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4457A - A mobile telecommunication device and a method for setting the area of a touch pad button - Google Patents

A mobile telecommunication device and a method for setting the area of a touch pad butt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4457A
KR20090024457A KR1020070089492A KR20070089492A KR20090024457A KR 20090024457 A KR20090024457 A KR 20090024457A KR 1020070089492 A KR1020070089492 A KR 1020070089492A KR 20070089492 A KR20070089492 A KR 20070089492A KR 20090024457 A KR20090024457 A KR 200900244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pad
area
button
user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949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443615B1 (en
Inventor
심홍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89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3615B1/en
Publication of KR20090024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445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3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361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Abstract

A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capable of accurately pressing a desired button by a user and a range setting method of a touch pad button using the same are provided to prevent an error when a user presses another region due to directly setting up the button region of the touch pad. A plurality of domains(S1~S10) of a touch pad is successively arranged within the moving range of a finger of a user. The touch pad senses the physical pressure applied to the angular region. And the touch pad converts into the electric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ensed pressure. The memory stores the button region information of the touch pad which is set up by the user and the button information allocated to the corresponding domain. A controller reads the signal provided from the touch pad and th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signal from the memory. The controller recognizes the signal reading and information as the input signal.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터치 패드 버튼 영역 설정 방법{A mobile telecommunication device and a method for setting the area of a touch pad button}A mobile telecommunication device and a method for setting the area of a touch pad button}

본 발명은 터치 패드를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터치 패드 버튼 영역 설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touch pad and a touch pad button area setting method using the same.

도 1은 일반적인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시된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조작부(130), 센싱부(140), A/V(Audio/Video) 출력부(150), 저장부(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들은 실제 응용에서 구현될 때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general terminal. The illustrat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an A / V (Audio / Video) input unit 120, an operation unit 130, a sensing unit 140, and an A / V (Audio / Video) output unit ( 150, the storage 160, the interface 170, the controller 180, the power supply 190, and the like. It should be noted that components may be combined into one or more components, or one component may be subdivided into two or more components as necessary when implemented in actual applications.

이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The following describes the components in order.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GPS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a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a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a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114, a GPS module 115, and the like.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receives a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broadcast management server through a broadcast channel. The broadcast channel may include a satellite channel and a terrestrial channel. The broadcast management server may mean a server that generates and transmits a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or a server that receives a pre-generated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same to a terminal. The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may mean information related to a broadcast channel, a broadcast program, or a broadcast service provider. The broadcast signal may include not only a TV broadcast signal, a radio broadcast signal, and a data broadcast signal, but also a broadcast signal having a data broadcast signal combined with a TV broadcast signal or a radio broadcast signal.

한편,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Meanwhile,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in this case, may be receiv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The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may exist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it may exist in the form of Electronic Program Guide (EPG) of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or Electronic Service Guide (ESG) of 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DVB-H).

방송 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된다.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receives broadcast signals using various broadcast systems, and in particular,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T),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DMB-S), and media forward link only (MediaFLO). ), Digital broadcast signals may be received using digital broadcasting systems such as DVB-H (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and ISDB-T (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Of course,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is configured to be suitable for all broadcast systems providing broadcast signals as well as the digital broadcast system described above.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저장부(160)에 저장될 수 있다.The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160.

또한,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transmits and receives a radio signal with at least one of a base station, an external terminal, and a server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Here, the wireless signal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data according to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a voice call signal, a video call call signal, or a text / multimedia message.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refers to a module for wireless internet access, and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may be internal or external.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114 refers to a module for short range communication. As a short range communication technology,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and the like may be used.

또한,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115)은 복수 개의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In addition, the Global Position System (GPS) module 115 receives position information from a plurality of satellites.

한편,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 모듈(121)과 마이크 모듈(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21)은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 모듈(151)에 표시될 수 있다.Meanwhile, the A / V input unit 120 is for inputting an audio signal or a video signal, and may include a camera module 121 and a microphone module 122. The camera module 121 processes image frames such as still images or moving images obtained by an image sensor in a video call mode or a photographing mode. The processed image frame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module 151.

카메라 모듈(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저장부(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21)은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The image frame processed by the camera module 121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160 or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Two or more camera modules 121 may be provided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terminal.

마이크 모듈(122)은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 모듈(122)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The microphone module 122 receives an external sound signal by a microphone in a call mode,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etc., and processes the external sound signal into electrical voice data. The processed voice data may be converted into a form transmittabl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and output in the call mode. The microphone module 122 may implement various noise removing algorithms for removing nois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receiving an external sound signal.

조작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조작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 모듈(151)과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 스크린이라 부를 수 있다.The operation unit 130 generates key input data input by the us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The operation unit 130 may be configured of a key pad dome switch, a touch pad (static pressure / capacitance), a jog wheel, a jog switch, and the like. In particular, when the touch pad forms a mutual layer structure with the display module 151 described later, this may be referred to as a touch screen.

센싱부(14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The sensing unit 140 detects a current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such as an open / closed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 presence or absence of a user contact, and operate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Generates a sensing signal for controlling. For example,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in the form of a slide phone, it may sense whether the slide phone is opened or closed. In addition, it is responsible for sensing functions related to whether the power supply unit 190 is supplied with power or whether the interface unit 170 is coupled to an external device.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The interface unit 170 serves as an interface with all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V(Audio/Video)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 모듈(151)과 음향 출력 모듈(152)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A / V output unit 150 is for outputting an audio signal or a video signal, and may include a display module 151 and a sound output module 152.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이동통신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GUI를 표시한다. The display module 151 displays and outputs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For example,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 a call mode, a user interface (UI) or a graphic user interface (GUI) related to a call is displayed.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in a video call mode or a photographing mod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displays a photographed and / or received image, a UI, or a GUI.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13)과 조작부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외부 디스플레이 모듈(미도시)과 내부 디스플레이 모듈(미도시)이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display module 13 and the operation unit form a mutual layer structure and constitute a touch screen, the display module 151 may be used as an input device in addition to the output device. The display module 151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a flexible display, or a three-dimensional display. 3D display). In addition, two or more display modules 151 may exist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form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For example, an external display module (not shown) and an internal display module (not shown) may be simultaneously provi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저장부(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통신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sound output module 152 outputs audio data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or stored in the storage unit 160 in a call signal reception, a call mode or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a broadcast reception mode,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sound output module 152 outputs a sound signal related to a function (eg, a call signal reception sound, a message reception sound, etc.) perform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he sound output module 152 may include a speaker, a buzzer, and the like.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모터를 이용하여 진동의 형태로 신호를 출력하는 진동 출력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Although not shown, it may be provided with a vibration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signal in the form of vibration using a motor.

저장부(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The storage unit 160 may store a program for processing and control of the controller 180, and a function for temporarily storing input / output data (for example, a phone book, a message, a still image, a video, etc.). You can also do

저장부(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저장부(1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The storage unit 160 may include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 card type memory (eg, SD or XD memory), It may include a storage medium of at least one type of RAM and ROM. 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may operate a web storage that performs a storage function of the storage unit 150 on the Internet.

그리고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 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 내에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소프트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 controller 180 typical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example, it performs related control and processing for voice calls, data communications, video calls, etc. In addition, the controller 180 may include a multimedia playback module 181 for multimedia playback. The multimedia player module 181 may be configured as hardware, or may be configured as software separately from the controller 180.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The power supply unit 190 receives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an internal power sourc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80 to supply power for operation of each component.

이상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를 외형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더욱 살펴보겠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간명함을 위해 폴더 타입, 바 타입, 스윙타입, 슬라이더 타입, 등과 같은 여러 타입의 이동통신 단말기들 중에서 슬라이더 타입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In the abov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been described in terms of components according to functions. Hereinafter, referring to FIG. 2,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ll be further described in terms of components according to appearanc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slider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described as an example among various types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such as a folder type, a bar type, a swing type, a slider type, and the like for clarity.

도 2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제1바디(100A)가 제2바디(100B)와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를 닫힌 상태(closed status)라 칭할 수 있으며, 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바디(100B)의 적어도 일 부분을 노출한 상태를 열린 상태(open status)라 칭할 수 있다.2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n exampl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state in which the first body 100A is disposed to overlap the second body 100B may be referred to as a closed status,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body 100B may be exposed as shown in this drawing. One state may be referred to as an open state.

이동통신 단말기는 닫힌 상태에서 주로 대기 모드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대기 모드가 해제되기도 한다. 그리고, 이동통신 단말기는 열린 상태에서 주로 통화 모드 등으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 또는 소정 시간의 경과에 의해 대기 모드로 전환되기도 한다.Although the mobile terminal operates in the standby mode mainly in the closed state, the standby mode may be released by the user's operation. 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inly operates in a call mode or the like in an open state, but may be switched to a standby mode by a user's manipulation or a lapse of a predetermined time.

제1바디(100A)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는 제1프론트 케이스(100A-1)와 제1리어 케이스(100A-2)에 의해 형성된다. 제1프론트 케이 스(100A-1)와 제1리어 케이스(100A-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제1프론트 케이스(100A-1)와 제1리어 케이스(100A-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The case (casing, housing, cover, etc.) forming the exterior of the first body 100A is formed by the first front case 100A-1 and the first rear case 100A-2.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are embedded in the space formed by the first front case 100A-1 and the first rear case 100A-2. At least one intermediate case may be furth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front case 100A-1 and the first rear case 100A-2.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The cases may be formed by injecting synthetic resin or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for example, a metal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STS) or titanium (Ti).

제1 바디(100A), 구체적으로 제1프론트 케이스(100A-1)에는 디스플레이모듈(151), 제 1 음향출력모듈(152-1), 제1 카메라모듈(121-1) 또는 제1 조작부(130-1)가 배치될 수 있다. The first body 100A, specifically, the first front case 100A-1 may include a display module 151, a first sound output module 152-1, a first camera module 121-1, or a first manipulation unit ( 130-1) may be disposed.

디스플레이모듈(151)은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을 포함한다. The display module 151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 and the like, which visually express information.

디스플레이모듈(151)에는 조작부가 레이어 구조로 중첩됨으로써, 디스플레이모듈(151)이 터치 스크린으로 동작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 또한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Since the operation unit is superimposed on the display module 151 in a layer structure, the display module 151 may operate as a touch screen to enable input of information by a user's touch.

제1음향출력모듈(152-1)은 스피커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first sound output module 152-1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speaker.

제1카메라모듈(121-1)은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에 적절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The first camera module 121-1 may be implemented to be suitable for capturing an image or a video of a user.

제1조작부(130-1)는 이동통신 단말기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의사에 따른 조작 신호를 입력받는다.The first manipulation unit 130-1 receives an operation signal according to a user's intention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1바디(100A)와 마찬가지로, 제2바디(100B)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는 제2프론트 케이스(100B-1)와 제2리어 케이스(100B-2)에 의해 형성된다.Like the first body 100A, the case forming the exterior of the second body 100B is formed by the second front case 100B-1 and the second rear case 100B-2.

제2바디(100B), 구체적으로 제2프론트 케이스(100B-1)의 전면(front face)에는 제2조작부(130-2)가 배치될 수 있다.The second manipulator 130-2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body of the second body 100B, specifically, the second front case 100B-1.

제2프론트 케이스(100B-1) 또는 제2리어 케이스(100B-2))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3 조작부(130-3), 마이크모듈(122), 인터페이스부(170)가 배치될 수 있다. The third manipulation unit 130-3, the microphone module 122, and the interface unit 170 may be disposed on at least one of the second front case 100B-1 or the second rear case 100B-2).

제1 내지 제3 조작부(130-1, 130-2, 130-3)는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130)라 통칭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The first to third manipulation units 130-1, 130-2, and 130-3 may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manipulating portion 130, and may be a tactile manner in which the user operates while having a tactile feeling. Either way may be employed.

예를 들어, 조작부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operation unit may be implemented as a dome switch or a touch pad that may receive a command or information by a user's push or touch operation, or may be implemented by a wheel or jog method that rotates a key, or a method such as a joystick. Can be.

기능적인 면에서, 제1 조작부(130-1)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본 예시도는 터치 패드의 형태로 이루어진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제2 조작부(130-2)는 숫자 또는 문자, 심볼(symbol)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In the functional aspect, the first operation unit 130-1 is for inputting a command such as a start, end, scroll, and the like, and the exemplary view shows a case in the form of a touch pad. The second operation unit 130-2 is for inputting numbers, letters, symbols, and the like.

또한, 제3 조작부(130-3)는 이동통신 단말기 내의 특수한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ird operation unit 130-3 may operate as a hot key for activating a special function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마이크모듈(122)은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받기에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microphone module 122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suitable for receiving a user's voice, other sounds, and the like.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7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 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 등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에 대해서는 이미 전술되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The interface unit 170 serves as a path for allow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exchange data with an external device. For example, the interface unit 170 is wired or wirelessly, a connection terminal for connecting to the earphone, a port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for example, an infrared port (IrDA port), Bluetooth port (Bluetooth port), wireless LAN port It may be at least one of power supply terminals for supplying power to a wireless LAN port. Since the interface unit 170 has already been described abov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2리어 케이스(100B-2) 측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The power supply unit 190 for supplying power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mounted on the second rear case 100B-2.

전원공급부(190)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190 may be detachably coupled for charging as a rechargeable battery, for example.

도 3은 도 2의 제1조작부(130-1)의 하부에 형성된 터치 패드 IC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영역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손가락 등을 이용하여 임의의 영역을 누르면 이를 감지하여 입력 신호로 사용하게 된다. 특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S1, S3, S8 및 S10 영역이 할당되고, 기타 영역(S2, S4, S5, S6, S7 및 S9)은 방향 선택 또는 스크롤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터치 패드 IC를 사용하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큰 사람이 이용할 때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FIG. 3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touch pad IC formed under the first manipulation unit 130-1 of FIG. 2. As shown, it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areas, and when a user presses an arbitrary area using a finger or the like, it detects it and uses it as an input signal. Areas S1, S3, S8 and S10 are allocated to perform special functions, and other areas S2, S4, S5, S6, S7 and S9 are used to perform the direction selection or scrolling operation.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using such a touch pad IC, an error may occur when a user whose finger is large is used.

즉,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S6 영역의 버튼을 눌렀는데 S7의 영역까지 침범하게 되면 터치 패드 IC에서는 어느 영역의 면적이 더 많이 차지하는지 소프트웨어적으로 계산하게 되어 더 큰 면적을 갖는 영역의 버튼이 눌러진 것으로 판단한다. That is, as shown in FIG. 4, when the button of the area S6 is pressed and the area of the area S7 is invaded, the touch pad IC calculates in software which area occupies more area so that the button of the area having a larger area is used. It is judged that this was pressed.

따라서, 도 5에서와 같이, MP3 또는 동영상을 시청하는 중 재생버튼(▶)과 빨리 감기(▶▶) 기능이 동시에 눌러지게 되어 사용자의 의사에 무관하게 동작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재생 버튼을 누르고 싶었으나 손가락(10)의 영역은 빨리 감기를 누른 것으로 인식되어 사용자는 잘못 동작했다고 인식하게 된다.Thus, as shown in Figure 5, while watching the MP3 or video, the play button (▶) and fast forward (▶▶) function is pressed at the same time may occur regardless of the user's intention. That is, the user wanted to press the play button, but the area of the finger 10 is recognized as pressing fast forward, so that the user recognizes that he or she has operated incorrectly.

본 발명은 손가락이 큰 사용자가 원하는 버튼을 정확히 누를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터치 패드의 버튼 영역 설정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accurately pressing a desired button by a user having a large finger and a method of setting a button area of a touch pad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미리 프로그램되어진 터치 패드의 버튼 영역을 사용자가 직접 설정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터치 패드의 버튼 영역 설정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which a user can directly set a preprogrammed button area of a touch pad, and a method of setting a button area of a touch pad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메뉴 창을 통해 쉽게 터치 패드의 버튼 영역을 설정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터치 패드의 버튼 영역 설정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can easily set a button area of a touch pad through a menu window, and a method of setting a button area of a touch pad using the same.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설정한 터치 패드 버튼 영역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있어, 제어부가 터치 패드 IC에서 제공된 신호와 메모리에 저장된 설정정보를 이용하여 입력신호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s stores the touch pad button area information set by the user in the memory, so that the control unit inputs the input signal using the signal provided from the touch pad IC and the sett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It is characterized by using.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터치 패드 버튼 영역 설정방법은 단말기 측면에 구비된 상하 조절키를 이용하여 터치 패드 버튼 영역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ethod for setting a touch pad button region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haracterized by setting a touch pad button region by using up and down control key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terminal.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터치 패드 버튼 영역 설정 방법은 사용자가 숫자 키를 이용하여 입력한 수치에 의해 터치 패드 버튼의 영역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method for setting the touch pad button area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area of the touch pad button is set by a value input by the user using a numeric key.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터치 패드 버튼 영역 설정방법은 터치 패드의 버튼 영역 설정에 따라 변화되는 버튼 영역의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설정과정 중에 넓이의 변화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ethod for setting a touch pad button area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formation on the button area changed according to the button area setting of the touch pad is displayed as a change in width during the setting process.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터치 패드의 버튼 영역 설정박법은 사용자가 터치 패드의 버튼 영역을 직접 설정할 수 있어 손가락이 커서 다른 영역을 눌러 발생하는 에러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for setting a button area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touch pad using the same enables a user to directly set a button area of a touch pad, so that the user can expect an effect of preventing an error caused by a large finger pressing another area. .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라 터치패드 영역 설정을 위한 메뉴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즉, 사용자가 터치 패드 영역을 설정하고자 할 때, 메뉴에 포함된 단말기 설정 기능을 이용한다. 이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패드 영역 설정 항목(20)이 표시된다.6 illustrates a menu screen for setting a touch pad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when the user wants to set the touch pad area, the user uses the terminal setting function included in the menu. Accordingly, as shown in FIG. 6, the touch pad region setting item 20 is displayed.

사용자가 터치 패드 영역 설정 기능을 선택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51)를 통해 터치 패드 IC의 센싱 영역이 표시된다. 사용자는 설정하고자 하는 버튼의 영역을 선택한다. 예를 들어 S1을 선택하게 되면 도 7에서와 같이 선택된 다른 영역과 다른 색상으로 표시된다. 만일 사용자가 S2를 선택한 다면 S2가 반전된 색상으로 표시될 것이다.When the user selects the touch pad area setting function, as illustrated in FIG. 7, the sensing area of the touch pad IC is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device 151. The user selects the area of the button to be set. For example, if S1 is selected, it is displayed in a different color from other selected areas as shown in FIG. 7. If the user selects S2, S2 will be displayed in reversed color.

설정하고자 하는 버튼 영역을 선택한 이후에 해당 영역의 넓이를 조절하게 된다. 본 설명에서는 도 8에서와 같이 단말기 측면에 구성된 상하 조절키(일반적으로 볼륨 키로 사용됨)(130-3)를 이용하는 것을 예로 한다. 사용자가 상하 조절 키 중 아래 방향의 조절 키를 누르게 되면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선택된 영역(S1)의 넓이가 작아지는 것을 표시한다. 줄어드는 면적은 아래 방향 조절 키를 누르는 횟수에 비례하여 작아진다.After selecting the button area to be set, the width of the area is adjusted. In the description, as shown in FIG. 8, an up and down control key (generally used as a volume key) 130-3 configured on the side of the terminal is used. When the user presses a downward adjustment key among the up and down adjustment keys, it indicates that the area of the selected area S1 is reduced through the display device. The decreasing area decreases in proportion to the number of times the down arrow key is pressed.

한편, 버튼 영역을 넓게 설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9에서와 같이 상하 조절 키 중 윗 방향의 조절키를 누른다. 본 예에서는 선택된 영역(S1)이 타 영역보다 넓게 표시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On the other hand, if you want to set the button area wide, as shown in Figure 9 press the upper direction of the up and down adjustment keys. In this example, the selected area S1 is displayed wider than the other area.

필요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각 영역의 넓이를 수치화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각 영역의 넓이를 기본적으로 "5"라는 값으로 표시한다고 가정할 때, 도 8의 예에서와 같이 타 영역보다 상대적으로 작아질 때, 선택된 영역에 "4"->"3"의 형태로 표시하고, 도 9의 예에서와 같이 타 영역보다 상대적으로 커질 때, 선택된 영역에 "6"->"7"과 같이 표시하는 것도 사용자가 쉽게 설정할 수 있는 방법이다.If necessary, the area of each area may be numerically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device. 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area of each area is displayed as a value of "5" by default, "4"-> "3" in the selected area when it is relatively smaller than other areas as shown in the example of FIG. When the display is in the form of, and is relatively larger than other regions as in the example of FIG. 9, displaying the selected region as "6"-> "7" is also a method that can be easily set by the user.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 따른 터치 패드 영역 설정 방법의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51)를 통해 각 영역의 설정 영역의 크기를 표시하고, 사용자가 숫자 키를 이용하여 직접 입력하는 방식이다. 앞에서 설명한 방법에 비하여 다른 버튼 영역의 크기를 수치로 볼 수 있어 좀 더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물론, 위에서 설명한 방식과 마찬가지로 절대 수치가 아닌 상대적 수치로 제어할 수도 있다. 즉, 기본적인 값 "5"를 중심으로 하여 상대적 크기를 입력할 수 있다.10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ethod for setting a touch pad are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device 151 displays the size of the setting area of each area, and the user directly inputs it using the numeric keys. Compared to the method described above, the size of the other button areas can be viewed numerically, which can have the advantage of finer control. Of course, as described above, it can be controlled by a relative value rather than an absolute value. That is, the relative size can be input based on the basic value "5".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에 따라 변화된 터치 패드 버튼 영역을 비교한 예시도이다. 예를 들어, 스크롤 동작에 사용하는 부분인 S2, S4, S6, S9의 영역이 동일한 크기를 가진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S2 및 S9의 영역은 줄이고 S4 및 S6을 넓게 설정된 것을 볼 수 있다. S2나 S9는 타 터치 버튼에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그 넓이를 작게 하고, 타 터치 버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S4 및 S6은 각각 그 인식 범위를 넓게 함으로써 손가락이 큰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버튼이 눌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11 is an exemplary view comparing touch pad button regions change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while the areas S2, S4, S6, and S9 used for the scrolling operation have the same size, the area of S2 and S9 is reduced by the user and S4 and S6 are widely set. Since S2 and S9 do not affect other touch buttons, the width is made smaller. S4 and S6, which may affect other touch buttons, have wider recognition ranges, respectively, to prevent buttons with large fingers from being pressed. can do.

도 1은 일반적인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general terminal.

도 2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2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n exampl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3은 도 2의 제1조작부의 하부에 형성된 터치 패드 IC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FIG. 3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touch pad IC formed under the first operator of FIG. 2.

도 4 및 도 5는 손가락이 큰 사용자가 터치 패드 버튼을 누르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에러의 예시도이다.4 and 5 are exemplary diagrams of an error that may occur when a user with a large finger presses a touch pad button.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라 터치패드 영역 설정을 위한 메뉴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6 illustrates a menu screen for setting a touch pad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된 터치 패드 버튼 영역 및 그 변화를 나타낸 예시도이다.7 to 9 are exemplary views illustrating a touch pad button region displayed through a display device and changes thereo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 따라 수치를 입력하여 터치 패드 버튼 영역을 설정하는 방식을 나타낸 예시도이다.10 and 11 are exemplary diagrams illustrating a method of setting a touch pad button region by inputting numerical values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8)

사용자 손가락의 이동범위 내에 다수의 영역이 순차적으로 배치되며 각 영역에 가해지는 물리적인 압력을 감지하여 상응하는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터치 패드; A touch pad in which a plurality of areas are sequentially arranged within a moving range of a user's finger and detecting a physical pressure applied to each area to convert into a corresponding electric signal;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터치 패드의 버튼 영역 정보 및 해당 영역에 할당된 버튼 정보를 저장한 메모리;A memory storing button area information of a touch pad set by a user and button information allocated to the corresponding area; 터치 패드로부터 제공된 신호 및 이에 상응하는 정보를 메모리로부터 읽어들여 입력신호로 인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동통신 단말기.And a controller for reading a signal provided from the touch pad and corresponding information from the memory as an input signal. 제 1 항에 있어서, 터치 패드의 버튼 영역 설정은 단말기 측면에 구비된 상하 조절키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claim 1, wherein the button area of the touch pad is set using up and down control key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터치 패드의 버튼 영역은 사용자가 입력한 수치에 의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The mobile terminal of claim 1, wherein the button area of the touch pad is set by a numerical value input by a user.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터치 패드의 버튼 영역 설정에 따라 변화되는 버튼 영역의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설정과정 중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claim 2 or 3, wherein the information on the button area that is changed according to the button area setting of the touch pad is displayed during the setting process through the display device. 제 4 항에 있어서, 터치 패드의 버튼 영역 정보는 넓이의 변화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claim 4, wherein the button area information of the touch pad is displayed as a change in width. 터치 패드 영역 설정 메뉴로 진입하는 과정;Entering a touch pad region setting menu; 변경 대상 버튼을 선택하는 과정;Selecting a change target button; 사용자로부터 터치 패드 영역 변경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Receiving a touch pad region change control signal from a user; 변경 제어 신호에 따라 변경되는 터치 패드 영역을 표시하는 과정;Displaying a touch pad area changed according to the change control signal; 터치 패드 영역의 사용자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조작부 버튼 영역 설정 방법.Method of setting a control panel button area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the step of storing the user setting information of the touch pad area. 제 6 항에 있어서, 터치 패드 영역 변경을 위한 제어신호는 단말기 일측에 구비된 상하 조절키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조작부 버튼 영역 설정 방법.7.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control signal for changing the touch pad area uses up and down control key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terminal. 제 6 항에 있어서, 터치 패드 영역 변경을 위한 제어신호는 숫자키를 이용한 수치의 직접 입력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조작부 버튼 영역 설정 방법.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control signal for changing the touch pad area is performed by direct input of a numerical value using a numeric key.
KR1020070089492A 2007-09-04 2007-09-04 A mobile telecommunication device and a method for setting the area of a touch pad button KR10144361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9492A KR101443615B1 (en) 2007-09-04 2007-09-04 A mobile telecommunication device and a method for setting the area of a touch pad butt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9492A KR101443615B1 (en) 2007-09-04 2007-09-04 A mobile telecommunication device and a method for setting the area of a touch pad butt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4457A true KR20090024457A (en) 2009-03-09
KR101443615B1 KR101443615B1 (en) 2014-09-23

Family

ID=40693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9492A KR101443615B1 (en) 2007-09-04 2007-09-04 A mobile telecommunication device and a method for setting the area of a touch pad butt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3615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87309A1 (en) * 2010-12-22 2012-06-28 Intel Corporation Touch sensor gesture recognition for operation of mobile devices
US10510097B2 (en) 2011-10-19 2019-12-17 Firstface Co., Ltd. Activating display and performing additional function in mobile terminal with one-time user input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73684A (en) * 1991-12-26 1993-07-13 Nec Corp Keyboard devic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87309A1 (en) * 2010-12-22 2012-06-28 Intel Corporation Touch sensor gesture recognition for operation of mobile devices
US10510097B2 (en) 2011-10-19 2019-12-17 Firstface Co., Ltd. Activating display and performing additional function in mobile terminal with one-time user input
US10896442B2 (en) 2011-10-19 2021-01-19 Firstface Co., Ltd. Activating display and performing additional function in mobile terminal with one-time user input
US11551263B2 (en) 2011-10-19 2023-01-10 Firstface Co., Ltd. Activating display and performing additional function in mobile terminal with one-time user inpu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3615B1 (en) 2014-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0563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switching broadcast channel or broadcast channel list of mobile terminal
KR101388152B1 (en)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menu icon therefor
KR10139813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laying moving-picture in mobile terminal
US9052769B2 (en) Mobile terminal having a flexible display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8467833B2 (en) Mobile terminal
US20100110010A1 (en) Mobile terminal using touch screen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457590B1 (en) Mobile terminal and pointer control method thereof
KR20090034215A (en) Mobile terminal and it's character input method
KR20090034218A (en) Mobile terminal and pointer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09003466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laying music in mobile terminal
KR101377957B1 (en) Method for managing schedule in portable terminal and portable terminal using the same
KR101405934B1 (en) Terminal having function for detecting key rotation and method using the same
KR101387507B1 (en) A mobile telecommunication device and a method of sub-menu operating thereof
KR20090024457A (en) A mobile telecommunication device and a method for setting the area of a touch pad button
KR20090032582A (en)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volume for visual communication in thereof
KR101474416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keypad thereof
KR101415764B1 (en) Mobile terminal and its menu location moving method
KR101476293B1 (en)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KR101451653B1 (en)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controlling keypad thereof
KR101626308B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090035239A (en) A mobile telecommunication device and a method of data sharing thereof
KR101537698B1 (en)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080113667A (en) Portable terminal and user interface thereof
KR20090024416A (en)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executing a function in the portable terminal
KR20090011502A (en)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