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9286A - Keyboard using el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keyboard using el sheet - Google Patents

Keyboard using el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keyboard using el she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9286A
KR20090039286A KR1020070104833A KR20070104833A KR20090039286A KR 20090039286 A KR20090039286 A KR 20090039286A KR 1020070104833 A KR1020070104833 A KR 1020070104833A KR 20070104833 A KR20070104833 A KR 20070104833A KR 20090039286 A KR20090039286 A KR 200900392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board
sheet
layer
base film
transparent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48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소민석
박상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브이에스에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브이에스에스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브이에스에스티
Priority to KR1020070104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39286A/en
Publication of KR20090039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928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4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the layers, e.g. by their material or struct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9Accessories therefor, e.g. mouse pa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ic switches
    • H01H11/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ic switches of switch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83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characterised by legends, e.g. Braille, liquid crystal displays, light emitting or optical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88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e of rectilinearly movable switches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A keyboard using an EL sheet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display a character and a sign with different colors by adding various pigment to a luminous body. A keyboard includes a plurality of key buttons(22), a case(21), an EL(Electro-Luminescence) sheet(10) and an inverter. A plurality of key buttons are mounted on the case. The EL sheet is formed inside the case. The inverter supplies the power to the EL sheet. The EL sheet includes a base film, a transparent electrode, a fluorescent layer, a dielectric layer, a back electrode and a protective layer. The transparent electrode is formed on the base film layer. The fluorescent layer is formed on the transparent electrode. The dielectric layer is formed on the fluorescent layer. The back electrode is formed on the dielectric layer by corresponding to the fluorescent layer. The protective layer is formed on the back electrode.

Description

이엘 시트를 이용한 키보드 및 이엘 시트를 이용한 키보드의 제조방법 {Keyboard using EL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keyboard using EL sheet}Keyboard using EL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keyboard using EL sheet {Keyboard using EL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keyboard using EL sheet}

본 발명은 형광층이 형성된 이엘 시트를 포함하는 키보드, 더욱 구체적으로는 키보드의 각각의 키버튼 중 특정 부분만 발광가능한 키보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eyboard including an EL sheet on which a fluorescent layer is formed, and more particularly to a keyboard capable of emitting a specific portion of each key button of the keyboard.

일반적으로, 키보드는 키버튼을 일정한 규칙에 따라 배열한 컴퓨터, 타자기 등에 장착되어 있는 입력 장치로써, 한글,영어, 일본어 등을 구성하는 각각의 철자를 하나의 키버튼에 구성한 후 각종 기능키를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입력하도록 구성된 것이 대부분이다. In general, a keyboard is an input device mounted on a computer, typewriter, etc., in which key buttons are arrang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rule, and each function of Hangul, English, Japanese, etc. is composed on one key button, and then various function keys are used. Most of them are configured for optional input.

그런데, 종래의 키보드는 이러한 키버튼에 특별한 발광장치가 없으므로 나이가 많은 사람이나 키보드를 평소에 많이 사용하지 않는 사람들은 상대적으로 각각의 키버튼에 인쇄된 문자에 대한 식별기능이 떨어지게 되므로 특히 어두운 곳에서는 문자나 기호등을 입력하는데 큰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However, since a conventional keyboard does not have a special light emitting device for such a key button, an older person or a person who does not usually use the keyboard usually has a relatively poor identification function for the characters printed on each key button. Esau feels inconvenient to input characters or symbols.

최근에는 이러한 불편함을 없애기 위하여 키보드의 키버튼에 기록된 문자를 형광처리하거나, 키보드 아래에 칩 LED(Light Emitting Diode)를 장착하고, 메탈 돔 시트 등에 반사판을 설치하여 빛을 전면으로 확산시켜 주는 소위 백라이 트(Back-Light) 장치를 활용한 키보드가 상용화되고 있다. 이러한 백라이트 방식의 키보드는 키보드의 키버튼 표면에 인쇄된 문자, 숫자, 기호 등을 더욱 밝게 디스플레이해준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LED의 특성상 조명이 모든 위치에서 동일하게 밝혀지지 않으므로 위치에 따라서 명암이 엇갈리고, 전력 소모량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키보드를 이용하여 장시간 작업하는 경우가 많은데, LED가 발열함으로써 결국 키보드가 가열되고 이는 작업 능률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된다.In recent years, in order to eliminate such inconveniences, it is possible to fluoresce the characters written on the key buttons of the keyboard, or to install a chip LED (Light Emitting Diode) under the keyboard and to install the reflector on the metal dome sheet to diffuse the light to the front. Keyboards using so-called back-light devices are commercially available. This backlit keyboard has the advantage of displaying brighter letters, numbers, symbols, etc. printed on the key button surface of the keyboard, while the brightness of the LED is not the same in all positions, so the contrast varies according to the position. The disadvantage is that power consumption is high. In addition, there are many cases of working with the keyboard for a long time, but the LED heats up, causing the keyboard to heat up, which causes a decrease in work efficiency.

이러한 LED 광원을 이용한 백라이팅 방식의 키보드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LED 광원을 이용하는 대신 EL(Electroluminescent) 시트를 이용한 백라이트 방식의 키보드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EL 시트를 이용한 백라이트 방식의 키보드의 일례가 도 1에 도시된다. In order to solve the disadvantage of the backlighting keyboard using the LED light source, a backlight keyboard using an EL (Electroluminescent) sheet instead of using the LED light source has been developed. An example of a keyboard of the backlight type using such an EL sheet is shown in FIG.

도 1은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키보드로서, EL 시트를 이용한 백라이트 방식의 키보드의 상면은 키보드 케이스(210)과 복수의 키버튼(220)으로 구성된다. 또한, 도 1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키보드 케이스(210)의 아래에는 EL 시트가 장착된다. 이러한 EL 시트(100)의 구성은 도 2에 도시된다. 도 2에서 보듯이, EL 시트(100)는 PET 등의 베이스 필름(110)에 ITO 전극과 같은 투명 전극(120)이 장착되어, ITO-PET 필름의 투명 도전 필름을 형성하고, 그 위에 형광층(130), 유전층(140) 및 배면 전극(150)이 각각 적층된 EL 시트가 형성되며, 보호층(160)이 상기 EL 시트 위에 적층되는 구성을 갖는다. 또한, 이러한 EL 시트의 위에는 키보드 케이스(210)과 복수의 키버튼(220)이 장착되고, EL 시트의 아래에는 인쇄회로 기판(300)이 형성된다. 상기 구조의 EL 시트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패드 케 이스(210)의 아랫부분에서 필름 형태로 키보드의 전면에 배치되어 키보드의 문자, 숫자, 기호 등의 키버튼을 밝히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EL 시트를 이용한 키보드의 경우, EL 시트는 키보드 내부에서 단일 구조로 형성되므로, 각종 키버튼을 동시에 조명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특히 키보드의 좌판 배열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의 경우에는 영문, 한글, 숫자 키가 동시에 밝혀짐으로써 원하는 문자를 찾는데 전혀 도움을 주지 못하며, 오히려 키보드의 조명으로 인한 눈의 피로만 심해지는 결과를 초래한다.1 is a commonly used keyboard, and an upper surface of a backlit keyboard using an EL sheet is composed of a keyboard case 210 and a plurality of key buttons 220. Although not shown in FIG. 1, an EL sheet is mounted below the keyboard case 210. The configuration of this EL sheet 100 is shown in FIG. As shown in FIG. 2, the EL sheet 100 is equipped with a transparent electrode 120 such as an ITO electrode on a base film 110 such as PET to form a transparent conductive film of an ITO-PET film, and a fluorescent layer thereon. An EL sheet in which the 130, the dielectric layer 140, and the back electrode 150 are laminated, respectively, is formed, and the protective layer 160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EL sheet is laminated. In addition, a keyboard case 210 and a plurality of key buttons 220 are mounted on the EL sheet, and a printed circuit board 300 is formed below the EL sheet. As shown in FIG. 2, the EL sheet having the above structure is disposed on the front of the keyboard in a film form at the bottom of the keypad case 210 to illuminate key buttons such as letters, numbers, and symbols of the keyboard. By the way, in the case of the keyboard using such a conventional EL sheet, since the EL sheet is formed in a single structure inside the keyboard, there is no choice but to illuminate various key buttons at the same time. Therefore, especially for those who are not familiar with the layout of the keyboard, the English, Korean, and numeric keys are illuminated at the same time, which does not help to find the desired character. Cause.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키보드, 특히 EL 시트를 이용한 키보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발명으로써, EL 시트가 영문, 국문 및 기타 문자나 기호별로 각각 발광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좌판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이라고 할지라도 용이하게 자신이 원하는 문자, 숫자, 기호를 찾을 수 있는 키보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problems of such a conventional keyboard, in particular, a keyboard using an EL sheet, and may be said to be a person unfamiliar with the seat plate by configuring the EL sheet to emit light by English, Korean, and other characters or symbols. 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keyboard for easily finding a desired letter, number, or symbol.

또한, 본 발명은 특정한 문자 작업 시 해당하는 문자만 자동으로 발광함으로써 눈의 피로를 덜고, 외관상 일체감을 가질 수 있는 키보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keyboard that can reduce the eyestrain and have a sense of unity by automatically emitting only the corresponding characters during a specific character work.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EL 시트를 이용한 키보드는:A keyboard using an EL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복수의 키버튼과, 상기 복수의 키버튼이 장착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형성되는 EL 시트와 상기 EL 전극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인버터를 포함하고,A plurality of key buttons, a case to which the plurality of key buttons are mounted, an EL sheet formed inside the case, and an inverter to supply power to the EL electrodes,

상기 EL 시트는 베이스 필름과, 상기 베이스 필름층 위에 형성된 투명 전극과, 상기 투명 전극 위에 형성되고 각각의 키버튼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하여 분리되어 형성된 복수의 형광층과, 상기 형광층 위에 형성되는 유전층 및 상기 형광층과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유전층 위에 형성되는 복수의 배면 전극The EL sheet includes a base film, a transparent electrode formed on the base film layer, a plurality of fluorescent layers formed on the transparent electrode and separated for at least some of the respective keybuttons, a dielectric layer formed on the fluorescent layer, A plurality of back electrodes formed on the dielectric layer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fluorescent layers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또한, 상기 EL 시트는 상기 복수의 배면 전극 위에 형성되는 보호층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EL sheet further includes a protective layer formed on the plurality of back electrodes.

또한, 상기 키보드는 상기 복수의 배면 전극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스위칭 소자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keyboard preferably further includes a switching element for controlling power supplied to the plurality of rear electrodes.

또한, 상기 투명 전극은 ITO 전극 또는 IZO 전극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transparent electrode is preferably an ITO electrode or an IZO electrode.

또한, 상기 베이스 필름은 PET, PEN 및 PC 필름 중의 적어도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base film is preferably at least one of PET, PEN and PC film.

상기 형광층은 적어도 하나의 색소가 혼합된 컬러 형광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fluorescent layer is preferably a color fluorescent layer in which at least one pigment is mixed.

또한, 상기 키보드에 장착된 복수의 키버튼은 자음 또는 모음, 문자의 종류 또는 키버튼의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색깔로 발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key buttons mounted on the keyboard may emit light in different colors according to consonants or vowels, types of characters, or positions of the key button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EL 시트를 이용한 키보드의 제조 방법은:Moreover,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keyboard using the EL sheet | seat according to this invention is:

복수의 키버튼과, 상기 복수의 키버튼이 장착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형성되는 EL 시트와 상기 EL 전극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인버터를 포함하는 EL 시트를 이용한 키보드의 제조방법으로써,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keyboard using a EL sheet including a plurality of key buttons, a case in which the plurality of key buttons are mounted, an EL sheet formed inside the case, and an inverter for supplying power to the EL electrode.

상기 EL 시트는 베이스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베이스 필름 위에 투명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투명 전극 위에 복수의 형광층을 각각의 키버튼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하여 분리하여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형광층 위에 유전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유전층 위에 상기 복수의 형광층과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 의 배면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L sheet forming a base film; Forming a transparent electrode on the base film; Separating and forming a plurality of fluorescent layers on at least some of each key button on the transparent electrode; Forming a dielectric layer on the plurality of fluorescent layers; And forming a plurality of back electrodes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fluorescent layers on the dielectric layer.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복수의 배면 전극 위에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method may further comprise forming a protective layer on the plurality of back electrodes.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베이스 필름의 아래에 보조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method preferably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forming an auxiliary film under the base film.

한편, 본 발명에서 키보드는 컴퓨터나 타자기 용의 입력 수단으로써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의미의 키보드 외에, 리모콘과 같은 각종 전자제품을 제어하는데 이용되는 각종 입력장치를 모두 포함한다.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keyboard includes all kinds of input devices used to control various electronic products such as a remote controller, in addition to the keyboard generally used as an input means for a computer or a typewriter.

본 발명에 따른 키보드는 EL 시트가 영문, 국문 및 기타 문자나 기호별로 각각 발광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좌판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이라고 할지라도 용이하게 자신이 원하는 문자, 숫자, 기호를 찾을 수 있다.The key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o that the EL sheet can emit light for each of English, Korean, and other characters or symbols, so that even a person unfamiliar with the seat can easily find his or her desired letters, numbers, and symbol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키보드는 특정한 문자 작업 시 해당하는 문자만 자동으로 발광함으로써 눈의 피로를 덜고, 외관상 일체감을 가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key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eyestrain and have a sense of unity by automatically emitting only the corresponding character when a specific character work.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키보드는 발광체에 다양한 색소를 첨가함으로써 예를 들면 한글/영문의 자음과 모음에 따라서 다른 색깔로 발광하게 하거나, 한글과 영문 등의 문자의 종류, 문자의 위치 등에 따라 다른 색깔로 발광하게 할 수 있으므로 키보드의 좌판 배열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이라도 용이하게 해당 문자나 기호 등을 찾을 수 있다. In addition, the key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dding a variety of pigments to the luminous body, for example, to emit light in a different color according to the consonants and vowels of the Hangul / English, or different colors depending on the type of characters, such as Hangul and English, the position of the characters, etc. Because it can emit light, even those who are not familiar with the arrangement of the keyboard can easily find the corresponding letter or symbol.

다음으로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EL 시트를 이용한 키보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특징을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이미 알려진 기술은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Next, a keyboard using an EL shee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reference, in order to clarify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chniques already known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ll not be described in detail.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EL 시트를 이용한 키보드의 가로 단면도, 더욱 정확하게는 도 1에 도시된 키보드의 A-A 라인을 취한 단면도이다. 도 3에서 보듯이, 본 실시예에 따른 EL 시트(10)는 먼저 PET 등의 베이스 필름(11)에 투명 전극으로써 투명 전극(12)이 장착되어, 투명 도전 필름이 형성된다. 또한, 투명 도전 필름 위에는 형광층(13)이 키보드에 장착되는 각각의 키버튼에 대하여 영문/국문 또는 숫자/기호의 위치에 맞게 분리되어 형성된다. 또한, 형광층(13) 위에는 유전층(14)이 형성되며, 배면 전극(15)은 형광층(13)에 대응하는 위치, 즉, 도 3에서 보는 것과 같이 각각의 키버튼에 대하여 분리되어 형성된 형광층(14)의 윗부분에서 형광층(13)과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갖고 형성되며, 마지막으로 보호층(16)이 배면 전극(15) 위에 적층된다. FIG. 3 is a horizontal cross sectional view of a keyboard using an EL shee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ore precisely,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the keyboard shown in FIG. As shown in Fig. 3, the EL sheet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first mounted with a transparent electrode 12 as a transparent electrode on a base film 11 such as PET, thereby forming a transparent conductive film. In addition, on the transparent conductive film, the fluorescent layer 13 is separated and form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English / Korean or numbers / symbols for each key button mounted on the keyboard. In addition, a dielectric layer 14 is formed on the fluorescent layer 13, and the rear electrode 15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luorescent layer 13, that is, a fluorescent light formed separately for each key button as shown in FIG. 3. The upper portion of the layer 14 is formed to have the same cross-sectional shape as the fluorescent layer 13, and finally, the protective layer 16 is stacked on the rear electrode 15.

또한, EL 시트(10)의 위에는 키보드 케이스(21) 및 키보드 키버튼(22)이 형성되고, EL 시트(10)의 아래에는 인쇄회로기판(30)이 형성된다. 이러한, 키보드 케이스(21), 키보드 키버튼(22) 및 인쇄회로기판(30)의 구성은 도 2에서 이미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 을 생략한다.In addition, a keyboard case 21 and a keyboard key button 22 are formed on the EL sheet 10, and a printed circuit board 30 is formed below the EL sheet 10. The configuration of the keyboard case 21, the keyboard key button 22,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30 is a technique well known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다음으로, 도 3에 도시된 EL 시트(10)는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은 과정을 통하여 제조될 수 있다.Next, the EL sheet 10 shown in FIG. 3 can be manufactured through a process such as that shown in FIG. 5, for example.

즉, 도 5에서 보듯이, 먼저 5㎛ 내지 30㎛의 두께를 갖는 베이스 필름(11)을 준비한다. 베이스 필름(11)은 PET 필름, PEN 필름, PC 필름 등 EL 시트를 형성하는데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필름이면 그 종류를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보조 필름(미도시) 위에 베이스 필름을 합체한 이중 구조의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보조 필름과 베이스 필름은 모두 동일한 종류의 필름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보조 필름의 두께는 50㎛ 내지 15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보조 필름을 사용함으로써 이 후의 과정에서 베이스 필름의 컬링(curling)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베이스 필름(11) 위에 투명 전극(12)을 형성한다. 투명 전극(12)은 ITO(Indume-Tin Oxide) 또는 IZO(Indume-Zink Oxide)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면 스퍼터링(sputtering)법에 의하여 베이스 필름(11)에 증착될 수 있다. That is, as shown in Figure 5, first to prepare a base film 11 having a thickness of 5 30㎛. The base film 11 is not limited as long as it is a film usually used to form an EL sheet such as a PET film, a PEN film, and a PC film. 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it is a film of the dual structure which integrated the base film on the auxiliary film (not shown). In this case, both the auxiliary film and the base film may use the same kind of film, and the thickness of the auxiliary film is preferably 50 μm to 150 μm. By using such an auxiliary film, the curling phenomenon of the base film can be prevented in a subsequent process. Subsequently, the transparent electrode 12 is formed on the base film 11. The transparent electrode 12 preferably uses indium tin oxide (ITO) or indium zinc oxide (IZO). For example, the transparent electrode 12 may be deposited on the base film 11 by a sputtering method.

이어서, 투명 전극(12) 위에 형광층(13)을 스크린 프린팅(screen printing) 방법 등을 이용하여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형광층은 각각의 키버튼에 대하여 영문/국문 또는 숫자/기호의 위치에 맞게 분리되어 형성된다. 예를 들면, 도 4에서 보듯이, 통상적인 한글 2벌식인 101키 키보드의 경우 영문자 "W"와 국문자 "ㅈ" 및 "ㅉ" 등이 하나의 키버튼에 인쇄된다. 따라서, 상기 키버튼을 사등분한 후 각각의 영문자 및 국문자의 위치에 각각 형광층(13a 내지 13d)을 형성한다. 상기 키버튼의 경우에는 도 4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영역이 각각의 형광층(13a 내지 13d)이 형성된 영역이 된다. 또한, 형광층(13)은 다양한 색상으로 발광될 수 있도록 형광체에 소정의 색소가 혼합된 컬러 형광층으로 구성될 수 있고, 또한, 이러한 색소는 1가지가 아닌 2가지 이상을 사용하여 다양한 색채를 구현할 수도 있다. EL 시트의 형광층에 색소를 첨가하여 다양한 색채를 구현하는 기술은 이미 알려진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러한 색체의 첨가에 의하여 예를 들면 한글/영문의 자음과 모음에 따라서 다른 색깔로 발광하게 하거나, 한글과 영문 등의 문자의 종류, 문자의 위치 등에 따라 다른 색깔로 발광하게 할 수 있으므로 키보드의 좌판배열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이라도 용이하게 해당 문자나 기호등을 찾을 수 있다. Subsequently, the fluorescent layer 13 is formed on the transparent electrode 12 using a screen printing method or the lik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fluorescent layer is formed to be separated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on of the English / Korean or numbers / symbols for each key button.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Korean 2-key type 101-key keyboard, an English letter “W” and a Korean letter “” and “ㅉ” are printed on one key button. Therefore, after dividing the key button into quadrants, the fluorescent layers 13a to 13d are formed at positions of the respective English letters and Korean letters. In the case of the key button, an area indicated by a dotted line in FIG. 4 is an area in which respective fluorescent layers 13a to 13d are formed. In addition, the fluorescent layer 13 may be composed of a color fluorescent layer in which a predetermined dye is mixed in the phosphor so as to emit light in various colors. In addition, the dye may be used in various colors using two or more kinds of pigments. It can also be implemented. Since a technique of realizing various colors by adding a dye to the fluorescent layer of the EL sheet is a known techniqu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addition of such a color allows the light to be emitted in different colors according to the consonants and vowels of Korean / English, or in different colors depending on the type of characters such as Korean and English, and the position of the letters. Even if you're not familiar with arrays, you can easily find them.

이어서, 복수로 형성된(본 실시예에서는 4개로 분리되어 형성된) 형광층(13) 위에 유전층(14)을 형성하고, 그 위에 배면 전극(15)을 형성한다. 이때, 배면 전극(15)은 복수로 형성된 형광층(13)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즉, 뒤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듯이 본 실시예는 투명 전극(12)을 공동 전극으로 사용하고, 배면 전극을 각 형광층에 따라서 복수의 채널(도 4에 따르면 4개)로 형성함으로써 외부 신호에 따라서 선택적인 발광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 다음으로, 배면 전극(15) 위에는 소자의 보호를 위한 보호층(16)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EL 기판의 제조 시 베이스 필름(11)의 아래에 보조 필름을 형성한 경우에는 보호층(16)까지 형성한 다음에는 이를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ubsequently, the dielectric layer 14 is formed on the plurality of fluorescent layers 13 (in this embodiment, separated into four) and the back electrode 15 is formed thereon. In this case, the back electrode 15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fluorescent layers 13. That is, a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the present embodiment uses the transparent electrode 12 as a cavity electrode, and forms the back electrode in a plurality of channels (four according to FIG. 4) in accordance with each fluorescent layer in accordance with an external signal. It was configured to allow selective light emission. Next, a protective layer 16 for protecting the device is formed on the back electrode 15. Next, in the case of forming the auxiliary film under the base film 11 at the time of manufacturing the EL substrate,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protective layer 16 and then to remove it.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보호층에는 전원 연결을 위한 홀 단자가 형성되고, 선택적으로 정전기 등을 방지하기 위한 정전기 방지층도 추가로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a hole terminal for power connection is formed in the protective layer, and optionally, an antistatic layer for preventing static electricity may be further formed.

다음으로, 도 6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키보드의 회로 구성을 설명한다. 도 6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보드는 EL 시트에 전원을 공급하는 인버터(40)와 스위칭 소자(SW1, SW2, SW3, SW4), 공통전극으로 기능하는 투명 전극(12) 및 복수의 배면 전극(15a, 15b, 15c, 15d)으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인버터(40)는 외부 신호에 따라서 EL 시트에 전원을 인가하는데, 본 실시예에 따르면, "EL-" 단자는 EL 시트의 투명 전극(12)에 연결되고, "EL+" 단자는 배면 전극(15a, 15b, 15c, 15d)에 연결되어 이들 전극에 의하여 내부의 형광층이 발광하도록 구성된다. 즉, 투명 전극(12)이 공통전극으로 사용되고, 배면 전극(15)은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영문/국문 또는 숫자/기호의 위치에 맞게 분리되어 형성된 형광층(13)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인버터(40)와 연결된 스위칭 소자(SW1, SW2, SW3, SW4)에 의하여 형광층(13a 내지 13d)은 선택적으로 발광하게 된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예를 들면 마이컴과 같은 제어장치가 인버터에 연결되어 키보드 내부에 장착된다. 마이컴은 사용자가 "한/영" 변환키 또는 "Shift" 키와 같은 키보드의 선택 버턴을 누르면 그에 따라서 스위칭 소자를 제어하여 배면 전극의 일부에만 전원이 공급되게 함으로써 각각의 키버튼이 선택적으로 일부만 발광할 수 있도록 기능한다.Next, a circuit configuration of a keyboar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As shown in Fig. 6, the keyboar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verter 40 for supplying power to the EL sheet, switching elements SW1, SW2, SW3, SW4, a transparent electrode 12 functioning as a common electrode, and It consists of several back electrode 15a, 15b, 15c, 15d. Specifically, the inverter 40 applies power to the EL sheet in accordance with an external signal.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EL-"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transparent electrode 12 of the EL sheet, and the "EL +" terminal is the rear side. It is connected to the electrodes 15a, 15b, 15c, and 15d so that the fluorescent layer therein emits light by these electrodes. That is, the transparent electrode 12 is used as a common electrode, and the back electrode 15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luorescent layer 13 which is separated and formed according to the positions of English / Korean or numbers / symbols as described above. Accordingly, the fluorescent layers 13a to 13d selectively emit light by the switching elements SW1, SW2, SW3, and SW4 connected to the inverter 40.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for example, a control device such as a microcomputer is connected to the inverter and mounted inside the keyboard. When the user presses a selection button on the keyboard such as the "Korean / English" conversion key or the "Shift" key, the microcomputer controls the switching element accordingly so that only part of the back electrode is supplied with power, so that each key button selectively emits only a part of it. Function to do it.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키보드를 구현한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7(a)는 키보드 좌판 중 영문을 선택한 경우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영문자와 숫자키 부분만 발광하는 상태를 도시한다. 다음으로, 도 7(b)는 키보드 좌판 중 한글을 선택한 경우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국문자와 숫자키 부분만 발광하는 상태를 도시한다. 또한, 도 7(c)는 도 7(b)의 상태에서 "Shift" 키를 누른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써, 한글문자는 경음 부분이 발광되고 숫자 대신 특수기호가 발광되는 상태를 도시한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implementing a keyboar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FIG. 7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the English is selected from the keyboard seat, and shows a state in which only the English letter and the numeric key part emit light. Next, FIG. 7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Korean is selected from the keyboard seat, and shows a state in which only Korean letters and numeric keys are emitted. In addition, Figure 7 (c)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hift" key is pressed in the state of Figure 7 (b), the Hangul characters show the state in which the light portion is emitted and special symbols instead of numbers.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EL 시트를 이용한 키보드의 구성 및 제조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 실시예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오직 뒤에서 설명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The configura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keyboard using the EL sheet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However,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only by the claims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도 1은 종래의 EL 시트를 이용한 키보드의 외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appearance of a keyboard using a conventional EL sheet.

도 2는 도 1의 A-A 단면을 취한 단면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키보드의 단면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3 is a diagram showing a cross-sectional structure of a keyboar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키보드 중 하나의 키버튼의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4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one key button of the keyboard shown in FIG.

도 5는 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키보드의 EL 시트를 제작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선도이다.5 is a flow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manufacturing an EL sheet of a keyboar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키보드의 회로 구성을 도시한다.6 shows a circuit configuration of a keyboar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키보드를 구현한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7 (a) to 7 (c) are diagrams showing an example of implementing a keyboar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0)

복수의 키버튼과, 상기 복수의 키버튼이 장착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형성되는 EL 시트와 상기 EL 전극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인버터를 포함하고,A plurality of key buttons, a case to which the plurality of key buttons are mounted, an EL sheet formed inside the case, and an inverter to supply power to the EL electrodes, 상기 EL 시트는:The EL sheet is: 베이스 필름과, With base film, 상기 베이스 필름층 위에 형성된 투명 전극과, A transparent electrode formed on the base film layer; 상기 투명 전극 위에 형성되고 각각의 키버튼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하여 분리되어 형성된 복수의 형광층과, A plurality of fluorescent layers formed on the transparent electrode and separated from at least a portion of each key button; 상기 형광층 위에 형성되는 유전층 및 상기 형광층과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유전층 위에 형성되는 복수의 배면 전극A dielectric layer formed on the fluorescent layer and a plurality of back electrodes formed on the dielectric layer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fluorescent layer;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L 시트를 이용한 키보드.Keyboard using an EL shee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EL 시트는 상기 복수의 배면 전극 위에 형성되는 보호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L 시트를 이용한 키보드.The keyboard using an EL shee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said EL sheet further includes a protective layer formed on said plurality of back electrode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는 상기 복수의 배면 전극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스위칭 소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L 시트를 이용한 키보드.The keyboard using an EL shee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said keyboard further comprises a switching element for controlling power supplied to said plurality of back electrodes. 제 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전극은 ITO 전극 또는 IZO 전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EL 시트를 이용한 키보드.The keyboard using an EL sheet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transparent electrode is an ITO electrode or an IZO electrode. 제 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필름은 PET, PEN 및 PC 필름 중의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EL 시트를 이용한 키보드.The keyboard using an EL sheet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base film is at least one of PET, PEN, and PC films. 제 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층은 적어도 하나의 색소가 혼합된 컬러 형광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EL 시트를 이용한 키보드.The keyboard using an EL sheet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fluorescent layer is a color fluorescent layer in which at least one pigment is mixed. 제 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에 장착된 복수의 키버튼은 자음 또는 모음, 문자의 종류 또는 키버튼의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색깔로 발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L 시트를 이용한 키보드.The EL sheet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plurality of key buttons mounted on the keyboard emit light of different colors according to consonants or vowels, types of characters, or positions of the key buttons. Keyboard used. 복수의 키버튼과, 상기 복수의 키버튼이 장착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형성되는 EL 시트와 상기 EL 전극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인버터를 포함하는 EL 시트를 이용한 키보드의 제조방법으로써, 상기 EL 시트는:A method of manufacturing a keyboard using an EL sheet including a plurality of key buttons, a case in which the plurality of key buttons are mounted, an EL sheet formed inside the case, and an inverter for supplying power to the EL electrode. Sheet is: 베이스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Forming a base film; 상기 베이스 필름 위에 투명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Forming a transparent electrode on the base film; 상기 투명 전극 위에 복수의 형광층을 각각의 키버튼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하여 분리하여 형성하는 단계;Separating and forming a plurality of fluorescent layers on at least some of each key button on the transparent electrode; 상기 복수의 형광층 위에 유전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Forming a dielectric layer on the plurality of fluorescent layers; And 상기 유전층 위에 상기 복수의 형광층과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의 배면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L 시트를 이용한 키보드의 제조 방법.And forming a plurality of back electrodes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fluorescent layers on the dielectric layer.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복수의 배면 전극 위에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L 시트를 이용한 키보드의 제조 방법.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keyboard using an EL sheet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method further comprises forming a protective layer on the plurality of back electrodes. 제 8항 또는 9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필름의 아래에 보조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L 시트를 이용한 키보드의 제조 방법.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keyboard using an EL sheet according to claim 8 or 9, further comprising forming an auxiliary film under the base film.
KR1020070104833A 2007-10-18 2007-10-18 Keyboard using el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keyboard using el sheet KR2009003928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4833A KR20090039286A (en) 2007-10-18 2007-10-18 Keyboard using el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keyboard using el she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4833A KR20090039286A (en) 2007-10-18 2007-10-18 Keyboard using el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keyboard using el shee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9286A true KR20090039286A (en) 2009-04-22

Family

ID=40763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4833A KR20090039286A (en) 2007-10-18 2007-10-18 Keyboard using el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keyboard using el she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39286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86737B2 (en) Dynamically controlled keyboard
KR100482993B1 (en) Integration of organic light-emitting components into the keyboard of an electronic device
US6773128B2 (en) Low power, low cost illuminated keyboards and keypads
CN1738328B (en) Keyboard of portable terminal device
JP2004514197A (en) Arrangements for integrating key lighting into key mats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20120098751A1 (en) Illuminated computer input device
US20140132539A1 (en) Touch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of touch display device
JP2008518272A (en) Multimode flat panel flash sign
US20060044279A1 (en) Input device and mobile phone using the same
US6764191B2 (en) Illumination type keyboard
US20100252405A1 (en) Electronic device having a polymer light emitting module
KR20090066364A (en) Lighting keyboard selecting multi-character
KR20090039286A (en) Keyboard using el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keyboard using el sheet
CN201903839U (en) Luminescent keyboard structure
TWM363641U (en) Capacitive touch input device
KR100801973B1 (en) El sheet for multi-light emitting and el keypad using the same
US20020145591A1 (en) Lighting unit and light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nit
KR100856440B1 (en) EL sheet for Multi-light emitting and EL keypad using the same
JP2009076293A (en) Key input device
KR200457688Y1 (en) Key pad assembly for cellular phone having PDLC film
TWI398794B (en) An electrical device with pleds
US8540384B2 (en) Low power low cost illuminated keyboards and keypads
KR200426230Y1 (en) Light Emitting Keypad
KR100828019B1 (en) Multi- driving el sheet for daylight visualbility and key pad using the same
KR20030079885A (en) keyboard skin composed with luminous EL or LED patch to select alternative charac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