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7689A -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multi-screen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multi-scree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7689A
KR20090047689A KR1020070113646A KR20070113646A KR20090047689A KR 20090047689 A KR20090047689 A KR 20090047689A KR 1020070113646 A KR1020070113646 A KR 1020070113646A KR 20070113646 A KR20070113646 A KR 20070113646A KR 20090047689 A KR20090047689 A KR 200900476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nformation
divided
screen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36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481505B1 (en
Inventor
박상헌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70113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1505B1/en
Publication of KR200900476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768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1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150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46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display composed of modules, e.g. video wal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4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for obtaining an image which is composed of whole input images, e.g. splitscree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스크린 시스템 및 그 구현 방법에 관한 것으로, 하나의 영상신호를 다수개의 스크린에 분할하여 디스플레이할 시, 영상이 보다 자연스럽게 구현될 수 있도록 확대 디스플레이하고자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screen system and a method of implementing the same, and is intended to enlarge and display an image more naturally when one image signal is divided and displayed on a plurality of screens.

이에, 분할된 영상을 확대하여 지정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크린으로 제공할 시, 스크린 외주 면과 스크린 사이에 형성되는 배젤(Bezel) 부분까지 고려하여 영상을 확대하고, 확대된 영상을 해당 스크린으로 위치 및 순서를 지정하여 제공함으로써 왜곡이 적은 자연스러운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Therefore, when the divided image is enlarged and provided to the screen of the designated display device, the image is enlarged in consideration of the bezel portion formed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creen and the screen, and the enlarged image is positioned and ordered on the screen. By designating and providing, a natural screen with less distortion is displayed.

멀티-스크린, 분할 영상, 배젤(Bezel), 디스플레이 장치 Multi-Screen, Split Image, Bezel, Display Devices

Description

멀티 스크린 시스템 및 그 구현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MULTI-SCREEN}Multi-screen system and its implementation method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MULTI-SCREEN}

본 발명은 멀티-스크린에 관한 것으로, 분할된 영상을 다수개의 스크린상에 보다 자연스럽게(Natural) 디스플레이하고자 하는 멀티 스크린 시스템 및 그 구현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screen,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screen system and a method for implementing the same, which naturally display a divided image on a plurality of screens.

멀티 스크린 시스템은 다양한 영상들을 다수개의 모니터들 각각에 디스플레이할 뿐 아니라, 확대된 전체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분할된 영상들을 다수개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이다. 이러한 멀티-스크린 시스템은 증권 거래소, 경마장, 노래방 등에서 흔히 볼 수 있다 The multi-screen system not only displays various images on each of the plurality of monitors, but also displays the divided images on the plurality of monitors in order to display the entire enlarged image. Such multi-screen systems are commonly found in stock exchanges, racetracks and karaoke.

도 1은 기존의 멀티-스크린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멀티-스크린 시스템은 티브이 또는 퍼스널 컴퓨터 등과 같은 영상 소스(image source)(11)와, 영상 소스(11)로부터 제공된 영상을 분리하고 그 분리된 영상들을 다수개의 모니터들(13)에 분배하는 분배기(12)를 포함한다. 분배기(12)는 영상 소스(11)로부터 받은 영상을 설정된 개수의 분할 영상들로 나누고, 분할 영상들을 지정된 모니터에 전송한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ventional multi-screen system. As shown in FIG. 1, a conventional multi-screen system separates an image source 11, such as a TV or a personal computer, and an image provided from the image source 11, and displays a plurality of separated images. A dispenser 12 that dispenses to the monitors 13. The distributor 12 divides the image received from the image source 11 into a set number of divided images and transmits the divided images to a designated monitor.

이때, 분배기(12)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개수에 따라 전체 영상을 분할하고 지정된 영상-라인을 통해서 분할 영상을 전송하면, 지정된 영상이 해당 모니터 에 확대되어 디스플레이된다.In this case, when the distributor 12 divides the entire image according to the number set by the user and transmits the divided image through the designated image-line, the distributor 12 displays the enlarged image on the corresponding monitor.

그러나, 종래와 같이 하나의 모니터에 지정되어 전송된 영상이 확대 표시될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모니터들 사이에 형성된 배젤(Bezel) 부분을 고려하지 않고 영상을 확대시켜 제공함으로써 화면이 왜곡되는 부분(14)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when an image designated and transmitted to one monitor is enlarged and displayed as in the related art, as shown in FIG. 2, the image is enlarged and provided without considering the bezel portion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monitors.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portion 14, the screen is distort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동일 영상신호를 멀티-스크린을 통해 분할하여 디스플레이할 경우, 다수개의 모니터 사이에 형성되는 배젤(Bezel) 부분을 고려하여 분할된 영상을 확대 전송함으로써 왜곡이 없는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멀티 스크린 시스템 및 그 구현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sider the bezel portion formed between a plurality of monitors when the same video signal is divided and displayed through a multi-scree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ulti-screen system and a method of implementing the same, by displaying an image without distortion by transmitting an enlarged image.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멀티 스크린 시스템은, 분할된 영상신호들의 위치 및 순서 정보에 따라 지정된 스크린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다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영상장치로부터 제공된 영상소스를 디스플레이 장치의 타일(Tile)모드 타입에 따라 분할하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주 면에 형성된 배젤(Bezel) 부분을 포함하여 영상을 확대한 후,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구동장치를 포함한다.A multi-screen system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for displaying an image on a designated screen according to the position and order information of the divided image signals, and the image source provided from the image device tile And a driving device for dividing according to a (Tile) mode type, enlarging an image including a bezel portion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and transmitting the image to the display device.

여기서, 구동장치는 영상소스를 설정된 타일 모드 타입에 따라 분할하는 분배기와, 디스플레이 장치의 타일 모드 타입에 따른 분할 영상의 확대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분할 영상의 확대 정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응되는 영상의 사이즈를 확대하고, 디스플레이 장치에 따른 분할 영상의 위치 및 순서를 설정하여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The driving apparatus may include a splitter for dividing an image source according to a set tile mode type, a memory unit for storing enlargement information of a divided image according to a tile mode type of the display device, and a magn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ivided image. And a controller for enlarging the size of the corresponding image and setting and controlling the position and order of the divided image according to the display apparatus.

이때, 분할 영상의 확대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인치(Inch) 정보, 다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 사이에 형성되는 배젤(Bzel) 두께정보, 해상도 정보 및 타일(Tile) 모드의 타입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case, the enlarged information of the split imag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inch information of the display device, thickness information of a bezel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resolution information, and type information of a tile mode. It is done.

여기서, 타일 모드는 1*2 ~ 4*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타입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Here, the tile mode is set to at least one type of 1 * 2 to 4 * 4.

그리고, 배젤의 두께는 0 ~ 60mm 범위 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thickness of the bezel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 the range of 0 ~ 60mm.

또한, 제어부는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응되는 영상의 사이즈를 확대할 시, 분할된 모든 영상에 동일한 확대 값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ler may apply the same magnification value to all the divided images when the size of the image corresponding to each display apparatus is enlarged.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멀티 스크린 시스템의 구현 방법은,영상소스를 제공하는 영상장치로부터 영상을 제공받는 단계와, 영상소스가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타일(Tile)모드 타입을 검출하고, 타일(Tile)모드 타입에 따라 영상소스를 분할하는 단계와,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주 면인 배젤(Bezel) 부분의 두께 정보를 검출하고, 이에 따라 배젤 부분까지 포함하여 분할된 영상을 확대하는 단계 및 확대된 분할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ccordance with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implementing a multi-screen system, comprising: receiving an image from an image device providing an image source, detecting a tile mode type of a display device from which the image source is output; And dividing the image source according to the tile mode type, detecting thickness information of the bezel portion, which i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and enlarging and dividing the divided image including the bezel portion. And transmitting the split image to a display device.

이때, 확대된 분할 영상들의 위치 및 순서 정보에 따라 지정된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로 대응시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case, the image may be transmitt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designated image according to the position and order information of the enlarged divided images.

여기서, 분할된 영상을 확대하는 단계는 타일(Tile) 모드 타입에 따라 메모리에 저장된 확대 정보를 이용하여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응되는 영상의 사이즈를 확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step of enlarging the divided image is characterized by enlarging the size of the image corresponding to each display apparatus by using the enlarg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according to the tile mode type.

그리고, 분할 영상의 확대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인치(Inch) 정보, 다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 사이에 형성되는 배젤(Bzel)의 두께정보, 해상도 정보 및 타일(Tile) 모드의 타입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agn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plit imag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inch information of a display device, thickness information of a bezel formed between a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resolution information, and type information of a tile mode. It features.

여기서, 타일 모드는 1*2 ~ 4*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타입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배젤의 두께는 0 ~ 60mm 범위 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tile mod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et to at least one type of 1 * 2 ~ 4 * 4, the thickness of the bezel i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range of 0 ~ 60mm.

또한, 분할된 모든 영상에 동일한 확대 값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ame magnification value is applied to all the divided images.

위와 같이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영상신호를 다수개의 스크린에 분할하여 디스플레이할 시, 스크린과 스크린 사이에 형성되는 배젤(Bezel) 부분까지 고려하여 영상을 확대하고, 확대된 영상을 해당 스크린으로 위치 및 순서를 지정하여 제공함으로써 왜곡이 적은 자연스러운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hen splitting and displaying one image signal on a plurality of screens, the image is enlarged in consideration of the bezel portion formed between the screen and the screen, and the enlarged image is screened. By providing the position and order by specifying a natural screen with less distortion is effective.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스크린 시스템 및 그 구현방법에 대해 첨부한 도면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multi-screen system and an implementation method thereo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은 영상-라인(video-line) 및 데이터-라인(data-line)을 통해 다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되는 구동장치(operating device)를 제안한다. 구동장치는 티브이(TV), 퍼스널 컴퓨터(PC), 캠코더, VCR, PVR(Personal Video Recorder)등과 같은 영상소스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구동장치는 영상소스와 연결되는 별도의 장치일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n operating devic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through a video-line and a data-line. The driving device may be included in an image source such as a television (TV), a personal computer (PC), a camcorder, a VCR, a personal video recorder (PVR), or the like. In addition, the driving device may be a separate device connected to the image source.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스크린 시스템의 블럭 구성도이다. 3 is a block diagram of a multi-scree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스크린 시스템은 영상소스를 출력하는 티브이 또는 PC 등과 같은 영상 출력 장치(21)와, 영상 출력 장치(21)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신호가 디스플레이 장치(23)에 의해 출력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구동장치 및 구동장치에 의해 분할된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다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성된다. As shown in FIG. 3, the multi-screen system includes an image output device 21 such as a TV or a PC that outputs an image source, and an image signal provided from the image output device 21 by the display device 23. And a plurality of display apparatuses for displaying an image signal divided by the driving apparatus and the driving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output.

이때, 구동장치는 제어부(25)와 입출력 포트(미도시)와, 하나의 동일한 영상신호를 다수개의 영상으로 분할하는 분배기(22)와, 디스플레이 장치(23)의 타일 모드 타입에 따른 분할 영상의 확대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27)와, 타일 모드 타입을 설정하기 위한 OSD를 제공하는 OSD 발생부(26)를 포함한다. In this case, the driving device includes a controller 25 and an input / output port (not shown), a splitter 22 for dividing one same video signal into a plurality of images, and a split image according to a tile mode type of the display device 23. And a memory unit 27 for storing magnification information, and an OSD generator 26 for providing an OSD for setting the tile mode type.

여기서, 제어부(25)는 입력된 영상소스가 설정된 디스플레이 장치(23)의 타임 모드 타입에 따라 분배기(22)를 통해 다수개로 분할되도록 제어한다. 그런 다음, 분할된 영상의 확대 정보를 이용하여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23)에 대응되는 영상의 사이즈를 확대하고,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23)에 따른 분할 영상의 위치 및 순서를 설정하여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23)의 스크린으로 전송한다.Here, the controller 25 controls the input image source to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units through the distributor 22 according to the time mode type of the display device 23 in which the input image source is set. Then, the size of the image corresponding to each display apparatus 23 is enlarged using the enlarged information of the divided image, and the position and order of the divided images according to the display apparatus 23 are set to display the corresponding display apparatus. Transfer to the screen of 23.

또한, 구동장치의 제어부(25)는 다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23)인 모니터들에 영상을 전송하기 전에 디스플레이 장치(23)인 모니터들의 개수, 연결관계, 상태 등을 파악한다. 그리고, 분배기(22)를 제어하여 하나의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23)의 상태에 따라 분할하도록 제어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25 of the driving apparatus grasps the number, connection relations, status, etc. of the monitors of the display device 23 before transmitting images to the monitors of the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23. Then, the divider 22 is controlled to divide one image signal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display apparatus 23.

그리고, 분할된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23)의 타일 모드 타입에 따라 확대하기 위하여 타일 모드에 대응되는 분할 영상의 확대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27)로부터 확대 정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분할 영상의 확대 정보를 이용하여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23)에 대응되는 영상의 사이즈를 확대한다.Then, in order to enlarge the divided image according to the tile mode type of the display apparatus 23, the enlarged information is detected from the memory unit 27 that stores the enlarged information of the divided image corresponding to the tile mode, and the enlarged information is detected. The magnification information is used to enlarge the size of an image corresponding to each display device 23.

여기서, 메모리부(27)에 저장된 확대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23)의 인 치(Inch) 정보 32/37/42/47/52인치와, 다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 사이에 형성되는 배젤(Bzel)의 두께정보, 해상도 정보 VGA, XGA, SXGA, HD 및 타일(Tile) 모드의 타입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다. In this case, the magnif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unit 27 includes the inch information 32/37/42/47/52 inch of the display device 23 and the thickness of the bezel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Information, resolution information VGA, XGA, SXGA, HD, and at least one of the type information of the tile (Tile) mode.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의 타일 모드는 1*2 ~ 4*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타입으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배젤의 두께는 대부분 0 ~ 60mm 범위 내로 형성된다.In this case, the tile mode of the display device may be set to at least one type of 1 * 2 to 4 * 4. And, the thickness of the bezel is mostly formed within the range of 0 ~ 60mm.

OSD 발생부(26)는 사용자가 타일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 및 그에 따른 설정 정보를 제공하고, 배젤 부분까지 포함하여 확대되어 배젤 부분에 해당하는 영상 정보가 숨겨서 보이지 않는 경우, 기존 적용된 타임 모드에 따라 Normal로 설정함으로써 모든 영상이 스크린상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메뉴를 설정할 수 있다.The OSD generator 26 provides a menu for the user to select a tile mode and setting information thereof, and includes the bezel portion and is enlarged to hide the imag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bezel portion. Therefore, by setting it to Normal, you can set the menu so that all images are displayed on the screen.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확대된 영상의 화면 상태도이다.4 is a screen state diagram of an enlarged image displayed on a multi-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살펴보면, 동일하게 입력된 하나의 영상 신호를 모니터의 타일 모드가 2*2인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4개의 영상으로 분할하여 디스플레이한 것이다. 여기서, 제어부(25)는 4개의 모니터가 연결되면서 생기는 이음새 부분 즉, 배젤 부분(40)까지 포함하여 하나의 모니터에 지정된 영상신호를 확대하여 제공한다. 이에, 배젤 부분(40)에 의해 감춰지는 영상이 발생할 수 있으나,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은 왜곡 없이 보다 자연스럽게 구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same input video signal is divided into four images to be displayed on a display device having a 2 * 2 tile mode of the monitor. Here, the control unit 25 includes the seam portion, that is, the bezel portion 40, which is generated when four monitors are connected, and enlarges and provides an image signal designated to one monitor. Thus, the image hidden by the bezel portion 40 may occur, but the displayed image may be more naturally implemented without distortion.

이러한, 제어부(25)의 분할 영상 확대 방법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Such a method of enlarging the split image of the controller 25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 5.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스크린에 지정된 영상을 확대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enlarging an image designated on one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5)는 하나의 모니터에 지정 할당된 분할 영상을 확대할 시, 스크린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사이즈(Size)가 상하좌우 배젤 영역(40)까지 다 표현되는 기준으로 H/V Zoom을 적용한다. As shown in FIG. 5, when the controller 25 enlarges the divided image assigned to one monitor, the controller 25 displays the size displayed on the screen up to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bezel areas 40. Apply H / V Zoom.

즉, 도 5에 도시된 영상을 확대할 시, 아래와 같은 식을 이용하여 화면을 확대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image shown in FIG. 5 is enlarged, the screen is enlarged using the following equation.

H = h + 2 * Bezel_Depth_HH = h + 2 * Bezel_Depth_H

V = v + 2 * Bezel_Depth_VV = v + 2 * Bezel_Depth_V

전술한 바와 같은 식을 이용하면 4개로 분할된 영상에는 동일한 확대 정보 값이 적용되어 타일 모드로 설정된 영상이 화면에 자연스럽게 표현된다. Using the above-described equation, the same magnification information value is applied to the four divided images so that the image set to the tile mode is naturally displayed on the screen.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스크린 시스템의 구현 방법을 순서대로 나타낸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sequenti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implementing a multi-scree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스크린 시스템의 구현 방법은 영상소스를 제공하는 영상장치(21)인 TV이나 PC로부터 영상을 제공받는다(S100).As shown in FIG. 6, the method for implementing a multi-scree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n image from a TV or a PC, which is an image device 21 that provides an image source (S100).

그리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영상을 네추럴 멀티-스크린으로 디스플레이하도록 메뉴가 선택되는지를 확인한다(S110). In operation S110, it is determined whether a menu is selected to display an image input from a user on a natural multi-screen.

이후, 제어부(25)는 영상장치(21)로부터 입력된 영상소스가 출력될 디스플레이 장치(23)의 상태, 모니터들의 개수 등을 파악한다. Thereafter, the controller 25 determines the state of the display device 23 to which the image source input from the image device 21 is to be output, the number of monitors, and the like.

즉, 영상소스가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장치(23)의 타일(Tile)모드 타입을 검출하여, 그에 따라 분배기(22)를 제어하여 영상소스를 분할한다(S140).That is, the tile mode type of the display device 23 to which the image source is output is detected, and the divider 22 is controlled accordingly to divide the image source (S140).

이후, 다수개의 모니터 개수에 따라 분할된 영상들을 확대하여 하나의 지정된 모니터로 해당 영상을 전송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시, 제어부(25)는 확인된 디스플레이 장치(23)의 타일 모드에 대응하여 메모리부(27)에 저장된 배젤 부분(40)의 두께 값 정보를 추출한다. Subsequently, when the images divid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monitors are enlarged and the corresponding images are transmitted to one designated monitor for display, the controller 25 may correspond to the memory unit (eg, the tile mode of the checked display device 23). The thickness value information of the bezel part 40 stored in 27 is extracted.

즉, 분할된 영상을 하나의 지정된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영상 확대에 따른 확대 값을 검출한다(S150).That is, an enlarged value according to an image enlargement for displaying the divided image on one designated monitor is detected (S150).

그리고, 검출된 영상 확대 값을 분할된 각각의 영상에 대입시켜 확대한다. Then, the detected image magnification value is substituted into each of the divided images and enlarged.

이때, 제어부(25)는 분할 영상을 확대할 시, 디스플레이 장치(23)의 스크린 크기뿐만 아니라 배젤 부분(40)까지 포함하여 영상을 확대한다(S160).In this case, when the divided image is enlarged, the controller 25 enlarges the image by including not only the screen size of the display device 23 but also the bezel part 40 (S160).

이후, 분할 확대된 영상을 지정된 위치 및 순서 정보에 대응하여 해당 모니터로 전송한다. Thereafter, the divided and enlarged image is transmitted to the corresponding monitor in response to the designated position and order information.

그리하면, 모니터는 전송된 영상을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멀티-스크린상에 왜곡이 없는 자연스러운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S170).Then, the monitor displays the transmitted image on the screen to display a natural screen without distortion on the multi-screen (S170).

한편, S110에서 사용자가 입력된 영상소스를 멀티-스크린상에 네추럴(Natual)한 디스플레이를 원하지 않을 경우, 제어부(25)는 일반적인 멀티-스크린상의 디스플레이 방법으로 입력된 영상신호를 확대시켜 해당 모니터상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S130). On the other hand, if the user does not want a display in which the user inputs a natural video source on a multi-screen in S110, the control unit 25 enlarges the video signal input by the display method on a general multi-screen to display on the corresponding monitor. To be displayed on (S130).

이때, 멀티-스크린 시스템의 구현에 따른 사용자 설정 방법은 구동 장치에 구비된 OSD 발생부(26)에서 네추럴하게 분할된 영상을 확대할 수 있도록 메뉴 창을 제공한다. In this case, the user setting method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multi-screen system provides a menu window to enlarge the naturally divided image in the OSD generator 26 provided in the driving device.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스크린에 영상을 확대 설정하기 위한 OSD 메뉴를 나타낸 화면 상태도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구동장치에 연결된 멀티-스크린에 입력된 영상신호가 분할되어 디스플레이되도록 타일 모드를 선택하고, 네추럴(Natural) 멀티-스크린을 체크하다. FIG. 7 is a screen state diagram illustrating an OSD menu for enlarging and setting an image on a multi-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7, an image input by a user to a multi-screen connected to a driving device is shown. Select the tile mode so that the signal is split and displayed, and check the Natural multi-screen.

이에, 제어부(25)는 입력된 영상소스를 다수개의 모니터 개수만큼 분할하고, 네추럴 멀티-스크린의 설정에 따라 배젤 부분(40)까지 포함하여 분할된 영상을 확대하여 해당 모니터로 지정된 영상을 전송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Accordingly, the control unit 25 divides the input image source by the number of monitors, expands the divided image including the bezel part 40 according to the setting of the natural multi-screen, and transmits the designated image to the corresponding monitor. To be displayed.

한편, 사용자가 네추럴 모드가 아닌 일반적인 모드를 설정할 경우, 제어부(25)는 분할된 영상이 스크린상에 모두 디스플레이되도록 스크린의 사이즈만 고려하여 영상을 확대하여 각각의 모니터로 전송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sets a general mode other than the natural mode, the controller 25 enlarges the image considering only the screen size and transmits the image to each monitor so that the divided images are all displayed on the screen.

이상에서는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을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course, anyone with a variety of modifications are possible, of course, such changes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도 1은 종래의 멀티-스크린 시스템의 블럭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conventional multi-screen system,

도 2는 종래의 멀티-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왜곡 영상의 화면 상태도,2 is a screen state diagram of a distorted image displayed on a conventional multi-screen;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스크린 시스템의 블럭 구성도,3 is a block diagram of a multi-scree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확대된 영상의 화면 상태도,4 is a screen state diagram of an enlarged image displayed on a multi-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스크린에 지정된 영상을 확대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5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enlarging an image designated on one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스크린 시스템의 구현 방법을 순서대로 나타낸 흐름도,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implementing a multi-scree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스크린에 영상을 확대 설정하기 위한 OSD 메뉴를 나타낸 화면 상태도이다.7 is a screen state diagram illustrating an OSD menu for enlarging and setting an image on a multi-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1 : PC 또는 TV 22 : 분배기21: PC or TV 22: Splitter

23 : 멀티-스크린 25 : 제어부23: multi-screen 25: control unit

26 : OSD 발생부 27 : 메모리부26: OSD generation unit 27: memory unit

40 : 배젤(Bezel) 40: Bezel

Claims (13)

분할된 영상신호들의 위치 및 순서 정보에 따라 지정된 스크린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다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와;A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for displaying an image on a designated screen according to the position and order information of the divided image signals; 영상장치로부터 제공된 영상소스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타일(Tile)모드 타입에 따라 분할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주 면에 형성된 배젤(Bezel) 부분을 포함하여 영상을 확대한 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멀티-스크린 시스템. The image source provided from the image device is divided according to the tile mode type of the display device, and the image is enlarged to include the bezel portion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and then transmitted to the display device. Multi-screen system with drive.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영상소스를 설정된 타일 모드 타입에 따라 분할하는 분배기와;The driving device may include: a divider for dividing the image source according to a set tile mode type;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타일 모드 타입에 따른 분할 영상의 확대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A memory unit which stores magn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ivided image according to the tile mode type of the display device; 상기 분할 영상의 확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응되는 영상의 사이즈를 확대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따른 분할 영상의 위치 및 순서를 설정하여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스크린 시스템.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enlarge the size of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apparatus by using the enlarged information of the divided image, and to set and control the position and order of the divided image according to the display apparatus. . 제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분할 영상의 확대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인치(Inch) 정보, 다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 사이에 형성되는 배젤(Bzel)의 두께정보, 해상도 정보 및 타일(Tile) 모드의 타입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스크린 시스템. The magn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plit image may be at least one of inch information of the display apparatus, thickness information of a bezel formed between a plurality of display apparatuses, resolution information, and type information of a tile mode. Featuring multi-screen system. 제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타일 모드는 1*2 ~ 4*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타입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스크린 시스템. The tile mode is set to at least one type of 1 * 2 to 4 * 4. 제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배젤의 두께는 0 ~ 60mm 범위 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스크린 시스템. The thickness of the bezel is in the range of 0 ~ 60mm multi-screen system.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응되는 분할 영상의 사이즈를 확대할 시, 분할된 모든 영상에 동일한 확대 값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스크린 시스템. The control unit applies the same magnification value to all the divided images when the size of the divided image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device is enlarged. 영상소스를 제공하는 영상장치로부터 영상을 제공받는 단계와;Receiving an image from an image device providing an image source; 상기 영상소스가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타일(Tile)모드 타입을 검출하 고, 상기 타일(Tile)모드 타입에 따라 상기 영상소스를 분할하는 단계와;Detecting a tile mode type of a display device to which the image source is output, and dividing the image source according to the tile mode type;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주 면인 배젤(Bezel) 부분의 두께 정보를 검출하고, 이에 따라 상기 배젤 부분까지 포함하여 상기 분할된 영상을 확대하는 단계; 및Detecting thickness information of a bezel portion, which is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and enlarging the divided image by including the bezel portion; And 상기 확대된 분할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멀티-스크린 시스템의 구현 방법.And transmitting the enlarged divided image to the display device. 제7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확대된 분할 영상들의 위치 및 순서 정보에 따라 지정된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응시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스크린 시스템의 구현 방법.And transmitting a designated image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osition and order information of the enlarged divided images. 제7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분할된 영상을 확대하는 단계는 The step of enlarging the divided image 상기 타일(Tile) 모드 타입에 따라 메모리에 저장된 확대 정보를 이용하여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응되는 영상의 사이즈를 확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스크린 시스템의 구현 방법.And expanding the size of the image corresponding to each display device by using the magnif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according to the tile mode type. 제9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분할 영상의 확대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인치(Inch) 정보, 다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 사이에 형성되는 배젤(Bzel)의 두께정보, 해상도 정보 및 타일(Tile) 모드의 타입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스크린 시스템의 구현 방법.The magn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plit image may be at least one of inch information of the display apparatus, thickness information of a bezel formed between a plurality of display apparatuses, resolution information, and type information of a tile mode. A method of implementing a multi-screen system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7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타일 모드는 1*2 ~ 4*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타입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스크린 시스템의 구현 방법.And the tile mode is set to at least one type of 1 * 2 to 4 * 4. 제7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배젤의 두께는 0 ~ 60mm 범위 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스크린 시스템의 구현 방법.The thickness of the bezel is in the range of 0 ~ 60mm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multi-screen system.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분할된 모든 영상에 동일한 확대 값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스크린 시스템의 구현 방법.And applying the same magnification value to all the divided images.
KR20070113646A 2007-11-08 2007-11-08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multi-screen KR10148150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113646A KR101481505B1 (en) 2007-11-08 2007-11-08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multi-scre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113646A KR101481505B1 (en) 2007-11-08 2007-11-08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multi-scre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7689A true KR20090047689A (en) 2009-05-13
KR101481505B1 KR101481505B1 (en) 2015-01-13

Family

ID=40857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113646A KR101481505B1 (en) 2007-11-08 2007-11-08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multi-scree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1505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1808A (en) * 2014-03-26 2015-10-06 삼성전자주식회사 Tiled display, and Bezelless li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US9977981B2 (en) 2013-05-15 2018-05-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alibrating a three-dimensional (3D) image in a tiled display
CN108920089A (en) * 2018-07-19 2018-11-30 斑马音乐文化科技(深圳)有限公司 Requesting song plays display methods, device, program request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KR20210011298A (en) * 2019-07-22 2021-0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Digital signage system
KR102379103B1 (en) * 2021-12-31 2022-03-25 주식회사 누리콘 System and method for synchronizing and displaying multiple pictures of several types in a bezeless display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66757A (en) * 1999-12-09 2001-06-22 Hitachi Ltd Display system
KR200306989Y1 (en) 2002-12-09 2003-03-11 주식회사 로이시스 Screen apparatus for multi-vision
KR100642505B1 (en) * 2004-09-10 2006-11-03 삼성전자주식회사 Multi screen display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77981B2 (en) 2013-05-15 2018-05-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alibrating a three-dimensional (3D) image in a tiled display
KR20150111808A (en) * 2014-03-26 2015-10-06 삼성전자주식회사 Tiled display, and Bezelless li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CN108920089A (en) * 2018-07-19 2018-11-30 斑马音乐文化科技(深圳)有限公司 Requesting song plays display methods, device, program request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KR20210011298A (en) * 2019-07-22 2021-0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Digital signage system
KR102379103B1 (en) * 2021-12-31 2022-03-25 주식회사 누리콘 System and method for synchronizing and displaying multiple pictures of several types in a bezeless disp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1505B1 (en) 2015-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50978B2 (en) Multi-vision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8081140B2 (en) Multi-screen system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20090059073A1 (en) Display control method, and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system using the same
JP3488314B2 (en) Vide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adjustment method
JP2005078069A (en) Multiscreen display system and its control method
JP2006243200A (en) Display apparatus for multi-picture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20090047689A (en)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multi-screen
US7982726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hecking input signals
KR100771614B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preventing an afterimage thereof
US20070285572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6031468A (en) Display control device, display device, and display system
EP2688293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n imag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KR101506030B1 (en) Multi-vision system and picture visualizing method the same
US20060125783A1 (en) Display device with detachable housing
US10212316B2 (en) Video processing apparatus
KR100369822B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Controlling the Same
KR101260316B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6769665B2 (en) Image control method and image display device
US20060259985A1 (en) Display system and video signal output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display system
KR100705974B1 (en) Display system and method for outputting video signal according to display panel
KR100697425B1 (en) Method and apparatus displaying picture
KR100662579B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8187320A (en) Image display device, image display method and control program
KR20010107133A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having a storage function of each user
WO2021064801A1 (en)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