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3735A - Nfc enabled pointing with a mobile device - Google Patents

Nfc enabled pointing with a mobile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3735A
KR20090023735A KR1020097001516A KR20097001516A KR20090023735A KR 20090023735 A KR20090023735 A KR 20090023735A KR 1020097001516 A KR1020097001516 A KR 1020097001516A KR 20097001516 A KR20097001516 A KR 20097001516A KR 20090023735 A KR20090023735 A KR 200900237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device
communication unit
orientation
communication
near f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15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한스 엠 비 보에브
테우니스 제이 익킨크
코넬리스 제이 우다
Original Assignee
엔엑스피 비 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엑스피 비 브이 filed Critical 엔엑스피 비 브이
Publication of KR20090023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373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4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near-field transmission
    • H04B5/48Transceiv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A system comprises a communication terminal (CT1) which has a 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10) for near field communication with a mobile device (MD1) when in range of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10). An output device (OD1; OD2) is positioned outside the range of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10) to provide output to a user of the mobile device (MD1). A controller (11) controls the output device (OD1; OD2) to provide the output dependent on an orientation (D1) of the mobile device (MD1).

Description

통신 시스템 및 방법과 이동 장치{NFC ENABLED POINTING WITH A MOBILE DEVICE}TECHNICAL SYSTEM AND METHOD AND MOBILE DEVICES

본 발명은 통신 단말기, 출력 장치 및 제어기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comprising a communication terminal, an output device and a controller. 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munication method.

최근에 도입된 무선 근거리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NFC로도 지칭됨) 기술은 무접촉 식별 및 접속 기술의 결합으로부터 진화되었다. 이 통신 기술은 장치들을 단지 서로 인접하게 위치시킴으로써 이들 장치들을 연결하고 이들 사이에 데이터를 공유하는 용이하고 직관적인 방식을 제공한다. 단지 단거리를 통해 동작하고 사용자에 의해 어떠한 구성도 요구하지 않음으로써, NFC는 소비자들이 그들의 휴대용 전화기를 통해 그들 주위의 접속된 세상과 상호작용하도록 해주는 이상적인 방식이다. NFC는 ECMA-340(ISO/IEC 18092) 하에서 표준화되고 13.56 MHz로 동작한다. NFC는 필립스사의 MIFAFE 및 소니사의 FeliCa 무접촉 스마트 카드 플랫폼과 완전히 호환가능하다.Recently introduced Near Field Communication (also referred to as NFC) technology has evolved from a combination of contactless identification and access technology. This communication technology provides an easy and intuitive way to connect devices and share data between them by simply placing devices close to each other. By operating only over short distances and not requiring any configuration by the user, NFC is an ideal way to allow consumers to interact with the connected world around them through their mobile phones. NFC is standardized under ECMA-340 (ISO / IEC 18092) and operates at 13.56 MHz. NFC is fully compatible with Philips' MIFAFE and Sony's FeliCa contactless smart card platforms.

NFC는 근접성 기반의 극도로 낮은 전력의 무선 기술이며, 이 기술은 수 센티 미터의 거리에 걸쳐 장치들 간에 정보가 전송되도록 해준다. 따라서, 장치는 통신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서로 근접하게 위치되어야 한다. 트랜잭션은 본래 통신 장치 간의 거리가 짧기 때문에 안전하지만, 보다 안전한 트랜잭션은 NFC를 SIM 카드 또는 필립스사의 SmartMX와 같은 스마트 카드 제어기와 결합함으로써 보장될 수 있다. 그 결과 휴대용 전화기는 예를 들어 3-DES 암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NFC is a proximity-based, extremely low-power wireless technology that allows information to be transferred between devices over a few centimeters. Thus, the devices must be intentionally located in close proximity to each other in order to communicate. Transactions are inherently secure because of the short distance between communication devices, but more secure transactions can be guaranteed by combining NFC with a smart card controller such as a SIM card or Philips' SmartMX. As a result, the portable telephone can perform 3-DES encryption, for example.

NFC의 공지된 애플리케이션은 두 개의 NFC-가능 전화기를 함께 묶어(tapping) 전화 회의를 시작하거나 또는 전화 번호를 즉석에서 교환하는 것과, 또는 전화기를 관심 있는 DVD에 갖다 대어 짧은 예고편을 보는 것과, 또는 콘서트용 포스트를 전화기로 접촉하여 전화기에 리마인더(reminder)를 저장하거나 또는 티켓을 사는 것을 포함한다.Known applications of NFC include: tapping two NFC-enabled phones together to start a conference call or exchange phone numbers on the fly, or tap the phone to a DVD of interest to watch a short trailer, or a concert Contacting the post with a phone to store a reminder on the phone or buying a ticket.

그러나, NFC와 관련된 애플케이션은 본래 근접성에 기반을 두고 동작하기 때문에 제한된다.However, applications related to NFC are inherently limited because they operate based on proximity.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 장치가 사용되지만 이동 장치에 의한 NFC 동작에 응답하여 사용자에 제공되는 출력이 이동 장치의 주변에 있을 필요가 없는 NFC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NFC system in which a mobile device is used but the output provided to the user in response to the NFC operation by the mobile device need not be around the mobile device.

본 발명의 제 1 측면은 청구항 1항에 기재된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2 측면은 청구항 16 항에 기재된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속항에 정의된다.A first aspect of the invention provides a system as claimed in claim 1. A second aspect of the invention provides a method as claimed in claim 16. Preferred embodiments are defined in the dependent claims.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시스템은 이동 장치가 근거리 통신 유닛의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이동 장치와의 근거리 통신을 위한 근거리 통신 유닛을 구비한 통신 단말기를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이동 장치 및 근거리 통신 유닛이 통신할 수 있는 범위는 20㎝ 미만이다. 시스템은 근거리 통신 유닛의 범위 밖에 위치한 출력 장치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통신 단말기와 출력 장치 사이의 거리는 비교적 멀다. NFC를 시작하기 위해 통신 단말기에 충분히 근접해 있는 이동 장치는 출력 장치와 NFC를 시작하기에는 출력 장치로부터 너무 멀리 떨어져 있다. 대개, 사실은 NFC 기능을 갖는 출력 장치가 필요하지는 않다. 출력 장치는 이동 장치의 사용자에게 출력을 제공하고 제어기는 출력 장치를 제어하여 이동 장치의 배향에 의존하는 출력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출력 장치는 가시적 및/또는 청각적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나타낼 수 있다.The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invention comprises a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for near field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device when the mobile device is within the range of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Typically, the range in which the mobile device and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can communicate is less than 20 cm. The system further includes an output device located outside the range of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Thus, the distance between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output device is relatively far. Mobile devices that are close enough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to start NFC are too far from the output device and the output device to start NFC. Usually, in fact, you do not need an output device with NFC capability. The output device provides an output to a user of the mobile device and the controller controls the output device to provide an output that depends on the orientation of the mobile device. For example, the output device can present visual and / or audio feedback to the user.

이 시스템에서, 대개 손안에 보유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이동 장치는 NFC가 시작되도록 통신 단말기 근처로 이동된다. 이동 장치를 임의대로 배향할 수 있는 자유권은 이동 장치의 배향에 의존하는 출력을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이동 장치는 예를 들어 이동 전화기 또는 PDA(개인 보조 단말기)이다. 이러한 시스템은 흔히 호스트 시스템으로서 지칭된다.In this system, a mobile device, usually operated by a user by holding it in his hand, is moved near the communication terminal so that NFC is started. The freedom to orient the mobile device arbitrarily is used to control the output depending on the orientation of the mobile device. The mobile device is for example a mobile phone or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Such a system is often referred to as a host system.

이와 같이 배향 정보를 제공하는 이동 장치는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Bluewand는 손의 움직임에 의해 블루투쓰 가능 장치를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작은 펜 형태의 장치이다. 6-축 가속도계 및 자이로스코프 시스템은 공간에서 펜의 전체 배향 및 움직임을 검출한다. 블루투스 무선 링크는 이 데이터를 임의의 합력 장치에 전달하며, 이 장치는 관련 명령을 수행한다.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은 다양한 소비자 전자장치의 원격 제어, 기계 및 빌딩에 대한 액세스 제어, 가상 레이저 포인터 및 이동 게임을 포함한다.As such, a mobile device that provides orientation information is known. Bluewand, for example, is a small pen-type device used to control Bluetooth-enabled devices by hand movement. Six-axis accelerometers and gyroscope systems detect the overall orientation and movement of the pen in space. The Bluetooth radio link delivers this data to any coalescing device, which performs the relevant commands. Possible applications include remote control of various consumer electronics, access control for machines and buildings, virtual laser pointers and mobile games.

청구항 2항에 기재된 실시예에서, 출력 장치는 디스플레이 정보를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로서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어야 한다. 이와 달리,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는 투영 스크린 또는 벽 상에 디스플레이되어야 한다. 디스플레이 정보는 이미지, 필름 또는 임의의 다른 가상 정보일 수 있다. 제어기는 통신 단말기를 통해 이동 장치의 배향에 대한 배향 정보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배향 정보는 이동 장치의 방향 또는 방위각과, 하나 이상의 차원에서의 경사각과, 회전과,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일 수 있다. 이와 달리, 배향 정보는 예를 들어 지구 표면에 대한 이동 장치의 배향을 나타내는 미처리 데이터(raw data)일 수 있고, 이제 제어기는 이 미처리 데이터를 처리하여 이동 장치의 배향을 얻을 수 있다.In the embodiment as claimed in claim 2, the output device is a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display information as displayed information. The information displayed should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device. In contrast, the information displayed must be displayed on a projection screen or wall. The display information can be an image, film or any other virtual information. The controller receives via the communication terminal orientation information about the orientation of the mobile device. For example, the orientation information can be the direction or azimuth of the mobile device, the tilt angle in one or more dimensions, the rotation, or any combination thereof. Alternatively, the orientation information can be, for example, raw data representing the orientation of the mobile device with respect to the earth's surface, and the controller can now process this raw data to obtain the orientation of the mobile device.

제어기는 이동 장치의 배향에 의존하는 디스플레이되는 정보 내의 위치를 나타내는 시각적 표시자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이동 장치의 배향을 변경함으로써 또는 이동 장치를 특정 배향으로 고정함으로써 표시되는 마커(maker)가 디스플레이 내의 위치에 표시된다. 이와 달리, 이동 장치의 배향은 디스플레이 정보 내에서 특정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이 선택은 예를 들어 영역을 강조(highlighting)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가시적으로 이루어진다. 이 강조는 예를 들어 휘도 증가, 컬러 변경, 영역 주변에 선긋기, 또는 이동 장치의 실제 배향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되는 정보 내의 위치를 사용자에게 나타내는 임의의 다른 방식일 수 있다.The controller generates a visual indicator that indicates a position in the displayed information that depends on the orientation of the mobile device. For example, a marker displayed by changing the orientation of the mobile device or by fixing the mobile device to a specific orientation is displayed at a location within the display. Alternatively, the orientation of the mobile device can select a particular area within the display information. This selection is made visible to the user, for example by highlighting the area. This emphasis may be, for example, an increase in brightness, a color change, a line around the area, or any other way of indicating to the user a location in the displayed information that corresponds to the actual orientation of the mobile device.

청구항 3에 기재된 실시예에서, 가시적 표시자는 디스플레이되는 정보의 특정 영역에 대해 이동 장치의 포인팅 방향에 의해 정의된 디스플레이되는 정보 내의 위치를 나타낸다. 이제, 포인팅 방향을 갖는 이동 장치는 디스플레이되는 정보에 대해 포인팅하며, 이는 이동 장치의 배향을 사용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정보 상의 위치를 나타내는 가장 직관적인 방식이다. 대개, 이동 장치는 사용자에게 그의 포인팅 방향이 무엇인지를 명확하게 나타내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이동 장치는 포인팅 축을 갖는 길게 늘어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In the embodiment described in claim 3, the visible indicator indicates the position in the displayed information defined by the pointing direction of the mobile device with respect to the particular area of the displayed information. Now, a mobile device with a pointing direction points to the displayed information, which is the most intuitive way of indicating the location on the displayed information using the orientation of the mobile device. Usually, the mobile device is configured to clearly indicate to the user what his pointing direction is. For example, the moving device can have an elongated shape with a pointing axis.

청구항 4항에 기재된 실시예에서, 제어기는 통신 단말기 또는 시스템의 또 다른 통신 단말기와 통신하는 또 다른 이동 장치와 연관된 추가적인 가시적 표시자와 유일무이하게 구분되도록 선택된 외관을 갖는 가시적 표시자를 이 이동 장치에 할당하기 위해 이동 장치의 개인 식별자를 검색한다. 상이한 이동 장치에 대한 상이한 표시자의 할당을 통해 상이한 사용자는 동시에 시스템과 통신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 각각은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특정 표시자를 갖는다. 표시자가 마커인 경우, 마커의 형상 및/또는 컬러는 상이할 수 있다. 표시자가 예를 들어 버튼을 나타내는 특정 영역의 강조인 경우, 상이한 사용자에 대해 상이한 컬러가 사용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as set forth in claim 4, the controller assigns to this mobile device a visible indicator having an appearance selected to be uniquely distinguished from an additional visible indicator associated with another mobile device communicating with a communication terminal or another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system. Retrieve the personal identifier of the mobile device. The assignment of different indicators for different mobile devices allows different users to communicate with the system at the same time. Each user has a specific indicator that the user can recognize. If the indicator is a marker, the shape and / or color of the marker may be different. If the indicator is an emphasis of a particular area representing a button, for example, different colors may be used for different users.

청구항 5항에 기재된 실시예에서, 출력 장치는 예를 들어 확성기와 같은 소리 변환기이다. 제어기는 이동 장치의 배향에 대한 정보를 통신 단말기롤 통해 수신한다. 제어기는 이동 장치의 배향에 의존하여 소리 변환기를 활성화한다. In an embodiment as claimed in claim 5, the output device is a sound transducer, for example a loudspeaker. The controller receives information about the orientation of the mobile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terminal. The controller activates the sound transducer depending on the orientation of the mobile device.

청구항 6에 기재된 실시예에서, 소리 변환기는 이동 장치가 소리 변환기를 포인팅하는 경우에 활성화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나타내는 이력은 확성기에서 사전결정된 기간 동안 포인팅함으로써 시작된다. 확성기는 소리가 디스플레이되는 정보와 자동적으로 연관되도록 디스플레이되는 정보의 이웃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달리, 확성기는 헤드폰의 일부일 수 있다.In the embodiment described in claim 6, the sound transducer is activated when the mobile device points to the sound transducer. For example, a history indicating what is displayed is started by pointing in a loudspeaker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The loudspeaker may be placed next to the displayed information such that the sound is automatically associated with the displayed information. Alternatively, the loudspeaker may be part of the headphones.

이와 달리, 이동 장치의 배향은 조명을 제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장치의 배향은 램프를 어둡게 하거나 또는 램프의 컬러를 제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체 상태 조명에서, LED 램프 또는 픽셀화된 벽(pixilated wall)의 컬러가 조정될 수 있다. 픽셀화된 벽에서, 포인팅된 위치는 LED의 깜빡거림 또는 LED의 컬러 변경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이동 장치의 배향은 소리의 볼륨/피치/균형, 광(또는 픽셀)의 강도/컬러, 실내 온도, 카메라의 줌 기능, 또는 임의의 또 다른 양을 제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양은 이동 장치의 포인팅 축 주위의 1D 회전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orientation of the mobile device can be used to control the illumination. For example, the orientation of the mobile device can be used to dim the lamp or to control the color of the lamp. For example, in solid state lighting, the color of the LED lamp or pixelated wall may be adjusted. In a pixelated wall, the pointed position may be indicated by blinking of the LED or by color change of the LED. Alternatively, the orientation of the mobile device can be used to control the volume / pitch / balance of sound, the intensity / color of light (or pixels), the room temperature, the zoom function of the camera, or any other amount. This amount can be controlled by 1D rotation around the pointing axis of the mobile device.

또 다른 실시예에서, 출력 장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지칭되는 시스템으로부터의 정보는 이동 장치에 전송되어 이동 장치 그 자체의 출력 소자 상에서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된다. 이러한 출력 소자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다. 일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이름 또는 옵션을 갖는 스크린이다. 이름 또는 옵션과 관련된 보다 자세한 정보는 이동 장치에 전송되어 디스플레이 상에서 디스플레이된다. 그 결과 사용자는 정보를 보다 적절히 판독할 수 있다. 이러한 것은 장애인 또는 노인에게는 유리할 수 있지만, 또한 저녁과 밤의 환경 동안에도 비교적 유리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정확히 보이도록 하기 위해 광을 증가시킬 것이다. 이에 대한 하나의 바람직한 변형예에서, 이름의 목록을 통해, 사용자는 전화 호출과 같은 무선 접속을 설정하기 위해 이름들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인접한 도어(door)을 열도록 요청할 수 있고 또는 다른 정보를 요청할 수도 있다. In yet another embodiment, the output device is a user interface. Information from the system, called the user interface,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device and displayed to the user on the output element of the mobile device itself. Such an output element is for example a display. In one application, the user interface is a screen with a name or option. More detailed information related to the name or option is sent to the mobile device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As a result, the user can read the information more appropriately. This may be beneficial for the disabled or the elderly, but may also be relatively advantageous during evening and night environments. The display will increase the light to make it look correct. In one preferred variant of this, the list of names allows the user to select one of the names to establish a wireless connection, such as a telephone call. The user may request to open a door adjacent to the user interface or may request other information.

또 다른 애플케이션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선택을 통해 동작이 개시될 것이다. 이 결과는 이동 장치의 출력 소자 상에 보여질 것이다. 이것은 안내데스크에서 이동 장치로의 전화 호출일 수 있다. 이것은 사무실 내에서 선택된 위치를 찾기 위한 과정에 대한 보다 상세한 정보일 수 있다. 또 다른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보안 특징일 수 있다. 예를 들어, NFC 프로토콜을 통한 식별 이후, 사용자는 그의 이동 장치를 이용하여 선택된 영역을 포인팅하도록 요청받을 수 있다.In another application, operation will be initiated through selection of a user interface. This result will be shown on the output element of the mobile device. This may be a telephone call from the information desk to the mobile device. This may be more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process for finding a selected location within the office. In another application, the user interface may be a security feature. For example, after identification via the NFC protocol, the user may be asked to point to the selected area using his mobile device.

청구항 7항에 기재된 실시예에서, 근거리 통신 유닛과의 통신이 수립된 이후, 제어기는 근거리 통신 유닛의 위치와 이동 장치의 배향에 기초하여 이동 장치의 포인팅 방향을 결정한다. 통신 단말기와 출력 장치의 (상대적) 위치는 시스템에 의해 정의되고 따라서 알려져 있다. 적어도 통신의 시작시, 이동 장치는 통신 단말기 근처에 배치되어 있어야 하기 때문에, 출력 장치에 대한 이동 장치의 위치는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동 장치의 위치를 알 필요는 없고, 지상의 표면 또는 지구 자기장 또는 지구 중력장 또는 이들의 조합에 대한 그의 각도를 아는 것으로 충분하다. 이 실시예는 이동 장치가 그의 위치를 감지해야 하거나 또는 그의 위치를 통신 단말기에 통신해야 할 필요성이 없다는 장점을 갖는다.In the embodiment as claimed in claim 7, after the communication with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is established, the controller determines the pointing direction of the mobile device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and the orientation of the mobile device. The (relative) location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output device is defined by the system and thus known. The position of the mobile device relative to the output device is known since at least at the beginning of the communication the mobile device must be arranged near the communication terminal. Thus, it is not necessary to know the location of the mobile device, and it is sufficient to know its angle with respect to the surface of the ground or the earth's magnetic field or the earth's gravity field or a combination thereof. This embodiment has the advantage that the mobile device does not have to sense its location or communicate its location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청구항 8항에 기재된 실시예에서, 호스 시스템은 이동 장치와의 통신을 위해 추가적인 통신 유닛을 더 포함한다. 이 추가적인 통신 유닛의 범위는 근거리 통신 유닛의 범위보다 크다. 이 추가적인 통신 유닛은 블루투쓰, WIFI 또는 임의의 다른 무선 통신을 NFC가 수행할 수 있는 것보다 먼 거리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이것은 NFC 통신이 개시된 이후, 이동 장치와 호스트 시스템 간의 통신은 보다 큰 범위의 통신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사용자는 보다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사용자가 NFC를 유지하기 위해 통신 단말기의 바로 이웃에 장시간 동안 이동 장치를 유지시키는 것은 귀찮은 것으로 보인다. 사람들은 NFC가 개시된 이후 그들의 팔을 정지된 위치로 이동시키려는 경향이 있다. 통신은 이제 추가적인 통신 유닛에 의해 유지된다. 이 추가적인 통신 유닛은 통신 단말기 내에 위치할 수도 있고 또는 위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다수의 NFC 통신 단말기를 지원하는데 단일의 추가적인 통신 유닛을 사용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as claimed in claim 8, the hose system further comprises an additional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the mobile device. The range of this additional communication unit is greater than that of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This additional communication unit can provide Bluetooth, WIFI or any other wireless communication over a greater distance than NFC can perform. This has the advantage that after NFC communication is initiated,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mobile device and the host system can be performed by a larger range of communication and thus the user can move more freely. It seems cumbersome for the user to keep the mobile device for a long time in the immediate neighborhood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to maintain NFC. People tend to move their arms to a stationary position after NFC is initiated. Communication is now maintained by additional communication units. This additional communication unit may or may not be located with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A single additional communication unit can be used to support multiple NFC communication terminals.

NFC가 더 이상 가능하지 않다는 것이 검출된 이후에 보다 긴 범위의 통신이 수립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통신이 중단되는 단점을 가질 수도 있다.Longer range communication may be established after it is detected that NFC is no longer possible. However, this may have the disadvantage that communication is interrupted.

청구항 9항에 기재된 실시예에서, 제어기는 근거리 통신이 수립된 이후 호스트 시스템과 이동 장치 간의 통신을 근거리 통신 유닛에서 추가적인 통신 유닛으로 스위칭한다. 따라서, 적어도 NFC의 시작 동안, 이동 장치는 통신 단말기에 충분히 가까이 있을 필요가 있다. 통신이 시작되면, 보다 긴 범위의 통신이 NFC를 수행한다. 따라서, 보다 긴 범위의 통신은 NFC가 시작된 이후 거의 즉시 NFC를 수행한다. 따라서, 이동 장치가 통신 단말기로부터 멀어지고 NFC가 더 이상 가능하지 않은 경우에도, 통신은 보다 긴 범위의 통신 유닛을 통해 이미 활성되어 있기 때문에 계속된다.In the embodiment described in claim 9, the controller switches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host system and the mobile device from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to the further communication unit after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is established. Thus, at least during the start of NFC, the mobile device needs to be close enough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communication begins, a longer range of communication performs NFC. Thus, longer range communications perform NFC almost immediately after NFC is started. Thus, even when the mobile device is far from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NFC is no longer possible, communication continues because it is already active through a longer range of communication units.

청구항 10항에 기재된 실시예에서, 제어기는 출력 장치를 포인팅하는 동안 이동 장치의 위치를 변경하면서 이동 장치의 평균 배향을 모니터링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의 동일한 영역을 여전히 포인팅하면서 통신 단말기로부터 이동 장치를 멀리 이동시키는 경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의 동일한 위치를 포인팅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따라서, 위치 변경으로 인한 이동 장치의 변경된 배향을 보정할 수 있다. 이 모니터링 모드는 NFC가 더 이상 불가능하다고 검출되는 경우 활성화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as claimed in claim 10, the controller monitors the average orientation of the mobile device while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mobile device while pointing the output device. For example, if the user moves the mobile device away from the communication terminal while still pointing to the same area of the displayed image, the user is considered to be pointing to the same location of the displayed imag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orrect the changed orientation of the mobile device due to the position change. This monitoring mode can be activated if it is detected that NFC is no longer possible.

일 실시예에서, 이동 장치는 이동 장치의 배향을 나타내는 배향 센서로서 전자 나침반을 포함한다. 이러한 전자 나침반의 예는 미국 캘리포니아에 소재한 Heoneywell의 "TruePoint Compass Module"이다. 이 전자 나침반의 설명은 Honeywell의 웹사이트에서 알 수 있다. TruePoint Compass Module는 임의의 배향에서 사용될 수 있는 정확한 세 개의 축의 디지털 나침반 모듈이다. 세 개의 실리콘 자기계 및 세 개의 가속도계로부터의 데이터는 결합되어 나침반 방위각, 피스(pith) 및 회전각을 제공한다. 따라서, 이러한 나침반은 배향 정보를 제공하는데 매우 적합하다. 이러한 전자 나침반의 또 다른 예는 PCT/IB2006/051314 (PH000613) 및 PCT/IB2006/051317(PH000319)에 개시되어 있는 3차원 가속도계 및 2차원 자기계를 포함한다. 자기계가 3차원 센서일 필요는 없지만 2차원 센서일 수 있다는 사실은 2차원 자기계 센서가 보다 용이하게 또한 보다 적은 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고 보다 내구성이 있으며 보다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는 사실 때문에 큰 장점이다.In one embodiment, the mobile device includes an electronic compass as an orientation sensor indicating the orientation of the mobile device. An example of such an electronic compass is Heoneywell's "TruePoint Compass Module" in California, USA. A description of this electronic compass can be found on Honeywell's website. The TruePoint Compass Module is a precise three axis digital compass module that can be used in any orientation. Data from three silicon magnetometers and three accelerometers are combined to provide a compass azimuth, piece and rotation angle. Thus, such a compass is well suited for providing orientation information. Another example of such an electronic compass includes the three-dimensional accelerometer and two-dimensional magnetic field disclosed in PCT / IB2006 / 051314 (PH000613) and PCT / IB2006 / 051317 (PH000319). The fact that the magnetic field does not need to be a three-dimensional sensor, but the fact that it can be a two-dimensional sensor is a big advantage due to the fact that two-dimensional magnetic field sensors can be manufactured more easily and at a lower cost, more durable and have a smaller size. to be.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측면은 이하에서 기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These and other aspects of the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청구항 1항의 시스템에 사용되는데 적합한 이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 장치는 근거리 통신 유닛과의 근거리 통신을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이동 장치는 이동 장치의 배향을 나타내는 전자 나침반을 더 포함한다. 전자 나침반은 근거리 통신 유닛으로부터 얻어진 위치 데이터의 도움을 통해 조정된다. 이러한 조정은 시스템 내의 제어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 사용자에 대한 정보는 이동 장치 그 자체의 임의의 출력 장치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는 그의 이동 장치의 임의의 입력 수단을 통해 정보를 시스템에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바람직하게는 W-LAN, 블루투쓰 등과 같은 또 다른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 단말기와 이동 장치 간에 통신된다.In another aspect, the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device suitable for use in the system of claim 1. According to the invention, a mobile device comprises means for near field communication with a 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The mobile device further includes an electronic compass indicating the orientation of the mobile device. The electronic compass is calibrated with the help of location data obtained from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This adjustment can be accomplished by a controller in the system. In the following, information about the user may be provided on any output device of the mobile device itself. The user can transmit information to the system via any input means of his mobile device. This information is preferably communicated between th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mobile device using another communication protocol such as W-LAN, Bluetooth or the like.

도 1은 NFC에 적합한 통신 단말기와 이 통신 단말기와 통신하는 이동 장치를 포함하여 이동 장치의 배향에 의존하는 출력을 제공하도록 출력 장치를 제어하는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1 schematically illustrates a configuration for controlling an output device to provide an output that depends on the orientation of the mobile device, including a communication terminal suitable for NFC and a mobile device in communication with the communication terminal;

도 2는 이동 장치 및 통신 단말기의 블록도.2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device and a communication terminal.

상이한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부호를 갖는 항목은 동일한 구조적 특징 및 동일한 기능을 갖거나, 동일한 신호이다. 이러한 항목의 기능 및/또는 구조는 설명된 경우, 상세한 설명에서 그들에 대해 반복적으로 설명할 필요는 없다.Items hav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 in different drawings have the same structural features and the same function or are the same signal. The functions and / or structures of these items, if described, need not be repeated about them in the detailed description.

도 1은 NFC에 적합한 통신 단말기와 이 통신 단말기와 통신하는 이동 장치를 포함하여 이동 장치의 배향에 의존하는 출력을 제공하도록 출력 장치를 제어하는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시되어 있는 시스템은 세 개의 통신 단말기(CT1,CT2,CT3)를 포함한다. 도시되어 있는 예에서, 출력 장치는 디스플레이 정보(DI1)가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OD1), 디스플레이 정보(DI2)를 실내의 벽에 투영하는 프로젝터(미도시), 및 두 개의 스피커(OD2,OD3)를 포함한다. 이와 달리, 디스플레이는 몇몇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포함하는 화상 벽(video-wall) 또는 함께 큰 이미지를 함께 생성하는 프로젝터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정보는 판매 물품, 광고, 음악 재생 목록, 투표, 게임 입력 및 박물관 정보일 수 있다. 이동 장치(MD1,MD2,MD3)는 통신 단말기(CT1,CT2,CT3)와 각각 NFC(근거리 통신) 관계에 있다. 제 1 시스템은 통신 단말기(CT1,CT2,CT3)와 출력 장치(OD1,OD2,OD3)를 포함한다. 제 2 시스템은 통신 단말기(CT3) 및 프로젝터를 포함한다. 양 시스템에서, 통신 단말기(CT1 내지 CT3)와 출력 장치(OD1 내지 OD3)의 상대적 위치 및 디스플레이되는 정보(DI1,DI2) 의 위치는 알려져 있다.1 schematically illustrates a configuration for controlling an output device to provide an output that depends on the orientation of the mobile device, including a communication terminal compliant with NFC and a mobile device in communication with the communication terminal. The illustrated system includes three communication terminals CT1, CT2, and CT3. In the example shown, the output device includes a display device OD1 having a display screen on which display information DI1 is displayed, a projector (not shown) that projects the display information DI2 to a wall of the room, and two speakers ( OD2, OD3). Alternatively, the display can be formed by a video-wall containing several display screens or by a projector that together produces a large image. For example, the display information can be sales items, advertisements, music playlists, voting, game inputs, and museum information. The mobile devices MD1, MD2, MD3 are in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relationship with the communication terminals CT1, CT2, CT3, respectively. The first system includes communication terminals CT1, CT2 and CT3 and output devices OD1, OD2 and OD3. The second system includes a communication terminal CT3 and a projector. In both systems,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s CT1 to CT3 and the output devices OD1 to OD3 and the positions of the displayed information DI1 and DI2 are known.

제 1 시스템에서, 이동 장치(MD1)를 보유하는 제 1 사용자는 마커(30)에 의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장치(OD1)의 스크상의 위치에 대해 이동 장치를 이용하여 포인팅한다. 이동 장치(MD1,MD2)는 각각 통신 단말기(CT1,CT2)에 인접해 있기 때문에, 디스플레이되는 정보(DI1)에 대한 그들의 위치는 잘 알려져 있다. 이동 장치(MD1,MD2)의 배향을 통신 단말기(CT1,CT2)에 각각 통신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이동 장치(MD1,MD2)의 통신된 배향 및 가정된 위치로부터, 통신 단말기(CT1,CT2)는 이동 장치(MD1,MD2)가 포인팅하는 곳을 결정할 수 있다. 통신 단말기(CT1,CT2)는 디스플레이 정보(DI)(도 2 참조) 내에 마커(30,31)를 삽입하여 이동 장치(MD1,MD2)가 포인팅하는 제각기의 위치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정보(DI1)에 마커(30,31)를 디스플레이한다.In the first system, the first user holding the mobile device MD1 points using the mobile device with respect to the position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device OD1 indicated by the marker 30. Since the mobile devices MD1, MD2 are adjacent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s CT1, CT2, respectively, their positions with respect to the displayed information DI1 are well known. It is sufficient to communicate the orientation of the mobile devices MD1, MD2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s CT1, CT2, respectively. From the communicated orientation and assumed position of the mobile devices MD1, MD2, the communication terminals CT1, CT2 can determine where the mobile devices MD1, MD2 are pointing. The communication terminals CT1 and CT2 insert the markers 30 and 31 in the display information DI (see FIG. 2) to display the markers at the information DI1 displayed at respective positions pointed to by the mobile devices MD1 and MD2. Display (30, 31).

이들 마커(30,31)는 사용자가 포인팅하는 곳에 대하여 사용자에 대한 피드백으로서 사용된다. 예를 들어 동일한 영역에 대해 사전결정된 기간 보다 더 길게 포인팅함으로써 특정 동작이 취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커가 디스플레이되는 버튼 내에 있는 경우, 이 버튼에 의해 정의된 동작이 수행될 것이다. 이와 달리, 사용자는 이동 장치(MD1) 상의 버튼을 눌러 포인팅된 영역에 관련된 동작이 수행되어야 함을 나타낼 수 있다.These markers 30 and 31 are used as feedback to the user about where the user points. Certain actions may be taken, for example, by pointing to the same area longer than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For example, if the marker is in a button being displayed, the action defined by this button will be performed. Alternatively, the user may indicate that an operation related to the pointed area should be performed by pressing a button on the mobile device MD1.

동일한 방식으로, 사용자는 확성기(OD2,OD3) 중 하나에 이동 장치(MD1)를 포인팅하여 소리가 개시되어야 하거나 또는 재생이 중단되어야 함을 나타낼 수 있다.In the same way, the user may point mobile device MD1 to one of loudspeakers OD2 and OD3 to indicate that sound should be started or playback should be stopped.

두 개의 이동 장치(MD1,MD2) 각각이 상이한 위치에 있는 제각기의 연관된 통 신 단말기(CT1,CT2)와 통신하는 것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둘 이상의 NFC 트랜시버가 동일한 통신 단말기(CT1)에 존재할 수 있거나, 또는 둘 이상의 이동 장치(MD1,MD2)가 단일 NFC 트랜시버에 충분히 근접하게 있을 수 있으며 따라서 단일 통신 단말기(CT1)와 NFC를 수행할 수 있다. 단일 통신 단말기(CT1)는 다수의 출력 장치와 상호작용할 수 있다.It is not essential that each of the two mobile devices MD1, MD2 communicate with their respective communication terminals CT1, CT2 at different locations. Two or more NFC transceivers may be present in the same communication terminal CT1, or two or more mobile devices MD1, MD2 may be close enough to a single NFC transceiver and thus perform NFC with a single communication terminal CT1. have. A single communication terminal CT1 can interact with multiple output devices.

매우 직관적이지만, 이동 장치(MD1)가 마커가 삽입되어야 하는 위치에 포인팅해야 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NFC를 수립하는 경우 이동 장치(MD1)의 배향과는 무관하게, 마커는 스크린 상의 사전결정된 위치에 있어야 한다. NFC가 수립될 때의 배향에 대한 이동 장치(MD1)의 배향의 모든 변화는 표시된 방향으로 마커를 이동시킬 것이다.Although very intuitive, it is not necessary for the mobile device MD1 to point to the position where the marker should be inserted. For example, when establishing NFC, the marker must be in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screen, regardless of the orientation of the mobile device MD1. Any change in the orientation of the mobile device MD1 relative to the orientation when NFC is established will move the marker in the indicated direction.

제 2 시스템에서, 프로젝터는 버튼(B1 내지 B4)을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정보(DI2)를 투영한다. 통신 단말기(CT3)는 이동 장치(MD3)가 포인팅하는 위치를 결정하고 이동 장치(MD3)가 포인팅하는 위치가 이 버튼(B1 내지 B4) 중 하나에 의해 커버되는 영역 내에 있는 경우 버튼(B1 내지 B4) 중 상기 하나를 강조한다. 또 다시, 매우 직관적이기는 하지만, 이동 장치(MD3)가 버튼이 강조되어야 하는 위치를 포인팅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NFC를 수립하는 경우 이동 장치(MD1)의 배향과는 무관하게, 버튼(B1)은 강조된다. 이동 장치(MD3)의 배향의 모든 변화는 버튼(B1)의 중심으로부터의 시작으로서 이해될 것이다.In the second system, the projector projects the display information DI2 representing the buttons B1 to B4. The communication terminal CT3 determines the position pointed to by the mobile device MD3 and if the position pointed to by the mobile device MD3 is within the area covered by one of these buttons B1 to B4, the buttons B1 to B4. ). Again, although very intuitive, it is not necessary for the mobile device MD3 to point to where the button should be highlighted. For example, when establishing NFC, button B1 is highlighted regardless of the orientation of mobile device MD1. All changes in the orientation of the moving device MD3 will be understood as starting from the center of the button B1.

도 2는 이동 장치와 호스트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이동 장치(MD1)는 근거리 통신 유닛(20)과, 통신 유닛(21), 배향 센서(22) 및 개인 식별자 저장소(23)를 포 함한다. 호스트 시스템(HS)은 근거리 통신 유닛(10), 통신 유닛(12) 및 제어기(11)를 포함한다. 비록, 도 2에서는 근거리 통신 유닛(10), 통신 유닛(12) 및 제어기(11)가 물리적으로 통신 단말기(CT1) 내에 위치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제어기(11) 및/또는 통신 유닛(12)이 물리적으로 통신 단말기(CT1) 내에 위치하지 않는 다른 구성도 가능하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호스트 시스템은 동일한 통신 단말기(CT1) 또는 상이한 통신 단말기(CT1,CT2,CT3)에 위치한 다수의 근거리 통신 유닛(10)을 지원할 수 있다. 호스트 시스템이 이 호스트 시스템에 로그 온될 수 있는 상이한 이동 전화기와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데 단일 통신 유닛(12) 및 단일 제어기(11)가 충분한 것으로 간주되나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다.2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device and a host system. The mobile device MD1 includes a 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20, a communication unit 21, an orientation sensor 22, and a personal identifier store 23. The host system HS includes a short range communication unit 10, a communication unit 12, and a controller 11. Although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10, the communication unit 12, and the controller 11 are shown as being physically located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CT1 in FIG. 2, the controller 11 and / or the communication unit 12 are shown. Other configurations that are not physically located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CT1 are possible. As shown in FIG. 1, the host system may support multipl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s 10 located in the same communication terminal CT1 or in different communication terminals CT1, CT2, and CT3. The single communication unit 12 and the single controller 11 are deemed sufficient to enable the host system to communicate with different mobile telephones that can log on to the host system, but this is not necessarily the case.

예를 들어 이동 전화기 또는 PDA인 이동 장치(MD1)의 근거리 통신 유닛(20)은 통신 단말기(CT1)의 근거리 통신 유닛(10)과의 근거리 통신 경로(CP1)를 제공한다. 대개, 근거리 통신 경로(CP1)는 이동 장치(MD1)가 통신 말기에 충분히 인접하게 이동하는 경우 자동으로 활성되어 양 요소는 서로 근거리 통신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대개, 이와 같이 비교적 짧은 근거리 범위는 수 센티미터, 예를 들어 20㎝이다. 선택에 따라, 이동 장치(MD1)는 보다 긴 범위의 통신 유닛(21)을 포함할 수 있다. 이 통신 유닛(21)은 통신 단말기(CT1) 내의 선택적 통신 유닛(12)과 함께 통신 경로(CP1)보다 긴 범위를 갖는 통신 경로(CP2)를 제공한다. 보다 긴 범위의 통신 경로(CP2)의 추가의 장점은 근거리 통신 경로(CP1)를 통해 이동 장치(MD1)를 간단히 통신 단말기(CT1)에 충분히 근접하게 이동시킴으로써 통신이 시작되면, 이 통신은 이동 장치(MD1)가 근거리 통신 범위를 벗어나 이동하는 경우에도 통신 경 로(CP2)를 통해 유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경로(CP2)는 블루투쓰 또는 WiFi 표준에 따라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임의의 무선 통신 프로토콜이 구현될 수 있다.The 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20 of the mobile device MD1, which is a mobile phone or PDA, for example, provides a near field communication path CP1 with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10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CT1. Usually,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path CP1 is automatically activated when the mobile device MD1 moves sufficiently close to the end of communication so that both elements are within range of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Usually, this relatively short short range is a few centimeters, for example 20 cm. Optionally, the mobile device MD1 can comprise a longer range of communication units 21. This communication unit 21 together with the optional communication unit 12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CT1 provides a communication path CP2 having a range longer than the communication path CP1. A further advantage of the longer range communication path CP2 is that if communication is initiated by simply moving the mobile device MD1 close enough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CT1 via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path CP1, the communication is carried out. Even if the MD1 moves out of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range, it may be maintained through the communication path CP2.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path CP2 may be provided according to the Bluetooth or WiFi standard. However, any 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 can be implemented.

배향 센서(22)는 비교적 짧은 범위의 근거리 통신 유닛(20) 및/또는 보다 긴 범위의 통신 유닛(21)에 대한 이동 장치(MD1)의 배향에 대한 배향 정보(SD)를 제공한다. 이 배향 정보(SD)는 여러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평 및/또는 수직 경사가 제공될 수 있거나, 또는 지구의 중력 및 자장과 관련하여 직교 시스템에서 세 개의 값에 의해 정의된 벡터가 제공될 수 있다. 방위각 및 고도 정보의 결합은 예를 들어 2차원 X-Y 좌표 프레임으로 표현되는 디스플레이 상에서 두 개의 자유도를 이용한 포인팅을 허용하다. 배향 정보(SD)는 미처리 또는 평균화된 센서 데이터일 수 있다. 이동 장치(MD1)가 배향 정보만을 공급하는 것으로 충분하고, 배향 정보(SD)가 이동 장치(MD1)의 위치를 제공할 필요는 없다. 위치는 근거리 통신을 시작하는 경우 암시적으로 알려진다. The orientation sensor 22 provides orientation information SD for the orientation of the mobile device MD1 with respect to the relatively short range of 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20 and / or the longer range of communication unit 21. This orientation information SD can be provided in a number of ways. For example, horizontal and / or vertical tilt may be provided, or a vector defined by three values in an orthogonal system with respect to the earth's gravity and magnetic field may be provided. The combination of azimuth and elevation information allows pointing with two degrees of freedom on a display, for example represented by a two-dimensional X-Y coordinate frame. The orientation information SD may be raw or averaged sensor data. It is sufficient for the mobile device MD1 to supply only the orientation information, and it is not necessary for the orientation information SD to provide the position of the mobile device MD1. The location is implicitly known when initiating near field communication.

선택사항인 개인 식별자 저장소(23)는 이동 장치(MD1)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고유 식별자(PI)를 저장한다. 이 고유 식별자(PI)를 근거리 통신 경로(CP1) 및/또는 통신 경로(CP2)를 통해 호스트 시스템으로 전송함으로써, 호스트 시스템은 자신이 통신하는 이동 장치(MD1)를 알게 된다.Optional personal identifier storage 23 stores a unique identifier PI that uniquely identifies mobile device MD1. By transmitting this unique identifier PI to the host system via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path CP1 and / or the communication path CP2, the host system knows the mobile device MD1 with which it communicates.

근거리 통신 유닛(10)은 수신된 배향 정보(OI1)를 제어기(11)에 공급한다. 보다 긴 범위의 통신 유닛(12)은 수신된 배향 정보(OI2)를 제어기(11)에 공급한다. 대개, 수신된 배향 정보(OI1, OI2)는 배향 정보(SD)와 동일하다. 그러나, 수신된 배향 정보(OI1,OI2)는 제어기(11)에 의해 디코딩되어야 하는 코딩된 버전의 배향 정보(SD)일 수 있다. 배향 정보의 코딩은 통신 경로(CP1,CP2)를 통한 최적의 통신을 위해 필요할 수 있다. 이동 장치(MD1)의 사용 모드에 따라, 통신 유닛(10) 또는 통신 유닛(12) 중 하나가 활성화될 수 있거나, 또는 통신 유닛(10,12) 모두가 활성화될 수 있다. 시작 동안, 이동 장치(MD1)가 통신 단말기(CT1)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려는 경우, 근거리 통신 유닛(10)은 근거리 통신 경로(CP1)가 활성화될 때까지 활성화되어야 한다. 그런 다음, 통신 유닛(12,21)은 활성화되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경로(CP1) 내의 신호 세기가 사전결정된 값 아래에 있거나 또는 이동 장치(MD1)가 통신 경로의 파손으로 인해 근거리 통신 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검출되는 경우에만 통신 유닛(12,21)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제어기(11)는 제어 신호(CS1,CS2)를 각각 이용하여 통신 유닛(10,12)의 온/오프 스위칭을 제어한다. NFC는 이동 장치 또는 사실상 이동 장치 사요자를 인증하고, 그 이후 고유한, 바람직하게는 안전한 데이터 접속, 예를 들어 블루투쓰 접속이 수립된다. 이와 달리, NFC 유닛(10)은 임의의 접근하는 이동 장치(MD1)를 검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연속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다.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unit 10 supplies the received orientation information OI1 to the controller 11. The longer range communication unit 12 supplies the received orientation information OI2 to the controller 11. Usually, the received orientation information OI1, OI2 is the same as the orientation information SD. However, the received orientation information OI1, OI2 may be a coded version of orientation information SD to be decoded by the controller 11. Coding of the orientation information may be necessary for optimal communication over the communication paths CP1 and CP2. Depending on the mode of use of the mobile device MD1, either the communication unit 10 or the communication unit 12 may be activated, or both the communication units 10, 12 may be activated. During start-up, when the mobile device MD1 intends to perform short-range communication with the communication terminal CT1,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10 must be activated until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path CP1 is activated. The communication units 12 and 21 can then be activated to perform communication. The communication units 12 and 21 can be activated only when the signal strength in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path CP1 is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hen the mobile device MD1 is detected as being out of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range due to the breakage of the communication path. have. The controller 11 controls the on / off switching of the communication units 10 and 12 using the control signals CS1 and CS2, respectively. NFC authenticates the mobile device or virtually the mobile device user, after which a unique, preferably secure data connection, for example a Bluetooth connection, is established. Alternatively, NFC unit 10 may be continuously activated to be able to detect any approaching mobile device MD1.

제어기(11)는 디스플레이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출력 장치(OD1)에 공급되는 디스플레이 정보(DI)를 디스플레이되는 정보(DI1)로서 생성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정보(DI1)는 컴퓨터 생성 이미지, 또는 포토그래프 또는 필름일 수 있다.The controller 11 generates display information DI, which is supplied to the output device OD1 displaying the display information, as the displayed information DI1. For example, the display information DI1 may be a computer generated image or a photograph or film.

제어기(11)는 수신된 배향 정보(OI1 또는 OI2)를 사용하여 이동 장치(MD1)에 의해 표시되는 포인팅 위치를 식별한다. 예를 들어, 포인팅 위치의 식별은 디스플 레이되는 정보(DI1) 내의 위치에서의 마커(30)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가 동물 그룹의 모습인 경우, 사용자는 이동 장치(MD1)의 배향을 조작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많은 정보를 가지기를 원하는 동물 상에 마커(30)가 위치되도록 한다. 마커(30)가 이 동물에 대해 사전결정된 기간 보다 길게 유지되는 경우, 이 동물에 대한 보다 자세한 사항을 제공하는 다음 이미지가 보여진다. 동일한 객체에 대해 마커(30)를 사전결정된 시간 동안 유지하는 대신, 이동 장치(MD1)는 버튼과 같은 사용자 선택자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 선택자는 사용자에 의해 활성화되는 경우 소정의 객체가 선택됨을 나타낸다. 이와 달리, 이미지는 버튼과 같은 사전정의된 영역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 영역은 이동 장치가 사전정의된 영역 중 하나를 나타내는 배향으로 유지됨이 수신된 배향 정보(OI1,OI2)로부터 검출되는 경우 제어기(11)에 의해 강조된다.The controller 11 uses the received orientation information OI1 or OI2 to identify the pointing position indicated by the mobile device MD1. For example, the identification of the pointing position may be the marker 30 at the position in the displayed information DI1. For example, if the image is in the form of an animal group, the user manipulates the orientation of the mobile device MD1 so that the marker 30 is positioned on the animal that the user wants to have more information. If the marker 30 is kept longer than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for this animal, the next image is shown which provides more details about this animal. Instead of keeping the marker 30 for the same object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mobile device MD1 may have a user selector, such as a button, indicating that the predetermined object is selected when activated by the user. . Alternatively, the image may have a predefined area, such as a button, which is detected when the mobile device is detected from the received orientation information OI1, OI2 that the mobile device remains in an orientation representing one of the predefined areas. Is emphasized by (11).

직관적인 실시예에서, 이동 장치(MD1)는 이동 장치(MD1)의 포인팅 방향으로서 정의된 축을 갖는 길게 늘어진 형태를 갖는다. 디스플레이되는 정보(DI1)에서 포인팅된 위치는 상기 축과 디스플레이되는 정보(DI1)의 교차부이다.In an intuitive embodiment, the mobile device MD1 has an elongated form with an axis defined as the pointing direction of the mobile device MD1. The position pointed in the displayed information DI1 is the intersection of the axis and the displayed information DI1.

또 다른 구성에서, 호스트 시스템의 제어기(11)는 이동 장치(MD1)에 의해 포인팅되는 디스플레이되는 정보(DI1) 내의 위치만을 제공한다. 디스플레이되는 정보(DI1) 내의 이 위치의 표시(CS3)는 예를 들어 출력 장치(OD1)에서 수행된다. 이 구성에서, 제어기(11)는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를 공급할 필요는 없다.In another configuration, the controller 11 of the host system only provides a location in the displayed information DI1 that is pointed to by the mobile device MD1. The indication CS3 of this position in the displayed information DI1 is performed at the output device OD1, for example. In this configuration, the controller 11 does not need to supply the displayed information.

시스템은 후속하는 세 개의 단계 프로토콜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The system can operate according to the following three step protocol.

제 1 단계에서, 사용자는 이동 장치(MD1)를 통신 단말기(CT1)의 NFC 유 닛(10)에 인접하게 유지시켜 로그-온 프로토콜을 개시한다. 호스트 시스템은 예를 들어 이동 전화기인 사용자의 이동 장치(MD1)를 통해 이동 장치의 사용자를 인증한다. 이 인증 단계 동안, 통신 단말기는 통신 단말기(CT1)와 이동 장치(MD1) 사이에 안전하고 고유한 통신 경로(CP2)를 개시한다. 인증 동안에는 사용자 상호작용이 요구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패스워드 또는 사용자 번호를 입력하는 것이 필요로 할 수 있다. 사용자가 로그-온되면, 통신 단말기는 이동 장치(MD1)에서 수집된, 또는 통신 단말기 내에 저장된, 또는 예를 들어 인터넷으로부터 검색된 데이터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검색하여 판매 항목의 경우 비용청구, 디스플레이되는 정보(DI1)의 개인화와 같은 추가적인 옵션을 가능하게 한다.In the first step, the user initiates the log-on protocol by keeping the mobile device MD1 adjacent to the NFC unit 10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CT1. The host system authenticates the user of the mobile device via the user's mobile device MD1, which is a mobile phone, for example. During this authentication phase, the communication terminal initiates a secure and unique communication path CP2 between the communication terminal CT1 and the mobile device MD1. User interaction may be required during authentication, for example it may be necessary to enter a password or user number. When the user is logged on, the communication terminal retrieves the necessary information from the data collected in the mobile device MD1 or stored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or retrieved from, for example, the Internet,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sales item, to be charged, displayed information ( Additional options such as personalization of DI1) are possible.

선택사항인 제 2 단계에서, 통신 경로는 NFC CP1 경로에서 보다 긴 범위의 통신 경로(CP2)로 변경될 수 있다. NFC로부터 예를 들어 블루투쓰 통신으로의 이러한 이동은 끊김없이, 사용자에게 대해 투명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이 통신 경로 이동에 능동적으로 관여할 필요는 없다.In an optional second step, the communication path may be changed from the NFC CP1 path to a longer range communication path CP2. This movement from NFC to Bluetooth communication, for example, can be performed seamlessly to the user. The user need not be actively involved in this communication path movement.

제 3 단계에서, 포인팅 기능이 활성화된다. 전자 나침반은 2D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수평으로 유지되어야 정확한 수평 또는 방위각 정보를 얻을 수 있고, 또는 경사 보상된 3D 센서를 포함하여 방위 각 및 고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시스템 내의 통신 단말기(CT1)의 알려진 위치로부터, 이동 장치(MD1)의 위치가 통신 단말기(CT1)의 위치와 동일하다고 가정한다. 이동 장치는 GPS 수신기를 더 포함하여 그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통신 단말기(CT1)의 위치가 시스템 내에서 알려져 있지 않은 경우 또는 이동 장치(MD1)가 통신 단말기(CT1)로부 터 멀리 이동하고 이동 장치(MD1)의 실제 위치의 높은 정확성이 관련된 경우에 특히 적절하다. 이동 장치(MD1)의 정확한 배치를 개선하기 위해, 가외 표시가 사용자에게 제공되어 사용자가 이동 장치(MD1)를 유지해야하는 장소를 예를 들어 바닥(floor) 상에 있는, 예를 들어 통신 단말기(CT1)에 근접하여 있는 마킹된 영역을 통해 명확히 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이동 장치(MD1)의 위치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위치, 영역 또는 출력 장치를 포인팅하면서 이동 장치(MD1)의 이동 동안 평균 포인팅 방향을 모니터링함으로써 시스템에 의해 추정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출력 장치 간의 변화, 예를 들어 제 1 출력 장치로부터 제 2 출력 장치로의 변화를 희망하는 경우, 이것은 시스템에 의해 검출되어야 하나, 그렇지 않은 경우, 이동 장치(MD1)의 배향의 변경은 여전히 제 1 출력 장치 내에서 포인팅된 위치의 변화로서 해석될 수 있다. 이러한 자동 검출은 사용자가 그의 이동 장치(MD1)를 통신 단말기(CT1,CT2,CT3)의 근처에 유지시켜 NFC 링크를 수립하는 경우에 얻어질 수 있다. 이와 달리, 사용자는 이러한 이벤트를 버튼과 같은 특정 사용자 입력을 활성화함을써 나타낼 수 있다. (이동) 평균 포인팅 방향의 모니터링은 단일 출력 장치에 대해, 또는 보다 완화된 조건에서, 제한된 입체각에 걸쳐 공간적으로 연결되지 않은 출력 장치들의 앙상블(ensemble)에 대해서만 유효하다. 이 경우, 호스트 시스템은 다수의 출력 장치에 대해 포인터 기능을 제공한다. 일 예는 벽 상의 디스플레이의 수집일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사용자는 평균 포인팅 방향을 모니터링하는 개념을 포함하여, 그의 이동 전화기로 포인팅하면서 상이한 디스플레이에 걸쳐 끊김없이 로밍할 수 있다.In a third step, the pointing function is activated. The electronic compass may include a 2D sensor and remain horizontal to obtain accurate horizontal or azimuth information, or provide azimuth-compensated 3D sensor to provide azimuth and altitude information. From the known positions of, assume that the location of mobile device MD1 is the same as the location of communication terminal CT1. The mobile device may further comprise a GPS receiver to determine its location. This may be the case, for example, if the location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CT1 is unknown in the system or if the mobile device MD1 moves away from the communication terminal CT1 and the high accuracy of the actual location of the mobile device MD1 is involved. Particularly suitable for In order to improve the correct positioning of the mobile device MD1, an extra indication is provided to the user, for example on the floor,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terminal CT1 where the user should hold the mobile device MD1. This can be clarified by a marked area close to). Alternatively, the position of the mobile device MD1 can be estimated by the system by monitoring the average pointing direction during the movement of the mobile device MD1 while pointing substantially the same position, area or output device. However, if the user desires a change between the output devices, for example a change from the first output device to the second output device, this should be detected by the system, but otherwise the change in the orientation of the mobile device MD1 Can still be interpreted as a change in the pointed position within the first output device. This automatic detection can be obtained when the user establishes an NFC link by keeping his mobile device MD1 near the communication terminals CT1, CT2, CT3. Alternatively, the user may indicate this event by activating a particular user input, such as a button. Monitoring of the (moving) average pointing direction is effective only for a single output device, or in more relaxed conditions, only for an ensemble of output devices that are not spatially connected over a limited solid angle. In this case, the host system provides a pointer function for a number of output devices. One example may be the collection of displays on a wall, such that a user can roam seamlessly across different displays while pointing to his mobile phone, including the concept of monitoring the average pointing direction.

사용자는 시스템 내의 출력 장치(OD1)를 포인팅함으로써 그 출력 장치(OD1)와 상호작용할 수 있다. 출력 장치가 디스플레이되는 정보(DI1)을 제공하는 경우, 포인팅된 위치는 가시화될 수 있다. 이동 장치(MD1)의 버튼은 클릭 기능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이동 장치(MD1)의 포인팅 축 주위의 경사 또는 회전은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입력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포인팅 기능은 단일 출력 장치(OD1)에 제한될 필요는 없지만, 다수의 출력 장치(OD1,OD2,OD3)를 포함하는 공간 커버리지를 가질 수 있다.The user can interact with the output device OD1 by pointing to the output device OD1 in the system. When the output device provides the displayed information DI1, the pointed position can be visualized. The button of the mobile device MD1 can be used as the click function. Alternatively, the tilt or rotation around the pointing axis of the mobile device MD1 can be used as an analog or digital input. The pointing function need not be limited to a single output device OD1, but may have spatial coverage including multiple output devices OD1, OD2, OD3.

시스템의 구성요소들의 위치는 알려져 있어야 한다. 모든 위치 정보는 시스템 조정 단계에서 제어기(11)에 의해 사전정의될 수 있거나 또는 제어기(11)에 입력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위치 정보는 제어기(11) 내에 데이터베이스 포맷으로 저장된다. 포인팅된 출력 장치, 또는 출력 장치의 포인팅된 영역은 시스템의 구성요소의 위치 정보, 이동 장치(MD1)의 가정된 또는 실제 위치 및 이동 장치(MD1)의 배향의 수집물을 사용하여 계산될 수 있다.The location of the components of the system must be known. All positional information may be predefined by the controller 11 in the system adjustment step or may be input to the controller 11. Preferably, the location information is stored in a database format in the controller 11. The pointed output device, or the pointed area of the output device, can be calculated using a collection of position information of the components of the system, the assumed or actual position of the mobile device MD1, and the orientation of the mobile device MD1. .

이와 달리, 조정 절차는 적어도 하나의 기준 위치로부터의 전용 포인팅 장치를 사용하여 수행되어 원점으로서의 포인팅 장치를 통해 출력 장치(OD1 내지 OD3)의 조정된 포인팅 방향의 데이터베이스를 충진 또는 업데이트할 수 있다. 포인팅 장치의 적어도 두 개의 기준 위치 및 대응하는 포인팅 방향의 조합을 통해 시스템은 삼각법 또는 다각법 원리를 사용하여 포인팅 장치에 대한 출력 장치(OD1 내지 OD3)의 3D 위치를 계산할 수 있다. 초기 사용자 위치는 사용자가 로그 온할 때 NFC 단말기(CT1)의 위치에 의해 암시적으로 제공되기 때문에, 로그 온 동안에는 사 용자에 의한 추가적인 조정은 필요하지 않는다.Alternatively, the adjustment procedure can be performed using a dedicated pointing device from at least one reference position to fill or update the database of the adjusted pointing direction of the output devices OD1 to OD3 via the pointing device as the origin. The combination of at least two reference positions of the pointing device and the corresponding pointing direction allows the system to calculate the 3D position of the output devices OD1 to OD3 relative to the pointing device using trigonometric or polygonal principles. Since the initial user location is implicitly provided by the location of the NFC terminal CT1 when the user logs on, no further adjustment by the user is required during log on.

포인터 기능을 갖는 이동 장치(MD1)의 사용은 단일 NFC 단말기(CT1)에 의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되는 정보(DI1)의 몇몇 항목들 사이를 선택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포인팅 방법은 번호 입력보다 사용하기가 더 쉽다. 그러나, 번호 입력은 예를 들어 포인팅 기능을 갖지 않는 이동 장치(MD1)에 대해 동시에 제공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되는 정보(OD1)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과 근접하게 접촉할 필요 없이 이동 장치(MD1)가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를 포인팅할 수 있기 때문에 포인팅 기능은 시스템의 보다 유연한 설계를 가능하게 한다. 더 나아가, 디스플레이되는 정보(OD1)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과 사용자 간의 거리가 증가됨에 따라, 통신 단말기(CT1)만이 파괴로부터 보호될 필요가 있다.The use of mobile device MD1 with a pointer function has the advantage that a user can select between several items of information DI1 displayed by a single NFC terminal CT1. Pointing methods are easier to use than entering numbers. However, the number input may be provided at the same time for mobile device MD1 which does not have a pointing function, for example. The pointing function allows for a more flexible design of the system because the displayed information OD1 can point to the displayed information without having to contact the display area in close proximity. Furthermore, as the distance between the area where the displayed information OD1 is displayed and the user increases, only the communication terminal CT1 needs to be protected from destruction.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제한하기 보다는 예시적으로 기술되며, 당업자라면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를 벗어나는 일 없이 다수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계할 수 있을 것이다.The foregoing embodiments are described by way of example and not by way of limita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design many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청구항에서, 괄호 안의 임의의 참조 부호는 청구항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포함하는"이라는 동사 및 그 활용의 사용은 청구항에 기재되어 있는 것 이외의 소자 또는 단계의 존재를 배제하지는 않는다. "단수"로 표현된 요소는 그러한 요소의 복수 개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몇몇의 별개의 소자를 포함하는 하드웨어를 통해 또한 적절히 프로그램된 컴퓨터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몇몇 수단을 나열하는 장치 청구항에서, 이들 수단들 중 몇몇은 동일한 하드웨어 항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정의 수단들이 서로 다른 종속항에 기재되 어 있다는 단순한 사실이 이들 수단의 조합이 사용될 수 없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In the claims, any reference signs placed between parentheses shall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claim. The use of the verb "comprising" and its use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f elements or steps other than those described in a claim. An element expressed in "a" does not exclude a plurality of such element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through hardware that includes several distinct elements and also through a suitably programmed computer. In the device claim enumerating several means, several of these means may be embodied in the same hardware item. The simple fact that certain means are described in different dependent claims does not indicate that a combination of these means cannot be used.

Claims (17)

이동 장치(MD1)가 근거리 통신 유닛(near field communication unit)(10)의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상기 이동 장치(MD1)와 근거리 통신을 하기 위한 상기 근거리 통신 유닛(10)을 구비한 통신 단말기(CT1)와,The communication terminal CT1 provided with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10 for near field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device MD1 when the mobile device MD1 is within a range of a 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10. Wow, 상기 근거리 통신 유닛(10)의 범위 밖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 장치(MD1)의 사용자에게 출력을 제공하는 출력 장치(OD1,OD2)와,Output devices OD1 and OD2 arranged outside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unit 10 to provide an output to a user of the mobile device MD1; 상기 출력 장치(OD1,OD2)를 제어하여 상기 이동 장치(MD1)의 배향(orientation)(D1)에 의존하는 상기 출력을 제공하는 제어기(11)를 포함하는A controller 11 for controlling the output devices OD1, OD2 to provide the output depending on the orientation D1 of the mobile device MD1. 시스템.system.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출력 장치(OD1,OD2)는 디스플레이 정보(DI)를 디스플레이되는 정보(DI1)로서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OD1)이고,The output devices OD1 and OD2 are display devices OD1 for displaying the display information DI as the displayed information DI1. 상기 제어기(11)는 상기 이동 장치(MD1)의 상기 배향(D1)에 대한 배항 정보(SD)를 상기 통신 단말기(CT1)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이동 장치(MD1)의 상기 배향(D1)에 의존하는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정보(DI1) 내의 위치를 나타내는 가시적 표시자(30)를 생성하는The controller 11 receives the doubling information SD of the orientation D1 of the mobile device MD1 through the communication terminal CT1, and transmits to the orientation D1 of the mobile device MD1. To generate a visual indicator 30 indicating a position in the displayed information DI1 that depends. 시스템.system.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가시적 표시자(30)는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정보의 특정 영역에 대한 상기 이동 장치(MD1)의 포인팅 방향(D1)에 의해 정의된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정보(DI1) 내의 위치를 나타내는The visible indicator 30 represents a position in the displayed information DI1 defined by the pointing direction D1 of the mobile device MD1 with respect to a particular area of the displayed information. 시스템.system.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or 3, 상기 제어기(11)는 상기 이동 장치(MD1)의 개인 식별자(PI)를 검색하고, 상기 통신 단말기(CT1) 또는 상기 시스템의 또 다른 통신 단말기(CT2)와 통신하는 또 다른 이동 장치(MD2)와 연관된 추가적인 가시적 표시자(31)와는 유일무이하게 구별되도록 하는 외관을 갖는 상기 가시적 표시자(30)를 할당하는The controller 11 retrieves the personal identifier PI of the mobile device MD1 and communicates with another mobile device MD2 that communicates with the communication terminal CT1 or another communication terminal CT2 of the system. Assigning the visible indicator 30 having an appearance so as to be uniquely distinguished from the associated additional visible indicator 31. 시스템.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출력 장치(OD1,OD2)는 소리 변환기(sound transducer)(OD2)이고, 상기 제어기(11)는 상기 이동 장치(MD1)의 상기 배향(D1)에 대한 정보를 상기 통신 단말기(CT1)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이동 장치(MD1)의 상기 배향에 의존하여 상기 소리 변환기(OD2)를 활성화하는The output devices OD1, OD2 are sound transducers OD2, and the controller 11 receives information about the orientation D1 of the mobile device MD1 from the communication terminal CT1. And activate the sound transducer OD2 depending on the orientation of the mobile device MD1. 시스템.system.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제어기(11)는 상기 이동 장치(MD1)가 상기 소리 변환기(OD2)를 포인팅하는 경우 상기 소리 변환기(OD2)를 스위칭 온 또는 오프하는The controller 11 switches on or off the sound transducer OD2 when the mobile device MD1 points to the sound transducer OD2. 시스템.system. 제 3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6, wherein 상기 제어기(11)는 상기 근거리 통신 유닛(10)의 위치 및 상기 이동 장치(MD1)의 상기 배향에 기초하여 상기 근거리 통신 유닛(10)과 통신이 수립되는 경우 상기 이동 장치(MD1)의 포인팅 방향(D1)을 결정하는The controller 11 is pointing direction of the mobile device MD1 when communication is established with the local area communication unit 10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local area communication unit 10 and the orientation of the mobile device MD1. To determine (D1) 시스템.system.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상기 이동 장치(MD1)와 통신하는 추가적인 통신 유닛(12)을 더 포함하되, 상기 추가적인 통신 유닛(12)의 범위는 상기 근거리 통신 유닛(10)의 범위보다 큰Further comprising an additional communication unit 12 in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device MD1, wherein the range of the additional communication unit 12 is greater than the range of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10. 시스템.system.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제어기(11)는 근거리 통신이 수립된 이후 상기 이동 장치(MD1)와의 통신을 상기 근거리 통신 유닛(10)에서 상기 추가적인 통신 유닛(12)으로 스위칭하는The controller 11 switches the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device MD1 from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unit 10 to the additional communication unit 12 after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is established. 시스템.system. 제 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제어기(11)는 상기 출력 장치(OD1)를 포인팅하는 동안 상기 이동 장치(MD1)의 위치를 변경하면서 상기 이동 장치(MD1)의 평균 배향 또는 평균 포인팅 방향을 모니터링함으로써 상기 이동 장치(MD1)의 변경 위치를 추정하는The controller 11 monitors the average orientation or the pointing direction of the mobile device MD1 while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mobile device MD1 while pointing the output device OD1. To estimate change location 시스템.system.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0, 상기 통신 단말기(CT1)의 상기 근거리 통신 유닛(10)과의 근거리 통신을 위한 근거리 통신 유닛(20)을 구비한 상기 이동 장치(MD1)를 더 포함하는The mobile device MD1 further includes a 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20 for near field communication with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10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CT1. 시스템.system. 제 8 항을 인용하는 제 1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상기 이동 장치(MD1)는 상기 추가적인 통신 유닛(12)과의 통신을 위한 추가적인 통신 유닛(21)을 더 포함하되, 상기 이동 장치(MD1)의 상기 추가적인 통신 유닛(21)의 범위는 상기 이동 장치(MD1)의 상기 근거리 통신 유닛(20)의 범위보다 큰The mobile device MD1 further includes an additional communication unit 21 for communication with the additional communication unit 12, wherein the range of the additional communication unit 21 of the mobile device MD1 is the mobile device. Greater than the range of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20 of MD1 시스템.system.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1 or 12, 상기 이동 장치(MD1)는 상기 이동 장치(MD1)의 상기 배향(D1)을 나타내는 배향 센서(22)를 포함하는The moving device MD1 includes an orientation sensor 22 indicating the orientation D1 of the moving device MD1. 시스템.system. 제 1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배향 센서(22)는 전자 나침반인The orientation sensor 22 is an electronic compass 시스템.system. 제 1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1 to 14, 상기 이동 장치는 이동 전화기 또는 PDA이거나 상기 이동 전화기 또는 상기 PDA를 포함하는The mobile device is a mobile phone or PDA or includes the mobile phone or the PDA. 시스템.system. 이동 장치(MD1)가 근거리 통신 유닛(10)의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상기 이동 장치(MD1)와 근거리 통신을 하기 위한 상기 근거리 통신 유닛(10)을 구비한 통신 단말기(CT1)와, 상기 근거리 통신 유닛(10)의 범위 밖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 장치(MD1)의 사용자에게 출력을 제공하는 출력 장치(OD1)를 포함하는 시스템에서의 통신 방법에 있어서,When the mobile device MD1 is within the range of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10, the communication terminal CT1 including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10 for performing near field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device MD1, and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A communication method in a system including an output device OD1 disposed outside the range of 10 to provide an output to a user of the mobile device MD1. 상기 출력 장치(OD1)를 제어하여 상기 이동 장치(MD1)의 배향에 의존하는 상기 출력을 제공하는 단계(11)를 포함하는Controlling (11) the output device (OD1) to provide the output depending on the orientation of the mobile device (MD1). 통신 방법.Communication method. 청구항 제 1 항의 시스템에 사용되는 이동 장치에 있어서,In the mobile device used in the system of claim 1, 통신 단말기의 근거리 통신 유닛의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상기 근거리 통신 유닛과 근거리 통신을 하기 위한 수단과,Means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with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when within the range of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이동 장치의 배향을 나타내는 배향 센서를 포함하는An orientation sensor indicative of the orientation of the mobile device; 이동 장치.Moving device.
KR1020097001516A 2006-06-23 2007-06-15 Nfc enabled pointing with a mobile device KR20090023735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6115937.2 2006-06-23
EP06115937 2006-06-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3735A true KR20090023735A (en) 2009-03-05

Family

ID=38923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1516A KR20090023735A (en) 2006-06-23 2007-06-15 Nfc enabled pointing with a mobile device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078238A2 (en)
KR (1) KR20090023735A (en)
CN (1) CN101479689A (en)
TW (1) TW200810395A (en)
WO (1) WO2008007260A2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62052B2 (en) 2008-05-19 2014-10-14 Nxp, B.V. NFC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NFC reader
US8700301B2 (en) 2008-06-19 2014-04-15 Microsoft Corporation Mobile computing devices, architecture and user interfaces based on dynamic direction information
US20090315766A1 (en) 2008-06-19 2009-12-24 Microsoft Corporation Source switching for devices supporting dynamic direction information
US8467991B2 (en) 2008-06-20 2013-06-18 Microsoft Corporation Data services based on gesture and location information of device
US8872767B2 (en) 2009-07-07 2014-10-28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verting gestures into digital graffiti
US8243097B2 (en) 2009-10-21 2012-08-14 Apple Inc. Electronic sighting compass
US8068011B1 (en) 2010-08-27 2011-11-29 Q Street, LLC System and method for interactive user-directed interfacing between handheld devices and RFID media
CN103294841A (en) * 2012-03-05 2013-09-11 北京千橡网景科技发展有限公司 Computing method and system for information collecting
TWI561022B (en) * 2012-12-17 2016-12-01 Hon Hai Prec Ind Co Ltd Nfc terminal and power saving method thereof
TWI474174B (en) * 2013-02-04 2015-02-21 Pixart Imaging Inc Peripheral device with multi-transmission capability
WO2021159450A1 (en) * 2020-02-14 2021-08-19 深圳市欢太数字科技有限公司 Nfc card simulation mode starting method and apparatus, and terminal and storage medium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6761B1 (en) * 2001-09-11 2008-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Pointer control method, pointing apparatus and host apparatus therefor
US20040095317A1 (en) * 2002-11-20 2004-05-20 Jingxi Zhang Method and apparatus of universal remote pointing control for home entertainment system and computer
JP2005045557A (en) * 2003-07-22 2005-02-17 Sony Corp Communication device
WO2005119356A2 (en) * 2004-05-28 2005-12-15 Erik Jan Banning Interactive direct-pointing system and calibration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78238A2 (en) 2009-07-15
CN101479689A (en) 2009-07-08
WO2008007260A2 (en) 2008-01-17
TW200810395A (en) 2008-02-16
WO2008007260A3 (en) 2008-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23735A (en) Nfc enabled pointing with a mobile device
EP3526658B1 (en) Method and device for obtaining real time status and controlling of transmitting devices
US10362438B2 (en) Portable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location information of portable apparatus
JP6400863B1 (en) Intuitive method for pointing, accessing, and controlling instruments and other objects inside buildings
CN105100390B (en) A method of control mobile terminal
US10014939B2 (en) Smart device performing LED-ID/RF communication through a camera, an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based services using the same
EP3237991B1 (en) Communication system comprising head wearable devices
KR101643869B1 (en) Operating a Mobile Termianl with a Vibration Module
EP2583153B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gesture based remote control
KR20170004225A (en) Alarm device and method for informing location of objects thereof
EP1891501A2 (en) Method for control of a device
KR2012007937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in a mobile terminal
KR20150017186A (en)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and an electronic device thereof
EP3502838B1 (e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identifying a target object from a plurality of objects
KR101680667B1 (en)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mobile device
KR20160147555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5012476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ther electronic device in electronic device
JP2018207151A (en) Display device, reception device, program, and control method of reception device
EP4114045A1 (en) Device positioning method and relevant apparatus
KR101632220B1 (en) A mobile device,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mobile device, and a control system having the mobile device
JP6568007B2 (en) Wearable terminal, communication method and program thereof
KR101549027B1 (en)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mobile device
CN111383243B (en)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for tracking target object
KR20110126438A (en)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CN112367615B (en)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street lamp and portable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