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9998A -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ementing policy of policy-based management framework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ementing policy of policy-based management framewor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9998A
KR20090029998A KR1020070095260A KR20070095260A KR20090029998A KR 20090029998 A KR20090029998 A KR 20090029998A KR 1020070095260 A KR1020070095260 A KR 1020070095260A KR 20070095260 A KR20070095260 A KR 20070095260A KR 20090029998 A KR20090029998 A KR 200900299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standby mode
user
information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526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912536B1 (en
Inventor
최창식
박완기
한인탁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700952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2536B1/en
Publication of KR200900299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999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25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253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5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ine communication networks, e.g. low power modes or reduced link 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a home network apparatus based on a network protocol are provided to enable the home network apparatuses to automatically operate at a power saving mode while maintaining service connectivity without manual setting of a user, thereby maximally reducing power consumption due to an increasing number of home network apparatuses. A home network apparatus based on a network protocol comprises a system power control processing module(100), a system standby mode determining module(200), and a network protocol agent control module(300). The system power control processing module controls power of the home network apparatus by converting the home network apparatus into a standby state. The system standby mode determining module analyzes a network packet from a network interface. When a user packet or a user service does not exist, the system standby mode determining module determines a standby mode converting time point of the home network apparatus. And the system standby mode determining module notifies the system power control processing module of the standby mode converting time point.

Description

네트워크 프로토콜 기반에서 홈 네트워크 기기의 소비전력 절감 방법 및 그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ementing Policy of Policy-Based Management Framework}Method and device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home network devices based on network protocols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ement Policy of Policy-Based Management Framework}

본 발명은 네트워크 프로토콜 기반에서 홈 네트워크 기기의 소비전력 절감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기반의 홈네트워크 환경에서 사용자가 해당 홈네트워크 기기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 설정 정보, 실행중인 서비스 상태, 네트워크 트래픽 정보 등을 분석하여 대기모드로 전환시켜 소비전력 소모를 최소화시키는 네트워크 프로토콜 기반에서 홈 네트워크 기기의 소비전력 절감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a home network device based on a network protocol. In particular, when a user does not use the home network device based on a network protocol, user setting information and a running service are provid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a home network device based on a network protocol for minimizing power consumption by analyzing state, network traffic information, and switching to standby mode.

본 발명은 정보통신부 및 정보통신연구진흥원의 IT신성장동력핵심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2007-S-009-01, 과제명: Always-On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소비전력 절감 플랫폼 기술개발].The present invention is derived from the research conducted as part of the IT new growth engine core technology development project of the Ministry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and the Ministry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Task Management Number: 2007-S-009-01, Title: Always-On Home Network System Technology development of low power consumption platform].

현재 고속의 가입자망 보급과 함께 홈네트워크 서비스의 발달로 인해서 가정 내 홈네트워크 기기의 종류와 사용이 늘어나고 있으며, 이로 인해 각 가정의 소비전력 소모에 있어 홈네트워크 기기의 비중이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 With the rapid spread of subscriber networks and the development of home network services, the types and use of home network devices in the homes are increasing. As a result, the proportion of home network devices in the power consumption of each home is increasing.

또한, 고유가 및 환경오염에 대비하여 국가적으로 에너지 절약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산업계 전반에 에너지 절감형 기술이 활발히 개발되고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prepare for high oil prices and environmental pollution, the importance of energy saving is rising nationwide, and energy-saving technologies are actively being developed throughout the industry.

특히,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과 함께 다양한 정보통신 기기들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들의 전력 소비량이 차지하는 비중이 증가하고 있다. 이를 대비하여 에너지 절약을 위한 많은 연구들이 모니터, 프린터, 개인용 컴퓨터, 휴대폰 등의 정보통신 기기를 대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In particular,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various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s are being used, and the proportion of their power consumption is increasing. In order to prepare for this, many studies for saving energy are being conducted 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monitors, printers, personal computers, and mobile phones.

휴대폰 및 노트북 컴퓨터 등의 이동 환경에서 사용되는 기기들은 LCD 화면과 배터리에 대해서 다양한 절전 기술들이 적용되고 있으며, 개인용 컴퓨터의 경우에는 각 부품별로 독자적으로 개발되어 온 절전 기술들이 ACPI 업체 표준으로 통합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들은 모두 특정 부품들이 사용되지 않는 동안에 대기 상태로 전환시키거나 기기의 성능을 떨어뜨려 소비 전력을 최소화하고 있다. 즉, 부품에 인가되는 전원을 이중화하여 대기 상태일 때는 최소한의 전원을 공급하거나, 메인 클럭(Main Clock)을 낮추어 해당 부품의 동작을 저성능으로 운용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한다.Devices used in mobile environments such as mobile phones and notebook computers are applying various power saving technologies for LCD screens and batteries.In the case of personal computers, power saving technologies that have been independently developed for each component are being integrated into ACPI company standards. . All of these technologies minimize power consumption by putting the device into standby while the part is not in use or reducing the device's performance. In other words, the power applied to the component is redundantly supplied when the standby state is supplied, or the main clock is lowered to operate the component at low performance.

또한, 이러한 절전 기능들은 대부분의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거나 개인 사용자 입력이 지정된 시간 동안에 발생하지 않는 경우 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In addition, these power saving functions are set when most users are set or when personal user input does not occur for a specified time.

그런데, 이와 같은 절전 기능들은 단순히 사용자가 특정 기간 동안 입력 조건을 발생하지 않으면 특정 기능을 비활성화시키는 방식으로 개발됨에 따라, 홈네트워크 기기에서보다는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휴대폰, 프린터 등의 단말기 성격이 강한 개인 장비 위주로 적용되어 있다. 그리고, 홈네트워크 서비스를 고려하지 않은 상기 절전 기술들은, 홈네트워크 환경에 적용하는 경우 절전 기능 동작 중에 네트워크 관련 서비스가 수행되지 못하도록 하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However, such power saving functions are developed by simply deactivating a specific function if a user does not generate an input condition for a specific period of time, and thus, a personal computer, laptop, mobile phone, printer, etc. having a strong personality than a home network device is used. Applied mainly on equipment. In addition, the power saving techniques that do not consider home network services have a limitation that prevents network related services from being performed during a power saving function when applied to a home network environment.

즉, 홈네트워크 환경에서는 사용자 또는 서비스 발생이 지속적이며, 가정 내에서 서비스를 여러 구성원이 이용하므로 일괄적으로 대기모드로 전화시키기가 힘들며, 특정 사용자가 임의로 홈서버, 홈게이트웨이 등의 공용 장비의 전원을 차단 또는 대기모드로 설정하기가 어렵다.In other words, in the home network environment, users or services are continuously generated, and it is difficult to call a standby mode collectively because several members use the service in the home, and a specific user arbitrarily selects a power source of public equipment such as a home server or a home gateway. Is difficult to block or set to standby mode.

따라서, 홈네트워크 환경에서는 네트워크 트래픽 및 서비스와 사용자 환경을 모두 고려하여 홈네트워크 기기에 대한 대기모드 자동 전환을 수행하는 기술이 필수적인 실정이다.Therefore, in a home network environment, a technology for automatically switching a standby mode for a home network device is essential in consideration of both network traffic, a service, and a user environment.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홈네트워크 환경에서 네트워크 트래픽 및 서비스와 사용자 환경을 고려한 소비전력 절감형 홈네트워크 기기를 구현하기 위한 네트워크 프로토콜 기반에서 홈 네트워크 기기의 소비전력 절감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a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a home network device based on a network protocol for implementing a power consumption-saving home network device in consideration of network traffic, service and user environment in a home network environment; To provide the devic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프로토콜 기반에서의 홈 네트워크 기기는, 시스템 컨텍스트를 추출, 저장 및 복구하고 해당 홈네트워크 기기를 대기 상태로 전원 제어하는 시스템 전력 제어 처리 모듈; 네트워크 및 응용 서비스로부터 네트워크 구성정보와 세션정보를 추출하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로부터의 네트워크 패킷을 분석하여, 사용자 패킷 또는 사용 서비스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해당 홈네트워크 기기의 대기모드 전환 시점을 결정하여 상기 시스템 전력 제어 처리 모듈에 알리는 시스템 대기모드 결정 모듈;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로부터 수집되는 네트워크 패킷을 상기 시스템 대기모드 결정 모듈에 제공하며, 대기 상태에서 상기 네트워크 구성정보 및 세션정보를 바탕으로 네트워크 프로토콜 에이전트에 대한 네트워크 및 서비스 연결성을 보장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생성, 삭제 및 변경하는 네트워크 프로토콜 에이전트 제어 모듈을 포함한다.A home network device based on a network protoc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system power control process for extracting, storing, and restoring a system context and controlling power to the home network device in a standby state. module; The system power control is performed by extracting network configuration information and session information from network and application services and analyzing network packets from a network interface to determine when to switch the standby mode of the corresponding home network device when a user packet or a service is not present. A system standby mode determining module informing the processing module; Provides network packets collected from a network interface to the system standby mode determination module, and generates and deletes control information to ensure network and service connectivity for a network protocol agent based on the network configuration information and session information in a standby state. And a network protocol agent control module for changing.

상기 시스템 전력 제어 처리 모듈은, 운영체제, 네트워크 및 응용 서비스의 프로세스 구성 및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컨텍스트 정보를 추출하는 프로세서 컨텍스트 검출부; 해당 홈네트워크 기기내의 디바이스들로부터 하드웨어 설정 정보를 추출하는 하드웨어 컨택스트 검출부; 상기 프로세서 및 하드웨어 컨텍스트로부터 대기모드 변환시 필요한 시스템 컨텍스트를 추출하고, 해당 정보를 저장 가능 매체에 저장하는 시스템 컨텍스트 저장부; 상기 시스템 대기모드 결정 모듈를 통해 해당 홈네트워크 기기의 대기모드 전환 시점이 결정되면, 상기 네트워크 프로토콜 에 이전트를 능동 상태로 동작시켜 대기모드를 활성화시키는 대기모드 활성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ystem power control processing module may include a processor context detector configured to extract context information based on process configuration and state information of an operating system, a network, and an application service; A hardware context detector for extracting hardware configuration information from devices in the home network device; A system context storage unit configured to extract a system context required for the standby mode conversion from the processor and the hardware context and to store corresponding information in a storage medium; And a standby mode activation control unit for activating the standby mode by operating the network protocol agent in an active state when the home network device is determined to switch to the standby mode through the system standby mode determination module.

상기 시스템 대기모드 결정 모듈은,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가 사용자에 의해서 설정되어 있는 경우, 타이머 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지정된 시간이나 사용자 입력이 발생되지 않는 기 설정된 경과 시간에 따라 대기모드 전환 시점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user profile information is set by the user, the system standby mode determining module determines a time to switch the standby mod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time elapsed by the user or a preset elapsed time when no user input is generated by using a timer method. It features.

상기 시스템 대기모드 결정 모듈은, 네트워크 프로토콜 스택으로부터 네트워크 구성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네트워크 프로토콜 제어 모듈에 제공하는 네트워크 구성정보 추출부; 네트워크 및 응용 서비스로부터 현재 연결 설정된 세션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네트워크 프로토콜 제어 모듈로 제공하고, 현재 수행중인 서비스 정보를 추출하여 대기모드 결정에 활용하는 네트워크 세션정보 추출부; 상기 네트워크 프로토콜 제어 모듈로부터 수집되는 네트워크 패킷과 상기 세션정보, 상기 현재 수행중인 서비스 정보 또는 사용자 프로파일을 파악하여, 사용자 패킷이 전송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 서비스가 수행되지 않는 경우 또는 사용자 설정된 경과 시간동안 사용자 입력과 서비스 사용이 발생되지 않은 경우에 대기모드 전환 시점을 결정하여 상기 시스템 전력 제어 처리 모듈로 알리는 대기모드 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ystem standby mode determination module may include: a network configuration information extraction unit configured to extract network configuration information from a network protocol stack and provide the same to the network protocol control module; A network session information extracting unit extracting session information currently connected from a network and an application service and providing the same to the network protocol control module, and extracting service information currently being used to determine a standby mode; If the network packet collected from the network protocol control module and the session information, the current service information or the user profile is grasped, the user packet is not transmitted, the user service is not performed, or the user for a set elapsed time. And a standby mode determination unit determining a standby mode switching time when the input and service use are not generated and informing the system power control processing module.

상기 시스템 대기모드 결정 모듈은, 상기 네트워크 프로토콜 에이전트 제어 모듈을 통해 수집되는 네트워크 패킷을 분석한 결과 사용자 패킷이 전송되지 않고 제어 패킷만이 전송되는 경우, 사용자 패킷 미전송 로그를 갱신하고, 상기 추출된 세션정보 및 상기 갱신된 사용자 패킷 미전송 로그로부터 현재 세션이 대기 상태로 판단되면 대기모드 전환을 상기 시스템 전력 제어 처리 모듈로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ystem standby mode determination module, when the user packet is not transmitted and only the control packet is transmitt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network packet collected through the network protocol agent control module, updates the user packet non-transmission log and extracts the extracted packet.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urrent session is in the standby state from the session information and the updated user packet non-transmission log, notifying the system power control processing module of the standby mode change.

상기 시스템 대기모드 결정 모듈은, 상기 현재 수행중인 서비스 정보를 분석한 결과 사용자가 현재 수행 중인 응용 서비스 목록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서비스 미수행 로그를 갱신하고, 상기 갱신된 서비스 미수행 로그에 따라 서비스가 대기 상태로 판단되면 대기모드 전환을 상기 시스템 전력 제어 처리 모듈로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ystem standby mode determination module updates the service non-execution log when a list of application services currently being performed by the user is not detect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ervice information currently being performed, and the service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updated service non-execution log.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tandby state is characterized in that notifying the system power control processing module to switch the standby mode.

상기 시스템 대기모드 결정 모듈은,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을 분석한 결과 사용자 지정에 따라 기 설정된 시간의 타이머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해당 타이머를 동작시킨 후 상기 타이머가 종료되는 시점에서 사용자 입력 및 서비스 사용 상황을 점검하여 해당 사용자의 정보를 갱신하고, 상기 갱신된 사용자 정보로부터 해당 사용자가 대기 상태로 판단되면 대기모드 전환을 상기 시스템 전력 제어 처리 모듈로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timer of the preset time is set according to a user designa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user profile, the system standby mode determination module displays a user input and a service usage state at the time when the timer expires after operating the timer. Check and update the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user; and if the user is determined to be in the standby state from the updated user information, notifying the system power control processing module of the standby mode change.

상기 네트워크 프로토콜 에이전트 제어 모듈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로부터 수집되는 네트워크 패킷을 분석하여 제어 패킷 및 사용자 패킷을 추출하는 네트워크 트래픽 특성 검출부; 상기 시스템 대기모드 결정 모듈에 의해 수집된 네트워크 구성정보, 세션정보와 및 상기 네트워크 패킷을 바탕으로 에이전트 제어 정보 데이터를 분석 및 추출하는 에이전트 제어정보 분석부; 상기 에이전트 제어정보 분석부로부터 추출되는 상기 에이전트 제어 정보 데이터를 바탕으로 추가, 삭제 및 변경 되는 제어정보 데이터를 관리하는 에이전트 제어정보 갱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network protocol agent control module may include: a network traffic characteristic detection unit configured to extract a control packet and a user packet by analyzing network packets collected from a network interface; An agent control information analyzer configured to analyze and extract agent control information data based on network configuration information, session information and the network packet collected by the system standby mode determination module; And an agent control information updater configured to manage control information data added, deleted, and changed based on the agent control information data extracted from the agent control information analyze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네트워크 프로토콜 기반에서 홈 네트워크 기기의 소비전력 절감 방법은, 물리적 오프 상태에서 하드 부팅 상태로 전환하는 경우, 프로토콜 에이전트 제어 정보 설정하는 단계; 응용 프로그램이 수행되는 시스템 동작 상태로 진입하는 경우, 기 설정된 주기에 따라 네트워크 패킷, 네트워크 구성정보 및 세션정보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상기 프로토콜 에이전트 제어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 상기 시스템 동작 상태에서 사용자 패킷 또는 사용 서비스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대기모드 전환을 결정하여, 시스템 컨텍스트를 저장하고 프로토콜 에이전트를 능동 상태로 활성화시킨 후 상기 대기모드로 진입하는 단계; 상기 대기모드 중, 사용자 데이터 및 서비스 사용 요구가 입력되면 상기 컨텍스트를 복구하고 상기 프로토콜 에이전트를 수동 상태로 변환시킨 후, 상기 대기모드를 동작 상태로 변환하는 소프트 부팅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a home network device based on a network protocol may include: setting protocol agent control information when switching from a physical off state to a hard boot state; Analyzing a network packet, network configuration information, and sess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 preset period when the application enters a system operation state in which an application program is performed, and updating the protocol agent control information based on the analysis; Determining to switch to standby mod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user packet or use service in the system operating state, storing a system context, activating a protocol agent in an active state, and entering the standby mode; And a soft booting step of recovering the context, converting the protocol agent to a passive state, and converting the standby mode to an operational state when a user data and service use request is input during the standby mode.

상기 시스템 동작 상태에서 사용자 패킷 및 사용 서비스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대기모드 전환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패킷을 분석한 결과 사용자 패킷이 전송되지 않고 제어 패킷만이 전송되는 경우, 사용자 패킷 미전송 로그를 갱신하는 단계; 응용 서비스로부터 서비스 정보를 분석한 결과 사용자가 현재 수행 중인 응용 서비스 목록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서비스 미수행 로그 를 갱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패킷 미전송 로그 또는 서비스 미수행 로그에 따라 세션 및 서비스가 대기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대기모드 전환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ystem operation stat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packet and the service are not present, the determining of the standby mode switching may include determining that the user packet is not transmitted and only a control packet is transmitt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network packet. Updating the unsent log; Updating a service non-execution log when a list of application services currently performed by a user is not detected as a result of analyzing service information from the application service; And determining the standby mode switch when the session and the service are determined to be in the standby state according to the user packet non-transmission log or the service non-performance log.

바람직하게 상기 네트워크 프로토콜 기반에서 홈 네트워크 기기의 소비전력 절감 방법은, 상기 시스템 동작 상태에서 사용자 프로파일을 분석한 결과, 사용자 지정에 따라 기 설정된 시간의 타이머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해당 타이머를 동작시키는 단계; 상기 타이머가 종료되는 시점에서 사용자 입력 및 서비스 사용 상황을 점검하여 해당 사용자의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 상기 갱신된 사용자 정보로부터 해당 사용자가 대기 상태로 판단되면 대기모드 전환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a home network device based on the network protocol comprises: operating a timer when a timer having a preset time is set according to a user designa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a user profile in the system operation state; ; Checking the user input and the service usage status at the time when the timer expires and updating the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user;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determining a standby mode switch when the corresponding user is determined to be in the standby state from the updated user information.

상기 대기모드를 동작 상태로 변환하는 소프트 부팅 단계는, 하드 부팅 상태를 거치지 않고 시스템 동작 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oft booting step of converting the standby mode into an operating state is characterized by switching to a system operating state without undergoing a hard booting state.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프로토콜 기반에서 홈 네트워크 기기의 소비전력 절감 방법 및 그 장치는, 홈네트워크 서비스 및 패킷을 분석하여 가정내의 다양한 사용자가 실질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기간 동안 해당 기기를 대기모드로 전환하며, 제어 패킷이 아닌 실사용자 패킷 송수신이 필요한 경우 다시 정상 모드로 복구함에 따라, 장기 운용중인 홈네트워크 기기들이 사용자의 수동적인 설정 없이 서비스 연결성을 유지하면서 자동적으로 절전 모드를 운용하도록 하여, 급증하는 홈네트워크 기기들로 인한 전력 소모를 최대한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The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a home network device based on the network protoc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nalyzes the home network service and the packet, and standbys the device for a period during which the various users in the home are not actually used. If it is necessary to send / receive the real user packet instead of the control packet, it returns to the normal mode, so that the home network devices in the long run automatically operate the power saving mode while maintaining the service connection without manual setting of the user. It has the effect of minimizing the power consumption caused by the rapidly increasing home network device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n describing in detail the operating principle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parts having similar functions and functions throughout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홈네트워크 기기의 일반적인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general hardware configuration of a home network devic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홈네트워크 기기는 디바이스 모듈 제어부, 메인 메모리 제어부(11), 컨텍스트 저장부(12), 중앙처리장치부(14), 전력제어 모듈(15), 네트워크 프로토콜 에이전트(16)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각 구성요소들이 파워 시스템 버스를 통해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한다. Referring to FIG. 1, a typical home network device includes a device module controller, a main memory controller 11, a context storage unit 12, a central processing unit 14, a power control module 15, a network protocol agent 16, and the like.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network interface 17, each of the components to operate in conjunction with the power system bus.

여기서, 중앙처리장치부(14)는 CPU를 기반으로 하여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디바이스 모듈 제어부, 메인 메모리 제어부(11)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7)는 일반적인 컴퓨팅 기기들에 포함되는 구성요소로 각 디바이스 및 메모리를 제어하며 네트워크와의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한다.Here, the CPU 14 performs a function of controlling each component based on the CPU, and the device module controller, the main memory controller 11 and the network interface 17 are included in general computing devices. Element controls each device and memory and performs interface function with network.

한편, 전력 제어 모듈(15), 컨텍스트 저장부(12) 및 네트워크 프로토콜 에이전트(16)는 본 발명이 적용되기 위해 추가적으로 구성되어야 하는 하드웨어 구성 요소이다. 이 중, 전력 제어 모듈(15)는 홈네트워크 기기를 구성하는 다수의 하드웨어 부품들에 대해 전원 회로를 구성 및 제어하는 모듈로서, 대기 상태에서는 네트워크 프로토콜 에이전트(16)를 제외한 대부분의 회로에 전원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Meanwhile, the power control module 15, the context storage unit 12, and the network protocol agent 16 are hardware components that must be additionally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to be applied. Among these, the power control module 15 is a module for configuring and controlling a power circuit for a plurality of hardware components constituting a home network device. In the standby state, the power control module 15 supplies power to most circuits except the network protocol agent 16. It performs the function of blocking.

그리고, 컨텍스트 저장부(12)는 기기가 정상적으로 운용시 수행되던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수행에 사용되는 여러가지 환경 변수, 스택 정보, 프로그램 수행 위치, 하드웨어 레지스터 설정값 등의 컨텍스트를 비휘발성 매체에 저장시키는 모듈로서 하드디스크 드라이버, 플래시 메모리, 또는 리플레쉬 전원 공급 상태의 메모리 등이 이에 해당한다. 이와 같은 컨텍스트 저장부(12)는, 홈네트워크 기기가 대기 상태에서 정상 상태로 복구 시에 수행하는 부팅 절차에 따라 소요되는 전환 시간을 감소시켜 서비스 품질이 유지되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context storage unit 12 is a module for storing a context such as hardware that was normally performed when the device was normally operated, various environment variables used for executing software, stack information, a program execution position, and a hardware register setting value in a nonvolatile medium. This may include a hard disk drive, a flash memory, or a memory in a refresh power supply state. The context storage unit 12 maintains the quality of service by reducing the switching time required by the booting procedure performed when the home network device recovers from the standby state to the normal state.

마지막으로 네트워크 프로토콜 에이전트(16)는 홈네트워크 기기가 대기모드로 전환 시에 서비스 연결성 유지에 필요한 네트워크 제어 메시지를 처리하거나, 기기별로 정상 모드 전환 요구 입력 등을 처리하는 모듈로, 정상 모드 전환이 필요한 지를 판단하는 기능을 더하여 수행한다.Finally, the network protocol agent 16 is a module that processes network control messages necessary to maintain service connectivity when the home network device switches to the standby mode, or processes a normal mode switch request input for each device. In addition to the function to determine the performance.

한편, 본 발명은 전술된 구성 요소들을 제어하여 홈네트워크 기기를 정상 모드로 동작시키거나, 홈네트워크 기기가 실사용되지 않는 경우의 소비전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컨텍스트를 저장하고 대기모드로 전환시키며, 네트워크 프로토콜 에이전트(16)를 제어하여 동작토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to operate the home network device in the normal mode, or to save the context and switch to the standby mode in order to minimize the power consumption when the home network device is not actually used, the network The protocol agent 16 is controlled to operate.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홈네트워크 기기를 나타낸 구성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home networ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홈네트워크 기기는 시스템 전력 제어 모듈(100), 시스템 대기모드 결정 모듈(200) 및 네트워크 프로토콜 에이전트 제어 모듈(300)의 세가지 핵심 제어 모듈이 컨텍스트 저장부(12), 전력제어부, 네트워크 프로토콜 에이전트(16),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7) 등의 기기 구성요소, 운영체제, 네트워크 및 응용 서비스와 상호 연동되어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in the home networ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ree key control modules of the system power control module 100, the system standby mode determination module 200, and the network protocol agent control module 300 may include a context storage unit 12. ), The power control unit, the network protocol agent 16, the network interface 17, such as device components, operating systems, networks and application services can be configured to interoperate with each other.

여기서, 시스템 전력 제어 모듈(100), 시스템 대기모드 결정 모듈(200) 및 네트워크 프로토콜 에이전트 제어 모듈(300)의 핵심 제어 모듈은 해당 홈네트워크 기기의 디바이스 드라이버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Here, the core control module of the system power control module 100, the system standby mode determination module 200, and the network protocol agent control module 300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device driver of a corresponding home network device.

이와 같은 홈네트워크 기기에서 각 핵심 제어 모듈에 대해 살펴보면, 우선 시스템 전력 제어 처리 모듈(100)은 대기모드와 정상 모드간의 전환에 필요한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로서, 운영체제(20)와 정합되어 해당 기기의 전원을 온 또는 오프(On or Off) 시키거나 필요한 컨텍스트 정보를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전력 제어 모듈(15)를 제어하여 실제로 기기의 각 디바이스 하드웨어에 대한 전원을 관 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시스템 전력 제어 처리 모듈(100)은 모드 전환시에 필요한 컨텍스트 정보들을 컨텍스트 저장부(12)에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Referring to each core control module in such a home network device, first, the system power control processing module 100 is a module that performs a function necessary for switching between a standby mode and a normal mode, and is matched with an operating system 20 to determine a corresponding device. It performs a function of turning on or off the power or extracting necessary context information, and controls the power control module 15 to actually manage power of each device hardware of the device. In addition, the system power control processing module 100 performs a function of storing context information necessary for mode switching in the context storage unit 12.

시스템 대기모드 결정 모듈(200)은 해당 홈네트워크 기기가 대기모드로 전환해야 하는 시점을 결정하는 모듈로서, 네트워크 및 응용 서비스(30)로부터 수행중인 네트워크 관련 서비스 및 사용자 응용 서비스 수행 정보를 분석하여 현재 실사용자가 사용 중인 서비스 목록을 감시하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7)로부터 네트워크 관련 패킷을 검출 및 분석하여 실사용자 패킷이 아닌 제어 패킷만을 전송하는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system standby mode determination module 200 is a module that determines when the corresponding home network device should switch to the standby mode. The system standby mode determination module 200 analyzes network-related service and user application service performance information currently being executed from the network and application service 30. It monitors the list of services being used by the real user, and detects and analyzes network-related packets from the network interface 17 to determine whether only the control packet is transmitted, not the real user packet.

그리고, 시스템 대기모드 결정 모듈(200)은 상기 분석되는 정보들로부터 사용자가 실제로 기기를 이용하지 않는 기간 동안 해당 홈네트워크 기기를 대기모드로 전환하는 결정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system standby mode determination module 200 determines from the analyzed information to switch the home network device to the standby mode during a period in which the user does not actually use the device.

네트워크 프로토콜 에이전트 제어 모듈(300)은 네트워크 프로토콜 에이전트(16)의 디바이스 드라이버 역할을 수행하며, 대기모드 상태에서 네트워크 프로토콜 에이전트(16) 기능 수행에 요구되는 제어 패킷 생성 정보를 구축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를 위해서 네트워크 프로토콜 에이전트 제어 모듈(300)은 해당 홈네트워크 기기의 네트워크 구성정보 및 네트워크 관련 응용 서비스 정보 등을 분석하여 제어 패킷 생성 테이블 데이터를 구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network protocol agent control module 300 plays a role of a device driver of the network protocol agent 16 and builds control packet generation information required for performing the network protocol agent 16 function in the standby mode. To this end, the network protocol agent control module 300 analyzes network configuration information and network-related application service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home network device and performs a function of constructing control packet generation table data.

다음으로,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홈네트워크 기기의 각 핵심 제어 모듈의 구성 동작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Next, the configuration operation of each core control module of the home network device which performs such a func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홈네트워크 기기의 시스템 전력 제어 모듈을 나타낸 구성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ystem power control module of a home networ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홈네트워크 기기에서 대기모드 전환 기능을 담당하는 시스템 전력 제어 모듈(100)은, 프로세서 컨텍스트 검출부(110), 시스템 컨텍스트 저장부(120), 대기모드 활성화 제어부(130) 및 하드웨어 컨텍스트 검출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system power control module 100 that is in charge of a standby mode switching function in a home network device includes a processor context detector 110, a system context storage unit 120, a standby mode activation controller 130, and hardware.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context detector 140.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시스템 전력 제어 모듈(100)에서 프로세서 컨텍스트 검출부(110)는, 운영체제(20)와 네트워크 및 응용 서비스(30)로부터 실행중인 프로세스들의 컨텍스트 정보를 추출 및 분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반해 하드웨어 컨텍스트 검출부(140)는 홈네트워크 기기에 장착된 디바이스들의 레지스터 정보 값들을 추출하여 정상 모드 복구시에 필요한 컨텍스트 정보를 분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In the system power control module 100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 processor context detection unit 110 performs a function of extracting and analyzing context information of processes running from the operating system 20 and the network and application service 30. On the contrary, the hardware context detector 140 extracts register information values of devices installed in the home network device and analyzes context information necessary for normal mode recovery.

시스템 컨텍스트 저장부(120)는 상기 프로세서 컨텍스트 검출부(110)와 하드웨어 컨텍스트 검출부(140)에 의해 분석된 프로세서 및 하드웨어 컨텍스트 값들을 비휘발성 저장매체인 컨텍스트 저장부(12)에 기록하는 기능을 수행하여, 해당 컨텍스트 값들이 대기모드에서 정상 모드로 전환시에 활용되도록 한다. The system context storage unit 120 records the processor and hardware context values analyzed by the processor context detection unit 110 and the hardware context detection unit 140 in the context storage unit 12 that is a nonvolatile storage medium. Therefore, the relevant context values are used when switching from the standby mode to the normal mode.

그리고, 대기모드 활성화 제어부(130)는 홈네트워크 기기가 대기모드로 진입시에 서비스 연결성 및 동작 모드 전환 기능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프로토콜 에이전트(16)를 능동 상태로 동작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In addition, the standby mode activation controller 130 operates the network protocol agent 16 that performs a service connectivity and an operation mode switching function in an active state when the home network device enters the standby mode.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홈네트워크 기기의 시스템 대기모드 결정 모듈(200)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standby mode determination module 200 of a home networ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홈네트워크 기기의 시스템 대기모드 결정 모듈(200)은, 네트워크 구성정보 추출부(210), 네트워크 세션정보 추출부(220) 및 대기모드 결정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system standby mode determination module 200 of the home network device may include a network configuration information extractor 210, a network session information extractor 220, and a standby mode determiner 230. Can be.

이와 같은 시스템 대기모드 결정 모듈(200)에서 네트워크 구성정보 추출부(210)는 네트워크 프로토콜 스택(40)으로부터 네트워크 구성정보를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추출되는 네트워크 구성정보는 일예로, 네트워크가 TCP/IP 프로토콜로 구성되는 경우에 IP 주소, MAC 주소, 라우팅 정보 등이 된다. In the system standby mode determination module 200, the network configuration information extractor 210 performs a function of extracting network configuration information from the network protocol stack 40. Here, the extracted network configuration information may be, for example, an IP address, a MAC address, routing information, etc. when the network is configured with the TCP / IP protocol.

네트워크 세션정보 추출부(220)는 네트워크 및 응용 서비스(30)로부터 연결성을 가지는 네트워크 세션정보를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추출되는 세션정보는 TCP 세션, HTTP 세션 등으로 응용 서비스 관점에서 엔드투엔드(End-To-End) 간 설정된 세션 설정에 필요한 값들이 해당된다. 또한, 네트워크 세션정보 추출부(220)는 네트워크 및 응용 서비스(30)로부터 수행중인 네트워크 관련 서비스 및 사용자 응용 서비스 수행 정보를 분석하여 후술되는 대기모드 결정부(230)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network session information extraction unit 220 performs a function of extracting network session information having connectivity from the network and the application service 30, and the extracted session information is a TCP session, an HTTP session, etc. from an end-to-end point of view of an application service. Values necessary for session setup between (End-To-End) are applicable. In addition, the network session information extractor 220 analyzes network related service and user application service performance information being performed from the network and application service 30 and provides the function to the standby mode determiner 230 described later.

한편, 네트워크 구성정보 추출부(210)와 네트워크 세션정보 추출부(220)는 각각이 추출한 네트워크 구성정보와 세션정보들을 네트워크 프로토콜 에이전트 제어 모듈(300)에 제공한다. Meanwhile, the network configuration information extractor 210 and the network session information extractor 220 provide the network configuration information and session information extracted by the network protocol agent control module 300 to each other.

대기모드 결정부(230)는 네트워크 및 응용 서비스로부터 추출되는 세션정보 와 네트워크 프로토콜 에이전트 제어 모듈(300)을 통해 수집되는 네트워크 패킷 정보를 바탕으로 실사용자 패킷의 사용 내역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따라 제어 패킷만이 이용되는 경우를 파악하여 해당 기기의 대기모드 전환 시점을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standby mode determiner 230 analyzes the usage history of the real user packet based on the session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network and the application service and the network packet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network protocol agent control module 300 and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It determines the case where only the control packet is used to determine the time to switch the standby mode of the device.

그리고, 대기모드 결정부(230)는 네트워크 및 응요 서비스로부터 수행중인 네트워크 관련 서비스 및 사용자 응용 서비스 수행 정보를 분석하여 현재 실사용자가 사용 중인 서비스 목록을 감시함으로, 대기모드 전환 시점을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standby mode determiner 230 analyzes network-related services and user application service performance information being performed from the network and the response service, and monitors a list of services currently used by real users, thereby determining a standby time switching time. To perform.

또한, 대기모드 결정부(230)는 사용자 프로파일(40) 정보가 사용자에 의해서 설정되어 있는 경우, 타이머 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지정된 시간이나 사용자 입력이 발생되지 않는 기 설정된 경과 시간에 따라 대기모드 전환 시점을 결정한다.In addition, when the user profile 40 information is set by the user, the standby mode determiner 230 switches the standby mod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time elapsed by the user or a preset elapsed time in which the user input is not generated using the timer method. Determine the time point.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살펴본 바와 같이, 대기모드 결정 모듈의 대기모드 전환 방법은 크게 네트워크 패킷 분서, 응용 서비스 정보 분석 및 사용자 프로파일 분석에 따라 이루어진다.As described through the above configuration, the standby mode switching method of the standby mode determination module is largely performed according to network packet analysis, application service information analysis, and user profile analysis.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홈네트워크 기기에서 대기모드 결정 모듈의 대기모드 전환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tandby mode switching method of a standby mode determining module in a home network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대기모드 결정 모듈은 대기모드 전환 시점을 파악하여 해당 홈네트워크 기기를 대기모드로 전환함에 있어서, 먼저 네트워크 프로토콜 에이전트 제어 모듈(300)을 통해 수집되는 네트워크 패킷을 분석하여(S10), 사용자 패 킷이 전송되는지 여부를 파악한다(S11).Referring to FIG. 5, in determining the standby mode switching time, the standby mode determining module first analyzes network packets collected through the network protocol agent control module 300 (S10) in switching the home network device to the standby mode. ),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user packet is transmitted (S11).

대기모드 결정 모듈은 상기 파악결과, 사용자 패킷이 전송되지 않고 제어 패킷만이 전송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 패킷 미전송 로그를 갱신하고(S12), 네트워크 및 응용 서비스로부터 추출되는 세션정보 및 상기 갱신된 사용자 패킷 미전송 로그로부터 현재 세션이 대기 상태로 판단되는 경우(S13) 대기모드 전환을 수행한다(S40).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tandby mode determining module does not transmit the user packet and only the control packet is transmitted, the standby mode determining module updates the user packet non-transmission log (S12), and extracts the session information and the updated session information from the network and application services.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urrent session is in the standby state from the user packet non-transmission log (S13), the standby mode is switched (S40).

다음으로, 대기모드 결정 모듈은 수행중인 네트워크 관련 서비스 및 사용자 응용 서비스 수행 정보를 이용한 응용 서비스를 분석한 결과(S20), 현재 실사용자가 수행 중인 응용 서비스 목록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S21), 서비스 미수행 로그를 갱신한다(S22). 그리고, 대기모드 결정 모듈은 상기 갱신된 서비스 미수행 로그로부터 서비스가 대기 상태로 판단되는 경우(S23) 대기모드 전환을 수행한다(S40).Nex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pplication service using the network related service and the user application service execution information (S20), the standby mode determination module does not detect a list of application services currently being performed by the real user (S21). The non-execution log is updated (S22). 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ervice is in the standby state from the updated service non-execution log (S23), the standby mode determining module performs the standby mode switching (S40).

이와 같은 대기모드 결정 모듈은, 사용자 프로파일을 분석한 결과(S30), 사용자 지정에 따라 기 설정된 시간의 타이머가 설정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S31), 먼저 해당 타이머를 동작시킨다(S32).As a result of analyzing the user profile (S30),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timer of the preset time is set according to the user specification (S31), the standby mode determination module operates the timer first (S32).

그리고, 대기모드 결정 모듈은 동작된 타이머가 종료되는 시점에서 사용자 입력 및 서비스 사용 상황을 점검하여 해당 사용자의 정보를 갱신하고(S33), 갱신된 사용자 정보로부터 해당 사용자가 대기 상태로 판단되는 경우(S34) 대기모드 전환을 수행한다(S40).In addition, the standby mode determining module checks the user input and service use status at the time when the operated timer expires, updates the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user (S33), and if the corresponding user is determined to be in the standby state from the updated user information ( S34) Perform the standby mode switching (S40).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홈네트워크 기기의 네트워크 프로토콜 에이전트 제어 모듈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network protocol agent control module of a home networ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홈네트워크 기기에서 네트워크 프로토콜 에이전트 제어 모듈(300)은, 에이전트 제어정보 분석부(310), 에이전트 제어정보 갱신부(320) 및 네트워크 트래픽 특성 검출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a network protocol agent control module 300 in a home network device may include an agent control information analyzer 310, an agent control information updater 320, and a network traffic characteristic detector 330. Can be.

여기서, 네트워크 트래픽 특성 검출부(33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7)로부터 수집된 패킷을 분석하여 제어 패킷과 사용자 패킷의 정보들을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에이전트 제어정보 분석부(310)는 시스템 대기모드 결정 모듈(200)로부터 수집된 네트워크 구성정보 및 세션정보와, 상기 네트워크 트래픽 특성 검출부(330)로부터 수집된 패킷 특성을 각각 분석하여 해당 분석된 정보를 에이전트 제어정보 갱신부(32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Here, the network traffic characteristic detection unit 330 analyzes packets collected from the network interface 17 to extract information of control packets and user packets, and the agent control information analysis unit 310 determines a system standby mode. A function of analyzing the network configuration information and session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module 200 and the packet characteristics collected from the network traffic characteristic detection unit 330 and delivering the analyzed information to the agent control information update unit 320. To perform.

이에, 에이전트 제어정보 갱신부(320)는 에이전트 제어정보 분석부(310)로부터 전달되는 정보들이 네트워크 프로토콜 에이전트(16)에서 제어 패킷 생성에 필요한 데이터로 설정되도록 한다.Accordingly, the agent control information updater 320 allows th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agent control information analyzer 310 to be set as data necessary for generating a control packet in the network protocol agent 16.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홈네트워크 기기의 소비전력 절감을 위한 동작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a home networ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초기 물리적 오프 상태(S100)에 있던 홈네트워크 기기는 사용자 제어에 따라 하드 부팅 상태(S200)로 전환하게 된다. 여기서, 물리적 오프 상태(S100)는 네트워크 기기의 전원 공급이 차단된 상태로서 물리적으로 동작이 정지한 상태이다.Referring to FIG. 7, the home network device in the initial physical off state (S100) is switched to the hard boot state (S200) under user control. Here, the physical off state (S100) is a state in which the power supply of the network device is cut off and the operation is physically stopped.

그리고, 하드 부팅 상태(S200)는 부트로더, 운영체제 등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면서 각종 디바이스 드라이버가 적재되도록 하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7) 등을 설정하는 해당 홈네트워크 기기의 초기 부팅 과정이 이루어지는 단계로서, 이 단계에서는 네트워크 구성정보와 같은 기본적인 제어 정보가 프로토콜 에이전트에 설정되며, 에이전트는 패킷 수집 등의 수동적인 동작 상태에 놓이게 된다. In addition, the hard booting state (S200) is a step in which an initial booting process of a corresponding home network device is performed while sequentially performing a boot loader, an operating system, and the like, and loading various device drivers and setting a network interface 17. Basic control information such as network configuration information is set in the protocol agent, and the agent is in a passive operation state such as packet collection.

이 후 홈네트워크 기기는 응용 프로그램이 수행되는 시스템 동작 상태(S300)로 진입하며, 이 상태에서는 대기모드 결정을 위한 네트워크 트래픽 분석 및 이를 바탕으로 주기적으로 프로토콜 에이전트에 대한 제어 정보를 갱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After that, the home network device enters the system operation state in which the application is executed (S300), and in this state, performs network traffic analysis for determining the standby mode and periodically updates control information on the protocol agent based on this. do.

이와 같은 홈네트워크 기기는 시스템 동작 상태(S300)에서 주기적인 감시 결과 실제 사용자 데이터가 사용되는 않는 기간인 경우에는 시스템은 대기 상태(S400)로 바뀌게 되며, 이를 위해 컨텍스트를 저장하고 네트워크 프로토콜 에이전트(16)를 능동적인 상태로 바꾸어 제어 패킷에 대한 응답 기능을 수행토록 한다. 여기서, 시스템 대기 상태(S400)는 에이전트를 제외한 나머지 모듈들이 전원을 소모하지 않는 대기 상태로 제어하게 된다. If the home network device is a period in which the actual user data is not used as a result of periodic monitoring in the system operation state (S300), the system is changed to the standby state (S400), and for this purpose, the context is stored and the network protocol agent 16 ) To the active state to respond to the control packet. Here, the system standby state (S400) is controlled to the standby state in which the other modules except the agent does not consume power.

한편, 홈네트워크 기기는 네트워크 프로토콜 에이전트(16)가 수행 중에 사용자 데이터를 요구하거나, 기기의 특정 기능 수행을 요구하는 입력이 존재할 경우에는 소프트 부팅 상태(S500)로 변경되어지며, 이 상태에서는 하드 부팅 상태(S200)와는 달리 부팅 과정을 거치지 않고, 미리 저장된 시스템 컨텍스트를 복구하여 서비스 품질 저하 없이 빠른 동작 상태 변환을 지원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home network device is changed to the soft boot state (S500) when there is an input for requesting user data or performing a specific function of the device while the network protocol agent 16 is performing, in this state the hard boot. Unlike the state (S200), it is possible to recover a pre-stored system context without going through a booting process and to support fast operation state conversion without deterioration of service quality.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t is common in the art that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홈네트워크 기기의 일반적인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낸 도면,1 is a diagram showing a general hardware configuration of a home network devic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홈네트워크 기기를 나타낸 구성도,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home networ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홈네트워크 기기의 시스템 전력 제어 모듈을 나타낸 구성도,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ystem power control module of a home networ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홈네트워크 기기의 시스템 대기모드 결정 모듈을 나타낸 구성도,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ystem standby mode determination module of a home networ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홈네트워크 기기에서 대기모드 결정 모듈의 대기모드 전환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tandby mode switching method of a standby mode determination module in a home networ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홈네트워크 기기의 네트워크 프로토콜 에이전트 제어 모듈을 나타낸 구성도, 그리고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network protocol agent control module of a home networ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홈네트워크 기기의 소비전력 절감을 위한 동작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a home networ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0 : 시스템 전력 제어 처리 모듈 110 : 프로세서 컨텍스트 검출부100: system power control processing module 110: processor context detection unit

120 : 시스템 컨텍스트 저장부 130 : 대기모드 활성화 제어부120: system context storage unit 130: standby mode activation control unit

140 : 하드웨어 컨텍스트 검출부 200 : 시스템 대기모드 결정 모듈140: hardware context detection unit 200: system standby mode determination module

210 : 네트워크 구성정보 추출부 220 : 네트워크 세션정보 추출부210: network configuration information extraction unit 220: network session information extraction unit

230 : 대기모드 결정부 230: standby mode determination unit

300 : 네트워크 프로토콜 에이전트 제어 모듈300: network protocol agent control module

310 : 에이전트 제어정보 분석부 320 : 에이전트 제어정보 갱신부310: agent control information analysis unit 320: agent control information update unit

330 : 네트워크 트래픽 특성 검출부330: network traffic characteristic detection unit

Claims (12)

시스템 컨텍스트를 추출, 저장 및 복구하고 해당 홈네트워크 기기를 대기 상태로 전원 제어하는 시스템 전력 제어 처리 모듈;A system power control processing module for extracting, storing, and restoring a system context and controlling power to the home network device in a standby state; 네트워크 및 응용 서비스로부터 네트워크 구성정보와 세션정보를 추출하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로부터의 네트워크 패킷을 분석하여, 사용자 패킷 또는 사용 서비스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해당 홈네트워크 기기의 대기모드 전환 시점을 결정하여 상기 시스템 전력 제어 처리 모듈에 알리는 시스템 대기모드 결정 모듈; 및 The system power control is performed by extracting network configuration information and session information from network and application services and analyzing network packets from a network interface to determine when to switch the standby mode of the corresponding home network device when a user packet or a service is not present. A system standby mode determining module informing the processing module; And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로부터 수집되는 네트워크 패킷을 상기 시스템 대기모드 결정 모듈에 제공하며, 대기 상태에서 상기 네트워크 구성정보 및 세션정보를 바탕으로 네트워크 프로토콜 에이전트에 대한 네트워크 및 서비스 연결성을 보장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생성, 삭제 및 변경하는 네트워크 프로토콜 에이전트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프로토콜 기반에서의 홈 네트워크 기기.Provides network packets collected from a network interface to the system standby mode determination module, and generates and deletes control information to ensure network and service connectivity for a network protocol agent based on the network configuration information and session information in a standby state. And a network protocol agent control module for changing.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시스템 전력 제어 처리 모듈은,The system power control processing module, 운영체제, 네트워크 및 응용 서비스의 프로세스 구성 및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컨텍스트 정보를 추출하는 프로세서 컨텍스트 검출부;A processor context detector configured to extract context information based on process configuration and state information of an operating system, a network, and an application service; 해당 홈네트워크 기기내의 디바이스들로부터 하드웨어 설정 정보를 추출하는 하드웨어 컨택스트 검출부;A hardware context detector for extracting hardware configuration information from devices in the home network device; 상기 프로세서 및 하드웨어 컨텍스트로부터 대기모드 변환시 필요한 시스템 컨텍스트를 추출하고, 해당 정보를 저장 가능 매체에 저장하는 시스템 컨텍스트 저장부; 및A system context storage unit configured to extract a system context required for the standby mode conversion from the processor and the hardware context and to store corresponding information in a storage medium; And 상기 시스템 대기모드 결정 모듈를 통해 해당 홈네트워크 기기의 대기모드 전환 시점이 결정되면, 상기 네트워크 프로토콜 에이전트를 능동 상태로 동작시켜 대기모드를 활성화시키는 대기모드 활성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프로토콜 기반에서의 홈 네트워크 기기.When the standby mode switch time of the home network device is determined through the system standby mode determination module, the network protocol base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andby mode activation control unit for activating the standby mode by operating the network protocol agent in an active state Home network applianc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시스템 대기모드 결정 모듈은,The system standby mode determination module,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가 사용자에 의해서 설정되어 있는 경우, 타이머 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지정된 시간이나 사용자 입력이 발생되지 않는 기 설정된 경과 시간에 따라 대기모드 전환 시점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프로토콜 기반에서의 홈 네트워크 기기.When the user profile information is set by the user, a timer protocol is used to determine the time to switch the standby mod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time from the user or a preset elapsed time in which no user input is generated. Home network devic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시스템 대기모드 결정 모듈은,The system standby mode determination module, 네트워크 프로토콜 스택으로부터 네트워크 구성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네트워크 프로토콜 제어 모듈에 제공하는 네트워크 구성정보 추출부;A network configuration information extracting unit extracting network configuration information from a network protocol stack and providing the network configuration information to the network protocol control module; 네트워크 및 응용 서비스로부터 현재 연결 설정된 세션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네트워크 프로토콜 제어 모듈로 제공하고, 현재 수행중인 서비스 정보를 추출하여 대기모드 결정에 활용하는 네트워크 세션정보 추출부; 및A network session information extracting unit extracting session information currently connected from a network and an application service and providing the same to the network protocol control module, and extracting service information currently being used to determine a standby mode; And 상기 네트워크 프로토콜 제어 모듈로부터 수집되는 네트워크 패킷과 상기 세션정보, 상기 현재 수행중인 서비스 정보 또는 사용자 프로파일을 파악하여, 사용자 패킷이 전송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 서비스가 수행되지 않는 경우 또는 사용자 설정된 경과 시간동안 사용자 입력과 서비스 사용이 발생되지 않은 경우에 대기모드 전환 시점을 결정하여 상기 시스템 전력 제어 처리 모듈로 알리는 대기모드 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프로토콜 기반에서의 홈 네트워크 기기.If the network packet collected from the network protocol control module and the session information, the current service information or the user profile is grasped, the user packet is not transmitted, the user service is not performed, or the user for a set elapsed time. And a standby mode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a standby mode switching time point and informing the system power control processing module when an input and a service use have not occurred.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시스템 대기모드 결정 모듈은,The system standby mode determination module, 상기 네트워크 프로토콜 에이전트 제어 모듈을 통해 수집되는 네트워크 패킷을 분석한 결과 사용자 패킷이 전송되지 않고 제어 패킷만이 전송되는 경우, 사용자 패킷 미전송 로그를 갱신하고, 상기 추출된 세션정보 및 상기 갱신된 사용자 패킷 미전송 로그로부터 현재 세션이 대기 상태로 판단되면 대기모드 전환을 상기 시 스템 전력 제어 처리 모듈로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프로토콜 기반에서의 홈 네트워크 기기.If a user packet is not transmitted and only a control packet is transmitt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network packet collected through the network protocol agent control module, the user packet non-transmission log is updated, and the extracted session information and the updated user packet are updated. And notifying the system power control processing module of the standby mode switch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urrent session is in the standby state from the untransmitted log.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시스템 대기모드 결정 모듈은,The system standby mode determination module, 상기 현재 수행중인 서비스 정보를 분석한 결과 사용자가 현재 수행 중인 응용 서비스 목록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서비스 미수행 로그를 갱신하고, 상기 갱신된 서비스 미수행 로그에 따라 서비스가 대기 상태로 판단되면 대기모드 전환을 상기 시스템 전력 제어 처리 모듈로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프로토콜 기반에서의 홈 네트워크 기기.After analyzing the current service information, if the user does not detect a list of application services currently being executed, the service non-execution log is updated. Home network device based on the network protocol, characterized in that to notify the system power control processing module.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시스템 대기모드 결정 모듈은,The system standby mode determination module,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을 분석한 결과 사용자 지정에 따라 기 설정된 시간의 타이머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해당 타이머를 동작시킨 후 상기 타이머가 종료되는 시점에서 사용자 입력 및 서비스 사용 상황을 점검하여 해당 사용자의 정보를 갱신하고, 상기 갱신된 사용자 정보로부터 해당 사용자가 대기 상태로 판단되면 대기모드 전환을 상기 시스템 전력 제어 처리 모듈로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 크 프로토콜 기반에서의 홈 네트워크 기기.After analyzing the user profile, if a timer with a preset time is set according to a user's designation, the user input and service use status are checked and the information of the user is updated after the timer is terminated after the timer is operated. And notifying the system power control processing module of a standby mode change when the corresponding user is determined to be in the standby state from the updated user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네트워크 프로토콜 에이전트 제어 모듈은,The network protocol agent control module,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로부터 수집되는 네트워크 패킷을 분석하여 제어 패킷 및 사용자 패킷을 추출하는 네트워크 트래픽 특성 검출부;A network traffic characteristic detection unit for analyzing a network packet collected from a network interface and extracting a control packet and a user packet; 상기 시스템 대기모드 결정 모듈에 의해 수집된 네트워크 구성정보, 세션정보와 및 상기 네트워크 패킷을 바탕으로 에이전트 제어 정보 데이터를 분석 및 추출하는 에이전트 제어정보 분석부; 및An agent control information analyzer configured to analyze and extract agent control information data based on network configuration information, session information and the network packet collected by the system standby mode determination module; And 상기 에이전트 제어정보 분석부로부터 추출되는 상기 에이전트 제어 정보 데이터를 바탕으로 추가, 삭제 및 변경되는 제어정보 데이터를 관리하는 에이전트 제어정보 갱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프로토콜 기반에서의 홈 네트워크 기기.And an agent control information updater configured to manage control information data added, deleted, and changed based on the agent control information data extracted from the agent control information analyzer. 물리적 오프 상태에서 하드 부팅 상태로 전환하는 경우, 프로토콜 에이전트 제어 정보 설정하는 단계;Setting a protocol agent control information when switching from a physical off state to a hard boot state; 응용 프로그램이 수행되는 시스템 동작 상태로 진입하는 경우, 기 설정된 주기에 따라 네트워크 패킷, 네트워크 구성정보 및 세션정보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 로 상기 프로토콜 에이전트 제어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Analyzing a network packet, network configuration information, and sess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eriod when the application enters a system operation state where an application program is performed; updating the protocol agent control information based on the analysis; 상기 시스템 동작 상태에서 사용자 패킷 또는 사용 서비스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대기모드 전환을 결정하여, 시스템 컨텍스트를 저장하고 프로토콜 에이전트를 능동 상태로 활성화시킨 후 상기 대기모드로 진입하는 단계; 및Determining to switch to standby mod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user packet or use service in the system operating state, storing a system context, activating a protocol agent in an active state, and entering the standby mode; And 상기 대기모드 중, 사용자 데이터 및 서비스 사용 요구가 입력되면 상기 컨텍스트를 복구하고 상기 프로토콜 에이전트를 수동 상태로 변환시킨 후, 상기 대기모드를 동작 상태로 변환하는 소프트 부팅 단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프로토콜 기반에서 홈 네트워크 기기의 소비전력 절감 방법.In the standby mode, when the user data and service use request is input, the home network in the network protocol including a soft booting step of recovering the context, converting the protocol agent to a passive state, and then converting the standby mode to an operational state How to reduce power consumption of network devices.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시스템 동작 상태에서 사용자 패킷 및 사용 서비스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대기모드 전환을 결정하는 단계는,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packet and the use service does not exist in the system operation state, the step of determining the standby mode switching, 상기 네트워크 패킷을 분석한 결과 사용자 패킷이 전송되지 않고 제어 패킷만이 전송되는 경우, 사용자 패킷 미전송 로그를 갱신하는 단계;Updating a user packet non-transmission log when only a control packet is transmitted without transmitting a user packe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network packet; 응용 서비스로부터 서비스 정보를 분석한 결과 사용자가 현재 수행 중인 응용 서비스 목록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서비스 미수행 로그를 갱신하는 단계; 및Updating a service non-execution log when a list of application services currently performed by a user is not detected as a result of analyzing service information from the application service; And 상기 사용자 패킷 미전송 로그 또는 서비스 미수행 로그에 따라 세션 및 서비스가 대기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대기모드 전환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프로토콜 기반에서 홈 네트워크 기기의 소비전력 절감 방법.And determining the standby mode switch when the session and the service are determined to be in the standby state according to the user packet non-transmission log or the service non-performance log.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시스템 동작 상태에서 사용자 프로파일을 분석한 결과, 사용자 지정에 따라 기 설정된 시간의 타이머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해당 타이머를 동작시키는 단계;Operating a timer when a timer having a preset time is set according to a user designa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user profile in the system operation state; 상기 타이머가 종료되는 시점에서 사용자 입력 및 서비스 사용 상황을 점검하여 해당 사용자의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 및Checking the user input and the service usage status at the time when the timer expires and updating the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user; And 상기 갱신된 사용자 정보로부터 해당 사용자가 대기 상태로 판단되면 대기모드 전환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프로토콜 기반에서 홈 네트워크 기기의 소비전력 절감 방법. And determining a standby mode change when the corresponding user is determined to be in the standby state from the updated user information.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대기모드를 동작 상태로 변환하는 소프트 부팅 단계는,The soft booting step of converting the standby mode into an operating state may include: 하드 부팅 상태를 거치지 않고 시스템 동작 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프로토콜 기반에서 홈 네트워크 기기의 소비전력 절감 방법.A method of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a home network device based on a network protocol, characterized by switching to a system operation state without going through a hard boot state.
KR1020070095260A 2007-09-19 2007-09-19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ementing Policy of Policy-Based Management Framework KR10091253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5260A KR100912536B1 (en) 2007-09-19 2007-09-19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ementing Policy of Policy-Based Management Frame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5260A KR100912536B1 (en) 2007-09-19 2007-09-19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ementing Policy of Policy-Based Management Framewor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9998A true KR20090029998A (en) 2009-03-24
KR100912536B1 KR100912536B1 (en) 2009-08-18

Family

ID=40696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5260A KR100912536B1 (en) 2007-09-19 2007-09-19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ementing Policy of Policy-Based Management Framewor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2536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54294A (en) * 2009-03-30 2010-10-06 英特尔公司 Enabling long-term communication idleness for energy efficiency
US8782453B2 (en) 2010-12-17 2014-07-1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Network power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KR20180031096A (en) * 2016-09-19 2018-03-28 전자부품연구원 Network Standby Mode Operation Method applying a Delayed Transmission Techniques for Power Savi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8560B1 (en) * 2016-09-19 2018-07-13 전자부품연구원 Network Standby Mode Information Registration/Management Method and System apply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9474A (en) * 2003-03-07 2004-09-16 삼성전자주식회사 Home gateway system with power management function
KR101084334B1 (en) * 2005-02-28 2011-1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Home Network Control System for minimizing of Power Consumption
KR100772179B1 (en) * 2005-12-07 2007-11-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Home server capable of saving energy and converging ser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0730616B1 (en) * 2005-12-12 2007-06-21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saving power of device be linked with home network and the power saving control apparatus thereof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54294A (en) * 2009-03-30 2010-10-06 英特尔公司 Enabling long-term communication idleness for energy efficiency
WO2010117522A3 (en) * 2009-03-30 2011-01-13 Intel Corporation Enabling long-term communication idleness for energy efficiency
US8023522B2 (en) 2009-03-30 2011-09-20 Intel Corporation Enabling long-term communication idleness for energy efficiency
CN101854294B (en) * 2009-03-30 2013-10-16 英特尔公司 Network adapter,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long-term communication idleness for energy efficiency
US8782453B2 (en) 2010-12-17 2014-07-1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Network power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KR20180031096A (en) * 2016-09-19 2018-03-28 전자부품연구원 Network Standby Mode Operation Method applying a Delayed Transmission Techniques for Power Sav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2536B1 (en) 2009-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unaratne et al. Managing energy consumption costs in desktop PCs and LAN switches with proxying, split TCP connections, and scaling of link speed
Christensen et al. The next frontier for communications networks: power management
US20100077063A1 (en) System and method for emulating a computing device
CN102326132B (en) Power management to maximize reduced power state for virtual machine platforms
Lim et al. Design,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energy-aware multi-path TCP
JP3139481B2 (en) Network proxy response server, network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this network system
US20090106571A1 (en) Systems and Methods to Adaptively Load Balance User Sessions to Reduce Energy Consumption
US20080162682A1 (en) Maintaining network connectivity while operating in low power mode
EP2306267A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program thereof
JP2004164566A (en) Power control system of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power control method of communication terminal
US20070037547A1 (en) Changing an operation state and recovering a network of a wlan device
KR20090060700A (e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energy-aware home gateway based on network
JP5704904B2 (en) DATA PROCESSING DEVICE, DATA PROCESSING DEVICE CONTROL METHOD, AND PROGRAM
KR10091253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ementing Policy of Policy-Based Management Framework
US20120254851A1 (en) Energy Efficiency Control Policy Library
CN110691398B (en) Network interaction method, system,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of intelligent equipment
CN108540356B (en) Processing method and processing apparatus
CN111930222A (en) Control method and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CN104412669A (en) Method for switching a device between hibernat mode and wake-up
CN106411574B (en) Management control method and device
CN100388212C (en) Energy-saving apparatus capable of optimizing system resource and method thereof
Nguyen et al. Prediction-based energy policy for mobile virtual desktop infrastructure in a cloud environment
CN107896176B (en) Processing method of computing node, intelligent terminal and storage medium
JP2011172014A (en) Monitoring control method, monitoring control apparatus, monitoring control system of communication path, and program
Miwa et al. Performance estimation of high performance computing systems with Energy Efficient Ethernet technolog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0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