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4186A - 하향 더미 제어블록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 및 그방법에 따른 시스템 - Google Patents

하향 더미 제어블록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 및 그방법에 따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4186A
KR20090054186A KR1020070120920A KR20070120920A KR20090054186A KR 20090054186 A KR20090054186 A KR 20090054186A KR 1020070120920 A KR1020070120920 A KR 1020070120920A KR 20070120920 A KR20070120920 A KR 20070120920A KR 20090054186 A KR20090054186 A KR 200900541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control block
dummy control
downlink dummy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0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준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209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54186A/ko
Priority to EP08169304A priority patent/EP2063679B1/en
Priority to US12/276,918 priority patent/US8457045B2/en
Priority to CN2008101781741A priority patent/CN101448303B/zh
Publication of KR20090054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41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30Resource management for broadcast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EDGE(Enhanced Data for GSM Evolution) 기반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지국에서 단말로 1초에도 여러 번씩 하향 더미 제어블록(Downlink Dummy Control Block)이 브로드캐스팅 되는데, 하향 더미 제어블록에는 MAC (Medium Access Control) 헤더 이외에 아무런 의미가 없는 정보인 패딩 비트(Padding Bits)가 채워져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패딩 비트가 채워지는 부분을 뉴스, 날씨 정보, 주가(株價) 정보와 같은 소용량(小用量)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비트로 이용함으로써 무선 자원의 활용도를 높이는 데이터 전송 방법 및 그 방법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하향 더미 제어블록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 및 그 방법에 따른 시스템 {Method for Transmitting the Data Using the Downlink Dummy Control Block and the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데이터 전송 방법 및 그 방법에 따른 시스템과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EDGE(Enhanced Data for GSM Evolution) 기반의 통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는 초고속 인터넷과 화상 통신 등이 가능한 2.5세대의 이동 전화 기술을 의미한다. EDGE(Enhanced Data for GSM Evolution)도 GSM(Global System for Mobile) 기반의 2.5세대 통신 기술로, 기존의 2세대 이동전화보다 개선된 전송 속도를 제공하며, 패킷 교환기술을 이용해 언제든지 인터넷 등에 접속이 가능토록 해준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라 하향 더미 제어블록(Downlink Dummy Control Block)을 전송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기지국(Base Station)은 자신의 커버리지(Coverage) 안에 있는 다수의 단말로 하향 더미 제어블록(Downlink Dummy Control Block)을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한다.
하향 더미 제어블록(Downlink Dummy Control Block)은, 채널의 동적 할당(Dynamic Allocation)에 따른 상향 TBF 모드(Uplink Temporary Block Flow Mode)에서, 상향 상태 플래그(Uplink State Flag, USF)를 할당하는데 이용된다. 또한, 하향 TBF(Downlink TBF)가 열려 있으나 전송을 위한 더 이상의 RLC(Radio Link Control)/MAC(Medium Access Control) 블록이 없을 때 전송하는 더미 제어블록(Dummy Control Block)의 하나이기도 하다.
기지국에서 단말로 전송하는 채널이 하향(downlink) 채널이고, 단말에서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채널이 상향(Uplink) 채널인데, 하향 더미 제어 블록에 상향 상태 플래그(Uplink State Flag, USF)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며, 단말이 기지국으로의 상향(Uplink) 통신시 하향 더미 제어블록을 참조한다.
하나의 기지국이 커버하는 셀(cell) 내에는 여러 대의 단말이 있으며, 각 단말의 채널 이용상태는 수시로 변하기 때문에, 기지국은 상향 상태 플래그(USF)가 포함된 하향 더미 제어블록을 1초에도 여러 번씩 셀 내의 단말로 전송하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의 커버리지 내에 A 단말, B 단말, C 단말, D 단말이 있다고 가정할 때, 각 단말에 할당된 상향 상태 플래그(USF) 번호가 각각 USF#1, USF#2, USF#3, USF#4라고 하자.
도 1을 참조하면, 기지국에서 브로드캐스팅 하는 하향 더미 제어블록 중에서 #1에 해당하는 블록이 A 단말이 기지국과의 상향 통신을 위해 참조하는 블록이 된다. 도 1에서 #1에 해당하는 블록 버스트(burst) 들의 코딩 작업을 거치면, 하향 RLC/MAC 제어 블록(Downlink RLC/MAC Control Block)이 된다. 하향 RLC/MAC 제어 블록에 대한 설명은 도 2에서 좀 더 상세히 하겠다.
도 1에서, B 단말의 경우, 하향 더미 제어블록의 #2 에 해당하는 블록 버스트를 참고하여 기지국과의 상향(Uplink)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것이다.
도 2는 하향 더미 제어 블록(Downlink Dummy Control Block)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향 더미 제어 블록은 MAC(Media Access Control) 헤더(header)와 다수의 옥텟(Octet)들로 구성되어 있다. MAC 헤더에는 페이로드 타입(Payload Type, 20), RRBP(21), S/P(22), 상향 상태 플래그(USF : Uplink State Flag, 23)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MAC 헤더의 구성은 GSM 44.060 표준 스펙에 규정되어 있다.
페이로드 타입(20)은 기지국으로부터 단말로 브로드캐스팅 되는 블록이 데이터 블록(Data Block)인지 컨트롤 블록(Control Block)인지를 표시해주며, RRBP(21)는 기지국이 단말로 보낸 신호의 수신 여부에 대해 단말이 응답을 해야하는 시간과 관련한 정보를 담고 있으며, S/P(22)는 RRBP(21)의 활성화 여부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다. 상향 상태 플래그(USF, 23)는,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말에서 기 지국으로의 상향 데이터 통신시, 단말이 참조하는 상태 플래그이다.
도 2에서, RBSN, RTI, FS, AC, PR, TFI, D 는 필요에 따라(Optional) 하향 더미 제어 블록에 포함되는 파라미터들이다.
하향 더미 제어블록의 MAC 헤더 뒷부분에는 제어 메시지 컨텐츠(Control Message Contents)가 부가되는데,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EDGE(Enhanced Data for GSM Evolution) 기반의 통신에 있어 제어 메시지 컨텐츠의 구성 형식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Message Type : bit (6) >
< Packet Downlink Dummy Control Block message content > ::=
< PAGE_MODE : bit (2) >
{ 0 | 1 <PERSISTENCE_LEVEL : bit (4) > * 4 }
< padding bits >
! < Distribution part error : bit (*) = < no string > > ;
제어 메시지 컨텐츠의 구성 형식과 도 2를 참조하면, 메시지 타입(Message Type)에 관한 정보가 6비트 할당되고, 페이지 모드(Page Mode)에 관한 정보가 2비트 할당된다. 퍼시스턴스 레벨(Persistence Level, 27)은 단말이 네트워크에 억세스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인데, 기지국에서 브로드캐스팅 되는 하향 더미 제어블록에 퍼시스턴스 레벨에 관한 정보를 삽입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비트(20)도 제 어 메시지 컨텐츠에 포함된다. 퍼시스턴스 레벨(27)은 4비트 스트링 4개의 조합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PERSISTENCE_LEVEL : bit (4) > * 4와 같이 표시하였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MAC 헤더 정보, 옵션으로 삽입한 옥텟 스트링, 메시지 타입, 페이지 모드, 퍼시스턴스 레벨(27)을 하향 더미 제어블록에 삽입한 후에는, 남은 부분은 모두 패딩 비트(Padding Bits, 28)로 채워진다.
패딩 비트는 특별한 정보를 담고있지 않으며, 단지 하향 더미 제어블록의 규정된 프레임을 맞추기 위해 채워진 비트들이다. 아무런 의미도 없는 패딩 비트들이 채워진 채로 기지국에서 단말로 하향 더미 제어블록이 브로드캐스팅 되기 때문에, 단말에 할당되는 무선 자원(Resource)을 낭비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최근에 제공되는 서비스 중에, 짧은 뉴스 정보, 날씨 정보, 주가(株價) 정보 등과 같은 정보를 단말의 화면 일부분에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하여 제공하는 생활정보 제공 서비스가 있다.
위와 같은 생활정보 서비스로 제공되는 컨텐츠는 소용량(小用量) 데이터로 이루어져 있으며 기지국에서 단말로 브로드캐스팅 되는 정보들인데, 생활정보 제공 서비스를 위해 별도로 트래픽(traffic)을 할당해야 하므로, 무선 자원 사용에 있어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창출한 것으로서, 특히, 하향 더미 제어블록을 활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EDGE(Enhanced Data for GSM Evolution) 기반의 이동통신 시스템의 다운링크(Downlink) 데이터 전송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이 단말로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 할 데이터를 이동통신사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기지국에서 하향 더미 제어블록(Downlink Dummy Control Block) 내의 패딩 비트(Padding Bits) 영역에 상기 수신한 데이터를 삽입하여 단말들로 브로드캐스팅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브로드캐스팅 하는 하향 더미 제어블록에, 수신한 데이터가 삽입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식별 비트나 삽입된 데이터의 시작을 나타내는 플래그(flag)를 삽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을 이용하면, 기지국에서 단말로 브로드캐 스팅 되는 하향 더미 제어블록에서 패딩 비트가 채워지는 부분을 데이터 전송을 위한 부분으로 사용함으로써, 이동통신 환경에서 무선자원 활용도가 높아지며, 종래기술과 달리, 단말로 생활정보나 뉴스를 브로드캐스팅 하기 위해 별도로 트래픽을 할당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추가적인 데이터 전송 작업이나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및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하향 더미 제어 블록(Downlink Dummy Control Block)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향 더미 제어 블록은 페이로드 타입(Paylooad Type), RRBP, S/P, USF로 구성된 MAC 헤더와 옵션으로 부가된 옥텟과 제어 메시지 컨텐츠(Control Message Contents)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와 비교시, 페이로드 타입(Paylooad Type), RRBP, S/P, USF로 구성된 MAC 헤더는 동일하다. MAC(Medium Access Control) 헤더의 구성은,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EDGE(Enhanced Data for GSM Evolution) 표준에 정해진 스펙을 따르므로 종래 기술과 동일하다.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하향 더미 제어블록을 살펴보면, 도 2의 제어 메시지 컨텐츠 부분과 비교시, 패딩 비트(28) 대신에 데이터 포함여부를 나타내는 식별비트(38)와 데이터 비트(Data Bits, 39)가 부가된다.
도면 부호 38의 비트는, 기지국에서 단말로 브로드캐스팅 하는 하향 더미 제어블록에 데이터 비트가 담겨있는지를 나타내는 비트이다. 도 3에서는, 도면부호 38의 비트가 1이면 데이터 비트(39)가 담겨있음을 의미하고, 비트가 0이면 데이터 비트(39)가 담겨있지 않은 것을 예로 들었다.
도 3에서는 데이터 비트가 담겨있는지 여부를 나타내기 위해 1개의 비트를 사용하였지만, 비트 수나 위치를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한정할 필요는 없으며, 당업자의 통상의 지식에 의해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기지국에서 단말로 하향 더미 제어블록을 전송하는 동작은 1초에도 여러 번 이루어지므로, 전송되는 모든 하향 더미 제어블록마다 데이터 비트를 추가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비트가 담겨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비트(38)를 두어 브로드캐스팅 된 하향 더미 제어블록에 데이터 비트(39)가 담겨있는지를 표시해줌이 바람직하다. 만약, 단말로 브로드캐스팅 되는 하향 더미 제어블록에 데이터 비트(39)가 담기지 않는다면, 그 자리는 종래 기술과 같이 패딩 비트(28)가 담길 것이다.
도 3과 같이 이루어진 하향 더미 제어블록에서 제어 메시지 컨텐츠 부분의 구성 형식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Message Type : bit (6) >
< Packet Downlink Dummy Control Block message content > ::=
< PAGE_MODE : bit (2) >
{ 0 | 1 <PERSISTENCE_LEVEL : bit (4) > * 4 }
{ 0 | 1 <Data block header> <Data block contents > }
! < Distribution part error : bit (*) = < no string > > ;
종래 기술에서 <padding bits>가 있던 부분이 { 0 | 1 <Data block header> <Data block contents > }로 대체되었으며, 0 | 1 부분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데이터 비트를 부가할 것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부분이다. 또, <Data block header> 부분은 패딩 비트(28) 대신 부가된 데이터 비트(39)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헤더를 의미하며, <Data block contents > 부분은 실질적인 데이터 컨텐츠 부분을 의미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데이터 전송 방법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일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데이터 전송 방법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은 이동통신사 서버(40), 통신 네트워크(41), 기지국(Base Station, 42), 다수 의 단말(43, 44,45)로 구성되어 있다.
이동통신사 서버(40)는 단말로 제공할 컨텐츠를 저장하는 기능을 하며, 이동통신사 서버(40)에 저장된 컨텐츠가 통신 네트워크(41)를 거쳐 기지국(42)을 통해 각 단말(43, 44, 45)로 전송된다.
여기서, 단말로 제공할 컨텐츠의 저장 영역은 이동통신사 서버(40)로 한정되지 아니하며, 기지국에 컨텐츠를 저장할 영역을 별도로 마련할 수도 있다. 그러할 경우, 이동통신사 서버(40)는 본 발명의 데이터 전송 방법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 필수적 구성요소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는 이동통신사 서버(40)에 콘텐츠가 저장되는 형식을 기반으로 하여 실시 예를 설명할 것이다.
하향 더미 제어블록은 기지국(42)에서 각 단말(43, 44, 45)로 브로드캐스팅되는 방식으로 전송되므로, 하향 더미 제어블록을 이용하여 각 단말(43, 44, 45)로 전송되는 컨텐츠는 단말 화면의 일부분에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되어 표시되는 뉴스나 생활정보 등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 하향 더미 제어블록에 데이터를 포함하여 전송할 경우, 하향 더미 제어블록의 프레임 규격상, 하나의 하향 더미 제어블록에 포함되는 데이터의 양은 제한된다. 따라서, 동영상 파일, 사진파일, 음악 파일 등과 같이 많은 용량을 필요로 하는 데이터보다는 날씨정보, 주가 정보, 짧은 길이의 뉴스 정보 등이 바람직하다.
도5,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하향 더미 제어 블록을 나타 낸 도면이다. 도 5는 데이터 비트(39)를 다른 파라미터 비트들과 구별하기 위한 플래그(50)를 부가한 도면이고, 도 6은 플래그(50) 외에 데이터 비트(39)의 종결을 알리는 코드(52) 및 패딩 비트(54)가 부가된 도면이다. 플래그(50)는 데이터 비트(39)가 시작됨을 알리는 기능을 수행하기도 한다.
기지국(42)에서 각 단말(43, 44, 45)로 브로드캐스팅 되는 하향 더미 제어블록에는 MAC 헤더를 포함한 여러 파라미터들이 포함되므로, 패딩 비트가 채워지는 부분에 데이터 비트(39)가 채워질 경우에, 각 단말(43, 44, 45)이 데이터 비트 부분을 정확히 인지하여 추출할 수 있도록 플래그(50)를 부가할 수 있다.
또, 패딩 비트(28) 대신 채워지는 데이터 비트(39)의 용량이 하향 더미 제어블록의 여유 옥텟을 모두 채우기에 부족한 경우가 생길 수 있으므로, 데이터 비트의 종결을 알리는 코드(52)를 부가할 수도 있다. 종결 코드(52)를 부가할 경우, 하향 더미 제어블록의 남은 옥텟 부분은 패딩 비트(28)로 채우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데이터 비트의 종결을 알리는 코드(52)를 부가하는 방법 이외에, 하향 더미 제어블록에 포함되어 있는 데이터 비트의 길이(length)에 관한 정보를 부가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데이터 비트의 길이에 관한 정보를 부가함으로써, 하향 더미 제어블록을 수신한 단말이, 삽입되어 있는 데이터 비트를 정확히 인지하여 추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쉬운 이해를 돕기 위해, 20분마다 단말기로 주가(株價) 정보를 제공하여, 단말의 화면 하단에 주가 정보가 20분마다 업데이트 되어 표시되는 서비스를 예로 들어 설명하자.
단말에 제공될 주가(株價) 정보는 이동통신사 서버(40)에 저장되어 있다. 단말로 주가 정보를 제공한지 20분이 경과하여 업데이트 된 주가 정보를 다시 제공할 필요가 있으면(S70), 이동통신사 서버(40)에서 전송할 주가 정보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한다(S71). 이후, 단말로 전송할 하향 더미 제어블록에 주가 정보를 삽입할 경우, 하향 더미 제어블록에 데이터 비트가 삽입되었다는 표시를 해두기 위한 비트(38)를 삽입한다(S72). 도 6에서, 도면부호 38의 비트를 1로 기록한 것을 그 실시 예로 들 수 있다.
종래에 패딩 비트가 채워지던 부분이 데이터 비트로 채워지기 때문에, 데이터 비트가 삽입된 하향 더미 제어블록에서 단말이 데이터 부분을 정확히 검출해 낼 수 있도록 플래그(flag)를 기록한다(S73). 플래그가 기록된 후(S73), 이동통신사 서버(40)로부터 수신한 주가 정보 데이터를 하향 더미 제어블록에 삽입한다(S74).
주가 정보 데이터의 삽입이 완료되면 데이터 비트의 삽입이 완료되었다는 종결 코드(52)를 기록한다(S76). 필요에 따라, 주가 정보에 관한 데이터 비트를 기록한 후에도 하향 더미 제어블록에 여유 옥텟이 있으면, 패딩 비트로 채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향 더미 제어블록에 데이터 비트를 기록하는 과정이 완료되면, 기지국에서 단말로 하향 더미 제어블록을 브로드캐스팅 한다(S76). 단말은 브로드캐스팅 된 하 향 더미 제어블록을 수신하여, 주가 정보에 관한 데이터 비트를 검출하여, 단말의 화면에 주가 정보를 표시해 줄 수 있을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데이터 전송 방법을 이용한 단말의 블록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은 제어부(80), 송수신부(83), 디스플레이부(8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80)는 데이터 검출부(81), 디코딩부(8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송수신부(83)는 기지국에서 브로드캐스팅 되는 하향 더미 제어블록을 수신하여 제어부(80)로 제공하는 기능을 하며, 필요에 따라 안테나와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80)는 송수신부(83)를 통해 수신한 하향 더미 제어블록에서 데이터를 추출하여 디스플레이부(84)에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데이터 검출부(81)는 하향 더미 제어블록 내에 데이터 비트가 기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조사하여, 데이터 비트 부분만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하향 더미 제어블록에 데이터 비트가 삽입되어 있는지에 관한 정보를 담은 비트(38)를 이용하면, 수신된 하향 더미 제어블록에 데이터 비트가 삽입되어 있는지 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비트의 기록 시작을 알리는 플래그(50)와 데이터 비트의 종결을 알리는 코드(52)를 이용하면 데이터 비트(39) 부분만의 추출을 좀 더 정확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디코딩부(82)는 데이터 검출부(81)가 추출한 데이터 비트를 디코 딩(decoding)하여 디스플레이부(84)에 표시할 수 있는 데이터 형태로 변환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디스플레이부(84)는 제어부(80)의 제어에 따라 디코딩 된 데이터를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디스플레이부(84)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 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로 구성될 수 있으며, 디코딩 된 데이터의 표시 이외에 단말의 동작 및 각종 기능 수행에 필요한 정보도 디스플레이 한다.
도 9a ~ 9c는 본 발명에 따라 단말의 화면에 팝업(pop-up) 창이 표시된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 대한 부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지국에서 브로드캐스팅 된 하향더미 제어블록을 단말이 수신하고, 단말의 제어부(80)는 수신한 하향 더미 제어블록에서 뉴스, 날씨 정보, 주가 정보, 교통 정보 등에 관한 데이터를 추출하여 디스플레이부(84)에 표시해 줄 수 있다.
도 9a는 스포츠 뉴스, 도 9b는 날씨 정보, 도 9c는 주가 정보를 단말의 디스플레이부(84) 하단에 표시한 일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하향 더미 제어블록에 삽입할 수 있는 데이터 비트의 양은 한정되므로, 도 9a ~9c에 도시된 생활 정보와 같이 소용량(小用量)의 데이터가 적합하며, 상기 생활정보는 단말간에 주고받는 데이터가 아니라 기지국에서 단말로 브로드캐스팅 되는 데이터이므로, 하향 더미 제어블록을 이용하기에 더욱 적합하다.
다만, 도 9a ~ 9c에서는 뉴스, 날씨 정보, 주가 정보, 교통 정보 등을 실시 예로 들었지만, 향후 이동통신 서비스에 따라 새로운 형태의 정보 제공도 발생할 것이며, 본 발명이 제시한 바와 같이, 하향 더미 제어블록을 이용하여 해당 정보에 관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로 설명하였다. 여기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라 하향 더미 제어블록(Downlink Dummy Control Block)을 전송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하향 더미 제어 블록(Downlink Dummy Control Block)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하향 더미 제어 블록(Downlink Dummy Control Block)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데이터 전송 방법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일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5 ~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하향 더미 제어 블록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데이터 전송 방법을 이용한 단말의 블록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9a ~ 9c는 본 발명에 따라 단말의 화면에 팝업(pop-up) 창이 표시된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Claims (11)

  1.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EDGE(Enhanced Data for GSM Evolution) 기반의 이동통신 시스템의 다운링크(Downlink) 데이터 전송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이 단말로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 할 데이터를 이동통신사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기지국에서 하향 더미 제어블록(Downlink Dummy Control Block) 내의 패딩 비트(Padding Bits) 영역에 상기 수신한 데이터를 삽입하여 단말들로 브로드캐스팅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브로드캐스팅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기지국에서 상기 단말로 전송되는 하향 더미 제어블록(Downlink Dummy Control Block)에 상기 수신한 데이터가 삽입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식별 비트를 삽입하는 단계;
    상기 하향 더미 제어블록 내에 패딩 비트(Padding Bits)가 채워지는 부분에 상기 수신한 데이터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브로드캐스팅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기지국에서 상기 단말로 전송되는 하향 더미 제어블록(Downlink Dummy Control Block)에 삽입될 데이터의 시작을 알리는 플래그(flag)를 부가하는 단계;
    상기 하향 더미 제어블록 내의 패딩 비트(Padding Bits) 영역에 상기 수신한 데이터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 더미 제어블록에 상기 삽입한 데이터의 종결을 알리는 코드를 부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 더미 제어블록에 상기 삽입한 데이터의 길이(length)에 관한 정보를 담은 비트를 부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6.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EDGE(Enhanced Data for GSM Evolution) 기반의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단말에 제공될 콘텐츠 데이터를 저장해 두었다가, 하향 더미 제어블록(Downlink Dummy Control Block) 내의 패딩 비트(Padding Bits)가 채워지던 부분에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삽입하여 단말로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 하는 기지국; 및
    상기 브로드캐스팅 된 하향 더미 제어블록을 수신하고, 수신한 하향 더미 제어블록에 삽입된 콘텐츠 데이터를 추출하여 단말 화면에 표시하는 단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동통신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데이터는,
    뉴스, 날씨 정보, 주가(株價) 정보 등을 포함하여 브로드캐스팅 가능한 정보들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 제공될 콘텐츠 데이터를 제공하는 이동통신사 서버를 더 포함하 는 이동통신 시스템.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브로드캐스팅 되는 하향 더미 제어 블록은,
    MAC 헤더(Medium Access Control Header), 컨텐츠 데이터, 컨텐츠 데이터가 삽입되어 있음을 표시하는 플래그(flag)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10.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EDGE(Enhanced Data for GSM Evolution) 기반의 이동통신 단말에 있어서,
    기지국에서 브로드캐스팅 된 하향 더미 제어블록을 수신하는 송수신부;
    상기 수신한 하향 더미 제어블록에 포함된 콘텐츠 데이터를 추출하여, 추출한 데이터를 단말 화면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동통신 단말.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한 하향 더미 제어블록에 포함된 콘텐츠 데이터를 추출하는 데이터 검출부;와
    상기 추출한 데이터를 디코딩(decoding) 하는 디코딩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70120920A 2007-11-26 2007-11-26 하향 더미 제어블록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 및 그방법에 따른 시스템 KR20090054186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0920A KR20090054186A (ko) 2007-11-26 2007-11-26 하향 더미 제어블록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 및 그방법에 따른 시스템
EP08169304A EP2063679B1 (en) 2007-11-26 2008-11-17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using downlink dummy control block and system using the same
US12/276,918 US8457045B2 (en) 2007-11-26 2008-11-24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using downlink dummy control block and system using the same
CN2008101781741A CN101448303B (zh) 2007-11-26 2008-11-25 使用下行链路虚拟控制块发送数据的方法和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0920A KR20090054186A (ko) 2007-11-26 2007-11-26 하향 더미 제어블록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 및 그방법에 따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4186A true KR20090054186A (ko) 2009-05-29

Family

ID=40456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0920A KR20090054186A (ko) 2007-11-26 2007-11-26 하향 더미 제어블록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 및 그방법에 따른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457045B2 (ko)
EP (1) EP2063679B1 (ko)
KR (1) KR20090054186A (ko)
CN (1) CN10144830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25346B (zh) * 2011-06-29 2017-12-1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报文发送方法及基站控制器
WO2013040752A1 (en) * 2011-09-20 2013-03-28 Renesas Mobile Corporation Enhanced mac padding for data transmissions
FI20116014L (fi) * 2011-10-13 2013-04-14 Marisense Oy Tiedonsiirto sähköisissä hintalappujärjestelmissä
TWI681655B (zh) * 2018-10-08 2020-01-01 瑞昱半導體股份有限公司 無線區域網路系統中進行位元層級管理之方法、傳送器以及接收器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14810B1 (en) * 1998-09-14 2003-09-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processing data to be transmitted over common channel
CA2370664C (en) * 2000-02-18 2009-02-03 Nokia Networks Oy Communications system
FI20001705A (fi) * 2000-07-24 2002-01-25 Nokia Networks Oy Lõhetysluvan mõõrõõminen tietoliikennejõrjestelmõssõ
US6671284B1 (en) * 2000-08-04 2003-12-30 Intellon Corporation Frame control for efficient media access
US6747962B2 (en) * 2000-10-10 2004-06-08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uplink state flag (USF) with multiple uplink temporary block flows (TBFs)
FI20002810A (fi) * 2000-12-20 2002-06-21 Nokia Corp Viestintäjärjestelmä
KR100387040B1 (ko) * 2001-04-03 2003-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데이터 송수신 방법
DE60238967D1 (de) * 2002-02-21 2011-03-03 Ericsson Telefon Ab L M Bidirektionale Optimierung des TBFs für TCP
US20030198199A1 (en) * 2002-04-17 2003-10-23 Budka Kenneth C. Method of throttling uplink traffic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688764B2 (en) * 2002-06-20 2010-03-30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peaker arbitration in a multi-participant communication session
EP2811678B1 (en) * 2003-03-31 2020-04-22 Apple Inc. A network apparatus, a memory medium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with polling
TW200511860A (en) * 2003-05-14 2005-03-16 Nagracard Sa Duration computing method in a security module
JP4773688B2 (ja) * 2004-03-31 2011-09-14 株式会社ケンウッド 通信方法、送信方法、及び、送信装置
JP4746089B2 (ja) * 2005-04-06 2011-08-10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 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無線セルラー通信におけるアップリンク確立の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7610051B2 (en) * 2005-10-27 2009-10-2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obtaining localized electronic feeds in a mobile device
GB2437349B (en) * 2006-04-18 2008-03-12 Motorola Inc Optimised packet data transmission protocol in a communication system employing a transmission window
CN100394740C (zh) * 2006-05-08 2008-06-11 杭州华三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传输控制消息的方法和一种站点设备
JP5008721B2 (ja) * 2006-06-23 2012-08-22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無線通信システムで資源を効率的に用いる方法
US7747256B2 (en) * 2006-07-21 2010-06-29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data congestion and applying a cell reselection offset
US8169995B2 (en) * 2006-12-04 2012-05-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 of uncompressed video having delay-insensitive data transfer
US9326253B2 (en) * 2007-11-15 2016-04-26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 blank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63679A1 (en) 2009-05-27
CN101448303B (zh) 2011-02-16
CN101448303A (zh) 2009-06-03
EP2063679B1 (en) 2011-05-11
US8457045B2 (en) 2013-06-04
US20090141672A1 (en) 2009-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4774E1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broadcast service data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454482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공통 제어 정보 송수신 시스템 및방법
US8861471B2 (en) Signalling resource allocation i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EP2509344B1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multimedia information and terminal thereof
TWI461085B (zh) 排程傳輸的方法及基地台
CN102318422A (zh) 上行链路半静态调度显式释放肯定应答传输
CN104365048A (zh) 用于无线分组数据传送的有效载荷分割的装置、方法和计算机可读介质
KR20010011977A (ko)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위한 셀 브로드캐스팅 방법
CA2602813A1 (en)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data in a communication system
CN101213802A (zh) 用于控制经由分组网络支持语音业务的移动通信系统中的语音业务速率的方法和装置
KR20090054186A (ko) 하향 더미 제어블록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 및 그방법에 따른 시스템
CN101911643B (zh) 传输方法、网络设备、用户设备和电信系统
CN101534572A (zh) 通信系统资源配置的方法及装置
JP3978205B2 (ja) Gsmシステムにおけるデータ通信タイムスロットの動的割当方法及びgsmシステムのデータ通信装置
KR100810338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메모리 제어 방법
CN111866933B (zh) 数据传输模式的确定方法及装置
CN101426189B (zh) 一种传输附加信息的方法及系统
CN101453347B (zh) 一种移动多媒体广播数据发送和接收方法
CN101605266B (zh) 一种数据传输方法、装置及数据接收方法及装置
CN101272609B (zh) 一种无线通信系统中ip电话调度组的管理方法
KR101363426B1 (ko) 패킷 데이터 서비스 시스템에서 단말기 전력소모 감소를위한 효율적인 페이징 방법과 이를 위한 패킷 데이터서비스 시스템
CN113543330B (zh) 信道资源的传输方法及设备
CN109496402B (zh) 标识更新方法、装置、设备、系统及存储介质
KR20080043042A (ko) 무선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방송 채널의 커버리지 확대를위한 장치 및 방법
CN113890898B (zh) 一种低轨卫星移动通信系统帧结构及组帧与调度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