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0632A - 정보매설장치 및 검출장치 - Google Patents

정보매설장치 및 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0632A
KR20090020632A KR1020087030939A KR20087030939A KR20090020632A KR 20090020632 A KR20090020632 A KR 20090020632A KR 1020087030939 A KR1020087030939 A KR 1020087030939A KR 20087030939 A KR20087030939 A KR 20087030939A KR 20090020632 A KR20090020632 A KR 200900206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watermark information
embedding
information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30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시히사 나카노
šœ지 하라다
마사야 야마모토
가오루 무라세
도모키 오가와
료지 스즈키
히데시 이시하라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90020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06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87Composing, repositioning or otherwise geometrically modifying orig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35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G06T1/0021Image watermarking
    • G06T1/005Robust watermarking, e.g. average attack or collusion attack resistant
    • G06T1/0071Robust watermarking, e.g. average attack or collusion attack resistant using multiple or alternating watermark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18Audio watermarking, i.e. embedding inaudible data in the audio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0Picture signal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4Management at additional data server, e.g. shopping server, rights management server
    • H04N21/2541Rights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7Rights management associated to the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35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 H04N21/8358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involving waterma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13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G06T2201/005Image watermarking
    • G06T2201/0051Embedding of the watermark in the spatial domai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G06T2201/005Image watermarking
    • G06T2201/0061Embedding of the watermark in each block of the image, e.g. segmented waterma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G06T2201/005Image watermarking
    • G06T2201/0065Extraction of an embedded watermark; Reliable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13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 H04N2005/91307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by adding a copy protection signal to the video signal
    • H04N2005/91335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by adding a copy protection signal to the video signal the copy protection signal being a waterma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iting Of Facsimile Originals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부정한 의도 없이 촬영된 콘텐츠의 재생정지를 방지할 수 있는 정보매설장치를 제공한다. 콘텐츠에 대하여 상기 콘텐츠의 재생시간 축 상에 따라서 복수의 워터마크정보를 매설하는 정보매설장치로, 시간 축 상에 따라서 재생되는 콘텐츠를 취득하는 취득수단과, 상기 복수의 워터마크정보를 각 워터마크정보가 보유하는 값이 상기 재생시간 축 상의 배열 순에 따라서 규칙성을 가지고 변화하는 상태로 생성하는 워터마크정보 생성수단과, 상기 복수의 워터마크정보 중 2개 이상의 워터마크정보 각각을 상기 재생시간 축 상의 배열 순서를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콘텐츠에 매설되는 매설수단을 구비한다.
워터마크, 시간 축, 배열, 순서, 규칙성, 유지

Description

정보매설장치 및 검출장치{INFORMATION BURYING DEVICE AND DETECTING DEVICE}
본 발명은 영화, 음악 등의 디지털 콘텐츠의 부정한 복제 방지기술, 특히 전자 워터마크를 이용한 부정한 복제 방지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기록매체의 대용량화나 네트워크의 브로드밴드화에 따라 영화, 음악 등의 저작물을 디지털화한 디지털 콘텐츠(이하, 콘텐츠라 한다)를 기록매체에 기록하거나 또는 브로드밴드 네트워크를 통해서 배포하는 시스템이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시스템에서는 콘텐츠의 저작권이 보호되어서, 저작권자와의 합의에 의한 제한 하에서만 콘텐츠의 재생이나 복제 등이 실행될 필요가 있다. 저작권을 저작권자의 허가가 없는 부정한 복제 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종래기술로 전자 워터마크(digital watermark)를 이용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전자 워터마크를 이용하는 일반적인 시스템은 콘텐츠 제공자 측의 단말(전자 워터마크 매설장치)과 콘텐츠 이용자 측의 재생 단말(전자 워터마크 검출장치)로 이루어지며, 제공자 측의 단말(전자 워터마크 매설장치)은 콘텐츠에 저작권정보 등을 매설하여, 예를 들어 디스크 등의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구조를 구비하고, 이용자 측의 재생 단말(전자 워터마크 검출장치)은 기록매체에 기록된 콘텐츠에서 검출한 저작권정보에 의거하여 콘텐츠 의 재생을 제어하는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이 구조에 의해, 미리 저작권정보 등이 매설된 콘텐츠가 위법하게 복제된 때에 동시에 저작권정보도 복제되므로, 이 저작권정보를 검출함으로써 위법한 복제에 의해 작성된 콘텐츠의 재생을 제어(예를 들어, 재생을 정지하는 등) 할 수 있게 된다.
또, 전자 워터마크 기술에 대해서는 특허문헌 2, 3에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다. 또, 콘텐츠에 전자 워터마크기술을 이용하여 복제제어정보를 매설함으로써 부정한 복제를 방지하는 기술로는 특허문헌 1이 있다.
한편, 최근 어린이의 성장 등 개인이 촬영한 영상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기기로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이하, 캠코더라 한다)가 보급되고 있다. 캠코더는 촬영한 영상을 기록매체(예를 들어, DVD 등의 광 디스크나 SD 메모리 카드 등)에 디지털로 기록할 수 있는 동시에 디지털로 기록된 기록매체를 재생 단말(예를 들어, DVD 리코더 등)에 장착하여 간단하게 재생하여 즐길 수 있게 되었다. 또, 이와 같이 개인이 촬영한 영상을 다른 기록매체에 복제하여 관계된 사람들에게 배포하는 행위도 이루어지고 있다.
특허문헌 1 : 미국특허 제 5,943,422호
특허문헌 2 : 일본국 특개평 9-191394호 공보
특허문헌 3 : 일본국 특개평 9-191395호 공보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서는 이하에 일례로 드는 과제에 직면한다.
생일파티에서 어린이들이 좋아하는 영화의 디스크를 재생 단말로 재생하면서 생일파티의 모습을 캠코더로 기록하는 경우가 상정된다. 이때, 영화 디스크의 오디 오부에 전자 워터마크에 의해 저작권정보가 매설되어 있으면, 캠코더로 기록매체에 기록한 영상정보에는 어린이들의 영상이나 음성에 더하여 영화의 오디오 정보도 기록되어 버린다. 그리고 이와 같이 기록된 영상정보가 기록된 기록매체를 재생 단말로 재생하면,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에 의해 위법한 복제로 판단되어서 재생이 정지되어 버린다.
즉, 이용자가 부정한 의도 없이 우연히 촬영된 영상에서도 부정한 복제로 판단되어 버려서 개인이 즐거운 생일파티의 영상을 재생할 수 없다.
또, 상기에서는 일례로 어린이들의 생일파티를 캠코더로 기록매체에 기록하고, 재생 단말로 재생하는 경우에 대한 과제를 설명하였으나, 이와 같은 과제는 캠코더를 이용하여 촬영하는 다양한 장면(결혼식, 운동회 …)에서 일어날 수 있음에 주의하기 바란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부정한 의도 없이 촬영된 콘텐츠의 재생정지를 방지할 수 있는 정보매설장치, 검출장치, 정보매설방법 및 검출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콘텐츠에 대하여 상기 콘텐츠의 재생시간 축 상에 따라서 복수의 워터마크정보를 매설하는 정보매설장치로, 시간 축 상에 따라서 재생되는 콘텐츠를 취득하는 취득수단과, 상기 복수의 워터마크정보를, 각 워터마크정보가 보유하는 값이 상기 재생시간 축 상의 배열 순에 따라서 제 1 규칙성을 가지고 변화하는 상태로 생성하는 워터마크정보 생성수단과, 상기 복수의 워터마크정보 중 2개 이상의 워터마크정보 각각을 상기 재생시간 축 상의 배열 순서를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콘텐츠에 매설하는 매설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구성에 의하면, 정보매설장치는 워터마크정보 생성수단에서 생성되는 복수의 워터마크정보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워터마크정보를 재생시간 축 상을 따라서 배열하여 콘텐츠에 매설한다. 이에 의해, 당해 정보매설장치에서 생성된 2개 이상의 워터마크정보가 매설된 콘텐츠(이하, 「오리지널 콘텐츠」라 한다)가 재생 중에 캠코더 등에 의해 기록된 경우, 당해 기록된 콘텐츠를 재생하고 있는 장치는 당해 기록된 콘텐츠의 재생 중에 매설된 워터마크정보를 순차 검출하고, 검출한 2개 이상의 워터마크정보의 순서가 제 1 규칙성을 가지고 변화하고 있는가 여부에 의해 재생 중의 콘텐츠가 부정하게 기록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화관 등에서 방영 중인 오리지널 콘텐츠를 캠코더 등에 의해 의도적이면서 연속적으로 촬영(부정기록)한 것이라면 부정하게 오리지널 콘텐츠가 기록된 콘텐츠로부터는 2개 이상의 워터마크정보가 검출되며, 검출된 순서에서 검출된 워터마크정보가 제 1 규칙성을 가지고 변화하고 있음이 확인된다. 또, 생일파티 등에서 오리지널 콘텐츠를 재생하는 도중에 캠코더 등에 의해 비의도적이면서 비연속적으로 우연히 촬영(기록)한 것이라면 기록된 콘텐츠에서 2개 이상의 워터마크정보가 검출되어도 검출된 각 워터마크정보가 제 1 규칙성을 가지고 변화하고 있음이 확인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생일파티 등의 촬영에서는 몇 분(예를 들어, 5분)에 한번은 촬영을 정지하거나 또는 일시 정지하는 것이 통상의 촬영방법이기 때문이다.
여기서, 상기 매설수단은 상기 콘텐츠를 상기 재생시간 축 상에 있어서 소정 길이로 이루어지는 2개 이상의 블록으로 분할하고,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블록마다 워터마크정보를 매설하여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정보매설장치는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블록마다 워터마크정보를 매설한다. 이에 의해, 2개 이상의 워터마크정보가 매설된 콘텐츠가 재생 중에 캠코더 등에 의해 기록된 경우, 당해 기록된 콘텐츠를 재생하고 있는 장치는 당해 기록된 콘텐츠의 재생 중에 블록 단위로 워터마크정보를 검출하고, 검출한 1개 이상의 워터마크정보가 제 1 규칙성을 가지고 변화하고 있는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워터마크정보가 나타내는 값은 카운터 값이고, 상기 워터마크정보 생성수단은 카운터에 의해 상기 복수의 카운터 값을 생성하며, 상기 매설수단은 생성된 카운터 값을 매설하여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정보매설장치는 워터마크정보로 카운터 값을 매설한다. 이에 의해, 2개 이상의 카운터 값이 매설된 콘텐츠가 재생 중에 캠코더 등에 의해 기록된 경우, 당해 기록된 콘텐츠를 재생하고 있는 장치는 당해 기록된 콘텐츠의 재생 중에 블록 단위로 카운터 값을 검출하고, 검출한 1개 이상의 카운터 값이 제 1 규칙성을 가지고 변화하고 있는가 여부에 의해 당해 기록된 콘텐츠가 부정하게 기록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콘텐츠는 음성데이터를 포함하는 오디오부를 가지며, 상기 소정의 조건이란 블록이 카운터 값을 매설하기 위한 정보량을 갖는 것이고, 상기 매설수단은 상기 오디오부를 상기 2개 이상의 블록으로 분할하고, 카운터 값을 매설하기 위한 정보량을 갖는 블록에 대하여 카운터 값을 매설하여도 좋다.
이들 구성에 의하면, 정보매설장치는 오리지널 콘텐츠의 오디오부에 카운터 값을 순차 매설한다. 이에 의해, 2개 이상의 카운터 값이 매설된 콘텐츠가 재생 중에 캠코더 등에 의해 기록된 경우, 당해 기록된 콘텐츠를 재생하고 있는 장치는 블록 단위로 음성데이터에서 카운터 값을 검출하고, 검출한 1개 이상의 카운터 값이 제 1 규칙성을 가지고 변화하고 있는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매설수단은 분할한 블록마다 카운터 값을 생성하도록 상기 워터마크정보 생성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워터마크정보 생성수단으로부터 블록 각각에 대응하는 카운터 값을 수신하며, 매설 대상의 블록이 대응하는 카운터 값을 매설하기 위한 정보량을 갖지 않는 경우에는 당해 블록에 대응하는 카운터 값을 파기하여도 좋다.
또는, 상기 매설수단은 분할한 블록 각각에서, 블록이 카운터 값을 매설하기 위한 정보량을 갖지 않는 경우에는, 당해 블록에 대한 카운터 값의 생성을 억지하도록 상기 워터마크정보 생성수단을 제어하여도 좋다.
이들 구성에 의하면, 정보매설장치는 오리지널 콘텐츠의 오디오부에서 워터마크정보를 매설하기 위한 정보량을 갖지 않는 블록에 대해서는 워터마크정보를 매설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분할한 각 블록은 소정의 개수로 이루어지는 서브 블록을 갖고, 상기 매설수단은 블록에 워터마크정보를 매설할 때에는 당해 블록에 포함되는 각 서브 블록에 대하여 카운터 값을 매설하여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정보매설장치는 블록에 포함되는 각 서브 블록에 카운터 값을 매설한다. 이에 의해, 2개 이상의 카운터 값이 매설된 콘텐츠가 재생 중에 캠코더 등에 의해 기록된 경우, 당해 기록된 콘텐츠를 재생하는 장치는 당해 기록된 콘텐츠의 재생 중에 만일 어떤 서브 블록에서 어떠한 이유로 카운터 값을 검출할 수 없거나 또는 오검출을 했어도 동일한 블록 내의 다른 서브 블록에서 동일한 카운터 값을 검출할 수 있으므로, 볼록별로 순차 매설된 카운터 값에 의해 검출한 1개 이상의 카운터 값이 제 1 규칙성을 가지고 변화하고 있는가 여부에 의해서 재생 중인 콘텐츠가 부정하게 기록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워터마크정보 생성수단은 단조(單調)로 증가하는 카운터 값을 순차 산출하여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정보매설장치는 카운터 값을 단조로 증가하도록 생성하므로, 캠코더 등에 의해 2개 이상의 카운터 값이 매설된 콘텐츠가 기록된 콘텐츠를 재생하는 장치는 검출한 1개 이상의 카운터 값이 단조로 증가하고 있는가 여부에 의해 재생 중의 콘텐츠가 부정하게 기록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워터마크정보 생성수단은 소정 주기마다 단조로 증가 또는 감소하는 카운터 값을 순차 산출하여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정보매설장치는 카운터 값을 주기적으로 순회하도록 생성하므로, 캠코더 등의 의해 2개 이상의 카운터 값이 매설된 콘텐츠가 기록된 콘텐츠를 재생하는 장치에, 검출한 1개 이상의 카운터 값이 주기적으로 순회하고 있는가 여부에 의해서 재생 중의 콘텐츠가 부정하게 기록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 이 구성에 의하면, 워터마크정보 생성수단으로 카운터 값으로 사용할 수 있는 값의 범위가 제한된 카운터(예를 들어, 1에서 16을 순차 출력 가능한 4비트의 카운터 등)를 이용할 수 있어서 워터마크정보 생성수단을 염가로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콘텐츠는 연속하는 영상데이터를 포함하는 비디오부를 가지며, 상기 매설수단은 상기 비디오부를 상기 2개 이상의 블록으로 분할하고, 분할한 블록에서 카운터 값을 매설하기 위한 정보량을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레임에 당해 카운터 값을 매설하여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정보매설장치는 1개 이상의 카운터 값이 매설된 콘텐츠의 비디오부에 워터마크정보를 순차 매설한다. 이에 의해, 캠코더 등에 의해 2개 이상의 카운터 값이 매설된 콘텐츠가 기록된 콘텐츠를 재생하는 장치는 당해 기록된 콘텐츠의 재생 중에 블록 단위로 영상데이터로부터 워터마크정보를 검출하고, 검출한 1개 이상의 카운터 값이 제 1 규칙성을 가지고 변화하고 있는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콘텐츠는 하나 이상의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정보매설장치는 상기 매설수단이 매설 대상의 프레임 각각에 대하여 워터마크정보를 매설할 때에, 매설 대상의 워터마크정보에 대한 매설위치를 나타내고, 또한 상기 재생시간 축 상의 배열 순에 따라서 제 2 규칙성을 가지고 변화하는 위치정보를 매설 대상의 프레임마다 생성하는 위치정보 생성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매설수단은 매설 대상인 프레임에서 매설 대상의 워터마크정보를 매설할 때에는 당해 프레임에 대하여 생성된 상기 위치정보에서 나타내는 위치에 당해 워터마크정보를 매설하여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정보매설장치는 워터마크정보 각각을 대응하는 위치정보에 의거하여 매설한다. 이에 의해, 캠코더 등에 의해 2개 이상의 워터마크정보가 매설된 콘텐츠가 기록된 콘텐츠를 재생하는 장치는 당해 기록된 콘텐츠의 재생 중에 검출한 1개의 워터마크정보에 대한 제 1 규칙성의 확인 및 위치정보에 의한 매설위치에 대한 제 2 규칙성의 확인의 양쪽을 행할 수 있으므로, 부정기록에 대한 방지를 강화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정보매설장치는 상기 재생시간 축 상에서 매설 대상의 워터마크정보를 매설할 때의 강도를 나타내고, 또한 상기 재생시간 축 상의 배열 순에 따라서 제 3 규칙성을 가지고 변화하는 강도정보를 상기 복수의 워터마크정보마다 생성하는 강도정보 생성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매설수단은 상기 워터마크정보를 매설할 때에는 대응하는 상기 강도정보가 나타내는 강도로 당해 워터마크정보를 매설하여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정보매설장치는 워터마크정보 각각에 대응하는 강도에 따라서 매설한다. 이에 의해, 캠코더 등에 의해 2개 이상의 워터마크정보가 매설된 콘텐츠가 기록된 콘텐츠를 재생하는 장치는 강도에 대한 제 3 규칙성의 확인을 행할 수 있으므로, 부정기록에 대한 방지를 더욱 강화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정보매설장치는 상기 복수의 워터마크정보 각각에 대하여 워터마크정보를 매설할 때의 강도를 나타내고, 또한 상기 재생시간 축 상의 배열 순에 따라서 제 2 규칙성을 가지고 변화하는 강도정보를 생성하는 강도정보 생성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매설수단은 상기 워터마크정보를 매설할 때에는 대응하는 상기 강도정보가 나타내는 강도로 당해 워터마크정보를 매설하여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정보매설장치는 워터마크정보를 매설할 때에 대응하는 강도에 의거하여 당해 워터마크정보를 매설한다. 이에 의해, 캠코더 등에 의해 2개 이상의 워터마크정보가 매설된 콘텐츠가 기록된 콘텐츠를 재생하는 장치는 당해 기록된 콘텐츠의 재생 중에 워터마크정보에 대한 제 1 규칙성의 확인 및 워터마크정보가 매설된 강도에 대한 제 2 규칙성의 확인의 양쪽을 행할 수 있으므로, 부정기록에 대한 방지를 강화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정보매설장치에 의해 생성된 제 1 콘텐츠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제 2 콘텐츠에서 상기 제 1 콘텐츠의 부정사용을 검출하는 검출장치로, 상기 제 2 콘텐츠에서 상기 제 1 콘텐츠에 매설된 워터마크정보를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과거에 검출한 1개 이상의 워터마크정보 각각이 보유하는 값과 이번에 검출한 워터마크정보가 보유하는 값이 재생시간 축 상의 배열 순에 따른 제 1 규칙성을 만족하는가 여부를 판단하는 제 1 판단수단과, 상기 제 1 판단수단에서 상기 제 1 규칙성을 만족한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과거에 검출한 1개 이상의 워터마크정보와 상기 이번에 검출한 워터마크정보의 합계의 개수를 나타내는 제 1 합계 수가 제 1 임계값(threshold) 이상인가 여부를 판단하는 제 2 판단수단과, 상기 제 2 판단수단에서 상기 제 1 합계 수가 상기 제 1 임계값 이상이라고 판단된 경우, 상기 제 2 콘텐츠에 대한 재생이 정상으로 동작하지 않도록 당해 재생을 제어하는 재생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검출장치는 재생시간 축 상의 배열에 따른 제 1 규칙성을 만족하는 워터마크정보의 제 1 합계 수에 의해 재생 중의 제 2 콘텐츠가 부정하게 기록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화관 등에서 방영 중인 제 1 콘텐츠를 캠코더 등에 의해 의도적이면서 연속적으로 촬영(부정하게 기록)한 것이라면, 부정하게 기록된 제 2 콘텐츠에서는 제 1 규칙성을 만족하는 워터마크정보의 제 1 합계 수가 제 1 임계값 이상이 되는 것이 확인된다. 또, 생일파티 등에서 오리지널 콘텐츠를 재생하는 도중에 캠코더 등에 의해 비의도적이면서 비연속적으로 우연하게 촬영(기록)한 것이라면, 기록된 제 2 콘텐츠의 재생 중에 2개 이상의 워터마크정보가 검출되어도 제 1 규칙성을 만족하는 워터마크정보의 제 1 합계 수가 제 1 임계값 이상이 되는 것은 확인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생일파티 등의 촬영에서는 몇 분(예를 들어, 5분)에 한번은 촬영을 정지하거나 또는 일시 정지하는 것이 통상의 촬영방법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제 2 콘텐츠가 부정하게 기록된 제 1 콘텐츠라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검출장치는 당해 기록된 제 2 콘텐츠에 대한 재생이 정상으로 동작하지 않도록 제어함으로써 부정한 기록이 이루어진 제 2 콘텐츠를 배제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검출수단은 상기 제 2 콘텐츠를 상기 소정 길이로 이루어지는 2개 이상의 재생블록으로 분할하고, 분할한 재생블록 각각에서 상기 워터마크정보의 유무를 검출하여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검출장치는 제 2 콘텐츠의 재생 중에 당해 제 2 콘텐츠를 소정 길이로 이루어지는 재생블록으로 분할하여, 분할한 재생블록 단위로 워터마크정보의 유무를 검출하며, 2개 이상의 워터마크정보를 검출하면, 검출한 각 워터마크정보에 의해 검출순서에서 각 워터마크정보에 대한 제 1 규칙성이 확인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워터마크정보가 보유하는 값은 카운터에 의해 산출되는 카운터 값이고, 상기 검출수단은 분할한 재생블록 각각에서 상기 카운터 값의 유무를 검출하며, 상기 제 1 판단수단은 과거에 검출한 카운터 값과 이번에 검출한 카운터 값이 카운트에 의한 규칙을 만족하는가 여부를 판단하여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검출장치는 워터마크정보로 매설된 카운터 값을 검출함으로써 제 2 콘텐츠의 재생 중에 검출순서에서 각 카운터 값에 대한 제 1 규칙성을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1개 이상의 상기 카운터 값은 상기 제 1 콘텐츠가 갖는 음성데이터로 이루어지는 오리지널 오디오부에 매설되어 있고, 상기 제 2 콘텐츠는 상기 오리지널 오디오부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재생 오디오부를 가지며, 상기 검출수단은 상기 재생 오디오부를 상기 2개 이상의 재생블록으로 분할하고, 분할한 각 재생블록에 대하여 카운터 값의 유무를 검출하여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검출장치는 제 2 콘텐츠의 재생 중에 제 1 콘텐츠의 오디오부에 순차 매설된 카운터 값의 유무를 재생블록 단위로 검출하고, 검출한 2개 이상의 카운터 값에 대한 제 1 규칙성이 확인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2 판단수단은 상기 카운터 값과 비교하기 위한 비교 값을 기억하는 비교 값 기억부와, 상기 비교 값을 소정 주기로 갱신하는 갱신부와, 상기 카운터 값과 상기 비교 값이 일치한 횟수를 나타내는 일치 수를 기억하는 일치횟수 기억부와, 상기 카운터 값과 상기 비교 값을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의해 상기 카운터 값과 상기 비교 값이 일치한다고 판단한 경우에 상기 일치횟수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일치 수를 갱신하는 비교부와, 상기 일치횟수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일치 수를 상기 제 1 합계 수로 하여, 상기 일치 수가 상기 제 1 임계값을 초과하였는가 여부를 판단하는 연속성 판단부와, 상기 검출수단에 의한 워터마크정보의 검출이 종료할 때까지, 또는 상기 재생제어수단에 의한 상기 제 2 콘텐츠에 대한 재생에 관한 동작이 제어될 동안 상기 비교부와 상기 연속성 판단부의 동작을 반복하도록 제어하는 반복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재생제어수단은 상기 연속성 판단부에서 상기 일치 수가 상기 제 1 임계값을 초과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제 2 콘텐츠에 대한 재생이 정상으로 동작하지 않도록 당해 재생을 제어하여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검출장치는 비교 값과 검출한 카운터 값을 비교하고, 일치하는 경우에는 일치 수를 갱신하며, 일치 수가 제 1 임계값을 초과하였는가 여부를 판단한다. 이에 의해, 검출장치는 일치 수가 제 1 임계값을 초과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제 2 콘텐츠는 제 1 콘텐츠가 부정하게 기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비교부는 비교결과에 의해 상기 카운터 값과 상기 비교 값이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비교 값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비교 값 및 상기 일치횟수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일치 수 각각을 초깃값으로 리셋하여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검출장치는 비교 값과 검출한 카운터 값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비교 값 및 일치 수 각각을 초깃값으로 리셋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생일파티에서 제 1 콘텐츠를 재생하는 도중에 캠코더로 비의도적이면서 비연속적으로 우연히 촬영(기록)한 경우에는, 당해 기록된 콘텐츠의 재생 도중에서의 어느 시점에서 검출한 카운터 값과 비교 값이 일치하지 않게 되어서, 비교 값 및 일치 수 각각이 초깃값으로 리셋이 되므로, 결과적으로 그와 같이 촬영된 콘텐츠가 부정하게 기록된 것이라고 판단되는 일은 없다.
여기서, 상기 제 2 판단수단은 상기 카운터 값과 상기 비교 값이 일치하지 않는 횟수를 나타내는 불일치 수를 기억하는 불일치횟수 기억부와, 상기 불일치 수가 소정의 임계값을 초과하였는가 여부를 판단하는 불일치횟수 판단부와, 상기 불일치횟수 판단부가 상기 불일치 수가 상기 소정의 임계값을 초과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일치횟수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일치 수를 초깃값으로 리셋하는 리셋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비교부는 비교결과에 의해 상기 카운터 값과 상기 비교 값이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비교 값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비교 값을 초깃값으로 리셋하여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검출장치는 불일치횟수가 소정의 임계값을 초과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일치횟수를 초깃값으로 리셋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영화관에서 제 1 콘텐츠의 방영 중에 캠코더로 위법하게 촬영(부정하게 기록)할 때에, 상기 소정의 임계값 이하의 횟수에 대하여, 비 연속으로 촬영한 경우에도(예를 들어, 의도적으로 캠코더의 카메라의 위치를 움직이거나 또는 카메라 앞을 사람이 지나감으로써 촬영이 한순간 끊어지거나 해도) 일치횟수 기억부가 기억하는 일치횟수는 리셋 되는 일은 없으며, 결과적으로 이와 같은 경우에는 제 2 콘텐츠는 부정하게 기록된 것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2 판단수단은 상기 제 2 콘텐츠의 재생이 정지 또는 일시 정지된 경우에는 상기 비교 값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비교 값 및 상기 일치횟수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일치 수 각각을 초깃값으로 리셋하는 리셋부를 더 구비하여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검출장치는 제 2 콘텐츠의 재생이 정지 또는 일시 정지된 경우에는 일치 수를 초깃값으로 리셋한다. 이에 의해, 검출장치는 부정하게 기록되지 않은 제 2 콘텐츠가 부정하게 기록된 것이라고 판단되는 기회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1개 이상의 상기 카운터 값은 상기 제 1 콘텐츠가 갖는 영상데이터로 이루어지는 오리지널 비디오부에 매설되어 있고, 상기 제 2 콘텐츠는 상기 오리지널 비디오부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재생 비디오부를 가지며, 상기 검출수단은 상기 재생 비디오부를 상기 2개 이상의 재생블록으로 분할하고, 분할한 각 재생블록에 대하여 카운터 값의 유무를 검출하여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검출장치는 제 2 콘텐츠의 재생 중에 제 1 콘텐츠의 오리지널 오디오부에 순차 매설된 카운터 값의 유무를 재생블록 단위로 검출하고, 검출한 2개 이상의 카운터 값에 대한 제 1 규칙성이 확인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콘텐츠는 복수의 오리지널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워터마크정보 각각은 매설 대상의 오리지널 프레임의 각각에 대하여 상기 재생시간 축 상의 배열 순에 따라서 제 2 규칙성을 가지고 변화하는 위치에 매설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콘텐츠는 복수의 재생 프레임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재생 프레임은 상기 오리지널 프레임을 가지며, 상기 검출수단은 검출대상의 프레임에서 상기 워터마크정보를 검출하면, 검출한 워터마크정보가 매설된 위치를 나타내는 검출위치정보를 더 취득하며, 상기 제 1 판단수단은 과거에 검출한 1개 이상의 워터마크정보 각각에 대응하는 검출위치정보와 이번에 검출한 워터마크정보에 대응하는 검출위치정보가 상기 제 2 규칙성을 만족하는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 2 판단수단은 상기 제 1 판단수단에서 상기 제 2 규칙을 만족한다고 판단된 경우에, 상기 과거에 검출한 1개 이상의 워터마크정보 각각에 대응하는 검출위치정보와 상기 이번에 검출한 워터마크정보에 대응하는 검출위치정보의 합계의 개수를 나타내는 제 2 합계 수가 제 2 임계값 이상인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재생제어수단은 상기 제 2 판단수단에서 상기 제 1 합계 수가 제 1 임계값 이상이라고 판단되고, 또한 상기 제 2 합계 수가 제 2 임계값 이상이라고 판단된 경우에만 상기 제 2 콘텐츠에 대한 재생이 정상으로 동작하지 않도록 당해 재생을 제어하여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검출장치는 제 2 콘텐츠의 재생 중에 워터마크정보에 대한 제 1 규칙성의 확인 및 검출위치정보에 의한 매설위치에 대한 제 2 규칙성의 확인의 양방을 행하므로, 제 2 콘텐츠가 부정하게 기록된 것인지 여부의 판단을 강화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워터마크정보 각각은 상기 재생시간 축 상의 배열 순에 따라서 제 3 규칙성을 가지고 변화하는 강도에 의거하여 매설되어 있고, 상기 검출수단은 검출대상의 프레임에서 상기 워터마크정보를 검출하면, 검출한 워터마크정보의 매설강도를 나타내는 검출강도정보를 취득하며, 상기 제 1 판단수단은 과거에 검출한 1개 이상의 워터마크정보 각각에 대응하는 검출강도정보와 이번에 검출한 워터마크정보에 대응하는 검출강도정보가 상기 제 3 규칙을 만족하는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 2 판단수단은 상기 제 1 판단수단에서 상기 제 3 규칙을 만족한다고 판단된 경우에, 상기 과거에 검출한 1개 이상의 워터마크정보 각각에 대응하는 검출강도정보와 상기 이번에 검출한 워터마크정보에 대응하는 검출강도정보의 합계의 개수를 나타내는 제 3 합계 수가 제 3 임계값 이상인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재생제어수단은 상기 제 2 판단수단에서 상기 제 1 합계 수가 제 1 임계값 이상이라고 판단되고, 상기 제 2 합계 수가 제 2 임계값 이상이라고 판단되며, 또한 상기 제 3 합계 수가 제 3 임계값 이상이라고 판단된 경우에만 상기 제 2 콘텐츠에 대한 재생이 정상으로 동작하지 않도록 당해 재생을 제어하여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검출장치는 제 2 콘텐츠의 재생 중에 매설된 워터마크정보의 강도에 대한 제 3 규칙성의 확인을 행하므로, 제 2 콘텐츠가 부정하게 기록된 것인지 여부의 판단을 더 강화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워터마크정보 각각은 상기 재생시간 축 상의 배열 순에 따라서 제 2 규칙성을 가지고 변화하는 강도에 의거하여 매설되고 있고, 상기 검출수단은 검출대상의 프레임에서 상기 워터마크정보를 검출하면, 검출한 워터마크정보가 매설된 강도를 나타내는 검출강도정보를 더 취득하고, 상기 제 1 판단수단은 과거에 검출한 1개 이상의 워터마크정보 각각에 대응하는 검출강도정보와 이번에 검출한 워터마크정보에 대응하는 검출강도정보가 상기 제 2 규칙을 만족하는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 2 판단수단은 상기 제 1 판단수단에서 상기 제 2 규칙을 만족한다고 판단된 경우에, 상기 과거에 검출한 1개 이상의 워터마크정보 각각에 대응하는 검출강도정보와 상기 이번에 검출한 워터마크정보에 대응하는 검출강도정보의 합계의 개수를 나타내는 제 2 합계 수가 제 2 임계값 이상인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재생제어수단은 상기 제 2 판단수단에서 상기 제 1 합계 수가 제 1 임계값 이상이라고 판단되고, 또한 상기 제 2 합계 수가 제 2 임계값 이상이라고 판단된 경우에만 상기 제 2 콘텐츠에 대한 재생이 정상으로 동작하지 않도록 당해 재생을 제어하여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검출장치는 제 2 콘텐츠의 재생 중에 워터마크정보에 대한 제 1 규칙성의 확인 및 매설된 워터마크정보의 강도에 대한 제 2 규칙성의 확인의 양방을 행하므로, 제 2 콘텐츠가 부정하게 기록된 것인지 여부의 판단을 강화할 수 있다.
도 1은 전자 워터마크 매설/검출 시스템(1)의 구성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전자 워터마크 매설장치(10) 및 기록매체(2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 록도이다.
도 3은 매설 대상의 디지털 콘텐츠에서 워터마크정보의 매설 전과 매설 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전자 워터마크 검출장치(3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판정부(306)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전자 워터마크장치(10)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전자 워터마크장치(10)에서 행해지는 매설처리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은 전자 워터마크장치(30)에서 행해지는 재생제어처리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는 전자 워터마크장치(30)에서 행해지는 판정처리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에 이어진다.
도 10은 전자 워터마크장치(30)에서 행해지는 판정처리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에서 이어진다.
도 11은 전자 워터마크 매설기능을 실현하는 LSI의 구성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매설 대상의 디지털 콘텐츠에서 워터마크정보를 매설한 후의 데이터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매설 대상의 디지털 콘텐츠에서 워터마크정보를 매설한 후의 데이터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위치정보에 의거하여 영상 블록에 워터마크정보를 매설한 경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부호의 설명)
1 전자 워터마크 매설/검출 시스템
10 전자 워터마크 매설장치
20, 21, 22 기록매체
30 전자 워터마크 검출장치
101 콘텐츠 기억부
102 매설정보 생성부
103 전자 워터마크 매설부
104 콘텐츠 암호화부
105 콘텐츠 키 기억부
106 디바이스 키 기억부
107 콘텐츠 키 암호화부
108 출력부
109 디코드부
110 인코드부
201 암호화콘텐츠 기억영역
202 암호화콘텐츠 키 기억영역
301 입력부
302 디바이스 키 기억부
303 콘텐츠 키 복호부
304 콘텐츠 복호부
305 전자 워터마크 검출부
306 판정부
307 제어부
308 출력부
309 식별처리부
310 디코드부
351 비교 값 기억부
352 비교부
353 갱신부
354 비교결과 처리부
355 판정결과 출력부
356 접수부
357 비교결과 기억부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1. 제 1 실시 예
본 발명에 관한 제 1 실시 예로서의 전자 워터마크 매설/검출 시스템(1)에 대하여 설명한다.
1.1 전자 워터마크 매설/검출 시스템(1)의 구성
전자 워터마크 매설/검출 시스템(1)은 도 1에 도시한 전자 워터마크 매설장치(10), 기록매체(20) 및 전자 워터마크 검출장치(30)를 포함한다.
전자 워터마크 매설장치(10)는 전자 워터마크를 매설할 대상 콘텐츠에 전자 워터마크로 워터마크정보를 매설하고, 워터마크정보가 매설된 콘텐츠를 암호화한다. 전자 워터마크 매설장치(10)는 암호화한 콘텐츠를 기록매체(20)에 기록한다. 여기서, 콘텐츠는 음성데이터로 이루어지는 오디오부와 영상데이터로 이루어지는 비디오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 워터마크정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기록매체 20은 암호화된 콘텐츠를 기록하고 있다. 또, 기록매체 20에 기록되어 있는 암호화된 콘텐츠는 복제 제어가 걸려 있고, 암호화된 상태에서 다른 기록매체로의 복제는 할 수 없는 것으로 한다.
기록매체 21은 기록매체 20에 기록되어 있는 암호화된 콘텐츠를 재생하여 모니터 등으로부터 출력된 영상 및 음성을 캠코더 등에 의해 부정하게 기록하고 있다. 이후, 모니터 등에서 출력된 영상 및 음성을 기록매체에 캠코더 등에 의해 부정하게 기록하는 것을 부정기록이라고 한다. 또, 부정기록에 의해 기록매체에 기록된 영상 및 음성을 부정콘텐츠라고 한다. 또, 부정기록에서는 모니터 등으로부터 출력된 영상 및 음성이 캠코더 등에 의해서 기록매체(21)에 기록이 되므로, 기록매체 21에 기록되어 있는 부정콘텐츠는 암호화되어 있지 않다.
기록매체 22는 암호화콘텐츠를 재생하여 당해 콘텐츠의 영상 및 음성과 함께 다른 영상 및 음성이 캠코더에 의해 기록된 콘텐츠로, 예를 들어 생일파티의 모습이 기록되어 있다. 이후, 기록매체 20에 기록되어 있는 암호화된 콘텐츠를 재생하면서 다른 영상 및 음성(예를 들어, 생일파티의 모습)을 기록하는 것을 정당기록이라 한다. 또, 정당기록에 의해 기록된 콘텐츠를 영상콘텐츠라고 한다. 또, 영상콘텐츠는 암호화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한다.
이후, 영상콘텐츠 및 부정콘텐츠를 총칭하여 기록콘텐츠라고 한다. 또, 여기에서는 암호화콘텐츠 및 기록콘텐츠는 인코드에 의해 부호화 압축되어 있다. 인코드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전자 워터마크 검출장치(30)에는 기록매체 20, 기록매체 21 및 기록매체 22 중 어느 하나가 장착된다. 전자 워터마크 검출장치(30)는 장착된 기록매체에서 콘텐츠(암호화콘텐츠 및 기록콘텐츠 중 어느 하나)를 판독한다. 판독한 콘텐츠가 암호화콘텐츠인 경우에는 전자 워터마크 검출장치(30)는 워터마크정보를 검출하지 않고 재생을 한다. 판독한 콘텐츠가 기록콘텐츠인 경우에는 전자 워터마크 검출장치(30)는 판독한 기록콘텐츠에서 워터마크정보를 검출하고, 검출한 워터마크정보에 의거하여 기록콘텐츠의 재생제어를 한다.
이때, 기록매체(20) 상의 콘텐츠의 암호화에는 예를 들어 DES나 AES 암호 등이 이용되나, 이들 암호기술에 대해서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1.2 전자 워터마크 매설장치(10)의 구성
전자 워터마크 매설장치(1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콘텐츠 기억부(10), 매설정보 생성부(102), 전자 워터마크 매설부(103), 콘텐츠 암호화 부(104), 콘텐츠 키 기억부(105), 디바이스 키 기억부(106), 콘텐츠 키 암호화부(107), 출력부(108), 디코드부(109) 및 인코드부(110)로 구성되어 있다.
전자 워터마크 매설장치(10)는 구체적으로는 마이크로프로세서, RAM, ROM 및 하드디스크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RAM, ROM 및 하드디스크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억되어 있고,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상기 프로그램에 따라서 동작함으로써 전자 워터마크 매설장치(10)는 그 기능을 달성한다.
이하, 전자 워터마크 매설장치(10)의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설명한다.
(1) 콘텐츠 기억부(101)
콘텐츠 기억부(101)는 워터마크정보를 매설할 대상의 디지털 콘텐츠를 기억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콘텐츠 기억부(101)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는 부호화 압축되어 있다.
(2) 디코드부(109)
디코드부(109)는 콘텐츠 기억부(101)에서 오리지널 콘텐츠를 판독한다.
판독한 콘텐츠에 디코드 및 D/A 변환(digital to analog conversion)을 하여 아날로그 데이터로 이루어지는 콘텐츠(이하, 아날로그 콘텐츠라 한다)를 전자 워터마크 매설부(103)에 출력한다.
또, 부호화 압축된 콘텐츠의 디코드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3) 매설정보 생성부(102)
매설정보 생성부(102)는 전자 워터마크 매설부(103)로부터 워터마크정보를 생성한다는 취지를 나타내는 워터마크정보 생성명령을 수신하면 아날로그 콘텐츠에 매설하기 위한 워터마크정보로 카운터 값을 생성한다.
매설정보 생성부(102)는 생성한 카운터 값을 전자 워터마크 매설부(103)에 출력한다.
여기에서는 카운터 값의 초깃값을 0으로 하고, 매설정보 생성부(102)는 전자 워터마크 매설부(103)로부터 워터마크정보 생성명령을 수신할 때마다 카운터 값에 1을 가산하며, 가산결과를 새로운 카운터 값으로 갱신하고, 가산결과(갱신된 카운터 값)를 전자 워터마크 매설부(103)에 출력한다.
(4) 전자 워터마크 매설부(103)
전자 워터마크 매설부(103)는 디코드부(109)로부터 아날로그 콘텐츠를 수신하고, 수신한 콘텐츠를 오디오부와 비디오부로 분리한다.
전자 워터마크 매설부(103)는 분리한 오디오부를 전자 워터마크 검출단위인 단위블록(이하, 「블록」이라 한다)으로 분할한다. 여기서, 전자 워터마크 검출단위를 예를 들어 10초로 하고, 전자 워터마크 매설부(103)는 오디오부를 재생시간이 10초 단위로 분할한다.
전자 워터마크 매설부(103)는 이하의 동작에 의해 블록마다 워터마크정보를 매설한다.
전자 워터마크 매설부(103)는 먼저, 오디오부의 선두에 위치하는 블록을 취득하면 워터마크정보 생성명령을 매설정보 생성부(102)에 출력하고, 카운터 값을 매설정보 생성부(102)로부터 수신한다.
전자 워터마크 매설부(103)는 취득한 블록에 수신한 워터마크정보를 매설할 수 있는가 여부, 즉 워터마크정보를 매설하기 위한 충분한 정보량이 있는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전자 워터마크 매설부(103)는 취득한 블록이 무음부만으로 이루어지는가, 또는 취득한 블록 중 무음부가 포함되는 비율이 소정의 비율(예를 들어 70%) 이상인가를 판단하고, 취득한 블록이 무음부이거나 또는 무음부가 소정의 비율 이상 포함된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워터마크정보를 매설하기 위한 충분한 정보량이 없다고 판단하며, 판단결과가 그 이외인 경우에는 워터마크정보를 매설하기 위한 충분한 정보량이 있다고 판단한다. 여기서, 무음부는 음성이 존재하지 않는 부위이다. 또, 이후, 무음부로 이루어지는 블록 또는 소정의 비율(예를 들어 70%) 이상의 무음부를 포함하는 블록을 무음블록이라 한다.
워터마크정보의 매설이 가능하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전자 워터마크 매설부(103)는 수신한 카운터 값을 취득한 블록에 매설한다. 워터마크정보의 매설이 가능하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전자 워터마크 매설부(103)는 수신한 카운터 값을 파기하고, 블록에 대한 매설을 중지한다. 또, 워터마크정보의 매설에 대해서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전자 워터마크 매설부(103)는 다음에 위치하는 블록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다음 블록이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전자 워터마크 매설부(103)는 다음 블록을 취득하고, 상기의 동작을 행한다. 다음 블록이 없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전자 워터마크 매설부(103)는 분리한 비디오부와 상기 동작이 행해진 오디오부로 이루어지 는 정보매설 후 아날로그 콘텐츠를 인코드부(110)에 출력한다.
여기서, 워터마크정보를 매설하는 방법의 일례로 음성데이터에 워터마크정보를 노이즈로서 매설한다.
또, 워터마크정보를 음성데이터에 매설하는 기술에 대해서는 저자 마츠이 기네오(松井甲子雄)의 "전자 워터마크의 기초 멀티미디어의 뉴 프로텍트 기술"(모리기타(森北) 출판)에 기재되어 있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구체 예)
이하에 워터마크정보의 매설 전과 매설 후의 구체 예를 도 3에 나타낸다.
전자 워터마크 매설부(103)는 오디오부 B10을 전자 워터마크 검출단위(10초 단위)인 블록 B11, B12, B13, B14, B15, …로 분할한다. 여기에서는 블록 B13, B14는 무음 블록이고, 다른 블록 B11, B12, B15, …는 무음 블록이 아닌, 즉 유음 블록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매설정보 생성부(102)는 분할된 블록마다 순차 카운터 값을 생성한다.
전자 워터마크 매설부(103)는 블록별로 생성된 카운터 값이 매설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매설 가능하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전자 워터마크 매설부(103)는 매설 대상 블록에 대응하는 카운터 값을 매설한다.
매설 불가능하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전자 워터마크 매설부(103)는 매설 대상 블록에 대응하는 카운터 값을 매설하지 않는다.
이에 의해, 전자 워터마크 매설부(103)는 워터마크정보를 포함하는 오디오부 B20을 생성할 수 있다.
오디오부 B20은 무음 블록 B13, B14에 대하여 카운터 값이 매설되어 있지 않은 블록 B23, B24와, 무음 블록이 아닌 블록 B11, B12, B15, …(유음 블록)에 대하여 각각에 대응하는 카운터 값(「0x0001」, 「0x0002」, 「0x0005」, …, 「0x0959」, 「0x0960」)이 매설된 블록 B21, B22, B25, …로 구성되어 있다.
(5) 인코드부(110)
인코드부(110)는 전자 워터마크 매설부(103)로부터 정보매설 후의 아날로그 콘텐츠를 수신하면, 수신한 콘텐츠에 A/D 변환(analog to digital conversion) 및 인코드를 행하여 부호화 압축된 콘텐츠(이하, 정보매설 후 디지털 콘텐츠라 한다)를 생성한다.
인코드부(110)는 생성한 콘텐츠를 콘텐츠 암호화부(104)에 출력한다.
또, 콘텐츠의 인코드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6) 콘텐츠 키 기억부(105)
콘텐츠 키 기억부(105)는 콘텐츠를 암호화하기 위한 키 정보(콘텐츠 키)를 기억하고 있다.
(7) 콘텐츠 암호화부(104)
콘텐츠 암호화부(104)는 인코드부(110)로부터 정보매설 후 디지털 콘텐츠를 수신하면, 콘텐츠 키 기억부(105)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 키를 취득한다.
콘텐츠 암호화부(104)는 취득한 콘텐츠 키로 수신한 콘텐츠를 암호화하여 암호화콘텐츠를 생성한다.
콘텐츠 암호화부(104)는 생성한 암호화콘텐츠를 출력부(108)를 통해서 기록매체(20)의 암호화콘텐츠 기억영역(201)에 기록한다.
이때, 기록매체 상의 콘텐츠의 암호화에는 예를 들어 DES나 AES 암호 등이 이용되나, 이들 암호기술에 대해서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8) 디바이스 키 기억부(106)
디바이스 키 기억부(106)는 콘텐츠 키를 암호화하기 위한 키 정보(디바이스 크)를 기억하고 있다.
(9) 콘텐츠 키 암호화부(107)
콘텐츠 키 암호화부(107)는 콘텐츠 키 기억부(105)에서 콘텐츠 키를 취득하고, 디바이스 키 기억부(106)에서 디바이스 키를 각각 취득한다.
콘텐츠 키 암호화부(107)는 디바이스 키 기억부(106)에서 취득한 디바이스 키로 콘텐츠 키 기억부(105)에서 취득한 콘텐츠 키를 암호화하여 암호화콘텐츠 키를 생성한다.
콘텐츠 키 암호화부(107)는 생성한 암호화콘텐츠 키를 출력부(108)를 통해서 기록매체(20)의 암호화콘텐츠 키 기억영역(202)에 기록한다.
이때, 기록매체 상의 콘텐츠의 암호화에는 예를 들어 DES 암호나 AES 암호 등이 이용되나, 이들 암호기술에 대해서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10) 출력부(108)
출력부(108)는 콘텐츠 암호화부(104)에서 생성된 암호화콘텐츠 및 콘텐츠 키 암호화부(107)에서 생성된 암호화콘텐츠 키를 기록매체(20)의 암호화콘텐츠 기억영 역(201) 및 암호화콘텐츠 키 기억영역(202)에 기록한다.
1. 3 전자 워터마크 검출장치(30)의 구성
전자 워터마크 검출장치(3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부(301), 디바이스 키 기억부(302), 콘텐츠 키 복호부(303), 콘텐츠 복호부(304), 전자 워터마크 검출부(305), 판정부(306), 제어부(307), 출력부(308), 식별처리부(309) 및 디코드부(310)로 구성되어 있다.
전자 워터마크 검출장치(30)는 구체적으로는 마이크로프로세서, RAM, ROM 및 하드디스크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RAM, ROM 및 하드디스크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억되어 있고,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상기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함으로써 전자 워터마크 검출장치(30)는 그 기능을 달성한다.
이하, 전자 워터마크 검출장치(30)의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설명한다.
(1) 식별처리부(309)
식별처리부(309)는 장착된 기록매체에 암호화콘텐츠가 기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방법의 일례로, 예를 들어 식별처리부(309)는 장착된 기록매체에 암호화콘텐츠 키가 존재하는가 여부를 판단한다.
암호화콘텐츠가 기록되어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암호화콘텐츠 키가 존재하는 경우), 식별처리부(309)는 입력부(301)를 통해서 기록매체(20)의 암호화콘텐츠 기억영역(201) 및 암호화콘텐츠 키 기억영역(202)에서 암호화콘텐츠 및 암호화콘텐츠 키를 각각 판독한다. 식별처리부(309)는 판독한 암호화콘텐츠를 콘텐츠 복호부(304)에 출력하고, 판독한 암호화콘텐츠 키를 콘텐츠 키 복호부(303)에 출력한 다.
암호화콘텐츠가 기록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에는(암호화콘텐츠 키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입력부(301)를 통해서 장착된 기록매체에서 기록콘텐츠(부정콘텐츠 및 영상콘텐츠 중 어느 하나)를 판독하고, 판독한 기록콘텐츠와, 워터마크정보의 검출을 행한다는 취지의 검출지시를 디코드부(310)에 출력한다.
또, 다른 판단방법으로, 식별처리부(309)는 장착된 기록매체에 암호화콘텐츠 키 기억영역이 존재하는가 여부를 판단하여도 좋다.
(2) 입력부(301)
입력부(301)는 장착된 기록매체에서 데이터를 판독하고, 판독한 데이터를 식별처리부(309)에 출력한다.
(3) 디바이스 키 기억부(302)
디바이스 키 기억부(302)는 암호화콘텐츠 키를 복호화하기 위한 키 정보(디바이스 키)를 기억하고 있다.
(4) 콘텐츠 키 복호부(303)
콘텐츠 키 복호부(303)는 식별처리부(309)로부터 암호화콘텐츠 키를 수신한다.
콘텐츠 키 복호부(303)는 디바이스 키 기억부(302)에 기억되어 있는 디바이스 키를 취득한다.
콘텐츠 키 복호부(303)는 디바이스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콘텐츠 키를 복호화하여 콘텐츠 키를 생성하고, 생성한 콘텐츠 키를 콘텐츠 복호부(304)에 출력한다.
(5) 콘텐츠 복호부(304)
콘텐츠 복호부(304)는 식별처리부(309)로부터 암호화콘텐츠를 수신한다.
콘텐츠 복호부(304)는 콘텐츠 키 복호부(303)로부터 콘텐츠 키를 수신하면, 수신한 콘텐츠 키로 암호화콘텐츠를 복호화하여 정보매설 후 디지털 콘텐츠를 생성한다.
콘텐츠 복호부(304)는 생성한 정보매설 후 디지털 콘텐츠를 디코드부(310)에 출력한다.
(6) 디코드부(310)
디코드부(310)는 식별처리부(309)로부터 검출지시와 기록콘텐츠(부정콘텐츠 및 영상콘텐츠 중 어느 하나)를 수신하면, 수신한 기록콘텐츠에 디코드 및 D/A 변환을 행하여 아날로그 콘텐츠를 생성한다. 디코드부(310)는 아날로그 콘텐츠를 전자 워터마크 검출부(305) 및 제어부(307)에 출력한다.
디코드부(310)는 콘텐츠 복호부(304)로부터 정보매설 후 디지털 콘텐츠를 수신하면 재생을 실행하는 재생실행정보를 제어부(307)에 출력한다. 그 후, 수신한 정보매설 후 디지털 콘텐츠에 디코드 및 D/A 변환을 하여 아날로그 콘텐츠를 생성하고, 생성한 아날로그 콘텐츠를 제어부(307)에 출력한다.
(7) 전자 워터마크 검출부(305)
전자 워터마크 검출부(305)는 디코드부(310)로부터 아날로그 콘텐츠를 수신하면 수신한 콘텐츠를 오디오부와 비디오부로 분리한다.
전자 워터마크 검출부(305)는 분리한 오디오부를 워터마크 검출단위인 블록 으로 분할한다.
전자 워터마크 검출부(305)는 분할한 블록마다 워터마크정보(카운터 값)를 검출하고, 검출한 워터마크정보를 판정부(306)에 출력한다. 또, 블록이 무음 블록인 경우에는 워터마크정보는 검출되지 않는다.
(8) 판정부(306)
판정부(306)는 검출된 워터마크정보를 전자 워터마크 검출부(305)로부터 순차 수신한다.
판정부(306)는 수신한 1 이상의 워터마크정보에 의거하여 당해 콘텐츠가 재생이 허가되어 있는 콘텐츠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판정부(306)는 콘텐츠가 재생이 허가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재생을 정지한다는 취지를 나타내는 재생정지정보를 제어부(307)에 출력하고, 재생이 허가되어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재생을 속행한다는 취지의 재생속행정보를 제어부(307)에 통지한다.
또, 판정부(306)의 상세는 1.4에서 설명한다.
(9) 제어부(307)
제어부(307)는 디코드부(310)와 출력부(308) 사이를 접속 또는 절단하는 스위치를 가지며, 디코드부(310)에서 출력되는 정보 및 판정부(306)의 판정결과에 의거하여 콘텐츠의 재생을 제어한다.
스위치의 초기상태는 디코드부(310)와 출력부(308) 사이를 접속하고 있는 상태(이하, ON 상태라 한다)이다.
제어부(307)는 디코드부(310)로부터 재생실행정보를 수신하면, 스위치의 상태를 항상 ON 상태로 하고, 디코드부(310)로부터 수신한 아날로그 콘텐츠를 수신하며, 수신한 콘텐츠를 출력부(308)에 출력한다.
제어부(307)는 판정부(306)로부터 판정결과를 수신하면, 수신한 판정결과에 따라서 이하의 동작을 실행한다.
판정부(306)로부터 재생속행정보를 수신한 경우에는, 제어부(307)는 스위치의 상태를 ON 상태로 하고, 재생할 콘텐츠를 출력부(308)에 출력한다.
판정부(306)로부터 재생정지정보를 수신한 경우에는, 제어부(307)는 스위치를 개방하여, 디코드부(310)와 출력부(308) 사이가 절단되어 있는 상태(이하, OFF 상태라 한다)로 하여 콘텐츠의 재생을 정지한다.
(10) 출력부(308)
출력부(308)는 디코드부(310)에서 제어부(307)를 통해서 재생할 콘텐츠를 수신하면, 수신한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장치에 출력한다.
1.4 판정부(306)의 구성
판정부(306)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교 값 기억부(351), 비교부(352), 갱신부(353), 비교결과 처리부(354), 판정결과 출력부(355), 접수부(356) 및 비교결과 기억부(357)로 구성된다.
(1) 비교 값 기억부(351)
비교 값 기억부(351)는 비교 값으로 초깃값(예를 들어, 「0x0000」)을 기억하고 있다.
비교 값 기억부(351)는 기억하고 있는 비교 값을 전자 워터마크 검출부(305)로부터 접수부(356)를 통해서 수신한 워터마크정보(카운터 값)에 기억한다.
비교 값 기억부(351)는 기억하고 있는 비교 값을 갱신부(353)에 의해 미리 정해진 타이밍에 갱신된 비교 값으로 갱신한다.
예를 들어, 도 3에 나타낸 워터마크정보가 매설된 콘텐츠가 부정 기록된 경우, 먼저 1번째의 블록에서 워터마크정보 「0x0001」이 비교 값으로서 비교 값 기억부(351)에 기억된다. 다음에, 전자 워터마크 검출단위인 10초 후에 갱신부(353)에 의해 비교 값 기억부(351)의 비교 값은 「0x0001」에서 「0x0002」로 갱신된다.
(2) 접수부(356)
접수부(356)는 전자 워터마크 검출부(305)로부터 수신한 워터마크정보를 수신한다.
접수부(356)는 비교 값 기억부(351)의 값이 초깃값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초깃값이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접수부(356)는 갱신부(353)에 대하여 동작개시를 지시하는 취지의 개시지시를 출력하고, 기억하고 있는 값을 수신한 워터마크정보로 갱신한다. 그 후, 접수부(356)는 수신한 워터마크정보를 비교부(352)에 출력한다.
초깃값이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접수부(356)는 수신한 워터마크정보를 비교부(352)에 출력한다.
(2) 비교부(352)
비교부(352)는 전자 워터마크 검출부(305)로부터 수신한 워터마크정보를 수 신한다.
비교부(352)는 전자 워터마크 검출부(305)에서 수신한 워터마크정보와 비교 값 기억부(351)가 기억하는 비교 값이 일치하는가 여부를 비교한다.
비교한 결과, 일치하는 경우에는 비교부(352)는 그 취지를 나타내는 일치정보를 비교결과 처리부(354)에 통지한다. 또,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비교부(352)는 비교 값 기억부(351)가 기억하는 비교 값을 리셋(예를 들어, 「0x0000」으로 변경)하고, 또한 비교결과 기억부(357)가 기억하는 비교결과에 의해 일치한다고 판단한 경우의 횟수를 나타내는 일치횟수도 리셋(예를 들어, 「0」으로 변경)한다. 또, 비교부(352)는 갱신부(353)에 의한 비교 값 기억부(351)가 기억하는 값의 갱신을 정지하는 취지의 정지지시를 갱신부(353)에 출력한다.
(3) 갱신부(353)
갱신부(353)는 미리 정해진 타이밍에 따라서 비교 값 기억부(351)의 값을 갱신한다. 도 3에 도시한 예의 경우, 전자 워터마크를 매설하는 블록이 10초 단위로 분할되어 있으므로 10초마다 비교 값 기억부(351)의 값을 갱신한다.
갱신부(353)는 접수부(356)로부터 개시지시를 접수하면, 갱신에 관한 동작, 즉 시간의 계시(計時)를 개시한다.
갱신부(353)는 소정 시간의 경과를 검출하면 비교 값 기억부(351)의 값을 갱신한다. 여기에서는 갱신부(353)는 비교 값 기억부(351)에 기억되어 있는 비교 값을 취득하고, 취득한 비교 값에 1을 가산하여, 비교 값 기억부(351)에 기억되어 있는 비교 값을 가산결과로 갱신한다.
갱신부(353)는 비교부(352)로부터 정지지시를 수신하면 갱신에 관한 동작, 즉 시간의 계시를 정지한다.
(4) 비교결과 기억부(357)
비교결과 기억부(357)는 일치횟수를 기억하는 영역을 구비하고 있다.
또, 일치횟수의 초깃값은 「0」이다.
(5) 비교결과 처리부(354)
비교결과 처리부(354)는 콘텐츠의 출력을 정지하는가 여부의 기초가 되는 소정 값(예를 들어, 100)을 미리 기억하고 있다.
비교결과 처리부(354)는 비교부(352)로부터 일치정보를 수신하면, 비교결과 기억부(357)에서 기억하고 있는 일치횟수를 당해 일치횟수에 1을 가산한 결과로 갱신한다.
비교결과 처리부(354)는 비교결과 기억부(357)가 기억하는 일치횟수가 소정 값 이상인가 여부를 판단한다.
일치횟수가 소정 값 이상이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비교결과 처리부(354)는 그 취지를 나타내는 일치횟수 초과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일치횟수 초과정보를 판정결과 출력부(355)에 출력(통지)한다.
일치횟수가 소정 값 이상이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비교결과 처리부(354)는 그 취지를 나타내는 일치횟수 미초과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일치횟수 미초과정보를 판정결과 출력부(355)에 출력(통지)한다.
예를 들어 소정 값이 100인 경우, 비교부(352)로부터 100회 연속해서 일치정 보의 통지가 있은 경우에, 비교결과 처리부(354)는 일치횟수 초과정보를 판정결과 출력부(355)에 통지한다.
(6) 판정결과 출력부(355)
판정결과 출력부(355)는 비교결과 처리부(354)로부터 일치횟수 초과정보를 수신하면 재생정지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재생정지정보를 제어부(307)에 통지한다.
판정결과 출력부(355)는 비교결과 처리부(354)로부터 일치횟수 미초과정보를 수신하면 재생속행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재생속행정보를 제어부(307)에 통지한다.
1.5 전자 워터마크장치(10)의 동작
(1) 전체 처리동작
전자 워터마크장치(10)의 동작에 대해서 도 6에 도시한 흐름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전자 워터마크장치(10)의 디코드부(109)는 콘텐츠 기억부(101)에서 콘텐츠를 판독하여, 판독한 콘텐츠를 디코드한다(스텝 S5). 전자 워터마크 매설부(103)는 디코드부(109)에서 디코드 되어서 D/A 변환된 콘텐츠(아날로그 콘텐츠)를 오디오부와 비디오부로 분리한다(스텝 S10).
전자 워터마크 매설부(103)는 분리한 오디오부를 전자 워터마크 검출단위인 블록으로 분할한다(스텝 S15).
전자 워터마크 매설장치(10)는 매설정보 생성부(102) 및 전자 워터마크 매설 부(103)에 의한 매설처리에 의해 적어도 1개 이상의 워터마크정보(카운터 값)가 매설된 정보매설 후 아날로그 콘텐츠를 생성한다(스텝 S20).
인코드부(110)는 매설처리에 의해 생성된 정보매설 후 아날로그 콘텐츠를 인코드한다(스텝 S25).
콘텐츠 암호화부(104)는 인코드부(110)에서 인코드 된 콘텐츠(정보매설 후 디지털 콘텐츠)를 콘텐츠 키로 암호화하여 암호화콘텐츠를 생성한다(스텝 S30).
콘텐츠 키 암호화부(107)는 콘텐츠 키를 디바이스 키로 암호화하여 암호화콘텐츠 키를 생성한다(스텝 S35).
전자 워터마크 매설장치(10)는 생성한 암호화콘텐츠를 기록매체(20)의 암호화콘텐츠 기억영역(201)에 기록하고, 암호화콘텐츠 키를 기록매체(20)의 암호화콘텐츠 키 기억영역(202)에 각각 기록한다(스텝 S40).
(2) 매설처리
여기에서는 스텝 S20에서 이루어지는 매설처리에 대해서 도 7에 도시한 흐름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전자 워터마크 매설부(103)는 오디오부의 선두 블록을 취득한다(스텝 S50).
전자 워터마크 매설부(103)는 워터마크정보 생성명령을 매설정보 생성부(102)에 출력한다. 매설정보 생성부(102)는 전자 워터마크 매설부(103)로부터 정보생성명령을 수신하면 카운터 값을 생성한다(스텝 S55).
매설정보 생성부(102)는 생성한 카운터 값을 전자 워터마크 매설부(103)에 출력한다. 전자 워터마크 매설부(103)는 카운터 값을 매설정보 생성부(102)로부터 수신한다. 전자 워터마크 매설부(103)는 취득한 블록에 수신한 워터마크정보를 매설하는 것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60).
워터마크정보의 매설이 가능하다고 판단한 경우에는(스텝 S60에서의 「YES」) , 전자 워터마크 매설부(103)는 수신한 카운터 값을 취득한 블록에 매설한다(스텝 S65). 전자 워터마크 매설부(103)는 다음 블록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70). 다음 블록이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스텝 S70에서의 「YES」), 전자 워터마크 매설부(103)는 다음 블록을 취득하고(스텝 S75) 스텝 S55로 되돌아간다. 다음 블록이 없다고 판단한 경우에는(스텝 S70에서의 「NO」), 전자 워터마크 매설부(103)는 정보매설 후 아날로그 콘텐츠를 인코드부(110)에 출력하고, 매설처리를 종료한다.
워터마크정보의 매설이 가능하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에는(스텝 S60에서의 「NO」), 전자 워터마크 매설부(103)는 스텝 S70 이후의 동작을 실행한다.
1.6 전자 워터마크 검출장치(30)의 동작
여기에서는 전자 워터마크 검출장치(30)가 기록매체에 기록된 콘텐츠의 재생을 할 때에 병렬로 실행되는 재생제어처리의 동작에 대해서 도 8에 도시하는 흐름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식별처리부(309)는 장착된 기록매체에 암호화콘텐츠가 기록되어 있는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00).
암호화콘텐츠가 기록되어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스텝 S100에서의 「YES」), 전자 워터마크 검출장치(30)는 재생제어처리를 종료하고, 통상의 재생처리를 실 행한다(암호화콘텐츠를 복호하고, 복호화한 콘텐츠를 조건 없이 재생한다).
암호화콘텐츠가 기록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에는(스텝 S100에서의 「NO」), 식별처리부(309)는 입력부(301)를 통해서 장착된 기록매체에서 기록콘텐츠(부정콘텐츠 및 영상콘텐츠 중 어느 하나)를 판독한다(스텝 S105). 식별처리부(309)는 판독한 기록콘텐츠와 워터마크정보의 검출을 실행한다는 취지의 검출지시를 디코드부(310)에 출력한다.
디코드부(301)는 식별처리부(309)로부터 검출지시와 기록콘텐츠를 수신하면, 수신한 기록콘텐츠를 디코드 및 D/A 변환하여 아날로그 콘텐츠를 생성한다(스텝 S110). 디코드부(310)는 아날로그 콘텐츠를 전자 워터마크 검출부(305) 및 제어부(307)에 출력한다.
전자 워터마크 검출부(305)는 아날로그 콘텐츠를 오디오부와 비디오부로 분리한다(스텝 S115).
전자 워터마크 검출부(305)는 분리한 오디오부를 워터마크 검출단위인 블록으로 분할한다(스텝 S120).
전자 워터마크 검출부(305)는 분할한 1 이상의 블록 중 선두 블록을 취득한다(스텝 S125).
전자 워터마크 검출부(305)는 취득한 블록에서 워터마크정보(카운터 값)를 검출하고, 검출한 워터마크정보를 판정부(306)에 출력한다(스텝 S130). 또, 블록이 무음 블록인 경우에는 워터마크정보는 검출되지 않는다.
전자 워터마크 검출부(305)는 다음 블록이 존재하는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35). 존재한다고 판단한 경우에는(스텝 S135에서의 「YES」), 전자 워터마크 검출부(305)는 다음 블록을 취득하고(스텝 S140), 스텝 S130으로 되돌아간다.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에는(스텝 S135에서의 「NO」), 전자 워터마크 검출부(305)는 워터마크정보 검출의 처리를 종료한다.
스텝 S130이 실행된 후 판정부(306)는 판정처리를 한다(스텝 S145).
제어부(307)는 판정처리에 의한 판정결과에 의거하여 재생을 속행할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50). 여기에서는 제어부(307)는 판정부(306)로부터 수신한 정보가 재생속행정보인가 재생정지정보인가의 판단을 한다.
재생을 속행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스텝 S150에서의 「NO」), 즉, 판정부(306)에서 재생정지정보를 수신한 경우에는, 제어부(307)는 스위치의 상태를 OFF 상태로 하여 콘텐츠의 출력(재생)을 정지한다(스텝 S155).
재생을 속행한다고 판단한 경우(스텝 S150에서의 「YES」), 즉, 판정부(306)에서 재생속행정보를 수신한 경우에는 스텝 S145로 되돌아간다. 이때, 스위치의 상태는 ON 상태이므로, 제어부(307)는 재생할 콘텐츠를 출력부(308)에 출력하고, 출력부(308)는 재생할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장치에 출력하고 있다.
1.7 판정처리
도 8에 도시하는 판정처리의 동작에 대해서 도 9 및 도 10에 도시하는 흐름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접수부(356)는 전자 워터마크 검출부(305)로부터 수신한 워터마크정보를 수신한다(스텝 S200).
접수부(356)는 수신한 워터마크정보를 비교 값 기억부(351)에 저장할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205). 여기에서는 비교 값 기억부(351)의 값이 초깃값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저장한다고 판단한 경우(스텝 S205에서의 「YES」), 즉, 접수부(356)가 비교 값 기억부(351)의 값이 초깃값이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수신한 워터마크정보를 비교 값 기억부(351)에 저장한다(스텝 S210). 여기에서는 접수부(356)는 비교 값 기억부(356)가 기억하고 있는 값을 수신한 워터마크정보로 갱신한다.
접수부(356)는 갱신부(353)에 대하여 동작개시를 지시하는 취지의 개시지시를 출력하고(스텝 S215), 비교부(352)에 수신한 워터마크정보를 출력한다(스텝 S220).
저장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스텝 S205에서의 「NO」), 즉, 접수부(356)는 비교 값 기억부(351)의 값이 초깃값이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스텝 S220을 실행한다.
갱신부(353)는 접수부(356)로부터 개시지시를 접수하면 시간의 계시를 개시한다(스텝 S225). 갱신부(353)는 시간의 계시가 소정 시간이 경과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230). 경과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스텝 S230에서의 「YES」) 갱신부(353)는 비교 값 기억부(351)의 값을 갱신한다(스텝 S235). 경과하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에는(스텝 S230에서의 「NO」) 스텝 S230으로 되돌아간다.
비교부(352)는 전자 워터마크 검출부(305)로부터 수신한 워터마크정보를 수신하면(스텝 S240) 전자 워터마크 검출부(305)에서 수신한 워터마크정보와, 비교 값 기억부(351)가 기억하는 비교 값이 일치하는가 여부를 비교한다(스텝 S245).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스텝 S245에서의 「NO」), 비교부(352)는 비교 값 기억부(351)가 기억하는 비교 값을 초기화(「0x0000」으로 변경)하고, 또한 비교결과 기억부(357)가 기억하는 일치횟수도 초기화(「0」으로 변경)한다(스텝 S250).
비교부(352)는 정지지시를 갱신부(353)에 출력한다(스텝 S255).
갱신부(353)는 정지지시를 수신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260). 정지지시를 수신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스텝 S260에서의 「YES」), 갱신부(353)는 시간의 계시를 정지하고(스텝 S265) 개시지시의 수신 대기상태가 된다. 정지지시를 수신하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에는(스텝 S260에서의 「NO」) 갱신부(353)는 스텝 S230으로 되돌아간다.
수신한 워터마크정보와 비교 값 기억부(351)가 기억하는 비교 값이 일치한다고 판단한 경우(스텝 S245에서의 「YES」), 비교부(352)는 일치정보를 비교결과 처리부(354)에 출력한다(스텝 S270).
비교결과 처리부(354)는 비교부(352)로부터 일치정보를 수신하면 비교결과 기억부(357)에서 기억하고 있는 일치횟수의 카운트를 행한다(스텝 S275). 여기에서는 비교결과 처리부(354)는 비교결과 기억부(357)에서 기억하고 있는 일치횟수를 당해 일치횟수에 1을 가산한 결과로 갱신한다.
비교결과 처리부(354)는 일치횟수가 소정 값 이상인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280).
일치횟수가 소정 값 이상이라고 판단한 경우에는(스텝 S280에서의 「YES」), 비교결과 처리부(354)는 그 취지를 나타내는 일치횟수 초과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일치횟수 초과정보를 판정결과 출력부(355)에 출력한다(스텝 S285).
일치횟수가 소정 값 이상이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에는(스텝 S280에서의 「NO」), 비교결과 처리부(354)는 그 취지를 나타내는 일치횟수 미초과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일치횟수 미초과정보를 판정결과 출력부(355)에 출력한다(스텝 S290).
판정결과 출력부(355)는 비교결과 처리부(354)에서 수신한 정보를 판별한다(스텝 S295).
수신한 정보가 일치횟수 미초과정보라고 판단한 경우에는(스텝 S295에서의 「일치횟수 미초과정보」), 판정결과 출력부(355)는 재생속행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재생속행정보를 제어부(307)에 통지한다(스텝 S300).
수신한 정보가 일치횟수 초과정보라고 판단한 경우에는(스텝 S295에서의 「일치횟수 초과정보」), 판정결과 출력부(355)는 재생정지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재생정지정보를 제어부(307)에 통지한다(스텝 S305).
1.8 변형 예
또, 본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당연하다. 이하와 같은 경우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1) 상기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전자 워터마크 매설장치(10)에서,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점선으로 감싼 콘텐츠 기억부(101), 매설정보 생성부(102), 전자 워터마크 매설부(103), 콘텐츠 암호화부(104), 콘텐츠 키 기억부(105), 디바이 스 키 기억부(106), 콘텐츠 키 암호화부(107) 및 출력부(108) 등의 각 기능 블록은 전형적으로는 집적회로인 LSI에 의해 실현되어도 좋다. 이들은 개별로 1 칩화되어도 좋고,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도록 1 칩화되어도 좋다.
여기에서는 LSI로 하였으나, 집적도의 차이에 의해 IC, 시스템 LSI, 슈퍼 LSI, 울트라 LSI로 호칭되는 경우도 있다.
또, 집적회로화의 수법은 LSI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용회로 또는 범용 프로세서로 실현하여도 좋다. LSI 제조 후에 프로그램할 수 있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나 LSI 내부의 회로 셀의 접속이나 설정을 재구성할 수 있는 리컨피규러블 프로세서(reconfigurable processor)를 이용하여도 좋다.
또, 반도체 기술의 진보 또는 파생하는 다른 기술에 의해 LSI로 치환하는 집적회로화의 기술이 등장하면 당연히 그 기술을 이용하여 기능 블록의 집적화를 해도 좋다. 바이오 기술의 적응 등이 가능성으로 있을 수 있다.
최후로, 각 기능 블록은 소프트웨어로 실현되어도 좋고, LSI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실현되어도 좋다. 또, 소프트웨어는 내탬퍼화되어 있어도 좋다.
(2) 상기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전자 워터마크 검출장치(30)에서, 입력부(301), 디바이스 키 기억부(302), 콘텐츠 키 복호부(303), 콘텐츠 복호부(304), 전자 워터마크 검출부(305), 판정부(306), 제어부(307) 및 출력부(308) 등의 각 기능 블록은 전형적으로는 집적회로인 LSI로 실현되어도 좋다. 이들은 개별로 1 칩화되어도 좋고,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도록 1 칩화되어도 좋다.
여기에서는 LSI로 하였으나, 집적도의 차이에 의해 IC, 시스템 LSI, 슈퍼 LSI, 울트라 LSI로 호칭되는 경우도 있다.
또, 집적회로화의 수법은 LSI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용회로 또는 범용 프로세서로 실현하여도 좋다. LSI 제조 후에 프로그램할 수 있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이나 LSI 내부의 회로 셀의 접속이나 설정을 재구성할 수 있는 리컨피규러블 프로세서를 이용하여도 좋다.
또, 반도체 기술의 진보 또는 파생하는 다른 기술에 의해 LSI로 치환하는 집적회로화의 기술이 등장하면 당연히 그 기술을 이용하여 기능 블록의 집적화를 행하여도 좋다. 바이오 기술의 적응 등이 가능성으로 있을 수 있다.
최후로, 각 기능 블록은 소프트웨어로 실현되어도 좋고, LSI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실현되어도 좋다. 또, 소프트웨어는 내탬퍼화되어 있어도 좋다.
(3) 상기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판정부(306)에서 비교 값 기억부(351), 비교부(352), 갱신부(343), 비교결과 처리부(354), 판정결과 출력부(355), 접수부(356) 및 비교결과 기억부(357) 등의 각 기능 블록은 전형적으로는 집적회로인 LSI로 실현되어도 좋다. 이들은 개별로 1칩회되어도 좋고,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도록 1 칩화되어도 좋다.
여기에서는 LSI로 하였으나, 집적도의 차이에 의해 IC, 시스템 LSI, 슈퍼 LSI, 울트라 LSI로 호칭되는 경우도 있다.
또, 집적회로화의 수법은 LSI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용회로 또는 범용 프로세서로 실현하여도 좋다. LSI 제조 후에 프로그램할 수 있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이나 LSI 내부의 회로 셀의 접속이나 설정을 재구성할 수 있는 리컨피규러블 프로세서를 이용하여도 좋다.
또, 반도체 기술의 진보 또는 파생하는 다른 기술에 의해 LSI로 치환하는 집적회로화의 기술이 등장하면 당연히 그 기술을 이용하여 기능 블록의 집적화를 행하여도 좋다. 바이오 기술의 적응 등이 가능성으로 있을 수 있다.
최후로, 각 기능 블록은 소프트웨어로 실현되어도 좋고, LSI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실현되어도 좋다. 또, 소프트웨어는 내탬퍼화되어 있어도 좋다.
(4) 상기 실시 예에서는 전자 워터마크 매설장소를 콘텐츠의 오디오부로 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나, 이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전자 워터마크의 매설장소를 비디오부로 하도록 구성하여도 좋고, 오디오부와 비디오부의 양쪽으로 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전자 워터마크의 매설장소를 비디오부로 하는 경우, 전자 워터마크 매설장치(10)는 상기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비디오부를 워터마크정보의 검출 단위가 되는 블록으로 분할하고, 분할한 각 블록에서 블록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에 대하여 카운터 값을 매설한다.
(5) 상기 실시 예에서는 전자 워터마크 검출장치(30)는 판정부(306)의 판정결과에 의거하여 콘텐츠의 출력을 정지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나, 이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콘텐츠 중 오디오의 출력만을 정지하거나, 또는 비디오의 출력만을 정지하거나, 또는 콘텐츠의 오디오 및 비디오 양쪽의 출력을 정지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는, 전자 워터마크 검출장치(30)는 콘텐츠의 출력을 정지하는 대신에 재생을 정지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고, 재생을 일시 정지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는, 전자 워터마크 검출장치(30)는 출력이나 재생을 정지하는 대신에 출력이나 재생에 대하여 어떠한 제어를 시행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전자 워터마크 검출장치(30)는 오디오 또는 비디오 또는 그 양방의 품질을 열화 시켜서 재생 또는 출력하거나, 오디오 데이터의 음량을 낮추거나 또는 뮤트(mute)하는 등의 제어를 하여도 좋다.
(6) 상기 실시 예에서는 비교부(352)에서 전자 워터마크 검출부(305)가 검출한 워터마크정보와 비교 값 기억부(351)가 기억하는 비교 값이 일치하는 경우에는 일치정보를 비교결과 판정부(354)에 통지하고, 일치하지 않은 경우에는 비교 값 기억부(351)가 기억하는 비교 값을 리셋(「0x0000」으로 변경)하며, 또한, 비교결과 기억부(357)가 기억하는 일치횟수도 리셋하였으나, 이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비교부(352)에서 불일치의 횟수의 임계값이 미리 정해지고, 전자 워터마크 검출부(305)가 검출한 워터마크정보와 비교 값 기억부(351)가 기억하는 비교 값이 일치하지 않은 경우에는 그 횟수를 카운트하며, 일치하지 않은 횟수가 불일치의 횟수의 임계값에 도달한 경우에 비교 값 기억부(351)가 기억하는 값을 리셋(예를 들어, 「0x0000」으로 변경)하고, 또한 비교결과 기억부(357)가 기억하는 일치횟수도 리셋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 불일치의 임계값에 도달한 경우에 비교결과 기억부(357)가 기억하는 일 치횟수를 리셋하고, 불일치할 때마다 비교 값 기억부(351)가 기억하는 비교 값을 리셋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의도적으로 극히 일부를 비연속으로 기록하는 공격에 대해서도 위법한 복제로 간주하여 재생을 정지하는 등의 컨트롤이 가능해진다.
(7) 상기 실시 예에서는 갱신부(353)에 의해 미리 정해진 타이밍에 비교 값 기억부(351)가 기억하는 비교 값을 갱신함으로써 워터마크정보에 대한 비교 값(기대치)을 산출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산출방법의 실현수단으로 콘텐츠를 선두의 위치에서부터 재생을 개시한 때에 어떤 블록이 재생개시시간으로부터 몇 초 경과 후에 재생되는 블록인지를 나타내는 절대 재생시간정보나, 콘텐츠를 선두에서 재생 순으로 기록한 때 어떤 블록이 기록되는 절대 어드레스 정보나 이들에 준한 정보로부터 워터마크정보에 대한 비교 값(기대치)을 산출하여도 좋다.
또는, 각 블록의 선두에 선두임을 나타내는 식별 데이터를 설정하고, 이 식별 데이터를 검출함으로써 블록과 블록의 구분을 인식하고, 그 블록이 몇 번째 블록인가를 인식함으로써 워터마크정보의 기대치를 산출하여도 좋다.
또, 이들을 조합한 구성이라도 좋다.
(8) 상기 실시 예에서는 비교부(352)에서 전자 워터마크 검출부(305)가 검출한 워터마크정보와 비교 값 기억부(351)가 기억하는 비교 값이 일치하지 않은 경우에 비교 값 기억부(351) 및 비교결과 기억부(357)를 리셋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전원 OFF 시에 비교 값 기억부(351) 및 비교결과 기억부(357)를 리셋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재생이 일시 정지 또는 정지된 경우에 비교 값 기억부(351) 및 비교결과 기억부(357)를 리셋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9) 상기 실시 예에서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블록 B13, B14가 무음 블록인 경우에 무음 블록에 대해서도 카운터 값을 미리 할당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무음 블록에는 카운터 값을 할당하지 않아도 좋다.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블록 B31, B32, B33, B34, B35, …으로 이루어지는 콘텐츠에서 블록 B33 및 B34가 무음 블록인 경우에, 블록 B33 및 B34에는 카운터 값을 할당하지 않고, 다른 블록 각각에 대하여 순차 카운터 값을 할당한다. 즉, 블록 B31에는 0X0001, 블록 B32에는 0X0002, 블록 B35에는 0X0003(0X0002의 다음의 값)을 매설하게 된다.
이 경우의 전자 워터마크 검출장치(3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자 워터마크 검출부(305)는 검출대상의 블록에서 워터마크정보를 검출한 경우에는 검출한 워터마크정보를 판정부(306)에 출력한다.
전자 워터마크 검출부(305)는 검출대상의 블록에서 워터마크정보를 검출하지 않은 경우에는 그 취지를 나타내는 미검출정보를 판정부(306)에 출력한다.
판정부(306)의 접수부(356)는 수신한 미검출정보를 갱신부(353)에 출력한다.
갱신부(353)는 비교 값의 갱신 시에 접수부(356)에서 미검출정보를 수신했는 가 여부를 판단한다. 수신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갱신부(353)는 비교 값의 갱신을 중지하고, 수신하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갱신부(353)는 비교 값의 갱신을 실행한다.
(10) 상기 실시 예에서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블록별로 순차 카운터 값을 할당하고, 무음 블록이 아닌 블록(유음 블록)에 할당된 카운터 값을 매설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나, 이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 개수(N개)의 블록마다 순차 카운터 값을 매설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예를 들어, 소정 개수를 3으로 하고, 블록 B41, B42, B43, B44, B45, …로 이루어지는 콘텐츠에서 블록 B41에서 블록 B43까지는 0x0001을 매설하고, 블록 B44에서 블록 B46에는 0X0002를 매설하며, 다음의 3개의 블록에는 0X0003을 매설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이때, 무음 블록에 대해서는 워터마크정보를 매설하지 않는 구성이라도 좋다.
이 경우, 갱신부(353)는 소정 개수 N을 미리 기억하고 있다. 갱신부(353)는 계시한 시간이 N×소정 시간을 경과한 경우에 비교 값의 갱신을 행한다.
이에 의해, N개의 연속하는 블록을 하나의 그룹으로 하여, 당해 그룹에 포함되는 각 블록에 동일한 워터마크정보를 매설함으로써 1 이상의 연속하는 그룹 각각에 대하여 다른 워터마크정보를 매설할 수 있다.
이 경우, 동일한 내용의 워터마크정보를 매설하는 복수의 블록 군(예를 들어, 블록 B41, B42, B43으로 이루어지는 블록 군)이 본 발명에서의 블록에 상당하 고, 실제로 워터마크정보가 매설되는 각 블록(예를 들어, 블록 B41, B42, B43)이 서브 블록에 상당한다.
(11) 상기 실시 예에서는 워터마크정보가 매설된 콘텐츠를 기록매체에 기록하여 배포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나, 이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워터마크정보가 매설된 콘텐츠가 방송이나 인터넷 송신 등의 다른 매체수단(예를 들어, 워터마크정보가 매설된 콘텐츠를 외부에 출력하는 장치)로 배포되어도 좋다.
(12) 상기 실시 예에서는 전자 워터마크 매설장치(10)나 전자 워터마크 검출장치(30)는 하나 이상의 장치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하였으나, 이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전자 워터마크 매설장치(10)나 전자 워터마크 검출장치(30)의 각 기능이 복수의 장치로 분산하여 구성되어도 좋다.
(13) 상기 실시 예에서는 전자 워터마크로 매설되는 카운터 값은 단조 증가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나, 이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미리 정해진 룰에 따라 매설되어 있으면 어떤 구성이라도 상관없다. 예를 들어, A) 123456781234567812345678…이나 B) 12345678876543211234567887…과 같이, 일정 간격으로 동일한 계열을 반복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여기서, A)의 수치 열(數値 列)과 같은 경우에는, 예를 들어 비교 값 기억부(351)에 비교 값 「3」이 기억되어 있는 경우 갱신부(353)는 비교 값 「4」로 갱신하면 된다.
한편, B)의 수치 열과 같은 경우에는, 현재의 블록의 워터마크정보만으로는 다음의 워터마크정보를 증가시켜야할지 감소시켜야할지를 판단할 수 없다. 따라서, B)와 같은 수치 열의 경우에는 비교 값 기억부(351)에 현재의 블록의 워터마크정보와 하나 앞의 블록의 워터마크정보를 기억해 둘 필요가 있다. 그리고 예를 들어 비교 값 기억부(351)가 비교 값 「2(하나 앞)」, 「3(현재)」으로 기억하고 있는 경우에는 갱신부(353)는 비교 값 「4」로 갱신하고, 비교 값 기억부(351)가 「4(하나 앞)」, 「3(현재)」로 기억하고 있는 경우에는 비교 값 「2」로 갱신한다.
(14) 상기 실시 예에서는 비교결과 처리부(354)는 비교결과 기억부(357)에서 기억하는 일치횟수가 소정 값에 도달한 경우에 재생정지정보를 제어부(307)에 통지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나, 이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치한 비율을 나타내는 값을 소정 값으로 설정하는 구성이어도 상관없다.
이 경우의 전자 워터마크 검출장치(3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비교부(352)는, 비교한 결과 일치하는 경우에는 일치정보를 비교결과 판정부(354)에 통지하고,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불일치정보를 비교결과 처리부(354)에 통지한다. 또, 상기와 마찬가지로,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비교부(352)는 비교 값 기억부(351)가 기억하는 비교 값을 리셋하고, 비교결과 기억부(357)가 기억하는 일치횟수를 리셋하며, 또한 정지지시를 갱신부(353)에 출력한다.
비교결과 처리부(354)는 일치한 비율을 산출할 때에 이용하는 제 1 기준 값(예를 들어, X=100) 및 재생의 속행 및 정지를 판단하는 제 2 기준 값(예를 들어, Y=0.8(80%))을 미리 기억하고 있다. 비교결과 처리부(354)는 비교부(352)로부터 비 교결과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횟수(수신횟수)를 카운트한다.
비교결과 처리부(354)는 비교결과로 일치정보를 수신한 경우에는 상술한 동작을 행한다.
비교결과 처리부(354)는 수신횟수가 제 1 기준 값과 일치하는가 여부를 판단하고, 일치한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비교결과 기억부(357)에 기억되어 있는 일치횟수(m)를 취득하며, 제 1 기준 값에서의 일치횟수의 비율 P를 산출한다(P=m/X).
비교결과 처리부(354)는 산출결과 P가 제 2 기준 값 Y이상인가 여부를 판단한다. 제 2 기준 값 이상이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비교결과 처리부(354)는 재생정지정보를 제어부(307)에 출력한다. 제 2 기준 값 이상이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비교결과 처리부(354)는 재생속행정보를 제어부(307)에 출력한다.
(15) 상기 실시 예에서는 워터마크가 매설된 콘텐츠를 암호화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나, 이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암호화를 하지 않고 기록 또는 송출하는 구성이어도 상관없다.
또, 암호화하는 경우라도, 디바이스 키로 콘텐츠 키를 암호화하고, 콘텐츠 키로 콘텐츠를 암호화하는 구성일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새로운 키를 도입하여 계층을 더 증가시켜도 좋고, 반대로 디바이스 키로 직접 콘텐츠를 암호화하는 구성에 의해 계층을 감소시키는 구성이라도 좋다. 또, 다른 데이터에 의거하여 키의 값을 변경한 후에 암호화를 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16) 상기 실시 예에서는 콘텐츠의 암호화와 복호화 및 콘텐츠 키의 암호화와 복호화에는 공통키 암호방식을 이용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공개키 암호방식에 의해 암호화를 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콘텐츠를 암호화하는 키와 복호화하는 키는 다른 키 정보가 되므로, 콘텐츠 키 암호화부(107)가 암호화하는 키 정보는 콘텐츠 키 기억부(105)가 기억하고 있는 콘텐츠 키가 아니라 그 콘텐츠 키에 대응하는 복호 키가 된다.
(17) 상기 실시 예에서는 전자 워터마크 검출장치(30)는 장착된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콘텐츠가 암호화되어 있는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워터마크정보의 검출의 필요 여부를 판단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자 워터마크 검출장치(30)는 장착된 기록매체의 종류를 판별함으로써 워터마크정보의 검출의 필요 여부를 판단하여도 좋다.
이 경우, 전자 워터마크 검출장치(30)는 장착된 기록매체가 기록할 수 없는 종류(예를 들어, DVD-ROM이나 BD-ROM이며, 이하, 총칭하여 「ROM」이라 한다)인가 여부를 판단한다.
전자 워터마크 검출장치(30)는 장착된 기록매체의 종류가 ROM이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전자 워터마크정보의 검출을 행하지 않고, 장착된 기록매체의 종류가 ROM이 아닌, 즉 기록가능한 종류의 기록매체(예를 들어, BD-R/RE이며, 이하,「R/RE」라 한다)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전자 워터마크정보의 검출을 한다.
통상, 저작권이 보호된 콘텐츠는 개찬 등이 되지 않도록 종류가 ROM인 기록매체에 기록되어서 판매된다. 또, 저작권이 보호된 콘텐츠를 부정하게 기록하는 경우나, 생일파티 등의 기록에는 종별이 R/RE인 기록매체가 이용된다. 즉, 상기 판단방법을 이용함으로써 기록되어 있는 콘텐츠가 저작권이 보호되고 있는 것인지 여부 를 판단할 수 있다.
(18) 상기 실시 예에서는 전자 워터마크 매설장치(10)는 워터마크정보를 오디오부에 매설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자 워터마크 매설장치(10)는 비디오부에 대하여 워터마크정보를 매설하는 위치가 연속성을 갖도록 워터마크정보를 매설하여도 좋다.
이하, 도 1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전자 워터마크 매설장치(10)는 비디오부를 소정 구간(예를 들어, 10초마다)으로 이루어지는 1 이상의 영상블록 B51, B52, …, B53, B54, B55, …, B56으로 분할한다. 분할한 각 영상블록 B51, B52, …, B53, B54, B55, …, B56의 선두에 위치하는 영상(이하, 「선두 프레임」이라 한다) F51, F52, …, F53, F54, F55, …, F56을 소정 단위(예를 들어, 매크로 블록(macro block)이라 하며, 이하, 「분할블록」이라 한다)로 분할한다.
전자 워터마크 매설장치(10)는 선두 프레임 F51, F52, …, F53, F54, F55, …, F56 각각에 대하여 워터마크정보의 매설위치가 연속성을 갖도록(예를 들어, 매설위치를 좌에서 우로, 또한 위에서 아래로 변경하면서) 워터마크정보를 분할블록 B61, B62, …, B63, B64, B65, …에 매설한다. 또, 상기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매설 대상의 매크로 블록에 워터마크정보를 매설하기 위한 충분한 정보량이 없는 경우에는 워터마크정보를 매설하지 않는다. 또, 이하에서는 워터마크정보를 매설하기 위한 충분한 정보량이 없는 매설 대상의 매크로 블록을 무영상 블록이라 한다.
전자 워터마크 검출장치(30)의 전자 워터마크 검출부(305)는 상기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분할한 블록별(매크로 블록의 번호순)로 워터마크정보를 검출하면, 검출한 워터마크정보가 매설된 매크로 블록의 번호를 취득하고, 취득한 매크로 블록 번호를 판정부(306)에 출력한다. 또, 검출대상의 매크로 블록이 무영상 블록인 경우에는 워터마크정보는 검출되지 않는다.
전자 워터마크 검출장치(30)의 갱신부(353)는 영상 블록의 단위인 10초마다 1에서부터 순차 매크로 블록의 개수까지의 수를 카운트하고, 카운트한 값을 비교 값으로 하여 비교 값 기억부(351)에서 기억하고 있는 값을 갱신한다.
비교부(352)는 전자 워터마크 검출부(305)에서 매크로 블록 번호를 수신하면, 수신한 매크로 블록 번호와 비교 값 기억부(351)에 기억되어 있는 비교 값이 일치하는가 여부를 판단한다. 일치한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비교부(352)는 일치정보를 비교결과 처리부(354)에 통지한다. 또,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 비교부(352)는 비교 값 기억부(351)가 기억하는 비교 값을 리셋(예를 들어, 「0」으로 변경)하고, 또한 비교결과 기억부(357)가 기억하는 비교결과에 의해 일치한다고 판단한 경우의 횟수를 나타내는 일치횟수도 리셋(예를 들어, 「0」으로 변경)한다. 또, 비교부(352)는 갱신부(353)에 의한 비교 값 기억부(351)가 기억하는 값의 갱신을 정지한다는 취지의 정지지시를 갱신부(353)에 출력한다.
또, 상기에서는 영상 블록은 소정 구간(10초마다)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하였으나, 영상블록은 1프레임이라도 좋다. 즉, 워터마크정보는 각 프레임에 대하여 매설된다.
또, 상기에서는 워터마크정보의 매설위치가 제일 우측 하단의 분할블록까지 도달한 후에 어디를 매설위치로 할지에 대해서는 설명하지 않았다. 이 경우에는 다시 가장 좌측 상단의 분할블록으로 매설위치를 되돌리는 것으로 해도 좋고, 매설위치의 변화를 반대로 하는(우측 하단에서 순서대로 우에서 좌로, 또 아래에서 위로 매설위치를 변경해 간다) 것으로 해도 좋다.
또, 상기에서는 영상블록 중 선두 프레임만을 워터마크정보의 매설 대상으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영상블록에 포함되는 모든 프레임을 워터마크정보의 매설대상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영상블록에 포함되는 모든 프레임 중 매설 대상의 매크로 블록에 워터마크정보를 매설하기 위한 충분한 정보량을 갖는 프레임(이하, 「유효 프레임」이라 한다)이 하나 이상 존재하는 경우에는 모든 유효 프레임에 대하여 워터마크정보가 매설된다.
또, 상기에서는 선두 프레임이 매설 대상의 매크로 블록에 워터마크정보를 매설하기 위한 충분한 정보량을 갖지 않는 경우에는 워터마크정보를 매설하지 않는다고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선두 프레임에 워터마크정보를 매설할 수 없는 경우에는 당해 선두 프레임을 포함하는 영상블록에서 매설 대상의 매크로 블록에 워터마크정보를 매설하기 위한 충분한 정보량을 갖는 프레임(유효 프레임)을 검색하고, 하나 이상의 유효 프레임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적어도 하나의 유효 프레임에 대하여 워터마크정보가 매설되어도 좋다.
또, 일례로, 분할블록의 단위를 매크로 블록으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프레임을 m×n개로 분할하고, 분할된 m×n개 각각을 분할블록으로 하여도 좋다. 이 경우, 각 분할블록은 좌에서 우, 또 위에서 아래로 순서대로 번호 가 부여되어 있다. 즉, 1에서 m×nm까지의 번호가 좌에서 우, 또 위에서 아래로 순서대로 분할블록에 할당되어 있다. 전자 워터마크 검출장치(30)의 갱신부(353)는 1에서부터 m×n까지의 번호를 카운트하여, 카운트한 값을 비교 값으로 하여 비교 값 기억부(351)에서 기억하고 있는 값을 갱신한다. 비교부(352)는 비교 값 기억부(351)에 기억되어 있는 비교 값과 동일한 번호에 대응하는 분할블록에 워터마크정보가 매설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후의 동작은 상기와 동일하므로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 워터마크정보는 상기 실시 예에서 설명한 카운터 값으로 하여도 좋고, 불변의 값으로 하여도 좋다. 또, 워터마크정보를 카운터 값으로 한 경우에는 실시 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카운터 값을 사용한 판단수법도 병용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 워터마크정보를 영상에 매설하는 기술에 대해서는 저자 마츠이 기네오에 의한 "전자 워터마크의 기초 멀티미디어의 뉴프로텍트 기술"(모리기타 출판)에 기재되어 있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19) 상기 실시 예에서는 전자 워터마크 매설장치(10)는 워터마크정보로 카운터 값을 이용하여 분할한 블록의 연속성을 유지하도록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자 워터마크 매설장치(10)는 매설하는 워터마크정보의 강도에 의해 분할한 블록의 연속성을 유지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 워터마크정보를 매설하는 강도는 예를 들어 레벨 1에서 5로 나타낸 다. 여기에서는 레벨 1의 강도가 가장 약하고, 레벨의 수치가 올라감에 따라서 강도가 강해지며, 레벨 5의 강도가 가장 강하다.
전자 워터마크 매설장치(10)는 오디오부를 검출단위(10초별)의 블록으로 분할하고, 분할한 각 블록에 대하여 워터마크정보를 매설하는 강도가 순회하도록 할당한다. 예를 들어, 강도를 1, 2, 3, 4, 5, 1, 2, …로 할당하여도 좋고, 1, 2, 3, 4, 5, 4, 3, 2, 1, 2, …로 할당하여도 좋다.
전자 워터마크 매설장치(10)는 할당된 강도에 의거하여 워터마크정보를 대응하는 블록에 매설한다. 또, 상기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매설 대상의 블록이 무음 블록인 경우에는 할당된 강도에 의거한 워터마크정보의 매설은 하지 않는다.
전자 워터마크 검출장치(30)의 전자 워터마크 검출부(305)는 상기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분할한 블록마다 워터마크정보를 검출하면 검출한 워터마크정보의 강도를 취득한다. 전자 워터마크 검출부(305)는 취득한 강도를 판정부(306)에 출력한다. 또, 검출대상의 매크로 블록이 무영상 블록인 경우에는 워터마크정보가 검출되지 않으므로 강도는 취득되지 않는다.
전자 워터마크 검출장치(30)의 갱신부(353)는 검출단위인 10초마다 강도의 할당시에 순회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비교 값을 갱신한다.
비교부(352)는 전자 워터마크 검출부(305)로부터 강도를 수신하면, 수신한 강도와 비교 값 기억부(351)에 기억되어 있는 비교 값이 일치하는가 여부를 판단한다. 일치한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비교부(352)는 일치정보를 비교결과 처리부(354)에 통지한다. 또,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비교부(352)는 비교 값 기억 부(351)가 기억하는 비교 값을 리셋(예를 들어, 「0」으로 변경)하고, 또한 비교결과 기억부(357)가 기억하는 비교결과에 의해 일치한다고 판단한 경우의 횟수를 나타내는 일치횟수도 리셋(예를 들어, 「0」으로 변경)한다. 또, 비교부(352)는 갱신부(353)에 의한 비교 값 기억부(351)가 기억하는 값의 갱신을 정지하는 취지의 정지지시를 갱신부(353)에 출력한다.
또, 블록에 매설하는 워터마크정보는 상기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카운터 값으로 하여도 좋고, 불변의 값으로 하여도 좋다. 또, 워터마크정보를 카운터 값으로 한 경우에는, 실시 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카운터 값을 사용한 판단수법도 병용하여도 좋다.
또, 전자 워터마크 매설장치(10)는 강도에 의거한 워터마크정보를 오디오부에 매설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자 워터마크 매설장치(10)는 강도에 의거한 워터마크정보를 비디오부에 매설하여도 좋고, 오디오부 및 비디오부의 양쪽에 매설하여도 좋다.
강도에 의거하여 워터마크정보를 오디오부의 음성데이터에 매설할 때에는 강도에 따라 변화하는 워터마크정보의 진폭을 매설 대상의 음성데이터의 진폭에 더하는, 즉 매설 대상의 음성데이터의 진폭을 강도에 의거하여 변경하면 된다.
또, 강도에 의거하여 워터마크정보를 비디오부의 영상데이터에 매설할 때에는 매설 대상의 매크로 블록 중 워터마크정보가 매설되는 화소에 대한 휘도를 강도에 의거하여 변경하면 된다.
또, 강도에 의거하여 워터마크정보를 매설하는 기술에 대해서는 저자 마츠이 기네오의 의한 "전자 워터마크의 기초 멀티미디어의 뉴프로텍트 기술)(모리기타 출판)에 기재되어 있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20) 상기 실시 예에서 워터마크정보 매설 대상의 디지털 콘텐츠는 오디오부와 비디오부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워터마크정보매설 대상의 디지털 콘텐츠는 오디오부만으로 이루어져도 좋고 비디오부만으로 이루어져도 좋다.
(21) 상기 실시 예에서 워터마크정보의 생성에 하나씩 카운트 업하는 카운터 값을 이용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워터마크정보의 생성에는 점화식(recurrence equation) 연산을 이용해도 좋다. 여기서, 점화식 연산은 직전에 이용한 값(워터마크 값)을 이용하여 다음에 이용하는 값(워터마크정보)을 산출하는 연산 「an +1=an+d」이다. 단, n은 0 이상의 정수이고, a0은 초깃값이다. 상기 실시 예에서는 d=1, a0을 초깃값 「0」으로 하면 된다.
또, 상기 점화식 연산은 등차수열을 나타내는 점화식으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등비수열을 나타내는 점화식이라도 좋다.
또는, 직전에 이용한 워터마크정보에 의거한 다른 생성방법으로 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직전에 이용한 워터마크정보의 값을 2배 한 결과를 새로운 워터마크정보로 한다.
여기서, 상기에서의 「직전에 이용한 값(워터마크정보)」의 개념에는 초깃 값(예를 들어, 실시 예에서는 「0」)을 포함한다.
(22) 상기 실시 예에서 전자 워터마크 매설장치(10)는 워터마크정보를 카운터를 이용하여 산출함으로써 생성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자 워터마크 매설장치(10)는 소정의 수치 열을 미리 기억하고, 기억하고 있는 수치 열의 순서에 의거하여 매설 대상의 워터마크정보(값)를 취득하여도 좋다.
또, 기억하고 있는 수치 열의 전부를 이용하여도 좋고, 기억하고 있는 수치 열 중 연결된 일부의 부분 열을 이용하여도 좋다.
또, 수치 열 대신에 문자열을 이용하여도 좋다.
(23) 상기의 각 장치는 구체적으로는 마이크로프로세서, ROM, RAM, 하드디스크 유닛 등으로 구성되는 컴퓨터 시스템이다. 상기 RAM 또는 하드디스크 유닛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억되어 있다.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함으로써 각 장치는 그 기능을 달성한다. 여기서, 컴퓨터 프로그램은 소정의 기능을 달성하기 위해 컴퓨터에 대한 지령을 나타내는 명령 코드가 복수 개 조합되어 구성된 것이다.
(24) 상기의 각 장치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의 일부 또는 전부는 1개의 시스템 LSI(Large Scale Integration : 대규모 집적회로)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시스템 LSI는 복수의 구성부를 1개의 칩 상에 집적하여 제조된 초 다기능 LSI로, 구체적으로는 마이크로프로세서, ROM, RAM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컴퓨터 시스템이다. 상기 RAM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억되어 있다.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상기 컴 퓨터 프로그램에 따라서 동작함으로써 시스템 LSI는 그 기능을 달성한다.
또, 상기의 각 장치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의 각 부는 개별로 1 칩화되어 있어도 좋고,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도록 1 칩화되어 있어도 좋다.
또, 여기에서는 시스템 LSI로 하였으나, 집적도의 차이에 의해 IC, LSI, 슈퍼 LSI, 울트라 LSI로 호칭되는 경우도 있다. 또, 집적회로화의 수법은 LSI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전용회로 또는 범용 프로세서로 실현하여도 좋다. LSI 제조 후에 프로그램할 수 있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이나 LSI 내부의 회로 셀의 접속이나 설정을 재구성할 수 있는 리컨피규러블 프로세서를 이용하여도 좋다.
또, 반도체 기술의 진보 또는 파생하는 다른 기술에 의해 LSI로 치환하는 집적회로화의 기술이 등장하면 당연히 그 기술을 이용하여 기능 블록의 집적화를 행하여도 좋다. 바이오 기술의 적응 등이 가능성으로 있을 수 있다.
(25) 상기 각 장치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의 일부 또는 전부는 각 장치에 착탈가능한 IC카드 또는 단일체 모듈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IC카드 또는 상기 모듈은 마이크로프로세서, ROM, RAM 등으로 구성되는 컴퓨터 시스템이다. 상기 IC카드 또는 상기 모듈은 상기의 초 다기능 LSI를 포함하여도 좋다.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컴퓨터 프로그램에 따라서 동작함으로써 상기 IC카드 또는 상기 모듈은 그 기능을 달성한다. 이 IC카드 또는 이 모듈은 내 탬퍼성을 갖는 것이라도 좋다.
(26)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하는 방법이라도 좋다. 또, 이들 방법을 컴퓨터에 의해 실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어도 좋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이루 어지는 디지털 신호라도 좋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상기 디지털 신호를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예를 들어, 플렉시블 디스크, 하드디스크, CD-ROM, MO, DVD, DVD-ROM, DVD-RAM, BD(Blu-ray Disc), 반도체 메모리 등에 기록한 것이라도 좋다. 또, 이들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디지털 신호여도 좋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상기 디지털 신호를 전기통신회선, 무선 또는 유선통신회선, 인터넷을 대표로 하는 네트워크, 데이터 방송 등을 경유하여 전송하여도 좋다.
또, 본 발명은 마이크로프로세서와 메모리를 구비한 컴퓨터 시스템으로, 상기 메모리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있고,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에 따라서 동작하여도 좋다.
또, 상기 프로그램 또는 상기 디지털 신호를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하여 이송함으로써, 또는 상기 프로그램 또는 상기 디지털 신호를 상기 네트워크 등을 경유하여 이송함으로써 독립한 다른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실시하여도 좋다.
(27) 상기 실시 예 및 상기 변형 예를 각각 조합하여도 좋다.
1.9 종합
(1) 본 발명은 디지털 콘텐츠에 전자 워터마크정보를 매설하는 전자 워터마크 매설장치로, 제 1 소정 단위마다 다른 일련의 전자 워터마크정보를 생성하는 전자 워터마크정보 생성수단과, 생성된 일련의 전자 워터마크정보를 디지털 콘텐츠에 매설하는 전자 워터마크 매설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디지털 콘텐츠에 대하여 제 1 소정 단위마다 다른 일련의 전자 워터마크정보가 매설되므로, 만약 이 디지털 콘텐츠가 복제된 경우에 복제된 디지털 콘텐츠로부터 제 1 소정 단위마다 다른 일련의 전자 워터마크정보가 검출되는지 여부에 의해 위법한 복제인지 여부의 판별이 가능해진다. 왜냐하면, 예를 들어 영화관 등에서 방영 중인 디지털 콘텐츠를 캠코더 등에 의해 의도적이면서 연속적으로 촬영(위법한 복제)한 것이라면, 복제된 디지털 콘텐츠로부터는 제 1 소정 단위마다 다른 일련의 전자 워터마크정보가 검출되나, 예를 들어 생일파티 등에서 디지털 콘텐츠를 재생하는 도중에 캠코더 등에 의해 비의도적이면서 비연속적으로 우연히 촬영(복제)한 것이라면, 복제된 디지털 콘텐츠로부터는 제 1 소정 단위마다 다른 일련의 전자 워터마크정보는 검출되지 않기 때문이다. 그리고 위법한 복제라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그 복제된 디지털 콘텐츠의 재생을 정지하는 등에 의해 위법한 복제를 배제할 수 있게 된다.
(2) 여기서, 전자 워터마크 매설장치의 전자 워터마크 매설수단은 디지털 콘텐츠에 포함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제 2 소정 단위마다 블록으로 분할하고, 분할한 블록마다 일련의 전자 워터마크정보를 순차 대응시켜서 매설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디지털 콘텐츠에 포함되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하여 제 2 소정 단위별로 분할된 블록마다 다른 일련의 전자 워터마크정보가 매설되므로, 만약 이 디지털 콘텐츠가 복제된 경우에 복제된 디지털 콘텐츠에 포함되는 오디오 데이터로부터 분할한 블록마다 일련의 전자 워터마크정보가 검출되는지 여부에 의해 위법한 복제인지의 판별이 가능해진다.
(3) 여기서, 전자 워터마크 매설장치의 전자 워터마크 매설수단은 분할한 블록마다 일련의 전자 워터마크정보를 순차 대응시켜서 매설할 때에, 무음부를 포함하는 블록에 대해서는 그 블록에 대응된 전자 워터마크정보를 매설하지 않고, 무음부를 포함하지 않는 블록에 대해서는 그 블록에 대응된 전자 워터마크정보를 매설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디지털 콘텐츠에 포함되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하여 무음부를 포함하는 블록에 대해서는 그 블록에 대응된 전자 워터마크정보를 매설하지 않고, 무음부를 포함하지 않는 블록에 대해서는 그 블록에 대응된 전자 워터마크정보를 매설하고 있으므로, 만약 이 디지털 콘텐츠가 복제된 경우에 복제된 디지털 콘텐츠에 포함되는 오디오 데이터로부터 무음부를 포함하지 않는 블록별로 그 블록에 대응된 전자 워터마크정보가 검출되는지 여부에 의해 위법한 복제인지 여부의 판별이 가능해진다. 즉, 디지털 콘텐츠에 포함되는 오디오 데이터가 무음부를 포함하는 경우에도 위법한 복제인지 여부의 판별이 가능해진다. 또, 이 구성에 의하면, 가끔 무음부를 포함하는 블록이 재생되고 있는 동안에 캠코더에 의한 촬영을 정지하고, 무음부를 포함하지 않는 블록이 재생되고 있는 동안에 캠코더의 촬영을 한 경우에도 연속적으로 위법하게 복제된 것인지 비연속적으로 복제된 것인지의 판별이 가능해진다.
(4) 여기서, 전자 워터마크 매설장치의 전자 워터마크 매설수단은 분할한 블록 중 무음부를 포함하지 않는 블록마다 일련의 전자 워터마크정보를 순차 대응시켜서 매설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디지털 콘텐츠에 포함되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하여 무음부를 포함하지 않는 블록마다 일련의 전자 워터마크정보가 매설되므로, 만약 이 디지털 콘텐츠가 복제된 경우에 복제된 디지털 콘텐츠에 포함되는 오디오 데이터로부터 무음부를 포함하지 않는 블록마다 일련의 전자 워터마크정보가 검출되는지 여부에 의해 위법한 복제인지 여부의 판별이 가능해진다. 즉, 디지털 콘텐츠에 포함되는 오디오 데이터가 무음부를 포함하는 경우에도 위법한 복제인지 여부의 판별이 가능해진다.
(5) 여기서, 제 1 소정 단위는 제 2 소정 단위의 N배(N은 정수)이고, 전자 워터마크 매설장치의 전자 워터마크 매설수단은 디지털 콘텐츠에 포함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제 2 소정 단위마다 블록으로 분할하며, 제 1 소정 단위마다 일련의 전자 워터마크정보를 순차 대응시켜서 제 1 소정 단위마다 제 1 소정 단위에 포함되는 N개의 블록에 대하여 대응된 전자 워터마크정보를 중복하여 매설하도록 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 1 소정 단위에 포함되는 N개의 블록에 대하여 전자 워터마크정보가 중복해서 매설되어 있으므로, 만약 이 디지털 콘텐츠가 복제된 경우에 복제된 디지털 콘텐츠에 포함되는 오디오 데이터에서 만일 어떤 블록에서 어떤 이유에 의해 전자 워터마크정보를 검출할 수 없거나 또는 오검출을 했어도 동일한 제 1 소정 단위 내의 다른 블록에서 전자 워터마크정보를 검출할 수 있으므로, 제 1 소정 단위마다 일련의 전자 워터마크정보가 검출되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게 되며, 그 결과, 위법한 복제인지 여부의 판별이 가능해진다.
(6) 여기서, 전자 워터마크 매설장치의 전자 워터마크 매설수단은 디지털 콘 텐츠에 포함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제 2 소정 단위마다 블록으로 분할하고, 분할한 블록마다 일련의 전자 워터마크정보를 매설하도록 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디지털 콘텐츠에 포함되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하여 제 2 소정 단위별로 분할된 블록마다 다른 일련의 전자 워터마크정보가 매설되므로, 만약 이 디지털 콘텐츠가 복제된 경우에 복제된 디지털 콘텐츠에 포함되는 오디오 데이터로부터 분할한 블록마다 일련의 전자 워터마크정보가 검출되는지 여부에 의해 위법한 복제인지 여부의 판별이 가능해진다.
(7) 여기서, 제 1 소정 단위는 제 2 소정 단위의 N배(N은 정수)이고, 전자 워터마크 매설장치의 전자 워터마크 매설수단은 디지털 콘텐츠에 포함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제 2 소정 단위마다 블록으로 분할하고, 제 1 소정 단위마다 일련의 전자 워터마크정보를 순차 대응시켜서 제 1 소정 단위마다 제 1 소정 단위에 포함되는 N개의 블록에 대하여 대응된 전자 워터마크정보를 중복해서 매설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 1 소정 단위에 포함되는 N개의 블록에 대하여 전자 워터마크정보가 중복해서 매설되어 있으므로, 만약 이 디지털 콘텐츠가 복제된 경우에 복제된 디지털 콘텐츠에 포함되는 비디오 데이터에서 만일 어떤 블록에서 어떠한 이유에 의해 전자 워터마크정보를 검출할 수 없거나 또는 오검출을 했어도 동일한 제 1 소정 단위 내의 다른 블록에서 전자 워터마크정보를 검출할 수 있으므로, 제 1 소정 단위마다 일련의 전자 워터마크정보가 검출되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게 되며, 그 결과, 위법한 복제인지 여부의 판별이 가능해진다.
(8) 여기서, 전자 워터마크 매설장치의 전자 워터마크정보 생성수단은 소정의 룰에 의거하여 제 1 소정 단위마다 다른 일련의 전자 워터마크정보를 생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소정의 룰에 의거하여 생성된 다른 일련의 전자 워터마크정보가 디지털 콘텐츠에 매설되므로, 이 디지털 콘텐츠가 복제된 경우에 복제된 디지털 콘텐츠에서 이 소정의 룰에 의거한 일련의 전자 워터마크정보가 검출되는지 여부에 의해 위법한 복제인지의 판별이 가능해진다.
(9) 여기서, 전자 워터마크 매설장치의 전자 워터마크정보 생성수단은 단조 증가하는 수치데이터 열을 일련의 전자 워터마크정보로 생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이 디지털 콘텐츠가 복제된 경우에 복제된 디지털 콘텐츠에서 단조 증가하는 수치데이터 열이 일련의 전자 워터마크정보로 검출되는지 여부에 의해 위법한 복제인지의 판별이 가능해진다.
(10) 여기서, 전자 워터마크 매설장치의 전자 워터마크정보 생성수단은 주기적으로 순회하는 수치데이터 열을 일련의 전자 워터마크정보로 생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이 디지털 콘텐츠가 복제된 경우에, 복제된 디지털 콘텐츠에서 주기적으로 순회하는 수치데이터 열이 일련의 전자 워터마크정보로 검출되는지 여부에 의해 위법한 복제인지 여부의 판별이 가능해진다. 또, 이 구성에 의하면, 전자 워터마크정보 생성수단으로 카운터(예를 들어, 1에서 16을 순차 출력 가능한 4비트의 카운터 등)을 이용할 수 있어서 전자 워터마크정보 생성수단을 염가 로 구성할 수 있게 된다.
(11) 여기서 전자 워터마크 매설장치는 전자 워터마크정보가 매설된 디지털 콘텐츠를 콘텐츠 키에 의거하여 암호화하는 제 1 암호화 수단과, 콘텐츠 키를 디지털 콘텐츠를 재생하는 장치가 보유하는 디바이스 키에 의거하여 암호화하는 제 2 암호화 수단과, 암호화된 콘텐츠 또는 암호화된 콘텐츠 키 또는 그 양쪽을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기록수단을 구비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기록매체에 기록하여 배포하는 디지털 콘텐츠는 콘텐츠 키에 의거하여 암호화되고, 콘텐츠 키는 재생하는 장치가 보유하는 디바이스 키에 의거하여 암호화되므로, 더 강고하게 디지털 콘텐츠를 위법한 복제로부터 지킬 수 있게 된다.
(12) 여기서, 전자 워터마크 매설장치는 전자 워터마크정보가 매설된 디지털 콘텐츠를 콘텐츠 키에 의거하여 암호화하는 제 1 암호화 수단과, 콘텐츠 키를 디지털 콘텐츠를 재생하는 장치가 보유하는 디바이스 키에 의거하여 암호화하는 제 2 암호화 수단과, 암호화된 콘텐츠 또는 암호화된 콘텐츠 키 또는 그 양쪽을 방송하거나 또는 네트워크에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방송에 의해,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서 배포하는 디지털 콘텐츠는 콘텐츠 키에 의거하여 암호화되고, 콘텐츠 키는 재생하는 장치가 보유하는 디바이스 키에 의거하여 암호화되므로, 더 강고하게 디지털 콘텐츠를 위법한 복제에서 지킬 수 있게 된다.
(13) 또, 본 발명은 디지털 콘텐츠에서 전자 워터마크정보를 검출하는 전자 워터마크 검출장치로, 디지털 콘텐츠에서 제 1 소정 단위마다 다른 일련의 전자 워터마크정보를 검출하는 전자 워터마크 검출수단과, 검출한 결과에 의거하여 디지털 콘텐츠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만약 이 디지털 콘텐츠가 복제된 경우에 복제된 디지털 콘텐츠에 대하여 제 1 소정 단위마다 다른 일련의 전자 워터마크정보가 검출되는지 여부에 의해 위법한 복제인지 여부의 판별이 가능해진다. 왜냐하면, 예를 들어 영화관 등에서 방영 중인 디지털 콘텐츠를 캠코더 등에 의해 의도적이면서 연속적으로 촬영(위법한 복제)한 것이면, 복제된 디지털 콘텐츠로부터는 제 1 소정 단위마다 다른 일련의 전자 워터마크정보가 검출되지만, 예를 들어 생일파티 등에서 디지털 콘텐츠를 재생하는 도중에 캠코더 등에 의해 비의도적이면서 비연속적으로 우연히 촬영(복제)한 것이라면, 복제된 디지털 콘텐츠에서는 제 1 소정 단위마다 다른 일련의 전자 워터마크정보는 검출되지 않기 때문이다. 그리고 위법한 복제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그 복제된 디지털 콘텐츠의 재생을 정지하는 등에 의해 위법한 복제를 배제할 수 있게 된다.
(14) 여기서, 전자 워터마크 검출장치의 전자 워터마크 검출수단은 디지털 콘텐츠에 포함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제 2 소정 단위마다 블록으로 분할하고, 분할한 블록마다 일련의 전자 워터마크정보를 검출하도록 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디지털 콘텐츠에 포함되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하여 제 2 소정 단위별로 분할된 블록마다 다른 일련의 전자 워터마크정보가 매설되는 경우, 만일 이 디지털 콘텐츠가 복제된 경우에 복제된 디지털 콘텐츠에 포함되는 오디오 데이터에서 분할한 블록마다 일련의 전자 워터마크정보가 검출되는지 여부에 의해 위법한 복제인지의 여부의 판별이 가능해진다.
(15) 여기서, 전자 워터마크 검출장치는 전자 워터마크 검출수단이 검출한 일련의 전자 워터마크정보와, 전자 워터마크정보의 기대치와의 비교결과를 축적하는 비교결과 기억수단과, 축적한 비교결과에 의거하여 정규 디지털 콘텐츠인지 여부를 판정하여 출력하는 판정결과 출력수단을 구비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전자 워터마크 검출수단이 검출한 일련의 전자 워터마크정보와 전자 워터마크정보의 기대치와의 비교결과를 축적하고, 축적한 비교결과에 의거하여 위법한 복제인지 여부의 판별을 행하므로, 축적한 비교결과에 의거하여(예를 들어, 전자 워터마크 검출수단이 검출한 일련의 전자 워터마크정보와 전자 워터마크정보의 기대치가 일치한 횟수나, 연속해서 일치한 횟수나, 모든 비교에 대해 일치한 비율이나, 불일치의 횟수 등에 의거하여) 위법한 복제인지 여부의 판별이 가능해진다.
(16) 여기서, 전자 워터마크 검출장치는 전자 워터마크 검출수단이 검출하는 전자 워터마크정보의 기대치를 기억하는 기대치 기억수단과, 전자 워터마크 검출수단이 검출한 전자 워터마크정보와 기대치 기억수단이 기억하는 기대치를 비교하는 비교수단을 구비하고, 비교결과 기억수단은 비교수단이 비교한 결과 일치라고 판정한 횟수를 기억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전자 워터마크 검출수단이 검출한 일련의 전자 워터마크정보와 전자 워터마크정보의 기대치를 비교한 결과 일치라고 판정한 횟수를 기억하 므로, 이 횟수에 의거하여 위법한 복제인지 여부의 판별이 가능해진다.
(17) 여기서, 전자 워터마크 검출장치의 판정결과 출력수단은 비교결과 기억수단이 기억하는 횟수가 소정 횟수에 도달한 경우에 판정결과를 제어수단에 출력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전자 워터마크 검출수단이 검출한 일련의 전자 워터마크정보와 전자 워터마크정보의 기대치를 비교하여, 일치라고 판정한 횟수와 소정 횟수에 의거하여 위법한 복제인지 여부의 판별이 가능해진다.
(18) 여기서, 전자 워터마크 검출장치는 비교수단이 비교한 결과 불일치라고 판정한 경우에는 비교결과 기억수단이 기억하는 비교결과를 리셋하고, 동시에 기대치 기억수단이 기억하는 기대치를 리셋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전자 워터마크 검출수단이 검출한 일련의 전자 워터마크정보와 전자 워터마크정보의 기대치가 불일치한 경우에는 비교결과 기억수단이 기억하는 비교결과가 리셋이 되므로, 예를 들어 생일파티에서 디지털 콘텐츠를 재생하는 도중에 캠코더에 의해 비의도적이면서 비연속적으로 우연히 촬영(복제)한 경우에는 전자 워터마크 검출수단이 검출한 일련의 전자 워터마크정보와 전자 워터마크정보의 기대치가 불일치가 되어서, 비교결과 기억수단이 기억하는 비교결과가 리셋 되므로, 결과적으로 그와 같이 촬영된 디지털 콘텐츠가 위법한 복제로 판단되어 재생이 정지되는 일은 일어나지 않는다.
(19) 여기서, 전자 워터마크 검출장치는 비교수단이 비교한 결과 불일치라고 판정한 횟수가 소정 횟수에 도달한 경우에 비교결과 기억수단이 기억하는 비교결과 를 리셋하고, 기대치 기억수단이 기억하는 기대치가 불일치로 판정될 때마다 리셋 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전자 워터마크 검출수단이 검출한 일련의 전자 워터마크정보와 전자 워터마크정보의 기대치를 비교한 결과 불일치라고 판정한 횟수가 소정 횟수에 달한 경우에 비교결과 기억수단이 기억하는 비교결과가 리셋 되므로, 예를 들어 영화관에서 디지털 콘텐츠의 방영 중에 캠코더에 의해 위법으로 촬영(위법한 복제) 할 때에, 소정 횟수 이하의 횟수에 대하여 비 연속으로 촬영한 경우에도(예를 들어, 의도적으로 캠코더의 카메라 위치를 움직이거나 또는 카메라 앞을 사람이 지나감으로써 촬영이 한순간 끊어지거나) 비교결과 기억수단이 기억하는 비교결과가 리셋 되지 않으며, 그 결과, 그와 같은 경우는 위법한 복제로 판별할 수 있게 된다.
(20) 여기서, 전자 워터마크 검출장치는 디지털 콘텐츠의 재생이 일시 정지 또는 정지된 경우에 비교결과 기억수단이 기억하는 비교결과를 리셋하고, 동시에 기대치 기억수단이 기억하는 기대치를 리셋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디지털 콘텐츠의 재생이 일시 정지 또는 정지라는 동작을 한 경우에는 비교결과 기억수단이 기억하는 비교결과를 리셋하므로, 이와 같은 동작을 행함으로써 위법한 복제가 아닌 디지털 콘텐츠가 위법한 복제로 판별되는 기회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21) 여기서, 전자 워터마크 검출장치의 제어수단은 판정결과 출력수단의 출력에 의거하여 디지털 콘텐츠에 포함되는 오디오 데이터, 또는 비디오 데이터, 또 는 그 양방의 출력을 정지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위법한 복제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그 복제된 디지털 콘텐츠의 출력을 정지함으로써 위법한 복제를 배제할 수 있게 된다.
(22) 여기서, 전자 워터마크 검출장치의 제어수단은 판정결과 출력수단의 출력에 의거하여 디지털 콘텐츠에 포함되는 오디오 데이터, 또는 비디오 데이터, 또는 그 양방의 품질을 열화 시켜서 출력하여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위법한 복제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그 복제된 디지털 콘텐츠의 품질을 열화 시킴으로써 위법한 복제를 배제할 수 있게 된다.
(23) 여기서, 전자 워터마크 검출장치의 제어수단은 판정결과 출력수단의 출력에 의거하여 디지털 콘텐츠에 포함되는 오디오 데이터의 음량을 낮추거나 또는 뮤트하여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위법한 복제라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그 복제된 디지털 콘텐츠의 음량을 낮추거나 또는 뮤트시킴으로써 위법한 복제를 배제할 수 있게 된다.
(24) 여기서, 전자 워터마크 검출장치의 전자 워터마크 검출수단은 분할한 블록마다 일련의 전자 워터마크정보를 검출할 때에, 무음부를 포함하지 않는 블록에 대하여 그 블록에 매설된 전자 워터마크정보를 검출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만약 디지털 콘텐츠가 복제된 경우에, 복제된 디지털 콘텐츠에 포함되는 오디오 데이터에서 무음부를 포함하지 않는 블록별로 일련의 전자 워터마크정보가 검출되는지 여부에 의해 위법한 복제인지 여부의 판별이 가능해진 다. 즉, 디지털 콘텐츠에 포함되는 오디오 데이터가 무음부를 포함하는 경우에도 위법한 복제인지 여부의 판별이 가능해진다.
(25) 또, 본 발명은 디지털 콘텐츠에 전자 워터마크정보를 매설하는 전자 워터마크 매설장치에 의해 전자 워터마크정보가 매설된 디지털 콘텐츠를 기록하는 기록매체로, 상기 전자 워터마크 매설장치는 제 1 소정 단위마다 다른 일련의 전자 워터마크정보를 생성하는 워터마크정보 생성수단과, 생성된 일련의 전자 워터마크정보를 디지털 콘텐츠에 매설하는 전자 워터마크 매설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기록매체는 전자 워터마크 매설장치에 의해 제 1 소정 단위마다 다른 일련의 전자 워터마크정보가 매설된 디지털 콘텐츠를 기록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디지털 콘텐츠에 대하여 제 1 소정 단위마다 다른 일련의 전자 워터마크정보가 매설되므로, 만약 이 디지털 콘텐츠가 복제된 경우에, 복제된 디지털 콘텐츠에서 제 1 소정 단위마다 다른 일련의 전자 워터마크정보가 검출되는지 여부에 의해 위법한 복제인지 여부의 판별이 가능해진다. 왜냐하면, 예를 들어, 영화관 등에서 방영 중인 디지털 콘텐츠를 캠코더 등에 의해 의도적이면서 연속적으로 촬영(위법한 복제)한 것이라면, 복제된 디지털 콘텐츠에서는 제 1 소정 단위마다 다른 일련의 전자 워터마크정보가 검출되나, 예를 들어 생일파티 등에서 디지털 콘텐츠를 재생하는 도중에 캠코더 등에 의해 비의도적이면서 비연속적으로 우연히 촬영(복제)한 것이라면, 복제된 디지털 콘텐츠에서는 제 1 소정 단위마다 다른 일련의 전자 워터마크정보는 검출되지 않기 때문이다. 그리고 위법한 복제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그 복제된 디지털 콘텐츠의 재생을 정지함 으로써 위법한 복제를 배제할 수 있게 된다.
(26) 또, 본 발명은, 영상데이터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프레임을 포함하는 콘텐츠에 대하여 상기 콘텐츠의 재생시간 축 상을 따라서 복수의 워터마크정보를 매설하는 정보매설장치로, 상기 콘텐츠를 취득하는 취득수단과, 상기 콘텐츠에 포함되는 매설 대상인 프레임 각각에 대하여 워터마크정보를 매설하는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정보를 상기 콘텐츠의 재생시간 축 상의 배열 순에 따라서 제 1 규칙성을 가지고 변화하는 상태로 생성하는 위치정보 생성수단과, 상기 위치정보 생성수단에서 생성된 각 위치정보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위치정보 각각에 의거하여 대응하는 프레임에 워터마크정보를 매설하는 매설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정보매설장치는 콘텐츠에 포함되는 매설 대상의 프레임 각각에 대하여 위치정보 생성수단에서 생성되는 위치정보가 나타내는 위치에 워터마크정보를 순차 매설한다. 이에 의해, 재생 중의 2개 이상의 워터마크정보가 매설된 콘텐츠가 캠코더 등에 의해 기록된 경우, 기록된 콘텐츠의 재생을 하는 장치는 1개 이상의 워터마크정보를 검출하고, 검출한 1개 이상의 워터마크정보 각각의 매설위치에 대한 제 1 규칙성이 확인되는지 여부에 의해 재생 중의 콘텐츠가 부정하게 기록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27) 여기서, 상기 정보매설장치는 워터마크정보의 매설강도를 나타내면서, 또한 상기 재생시간 축 상의 배열 순에 따라서 제 2 규칙을 가지고 변화하는 강도정보를 매설 대상의 프레임별로 생성하는 강도정보 생성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매설수단은 매설 대상의 워터마크정보를 매설할 때에는 대응하는 상기 강도정보가 나타내는 강도로 당해 워터마크정보를 매설하여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정보매설장치는 워터마크정보를 매설할 때에 대응하는 강도에 의거하여 당해 워터마크정보를 매설한다. 이에 의해, 재생 중의 2개 이상의 워터마크정보가 매설된 콘텐츠가 캠코더 등에 의해 기록된 경우, 당해 기록된 콘텐츠를 재생하는 장치는 당해 기록된 콘텐츠의 재생 중에 위치정보에 의한 매설위치에 대한 제 1 규칙성의 확인 및 워터마크정보가 매설된 강도에 대한 제 2 규칙성의 확인의 양쪽을 행할 수 있으므로, 부정기록에 대한 방지를 강화할 수 있다.
(28) 또, 본 발명은, 콘텐츠에 대하여 상기 콘텐츠의 재생시간 축 상에 따라서 복수의 워터마크정보를 매설하는 정보매설장치로, 시간 축 상에 따라서 재생되는 콘텐츠를 취득하는 취득수단과, 워터마크정보를 매설할 때의 강도를 나타내는 강도정보를 상기 콘텐츠의 재생시간 축 상의 배열 순에 따라서 규칙성을 가지고 변화하는 상태로 생성하는 위치정보 생성수단과, 상기 강도정보 생성수단에서 생성된 각 강도정보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강도정보 각각을 상기 재생시간 축 상에 따라 배열하며, 배열된 2개 이상의 강도정보 각각에 의거하여 워터마크정보를 매설하는 매설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정보매설장치는 콘텐츠에 포함되는 매설 대상의 프레임 각각에 대하여 강도정보 생성수단에서 생성되는 강도정보가 나타내는 강도로 워터마크정보를 순차 매설한다. 이에 의해, 재생 중의 2개 이상의 워터마크정보가 매설된 콘텐츠가 캠코더 등에 의해 기록된 경우, 당해 기록된 콘텐츠를 재생하는 장치는 당해 기록된 콘텐츠의 재생 중에 워터마크정보가 매설된 강도에 대한 규칙성이 확인되는지 여부에 의해 재생 중의 콘텐츠가 부정하게 기록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29) 또, 본 발명은, 상기 (26)에 기재된 정보매설장치에 의해 생성된 제 1 콘텐츠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제 2 콘텐츠에서 상기 제 1 콘텐츠의 부정사용을 검출하는 검출장치로, 상기 제 2 콘텐츠에서 상기 제 1 콘텐츠에 매설된 워터마크정보를 검출하고, 검출한 워터마크정보가 매설된 위치를 나타내는 검출위치정보를 취득하는 정보취득수단과, 과거에 취득한 1개 이상의 검출위치정보 각각이 나타내는 위치와, 이번에 취득한 검출위치정보가 나타내는 위치가 재생시간 축 상의 배열 순에 따른 제 1 규칙성을 만족하는가 여부를 판단하는 제 1 판단수단과, 상기 제 1 판단수단에서 상기 제 1 규칙성을 만족한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과거에 취득한 1개 이상의 검출위치정보와 상기 이번에 취득한 검출위치정보와의 합계의 개수를 나타내는 제 1 합계 수가 제 1 임계값 이상인가 여부를 판단하는 제 2 판단수단과, 상기 제 2 판단수단에서 상기 제 1 합계 수가 상기 제 1 임계값 이상이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제 2 콘텐츠에 대한 재생이 정상으로 동작하지 않도록 당해 재생을 제어하는 재생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검출장치는 제 2 콘텐츠의 재생 중에 검출한 2개 이상의 워터마크정보 각각에 대한 검출위치정보에 의한 제 1 규칙성이 확인되는지 여부에 의해서 제 2 콘텐츠가 부정하게 기록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30) 여기서, 상기 복수의 워터마크정보 각각은 상기 재생시간 축 상의 배열 순에 따라서 제 2 규칙성을 가지고 변화하는 강도에 의거하여 매설되어 있고, 상기 정보취득수단은 상기 검출한 워터마크정보가 매설된 강도를 나타내는 검출강도정보를 취득하며, 상기 제 1 판단수단은 상기 재생 중에 과거에 취득한 1개 이상의 검출강도정보와 이번에 취득한 검출강도정보가 상기 제 2 규칙성을 만족하는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 2 판단수단은 상기 제 1 판단수단에서 상기 제 2 규칙성을 만족한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과거에 취득한 1개 이상의 검출강도정보와 상기 이번에 취득한 검출강도정보와의 합계의 개수를 나타내는 제 2 합계 수가 제 2 임계값 이상인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재생제어수단은 상기 제 2 판단수단에서 상기 제 1 합계 수가 제 1 임계값 이상이라고 판단되고, 또한 상기 제 2 합계 수가 제 2 임계값 이상이라고 판단된 경우에만 상기 제 2 콘텐츠에 대한 재생이 정상으로 동작하지 않도록 당해 재생을 제어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검출장치는 제 2 콘텐츠의 재생 중에 검출위치정보에 의한 매설위치에 대한 제 1 규칙성의 확인 및 워터마크정보가 매설된 강도에 대한 제 2 규칙성의 확인의 양쪽을 행하므로, 제 2 콘텐츠가 부정하게 기록된 것인지 여부의 판단을 강화할 수 있다.
(31) 또, 본 발명은, 상기 (28)에 기재된 정보매설장치에 의해 생성된 제 1 콘텐츠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제 2 콘텐츠에서 상기 제 1 콘텐츠의 부정사용을 검출하는 검출장치로, 상기 제 2 콘텐츠에서 상기 제 1 콘텐츠에 매설된 워터마크정보를 검출하고, 검출한 워터마크정보의 매설강도를 취득하는 정보취득수단과, 과거에 취득한 1개 이상의 검출강도정보 각각이 나타내는 강도와 이번에 취득한 검출강도정보가 나타내는 강도가 재생시간 축 상의 배열 순에 따른 규칙성을 만족하는 가 여부를 판단하는 제 1 판단수단과, 상기 제 1 판단수단에서 상기 규칙성을 만족한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과거에 취득한 1개 이상의 검출강도정보와 상기 이번에 취득한 검출강도정보의 합계의 개수를 나타내는 합계 수가 임계값 이상인가 여부를 판단하는 제 2 판단수단과, 상기 제 2 판단수단에서 상기 합계 수가 임계값 이상이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제 2 콘텐츠는 부정하게 기록된 것으로 간주하여, 상기 제 2 콘텐츠에 대한 재생이 정상으로 동작하지 않도록 당해 재생을 제어하는 재생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검출장치는 제 2 콘텐츠의 재생 중에 검출한 2개 이상의 워터마크정보 각각에 대한 강도에 의해 제 1 콘텐츠에 대한 규칙성이 확인되는지 여부에 따라서 제 2 콘텐츠가 부정하게 기록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전자 워터마크 매설장치, 전자 워터마크 검출장치는 디지털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산업, 디지털 콘텐츠를 재생하는 장치를 제조하는 제조업, 디지털 콘텐츠를 재생하는 장치를 판매하는 판매업에서 경영적, 즉 반복적이면서 계속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Claims (36)

  1. 콘텐츠에 대하여 상기 콘텐츠의 재생시간 축 상에 따라서 복수의 워터마크정보를 매설(embedding)하는 정보매설장치로,
    시간 축 상에 따라서 재생되는 콘텐츠를 취득하는 취득수단과,
    상기 복수의 워터마크정보를, 각 워터마크정보가 보유하는 값이 상기 재생시간 축 상의 배열 순에 따라서 제 1 규칙성을 가지고 변화하는 상태로 생성하는 워터마크정보 생성수단과,
    상기 복수의 워터마크정보 중 2개 이상의 워터마크정보 각각을 상기 재생시간 축 상의 배열 순서를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콘텐츠에 매설하는 매설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매설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매설수단은,
    상기 콘텐츠를 상기 재생시간 축 상에 있어서 소정 길이로 이루어지는 2개 이상의 블록으로 분할하고,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블록마다 워터마크정보를 매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매설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워터마크정보가 나타내는 값은 카운터 값이고,
    상기 워터마크정보 생성수단은 카운터에 의해 상기 복수의 카운터 값을 생성하며,
    상기 매설수단은 생성된 카운터 값을 매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매설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는 음성데이터를 포함하는 오디오부를 가지며,
    상기 소정의 조건이란 블록이 카운터 값을 매설하기 위한 정보량을 갖는 것이고,
    상기 매설수단은,
    상기 오디오부를 상기 2개 이상의 블록으로 분할하고, 카운터 값을 매설하기 위한 정보량을 갖는 블록에 대하여 카운터 값을 매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매설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매설수단은,
    분할한 블록마다 카운터 값을 생성하도록 상기 워터마크정보 생성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워터마크정보 생성수단으로부터 블록 각각에 대응하는 카운터 값을 수신하며,
    매설 대상의 블록이 대응하는 카운터 값을 매설하기 위한 정보량을 갖지 않 는 경우에는 당해 블록에 대응하는 카운터 값을 파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매설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매설수단은,
    분할한 블록 각각에서, 블록이 카운터 값을 매설하기 위한 정보량을 갖지 않는 경우에는, 당해 블록에 대한 카운터 값의 생성을 억지하도록 상기 워터마크정보 생성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매설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분할한 각 블록은 소정의 개수로 이루어지는 서브 블록을 갖고,
    상기 매설수단은,
    블록에 워터마크정보를 매설할 때에는 당해 블록에 포함되는 각 서브 블록에 대하여 카운터 값을 매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매설장치.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워터마크정보 생성수단은 단조(單調)로 증가하는 카운터 값을 순차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매설장치.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워터마크정보 생성수단은 소정 주기마다 단조로 증가 또는 감소하는 카운터 값을 순차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매설장치.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는 연속하는 영상데이터를 포함하는 비디오부를 가지며,
    상기 매설수단은,
    상기 비디오부를 상기 2개 이상의 블록으로 분할하고, 분할한 블록에서 카운터 값을 매설하기 위한 정보량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에 당해 카운터 값을 매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매설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는 하나 이상의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정보매설장치는,
    상기 매설수단이 매설 대상의 프레임 각각에 대하여 워터마크정보를 매설할 때에, 매설 대상의 워터마크정보에 대한 매설위치를 나타내고, 또한 상기 재생시간 축 상의 배열 순에 따라서 제 2 규칙성을 가지고 변화하는 위치정보를 매설 대상의 프레임마다 생성하는 위치정보 생성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매설수단은,
    매설 대상인 프레임에서 매설 대상의 워터마크정보를 매설할 때에는 당해 프레임에 대하여 생성된 상기 위치정보에서 나타내는 위치에 당해 워터마크정보를 매 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매설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매설장치는,
    상기 재생시간 축 상에서 매설 대상의 워터마크정보를 매설할 때의 강도를 나타내고, 또한 상기 재생시간 축 상의 배열 순에 따라서 제 3 규칙성을 가지고 변화하는 강도정보를 상기 복수의 워터마크정보마다 생성하는 강도정보 생성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매설수단은,
    상기 워터마크정보를 매설할 때에는 대응하는 상기 강도정보가 나타내는 강도로 당해 워터마크정보를 매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매설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매설장치는,
    상기 복수의 워터마크정보 각각에 대하여 워터마크정보를 매설할 때의 강도를 나타내고, 또한 상기 재생시간 축 상의 배열 순에 따라서 제 2 규칙을 가지고 변화하는 강도정보를 생성하는 강도정보 생성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매설수단은,
    상기 워터마크정보를 매설할 때에는 대응하는 상기 강도정보가 나타내는 강도로 당해 워터마크정보를 매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매설장치.
  14. 청구항 1에 기재된 정보매설장치에 의해 생성된 제 1 콘텐츠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제 2 콘텐츠에서 상기 제 1 콘텐츠의 부정사용을 검출하는 검출장치로,
    상기 제 2 콘텐츠에서 상기 제 1 콘텐츠에 매설된 워터마크정보를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과거에 검출한 1개 이상의 워터마크정보 각각이 보유하는 값과 이번에 검출한 워터마크정보가 보유하는 값이 재생시간 축 상의 배열 순에 따른 제 1 규칙성을 만족하는가 여부를 판단하는 제 1 판단수단과,
    상기 제 1 판단수단에서 상기 제 1 규칙성을 만족한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과거에 검출한 1개 이상의 워터마크정보와 상기 이번에 검출한 워터마크정보의 합계의 개수를 나타내는 제 1 합계 수가 제 1 임계값 이상인가 여부를 판단하는 제 2 판단수단과,
    상기 제 2 판단수단에서 상기 제 1 합계 수가 상기 제 1 임계값 이상이라고 판단된 경우, 상기 제 2 콘텐츠에 대한 재생이 정상으로 동작하지 않도록 당해 재생을 제어하는 재생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수단은,
    상기 제 2 콘텐츠를 상기 소정 길이로 이루어지는 2개 이상의 재생블록으로 분할하고, 분할한 재생블록 각각에서 상기 워터마크정보의 유무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워터마크정보가 보유하는 값은 카운터에 의해 산출되는 카운터 값이고,
    상기 검출수단은 분할한 재생블록 각각에서 상기 카운터 값의 유무를 검출하며,
    상기 제 1 판단수단은 과거에 검출한 카운터 값과 이번에 검출한 카운터 값이 카운트에 의한 규칙을 만족하는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1개 이상의 상기 카운터 값은 상기 제 1 콘텐츠가 갖는 음성데이터로 이루어지는 오리지널 오디오부에 매설되어 있고,
    상기 제 2 콘텐츠는 상기 오리지널 오디오부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재생 오디오부를 가지며,
    상기 검출수단은,
    상기 재생 오디오부를 상기 2개 이상의 재생블록으로 분할하고, 분할한 각 재생블록에 대하여 카운터 값의 유무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장치.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판단수단은,
    상기 카운터 값과 비교하기 위한 비교 값을 기억하는 비교 값 기억부와,
    상기 비교 값을 소정 주기로 갱신하는 갱신부와,
    상기 카운터 값과 상기 비교 값이 일치한 횟수를 나타내는 일치 수를 기억하는 일치횟수 기억부와,
    상기 카운터 값과 상기 비교 값을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의해 상기 카운터 값과 상기 비교 값이 일치한다고 판단한 경우에 상기 일치횟수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일치 수를 갱신하는 비교부와,
    상기 일치횟수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일치 수를 상기 제 1 합계 수로 하여, 상기 일치 수가 상기 제 1 임계값을 초과하였는가 여부를 판단하는 연속성 판단부와,
    상기 검출수단에 의한 워터마크정보의 검출이 종료할 때까지, 또는 상기 재생제어수단에 의한 상기 제 2 콘텐츠에 대한 재생에 관한 동작이 제어될 동안 상기 비교부와 상기 연속성 판단부의 동작을 반복하도록 제어하는 반복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재생제어수단은,
    상기 연속성 판단부에서 상기 일치 수가 상기 제 1 임계값을 초과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제 2 콘텐츠에 대한 재생이 정상으로 동작하지 않도록 당해 재생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부는,
    비교결과에 의해 상기 카운터 값과 상기 비교 값이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비교 값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비교 값 및 상기 일치횟수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일치 수 각각을 초깃값으로 리셋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장치.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판단수단은,
    상기 카운터 값과 상기 비교 값이 일치하지 않는 횟수를 나타내는 불일치 수를 기억하는 불일치횟수 기억부와,
    상기 불일치 수가 소정의 임계값을 초과하였는가 여부를 판단하는 불일치횟수 판단부와,
    상기 불일치횟수 판단부가 상기 불일치 수가 상기 소정의 임계값을 초과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일치횟수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일치 수를 초깃값으로 리셋하는 리셋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비교부는,
    비교결과에 의해 상기 카운터 값과 상기 비교 값이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비교 값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비교 값을 초깃값으로 리 셋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장치.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판단수단은,
    상기 제 2 콘텐츠의 재생이 정지 또는 일시 정지된 경우에는 상기 비교 값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비교 값 및 상기 일치횟수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일치 수 각각을 초깃값으로 리셋하는 리셋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장치.
  22. 제 16 항에 있어서,
    1개 이상의 상기 카운터 값은 상기 제 1 콘텐츠가 갖는 영상데이터로 이루어지는 오리지널 비디오부에 매설되어 있고,
    상기 제 2 콘텐츠는 상기 오리지널 비디오부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재생 비디오부를 가지며,
    상기 검출수단은,
    상기 재생 비디오부를 상기 2개 이상의 재생블록으로 분할하고, 분할한 각 재생블록에 대하여 카운터 값의 유무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장치.
  23.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콘텐츠는 복수의 오리지널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워터마크정보 각각은 매설 대상의 오리지널 프레임의 각각에 대하여 상기 재생시간 축 상의 배열 순에 따라서 제 2 규칙성을 가지고 변화하는 위치에 매설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콘텐츠는 복수의 재생 프레임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재생 프레임은 상기 오리지널 프레임을 가지며,
    상기 검출수단은,
    검출대상의 프레임에서 상기 워터마크정보를 검출하면, 검출한 워터마크정보가 매설된 위치를 나타내는 검출위치정보를 더 취득하며,
    상기 제 1 판단수단은,
    과거에 검출한 1개 이상의 워터마크정보 각각에 대응하는 검출위치정보와 이번에 검출한 워터마크정보에 대응하는 검출위치정보가 상기 제 2 규칙성을 만족하는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 2 판단수단은,
    상기 제 1 판단수단에서 상기 제 2 규칙을 만족한다고 판단된 경우에, 상기 과거에 검출한 1개 이상의 워터마크정보 각각에 대응하는 검출위치정보와 상기 이번에 검출한 워터마크정보에 대응하는 검출위치정보의 합계의 개수를 나타내는 제 2 합계 수가 제 2 임계값 이상인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재생제어수단은,
    상기 제 2 판단수단에서 상기 제 1 합계 수가 제 1 임계값 이상이라고 판단되고, 또한 상기 제 2 합계 수가 제 2 임계값 이상이라고 판단된 경우에만 상기 제 2 콘텐츠에 대한 재생이 정상으로 동작하지 않도록 당해 재생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워터마크정보 각각은 상기 재생시간 축 상의 배열 순에 따라서 제 3 규칙성을 가지고 변화하는 강도에 의거하여 매설되어 있고,
    상기 검출수단은,
    검출대상의 프레임에서 상기 워터마크정보를 검출하면, 검출한 워터마크정보의 매설강도를 나타내는 검출강도정보를 취득하며,
    상기 제 1 판단수단은,
    과거에 검출한 1개 이상의 워터마크정보 각각에 대응하는 검출강도정보와 이번에 검출한 워터마크정보에 대응하는 검출강도정보가 상기 제 3 규칙을 만족하는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 2 판단수단은,
    상기 제 1 판단수단에서 상기 제 3 규칙을 만족한다고 판단된 경우에, 상기 과거에 검출한 1개 이상의 워터마크정보 각각에 대응하는 검출강도정보와 상기 이번에 검출한 워터마크정보에 대응하는 검출강도정보의 합계의 개수를 나타내는 제 3 합계 수가 제 3 임계값 이상인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재생제어수단은,
    상기 제 2 판단수단에서 상기 제 1 합계 수가 제 1 임계값 이상이라고 판단 되고, 상기 제 2 합계 수가 제 2 임계값 이상이라고 판단되며, 또한 상기 제 3 합계 수가 제 3 임계값 이상이라고 판단된 경우에만 상기 제 2 콘텐츠에 대한 재생이 정상으로 동작하지 않도록 당해 재생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장치.
  2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워터마크정보 각각은 상기 재생시간 축 상의 배열 순에 따라서 제 2 규칙성을 가지고 변화하는 강도에 의거하여 매설되어 있고,
    상기 검출수단은,
    검출대상의 프레임에서 상기 워터마크정보를 검출하면, 검출한 워터마크정보가 매설된 강도를 나타내는 검출강도정보를 더 취득하고,
    상기 제 1 판단수단은,
    과거에 검출한 1개 이상의 워터마크정보 각각에 대응하는 검출강도정보와 이번에 검출한 워터마크정보에 대응하는 검출강도정보가 상기 제 2 규칙을 만족하는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 2 판단수단은,
    상기 제 1 판단수단에서 상기 제 2 규칙을 만족한다고 판단된 경우에, 상기 과거에 검출한 1개 이상의 워터마크정보 각각에 대응하는 검출강도정보와 상기 이번에 검출한 워터마크정보에 대응하는 검출강도정보의 합계의 개수를 나타내는 제 2 합계 수가 제 2 임계값 이상인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재생제어수단은,
    상기 제 2 판단수단에서 상기 제 1 합계 수가 제 1 임계값 이상이라고 판단되고, 또한 상기 제 2 합계 수가 제 2 임계값 이상이라고 판단된 경우에만 상기 제 2 콘텐츠에 대한 재생이 정상으로 동작하지 않도록 당해 재생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장치.
  26. 제 1 콘텐츠에 대하여 당해 제 1 콘텐츠의 재생시간 축 상에 따라서 복수의 워터마크정보를 매설하는 정보매설장치와, 상기 제 1 콘텐츠의 적어도 일부가 포함된 제 2 콘텐츠에서 상기 제 1 콘텐츠의 부정사용을 검출하는 검출장치로 이루어지는 부정사용방지/검출 시스템으로,
    상기 정보매설장치는,
    시간 축 상에 따라서 재생되는 상기 제 1 콘텐츠를 취득하는 취득수단과,
    상기 복수의 워터마크정보를 각 워터마크정보가 보유하는 값이 상기 재생시간 축 상의 배열 순에 따라서 규칙성을 가지고 변화하는 상태로 생성하는 워터마크정보 생성수단과,
    상기 복수의 워터마크정보 중 2개 이상의 워터마크정보 각각을 상기 재생시간 축 상의 배열 순서를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제 1 콘텐츠에 매설하는 매설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검출장치는,
    상기 제 2 콘텐츠에서 상기 제 1 콘텐츠에 매설된 워터마크정보를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과거에 검출한 1개 이상의 워터마크정보 각각이 보유하는 값과 이번에 검출한 워터마크정보가 보유하는 값이 상기 규칙성과 동일한 규칙성을 만족하는가 여부를 판단하는 제 1 판단수단과,
    상기 제 1 판단수단에서 상기 규칙성을 만족한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과거에 검출한 1개 이상의 워터마크정보와 상기 이번에 검출한 워터마크정보의 합계의 개수를 나타내는 합계 수가 임계값 이상인가 여부를 판단하는 제 2 판단수단과,
    상기 제 2 판단수단에서 상기 합계 수가 임계값 이상이라고 판단된 경우, 상기 제 2 콘텐츠에 대한 재생이 정상으로 동작하지 않도록 당해 재생을 제어하는 재생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매설/검출 시스템.
  27. 제 1 콘텐츠에 대하여 당해 제 1 콘텐츠의 재생시간 축 상에 따라서 복수의 워터마크정보를 매설하는 정보매설장치에 의해 생성된 제 2 콘텐츠가 기록되는 기록매체로,
    상기 정보매설장치는,
    시간 축 상에 따라서 재생되는 제 1 콘텐츠를 취득하는 취득수단과,
    상기 복수의 워터마크정보를 각 워터마크정보가 보유하는 값이 상기 재생시간 축 상의 배열 순에 따라서 규칙성을 가지고 변화하는 상태로 생성하는 워터마크정보 생성수단과,
    상기 복수의 워터마크정보 중 2개 이상의 워터마크정보 각각을 상기 재생시간 축 상의 배열 순서를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제 1 콘텐츠에 매설하여 제 2 콘텐 츠를 생성하는 매설수단과,
    상기 제 2 콘텐츠를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기록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기록매체에는 상기 제 2 콘텐츠가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28. 제 1 콘텐츠에 대하여 당해 제 1 콘텐츠의 재생시간 축 상에 따라서 복수의 워터마크정보를 매설하는 정보매설장치에 의해 생성된 제 2 콘텐츠를 출력하는 출력장치로,
    상기 정보매설장치는,
    시간 축 상에 따라서 재생되는 제 1 콘텐츠를 취득하는 취득수단과,
    상기 복수의 워터마크정보를 각 워터마크정보가 보유하는 값이 상기 재생시간 축 상의 배열 순에 따라서 규칙성을 가지고 변화하는 상태로 생성하는 워터마크정보 생성수단과,
    상기 복수의 워터마크정보 중 2개 이상의 워터마크정보 각각을 상기 재생시간 축 상의 배열 순서를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콘텐츠에 매설하여 제 2 콘텐츠를 생성하는 매설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출력장치는,
    상기 제 2 콘텐츠를 방송하거나 또는 네트워크에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장치.
  29. 콘텐츠에 대하여 상기 콘텐츠의 재생시간 축 상에 따라서 복수의 워터마크정보를 매설하는 정보매설장치에서 이용하는 정보매설방법으로,
    시간 축 상에 따라서 재생되는 콘텐츠를 취득하는 취득스텝과,
    상기 복수의 워터마크정보를 각 워터마크정보가 보유하는 값이 상기 재생시간 축 상의 배열 순에 따라서 규칙성을 가지고 변화하는 상태로 생성하는 워터마크정보 생성스텝과,
    상기 복수의 워터마크정보 중 2개 이상의 워터마크정보 각각을 상기 재생시간 축 상의 배열 순서를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콘텐츠에 매설하는 매설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매설방법.
  30. 콘텐츠에 대하여 상기 콘텐츠의 재생시간 축 상에 따라서 복수의 워터마크정보를 매설하는 정보매설장치에서 이용하는 정보매설 프로그램으로,
    시간 축 상에 따라서 재생되는 콘텐츠를 취득하는 취득스텝과,
    상기 복수의 워터마크정보를 각 워터마크정보가 보유하는 값이 상기 재생시간 축 상의 배열 순에 따라서 규칙성을 가지고 변화하는 상태로 생성하는 워터마크정보생성스텝과,
    상기 복수의 워터마크정보 중 2개 이상의 워터마크정보 각각을 상기 재생시간 축 상의 배열 순서를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콘텐츠에 매설하는 매설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매설 프로그램.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매설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매설 프로그램.
  32. 청구항 1에 기재된 정보매설장치에 의해 생성된 제 1 콘텐츠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제 2 콘텐츠에서 상기 제 1 콘텐츠의 부정사용을 검출하는 검출장치에서 이용되는 검출방법으로,
    상기 제 2 콘텐츠에서 상기 제 1 콘텐츠에 매설된 워터마크정보를 검출하는 검출스텝과,
    과거에 검출한 1개 이상의 워터마크정보 각각이 보유하는 값과 이번에 검출한 워터마크정보가 보유하는 값이 재생시간 축 상의 배열 순에 따른 규칙성을 만족하는가 여부를 판단하는 제 1 판단스텝과,
    상기 제 1 판단수단에서 상기 규칙성을 만족한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과거에 검출한 1개 이상의 워터마크정보와 상기 이번에 검출한 워터마크정보의 합계의 개수를 나타내는 합계 수가 임계값 이상인가 여부를 판단하는 제 2 판단스텝과,
    상기 제 2 판단수단에서 상기 합계 수가 임계값 이상이라고 판단된 경우, 상기 제 2 콘텐츠에 대한 재생이 정상으로 동작하지 않도록 당해 재생을 제어하는 재생제어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방법.
  33. 청구항 1에 기재된 정보매설장치에 의해 생성된 제 1 콘텐츠의 적어도 일부 를 포함하는 제 2 콘텐츠에서 상기 제 1 콘텐츠의 부정사용을 검출하는 검출장치에서 이용되는 검출 프로그램으로,
    상기 제 2 콘텐츠에서 상기 제 1 콘텐츠에 매설된 워터마크정보를 검출하는 검출스텝과,
    과거에 검출한 1개 이상의 워터마크정보 각각이 보유하는 값과 이번에 검출한 워터마크정보가 보유하는 값이 재생시간 축 상의 배열 순에 따른 규칙성을 만족하는가 여부를 판단하는 제 1 판단스텝과,
    상기 제 1 판단수단에서 상기 규칙성을 만족한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과거에 검출한 1개 이상의 워터마크정보와 상기 이번에 검출한 워터마크정보의 합계의 개수를 나타내는 합계 수가 임계값 이상인가 여부를 판단하는 제 2 판단스텝과,
    상기 제 2 판단수단에서 상기 합계 수가 임계값 이상이라고 판단된 경우, 상기 제 2 콘텐츠에 대한 재생이 정상으로 동작하지 않도록 당해 재생을 제어하는 재생제어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 프로그램.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 프로그램.
  35. 콘텐츠에 대하여 상기 콘텐츠의 재생시간 축 상에 따라서 복수의 워터마크정보를 매설하는 정보매설장치의 집적회로로,
    시간 축 상에 따라서 재생되는 콘텐츠를 취득하는 취득수단과,
    상기 복수의 워터마크정보를 각 워터마크정보가 보유하는 값이 상기 재생시간 축 상의 배열 순에 따라서 규칙성을 가지고 변화하는 상태로 생성하는 워터마크정보 생성수단과,
    상기 복수의 워터마크정보 중 2개 이상의 워터마크정보 각각을 상기 재생시간 축 상의 배열 순서를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콘텐츠에 매설하는 매설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회로.
  36. 청구항 1에 기재된 정보매설장치에 의해 생성된 제 1 콘텐츠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제 2 콘텐츠에서 상기 제 1 콘텐츠의 부정사용을 검출하는 검출장치의 집적회로로,
    상기 제 2 콘텐츠에서 상기 제 1 콘텐츠에 매설된 워터마크정보를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과거에 검출한 1개 이상의 워터마크정보 각각이 보유하는 값과 이번에 검출한 워터마크정보가 보유하는 값이 재생시간 축 상의 배열 순에 따른 규칙성을 만족하는가 여부를 판단하는 제 1 판단수단과,
    상기 제 1 판단수단에서 상기 규칙성을 만족한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과거에 검출한 1개 이상의 워터마크정보와 상기 이번에 검출한 워터마크정보의 합계의 개수를 나타내는 합계 수가 임계값 이상인가 여부를 판단하는 제 2 판단수단과,
    상기 제 2 판단수단에서 상기 합계 수가 임계값 이상이라고 판단된 경우, 상 기 제 2 콘텐츠에 대한 재생이 정상으로 동작하지 않도록 당해 재생을 제어하는 재생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회로.
KR1020087030939A 2006-06-19 2007-06-19 정보매설장치 및 검출장치 KR2009002063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1452806P 2006-06-19 2006-06-19
US60/814,528 2006-06-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0632A true KR20090020632A (ko) 2009-02-26

Family

ID=38833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30939A KR20090020632A (ko) 2006-06-19 2007-06-19 정보매설장치 및 검출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369688B2 (ko)
EP (1) EP2040469A4 (ko)
JP (1) JP5097114B2 (ko)
KR (1) KR20090020632A (ko)
CN (1) CN101473644A (ko)
WO (1) WO20071486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44282B2 (en) 1998-05-28 2010-01-05 Verance Corporation Pre-processed information embedding system
US6737957B1 (en) 2000-02-16 2004-05-18 Verance Corporation Remote control signaling using audio watermarks
WO2004036352A2 (en) 2002-10-15 2004-04-29 Verance Corporation Media monitoring, management and information system
US9055239B2 (en) * 2003-10-08 2015-06-09 Verance Corporation Signal continuity assessment using embedded watermarks
US20060239501A1 (en) 2005-04-26 2006-10-26 Verance Corporation Security enhancements of digital watermarks for multi-media content
US7369677B2 (en) 2005-04-26 2008-05-06 Verance Corporation System reactions to the detection of embedded watermarks in a digital host content
US8020004B2 (en) 2005-07-01 2011-09-13 Verance Corporation Forensic marking using a common customization function
US8781967B2 (en) 2005-07-07 2014-07-15 Verance Corporation Watermarking in an encrypted domain
WO2008102565A1 (ja) * 2007-02-23 2008-08-28 Panasonic Corporation 著作権保護データ処理システム、及び再生装置
US8259938B2 (en) 2008-06-24 2012-09-04 Verance Corporation Efficient and secure forensic marking in compressed
US20110080960A1 (en) * 2008-06-27 2011-04-07 Donald Henry Willis Method and system for efficient transmission of anti-camcorder video
US8365279B2 (en) * 2008-10-31 2013-01-29 Sandisk Technologies Inc. Storage device and method for dynamic content tracing
US8429365B2 (en) * 2009-06-26 2013-04-23 Sandisk Technologies Inc.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embedding host-identification information into content
JP5021061B2 (ja) * 2009-12-08 2012-09-05 株式会社 資生堂 非可視化情報埋込装置、非可視化情報認識装置、非可視化情報埋込方法、非可視化情報認識方法、非可視化情報埋込プログラム、及び非可視化情報認識プログラム
US8838978B2 (en) 2010-09-16 2014-09-16 Verance Corporation Content access management using extracted watermark information
CN102456375B (zh) * 2010-10-28 2015-01-21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音频设备及音频信号的标识信息加载方法
US20120197648A1 (en) * 2011-01-27 2012-08-02 David Moloney Audio annotation
US8533481B2 (en) 2011-11-03 2013-09-10 Verance Corporation Extraction of embedded watermarks from a host content based on extrapolation techniques
US8923548B2 (en) 2011-11-03 2014-12-30 Verance Corporation Extraction of embedded watermarks from a host content using a plurality of tentative watermarks
US8615104B2 (en) 2011-11-03 2013-12-24 Verance Corporation Watermark extraction based on tentative watermarks
US8682026B2 (en) 2011-11-03 2014-03-25 Verance Corporation Efficient extraction of embedded watermarks in the presence of host content distortions
US8745403B2 (en) 2011-11-23 2014-06-03 Verance Corporation Enhanced content management based on watermark extraction records
US9323902B2 (en) 2011-12-13 2016-04-26 Verance Corporation Conditional access using embedded watermarks
US9547753B2 (en) 2011-12-13 2017-01-17 Verance Corporation Coordinated watermarking
CN103177413B (zh) * 2011-12-20 2016-04-13 深圳市腾讯计算机系统有限公司 局部化盲水印生成、检测的方法及装置
US9571606B2 (en) 2012-08-31 2017-02-14 Verance Corporation Social media viewing system
US20140075469A1 (en) 2012-09-13 2014-03-13 Verance Corporation Content distribution including advertisements
US8869222B2 (en) 2012-09-13 2014-10-21 Verance Corporation Second screen content
US8726304B2 (en) 2012-09-13 2014-05-13 Verance Corporation Time varying evaluation of multimedia content
US9262794B2 (en) 2013-03-14 2016-02-16 Verance Corporation Transactional video marking system
US9245310B2 (en) * 2013-03-15 2016-01-26 Qumu Corporation Content watermarking
US9251549B2 (en) 2013-07-23 2016-02-02 Verance Corporation Watermark extractor enhancements based on payload ranking
US9208334B2 (en) 2013-10-25 2015-12-08 Verance Corporation Content management using multiple abstraction layers
CN103763578A (zh) * 2014-01-10 2014-04-30 北京酷云互动科技有限公司 一种节目关联信息推送方法和装置
WO2015108087A1 (ja) * 2014-01-15 2015-07-23 学校法人工学院大学 ノイズ付加装置及びノイズ付加方法
US9596521B2 (en) 2014-03-13 2017-03-14 Verance Corporation Interactive content acquisition using embedded codes
US10531148B2 (en) 2017-06-30 2020-01-07 The Nielsen Company (Us), Llc Methods and apparatus to detect audio engineering problems using identification of isolated watermarks
CN111382398B (zh) * 2018-12-27 2023-11-14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信息处理、隐藏信息解析和嵌入的方法、装置及设备
US11537690B2 (en) * 2019-05-07 2022-12-27 The Nielsen Company (Us), Llc End-point media watermarking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79345A (en) * 1993-01-29 1995-01-03 Radio Audit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processing of encoded data in conjunction with an audio broadcast
US6516079B1 (en) * 2000-02-14 2003-02-04 Digimarc Corporation Digital watermark screening and detecting strategies
US7362775B1 (en) * 1996-07-02 2008-04-22 Wistaria Trading, Inc. Exchange mechanisms for digital information packages with bandwidth securitization, multichannel digital watermarks, and key management
US5943422A (en) 1996-08-12 1999-08-24 Intertrust Technologies Corp. Steganographic techniques for securely delivering electronic digital rights management control information over insecure communication channels
US7224819B2 (en) * 1995-05-08 2007-05-29 Digimarc Corporation Integrating digital watermarks in multimedia content
DE69636084T2 (de) 1995-09-28 2006-09-14 Nec Corp.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infügen eines Spreizspektrumwasserzeichens in Multimediadaten
US5859920A (en) 1995-11-30 1999-01-12 Eastman Kodak Company Method for embedding digital information in an image
SK59899A3 (en) * 1997-09-02 1999-11-08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Watermaking an information signal
US6208735B1 (en) 1997-09-10 2001-03-27 Nec Research Institute, Inc. Secure spread spectrum watermarking for multimedia data
EP2219152B1 (en) * 1999-01-25 2018-07-04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 Digital watermark embedding and detecting method
US6865747B1 (en) * 1999-04-01 2005-03-08 Digital Video Express, L.P. High definition media storage structure and playback mechanism
US7346776B2 (en) * 2000-09-11 2008-03-18 Digimarc Corporation Authenticating media signals by adjusting frequency characteristics to reference values
US8055899B2 (en) 2000-12-18 2011-11-08 Digimarc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using digital watermarking and identifier extraction to provide promotional opportunities
JP2002238037A (ja) * 2001-02-13 2002-08-23 Pioneer Electronic Corp 電子透かし埋め込み方法、電子透かし埋め込み装置および電子透かしを有する記録媒体
JP2002271756A (ja) * 2001-03-08 2002-09-20 Sony Corp データ処理装置、およびデータ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7024018B2 (en) * 2001-05-11 2006-04-04 Verance Corporation Watermark position modulation
JP4934923B2 (ja) * 2001-08-09 2012-05-23 ソニー株式会社 情報記録装置、情報再生装置、および情報記録方法、情報再生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7392394B2 (en) * 2001-12-13 2008-06-24 Digimarc Corporation Digital watermarking with variable orientation and protocols
JP2003259314A (ja) * 2002-02-26 2003-09-12 Nippon Hoso Kyokai <Nhk> 映像音声同期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US20040091111A1 (en) * 2002-07-16 2004-05-13 Levy Kenneth L. Digital watermarking and fingerprinting applications
US7636440B2 (en) * 2003-01-31 2009-12-2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igital watermark with variable location
KR100492743B1 (ko) 2003-04-08 2005-06-10 주식회사 마크애니 신호의 특성값의 양자화에 의한 워터마크 삽입 및 검출방법
KR20050119692A (ko) * 2003-04-11 2005-12-21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워터마크들을 검출하는 방법
US20040243820A1 (en) * 2003-05-14 2004-12-02 Kenichi Noridomi Information-embedding apparatus and method, tampering-detecting apparatus and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7369677B2 (en) * 2005-04-26 2008-05-06 Verance Corporation System reactions to the detection of embedded watermarks in a digital host content
EP1695184A4 (en) * 2003-12-05 2009-04-15 Motion Picture Ass Of America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OF COPY NEVER CONT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148662A1 (ja) 2007-12-27
CN101473644A (zh) 2009-07-01
US20100034513A1 (en) 2010-02-11
JPWO2007148662A1 (ja) 2009-11-19
US8369688B2 (en) 2013-02-05
EP2040469A4 (en) 2009-09-30
EP2040469A1 (en) 2009-03-25
JP5097114B2 (ja) 2012-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20632A (ko) 정보매설장치 및 검출장치
US10970803B2 (en) Fingerprinting of data
US6301663B1 (en) Copy protection apparatus and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used in this copy protection apparatus
US7225340B2 (en) Digital copying method and storage device for digital content
US20020106192A1 (en) Contents data, recording medium, recording method and device, reproducing method and device
CN1313599A (zh) 加密信息信号、信息记录介质、信息信号再生及记录装置
JP3868643B2 (ja) デジタル情報複製制限方法、デジタル情報複製制限装置およびデジタル情報記録装置
KR20000035263A (ko) 부가 정보 전송 방법, 부가 정보 전송 시스템, 정보 신호출력 장치, 정보 신호 처리 장치, 정보 신호 기록 장치 및정보 신호 기록 매체
US8171294B2 (en) Additional-information detec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content playback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20060156003A1 (en) Watermarking digital data at a user device
WO2004019336A1 (en) Watermarking digital data at a user device
KR100746018B1 (ko) 디지털 저작권 관리를 위한 신호 프로세싱 방법들, 디바이스들, 및 응용들
JP2007520918A (ja) ビットストリームを符号化又は復号化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RU2427905C2 (ru) Возобновляемый водяной знак для аудиовизуальной информации
EP091562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unauthorized copy of data recorded on recording medium
JP3672143B2 (ja) 電子すかし作成方法
JP2001014796A (ja) 再生装置および復号装置
KR100279523B1 (ko) 카피 방지 장치 및 이러한 카피 방지 장치에 사용되는 정보 기록 매체
JPH064026A (ja) 許可情報記述方法およびコピーガード付きデータ生成装置
Jin et al. Attacks and forensic analysis for multimedia content protection
JP2003348318A (ja) 電子透かし埋め込み装置、電子透かし埋め込み方法および記録媒体の製造方法
JP2004252050A (ja) ディジタルオーディオデータ作成者認証装置、再生装置および記録媒体
CA2724139A1 (en) Method and system for identifying a source of media
WO2001086653A1 (fr) Dispositif de protection de donnees numeriques contre la copie, procede de protection contre la copie, et support enregistre sur lequel sont enregistrees des donnees soumises a une protection contre la copi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