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0943A - Method for processing network message and system thereof, and terminal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Method for processing network message and system thereof, and terminal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0943A
KR20090050943A KR1020080107168A KR20080107168A KR20090050943A KR 20090050943 A KR20090050943 A KR 20090050943A KR 1020080107168 A KR1020080107168 A KR 1020080107168A KR 20080107168 A KR20080107168 A KR 20080107168A KR 20090050943 A KR20090050943 A KR 200900509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ment
network message
information
message
add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71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인철
박근섭
Original Assignee
강인철
박근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인철, 박근섭 filed Critical 강인철
Publication of KR20090050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094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7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characterised by the inclusion of specific contents
    • H04L51/18Commands or executable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58Message adapt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0024Services and arrangements where telephone services are combined with data services
    • H04M7/0042Services and arrangements where telephone services are combined with data services where the data service is a text-based messaging service
    • H04M7/0048Services and arrangements where telephone services are combined with data services where the data service is a text-based messaging service where the text-based messaging service is a Short Message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8Information format or content conversion, e.g. adaptation by the network of the transmitted or received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wireless delivery to users or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트워크 메시지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twork message processing system, a method thereof, and a terminal using the same.

소정의 식별 기호를 포함하는 형태로 네트워크 메시지가 생성되고, 식별 기호를 기준으로 소정 위치에 위치되는 네트워크 메시지의 일부를 명령문으로 인식한다. 그리고 인식된 명령문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메시지의 전송을 수행한다. 특히 명령문에 따라 저장된 정보를 토대로 수신인을 자동으로 지정하여 네트워크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편리한 네트워크 메시지 전송이 이루어진다. A network message is generated in a form including a predetermined identification symbol, and a part of the network message loca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based on the identification symbol is recognized as a statement. The network message is then transmitted according to the recognized statement. In particular, convenient network message transmission is achieved by automatically designating a destination and transmitting a network message based on information stored according to a statement.

네트워크메시지, 문자메시지, SMS, 수신인 지정 Specify network message, text message, SMS, destination

Description

네트워크 메시지 처리 방법 및 그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단말기{Method for processing network message and system thereof, and terminal using the same} Method for processing network message and system, and terminal using same

본 발명은 네트워크 메시지 처리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네트워크를 통하여 송수신되는 메시지를 처리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그리고 이러한 것들을 이용한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twork message processing method and a system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a message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a network and a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same.

최근에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기술이 활성화되고 있으며, 특히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의사 소통의 내용을 문자로 전달하는 문자 메시지(SMS, Short Message Service)가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문자 메시지는 문자 및 숫자, 특수기호 등으로 구성되며, 휴대 단말기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기타 정보 단말기 상호간의 커뮤니케이션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최근에는 사용자들의 다양한 요구 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문자 메시지가 보다 더욱더 진화된 장문, 정지영상, 오디오, 동영상과 같은 다양한 멀티미디어 전송을 가능하게 하도록, 현재 메시징(messaging) 시장은 SMS에서 EMS(Enhanced Messaging Service)를 넘어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로 진화되어 가고 있다. Recently, a technology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message through a network has been activated, and in particular, a short message service (SMS) for transmitting a text message of communication using a mobile terminal has been widely used. The text message is composed of letters, numbers, special symbols, and the like, and enables communication betwee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a portable terminal and other information terminals. In particular, in recent years, the messaging market has moved to SMS (Enhanced Messaging) in SMS to enable text messages to further evolve various multimedia such as long text, still images, audio, and video to meet the various needs of users. Beyond Service, it is evolving into Multimedia Messaging Service (MMS).

문자 메시지를 상대방에게 전송하기 위해서는 정보 단말기에서 문자메시지를 작성할 수 있는 모드에서 문자 메시지를 작성하기 이전 또는 다음에 별도의 입력 단계에서 수신측 정보(예를 들어 전화번호, 인터넷 메신저 ID, e-mail 주소 등)를 입력 또는 선택한다. 그리고 입력 또는 선택된 수신측으로 작성된 문자 메시지가 전송된다. In order to send a text message to the other party, the receiving terminal information (for example, phone number, Internet messenger ID, e-mail) in a separate input step before or after composing a text message in a mode in which the information terminal can compose a text message. Address or the like). The text message written to the input or selected receiver is transmitted.

그런데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문자 메시지 작성의 완료 전후로 수신측 정보를 입력하여야 한다. 또한 정보 단말기의 제한된 화면 및 메뉴 구성 등으로 인하여 문자 메시지 작성과 수신측 정보 입력 화면이 별도로 분리되어 있다. 또한 자주 사용하는 수신측 정보라고 할지라도 문자 메시지 작성 때마다 수신측 정보를 입력 또는 선택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However, in order to transmit a text message, information on the receiving side must be input before or after completion of text message writing. In addition, due to the limited screen and menu configuration of the information terminal, text message creation and receiving information input screen are separated. In addition, even if frequently used receiving side information, there is an inconvenience in that the receiving side information should be input or selected every time a text message is written.

수신한 문자 메시지에 대해서는 별도의 정보 입력 없이 바로 회신을 하는 기능이 있기는 하지만, 수신 받은 문자메시지를 다른 사람에게 전송할 경우에는 수신측 정보를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Although there is a function of directly replying to a received text message without inputting additional information, when sending a received text message to another person, it is inconvenient to input the receiving side information.

또한 전화를 걸 경우에는 전화번호의 일부분만 넣어도 사용자 및 전화번호가 자동으로 검색되어 편리하나, 문자 메시지를 전송할 경우에는 이러한 기능을 완전히 사용할 수 없으므로, 사용자가 문자 메시지 작성 때마다 수신인을 검색하고 지정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when making a call, the user and phone number are automatically searched even if only a part of the phone number is inserted.However, when sending a text message, these functions cannot be used completely. There is a problem such as.

문자 메시지를 보다 편리하게 전송하기 위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 등록 번호 제10-0664696호에 기재된 “서비스 단말에서 예약어를 통하여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이 있다. 이 기술은, 서비스 단말에 예약어에 매칭하는 내용이 입 력된 상태에서, 메시지를 보내고자 하는 사용자가 메시지 작성시 예약어를 입력하면, 예약어에 매칭되는 내용 내지 수신 대상 번호를 획득하고, 메시지에 포함된 예약어를 매칭되는 내용으로 변환하여 메시지를 재구성한 다음에, 재구성된 메시지를 해당 사용자에게 전송한다. As a technique for transmitting a text message more conveniently, there is a "method of transmitting a text message through a reserved word in a service terminal" describ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664696. In this technology, when a user who wants to send a message inputs a reserved word at the time of writing a message whil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reserved word is input to the service terminal, the content to which the reserved word is matched or a receiving target number is obtained, and the message is included in the message. After reconstructing the message by converting the reserved word into the matched content, the reconstructed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corresponding user.

그러나 이 기술은 예약어에 미리 매칭되어 있는 내용을 문자 메시지에 포함시켜서, 여러 수신자에게 동일한 정보를 전송할 때 수신자별로 특화된 고유의 메시지를 사용자가 일일이 입력하지 않아도 각각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메시지에 포함된 예약어가 주로 매칭되어 있는 내용으로 대체되는 것을 기술하고 있으며, 수신자 번호는 주로 사용자에 의하여 예약어와 함께 별도로 입력되어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은 문제가 발생되는 경우가 있다. 수신자 번호가 입력되지 않고도 제공되는 경우가 있으나, 이런 경우는 주로 예약어에 매칭되는 내용을 가지는 대상자들의 수신자 번호가 모두 제공되고 사용자가 제공된 수신자 번호들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However, this technology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the content that is pre-matched to the reserved words in the text message, so that when the same information is sent to multiple recipients, each user can send a unique message specialized for each recipient without having to enter it one by one. In addition, it describes that the reserved words included in the message are mainly replaced with matching contents, and the recipient number is mainly inputted separately by the user with the reserved words, so that the problem described above may occur. In some cases, the recipient number is provided without input, but in this case, the recipient numbers of the target persons having contents matching the reserved word are all provided and the user selects one of the provided recipient numbers.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별도의 과정을 통한 수신측 정보의 입력 없이 네트워크 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하는데 있다.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transmit a network message without input of the receiving side information through a separate process.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네트워크 메시지 전송 단계를 최소화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inimize the network message transmission step.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인터넷 주소(URL)와 같은 공 적 주소로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에도, 별도의 과정을 통한 수신측 정보의 입력 없이 네트워크 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하는데 있다. In addition,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transmit a network message without input of the receiving side information through a separate process, even when sending a message to a public address such as an Internet address (URL).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네트워크 메시지 전송으로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In addition,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able to use a variety of services by network message transmission.

상기 과제를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네트워크 메시지 처리 방법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송수신되는 네트워크 메시지를 처리하는 시스템의 메시지 처리 방법에서, 상기 시스템이 식별기호를 포함하는 명령문이 포함된 네트워크 메시지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 메시지로부터 명령문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명령문으로부터 주소문 및 지시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명령문이 주소문을 포함하는 경우 주소문을 토대로 수신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명령문이 지시문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지시문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상기 네트워크 메시지에 포함시키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메시지로부터 상기 명령문을 삭제한 다음에 주소문에서 획득된 상기 수신인 정보 또는 추가로 입력된 수신인 정보에 따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network message processing method. In a message processing method of a system for processing a network message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a network, the system receives a network message including a statement including an identifier. step; Identifying a statement from the network message; Determining from the statement whether at least one of an address statement and a directive is included; Obtaining recipient information based on an address statement if the statement includes an address statement; If the statement includes a directive, performing an operation in accordance with the directive and including the result in the network message; And deleting the statement from the network message and transmitting the deleted message according to the recipient information or additionally inputted recipient information obtained from an address text.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네트워크 메시지 처리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송수신되는 네트워크 메시지를 처리하는 시스템에서, 입력되는 네트워크 메시지로부터 명령문을 식별하고 식별된 명령문의 형태를 판별하는 명령문 판별부; 상기 명령문에 해당하는 정보를 찾는 검색부; 상기 명령문의 형태에 따라 상기 검색부로부터 전달되는 정보를 토대로 상기 네트워크 메시지를 처리하며, 상기 처리된 네트워크 메시지에서 명령문을 삭제하는 명령문 처리부; 상기 명령문이 삭제된 네트워크 메시지를 획득한 수신인 정보에 따라 전송하는 전송부; 및 상기 수신인 정보 획득을 위한 정보와, 지시문들에 대응하는 지시 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저장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명령문 처리부는 상기 명령문이 주소문을 포함하는 제1 형태인 경우 상기 네트워크 메시지로부터 주소문을 삭제 처리하는 제1 처리 모듈; 상기 명령문이 지시문과 주소문을 포함하는 제2 형태인 경우 상기 지시문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상기 네트워크 메시지에 포함시키는 제2 처리 모듈; 그리고 상기 검색부로부터 전달되는 정보를 토대로 주소문에 대응하는 수신인 정보를 획득하는 정보 획득 모듈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network message processing system comprising: a statement determining unit for identifying a statement from an input network message and determining a form of an identified statement in a system for processing a network message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a network; A search unit for find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tatement; A statement processing unit processing the network message based 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earch unit according to the form of the statement, and deleting a statement from the processed network message; 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the network message from which the statement is deleted according to recipient information; And a storage unit including at least one of information for obtaining the recipient information and ind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instructions. The statement processing unit may include: a first processing module configured to delete an address statement from the network message when the statement is in a first form including an address statement; A second processing module for performing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directive and including the result in the network message when the statement is in a second form including a directive and an address statement; And an information obtaining module that obtains recipie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n address sentence based on th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earch unit.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단말기는, 네트워크 메시지를 입력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되는 네트워크 메시지로부터 명령문을 식별하고 식별된 명령문의 형태를 판별하는 명령문 판별부; 상기 명령문에 해당하는 정보를 찾는 검색부; 상기 명령문의 형태에 따라 상기 검색부로부터 전달되는 정보를 토대로 상기 네트워크 메시지를 처리하는 명령문 처리부; 인가되는 수신인 정보에 따라 상기 처리된 네트워크 메시지를 전송하는 전송부; 및 상기 수신인 정보 획득을 위한 정보들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명령문 처리부는 상기 명령문이 주소문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 메시지로부터 주소문을 삭제 처리하는 제1 처리 모듈; 상기 명령문이 지시문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지시문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상기 네트워크 메시지에 포함시키는 제2 처리 모듈; 그리고 상기 검색부와 연계하여 상기 주소문에 대응하는 수신인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전송부로 제공 하는 정보 획득 모듈을 포함한다.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the input unit for inputting a network message; A statement determination unit identifying a statement from the input network message and determining a form of the identified statement; A search unit for find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tatement; A statement processing unit processing the network message based 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earch unit according to the form of the statement; 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the processed network message according to authorized recipient information; And a storage unit which stores information for obtaining the recipient information. The statement processing unit may include: a first processing module configured to delete an address statement from the network message when the statement includes an address statement; A second processing module for performing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directive and including the result in the network message when the statement includes a directive; And an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that obtains recipie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ddress sentence in association with the search unit and provides the received information to the transmission uni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네트워크 메시지를 작성하는 것만으로 수신인이 자동으로 지정됨으로써, 매우 간편하게 네트워크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stination is automatically designated only by creating a network message, so that the network message can be transmitted very simply.

또한 네트워크 메시지의 특정 부분에 명령문을 특정 규칙에 따라 입력함으로써, 별도의 수신측 정보 입력 화면 없이도 바로 네트워크 메시지 작성이 끝남과 동시에 네트워크 메시지 전송이 가능하여 화면 구성을 간편화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entering a statement in a specific part of the network message according to a specific rule, the network message can be sent at the same time as the network message is completed without a separate receiving side information input screen, thereby simplifying the screen configuration.

또한, 네트워크 메시지 작성 단계에서 수신인을 지정할 수 있어, 별도의 수신인 검색 화면 없이 바로 네트워크 메시지를 작성함과 동시에 전송할 수 있으므로, 메시지의 작성 및 전송에 소요되는 단계를 줄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destination can be specified in the network message creation step, so that a network message can be created and transmitted at the same time without a separate destination search screen, thereby reducing the steps required for creating and transmitting the message.

또한 전화 번호나 이름의 일부분만을 입력하는 것으로 네트워크 메시지의 수신인을 용이하게 지정할 수 있다. You can also easily specify the recipient of a network message by entering only a part of the phone number or name.

또한 네트워크 메시지 작성시 특정 명령문을 삽입하는 간단한 동작만으로, 수신인이나 수신 정보 단말기를 지정함과 동시에, 온/오프라인으로 연결되어 있는 기기를 원격 제어하거나, 증권 거래, 인터넷 뱅킹 등 다양한 인터넷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simply inserting a specific statement when creating a network message, you can designate a recipient or a receiving information terminal, and remotely control the devices connected online or offline, or use various Internet services such as stock trading and Internet banking. It is available.

또한 입력되는 네트워크 메시지가 설정된 규칙에 따라 자동적으로 보정 처리됨으로써, 설정된 규칙에 맞지 않은 명령문이 입력되어도 사용자의 의도에 따른 수신인이 자동으로 지정되어 네트워크 메시지 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input network message is automatically corrected according to the set rule, even if a statement that does not meet the set rule is input, a recipient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may be automatically assigned and the network message may be transmitted.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As those skilled in the art would realize, the described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different ways, a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서버",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it can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addition, "... server", "..."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Wealth ”,“… Module ”means a unit for processing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in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명세서 전체에서 “네트워크 메시지”는 무선망이나 유선망을 통하여 송수신이 가능한 모든 형태의 메시지를 포함하며, 예를 들어, 문자 메시지(SMS: Short Message Service), 멀티미디어 메시지(MMS : Multimedia Message Service) 등을 포함한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network message" includes all types of messages that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a wireless network or a wired network. For example, a short message service (SMS), a multimedia message service (MMS), or the like may be used. Include.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메시지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Now, a network message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메시지 처리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송수신되는 메시지를 처리하고, 또한 처리된 메시지의 전송을 수행한다. 네트워 크 메시지 처리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메시지 전송 시스템(예를 들어, 이동 통신 사업자, 방송망 사업자 등)과 연계하여 네트워크 메시지를 송수신하거나, 또는 메시지 전송 시스템과의 연계 없이 네트워크 메시지를 송수신한다. The network message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cesses a message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a network, and also transmits the processed message. The network message processing system transmits and receives a network message in association with a message transmission system (for example, a mobile communication provider, a broadcasting network operator, etc.) or a network message without being associated with a message transmission system through a network.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메시지는 명령문을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명령문은 네트워크 메시지 내의 식별 기호를 토대로 구별되면서 네트워크 메시지를 통하여 소정 기능을 수행하고자 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된, 네트워크 메시지의 일부분을 나타낸다. 네트워크 메시지에서 명령문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설명의 편의상 “내용문”이라고 명명한다. The network mess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in a form including a statement, and the statement may be distinguished based on an identification symbol in the network message and configured to include information to perform a predetermined function through the network message. Represents a part of a message. The remainder of the network message, except for the statement, is called "content" for convenience.

명령문은 구체적으로 수신인을 지정하는 제1 부분, 소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제2 부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명령문은 제1 부분만을 포함하는 단순 주소문인 제1 형태, 제1 및 제2 부분을 모두 포함하는 제2 형태, 그리고 제2 부분만을 포함하는 단순 명령문인 제3 형태 중 하나의 형태일 수 있다. The statement specifically includes a form including at least one of a first portion specifying a recipient and a second portion instructing to perform a predetermined operation. Therefore, the statement may be in the form of one of the first form, which is a simple address statement including only the first part, the second form, which includes both the first and second parts, and the third form, which is a simple statement containing only the second part. .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명령문의 제1 부분을 “주소문”이라고 명명하고, 명령문의 제2 부분을 “지시문”이라고 명명한다. 제1 부분 즉, 주소문은 수신인 정보를 지정하는 부문으로,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의 주소록의 단축키이거나, 개인 정보의 일부분, 또는 주소록의 번호, 개인이 별도로 지정한 키값 또는 전화 번호부의 일부, 이름 등일 수 있다.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first part of the statement is referred to as "address statement", and the second part of the statement is referred to as "directive statement". The first part, namely, the address sentence, is a category for specifying recipient information, for example, a shortcut key of an address book of a mobile terminal, a part of personal information, or a number of an address book, a key value or a part of a telephone book designated by an individual, a name, etc. Can be.

제2 부분 즉, 지시문은 소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으로, 송신측에서 소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정보나 또는 수신측에서 소정 동작을 수 행하도록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시문은 소정 웹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소정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인증 정보를 메시지에 포함시키라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는 원격지에 위치한 소정 장치가 턴온/턴오프 동작 등의 특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part, that is, the directive, is for instructing to perform a predetermined operation, and may include information for instructing a transmitter to perform a predetermined operation or information for instructing the receiver to perform a predetermined operation. For example, the directive may include information for including in the message authentication information for using a predetermined service provided by a predetermined website, or a predetermined device located at a remote place performs a specific operation such as a turn on / turn off operation. It may include information instructing to.

네트워크 메시지에서 명령문을 식별하기 위한 약속으로 사용되는 식별 기호는 명령문의 형태별로 다르게 사용되거나 동일하게 사용될 수 있다. 즉, 명령문의 형태와는 상관없이 예를 들어 * 또는 # 등의 식별 기호가 동일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식별 기호를 다수 정의하고 정의된 식별 기호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형태의 명령문인 경우에는 예를 들어 “*”의 식별 기호가 사용되고, 제2 형태의 명령문인 경우에는 예를 들어 “#”의 식별 기호가 사용되며, 제3 형태의 명령문인 경우에는 예를 들어 “%”의 식별 기호가 사용되도록 규정할 수도 있다. 이와는 달리, 주소문을 포함하지 않는 제3 형태를 주소문을 포함하는 제1 및 제2 형태와 구별시키기 위하여, 제1 및 제2 형태는 동일한 식별 기호를 사용하고, 제3 형태만 다른 식별 기호를 사용하도록 규정할 수도 있다. Identifiers used as promises to identify statements in network messages can be used differently or identically, depending on the type of statement. That is, regardless of the form of the statement, for example, identifiers such as * or # may be used the same. In this case, it is also possible to define a large number of identification symbols and to selectively use one of the defined identification symbols. In the case of the first type of statement, for example, the identification symbol of “*” is used. In the case of the second type of statement, for example, the identification symbol of “#” is used. For example, an identifier of “%” may be specified to be used. Alternatively, in order to distinguish the third form that does not include an address sentence from the first and second forms that include an address sentence, the first and second forms use the same identifier, and only the third form differs. You can also specify to use.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식별 기호는 위에 예시된 바와 같은 “*, #, %” 같은 기호 형태만을 포함하는 것이 아니라, 네트워크 메시지에서 명령문과 내용문을 구별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모든 것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형, 숫자, 텍스트 등 다양한 형태의 구별 가능한 모든 것들을 포함한다. Meanwhile, the identification symb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not only a symbol type such as “*, #,%” as illustrated above, but also includes everything used to distinguish a statement from a content sentence in a network message. For example, it includes everything that can be distinguished in various forms, such as figures, numbers, and text.

또한, 식별 기호는 네트워크 메시지를 입력하는 단말기의 별도 입력수단 (예 를 들어 숫자키와 같은 물리적 키 값)일 수 있다. 즉, 네트워크 메시지를 작성하는 단말기에서 특정 키와 같은 물리적인 입력수단에 그 식별기호를 배정하고, 문자메시지 작성시 배정된 물리적인 입력 수단을 선택하면 식별 기호가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dentification symbol may be a separate input means (for example, a physical key value such as a numeric key) of a terminal for inputting a network message. That is, when the terminal for creating a network message assigns the identifier to a physical input means such as a specific key, and selects the physical input means assigned when the text message is written, the identification symbol may be input.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 메시지의 명령문은 네트워크 메시지의 소정 위치에 위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메시지의 처음이나 마지막에 위치될 수 있다. Statements in a network message having a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may be loca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network message, for example, at the beginning or end of the message.

또한 명령문은 “식별 기호”, “주소문” 그리고 “지시문”의 순서로 배열될 수 있으며, 또는 “식별 기호”, “지시문” 그리고 “주소문”의 순서로 배열될 수도 있다. 이와는 달리 식별 기호가 명령문 이후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배열 순서는 단지 하나의 예시일 뿐이다. Statements can also be arranged in the order of “identifier”, “address statement” and “directive”, or in the order of “identifier”, “directive” and “address statement”. Alternatively, an identifier may be placed after the statement. This arrangement order is just one example.

또한 명령문의 주소문과 지시문은 각각 설정된 크기를 가지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소문과 명령문을 각각 2자리수로 규정하고, 식별 기호 이후에 위치하는 2자리수의 정보는 주소문으로 판단하고, 주소문 이후에 위치하는 2자리수의 정보는 지시문으로 판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ddress and directives of a statement can be configured to have a set size. For example, an address statement and a statement may be defined as two digits, respectively, two-digit information located after the identification symbol may be determined as an address statement, and two-digit information located after the address statement may be determined as a directive.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메시지 처리 시스템(100)은 단말기에 포함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network message processing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structure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included in a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메시지 처리 시스템의 구현 예를 나타낸 도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mplementation of a network message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한 도 1에 예시되어 있듯이, 제1 단말기(200)와 제2 단말기(300) 사이에 서 네트워크 메시지 송수신이 이루어지는 환경에서, 네트워크 메시지 처리 시스템(100)은 제1 단말기(200)와 제2 단말기(3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포함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는 제1 단말기(200)에 네트워크 메시지 처리 시스템(100)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예로 들었다. As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FIG. 1, in an environment in which network messages are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first terminal 200 and the second terminal 300, the network message processing system 100 may include the first terminal 200 and the second terminal. It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included in at least one of the terminal 300. In this example, the network message processing system 100 is included in the first terminal 200.

네트워크(400)는 유무선 통신 경로를 제공한다. 네트워크(400)는 TCP/IP 프로토콜 및 그 상위계층에 존재하는 여러 서비스, 즉, HTTP, Telnet, FTP, DNS, SMTP, SNTP, NFS 및 NIS를 제공하는 전 세계적인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 구조를 포함하는 일반적인 인터넷 뿐만 아니라, 와이브로(Wibro)나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의 초고속 무선데이터 통신망, 방송망(아날로그 방송망, 디지털 방송망, IPTV 방송망, DMB 방송망 등), 전화망이나 이동통신망 등의 다양한 유무선 통신 방식의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The network 400 provides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path. Network 400 is a general Internet that includes a worldwide open computer network architecture that provides the TCP / IP protocol and many services that exist above it, namely HTTP, Telnet, FTP, DNS, SMTP, SNTP, NFS, and NIS. In addition, various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high speed 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s such as Wibro or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broadcasting networks (analog broadcasting networks, digital broadcasting networks, IPTV broadcasting networks, DMB broadcasting networks, etc.), telephone networks and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Include a network.

단말기(200,300)는 인터넷 등의 유무선 통신망, 방송망 또는 전용망 등을 통하여 통신이 가능한 모든 형태의 단말기로서,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개인휴대용 정보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V를 이용한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셋톱박스(Set-Top Box) 등을 포함한다. 또한 수신측 단말기는 정보 단말기 및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모든 웹사이트, 방송 사업자,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모바일 서비스 제공자, 이동통신 사업자들을 포함한다. The terminals 200 and 300 are all types of terminals capable of communicating through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such as the Internet, broadcasting networks or dedicated networks, and include personal computers (PC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set-top box that enables two-way communication using a TV, and the like. The receiving terminal also includes an information terminal and all websites, broadcast providers, Internet service providers, mobile service providers, and mobile communication providers connected to the network.

이하의 실시 예에서는 네트워크 메시지 처리 시스템(100)이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제1 단말기(200) 또는 제2 단말기(300)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되어 있는 형 태로 구현되어 있는 경우를 예로 들어서, 메시지 송수신에 대하여 설명하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와 같은 형태로 구현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In the following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the network message processing system 100 is implemented as a form included in any one of the first terminal 200 or the second terminal 300, as described above, Although transmission and reception are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being implemented in such a form.

다음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메시지 처리 시스템의 구조 및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Next,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network message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는 네트워크 메시지에 포함되는 명령문이 제1 형태 즉, 주소문만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에 관한 것이다.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se where a statement included in a network message is implemented in a first form, that is, a form including only an address statement.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메시지 처리 시스템의 구조도이다. 2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network message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한 도 2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메시지 처리 시스템(100)은, 네트워크 메시지로부터 명령문을 판별하는 명령문 판별부(10), 판별된 명령문에 해당하는 정보를 찾는 검색부(20), 명령문 및 그에 해당하는 정보를 토대로 네트워크 메시지를 처리하는 명령문 처리부(30)를 포함한다. 이외에도 네트워크 메시지를 입력하는 입력부(40) 및 네트워크 메시지를 전송하는 전송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 the network message processing system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arches for a statement determining unit 10 that determines a statement from a network message an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statement. The search unit 20 includes a statement processing unit 30 for processing a network message based on the statement and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an input unit 40 for inputting a network message and a transmission unit 50 for transmitting a network message.

입력부(40)는 네트워크 메시지를 입력받아서 명령문 처리부(30)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사용자는 네트워크 메시지 입력 중에 소정 위치(예를 들어, 메시지의 처음, 메시지의 마지막)에 식별 기호(예를 들어, @, * 등)를 입력하거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말기에 지정된 별도의 키입력을 통해서 식별기호 및 명령문을 입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입력된 명령문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메시지는 명령문 판별부(10)로 전달된다. The input unit 40 receives a network message and transmits the received network message to the statement processing unit 30. The user inputs an identification symbol (e.g., @, *, etc.) at a predetermined position (e.g., the beginning of the message, the end of the message) during network message input, or through a separate key input designated to the terminal as described above. You can enter identifiers and statements. The network message including the input statement is transmitted to the statement determining unit 10.

네트워크 메시지 처리 시스템(100)이 다른 시스템이나 장치에 포함되는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에, 입력부(40)는 해당 시스템이나 장치의 입력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설치된 수단일 수 있다. When the network message processing system 100 is implemented in a form included in another system or device, the input unit 40 may be a means installed to perform an input function of the system or device.

명령문 판별부(10)는 입력부(40)를 통해 제공되는 네트워크 메시지로부터 명령문을 판별한다. 예를 들어 명령문 판별부(10)는 네트워크 메시지에서 식별 기호를 찾고 식별 기호를 기준으로 소정 위치에 위치한 정보들을 명령문으로 판별한다. 또한, 단말기에서 지정된 별도의 키가 입력되었을 경우, 지정된 키입력과 연속하여 입력된 정보를 명령문으로 판별할 수도 있다. 이 때, 소정 위치에 위치한 설정 크기의 정보들을 명령문으로 판별할 수 있다. The statement determining unit 10 determines a statement from a network message provided through the input unit 40. For example, the statement determination unit 10 finds an identification symbol in a network message, and determines the information loca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based on the identification symbol as a statement. In addition, when a separate key designated by the terminal is input, information input continuously after the designated key input may be determined as a statement. At this time, information of a setting size loca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may be determined by a statement.

검색부(20)는 판별된 명령문에 해당하는 정보를 찾아서 명령문 처리부(30)로 전달한다. 구체적으로 검색부(20)는 명령문에서 식별 기호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해당하는 정보를 찾는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는 명령문이 식별 기호와 주소문을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검색부(20)는 명령문에 포함된 주소문을 토대로 이하에 기술되는 바와 같이 소정 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결과를 명령문 처리부(30)로 전달한다. The search unit 20 find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statement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statement processing unit 30. In detail, the search unit 20 searches fo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maining part of the statement except for the identification symbol.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tement is formed in a form including an identification symbol and an address statement, and the search unit 20 stores information stored in predetermined means as described below based on the address statement included in the statement. Search for, and delivers the search results to the statement processing unit (30).

명령문 처리부(30)는 검색부(20)로부터 전달되는 정보를 토대로 네트워크 메시지 처리를 위한 수신인 정보를 획득하는 정보 획득 모듈(31) 및 획득된 수신인 정보를 토대로 네트워크 메시지를 처리하는 처리 모듈(32)을 포함한다. The statement processing unit 30 is an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31 for acquiring recipient information for network message processing based on th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retrieval unit 20 and a processing module 32 for processing a network message based on the obtained recipient information. It includes.

수신인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정보들은 소정의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저장부(도시하지 않음)는 네트워크 메시지 처리 시스 템(100)에 포함되는 형태로 구현되거나 또는 네트워크 메시지 처리 시스템(100)이 소정 시스템이나 장치에 포함되는 형태(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에 내장되는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해당 시스템이나 장치에서 관리하는 형태(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의 저장부)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저장부가 독립적인 외부 장치(예를 들어, USB 메모리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는 네트워크 메시지 처리 시스템(100)이 네트워크를 통하여 소정의 시스템이나 장치와 연계하여 메시지를 처리하는 경우에는, 상기 저장부가 연계하는 시스템이나 장치에 포함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는 네트워크 메시지 처리 시스템(100)과 연계하여 수신인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이하, 설명의 편의상 주소 서버라고 명명함)일 수 있다. 또는 저장부와 주소 서버가 개별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주소 서버가 사용되는 경우, 사용자는 개별적으로 수신인 정보를 주소 서버에 등록하여 관리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또는 주기적으로 주소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수신인 정보를 제공받아 사용할 수 있다. Information for obtaining recipient information is stored in a predetermined storage. A storage unit (not show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included in the network message processing system 100 or in a form in which the network message processing system 100 is included in a predetermined system or apparatus (for example, For example, when implemented in a form embedded in a portable terminal, it may be implemented as a form managed by a corresponding system or device (for example, a storage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Alternatively, the storage uni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n independent external device (for example, a USB memory). Alternatively, when the network message processing system 100 processes a message in association with a predetermined system or device through a network, the network message processing system 100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included in a system or device to which the storage unit is linked. For example, the storage unit may be a serv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address serv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at provides recipient information in association with the network message processing system 100. Alternatively, the storage unit and the address server may be implemented separately. When the address server is used as described above, the user may individually register and manage the recipient information in the address server, and may receive and use the recipient information of the user from the address server as needed or periodically.

이하의 제1 실시 예에서는 네트워크 메시지 처리 시스템(100)이 휴대 단말기에 내장되어 있는 경우를 예로 들었으므로, 저장부는 휴대 단말기에 구비되어 있으며,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입력하여 관리하는 전화번호목록, 메모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In the following first embodiment, since the network message processing system 100 is embedded in a portable terminal as an example, a storage unit is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and a list of telephone numbers input and managed by a user who uses the portable terminal is provided. It is assumed to include notes, notes, and the like.

검색부(20)는 명령문으로부터 획득한 주소문을 토대로 저장부를 검색하여 상기 주소문을 포함하는 정보를 찾는다. 예를 들어 명령문의 주소문이 '4322'와 같은 숫자일 경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유무선 전화번호 및 메모, 단축키 정보 등을 검색하여、'011-234-4322', '016-432-2678', 단축키 4322번에 설정되어 있는 전화번호 등과 같이, '4322'를 포함하는 숫자열 및 문자열을 찾는다. 또한 명령문의 주소문이 '길동'과 같은 문자일 경우에는,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들을 검색하여 '홍길동', '길동준', '길동상사' 등과 같이 '길동'을 포함하는 문자열을 찾는다. 이러한 검색 결과들은 명령문 처리부(30)로 전달되며, 명령문과 결합되어 있는 주소문을 포함하는 정보가 없을 경우에도 그 결과를 명령문 처리부(30)로 전달한다. The search unit 20 searches the storage unit based on the address statement obtained from the statement to find information including the address statement. For example, if the address of the statement is a number such as '4322', search the wired / wireless phone number, memo, shortcut information, etc. stored in the storage, and search for '011-234-4322', '016-432-2678'. Finds a string and a string containing '4322', such as a phone number set in the shortcut 4322. In addition, if the address of the statement is a character such as 'Kildong',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is searched for a string containing 'Kildong' such as 'Kildong-dong', 'Kildongjun', and 'Kildong-like'. These search results are delivered to the statement processing unit 30, and even if there is no information including an address statement combined with the statement, the search results are transmitted to the statement processing unit 30.

명령문 처리부(30)의 정보 획득 모듈(31)은 검색 결과로부터 실질적인 수신인 정보를 획득한다. 구체적으로 검색부(20)로부터 전달된 정보가 하나인 경우에는 상기 정보로부터 획득되는 수신인 정보를 처리 모듈(32)로 전달한다. 이 경우는 예를 들어 검색 결과가 '011-234-4322'와 같이 하나인 경우에는 이 결과가 수신인 정보가 되어 처리 모듈(32)로 전달된다. 검색 결과가 “길동”과 같은 경우에는 정보 획득 모듈(31)이 “길동”에 대응하는 전화 번호를 저장부로부터 획득하여 수신인 정보로 하여 처리 모듈(32)로 전달한다. The information obtaining module 31 of the statement processing unit 30 obtains substantial recipient information from the search result. In detail, when th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earch unit 20 is one, the recipient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information is transferred to the processing module 32. In this case, for example, when there is one search result such as '011-234-4322', this result becomes recipient information and is transmitted to the processing module 32. If the result of the search is equal to "way", the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31 obtains the telephone number corresponding to "way" from the storage unit and transfers it to the processing module 32 as recipient information.

그러나 검색 결과가 복수일 경우에는 검색 결과를 출력하여 사용자가 수신인을 지정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011-234-4322', '016-432-2678', 단축키 4322번에 대응되어 있는 전화 번호와 같이 검색 결과가 다수일 경우에는 이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고 선택된 것을 수신인 정보로 지정하여 처리 모듈(32)로 전달한다. However, if there are a plurality of search results, the search results are output so that the user can specify the destination. For example, if there are a large number of search results, such as '011-234-4322', '016-432-2678', and the phone number corresponding to the shortcut key 4322, the user may select at least one by displaying the search results. The selected one is designated as the recipient information and transferred to the processing module 32.

또한 검색 결과가 다수를 포함하고 있는 “그룹”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이 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수신인이 그룹임을 통보한다. 이후 사용자가 '그룹'에게 동시에 전송할 것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그룹'에 포함되어 있는 모든 또는 일부 구성원을 수신인으로 지정하고, 지정된 구성원들의 전화 번호를 수신인 정보로 하여 처리 모듈(32)로 전달한다. 한편, 주소문에 대응하는 수신인 정보가 없는 경우에는 이에 대한 검색 결과를 출력하고, 사용자로부터 수신인 정보를 재입력받거나, 일반적인 메시지 작성 과정과 같이 네트워크 메시지 작성이 끝난 후에, 수신인을 검색, 입력,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을 출력하여, 사용자가 직접 수신인을 지정하도록 한다. In addition, if the search result indicates a "group" containing a large number, this is output to notify the user that the recipient is a group. Then, when the user selects to transmit simultaneously to the 'group', all or some members included in the 'group' are designated as the recipients, and the phone numbers of the designated members are transferred to the processing module 32 as the recipient information. On the other hand, if there is no recipie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ddress text, the search result is output, and the recipient information is re-entered from the user, or after the network message is finished as in the general message writing process, the recipient is searched, input and selected. A screen can be displayed to allow the user to directly specify a destination.

명령문 처리부(30)의 처리 모듈(32)은 명령문 판별부(10)에 의하여 판별된 명령문과 정보 획득 모듈(31)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토대로 네트워크 메시지를 처리한다. 구체적으로 처리 모듈(32)은 입력부(40)로부터 제공되는 네트워크 메시지에서 명령문을 삭제하고, 내용문만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메시지와 정보 획득 모듈(31)로부터 제공되는 수신인 정보를 전송부(50)로 전달한다. 여기서 명령문 처리부(30)는 네트워크 메시지로부터 명령문 전체를 삭제하거나 주소문만을 삭제할 수 있다. The processing module 32 of the statement processing unit 30 processes the network message based on the statement determined by the statement determination unit 10 and th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31. Specifically, the processing module 32 deletes the statement from the network message provided from the input unit 40 and delivers the network message including only the content text and the recipient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information obtaining module 31 to the transmission unit 50. do. Here, the statement processing unit 30 may delete the entire statement or only the address statement from the network message.

전송부(50)는 명령문 처리부(30)로부터 전송받은 수신인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인을 지정하고, 지정된 수신인으로 네트워크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 때,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네트워크 메시지 작성과 동시에 별도의 수신인 정보 확인 과정 없이 바로 네트워크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이러한 과정은 추후에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The transmission unit 50 designates a recipient using the recipien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tatement processing unit 30, and transmits a network message to the designated recipient. At this time,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the network message may be immediately transmitted without creating additional recipient information at the same time the network message is written. This proces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later.

네트워크 메시지 처리 시스템(100)이 다른 시스템이나 장치에 포함되는 형태 로 구현되는 경우에, 상기 전송부(50)가 해당 시스템이나 장치에서 전송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메시지 처리 시스템(100)이 휴대 단말기에 내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전송부(50)는 휴대 단말기에서 통신 처리를 수행하는 일반적인 전송 수단일 수 있다. 또는 네트워크 메시지 처리 시스템(100)이 어떠한 형태로 구현되는지에 상관없이, 전송부(50)는 독립적으로 통신처리를 수행하는 수단일 수 있다. When the network message processing system 100 is implemented in a form included in another system or device, the transmission unit 50 may be a component that performs a transmission function in the corresponding system or device. For example, when the network message processing system 100 is embedded in the portable terminal, the transmitter 50 may be a general transmission means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processing in the portable terminal. Alternatively, regardless of how the network message processing system 100 is implemented, the transmitter 50 may be a means for independently performing communication processing.

다음에는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메시지 처리 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Next, an operation of the network message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structure will be described.

여기서는 네트워크 메시지 처리 시스템(100)이 도 1에서와 같이, 제1 단말기(200)에 내장되어 있는 형태로 구현되어 소정의 네트워크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Here, it is assumed that the network message processing system 100 is implemented in a form embedded in the first terminal 200 as shown in FIG. 1 to transmit a predetermined network message.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메시지 처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network message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사용자가 네트워크 메시지를 임의 수신인에게 보내기 위하여 전송 관련 설정 화면을 선택한다(S100). 전송 관련 설정 화면이 선택되면 도 3에서와 같이, 네트워크 메시지 처리 시스템(100)은 명령문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메시지를 전송할 것인지 아니면 명령문을 이용하지 않고 네트워크 메시지를 전송할 것인지를 문의한다. First, the user selects a transmission related setting screen in order to send a network message to an arbitrary recipient (S100). When the transmission related setting screen is selected, as shown in FIG. 3, the network message processing system 100 inquires whether to transmit a network message using a statement or a network message without using a statement.

사용자가 명령문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선택하면(S110), 네트워크 메시지를 작성할 수 있는 수단 즉, 메시지 작성 화면을 제공한 다(S120). 이 경우 네트워크 메시지 작성이 완료되면 수신인을 확인하고 메시지를 전송할 것인지 아니면 메시지 작성이 완료되면 별도의 확인 과정 없이 바로 메시지를 전송할 것인지를 문의하는 단계(S130)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는 이러한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기술하지만, 생략 가능하다. 즉, 상기 문의하는 단계 없이 명령문을 이용하는 네트워크 메시지 전송이 선택되면, 메시지 작성 완료에 따라 별도의 확인 과정 없이 바로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이 디폴트로 정해질 수 있다. If the user selects to transmit a network message using a statement (S110), a means for composing a network message, that is, a message creation screen is provided (S120). In this case, when the network message is completed, the step of checking the recipient and transmitting the message or when the message is completed may be performed to inquire (S130) whether to immediately send the message without additional confirmation process. Although performing this step is described here, it may be omitted. That is, when network message transmission using a statement is selected without the step of inquiring, the message may be sent as soon as the message is completed without additional checking.

상기 문의에 따라 사용자가 별도의 확인 과정을 거칠 것을 선택하면, 추후 네트워크 메시지에 포함된 명령문에 따라 자동으로 수신인이 지정되어도, 지정된 수신인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과정을 추가적으로 수행한다. 상기 문의에 따른 사용자의 확인 과정 선택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전송부(50)에 저장시켜, 전송부(50)가 상기 정보를 토대로 메시지 전송을 수행하도록 한다(S140). If the user selects to go through a separate verifica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inquiry, a process for enabling the confirmation of the designated recipient is additionally performed even if the destination is automatically designated according to a statement included in the network message later.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the user selects a confirma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inquiry is stored in the transmission unit 50 so that the transmission unit 50 performs a message transmission based on the information (S140).

이후 사용자가 네트워크 메시지를 작성하면(S150) 작성된 네트워크 메시지는 입력부(40)를 통하여 명령문 판별부(10)로 전달된다. 명령문 판별부(10)는 입력되는 네트워크 메시지로부터 식별 기호를 토대로 하는 명령문이 있는지를 판별한다. 그리고 판별된 명령문을 검색부(20)로 전달한다(S160). 검색부(20)는 명령문으로부터 주소문을 추출하고 추출된 주소문을 토대로 저장부(이 경우 휴대 단말기에 내장되어 있는 저장 수단임)를 검색하여 상기 주소문에 대응하는 정보를 찾는다(S170). 다음 검색부(20)는 검색에 따라 얻어지는 정보를 명령문 처리부(30)로 전달한다. Thereafter, when the user creates a network message (S150), the created network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statement determination unit 10 through the input unit 40. The statement determining unit 10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statement based on the identifying symbol from the input network message. Then, the determined statement is transmitted to the search unit 20 (S160). The search unit 20 extracts the address statement from the statement and searches the storage unit (in this case, the storage means built in the mobile terminal) based on the extracted address statement to fin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ddress statement (S170). The search unit 20 then transfers the information obtained according to the search to the statement processing unit 30.

명령문 처리부(30)는 검색 결과로부터 수신인 정보를 획득한다(S180). The statement processing unit 30 obtains recipient information from the search result (S180).

수신인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에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메시지 처리 방법에서, 수신인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이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Looking at the process of obtaining the recipient information in detail as follows. 4 illustrates a process of acquiring recipient information in the network message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한 도 4에서와 같이, 명령문 처리부(30)는 제공받은 명령문에 따른 검색 결과가 복수인지를 확인하여(S1810~S1811), 1개일 경우에는 검색 결과가 그룹인지를 확인한다(S1812). As shown in FIG. 4, the statement processing unit 30 checks whether there are a plurality of search results according to the provided statement (S1810 to S1811), and if there is one, checks whether the search result is a group (S1812).

확인 결과, 검색 결과가 1개이고 그룹이 아닌 경우에는(S1813) 해당 검색 결과가 수신인 정보로서 바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인지를 판단한다(S1814). 예를 들어 검색 결과가 숫자열인 경우에는 해당 검색 결과를 바로 수신인 정보로서 사용한다(S1815). 반면 검색 결과가 예를 들어 숫자열이 아닌 경우에는 바로 수신인 정보로서 사용될 수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검색 결과를 토대로 저장부로부터 대응되어 있는 수신인 정보를 찾아서 사용한다(S1816). 여기서는 수신인 정보가 전화 번호와 같이 숫자열로 이루어진 것만을 사용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네트워크 메시지가 이메일이나 인터넷 주소로 전송되는 경우에는, 소정의 문자열이 포함된 경우도 수신인 정보로 사용될 수 있다. As a result of the check, if there is only one search result and not a group (S1813),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earch result can be used directly as recipient information (S1814). For example, if the search result is a numeric string, the search result is used as the recipient information (S1815). On the other hand, if the search result is not a numeric string, for example, it is determined that it cannot be immediately used as the recipient information, and the corresponding recipient information is found and used from the storage unit based on the search result (S1816). In this example, the recipient information uses only a string of numbers, such as a telephone number. However, when a network message is transmitted to an e-mail or an Internet address, a predetermined character string may be used as the recipient information.

한편 위의 단계(S1811~S1812)에서, 검색 결과가 1개인 반면에 그룹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검색 결과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수신인이 그룹임을 통보한다(S1817). 이 때, 그룹명과 함께 그룹에 포함되는 구성원들을 모두 표시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그룹'에게 동시에 전송할 것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그룹'에 포함되어 있는 모든 구성원을 수신인으로 지정하고, 해당 그룹에 포함된 구성원들의 전화 번호를 수신인 정보로 사용한다(S1819). 반면, 사용자가 ‘그룹’에 포함되어 있는 소정 구성원들을 수신인으로 지정한 경우에는, 지정한 구성원들의 전화 번호만을 수신인 정보로 사용한다(S1820). On the other hand, in the above steps (S1811 to S1812), if the search result is one while the group is indicated, the search result is output to notify the user that the recipient is the group (S1817). In this case, all members included in the group may be displayed together with the group name. Afterwards, when the user selects simultaneous transmission to the 'group', all the members included in the 'group' are designated as recipients, and the phone numbers of the members included in the group are used as the recipient information (S1819).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designates predetermined members included in the 'group' as the recipient, only the phone numbers of the designated members are used as the recipient information (S1820).

또한 위의 단계(S1811)에서, 검색 결과가 복수인 경우에는 검색 결과를 출력하여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한다(S1821~S1822). 그리고 선택된 검색 결과를 수신인 정보로서 사용한다. 물론 이 경우에도 검색 결과가 수신인 정보로서 바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인지를 판단하고 그 결과에 따라 위의 단계(S1814~S1816))와 같이 실질적인 수신인 정보를 획득한다(S1823~S1825). In the above step (S1811), if there are a plurality of search results, the search results are output for the user to select (S1821 to S1822). The selected search result is then used as the recipient information. Of course, in this case as well,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earch result can be directly used as the recipient information, and according to the result, the actual recipient information is obtained as in the above steps (S1814 to S1816) (S1823 to S1825).

한편, 검색 결과가 없는 경우에는 이를 사용자에게 통보한다. 예를 들어, 명령문에 포함된 주소문이 “31”이고 이것이 주소록의 번호를 나타내는 경우, “31과 관련된 번호를 찾을 수 없습니다. 수신인 정보를 입력 또는 검색하여 주십시오”와 같은 메시지를 출력하여 검색 결과가 없음을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그리고 일반적인 메시지 작성 과정과 같이 수신인을 검색, 입력,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을 출력하여, 사용자가 직접 수신인을 지정하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if there is no search result is notified to the user. For example, if the address statement included in the statement is “31” and it represents a number in the address book, the number associated with “31 cannot be found. Please input or search the recipient information ”and the user can be informed that there is no search result. The user can directly specify the recipient by outputting a screen for searching, inputting, and selecting a recipient as in a general message writing process.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실질적인 수신인 정보를 획득한 다음, 도 3에서와 같이, 명령문 처리부(30)는 네트워크 메시지를 처리한 다음에 이를 수신인 정보와 함께 전송부(50)를 통하여 해당 수신인의 단말기로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명령문 처리부(30)는 입력부(40)로부터 제공되는 네트워크 메시지에서 명령문을 삭제하고, 내용문만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메시지와 획득한 수신인 정보를 전송부(50)로 전달한다(S190). 따라서 전송부(50)는 처리된 네트워크 메시지를 상기 수신인 정보에 해당하는 단말기로 전송한다. After acquiring the actual recipient information through the process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 3, the statement processing unit 30 processes the network message and then, together with the recipient information, transmits the corresponding recipient information through the transmission unit 50. Send to the terminal. In detail, the statement processing unit 30 deletes the statement from the network message provided from the input unit 40, and transfers the network message including only the content statement and the obtained recipient information to the transmission unit 50 (S190). Therefore, the transmission unit 50 transmits the processed network message to the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recipient information.

한편 메시지를 전송하기 전에, 위의 단계(S140)에서, 수신인 확인 과정을 수행하는 것으로 지정된 경우에는, 전송부(50)는 검색 결과로부터 획득한 수신인 정보를 출력하여 사용자가 확인하도록 한다(S200~S210). 그리고 사용자에 의하여 확인이 이루어진 경우에 처리된 네트워크 메시지를 확인된 수신인의 단말기로 전송한다(S220). On the other hand, before transmitting the message, in the above step (S140), if it is specified to perform the recipient confirmation process, the transmission unit 50 outputs the recipient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search results to be confirmed by the user (S200 ~) S210). When the confirmation is made by the user, the processed network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of the confirmed recipient (S220).

그러나 수신인 확인 과정이 지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네트워크 메시지 처리가 완료됨과 동시에 수신인 확인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바로 해당 수신인의 단말기로 네트워크 메시지를 전송한다(S220). However, if the recipient confirmation process is not specified, the network message processing is completed and the network message is immediately transmitted to the terminal of the corresponding recipient without performing the recipient confirmation process (S220).

한편 위의 단계(S110)에서 사용자가 명령문을 사용하지 않을 것으로 선택한 경우에는, 일반적인 메시지 전송 처리 과정이 수행된다. 즉, 네트워크 메시지 작성시에 수신인 선택 화면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직접 수신인을 지정/확인하도록 하고, 이후 사용자가 직접 지정한 수신인의 단말기로 네트워크 메시지를 전송한다. 물론 이 경우 사용자가 네트워크 메시지에 명령문을 입력하여도 이를 일반 텍스트로 간주하여 처리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the user selects not to use the statement in step S110, a general message transmission process is performed. In other words, when creating a network message, a recipient selection screen is provided to allow a user to directly designate / verify a recipient, and then transmit a network message to a terminal of a recipient directly designated by the user. Of course, in this case, even if a user enters a statement in a network message, it can be treated as plain text.

이러한 제1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네트워크 메시지 입력이 완료되면 별도의 수신인 선택 과정 없이 작성된 네트워크 메시지의 전송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단지 메시지를 작성하는 과정만으로 편리하게 메시지를 원하는 수신인에게 전송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user inputs a network message, a network message prepared without a separate recipient selection process is transmitted. Thus, the user can conveniently send the message to a desired recipient only by creating a message.

한편, 위의 제1 실시 예에서, 네트워크 메시지를 입력하고 판별하는 과정에서, 메시지를 보정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Meanwhile, in the above first embodiment, a process of calibrating a message in a process of inputting and determining a network message will be described.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메시지 보정 과정의 흐름도이다.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network message correction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입력부(40)를 통하여 입력되는 네트워크 메시지는 명령문 판별부(10)로 전달된다(S1610). The network message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40 is transmitted to the statement determining unit 10 (S1610).

명령문 판별부(10)는 네트워크 메시지로부터 식별 기호를 토대로 명령문을 판별한다. 먼저, 명령문 판별부(10)는 네트워크 메시지로부터 식별 기호를 찾는다(S1611). 식별 기호를 찾은 경우에는 식별 기호에 인접한 소정 부분을 명령문으로 판별한다(S1612~S1613). 예를 들어, 식별 기호의 제1 방향으로부터 인접되어 있으면서 공백부분(스페이스)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을 명령문으로 판별한다. 또는 식별 기호의 제1 방향으로부터 설정 자리수에 해당하는 부분을 명령문으로 판별한다. The statement determining unit 10 determines a statement based on the identifying symbol from the network message. First, the statement determination unit 10 finds the identification symbol from the network message (S1611). When the identification symbol is found, a predetermined portion adjacent to the identification symbol is determined by the statement (S1612 to S1613). For example, a statement determines a portion that is adjacent from the first direction of the identifying symbol and does not have a blank portion (space). Alternatively, the statement determines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et digit from the first direction of the identification symbol.

다음판별된 명령문이 설정된 규칙에 따라 작성되었는지를 판단한다(S1614). 여기서 설정 규칙은 메시지를 입력할 경우 입력 수단의 입력 방식 정보를 토대로 하여 소정의 적합한 언어나 문자 또는 숫자를 형성하기 위한 제1 규칙일 수 있으며, 또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측에서 설정한 제2 규칙일 수 있다. Nex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determined statement is written according to the set rule (S1614). Herein, the setting rule may be a first rule for forming a predetermined suitable language, letter or number based on the input method information of the input means when the message is input, or the second rule set by the receiving side receiving the message. Can be.

설정 규칙이 제1 규칙인 경우,일반적으로 입력 수단은 키보드, 키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이 있으며, 입력 방식 정보는 이러한 입력 수단들의 키 배열 정보임으로, 제1 규칙은 키 배열 정보일 수 있다. When the setting rule is the first rule, the input means generally includes a keyboard, a keypad, a touch screen, and the like. Since the input method information is key arrangement information of such input means, the first rule may be key arrangement information.

입력 수단들은 모든 입력 가능한 숫자나 문자를 개별적인 키들을 이용하여 구현하기에는 여러 가지 제약(크기, 공간 등)이 있을 수 있으므로, 하나의 키에 적어도 둘 이상의 서로 다른 문자나 숫자를 입력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소정의 모드를 선택하여 하나의 키에 구현되어 있는 서로 다른 문자나 숫자들 중에서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소정 모드를 선택한 다음에 해당 키에서 원하는 숫자나 문자를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는데, 올바른 모드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에는 올바른 키를 선택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원하는 숫자나 문자가 아닌 다른 숫자나 문자가 입력될 수 있다. Since the input means may have various limitations (size, space, etc.) to implement every inputtable number or character using individual keys, the input means may be configured to input at least two different letters or numbers on one key. . In addition, a predetermined mode may be selected to select one of different letters or numbers implemented in one key. In this case, the user can select the desired mode and then enter the desired number or letter on the key.If the correct mode is not selected, the user can select any number or letter other than the desired number or letter even though the correct key is selected. Can be input.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이러한 경우에도 사용자 의도에 따른 정확한 명령문 입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판별된 명령문을 키 배열 정보와 비교하여 설정 규칙에 맞게 입력되었는지를 판별하고, 설정 규칙에 따라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는 판별된 명령문을 키 배열 정보에 따라 보정한다. 여기서 키 배열 정보는 네트워크 메시지 처리 시스템(100)이 도 1에서와 같이 단말기(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에 포함되어 있는 형태로 구현된 경우에는, 해당 휴대 단말기의 키 패드의 키 배열 정보이며, 이러한 정보는 휴대 단말기의 저장부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이와는 달리, 명령문 판별부(10)가 키 배열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할 수도 있다. Therefor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n such a cas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determined statement is input according to the setting rule by comparing the determined statement with key arrangement information so that accurate statement input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is made, The corrected statement is corrected according to the key array information. Here, the key arrangement information is the key arrangement information of the keypad of the portable terminal when the network message processing system 100 is implemented in a form included in a terminal (for example, a portable terminal) as shown in FIG. 1, Such information may be provided from a storage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Alternatively, the statement determining unit 10 may store and manage key arrangement information.

예를 들어, 사용자가 식별 기호가 “&&”인 명령문 “&&0011”을 입력하고자 하였으나, 숫자 입력 또는 문자 입력 등의 모드를 선택하지 않고 키를 선택하여 “&&ajtO"와 같이 입력한 경우, 명령문 판별부(10)는 입력된 “&&ajtO"를 키 배열 정보와 비교하여 “&&0011”로 보정한다(S1615). 그리고 보정되지 않은 명령문과, 보정 처리된 명령문을 명령문 처리부(30)로 전달한다(S1616). For example, if a user tries to enter the statement “&& 0011” with the identification symbol “&&”, but does not select a mode such as numeric input or character input, but selects a key and inputs it as “&& ajtO”, the statement determination unit 10 compares the input " && ajtO " with key arrangement information to correct " && 0011 " (S1615). The uncorrected statement and the corrected statement are transmitted to the statement processing unit 30 (S1616).

한편 식별 기호를 찾지 못한 경우에도, 명령문 판별부(10)는 네트워크 메시지를 키 배열 정보와 비교하면서 설정된 규칙에 따라 재처리한다. 즉, 네트워크 메 시지 전체 또는 일부분을 키 배열 정보에 따라 해당 키에 대응하는 다른 문자나 숫자 등으로 전환하여 보정한다(S1617). 이에 따라 보정된 부분이 식별 기호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식별 기호를 기준으로 제1 방향으로 인접하여 있는 소정 부분을 명령문으로 판별한다(S1618~S1619). 예를 들어, 사용자가 식별 기호가 “&&”인 명령문 “&&0011”을 입력하고자 하였으나, 숫자 입력 또는 문자 입력 등의 모드를 선택하지 않고 키를 선택하여 “99ajtO"와 같이 입력한 경우,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키 배열 정보에 따라 “99ajtO"를 보정 처리하면, “&&0011”을 얻을 수 있다. 최종적으로 식별기호만 보정한 명령문과, 식별기호 및/또는 명령문까지 모두 보정 처리된 명령문을 명령문 처리부(30)로 전달한다(S1616). On the other hand, even when the identification symbol is not found, the statement determining unit 10 reprocesses the network message according to the set rule while comparing the network message with the key arrangement information. That is, all or part of the network message is corrected by switching to other letters or numbers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key according to the key arrangement information (S1617). If the corrected portion includes the identification symbol, the predetermined portion adjacent to the first direction based on the identification symbol is determined as a statement as described above (S1618 to S1619). For example, if a user attempts to enter the statement “&& 0011” with the identifier “&&”, but does not select a mode such as numeric input or character input, but selects a key and enters it as “99ajtO”, As described above, if " 99ajtO " is corrected according to the key arrangement information, " && 0011 " can be obtained. Finally, the statement that corrects only the identifier and the corrected statement up to the identifier and / or the statement are transmitted to the statement processing unit 30 (S1616).

반면, 네트워크 메시지를 설정 규칙에 따라 재처리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식별 기호가 네트워크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이를 명령문 처리부(30)로 통보하여 명령문이 포함되지 않은 메시지 처리 과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S1620). On the other hand, even if the network message is reprocessed according to the setting rule, if the identification symbol is not included in the network message, it can be notified to the statement processing unit 30 so that the message processing process does not include the statement can be made. (S1620).

이러한 네트워크 메시지 보정 처리 과정에 따라, 사용자가 네트워크 메시지의 명령문을 잘못 입력한 경우에도 자동적으로 보정 처리되어 사용자가 의도한 명령문에 따라 메시지가 처리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network message correction process, even if a user incorrectly inputs a statement of a network message, the message may be automatically corrected and processed according to a statement intended by the user.

한편 설정 규칙이 제2 규칙인 경우에는 명령문 판별부(10)는 네트워크 메시지를 주소문에 의하여 확인된 수신인이 지정한 규칙에 따라 보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수신측에서 기 설정한 메시지의 작성 규칙을 수동으로 확인할 필요가 없다. 또한 메시지가 상기 규칙에 어긋나게 작성된 경우에도 적합하게 보정 처 리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setting rule is the second rule, the statement determining unit 10 may correct the network message according to a rule designated by the recipient identified by the address statement. Accordingly, the user does not need to manually check a rule for preparing a message that is previously set by the receiver. In addition, even if the message is written in violation of the above rules, it can be properly corrected.

수신측에서 기 설정한 메시지의 작성 규칙은, 메시지를 작성한 언어, 국가별 키패드 정보, 송신측 단말기의 키배열 정보 등이 있을 수 있으며, 기타 수신측이 인터넷뱅킹, 증권거래 등의 업무상 필요하여 정의한 내부 규칙일 수도 있다. The rules for preparing a message pre-set by the receiver may include the language in which the message is written, the keypad information for each country, the key arrangement information of the sender's terminal, and the like. It may be an internal rule.

다음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메시지 처리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Next, a network message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는 네트워크 메시지에 포함되는 명령문이 제1 내지 제3 형태 중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관한 것이다.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se where a statement included in a network message is in one of first to third forms.

도 6에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메시지 처리 시스템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위에 기술된 제1 실시 예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6 shows a structure of a network message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components that perform the same functions as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첨부한 도 6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메시지 처리 시스템(100)은 제1 실시 예와 동일하게, 입력부(40), 명령문 판별부(10‘), 검색부(20), 명령문 처리부(30‘), 그리고 전송부(50)를 포함한다. 이외에도 저장부(60)를 더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6, the network message processing system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input unit 40, the statement determining unit 10 ′, and the searching unit ( 20), a statement processing unit 30 ', and a transmission unit 50. In addition, the storage unit 60 further includes.

제1 실시 예와는 달리, 명령문 판별부(10‘)는 네트워크 메시지로부터 명령문을 판별하는 명령문 판별 모듈(11), 그리고 판별된 명령문에 주소문 및 지시문이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 명령문이 제1 내지 제3 형태 중 어느 형태에 해당하는지를 판별하는 형태 판별 모듈(12)을 포함한다. Unlike the first embodiment, the statement determining unit 10 'is provided with a statement determination module 11 for determining a statement from a network message, and a statement is determined depending on whether the determined statement includes an address statement and a directive. A form discrimination module 12 for discriminating which form corresponds to the first to third forms is included.

여기서 명령문이 어떠한 형태인지를 판별하는 방법으로는, 명령문 작성 규칙 을 설정하고 이를 토대로 형태를 판별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명령문 작성 규칙을 명령문이 식별 기호, 주소문 그리고 지시문의 배열 순서로 입력되는 것으로 설정하고, 주소문과 지시문에 각각 설정 자리수를 부여한다. 물론 이 경우 배열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입력된 네트워크 메시지로부터 식별 기호를 찾은 다음에 식별 기호에 제1 방향으로 인접하여 위치되는 제1 설정 자리수의 부분을 주소문으로 판별하고, 주소문에 이어서 제2 설정 자리수의 부분을 지시문으로 판별한다. 이 경우 주소문과 지시문에는 공백이 없는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기호에 이어서 제1 설정 자리수의 부분만 위치하고 이어서 공백이 위치하는 경우에는 명령문이 주소문만을 포함하는 제1 형태인 것으로 판단한다. 예를 들어 명령문이 “*3401”인 경우 “34”는 주소문인 것으로 판별하고, “01”은 지시문인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Here, as a method of determining the form of a statement, a method of setting a statement writing rule and determining the form based on this may be used. For example, set the rules for writing statements as the statements are entered in the order of the identifier, address, and directive, and give the address and directive a set of digits, respectively. Of course, in this case, the arrangement order can be changed. The identification symbol is found from the input network message, and then the portion of the first set digit positioned adjacent to the identifier in the first direction is determined by the address statement, and the portion of the second set digit is determined by the directive following the address statement. do. In this case, the address and directives can be set to no spaces. Therefore, when only the part of the first set digit is located after the identification symbol and the blank is located, it is determined that the statement is in the first form including only the address statement. For example, if the statement is "* 3401", it can be determined that "34" is an address statement and "01" is a directive.

또한 식별 기호에 이어서 공백 없이 제1 및 제2 설정 자리수의 부분이 위치하는 경우에는 명령문이 주소문과 지시문을 포함하는 제2 형태인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식별 기호에 이어서 제2 설정 자리수의 부분만 위치하고 공백이 위치하는 경우에는 명령문이 지시문만을 포함하는 제3 형태인 것으로 판단한다. 여기서는 제1 및 제2 설정 자리수가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으며, 이를 토대로 명령문이 제1 형태 또는 제3 형태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part of the first and second set digits is positioned after the identification symbol without a space, it is determined that the statement is in the second form including an address statement and a directive. Further, if only a part of the second set digit is located after the identification symbol and a blank is located, it is determined that the statement is in the third form including only the directive. Here, the first and second set digits may be set differently, and based on this,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statement is in the first form or the third form.

제1 및 제2 설정 자리수가 동일한 경우에는 주소문만을 입력할 때의 식별 기호와 지시문만을 입력할 때의 식별 기호를 서로 다르게 두어, 명령문이 제1 형태인지 또는 제3 형태인지를 판별할 수 있다. 또는 동일한 식별 기호를 사용하는 경우 에는 식별 기호의 나머지 부분을 토대로 저장부를 검색하고 검색 결과에 따라 해당 부분이 주소문인지 또는 지시문인지를 판별할 수도 있다. If the first and second set digits are the same, the identification symbol when inputting only an address statement and the identification symbol when inputting only an indication statement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to determine whether the statement is in the first or third form. . Alternatively, when using the same identification symbol, the storage unit may be searched based on the remaining part of the identification symbol, and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corresponding part is an address statement or a directive according to the search result.

이외에도, 주소문을 입력하는 형태와 지시문을 입력하는 형태를 서로 다르게 규정하여, 이를 토대로 명령문이 제1 형태 내지 제3 형태 중 어느 하나인지를 판별할 수 있다. 위에 기술된 판별 방법 이외에도, 당업계에서 사용 가능한 다양한 방법들이 사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orm of inputting an address sentence and the form of inputting a directive may be defined differently, and based on this,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statement is one of the first to third forms. In addition to the determination methods described above, various methods available in the art may be used.

검색부(20)는 명령문 판별부(10‘)로부터 전달되는 주소문에 따라 저장부를 검색하여 상기 주소문을 포함하는 정보를 찾는다. The search unit 20 searches the storage unit according to the address statement transmitted from the statement determining unit 10 'to find information including the address statement.

명령문 처리부(30‘)는 검색 결과로부터 실질적인 수신인 정보를 획득하는 정보 획득 모듈(31), 명령문의 형태에 따라 네트워크 메시지를 다르게 처리하는 즉, 판별된 명령문의 형태에 따라 주소문 및 지시문 중 적어도 하나의 판독된 정보를 토대로 네트워크 메시지를 처리하는 다수의 처리 모듈(33~35)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명령문이 제1 형태인 경우 네트워크 메시지로부터 주소문을 삭제 처리하는 제1 처리 모듈(33), 명령문이 제2 형태인 경우, 지시문에 대응하는 지시 정보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네트워크 메시지에 포함시키거나 지시문에 대응하는 지시 정보를 네트워크 메시지에 포함시키는 제2 처리 모듈(34)을 포함한다. 이외에도, 명령문이 제3 형태인 경우에는 획득된 지시 정보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네트워크 메시지에 포함시키는 제3 처리 모듈(35)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tatement processing unit 30 ′ processes the network message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31 for acquiring the actual recipient information from the search result, the form of the statement, that is, at least one of an address statement and a directive according to the determined form of the statement. It includes a plurality of processing modules (33 to 35) for processing a network message based on the read information of. Specifically, when the statement is the first form, the first processing module 33 deletes the address statement from the network message. When the statement is the second form, the first processing module 33 performs an operation according to the instruc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irective and displays the result. And a second processing module 34 for including the indication information in the network message or corresponding to the directive in the network message. In addition, when the statement is in the third form, it may include a third processing module 35 for performing an operation according to the obtained indication information and including the result in a network message.

여기서 제2 처리 모듈(34)은 네트워크 메시지로부터 주소문과 지시문을 모두 삭제하고 지시 정보에 따른 동작 수행 결과나 지시 정보를 네트워크 메시지에 포함 시킬 수 있다. 또는 네트워크 메시지로부터 주소문만을 삭제하고 지시문은 유지한 채, 지시 정보에 따른 동작 수행 결과나 지시 정보를 네트워크 메시지에 포함시킬 수 있다. Here, the second processing module 34 may delete all of the address statement and the directive from the network message, and include the result of performing the operation or the indi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indication information in the network message. Alternatively, the network message may include the result of performing the operation or the indi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indication information while deleting only the address statement from the network message and maintaining the indication message.

특히 제2 처리 모듈(34)은 지시문에 대응하는 지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지시 정보에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입력된 명령문이 “10ID”이라는 지시문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 제2 처리 모듈(34)은 “10ID”이라는 지시문이 “인증 정보 찾기”라는 지시 정보에 해당하는 경우, 검색부(20)와 연계하여 저장부(60)로부터 인증 정보를 찾는다. 그리고 이와 같이 획득한 인증 정보를 네트워크 메시지에 포함시킨다. 또는 명령문이 “01"이라는 지시문을 포함하고 있고, 01은 ”On“, 02는 ”Off“, 03은 ”1시간 뒤 On “ 등이라는 지시 정보가 이미 설정되어 있는 경우, 지시문 ”01“에 대응하는 지시 정보 즉, ”On"을 찾아서 네트워크 메시지에 포함시킨다. 한편, 별도의 검색 동작 없이 판독된 지시문 자체를 지시 정보로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시문이 소정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소정 규칙에 따라 생성된 경우에는, 지시문 그 자체가 소정의 지시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별도의 지시 정보를 찾는 검색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지시문 자체를 지시 정보로서 사용한다. 이 경우에는 지시 정보에 따른 별도의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고, 지시 정보가 검색 결과 자체로서 사용되어 네트워크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다. 물론 이와 같이 지시문이 송신측에서 소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정보인 경우에는 그 지시 정보에 대응하는 동작이 수행된 다음에 그 결과가 네트워크 메시지에 포함되어 전송된다. 또한 지시문이 수신측에서 소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정보인 경우에는 해당하는 지시 정보가 별도의 처리 없이 네트워크 메시지에 포함되거나 또는 해당하는 명령어로 변환 처리되어 네트워크 메시지에 포함되어 전송되어, 수신측에서 지시 정보에 대응하는 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In particular, the second processing module 34 obtains the instruc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nstruction, and performs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obtained instruction information. For example, when the input statement includes the directive “10ID”, the second processing module 34 searches for the search unit 20 when the directive “10ID” corresponds to the instruction information “find authentication information”. In conjunction with the search for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from the storage unit 60.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thus obtained is included in the network message. Or, if the instruction contains the directive “01”, 01 indicates “On”, 02 means “Off”, 03 means “On” after 1 hour, etc., the instruction corresponds to “01”. Instruction information, that is, "On" is found and included in the network message. On the other hand, the directive itself read without a separate search operation can be used as the instruction information. For example, when a directive is generat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rule for operating a predetermined device, the directive itself includes predetermined instruction information, and thus does not perform a search operation for searching for separate instruction information, and directs the directive itself. Use as. In this case, a separate operation according to the indication information is not performed, and the indication information may be used as the search result itself and included in the network message. Of course, if the directive is information instructing the transmitting side to perform a predetermined operation, the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indication information is performed and then the result is included in the network message and transmitted. In addition, when the directive is information for instructing the receiving side to perform a predetermined operation, the corresponding indication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network message without additional processing or converted into a corresponding command, included in the network message, and transmitted.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indication information is made.

수신인 정보 또는 지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정보들은 소정의 저장부(60)에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저장부(60)는 위에 기술된 제1 실시 예의 저장부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Information for obtaining recipient information or indication information is stored in a predetermined storage unit 60. Here, the storage unit 60 performs the same function as the storage unit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도 7에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메시지 처리 시스템의 구현 예가 도시되어 있다. 7 illustrates an implementation of a network message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서는 네트워크 메시지 처리 시스템(100)이 도 에서와 같이, 제1 단말기(200)에 내장되어 있는 형태로 구현되어 소정의 네트워크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네트워크 상에 연결된 주소 서버(600)로부터 수신인 정보들을 제공받아 사용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ssumed that the network message processing system 100 is implemented in a form embedded in the first terminal 200 as shown in FIG. In addition, it is assumed that recipient information is received and used from an address server 600 connected on a network.

이러한 경우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서 제1 단말기(200)는 네트워크 메시지에 포함되는 지시문을 판별하고 이에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기능을 가지는 제2 단말기(300) 또는 상기 동작을 수행하는 기능을 가지지 않는 제3 단말기(500)와 네트워크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2 단말기(300)의 경우 수신된 네트워크 메시지로부터 지시문을 판별하고 이에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지시문 처리부(301)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메시지로부터 지시문을 판별하는 과정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과 같이 식별 기호를 포함하는 소정 부분을 지시문으로 판별할 수 있다. In this case,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terminal 200 determines the indication included in the network message and performs a function of performing the operation or the second terminal 300 having the function of performing the corresponding operation. It is possible to send and receive network messages with the third terminal 500 does not have. The second terminal 300 may include a directive processing unit 301 for determining a directive from the received network message and performing an operation corresponding thereto. In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directive from the network message, as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 predetermined part including an identification symbol may be determined as the directive.

다음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메시지 처리 방법에 대하 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Next, a network message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메시지 처리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processing a network messag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위에 기술된 제1 실시 예와 같이 네트워크 메시지 입력이 완료되면(S400), 명령문 판별부(10‘)는 네트워크 메시지로부터 명령문을 판별한다.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네트워크 메시지가 입력되기까지의 과정을 생략하였으나, 위에 기술된 제1 실시 예와 같이 메시지 입력 화면을 제공하고 이에 따라 입력되는 메시지를 처리하는 과정(S100~S190)이 수행될 수 있다. When the network message input is completed as in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S400), the statement determination unit 10 ′ determines a statement from the network message. In this case, the process of inputting a network message is omit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but as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a process of providing a message input screen and processing the input message accordingly is performed (S100 to S190). Can be.

명령문 판별부(10‘)는 네트워크 메시지로부터 식별 기호를 토대로 명령문을 판별하면(S410), 판별된 명령문이 제1 형태 내지 제3 형태 중 어느 형태인지를 판별한다(S420). When the statement determination unit 10 ′ determines the statement from the network message based on the identification symbol (S410), the statement determination unit 10 ′ determines whether the determined statement is in the first to third forms (S420).

명령문이 제1 형태인 경우(S430), 명령문 판별부(10‘)는 주소문을 검색부(20)로 전달하며, 검색부(20)는 제1 실시 예와 같이 저장부(60)를 검색하여 상기 주소문을 포함하는 정보들을 찾는다. 이후, 명령문 처리부(30‘)는 검색 결과로부터 제1 실시 예와 같이 실질적인 수신인 정보를 획득한다(S440). 이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신인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When the statement is in the first form (S430), the statement determining unit 10 ′ transmits the address statement to the searching unit 20, and the searching unit 20 searches the storage unit 60 as in the first embodiment. Search for information including the address text. Thereafter, the statement processing unit 30 ′ obtains substantial recipient information from the search result as in the first embodiment (S440). In this case, a process of obtaining recipient information as shown in FIG. 4 may be performed.

다음 명령문 처리부(30‘)는 네트워크 메시지로부터 주소문 즉, 명령문을 삭제하고, 내용문만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메시지와 획득한 수신인 정보를 전송부(50)로 전달한다(S450). 따라서 전송부(50)는 처리된 네트워크 메시지를 상기 수신인 정보에 해당하는 단말기로 전송한다(S460). Next, the statement processing unit 30 ′ deletes the address statement, that is, the statement from the network message, and transmits the network message including only the content statement and the obtained recipient information to the transmission unit 50 (S450). Therefore, the transmission unit 50 transmits the processed network message to the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recipient information (S460).

한편 명령문이 제2 형태인 경우(S470), 명령문 처리부(30‘)는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주소문을 토대로 수신인 정보를 획득한다(S480). 또한 검색부(20)는 명령문의 지시문을 토대로 저장부(60)를 검색하여 그 결과를 명령문 처리부(30‘)로 전달하며, 명령문 처리부(30‘)는 검색 결과로부터 지시 정보를 획득한다(S490). 그리고 명령문 처리부(30‘)는 획득된 지시 정보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획득한다(S500). On the other hand, if the statement is in the second form (S470), the statement processing unit 30 'obtains recipient information based on the address statement as described above (S480). In addition, the search unit 20 searches for the storage unit 60 based on the directive of the statement and transfers the result to the statement processing unit 30 ', and the statement processing unit 30' obtains the instruction information from the search result (S490). ). The statement processing unit 30 ′ performs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obtained indication information and obtains the result (S500).

이후, 명령문 처리부(30‘)는 네트워크 메시지로부터 주소문을 삭제하고 상기 지시 정보에 따른 동작 수행에 따라 획득한 결과를 네트워크 메시지에 포함시킨다(S510). 예를 들어 지시문이 인터넷으로 계좌정보 조회를 하기 위해 필요한 본인 인증 정보를 요청하는 경우, 명령문 처리부(30‘)는 본인 인증 정보를 찾아, 이를 네트워크 메시지에 포함시킨다. 또는 지시문이 원격지에 위치한 소정 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명령어인 경우에, 명령문 처리부(30‘)는 검색 결과를 토대로 해당 지시문이 상기 명령어인 것으로 판별하고 이를 네트워크 메시지에 포함시킨다. 이 경우 지시문은 해당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형태의 명령어로 전환 처리된 다음에 네트워크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 메시지 처리시, 명령문의 식별 기호와 지시문을 삭제하지 않고 유지할 수 있으며, 또는 식별 기호는 삭제하고 지시문만을 유지할 수도 있다. Thereafter, the statement processing unit 30 ′ deletes the address statement from the network message and includes the result obtained by performing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indication information in the network message (S510). For example, when the directive requests identity authentication information required for inquiry of account information over the Internet, the statement processing unit 30 'finds the identity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includes it in a network message. Alternatively, when the directive is a command for remotely controlling a predetermined device located at a remote location, the statement processing unit 30 'determines that the directive is the command based on a search result and includes it in the network message. In this case, the directive may be converted into a command that can control the device and then included in the network message. In processing such network messages, the identifiers and directives of statements can be maintained without deleting, or the identifiers can be deleted and only directives maintained.

따라서 전송부(50)는 지시문에 따른 처리 결과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메시지를 주소문에 대응하는 수신인 정보를 가지는 단말기로 전송한다(S520). 그러므로, 예를 들어 네트워크 메시지가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에 이를 수신한 수신측 단 말기는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의 계좌 정보를 찾아서 다시 송신측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네트워크 메시지가 명령어를 포함하는 경우 이를 수신한 수신측 단말기는 해당 명령어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Therefore, the transmitter 50 transmits the network message including the processing result according to the instruction to the terminal having the recipie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ddress sentence (S520). Therefore, for example, when the network message includes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the receiving terminal receiving the same may find the account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user using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provide it back to the transmitting terminal. Also, for example, when a network message includes a command, the receiving terminal may receive an operation according to the command.

한편 명령문이 제3 형태인 경우, 명령문 처리부(30‘)는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지시문을 토대로 지시 정보를 획득하고(S530) 그에 따른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동작 수행 결과를 네트워크 메시지에 포함시킨다. 다만, 명령문이 제3 형태인 경우에는 일반적인 메시지 처리 과정을 추가적으로 수행한다. 즉, 수신인을 검색, 입력,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을 출력하여, 사용자가 직접 수신인을 지정하도록 하고, 지정된 수신인의 단말기로 네트워크 메시지를 전송한다(S540~S550). On the other hand, when the statement is in the third form, the statement processing unit 30 'obtains the indic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directive as described above (S530) and performs the operation accordingly. The result of the operation is included in the network message. However, when the statement is in the third form, a general message processing process is additionally performed. In other words, by outputting a screen for searching, inputting, and selecting a destination, the user directly designates a destination, and transmits a network message to a terminal of the specified destination (S540 to S550).

위에 기술된 제2 실시 예에서는 명령문이 제2 형태인 경우, 네트워크 메시지로부터 주소문만을 삭제하였으나 지시문도 삭제하여 명령문 전체를 삭제할 수도 있다. In the second embodiment described above, when the statement is in the second form, only the address statement is deleted from the network message, but the entire statement may be deleted by deleting the directive.

또한 위에 기술된 제2 실시 예에서도, 위에 기술된 도 의 네트워크 메시지 보정 과정이 수행되어, 네트워크 메시지의 명령문이 키 배열 정보에 따라 보정 처리될 수 있다. Also in the second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network message correction process of FIG. Described above is performed, so that statements in the network message can be corrected according to the key arrangement information.

한편 위에 기술된 제1 및 제2 실시 예에서, 명령문에 포함되는 주소문이 두 가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주소문이 사적 수신인 정보를 지정하는 제1 주소문과, 공적 수신인 정보를 지정하는 제2 주소문으로 분류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address statement included in the statement may be in two forms. In more detail, an address statement may be classified into a first address statement specifying private recipient information and a second address statement specifying public recipient information.

제1 주소문은 사용자가 개인적으로 입력하여 저장 관리하고자 하는 수신인들에 대한 정보이며,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 등의 전화 목록에 해당하는 정보들로 서, 위의 제1 실시 예에 예시된 주소문들이 이에 해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적 수신인 정보는 휴대 전화의 전화번호부, 주소록, 메모, SMS 관리함, 일정 등의 다양한 메뉴 및 이와 결합된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유무선 전화번호, 전자메일주소 등 SMS 수신이 가능한 연락처 등일 수 있다. The first address text is information about recipients that the user personally inputs and wants to manage and store. The first address text is, for exampl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telephone list of a mobile terminal. The address illustrated in the first embodiment is described above. The doors may correspond to this. For example, the private recipient information may be various menus such as a phone book, an address book, a memo, an SMS managing box, a schedule of a mobile phone, a wired / wireless phone number stored in a memory associated with the same, a contact address capable of receiving an SMS such as an e-mail address, and the like. .

제2 주소문은 네트워크 상의 다른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받은 수신인들에 대한 정보이다. 예를 들어, 인터넷 주소(URL)나 주소서버에 저장된 수신자 정보 등의 정보일 수 있다. The second address text is information about recipients provided from other systems on the network. For example, the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such as an Internet address (URL) or recipient information stored in an address server.

제1 주소문과 제2 주소문은 표기 방식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즉, 제1 주소문은 제1 식별 기호를 가지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제2 주소문은 제2 식별 기호를 가지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주소문은 *이나 &뒤에 개인이 지정한 단축키 등의 주소문을 붙여 *004나 &998과 같이 표기하고, 제2 주소문은 &&과 같은 식별 기호 뒤에 주소문을 붙여서 &&302001와 같이 표시할 수 있다. The first address statement and the second address statement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at is, the first address statement may have a form having a first identification symbol and the second address statement may have a form having a second identification symbol. For example, the first address statement is followed by * or &, followed by an address key designated by an individual, such as * 004 or & 998, and the second address statement is followed by an identifier after && 302001, such as && 302001. I can display it.

이 때, 제2 주소문에서 302011은 네트워크상의 주소 서버에 개인이 편의에 따라 할당한 주소문이나 공개적으로 할당된 주소문으로 어느 정보 단말기에서나 동일하게 인식되는 주소로 고유한 값을 지닐 수도 있다. 반면, 제1 주소문에서 사용된 081은 개인이 편의에 따라 할당한 주소문으로 각 개인에 따라 다른 값을 가지게 되며, 한 개인이 지니고 있는 다수의 정보 단말기에서 같은 값을 가질 수도, 다른 값을 가질 수도 있다. At this time, 302011 in the second address statement may have a unique value as an address that is individually assigned to an address server on the network or an address that is publicly assigned to an address that is identically recognized in any information terminal. On the other hand, 081 used in the first address statement is an address statement assigned by an individual for convenience, and has a different value for each individual, and may have the same value in a plurality of information terminals owned by an individual, or different values. May have

물론, 이러한 제1 및 제2 주소문은 위에서 기재한 보정 과정에 따라,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의 키 패드에서 하나의 키로 여러 가지 문자/숫자 등을 입력할 수 있는 경우에도, 자동으로 보정 처리된다. 예를 들어, &&302011의 경우 제2 주소문을 나타내는 제2 식별 기호 &&와 주소문인 302011을 각각 “99” 및 “ㄱㅈㅁ터ㅣ”과 같이 입력하였다고 하더라도, 도 2의 보정 과정을 통하여 “&&302011”로 인식 처리된다. Of course, the first and second address texts are automatically corrected even if the user can input various letters / numbers and the like with one key on the keypad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rrection process. For example, in the case of && 302011, even if the second identification symbol && representing the second address sentence & 30 and the address sentence 302011 are inputted as “99” and “ㄱㅈㅁ 터 ㅣ”, respectively, it is “&& 302011” through the correction process of FIG. 2. Recognition processing.

한편 위의 실시 예에서는 제1 실시 예가 도 1에 도시된 형태로 구현되는 것을 예로 들었지만 제2 실시 예와 같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물론 제2 실시 예도 도 1에 도시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Meanwhile, in the above embodiment, the first embodiment is implemented as shown in FIG. 1 as an example, but may be implemented as shown in FIG. 7 as in the second embodiment. Of course, the second embodiment may also be implemented in the form shown in FIG.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not only implemented through the apparatus and the method, but may also be implemented through a program for realizing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program is recorded. Implementation can be easily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provided. It belongs to the rang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메시지 처리 시스템의 구현예이다. 1 is an embodiment of a network message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메시지 처리 시스템의 구조도이다. 2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network message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메시지 처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network message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메시지 처리 방법 중 수신인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의 흐름도이다.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acquiring recipient information in a network message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메시지 처리 방법 중 메시지 보정 과정의 흐름도이다.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ssage correction process in a network message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메시지 처리 시스템의 구조도이다. 6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network message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메시지 처리 시스템의 구현예이다. 7 is an embodiment of a network message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메시지 처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network message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2)

네트워크를 통하여 송수신되는 네트워크 메시지를 처리하는 시스템의 메시지 처리 방법에서, In the message processing method of the system for processing network messages transmitted and received via a network, 상기 시스템이 식별기호를 포함하는 명령문이 포함된 네트워크 메시지를 입력받는 단계; Receiving, by the system, a network message including a statement including an identifier; 상기 네트워크 메시지로부터 명령문을 식별하는 단계; Identifying a statement from the network message; 상기 명령문으로부터 주소문 및 지시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Determining from the statement whether at least one of an address statement and a directive is included; 상기 명령문이 주소문을 포함하는 경우 주소문을 토대로 수신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Obtaining recipient information based on an address statement if the statement includes an address statement; 상기 명령문이 지시문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지시문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상기 네트워크 메시지에 포함시키는 단계; 및 If the statement includes a directive, performing an operation in accordance with the directive and including the result in the network message; And 상기 네트워크 메시지로부터 상기 명령문을 삭제한 다음에 주소문에서 획득된 상기 수신인 정보 또는 추가로 입력된 수신인 정보에 따라 전송하는 단계 Deleting the statement from the network message and transmitting according to the recipient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address text or additionally inputted recipient information; 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메시지 처리 방법. Network message processing method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네트워크 메시지로부터 식별된 명령문과 메시지 작성에 관련된 설정 규칙을 비교하는 단계; 및 Comparing a statement identified from the network message with a set rule related to message creation; And 상기 명령문을 설정 규칙에 따라 보정 처리하는 단계 Correcting the statement according to a set rule 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메시지 처리 방법. Network message processing method further comprising. 제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설정 규칙은 키 배열 정보인 네트워크 메시지 처리 방법. And said setting rule is key arrangement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네트워크 메시지가 입력되면, 수신인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의 수행 여부를 문의하는 단계; 및 If the network message is input, inquiring whether or not to perform a process of confirming recipient information; And 사용자가 상기 과정을 수행할 것을 선택한 경우, 상기 네트워크 메시지를 전송하기 전에 상기 획득한 수신인 정보를 표시하여 사용자로부터 확인을 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If the user chooses to perform the above process, before the network message is transmitted, displaying the obtained recipient information to receive confirmation from the user, 상기 네트워크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상기 과정을 수행할 것을 선택하지 않은 경우 상기 수신인 정보가 획득되자마자 상기 네트워크 메시지를 수신인 정보에 따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메시지 처리 방법. The transmitting of the network message may include transmitting the network message according to the recipient information as soon as the recipient information is obtained when the user does not select to perform the process.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수신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Acquiring the recipient information 상기 수신인 정보가 복수인 경우에는 획득한 수신인 정보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하는 네트워크 메시지 처리 방법. And displaying the obtained recipient information so that the user selects the plurality of recipient information.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상기 결과를 상기 네트워크 메시지에 포함시키는 단계는,Including the result in the network message, 상기 명령문에 포함된 지시문이 수신측에서 소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정보인 경우에는 해당하는 지시 정보를 별도의 처리 없이 상기 네트워크 메시지에 포함시키거나, 또는 해당하는 명령어로 변환 처리하여 상기 네트워크 메시지에 포함시키는, 네트워크 메시지 처리 방법.If the directive included in the statement is information for instructing the receiving side to perform a predetermined operation, the corresponding instruction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network message without additional processing, or converted into a corresponding command to be processed in the network message. Network message processing method. 네트워크를 통하여 송수신되는 네트워크 메시지를 처리하는 시스템에서, In a system that processes network messages sent and received over a network, 입력되는 네트워크 메시지로부터 명령문을 식별하고 식별된 명령문의 형태를 판별하는 명령문 판별부; A statement determination unit identifying a statement from an input network message and determining a type of the identified statement; 상기 명령문에 해당하는 정보를 찾는 검색부; A search unit for find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tatement; 상기 명령문의 형태에 따라 상기 검색부로부터 전달되는 정보를 토대로 상기 네트워크 메시지를 처리하며, 상기 처리된 네트워크 메시지에서 명령문을 삭제하는 명령문 처리부;A statement processing unit processing the network message based 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earch unit according to the form of the statement, and deleting a statement from the processed network message; 상기 명령문이 삭제된 네트워크 메시지를 획득한 수신인 정보에 따라 전송하는 전송부; 및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the network message from which the statement is deleted according to recipient information; And 상기 수신인 정보 획득을 위한 정보와, 지시문들에 대응하는 지시 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저장부A storage unit including at least one of information for obtaining the recipient information and ind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instructions 를 포함하고, Including, 상기 명령문 처리부는 The statement processing unit 상기 명령문이 주소문을 포함하는 제1 형태인 경우 상기 네트워크 메시지로부터 주소문을 삭제 처리하는 제1 처리 모듈; A first processing module for deleting an address statement from the network message when the statement is of a first type including an address statement; 상기 명령문이 지시문과 주소문을 포함하는 제2 형태인 경우 상기 지시문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상기 네트워크 메시지에 포함시키는 제2 처리 모듈; 그리고 A second processing module for performing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directive and including the result in the network message when the statement is in a second form including a directive and an address statement; And 상기 검색부로부터 전달되는 정보를 토대로 주소문에 대응하는 수신인 정보를 획득하는 정보 획득 모듈 An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for obtaining recipie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n address sentence based on th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earch unit; 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메시지 처리 시스템. Network message processing system comprising a.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명령문 판별부는 상기 네트워크 메시지로부터 식별된 명령문을 메시지 작성에 관련된 설정 규칙에 따라 보정 처리하는, 네트워크 메시지 처리 시스템. And the statement determination unit corrects the statement identified from the network message according to a setting rule related to message creation.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or 8 상기 제2 처리 모듈은, The second processing module, 상기 명령문에 포함된 지시문이 수신측에서 소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정보인 경우에는 해당하는 지시 정보를 별도의 처리 없이 상기 네트워크 메시지에 포함시키거나, 또는 해당하는 명령어로 변환 처리하여 상기 네트워크 메시지에 포함시키는, 네트워크 메시지 처리 시스템.If the directive included in the statement is information for instructing the receiving side to perform a predetermined operation, the corresponding instruction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network message without additional processing, or converted into a corresponding command to be processed in the network message. Network message processing system. 네트워크를 통하여 네트워크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단말기에서, In a terminal for sending and receiving network messages through a network, 네트워크 메시지를 입력하는 입력부; An input unit for inputting a network message; 상기 입력되는 네트워크 메시지로부터 명령문을 식별하고 식별된 명령문의 형태를 판별하는 명령문 판별부; A statement determination unit identifying a statement from the input network message and determining a form of the identified statement; 상기 명령문에 해당하는 정보를 찾는 검색부; A search unit for find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tatement; 상기 명령문의 형태에 따라 상기 검색부로부터 전달되는 정보를 토대로 상기 네트워크 메시지를 처리하는 명령문 처리부; A statement processing unit processing the network message based 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earch unit according to the form of the statement; 인가되는 수신인 정보에 따라 상기 처리된 네트워크 메시지를 전송하는 전송부; 및 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the processed network message according to authorized recipient information; And 상기 수신인 정보 획득을 위한 정보들을 저장하는 저장부 A storage unit storing information for obtaining the recipient information 를 포함하고, Including, 상기 명령문 처리부는 The statement processing unit 상기 명령문이 주소문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 메시지로부터 주소문을 삭제 처리하는 제1 처리 모듈; A first processing module which deletes the address statement from the network message when the statement includes an address statement; 상기 명령문이 지시문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지시문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상기 네트워크 메시지에 포함시키는 제2 처리 모듈; 그리고 A second processing module for performing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directive and including the result in the network message when the statement includes a directive; And 상기 검색부와 연계하여 상기 주소문에 대응하는 수신인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전송부로 제공하는 정보 획득 모듈 An information acquisition module that obtains recipie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ddress statement in association with the search unit and provides the received information to the transmitter; 을 포함하는 단말기. Terminal comprising a. 제10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전송부는 상기 주소문으로부터 수신인 정보가 획득되면 수신인 정보 확인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상기 네트워크 메시지를 수신인 정보에 따라 전송하는 단말기. The transmitter may transmit the network message according to the recipient information without performing the recipient information checking process when the recipient information is obtained from the address text.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0 or 11, wherein 상기 명령문 판별부는 상기 네트워크 메시지로부터 식별된 명령문을 메시지 작성에 관련된 설정 규칙에 따라 보정 처리하는, 단말기.And the statement determination unit corrects a statement identified from the network message according to a setting rule related to message creation.
KR1020080107168A 2007-10-30 2008-10-30 Method for processing network message and system thereof, and terminal using the same KR20090050943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9639 2007-10-30
KR20070109639 2007-10-30
KR1020070121351 2007-11-27
KR20070121351 2007-11-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0943A true KR20090050943A (en) 2009-05-20

Family

ID=40859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7168A KR20090050943A (en) 2007-10-30 2008-10-30 Method for processing network message and system thereof, and terminal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50943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24547C2 (en) Word prediction
CN101595447B (en) Input prediction
US1012266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lectronic distribution of messages over communication channels
KR100841352B1 (en) International messaging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ystem
JP5559684B2 (en) Phone number storage method by automatic message analysis and portable terminal for executing the method
US8169409B2 (en) Method of managing a language information for a text input and method of inputting a text and a mobile terminal
EP1583302A2 (en) Message distribution system and method
US20090187831A1 (en) Integrated Electronic Mail and Instant Messaging System
EP3139569B1 (en) Communication system
US20080133599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ddress-related location-based data
US20060198350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messages in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and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CN101346737A (en)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sending a message from a mobile device
US20060112163A1 (en) Electronic mail server apparatus
US7974612B2 (en) Transmission of database records betwe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KR20170132715A (en) A communication terminal, a message translation system, a message translation method, and a message translation program
KR20090050943A (en) Method for processing network message and system thereof, and terminal using the same
US20180367673A1 (en) Enhanced communication using variable length strings of alphanumerics, symbols, and other input
US9652623B2 (en) Electronic address book sto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storing electronic address book
JP2004040304A (en) Electronic mail address control method and program, electronic mail terminal
KR10063433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nding message using information search input field
JP2002051085A (en) Server,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mail, relay server, recording medium and program
KR100834941B1 (en) Messaging server for supporting korean alphabet address and method of the same
KR10082855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o(mobile oriented) number
JP2005515555A (en) A method for searching for a specific e-mail address by a numerical string composed by combining several numbers constituting a specific telephone number in order.
KR20000054617A (en) Method and apparauts for supplying correspondence information in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