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6189A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operations using progress bar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operations using progress ba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6189A
KR20090046189A KR1020070112183A KR20070112183A KR20090046189A KR 20090046189 A KR20090046189 A KR 20090046189A KR 1020070112183 A KR1020070112183 A KR 1020070112183A KR 20070112183 A KR20070112183 A KR 20070112183A KR 20090046189 A KR20090046189 A KR 200900461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gress bar
detailed
icon
displayed
tou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218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구윤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121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46189A/en
Publication of KR20090046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618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06F3/04855Interaction with scrollba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로그래시브 바를 이용하여 동작을 제어함에 있어서 쉽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래시브 바를 이용한 동작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motion using a progressive bar that can be easily controlled in controlling an operation using a progressive bar.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래시브 바를 이용한 동작 제어 방법은 파일 재생시 프로그래스 바(Progress Bar)에 터치(touch)입력이 감지되면 상세 이동 아이콘이 표시되고 상기 상세 이동 아이콘의 명령 속성에 따라서 상기 프로그래스 바가 제어되어 동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프로그래스 바를 이용하여 제어할 때의 오동작을 방지하고 쉽게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tion control method using a progressive bar shows a detailed moving icon when a touch input is detected on a progress bar when a file is played, and according to the command attribute of the detailed moving icon. As the bar is controlled to operat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event the malfunction when the control using the progress bar and can easily control the operation.

프로그래시브 바, 상세 이동 아이콘, 터치 스크린 Progressive bar, detailed move icon, touch screen

Description

프로그래스 바를 이용한 동작 제어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operations using progress bar}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operations using progress bar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operations using progress bar}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프로그래스 바를 구비한 단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erminal device having a progress ba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프로그래스 바를 구비한 장치의 표시 형식의 예를 나타낸 도면.2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display format of a device having a progress ba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상세 프로그래스 바를 제어하기 위한 상세 이동 아이콘을 표시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displaying a detailed moving icon for controlling a detailed progress ba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

100...단말 장치 102...키 입력부Terminal device 102 Key input

104...저장부 106...디스플레이부104 storage unit 106 display unit

108...터치인식부 110...터치스크린108 ... Touch recognition unit 110 ... Touch screen

112...오디오 처리부 114...인터페이스부112 Audio processing unit 114 Interface unit

116...제어부116 control unit

본 발명은 프로그래시브 바를 이용하여 동작을 제어함에 있어서 쉽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래시브 바를 이용한 동작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motion using a progressive bar that can be easily controlled in controlling an operation using a progressive bar.

일반적으로, 터치스크린이란 키보드와 마우스를 대체하는 입출력장치로 화면에 장착된 후, 터치스크린의 화면을 직접 손이나 스타일러스 팬으로 터치하여 원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말한다.In general, a touch screen is an input / output device that replaces a keyboard and a mouse, and is mounted on a screen, and refers to a device that allows a user to perform a desired task by directly touching the screen of the touch screen with a hand or a stylus fan.

상기 터치스크린의 작동 원리에 따라, 스크린 표면에 가해지는 압력에 반응하는 센서를 통해 위치를 좌표로 알아내는 감압식과 스크린 표면에 전하(전류의 흐름)를 충전하고 그 둘레에 센서를 두어 접촉시 전하의 상실된 정도를 감지해 접촉점을 알아내는 정전식이 있다.According to the operating principle of the touch screen, the pressure (charge of current) is charged to the screen surface and the pressure-sensitive type that coordinates the position through a sensor responding to the pressure applied to the screen surface, and the sensor is placed around the charge There is a capacitive sensor that detects the loss of contact and determines the point of contact.

상기와 같이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는 터치스크린 화면상에 다수의 인디케이터 및 메뉴선택버튼과, 키버튼이 구현되며, 별도의 키패드가 구비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d with the touch screen may include a plurality of indicators, menu selection buttons, and key buttons on the touch screen, and may include a separate keypad.

현재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제품들이 많이 출시되고 있는데, 터치의 특성을 살리다 보면 많은 기능을 LCD전면에 배치하여 사용하는데, 보통 프로그래스 바(progress bar)를 이용하여 원하는 지점으로 이용하게 된다.Currently, a lot of products using touch screens are released, and if you take advantage of the characteristics of touch, many functions are arranged on the front of the LCD, and usually, a progress bar is used as a desired point.

그러나 음악 및 동영상의 경우 길이가 긴 파일의 경우 자신이 원하는 위치로의 이동이 쉽지 않다.However, in the case of music and video, it is not easy to move to a desired location for a long file.

특히, 어학파일과 같이 세밀하게 위치를 조절하고 싶을 경우에 LCD의 크기에 따라서 프로그래스 바의 크기가 달라지기 때문에 손가락으로 제어하기에 작게 표시되어지는 경우를 보게 된다.In particular, if you want to finely adjust the position, such as language files, because the size of the progress bar is chang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LCD, you will see a case that is displayed small to control the finger.

실제로 옮기려는 위치보다 앞쪽, 혹은 뒤쪽이 선택되어 원하는 위치로 이동하기에 많은 오류를 발생하게 된다.The forward or rearwards are selected rather than the actual position to be moved, which causes a lot of errors in moving to the desired position.

본 발명의 목적은 프로그래스 바(progress bar)를 통해 한정되어 있는 엘시비(LCD)에 보다 편리한 프로그래스 바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래스 바를 이용한 동작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peration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using a progress bar to control a progress bar that is more convenient for LCDs limited through a progress bar.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프로그래스 바를 쉽게 제어할 수 있는 별도의 아이콘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쉽게 이동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래스 바를 이용한 동작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using a progress bar that includes a separate icon for easily controlling the progress bar so that the user can easily move to a desired position.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래스 바를 이용한 동작 제어 방법은, 파일 재생시 프로그래스 바(Progress Bar)에 터치(touch)입력이 감지되는 단계; 상기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상세 이동 아이콘이 표시되는 단계; 및 상기 상세 이동 아이콘의 명령 속성에 따라서 상기 프로그래스 바가 제어되어 동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operation control method using a progress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comprises the steps of detecting a touch (touch) input to the progress bar (Progress Bar) when playing the file; Displaying a detailed moving icon when the touch input is detected; And controlling and operating the progress bar according to the command attribute of the detailed movement icon.

하나의 예로써, 상기 상세 이동 아이콘은 숫자로 표시된 하나 이상의 아이콘으로 구성되어 재생 시간, 출력 음량, 화면 표시 밝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속성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an example, the detailed moving icon is composed of one or more icons represented by numbers, and has a property of controlling at least one or more of a play time, an output volume, and a screen display brightness.

하나의 예로써, 상기 상세 이동 아이콘은 상기 프로그래스 바와 동시에 표시되거나 상기 프로그래스 바에 터치 횟수에 따라서 표시 여부가 선택되는 것을 특징 으로 한다.As an example, the detailed movement icon may be displayed at the same time as the progress bar or displayed on the progress bar according to the number of touches.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래스 바를 이용한 동작 제어 장치는, 동작 제어 명령 신호를 입력받는 키 입력부; 사용자 명령에 따른 터치 신호 입력과 프로그래시브 바를 포함하여 하나 이상의 상세 이동 아이콘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상세 이동 아이콘 이미지와 파일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상기 프로그래스브 바와 상기 상세 이동 아이콘을 통해 입력된 신호에 따라서 파일 재생, 오디오 출력, 화면 밝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작에 따른 전반적인 제어를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peration control apparatus using a progress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key input unit for receiving an operation control command signal; A display unit configured to display one or more detailed moving icons including a touch signal input according to a user command and a progressive bar; A storage unit which stores the detailed moving icon image and a file;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perform overall control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file reproduction, audio output, and screen brightness according to a signal input through the progress bar and the detailed movement ico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하나의 예로써, 상기 프로그래그스 바가 터치되면 상기 상세 이동 아이콘이 표시되고 상기 상세 이동 아이콘에 터치가 입력되면 가지고 있는 속성에 따라서 동작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an example, when the progress bar is touched, the detailed movement icon is displayed, and when a touch is input to the detailed movement icon, an operation is controlled according to a property thereof.

하나의 예로써, 상기 상세 이동 아이콘이 가지는 속성은 숫자 형식으로 표시되어 재생 시간, 출력 음량, 화면 표시 밝기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an example, the attribute of the detailed movement icon may be displayed in a number format to control at least one of a playback time, an output volume, and a screen display brightnes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로그래스 바를 이용한 동작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n operation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using a progress b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프로그래스 바를 구비한 단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프로그래스 바를 구비한 장치의 표시 형식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terminal device having a progress ba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display format of a device having a progress ba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rawing.

도 1을 참조하면, 프로그래스 바(200)를 제공하는 단말장치(100)는, 전원 온 오프(ON/OFF) 선택과 잠금(Hold), 볼륨 조절, 재생 동작, 모드 선택등으로 상기 단말장치(100)에 별도로 구비된 버튼을 포함하여 사용자의 선택 명령을 입력받는 키 입력부(102)와 상세 이동 아이콘(202) 이미지와 재생 파일 및 파일 재생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부(104)와 프로그래스 바(200)와 상기 프로그래스 바(2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상세 이동 아이콘(202)을 포함하여 화면을 구성하는 터치 스크린(110)과 상기 터치 스크린(110)의 터치에 따라 접촉점을 인식하는 터치 인식부(108)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106)와 상기 재생 파일의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오디오 처리부(112)와 외부와의 파일 전송 및 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부(114)와 파일 재생시 프로그래스 바(200)가 표시되어 재생 동작이 제어되면 상기 프로그래스 바(200)에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여 상세 이동 아이콘(202)을 표시하고 상기 상세 이동 아이콘(202)을 통해 입력된 명령을 통한 전반적인 재생 동작을 제어하도록 하는 제어부(116)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terminal device 100 providing the progress bar 200 includes the terminal device by power on / off selection and lock, volume control, playback operation, mode selection, and the like. A key input unit 102 for receiving a user's selection command, a detailed moving icon 202, a storage unit 104 for storing an image, a playback file, and a file playback program, including a button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100, and a progress bar. A touch screen 110 constituting a screen including a detailed moving icon 202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rogress bar 200 and a touch point according to the touch of the touch screen 110. A display unit 106 including a touch recognition unit 108, an audio processor 112 for outputting an audio signal of the playback file, an interface unit 114 for file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th the outside, and a progress during file playback Bar 200 is displayed to play back When the operation is controlled, the control unit detects a user's touch input on the progress bar 200 to display a detailed moving icon 202 and controls an overall playback operation through a command input through the detailed moving icon 202. 116.

상기 키 입력부(102)를 통해 파일 재생 명령이 입력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106)에 해당 파일에 대한 재생 정보가 표시되고 하단에 해당 파일 재생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래스 바(200)가 표시된다.A file play command is input through the key input unit 102 so that the play information of the fil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06 and a progress bar 200 for controlling the play of the file is displayed at the bottom.

상기 프로그래스 바(200)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를 직접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progress bar 200 is configured to allow the user to directly adjust the desired position.

하지만, 사용자가 세밀하게 위치를 바꾸고 싶을 때는 LCD의 크기에 따른 프로그래스 바(200)의 크기가 설정되어 표시되기 때문에 손가락의 터치 입력으로는 쉽게 옮길 수가 없다.However, when the user wants to change the position in detail, since the size of the progress bar 200 is set and display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LCD, it cannot be easily moved by the touch input of the finger.

이때, 상기 터치 인식부(108)를 통하여 프로그래스 바(200)를 길게 선택하고 있거나, 연이어 두 번의 터치가 입력되면 상기 터치 스크린(110)에 상기 프로그래스 바(200) 하단에 상세 이동 아이콘(202)을 표시한다.In this case, when the progress bar 200 is long selected through the touch recognition unit 108, or when two touches are successively input, a detailed movement icon () at the bottom of the progress bar 200 is touched on the touch screen 110. 202 is displayed.

상기 상세 이동 아이콘(202)은 숫자나 이동 버튼 이미지로 구성되어 손가락으로 쉽게 누를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표시된다.The detailed moving icon 202 is composed of numbers or moving button images and is displayed in a size that can be easily pressed by a finger.

한 번의 터치가 입력되면 상기 상세 이동 아이콘(202)의 속성 명령에 해당하는 만큼의 위치로 이동하게 되고, 길게 누르고 있으면 해당 속성에 따른 시간만큼 연이어 빠르게 이동한다.When a single touch is input, the user moves to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attribute command of the detailed movement icon 202, and when it is pressed and held, the user moves quickly and continuously by the time corresponding to the attribute.

원하는 위치로 조절이 끝나고 상기 상세 이동 아이콘(202)을 사라지게 하려면 프로그래스 바(200)를 생성할 때와 마찬가지로 프로그래스 바(200)를 길게 선택하고 있거나, 연이어 두 번의 터치를 입력하도록 한다.When the adjustment is finished to the desired position and the detailed movement icon 202 disappears, the progress bar 200 is long selected as in the case of generating the progress bar 200, or two touches are successively input.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06)는 파일에 대한 재생 정보를 표시하는 재생 표시 창(204)과 상기 파일 재생을 제어할 수 있도록 터치 입력 가능한 프로그래스 바(200)와 상기 프로그래스 바(200)에 일정 형식의 터치가 입력되면 상기 프로그래스 바(200)를 세밀하게 제어하기 위한 상세 이동 아이콘(202)과 상기 상세 이동 아이콘(202)의 시간 이동 간격을 조절하는 세부 조절 버튼(206)을 포함하고, 재생에 관련된 아이콘들이 나열되어 표시된다.Referring to FIG. 2, the display unit 106 includes a playback display window 204 for displaying playback information of a file, a progress bar 200 that can be touched to control playback of the file, and a progress bar ( When a touch of a predetermined type is input to the 200, the detailed movement icon 202 for finely controlling the progress bar 200 and the detailed adjustment button 206 for adjusting the time movement interval of the detailed movement icon 202. And icons related to playback are listed and displayed.

상기 프로그래스 바(200)는 스타일러스 펜이나 손가락으로 터치하여 이동 명령 수행이 가능하고, 상기 상세 이동 아이콘(202)에 입력을 하여도 상기 프로그래스 바(200)의 재생 위치가 변경되어 실제 파일 재생 동작에 적용된다.The progress bar 200 may perform a movement command by touching with a stylus pen or a finger, and even if the detailed movement icon 202 is input, the playback position of the progress bar 200 is changed to play an actual file. Applies to operation.

상기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상세 이동 아이콘(202)의 속성에 따라서, -1분, 5초, +5초, +1분이 부여되어 있다면, 5초 단위 또는 1분 단위로 원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FIG. 2, if -1 minute, 5 seconds, +5 seconds, or +1 minute is given according to the property of the detailed movement icon 202, the user can move to a desired position in units of 5 seconds or 1 minute. Will be.

또한, 세부 조절 버튼(206)이 구비되어 상기 상세 이동 아이콘(202)에 부여된 시간간격을 줄이거나 늘릴 수 있도록 하여 어학파일과 같은 종류를 재생할 때는 보다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ne adjustment button 206 is provided to reduce or increase the time interval given to the detailed movement icon 202, so that fine adjustment can be made when playing the same kind of language file.

상기 상세 이동 아이콘(202)은 상기 프로그래스 바(200)에 일정 형식의 터치가 입력될 때만 표시할 수도 있고 파일이 재생되기 시작하면 바로 표시하는 구성도 가능할 것이다.The detailed movement icon 202 may be displayed only when a predetermined type of touch is input to the progress bar 200, or may be immediately displayed when a file starts to be played.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상세 프로그래스 바를 제어하기 위한 상세 이동 아이콘을 표시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displaying a detailed moving icon for controlling a detailed progress ba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파일 재생 명령이 입력되어 어느 하나의 파일 재생이 시작되면 재생 정보가 재생 정보 표시 창(204)에 표시되고 하단에 프로그래스 바(200)가 표시된다. 이때, 사용자로부터 상기 프로그래스 바(200)에 터치가 입력되는지 판단한다(S300).Referring to FIG. 3, when a file play command is input and playback of one file is started, play information is displayed in the play information display window 204 and a progress bar 200 is displayed at the bottom. In this case, it is determined whether a touch is input to the progress bar 200 from the user (S300).

단계 300의 판단결과 상기 프로그래스 바(200)에 터치가 입력되면, 하단에 상기 프로그래스 바(200)를 제어할 수 있는 상세 이동 아이콘이 표시된다(S302).If a touch is input to the progress bar 200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step 300, a detailed movement icon for controlling the progress bar 200 is displayed at the bottom (S302).

상기 상세 이동 아이콘이 표시되어 사용자로부터 제어 명령에 따른 터치가 입력되면 해당 아이콘에 가지고 있는 속성에 따라서 재생 동작을 제어한다(S304).When the detailed moving icon is displayed and a touch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is input from the user, the playback operation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property of the icon (S304).

상기와 같이, 파일 재생시 프로그래스 바(200)를 표시하고, 상기 프로그래스 바(200)를 터치하면 상세 이동 아이콘(202)이 표시되어 사용자로부터의 터치 입력에 따라 세밀한 동작 제어를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파일 재생 제어시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progress bar 200 is displayed when the file is played, the detailed movement icon 202 is displayed when the progress bar 200 is touched so that detailed motion control can be performed according to a touch input from the user.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provide convenience in controlling file reproduction.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 내에서 상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다른 형태의 실시 예들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So far,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other forms of embodiments within the essential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ould be implemented. Here, the essential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the claims,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equivalent range will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르면 파일 재생시 프로그래스 바를 표시하고, 상기 프로그래스 바를 터치하면 상세 이동 아이콘이 표시되어 사용자로부터의 터치 입력에 따라 세밀한 동작 제어를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파일 재생 제어시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rogress bar is displayed when a file is played, and a detailed movement icon is displayed when the progress bar is touched so that detailed operation control can be performed according to a touch input from a user, thereby providing convenience in controlling file playback. It has an effect.

Claims (6)

파일 재생시 프로그래스 바(Progress Bar)에 터치(touch)입력이 감지되는 단계;Detecting a touch input on a progress bar when the file is played; 상기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상세 이동 아이콘이 표시되는 단계; 및Displaying a detailed moving icon when the touch input is detected; And 상기 상세 이동 아이콘의 명령 속성에 따라서 상기 프로그래스 바가 제어되어 동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스 바를 이용한 동작 제어 방법.And controlling and operating the progress bar according to the command attribute of the detailed movement icon.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상세 이동 아이콘은 숫자로 표시된 하나 이상의 아이콘으로 구성되어 재생 시간, 출력 음량, 화면 표시 밝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속성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스 바를 이용한 동작 제어 방법.The detailed moving icon is composed of one or more icons represented by numbers, and has a property of controlling at least one or more of a play time, an output volume, and a screen display brightness.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상세 이동 아이콘은 상기 프로그래스 바와 동시에 표시되거나 상기 프로그래스 바에 터치 횟수에 따라서 표시 여부가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스 바를 이용한 동작 제어 방법.The detailed movement icon is displayed at the same time as the progress bar or whether or not to be display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touches on the progress bar is selected. 동작 제어 명령 신호를 입력받는 키 입력부;A key input unit receiving an operation control command signal; 사용자 명령에 따른 터치 신호 입력과 프로그래시브 바를 포함하여 하나 이상의 상세 이동 아이콘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A display unit configured to display one or more detailed moving icons including a touch signal input according to a user command and a progressive bar; 상기 상세 이동 아이콘 이미지와 파일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A storage unit which stores the detailed moving icon image and a file; And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상기 프로그래스브 바와 상기 상세 이동 아이콘을 통해 입력된 신호에 따라서 파일 재생, 오디오 출력, 화면 밝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작에 따른 전반적인 제어를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스 바를 이용한 동작 제어 방법.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perform overall control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file playback, audio output, and screen brightness according to a signal input through the progress bar and the detailed movement ico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Motion control method using bars.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프로그래그스 바가 터치되면 상기 상세 이동 아이콘이 표시되고 상기 상세 이동 아이콘에 터치가 입력되면 가지고 있는 속성에 따라서 동작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스 바를 이용한 동작 제어 방법.The detailed movement icon is displayed when the progress bar is touched, and when the touch is input to the detailed movement icon, an operation is controlled according to a property of the progress bar. 상기 5항에 있어서,According to claim 5, 상기 상세 이동 아이콘이 가지는 속성은 숫자 형식으로 표시되어 재생 시간, 출력 음량, 화면 표시 밝기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스 바를 이용한 동작 제어 방법The property of the detailed moving icon is displayed in a number format to control at least one of a playback time, an output volume, and a screen display brightness.
KR1020070112183A 2007-11-05 2007-11-05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operations using progress bar KR2009004618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2183A KR20090046189A (en) 2007-11-05 2007-11-05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operations using progress ba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2183A KR20090046189A (en) 2007-11-05 2007-11-05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operations using progress ba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6189A true KR20090046189A (en) 2009-05-11

Family

ID=40856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2183A KR20090046189A (en) 2007-11-05 2007-11-05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operations using progress ba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46189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39314A2 (en) * 2011-09-16 2013-03-21 주식회사 고려미디어 Method for playing mapped audio file or video file in portable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KR101306605B1 (en) * 2011-08-08 2013-09-10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Method for authoring light control sequence using touch pattern input on color table, computer readable record medium for the same, and light control system using the sam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6605B1 (en) * 2011-08-08 2013-09-10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Method for authoring light control sequence using touch pattern input on color table, computer readable record medium for the same, and light control system using the same
WO2013039314A2 (en) * 2011-09-16 2013-03-21 주식회사 고려미디어 Method for playing mapped audio file or video file in portable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WO2013039314A3 (en) * 2011-09-16 2013-05-10 주식회사 고려미디어 Method for playing mapped audio file or video file in portable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70044B2 (en) Electronic apparatus, image sen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for multiple types of user interfaces
EP3489812B1 (en) Method of displaying object and terminal capable of implementing the same
JP5295328B2 (en) User interface device capable of input by screen pad, input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8963842B2 (en) Integrated hardware and software user interface
US1165671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a plurality of virtual buttons on a device
KR101455690B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operation input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information storage medium
CN201222239Y (en) Handhold electronic device
JP4166229B2 (en) Display device with touch panel
US20110134032A1 (en) Method for controlling touch control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20070263014A1 (en) Multi-function key with scrolling in electronic devices
US10073585B2 (en) Electronic device, storage medium and method for operating electronic device
US2011029874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JP6157885B2 (en) Display control method for portable terminal device
CN104423697B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KR20100086639A (en) Mobile terminal having dual touch screen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ntents thereof
KR20070113347A (en) Method for selecting items and terminal therefor
US20090167715A1 (en) User interface of portable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WO2012127792A1 (en) Information terminal, and method and program for switching display screen
JP2009042967A (en) Information input display system, information terminal and display device
KR20120036897A (en) Selection on a touch-sensitive display
JP6102474B2 (en) Display device, input control method, and input control program
KR101530546B1 (en) Input Device For Portable Device And Method thereof
JP2006092321A (en) Electronic equipment and touchpad device
KR2009004618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operations using progress bar
CN100419653C (en) Method of inputting information into a mobile digita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