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2021A - Terminal for receiving audio streaming broadcast and server for providing audio streaming broadcast - Google Patents

Terminal for receiving audio streaming broadcast and server for providing audio streaming broadcas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2021A
KR20090002021A KR1020070053791A KR20070053791A KR20090002021A KR 20090002021 A KR20090002021 A KR 20090002021A KR 1020070053791 A KR1020070053791 A KR 1020070053791A KR 20070053791 A KR20070053791 A KR 20070053791A KR 20090002021 A KR20090002021 A KR 200900020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streaming
streaming broadcast
channel
terminal
aud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379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철환
김성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빈
Priority to KR10200700537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2021A/en
Publication of KR20090002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2021A/en

Links

Images

Landscapes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An audio streaming broadcasting reception terminal and an audio streaming broadcasting server are provided to provide various audio streaming broadcasting channels in a simple method. A sound source managing unit(102) stores and manages sound source. A channel management part(104) comprises a soundness source list broadcasted in each audio streaming broadcast channel. A plurality of audio streaming broadcast channels is managed. A transceiver(108) receives a request for the audio streaming broadcast channel from the wireless music terminal(170) or the wire music terminal(180) through the internet network(150).

Description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 수신 단말 및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 서버 {terminal for receiving audio streaming broadcast and server for providing audio streaming broadcast}Audio streaming broadcast receiving terminal and audio streaming broadcast server {terminal for receiving audio streaming broadcast and server for providing audio streaming broadcast}

도 1은 본 발명의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audio streaming broadcast ser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 파트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erver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내지 3c는 본 발명의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 서비스를 수행하는 동작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3A to 3C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performing an audio streaming broadcast ser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audio streaming broadcas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및 도 6은 각각 도 4의 무선 음악 단말기 및 유선 음악 단말기의 구체적인 구성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5 and 6 are block diagrams illustrating specific configurations of the wireless music terminal and the wired music terminal of FIG. 4, respectively.

본 발명은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 채널을 간편한 방법으로 선택, 변경하여 다양한 환경에서 청취 할 수 있도록 하는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 수신 단말 및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 서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dio streaming broadcast,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udio streaming broadcast receiving terminal and an audio streaming broadcast server for selecting and changing various audio streaming broadcast channels in a simple manner to listen in various environments.

인터넷의 보급은 기존의 방송과 통신을 융합하여 새로운 패러다임의 서비스가 만들어 지고 있으며, 기존에는 상상하지 못했던 수많은 서비스를 우리는 컴퓨터와 인터넷을 이용하여 제공받고 있다. The spread of the Internet is converging existing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and a new paradigm service is being created, and a number of services that have not been imagined before are being provided by computers and the Internet.

인터넷을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정보를 검색하고, 실시간 인터넷 방송을 즐기며, 서버를 이용한 개인 인터넷 방송국을 운영하는 사람도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가히 우리는 인터넷 서비스 홍수 시대에 살고 있다.There is an exponential increase in the number of people who use the Internet to search for multimedia information, enjoy real-time Internet broadcasting, and operate personal Internet stations using servers. We are living in a flood of Internet services.

종래의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 서비스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존재하며, 이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re are two conventional audio streaming broadcast service methods,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첫째, 인터넷을 통하여 음악을 청취하기 위해서, 컴퓨터 상에서 해당 온라인 음악 방송 서비스 사업자의 홈페이지에 등록하고 원하는 곡을 플레이어로 청취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 방법은 항상 컴퓨터를 동작시켜야 하기 때문에 부팅시간이 오래 걸리고, 바이러스에 취약하며 음악 선정도 본인이 직접 사이트에 접속하여 진행하기 때문에 매우 불편하고, 바이러스에 감염 되었을 땐 장시간 서비스 중단이 불가피하다는 단점이 있다.First, in order to listen to music through the Internet, a method of registering on a homepage of an online music broadcasting service provider on a computer and listening to a desired song with a player. However, this method takes a long time to boot up because the computer must be operated at all times, and it is very inconvenient because it is vulnerable to viruses and music selection is performed by accessing the site directly. There are disadvantages.

둘째, 일부 업체에서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매장 전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매장 전용으로 특화된 음악을 모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매장 전용 채널을 구성하여 전용 매장 음악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데 전용 채널만 제공하기 때문에 전용 단말기에서 채널을 선택할 수 없다. 새로운 음악을 청취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일부 업체에 별도로 고유 방송 편성표를 변경해달라는 요청을 수행해야 하므로, 새로 채널을 구성해야 하는 경우 큰 불편이 있다.Second, as a method provided by some companies, a store-specific terminal is used to collect music specialized for a store and provide a service. In this method, a dedicated store music service is provided by configuring a store-specific channel, and since only a dedicated channel is provided, a channel cannot be selected in a dedicated terminal. In order to listen to new music, it is necessary to make a request to change some of the unique broadcasting schedules separately from the above companies.

따라서, 전원이 켜지자마다 최대한 빨리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 청취가 가능하도록 하며, 바이러스에 노출되지 않으며, 다양한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 채널에 대한 선택 및 변경이 용이하며, 사용자가 원하는 바에 따라 채널 구성이 용이한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 시스템이 필요하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listen to the audio streaming broadcast as soon as possible every time the power is turned on, it is not exposed to the virus, it is easy to select and change various audio streaming broadcast channels, and to easily configure the channel as the user wants. You need a system.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다양한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 채널을 간편한 방법으로 선택, 변경하여 다양한 환경에서 청취할 수 있도록 하는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 수신 단말 및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 서버를 제공하는 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dio streaming broadcast receiving terminal and an audio streaming broadcast server to listen to in various environments by selecting and changing various audio streaming broadcast channels in a simple manner.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측면은, 복수의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 채널들 중에서 청취할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 채널을 선택할 수 있도록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기본 설정 또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의한 선택에 따라, 현재 설정된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 채널에 해당하는 신호를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 서버로부터 인터넷 망을 통하여 수신하는 송수신부; 상기 수신된 신호를 디코딩하여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재생부; 및 상기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 수신 단말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ser interface for performing an interface with a user so as to select an audio streaming broadcast channel to listen to among a plurality of audio streaming broadcast channels; A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configured to receive a signal corresponding to a currently set audio streaming broadcast channel from an audio streaming broadcast server through an internet network according to a basic setting or selection by the user interface; A playback unit for decoding the received signal to generate an audio signal; And it provides an audio streaming broadcast receiving terminal comprising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audio signal.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측면은, 음원들을 저장 및 관리하는 음원 관리부; 각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 채널에서 방송될 음원 리스트를 구성하여, 복수의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 채널들을 관리하는 채널 관리부; 서비스 대상인 단말인지를 판단하는 인증부; 및 인터넷 망을 통하여, 단말로부터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 채널을 요청받고, 상기 인증부의 인증 결과에 따라, 상기 요청받은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 채널에 해당하는 신호를 상기 인터넷 망을 통하여 상기 단말에게 송신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 서버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ound source management unit for storing and managing sound sources; A channel manager configured to configure a sound source list to be broadcast in each audio streaming broadcast channel, and manage a plurality of audio streaming broadcast channels; An authentication unit to determine whether the terminal is a service target; And a transceiver configured to receive an audio streaming broadcast channel from the terminal through an internet network, and to transmit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requested audio streaming broadcast channel to the terminal through the internet network according to an authentication result of the authentication unit. Provided is an audio streaming broadcast server.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의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 시스템은, 크게 서버 파트와 단말기 및 운영자로 구분된다.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audio streaming broadcast ser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udio streaming broadcast system of FIG. 1 is largely divided into a server part, a terminal, and an operator.

운영자는 관리 모듈에 대응되는 관리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채널 구성에 필요한 곡을 업로드 및 다운로드하며, 쟝르별, 시대별 및 기타 항목을 이용한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 채널을 구성한다. 음악 파일 즉, 음원은 Music File Store에 저장되며 DB 서버에서 DB를 구성한다.The operator uploads and downloads songs necessary for channel configuration using a management program corresponding to the management module, and configures an audio streaming broadcast channel using genres, times, and other items. Music files, ie, sound sources, are stored in the Music File Store and compose a DB on the DB server.

사용자는 웹 서버에 접속하여 원하는 곡 리스트를 가입자 맞춤형 채널 즉, 마이채널에 등록하거나 업종에 적합한 음악을 등록, 수정 및 삭제할 수 있다.A user can access a web server to register a desired music list to a subscriber-customized channel, that is, My Channel, or to register, modify, and delete music suitable for an industry.

단말기는 부팅 후, 서버 파트에 접속하며, 이 때 채널 정보를 보내면 서비스 서버는 단말기 정보를 확인하여 등록 여부를 확인하고, DB 서버로부터 내용을 확인 하여 관련 채널에 있는 음원 데이터를 실시간 전송하게 된다. 이후, 단말기는 음원 데이터를 수신하여 실시간 재생한다.After booting, the terminal accesses the server part, and when the channel information is sent, the service server checks the terminal information to confirm registration, and checks the contents from the DB server to transmit the sound source data in the relevant channel in real time. Then, the terminal receives the sound source data and reproduces in real time.

바람직하게, 단말기는 채널 변경용 버튼과 리모콘 및 채널 표시창을 구비하여, 사용자는 채널 변경용 버튼 또는 리모콘을 통하여 채널을 변경할 수 있으며, 채널 변경시 변경된 채널 정보가 서버 파트로 전송되고, 서버 파트는 변경된 채널의 데이터를 실시간 전송하게 된다.Preferably, the terminal includes a button for changing a channel, a remote controller and a channel display window, and a user can change a channel through a button for changing a channel or a remote controller. When the channel is changed, the changed channel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part. The changed channel data is transmitted in real time.

한편, 채널의 숫자는 운영자의 선택에 의하여 자유롭게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number of channels can be freely selected by the operator.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 파트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로서, 서버 파트(210)는 음원 DB 시스템(215), 음악 관리 DB 시스템(220), 서버 시스템(225)으로 이루어지며, 스위치(205)를 통하여 인터넷 망(200)과 연결된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erver par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server part 210 includes a sound source DB system 215, a music management DB system 220, and a server system 225. The switch 205 is connected to the internet network 200.

서버 시스템(225)는 단말기를 제어하여 안정적인 음악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 리눅스나 유닉스 상에서 동작한다. 서버 시스템(225)은 도 2를 참조하면, 서비스 서버, 분산 서버, 웹 서버, CMS 서버, 인증 서버, 및 복구 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Server system 225 is a system that provides a stable music service by controlling the terminal operates on Linux or Unix. 2, the server system 225 includes a service server, a distributed server, a web server, a CMS server, an authentication server, and a recovery server.

서비스 서버는 단말기와 고유 프로토콜로 접속하여 단말기에 음악파일 즉, 음원 데이터를 전송하며 멀티쓰레드 방식으로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서비스를 제공한다.The service server connects the terminal with its own protocol to transmit music files, that is, sound source data, to the terminal and provides a stable and efficient service in a multi-threaded manner.

분산 서버는 단말기 접속의 분산 처리를 담당하여 특정 서버의 과도한 로드를 방지/분산시켜 로드 밸런싱 기능을 구현하여 안정된 서비스를 제공한다.The distributed server is responsible for distributed processing of terminal access to prevent / distribute excessive load of a specific server to implement load balancing to provide stable services.

웹 서버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웹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가입자 맞 춤형 채널을 구성하고 업종별 전용 채널을 선택할 수 있으며, 청취하고자 하는 곡을 신청할 수도 있다.The web server is for the convenience of the user. By using the web, the user can configure a user-customized channel, select a dedicated channel for each industry, and apply for a song to listen to.

CMS 서버는 고객 관리 역할을 수행한다.The CMS server plays a customer management role.

인증 서버는 사용자 및 단말기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데, 웹을 통하여 각종 작업을 수행하기 전에 가입자 인증을 수행하고, 단말기가 부팅하여 서버로 접속할 때 단말기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다.The authentication server authenticates the user and the terminal. The authentication server performs subscriber authentication before performing various tasks through the web and authenticates the terminal when the terminal boots and accesses the server.

복구 서버는 각 서버의 서버 프로그램들이 이상이 발생하였을 경우, 서버 프로그램들을 감시하여 비정상적으로 종료시 자동 복구 기능을 수행한다.The recovery server monitors the server programs and performs an automatic recovery function when abnormally terminated when the server programs of each server are abnormal.

음원 DB 시스템(215) 및 음악 관리 DB 시스템(220)은 운영자 전용 프로그램으로 제어되며, 곡의 추가 및 삭제시 운영자는 전용 관리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DB 구성을 할 수 있다.The sound source DB system 215 and the music management DB system 220 are controlled by an operator-only program, and when adding or deleting a song, the operator may configure a DB by using a dedicated management program.

도 3a 내지 3c는 본 발명의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 서비스를 수행하는 동작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즉, 단말기, 서비스 서버 및 DB 관리 서버 간의 메시스 흐름도를 나타낸다.3A to 3C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performing an audio streaming broadcast ser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flow chart of the mesh between the terminal, the service server and the DB management server.

DB 서버에는 가입자 정보와 단말기 ID, 음악 파일이 쟝르별로 분류되어 채널의 DB에 구성되어 있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가입자 맞춤형 채널의 목록은 사용자 별로 구분되어 등록되며, 업종별 데이터도 DB화 되어 있고, 이들 모든 데이터는 전용 관리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성된다.In the DB server, the subscriber information, the terminal ID, and the music file are classified by genre and are configured in the DB of the channel. In addition, the list of subscriber-customized channels selected by the user is registered separately by user, and the data of industry type are also DBed, and all these data are configured using a dedicated management program.

단말기가 부팅을 하면 서비스 서버에 단말기 인증을 요청하고, 서비스 서버는 단말기 ID를 확인하여 서비스가 가능한 단말 여부를 확인하여 서비스 가능한 단 말이면 인증 확인 메시지를 보내고, 불가능한 단말이면 인증 실패 메시지를 보낸다. 인증이 실패하면 단말은 어느 정도 시간을 지연한 후에 재시도 과정을 진행하며, 인증이 성공하면 기본 채널(예컨대, 1번 채널)로 설정하여 단말기의 표시창에 표시하고, 서비스 서버에 곡을 요청한다.When the terminal boots up, it requests a terminal authentication to the service server, and the service server checks the terminal ID to check whether the terminal is available for service, and sends an authentication confirmation message if the terminal is available for service and an authentication failure message if the terminal is impossible. If authentication fails, the terminal delays a certain time and proceeds with the retry process. If authentication succeeds, the terminal sets the default channel (for example, channel 1) to display on the display window of the terminal and requests a song from the service server. .

기본 채널 곡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서비스 서버는 DB 관리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관련 곡 명을 단말기로 전송한다.The service server receiving the basic channel song request message receives data from the DB management server and transmits the related song name to the terminal.

단말기는 재생할 음악 파일에 대한 전송 요청을 수행하고, 서비스 서버는 관련 음악 파일을 패치(fetch)하여 MP3 형태로 되어 있는 음악파일을 단말기로 송신한다.The terminal performs a transmission request for a music file to be played, and the service server fetches a related music file and transmits the music file in MP3 form to the terminal.

수신된 음악 파일은 단말기의 버퍼에 저장하면서, 바로 실시간 재생하여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된다.The received music file is stored in the buffer of the terminal and is reproduced in real time and output through the speaker.

단말기의 버퍼에 음악 파일을 저장할 공간이 없으면 busy 메시지를 서비스 서버로 송신하고, 정상적으로 음악파일 재생이 완료되면 다음 곡에 대한 전송을 요청한다.If there is no space to store the music file in the buffer of the terminal, a busy message is sent to the service server, and when the music file is normally played, the transfer request for the next song is requested.

서비스 서버는 단말기로부터 busy 메시지를 수신하면 음악 파일 전송을 중단하고, 대기하며, 다음 곡 전송 요청이 오면 DB 관리 서버로부터 음악파일을 패치하여 단말기에 전송한다.When the service server receives the busy message from the terminal, it stops the music file transfer and waits. When the next song transfer request is received, the service server patches the music file from the DB management server and sends it to the terminal.

수신된 음악파일은 상태 10(S10)으로 이동하여 재생을 진행한다.The received music file moves to state 10 (S10) and proceeds with playback.

단말기에는 채널을 변경할 수 있는 버튼이나 리모콘 입력 포트가 있어서,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채널을 변경할 수 있다.The terminal has a button for changing a channel or a remote control input port so that the channel can be changed according to a user's preference.

리모콘이나, 버튼의 조작에 의하여 채널을 변경하면, 단말기의 표시부의 일종인 LCD 창을 이용하여 변경된 채널을 표시하고, 서비스 서버에게는 변경된 채널에 대한 곡을 요청한다.When a channel is changed by a remote controller or a button operation, the changed channel is displayed using an LCD window, which is a kind of display unit of the terminal, and a service server requests music for the changed channel.

변경된 채널이 가입자 맞춤형 채널이면, 서비스 서버는 단말기 ID를 이용하여 관련 사용자의 가입자 맞춤형 채널에 등록되어 있는 음악 파일을 패치하여 단말기로 전송한다. 단말기는 가입자 맞춤형 채널을 수신하여 상태 10(S10)로 이동하여 재생한다.If the changed channel is a subscriber-customized channel, the service server uses the terminal ID to patch the music file registered in the subscriber-specific channel of the relevant user and transmit it to the terminal. The terminal receives the customized channel and moves to state 10 (S10) to play.

변경된 채널이 가입자 맞춤형 채널이 아니면, 업종 전문 채널인지를 확인한다. 업종 전문 채널 서비스는 업종별로 마케팅에 도움이 되는 음악을 그룹별로 모아서 DB로 저장한 후, 단말기가 업종 전문 채널을 선택하면, 단말기 ID를 확인하여 사용자가 기 선택한 업종의 음악 파일을 패치하여 단말기로 전송한다.If the changed channel is not a subscriber-specific channel, check whether the channel is specialized in the industry. The industry-specific channel service collects music to help marketing by industry, and stores them in a DB, and when the terminal selects the industry-specific channel, the terminal checks the terminal ID to patch music files of the industry selected by the user to the terminal. send.

일반 쟝르의 음악 채널을 요구하면, 관련 쟝르에 해당하는 음악 파일을 패치하여 단말기로 보낸다. 단말기는 상태 10(S10)으로 이동하여 음악 파일을 실시간 재생한다.When the music channel of the general genre is requested, the music file corresponding to the relevant genre is patched and sent to the terminal. The terminal moves to state 10 (S10) to play the music file in real time.

이상과 같이, 서버 파트는 사내망을 통하여 복수의 서버로 이루어 질 수도 있으나, 이하에서는 발명의 사상을 효과적으로 나타내기 위하여, 이러한 서버 파트가 하나의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 서버로 이루어진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server part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servers through the internal network. Hereinafter, in order to effectively express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ase in which the server part consists of one audio streaming broadcast server will be described.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audio streaming broadcas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 시스템은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 서버(100), 인터넷 망(150), 액세스 포인트(AP)(160), 무선 음악 단말기(170), 및 유선 음악 단말기(1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Referring to FIG. 4, the audio streaming broadcas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n audio streaming broadcast server 100, an internet network 150, an access point (AP) 160, a wireless music terminal 170, and a wired music terminal 180. )

무선 음악 단말기(170)는 무선랜의 액세스 포인트(160)를 통하여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 서버(1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유선 음악 단말기는 유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 서버(1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무선 음악 단말기(170) 및 유선 음악 단말기(180)는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 수신 단말로서, 도 4에서의 이하 설명에서는 편의상 단말로 칭하여 설명하고자 한다.The wireless music terminal 170 transmits and receives data with the audio streaming broadcast server 100 through the access point 160 of the wireless LAN, and the wired music terminal transmits and receives data with the audio streaming broadcast server 100 through a wired interface. . The wireless music terminal 170 and the wired music terminal 180 are audio streaming broadcast receiving termin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FIG. 4, the wireless music terminal 170 and the wired music terminal 180 will be described as convenience terminals.

도 4를 참조하면,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 서버(100)는, 음원 관리부(102), 채널 관리부(104), 인증부(106), 송수신부(108), 및 웹 인터페이싱부(1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Referring to FIG. 4, the audio streaming broadcast server 100 includes a sound source manager 102, a channel manager 104, an authenticator 106, a transceiver 108, and a web interface 110. .

음원 관리부(102)는 음원들을 저장 및 관리한다. 즉, 많은 음원들이 가수, 앨범 등 여러 기준에 의거 음원 관리부(102)에 저장 및 관리된다.The sound source manager 102 stores and manages sound sources. That is, many sound sources are stored and managed in the sound source manager 102 based on various criteria such as singers and albums.

채널 관리부(104)는 각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 채널에서 방송될 음원 리스트를 구성하여, 복수의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 채널들을 관리한다. 바람직하게, 복수의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 채널들은, 모든 가입자에게 기본적으로 제공될 수 있는 일반 채널, 각 업종에 적합한 업종 채널, 가입자가 상기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 서버에 미리 등록한 재생 리스트로 이루어진 가입자 맞춤형 채널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채널 관리부(104)는, 웹 인터페이싱부(110)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에 따라, 상기 가입자 맞춤형 채널에 해당하는 음원리스트를 등록하거나 편집한다. 바람직하게, 채널 관리부(104)는, 시대별, 쟝르별, 가수별, 청취자 연령별에 따라 상기 일반 채널을 각각 구성한다. 바람직하게, 채널 관리부(104)는, 방송되는 음악 사이에 광고를 삽입하여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 채널을 적어도 하나 구성한다.The channel manager 104 configures a sound source list to be broadcast in each audio streaming broadcast channel, and manages a plurality of audio streaming broadcast channels. Preferably, the plurality of audio streaming broadcast channels includes a general channel that can be basically provided to all subscribers, an industry channel suitable for each industry, and a subscriber-customized channel consisting of a playlist previously registered by the subscriber in the audio streaming broadcast server. . Preferably, the channel manager 104 registers or edits a sound source list corresponding to the subscriber customized channel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through the web interface 110. Preferably, the channel manager 104 configures the general channels according to the times, genres, singers, and listener ages. Preferably, the channel manager 104 configures at least one audio streaming broadcast channel by inserting an advertisement between broadcasted music.

인증부(106)는 서비스 대상인 단말인지를 판단한다. 인증 방법의 예로는, 송수신부(108)가 단말(170 또는 180)로부터 인증용 정보를 수신하면, 인증부(106)가 미리 등록된 각 가입자의 인증용 정보와 수신된 인증용 정보를 비교하여 서비스 대상인 단말인지를 판단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여기서, 인증용 정보의 예로는, 가입자 정보 및 단말 식별자를 들 수 있다. 한편, 채널 관리부(104)는 요청받은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 채널이 가입자 맞춤형 채널인 경우, 인증용 정보를 활용하여, 요청받은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 채널을 파악한다.The authenticator 106 determines whether the terminal is a service target. As an example of the authentication method, when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108 receives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170 or 180, the authentication unit 106 compares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each subscriber registered in advance with the received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a method of determining whether the terminal is a service target. Here, examples of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include subscriber information and terminal identifiers. Meanwhile, when the requested audio streaming broadcast channel is a subscriber-customized channel, the channel manager 104 determines the requested audio streaming broadcast channel by using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송수신부(108)는 인터넷 망(150)을 통하여, 단말(170 또는 180)로부터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 채널을 요청받고, 인증부(106)의 인증 결과에 따라, 요청받은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 채널에 해당하는 신호를 인터넷 망(150)을 통하여 단말(170 또는 180)에게 송신한다.The transceiver 108 receives a request for an audio streaming broadcast channel from the terminal 170 or 180 through the internet network 150, and according to an authentication result of the authenticator 106,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requested audio streaming broadcast channel. To the terminal 170 or 180 via the Internet network 150.

웹 인터페이싱부(110)는 사용자에게 웹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The web interface 110 provides a user with a web interface.

바람직하게, 비상 사태 발생시에는, 채널 관리부(104)는 모든 음악 서비스를 중단하며, 송수신부(108)는 비상 사태를 나타내는 음성 안내 메시지를 서비스 제공 중인 단말(170 또는 180)에게 송신한다.Preferably,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the channel manager 104 stops all music services, and the transceiver 108 transmits a voice guidance message indicating the emergency to the terminal 170 or 180 providing the service.

바람직하게, 송수신부(108)는 단말(170 또는 180)로부터 곡 선호도를 수신하 고, 채널 관리부(104)는 수신된 곡 선호도를 기초로,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 채널을 구성한다.Preferably, the transceiver 108 receives the song preferences from the terminal 170 or 180, and the channel manager 104 configures an audio streaming broadcast channel based on the received song preferences.

도 5는 도 4의 무선 음악 단말기(170)의 구체적인 구성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 수신 단말의 구성을 나타낸다.FIG.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wireless music terminal 170 of FIG. 4. That is, the configuration of the audio streaming broadcast receiving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무선 음악 단말기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500), 송수신부(510), 재생부(520), 출력부(530), 제어부(540) 및 저장부(5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Referring to FIG. 5, the wireless music terminal includes a user interface unit 500, a transceiver 510, a playback unit 520, an output unit 530, a controller 540, and a storage unit 550. .

제어부(540)는 무선 음악 단말기의 전체 모듈을 제어하며, 전원이 인가되면, 미리 저장된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 서버의 주소를 이용하여, 송수신부(510)를 통하여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 서버와의 통신을 개시한다.The controller 540 controls all modules of the wireless music terminal. When power is applied, the controller 540 starts communication with the audio streaming broadcast server through the transmitter / receiver 510 using the address of the pre-stored audio streaming broadcast server.

사용자 인터페이스부(500)는, 복수의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 채널들 중에서 청취할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 채널을 선택할 수 있도록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한다. 바람직하게, 사용자 인터페이스부(5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할 방송 채널을 선택 또는 변경하기 위한 전용 버튼을 구비하거나, 수신할 방송 채널을 선택 또는 변경하기 위한 신호를 리모콘으로부터 수신하는 입력부(502); 및 수신되는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 채널의 정보 및 단말의 기타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504)를 포함한다. 즉, 입력부(502)는 전용 버튼이나 리모콘을 이용하여 채널을 변경할 수 있으며, 채널 변경 신호가 입력되면, 표시부(504)에 변경된 채널을 표시한다.The user interface 500 performs an interface with a user to select an audio streaming broadcast channel to be listened from among the plurality of audio streaming broadcast channels. Preferably, as shown in FIG. 5, the user interface 500 includes a dedicated button for selecting or changing a broadcast channel to receive, or receives a signal for selecting or changing a broadcast channel from a remote controller. An input unit 502; And a display unit 504 for displaying the received information of the audio streaming broadcast channel and other status information of the terminal. That is, the input unit 502 may change a channel by using a dedicated button or a remote controller. When the channel change signal is input, the input unit 502 displays the changed channel on the display unit 504.

바람직하게, 입력부(502)는 오디오 저장 버튼과 곡 선호도 입력을 위한 입력 수단, 긴급 호출용 전용 버튼을 더 구비한다.Preferably, the input unit 502 further includes an audio storage button, an input means for inputting a song preference, and a dedicated button for emergency call.

한편,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 채널의 종류에 대해서는, 도 4에 의한 설명과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The type of the audio streaming broadcast channel is the same as that described in FIG.

송수신부(510)는 기본 설정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500)에 의한 선택에 따라, 현재 설정된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 채널에 해당하는 신호를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 서버로부터 인터넷 망을 통하여 수신한다. 여기서, 송수신부(510)는 액세스 포인트를 접속하여 무선랜을 통하여 이더넷 접속 기능을 수행한다.The transceiver 510 receives a signal corresponding to a currently set audio streaming broadcast channel from an audio streaming broadcast server through an internet network according to a basic setting or a selection by the user interface 500. Here, the transceiver 510 connects the access point to perform an Ethernet access function through the WLAN.

바람직하게, 송수신부(510)는 전원-온 되는 시점에서 미리 설정된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 채널에 대한 식별자를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 서버에게 송신하거나,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500)를 통하여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 채널을 변경하는 시점에서, 변경후인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 채널에 대한 식별자를 상기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 서버에 송신하여, 서비스 받을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 채널을 요청한다.Preferably, the transceiver 510 transmits an identifier for an audio streaming broadcast channel preset at the time of power-on to the audio streaming broadcast server, or the user changes the audio streaming broadcast channel through the user interface 500. At this point, an identifier for the audio streaming broadcast channel that has been changed is transmitted to the audio streaming broadcast server to request an audio streaming broadcast channel for service.

바람직하게, 송수신부(510)는 사용자가 재생중인 음악에 대한 선호도를 입력부(502)의 곡 선호도 입력 수단을 통하여 입력함에 따라, 선호도에 대한 정보를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 서버로 송신한다.Preferably, the transceiver 510 transmits the information on the preference to the audio streaming broadcast server as the user inputs the preference for the music being played through the song preference input means of the input unit 502.

바람직하게, 송수신부(510)는 입력부(502)의 긴급 호출용 전용 버튼이 눌러지면, 비상 상황을 알리는 긴급 메시지를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 서버에 송신한다.Preferably, when the emergency call dedicated button of the input unit 502 is pressed, the transceiver 510 transmits an emergency message informing of the emergency situation to the audio streaming broadcast server.

재생부(520)는 수신된 신호를 디코딩하여 오디오 신호를 생성한다. 즉, 재생 부(520)는 수신된 음악 파일을 디코딩하여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다.The reproduction unit 520 generates an audio signal by decoding the received signal. That is, the playback unit 520 decodes the received music file and converts it into an analog signal.

출력부(530)는 내장형 스피커, 외부 스피커 연결 단자, 및 헤드폰 연결 단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으로써,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The output unit 530 outputs an audio signal by including at least one of a built-in speaker, an external speaker connection terminal, and a headphone connection terminal.

저장부(550)는, 사용자가 입력부(502)의 오디오 저장 버튼을 누르면, 현재 재생되는 곡을 저장한다.The storage unit 550 stores a song that is currently played when the user presses an audio storage button of the input unit 502.

바람직하게,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 수신 단말은 전원 대기 상태에서도, 송수신부(510)를 통하여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 서버로부터 긴급 정보를 수신하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500)의 표시부(504)를 통하여 긴급 정보를 소리, 램프, LED, LCD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통지한다.Preferably, the audio streaming broadcast receiving terminal receives emergency information from the audio streaming broadcast server through the transceiver 510 even in a standby state of power, and sounds emergency information through the display unit 504 of the user interface 500. The user is notified using at least one of a lamp, an LED, and an LCD.

도 6은 도 4의 유선 음악 단말기(170)의 구체적인 구성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 수신 단말의 구성을 나타낸다.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wired music terminal 170 of FIG. 4. That is, the configuration of the audio streaming broadcast receiving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유선 음악 단말기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600), 송수신부(610), 재생부(620), 출력부(630), 제어부(640), 및 저장부(6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Referring to FIG. 6, the wired music terminal includes a user interface 600, a transceiver 610, a playback unit 620, an output unit 630, a controller 640, and a storage unit 650. Is done.

사용자 인터페이스부(600), 재생부(620), 출력부(630), 제어부(640), 및 저장부(650)는 도 5의 해당 모듈과 동일한 기능을 가지므로 이하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user interface 600, the playback unit 620, the output unit 630, the control unit 640, and the storage unit 650 have the same functions as the corresponding module of FIG. 5,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송수신부(600)는 도 5의 송수신부(500)와는 달리, 케이블을 통하여 이더넷 접속으로 인터넷 망과 연결된다. 여기서, 케이블의 예로는, 동축 케이블, 광 케이 블, 랜 케이블을 들 수 있으며, 케이블 연결 단자의 예로는, F-커넥터, 광 케이블 접속 단자, RJ-45를 들 수 있다.Unlike the transceiver 500 of FIG. 5, the transceiver 600 is connected to the Internet network through an Ethernet connection through a cable. Here, examples of the cable include a coaxial cable, an optical cable, and a LAN cable. Examples of the cable connection terminal include an F-connector, an optical cable connection terminal, and an RJ-45.

바람직하게, 케이블 즉, 통신 인프라를 최대한 활용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의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 수신 단말은 케이블을 통하여 타 통신 기기가 IP 패킷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타 통신 기기를 유선으로 연결하기 위한 통신기기 유선 연결부(미도시); 및 케이블을 통하여 타 통신 기기가 IP 패킷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타 통신 기기를 무선으로 연결하기 위한 통신기기 무선 연결부(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통신기기 무선 연결부의 예로는 무선 랜의 액세스 포인트를 들 수 있으며, 타 통신 기기의 예로는 컴퓨터 및 Wi-Fi 폰을 들 수 있다.Preferably, in order to make the best use of a cable, that is, a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the audio streaming broadcast receiving terminal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a communication device for connecting another communication device by wire so that another communication device can transmit and receive an IP packet signal through a cable. Wired connection (not shown); And a communication device wireless connection unit (not shown) for wirelessly connecting another communication device so that another communication device can transmit and receive an IP packet signal through a cable. Here, an example of a communication device wireless connection unit may be an access point of a wireless LAN, and examples of other communication devices may include a computer and a Wi-Fi phone.

본 발명은 또한 머신이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기록매체는 머신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케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머신이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머신들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머신이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The invention may also be embodied as computer readable code on a machine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devices for storing data that can be read by a machine. Examples of the recording medium include a ROM, a RAM, a CD-ROM, a magnetic tape, a floppy disk, an optical data storage device, and the like, and also include a carrier wave (for example, transmission through the Internet). The machine-readable recording medium can also be distributed over networked machines so that the machine-readable code is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fashion. In addition, functional programs, codes, and code segments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inferred by programmers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이러한 본원 발명인 방법 및 장치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Such a method and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for clarity, but these are merely exemplary,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 채널에 대한 선택 및 변경이 용이하며, 사용자가 원하는 바에 따라 채널 구성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개인 및 매장에 적합한 음악을 다양한 환경에서 전용 단말기를 통하여 24시간 온라인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asy to select and change various audio streaming broadcast channels, and the channel configuration is easy as the user desires.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usic suitable for individuals and stores can be provided online for 24 hours through a dedicated terminal in various environments.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일반 컴퓨터가 아닌 전용 단말기를 통하여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기 때문에, 전원이 켜지자 마다 최대한 빨리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 청취가 가능하며, 바이러스에 노출되지 않는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audio streaming broadcast service is provided through a dedicated terminal instead of a general computer, it is possible to listen to the audio streaming broadcast as soon as the power is turned on, and is not exposed to a virus.

또한, 본 발명의 전용 단말기에 따르면, 타 통신 기기가 인터넷 망에 연결될 수 있는 통신 연결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케이블 즉, 통신 인프라를 최대한 활용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dedicated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communication connection means that other communication devices can be connected to the Internet network, there is an effect of maximizing the cable, that is, the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Claims (27)

복수의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 채널들 중에서 청취할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 채널을 선택할 수 있도록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A user interface for performing an interface with a user so as to select an audio streaming broadcast channel from among a plurality of audio streaming broadcast channels; 기본 설정 또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의한 선택에 따라, 현재 설정된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 채널에 해당하는 신호를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 서버로부터 인터넷 망을 통하여 수신하는 송수신부;A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configured to receive a signal corresponding to a currently set audio streaming broadcast channel from an audio streaming broadcast server through an internet network according to a basic setting or selection by the user interface; 상기 수신된 신호를 디코딩하여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재생부; 및A playback unit for decoding the received signal to generate an audio signal; And 상기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 수신 단말.And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audio sig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user interface unit, 수신할 방송 채널을 선택 또는 변경하기 위한 전용 버튼을 구비하거나, 수신할 방송 채널을 선택 또는 변경하기 위한 신호를 리모콘으로부터 수신하는 입력부; 및An input unit having a dedicated button for selecting or changing a broadcast channel to receive or receiving a signal for selecting or changing a broadcast channel from a remote controller; And 수신되는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 채널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 수신 단말.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received information of the audio streaming broadcast channel.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부는,The method of claim 1 or 2, wherein the transceiver unit, 전원-온 되는 시점에서 미리 설정된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 채널에 대한 식별 자를 상기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 서버에게 송신하거나,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 채널을 변경하는 시점에서, 변경후인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 채널에 대한 식별자를 상기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 서버에 송신하여, 서비스 받을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 채널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 수신 단말.At the time of power-on, an identifier for a preset audio streaming broadcast channel is transmitted to the audio streaming broadcast server, or when the user changes the audio streaming broadcast channel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the audio streaming broadcast channel is changed after the change. And transmitting an identifier to the audio streaming broadcast server to request an audio streaming broadcast channel to be serviced.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 채널들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audio streaming broadcast channels, 모든 가입자에게 기본적으로 제공될 수 있는 일반 채널, 각 업종에 적합한 업종 채널, 가입자가 상기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 서버에 미리 등록한 재생 리스트로 이루어진 가입자 맞춤형 채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 수신 단말.An audio streaming broadcast receiving terminal comprising a general channel that can be basically provided to all subscribers, an industry type channel suitable for each industry type, and a subscriber-customized channel consisting of a playlist registered by the subscriber in advance in the audio streaming broadcast server.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부는,The method of claim 1 or 2, wherein the transceiver unit, 무선랜을 통하여 상기 인터넷 망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 수신 단말.An audio streaming broadcast receiving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the Internet via a wireless LAN.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부는,The method of claim 1 or 2, wherein the transceiver unit, 케이블을 통하여 상기 인터넷 망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 수신 단말.The audio streaming broadcast receiving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the Internet via a cabl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은,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cable, 광케이블 및 동축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 수신 단말.An audio streaming broadcast receiving terminal comprising an optical cable and a coaxial cable.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케이블을 통하여 타 통신 기기가 IP 패킷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타 통신 기기를 유선으로 연결하기 위한 통신기기 유선 연결부; 및A communication device wired connection unit for connecting another communication device by wire so that another communication device can transmit and receive an IP packet signal through the cable; And 상기 케이블을 통하여 타 통신 기기가 IP 패킷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타 통신 기기를 무선으로 연결하기 위한 통신기기 무선 연결부A communication device wireless connection unit for wirelessly connecting the other communication device so that another communication device can transmit and receive an IP packet signal through the cable.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방송 스트리밍 수신 단말.And at least one of audio broadcasting streaming receiving terminal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타 통신 기기는,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other communication device, 컴퓨터 및 Wi-Fi 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 수신 단말.An audio streaming broadcast receiving terminal comprising a computer and a Wi-Fi phon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기기 무선 연결부는,According to claim 8, The communication device wireless connection unit, 무선랜의 액세스 포인트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방송 스트리밍 수신 단말.An audio broadcasting streaming receiving terminal, which performs the function of an access point of a WLAN.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The method of claim 1 or 2, wherein the output unit, 내장형 스피커, 외부 스피커 연결 단자, 및 헤드폰 연결 단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 수신 단말.And at least one of a built-in speaker, an external speaker connection terminal, and a headphone connection terminal.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 채널들 중 적어도 하나의 채널은,The method of claim 1 or 2, wherei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audio streaming broadcast channels comprises: 방송되는 음악 사이에 광고가 삽입되는 방식으로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 수신 단말.An audio streaming broadcast receiving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advertisement is inserted between the broadcast music.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오디오 저장 버튼을 구비하고,The user interface unit has an audio storage button, 상기 사용자가 상기 오디오 저장 버튼을 누르면, 현재 재생되는 곡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 수신 단말.When the user presses the audio storage button, the audio streaming broadcast receiving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torage for storing the currently played song.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부는,The method of claim 1 or 2, wherein the transceiver unit, 상기 사용자가 재생중인 음악에 대한 선호도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입력함에 따라, 상기 선호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 서버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 수신 단말.And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on the preference to the audio streaming broadcast server as the user inputs a preference for the music being played through the user interfac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전원 대기 상태에서도,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 서버로부터 긴급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수신된 긴급 정보를 소리, 램프, LED, LCD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 수신 단말.Even in a power standby state, the transceiver receives emergency information from the audio streaming broadcast server, and the user interface unit notifies the user of the received emergency information by using at least one of a sound, a lamp, an LED, and an LCD. An audio streaming broadcast receiving terminal.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긴급 호출용 전용 버튼을 구비하고,The user interface has a dedicated button for emergency call,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긴급 호출용 전용 버튼이 눌러지면, 비상 상황을 알리는 긴급 메시지를 상기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 서버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느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 수신 단말.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when the emergency call dedicated button is pressed, the audio streaming broadcast receiving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an emergency message informing the emergency streaming server. 음원들을 저장 및 관리하는 음원 관리부;A sound source manager that stores and manages sound sources; 각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 채널에서 방송될 음원 리스트를 구성하여, 복수의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 채널들을 관리하는 채널 관리부;A channel manager configured to configure a sound source list to be broadcast in each audio streaming broadcast channel, and manage a plurality of audio streaming broadcast channels; 서비스 대상인 단말인지를 판단하는 인증부; 및An authentication unit to determine whether the terminal is a service target; And 인터넷 망을 통하여, 단말로부터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 채널을 요청받고, 상기 인증부의 인증 결과에 따라, 상기 요청받은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 채널에 해당하는 신호를 상기 인터넷 망을 통하여 상기 단말에게 송신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 서버.Receiving an audio streaming broadcast channel from the terminal through the Internet network, and according to the authentication result of the authentication unit, including a transceiver for transmitting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requested audio streaming broadcast channel to the terminal through the Internet network An audio streaming broadcast server.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부는,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transceiver unit, 상기 단말이 전원-온이 되는 시점 또는, 상기 단말이 청취할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 채널을 변경하는 시점에서,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 채널에 대한 식별자를 수신하여, 해당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 채널에 대한 신호를 상기 단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 서버.When the terminal is powered on or when the terminal changes the audio streaming broadcast channel, the terminal receives an identifier for an audio streaming broadcast channel and provides a signal for the audio streaming broadcast channel to the terminal. An audio streaming broadcast server, characterized in that.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 채널들은,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plurality of audio streaming broadcast channels, 모든 가입자에게 기본적으로 제공될 수 있는 일반 채널, 각 업종에 적합한 업종 채널, 가입자가 상기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 서버에 미리 등록한 재생 리스트로 이루어진 가입자 맞춤형 채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 서버.An audio streaming broadcast server comprising a subscriber channel including a general channel that can be basically provided to all subscribers, an industry type channel suitable for each industry type, and a playlist which a subscriber pre-registered with the audio streaming broadcast server. 제17항 내지 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7 to 19, 상기 송수신부는, 인증용 정보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고,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receives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상기 인증부는, 미리 등록된 각 가입자의 인증용 정보와 상기 수신된 인증용 정보를 비교하여 서비스 대상인 단말인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 서버.And the authentication unit compares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each subscriber registered in advance with the received authentication information to determine whether the terminal is a service target.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관리부는,The method of claim 20, wherein the channel manager, 상기 요청받은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 채널이 가입자 맞춤형 채널인 경우, 상 기 인증용 정보를 활용하여, 요청받은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 채널을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 서버.If the requested audio streaming broadcast channel is a subscriber-tailored channel, the audio streaming broadcast server, characterized in that to identify the requested audio streaming broadcast channel by using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용 정보는,The method of claim 20, wherein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가입자 정보 및 단말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 서버.And at least one of subscriber information and a terminal identifier. 제1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9, 사용자에게 웹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웹 인터페이싱부를 더 포함하고,Further comprising a web interface for providing a web interface to the user, 상기 채널 관리부는, 상기 웹 인터페이싱부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에 따라, 상기 가입자 맞춤형 채널에 해당하는 음원리스트를 등록하거나 편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 서버.And the channel manager registers or edits a sound source list corresponding to the subscriber customized channel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through the web interface. 제17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관리부는,The channel management unit of claim 17, wherein the channel manager comprises: 방송되는 음악 사이에 광고를 삽입하여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 채널을 적어도 하나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 서버.An audio streaming broadcast server comprising at least one audio streaming broadcast channel by inserting an advertisement between broadcasted music. 제17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7 to 19, 비상 사태 발생시에 상기 채널 관리부는 모든 음악 서비스를 중단하고, 상기 송수신부는 비상 사태를 나타내는 음성 안내 메시지를 서비스 제공 중인 단말에 송 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 서버.And the channel manager stops all music services when an emergency occurs, and the transceiver transmits a voice guidance message indicating an emergency to a terminal providing a service.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관리부는, The method of claim 19, wherein the channel manager, 시대별, 쟝르별, 가수별, 청취자 연령별에 따라 상기 일반 채널을 각각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 서버.Audio streaming broadcast server,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figuring the general channel according to the age, genre, singer, listener age. 제17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7 to 19, 상기 송수신부는 단말로부터 곡 선호도를 수신하고,The transceiver receives a song preference from the terminal, 상기 채널 관리부는, 상기 수신된 곡 선호도를 기초로, 상기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 채널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스트리밍 방송 서버.The channel manager, the audio streaming broadcast server,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figuring the audio streaming broadcast channel based on the received song preference.
KR1020070053791A 2007-06-01 2007-06-01 Terminal for receiving audio streaming broadcast and server for providing audio streaming broadcast KR2009000202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3791A KR20090002021A (en) 2007-06-01 2007-06-01 Terminal for receiving audio streaming broadcast and server for providing audio streaming broadcas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3791A KR20090002021A (en) 2007-06-01 2007-06-01 Terminal for receiving audio streaming broadcast and server for providing audio streaming broadcas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2021A true KR20090002021A (en) 2009-01-09

Family

ID=40485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3791A KR20090002021A (en) 2007-06-01 2007-06-01 Terminal for receiving audio streaming broadcast and server for providing audio streaming broadcas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2021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1456A (en) * 2010-08-02 2012-03-09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System for providing vod service and processing method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1456A (en) * 2010-08-02 2012-03-09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System for providing vod service and processing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4353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networked music playback
US8243949B2 (en) Network addressible loudspeaker and audio play
KR101197510B1 (en) Common interface protocol for sending fm-rds message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851533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ynchronized playout of music on several personal digital music players
CN104520927A (en) Audio content auditioning
US20100036893A1 (en) Architecture for accessing a data stream by means of a user terminal
KR20100014821A (en) Systems and methods for music recognition
JP2009508177A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providing karaoke service using a mobile terminal
JP2002099287A (en) Music data distributing device, music data receiving device, music data reproducing device, and music data distributing method
CN102065340A (en)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multimedia synchronous interaction
CN106257928A (en) Audio file acquisition methods, update notification sending method, equipment and system
KR20090002021A (en) Terminal for receiving audio streaming broadcast and server for providing audio streaming broadcast
KR20100039946A (en) System for providing of radio broadcasting service using internet protocol and method thereof
KR20140019123A (en) Music broadcasting service method based on play list, and apparatus thereof
KR101981748B1 (en) Music streaming service system
KR20050100124A (en) Portable internet broadcasting system
KR20050092973A (en) Method for providing bell download service using realtime broadcasting information
KR20060124935A (en) Method for management branch stores using a internet radio brodcasting service
KR20180021045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jukebox service using mobile terminal
KR20090131523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on-line dj music service
KR20060036339A (en) Digital sound play service system and method
KR20170071455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jukebox service using mobile terminal
KR20090075371A (en) Receive method for radio broadcasting based internet protocol
KR20020024475A (en) Receiving apparatus for Internet audio broadcast
JP2004151776A (en) Delivery system, server, and audio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