을 산출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산출된 계측 변화율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2차원 데이터로 변환하는 제 4 단계와,
    상기 변환된 2차원 데이터를 기 저장된 패턴 정보와 비교하여 패턴을 인식하는 제 5 단계와,
    상기 인식된 패턴에 대응하는 패턴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6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 입력 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처리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 방법은,
    상기 6 단계 이후에 상기 생성된 패턴 데이터를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입력 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처리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 방법은, 시계 형태, 팔찌 형태, 밴드 형태, 반지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갖는 상기 데이터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 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처리 방법.
  12. 제 8 항,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 방법은,
    상기 제 1 단계에서, 초음파, 적외선 또는 레이저를 포함하는 방사 장치를 구비하거나 이미지 센서를 구비하여 상기 움직임을 계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 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처리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 방법은,
    상기 제 3 단계에서, 상기 계측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특정 객체가 상기 움직임 계측 수단과 종적으로 이동한 경우와 횡적으로 이동한 경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상기 계측 변화율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 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처리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 방법은,
    상기 제 3 단계에서, 상기 특정 객체가 상기 움직임 계측 수단과 종적으로 이동한 경우 상기 특정 객체의 수치 변화율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 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처리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 방법은,
    상기 제 3 단계에서, 상기 특정 객체가 상기 움직임 계측 수단과 횡적으로 이동한 경우 상기 특정 객체의 위치 변화율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 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처리 방법.
KR1020070128078A 2007-12-11 2007-12-11 데이터 입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처리 방법 KR2009006117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8078A KR20090061179A (ko) 2007-12-11 2007-12-11 데이터 입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처리 방법
PCT/KR2008/003397 WO2009075433A1 (en) 2007-12-11 2008-06-17 Data input apparatus and data processing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8078A KR20090061179A (ko) 2007-12-11 2007-12-11 데이터 입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처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1179A true KR20090061179A (ko) 2009-06-16

Family

ID=40755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8078A KR20090061179A (ko) 2007-12-11 2007-12-11 데이터 입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90061179A (ko)
WO (1) WO2009075433A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204092A1 (ko) * 2013-06-17 2014-12-24 삼성전자 주식회사 웨어러블 기기 및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통신 방법
KR101534282B1 (ko) * 2014-05-07 2015-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포터블 디바이스의 사용자 입력 방법 및 상기 사용자 입력 방법이 수행되는 포터블 디바이스
KR20160008780A (ko) * 2014-07-15 2016-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의 정보표시장치
WO2016076461A1 (ko) * 2014-11-10 2016-05-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웨어러블 디바이스
KR20170003713A (ko) * 2012-11-01 2017-01-09 아이캠, 엘엘씨 무선 손목 컴퓨팅과 3d 영상화, 매핑, 네트워킹 및 인터페이스를 위한 제어 장치 및 방법
US9727131B2 (en) 2014-10-23 2017-08-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input method for use in portable device using virtual input area
KR20170091974A (ko) * 2016-02-02 2017-08-10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팔찌형 보조배터리
US9811648B2 (en) 2013-09-09 2017-11-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Wearable device performing user authentication using bio-signals and authentication method of the same
KR200485654Y1 (ko) * 2016-08-02 2018-02-05 이승환 적외선을 이용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트랙 패드
US10042443B2 (en) 2014-04-28 2018-08-07 Boe Technology Group Co., Ltd. Wearable touch device and wearable touch method
US10067610B2 (en) 2014-11-26 2018-09-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gnizing touch gesture
US10156895B2 (en) 2014-12-04 2018-12-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healthcare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11314399B2 (en) 2017-10-21 2022-04-26 Eyecam, Inc. Adaptive graphic user interfacing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9390A (ko) * 2014-09-05 2016-03-1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5589607B (zh) * 2016-02-14 2018-09-0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触控系统、触控显示系统和触控交互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24181A (ja) * 1992-05-26 1993-12-07 Takenaka Komuten Co Ltd ハンドポインティング式入力装置
KR100590528B1 (ko) * 2003-06-28 2006-06-15 삼성전자주식회사 착용형 손가락 움직임 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손가락의움직임 감지방법
KR100687737B1 (ko) * 2005-03-19 2007-02-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양손 제스쳐에 기반한 가상 마우스 장치 및 방법
US7809214B2 (en) * 2005-08-22 2010-10-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and a method for identifying movement patterns

Cited B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3713A (ko) * 2012-11-01 2017-01-09 아이캠, 엘엘씨 무선 손목 컴퓨팅과 3d 영상화, 매핑, 네트워킹 및 인터페이스를 위한 제어 장치 및 방법
US11262841B2 (en) 2012-11-01 2022-03-01 Eyecam Llc Wireless wrist computing and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3D imaging, mapping, networking and interfacing
KR20140146366A (ko) * 2013-06-17 2014-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웨어러블 기기 및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통신 방법
US10652724B2 (en) 2013-06-17 2020-05-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Wearable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using the wearable device
US10285039B2 (en) 2013-06-17 2019-05-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Wearable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using the wearable device
WO2014204092A1 (ko) * 2013-06-17 2014-12-24 삼성전자 주식회사 웨어러블 기기 및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통신 방법
US9811648B2 (en) 2013-09-09 2017-11-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Wearable device performing user authentication using bio-signals and authentication method of the same
US10042443B2 (en) 2014-04-28 2018-08-07 Boe Technology Group Co., Ltd. Wearable touch device and wearable touch method
KR20150127530A (ko) * 2014-05-07 2015-11-17 삼성전자주식회사 포터블 디바이스의 사용자 입력 방법 및 상기 사용자 입력 방법이 수행되는 포터블 디바이스
KR101534282B1 (ko) * 2014-05-07 2015-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포터블 디바이스의 사용자 입력 방법 및 상기 사용자 입력 방법이 수행되는 포터블 디바이스
US9965033B2 (en) 2014-05-07 2018-05-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input method and portable device
KR20160008780A (ko) * 2014-07-15 2016-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의 정보표시장치
US9727131B2 (en) 2014-10-23 2017-08-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input method for use in portable device using virtual input area
WO2016076461A1 (ko) * 2014-11-10 2016-05-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웨어러블 디바이스
US10372160B2 (en) 2014-11-10 2019-08-06 Lg Electronics Inc. Ring shaped wearable device having projector
US10067610B2 (en) 2014-11-26 2018-09-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gnizing touch gesture
US10156895B2 (en) 2014-12-04 2018-12-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healthcare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20170091974A (ko) * 2016-02-02 2017-08-10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팔찌형 보조배터리
KR200485654Y1 (ko) * 2016-08-02 2018-02-05 이승환 적외선을 이용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트랙 패드
US11314399B2 (en) 2017-10-21 2022-04-26 Eyecam, Inc. Adaptive graphic user interfac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075433A1 (en) 2009-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61179A (ko) 데이터 입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처리 방법
CN105824431B (zh) 信息输入装置与方法
KR101284797B1 (ko) 착용형 컴퓨팅 환경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그 방법
KR100630806B1 (ko) 동작 인식 장치를 이용한 명령 입력 방법
US10209881B2 (en) Extending the free fingers typing technology and introducing the finger taps language technology
CN202584010U (zh) 一种腕上手势操控系统
US20100103104A1 (en) Apparatus for user interface based on wearable computing environment and method thereof
US10120444B2 (en) Wearable device
CN102915111A (zh) 一种腕上手势操控系统和方法
KR20140092267A (ko) 햅틱 피드백을 갖는 증강 현실 유저 인터페이스
KR100777107B1 (ko)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문자인식 장치 및 방법
US20210089162A1 (en) Calibration of inertial measurement units in alignment with a skeleton model to control a computer system based on determination of orientation of an inertial measurement unit from an image of a portion of a user
US20210089116A1 (en) Orientation Determination based on Both Images and Inertial Measurement Units
US10078374B2 (en) Method and system enabling control of different digital devices using gesture or motion control
KR101103058B1 (ko) 컴퓨터 시스템 및 이의 구동방법
CN111837094A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和程序
Zhou et al. Learning on the rings: Self-supervised 3d finger motion tracking using wearable sensors
KR101873842B1 (ko) 깊이 센서를 이용하는 가상 입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
KR20050047329A (ko) 손가락 움직임을 이용한 정보 입력장치 및 방법
KR101497829B1 (ko) 모션 입력을 이용하는 손목시계형 장치
KR101341481B1 (ko) 동작인식 기반의 로봇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596600B1 (ko) 사용자 패턴 기반의 동작 인식 보정 장치 및 그 방법
JP2016115310A (ja) 電子機器
KR101748570B1 (ko) 웨어러블 데이터 입력장치
CN110377155B (zh) 一种基于用户手势的控制装置及控制指令生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0824

Effective date: 20110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