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1459A - Apparatus of analizing the construction productivity based on statistics and thereof - Google Patents

Apparatus of analizing the construction productivity based on statistics an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1459A
KR20090051459A KR1020070117861A KR20070117861A KR20090051459A KR 20090051459 A KR20090051459 A KR 20090051459A KR 1020070117861 A KR1020070117861 A KR 1020070117861A KR 20070117861 A KR20070117861 A KR 20070117861A KR 20090051459 A KR20090051459 A KR 200900514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real
circulation time
circulation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78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999041B1 (en
Inventor
한승우
Original Assignee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1178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9041B1/en
Publication of KR200900514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145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90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904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계기반 실시간 건설 생산성 분석장치 및 분석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건설공사의 각 공정별로 설정된 목표 생산량에 따른 기준 순환시간과, 실제 순환시간을 객관적으로 비교 및 분석가능한 통계기반 실시간 건설 생산성 분석장치 및 분석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 기술적 구성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설공사의 각 장비의 구동 시각 및 위치를 기반으로, 상기 각 장비가 수행하는 각 공정별 순환시간을 실시간으로 제공하도록 구비되는 순환시간 제공장치; 상기 순환시간 제공장치로부터 실시간으로 출력된 각 공정별 순환시간을 입력받고, 각 공정에서 기 설정된 생산성에 따라 최적화된 기준 순환시간과 비교하여 유의확률(P-value)을 산출하며, 각 공정별로 설정된 신뢰도인 유의수준과 상기 유의확률을 비교하여 상기 순환시간 및 상기 기준 순환시간 간의 유사한 정도를 출력하는 중앙관리장치; 상기 중앙관리장치에서 출력된 상기 순환시간 및 상기 기준 순환시간의 유사도가 낮은 경우, 각 공정에서 발생된 지연 요인을 제거하도록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결과데이터 출력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P1020070117861

통계, 유의수준, 유의확률, 오차허용범위, 신뢰도, 건설, 순환시간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atistical real-time construction productivity analysis device and analysis method, statistical-based real-time construction productivity analysis device that can objectively compare and analyze the reference cycle time and the actual cycle time according to the target production amount set for each process of construction work And an analysis method.

The technical configuration is based on the driving time and position of each equipment of the construction work to achieve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circulation time is provided to provide in real time the cycle time for each process performed by each equipment Providing device; Receives a cycle time for each process output in real time from the cycle time providing device, calculates a significant probability (P-value) by comparing with the reference cycle time optimized according to the productivity set in each process, and set each process A central management device for comparing a significance level of reliability with the significance probability and outputting a similar degree between the circulation time and the reference circulation time; A result data output device for outputting to the user to remove a delay factor generated in each process when the degree of similarity between the circulation time and the reference circulation time output from the central management device is low;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gure P1020070117861

Statistics, significance level, significance probability, margin of error tolerance, reliability, construction, cycle time

Description

통계기반 실시간 건설 생산성 분석장치 및 분석방법{Apparatus of Analizing the Construction Productivity Based on Statistics and thereof}Apparatus of Analizing the Construction Productivity Based on Statistics and Julia}

본 발명은 통계기반 실시간 건설 생산성 분석장치 및 분석방법에 관한 것으로, 건설공사의 각 공정별로 지체요인을 제거하여 목표 생산량에 도달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통계기반 실시간 건설 생산성 분석장치 및 분석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atistical real-time construction productivity analysis device and analysis method, and to a statistical-based real-time construction productivity analysis device and analysis method provided to remove the delay factor for each process of the construction work to reach the target yield. .

일반적으로, 건설의 공정별 생산량은 건설 프로젝트의 성공 여부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현장 상황 및 해당 공정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예상 생산량을 분석하여 공정 계획을 수립한다.In general, the output of each construction process is an important factor in determining the success of a construction project. Therefore, information about the site situation and the process is collected, and the expected output is analyzed to establish a process plan.

그리고, 수립된 공정 계획에 따른 생산량에 도달하도록 건설현장의 해당 공정에 대한 실시간 순환시간을 파악하는 것은, 인적자원에 의존한 방식이 이용되고 있어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한 반면, 파악된 순환시간은 해당작업이 종료되면 일일 생산성을 산정하는 용도에 한정된다.And, in order to identify the real-time circulation time for the process in the construction site to reach the production amount according to the established process plan, it is necessary to use a lot of time and effort because the method dependent on human resources is used. When the work is finished, it is limited to the purpose of calculating daily productivity.

또한, 건설현장의 공정관리는 인적자원에 의존하기 때문에, 실제 각 공정별 순환시간과, 목표 생산량에 따른 각 공정별 기준 순환시간의 유사성은 개인적인 경 험 및 지식에 따라 변경된다.In addition, since the process control of the construction site depends on human resources, the similarity between the actual cycle time of each process and the reference cycle time of each process according to the target production volume is changed according to personal experience and knowledge.

예를 들면, 임의의 건설공사 공정에서 계획된 목표 생산량이 시간당 12 순환(Cycle)이고, 실제 생산량이 시간당 10 순환(Cycle)인 경우에, 사용자의 주관적인 판단에 의하여 상기 두 데이터의 유사도는 달라질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projected target output is 12 cycles per hour and the actual output is 10 cycles per hour in any construction process, the similarity of the two data may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subjective judgment of the user. .

이는, 각 공정별 기준 및 데이터를 해석하는 엔지니어의 개인적인 판단에 의해 변경가능하며, 일관성 없는 데이터 처리방식이 적용됨으로써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공정관리에 어려움을 가져올 수 있다.This can be changed by the individual judgment of the engineer who interprets the standards and data for each process, and the inconsistent data processing method is applied, which may cause difficulties in process management occurring at the construction site.

따라서, 건설공사의 각 공정별로 목표한 데이터와 획득한 데이터에 대해, 주관적이고 일관성이 부족한 건설데이터 처리방식을 객관적이며 체계적인 처리방식으로 전환할 필요성이 요구되며, 데이터 획득 및 해석에 이르기까지 일관성있는 객관적인 결과를 도출할 수 있는 시스템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vert the subjective and inconsistent construction data processing method into the objective and systematic processing method for the target data and the acquired data for each process of construction work. It is urgent to develop a system that can produce objective results.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건설공사의 각 공정별로 설정된 목표 생산량에 따른 기준 순환시간과, 실제 순환시간을 객관적으로 비교 및 분석가능한 통계기반 실시간 건설 생산성 분석장치 및 분석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statistics-based real-time construction productivity analysis device and analysis method that can objectively compare and analyze the reference cycle time and the actual cycle time according to the target production amount set for each process of construction work The purpose is to provid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 공정별 기준 순환시간과, 실제 순환시간의 오차허용범위를 순환시간을 변동시킬 수 있는 다양한 변수에 맞도록 유동적으로 조절가능한 통계기반 실시간 건설 생산성 분석장치 및 분석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atistical-based real-time construction productivity analysis device and analysis method that can be flexibly adjusted to meet various cycles that can vary the cycle time and the standard cycle time for each process, and the actual allowable error of the cycle time It aims to do i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 공정별 지체요인 및 각 장비별 지체요인을 구분가능하도록 파악할 수 있는 통계기반 실시간 건설 생산성 분석장치 및 분석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atistical real-time construction productivity analysis device and analysis method that can be identified to distinguish the delay factors for each process and the delay factors for each equipment.

본 발명은 건설공사의 각 공정별로 설정된 목표 순환시간과, 실제 획득된 순환시간을 윌콕슨 부호순위 테스트(Wilcoxon Signed Rank Test) 통계기법을 이용하되, 각 공정별 또는 각 장비별로 설정된 신뢰도인 유의수준과 상기 목표 순환시간 및 획득 순환시간 간의 유의확률을 비교하여 두 데이터 간의 유사도를 판단한다.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Wilcoxon Signed Rank Test statistical technique for the target cycle time and the actual cycle time set for each process of the construction work, but the significance level of reliability set for each process or for each equipment And similarity between the target circulation time and the acquisition circulation time to determine the similarity between the two data.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건설공사의 각 공정별 계획을 객관적이며 일관적으로 수립하여 수행할 수 있으며, 지체요인이 발생한 해당 공정 또는 해당 장비를 실시간으로 파악가능하고, 이에 따라 해당 공정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각 공정별로 오차허용범위를 각기 다르게 설정할 수 있어 다양한 지체요인에 대한 변수에 따라 유연하게 적용하여 분석가능하고, 기준 순환시간 및 실제 순환시간의 유사성을 객관적으로 판단하여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can be carried out by objectively and consistently establishing a plan for each process of the construction work, and can grasp the process or the equipment in which the delay factor occurred in real time, As a result, the productivity of the process can be improved, and the tolerance range of each process can be set differently so that it can be flexibly applied and analyzed according to variables for various delay factors, and the similarity between the reference cycle time and the actual cycle time It can be judged objectively and systematically and efficiently monitored.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설공사의 각 장비의 구동 시각 및 위치를 기반으로, 상기 각 장비가 수행하는 각 공정별 순환시간을 실시간으로 제공하도록 구비되는 순환시간 제공장치; 상기 순환시간 제공장치로부터 실시간으로 출력된 각 공정별 순환시간을 입력받고, 각 공정에서 기 설정된 생산성에 따라 최적화된 기준 순환시간과 비교하여 유의확률(P-value)을 산출하며, 각 공정별로 설정된 신뢰도인 유의수준과 상기 유의확률을 비교하여 상기 순환시간 및 상기 기준 순환시간 간의 유사한 정도를 출력하는 중앙관리장치; 상기 중앙관리장치에서 출력된 상기 순환시간 및 상기 기준 순환시간의 유사도가 낮은 경우, 각 공정에서 발생된 지연 요인을 제거하도록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결과데이터 출력장치; 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driving time and position of each equipment of the construction work, the circulation time providing apparatus is provided to provide in real time the cycle time for each process performed by each equipment; Receives a cycle time for each process output in real time from the cycle time providing device, calculates a significant probability (P-value) by comparing with the reference cycle time optimized according to the productivity set in each process, and set each process A central management device for comparing a significance level of reliability with the significance probability and outputting a similar degree between the circulation time and the reference circulation time; A result data output device for outputting to the user to remove a delay factor generated in each process when the degree of similarity between the circulation time and the reference circulation time output from the central management device is low; It includes.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앙관리장치는 각 공정별로 상기 순환시간 관리장치에서 전달된 각 장치의 실시간 순환시간과, 기 설정된 기준 순환시간이 각각의 그룹을 이루도록 구비되는 데이터 군집부; 상기 데이터 군집부에서 군집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순환시간과 상기 기준 순환시간을 비교하고, 통계기반으로 유의확률을 산출하는 데이터 비교부; 상기 유의확률을 상기 유의수준과 비교하되, 상기 유의확률이 상기 유의수준을 초과하면 상기 각 순환시간이 유사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유의확률이 상기 유의수준 미만이면 상기 각 순환시간이 상이한 것으로 판단하는 데이터 판단부; 로 구성되는 통계기반 유사성 산출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central management device comprises: a data cluster configured to form a real-time circulation time and a predetermined reference circulation time of each device delivered from the circulation time management device for each process to form a group; A data comparison unit comparing the circulation time with the reference circulation time by using the data clustered in the data cluster and calculating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robability; The significance probability is compared with the significance level, but if the significance probability exceeds the significance level, each cycle time is determined to be similar, and if the significance probability is less than the significance level, the data is determined to be different from each cycle time. Determination unit; Statistics-based similarity calculation means consisting of;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계기반 실시간 건설 생산성 분석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구성도이다. 도면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통계기반 실시간 건설 생산성 분석장치(1)는 건설공사의 각 공정별로 각 장비가 식별가능한 코드를 무선으로 출력하고, 이를 기반으로 건설공사의 각 공정별로 계획된 생산량에 따른 기준 순환시간(Cycle Time)과의 유사성을 비교 및 분석하여 목표 생산량에 근접했는지의 여부를 실시간으로 사용자에게 출력한다.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tatistical real-time construction productivity analysis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drawings, the statistical real-time construction productivity analysis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relessly outputs a code that can be identified by each equipment for each process of the construction work, based on this for each process of the construction work It compares and analyzes the similarity with the standard cycle time according to the planned output and outputs to the user in real time whether or not it is close to the target output.

이를 위하여, 통계기반 실시간 건설 생산성 분석장치(1)는 건설공사의 각 공 정에 따른 각 장비를 식별코드를 이용하여 구분하도록 부착되는 RFID 태그(10)와, 상기 각 장비가 각 공정에서 소요하는 순환시간을 체크하여 순환시간에 따른 데이터를 관리하는 순환시간 관리장치(30)와, 상기 순환시간 관리장치(3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받아 통계기반으로 생산성 도달 여부를 분석하는 중앙관리장치(50)와, 상기 중앙관리장치(50)의 분석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결과데이터 출력장치(70)를 포함한다.To this end, the statistical real-time construction productivity analysis device 1 is an RFID tag 10 attached to distinguish each equipment according to each process of the construction work using an identification code, and each equipment is required in each process The circulation time management device 30 for managing data according to the circulation time by checking the circulation time, and the central management device for receiving the data transmitted from the circulation time management device 30 to analyze whether the productivity reached on a statistical basis ( 50 and a result data output device 70 for outputting the analysis data of the central management device 50 to the user.

여기서, RFID 태그(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 10)는 대상물인 각 공정에 따른 장비에 부착되는데, 대상물의 각종 정보를 담은 소형의 칩을 내장하며, 이 정보는 전파식별(電波識別) 판독기인 상기 RFID 리더기(31)를 통하여 유선은 물론 무선 통신 등의 다양한 통신 라인과 연동되어 관리 시스템에 이용된다.Here, the RFID tag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 10 is attached to the equipment according to each process, which is the object, a built-in small chip containing a variety of information of the object, the information is a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eader The reader 31 is used in a management system in conjunction with various communication lines such as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더불어, 상기 RFID 태그(10)는 수동형으로 구비되어 상기 RFID 리더기(31)로부터 전원을 얻는 것이 바람직하나, 능동형으로 형성되어 자체 전원으로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RFID tag 10 may be passively provided to obtain power from the RFID reader 31, but may be formed to be active and transmit data to its own power source.

또한, 순환시간 관리장치(30)는 상기 RFID 태그(10)의 식별코드를 읽어들이는 RFID 리더기(31)와, 상기 RFID 리더기(31)가 식별코드를 읽어들이는 시간에 동기되어 상기 RFID 태그(10)가 읽히는 시각을 출력하는 시간 제공부(33)와, 상기 RFID 리더기(31)가 위치한 위치를 출력하는 위치 제공부(34)가 구비된다.In addition, the circulation time management device 30 is an RFID reader 31 for reading the identification code of the RFID tag 10 and the RFID tag in synchronization with the time when the RFID reader 31 reads the identification code. And a time providing unit 33 for outputting the time at which 10 is read, and a position providing unit 34 for outputting the position where the RFID reader 31 is located.

그리고, 상기 RFID 리더기(31)가 읽은 식별코드, 시간 제공부(33)의 시각, 위치 제공부(34)의 위치를 입력받아 송신을 위하여 출력 및 제어하는 제어부(32)와, 상기 제어부(32)의 제어로 상기 데이터를 근거리로 송신하기 위한 통신수 단(3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32 receives the identification code read by the RFID reader 31, the time of the time providing unit 33, and the position of the location providing unit 34 to output and control for transmission, and the control unit 32 Control unit 35 for transmitting the data in the near field under the control of the < RTI ID = 0.0 >

이때, 제어부(32)는 상기 RFID 리더기(31)가 식별코드를 읽어들이는 시각을 입력받기 위하여, 상기 RFID 리더기(31)로부터 식별코드가 들어오면, 시간 제공부(33)를 동기시켜 식별코드를 읽는 시각을 출력하도록 제어한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32, when the identification code is received from the RFID reader 31 in order to receive the time when the RFID reader 31 reads the identification code, synchronizes the time providing unit 33 to identify the identification code Controls the output of reading time.

그 이유는, 상기 RFID 태그(10)가 부착된 장비가 상기 RFID 리더기(31)를 지나갈 때의 시각을 얻으면, 상기 RFID 리더기(31)가 상기 장비가 시작되는 시각 및 종료되는 시각을 알 수 있으며, 상기 장비가 임의의 한 공정에 투입되는 시간을 알 수 있고, 이에 따라 생산성을 가늠할 수 있기 때문에, RFID 리더기(31)가 상기 RFID 태그(10)를 읽어들이는 시각을 출력하도록 제어한다.The reason is that when the device with the RFID tag 10 attached to obtain the time when the device passes the RFID reader 31, the RFID reader 31 can know the start time and the end time of the device. In addition, since the time required for the equipment to be put into any one process and the productivity can be estimated accordingly, the RFID reader 31 is controlled to output the time when the RFID tag 10 is read.

또한, 위치 제공부(34)는 상기 RFID 리더기(31)가 구비된 위치를 제공하도록 구비되는데, 상기 순환시간 관리장치(30)가 고정형일 경우에는 그 좌표를 기 저장할 수 있지만, 상기 순환시간 관리장치(30)가 이동형일 경우에는 그 좌표를 정확히 파악할 수 없기 때문에, 상기 시간 제공부(33)와 동일한 매커니즘으로 동기되어 좌표를 출력하도록 구비된다.In addition, the position providing unit 34 is provided to provide a position where the RFID reader 31 is provided. When the circulation time management device 30 is fixed, the position providing unit 34 may be pre-stored, but the circulation time management is performed. When the device 30 is mobile, the coordinates thereof cannot be accurately known, and thus the coordinates are output in synchronization with the same mechanism as the time providing unit 33.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간 제공부(33)와 위치 제공부(34)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로 통합되어 구비되는 변경도 가능하다.Preferably, the time providing unit 33 and the position providing unit 34 may be modified by being integrated with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그리고, 통신수단(35)은 상기 중앙관리장치(50)가 근거리 내에 위치할 경우에 데이터의 전송을 위하여 구비되는데, 중앙관리장치(50)가 원거리에 있을 경우에는 통신수단(35) 외에, 장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이 더 구비된다.And, the communication means 35 is provided for the transmission of data when the central management unit 50 is located within a short distance, if the central management unit 50 is at a long distance, in addition to the communication means 35, long distance A module for communication is further provided.

본 발명에 따른 도 1에서는 통신수단(35)과 중앙관리장치(50)가 근거리에 있 는 경우를 도시하여 이에 따라 설명하며, 중앙관리장치(50)가 원거리에 있는 경우는 이하 실시예에서 설명하기로 한다.In FIG.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ase in which the communication means 35 and the central management apparatus 50 are located at a short distance is illustrated and described accordingly. A case where the central management apparatus 50 is at a distance will be described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Let's do it.

여기서, 통신수단(35)은 바람직하게는 무선랜(Wireless LAN)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전자파 또는 광(적외선) 등의 전선 이외의 전송로를 이용하여 통신망을 형성하고, 일정 구간 내에서 통신이 가능한 무선랜은 개인용 PC에 무선랜을 위한 랜카드만 장착되면 통신이 가능하기 때문에 중앙관리장치(50)가 근거리에 있을 경우에는 이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communication means 35 is preferably provided as a wireless LAN, but forms a communication network by using a transmission path other than a wire such as electromagnetic waves or light (infrared), and communicates within a predetermined section. This wireless LAN is preferably used when the central management device 50 is located in the short distance because it is possible to communicate if only the LAN card for the wireless LAN mounted on a personal PC.

또한, 통신수단(35)으로부터 중앙관리장치(50)로 데이터가 전송됨에 있어서, 일정 구역 내에 무선망을 형성시키기 위한 무선접속장치(AP: Access Point, 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일정 구간 내에서 무선으로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망 내에서 랜카드를 통하여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data is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means 35 to the central management device 50, a wireless access device (AP) (not shown) for forming a wireless network in a predetermined area may be further provided, and Through the Internet can be used within a certain period by wireless, the Internet service can be used through a LAN card in the network.

더불어, 중앙관리장치(50)는 상기 무선접속장치(미도시)를 통하여 상기 순환시간 관리장치(30)로부터 송신된 각 데이터를 수신받기 위한 통신수단(51)과, 상기 통신수단(51)에서 전달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장비의 순환시간을 업데이트하고, 이에 따른 생산성을 분석하며, 데이터베이스(55)에 각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5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central management device 50 is a communication means 51 for receiving each data transmitted from the circulation time management device 30 through the radio access device (not shown), and in the communication means 51 The control unit 53 is configured to update the circulation time of each device by using the transmitted data, analyze the productivity accordingly, and store each data in the database 55.

여기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통계기반 유사성 산출수단(57)이 포함되는데, 이는 상기 순환시간 관리장치(30)로부터 수신된 실시간 건설 데이터인 각 공정별 각 장비의 순환시간과, 각 공정별로 목표한 생산성에 따른 각 공정별 각 장비의 순환시간을 비교하고, 목표치에 근접하지 못한 순환시간을 가지는 공정이 파악되면 이를 사용자에게 출력하여 지연 요인을 제거하도록 구비된다.Here, the statistics-based similarity calculation means 57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ncludes the cycle time of each equipment for each process, which is the real-time construction data received from the cycle time management device 30, and the target for each process Comparing the circulation time of each equipment for each process according to a productivity, and if the process having a circulation time that is not close to the target value is identified, it is provided to the user to remove the delay factor.

다시 말하면, 목표한 건설 생산성을 각 공정별 순환시간을 기준으로 파악하는데, 실시간으로 획득된 각 공정별 순환시간이 목표 생산량에 따른 기준 순환시간에 근접한지, 즉 실시간 순환시간과 기준 순환시간의 유사도를 통계기반으로 파악하고, 각 공정별로 설정된 유사도 범위 내이면 『유사하다』라고 판단하여 계속적으로 실시간으로 각 공정별 순환시간을 모니터링하지만, 각 공정별로 설정된 유사도 범위 외이면 『상이하다』라고 판단하여 해당 공정으로 순환시간 지연(Delay) 요인을 파악하도록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target construction productivity is identified based on the cycle time for each process, and whether the cycle time for each process acquired in real time is close to the reference cycle time according to the target production, that is, the similarity between the real time cycle time and the reference cycle time. It is determined based on statistics, and if it is within the range of similarity set by each process, it is judged as `` similar '' and continuously monitors the circulation time for each process in real time. It outputs to the user to identify the delay time delay factor.

그래서, 통계기반 유사성 산출수단(57)은 상기 데이터베이스(55)로 각 공정별로 획득된 순환시간 데이터 및 기 저장된 기준 순환시간 데이터를 읽어들인다.Thus, the statistical-based similarity calculating means 57 reads out the circulation time data and the pre-stored reference circulation time data acquired for each process into the database 55.

그리고, 데이터 군집부(57a)에서 일정시간동안 축적된 실제 순환시간 데이터들은 해당 계획 순환시간 데이터와 각각 군집을 이루어 통계기반 유사성 분석을 위한 입력 데이터 형태로 구성시키고, 상기 데이터 군집부(57a)의 출력을 이용하여 데이터 비교부(57b)에서는 실제 순환시간 데이터와 기 저장된 계획 순환시간 데이터의 유사도를 산출하기 위해 통계기반으로 비교하며, 데이터 판정부(57c)에서는 역시 통계기반으로『유사하다』또는『상이하다』를 판단하여 출력한다.In addition, the actual circulation time data accumulated for a predetermined time in the data cluster 57a are clustered with the corresponding planned circulation time data to form an input data for statistical-based similarity analysis, and the data cluster 57a of the data cluster 57a. Using the output, the data comparator 57b compares on the basis of statistics to calculate the similarity between the actual cycle time data and the pre-stored planned cycle time data, and the data determination unit 57c also is "similar" on the basis of statistics. It judges and outputs "different."

여기서, 데이터를 비교하여 유사도를 산출하는 통계기법으로 불특정 두 집단 간의 비교에 널리 적용되는 윌콕슨 부호순위 테스트 (Wilcoxon Signed Rank Test) 기법을 사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통계기반 유사성 산출수단(57)을 구현하도록 한 다.Here, the statistical-based similarity calculating means 57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ing the Wilcoxon Signed Rank Test technique which is widely applied to comparison between two unspecified groups as a statistical technique for comparing the data and calculating the similarity. To be implemented.

윌콕슨 부호순위 테스트는 비정규분포를 이루고 있는 한 쌍의 표본 데이터를 비교하기 위한 검증방법으로서, 기준 순환시간 및 실제 순환시간의 차이를 유의확률(有意確率, P-Value)로 산출하고, 상기 유의확률에 대한 기준값인 유의수준(有意水準, Level of Significance)과 비교하여 산출된 유의확률이 기준값인 유의수준을 초과한 경우에는, 상기 기준 순환시간 및 실제 순환시간이『유사하다』라고 판단한다.The Wilcoxon code rank test is a verification method for comparing a pair of sample data having a non-normal distribution. The Wilcoxon rank order test calculat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cycle time and the actual cycle time with a significant probability (P-Value), When the significance probability calculated by comparison with a level of significance, which is a reference value for probability, exceeds the significance level, which is a reference value, it is determined that the reference circulation time and the actual circulation time are "similar".

반대로, 상기 유의확률에 대한 기준값인 유의수준과 비교하여 산출된 유의확률이 기준값인 유의수준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기준 순환시간 및 실제 순환시간이『상이하다』라고 판단한다.On the contrary, when the significance probability calculated by comparing with the significance level as the reference value for the significance probability is less than the significance level as the reference value, it is determined that the reference circulation time and the actual circulation time are "different".

그 이유는, 사용자가 각 공정별로 정해놓은 신뢰성 기준인 유의수준이 99%, 95% 또는 90% 인 경우에, 상기 유의확률이 상기 유의수준의 범위 내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에는 두 비교값이 유의(有意)한 차이가 있는 것이므로, 이에 따라 유의확률(P-Value)이 사용자가 설정한 범위 내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에는 각 공정별로 허용하는 순환시간 범위를 벗어난 경우이고,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각 공정별로 데이터가 상이한 이유 즉, 순환시간이 지연된 이유를 알려야 하기 때문이다.The reason is that when the significance level set by the user for each process is 99%, 95% or 90%, the two comparison values are significant when the significance probability is not included in the range of the significance level. Since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f the P-value is not within the range set by the user, it is outside of the allowable cycle time range for each process. This is because it is necessary to inform why the cycle is different, that is, the circulation time is delayed.

더불어, 상기 유의확률이 상기 유의수준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경우에는, 두 비교값이 유의(有意)한 차이가 없는 것이고, 이에 따라 유의확률(P-Value)이 사용자가 설정한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경우에는, 각 공정별로 허용하는 순환시간 범위 내에 존재하는 경우이고,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각 공정별로 순환시간이 지연된 이 유를 알 필요가 없으므로 계속적으로 순환시간을 모니터링한다.In addition, when the significance probability is included in the range of the significance level,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comparison values, whereby the P-value is included in the range set by the user. In this case, it exists in the range of circulation time allowed for each process, and through this, the user does not need to know the reason why the circulation time is delayed for each process, thereby continuously monitoring the circulation time.

이를 산출하기 위하여, SAS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SAS 프로그램은 입력 명령문에 의해서 쌍을 이루는 기준 순환시간 및 측정된 순환시간 간의 차이를 산출하며, 그 이후에 PROC UNIVARIATE 명령문을 통하여 결과치를 유도한다.In order to calculate this, it is preferable to use a SAS program, which calculat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cycle time and the measured cycle time paired by the input statement, and then derives the result value through the PROC UNIVARIATE statement. .

그리고, 상기 SAS 프로그램의 결과치가 출력되는데 이는 유의확률(P-Value)이며, 이는 사용자가 각 공정별로 설정한 신뢰성 기준인 99%, 95%, 또는 90% 의 유의수준에서 두 데이터 값과의 유사성을 판단하는데, 이는 상기『유사하다』또는『상이하다』를 판단하는 과정에 언급되어 있다.The result of the SAS program is output, which is a P-value, which is similar to the two data values at a significance level of 99%, 95%, or 90%, which is a reliability standard set by each user. Which is mentioned in the process of judging "similar" or "different".

따라서, 상기 통계기반 유사성 산출수단(57) 중 데이터 판정부(57c)에서『상이하다』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제어부(53)를 통하여 통신수단(51)으로 이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각 공정별 순환시간 관리장치(30)에 연결된 컴퓨터 또는 해당 공정의 지연이유를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출력한다.Therefor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ata determination unit 57c is "different" in the statistical-based similarity calculating means 57, the communication means 51 manages the circulating time for each process through the control unit 53. A computer connected to the device 30 or outputs so that the user knows the reason for the delay of the process.

이를 위하여, 결과데이터 출력장치(7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사용자에게 실제 순환시간과 기준 순환시간 간의 차이가 발생한 원인을 제거하도록 출력하며, 상기 중앙관리장치(50)로부터 전달된『상이하다』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통신수단(35)을 통해 제어부(71)로 전달되고, 이를 디스플레이 수단(73)으로 사용자에게 출력한다.To this end, it is preferable that the result data output device 70 is provided, which outputs to the user to eliminate the cause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actual circulation time and the reference circulation time, and the " different " Data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71 through the communication means 35, and is output to the user via the display means 73.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신수단(35)과 연결되지 않고 상기 결과데이터 출력장치(70)에 무선통신수단(미도시)을 갖추어 상기 중앙관리장치(50)로부터 직접적으로 데이터를 수신받아 사용자가 지연이 발생하는 해당 공정을 구분가능하도록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Preferably, a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not shown) is provided in the result data output device 70 without being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means 35 to receive data directly from the central management device 50 so that the user may experience a delay. It is also possible to output the process in question so that it can be distinguished.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앙관리장치(50)에 데이터베이스(55)가 설치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장치가 원격지에 있는 경우에는 CDMA 를 포함하는 장거리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 수신하는 것도 가능하다.Preferably, if the database 55 is not installed in the central management apparatus 50, and the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is located at a remote location, it is also possible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using a long distance communication means including CDMA. .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계기반 실시간 건설 생산성 분석장치의 RFID 태그가 부착된 1 개의 장치가 구동되는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계기반 실시간 건설 생산성 분석장치의 RFID 태그가 부착된 M 개의 장치가 구동되는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이다.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one device with an RFID tag of the statistical real-time construction productivity analysis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riven, and FIG. 3 is a statistical real-time construction productivity analysis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schematically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the M devices with the RFID tag of is driven.

도면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임의의 장비 1 개에 장착된 1 개의 RFID 태그(10(1))가 N 개의 임의의 공정을 순환하는 시간을 체크한다고 가정하고, 이에 따라 N 개의 임의의 공정으로 이루어지므로 N 개의 공정에 따라 순환시간 관리장치(30)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순환시간 관리장치(30)에 연결된 결과데이터 출력장치(70)가 각각 구비된다고 가정한다.As shown in the figure, it is assumed that one RFID tag 10 (1) mounted on one arbitrary piece of equipment checks a time for circulating N arbitrary processes, and accordingly N random processes Since the circulation time management device 30 is provided according to the N processes, respectively, it is assumed that the result data output device 70 connected to the circulation time management device 30 is provided.

우선, 각 공정에 따른 각 장비는 시작하는 지점인 제1 순환 시작점에서, 상기 제1 순환 시작점을 지나는 장비에 부착된 RFID 태그(10(1))를 읽어들이고, RFID 태그(10(1))에 상기 장비를 식별가능한 코드와 상기 RFID 리더기(31)가 설치된 위치, 및 상기 코드를 읽어들인 시각을 중앙관리장치(50)로 송출한다.First, each equipment according to each process reads the RFID tag 10 (1) attached to the equipment passing through the first circulation start point at the first circulation start point, which is a starting point, and the RFID tag 10 (1). The code identifying the equipment, the position where the RFID reader 31 is installed, and the time at which the code is read are sent to the central management apparatus 50.

그리고 나서, N 개의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순환(Cycle)을 완료할 때까지 각 순환 시작점 및 순환 종료점에 구비된 순환시간 관리장치(30a, 30b)는 상기 중앙관리장치(50)로 데이터를 송출한다.Then, the circulation time management devices 30a and 30b provided at each circulation start point and the circulation end point transmit data to the central management device 50 until the cycle of N processes is completed.

그리고, N 개의 공정이 완료되고 나면, 순환시간(Cycle Time)에 대한 데이터와, 상기 순환시간에 대한 각 공정별 목표 데이터를 비교 및 분석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유사도 범위 내이면 계속적으로 모니터링을 진행하고, 사용자가 설정한 유사도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이를 통보하여 기준 순환시간 범위를 벗어난 해당 공정에 지체 요인이 제거되도록 한다.After the N processes are completed, the data on the cycle time and the target data for each process for the cycle time are compared and analyzed to continuously monitor the data within the range of similarity set by the user. For example, if the user is outside the range of similarity set by the user, the user is notified so that the delay factor is removed from the process outside the standard cycle time range.

한편, 임의의 장비 M 개에 장착된 M 개의 RFID 태그(10(1), 10(2), ‥10(M))가 N 개의 임의의 공정을 순환하는 시간을 체크한다고 가정하고, 이에 따라 N 개의 임의의 공정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N 개의 공정에 대응되는 순환시간 관리장치(30)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순환시간 관리장치(30)에 연결된 결과데이터 출력장치(70)가 각각 구비된다고 가정한다.On the other hand, it is assumed that the M RFID tags 10 (1), 10 (2), ... 10 (M) mounted on M pieces of arbitrary equipment check the time for circulating N arbitrary processes, and thus N It is assumed that the circulation time management device 30 corresponding to the N processes is provided, respectively, and the result data output device 70 connected to the circulation time management device 30 is provided.

그리고, 각 공정에 따른 각 장비는 시작하는 지점인 제1 순환 시작점에서, 상기 제1 순환 시작점을 지나는 장비에 부착된 RFID 태그(10(1))를 읽어들이고, RFID 태그(10)에 상기 장비를 식별가능한 코드와 상기 RFID 리더기(31)가 설치된 위치, 및 상기 코드를 읽어들인 시각을 중앙관리장치(50)로 송출한다.In addition, each device according to each process reads the RFID tag 10 (1) attached to the equipment passing through the first circulation start point at the first circulation start point, which is a starting point, and the equipment is read to the RFID tag 10. The identification code, the position where the RFID reader 31 is installed, and the time at which the code is read are transmitted to the central management apparatus 50.

그리고 나서, N 개의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순환(Cycle)을 완료할 때까지 각 순환 시작점 및 순환 종료점에 구비된 순환시간 관리장치(30a, 30b)는 상기 중앙관리장치(50)로 데이터를 송출한다.Then, the circulation time management devices 30a and 30b provided at each circulation start point and the circulation end point transmit data to the central management device 50 until the cycle of N processes is completed.

그리고, N 개의 공정이 완료되고 나면, 순환시간(Cycle Time)에 대한 데이터 와, 상기 순환시간에 대한 각 공정별 목표 데이터를 비교 및 분석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유사도 범위 내이면 계속적으로 모니터링을 진행하고, 사용자가 설정한 유사도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이를 통보하여 기준 순환시간 범위를 벗어난 해당 공정에 지체 요인이 제거되도록 한다.After the N processes are completed, the data on the cycle time and the target data for each process for the cycle time are compared and analyzed to continuously monitor the data within the range of similarity set by the user. For example, if the user is outside the range of similarity set by the user, the user is notified so that the delay factor is removed from the process outside the standard cycle time range.

더불어, RFID 태그(10(1)) 외에 상기 동일한 순환(Cycle)을 가지는 공정을 지나는 각 장비가 M 개 있다고 가정했으므로, 이에 따라 상기 과정을 동일하게 진행하되, 동일한 공정을 진행하는 장비라도 생산성이 각기 다를 수 있으므로, 이를 구별하여 동일한 공정에 대한 각 장비별로 생산성을 체크하여 해당 장비의 지연요인을 제거하도록 이루어지는 것도 바람직하다.In addition, since it is assumed that there are M pieces of equipment passing through the process having the same cycle in addition to the RFID tag 10 (1), the same process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above, but even if the equipment undergoes the same process, productivity is increased. Since it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it is desirable to be made to distinguish the productivity by checking the productivity of each equipment for the same process to eliminate the delay factor of the equipment.

여기서, 상기 RFID 태그(10(1), 10(2), ‥10(M)) 가 동시에 동일한 공정을 진행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RFID 리더기(31)가 스캔하는 일정영역에 다수개의 RFID 태그(10(1), 10(2), ‥10(M))가 존재할 경우 간섭으로 인하여 데이터를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할 수 있기 때문이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RFID tags 10 (1), 10 (2), ... 10 (M) do not simultaneously proceed with the same process, because a large number of them exist in a predetermined area scanned by the RFID reader 31. This is because, when there are two RFID tags 10 (1), 10 (2), ... 10 (M), data may not be accurately identified due to interference.

도 4a, 도 4b,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통계기반 실시간 건설 생산성 분석장치 중 순환시간 관리장치, 중앙관리장치, 결과데이터 출력장치의 구동을 각각 분리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4A, 4B, and 4C are diagrams for separately explaining driving of a circulation time management device, a central management device, and a result data output device among statistical statistical real-time construction productivity analysis devic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서,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통계기반 실시간 건설 생산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데이터 수집 및 분석에 따른 구동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이며, 도면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 수집 및 분석을 위한 구동을 토공사 작업에서 흙을 운반하여 덤핑(Dumping)하는 공정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4A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embodiment of driving according to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in order to analyze statistics-based real-time construction productiv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s shown in the figure, the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n example, a process for dumping by transporting soil for collection and analysis to earthwork is described.

우선, 각 건설공정을 수행하는 건설장비에 RFID 태그(10)를 설치하는데, 건설생산성에 영향을 끼치는 주요 공정을 수행하는 건설장치를 선정하고, 해당 장비에 상기 RFID 태그(10)를 부착한다.First, to install the RFID tag 10 in the construction equipment to perform each construction process, select a construction device that performs the main process affecting the construction productivity, and attach the RFID tag 10 to the corresponding equipment.

그리고, 건설공정의 주요 이벤트가 발생하는 지점에 RFID 리더기(31)를 설치하는데, 상기 RFID 태그(10)가 설치된 장비의 각 공정별 순환시간이 획득되는 적절한 장소에 RFID 리더기(31)를 설치하여 상기 RFID 태그(10)가 설치된 장비가 이 위치를 통과할 때 각 공정별 순환시간, 위치, 시각 등을 알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RFID reader 31 is installed at the point where the main event of the construction process occurs, and the RFID reader 31 is installed at an appropriate place where the circulation time for each process of the equipment in which the RFID tag 10 is installed is obtained. When the equipment equipped with the RFID tag 10 passes through this position, it is possible to know the circulation time, location, time, etc. for each process.

그리고 나서, 중앙관리장치(50)에 흙을 운반하여 덤핑하는 각 공정별로 기준 순환시간을 설정해놓고, 상기 기준 순환시간과 수집될 실제 순환시간의 신뢰도인, 즉 유사도 범위인 유의수준을 설정한다.Then, the reference circulation time is set for each process of transporting and dumping the soil to the central management device 50, and the significance level, that is, the range of similarity, is the reliability of the reference circulation time and the actual circulation time to be collected.

그리고 나서, 상차작업 시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순환데이터 관리장치(30)에서 상차작업에서 RFID 태그(10)를 부착한 임의의 장치가 소요하는 시간을 측정하여 이를 장거리 무선통신인 CDMA를 통하여 현장 사무실 메인컴퓨터 또는 관리/통제실의 메인 컴퓨터인 중앙관리장치(50)로 출력한다.Then, at the time of loading operation, the time required by any device attached with the RFID tag 10 in the loading operation in the cyclic data management device 30 u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s measured, and the site is operated through CDMA, which is a long 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Output to the central management unit 50 that is the main computer of the office main computer or the management / control room.

여기서,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통계기반 실시간 건설 생산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통계기반 유사성 산출수단이 구동되는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이며, 도면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메인 컴퓨터인 중앙관리장치(50)로 전송된 각 장비별 위치 및 순환시간에 대한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화되어 각 공정별 순환시간을 저장하도록 데이터베이스화된다.4B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statistics-based similarity calculating means is driven in order to analyze statistical-based real-time construction productiv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on the location and circulation time for each equipment transmitted to the device 50 is databased to store the circulation time for each process.

그리고, 상기 데이터베이스(55)에서 각 공정별 순환시간을 업데이트시켜 저장하고, 상기 토공사 작업에서 흙을 운반하여 덤핑(Dumping)하는 공정에 대한 각각의 기준 순환시간과, 실제 얻어진 순환시간을 데이터 군집부(57a)에서 군집화시킨다.In addition, the database 55 updates and stores the circulation time of each process in the database 55, and collects each reference circulation time for the process of dumping the soil by dumping the soil in the earthworks work, and the actual obtained circulation time. Cluster at 57a.

그리고 나서, 데이터 비교부(57b)에서 상기 군집된 기준 순환시간과, 실제 얻어진 순환시간을 비교하여 유의확률(P-Value)을 산출하며, 상기 산출된 유의확률과 각 공정별로 기 설정된 유사도 범위인 유의수준(Level of Significance) 내에 상기 유의확률이 존재하는지를 비교한다.Then, the data comparison unit 57b compares the clustered reference circulation time with the actually obtained circulation time to calculate a significant probability (P-Value), which is a similarity range preset for each process. The significance probability is compared within the level of significance.

또한, 상기 데이터 비교부(57b)의 비교 결과, 상기 유의확률이 유의수준 미만, 즉 두 데이터가 사용자가 기 설정한 유사도 범위 내에 있지 않은 경우에는 허용하는 오차범위를 벗어난 것이므로, 데이터 판정부(57c)에서는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 해당 공정의 데이터가 상이한 이유인 지체요인을 파악하도록 전달한다.In addition,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of the data comparator 57b, if the significance probability is less than the significance level, that is, if the two data are not within the range of similarity set by the user, the error range is outside the allowable error range. ) Informs the user and communicates the delay factors, which is why the data in the process is different.

반대로, 상기 데이터 비교부(57b)의 비교 결과, 상기 유의확률이 유의수준 초과, 즉 두 데이터가 사용자가 기 설정한 유사도 범위 내에 있는 경우에는 허용하는 오차범위 내에 존재하는 것이므로, 데이터 판정부(57c)에서는 이를 사용자에게 알리지 않고 계속적으로 데이터를 모니터링하도록 한다.On the contrary, when the comparison result of the data comparison unit 57b indicates that the significance probability is greater than the significance level, that is, when the two data are within the range of similarity set by the user, the data probability is 57b. ) Will continue to monitor the data without notifying the user.

여기서,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통계기반 실시간 건설 생산성이 분석되어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구동에 대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이고, 도면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중앙관리장치(50)의 데이터 판정부(57c)에서 사용자가 허용하는 오차범위 내에 실제 측정된 순환시간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를 사용자에게 알리도록 이루어진다.Here, Figure 4c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driving based on the statistical real-time construction productivity analysis is delivered to the u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figure, of the central management device 50 The data determination unit 57c informs the user when the actual measured circulation time does not exist within an error range allowed by the user.

이에 따라, 두 데이터값이 유사하지 않다고 판정되는 경우에는 CDMA 등을 이용한 장거리 통신망을 통하여, 각 공정별 RFID 리더기(31)가 설치된 장소의 컴퓨터를 포함하는 결과데이터 출력장치(70)로 전달하고, 사용자가 목표한 순환시간 내에 포함되지 않는 이유인 순환시간 지체요인을 사용자가 파악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ly,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wo data values are not similar, the data is transmitted to the result data output device 70 including the computer at the place where the RFID reader 31 for each process is installed through a long distance communication network using CDMA or the like. Allows the user to identify factors that cause delays in circulation time, which are not included in the user's target rotation time, and to take appropriate measures.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통계기반 실시간 건설 생산성 분석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통계기반 실시간 건설 생산성 분석방법은 건설공사의 각 공정별로 생산성 목표를 정하고, 이에 따라 생산성에 영향을 주는 공정 및 장비를 구분가능하도록 각 공정별로 기 설정된 생산성 목표에 따라, 각 공정에 따른 기준 순환시간을 입력한다(S10).5 is a flow chart schematically showing a statistical real-time construction productivity analysis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drawings, the statistical real-time construction productivity analysis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et the productivity target for each process of the construction work, and accordingly set in advance for each process to be able to distinguish the process and equipment affecting the productivity According to the productivity target, the reference cycle time for each process is input (S10).

그리고 나서, RFID 태그 및 RFID 리더기를 이용하여 장비의 순환시간을 모니터링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로 저장한다(S20).Then, using the RFID tag and the RFID reader to monitor the circulation time of the equipment, and stores it as a database (S20).

또한, 데이터 군집부에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실제 순환시간과, 각 공정별로 사용자가 설정한 목표에 따른 기준 순환시간을 군집화시키고(S30), 데이터 비교부에서 실제 순환시간과 기준 순환시간의 차이에 대한 유의확률을 산출하며, 사 용자가 설정한 신뢰도 및 오차범위인 유의수준 내에 상기 유의확률이 포함되는 지를 확인한다(S40).In addition, the data cluster unit clusters the actual cycle time stored in the database and the reference cycle time according to the target set by the user for each process (S30), and the data comparator takes note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actual cycle time and the reference cycle time. Probability is calculated and it is checked whether the significance probability is included in the significance level which is the reliability and the error range set by the user (S40).

그리고, 데이터 판정부에서 수집한 표본 데이터인 실제 순환시간이 기 설정한 목표 데이터인 기준 순환시간과 상기 오차범위를 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며(S50), 상기 데이터 판정부의 산출결과를 묻는 데이터가 유사한지의 여부를 묻는다(S60).Then,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actual circulation time, which is the sample data collected by the data determination unit, exceeds the reference circulation time, which is the preset target data, and the error range (S50). Ask whether it is similar (S60).

더불어, 상기 두 데이터가 유사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설정한 목표 데이터인 순환시간에 근접한 경우이므로, 계속적으로 모니터링을 하도록 각 공정에 따른 장비의 RFID 태그가 없을 때까지(S90), 상기 알고리즘을 반복하도록 상기 단계(S10)로 복귀한다.In addition, if the two data are similar, the case is close to the circulating time that is the target data set by the user, so that the algorithm is repeated until there is no RFID tag of the equipment according to each process for continuous monitoring (S90). Return to step S10.

반대로, 상기 두 데이터가 상이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설정한 목표 데이터인 순환시간에 근접하지 못한 경우이므로, 사용자에게 데이터 판정결과를 전송하고(S70), 지체요인을 분석하고 이를 제거하도록 하며(S80), 계속적으로 모니터링을 하도록 각 공정에 따른 장비의 RFID 태그가 없을 때까지(S90), 상기 알고리즘을 반복하도록 상기 단계(S10)로 복귀한다.On the contrary, if the two data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t is not close to the circulating time which is the target data set by the user. Therefore, the data determination result is transmitted to the user (S70), the delay factors are analyzed and removed (S80), Until there is no RFID tag of the equipment according to each process to continuously monitor (S90), the process returns to the step S10 to repeat the algorithm.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통계기반 실시간 건설 생산성 분석방법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통계기반 실시간 건설 생산성 분석방법은 건설현장 외부 공정(이벤트)과, 건설현장 내부 공정(이벤트)으로 이루어진다.6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showing an embodiment of a statistical-based real-time construction productivity analysis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figure, the statistical real-time construction productivity analysis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onstruction site external process (event) and the construction site internal process (event).

건설현장 외부 공정으로는 RFID 태그를 이용한 건설 데이터를 획득하여, 이를 무선랜 및 CDMA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며, 데이터 판정되면 이를 유사도에 따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것이다.As an external process of the construction site, construction data using an RFID tag is obtained, the data is transmitted using a wireless LAN and CDMA, and when the data is determined, the data is transmitted to the user according to similarity.

건설현장 내부 공정으로는 획득된 건설 데이터를 표본 데이터로 이용하여, 윌콕슨 부호순위 테스트 단계를 거쳐 데이터를 비교 및 판정하는 것이다.In the internal process of the construction site, the acquired construction data is used as sample data, and the data are compared and determined through the Wilcoxon code rank test step.

도 7 내지 도 11은 기준 순환시간과 수집된 순환시간이 상이한 경우의 생산성을 분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이고, 도 12 내지 도 15는 기준 순환시간과 수집된 순환시간이 유사한 경우의 생산성을 분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이다.7 to 11 are views illustrating a process of analyzing productivity when the reference circulation time and the collected circulation time are different, and FIGS. 12 to 15 illustrate the productivity when the reference circulation time and the collected circulation time are similar. Figure showing the process of doing.

도면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토공사의 흙을 운반할 경우의 순환시간을 측정하는데, 각 공정별 사용자의 목표 생산량에 따른 순환시간은 계획된 순환시간으로 기재되고, 제1 측정군과 제2 측정군으로 이루어지며, 이는 하기 표 1에 도시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circulation time is measured when transporting soil for earthworks, the circulation time according to the target production of the user for each process is described as the planned circulation time, the first measurement group and the second measurement group This is shown in Table 1 below.

공정별 순환시간(Cycle Time) 단위[분]Cycle Time Unit by Process [min] 계획된 순환시간Planned cycle time 측정된 순환시간Measured cycle time 제1 측정군First measurement group 제2 측정군2nd measuring group 1회차1st round 1919 1919 1919 2회차2nd round 1919 2222 2222 3회차3rd round 1919 2828 2222 4회차4th round 1919 2323 2323 5회차5th round 1919 3838 2424 6회차6th round 1919 2525 1919 7회차7th round 1919 2424 2424 8회차8th round 1919 4040 2020 9회차9th 1919 2121 2121 10회차10th 1919 2626 2323 P 값(Value)P value 0.00590.0059 0.02730.0273 유의 수준 & 비교 결과Significance level & comparison results 99% (1-0.99=0.01)99% (1-0.99 = 0.01) 0.01>P0.01> P 상이disparity 0.01<P0.01 <P 유사Similarity 95% (1-0.95=0.05)95% (1-0.95 = 0.05) 0.05>P0.05> P 상이disparity 0.05>P0.05> P 상이disparity 90% (1-0.9=0.1)90% (1-0.9 = 0.1) 0.1>P0.1> P 상이disparity 0.1>P0.1> P 상이disparity 판정 결과Judgment result 모든 유의 수준에서 상이Different at all significance levels 99% 유의 수준에서 유사Similar at 99% significance level 판정 결과에 따른 처리Processing according to the judgment result 지체요인제거, 판정결과전송Eliminate delay factors and send judgment results

상기 표 1에서는 윌콕슨 부호순위 테스트를 이용하되, 동일한 건설공정에 대하여 각 회차에 따른 순환시간을 기재하였으며,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는 각각의 장비 및 그외 변수에 따라 제1 측정군과 제2 측정군이 구분된다.In Table 1, the Wilcoxon code rank test was used, but the cycle time according to each cycle was described for the same construction process, and the first and second measurement groups according to each equipment and other variables performing the same process. This is distinguished.

즉, 제1 측정군은 제2 측정군보다 비교적 기준 데이터와의 차이가 많이 나는 경우이고, 제2 측정군은 제1 측정군보다 비교적 기준 데이터와의 차이가 많이 나지 않는 경우이다.That is, the first measurement group is a case where the difference from the reference data is much larger than the second measurement group, and the second measurement group is a case where the difference is not much different from the reference data than the first measurement group.

여기서, 제1 측정군은 사용자가 각 공정별로 기 설정한 오차허용범위 및 신뢰도인 유의수준 90%, 95%, 99% 범위 내에서 실제 획득 데이터와, 계획 데이터가 상이한 것으로 판정되어 사용자가 설정한 신뢰도 중 어느 것도 만족하지 못하며, 이에 따라 지체요인을 제거할 필요가 있고 사용자에게 이를 출력한다.Here, the first measurement group determines that the actual acquired data and the plan data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e ranges of 90%, 95%, and 99% of significance levels, which are preset tolerances and reliability levels for each process. None of the reliability is satisfied, so it is necessary to remove the delay factor and output it to the user.

그리고, 제2 측정군은 사용자가 각 공정별로 기 설정한 오차허용범위 및 신뢰도인 유의수준 90%, 95% 범위 내에서, 실제 획득 데이터와, 계획 데이터가 상이한 것으로 판정되지만, 유의수준 99% 범위 내에서는 사용자가 설정한 신뢰도를 만족한다.In addition, the second measurement group is determined to be different from the actual acquisition data and the planning data within a range of 90% and 95% of the significance level, which is the error tolerance range and reliability set by the user for each process, but the range of 99% of the significance level. It satisfies the reliability set by the user.

따라서, 사용자가 90% 또는 95% 로 신뢰도인 유의수준을 설정한 경우에는 상기 제2 측정군도 상기 제1 측정군과 동일한 과정으로 구동되어야 하지만, 사용자가 99% 로 신뢰도인 유의수준을 설정한 경우에는 상기 제2 측정군은 상기 제1 측정군과 다른 과정으로 구동되어야 하며, 설정한 신뢰도인 유의수준을 만족하기 때문에 상기 제1 측정군보다 비교적 유사하다라고 판단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에게 이를 출력하지 않는다.Therefore, when the user sets the significance level of confidence at 90% or 95%, the second measurement group should be driven in the same process as the first measurement group, but the user sets the significance level of reliability at 99%. The second measurement group should be driven in a different process from the first measurement group, and it is determined that the second measurement group is relatively similar to the first measurement group because it satisfies the set significance level. Do not.

덧붙이면, 도 7은 기준 순환시간과 실제 순환시간이 군집화된 것을 도시하고, 도 8은 데이터 유사성 검토를 위한 SAS 프로그래밍을 도시하며, 도 9 내지 도 10은 상기 기준 순환시간과 실제 순환시간의 유사도를 판단하기 위한 SAS 데이터 비교를 도시하고, 도 11은 SAS 유사성 판정인『상이하다』에 대한 데이터가 도시된다.In addition, FIG. 7 illustrates a clustering of the reference cycle time and the actual cycle time, FIG. 8 illustrates SAS programming for examining data similarity, and FIGS. 9 to 10 show similarities between the reference cycle time and the actual cycle time. A SAS data comparison is shown to determine, and FIG. 11 shows data for &quot; different &quot; which is a SAS similarity determination.

그리고, 도 12는 기준 순환시간과 실제 순환시간이 군집화된 것을 도시하며, 도 13은 데이터 유사성 검토를 위한 SAS 프로그래밍을 도시하고, 도 14 내지 도 15는 상기 기준 순환시간과 실제 순환시간의 유사도를 판단하기 위한 SAS 데이터 비교를 도시하며, 도 16은 SAS 유사성 판정인 『유사하다』에 대한 데이터가 도시된다.12 illustrates clustering of the reference cycle time and the actual cycle time, FIG. 13 illustrates SAS programming for examining data similarity, and FIGS. 14 to 15 illustrate similarities between the reference cycle time and the actual cycle time. A SAS data comparison is shown for determining, and FIG. 16 shows data for &quot; similar &quot; which is a SAS similarity determination.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 같은 특정 실시 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 청구 범위 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In the above described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way of exampl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specific embodiment,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described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Changes may be made as appropriat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계기반 실시간 건설 생산성 분석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tatistical real-time construction productivity analysis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계기반 실시간 건설 생산성 분석장치의 RFID 태그가 부착된 1 개의 장치가 구동되는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one device is attached RFID tag of the statistical real-time construction productivity analysis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계기반 실시간 건설 생산성 분석장치의 RFID 태그가 부착된 M 개의 장치가 구동되는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3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mbodiment in which M devices to which an RFID tag is attached in the statistical real-time construction productivity analysis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driven.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통계기반 실시간 건설 생산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데이터 수집 및 분석에 따른 구동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Figure 4a schematically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the drive according to the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in order to analyze statistics-based real-time construction productivity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통계기반 실시간 건설 생산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통계기반 유사성 산출수단이 구동되는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Figure 4b schematically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the statistical-based similarity calculation means is driven to analyze the statistical real-time construction productiv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통계기반 실시간 건설 생산성이 분석되어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구동에 대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Figure 4c schematically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the drive based on the statistical real-time construction productivity analysis is delivered to the user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통계기반 실시간 건설 생산성 분석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5 is a flow chart schematically showing a statistical real-time construction productivity analysis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통계기반 실시간 건설 생산성 분석방법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Figure 6 is a flow chart schematically showing an embodiment of a statistical real-time construction productivity analysis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 내지 도 11은 기준 순환시간과 수집된 순환시간이 상이한 경우의 생산성을 분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7 to 11 are views illustrating a process of analyzing productivity when the reference circulation time and the collected circulation time are different.

도 12 내지 도 15는 기준 순환시간과 수집된 순환시간이 유사한 경우의 생산 성을 분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12 to 15 are views illustrating a process of analyzing the productivity when the reference circulation time and the collected circulation time are similar.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도면 부호의 간단한 설명><Brief description of reference numera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통계기반 실시간 건설 생산성 분석장치1: Statistics based real-time construction productivity analysis device

10: RFID 태그 30: 순환시간 관리장치10: RFID tag 30: cycle time management device

31: RFID 리더기 32: 제어부31: RFID reader 32: control unit

33: 시간 제공부 34: 위치 제공부33: time provider 34: location provider

35: 통신수단 50: 중앙관리장치35: communication means 50: central management unit

51: 통신수단 53: 제어부 51: communication means 53: control unit

55: 데이터베이스 57: 통계기반 유사성 산출수단55: database 57: statistical based similarity calculation

70: 결과 데이터 출력장치 71: 제어부 70: result data output device 71: control unit

73: 디스플레이 수단73: display means

Claims (9)

건설공사의 각 장비의 구동 시각 및 위치를 기반으로, 상기 각 장비가 수행하는 각 공정별 순환시간을 실시간으로 제공하도록 구비되는 순환시간 제공장치;A circulation time providing apparatus provided based on a driving time and a position of each equipment of a construction work, to provide in real time a circulation time for each process performed by each equipment; 상기 순환시간 제공장치로부터 실시간으로 출력된 각 공정별 순환시간을 입력받고, 각 공정에서 기 설정된 생산성에 따라 최적화된 기준 순환시간과 비교하여 유의확률(P-value)을 산출하며, 각 공정별로 설정된 신뢰도인 유의수준과 상기 유의확률을 비교하여 상기 순환시간 및 상기 기준 순환시간 간의 유사한 정도를 출력하는 중앙관리장치;Receives a cycle time for each process output in real time from the cycle time providing device, calculates a significant probability (P-value) by comparing with the reference cycle time optimized according to the productivity set in each process, and set each process A central management device for comparing a significance level of reliability with the significance probability and outputting a similar degree between the circulation time and the reference circulation time; 상기 중앙관리장치에서 출력된 상기 순환시간 및 상기 기준 순환시간의 유사도가 낮은 경우, 각 공정에서 발생된 지연 요인을 제거하도록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결과데이터 출력장치;A result data output device for outputting to the user to remove a delay factor generated in each process when the degree of similarity between the circulation time and the reference circulation time output from the central management device is low; 를 포함하는 통계기반 실시간 건설 생산성 분석장치.Statistics based real-time construction productivity analysis device comprising a.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중앙관리장치는The central management device 각 공정별로 상기 순환시간 관리장치에서 전달된 각 장치의 실시간 순환시간과, 기 설정된 기준 순환시간이 각각의 그룹을 이루도록 구비되는 데이터 군집부;A data cluster configured to form a real time circulation time and a preset reference circulation time of each device transmitted from the circulation time management device for each process; 상기 데이터 군집부에서 군집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순환시간과 상기 기 준 순환시간을 비교하고, 통계기반으로 유의확률을 산출하는 데이터 비교부;A data comparison unit comparing the circulation time with the reference circulation time by using the data clustered by the data clustering unit, and calculating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robability; 상기 유의확률을 상기 유의수준과 비교하되, 상기 유의확률이 상기 유의수준을 초과하면 상기 각 순환시간이 유사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유의확률이 상기 유의수준 미만이면 상기 각 순환시간이 상이한 것으로 판단하는 데이터 판단부;The significance probability is compared with the significance level, but if the significance probability exceeds the significance level, each cycle time is determined to be similar, and if the significance probability is less than the significance level, the data is determined to be different from each cycle time. Determination unit; 로 구성되는 통계기반 유사성 산출수단;Statistics-based similarity calculation means consisting of;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계기반 실시간 건설 생산성 분석장치.Statistics-based real-time construction productivity analysis device comprising a. 청구항 2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상기 유의수준은 각 공정별 또는 각 장비별로 설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계기반 실시간 건설 생산성 분석장치.The significance level is statistical real-time construction productivity analysis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an be set for each process or for each equipment. 청구항 3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상기 유의수준은 99% 또는 95% 또는 90% 중 어느 하나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계기반 실시간 건설 생산성 분석장치.The significance level is selected based on any one of 99% or 95% or 90% statistics based real-time construction productivity analysis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결과데이터 출력장치는 해당 공정이 진행되는 위치에 구비된 상기 순환 시간 관리장치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계기반 실시간 건설 생산성 분석장치.The result data output device is a statistical real-time construction productivity analysis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the circulation time management device provided at the location where the process proceeds.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결과데이터 출력장치는 상기 지연 요인이 발생하는 해당 공정 또는 해당 장비를 구분가능하도록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계기반 실시간 건설 생산성 분석장치.The result data output device is a statistical real-time construction productivity analysis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outputting so that the process or equipment corresponding to the delay occurs.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순환시간 제공장치는 건설공사의 각 장비를 식별가능하도록 부착된 RFID 태그를 이용하고, 상기 RFID 태그를 일정 영역에서 읽어들이는 RFID 리더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계기반 실시간 건설 생산성 분석장치.The circulation time providing apparatus uses an RFID tag attached to identify each equipment of a construction work, and statistical real-time construction productivity analysis device comprising an RFID reader for reading the RFID tag in a predetermined area.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순환시간 제공장치와 상기 중앙관리장치와 상기 결과데이터 출력장치 간은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계기반 실시간 건설 생산성 분석장치.Statistics-based real-time construction productivity analysis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between the circulation time providing device, the central management device and the result data output device is connected by wireless or wired communication. 청구항 8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상기 순환시간 제공장치와 상기 중앙관리장치 간은 근거리 무선통신 또는 장거리 무선통신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계기반 실시간 건설 생산성 분석장치.Statistics-based real-time construction productivity analysis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between the circulation time providing device and the central management device is connected by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or long-range wireless communication.
KR1020070117861A 2007-11-19 2007-11-19 Method of Analizing the Construction Productivity Based on Statistics KR10099904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7861A KR100999041B1 (en) 2007-11-19 2007-11-19 Method of Analizing the Construction Productivity Based on Statistic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7861A KR100999041B1 (en) 2007-11-19 2007-11-19 Method of Analizing the Construction Productivity Based on Statistic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1459A true KR20090051459A (en) 2009-05-22
KR100999041B1 KR100999041B1 (en) 2010-12-09

Family

ID=40859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7861A KR100999041B1 (en) 2007-11-19 2007-11-19 Method of Analizing the Construction Productivity Based on Statistic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9041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05073A2 (en) * 2009-07-09 2011-01-13 Mimos Bhd. Job status monitoring method
WO2011091158A2 (en) * 2010-01-20 2011-07-28 Edward Ruben Mislavsky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project management attendant to any of various types of projects
KR101444539B1 (en) * 2012-11-15 2014-09-30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 apparatus for analyzing of construction process statistically
KR101988352B1 (en) * 2018-05-25 2019-09-30 (주)대우건설 Earth volume evaluation system using block ground modeling and 3d location information
KR20220138998A (en) * 2021-04-07 2022-10-14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Heavy machinery monitoring system for improving earthworks productivit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2629B1 (en) 2018-03-23 2019-11-0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Situational recognition system for construction site based vision and method, and method for productivity analysis of earthwork using it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31097A (en) 2002-05-17 2003-11-21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field work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05073A2 (en) * 2009-07-09 2011-01-13 Mimos Bhd. Job status monitoring method
WO2011005073A3 (en) * 2009-07-09 2011-03-31 Mimos Bhd. Job status monitoring method
WO2011091158A2 (en) * 2010-01-20 2011-07-28 Edward Ruben Mislavsky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project management attendant to any of various types of projects
WO2011091158A3 (en) * 2010-01-20 2011-11-10 Edward Ruben Mislavsky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project management attendant to any of various types of projects
KR101444539B1 (en) * 2012-11-15 2014-09-30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 apparatus for analyzing of construction process statistically
KR101988352B1 (en) * 2018-05-25 2019-09-30 (주)대우건설 Earth volume evaluation system using block ground modeling and 3d location information
KR20220138998A (en) * 2021-04-07 2022-10-14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Heavy machinery monitoring system for improving earthworks productiv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9041B1 (en) 2010-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4514B1 (en) Method of Analizing the Construction Productivity Using ???? Based 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KR100999041B1 (en) Method of Analizing the Construction Productivity Based on Statistics
CN102117730B (en) Method for processing parameter data of machine station in manufacturing process of semiconductor and device thereof
CN105378810A (en) Remote sharing of measurement data
CN104123519A (en) System for automatically detecting electronic products through two-dimension codes and method thereof
JP6978231B2 (en) Energy saving effect calculation device and method
CN112039073B (en) Collaborative optimization method and system suitable for fault judgment of power distribution room equipment
JP7071563B1 (en) Work record management system and work record management method
CN110097275A (en) A kind of family change relational checking method and device based on platform area power failure data
CN109615723A (en) Inspection route coverage condition automatic analysis method and system
CN110260790A (en) A kind of detection device and its detection method of the punching angle steel based on 3D vision
CN115938009B (en) Intelligent electronic inspection positioning method and system
RU2718414C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ccess to potentially hazardous equipment
CN111588476B (en) Method and system for realizing multi-zone surgical operation control and readable storage medium
CN109087419A (en) The setting method and device of monitoring frequency
CN114066181A (en) Intelligent state evaluation system for thermal equipment
CN113470211A (en) Routing inspection track management method and device based on beacon identification
KR102109652B1 (en) Production management system using real time power consumption alalysys of production facilities installed in industry site
CN110996195A (en) System, method, device, terminal and medium for identifying use state of ODN equipment terminal
WO2021055931A1 (en) Smart dust cap
CN110910042A (en) Electric field high-altitude operation behavior evaluation method and system based on GPS technology
CN110471967A (en) A kind of test data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KR102229183B1 (en) Management system for outdoor exercise equipment
RU2699825C1 (en) Method of accounting and control of working hours based on application of energy-saving mode of electric soldering equipment
CN116156426B (en) Personnel organization management system applying LDSW technolog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