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6986A -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6986A
KR20090006986A KR1020070070520A KR20070070520A KR20090006986A KR 20090006986 A KR20090006986 A KR 20090006986A KR 1020070070520 A KR1020070070520 A KR 1020070070520A KR 20070070520 A KR20070070520 A KR 20070070520A KR 20090006986 A KR20090006986 A KR 200900069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cument
image
scanned image
scanned
document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0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8769B1 (ko
Inventor
옥형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705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8769B1/ko
Priority to US12/103,897 priority patent/US8553239B2/en
Publication of KR20090006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69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8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87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681Detecting the presence, position or size of a sheet or correcting its position before scan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681Detecting the presence, position or size of a sheet or correcting its position before scanning
    • H04N1/00684Object of the detection
    • H04N1/00721Orien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681Detecting the presence, position or size of a sheet or correcting its position before scanning
    • H04N1/00729Detection means
    • H04N1/00734Optical detectors
    • H04N1/00737Optical detectors using the scanning elements as dete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681Detecting the presence, position or size of a sheet or correcting its position before scanning
    • H04N1/00742Detection metho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681Detecting the presence, position or size of a sheet or correcting its position before scanning
    • H04N1/00763Action taken as a result of detection
    • H04N1/00774Adjusting or contro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795Read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795Reading arrangements
    • H04N1/00798Circuit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thereof, e.g. using a programmed control device or according to a measured quantity
    • H04N1/00801Circuit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thereof, e.g. using a programmed control device or according to a measured quantity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the original
    • H04N1/00809Orien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1Digital copier; digital 'photocopi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25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 H04N2201/3254Orientation, e.g. landscape or portrait; Location or order of the image data, e.g. in memo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iting Of Facsimile Originals (AREA)
  • Character Input (AREA)

Abstract

한 장의 문서를 스캐닝할 때 마다 스캔 이미지에 문자 오브젝트를 추출하고, 추출한 문자 오브젝트를 라인별로 구분한 후 각 라인의 처음과 끝의 위치에 따라 정해지는 여백 비율에 기초하여 문서 방향을 설정하고, 이전 문서의 문서 방향과 다른 경우 이미지 처리부에서 스캔 이미지를 회전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따라서 다량의 원고 문서를 스캔하기 전에 문서 방향을 정렬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용지, 문서, 문서 방향, 스캔, 여백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a는 정상적인 문서와 머리부와 꼬리부의 방향이 서로 뒤바뀐 문서가 섞여 배열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b는 문서 방향이 동일하게 정렬된 문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는 문자 영역과 그림 영역이 함께 기록된 원고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스캔 이미지에서 오브젝트를 추출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오브젝트를 추출한 결과로서 문자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문자 영역과 그림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그림 영역으로 나누어지는 스캔 이미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d는 본 발명에 따른 문서의 수평 위치에 대응하는 문자 오브젝트의 대표점의 분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e는 본 발명에 따른 라인별 문서 여백을 나타내는 경우로서, 문서 중심 위치의 오른쪽에 문서 여백이 많은 경우의 예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 다.
본 발명은 문서 방향을 올바르게 정렬하기 위한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상형성장치에서는 문서에 기록된 이미지를 스캐닝하여 획득한 스캔 이미지를 프린터에 전송하여 인쇄하는 기능과 호스트 컴퓨터로 전송하여 저장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최근 개발되고 있는 화상형성장치에서의 스캔 기능은 다량의 원고 문서를 연속적으로 스캐닝할 수 있도록 고기능화 되고 있다.
원고를 적재하기 위한 테이블에 다량의 원고를 적재하는 과정에서 문서의 방향이 일치하지 않은 문서가 섞여져 있는 경우가 있을 수 있고, 이러한 다량의 원고 문서를 일괄적으로 스캔하게 되면 스캔 이미지도 적재될 당시의 문서 방향에 따라 얻어지게 되므로, 스캔 이미지의 방향도 서로 일치하지 않게 되므로, 이러한 스캔 문서를 인쇄 작업을 완료 후 사용자가 다시 정렬해 주어야 한다. 따라서 스캔 이미지를 인쇄, 저장하는 등의 후처리 동작을 위해서는 사전에 원고 문서를 정렬해 줄 필요가 있다.
그런데 다량의 원고 문서의 문서 방향을 맞추기 위해서 낱장 원고의 문서 방향을 확인하고 문서 방향이 다른 경우 올바르게 정렬하는 작업은 번거로움이 있을 뿐 아니라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원고 문서를 스캔하여 얻은 스캔 이미지를 분석하여 문서 방향을 올바르게 정렬해 주어 번거로움을 덜어 주기 위한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스캔 이미지의 여백 정보를 이용하여 문서 방향을 판단함으로서 문서 방향의 정렬을 위한 작업에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문서를 스캐닝하여 스캔 이미지를 출력하는 스캐닝부; 상기 스캔 이미지의 문자 영역 중 이미지가 없는 여백 영역에 따라 문서 방향을 판단하는 문서방향 판단부; 및 상기 문서방향 판단부로부터 문서 방향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으며, 이전 문서의 문서 방향과 일치되도록 상기 스캐닝부의 스캔 이미지를 회전하는 이미지 처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스캐닝부에서 출력하는 스캔 이미지를 임시 저장하는 스캔 버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캔 버퍼는 상기 문서방향 판단부와 상기 이미지 처리부에 각각 스캔 이미지를 제공한다.
상기 문서방향 판단부는 상기 스캔 이미지에서 문자 오브젝트를 추출하고, 추출된 문자 오브젝트를 라인별로 구분하며, 각 라인의 처음과 끝의 위치에 따라 각 라인의 여백 비율을 인식한다.
상기 문서방향 판단부는 한 장의 문서를 스캐닝할 때 마다 스캔 이미지의 문 서 방향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며, 저장된 문서 방향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이전 문서의 문서 방향과 일치하는지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를 이미지 처리부에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문서를 스캐닝하여 스캔 이미지를 출력하고; 상기 스캔 이미지의 문자 영역 중 이미지가 없는 여백 영역에 따라 문서 방향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한 문서 방향이 이전 문서의 문서 방향과 일치하는지 판단하며; 상기 문서 방향을 판단한 결과 이전 문서의 문서 방향과 다른 경우 상기 이전 문서의 문서 방향과 일치되도록 상기 스캔 이미지를 회전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상기 문서 방향의 설정은 상기 스캔 이미지에서 문자 오브젝트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문자 오브젝트의 대표점을 추출하며, 상기 문자 오브젝트의 대표점의 높이에 따라 라인별로 구분하며, 각 라인의 처음과 끝의 위치에 따라 각 라인의 여백 비율을 인식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상기 문서 방향의 설정은 한 장의 문서를 스캐닝할 때 마다 수행하고, 설정한 문서 방향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스캔 이미지의 회전은 문서의 머리부와 꼬리부를 바뀌기 위해 스캔 이미지를 180도 회전시킨다.
상기 스캔 이미지를 회전 후 이미지 개선을 위한 처리를 하고, 개선된 스캔 이미지를 프린터 또는 컴퓨터에 전송하는 동작을 더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설명 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스캐닝부(100), 스캔버퍼(200), 이미지 처리부(300), 문서방향 판단부(400), 프린터(500), 컴퓨터(600)를 포함한다.
스캐닝부(100)는 원고 문서를 스캐닝하여 스캔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것으로, 원고 이송 경로 상에 설치하는 이미지 센서를 이용하여 원고 문서의 이미지를 스캔한다. 이미지 센서로는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IS(Contact Image Sensor)가 적용된다.
스캔 버퍼(200)는 스캐닝부(100)로부터 제공되는 원고 문서의 스캔 이미지를 임시 저장하고, 스캔 이미지를 이미지 처리부(300)와 문서방향 판단부(400)에 각각 제공한다.
이미지 처리부(300)는 인쇄 또는 저장하기 위한 후속 작업에 적절하도록 스캔 이미지의 글자를 뚜렷하게 하거나 배경 화상 처리 등의 이미지 인핸스먼트(image enhancement)를 담당한다. 이미지 처리부(300)에 의하여 개선된 스캔 이미지는 유선 또는 무선의 접속 수단을 통하여 프린터(500) 또는 컴퓨터(600)에 전송된다.
문서방향 판단부(400)는 스캔 버퍼(200)로부터 제공받은 스캔 이미지의 문서 방향에 대한 정보를 이미지 처리부(300)에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문서 방향이 바뀌어진 스캔 이미지에 대해서, 이미지 처리부(300)는 문서방향 판단부(400)에서 제공받은 문서 방향 정보를 토대로 하여 스캔 버퍼(200)에서 제공받은 스캔 이미지 의 문서 방향을 회전하고 나서 이미지 개선을 위한 처리 동작을 수행한다.
본 실시 예에서 문서방향 판단부(400)가 판단하는 문서 방향은 2가지 경우로 구분하는데, 문서방향 판단부(400)는 원고 문서를 정 위치에 적재하여 스캔한 경우인지 아니면 정 위치에서 180도 회전되어서 즉 문서의 머리부와 꼬리부가 뒤바뀌어서 스캔된 경우인지를 판단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첫째와 셋째 문서(11)(13)가 올바로 배열된 경우라고 하면 둘째와 넷째 문서(12)(14)는 문서 방향이 잘못 배열된 것인데, 이렇게 배열된 원고 문서를 스캔한 스캔 이미지가 이미지 처리부(300)에 제공되더라도, 이미지 처리부(300)에서는 도 2b와 같이 문서 방향이 동일하게 정렬된 문서로 바꾸어서 처리하도록 하기 위하여 문서방향 판단부(400)는 문서 방향에 대한 정보를 이미지 처리부(300)에 제공한다.
문서방향 판단부(400)에서 스캔 이미지의 여백 정보를 이용하여 문서 방향을 판단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도 3a에 도시한 샘플 원고 문서(21)에는 문자와 그림을 포함하고 있다. 이 샘플 원고 문서(21)는 적재 테이블의 정위치(X, Y)에 놓여진 경우이다.
스캐닝부(100)가 샘플 원고 문서(21)를 스캔하여 그 샘플 원고 문서의 스캔 이미지를 스캔 버퍼(200)에 제공한다.
문서방향 판단부(400)는 스캔 버퍼(200)로부터 샘플 원고 문서의 스캔 이미지를 제공받고, 그 스캔 이미지에서 오브젝트를 추출한다. 여기서 문서방향 판단부(400)는 이진화된 스캔 이미지에서 "0"으로 둘러싸인 영역인 오브젝트를 추출한 다. 추출된 오브젝트의 예로는 문자 오브젝트, 그림 오브젝트가 있다. 문자 오브젝트, 예를 들어 도 3b와 같이, 추출된 복수의 문자 오브젝트 중 선두 오브젝트(22)는 폭이 x1이고 높이가 y1이다.
문서방향 판단부(400)는 오브젝트를 추출하고 나서 각각의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대표점을 추출하고, 대표점의 높이에 따라 라인별로 묶는다. 이러한 처리를 거치면 도 3c와 같이 스캔 이미지(31)에는 문자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문자 영역(32)과 그림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그림 영역(33)으로 구분된다.
한 장의 문서에서 문자 영역(32)의 문자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각각의 대표점의 분포는, 도 3d와 같이 수평 위치에 대하여 불특정하게 나타난다. 즉 문서 중심위치(Xc)를 기준으로 왼쪽에 분포하는 대부분의 대표점(Xc1)은 동일한 수평 위치를 가지는 빈도가 기준 개수(m)보다 많음에 반하여 문서 중심위치(Xc)를 기준으로 오른쪽에 분포하는 대표점(Xc2)은 동일한 수평 위치를 가지는 빈도가 기준 개수(m) 보다 적다.
문장을 시작하는 위치는 대부분 일치되고 문장을 마치는 위치는 제 각각 다르게 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문자 오브젝트의 대표점의 위치를 보고 문장의 여백을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문자 오브젝트의 대표점의 위치에 따라 그룹으로 나누면, 도 3e에 도시한 스캔 문서(41)에는 라인 시작에 대응하는 문자 오브젝트의 대표점의 수평 위치가 일치하는 제1그룹(42)와, 라인 마지막에 대응하는 문자 오브젝트의 대표점의 수평 위치가 모두 일치하지 않으나 실질적으로 문자가 기록될 수 있는 여백이 없어 다음 라인으로 넘어가는 제2그룹(43)과, 라인 마지막에 대응하는 문자 오브젝트의 대표점의 수평 위치가 일치하지 않고 실질적으로 문자가 기록될 수 있는 여백이 남아 있는 제3그룹(44)이 있다.
문서방향 판단부(400)는 제3그룹(44)에 속하는 문자 오브젝트가 있으면 여백 비율이 크기 때문에, 그러한 여백 비율에 기초하여 문서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원고 문서를 한 장 스캔하는 경우 문서방향 판단부(400)는 그 스캔 문서에 대응하는 문서 번호에 문서 방향 정보를 매칭시켜 저장한다.
문서를 연속 스캔하는 경우, 문서 방향 판단부(400)는 이전 문서의 문서 방향 정보와 비교하여 이전 문서와 문서 방향이 일치하는지 판단하고, 그 결과에 따른 문서 방향 정보를 이미지 처리부(300)에 제공하여 그에 대응하는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원고 적재 테이블에 원고 문서를 적재하게 되면 자동적으로 원고 문서를 이송하여 스캐닝하는 장치에 적용한 경우의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한 장의 원고 문서를 스캐닝부(100)로 이송시키면, 스캐닝부(100)는 이미지 센서를 이용하여 원고 문서를 스캐닝하고, 스캔 이미지를 스캔 버퍼(200)에 제공한다(700).
스캔 버퍼(200)는 스캔 이미지를 임시 저장하고, 이미지 처리부(300)와 문서방향 판단부(400)의 요구에 따라 스캔 이미지를 각각 제공한다.
문서방향 판단부(400)는 스캔 버퍼(200)로부터 제공받은 스캔 이미지에 포함 된 문자 오브젝트, 그림 오브젝트 등의 오브젝트를 추출한다(702).
그런 다음 문서방향 판단부(400)는 오브젝트의 폭과 높이에 기초하여 문자 오브젝트 이외의 오브젝트를 제외시켜 문자 오브젝트만을 추출한다. 이에 따라 도 3c의 스캔 문서(31)에는 문자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문자 영역(32)과 그림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그림 영역(33)으로 구분된다(704).
그런 다음 문서방향 판단부(400)는 문자 오브젝트의 대표점을 추출하고 추출한 오브젝트의 대표점의 높이가 일정 범위 내에 속하는 것을 하나의 라인으로 정하는 방식으로 하여 문자 오브젝트를 라인 단위로 구분한다(706).
그런 다음 문서방향 판단부(400)는 라인의 처음과 마지막 오브젝트의 수평 위치에 따라 도 3e와 같이 제1 내지 제3그룹으로 구분하고 나서, 제3그룹(44)이 발생하는가에 따라 문서의 여백을 인식한다(708).
그런 다음 문서방향 판단부(400)는 문서의 여백이 분포하는 비율에 따라 문서의 방향을 설정하는데, 문서의 중앙 위치(Xc)를 기준으로 왼쪽(Xc1)과 오른쪽(Xc2) 중 어느 쪽에 제3그룹(44)이 많이 분포하는 가에 따라 문서 방향을 설정한다(710).
그런 다음 문서방향 판단부(400)는 설정된 문서 방향 정보를 저장하고 나서, 이전에 저장된 이전 문서의 문서 방향 정보와 비교하고, 그 결과 현재 문서의 문서 방향이 이전 문서의 문서 방향과 일치하는지 판단하고(714),
그 판단 결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방향 판단부(400)는 이미지 처리부(300)는 스캔 문서의 방향이 잘못된 에러의 발생을 전송하며(716), 이미지 처리 부(300)는 스캔 버퍼(200)로부터 제공받은 현재 문서의 스캔 이미지를 방향을 바꾸는데, 문서의 머리부와 꼬리부를 180도 회전시킨다(718).
그런 다음 이미지 처리부(300)는 문서 방향을 바꾼 스캔 이미지를 개선하기 위한 처리 동작을 수행하고(720), 이후 개선된 스캔 이미지를 프린터(500)나 컴퓨터(600)에 전송한다(722).
동작 714의 판단 결과 이전 문서의 방향과 일치하는 경우, 문서방향 판단부(400)는 스캔 문서의 방향이 정상 상태 즉 이전 문서의 문서방향과 일치함을 이미지 처리부(300)에 제공한다(717). 이에 따라 이미지 처리부(300)는 스캔 버퍼(200)로부터 제공받은 현재 문서의 스캔 이미지를 개선하기 위한 처리 동작을 수행하고(719), 이후 개선된 스캔 이미지를 프린터(500)나 컴퓨터(600)에 전송한다(722).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스캔 이미지에서 오브젝트를 추출한 후 그 오브젝트의 좌표 위치에 따라 문자 영역의 여백 비율을 인식하고 이러한 여백 정보에 기초하여 문서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연속 스캔하는 문서의 방향을 일치되게 하여 처리할 수 있어서 기존과 같이 원고 문서를 사용자가 정렬해 주어야 하는 번거로운 작업을 하지 않아도 스캔 이미지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올바르게 정렬해 줄 있어서 사용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다.

Claims (9)

  1. 문서를 스캐닝하여 스캔 이미지를 출력하는 스캐닝부;
    상기 스캔 이미지의 문자 영역 중 이미지가 없는 여백 영역에 따라 문서 방향을 판단하는 문서방향 판단부; 및
    상기 문서방향 판단부로부터 문서 방향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으며, 이전 문서의 문서 방향과 일치되도록 상기 스캐닝부의 스캔 이미지를 회전하는 이미지 처리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캐닝부에서 출력하는 스캔 이미지를 임시 저장하는 스캔 버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캔 버퍼는 상기 문서방향 판단부와 상기 이미지 처리부에 각각 스캔 이미지를 제공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서방향 판단부는 상기 스캔 이미지에서 문자 오브젝트를 추출하고, 추출된 문자 오브젝트를 라인별로 구분하며, 각 라인의 처음과 끝의 위치에 따라 각 라인의 여백 비율을 인식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서방향 판단부는 한 장의 문서를 스캐닝할 때 마다 스캔 이미지의 문서 방향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며, 저장된 문서 방향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이전 문서의 문서 방향과 일치하는지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를 이미지 처리부에 제공하는 화상형성장치.
  5. 문서를 스캐닝하여 스캔 이미지를 출력하고;
    상기 스캔 이미지의 문자 영역 중 이미지가 없는 여백 영역에 따라 문서 방향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한 문서 방향이 이전 문서의 문서 방향과 일치하는지 판단하며;
    상기 문서 방향을 판단한 결과 이전 문서의 문서 방향과 다른 경우 상기 이전 문서의 문서 방향과 일치되도록 상기 스캔 이미지를 회전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문서 방향의 설정은
    상기 스캔 이미지에서 문자 오브젝트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문자 오브젝트의 대표점을 추출하며,
    상기 문자 오브젝트의 대표점의 높이에 따라 라인별로 구분하며,
    각 라인의 처음과 끝의 위치에 따라 각 라인의 여백 비율을 인식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문서 방향의 설정은 한 장의 문서를 스캐닝할 때 마다 수행하고, 설정한 문서 방향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 이미지의 회전은 문서의 머리부와 꼬리부를 바뀌기 위해 스캔 이미지를 180도 회전시키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 이미지를 회전 후 이미지 개선을 위한 처리를 하고, 개선된 스캔 이미지를 프린터 또는 컴퓨터에 전송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KR1020070070520A 2007-07-13 2007-07-13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1987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0520A KR101198769B1 (ko) 2007-07-13 2007-07-13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2/103,897 US8553239B2 (en) 2007-07-13 2008-04-16 Image forming apparatus to correct misaligned scanned document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0520A KR101198769B1 (ko) 2007-07-13 2007-07-13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986A true KR20090006986A (ko) 2009-01-16
KR101198769B1 KR101198769B1 (ko) 2012-11-12

Family

ID=40252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0520A KR101198769B1 (ko) 2007-07-13 2007-07-13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553239B2 (ko)
KR (1) KR1011987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30417B2 (en) * 2007-06-14 2012-03-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JP2017151493A (ja) * 2016-02-22 2017-08-3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読み取り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6592873B2 (ja) * 2016-09-28 2019-10-23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画像形成装置、画像読取方法及び画像読取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30612B2 (ja) * 1989-10-05 1999-08-03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3251959B2 (ja) * 1991-10-17 2002-01-28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US5383754A (en) * 1992-02-27 1995-01-24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n image orientation identifying device and a binding device
JP3108979B2 (ja) * 1994-07-28 2000-11-1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処理装置
JPH09222824A (ja) * 1996-02-19 1997-08-26 Toshiba Corp 画像処理装置
JP3684036B2 (ja) * 1997-07-03 2005-08-1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US6750988B1 (en) * 1998-09-11 2004-06-15 Roxio, Inc. Method and system for scanning images in a photo kiosk
JP4227286B2 (ja) 2000-05-17 2009-02-1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記憶媒体
US7239747B2 (en) * 2002-01-24 2007-07-03 Chatterbox Systems, Inc. Method and system for locating position in printed texts and delivering multimedia information
US20050183033A1 (en) * 2004-02-18 2005-08-18 Yaniv Feinberg Apparatus and methods for displaying dialog box text messages including languages having different reading orders
EP1628240B1 (en) * 2004-08-10 2008-03-05 Océ-Technologies B.V. Outlier detection during scann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553239B2 (en) 2013-10-08
KR101198769B1 (ko) 2012-11-12
US20090015887A1 (en) 2009-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28240B1 (en) Outlier detection during scanning
US6959121B2 (en) Document image processing device, document image processing method, and memory medium
US8131081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JPS58103266A (ja) 文字画像処理装置
US963930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ctivating scanned data processor based on captured image
US20080018950A1 (en) Image reading apparatus, image reading method, and image reading program
KR101198769B1 (ko)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9826118B2 (en) Image formation apparatus
US7983485B2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symbols for processing images
US20180091671A1 (en) Image Reading Apparatus and Image Reading Method That Simply Detect Document Direction in Reading of Book Document, and Recording Medium Therefor
JP2007005950A (ja) 画像処理装置及び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7487523B2 (ja) 画像読取装置、画像読取システム、画像読取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9157858A (ja) 印刷検査装置
US20090021803A1 (en) Image reading apparatus, image-reading processing apparatus, image read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10244144B1 (en) System and method for de-skew of scanned images
US20180247166A1 (en) Character recognition device, character recognit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5978620A (en) Recognizing job separator pages in a document scanning device
US9886648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generating arranged image data representing arranged image in which images are arranged according to determined relative position
JP2017091419A (ja) 情報処理装置、画像読み取り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9157869A (ja) 印刷検査装置
US10623598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extracting and connecting inherent regions of multiple pages of document data
JPWO2020183628A1 (ja) 画像処理装置、画像読取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247089B2 (en) Scanning apparatus
JP2023131230A (ja) 画像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US11521403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for a read image of an orig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