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3030A - 이동통신의 메시징 서비스에 있어서, 주소록 관리방법 및그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의 메시징 서비스에 있어서, 주소록 관리방법 및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3030A
KR20090013030A KR1020080064551A KR20080064551A KR20090013030A KR 20090013030 A KR20090013030 A KR 20090013030A KR 1020080064551 A KR1020080064551 A KR 1020080064551A KR 20080064551 A KR20080064551 A KR 20080064551A KR 20090013030 A KR20090013030 A KR 200900130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dress book
server
terminal
common
individ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4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메인 마송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90013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3030A/ko

Links

Images

Abstract

본 발명은 IMS 네트워크에서의 IP 기반의 메시징 서비스에 있어서, 주소록(address book)을 관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본 발명은 가입자가 보유한 다수의 계정들에 기초하여 주소록을 관리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주소록의 종류를 '공통 주소록(common address book)' 및 '개별 주소록(individual address book)'으로 구별하여 관리하고, 그 주소록에 따라 단말의 로컬 주소록과 서버의 통합 주소록 간의 동기를 맞춤으로써, IP 기반의 통합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한다.
메시징 서비스, 주소록 관리, IMS, CPM

Description

이동통신의 메시징 서비스에 있어서, 주소록 관리방법 및 그 장치{METHOD FOR MANAGING ADDRESS BOOK AND DEVICE THEREOF}
본 발명은 이동통신의 메시지 서비스에서의 주소록(또는 연락처) 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동통신단말과 서버(일명, CPM 서버) 간의 주소록 관리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시스템은 사용자에게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메시징 서비스가 그 일례에 속한다. 메시징 서비스는 이동통신 단말에게 다양한 형태의 문자(TEXT), 영상(IMAGE), 동영상(VEDIO), 사진(PICTURE)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며, 메시징 서비스의 종류는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 SMS(Short Message Service), PoC(Push to talk Over Cellular), IM(Instant Messaging) 등 그 유형이 다양하다. 그런데, 이러한 서비스의 종류는 서로 다른 네트워크 기반에서 제공되고 있다. 따라서, 메시징 서비스의 종류에 하나의 단말로 모든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없고, 각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각 단말을 사용하여야 하는 기술적 한계가 있다.
CPM(Converged IP Messaging)은 IMS 핵심망을 기반으로 IP 기반의 통합 메시 징 서비스를 제공한다. 특히, CPM은 한명의 가입자가 다수의 계정(accounts) 또는 주소(addresses)를 소유할 수가 있다. 따라서, 가입자는 한개의 단말로 동시에 다수의 계정으로 서버에 등록(또는 접속)을 하여, 그 접속한 계정에 해당하는 메시징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은 IP 기반의 통합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가입자의 단말(보다 구체적으로, 단말에 장착되는 가입자의 ISIM 카드[일종의 IMS 스마트 카드])에 저장된 주소록(address book)과 통합 메시징 서비스를 제어하는 서버(일명, CPM 서버)에 저장된 주소록(address book) 간에 동기가 맞추어져야 한다.
또한, 이와 같은 동기를 통하여, IP 기반의 통합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단말의 주소록과 서버의 주소록을 관리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IP 기반의 메시징 서비를 제공받기 위하여 단말의 주소록과 서버의 주소록을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단말의 주소록과 서버의 주소록이 일치하도록 실시간 또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동기를 맞춘다.
또한, 본 발명은 가입자가 보유한 다수의 계정들에 기초하여 주소록을 관리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은 주소록의 종류를 '공통 주소록(common address book)' 및 '개별 주소록(individual address book)'으로 구별하여 관리하고, 그 주소록에 따라 단말의 주소록과 서버의 주소록 간의 동기를 맞춤으로써, IP 기반의 통합 메시징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입자가 다수의 계정(또는 주소, 예를 들어 SIP URI)을 가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가입자의 취향에 따라 개인용 주소와 사업용 주소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입자가 한개의 단말(장치)로 어느 특정 주소 또는 모든 주소에 등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말에 저장된 주소록의 구성 형태를 변경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공통 주소록에서 개인 주소록으로 또는 그 반대로 변경할 수 있고, 단말의 주소록의 구성 형태가 변경되면 단말과 서버의 동기를 통하여 서버의 주소록 도 단말의 주소록의 구성형태와 같이 변경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주소록 관리방법은,
단말의 로컬 주소록에 하나 이상의 개별 주소록 및/또는 하나 이상의 공통 주소록을 만드는 단계와;
상기 로컬 주소록의 상기 개별 주소록 및/또는 공통 주소록에 변경된 사항이 있는 경우, 서버의 통합 주소록에 전송하여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말의 로컬 주소록은 다수의 계정들을 갖고 있고,
상기 다수의 계정들 중 각 계정이 상기 개별 주소록 및 상기 공통 주소록에 할당되고,
상기 각 계정은 상기 서버의 통합 주소록에 대응하는 개별 주소록 및/또는 공통 주소록에 싱크할 때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로컬 주소록에서 상기 개별 주소록이 공통 주소록으로 변경되거나, 또는 상기 공통 주소록이 개별 주소록으로 변경되는 단계와;
상기 서버의 통합 주소록을 업데이트하기 위해, 상기 로컬 주소록에서 상기 변경된 것을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은,
로컬 주소록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로컬 주소록에 하나 이상의 개별 주소록 및/또는 공통 주소록을 형성하고, 상기 개별 주소록 또는 공통 주소록에 계정을 할당하는 처리부와;
상기 로컬 주소록의 상기 개별 주소록 및/또는 상기 공통 주소록에 변경 사항이 있는 경우, 서버의 통합 주소록에 업데이트를 위해 상기 변경 사항을 전송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처리부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개별 주소록을 공통 주소록으로 또는 그 반대로 변경시키고,
상기 로컬 주소록의 상기 개별 주소록 및/또는 상기 공통 주소록의 변경 사항을 상기 서버의 통합 주소록에 업데이트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단말의 주소록과 서버의 주소록을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함으로써, IP 기반의 통합 메시징 서비스를 보다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IMS 네트워크에서 IP 기반의 메시징 서비스를 이용하는 통신 시스템에 적용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모든 유무선 통신 시스템의 메시징 서비스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복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경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거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단말의 사용자(즉, 가입자)는 다수의 계정(또는 주소)들을 보유할 수 있다. 여기서, 계정(accounts)이란 예를 들어 IP 기반의 주소이다. 즉, 계정은 MMS 주소, PoC 주소, IM 서비스를 위한 주소, SMS를 위한 주소, E-MAIL을 위한 주소 등 기타 메시징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IP 기반의 주소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주소는 연락처라 칭할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IP 기반의 주소로서 전화 번호, 여러 종류의 메시징 서비스 용도의 주소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은 IMS 네트워크에서 CPM의 IP 기반 메시징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모든 장치를 통칭하는 포괄적 의미의 장치를 말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은 CPM 서비스 관련 작업을 수행하는 물리적 또는 논리적 엔티티인 CPM 클라이언트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가입자란 IMS 서비스에 가입하여 메시징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자로서, 단말을 사용하는 사용자를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가입자'와 '사용자'를 동일의미로서 혼용하여 기재하기로 한다.
CPM 주소들(또는 계정들)은 개인 계정(일명, Private User Identity)을 가진 각 IMS 가입자에게 다수의 퍼브릭 계정들(일명, public identities)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개의 개인 계정을 가진 가입자는 3개의 퍼브릭 계정을 가질 수 있다. 도 1은 한개의 개인 계정을 가진 가입자가 3개의 퍼브릭 계정을 갖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경우, 가입자는 개인 계정을 통하여 CPM 서버에 접속하고, 3개의 퍼브릭 계정을 등록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단말과 CPM 서버 간의 계정의 등록에 대한 사항은 OMA CPM 관련 워킹그룹의 표준문서에 기재되어 있는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은 다수의 계정들(예를 들어, 다수의 퍼브릭 계정들)을 보유한 가입자가 각 계정 별로 주소록을 관리할 것인지, 또는 통합하여 관리할 것인지에 대한 다양한 주소록을 관리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예시적인 실시 예를 통하여 단말과 서버 간의 다양한 주소록의 관리 방법을 제안한다.
이하,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로컬 단말과 네트워크의 서버 간에 주소록(address book)을 통합관리하기 위하여 주소록이 서로 동기를 맞추는 방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의 주소록 또는 서버의 주소록이 변경되면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로 주소록이 싱크(syncronisation)되어 가입자(user)의 주소록 이 통합 관리된다. 이와 같이 통합하여 관리되는 주소록을 일명 '통합 주소록(converged address book)'이라 할 수 있다. 이때, '통합 주소록'은 서버에 있는 주소록을 지칭하고, '로컬 주소록'은 단말에 있는 주소록을 지칭한다.
도 2와 같은 주소록을 단말에 가지고 있는 사용자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계정(예를 들어, 퍼프릭 계정) 별로 '개별 주소록(distinct address book 또는 individual address book)'을 보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는 자신의 계정들 모두 또는 일부에 대한 '공통 주소록(common address book)'을 보유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사용자가 단말에 2개의 계정을 가지고 각 계정에 개별 주소록을 가지고 있는 경우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2개의 퍼브릭 계정, account A와 account B를 보유하고 있다.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에 각 계정 별로 개별 주소록을 설정하여 주소록을 관리하고 있다. 즉, account A에 해당하는 주소록 A는 가족 및 친구들의 연락처(또는 주소)을 포함하고 있고, account B에 해당하는 주소록 B는 직장 동료들의 연락처을 포함하고 있다. 즉, 도 3에서 사용자는 가족 및 친구의 연락처와 직장 동료들의 연락처를 분리하여 주소록을 관리하고 있다. 만약 사용자가 주소록 A에 있는 특정 가족의 연락처를 '통합 주소록'에서 관리하려면, account A를 이용하여 서버에 등록 및 접속을 하여야 할 것이다. 반대로 사용자가 주소록 B에 있는 직장 동료의 연락처를 '통합 주소록'에서 관리하려면, account B를 이용하여 서버에 등록 및 접속을 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사용자는 각 계정으로 서버에 접속하여 각 계정에 해당하는 서버의 통합 주소록에 있는 개별 주소록을 관리(예를 들어, 수정, 추가, 삭제 등)를 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의 통합 주소록과 단말의 로컬 주소록에 있는 각각의 개별 주소록이 서로 다른 경우에는, 단말과 서버 간의 싱크(synchonization)을 통하여 단말과 서버의 주소록을 일치시킨다. 여기서, 싱크의 동작은 여러 가지 일 수 있는데, OMA datasync에 관한 표준문서에 기재된 것을 원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단말과 서버 간의 데이터 싱크에 관한 내용은, 설명의 간결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도 3의 실시 예에서 주소록 A와 주소록 B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계정 별로 저장 및 관리되는 주소록 A와 주소록 B를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의 특정 탭을 통하여 주소록 표시가 전환되게 할 수 있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사용자가 2개의 계정을 가지고 있고, 공통 주소록을 가지고 있는 경우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4의 개별 주소록과 달리, 도 5의 공통 주소록은 주소록 A 및 주소록B 구별없이 가족, 친구, 직장동료의 각 연락처를 포함하고 있는 한개의 주소록이다. 도 6은 도 5의 공통 주소록을 유저 인터페이스 상에 도시한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자신이 보유한 계정, account A 또는 account B를 통하여 서버의 통합 주소록에 접속(등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어느 한개의 계정으로 서버에 접속하여 서버의 통합 주소록에 있는 공통 주소록을 관리(예를 들어, 수정, 추가, 삭제 등)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단말의 로컬 주소록에 저장된 공통 주소록에 연락처를 추가, 수정, 삭제 등을 함으로써, 공통 주소록을 관리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의 통합 주소록과 단말의 로컬 주소록에 있는 각각의 공통 주소록이 서로 다른 경우에는, 단말과 서버 간의 싱크(synchonization)을 통하여 단말과 서버의 주소록을 일치시킨다. 여기서, 싱크의 동작은 여러 가지 일 수 있는데, OMA datasync에 관한 표준문서에 기재된 것을 원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단말과 서버 간의 데이터 싱크에 관한 내용은, 설명의 간결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사용자가 3개의 계정을 가지고 있고, 그 계정에 따라 개별 주소록 또는 공통 주소록을 구성한 도면이다.
도 7에서, 사용자는 3개의 계정을 가지고 있고, 각 계정에 '개별 주소록' 또는 '공통 주소록'을 구성할 수 있다.
첫째, 만약 사용자가 3개의 계정에 해당하는 주소록을 설정하여 관리할 수 있다. 즉, 3개의 각 계정에 해당하는 주소록으로, 주소록 A(가족 연락처), 주소록 B(친구 연락처), 주소록 C(직장동료 연락처)를 구성하여 각 주소록을 자신의 취향에 따라 별개로 관리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address A'를 관리(예를 들어, 수정)하고 싶다면, 주소록 A 에 해당하는 계정을 통하여 서버에 접속하여 관리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단말의 로컬 주소록에서 'address A'를 수정하였다면, 서버에 있는 통합 주소록과 링크(즉, 동기)가 되어 그 통합 주소록에 있는 주소록 A의 'address A'가 동일하게 수정될 것이다. 이와 같이, 3개의 개별 주소록은 각각 의 계정이 할당되어 있고, 그 할당된 계정을 통하여 서버에 접속하여, 그 계정에 해당하는 개별 주소록을 서버에서 관리할 있다. 한편, 사용자는 3개의 각 계정을 사용하여 주소록 A, 주소록 B, 주소록 C에 동시에 접속하여 각 주소록을 관리할 수도 있다.
둘째, 만약 사용자가 3개의 계정을 가지고 있지만, 한개의 공통 주소록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사용자는 3개의 계정 중 어느 한개의 계정으로 서버에 접속하여 공통 주소록을 관리(예를 들어, 수정, 삭제, 추가 등)할 수 있다. 이때, 서버의 통합 주소록에 해당하는 공통 주소록 중 특정 연락처가 수정된다면, 싱크 동작을 통하여 단말의 로컬 주소록에 해당하는 공통 주소록이 업데이트될 것이다. 반대의 경우도 동일하다.
공통 주소록의 경우, 3개의 계정 중 어느 계정을 통하여 접속하더라도 그 계정에 해당하는 주소록은 모든 연락처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입장에서 보면 마치 한개의 주소록을 가지고 있는 것과 같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개별 주소록과 공통 주소록이 결합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서, 사용자는 3개의 계정을 가지고 있고, 주소록 A(가족 연락처)와 주소록 B(친구 연락처)는 공통 주소록에 해당하고, 주소록 C(직장동료 연락처)는 개별 주소록에 해당한다. 따라서, 사용자 입장에서는 주소록 A와 주소록 B는 한개의 공통 주소록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주소록 A에 해당하는 계정 또는 주소록 B에 해당하는 계정을 통하여 서버의 통합 주소록에 접속하여 공통 주소록을 관리할 수 있 다. 그러나, 사용자가 주소록 C에 해당하는 직장동료 연락처를 관리하고 싶다면, 주소록 C에 해당하는 계정을 통하여 서버의 통합 주소록에 접속한 후 직장동료의 연락처를 관리할 수 있다. 한편, 단말과 서버 간의 데이터 싱크에 관한 것은 상술한 바와 같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주소록의 구성을 변환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가 주소록의 구성을, 개별 주소록에서 공통 주소록으로 또는 그 반대로 변경하고 싶다면, 사용자는 단말의 로컬 주소록의 접속 및 관리 권한을 변경하여야 한다. 그리고, 로컬 주소록의 구성이 변경되면, 단말과 서버가 싱크되어 서버의 통합 주소록이 단말의 로컬 주소록의 구성과 같이 업데이트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사용자가 로컬 주소록이 개별 주소록(즉, 주소록 A 및 주소록 B)의 구성에서 공통 주소록의 구성으로 변경한다. 이와 같이 로컬 주소록에서 개별 주소록이 공통 주소록으로 변경되면, 실시간 또는 특정 시간 후에 단말과 서버가 싱크를 위한 신호를 주고 받아서 서버의 통합 주소록을 업데이트한다. 즉, 서버의 통합 주소록이, 단말의 로컬 주소록과 같이, 개별 주소록의 구성에서 공통 주소록의 형태로 변경된다. 단말에서 로컬 주소록이 개별 주소록에서 공통 주소록으로 변경되면, 개별 주소록(즉, 도 9에서 주소록 A 및 주소록 B)의 연락처들(즉, Address A 및 Address B)이 서로 간에 복사가 되고, 서버에서도 통합 주소록이 개별 주소록에서 공통 주소록으로 변경이 되어 개별 주소록의 연락처들이 공통 주소록에 서로 복사가 된다. 이후, 단말의 로컬 주소록에서 특정 공통 주소 록(예를 들어, 로컬 주소록의 주소록 A)에 연락처가 변경(즉, 추가, 삭제, 수정 등)이 있으면, 단말과 서버 간의 싱크를 통하여 서버의 통합 주소록의 공통 주소록(즉, 로컬 주소록의 대응하는 통합 주소록의 주소록 A)에도 변경된다.
이하, 본 발명에서 개별 주소록을 관리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사용자의 주소록은 각 계정 별로 독립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특정 연락처를 추가, 삭제, 또는 수정할 때, 특정 계정에 해당하는 주소록에 상기 특정 연락처를 추가, 삭제, 또는 수정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서 공통 주소록을 관리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9의 예를 들면, 로컬 주소록의 '주소록 A' 및 '주소록 B'는 주소록의 성격이 개별 주소록에서 공통 주소록으로 변경된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만약 사용자가 특정 연락처(예를 들어 도 9에서 address B)를 추가하려는 경우, 사용자가 현재 서버에 등록한 계정이 있다면, 그 사용하고 있는 계정에 해당하는 주소록(예를 들어, 도 9에서 주소록 A)에 상기 특정 연락처(즉, address B)를 추가한다. 그러면, 로컬 주소록에서 다른 공통 주소록(즉, 도 9에서 주소록 B)에도 상기 특정 연락처가 저장된다. 그리고, 단말과 서버 간의 싱크를 통하여 서버의 해당 공통 주소록에도 상기 특정 연락처가 추가된다. 또한, 특정 연락처가 추가 이외, 삭제 및 수정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의 구성 및 기능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은, 장치(device)라고도 통용될 수 있으며, 도 2 내지 도 9의 실시 예들을 구현할 수 있는 모든 단말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단 말, 즉 장치는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예를 들면, 사용자 장치(UE), 휴대폰, 셀룰라폰, DMB폰, DVB-H폰, PDA 폰, 그리고 PTT폰 등등)와, 디지털 TV와, GPS 네비게이션와, 휴대용게임기와, MP3와 그외 가전 제품 등등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의미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의 구성 및 기능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은 도 2 내지 도 9의 실시 예를 구현하는 소프트웨어 또는 그 소프트웨어가 장착된 모듈을 포함한다. 이러한 모듈은, 단말의 일 구성요소로서, 처리부 또는 제어부라고 칭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은,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실행하기 필요한 필수적인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단말은, 로컬 주소록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로컬 주소록에 하나 이상의 개별 주소록 및/또는 공통 주소록을 형성하고, 상기 개별 주소록 또는 공통 주소록에 계정을 할당하는 처리부와;
상기 로컬 주소록의 상기 개별 주소록 및/또는 상기 공통 주소록에 변경 사항이 있는 경우, 서버의 통합 주소록에 변경을 위해 상기 변경 사항을 전송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처리부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상기 로컬 주소록이 하나 이상의 개별 주소록, 또는 하나 이상의 공통 주소록, 또는 다수의 개별 주소록 및 다수의 공통 주소록을 포함하도록 처리한다.
상기 처리부는 상기 개별 주소록을 공통 주소록으로 또는 그 반대로 변경 시 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처리부는 상기 로컬 주소록의 상기 개별 주소록 및/또는 상기 공통 주소록의 변경 사항을 상기 서버의 통합 주소록에 업데이트하도록 처리한다.
그 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은 상기 로컬 주소록의 상기 개별 주소록 및/또는 상기 공통 주소록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와,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와; 입력장치로서 키패드 및 마이크와; 단말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등과 같이 단말의 기본적인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또는 그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모듈)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요소들의 각 기능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바, 이를 생략한다.
여기까지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저장 매체(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 내부 메모리, 플래쉬 메모리, 하드 디스크, 기타 등등)에 저장될 수 있고, 프로세서(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 내부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내에 코드들 또는 명령어들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단말의 로컬 주소록을 관리(예를 들어, 특정 연락처의 수정, 삭제, 추가 등)하고, 서버와 싱크를 통하여 서버의 통합 주소록이 업데이트되는 것을 설명하였지만, 사용자가 특정 엔티티(다른 단말)로 서버에 접속하여 서버의 통합 주소록을 관리하고, 서버와 단말의 싱크를 통하여 단말의 로컬 주소록이 업데이트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이 그대로 적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한개의 개인 계정을 가진 가입자가 3개의 퍼브릭 계정을 갖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로컬 단말과 네트워크의 서버 간에 주소록(address book)을 통합관리하기 위하여 주소록이 서로 동기를 맞추는 방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사용자가 2개의 계정을 가지고 각 계정에 개별 주소록을 가지고 있는 경우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도 3의 실시 예에서 주소록 A와 주소록 B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사용자가 2개의 계정을 가지고 있고, 공통 주소록을 가지고 있는 경우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도 5의 실시 예에서 공통 주소록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사용자가 3개의 계정을 가지고 있고, 그 계정에 따라 개별 주소록 또는 공통 주소록을 구성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개별 주소록과 공통 주소록이 결합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주소록의 구성을 변환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Claims (5)

  1. 단말의 로컬 주소록에 하나 이상의 개별 주소록 및/또는 하나 이상의 공통 주소록을 만드는 단계와;
    상기 로컬 주소록의 상기 개별 주소록 및/또는 공통 주소록에 변경된 사항이 있는 경우, 서버의 통합 주소록에 전송하여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록 관리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로컬 주소록은 다수의 계정들을 갖고 있고,
    상기 다수의 계정들 중 각 계정이 상기 개별 주소록 및 상기 공통 주소록에 할당되고,
    상기 각 계정은 상기 서버의 통합 주소록에 대응하는 개별 주소록 및/또는 공통 주소록에 싱크할 때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록 관리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주소록에서 상기 개별 주소록이 공통 주소록으로 변경되거나, 또는 상기 공통 주소록이 개별 주소록으로 변경되는 단계와;
    상기 서버의 통합 주소록을 업데이트하기 위해, 상기 로컬 주소록에서 상기 변경된 것을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소록 관리방법.
  4. 로컬 주소록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로컬 주소록에 하나 이상의 개별 주소록 및/또는 공통 주소록을 형성하고, 상기 개별 주소록 또는 공통 주소록에 계정을 할당하는 처리부와;
    상기 로컬 주소록의 상기 개별 주소록 및/또는 상기 공통 주소록에 변경 사항이 있는 경우, 서버의 통합 주소록에 업데이트를 위해 상기 변경 사항을 전송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단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개별 주소록을 공통 주소록으로 또는 그 반대로 변경시키고,
    상기 로컬 주소록의 상기 개별 주소록 및/또는 상기 공통 주소록의 변경 사항을 상기 서버의 통합 주소록에 업데이트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단말.
KR1020080064551A 2007-07-30 2008-07-03 이동통신의 메시징 서비스에 있어서, 주소록 관리방법 및그 장치 KR2009001303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76583 2007-07-30
KR1020070076583 2007-07-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3030A true KR20090013030A (ko) 2009-02-04

Family

ID=40683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4551A KR20090013030A (ko) 2007-07-30 2008-07-03 이동통신의 메시징 서비스에 있어서, 주소록 관리방법 및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1303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4119B1 (ko) * 2009-06-09 2009-10-29 주식회사 스마트카드연구소 Scws 멀티미디어 주소록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
WO2014010969A1 (ko) * 2012-07-11 2014-01-16 삼성전자 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개인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4119B1 (ko) * 2009-06-09 2009-10-29 주식회사 스마트카드연구소 Scws 멀티미디어 주소록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
WO2014010969A1 (ko) * 2012-07-11 2014-01-16 삼성전자 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개인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0729B1 (ko) 단말기에 물리적으로 근접한 디바이스들의 목록을 생성하는시스템 및 방법
KR101292506B1 (ko) 통신중인 사용자와 관련된 역할을 식별하고 전달하는 방법
US10924531B2 (en) Sophisticated automated relationship alerter
KR101089596B1 (ko) 콘텐트를 공유하기 위한 방법, 장치, 네트워크 개체,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생성물
US7912451B2 (en) Limiting use of electronic equipment features based on location
US20100015976A1 (en)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rights-enabled mobile profiles
US20100015975A1 (en) Profile service for sharing rights-enabled mobile profiles
CN109076007B (zh) 异步消息传递系统中单个账号的配置文件管理方法及系统
US20130254295A1 (en) Social network service apparatus and service method thereof
KR20130018414A (ko) 업데이트가능 전자 명함들을 가능하게 하는 통합 주소록
BRPI0502439B1 (pt) Método e servidor para criação e gerenciamento de um grupo de estações móveis para uma sessão de comunicação em uma rede de comunicações, e estação móvel, sistema detelecomunicações e meio que pode ser lido em máquina correlatos
EP2504978B1 (en) Method and network node for uploading media content from a user device to at least one network entity
WO2012109826A1 (zh) 一种社交网络的实现方法及系统
CN102823228A (zh) 使用用户终端进行通信
US20180183927A9 (en) Unwanted caller and message sender identification for restricted communication devices
US9107192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EP2074771B1 (en) Management of access to address data
US824421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using a plurality of identities
KR20150020440A (ko) 사용자 그룹에 음원 스트리밍을 제공하는 서버 및 방법, 그리고 디바이스
CN101686230B (zh) 一种电话本的实现方法,系统和地址服务器
US8437746B1 (en) Contact information rights management
EP2770757A1 (en) Method and terminal for information processing based on rcs-e system
KR20090013030A (ko) 이동통신의 메시징 서비스에 있어서, 주소록 관리방법 및그 장치
US20160373534A1 (en) User network system with selective user facet connections
US20170031582A1 (en) Multi-Functional Information Sharing Platfor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