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0227A - Recipient's situation mode service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 - Google Patents

Recipient's situation mode service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0227A
KR20090060227A KR1020090036006A KR20090036006A KR20090060227A KR 20090060227 A KR20090060227 A KR 20090060227A KR 1020090036006 A KR1020090036006 A KR 1020090036006A KR 20090036006 A KR20090036006 A KR 20090036006A KR 20090060227 A KR20090060227 A KR 200900602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ver
mode
receiver contex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60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선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360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60227A/en
Publication of KR200900602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022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20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Abstract

A recipient situation mode service method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 are provided to enable a recipient to supply information about whether to receive to an originator and reduce unnecessary call access, thereby reducing power consumption among terminals of the originator and the recipient and a base station. A memory(118) stores a table. The table stores data indicating recipient context modes and codes corresponding to the recipient context modes. If a user selects a specific recipient context mode, a controller(112) stores a code corresponding the selected recipient context mode in the memory by referring to the table. If a location registration request message is received, the controller transmits the stored code and terminal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all together.

Description

수신자 상황 모드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통신 단말기{RECIPIENT'S SITUATION MODE SERVICE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Recipient mode mode service method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the same {RECIPIENT'S SITUATION MODE SERVICE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히 말하자면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수신자 상황 모드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ceiver context mode service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기존의 이동 통신 단말기는 호를 수신하면 벨소리 또는 진동을 발생하거나 발광 장치를 작동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착신을 표시한다. 그러므로 수신자가 착신에 응답할 수 없는 상태 예컨대, 회의 또는 공연 관람중이면 벨소리 모드를 진동 모드로 변경하거나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원을 오프하는 등의 방법으로 벨소리를 차단한다. 그러면, 발신자는 수신자가 처한 상황을 알 수 없기 때문에 대체적으로 여러 차례에 걸쳐 다시 발신을 하게 되지만, 수신자는 계속해서 착신에 대해 응답하지 못하게 된다. The exis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isplays an incoming call to the user by generating a ring tone or vibration or operating a light emitting device when receiving a call. Therefore, when the receiver cannot answer the incoming call, for example, during a conference or performance viewing, the ring tone is blocked by changing the ring mode to the vibrate mode or turning of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caller then re-sends the call several times because the caller does not know what the recipient is in, but the caller cannot continue to answer the call.

이와 같이 발신자가 불필요한 접속을 계속적으로 하게 되면 발신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는 불필요한 전력을 소모하고 또한, 이동 통신 단말기와 기지국간의 불필요한 무선 환경을 점유하게 된다. As such, when the caller continues to make unnecessary connections, the call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sumes unnecessary power and occupies an unnecessary wireless environment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base station.

그러므로 착신에 응답하지 못하는 수신자가 자신의 상황 모드를 이용하여 발신자에게 현재 수신자의 상황을 전달한다면 발신자는 계속적인 호 발신을 하지 않을 것이다. 또는 발신자는 선택적으로 시간의 간격을 두고 다시 연락하거나 수신자로부터 연락이 오기 전까지는 호 발신을 하지 않을 수 있다.Therefore, if the receiver who does not answer the call conveys the current receiver's situation to the caller using his situation mode, the caller will not continue the call. Alternatively, the caller may optionally call back at intervals or may not call until the caller is contacted.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신자가 현재 자신의 상황을 이동 통신 단말기 내의 상황 모드를 이용하여 설정함으로써 발신자에게 수신 가능 여부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 불필요한 통화 접속을 줄임으로써 발신자와 수신자의 단말기 및 기지국의 시스템적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ller with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the receiver can set the current situation by using a situation mod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o reduce unnecessary call connection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reducing system power consumption.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신자 상황 모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복수 개의 수신자 상황 모드를 나타내기 위한 데이터 및 상기 복수 개의 수신자 상황 모드에 대응하는 코드들을 갖는 테이블을 저장하고 상기 복수 개의 수신자 상황 모드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수신자 상황 모드를 나타내기 위한 코드를 임시적으로 저장하는 메모리와, 사용자에 의해 특정 수신자 상황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테이블을 참조하여 선택된 수신자 상황 모드 에 대응하는 코드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위치 등록 요구의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수신자 상황 모드를 나타내는 코드를 자신의 단말기 위치 등록 정보와 함께 전송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ing a receiver context mode service, and storing a table having data for indicating a plurality of receiver context modes and code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receiver context modes. A memory for temporarily storing a code for indicating a specific receiver context mode selected by the user among the plurality of receiver context modes; and when a specific receiver context mode is selected by the user, the memory corresponds to the selected receiver context mode with reference to the table. And storing a code in the memory and transmitting a code indicating a specific receiver status mode selected by the user together with its terminal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upon receiving a message of a location registration request.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착신호에 응답할 수 없는 경우 이동 통신 시스템에 수신자 상황 모드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발신자는 수신자의 상황에 따라 음성 통화 또는 실시간 응답을 요구하는 통신 서비스 이외의 다른 원하는 서비스 형태를 선택하게 되므로 발신자의 시간 낭비를 막고 단말기의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또한 기지국과 코어 네트워크에서는 수신자의 호 접속 거부를 완전한 호 절차 과정이 지난 이후에 알게 되는 것이 아니라 초기 단계에서 알게 되므로 이후의 호 처리 단계에서 사용되는 무선 자원을 절약하게 되고 그로 인한 기지국 안의 셀(Cell)에서 무선 자원의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When the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not answer the incoming call, the receiver communication mode can be set i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o that the caller can select a desired service type other than a communication service requiring a voice call or a real-time response according to the receiver's situation. This makes it possible to prevent the caller from wasting time and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terminal. In addition, in the base station and the core network, the call rejection of the called party is not known after the complete call procedure, but at an early stage, thus saving radio resources used in the subsequent call processing step, and thus the cell in the base station. ) Can increase the efficiency of radio resources and reduce the loa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현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발신 단말기와 착신 단말기간의 접속 절차는 발신 단말기(Mobile Oriented)가 호 접속을 원할 때에 발신 단말기측의 기지국과의 동기 및 채널 할당의 과정을 수행하고 요구하는 통화 형태가 음성 통화임을 알리면 착신 단말기(Mobile Terminated)측의 기지국이 착신 단말기측으로 원하는 서비스 종류가 음성 통화임을 알리는 메시지와 서비스 연결 메시지를 전달하게 된다. 이에 따라 착 신호는 서비스 연결 완료 메시지를 기지국에 알리는 방식으로 통화 연결이 되었음을 알려 준다. In the current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e connection procedure between the calling terminal and the called terminal performs the process of synchronization and channel allocation with the base station of the calling terminal when the calling terminal (Mobile Oriented) wants to access the call and requests that the call type is a voice call. When notified, the base station of the called terminal (Mobile Terminated) transmits a message and a service connection message indicating that the desired service type is a voice call to the called terminal. Accordingly, the incoming call informs the base station that the call is connected by notifying the base station of the service connection completion message.

본 발명은 수신 대기 상태에서 착신에 응답할 수 없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자신의 상황을 이동 통신 시스템에 등록하면 이동 통신 시스템이 발신자에게 수신자의 정보를 제공하여 발신자가 수신자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user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not respond to an incoming call registers his or her situation i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provides the sender's information to the caller so that the caller can grasp the receiver's situation. do.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착신호에 대해서 응답할 수 없을 경우에 홈 위치 등록기에 사전에 자신의 상황을 나타내는 수신자 상황 모드를 등록하고 이 서비스를 활성화시켰을 때 수신자 상황 모드를 설정한 수신자에게 음성 통화를 위한 착신호 등이 발신되면 이동 통신 망 내의 홈 위치 등록기에 해당 수신자의 수신자 상황 모드를 조사하여 수신자 상황 모드가 설정되었을 경우 교환기는 착신 단말기로 착신호를 연결하지 않고 해당 수신자 상황 모드를 안내하는 메시지 또는 음성 데이터를 발신 단말기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발신자는 수신자가 음성 통화 등을 위한 착신호에 응답할 수 없는 상황을 알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발신자는 수신자의 상황에 따라 음성 통화 이외의 다른 원하는 서비스 형태를 선택하게 되므로 발신자의 시간 낭비를 막고 단말기의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또한 기지국과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에서는 수신자의 호 접속 거부를 완전한 호 절차 과정이 지난 이후에 알게 되는 것이 아니라 초기 단계에서 알게 되므로 이후의 호 처리 단계에서 사용되는 무선 자원을 절약하게 되고 그로 인한 기지국 안의 셀(Cell)에서 무선 자원의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not answer the incoming call, the present invention registers the receiver situation mode indicating its situation in advance to the home location register and sets the receiver situation mode when the service is activated. When an incoming call for a voice call is sent to a receiver, if the receiver status mode is set by checking the receiver status mode of the receiver at the home location register in the mobile network, the exchange does not connect the incoming call to the called terminal. Send a message or voice data to guide the situation mode to the calling terminal. Accordingly, the caller can know the situation in which the receiver cannot respond to an incoming call for a voice call or the like. In addition, the caller selects a desired service type other than a voice call according to the receiver's situation, thereby preventing the caller from wasting time and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the terminal. In addition, the base station and core network not only know the recipient's call rejection after the complete call procedure but in the early stages, thus saving radio resources used in subsequent call processing steps. Cells in the cell can increase the efficiency of radio resources and reduce the load.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본 발명에 따르면, 음성 통화 등의 착신호에 응답할 수 없는 사용자가 사전에 자신의 상황을 나타내기 위한 수신자 상황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키를 입력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는 선택된 수신자 상황 모드 설정을 위한 코드를 해당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그러면, 기지국은 접속된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교환기로 전송한다. 교환기는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선택된 수신자 상황 모드에 대한 데이터를 홈 위치 등록기(Home Location Register: 이하 HLR 이라 칭함)에 등록시킨다. 이에 따라 HLR은 교환기에 의해 해당 가입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선택된 수신자 상황 모드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user who cannot answer an incoming call such as a voice call inputs a key for setting a receiver context mode for indicating his / her situation in advanc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onfigured to set the selected receiver context mode. Send the code to the base station. The base station then transmits the data transmitted from the connect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exchange. The exchange registers data for the recipient situation mode selec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 home location regist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HLR). Accordingly, the HLR stores data on the receiver context mode selected by the exchange from the subscrib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을 참조하여 이동통신 시스템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발신 단말기(110)가 착신 단말기(160)에 호를 연결하기 위해 발신 기지국(120)을 통해 교환기(130)에 접속하면 교환기(130)는 호를 연결하기 위해 홈위치 등록기(140)에 착신 정보를 요청한다. 그러면 홈위치 등록기(140)는 해당 착신 가입자의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고 수신자 상황 모드에 대한 정보를 교환기(130)에 전송한다. 교환기(130)는 홈위치 등록기(140)로부터의 정보로부터 수신자 상황 모드가 설정된 것으로 판단되면 호 설정을 위한 채널을 착신 기지국(150)을 통해 착신 단말기(160)로 형성하지 않고 발신 단말기로 해당 수신자 상황 모드에 따른 데이터, 예컨대 SMS 메시지 또는 음성 안내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러한 수신자 상황 모드를 알리기 위해서는 문자, 벨소리, 음악, 그림, 동영상, 사진 등이 이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 1 described in detail the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s follows. First, when the calling terminal 110 connects to the exchange 130 through the calling base station 120 to connect the call to the called terminal 160, the exchange 130 is connected to the home location register 140 to connect the call. Ask for incoming information. Then, the home location register 140 inquires the database of the called party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on the receiver status mode to the exchange 130.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receiver status mode is set from the information from the home location register 140, the exchange 130 does not form a channel for call setup as the destination terminal 160 through the destination base station 150, and the corresponding receiver is the originating terminal. Send data according to the situation mode, for example, an SMS message or a voice guidance message. Text, ringtone, music, picture, video, picture, etc. may be used to inform the receiver status mode.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수신자 상황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2 is a flowchart for setting a receiver context mode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160)는 단계 210에서 사용자로부터 복수 개의 수신자 상황 모드중 소정의 수신자 상황 모드 설정을 위한 키를 입력받으면, 이를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교환기(130)로 전송한다. 여기에서 복수 개의 수신자 상황 모드는 교육 중, 회의 중, 수업 중, 운전 중, 목욕 중, 화장실 이용 중, 식사 중, 공연 관람 중, 운동 중, 취침 중, 도서관 이용 중 등을 포함한다. 사용자는 이러한 수신자 상황 모드를 이동 통신 시스템(180)에 설정함으로써 발신자에게 자신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착신에 응답하지 못함을 알릴 수 있다. 그러면, 교환기(130)는 단계 212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160)로부터 수신한 해당 가입자에 대한 수신자 상황 모드 설정에 따른 정보를 HLR(140)로 전송한다. HLR(140)는 단계 214에서 해당 가입자에 대한 선택된 수신자 상황 모드를 설정하고 단계 216에서 그 결과를 교환기(130)를 통해 착신 단말기(160)에 전송한다. 이후 착신 단말기(160)는 단계 218에서 수신자 상황 모드가 설정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부에 표시하고 호를 해제한다. 1 and 2,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60 receives a key for setting a predetermined receiver context mode from among a plurality of receiver context modes in step 210,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60 exchanges data including a code therefor. 130). Here, the plurality of recipient situation modes include training, meeting, class, driving, bathing, using the toilet, eating, watching a performance, exercising, sleeping, using the library, and the like. By setting the receiver context mode i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180, the user can inform the caller of the situation and inform the caller that he or she cannot respond to an incoming call. Then, the exchange 130 transmits th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receiver context mode setting for the corresponding subscriber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60 to the HLR 140 in step 212. HLR 140 sets the selected recipient context mode for the subscriber at step 214 and transmits the result to destination terminal 160 via exchange 130 at step 216. After that, the called terminal 160 displays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receiver status mode is set in step 218 and releases the call.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수신자 상황 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3 is a flowchart for releasing a receiver context mode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160)는 단계 220에서 사용자로부터 설정된 수신자 상황 모드 해제를 위한 키를 입력받으면, 이를 위한 코드를 포 함하는 데이터를 교환기(130)로 전송한다. 사용자는 이동 통신 시스템(180)에 설정된 수신자 상황 모드를 해제함으로써 발신자로부터의 착신호를 수신하여 이에 응답할 수 있게 된다. 그러면, 교환기(130)는 단계 222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160)로부터 수신한 해당 가입자에 대한 수신자 상황 모드 해제에 따른 정보를 홈위치 등록기(140; 이하 HLR로 칭함)로 전송한다. HLR(140)은 단계 224에서 해당 가입자에 대한 수신자 상황 모드를 해제하고 단계 226에서 그 결과를 교환기(130)를 통해 착신 단말기(160)에 전송한다. 이후 착신 단말기(160)는 단계 228에서 수신자 상황 모드가 해제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부에 표시하고 호를 해제한다. 1 and 3,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60 receives a key for releasing a receiver context mode set by the user in step 220,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60 transmits data including a code for this to the exchange 130. The user can receive and respond to an incoming call from the caller by releasing the receiver context mode set i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180. Then, the exchange 130 transmits th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release of the receiver status mode for the corresponding subscriber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60 to the home location register 140 (hereinafter referred to as HLR) in step 222. HLR 140 releases the recipient context mode for the subscriber at step 224 and transmits the result to destination terminal 160 via exchange 130 at step 226. After that, the called terminal 160 displays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receiver status mode is released in step 228 and releases the call.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와 기지국 사이의 발신 및 착신 호처리하는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dure for processing outgoing and incoming calls betwee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base st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착신 단말기의 상황 모드 설정을 아이들(Idle) 상태에서 기지국이 단말기 위치 등록 요구의 메시지를 보낼 때 단말기 위치 등록 정보와 함께 전송하여 이 내용을 코어 네트워크(C/N)에 다시 올린 상태(C/N 메모리, 또는 HLR 등에 저장)에서 발신자 단말기가 호 접속을 요구해 올 때 초기에 수신자 상황 모드 정보를 알려 준다. 그러면 코어 네트워크는 수신자 상황 모드 정보를 내부의 메모리(HLR등)에 저장하고 있다가 발신 단말기의 호 접속 요구가 올 경우 내부의 메모리(HLR등)에 저장된 데이터 테이블과 착신 단말기가 등록한 상황모드 정보를 비교하고 그 값을 참조하여 발신 단말기로 전송하거나 아니면 상황모드 테이블에 맞는 값의 부가 서비스를 이용하여 다운로드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코너 네트워크는 발신 단말기의 호 접속 초기 단계에 이것이 음성 통화 또는 실시간 응답을 요구 하는 통신 서비스인지를 확인해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base station sends a message of the terminal location registration request in the idle state, the base station transmits the context mode setting of the called terminal together with the terminal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and uploads the contents back to the core network (C / N). In the C / N memory or the HLR), the caller terminal informs the receiver status mode information when the calling terminal requests a call connection. Then, the core network stores the receiver status mode information in the internal memory (HLR, etc.), and when the call connection request of the calling terminal comes in, it stores the data table stored in the internal memory (HLR, etc.) and the status mode information registered by the called terminal. It can be compared and sent to the calling terminal by referring to the value, or it can be downloaded using an additional service of the value matching the situation mode table. At this time, the corner network should check in the initial stage of call connection of the calling terminal whether it is a communication service requiring voice call or real time response. It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착신 단말기(160)는 단계 512에서 전원 온되면 단계 514로 진행하여 셀 서치(cell search)를 행하고 아이들 모드(Idle Mode) 상태가 된다.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아이들 상태는 기지국과 동기화한 상태에서 착신 및 발신할 수 있는 상태를 말한다. 이후, 착신 단말기(160)의 사용자가 단계 516에서 수신자 상황 모드를 설정하면 착신 단말기(160)는 단계 518에서 자신의 위치 등록을 위한 메시지 전송 시에 수신자 상황 모드 설정 여부에 관한 정보를 교환기(130)에 전송한다. 그러면 교환기(130)는 단계 520에서 HLR(140)에 위치 정보 뿐 아니라 수신자 상황 모드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다. 즉, 교환기(130)는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갱신할 때 수신자 상황 모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1 and 4, when the called terminal 160 is powered on in step 512, the called terminal 160 proceeds to step 514 to perform a cell search and enters an idle mode.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idle state refers to a state in which incoming and outgoing calls are synchronized with the base station. Thereafter, when the user of the called terminal 160 sets the receiver context mode in step 516, the called terminal 160 transmits information on whether to set the receiver context mode when transmitting a message for registering his location in step 518. To be sent). The exchange 130 then stores the position information as well as the information about the receiver context mode in the HLR 140 in step 520. That is, the exchange 130 may store the receiver context mode information when upda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이후, 발신 단말기(110)가 단계 530과 같이 MO Call 접속 요구가 있을 경우 단계 532에서 발신 기지국(120)과 RRC(Radio Resource Control) 접속하고 단계 534에서 교환기(130)로 착신 단말기(160)와의 음성 통화 또는 실시간 응답을 요구하는 통신 서비스를 위한 발신호를 전송한다(CM Service Request). 그러면 교환기(130)는 착신 단말기(160)에 대한 위치 정보 등을 HLR(140)로부터 독출하여 수신자 상황 모드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이때, 착신 단말기(160)의 수신자 상황 모드가 설정된 경우에는 교환기(130)는 착신 단말기로의 호 연결을 위한 채널을 형성하지 않고 단계 538에서 발신 단말기(110)로 수신자 상황 모드의 설정 및 종류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발신 단말기(110)는 단계 538에서 착신 단말기의 수신자 상황 모드를 수신한다. 그리고 단계 540에서 발신 단말기는 수신자 상황 모드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교환기(130)는 단계 542에서 발신 단말기(110)로 음성 메시지 및 연락 받을 전화번호를 입력하도록 요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발신 단말기(110)가 단계 544에서 교환기(130)로 해당 데이터를 입력하면 교환기(130)는 단계 546에서 발신 단말기(110)와의 RRC를 해제한다. 발신 단말기(110)는 단계 548에서 RRC 해제 메시지에 응답하여 RRC 해제 완료 메시지를 교환기(130)에 전송한다. Thereafter, when the calling terminal 110 requests the MO Call connection as shown in step 530, the calling terminal 110 accesses the RRC (Radio Resource Control) with the calling base station 120 in step 532 and exchanges with the called terminal 160 through the exchange 130 in step 534. Send a call for a communication service requiring a voice call or a real time response (CM Service Request). Then, the exchange 130 reads location information about the called terminal 160 from the HLR 140 and determines whether the receiver status mode is set. In this case, when the receiver context mode of the called terminal 160 is set, the exchange 130 does not form a channel for call connection to the called terminal, and sets the type and type of the receiver context mode to the calling terminal 110 in step 538. Send a message indicating Accordingly, the originating terminal 110 receives the receiver context mode of the called terminal in step 538. In operation 540, the calling terminal may check the type of the receiver status mode. In this case, the exchange 130 may request to input the voice message and the telephone number to be contacted to the calling terminal 110 in step 542. Accordingly, when the originating terminal 110 inputs the corresponding data to the exchange 130 in step 544, the exchange 130 releases the RRC with the originating terminal 110 in step 546. The originating terminal 110 transmits an RRC release complete message to the exchange 130 in response to the RRC release message in step 548.

도 5은 본 발명을 UMTS에 적용한 경우의 호 처리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ll processing flow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UMTS.

도 5를 참조하면,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는 무선 광대역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유럽 표준이다. 도 7에서 착신 RNC-T(Radio Network Controller Terminated)(610) 및 발신 RNC-O(Radio Network Controller Originated)(660)는 무선 제어국으로서 유무선 채널 관리 단말기 프로토콜 정합, 기지국 프로토콜 정합 및 제어로 처리 기능 등을 담당한다. Referring to FIG. 5, the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UMTS) is a European standard for wireless broadband multimedia service. In FIG. 7, an incoming RNC-T (610) and an outgoing RNC-O (660) are the radio control stations, which function as a wired / wireless channel management terminal protocol matching, base station protocol matching and control. It is in charge of the back.

먼저 착신 단말기(160)의 사용자가 수신자 상황 모드를 설정하면 RNC-T(610)를 통해 HLR(640)에 위치 갱신 메시지를 전송할 때 수신자 상황 모드 설정 여부에 관한 정보를 전송한 상태로 가정한다. 발신 단말기(110)가 RNC-O(660)에 RRC 접속하여 착신 단말기(160)로 음성 통화 또는 실시간 응답을 요구하는 통신 서비스를 위해 발신하면 RNC-O(660)는 단계 601에서 MSC-S-O/VLR(650)로 호 접속 요구(CM Service Request)를 RANAP(Radio Access Network Application Protocol)를 통해 전송한다. 그러면 MSC-S-O/VLR(650)는 단계 602에서 RNC-O(660)에게 접속 확인(CM Service Accept)에 대한 아크(Ack)를 전송한다. 그에 따라 RNC-O(660)는 단계 603 에서 착신 단말기(160)에 대한 직접 전송 요구(Dierct Transfer)를 MSC-S-O/VLR(650)에 전송하면 MSC-S-O/VLR(650)는 단계 604에서 직접 전송 요구(Dierct Transfer)에 대한 아크(Call proceding)를 RNC-O(660)로 전송한다. 이어서 MSC-S-O/VLR(650)는 단계 605에서 HLR(640)으로 MAP(Management Application Protocol)를 통해 발신 단말기(660)에 대한 라우팅 정보(Routing Information)를 전송한다. 그러면 HLR(640)은 착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검색하고 더불어 수신자 상황 모드 설정 여부를 체크한다. 만약 수신자 상황 모드가 설정되어 있으면 HLR(640)은 착신 단말기로의 호 연결을 위한 채널을 형성하지 않고 단계 606에서 RNC-O(660)에게 수신자 상황 모드의 설정 및 종류를 알리는 메시지(606)를 전송한다. 그리고 HLR(640)은 단계 607에서 MSC-S-T/VLR(620)에 로밍 넘버를 전송하고 이어서 MSC-S-T/VLR(620)는 단계 608에서 로밍 넘버에 대한 아크(Ack)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단계 609에서 HLR(640)은 MSC-S-O/VLR(650)에게 라우팅 정보를 전송하여 호 설정을 해제하게 된다. First, when the user of the called terminal 160 sets the receiver status mode, it is assumed that information on whether to set the receiver status mode is transmitted when the location update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HLR 640 through the RNC-T 610. If the calling terminal 110 makes an RRC connection to the RNC-O 660 and makes a call to the called terminal 160 for a communication service requiring a voice call or a real-time response, the RNC-O 660 performs the MSC-SO / The CM service request is transmitted to the VLR 650 through RANAP (Radio Access Network Application Protocol). The MSC-S-O / VLR 650 then sends an Ack for CM Service Accept to the RNC-O 660 in step 602. Accordingly, if the RNC-O 660 sends a direct transfer request to the MSC-SO / VLR 650 to the terminating terminal 160 in step 603, the MSC-SO / VLR 650 in step 604. Call proceding for direct transfer requests to the RNC-O 660. The MSC-S-O / VLR 650 then transmits routing information for the originating terminal 660 via the Management Application Protocol (MAP) to the HLR 640 in step 605. The HLR 640 then retriev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alled terminal and checks whether the receiver status mode is set. If the receiver context mode is set, the HLR 640 does not form a channel for call connection to the called terminal, and in step 606, the RNC-O 660 notifies the RNC-O 660 of the setting and type of the receiver context mode. send. The HLR 640 then sends a roaming number to the MSC-S-T / VLR 620 in step 607 and the MSC-S-T / VLR 620 then sends an arc for the roaming number in step 608. Accordingly, in step 609, the HLR 640 transmits routing information to the MSC-S-O / VLR 650 to release the call setup.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다. 6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서 제어부(112)는 통상적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음성 통화나 데이터 통신 등을 위한 처리 및 제어를 위한 블록이며, 본 발명에 따라 후술하는 바와 같이 수신자 상황 모드에 따른 처리를 행한다. 그러므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통상적인 제어부(112)의 처리 및 제어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In FIG. 6, the control unit 112 is a block for processing and controlling a voice call or data communication in a typic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control unit 112 performs processing according to a receiver status m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description of the processing and control of the conventional control unit 112 is omitted.

메모리(118)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작 제어 시 필요한 프로그램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 또한, 메모리(118)는 본 발명에 따라 복수 개의 수신자 상황을 나 타내기 위한 데이터 및 상기 복수 개의 수신자 상황에 대응하는 코드들을 갖는 설정값 테이블을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설정값 테이블은 교육 중, 회의 중, 수업 중, 운전 중, 목욕 중, 화장실 이용 중, 식사 중, 공연 관람 중, 운동 중, 취침 중, 도서관 이용 중 등과 같이 다양한 수신자 상황 모드에 대응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수신자 상황 모드 설정을 위한 고유의 코드를 각각 갖는다. 또한, 설정값 테이블은 이러한 수신자 상황 모드에 대응하여 사용자에게 이를 표시하기 위한 아이콘 또는 음성 메시지 등과 같은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복수 개의 수신자 상황 모드중 특정 수신자 상황 모드를 선택하면 제어부(112)는 선택된 수신자 상황 모드에 대응하는 코드를 메모리(118)에 저장하여 둔다. 이후 아이들(Idle) 상태에서 기지국이 단말기 위치 등록 요구의 메시지를 보낼 때 제어부(112)는 단말기 위치 등록 정보와 함께 이 수신자 상황 모드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The memory 118 stores program data necessary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ddition, the memory 118 stores data for indicating a plurality of recipient situations and a setting table having code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recipient situatio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the setpoint table can be used for various receiver context modes such as training, meeting, class, driving, bathing, using the toilet, eating, watching performances, exercising, sleeping, using the library, etc. Correspondingly each having a unique code for setting the receiver context mode selected by the user. In addition, the setting value table stores data such as an icon or a voice message for displaying this to the user in response to the receiver status mode. Accordingly, when the user selects a specific receiver context mode among the plurality of receiver context modes, the controller 112 stores a code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receiver context mode in the memory 118. Then, when the base station sends a message of the terminal location registration request in the idle state, the control unit 112 transmits the receiver context mode to the base station together with the terminal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이러한 설정값 테이블은 각 이동 통신 사업자로부터 다운로드받을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2)는 음성 통화 또는 실시간 응답을 요구하는 통신 서비스를 위한 발신호에 대하여 기지국으로부터 수신자 상황 모드에 관한 코드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12)는 메모리(118)에 저장된 설정값 테이블을 참조하여 수신자 상황 모드의 코드에 대응하는 수신자 상황 모드 정보를 수신자 상황 모드 입출력 장치(114)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This setting table can be downloaded from each mobile operator. In addition, the controller 112 may receive a code regarding a receiver context mode from a base station for an outgoing signal for a voice call or a communication service requiring a real time response. Then, the controller 112 provides the receiver context mod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de of the receiver context mode to the user through the receiver context mode input / output device 114 with reference to the setting value table stored in the memory 118.

수신자 상황 모드 입출력 장치(114)는 마이크, 스피커 또는 디스플레이부와 같은 표시부 및 키패드와 같은 입력부를 포함한다. 입력부는 다수의 숫자키 및 기 능키를 구비하여 사용자에 의한 키 입력에 따른 키 데이터를 제어부(114)에 제공한다. 표시부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TFT-LCD(thin film transistor liquid crystal display) 등의 장치가 될 수 있다. The receiver context mode input / output device 114 includes a display such as a microphone, a speaker or a display, and an input such as a keypad. The input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numeric keys and function keys to provide the control unit 114 with key data according to key input by a user. The display unit may be a device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hin film transistor liquid crystal display (TFT-LCD), or the like.

제어부(112)와 연결된 RF(Radio Frequency) 모듈(116)은 안테나를 통해 이동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데, 베이스밴드 처리부(도시 생략)를 통해 제어부(112)로부터 입력되는 송신할 신호를 변조하여 RF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신호를 복조하여 베이스밴드 처리부를 통해 제어부(112)에 제공한다. The radio frequency (RF) module 116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12 transmits and receives a radio signal with a base st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rough an antenna, and a signal to be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unit 112 through a baseband processor (not shown). Modulates the RF signal to transmit the RF signal through the antenna, demodulates the RF signal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and provides the demodulated RF signal to the controller 112 through the baseband processor.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수신자 상황 모드 서비스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각 구성요소만을 도시하였으며, 그 외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명백하다.FIG. 7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receiver context mode service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s only each component for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may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included. Do.

도 1 및 도 7을 참조하면, 발신 단말기(110)와 착신 단말기(160)는 코어 네트워크(180)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도 7의 코어 네트워크(180)는 도 1에서 기지국(120,150), 교환기(130) 및 홈위치 등록기(140)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당업자라면 발신 단말기(110)와 착신 단말기(160)를 연결하기 위한 모든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이 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1 and 7, the calling terminal 110 and the called terminal 160 are connected through the core network 180. Although the core network 180 of FIG. 7 is illustrated as including the base stations 120 and 150, the exchange 130, and the home location register 140 in FIG. 1, those skilled in the art connect the originating terminal 110 and the terminating terminal 160. It will be understood that all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may be configured to do so.

도 7에서 발신 단말기(1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마이크, 스피커 또는 디스플레이부와 같은 표시부와 키패드와 같은 입력부를 포함하는 수신자 상황 모드 입출력 장치(114)를 포함할 수 있다. In FIG. 7, the calling terminal 110 may include a receiver context mode input / output device 114 including a display unit such as a microphone, a speaker, or a display unit and an input unit such as a keypad.

또한, 착신 단말기(160)는 복수개의 수신자 상황 모드를 나타내기 위한 코드 를 갖는 설정값 테이블을 저장하는 메모리(162)를 포함하고 있다. In addition, the destination terminal 160 includes a memory 162 for storing a setting table having codes for indicating a plurality of recipient status modes.

한편 코어 네트워크(180)도 착신 단말기와 유사하게 복수개의 수신자 상황 모드를 나타내기 위한 코드를 갖는 설정값 테이블을 저장하는 메모리(182)를 포함한다. 코어 네트워크(180)의 메모리(182)는 각 수신자 상황 모드에 대응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110)에 제공하는 소정의 데이터 예컨대 SMS 메시지, 전화번호 또는 음성 안내 메시지 등을 저장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re network 180 also includes a memory 182 for storing a setting value table having codes for indicating a plurality of receiver context modes similarly to a called terminal. The memory 182 of the core network 180 may store predetermined data, such as an SMS message, a phone number, or a voice guidance message, provid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in correspondence with each receiver status mode.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가입자가 음성 통화 또는 실시간 응답을 요구하는 통신 서비스등을 위한 착신호에 응답할 수 없는 경우에는 착신 단말기(160)는 단계 402에서 코드 네트워크(180)에 호접속하고 단계 404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수신자 상황 모드에 대응하는 코드값을 메모리(162)의 설정값 테이블을 참조하여 독출한다. 이어서 착신 단말기(160)는 단계 406에서 코어 네트워크(180)에 전송하여 수신자 상황 모드를 설정한다. 이후 발신 단말기(110)가 단계 408에서 소정의 착신 단말기(160)에 호발신을 위해 호 접속하면 코어 네트워크(180)는 착신 단말기(160)가 수신자 상황 모드를 설정하였으면 단계 410에서 코어 네트워크(180)의 메모리(182)를 참조하고 단계 412에서 해당 수신자 상황 모드에 따른 데이터, 예컨대 SMS 메시지 또는 음성 안내 메시지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를 발신 단말기(110)에 전송한다. 그러면, 발신 단말기(110)는 수신자 상황 모드를 표시부(114)를 통해, 예컨대 SMS 메시지나 MMS 메시지이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음성 안내 메시지이면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이후 발신 단말기(110)는 코어(180) 네트워크로부터 착신 단말기(160)의 사용자에게 음성 메시지 또는 연락받을 전화번 호 등의 입력 요구를 수신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발신 단말기(110)의 사용자가 음성 메시지 또는 전화번호 등을 코어 네트워크(180)에 전송하면, 코어 네트워크(180)는 이후 착신 단말기(160)의 사용자에게 발신 단말기(110)로부터의 음성 메시지 또는 전화번호를 제공한다. Referring to FIG. 7, first, when a subscriber cannot answer an incoming call for a voice call or a communication service requiring a real time response, the called terminal 160 connects to the code network 180 in step 402. In 404, a code value corresponding to the receiver context mode selected by the user is read with reference to the setting table of the memory 162. FIG. The terminating terminal 160 then transmits to the core network 180 in step 406 to set the receiver context mode. Thereafter, when the calling terminal 110 connects to a predetermined called terminal 160 for call origination in step 408, the core network 180 determines that the called terminal 160 sets the receiver status mode in step 410. In step 412, various types of data are transmitted to the calling terminal 110, including data according to the receiver context mode, for example, an SMS message or a voice prompt message. Then, the calling terminal 110 displays the receiver status mode through the display unit 114, for example, an SMS message or an MMS message on the display unit, and outputs a voice guidance message through the speaker. Thereafter, the calling terminal 110 may receive an input request such as a voice message or a telephone number to be contacted from the core 180 network to the user of the called terminal 160. Accordingly, when the user of the calling terminal 110 transmits a voice message or a phone number to the core network 180, the core network 180 then sends a voice message from the calling terminal 110 to the user of the called terminal 160. Or provide your telephone number.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수신자 상황 모드 서비스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8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receiver context mode service proces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발신 단말기(110) 및 착신 단말기(160)는 모두 전술한 바와 같은 복수개의 수신자 상황 모드를 나타내기 위한 코드를 갖는 설정값 테이블을 저장하는 메모리(112,162)를 포함한다. 따라서, 착신 단말기(160)가 수신자 상황 모드를 설정하도록 코어 네트워크(180)에 호 접속한 후(302),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소정의 수신자 상황 모드에 따른 코드값을 메모리(162)를 참조하여(162) 코어 네트워크(180)로 전송한다(306). 이후 발신 단말기(110)가 착신 단말기에 호 발신(308)하면 코어 네트워크(180)는 착신 단말기(160)가 설정하여 둔 테이블값을 발신 단말기(110)에게 전송한다(310). 이에 따라 발신 단말기(110)는 수신된 코드에 따라 메모리에 저장된 설정값 테이블을 참조하여(312) 해당 수신자 상황 모드에 따른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한다(314). Referring to FIG. 8, both the calling terminal 110 and the called terminal 160 include memories 112 and 162 storing setting tables having codes for indicating a plurality of receiver situation modes as described above. Therefore, after the called terminal 160 connects the call to the core network 180 to set the receiver context mode (302), the code value according to the predetermined receiver context mode selected by the user is referred to the memory 162 ( 162. Send to the core network 180 (306). Thereafter, when the calling terminal 110 sends a call to the called terminal 308, the core network 180 transmits the table value set by the called terminal 160 to the calling terminal 110 (310). Accordingly, the calling terminal 110 refers to the setting table stored in the memory according to the received code (312) and displays th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receiver status mode to the user (314).

또한, 이동 통신 단말기가 수신자 상황 모드를 설정하기 위해 교환기에 접속하면, 교환기에서 복수의 수신자 상황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안내 화면 등을 전송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원하는 수신자 상황 모드를 선택받을 수 있다. 그러면, 이동 통신 단말기는 복수개의 수신자 상황 모드를 나타내기 위한 코드 를 갖는 설정값 테이블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지 않아도 된다.In addition,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esses the exchange to set the receiver context mode, the exchange may transmit a guide screen for selecting a plurality of receiver context modes and receive a desired receiver context mode from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 T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oes not have to include a memory for storing a setting table having codes for indicating a plurality of receiver situation modes.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수신자 상황 모드를 등록하기 위한 제어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라 수신자 상황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표시 화면을 나타낸다.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flow for registering a receiver context mod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display screen for selecting a receiver context m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및 도 9를 참조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어부(112)는 단계 700에서 수신자 상황 모드에 진입하는 지를 체크한다.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는 수신자 상황 모드 입출력 장치(114)의 입력부, 예컨대, 키패드 상의 소정 키를 누름으로써 수신자 상황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한 번의 키누름으로 수신자 상황 모드에 진입하도록 키패드 상에 단축키를 설정할 수도 있다. 이어서 제어부(112)는 수신자 상황 모드에 진입하면 복수 개의 선택 가능한 수신자 상황 모드 종류를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콘 및 그에 따른 문자 정보로서 디스플레이하도록 한다. 또는 제어부(112)는 이러한 수신자 상황 모드 종류를 소정의 문자 정보로서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수신자 상황 모드 종류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교육 중, 회의 중, 수업 중, 운전 중, 목욕 중, 화장실 이용 중, 식사 중, 공연 관람 중, 운동 중, 취침 중, 도서관 이용 중 등이 될 수 있다. 제어부(112)는 사용자가 표시부 상에 디스플레이된 복수 개의 수신자 상황 모드중 하나를 선택하면 설정값 테이블을 참조하여 선택된 수신자 상황 모드에 대응하는 코드를 메모리(118)에 저장하여 둔다. 이어서 제어부(112)는 단계 706에서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단말기 위치 등록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는 지를 체크한다. 제어부(112)는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단말기 위치 등록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면 단계 708에서 코어 네트 워크로 위치 등록 메시지와 함께 수신자 상황 모드를 나타내는 코드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코어 네트워크(180)는 해당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 뿐만 아니라 수신자 상황 모드에 관한 코드를 메모리(182)에 저장한다. 6 and 9, the control unit 112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ecks whether the receiver enters the receiver mode in step 700. The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enter the receiver context mode by pressing a predetermined key on the input unit of the receiver context mode input / output device 114, for example, a keypad. In this case, the user may set a shortcut key on the keypad to enter the receiver status mode with a single key press. Subsequently, when entering the receiver context mode, the controller 112 displays a plurality of selectable receiver context mode types as an icon and corresponding text information as shown in FIG. 10. Alternatively, the controller 112 may display the receiver context mode type on the display unit as predetermined text information. As described above, the receiver situation mode type may be training, meeting, class, driving, bathing, using the toilet, eating, watching a performance, exercising, sleeping, using the library, and the like. . When the user selects one of the plurality of receiver context mode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the controller 112 stores the code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receiver context mode in the memory 118 by referring to the setting value table. The control unit 112 then checks in step 706 whether a terminal location registration request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core network. When the controller 112 receives the terminal location registration request message from the core network, the control unit 112 transmits a code indicating the receiver status mode to the core network together with the location registration message. Accordingly, the core network 180 stores not only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ut also a code regarding the receiver context mode in the memory 182.

이에 따라 코어 네트워크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대한 호 접속 요구를 수신하면 메모리(182)에 저장된 착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검색하는 동시에 수신자 상황 모드의 설정 여부를 체크한다. 수신자 상황 모드가 설정되어 있으면 코어 네트워크(180)는 착신 단말기에게 호 연결을 위한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고 발신 단말기로 호 접속 요구에 대한 응답 메시지 대신에 수신자 상황 모드에 관한 정보를 무선 채널을 이용하여 전송한다.Accordingly, upon receiving the call connection reques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core network searches for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alled terminal stored in the memory 182 and checks whether the receiver status mode is set. If the receiver context mode is set, the core network 180 transmits the information on the receiver context mode using a wireless channel instead of sending a paging message for call connection to the called terminal, instead of a response message for the call connection request to the calling terminal. send.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수신자 상황 모드를 수신하는 경우의 제어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flow when receiving a receiver context mod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먼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어부(112)는 단계 720에서 사용자가 음성 통화 등을 위한 호 발신하는 지를 체크한다. 사용자가 호 발신하면 제어부(112)는 단계 722에서 착신 단말기(160)와의 음성 통화 또는 실시간 응답을 요구하는 통신 서비스를 위한 발신호를 코어 네트워크로 전송한다. 이어서 제어부(112)는 단계 724에서 기지국으로부터 호 접속 요구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지 또는 수신자 상황 모드에 관한 코드를 수신하는 지를 체크한다. 제어부(112)는 호 접속 요구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면 단계 728로 진행하여 기존의 호 처리 절차를 행한다. 6 to 11, first, in step 720, the controller 112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ecks whether a user makes a call for a voice call. When the user makes a call, the controller 112 transmits an outgoing call for a communication service requesting a voice call or a real-time response with the called terminal 160 to the core network in step 722. The controller 112 then checks in step 724 whether it receives a response message for the call connection request from the base station or a code regarding the receiver context mode. When the controller 112 receives the response message for the call connection request, the controller 112 proceeds to step 728 to perform an existing call processing procedure.

만약 제어부(112)는 호 접속 요구에 대한 응답 메시지 대신에 수신자 상황 모드에 관한 코드를 수신하면 단계 730으로 진행하여 예컨대, 메모리에 저장된 설정값 테이블을 참조하여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수신자 상황 모드에 관한 코드에 대응하는 수신자 상황 모드에 관한 정보를 수신자 상황 모드 입출력 장치(114)에 제공한다. If the control unit 112 receives the code for the receiver context mode instead of the response message for the call connection request, the controller 112 proceeds to step 730, for example, referring to the receiver context mode received from the core network with reference to the setting value table stored in the memory. Information about the receiver context mode corresponding to the code is provided to the receiver context mode input / output device 114.

선택적으로, 제어부(112)는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착신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음성 메시지 또는 연락받을 전화번호 등의 입력 요구를 수신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음성 메시지 또는 전화번호 등을 코어 네트워크로 전송하면, 이후 코어 네트워크는 착신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발신 단말기(110)로부터의 음성 메시지 또는 전화번호를 전송한다.Optionally, the controller 112 may receive an input request such as a voice message or a telephone number to be contacted from the core network to the user of the called terminal. Accordingly, when the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ransmits a voice message or telephone number to the core network, the core network then transmits the voice message or telephone number from the calling terminal 110 to the user of the called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수신자 상황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흐름도,2 is a flowchart for setting a receiver context mode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수신자 상황 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흐름도,3 is a flowchart for releasing a receiver context mode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와 기지국, 교환기 사이의 발신 및 착신 호처리하는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dure for processing an outgoing and incoming call betwee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base station, and a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은 본 발명을 UMTS에 적용한 경우의 호 처리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5 is a view showing a call processing flow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UMTS,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6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수신자 상황 모드 서비스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7 is a view for explaining a receiver context mode service processing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수신자 상황 모드 서비스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8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receiver context mode service proces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수신자 상황 모드를 등록하기 위한 제어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flow for registering a receiver context mod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에 따라 수신자 상황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표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10 is a view showing a display screen for selecting a receiver context m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수신자 상황 모드를 수신하는 경우의 제어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flow when a receiver context mode is receive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8)

수신자 상황 모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ing a receiver context mode service, 복수 개의 수신자 상황 모드를 나타내기 위한 데이터 및 상기 복수 개의 수신자 상황 모드에 대응하는 코드들을 갖는 테이블을 저장하고 상기 복수 개의 수신자 상황 모드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수신자 상황 모드를 나타내기 위한 코드를 임시적으로 저장하는 메모리와,Storing a table having data for representing a plurality of recipient context modes and code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recipient context modes and temporarily storing a code for representing a particular receiver context mode selected by the user among the plurality of receiver context modes. Memory to store, 사용자에 의해 특정 수신자 상황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테이블을 참조하여 선택된 수신자 상황 모드에 대응하는 코드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위치 등록 요구의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수신자 상황 모드를 나타내는 코드를 자신의 단말기 위치 등록 정보와 함께 전송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If a specific receiver context mode is selected by the user, a code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receiver context mode is stored in the memory with reference to the table, and a code indicating a specific receiver context mode selected by the user when a message of a location registration request is received. And a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the terminal together with its terminal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음성 통화 또는 실시간 응답을 요구하는 통신 서비스를 위한 발신호를 전송한 후 상기 발신호에 응답하여 수신자 상황 모드를 나타내기 위한 코드를 수신하면 상기 테이블을 참조하여 해당 코드에 대응하는 수신자 상황 모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transmits an outgoing signal for a communication service requiring a voice call or a real-time response and receives a code indicating a receiver status mode in response to the outgoing signal, referring to the table. And a receiver context mod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code to a us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자 상황 모드 정보는 아이콘 및 음성 메시지중 어 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claim 2, wherein the receiver context mode information is any one of an icon and a voice messa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은 이동 통신 사업자로부터 다운로드받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claim 1, wherein the table can be downloaded from a mobile service provider.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수신자 상황 모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A method for providing a receiver context mode servic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복수 개의 수신자 상황 모드를 나타내기 위한 데이터 및 상기 복수 개의 수신자 상황 모드에 대응하는 코드들을 갖는 테이블을 제공받는 단계와,Receiving a table having data for indicating a plurality of receiver context modes and code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receiver context modes; 사용자에 의해 특정 수신자 상황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테이블을 참조하여 선택된 특정 수신자 상황 모드에 대응하는 코드를 독출하는 단계와,Reading a code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specific receiver context mode by referring to the table when a specific receiver context mode is selected by the user; 위치 등록 요구의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수신자 상황 모드를 나타내는 코드를 자신의 단말기 위치 등록 정보와 함께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자 상황 모드 서비스 방법.Receiving a message of a location registration request, transmitting a code indicating a specific recipient situation mode selected by the user together with its terminal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수신자 상황 모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A method for providing a receiver context mode servic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복수 개의 수신자 상황 모드를 나타내기 위한 데이터 및 상기 복수 개의 수신자 상황 모드에 대응하는 코드들을 갖는 테이블을 제공받는 단계와,Receiving a table having data for indicating a plurality of receiver context modes and code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receiver context modes; 음성 통화 또는 실시간 응답을 요구하는 통신 서비스를 위한 발신호를 전송한 후 상기 발신호에 응답하여 수신자 상황 모드를 나타내기 위한 코드를 수신하는 지를 체크하는 단계와,Transmitting an outgoing signal for a voice call or a communication service requiring a real-time response and checking whether to receive a code indicating a receiver status mode in response to the outgoing signal; 수신자 상황 모드를 나타내기 위한 코드를 수신하면, 상기 테이블을 참조하여 해당 코드에 대응하는 수신자 상황 모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자 상황 모드 서비스 방법.Receiving a code for indicating a receiver context mode, and providing the receiver context mod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de to the user by referring to the table;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자 상황 모드 정보는 아이콘 및 음성 메시지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자 상황 모드 서비스 방법.7. The method of claim 5 or 6, wherein the receiver context mode information is one of an icon and a voice message.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은 이동 통신 사업자로부터 다운로드받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자 상황 모드 서비스 방법.7. A method according to claim 5 or 6, wherein the table can be downloaded from a mobile service provider.
KR1020090036006A 2009-04-24 2009-04-24 Recipient's situation mode service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 KR2009006022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6006A KR20090060227A (en) 2009-04-24 2009-04-24 Recipient's situation mode service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6006A KR20090060227A (en) 2009-04-24 2009-04-24 Recipient's situation mode service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0911A Division KR20030093038A (en) 2002-06-01 2002-06-01 Recipient's situation mode service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0227A true KR20090060227A (en) 2009-06-11

Family

ID=40990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6006A KR20090060227A (en) 2009-04-24 2009-04-24 Recipient's situation mode service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60227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513696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obile-to-mobile video capability to network
KR20050043394A (en) Method for providing status informatio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P1679926B1 (en) System and method for changing talk group of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US20120157054A1 (en) System, Method and Terminal for Forwarding Incoming Call
KR20030093038A (en) Recipient's situation mode service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
US7043261B2 (en) System, mobile station and method for delivering services
KR100764477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nnouncement using conversion flying mode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the same
KR20090060227A (en) Recipient's situation mode service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
KR100603049B1 (en) Lettering Service Method
KR20010018704A (en) Method for auto transmission a message in mobile phone
KR20050075470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hort message originator location presentation service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US20070105596A1 (en) Real time caller information retrieval and display in dispatch calls
KR20020007448A (en) Method for auto-dialing in a communication system
KR100447063B1 (en) Method for transferring incoming call using mobile phon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0613979B1 (en) Method for message service of selective storing message in wireless network, and wireless telecommunicaton terminal and method according to the same
KR100644035B1 (e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its method for providing function of informing supplementary service
KR20050087603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leep and wake-up service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JP2000201375A (en) Portable telephone set with personal information transmitting/receiving function
JP2000307718A (en) Device and method for calling telephone set
KR20020072470A (en) Method and system for announcing the state of absence for mobile subscriber
KR20020069987A (en)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function of personal assistant using short message service and implementing method
KR20030025103A (en) Method to register information message when power off for mobile phone
KR20040043344A (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ystem having a group terminating call function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e
KR20030078324A (en) The method for receive condition information confirmation service
JP2001358746A (en) Portable radio terminal communication system and portable radio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