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3351U - Fire sensor having integrated terminal - Google Patents

Fire sensor having integrated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3351U
KR20090003351U KR2020070016282U KR20070016282U KR20090003351U KR 20090003351 U KR20090003351 U KR 20090003351U KR 2020070016282 U KR2020070016282 U KR 2020070016282U KR 20070016282 U KR20070016282 U KR 20070016282U KR 20090003351 U KR20090003351 U KR 2009000335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contact
pair
integrated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6282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홍영
Original Assignee
삼호아이엔디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호아이엔디 (주) filed Critical 삼호아이엔디 (주)
Priority to KR20200700162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3351U/en
Publication of KR200900033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3351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체형 단자를 가지는 화재감지기에 관한 것으로, 베이스와, 한 쌍의 일체형 단자와, 상기 한 쌍의 일체형 단자 각각을 수용 및 고정하는 한 쌍의 단자홈과, 상기 베이스 전면에 형성된 감지부 결합홈을 포함하는 미들베이스부; 상기 감지부 결합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돌기에 의해 상기 미들베이스부와 결합됨으로써 미도시된 화재 감지 센서에 전원을 공급하는 감지부; 및 천장에 부착되어 외부 전원을 상기 미들베이스부를 통해 상기 감지부로 공급하는 베이스부; 를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일체형 단자 각각은 제1 폭을 가지는 장방형의 감지부 접점과, 제2 폭을 가지는 장방형의 베이스 접점 및 일측단은 상기 제1 폭을 가지고 상기 감지부 접점에 연결되고 타측단은 제2 폭을 가지고 상기 베이스 접점에 연결되되 상기 그 연결 부분에서 소정의 높이를 가지도록 절곡되어 상기 감지부 접점과 베이스 접점을 통전되도록 하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e detector having an integrated terminal, comprising a base, a pair of integrated terminals, a pair of terminal grooves for receiving and fixing each of the pair of integrated terminals, and a sensing unit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ase. A middle base portion including a groove; A detector for supplying power to a fire detection sensor (not shown) by being coupled with the middle base by a protrusion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detector coupling groove; And a base unit attached to a ceiling to supply external power to the sensing unit through the middle base unit. Includes, but each of the pair of integrated terminal has a rectangular sensing contact point having a first width, a rectangular base contact having a second width and one side end is connected to the sensing section contact with the first width The other end has a second width and is connected to the base contact, but is bent to have a predetermined height at the connection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nector for energizing the sensor contact and the base contact.

화재감지기, 미들베이스, 일체형, 단자 Fire Detector, Middle Base, Integrated, Terminal

Description

일체형 단자를 가지는 화재감지기{Fire sensor having integrated terminal}Fire sensor having integrated terminal

본 고안은 일체형 단자를 가지는 화재감지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일체형 단자를 이용하여 리벳(rivet) 작업 없이 미들베이스부에 일체형 단자를 고정함으로써 전류 전도율이 높고, 동작시 접점불량을 줄일 수 있는 일체형 단자를 가지는 화재감지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e detector having an integrated terminal, and in particular, by using an integrated terminal, the integrated terminal is fixed to the middle base unit without riveting to increase the current conductivity and reduce the contact failure during operation. Eggplant relates to fire detectors.

종래 화재감지기와 관련된 기술은 등록 실용신안 제0421773호 '화재감지기'외에 다수가 등록 및 출원된 상태이다.Conventional technologies related to fire detectors have been registered and filed in addition to registered utility model No. 0421773 'Fire Detector'.

상기 화재감지기는 상면에 한 쌍의 수신기 연결단자가 설치된 베이스와, 저면에 한 쌍의 베이스 연결단자가 형성되고 상면에 한 쌍의 감지회로 연결단자가 상기 각 베이스 연결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각 베이스 연결단자가 상기 각 수신기 연결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는 지지판과, 한 쌍의 감지회로 단자를 갖는 화재감지회로가 구현되어 있고 상기 각 감지회로 단자가 상기 각 감기회로 연결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지지판에 장착되는 피시비와 상기 피시비를 둘러싸도록 상기 지지판에 결합되는 캡을 갖는 화재감지기에 있어서, 상기 감지회로 연결단자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으로부 터 직각으로 절곡 형성된 지지턱판과, 상기 지지턱판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지지턱판보다 작은 폭을 갖도록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접촉판과, 상기 접촉판 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하향경사를 이루도록 상기 접촉판의 일측 외표면에 형성된 접촉탄성판을 포함하며, 상기 감지회로단자는 내벽면에 내벽도전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접촉판이 하방향으로부터 삽일될 때 상기 접촉탄성판이 상기 내벽도전층에 가압 접촉될 수 있는 폭과 상기 지지턱판보다 작은 길이를 갖는 슬릿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e detector is formed such that a base having a pair of receiver connection terminals form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 pair of base connection terminals formed on a lower surface thereof, and a pair of sensing circuit connection terminal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respective base connection terminals. A fire detection circuit having a support plate fixed to the base and a pair of sensing circuit terminals is implemented such that each base connecting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receiver connecting terminal, and each sensing circuit terminal is connected to each winding circuit. In a fire detector having a PCB mounted on the support plate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 and a cap coupled to the support plate to surround the PCB, the sensing circuit connecting terminal is a support plate and bent at a right angle from the fixing plate A width smaller than the support jaw plate from the upper end of the jaw plate and the support jaw plate And a contact plate extending upwardly to have a contact elastic plate formed on one outer surface of the contact plate so as to form a downward slop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contact plate, wherein the sensing circuit terminal has an inner wall conductive layer formed on an inner wall surface thereof. When the contact plate is inserted from the downward direction is formed and the contact elastic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a slit shape having a width that can be in pressur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conductive layer and a length smaller than the support jaw plate.

그러나 상기 화재감지기는 각 단자를 리벳(rivet) 작업을 통하여 미들베이스에 고정시키기 때문에, 공정상의 번거로움이 있었다.However, the fire detector fixed each terminal to the middle base through a riveting operation, there was a hassle in the process.

또한, 상기 화재감지기는 분리되어 있던 두 개의 단자를 결합하기 때문에, 전류전도율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fire detector has a problem that the current conductivity is low because it combines two separate terminals.

그리고 상기 화재감지기는 외부 압력에 의해 단자의 외형이 변화하기 때문에, 접점불량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external shape of the terminal is changed by the external pressure, the fire detector also has problems such as poor contact.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목적은 두 개의 단자 사이의 리벳 작업을 생략하여 생산성을 증가시키는 일체형 단자를 가지는 화재감지기를 제공함에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re detector having an integrated terminal to increase the productivity by eliminating the riveting operation between the two terminals.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일체형 단자를 사용함으로써 전류 전도율이 높은 일체형 단자를 가지는 화재감지기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re detector having an integrated terminal having a high current conductivity by using an integrated terminal.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일체형 단자를 사용함으로써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일체형단자를 가지는 화재감지기 제공함에도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re detector having an integrated terminal which can minimize a defective rate by using an integrated terminal.

상술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일체형 단자를 가지는 화재감지기에 관한 것으로서, 베이스와, 한 쌍의 일체형 단자와, 상기 한 쌍의 일체형 단자 각각을 수용 및 고정하는 한 쌍의 단자홈 및 상기 베이스 전면에 형성된 감지부 결합홈을 포함하는 미들베이스부; 상기 감지부 결합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돌기에 의해 상기 미들베이스부와 결합됨으로써 미도시된 화재 감지 센서에 전원을 공급하는 감지부; 및 천장에 부착되어 외부 전원을 상기 미들베이스부를 통해 상기 감지부로 공급하는 베이스부; 를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일체형 단자 각각은 제1 폭을 가지는 장방형의 감지부 접점과, 제2 폭을 가지는 장방형의 베이스 접점과, 일측단은 상기 제1 폭을 가지고 상기 감지부 접점에 연결되고 타측단은 제2 폭을 가지고 상기 베이스 접점에 연결되되 상기 그 연결 부분에서 소정의 높이를 가지도록 절곡되어 상기 감지부 접점과 베이스 접점을 통전되도록 하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relates to a fire detector having an integrated terminal, a pair of terminal grooves for receiving and fixing the base, a pair of integrated terminals, and each of the pair of integrated terminals and the base front A middle base part including a sensing part coupling groove formed in the middle part; A detector for supplying power to a fire detection sensor (not shown) by being coupled with the middle base by a protrusion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detector coupling groove; And a base unit attached to a ceiling to supply external power to the sensing unit through the middle base unit. Each of the pair of integrated terminals includes a rectangular sensing contact having a first width, a rectangular base contact having a second width, and one end connected to the sensing contact with the first width. And the other end has a second width and is connected to the base contact, and is bent to have a predetermined height at the connection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nector for energizing the sensor contact and the base contact.

바람직하게 상기 한 쌍의 단자홈 각각은, 상기 일체형 단자의 커넥터를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감지부 접점을 상기 베이스의 전면으로 관통하도록 하는 감지부 접점홀과, 상기 감지부 접점홀에 대향되는 방향에 상기 커넥터의 절곡된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는 베이스부 접점 거치대 및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커넥터를 고정시키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each of the pair of terminal grooves includes an accommodating part accommodating the connector of the integrated terminal, a sensing part contact hole formed at an end of the accommodating part to allow the sensing part contact to pass through the front surface of the base, and And a base fixing contact holder having a height equal to the bent height of the connector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sensing contact hole, and a cover for fixing the connector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art.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감지부는, 상기 감지부 결합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돌기에 의해 상기 미들베이스부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lso preferably, the sensing unit is coupled to the middle base unit by a protrusion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nsing unit coupling groove.

그리고 바람직하게 상기 베이스부는, 천장에 부착되는 판넬에 고정된 상태에서 일측단은 미도시된 외부 전선과 연결되어 있고, 타측단은 상기 베이스 접점과 연결되는 한 쌍의 베이스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preferably, the base portion is fixed to the panel attached to the ceiling, one end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wire not shown, the other en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air of base terminals connected to the base contact do.

본 고안에 의하면, 두 개의 단자 사이의 리벳 작업을 생략하여 생산성 증가의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of increasing the productivity by eliminating the riveting operation between the two terminals.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일체형 단자를 사용함으로써 전류 전도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increase the current conductivity by using an integrated terminal.

그리고, 본 고안에 의하면, 일체형 단자를 사용함으로써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failure rate can be minimized by using an integrated terminal.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단자를 가지는 화재감지기에 관한 전체적인 구성을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ures 1 to 4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fire detector having an integrated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follows.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재감지기의 분해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단자를 가지는 화재감지기의 미들베이스 전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단자를 가지는 화재감지기의 미들베이스 후면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단자를 가지는 화재감지기의 미들베이스 후면 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ire det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view of the middle base of the fire detector having an integrated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iddle base rear view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ire detector having an integrated terminal according to an example, Figure 4 is a middle perspective rear perspective view of a fire detector having an integrated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단자를 가지는 화재감지기는 미들베이스부(100), 감지부(200), 베이스부(30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a fire detector having an integrated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iddle base part 100, a detection part 200, and a base part 300.

상기 미들베이스부(100)는 상기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B), 한 쌍의 일체형 단자(110), 한 쌍의 단자홈(120),및 상기 베이스(B) 전면에 형성된 감지부 결합홈(130)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2 and 3, the middle base part 100 has a base B, a pair of integrated terminals 110, a pair of terminal grooves 120, and a front surface of the base B. It includes a sensing unit coupling groove 130 formed.

상기 한 쌍의 일체형 단자(110) 각각은 도전성 재질로서, 상기 베이스(B) 후면에 일체형으로 부착되어 상기 감지부와 베이스부를 전기적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바, 제1 폭(W1)을 가지는 장방형의 감지부 접점(111)과, 제2 폭(W2)을 가지는 장방형의 베이스 접점(112) 및 일측단은 상기 제1 폭(W1)을 가지고 상기 감지부 접점에 연결되고 타측단은 제2 폭(W2)을 가지고 상기 베이스 접점(112)에 연결되되 상기 그 연결 부분에서 소정의 높이를 가지도록 절곡되어 상기 감지부 접점(111)과 상기 베이스 접점(112)을 통전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커넥터(113)를 포함한다. Each of the pair of integrated terminals 110 is a conductive material, and is integrally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base B to electrically connect the sensing unit and the base unit, and has a first width W1. Has a first width W1 and a base contact 112 having a second width W2, and a base portion 112 having a first width W1, and a second width W2. A connector (W2) connected to the base contact 112 and bent to have a predetermined height at the connection portion to perform a function of energizing the sensor contact 111 and the base contact 112 (113).

마지막으로, 상기 한 쌍의 단자홈(120) 각각은 상기 일체형 단자(110)의 커넥터(113)를 수용하는 수용부(121)와 상기 수용부(121)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감 지부 접점(111)을 상기 베이스(B)의 전면으로 관통하도록 하는 감지부 접점홀(122)과, 상기 감지부 접점홀(122)에 대향되는 방향에 상기 커넥터(113)의 절곡된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는 베이스부 접점 거치대(123)와, 상기 수용부(121)에 수용된 상기 커넥터(113)를 고정시키는 커버(C)를 포함한다. Finally, each of the pair of terminal grooves 120 is formed at an end of the accommodating part 121 and the accommodating part 121 for accommodating the connector 113 of the integrated terminal 110 and the sensing part contact ( And a sensing unit contact hole 122 for penetrating 111 to the front surface of the base B and a height equal to the bent height of the connector 113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sensing unit contact hole 122. A base portion contact holder 123 and a cover (C) for fixing the connector 113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121.

각 부의 상세한 설명을 위하여 상기 미들베이스부(100)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해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미들베이스부(100)는 별도의 사출성형용 금형부분에 상기 일체형 단자(110)를 올려놓고 사출시킴으로써, 단자와 일체형의 미들베이스부(100)를 제작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For the detailed description of each part, the middle base part 100 is disassembled and explained as shown in FIG. 3, but the middle base par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eparate injection molding die part of the integrated terminal 110. Of course, by placing the injection, it is natural that the middle base portion 100 with the terminal can be manufactured.

또한, 상기 감지부(200)는 상기 미들베이스부(100)의 감지부 결합홈(130)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돌기(210)에 의해 상기 미들베이스부(100)와 결합됨으로써 상기 감지부 접점(111)으로부터 미도시된 화재 감지 센서에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In addition, the sensing unit 200 is coupled to the middle base unit 100 by a protrusion 210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nsing unit coupling groove 130 of the middle base unit 100 to contact the sensing unit. It performs a function of supplying power to the fire detection sensor not shown from (111).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3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전원을 상기 미들베이스부(100)를 통해 상기 감지부(200)로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바, 천장에 부착되는 판넬(P)에 고정된 상태에서 일측단은 미도시된 외부 전선과 연결되어 있고, 타측단은 상기 미들베이스부(100)의 베이스 접점(112)과 연결되는 한 쌍의 베이스 단자(31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1, the base unit 300 performs a function of supplying external power to the sensing unit 200 through the middle base unit 100. One side end is connected to an external wire (not shown) in the state fixed to P), and the other end includes a pair of base terminals 310 connected to the base contact 112 of the middle base portion 100. .

이상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for illustra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s shown and described as described above, it is a deviation from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many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all such suitable change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s should be consider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재감지기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e det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단자의 화재감지기 미들베이스의 전면 사시도.Figure 2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the fire detector middle base of the integrated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단자의 화재감지기 미들베이스의 후면 분해 사시도.3 is a rear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ire detector middle base of the integrated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단자의 화재감지기 미들베이스의 후면 사시도. Figure 4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fire detector middle base of the integrated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 Descrip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100 : 미들베이스부100: middle base part

110 : 일체형 단자110: integrated terminal

120 : 단자홈120: terminal groove

130 : 감지부 결합홈130: sensing groove

B : 미들베이스부 베이스B: middle base base

C : 단자홈 커버C: Terminal groove cover

P : 베이스부 판넬P: Base Panel

Claims (4)

일체형 단자를 가지는 화재감지기에 있어서, In a fire detector having an integrated terminal, 베이스(B)와, 한 쌍의 일체형 단자(110)와, 상기 한 쌍의 일체형 단자 각각을 수용 및 고정하는 한 쌍의 단자홈(120)과, 상기 베이스(B) 전면에 형성된 감지부 결합홈(130)을 포함하는 미들베이스부(100);A base (B), a pair of integrated terminals (110), a pair of terminal grooves (120) for accommodating and fixing each of the pair of integrated terminals, and a sensing unit coupling groov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ase (B) A middle base part 100 including a 130; 상기 감지부 결합홈(130)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돌기(210)에 의해 상기 미들베이스부(100)와 결합됨으로써 미도시된 화재 감지 센서에 전원을 공급하는 감지부(200); 및A detection unit (200) for supplying power to a fire detection sensor (not shown) by being coupled with the middle base unit (100) by a protrusion (210)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detection unit coupling groove (130); And 천장에 부착되어 외부 전원을 상기 미들베이스부(100)를 통해 상기 감지부(200)로 공급하는 베이스부(300); 를 포함하되, A base unit 300 attached to a ceiling to supply external power to the sensing unit 200 through the middle base unit 100;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상기 한 쌍의 일체형 단자(110) 각각은 제1 폭을 가지는 장방형의 감지부 접점(111)과, Each of the pair of integrated terminals 110 includes a rectangular sensing unit contact 111 having a first width, 제2 폭을 가지는 장방형의 베이스 접점(112)과, A rectangular base contact 112 having a second width, 일측단은 상기 제1 폭을 가지고 상기 감지부 접점(111)에 연결되고 타측단은 제2 폭을 가지고 상기 베이스 접점(112)에 연결되되 상기 그 연결 부분에서 소정의 높이를 가지도록 절곡되어 상기 감지부 접점(111)과 베이스 접점(112)을 통전되도록 하는 커넥터(1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단자를 가지는 화재감지기.One end is connected to the sensing unit contact 111 with the first width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base contact 112 with the second width but bent to have a predetermined height at the connection portion. Fire detector having an integrated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nector 113 for energizing the detector contact 111 and the base contact 112.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한 쌍의 단자홈(120) 각각은,Each of the pair of terminal grooves 120, 상기 일체형 단자의 커넥터(113)를 수용하는 수용부(121)와,An accommodating part 121 accommodating the connector 113 of the integrated terminal; 상기 수용부(121)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감지부 접점(111)을 상기 베이스의(B) 전면으로 관통하도록 하는 감지부 접점홀(122)과, A sensing unit contact hole 122 formed at an end of the receiving unit 121 to penetrate the sensing unit contact 111 to the front surface of the base B; 상기 감지부 접점홀(122)에 대향되는 방향에 상기 커넥터(113)의 절곡된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는 베이스부 접점 거치대(123)와,A base contact holder 123 having the same height as the bent height of the connector 113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etector contact hole 122; 상기 수용부(121)에 수용된 상기 커넥터(113)를 고정시키는 커버(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단자를 가지는 화재감지기.Fire detector having an integrated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ver (C) for fixing the connector 113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121).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감지부(200)는,The detection unit 200, 상기 감지부 결합홈(130)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돌기(210)에 의해 상기 미들베이스부(100)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단자를 가지는 화재감지기.Fire detector having an integrated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middle base portion 100 by a protrusion 210 formed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detection unit coupling groove (130).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베이스부(300)는,The base portion 300, 천장에 부착되는 판넬(P)에 고정된 상태에서 일측단은 미도시된 외부 전선과 연결되어 있고, 타측단은 상기 베이스 접점(112)과 연결되는 한 쌍의 베이스 단자(3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단자를 가지는 화재감지기.In the state fixed to the panel (P) attached to the ceiling one end is connected to an external wire not shown, the other end includes a pair of base terminals 310 connected to the base contact 112 A fire detector having an integrated terminal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KR2020070016282U 2007-10-06 2007-10-06 Fire sensor having integrated terminal KR20090003351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6282U KR20090003351U (en) 2007-10-06 2007-10-06 Fire sensor having integrated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6282U KR20090003351U (en) 2007-10-06 2007-10-06 Fire sensor having integrated termi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3351U true KR20090003351U (en) 2009-04-09

Family

ID=41320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6282U KR20090003351U (en) 2007-10-06 2007-10-06 Fire sensor having integrated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3351U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9229B1 (en) * 2019-10-16 2021-01-07 주식회사 예람 adaptor housing assembly of fire detec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9229B1 (en) * 2019-10-16 2021-01-07 주식회사 예람 adaptor housing assembly of fire detec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75805B2 (en) Electrical terminal
US7794253B2 (en) Coaxial connector with a new type of contact
US8801467B2 (en) Electrical connector
KR101328321B1 (en) Electric Connector with Multi-transmission Interfaces
CN105024230B (en) Positive anti-plug USB plug
US9466929B2 (en) Plug connector with firmly fixed terminals
KR20160002255U (en) Power supply plug connector for forward and reverse plugging
TWM265801U (en) Electrical socket
US7393246B2 (en) Transfer card structure
US10062997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contacts
US10079444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conductive balls
CN106911026A (en) Electric connector and its manufacture method
TWI543479B (en) Switch connector and making method of switch connector
KR20090003351U (en) Fire sensor having integrated terminal
JP4141468B2 (en) Electrical connector
TWM385114U (en) Electrical connector
KR101651653B1 (en) Wire to wire connector assembly
KR101693024B1 (en) A signal transfer assembly for sensor
KR102102588B1 (en) Plug device and power distribution system
US6503106B1 (en) Electric jack
CN106352308B (en) LED electric connector and LED lamp
CN108232490B (en) Spring plate fixing piece
US8105095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CN106711644B (en) Double-contact connector suitable for mating and PCB connecting structure
KR102388832B1 (en) Connector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