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3848A - System for bidirectional mobile education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System for bidirectional mobile education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3848A
KR20090043848A KR1020070109632A KR20070109632A KR20090043848A KR 20090043848 A KR20090043848 A KR 20090043848A KR 1020070109632 A KR1020070109632 A KR 1020070109632A KR 20070109632 A KR20070109632 A KR 20070109632A KR 20090043848 A KR20090043848 A KR 200900438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mobile learning
content
learning content
lear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96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440857B1 (en
Inventor
지창우
김필성
서태삼
김민석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096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0857B1/en
Publication of KR20090043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384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0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0857B1/en

Links

Images

Landscapes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방향 개인 맞춤형 모바일 학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무선 인터넷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강사와 학생간 양방향 맞춤형 모바일 학습 서비스를 구현하여, 강의 수강자인 학생들이 학원 셔틀 버스나 통학 버스로 이동중인 상태에서도 학교 또는 학원과 연계되는 온라인 심화 교육, 퀴즈 등의 교육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청소년 고객 층의 흥미 유발을 통한 데이터 트래픽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으며, 또한 사설 교육기관/학원 등에서는 수강생 맞춤형 진도나 수준별 짧은 강의를 제공할 수 있어 이를 통한 새로운 광고 및 제휴 수익을 기대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directional personalized mobile learning system and method.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s a bi-directional customized mobile learning service between the instructor and the student by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wireless Internet, so that students who are lecturers are connected to the school or the institute even while they are moving to the institute shuttle bus or the school bus. By providing online education and quizzes, you can expect to stimulate data traffic by attracting adolescent customers, and private educational institutions / schools can provide students with customized progress or short lectures by level. As a result, new advertising and affiliate revenue can be expected.

양방향, 교육, 콘텐츠, 강의, 학원 Interactive, Education, Content, Lecture, Academy

Description

양방향 모바일 학습 시스템 및 그 실행방법{SYSTEM FOR BIDIRECTIONAL MOBILE EDUCATION AND METHOD THEREOF}Interactive mobile learning system and its execution method {SYSTEM FOR BIDIRECTIONAL MOBILE EDUCATION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모바일 교육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학생들이 통학 버스 또는 학원 버스 등으로 이동하는 중에도 개인 맞춤형 교육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하는 양방향 개인 맞춤형 모바일 학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education servic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more particularly, to a bi-directional personalized mobile learning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a personalized education service while a student moves to a school bus or a school bus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will be.

통상적으로, 학교 또는 학원 등과 같은 오프라인(off line)상의 교육 시스템에서는 학생들이 반드시 오프라인상 학교 또는 학원에 참석하여 선생님에 의해 준비된 학습 자료를 통해서만 교육을 받을 수 있어 시간과 공간상의 제약이 있었다.In general, in an offline education system such as a school or an institute, students have to attend the school or institute offline and receive an education only through learning materials prepared by a teacher, thereby limiting time and space.

이를 위해 근래에 들어서는 유/무선 통신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초고속통신망 및 무선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노트북(notebook)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급이 보편화되어 언제 어디서든 인터넷을 일상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이 갖추어지고 짐에 따라, 오프라인상 현실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 인터넷을 통한 다양한 온라인 교육 시스템의 도입이 시도되고 있 다.To this end, 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such as mobile phones, PDA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and notebooks capable of high-speed communication networks and wireless data communication have become popular. As the environment for everyday use is prepared, various online education systems are being introduced through the Internet, which is not restricted by the real space offline.

위와 같은 온라인 교육 시스템의 대표적으로는 학생들이 학교 또는 학원에서 귀가한 뒤, 또는 아예 학교 또는 학원 등과 같은 오프라인 교육장소에 가지 않더라도 인터넷을 통해 강의를 들을 수 있는 온라인 강의를 들 수 있다.Representative of the above-mentioned online education system is an online lecture that allows students to take lectures through the Internet even after they return home from school or academy, or do not go to an offline education place such as a school or academy.

그러나, 위 예를 든 온라인 강의 등과 같은 종래 온라인 교육 시스템은 유/무선 통신망에 연결 가능한 장소에서 통신망에 접속 가능한 컴퓨터 등의 기기를 이용하여 접속하여야 하며, 또한 그 강의에 있어서도 특화된 그룹에 맞춤형으로 제작된 콘텐츠가 아니라, 불특정 다수를 타겟으로 제작되고 있는 것이 대부분이어서 여전히 시간, 공간 상 제약이 있으며, 또한 강의 내용도 일반적일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online education system such as the online lectures mentioned above should be connected by using a device such as a computer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in a place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Most of the content is produced to target unspecified targets, so there are still limitations in time and space, and the contents of lectures are inevitably in general.

한편, 현재 대부분의 학생들이 학교 또는 학원에 참석하기 위해 많은 시간을 통학 버스 또는 학원 셔틀 버스(shuttle bus)에서 소비하고 있으나, 이와 같이 소비되는 시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어떠한 온라인 교육 아이템도 제안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On the other hand, most students currently spend a lot of time on school or institute shuttle buses to attend school or institutes, but any online education item can be proposed to make more efficient use of this time. It is not in a state.

따라서, 최근에는 거의 모든 학생들이 초고속 무선 인터넷이 가능한 휴대폰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구비하고 있는 바, 이와 같은 무선 인터넷 장치를 이용하여 특정 학교 또는 학원에 등록된 특정 그룹의 학생들에 맞는 모바일 학습 콘텐츠를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제공한다면, 평소 버스 안에서 무의미하게 낭비되는 시간까지도 학습에 활용할 수 있어 학습효과를 보다 증진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Therefore, in recent years, almost all students hav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capable of high-speed wireless Internet. Using such a wireless Internet device, mobile learning content for a specific group of students enrolled in a specific school or academy is provided. If it is provide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is expected to be able to utilize the learning time even if it is meaninglessly wasted in the bus, thereby further improving the learning effect.

따라서 본 발명은 학원 셔틀 버스 또는 통합 버스를 타고 가는 짧은 이동이 많은 학생들의 생활 특성에 착안하여 학생들에게 익숙한 강사 또는 선생님이 스스로 모바일 학습 콘텐츠를 학생들 특성에 맞도록 제작하여 이를 학생들이 대부분이 소지하고 있는 휴대폰의 등의 무선 인터넷 단말장치로 제공함으로써, 학습효과를 보다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양방향 개인 맞춤형 모바일 학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focuse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who have a lot of short trips to the school shuttle bus or integrated bus, and the instructors or teachers who are familiar with the students make the mobile learning contents to meet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idirectional personalized mobile learning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wireless Internet terminal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which can further enhance the learning effect.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양방향 모바일 학습 시스템으로서, 이동통신망을 통해 수신되는 모바일 학습 콘텐츠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한 후, 해당 화면에 따른 사용자의 응답을 상기 이동통신망상 모바일 학습 서버로 전송시키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상에서 구현 가능한 모바일 학습 콘텐츠를 제작하여 제공하는 모바일 학습 콘텐츠 제작자와, 상기 모바일 학습 콘텐츠 제작자에 의해 업로도되는 모바일 학습 콘텐츠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플랫폼에 맞도록 변환시켜 제공하고, 각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로부터의 응답을 수신하는 모바일 학습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two-way mobile learning system, after displaying the mobile learning content received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n the screen, and transmits the user's response according to the screen to the mobile learning server on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mobile learning content producer that produces and provides mobile learning content that can be implemented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nverts mobile learning content, which is also uploaded by the mobile learning content producer, to sui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latform. And a mobile learning server for receiving a response from each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er.

또한, 본 발명은 양방향 모바일 학습 방법으로서, (a)다수의 콘텐츠 제작자로부터 업로드되는 모바일 학습 콘텐츠를 수집하는 단계와, (b)상기 다수의 제작자 별 특성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모바일 학습 콘텐츠를 상기 추출된 제작자별 특성 정보로 트랜스코딩하는 단계와, (c)상기 제작자별 특성 정보로 트랜스코딩된 모바일 학습 콘텐츠를 텍스트와 이미지를 합성한 최종 학습 콘텐츠로 생성한 후,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에 맞게 변환시키는 단계와, (d)상기 변환된 모바일 학습 콘텐츠를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two-way mobile learning method, (a) collecting the mobile learning content uploaded from a plurality of content producers, (b) extracting the feature information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producers, and the mobile learning content Transcoding into the extracted feature information of each producer; and (c) generating the final learning content by combining text and images into the mobile learning content transcoded with the feature information of each producer, and converting the mobile learning content into a us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d) providing the converted mobile learning content through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본 본 발명에서는 무선 인터넷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강사와 학생간 양방향 맞춤형 모바일 학습 서비스를 구현하여, 강의 수강자인 학생들이 학원 셔틀 버스나 통학 버스로 이동중인 상태에서도 학교 또는 학원과 연계되는 온라인 심화 교육, 퀴즈 등의 교육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청소년 고객 층의 흥미 유발을 통한 데이터 트래픽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사설 교육기관/학원 등에서는 수강생 맞춤형 진도나 수준별 짧은 강의를 제공할 수 있어 이를 통한 새로운 광고 및 제휴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by implementing a two-way customized mobile learning service between the instructor and the student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wireless Internet, students who are lecturers are connected to the school or academy even when the student is moving to the school shuttle bus or school bus By providing education services such as in-depth education and quizzes,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expected to activate data traffic through the interest of the youth customer base. In addition, private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institutes can provide students with customized progress or short lectures for each level, which can provide new advertising and affiliate revenu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operating princi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changed according to intentions or customs of users or operators.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발명의 구체적인 핵심 기술요지를 살펴보면, 학원 셔틀 버스 또는 학교 통학 버스 등에서 소비되는 이동시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학생들의 학습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에 있어서, 학생들에게 익숙한 강사 또는 선생님이 스스로 모바일 학습 콘텐츠를 학생들 특성에 맞도록 제작하여 이를 학생들이 대부분이 소지하고 있는 휴대폰의 등의 무선 인터넷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기술을 통해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바를 쉽게 달성할 수 있다.Looking at the specific core technical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method to more efficiently use the travel time spent in the school shuttle bus or school commuter bus, the students, the instructor or teacher familiar with the students themselves to the mobile learning content It is easy to achieve what the present invention intends to achieve through the technology provide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and provided by the wireless Internet terminal device such as the mobile phone which most of the students posses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양방향 모바일 학습 시스템의 네트웍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1 illustrates a network configuration of an interactive mobile learning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100, 102)는 이동통신망(108)에 접속이 가능한 휴대폰 또는 PDA 등의 장치로 이동통신망상 구현되는 모바일 학습 서버(110)로부터 다운로드(download)되는 사용자별 맞춤으로 제작된 모바일 학습 콘텐츠를 무선 수신 가능하고, 수신된 모바일 학습 콘텐츠를 실행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탑재되며, 모바일 학습 콘텐츠의 실행에 따른 사용자의 응답을 모바일 학습 서버(110)로 무선 송신하여 학습 결과가 산출될 수 있도록 한다.Referring to FIG. 1, first, us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100 and 102 are downloaded from a mobile learning server 110 implemented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by a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or a PDA capable of acces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8. It is possible to wirelessly receive the mobile learning content, which is customized for each user, and is equipped with an application for executing the received mobile learning content, and the user's response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the mobile learning content is the mobile learning server 110. By wireless transmission to the learning result can be calculated.

이때 상기 모바일 학습 서버(110)에 등록된 학원 수강생 등과 같은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100)는 푸쉬(push) 방식으로 모바일 콘텐츠 제작자(130)에 의해 제작된 모바일 학습 콘텐츠가 전송되며, 상기 모바일 학습 서버(110)에 등록되지 않은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102)로는 풀(pull) 방식으로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모바일 학습 콘텐츠가 전송되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mobile learning content produced by the mobile content producer 130 is transmitted to the us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such as a school student registered in the mobile learning server 110 by a push method. Mobile learning content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2 of an unspecified number of users who are not registered in the learning server 110 when a user request is made in a pull manner.

모바일 콘텐츠 제작자(130)는 상기 모바일 학습 서비스에 등록된 회원에게 학습과 관련된 모바일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고자 하는 중소형 학원(124) 또는 개인강사(122) 또는 광고주(120) 등으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상에서 구현 가능한 모바일 학습 콘텐츠를 제작하여 모바일 학습 서버(110)에 제공하게 된다.Mobile content producer 130 is a small and medium school 124 or personal instructor 122 or advertiser 120 to provide mobile learning content related to learning to the members registered in the mobile learning service,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mobile learning content may be produced and provided to the mobile learning server 110.

이때, 상기 모바일 콘텐츠 제작자(130)는 모바일 학습 서버(110)를 운영하는 이동통신사 내부에서 운영되는 내부 디지털 콘텐츠 저장부(114)로부터 적절한 콘텐츠를 검색하거나, 일반 인터넷(118)상에 존재하는 다양한 디지털 콘텐츠를 구비하는 외부 디지털 콘텐츠 저장부(116)로부터 적절한 콘텐츠를 검색하여 제작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mobile content producer 130 retrieves the appropriate content from the internal digital content storage unit 114 that operates inside the mobile communication company operating the mobile learning server 110, or various existing on the general Internet 118 Appropriate content may be retrieved and produced from an external digital content storage unit 116 having digital content.

모바일 학습 서버(110)는 상기 모바일 학습 콘텐츠 제작자에 의해 업로도(upload)되는 모바일 학습 콘텐츠 학교 선생님 또는 학원 강사별 음성 특성 정보와 융/복합하여 모바일 학습 콘텐츠로 생성시키고, 위 콘텐츠에 대한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의 요청시 상기 모바일 학습 콘텐츠를 암호화하고 이동통신 단말기 플랫폼에 맞도록 변환시켜 이동통신망을 통해 해당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다운로드된 모바일 학습 콘텐츠의 실행에 따른 사용자의 응답을 수신하여 이를 제작한 모바일 콘텐츠 제작자(130)에게 제공하여 학습 결과를 산출할 수 있도록 한다.The mobile learning server 110 is generated by the mobile learning content by fusion / combine with the voice characteristic information for each mobile learning content school teacher or instructor uploaded by the mobile learning content creator,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for the above content. Upon request of the terminal user, the mobile learning content is encrypted and converted to fi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latform and provid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user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addition, the response of the user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the mobile learning content downloaded to the us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received and provided to the produced mobile content producer 130 to calculate the learning results.

이때, 모바일 학습 서버(110)는 등록된 학원 수강생 등과 같은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는 푸쉬 방식으로 모바일 콘텐츠 제작자에 의해 제작된 모바일 학습 콘텐츠를 전송시키게 되며, 모바일 학습 서버(110)에 등록되지 않은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102)로는 풀 방식으로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모바일 학습 콘텐츠를 전송시킨다. 데이터 저장부(contents repository)(112)는 상기 모바일 학습 콘텐츠 데이터와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의 응답을 저장한다.At this time, the mobile learning server 110 transmits the mobile learning content produced by the mobile content producer in a push manner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of the user, such as a registered academy student, registered in the mobile learning server 110.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2 of the unspecified number of users who are not specified transmits the mobile learning content when requested by the user in a pull manner. The data repository 112 stores the mobile learning content data and the respons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er using the same.

도 2는 상기 도 1의 모바일 학습 서비스가 구현되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세 블록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이하 위 도 2를 참조하여 이동통신 단말기 각 블록에서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FIG. 2 illustrates a detailed block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mobile learning service of FIG. 1 is implemented. Hereinafter, an operation of each block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제어부(206)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무선 송/수신부(208)로부터 모바일 학습 콘텐츠 수신 시 이를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켜 모바일 학습 화면을 구현한다. 메모리부(202)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위한 동작 제어프로그램을 저장한다.The controller 206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implements a mobile learning screen by driving an application that executes the mobile learning content when the mobile learning content is received from the wireless transmitter / receiver 208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o. The memory unit 202 stores an operation control program for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무선 송/수신부(208)는 고주파 처리부와 중간주파수 처리부 및 기저대역 처리부의 포괄적 구성부를 의미하며, 안테나(ANT)를 통해 수신되는 외부 무선 통신망으로부터의 음성 및 각종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무선통신 대역 주파수에서 1차적으로 처리하고, 이를 다시 낮은 주파수 대역으로 낮추는 중간주파수 처리와, 이를 다 시 제어부(206)에서 처리 가능한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처리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이동통신망을 통해 수신되는 모바일 학습 콘텐츠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모바일 학습 콘텐츠 실행에 따른 사용자의 응답을 상기 제어부(206)의 제어에 따라 이동통신망으로 송신시킨다.The wireless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208 refers to a comprehensive component of a high frequency processing unit, an intermediate frequency processing unit and a baseband processing unit, and transmits voice and various multimedia data from an external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received through an antenna ANT at a wireless communication band frequency. Processing is performed differentially, and the intermediate frequency processing for lowering it back to a lower frequency band, and processes it again as a signal of a frequency band that can be processed by the controller 206.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the mobile learning content data received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transmits the user's response to the execution of the mobile learning conten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06.

오디오부(210)는 제어부(206)의 제어를 받아 마이크(MIC)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무선신호로 변조하고, 수신되는 무선신호를 복조하여 스피커(SPK)에 음성신호로서 송출한다. 키입력부(200)는 다수의 숫자키를 구비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소정의 키를 누를 때 해당하는 키데이터를 발생하여 제어부(206)로 출력한다. The audio unit 210 modulates a voice signal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MIC into a wireless signal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06, and demodulates the received wireless signal and transmits the received voice signal to the speaker SPK as a voice signal. The key input unit 200 includes a plurality of numeric keys, and generates corresponding key data when the user presses a predetermined key and outputs the corresponding key data to the controller 206.

표시부(204)는 제어부(206)의 제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각종 정보를 표시하며, 키입력부(200)에서 발생되는 키데이터 및 제어부(206)의 각종 정보신호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모바일 학습 콘텐츠 수신 시 제어부에 의해 구현되는 모바일 학습 화면을 단말기 화면에 디스플레이시킨다.The display unit 204 displays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06, and receives and displays key data generated by the key input unit 200 and various information signals of the controller 206. .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learning screen implemented by the controller when the mobile learning content is received is displayed on the terminal scree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도 1의 모바일 학습 서버의 상세 기능 블록을 도시한 것이며, 도 4는 모바일 학습 서버 각 기능 블록에서의 동작 예를 설명한 서비스 개념도이다.3 is a detailed functional block diagram of the mobile learning server of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service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example of each functional block of a mobile learning server.

이하 상기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모바일 학습 서버 각 기능 블록에서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operation of each functional block of the mobile learning serv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먼저, 수집모듈(300)은 광고주(120), 개인강사(122) 또는 중소형 학원(124)의 강사 등의 다수의 콘텐츠 제작자로부터 업로드되는 모바일 학습 콘텐츠를 수집한다. 이때 상기 모바일 학습 콘텐츠는 모바일 학습 서버(110)를 운영하는 이동통 신사 내부에서 운영되는 내부 디지털 콘텐츠 저장부(114)로부터 적절한 콘텐츠를 검색하거나, 일반 인터넷(118)상에 존재하는 다양한 디지털 콘텐츠를 구비하는 외부 디지털 콘텐츠 저장부(116)로부터 적절한 콘텐츠를 검색하여 제작된다.First, the collection module 300 collects mobile learning content uploaded from a plurality of content producers, such as an instructor of an advertiser 120, a personal instructor 122, or a small and medium school 124. At this time, the mobile learning content retrieves the appropriate content from the internal digital content storage unit 114 that is operated inside the mobile communication shrine operating the mobile learning server 110, or the various digital content existing on the general Internet 118 Proper content is retrieved from the external digital content storage unit 116 provided.

즉, 도 4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모바일 콘텐츠 제작자 영어학원 강사 A씨(122)는 예를 들어 특정 교과서의 특정 페이지에 있는 "For example, do not touch any metal object"의 영어 표현을 자신의 강의를 듣는 학생들에게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이에 대한 영문 텍스트(text) 및 이미지(image) 콘텐츠를 외부 디지털 콘텐츠 저장부(116) 또는 내부 디지털 콘텐츠 저장부(114)를 통해 검색하여(S10, S10'), 자신의 음성 샘플링을 위한 음성 데이터와 함께 모바일 학습 서버(110)로 업로드하며(S12), 이에 따라 모바일 학습 서버(110)의 수집모듈(300)은 상기 콘텐츠를 수신받아 변환모듈(302)로 인가한다. That is, as shown in FIG. 4, the mobile content creator English instructor A, 122, for example, teaches the English expression of "For example, do not touch any metal object" on a specific page of a specific textbook. If you want to send to the students listening to the English text (text) and image (image) content (image) and the content (image) through the external digital content storage unit 116 or the internal digital content storage unit 114 (S10, S10 '), Upload to the mobile learning server 110 with the voice data for voice sampling of the (S12), accordingly, the collection module 300 of the mobile learning server 110 receives the content and applies it to the conversion module 302. .

그러면, 변환모듈(302)은 상기 다수의 제작자별 특성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모바일 학습 콘텐츠를 상기 추출된 제작자별 특성 정보로 트랜스코딩(transcoding)한다.Then, the conversion module 302 extracts the plurality of producer-specific feature information and transcodes the mobile learning content into the extracted producer-specific feature information.

즉, 도 4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변환모듈(302)은 수집모듈(300)로부터 모바일 콘텐츠 제작자인 강사 A씨(122)의 음성 데이터와 모바일 학습 콘텐츠 데이터를 인가받는 경우 상기 강사 A씨(122)의 음성 데이터를 샘플링(sampling)하여 강사 A씨(122)의 목소리 특성 정보를 추출한 후(S14), 상기 모바일 학습 콘텐츠인 영문 텍스트를 상기 강사 A씨(122)의 목소리로 트랜스코딩하여(S16) 융복합 모듈(304)로 인가시킨다. That is, as shown in FIG. 4, the conversion module 302 receives the instructor A 122 from the collection module 300 when the voice data and the mobile learning content data of the instructor A 122, the mobile content producer, are authorized. Sampling the voice data to extract voic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lecturer A 122 (S14), and then transcoding the English text of the mobile learning content into the voice of lecturer A 122 (S16). ) Into the fusion module 304.

이에 따라, 융복합 모듈(304)은 상기 모바일 학습 콘텐츠 제작자별 특성 정보로 트랜스코딩된 모바일 학습 콘텐츠를 콘텐츠 텍스트와 이미지 정보와 함께 합성하여 최종 모바일 학습 콘텐츠(400)로 생성한 후, 가입자 이동통신 단말기에 맞게 변환시킨다. Accordingly, the convergence module 304 synthesizes the mobile learning content transcoded with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each mobile learning content producer together with the content text and the image information to generate the final mobile learning content 400, and then executes the subscriber mobile communication. Convert it to the terminal.

즉, 도 4에서 보여지는 모바일 학습 콘텐츠 제작자인 강사 A씨(122)의 목소리로 트랜스코딩된 콘텐츠를 콘텐츠 텍스트와 이미지 정보와 함께 최종 모바일 학습 콘텐츠(400)로 생성한 후(S18), 상기 모바일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플랫폼(platform)에 맞게 데이터를 변환시킨다(S20). 도 5에는 상기 융복합 모듈(304)에서 생성되어 사용자의 단말장치에 표시되는 최종 모바일 학습 콘텐츠(400)의 이미지 예시도와, 이동통신 단말기 플랫폼에 맞게 변환된 모바일 콘텐츠(400')의 이미지 예시도를 도시하였다. That is, after generating the transcoded content as the final mobile learning content 400 along with the content text and the image information, the transcoded content by the voice of the lecturer A 122, the mobile learning content producer shown in FIG. 4, the mobile The data is converted in accordance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latform of the user who wants to provide the learning content (S20). FIG. 5 illustrates an example of an image of the final mobile learning content 400 generated by the convergence module 304 and displayed on a user's terminal device, and an example of an image of the mobile content 400 'converted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latform. Is shown.

콘텐츠 등록 및 관리모듈(306)은 위와 같이 상기 융복합 모듈(304)로부터 생성된 모바일 학습 콘텐츠 데이터(400)를 데이터 저장부(112)에 등록하고 관리한다. 이때 상기 콘텐츠 등록 및 관리모듈(306)은 웹(web)을 통해 접속하는 사용자와 휴대폰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해 접속하는 사용자를 위해 도 4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두 가지 타입의 데이터를 모두 데이터 저장부(112)에 저장시킨 후(S22, S24), 사용자의 단말기 특성에 맞는 콘텐츠 데이터를 제공하도록 한다.The content registration and management module 306 registers and manages the mobile learning content data 400 generated from the convergence module 304 in the data storage 112 as described above. In this case, the content registration and management module 306 stores both types of data as shown in FIG. 4 for the user accessing through the web and the user accessing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After storing in the unit 112 (S22, S24), to provide the content data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user terminal.

다음으로, 서비스 연결모듈(310)은 상기 모바일 학습 콘텐츠를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제공한다(S26, S28). Next, the service connection module 310 provides the mobile learning content through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S26 and S28).

즉, 도 4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서비스 연결모듈(310)은 학원 셔틀 버스 또는 통학 버스를 통해 이동중인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모바일 학습 콘텐츠를 요청하는 경우에는 위와 같이 해당 사용자(100)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플랫폼으로 변환하여 제공하며, 또한 위 모바일 학습 서비스를 운영하는 중소형 학원에 의해 인터넷상에 구현된 교육 서비스 포털(312)로 접속한 사용자(102)에게 모바일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는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 저장부(112)와 연동되는 포털(312)내 데이터 저장부(119)로부터 웹을 통해 접속하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가공된 학습 콘텐츠를 해당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That is, as shown in FIG. 4, the service connection module 310 moves the user 100 as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 who is moving through the school shuttle bus or the school bus requests the mobile learning content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mobile learning content is provided to the user 102 who is converted to the platform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s connected to the education service portal 312 implemented on the Internet by the small and medium school that operates the mobile learning service. The learning content is processed to be provided to the user who is provided through the web from the data storage unit 119 in the portal 312 linked with the data storage unit 112 to the user.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무선 인터넷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강사와 학생간 양방향 맞춤형 모바일 학습 서비스를 구현하여, 강의 수강자인 학생들이 학원 셔틀 버스나 통학 버스로 이동중인 상태에서도 학교 또는 학원과 연계되는 온라인 심화 교육, 퀴즈 등의 교육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청소년 고객 층의 흥미 유발을 통한 데이터 트래픽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으며, 또한 사설 교육기관/학원 등에서는 수강생 맞춤형 진도나 수준별 짧은 강의를 제공할 수 있어 이를 통한 새로운 광고 및 제휴 수익을 기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s a bi-directional customized mobile learning service between the instructor and the student by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wireless Internet, so that the students who are lecturers can move to the school shuttle school or the school bus even when they are moving to the school shuttle bus or the school bus. By providing related online education and quizzes, we can expect data traffic to be stimulated by the interests of our youth customers.In addition, private educational institutions / schools offer customized courses or short lectures by level. You can expect new advertising and affiliate revenue through it.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Meanwhile, 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claims rather than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무선 인터넷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강사와 학생간 양방향 맞춤형 모바일 학습 서비스를 구현하여, 청소년 고객층의 흥미 유발을 통한 데이터 트래픽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으며, 또한 사설 교육기관/학원 등에서는 수강생 맞춤형 진도나 수준별 짧은 강의를 제공할 수 있어 이를 통한 새로운 광고 및 제휴 수익에 적합하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by implementing a two-way customized mobile learning service between the instructor and the student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wireless Internet, it can be expected to activate the data traffic through the interest of the youth customer base, and also private education institution / The school can provide students with customized progress or short lectures for each level, which is suitable for new advertising and affiliate revenu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양방향 모바일 학습 시스템의 네트웍 구성도,1 is a network diagram of an interactive mobile lear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양방향 모바일 학습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세 블록 구성도,2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a bidirectional mobile learn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양방향 모바일 학습 동작의 개념을 도시한 도면,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cept of a bidirectional mobile learning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양방향 모바일 학습 서비스의 동작 흐름도,4 is an operation flowchart of an interactive mobile learning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학습 콘텐츠 이미지 예시도.5 is an exemplary view of a mobile learning content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간략한 설명><Brief description of the major symbols in the drawings>

110 : 모바일 학습 서버 112 : 데이터 저장부110: mobile learning server 112: data storage

300 : 수집모듈 302 : 변환모듈300: acquisition module 302: conversion module

304 : 융복합 모듈 306 : 콘텐츠 등록 및 관리모듈304: Convergence Module 306: Content Registration and Management Module

310 : 서비스 연결 모듈310: service connection module

Claims (15)

양방향 모바일 학습 시스템으로서,As an interactive mobile learning system, 이동통신망을 통해 수신되는 모바일 학습 콘텐츠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한 후, 해당 화면에 따른 사용자의 응답을 상기 이동통신망상 모바일 학습 서버로 전송시키는 이동통신 단말기와,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displaying a mobile learning content receive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n a screen and transmitting a user's response according to the screen to the mobile learning server on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상에서 구현 가능한 모바일 학습 콘텐츠를 제작하여 제공하는 모바일 학습 콘텐츠 제작자와,A mobile learning content producer for producing and providing mobile learning content that can be implemented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모바일 학습 콘텐츠 제작자에 의해 업로도되는 모바일 학습 콘텐츠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플랫폼에 맞도록 변환시켜 제공하고, 각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로부터의 응답을 수신하는 모바일 학습 서버A mobile learning server for converting and providing mobile learning content, which is also uploaded by the mobile learning content producer, to fi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latform, and receiving a response from each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er. 을 포함하는 양방향 모바일 학습 시스템.Interactive mobile learning system that include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모바일 학습 서버는,The mobile learning server, 다수의 콘텐츠 제작자로부터 업로드되는 모바일 학습 콘텐츠를 수집하는 수집모듈과,Collecting module for collecting mobile learning content uploaded from a plurality of content creators, 상기 다수의 제작자별 특성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모바일 학습 콘텐츠를 상기 추출된 제작자별 특성 정보로 트랜스코딩하는 변환모듈과,A conversion module for extracting the plurality of feature information for each producer and transcoding the mobile learning content into the extracted feature information for each producer; 상기 제작자별 특성 정보로 트랜스코딩된 모바일 학습 콘텐츠를 텍스트와 이미지를 합성한 최종 학습 콘텐츠로 생성한 후,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에 맞게 변환시키는 융복합 모듈과,A convergence module for generating the final learning content by synthesizing the text and the image from the mobile learning content transcoded with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each producer, and converting the mobile learning content into a us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융복합 모듈로부터 생성된 모바일 학습 콘텐츠 데이터를 등록하고 관리하는 콘텐츠 등록 및 관리 모듈과,A content registration and management module for registering and managing mobile learning content data generated from the convergence module; 상기 모바일 학습 콘텐츠를 가입자의 요청에 따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제공하는 서비스 연결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모바일 학습 시스템.And a service connection module for providing the mobile learning contents through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t the request of a subscriber.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모바일 학습 서버는,The mobile learning server, 상기 모바일 학습 콘텐츠 데이터와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의 응답을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모바일 학습 시스템.And a dat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mobile learning content data and the respons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er using the mobile learning content data.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콘텐츠 등록 및 관리 모듈은,The content registration and management module, 상기 모바일 학습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별 응답을 수신하여 저장하고, 요청 에 따라 이를 상기 콘텐츠 제작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모바일 학습 시스템.And receiving and storing a user-specific response to the mobile learning content, and providing the same to the content producer as requested.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모바일 학습 콘텐츠 제작자는,The mobile learning content creator, 상기 모바일 학습 서비스에 등록된 회원에게 학습과 관련된 모바일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고자 하는 중소형 학원 또는 개인강사 또는 광고주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모바일 학습 시스템.Interactive learn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the small and medium school, individual instructor or advertiser to provide mobile learning content related to learning to the members registered in the mobile learning service.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모바일 학습 콘텐츠는, The mobile learning content, 상기 각 제작자의 음성 특성 정보로 트랜스코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모바일 학습 시스템.Two-way mobile learn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coding to the voic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each producer.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모바일 학습 콘텐츠는, The mobile learning content, 등록된 이동통신 사용자별 특성에 맞게 제작되며,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푸쉬방식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모바일 학습 시스템.Produc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registered mobile communication user, the interactive mobile learn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mission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모바일 학습 콘텐츠는, The mobile learning content, 등록되지 않은 불특정 다수의 이동통신 사용자에게는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풀 방식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모바일 학습 시스템.And a non-registered plurality of unspecified mobile communication users transmitted in a pull manner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모바일 학습 콘텐츠는, The mobile learning content, 유/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업로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모바일 학습 시스템.Interactive mobile learn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uploaded via a wired / wireless internet network. 양방향 모바일 학습 방법으로서,As an interactive mobile learning method, (a)다수의 콘텐츠 제작자로부터 업로드되는 모바일 학습 콘텐츠를 수집하는 단계와,(a) collecting mobile learning content uploaded from multiple content creators, (b)상기 다수의 제작자별 특성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모바일 학습 콘텐츠를 상기 추출된 제작자별 특성 정보로 트랜스코딩하는 단계와,(b) extracting the plurality of producer-specific feature information and transcoding the mobile learning content into the extracted producer-specific feature information; (c)상기 제작자별 특성 정보로 트랜스코딩된 모바일 학습 콘텐츠를 텍스트와 이미지를 합성한 최종 학습 콘텐츠로 생성한 후,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에 맞게 변환시키는 단계와,(c) generating the mobile learning content transcoded with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for each producer into a final learning content obtained by synthesizing a text and an image, and then converting the mobile learning content according to a us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상기 변환된 모바일 학습 콘텐츠를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제공하는 단계(d) providing the converted mobile learning content through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를 포함하는 양방향 모바일 학습 방법.Interactive mobile learning method comprising a. 제 10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모바일 학습 콘텐츠 제작자는,The mobile learning content creator, 상기 모바일 학습 서비스에 등록된 회원에게 학습과 관련된 모바일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고자 하는 중소형 학원 또는 개인강사 또는 광고주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모바일 학습 방법.Interactive learn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small and medium school, individual instructor or advertiser to provide mobile learning content related to learning to the members registered in the mobile learning service. 제 10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모바일 학습 콘텐츠는, The mobile learning content, 상기 각 제작자의 음성 특성 정보로 트랜스코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모바일 학습 방법.Two-way mobile learn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coding to the voice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each producer. 제 10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모바일 학습 콘텐츠는, The mobile learning content, 등록된 이동통신 사용자별 특성에 맞게 제작되며,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푸쉬방식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모바일 학습 방법.It is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registered mobile communication user, and is transmitted in a push method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the mobile learning method. 제 10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모바일 학습 콘텐츠는, The mobile learning content, 등록되지 않은 불특정 다수의 이동통신 사용자에게는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풀 방식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모바일 학습 방법.And a non-registered plurality of unspecified mobile communication users are transmitted in a pull manner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제 10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모바일 학습 콘텐츠는, The mobile learning content, 유/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업로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모바일 학습 방법.Interactive mobile learn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uploaded via a wired / wireless internet network.
KR1020070109632A 2007-10-30 2007-10-30 Apparatus for bidirectional mobile education and method thereof KR10144085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9632A KR101440857B1 (en) 2007-10-30 2007-10-30 Apparatus for bidirectional mobile education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9632A KR101440857B1 (en) 2007-10-30 2007-10-30 Apparatus for bidirectional mobile education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3848A true KR20090043848A (en) 2009-05-07
KR101440857B1 KR101440857B1 (en) 2014-09-18

Family

ID=40854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9632A KR101440857B1 (en) 2007-10-30 2007-10-30 Apparatus for bidirectional mobile education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085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3190A (en) * 2010-09-22 2018-09-18 로제타 스톤 엘티디. Performing a computerized task with diverse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1862A (en) * 2000-06-14 2001-12-20 이태호 Internet remote educat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KR20040011000A (en) * 2002-07-26 2004-02-05 주식회사 미디어플래닛 Image conversion system for providing optimized image for display termina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3190A (en) * 2010-09-22 2018-09-18 로제타 스톤 엘티디. Performing a computerized task with diverse devices
US10812575B2 (en) 2010-09-22 2020-10-20 Rosetta Stone, Ltd. Performing a computerized language teaching lesson using a main computer and a mobil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0857B1 (en) 2014-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rifonova et al. Where is mobile learning going?
Vinu et al. Towards pervasive mobile learning–the vision of 21st century
Shen et al. Increasing interactivity in blended classrooms through a cutting‐edge mobile learning system
Wains et al. Integrating m-learning with e-learning
KR102378166B1 (en) System for providing video lecture and method thereof
CN106571136A (en) Voice output device and method
Lam et al. A review of mobile learning environment in higher education sector of Hong Kong: Technological and social perspectives
Rodriguez Latino school dropout and popular culture: Envisioning solutions to a pervasive problem
Asabere Towards a perspectiv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in education: Migrating from electronic learning (E-learning) to mobile learning (M-learning)
Mahmoud A proposed model for distributing e-courses content through mobile technology architectures
Unwin The technologies: identifying appropriate solutions for development needs
KR102101817B1 (en) Language study supporting apparatus using video publicated on the internet
KR20180016032A (en) Method for providing adaptive learning contents based on learning analytics
JP2007200210A (en) Content delivery system, content delivery program and content delivery method
CN106664318A (en) Mobile cast receivers for computing and entertainment devices
Niazi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device-independent platform for mobile learning
KR20090043848A (en) System for bidirectional mobile education and method thereof
Najmi et al. Why and How Mobile Learning Can Make a Difference in the K-16 Classroom?
Yu-mei et al. Learning can happen anytime and anywhere: The application of m-learning in medical education
Anderson et al. A study of a mobile collaborative learning system for Chinese language learning
CN107784882A (en) A kind of interactive mode teaching digital publishing system
Unw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 development practices
KR101011773B1 (en) An education management system by ability using education-content development and classification and a method thereof
Ozawa et al. A pilot study of mobile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in Samoa
Pein et al. Integrating mobile computing solutions into distance learning environ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