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8850A -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플로우 처리 장치 및방법 - Google Patents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플로우 처리 장치 및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8850A
KR20090008850A KR1020070072148A KR20070072148A KR20090008850A KR 20090008850 A KR20090008850 A KR 20090008850A KR 1020070072148 A KR1020070072148 A KR 1020070072148A KR 20070072148 A KR20070072148 A KR 20070072148A KR 20090008850 A KR20090008850 A KR 200900088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flow
service
message
processing
processing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2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백
이한경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72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8850A/ko
Priority to US12/170,048 priority patent/US20090022054A1/en
Priority to EP08160416A priority patent/EP2026626A1/en
Priority to JP2008184832A priority patent/JP2009027712A/ja
Priority to CNA200810171479XA priority patent/CN101370295A/zh
Publication of KR20090008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88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10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6Optimizing the usage of the radio link, e.g. header compression, information sizing, discarding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무선접속 노드 장치는, 다수의 서비스 플로우(SF : Service Flow)들에 대해 동일한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다수의 서비스 플로우 식별자들을 포함하는 처리 메시지를 생성하는 생성기와, 상기 생성기에서 생성된 처리 메시지를 상대 노드로 송신하는 통신기를 포함하여, 하나의 서비스 플로우 처리 절차를 통해 다수의 서비스 플로우들을 추가(addition), 변경(change), 삭제(deletion)함으로써, 무선 자원의 효율성 및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서비스 플로우(SF : Service Flow), MBS(Multicast and Broadcast Service)

Description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플로우 처리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EMENT SERVICE FLOW IN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플로우(service flow)를 추가(addition), 변경(change), 삭제(deletion)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세대 통신 시스템인 4세대(4th Generation, 이하 '4G'라 칭함) 통신 시스템에서는 약 100Mbps의 전송 속도를 이용하여 다양한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 이하 'QoS' 칭함)을 가지는 서비스들을 사용자들에게 제공하기 위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현재 4G 통신 시스템에서는 무선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 및 무선 도시 지역 네트워크 시스템과 같은 광대역 무선 접속(BWA : Broadband Wireless Access) 통신 시스템에 이동성과 QoS을 보장하는 형태로 고속 서비스를 지원하도록 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또한, 그 대표적인 통 신 시스템이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6 통신 시스템이다.
상기 IEEE 802.16 기반의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MAC(Media Access Control)계층의 서비스 플로우(SF : Service Flow)를 추가(addition), 변경(change), 삭제(deletion)을 위해서는, 기지국과 단말과 간 DSA(Dynamic Service Addition) 절차, DSC(Dynamic Service Change) 절차, DSD(Dynamic Service Deletion) 절차가 수행되어야 한다. 상기 DSA 절차, 상기 DSC 절차, 상기 DSD 절차를 총칭하여 DSx 절차라 하는데, 기지국과 단말 하나의 DSx 절차를 통해서 하나의 서비스 플로우를 처리할 수 있다. 상기 DSx 절차를 간단히 설명하면, 상기 DSx 절차는 기지국과 단말 간에 해당 처리에 대한 요청 메시지, 응답 메시지, 확인 메시지가 교환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QoS 보장이 필요한 서비스 플로우에 대한 DSA 절차의 경우, QoS 파라미터(parameter) 정보를 포함하는 동적 서비스 추가 요청(DSA-REQ : Dynamic Service Addition-REQuest) 메시지가 교환된다.
하나의 단말은 다수의 서비스 플로우들을 동시에 보유할 수 있는데, 다수의 서비스 플로우들이 생성되기 위해서는 여러 번의 DSA 절차가 수행되어야 한다. QoS 보장이 필요한 서비스 플로우에 대한 동적 서비스 추가 요청 메시지는 QoS 파라미터들을 포함하기 때문에 큰 용량을 갖는다. 따라서, 동일 시점에서 다수의 서비스 플로우를 추가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DSA 절차로 인한 무선자원의 소모가 커지게 된다. 또한, 상기 DSA 메시지의 용량으로 인한 무선자원 소모와 더불어, 상기 DSA 메시지 교환을 위한 자원할당으로 인해 MAP 메시지의 크기가 커짐으로써, 무선자원 소모가 커진다. 상기 DSA 절차뿐만 아니라 DSC 절차 또는 DSD 절차의 반복 수행도 무선자원의 소모를 증가시키는 원인이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동일한 시점에 다수의 서비스 플로우들을 처리하기 위해 여러 번의 DSx절차를 수행함으로써, 무선자원의 소모가 커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DSx 절차의 반복 수행으로 인한 오버헤드(overhead)를 감소시킴으로써, 무선자원 활용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대안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플로우(SF : Service Flow) 처리 절차의 반복 수행으로 인한 오버헤드(overhead)를 감소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하나의 절차를 통해 다수의 서비스 플로우들을 추가(addition), 변경(change) 또는 삭제(deletion)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견지에 따르면,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무선접속 노드 장치는, 다수의 서비스 플로우(SF : Service Flow)들에 대해 동일한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다수의 서비스 플로우 식별자들을 포함하는 처리 메시지를 생성하는 생성기와, 상기 생성기에서 생성된 처리 메시지를 상대 노드로 송신하는 통신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견지에 따르면,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무선접속 노드 장치는, 상대 노드로부터 다수의 서비스 플로우 식별자들을 포함하는 서비스 플로우 처리 메시지를 수신하는 통신기와, 상기 처리 메시지를 해석함으로써, 처리 대상 서비스 플로우들 및 상기 처리 대상 서비스 플로우들 각각에 수행될 처리를 확인하는 해석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견지에 따르면,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무선접속 노드의 서비스 플로우 처리 방법은, 다수의 서비스 플로우들에 대해 동일한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다수의 서비스 플로우 식별자들을 포함하는 처리 메시지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기에서 생성된 처리 메시지를 상대 노드로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 견지에 따르면,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무선접속 노드 장치의 서비스 플로우 처리 방법은, 상대 노드로부터 다수의 서비스 플로우 식별자들을 포함하는 서비스 플로우 처리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처리 메시지를 해석함으로써, 처리 대상 서비스 플로우들 및 상기 처리 대상 서비스 플로우들 각각에 수행될 처리를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5 견지에 따르면, MBS(Multicast and Broadcast Service)를 지원하는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장치는, 상대 노드로부터 다수의 서비스 플로우 식별자들을 포함하는 서비스 플로우 추가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통신기와, 상기 서비스 플로우 추가 응답 메시지를 해석함으로써, 다수의 방송채널 MAC(Media Access Control)계층 식별자들을 확인하는 해석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하나의 서비스 플로우(SF : Service Flow) 처리 절차를 통해 다수의 서비스 플로우들을 추가(addition), 변경(change), 삭제(deletion)함으로써, 무선 자원의 효율성 및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은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플로우(SF : Service Flow) 추가(addition), 변경(change), 삭제(deletion) 절차로 인한 자원 소모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기술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 설명에서, 본 발명은 상기 서비스 플로우 추가, 변경, 삭제를 총칭하여 서비스 플로우 처리(management)라 기재한다. 본 발명은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이하 'OFDM'이라 칭함) 방식의 무선통신 시스템을 예로 들어 설명하며, 다른 방식의 무선통신 시스템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본 아이디어는 하나의 서비스 플로우 처리 절차를 위한 메시지에 다수의 서비스 플로우 식별자를 포함시키는 것이다. 예를 들어, 2개의 서비스 플로우들을 추가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 또는 단말은 두 개의 서비스 플 로우 식별자를 포함하는 서비스 플로우 추가 요청 메시지를 상대 노드로 송신한다. 이로 인해, 서비스 플로우 추가 요청 메시지는 추가하고자하는 서비스 플로우들의 개수를 나타내는 파라미터(parameter), 다수의 서비스 플로우들 각각의 QoS(Quality of Service) 파라미터들이 모두 동일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만일, 상기 2개의 서비스 플로우들 각각의 QoS 파라미터들 중 서로 다른 파라미터가 존재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 또는 단말은 하나의 서비스 플로우를 기준 서비스 플로우로 지정하고, 상기 기준 서비스 플로우의 QoS 프로파일(profile)을 기준 QoS 프로파일로 설정한 후, 기준 QoS 프로파일 대비 상이한 QoS 파라미터 정보를 함께 송신한다. 여기서, 상기 QoS 프로파일은 하나의 서비스 플로우의 QoS 파라미터 셋(set)을 의미하며, 이하 설명에서도 동일한 의미로 사용된다.
이때, 다수의 서비스 플로우 식별자들을 포함하는 서비스 플로우 추가 요청 메시지를 통해 다수의 서비스 플로우들이 생성되더라도, 기지국, 단말 또는 상위 제어국은 각 서비스 플로우의 QoS 프로파일을 구분하여 관리해야한다. 이는, 각 서비스 플로우의 QoS 파라미터들이 개별적인 서비스 플로우 변경 절차를 통해 변경될 수 있기 때문이다.
위 발명에서 하나의 절차에 포함된 다수의 서비스 플로우 추가, 변경, 삭제에 대해 CAC(Call Admission Control), 부하 조절(load balancing) 등의 이유로 일부만 허용될 수도 있는데, 이에 대한 처리 방식은 서비스 플로우 별로 기존의 처리방식과 동일하다. 예를 들어, 서비스 플로우 추가 요청 시 CAC를 통해 허용된 ㅅ서 서비스 플로우들은 TCID(Traffic Connection IDentifier)가 할당되고 그렇지 않은 서비스 플로우들은 SFID(Service Flow IDentifier)만 전달되어 준비(provisioned) 형태로 전달될 수 있다. 서비스 플로우 추가 응답에 포함되는 응답 코드(return code)도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서비스 플로우 별로 각각 성공 여부가 표시된다. 참고로 NWG 표준에 정의된 ASN_GW(Access Service Network_GateWay)와 BS(Base Station) 간 인터페이스(interface)인 R6에는 하나의 메시지에 여러 개 서비스 플로우들의 내용들이 들어갈 수 있게 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서비스 플로우 처리 방식은 다양한 형태의 무선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MBS(Multicast and Broadcast Service) 시스템에 다음과 같이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MBS는 광대역 무선통신 망을 이용하여 동시에 다수의 단말들에게 멀티미디어 콘텐츠(multimedia contents)를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상기 MBS는 MBS 존(zone) 단위의 매크로 다이버시티(macro diversity) 기법을 활용하여 전송률을 높임으로써, 384Kbps 급의 고화질 비디오 및 64kbps급의 고음질 오디오 등 다양한 방송채널들을 동시에 다수의 단말들에게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MBS 존에는 다수의 MBS 방송채널이 존재하며, 단말은 특정 MBS 방송채널을 이용하기 위해 서비스 플로우 추가 절차를 통해 해당 MCID(Multicast Connection IDentifier)를 획득해야 한다. 여기서, 상기 MCID는 방송채널별 데이터 버스트(burst)를 구별하는데 필요한 MAC(Media Access Control)계 층의 방송채널 식별자이다. 방송채널 변경시간 단축을 위하여, 단말이 현재 위치한 MBS 존에 존재하는 모든 MBS 방송채널들의 MCID들을 미리 획득하는 방식이 있다. 이를 위해, 단말은 MSB 방송채널들의 개수만큼 서비스 플로우 추가 절차를 반복 수행해야 한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르는 단말은 1회의 서비스 플로우 추가 절차를 통해 모든 MBS 방송채널들의 MCID들을 획득할 수 있다.
다수의 MCID들을 미리 획득한 단말의 사용자가 방송채널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단말의 응용(application)계층은 MAC계층으로 해당 방송채널의 트래픽을 요구한다. 하지만, 상기 응용계층의 방송채널 식별자는 방송콘텐트ID(broadcast content IDentifier)이고, 상기 MAC계층의 방송채널 식별자는 MCID 또는 논리채널ID(logical channel IDentifier)이기 때문에, 상기 응용계층 또는 MAC계층은 두 계층 각각의 식별자 간 대응관계를 알아야한다. 즉, 단말은 두 계층 각각의 식별자 간 대응관계를 나타내는 매핑 테이블(mapping table)을 MBS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관리해야 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은 서비스 플로우 추가 절차를 통해 상기 매핑 테이블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대응관계 정보는 반드시 응용계층을 통해 전달 가능한 것이 아니라, MAC계층의 식별자가 전달될 때, 대응되는 다른 계층의 식별자도 함께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단말이 대응관계 정보를 획득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플로우 추가 절차 수행시, 전달되는 정보는 상기 MAC계층의 네임태그 뿐만 아니라, 방송콘텐트ID, 방송채널IP(broadcast channel Internet Protocol)도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방송콘텐트ID는 응용계층의 방송채널 식별자이고, 상 기 방송채널IP는 IP(Internet Protocol)계층의 방송채널 식별자이다.
MBS를 이용하여 다양한 콘텐츠(contents)가 제공될 수 있는데, 각 콘텐츠에 대해 콘텐츠 유니크(unique)한 암호화(encryption)가 적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MAC계층에서의 암호화는 콘텐츠 단위가 아닌 유저(ueser) 단위로 수행되지만, MBS에서는 MAC계층에서 콘텐츠 단위의 암호화가 수행될 수도 있다. 이 경우, MBS를 이용하는 단말은 콘텐츠 유니크한 MBS 키(key)를 획득해야하는데, 상기 MBS 키는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플로우 추가 절차 수행시 전달될 수 있다.
응용계층의 콘텐츠 단위의 암호화 여부와 상관없이, MAC 계층의 암호화를 수행하게 되는 경우 암호화 주체는 동기화를 수행하는 주체에 따라 다를 수 있는데, ASN_GW가 타임 스탬핑(time stamping) 및 패킷화(packetization)을 담당하는 경우, CSN(Core Service Network)이 암호화 주체가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본 발명은 ASN_GW가 암호화 주체가 되는 것을 제안한다. 서비스 플로우 추가 절차 수행 시 암호화 키 전달 방식은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방안이 있다. 첫째, KDF(Key Driving Function)가 CSN, ASN_GW, 단말 모두에 위치하고 암호화 키를 산출하는 KDF의 입력이 되는 랜덤 시드(random seed)를 단말에 전달하는 방식이 있다. 둘째, 단말에 KDF를 따로 두지 않고 ASN_GW가 암호화 키를 전달하는 방식이다. 두 가지 방안 모두 CSN과 ASN_GW 간 사업자 정책에 따라 MAC 계층의 암호화 정책(예 : KDF) 혹은 암호화 키 혹은 랜덤 시드를 수정할 때마다 주기적으로 갱신(update)하며, ASN_GW과 MS간은 서비스 플로우 추가 절차 수행 시 암호화 정보를 전달한다. 여기서, CSN은 AAA 서버, MBS 서버 또는 MBS 서버 컨트롤러(controller)가 될 수 있다. ASN_GW와의 인터페이스가 MBS 서버가 되는 경우도 MBS 서버가 AAA 서버와 연동하여 암호화 관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ASN_GW가 암호화 키를 전달하는 방식의 경우, 랜덤 시드를 받아 ASN_GW에서 암호화 키를 생성할 수도 있고, CSN에서 생성된 암호화 키를 ASN_GW가 그대로 MAC 암호화에 활용하고 단말에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 제안하는 방식들은 다른 방식의 MAC 계층 호 처리 절차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된 MBS 시스템에서 단말의 MBS 이용시 발생하는 동작들은 다음과 같다.
먼저, 단말이 MBS를 이용하고자 하면, 상기 단말은 서비스 플로우 추가 절차를 통해 해당 MBS 존에 존재하는 모든 방송채널들의 MCID들을 획득한다. 즉, 상기 단말은 서비스 플로우 추가 요청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송신하고, 상기 기지국은 다수의 MCID들을 포함하는 서비스 플로우 추가 응답 메시지를 상기 단말로 송신한다. 이때, 상기 서비스 플로우 추가 응답 메시지는 상기 다수의 MCID들 뿐만 아니라, 계층 간 방송채널 식별자 매핑 테이블 정보 또는 다수의 MCID들 각각에 대응되는 다른 계층의 방송채널 식별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플로우 추가 응답 메시지는 콘텐트 유니크한 MBS 키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단말이 방송채널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단말은 추가적인 서비스 플로우 추가 절차 없이 응용계층과 MAC계층 간의 내부적인 통신을 통해 응용계층의 처리 데이터만을 변경한다. 즉, 응용계층은 MAC계층에게 해당 방송채널의 트 래픽을 전달해 줄 것을 지시한다. 이때, 응용계층과 MAC계층 간의 방송채널 식별자 대응관계를 확인해야하는데, 이는 응용계층 또는 MAC계층에서 수행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응용계층 또는 MAC계층 중 계층 간 식별자 매핑 정보를 관리하는 계층에서 식별자 변환이 수행된다.
이하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서비스 플로우를 처리하는 무선접속 노드의 구성 및 동작 절차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상기 무선접속 노드는 MAC계층의 서비스 플로우 처리 메시지를 생성하고 해석하는 장치를 의미하며, 기지국 또는 단말이 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무선접속 노드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무선접속 노드는 SF관리기(102), QoS정보저장기(104), 메시지생성기(106), 부호화및변조기(108), 부반송파매핑기(110), OFDM변조기(112), RF송신기(114), RF수신기(116), OFDM복조기(118), 부반송파디매핑기(120), 복조및복호화기(122), 메시지해석기(1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SF관리기(102)는 상대 노드와의 서비스 플로우를 관리한다. 다시 말해, 상기 SF관리기(102)는 상대 노드와의 서비스 플로우 별 트래픽 송수신, 추가, 변경, 삭제를 위한 제어를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서비스 플로우 변경은 해당 서비 스 플로우의 QoS 파라미터를 변경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서비스 플로우 추가, 변경 또는 삭제를 요청하는 경우, 상기 SF관리기(102)는 무선통신 시스템 내의 다른 장비로부터 트리거링(triggering)되거나 또는 사용자의 조작을 감지함으로써 서비스 플로우를 생성해야함을 인지하고, 해당 서비스 플로우 처리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도록 상기 메시지생성기(106)를 제어한다. 또한, 상대 노드로부터 서비스 플로우 추가, 변경 또는 삭제가 요청되는 경우, 상기 SF관리기(102)는 해당 요청을 처리할 수 있는지 판단하고, 요청에 따라 서비스 플로우를 추가, 변경 또는 삭제한다. 예를 들어, 서비스 플로우 추가 요청 시는 DSA-REQ 메시지, 서비스 플로우 변경 요청 시는 DSC-REQ 메시지, 서비스 플로우 변경 요청 시는 DSD-REQ 메시지가 사용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상기 SF관리기(102)는 동일한 처리를 요하는 다수의 서비스 플로우들을 하나의 절차로 처리한다. 다시 말해, 상기 SF관리기(102)는 서비스 플로우 처리 메시지 생성 시 다수의 서비스 플로우 식별자들이 포함되도록 상기 메시지생성기(104)를 제어한다. 그리고, 상대 노드로부터 다수의 서비스 플로우 식별자들을 포함하는 서비스 플로우 처리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SF관리기(102)는 다수의 서비스 플로우 식별자들에 대응되는 서비스 플로우들을 모두 처리한다. 단, 하나의 절차를 통해 다수의 서비스 플로우들이 처리되더라도, 상기 SF관리기(102)는 서비스 플로우들 각각을 개별적으로 관리한다. 왜냐하면, 하나의 절차를 통해 생성된 다수의 서비스 플로우들 각각은 개별적인 절차를 통해 삭제 또는 변경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QoS정보저장기(104)는 상기 SF관리기(102)에 의해 관리되는 서비스 플로우들 각각의 QoS 프로파일을 저장한다. 상기 QoS 프로파일은 서비스 플로우 변경 절차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메시지생성기(106)는 상기 SF관리기(102)의 제어에 따라 서비스 플로우 추가, 변경 또는 삭제를 위한 메시지를 생성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상기 메시지생성기(106)는 다수의 서비스 플로우 식별자들을 포함하는 서비스 플로우 처리 메시지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상대 노드로 서비스 플로우 처리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경우, 상기 메시지생성기(106)는 하나의 절차로 처리하고자하는 서비스 플로우의 개수 정보를 포함시킨다. 그리고, QoS 파라미터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플로우 추가 또는 변경 메시지의 경우, 상기 메시지생성기(106)는 다수의 서비스 플로우들 각각의 QoS 파라미터들이 모두 동일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포함시킨다. 만일, 다수의 서비스 플로우들 각각의 QoS 파라미터들이 모두 동일하지 않으면, 상기 메시지생성기(106)는 기준 서비스 플로우 지정 정보, 기준 QoS 프로파일 정보, 기준 QoS 프로파일 대비 상이한 QoS 파라미터 정보를 포함시킨다. 여기서, 상기 기준 QoS 프로파일은 상기 기준 서비스 플로우의 QoS 프로파일이다. 그리고, 상대 노드로 서비스 플로우 처리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는 경우, 상기 메시지생성기(106)는 상기 SF관리기(102)의 판단에 따라 요청된 처리가 가능함을 알리는 응답 메시지를 생성한다.
상기 무선접속 노드가 MBS 시스템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서비스 플로우 처리 메시지는 다수의 MCID들, 다수의 논리채널ID들, 상기 MCID들 각각과 대응되는 다수의 방송콘텐트ID들 및 방송채널IP들, 계층 간 식별자 매핑 테이블 정보, 콘텐츠 단위의 MBS 키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호화및변조기(108)는 제공되는 정보 비트열을 해당 부호화율에 따라 부호화하여 부호화 비트열로 변환하고, 해당 변조방식에 따라 상기 부호화 비트열을 변조하여 복소심벌로 변환한다. 상기 부반송파디매핑기(110)는 상기 부호화및변조기(108)로부터의 복소심벌들을 해당 부반송파 자원에 매핑한다. 상기 OFDM변조기(112)는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연산틀 통해 상기 부반송파에 매핑된 복소심벌들을 OFDM심벌로 변환한다. 상기 RF송신기(114)는 기저대역 신호를 RF대역 신호로 변환하여 안테나를 통해 상대 노드로 송신한다.
상기 RF수신기(116)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대역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OFDM복조기(118)는 FFT(Fast Fourier Transform) 연산을 통해 OFDM심벌을 부반송파 별 복소심벌들로 변환한다. 상기 부반송파디매핑기(120)는 부반송파에 매핑된 복소심벌들을 매핑되기 전 형태로 복원한다. 만일, 상기 부반송파디매핑기(120)가 단말에 포함된 경우, 상기 부반송파디매핑기(120)는 할당된 부반송파에 매핑된 신호만을 추출한다. 반면, 상기 부반송파디매핑기(120)가 기지국에 포함된 경우, 상기 부반송파디매핑기(120)는 단말별 버스트를 구분하여 신호들을 정렬한다. 상기 복조및복호화기(122)는 해당 복조방식에 따라 복소심벌을 복조하여 부호화 비트열로 변환하고, 해당 부호율에 따라 상기 부호화 비트열을 복호화하여 정보 비트열로 변환한다.
상기 메시지해석기(124)는 상대 노드로부터 수신되는 서비스 플로우 추가, 변경 또는 삭제를 위한 메시지를 해석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상기 메시지해석기(124)는 다수의 서비스 플로우 식별자들을 포함하는 서비스 플로우 처리 메시지를 해석한다. 예를 들어, 상대 노드로부터 서비스 플로우 처리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메시지해석기(124)는 수신된 서비스 플로우 처리 요청 메시지를 통해 처리하고자 하는 서비스 플로우들 개수를 확인한다. 그리고, QoS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서비스 플로우 추가 또는 변경 메시지의 경우, 상기 메시지해석기(124)는 다수의 서비스 플로우들 각각의 QoS 파라미터들이 모두 동일한지 확인한다. 만일, 다수의 서비스 플로우들 각각의 QoS 파라미터들이 모두 동일하지 않으면, 상기 메시지해석기(124)는 기준 서비스 플로우 및 기준 QoS 프로파일 정보를 확인하고, 기준 QoS 프로파일 대비 상이한 QoS 파라미터 정보를 확인한다. 그리고, 상대 노드로부터 서비스 플로우 처리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메시지해석기(124)는 응답 메시지를 통해 요청한 처리가 가능함을 확인하고, 이를 상기 SF관리기(102)로 알린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무선접속 노드의 서비스 플로우 처리 요청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무선접속 노드는 201단계에서 다수의 서비스 플로우들을 추가해야하는지 판단한다. 그리고, 상기 서비스 플로우 변경은 해당 서비스 플로우의 QoS 파라미터를 변경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기 무선접속 노드는 무선통신 시스템 내의 다른 장비로부터 트리거링되거나 또는 사용자의 조작을 감지함으로써 서비스 플로우를 생성해야함을 인지할 수 있다.
다수의 서비스 플로우들을 추가해야하면, 상기 무선접속 노드는 203단계로 진행하여 다수의 서비스 플로우들 간 QoS 파라미터들이 모두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한다. 만일, 상기 다수의 서비스 플로우들 간 QoS 파라미터들이 모두 동일하면, 상기 무선접속 노드는 209단계로 진행한다.
반면, 상기 다수의 서비스 플로우들 간 QoS 파라미터들이 모두 동일하지 않으면, 상기 무선접속 노드는 205단계로 진행하여 다수의 서비스 플로우들 중 기준 서비스 플로우를 지정한다. 상기 기준 서비스 플로우의 QoS 파라미터들이 나머지 서비스 플로우의 QoS 파라미터들에 대한 기준 QoS 프로파일이 된다.
상기 기준 서비스 플로우를 지정한 후, 상기 무선접속 노드는 207단계로 진행하여 기준 서비스 플로우 외의 서비스 플로우의 QoS 파라미터들 중 기준 QoS 프로파일 대비 상이한 QoS 파라미터들을 확인한다. 즉, 상기 무선접속 노드는 기준 QoS 프로파일 정보 외의 추가적으로 메시지에 포함시켜야할 QoS 파라미터들을 확인한다.
이후, 상기 무선접속 노드는 209단계로 진행하여 다수의 서비스 플로우 식별자들을 포함하는 서비스 플로우 추가 요청 메시지를 생성한다. 이때, 상기 서비스 플로우 추가 요청 메시지는 다수의 서비스 플로우들 간 모든 QoS 파라미터들의 동일 여부 정보, 기준 서비스 플로우 지정 정보, 기준 QoS 프로파일 정보, 기준 QoS 프로파일 대비 상이한 나머지 서비스 플로우의 QoS 파라미터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서비스 플로우 추가 요청 메시지를 생성한 후, 상기 무선접속 노드는 211단계로 진행하여 상대 노드로 상기 서비스 플로우 추가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다. 이때, 상기 무선접속 노드는 상기 서비스 플로우 추가 요청 메시지의 비트열을 복소심벌들로 변환하고, IFFT 연산을 통해 상기 복소심벌들을 기저대역 OFDM 심벌로 변환한 후, 기저대역 신호를 RF대역 신호로 변환하여 송신한다.
상기 서비스 플로우 추가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 후, 상기 무선접속 노드는 213단계로 진행하여 상대 노드로부터 서비스 플로우 추가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는지 확인한다. 즉, 상기 무선접속 노드는 상대 노드에 의해 다수의 서비스 플로우들 추가가 승인되는지 확인한다.
상기 서비스 플로우 추가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무선접속 노드는 215단계로 진행하여 다수의 서비스 플로우들을 추가한다. 즉, 상기 무선접속 노드는 다수의 서비스 플로우들 각각에 대한 논리적인 처리 경로들을 설정한다.
이후, 상기 무선접속 노드는 217단계로 진행하여 다수의 서비스 플로우들 각각의 QoS 프로파일을 개별적으로 관리하며 각 서비스 플로우에 대한 트래픽을 송수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무선접속 노드의 서비스 플로우 처리 응답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접속 노드는 301단계에서 다수의 서비스 플로우 식별자들을 포함하는 서비스 플로우 추가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는지 확인한 다.
상기 서비스 플로우 추가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무선접속 노드는 303단계로 진행하여 다수의 서비스 플로우들 각각의 QoS 파라미터들이 모두 동일한지 확인한다. QoS 파라미터들의 동일 여부는 상기 서비스 플로우 추가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를 통해 확인된다. 만일, 다수의 서비스 플로우들 각각의 QoS 파라미터들이 모두 동일하면, 상기 무선접속 노드는 307단계로 진행한다.
반면, 다수의 서비스 플로우들 각각의 QoS 파라미터들이 모두 동일하지 않으면, 상기 무선접속 노드는 305단계로 진행하여 다수의 서비스 플로우들 중 기준 서비스 플로우를 확인한다. 상기 기준 서비스 플로우는 상기 서비스 플로우 추가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를 통해 확인된다.
상기 기준 서비스 플로우를 확인한 후, 상기 무선접속 노드는 307단계로 진행하여 다수의 서비스 플로우들 각각의 QoS 프로파일을 확인한다. 만일, 다수의 서비스 플로우들 각각의 QoS 파라미터들이 모두 동일한 경우, 상기 무선접속 노드는 상기 서비스 플로우 추가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하나의 QoS 프로파일을 다수의 서비스 플로우들 모두에 동일하게 적용한다. 반면, 다수의 서비스 플로우들 각각의 QoS 파라미터들이 모두 동일하지 않은 경우, 상기 무선접속 노드는 상기 서비스 플로우 추가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기준 QoS 프로파일 정보를 통해 기준 서비스 플로우의 QoS 파라미터들을 확인하고, 기준 QoS 프로파일 정보에 추가적인 QoS 파라미터들 정보를 대체하여 나머지 서비스 플로우의 QoS 파라미터들을 확인한다.
이후, 상기 무선접속 노드는 309단계로 진행하여 추가 요청된 다수의 서비스 플로우들을 추가할 수 있는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서비스 플로우 추가 가능 여부는 자원 현황 등을 고려하여 판단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서비스 플로우들이 추가 가능하면, 상기 무선접속 노드는 311단계로 진행하여 다수의 서비스 플로우 식별자들을 포함하는 서비스 플로우 추가 응답 메시지를 생성한다. 즉, 상기 무선접속 노드는 상대 노드로부터의 요청이 승인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생성한다.
상기 서비스 플로우 추가 응답 메시지를 생성한 후, 상기 무선접속 노드는 31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서비스 플로우 추가 응답 메시지를 상대 노드로 송신한다. 이때, 상기 무선접속 노드는 상기 서비스 플로우 추가 요청 메시지의 비트열을 복소심벌들로 변환하고, IFFT 연산을 통해 상기 복소심벌들을 기저대역 OFDM 심벌로 변환한 후, 기저대역 신호를 RF대역 신호로 변환하여 송신한다.
상기 서비스 플로우 추가 응답 메시지를 송신한 후, 상기 무선접속 노드는 315단계로 진행하여 다수의 서비스 플로우들을 추가한다. 즉, 상기 무선접속 노드는 다수의 서비스 플로우들 각각에 대한 논리적인 처리 경로들을 설정한다.
이후, 상기 무선접속 노드는 317단계로 진행하여 다수의 서비스 플로우들 각각의 QoS 프로파일을 개별적으로 관리하며 각 서비스 플로우에 대한 트래픽을 송수신한다
상기 도 2 및 상기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 예는 다수의 서비스 플로우들을 하나의 절차로 추가하는 실시 예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진 않았지만, 다수의 서비스 플로우들을 하나의 절차로 변경하거나 삭제하는 절차도 상기 도 2 및 상기 도 3과 유사하게 수행된다. 단, 다수의 서비스 플로우들을 하나의 절차로 삭제하는 경우, 다수의 서비스 플로우들 간 QoS 파라미터들이 동일한지 확인하는 단계, 기준 서비스 플로우를 지정하는 단계, QoS 파라미터들을 확인하는 단계 등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접속 노드가 MBS 시스템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서비스 플로우 처리 메시지는 다수의 MCID들, 다수의 논리채널ID들, 상기 MCID들 각각과 대응되는 다수의 방송콘텐트ID들 및 방송채널IP들, 계층 간 식별자 매핑 테이블 정보, 콘텐츠 단위의 MBS 키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무선접속 노드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무선접속 노드의 서비스 플로우 처리 요청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무선접속 노드의 서비스 플로우 처리 응답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Claims (52)

  1.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무선접속 노드 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서비스 플로우(SF : Service Flow)들에 대해 동일한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다수의 서비스 플로우 식별자들을 포함하는 처리 메시지를 생성하는 생성기와,
    상기 생성기에서 생성된 처리 메시지를 상대 노드로 송신하는 통신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메시지는, 서비스 플로우를 추가하기 위한 메시지, 서비스 플로우의 QoS(Quality of Service) 파라미터(parameter)를 변경하기 위한 메시지, 서비스 플로우를 삭제하기 위한 메시지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 노드는, 단말 또는 기지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기는, 상기 다수의 서비스 플로우들의 개수 정보를 포함하는 처리 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기는, 상기 다수의 서비스 플로우들 중 하나인 기준 서비스 플로우의 지정정보 및 상기 기준 서비스 플로우의 QoS 프로파일(profile)인 기준 QoS 프로파일 정보를 포함하는 처리 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기는, 상기 기준 서비스 플로우가 아닌 나머지 서비스 플로우의 QoS 파라미터들에 대하여, 상기 기준 QoS 파라미터 대비 상이한 QoS 파라미터 정보를 포함하는 처리 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기는, MBS(Multicasting and Broadcating Service)에서 방송채널의 MAC(Media Access Control)계층 식별자인 MCID(Multicast Connection IDentifier) 또는 논리채널ID(Logical Channel IDentifier)를 다수 개 포함하는 처리 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기는, 다수의 MICD들 각각과 대응되는 IP(Internet Protocol)계층 또는 응용(application)계층의 방송채널 식별자 정보를 포함하는 처리 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기는, 상기 방송채널의 MAC계층 식별자와 IP계층 식별자 또는 응용계층 식별자 간의 대응관계를 나타내는 매핑 테이블 정보를 포함하는 처리 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기는, MBS를 통해 제공되는 콘텐츠 각각에 대한 콘텐츠 단위의 암호화 키(key) 정보를 포함하는 처리 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메시지에 따라 상기 다수의 서비스 플로우들에 해당 처리를 수행하는 관리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기는,
    비트열을 복소심벌들로 변환하는 변조기와,
    상기 복소심벌들을 부반송파 자원에 매핑(mapping)하는 매핑기와,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연산을 통해 부반송파 자원에 매핑된 복소심벌들을 OFDM(Orthogonal Frequemcy Division Multiplexing) 심벌로 변환하는 OFDM변조기와,
    상기 OFDM심벌을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는 송신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무선접속 노드 장치에 있어서,
    상대 노드로부터 다수의 서비스 플로우(SF : Service Flow) 식별자들을 포함하는 서비스 플로우 처리 메시지를 수신하는 통신기와,
    상기 처리 메시지를 해석함으로써, 처리 대상 서비스 플로우들 및 상기 처리 대상 서비스 플로우들 각각에 수행될 처리를 확인하는 해석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메시지는, 서비스 플로우를 추가하기 위한 메시지, 서비스 플로우의 QoS(Quality of Service) 파라미터(parameter)를 변경하기 위한 메시지, 서비스 플로우를 삭제하기 위한 메시지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 노드는, 단말 또는 기지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해석기는, 상기 처리 메시지를 통해 상기 다수의 서비스 플로우들의 개수 정보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해석기는, 상기 처리 메시지를 통해 상기 다수의 서비스 플로우들 중 하나인 기준 서비스 플로우의 지정 정보 및 상기 기준 서비스 플로우의 QoS 프로파일(profile)인 기준 QoS 프로파일 정보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해석기는, 상기 기준 서비스 플로우가 아닌 나머지 서비스 플로우의 QoS 파라미터들에 대하여, 상기 처리 메시지를 통해 상기 기준 QoS 파라미터 대비 상이한 QoS 파라미터 정보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해석기는, 상기 처리 메시지를 통해 MBS(Multicasting and Broadcating Service)에서 방송채널의 MAC(Media Access Control)계층 식별자인 MCID(Multicast Connection IDentifier) 또는 논리채널ID(Logical Channel IDentifier)를 다수 개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해석기는, 상기 처리 메시지를 통해 다수의 MICD들 각각과 대응되는 IP(Internet Protocol)계층 또는 응용(application)계층의 방송채널 식별자 정보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1.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해석기는, 상기 처리 메시지를 통해 상기 방송채널의 MAC계층 식별자와 IP계층 식별자 또는 응용계층 식별자 간의 대응관계를 나타내는 매핑 테이블 정보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2.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해석기는, 상기 처리 메시지를 통해 MBS를 통해 제공되는 콘텐츠 각각에 대한 콘텐츠 단위의 암호화 키(key) 정보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3.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메시지에 따라 상기 다수의 서비스 플로우들에 해당 처리를 수행하는 관리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기는,
    안테나를 통해 OFDM(Orthogonal Frequemcy Division Multiplexing)심벌을 수신하는 수신기와,
    FFT(Fast Fourier Transform) 연산을 통해 상기 OFDM심벌을 부반송파 별 복소심벌들로 변환하는 OFDM복조기와,
    상기 복소심벌들을 비트열로 변환하는 복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5.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무선접속 노드의 서비스 플로우(SF : Service Flow) 처리 방법에 있어서,
    다수의 서비스 플로우들에 대해 동일한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다수의 서비스 플로우 식별자들을 포함하는 처리 메시지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기에서 생성된 처리 메시지를 상대 노드로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메시지는, 서비스 플로우를 추가하기 위한 메시지, 서비스 플로우의 QoS(Quality of Service) 파라미터(parameter)를 변경하기 위한 메시지, 서비스 플로우를 삭제하기 위한 메시지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7.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 노드는, 단말 또는 기지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8.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메시지는, 상기 다수의 서비스 플로우들의 개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9.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메시지는, 상기 다수의 서비스 플로우들 중 하나인 기준 서비스 플로우의 지정정보 및 상기 기준 서비스 플로우의 QoS 프로파일(profile)인 기준 QoS 프로파일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0.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메시지는, 상기 기준 서비스 플로우가 아닌 나머지 서비스 플로우의 QoS 파라미터들에 대하여, 상기 기준 QoS 파라미터 대비 상이한 QoS 파라미터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1.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메시지는, MBS(Multicasting and Broadcating Service)에서 방송채널의 MAC(Media Access Control)계층 식별자인 MCID(Multicast Connection IDentifier) 또는 논리채널ID(Logical Channel IDentifier)를 다수 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2.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메시지는, 다수의 MICD들 각각과 대응되는 IP(Internet Protocol)계층 또는 응용(application)계층의 방송채널 식별자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3.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메시지는, 상기 방송채널의 MAC계층 식별자와 IP계층 식별자 또는 응용계층 식별자 간의 대응관계를 나타내는 매핑 테이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4.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메시지는, MBS를 통해 제공되는 콘텐츠 각각에 대한 콘텐츠 단위의 암호화 키(key) 정보를 포함하는 처리 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5.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메시지에 따라 상기 다수의 서비스 플로우들에 해당 처리를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메시지를 송신하는 과정은,
    상기 처리 메시지의 비트열을 복소심벌들로 변환하는 과정과,
    상기 복소심벌들을 부반송파 자원에 매핑(mapping)하는 과정과,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연산을 통해 부반송파 자원에 매핑된 복소심벌들을 OFDM(Orthogonal Frequemcy Division Multiplexing) 심벌로 변환하는 과정과,
    상기 OFDM심벌을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7.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무선접속 노드 장치의 서비스 플로우(SF : Service Flow)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대 노드로부터 다수의 서비스 플로우 식별자들을 포함하는 서비스 플로우 처리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처리 메시지를 해석함으로써, 처리 대상 서비스 플로우들 및 상기 처리 대상 서비스 플로우들 각각에 수행될 처리를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8. 제 37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메시지는, 서비스 플로우를 추가하기 위한 메시지, 서비스 플로우의 QoS(Quality of Service) 파라미터(parameter)를 변경하기 위한 메시지, 서비스 플로우를 삭제하기 위한 메시지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9. 제 37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 노드는, 단말 또는 기지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0. 제 37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메시지는, 상기 다수의 서비스 플로우들의 개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1. 제 37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메시지는, 상기 다수의 서비스 플로우들 중 하나인 기준 서비스 플로우의 지정정보 및 상기 기준 서비스 플로우의 QoS 프로파일(profile)인 기준 QoS 프로파일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2. 제 4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메시지는, 상기 기준 서비스 플로우가 아닌 나머지 서비스 플로우의 QoS 파라미터들에 대하여, 상기 기준 QoS 파라미터 대비 상이한 QoS 파라미터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3. 제 37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메시지는, MBS(Multicasting and Broadcating Service)에서 방송채널의 MAC(Media Access Control)계층 식별자인 MCID(Multicast Connection IDentifier) 또는 논리채널ID(Logical Channel IDentifier)를 다수 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4. 제 43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메시지는, 다수의 MICD들 각각과 대응되는 IP(Internet Protocol)계층 또는 응용(application)계층의 방송채널 식별자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5. 제 43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메시지는, 상기 방송채널의 MAC계층 식별자와 IP계층 식별자 또는 응용계층 식별자 간의 대응관계를 나타내는 매핑 테이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6. 제 43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메시지는, MBS를 통해 제공되는 콘텐츠 각각에 대한 콘텐츠 단위의 암호화 키(key) 정보를 포함하는 처리 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7. 제 37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메시지에 따라 상기 다수의 서비스 플로우들에 해당 처리를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8. 제 37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은,
    안테나를 통해 OFDM(Orthogonal Frequemcy Division Multiplexing)심벌을 수신하는 과정과,
    FFT(Fast Fourier Transform) 연산을 통해 상기 OFDM심벌을 부반송파 별 복소심벌들로 변환하는 과정과,,
    상기 복소심벌들을 비트열로 변환하여 처리 메시지의 비트열을 복원하는 과 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9. MBS(Multicast and Broadcast Service)를 지원하는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대 노드로부터 다수의 서비스 플로우(SF : Service Flow) 식별자들을 포함하는 서비스 플로우 추가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통신기와,
    상기 서비스 플로우 추가 응답 메시지를 해석함으로써, 다수의 방송채널 MAC(Media Access Control)계층 식별자들을 확인하는 해석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0. 제 49항에 있어서,
    상기 MAC계층 식별자는, MCID(Multicast Connection IDentifier) 또는 논리채널ID(Logical Channel IDentifi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1. 제 50항에 있어서,
    상기 해석기는, 상기 서비스 플로우 추가 응답 메시지를 통하여, 다수의 MICD들 각각과 대응되는 IP(Internet Protocol)계층 또는 응용(application)계층의 방송채널 식별자 정보, 상기 방송채널의 MAC계층 식별자와 IP계층 식별자 또는 응용계층 식별자 간의 대응관계를 나타내는 매핑 테이블 정보, MBS를 통해 제공되는 콘텐츠 각각에 대한 콘텐츠 단위의 암호화 키(key)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2. 제 49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기는, 상기 다수의 MAC계층 식별자들에 대응되는 방송 트래픽(traffic)들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70072148A 2007-07-19 2007-07-19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플로우 처리 장치 및방법 KR20090008850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2148A KR20090008850A (ko) 2007-07-19 2007-07-19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플로우 처리 장치 및방법
US12/170,048 US20090022054A1 (en) 2007-07-19 2008-07-09 Apparatus and method for service flow management in a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08160416A EP2026626A1 (en) 2007-07-19 2008-07-15 Apparatuses, methods and system for Service Flow Management in a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008184832A JP2009027712A (ja) 2007-07-19 2008-07-16 広帯域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サービスフローの処理のための装置及びその方法
CNA200810171479XA CN101370295A (zh) 2007-07-19 2008-07-21 宽带无线通信系统中用于服务流管理的设备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2148A KR20090008850A (ko) 2007-07-19 2007-07-19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플로우 처리 장치 및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8850A true KR20090008850A (ko) 2009-01-22

Family

ID=39916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2148A KR20090008850A (ko) 2007-07-19 2007-07-19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플로우 처리 장치 및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90022054A1 (ko)
EP (1) EP2026626A1 (ko)
JP (1) JP2009027712A (ko)
KR (1) KR20090008850A (ko)
CN (1) CN10137029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6493B1 (ko) * 2011-03-08 2015-06-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ll-ip 융합 네트워크를 위한 액세스 장치
US11055050B2 (en) 2010-02-25 2021-07-0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ulti-device pairing and combined displa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40993A1 (en) * 2007-08-06 2009-02-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mixed quality of service setup type in a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5169635B2 (ja) * 2008-08-29 2013-03-27 富士通株式会社 基地局装置、サービスフロー確立プログラム、およびサービスフロー確立方法
JP2011109469A (ja) * 2009-11-18 2011-06-02 Canon Inc コンテンツ受信装置及びコンテンツ受信装置の制御方法
RU2684634C2 (ru) * 2010-03-01 2019-04-11 Интердиджитал Пейтент Холдингз, Инк.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полнения гибридных распределений восходящей линии связи по станции и по потоку
KR101592039B1 (ko) * 2010-03-02 2016-02-05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플로우 정보 관리 방법 및 장치
US20110292927A1 (en) * 2010-05-27 2011-12-01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Uplink receiving apparatus of ofdma system based on lte and frequency synchronization method thereof
WO2012074336A2 (ko) * 2010-12-02 2012-06-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무선접속기술을 지원하는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N102938704A (zh) * 2011-08-16 2013-02-2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接入管理方法、装置和系统
US10123187B2 (en) * 2012-04-17 2018-11-0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multiplexing application identifiers for peer-to-peer discovery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94431A (en) * 1995-11-30 2000-07-25 Kabushiki Kaisha Toshiba Node device and network resource reservation method for data packet transfer using ATM networks
FI102869B (fi) * 1996-02-26 1999-02-26 Nokia Mobile Phones Ltd Laite, menetelmä ja järjestelmä eri sovelluksiin liittyvien tietojen l ähettämiseksi ja vastaanottamiseksi
US6640248B1 (en) * 1998-07-10 2003-10-28 Malibu Networks, Inc. Application-aware, quality of service (QoS) sensitive, media access control (MAC) layer
JP2001111619A (ja) * 1999-10-12 2001-04-20 Sony Corp 送信装置、通信システム及びその通信方法
EP1137313B1 (en) * 2000-03-22 2006-10-04 Alcatel Method and apparatus for assembling frames
US6917591B2 (en) * 2001-01-12 2005-07-1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bandwidth allocation in a multiple access system
US6856604B2 (en) * 2001-12-19 2005-02-15 Qualcomm Incorporated Efficient multi-cast broadcasting for packet data systems
US20050018601A1 (en) * 2002-06-18 2005-01-27 Suresh Kalkunte Traffic management
WO2004029854A2 (en) * 2002-09-27 2004-04-08 Nokia Corporation Enhanced qos control
ATE385097T1 (de) * 2002-12-11 2008-02-15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Zusammeführung von zugriffanforderungen in einem kommunikationssystem mit gemeinsamem medium
EP1610575A4 (en) * 2003-03-31 2010-07-21 Fujitsu Ltd RADIO COMMUNICATION NETWORK AND METHOD FOR FLOW CONTROL
US6922564B2 (en) * 2003-05-30 2005-07-26 Motorola Inc. Admitting data flows to a multiple access network
EP1676384B1 (en) * 2003-10-22 2009-08-19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management of multicast delivery to mobile devices
KR100713487B1 (ko) * 2004-03-05 2007-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다수의 액티브기지국들을 가진 이동단말의 서비스 플로우 관리 방법
KR20060013059A (ko) * 2004-08-05 2006-02-0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인터넷 시스템의 패킷 처리 방법 및 장치
US7339913B2 (en) * 2004-08-17 2008-03-04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of network management and service provisioning for broadband wireless networks
US20060160533A1 (en) * 2005-01-19 2006-07-20 Joey Chou Method and system of network management and service provisioning for mobile broadband wireless networks
EP1718097B1 (en) * 2005-04-25 2008-10-22 Samsung Electronics Co.,Ltd. Identification of Multicast Broadcast Service content broadcasts
KR100899746B1 (ko) * 2005-04-25 2009-05-27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제공을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8073435B2 (en) * 2005-08-19 2011-12-06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quality of service in a communication network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55050B2 (en) 2010-02-25 2021-07-0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ulti-device pairing and combined display
KR101526493B1 (ko) * 2011-03-08 2015-06-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ll-ip 융합 네트워크를 위한 액세스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9027712A (ja) 2009-02-05
US20090022054A1 (en) 2009-01-22
CN101370295A (zh) 2009-02-18
EP2026626A1 (en) 2009-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08850A (ko)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플로우 처리 장치 및방법
JP4559486B2 (ja) マルチキャストブロードキャストサービスの資源指示を実現する方法、システム及び装置
EP1718097B1 (en) Identification of Multicast Broadcast Service content broadcasts
CN108307516B (zh) 数据传输方法及相关设备
WO200800484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multicast/broadcast service in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9891826B (zh) 网络数据处理方法及装置
CN115699989A (zh) 用于在无线通信系统中提供局部mbs的方法和设备
CN101272615A (zh) 资源分配信令中的资源位置域传输方法及装置
WO2018196696A1 (zh) 一种通信方法和装置
WO2014187276A1 (zh) 发现终端方法、终端、服务器、基站、管理实体及系统
CN111148231A (zh) 一种信息传输方法及节点设备
US20100165908A1 (en) Method for receiving and providing multicast broadcasting service
US10251175B2 (en) Sub-frequency band sharing method and base station, and user terminal
KR100986936B1 (ko) 다중 에프에이를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서비스품질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RU2477566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запроса возобновления расширенной услуги упорядоченного опроса в реальном времени в системе широкополосной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WO2009118206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a service
CN103686618A (zh) 一种触发建立宽带多媒体集群业务的方法
CN104754754A (zh) 半静态调度下的迟后接入方法
KR20090011510A (ko)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플로우 삭제 장치 및방법
KR100936196B1 (ko)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서비스 가이드 전달 장치 및 방법
JP5136646B2 (ja) 通信制御方法、無線装置、基地局
KR100941445B1 (ko) 휴대 인터넷망에서의 주문형 비디오 방송 서비스 방법
EP197326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frequency overlay in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0684306B1 (ko) 무선 휴대 인터넷 시스템에서의 서비스별 트래픽 암호화키 요청과 생성 및 분배 방법 및 그 장치와, 그 프로토콜구성 방법
KR20080087454A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이종 시스템 간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매핑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