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1786A - System for analyzing business influence due to computational failure - Google Patents

System for analyzing business influence due to computational fail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1786A
KR20090001786A KR1020070049298A KR20070049298A KR20090001786A KR 20090001786 A KR20090001786 A KR 20090001786A KR 1020070049298 A KR1020070049298 A KR 1020070049298A KR 20070049298 A KR20070049298 A KR 20070049298A KR 20090001786 A KR20090001786 A KR 200900017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ilure
event
impact
information
fau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92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진수
이희수
Original Assignee
김진수
이희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수, 이희수 filed Critical 김진수
Priority to KR10200700492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1786A/en
Publication of KR20090001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178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06Q10/06375Prediction of business process outcome or impact based on a proposed ch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29Arrangements for monitoring broadcast services or broadcast-related services
    • H04H60/33Arrangements for monitoring the users' behaviour or opin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4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e.g. of sport results or stock marke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Fina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Debugging And Monitoring (AREA)

Abstract

A system for analyzing a business influence caused by computation failure is provided to construct a system for sensing important failure automatically and coping with the failure quickly, and to support fast decision-making and failure-coping, then to suggest a method for improving predictive accuracy in failure measures of a computation organization. A management tool unit transmits a failure event message. A service desk unit decides on a failure seriousness grade by receiving and analyzing the event message, and transmits a failure message. An influence analyzer compares/analyzes influence information and organized resource information stored in an integrated DB, and outputs result data. The influence analyzer comprises as follows. An application includes a failure event processing module, an influence analysis processing module, and a failure event/influence screen display module. A monitoring unit provides influence analysis data to a user. A DB stores data processed in the monitoring unit and the application.

Description

전산장애로 인한 비즈니스 영향도 분석 시스템{System for analyzing business influence due to computational failure}System for analyzing business influence due to computational failure

도 1은 비즈니스와 IT 구성요소를 연계하기 위한 관계정보 구성 예시도 1 is an exemplary configuration diagram of relationship information for linking business and IT components

도 2는 표 1의 분석 관점을 하나의 화면으로 모두 보여주는 전체보기 UI 예시도Figure 2 is an example of the overall view UI showing all of the analysis perspective of Table 1 in one scree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다이어그램 3 is a network dia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영향도 분석시스템을 실제 환경에 적용한 장애대응시스템 구성도4 is a block diagram of a failure response system applying the impact analysis system to a real environment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서버, 어플리케이션서버, DB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Figure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nitoring server, application server, DB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영향도 분석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 구조도6 is a database structure diagram of the impact analysis system

도 7은 도5 내의 어플리케이션서버의 장애이벤트 처리모듈 흐름도7 is a flowchart of a failure event processing module of the application server shown in FIG.

도 8은 도5 내의 어플리케이션서버의 영향도분석 처리모듈 흐름도8 is a flowchart of an impact analysis processing module of the application server shown in FIG.

도 9는 도2 내의 어플리케이션서버의 화면표시 모듈 흐름도9 is a flowchart of a screen display module of the application server shown in FIG.

도 10은 장애이벤트 처리 흐름도10 is a fault event processing flow chart

도 11은 비즈니스 영향도 분석 시스템의 적용시나리오에 대한 개체간 연결 구성 예시도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connection between entities for an application scenario of a business impact analysis system;

도 12는 비즈니스 모니터링을 위한 도 5의 서비스상황도 조회화면의 예시도12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service status inquiry screen of FIG. 5 for business monitoring.

도 13은 전산자원 종합상황 모니터링을 위한 도 5의 IT 종합상황도 조회화면의 예시도FIG. 13 is an exemplary diagram of an IT comprehensive status diagram inquiry screen of FIG. 5 for monitoring a computer resource comprehensive status.

도 14는 네트웍 장비 및 회선 모니터링을 위한 도 5의 네트웍상황도 조회화면의 예시도14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network status diagram inquiry screen of FIG. 5 for network equipment and line monitoring.

도 15는 관련시스템간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시스템 구성도 조회화면의 예시도1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inquiry screen show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related systems

도 16은 해당업무의 처리흐름을 보여주는 업무흐름도 조회화면의 예시도16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work flow chart inquiry screen showing a process flow of a corresponding work

도 17, 18은 영향범위 파악 및 분석을 위한 도 5의 업무 영향도 현황 조회화면의 예시도17 and 18 are exemplary diagrams of the work impact status inquiry screen of FIG. 5 for identifying and analyzing an impact range.

도 19는 장애발생부터 현재까지의 장애조치상황을 조회하는 도 5의 장애조치상황 조회화면의 예시도FIG. 19 is an exemplary view of the failover status inquiry screen of FIG. 5 for inquiring failure status from failure to the present; FIG.

도 20은 모니터링항목과 관련이 있는 항목간의 연결관계를 도식화하여 구현한 화면 예시도20 is an exemplary screen diagram illustrating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items related to monitoring items.

도 21은 대상모니터링항목을 기준으로 관계된 항목들을 표 형태로 구현한 화면 예시도2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implementing items related to a target monitoring item in a tabular form.

도 22는 맵관리기능이 표시되는 화면 예시도22 is a screen example of displaying a map management function

본 발명은 각종 전산시스템에서 전산장애가 발생시에 비즈니스에 끼치는 영 향도를 분석하는 비즈니스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siness monitoring system for analyzing the impact on the business when a computer failure occurs in various computer systems.

현재 비즈니스와 IT의 융합을 위한 IT 거버넌스(Governance), EA(Enterprise Architecture), ITSM(IT Service Management), ITIL(IT Infra-Tool(SMS, NMS 등)) 등의 모델이 기업에게 방향성을 제시해주고 있으나, 실제 적용단계에서는 이들 모델간에 괴리가 존재하고 있다.Currently, models such as IT Governance, Enterprise Architecture (EA), IT Service Management (ITSM), and IT Infra-Tool (SMS, NMS, etc.) for the convergence of business and IT provide direction to companies. However, there is a gap between these models in the actual application stage.

즉, IT 거버넌스의 경우에 중요성은 인식하고 있으나 실행 정도나 활용 수준이 미흡한 실정이며, EA의 구축을 통해 전사적 IT체계는 확립할 수 있으나 IT서비스관리 도구와는 독립적으로 운영되므로 비즈니스 영향도의 모니터링은 불가하다. 또한, ITSM의 경우에는 전사 비즈니스 체계와의 연계성 부족으로 IT 조직 관점의 모니터링으로 제한되는 단점이 있고, ITIL의 경우에는 개별 전산자원의 장애나 성능 모니터링은 가능하나 비즈니스와의 연계성이 결여되어 있다.In other words, the importance of IT governance is recognized, but the degree of implementation or utilization is insufficient. The establishment of an enterprise-wide IT system can be established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EA, but it is operated independently of the IT service management tool. Is impossible. In addition, ITSM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limited to monitoring from an IT organization's point of view due to lack of linkage with the enterprise business system.In the case of ITIL, it is possible to monitor the failure or performance of individual computing resources but lacks the linkage with the business.

따라서 신속한 장애 대응을 위해서는 정보기술(IT)이 비즈니스에 끼치는 영향을 신속히 파악하고 원인분석을 용이하게 하는 비즈니스 모니터링 시스템의 도입이 요구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전산시스템을 운영하는 기업에게 실익을 보장할 수 있는 진정한 비즈니스와 IT의 융합이 필요한바, 1) 비즈니스 계층(business tier)과 기반구조 계층(infrastructure tier)의 대통합, 2) Infra에서 사용자까지의 전체 서비스의 일관된 관리, 3) 실시간 기업환경을 능동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동적(dynamic) 정보 처리, 4) 순차적이며 연쇄적인 제반 관리도구들간의 정보흐름 관리, 5) 비즈니스와 IT의 통제 및 모티터링을 통한 24x7 비즈니스 연속성을 실현, 6) 비즈니스의 사활에 막대한 영향을 주는 주요 업무의 상시 모니터 링, 7) EA의 데이터구조, CMDB(configuration management), 이벤트 DB 및 이들간의 연계 정보를 통합, 8) IT Governance, EA, ITIL과 같이 프레임웍(framework)이 아닌 실제적인 활용 기술 등을 제공할 수 있다.Therefore, in order to respond quickly to failures,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a business monitoring system that quickly identifies the effects of information technology on the business and facilitates cause analysi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is necessary to converge the real business and IT that can guarantee the profits of companies operating computer systems. 1) Integrating the business tier and the infrastructure tier, 2) Infra Consistent management of all services to users, 3) Dynamic information processing to actively support real-time enterprise environment, 4) Information flow management between sequential and serial management tools, 5) Business and IT control and 24x7 business continuity through monitoring, 6) continuous monitoring of key tasks tha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life and death of the business, 7) integration of EA's data structure, configuration management (CMDB), event DB and linkage information between them, 8) It can provide practical utilization technology, not framework, such as IT Governance, EA, and ITIL.

이를 위해, 본 발명자는 비즈니스 계층과 하부구조 계층의 연결을 거대하고 복잡한 파이프라인으로 개념화하여 현재 단절되어 있는 IT 환경을 통합하고 관리하는 동적 서비스 파이프라인 통합 기술에 의해서 전산장애에 의한 비즈니스 영향도를 분석하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ors conceptualize the connection between the business layer and the infrastructure layer into a huge and complex pipeline to manage the business impact caused by computational obstacles by a dynamic service pipeline integration technology that integrates and manages the currently disconnected IT environment. We have developed a system for analysis.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중요 장애를 자동 감지하고 신속대응하는 체계를 구축하며, 장애 발생시 영업창구, 언론대응 등 현업에서의 신속한 의사결정 및 장애 대응을 지원하고, 전산조직의 장애조치 예측 정확도 향상 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전산장애로 인한 비즈니스 영향도 분석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refor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stablish a system that automatically detects important obstacles and responds quickly, supports rapid decision-making and response in the field of business such as sales counters and media correspondence in the event of a failure, and improves the accuracy of predicting failure measures of computerized organizations. In order to prepare the syst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business impact analysis system due to computational disability.

<배경 설명><Background description>

장애의 유형Type of Disability

장애에는 회선 장애, 통신장비 장애, DB 장애, 서버 장애, 정보시스템 장애, 단말기 장애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장애는 전산시스템을 운용하고 있는 비즈니스(가령 금융 비즈니스 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앞의 5가지 장애의 경우에는 자원 형태에 따라 영향도가 달라지므로 CMDB 구축시에 구성항목별로 영향도를 파악 해 둘 필요가 있다. 마지막의 단말기 장애도 고객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는 하나 그 영향도는 일부 영역으로 제한되는 성격을 갖는다.Failures include line failures, communication equipment failures, DB failures, server failures, information system failures, and terminal failures. These obstacles have a direct impact on the business running the computer system (eg financial business). In the case of the previous five failures, the impact varies depending on the resource typ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impact of each configuration item when constructing the CMDB. The last terminal failure has a direct impact on the customer, but the influence is limited to some areas.

전산장애로 인한 영향도 분석의 중요성 Importance of Analyzing Impacts from Computational Disorders

장애 대응 조직은 크게 조치자(실무), 보고자(팀장), 의사결정자(임원)가 있는데, 조치자는 장애 인지/조치에 급급하고, 보고자의 의사결정자에 대한 보고가 체계적이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체계적인 장애 의사 결정을 위해서는 발생된 장애에 대한 다양한 관점의 영향도 분석이 필수적이다.Disability-response organizations are largely composed of action workers (workers), reporters (team leaders), and decision makers (executive officers), who are urgent in identifying and acting on disability, and the reporter's decision makers are not systematic. For systematic disability decision making,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influence of various viewpoints on the disability generated.

영향도 분석시의 요구사항Requirements for Impact Analysis

영향도 분석은 시스템에 대한 영향분석(개발조직 차원)과 인프라에 대한 영향분석(운영조직 차원)이 있다. 인프라의 경우 SMS, NMS 등 다양한 분석도구가 도입/운영되고 있으나, 시스템의 경우에는 그러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Impact analysis includes impact analysis on system (development level) and infrastructure impact analysis (operational level). In the case of infrastructure, various analysis tools such as SMS and NMS are introduced / operated, but in the case of systems, this is not the case.

사용자 계층User hierarchy

비즈니스 모니터링은 비즈니스 조직과 IT 조직에서 수행하게 되지만 사용자 유형에 따라 제공되는 정보의 성격이 달라야 하므로, 사용자 계층을 전략계층, 전술계층, 실무계층 등 3가지 유형으로 분류하고, 이에 따라 UI를 별도 구현한다.Business monitoring is performed by business and IT organizations, but the information provided must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user type. Therefore, the user hierarchy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strategic layer, tactical layer, and business layer. do.

전략계층(strategic tier) - 의사결정, 정책 수립, 규칙 제정 및 재무활동 수준 설정 등 최고 의사결정 계층을 말하며, 비즈니스조직과 IT조직의 임원 수준의 사용자 계층을 의미한다. 이 계층에 대해서는 비즈니스관점 위주의 모니터링 정보를 제공한다.Strategic Tier-The highest level of decision making, including decision making, policy making, rulemaking, and setting the level of financial activity. It refers to the user level at the executive level of business and IT organizations. This layer provides business-oriented monitoring information.

전술계층(tactical tier) - 전략계층이 결정한 정책 및 규칙을 구현하고, 제 반 활동에 대한 관리, 감독을 수행하는 계층으로서 IT부서 관리자 수준의 사용자 계층을 의미한다. 이 계층에 대해서는 비즈니스관점, 정보시스템관점, 데이터베이스관점, 네트워크관점 위주의 모니터링 정보를 제공한다.Tactical tier-A layer that implements policies and rules determined by the strategic tier and manages and supervises all activities, and refers to the user tier at the IT manager's level. This layer provides monitoring information focused on business, information system, database, and network perspectives.

실무계층(practical tier) - 전술계층이 결정한 장단기 계획을 실행하고 제반 IT 장애를 모니터링 및 해결하는 실무자 계층을 의미하며, IT조직의 실무담당자 뿐만 아니라 제반 IT서비스 활동을 수행하는 제3자 직원들도 포함한다. 이 계층에 대해서는 전반적인 모니터링 정보 제공이 필요하다. Practical tier-means a group of practitioners who implement the short and long term plans determined by the tactical tier and monitor and resolve all IT failures.As well as the executives of the IT organization, the third party employees who perform all IT service activities Include. It is necessary to provide overall monitoring information for this layer.

비즈니스 모니터링의 대상Target of business monitoring

비즈니스 모니터링에서의 커뮤니케이션은 비즈니스 관점으로 이행되어야 하는바, 이를 위해 모니터링의 대상을 고객, 비즈니스, 정보시스템, 데이터베이스, 네트워크 등 5개의 관점으로 규정하고, 이를 각각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기준으로 적용한다(표 1 참조). 표 1에서 분석의 관점별로 모니터링해야 하는 항목(MI)이 설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Communication in business monitoring should be implemented from a business perspective. For this purpose, the monitoring targets are defined in five perspectives: customer, business, information system, database, and network, and each is applied as a standard of user interface (Table 1). Reference). It can be seen from Table 1 that the items (MI) to be monitored are set for each analysis point of view.

Figure 112007037170133-PAT00001
Figure 112007037170133-PAT00001

한편, IT 장애가 비즈니스에 미치는 영향을 효과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해서는 표 1의 모니터링 항목(MI)간의 관계를 정의하는 것이 선결조건이다. 정의한 관계 정보를 이용하여 영향도 분석 및 모니터링 화면간의 상호 연계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MI 관계도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과 같이 정의한 연계정보를 전제로 하여 비즈니스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계한다. 도 1은 비즈니스와 IT 구성요소를 연계하기 위한 관계정보 구성 예시도이다.On the other hand, to effectively monitor the impact of IT failures on the business, it is a prerequisite to def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nitoring items (MI) in Table 1. This is becaus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mpact analysis and monitoring screens can be interconnected using the defined relationship information. This MI relationship is shown in FIG. Design a business monitoring system on the premise of the linkage information defined as in FIG. 1 is an exemplary configuration diagram of relationship information for linking business and IT components.

상기 모니터링 대상별로 위험 수준을 판단할 수 있도록 UI를 설계할 수 있다. 도 2는 표 1의 분석 관점을 하나의 화면으로 모두 보여주는 전체보기 UI를 예시하고 있다. 왼쪽으로부터 고객관점에서의 시스템 가용도(customer availability), 비즈니스관점에서의 시스템 가용도(business availability), 정보시스템관점에서의 시스템 가용도(application availability), 데이터베이스관점에서의 시스템 가용도(database availability), 네트웍관점에서의 시스템 가용도(network availability)를 표시하고 있다. 도 2에서 각 분석 관점별로 시스템 가용도 %가 막대 형태 및 실제값으로 표시되며, 전월 평균이 파란색 선으로 기대수준이 빨간색 선으로 기준 설정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각 관점 항목 아래에는 "상세보기" 버튼이 마련되어 해당 화면으로 들어가 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가용도가 기대수준보다 낮아서 위험한 경우에는 가용도 표시 막대를 붉은색으로 대비시켜서 즉각 인지가능하도록 구분하고 있다. 도 2에서, 각 가용도 표시 막대를 선택하면, 1) 고객관점 - 고객 그룹별 위험 수준을 판단할 수 있도록 하며, 해당 항목 클릭시 세부 고객 분류별 화면 연계가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고, 2) 비즈니스 관점 - 업무 그룹별 위험 수준을 판단할 수 있도록 하며, 해당 항목 클릭시 세부 업무기능별 화면 연계가 가능하도록 구성하거나, BPM(business process manager)과 기능을 연계하게 되면, 비즈니스 모니터링 화면과 연계하여 업무별 흐름도를 연계하여 업무 흐름도 상의 행위별로 모니터링이 가능하게 할 수 있고, 3) 정보시스템 관점 - 정보시스템 그룹별로 위험 수준을 판단할 수 있도록 하며, 해당 항목 클릭시 연계 화면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고, 4) 데이터베이스 관점 - 데이터베이스 그룹별 위험 수준을 판단할 수 있도록 하며, 해당 항목 클릭시 연계 화면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고, 5) 네트워크 관점 - 네트워크 및 서버별 위험 수준을 판단할 수 있도록 하며, 해당 항목 클릭시 연계 화면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밖에 고객, 비즈니스, 정보시스템, 데이터베이스, 회선, 통신장비, 서버 등 모니터링 개별 항목을 기준으로 연계 모니터링 항목과의 연결관계 및 상태를 모니터링 가능한 "MI 관계 조회 기능"도 부여할 수 있다. The UI may be designed to determine a risk level for each monitoring target. FIG. 2 illustrates an overview UI showing all of the analysis viewpoints of Table 1 on one screen. From the left, system availability from the customer's point of view, system availability from the business point of view, system availability from the information system point of view, database availability from a database point of view It also shows the system availability from a network perspective. In FIG. 2, the system availability% is displayed in bar form and actual value for each analysis point of view, and it can be seen that the average of the previous month is set as the blue line and the expected level is set as the red line. Below each perspective item is a "Detail View" button that allows you to enter the screen. If the availability is lower than expected, the availability bar is contrasted with red to identify it immediately. In Figure 2, selecting each availability bar, 1) Customer Perspective-to determine the risk level for each customer group, can be configured to enable screen linkage by detailed customer classification when clicking the item, 2) Business Perspective-The risk level of each business group can be judged, and when a corresponding item is clicked, the screen can be linked by detailed business functions, or when the function is linked with BPM (business process manager), it is linked with the business monitoring screen. By linking the flow charts, it is possible to monitor each activity in the work flow chart. 3) The perspective of the information system-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level of risk for each information system group. , 4) Database Perspective-Allows you to determine the level of risk for each database group. It can be configured to move to the screen. 5) Network Perspective-It can determine the risk level by network and server, and can be configured to move to the linking screen when the corresponding item is clicked. In addition, "MI relationship inquiry function" that can monitor the connection relationship and status with the linked monitoring item based on monitoring individual items such as customer, business, information system, database, circuit, communication equipment, and server can be granted.

<발명의 개요><Overview of inven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특징에 따르면, 메인프레임, 서버, 데이터베이스, 어플리케이션, 통신장비, 네트워크 등 조직의 전산자원에서 발생하는 장애를 감지하여 장애 이벤트 메시지를 전송하는 관리도구 수단, 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management tool means for detecting a failure occurring in the computing resources of the organization, such as mainframes, servers, databases, applications, communication equipment, networks, and transmits a failure event message;

상기 장애 이벤트 메시지를 수신 및 분석하여 장애심각도 등급을 판별하여 장애 메시지를 전송하는 서비스데스크 수단, Service desk means for receiving and analyzing the failure event message to determine a failure severity level and transmitting a failure message;

상기 장애 메시지를 수신하여 이 메시지에 포함된 장애 이벤트를, 통합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구성자원 정보 및 영향도정보와 실시간으로 비교, 분석한 후 그 결과 데이터를 출력하는 영향도분석 수단을 포함하되,And an impact analysis means for receiving the failure message, comparing the failure event included in the message with the component resource information and the impact information stored in the integrated database in real time, and outputting the result data.

상기 영향도분석 수단은 장애이벤트 처리 모듈, 영향도 분석처리 모듈, 장애이벤트/영향도 화면표시모듈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처리된 영향도분석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모니터링부와; 상기 모니터링부 및 어플리케이션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산장애로 인한 비즈니스 영향도 분석 시스템을 개시한다.The impact analysis means includes an application including a fault event processing module, an impact analysis processing module, and a fault event / effect screen display module; A monitoring unit for providing a user with impact analysis data processed by the application; Disclosed is a business impact analysis system due to a computer failure, comprising a database storing data processed by the monitoring unit and an application.

상기 시스템에서 상기 관리도구 수단은 조직의 시스템 장애를 감지하는 도구, 네트웍장애 감지도구, 어플리케이션장애 감지도구를 포함하는 개별 장애 모니터링 도구; 및 상기 시스템장애 감지도구, 네트웍장애 감지도구, 어플리케이션장애 감지도구에서 출력되는 장애 신호를 통합적으로 처리하여 장애 이벤트 메시지를 생성하는 이벤트 통합관리 도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system, the management tool means includes an individual failure monitoring tool including a tool for detecting a system failure of the organization, a network failure detection tool, and an application failure detection tool; And an integrated event management tool for generating a failure event message by integrally processing a failure signal output from the system failure detection tool, a network failure detection tool, and an application failure detection tool.

또한, 상기 영향도분석 수단의 모니터링부는 상기 전산자원의 장애로 인해 조직의 어떤 업무가 지장을 받고 있는지의 상황을 표시하는 서비스상황도 조회화면과, 개별 장애에 대한 장애조치현황을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는 장애조치상황도 조회화면과, 업무와 관련된 장애에 대해 장애심각도나 영향범위를 파악할 수 있도록 영향도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화면으로 표시하는 업무영향도 조회화면과, 업무와 관련된 장애에 대해 업무별 기능과 입출력 요소를 나타내는 업무흐름도와 이 업무흐름도 상의 항목별 장애현황을 조회하도록 하는 업무흐름도 조회화면과, 모니터링항목과 관련이 있는 항목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연결관계 조회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onitoring unit of the impact analysis means can be seen at a glance the service status display screen showing the status of what work of the organization is hindered by the failure of the computer resources, and the status of the failure action for each individual failure at a glance. Inquiry on the status of the disability actions that can be viewed, the work impact inquiry screen that displays information on the impact level so that the disability severity or the scope of the disability can be identified, and the work on the disability related to work It may include a task flow screen for inquiring function and input / output elements for each function, and a task flow screen for inquiring the fault status of each item in the workflow diagram, and a linkage relation screen for displa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tems related to the monitoring items.

또한, 상기 영향도분석 수단 내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장애이벤트 처리모듈은, 상기 서비스데스크 수단으로부터 수신한 장애접수 메시지를 분석하여 데이터베이스의 모니터링항목과 비교검색하여 이벤트 식별자와 모니터링 항목을 판별/매핑시킨 후, 장애접수 내용과 장애이벤트 현황을 저장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영향도분석 처리모듈은, 모니터링 항목의 식별자를 데이터베이스의 마스터정보에 저장된 기초정보와 영향도정보를 추출하고, 관계정보 테이블에 저장되어 있는 모니터링항목간의 관계정보를 기초로 관련된 항목의 식별자들을 추출해 낸 후, 영향도 정보와 관계정보를 병합/가공하여 장애이벤트/영향도화면 표시모듈로 영향도정보와 관계정보를 전달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ailure event processing module of the application in the impact analysis means, after analyzing the failure reception message received from the service desk means to compare and search the monitoring items in the database to determine / map the event identifier and monitoring items, And a means for storing the fault reception contents and the fault event status, wherein the impact analysis processing module extracts the basic information and the impact information stored in the master information of the database from the identifier of the monitoring item, Means for delivering the impact information and the relationship information to the fault event / effect screen display module by extracting the identifiers of the related items based on the relationship information between the stored monitoring items and merging / processing the impact information and the relationship information. It may include.

본 발명의 제2특징에 따르면, 메인프레임, 서버, 데이터베이스, 어플리케이션, 통신장비, 네트워크 등 조직의 전산자원에서 발생하는 장애 메시지를 수신하여 이 메시지에 포함된 장애 이벤트를, 통합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구성자원 정보 및 영향도정보와 실시간으로 비교, 분석한 후 그 결과 데이터를 출력하는 장치로서, 이 장치는 인터넷 환경으로 구현된 영향도 분석시스템을 통해 영향도 분석의 제반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모니터링부와, 장애이벤트 처리 모듈, 영향도 분석처리 모듈, 장애이벤트/영향도 화면표시모듈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모니터링부 및 어플리케이션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산장애로 인한 비즈니스 영향도 분석 장치를 개시한다.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mponent resource stored in an integrated database by receiving a failure message generated from an organization's computational resources such as a mainframe, a server, a database, an application, a communication device, and a network, and storing the failure event included in the message. It is a device that compares and analyzes information with impact information in real time and outputs the result data. This device is a monitoring unit that provides users with all the services of impact analysis through an impact analysis system implemented in the Internet environment. Computational failur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application including a failure event processing module, the impact analysis processing module, a failure event / impact display module, and a database storing data processed by the monitoring unit and the application The business impact analysis device caus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여기서,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전산자원의 장애로 인해 조직의 어떤 업무가 지장을 받고 있는지의 상황을 표시하는 서비스상황도 조회화면과, 개별 장애에 대한 장애조치현황을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는 장애조치상황도 조회화면과, 업무와 관련된 장애에 대해 장애심각도나 영향범위를 파악할 수 있도록 영향도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화면으로 표시하는 업무영향도 조회화면과, 업무와 관련된 장애에 대해 업무별 기능과 입출력 요소를 나타내는 업무흐름도와 이 업무흐름도 상의 항목별 장애현황을 조회하도록 하는 업무흐름도 조회화면과, 모니터링항목과 관련이 있는 항목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연결관계 조회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monitoring unit also displays a service status screen that displays the status of what kind of work is being disrupted due to the failure of the computational resource, and the failure situation that can grasp the failure status for each failure at a glance. Task impact inquiry screen that displays the degree inquiry screen, the screen that provides the impact-related information to identify the disability severity or the scope of the impact on task-related obstacles, and the function and input / output elements by task for the task-related disorder It may include a work flow diagram screen for inquiring a work flow diagram indicating a fault condition and a fault status of each item on the work flow diagram, and a linkage relation inquiry screen showing a relationship between items related to monitoring items.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상기 장애이벤트 처리모듈은, 상기 서비스데스크 수단으로부터 수신한 장애접수 메시지를 분석하여 데이터베이스의 모니터링항목과 비교검색하여 이벤트 식별자와 모니터링 항목을 판별/매핑시킨 후, 장애접수 내용과 장애이벤트 현황을 저장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영향도분석 처리모듈은, 모니터링 항목의 식별자를 데이터베이스의 마스터정보에 저장된 기초정보와 영향도정보를 추출하고, 관계정보 테이블에 저장되어 있는 모니터링항목간의 관계정보를 기초로 관련된 항목의 식별자들을 추출해 낸 후, 영향도 정보와 관계정보를 병합/가공하여 장애이벤트/영향도화면 표시모듈로 영향도정보와 관계정보를 전달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ailure event processing module of the application, after analyzing the failure reception message received from the service desk means to compare and search the monitoring items in the database to determine and map the event identifier and monitoring items, and the failure reception content and failure It may include means for storing the status of the event, the impact analysis processing module, extracts the basic information and the impact information stored in the master information of the database to the identifier of the monitoring item, the monitoring item stored in the relationship information table And extracting identifiers of related items based on the relationship information therebetween, and then merging / processing the influence information and the relationship information to convey the impact information and the relationship information to the fault event / effect screen display module. .

본 발명의 제3특징에 따르면, 메인프레임, 서버, 데이터베이스, 어플리케이션, 통신장비, 네트워크 등 조직의 전산자원에서 발생하는 장애 메시지를 수신하여 이 메시지에 포함된 장애 이벤트를, 통합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구성자원 정보 및 영향도정보를 영향도 분석 장치를 통해 실시간으로 비교, 분석한 후 그 결과 데이터를 출력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관리대상 전산자원에 장애가 발생하면, 각 전산자원에 미리 설치된 장애 모니터링도구 에이전트에 의해 장애 이벤트가 자동 전송되는 단계, 개별 전산자원에서 수신된 장애 이벤트들을 통합하는 단계, 통합된 장애이벤트를 미리 설정된 알람 기능에 의해 단문메시징(SMS)이나 이메일 등을 통해 해당 실무 담당자에게 통지하고, 전광판, 상황실 화면 등에 해당 이벤트 내용을 전송하고, 미리 정의된 포맷 형태로 장애 티켓(Trouble Ticket)을 전송하는 장애 내부공지단계, 수신된 장애 이벤트에 대해 미리 설정된 중요도 조건과 비교한 후, 상기 영향도분석 장치로의 전달 대상에 해당하는 중요도 이상인 경우 해당 장애이벤트를 영향도 분석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장애 접수단계, 영향도분석 장치로 전송된 이벤트를 시스템에 미리 정의된 정책/규칙에 의해 장애심각도와 장애 공지 매체에 따라, 해당 장애 이벤트를 장애 공지 매체에 전송하여 현업 사용자들이 장애 상황을 인지하여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장애 전파단계를 포함하는, 전산장애로 인한 비즈니스 영향도 분석 방법이 개시된다.According to a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mponent resource stored in an integrated database by receiving a failure message generated from a computing resource of an organization such as a mainframe, a server, a database, an application, a communication device, a network, and the like, the failure event included in the message A method of comparing and analyzing information and influence information in real time through an impact analysis device and outputting the result data. When a failure occurs in the computer resource to be managed, a failure monitoring tool agent installed in each computer resource is pre-installed. Automatically transmit the fault event, integrate the fault events received from individual computing resources, and notify the staff in charge of the integrated fault event through SMS or e-mail by using the preset alarm function. The event content to the event room screen, The fault internal notification step of transmitting a trouble ticket in the form of a mat, and when compared with a predetermined importance condition for a received fault event, the corresponding fault event is more than the importance corresponding to the delivery target to the impact analysis device. The fault reception step of transmitting the error to the impact analysis system, and the event transmitted to the impact analysis device according to the fault severity and fault notification medium according to the policy / rule predefined in the system, Disclosed is a method for analyzing business impact due to computer failure, including a disability propagation step that enables business users to recognize and respond to a failure situation.

여기서, 상기 장애 전파단계에 의해 수신된 장애 알림 메시지를 확인한 사용자가 장애 대응 조치를 하기 위하여 장애이벤트 레코드의 상태를 장애완료로 변경하면, 상기 영향도분석 장치로 해당 장애종료 메시지가 전송되는 단계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Here, if the user who checks the failure notification message received by the failure propagation step changes the status of the failure event record to failure completion in order to take a countermeasure, the corresponding failure termination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impact analysis device.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영향도 분석 방법은 실제로 컴퓨터 프로그램 내지는 소프트웨어로 구현가능하며, 이 프로그램 내지는 소프트웨어를 기록한 컴퓨터 기록매체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포함된다. The impact analysis method may be implemented by a computer program or software, and a computer recording medium recording the program or software also includes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과 작용을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a specific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발명의 구성 및 작용>Composition and Action of the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산장애로 인한 영향도분석 시스템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상의 구성 블록도이다. 영향도분석 시스템의 사용자(10, 20)는 인터넷을 통해 시스템에 접근할 수 있는데, 시스템은 크게 서비스상황도(도 12), IT종합상황도(도 13), 네트웍구성도(도 14), 장애조치상황도(도 16), 업무영향도(도 17), 시스템구성도(도 16, 도17), 연결관계(도 21, 22) 등의 영향도 분석 결과를 사용자에게 표시해 주는 화면표시부(30)와, 장애이벤트 정보, 모니터링 대상 항목 정보, 영향도 및 항목간 관계 정보, 모니터링 맵 화면에 대한 정보, 장애/변경/전파 이력 정보 등 영향도 분석을 위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부(50), 그리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데이터베이스부(50)를 조회하여 지정된 화면표시부(30)로 전달해 주는 응용프로그램부(40) 등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Figure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network for explaining the concept of the impact analysis system due to computational disord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rs (10, 20) of the impact analysis system can access the system through the Internet, the system is largely service status (Fig. 12), IT overall status (Fig. 13), network configuration (Fig. 14), Screen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results of the impact analysis such as the failure status (Fig. 16), work impact (Fig. 17), system configuration (Fig. 16, 17), connection relations (Fig. 21, 22), etc. 30) and a database unit 50 for storing impact analysis information such as failure event information, monitoring target item information, impact and relationship information between items, information on a monitoring map screen, and fault / change / propagation history information. ), And an application program unit 40 for inquiring the database unit 50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and delivering the same to the designated screen display unit 30.

도 4는 도 3을 보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비즈니스 영향도분석 시스템을 실제 환경에 적용한 장애대응 시스템의 구성도이다.FIG. 4 is a block diagram of a failure response system in which a business impact analysis system is applied to a real environment in order to describe FIG. 3 in more detail.

도 4에서, 장애대응 시스템은 상황전파매체(100), 사용자(200), 비즈니스영향도분석시스템(300), 통합 데이터베이스(400), 이벤트 통합관리도구(500), 서비스데스크(600), 관리도구(700), 관리대상전산자원(800)으로 구성되어 있다.In FIG. 4, the failure response system includes a situation propagation medium 100, a user 200, a business impact analysis system 300, an integrated database 400, an event integrated management tool 500, a service desk 600, and management. The tool 700 and the computerized resource 800 to be managed.

관리도구(700)는 메인프레임, 서버, 데이터베이스, 어플리케이션, 통신장비, 네트워크 등 조직의 전산자원(800)에서 발생하는 장애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장애 이벤트 메시지를 장애이벤트 통합관리도구(500)로 실시간 전송한다.The management tool 700 automatically detects a failure occurring in the computing resource 800 of the organization, such as a mainframe, a server, a database, an application, a communication device, a network, and real-time a failure event message as a failure event integrated management tool 500. send.

서비스데스크(600)는 이벤트통합관리도구(500)에서 발생한 장애이벤트를 인식하여 장애심각도를 판별한 후 비즈니스영향도분석시스템(300)으로 장애 메시지를 전송한다.The service desk 600 determines a failure degree by recognizing a failure event generated by the event integrated management tool 500 and transmits a failure message to the business impact analysis system 300.

영향도분석시스템(300)은 전달받은 장애 이벤트를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된 구성자원 정보 및 영향도정보와 실시간으로 비교/분석한 후 그 결과를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하고, 비즈니스 모니터링 등 제반 모니터링 화면(300)에 장애 메시지를 표시 혹은 해제한다.The impact analysis system 300 compares / analyzes the received failure event with constituent resource information and impact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400 in real time, stores the result in the database 400, and monitors the overall business such as business monitoring. The failure message is displayed or released on the screen 300.

도 5는 상기 도 4의 비즈니스 비즈니스영향도분석 시스템(300)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다. 영향도 분석 시스템은 크게 모니터링부(301), 어플리케이션(302), 데이터베이스(303)의 3 요소로 이루어져 있다.FIG. 5 shows a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the business business impact analysis system 300 of FIG. The impact analysis system is largely composed of three elements: the monitoring unit 301, the application 302, and the database 303.

도 5에서 모니터링부(301)는 인터넷 환경으로 구현된 영향도 분석시스템을 통해 영향도 분석의 제반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In FIG. 5, the monitoring unit 301 provides a user with various services of the impact analysis through the impact analysis system implemented in the Internet environment.

모니터링부(301)의 서비스상황도 조회화면(310)은 전산 자원의 장애로 인해 조직의 어떤 업무가 지장을 받고 있는지 한 눈에 알아볼 수 있는 화면으로서, 임원 등 경영층이 전사 비즈니스 상황에 대한 정상/비정상 여부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게 한다.The service status inquiry screen 310 of the monitoring unit 301 is a screen that can identify at a glance what kind of work of the organization is affected by the failure of computing resources. Allows you to determine whether an abnormality is in real time.

도 12는 서비스상황도 조회화면(310)의 구현화면 예시도로서, 상단의 장애이벤트 목록부와 하단 좌측의 네트웍상황부, 하단 우측의 서비스 종합상황부로 구성되어 있다. 장애이벤트 목록부에는 종료되지 않은 장애이벤트에 대한 요약정보 목록이 나타나며, 장애 종료시에는 자동적으로 해당 장애이벤트가 목록에서 사라지게 된다. 네트웍 상황부는 네트웍 회선 혹은 주요 통신장비의 장애(도 11의 5에 해당하는 장애) 발생시 해당 지역의 색깔이 자동으로 변하고, 장애 종료시에는 해당지역의 색깔이 다시 정상 상태인 흰색으로 자동으로 바뀌게 되는데, 이는 도 10의 5→6→7→10→16의 과정을 거쳐 표시 혹은 해제된다. 서비스 종합상황부는 업무별 장애상황을 모니터링하는 화면으로, 업무와 관련된 장애(도 10의 1, 2, 3, 4에 해당하는 장애) 발생시 해당 업무의 색깔이 자동으로 변하고, 장애 종료시에는 해당업무의 색깔이 다시 정상 상태인 흰색으로 자동으로 바뀌게 되는데, 도 10의 1(혹은 2, 3, 4)→6→7→8→9→11 의 과정을 거쳐 표시 혹은 해제된다.FIG. 12 is an exemplary view of an implementation screen of the service status inquiry screen 310. The service status diagram includes a failure event list unit at the top, a network situation unit at the bottom left, and a service comprehensive situation unit at the bottom right. In the fault event list part, a summary list of fault events that have not been closed is displayed, and when the fault is terminated, the fault event automatically disappears from the list. The network status unit automatically changes the color of the region when a network line or a major communication equipment failure (disability corresponding to 5 in FIG. 11) occurs, and when the failure ends, the color of the region automatically changes to the normal white color again. This is displayed or released through the process of 5 → 6 → 7 → 10 → 16 of FIG. The Service Comprehensive Situation is a screen that monitors the disability situation of each task. When a task-related disability (disability corresponding to 1, 2, 3, and 4 of FIG. 10) occurs, the color of the task is automatically changed. The color is automatically changed back to the normal white color, which is displayed or released through the process of 1 (or 2, 3, 4) → 6 → 7 → 8 → 9 → 11 of FIG.

도 5의 IT종합상황도(320)는 네트워크를 제외한 전산자원별 장애현황을 한 눈에 알아볼 수 있는 화면이다.The IT comprehensive situation diagram 320 of FIG. 5 is a screen for identifying at a glance the failure status of each computing resource excluding the network.

도 13은 IT종합상황도 조회화면(320)의 구현화면 예시로서, 전사 자원을 총 6개의 카테고리(메인프레임영역 3개, 클라이언트/서버영역 3개)로 분류하고, 각 카테고리별 장애현황을 한 눈에 파악할 수 있으며, 업무와 관련된 장애의 경우 도 10의 1(혹은 2, 3, 4)→6→7→8→9→12 의 과정을 거쳐 표시 혹은 해제되고, 업무와 관련되지 않은 장애의 경우 도 10의 1(혹은 2, 3, 4)→6→7→10→17 의 과정을 거쳐 표시 혹은 해제된다.FIG. 13 shows an example of an implementation screen of the IT general situation inquiry screen 320. The enterprise resources are classified into six categories (three main frame regions and three client / server regions), and the failure status of each category is evaluated. In case of work-related disability, it is indicated or released through the process of 1 (or 2, 3, 4) → 6 → 7 → 8 → 9 → 12 of FIG. In the case of FIG. 10 (or 2, 3, 4) → 6 → 7 → 10 → 17, the display or release is performed.

도 5의 네트웍상황도조회화면(330)은 중요한 네트워크 자원의 장애현황을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는 화면으로, 도 14는 이의 구현화면에 해당한다.The network status inquiry screen 330 of FIG. 5 is a screen for grasping the failure status of important network resources at a glance, and FIG. 14 corresponds to an implementation screen thereof.

전사 네트웍자원을 백본 스위치(백본 SW), 지역별 연결장비(BP서버), 광대역 라우커(WAN 라우터), 백본 라우터 4개의 유형으로 분류하고, 전국 지역별 네트웍 장애현황을 표시하고 있으며, 네트워크 장애는 도 10의 5→6→7→10→18 의 과정을 거쳐 표시 혹은 해제된다.Enterprise network resources are classified into four types: backbone switch (backbone SW), regional connection equipment (BP server), broadband router (WAN router), and backbone router. It is displayed or cleared through the process of 5 → 6 → 7 → 10 → 18 of 10.

도 5의 장애조치상황도조회화면(340)은 개별 장애에 대한 장애조치현황을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는 화면으로, 도 19는 이의 구현화면에 해당한다.Disability action status inquiry screen 340 of Figure 5 is a screen that can grasp the disability action status for the individual failure at a glance, Figure 19 corresponds to the implementation screen thereof.

장애조치상황은 크게 장애목록부, 구성정보부, 장애조치현황부 등 세 부분으로 나뉜다. 상단의 장애목록부는 개별 장애목록이 나타나고, 목록을 선택하면 하단의 좌측, 우측화면이 해당 장애에 관련된 화면으로 교체된다. 좌측 하단의 구성정보부는 장애가 발생한 모니터링항목에 대한 구성요약정보 및 상세정보, 장애이력 및 상세장애이력, 변경이력 및 상세장애이력을 조회할 수 있다. 우측하단의 장애조치현황부는 장애발생시부터 현재시점까지의 시간대별 장애조치현황과 장애전파현황을 조회할 수 있다. 또한, 필요시 장애조치정보를 등록하거나 장애전파를 함으로써 장애조치에 관한 일련의 과정을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는 기능들을 포함하였다. 장애조치상황도조회화면의 하단에는 복구절차조회, 업무흐름도, 시스템구성도, 업무영향도 조회 등의 기능버튼이 있어 해당 기능을 이용할 수도 있다.Disability situation is largely divided into three parts: disability list, configuration information and disability action. At the top of the list of faults, a list of individual faults appears, and when the list is selected, the left and right screens at the bottom are replaced with the screen for the fault. The configuration information unit on the lower left can query the configuration summary information and detailed information, failure history and detailed failure history, change history, and detailed failure history for the monitoring item that has a failure. In the lower right corner, the failover status section can query the failure status and the propagation status by time from the time of failure to the present time. In addition, it included functions that can handle a series of processes on disability at one time by registering disability action information or disseminating disability if necessary. At the bottom of the failover status inquiry screen, there are function buttons such as recovery procedure inquiry, work flow chart,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work impact inquiry, and so on.

도 5의 업무영향도 조회화면(350)은 업무와 관련된 장애에 대해 장애심각도나 영향범위를 파악할 수 있도록 영향도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화면으로 영향도 현황화면(도 17)과 영향받는 서비스 조회화면(도 18)으로 구현된다.The task impact inquiry screen 350 of FIG. 5 is a screen that provides impact-related information so as to grasp a disability severity or an impact range for a task-related disorder, and an impact status screen (FIG. 17) and an affected service inquiry screen. (FIG. 18).

도 17은 업무와 관련된 장애항목의 영향도 현황을 조회하는 화면으로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해당업무의 월평균거래처리건수, 가입고객수, 영향업무건수, 심각도 등의 정보를 검색하여 제공하며, 장애 심각도의 결정을 위한 중요한 판단정보로 활용된다.FIG. 17 is a screen for inquiring the status of the impact of a disability item related to a task, and searches and provides information such as the monthly average transaction processing number, the number of subscribers, the impact task, and the severity of the task previously stored in a database. It is used as important judgment information for determining the severity.

도 18의 영향받는 서비스 조회화면은 도 6 데이터베이스 구조도의 CI관계 테이블(1)의 정보 중 해당업무와 관련된 업무들을 검색하여 제공하며 장애 전파범위의 결정시 판단정보로 활용된다.The affected service inquiry screen of FIG. 18 searches for and provides tasks related to the corresponding task among the information in the CI relationship table 1 of the database structure diagram of FIG. 6 and is used as judgment information when determining the fault propagation range.

도 17과 도 18의 영향도현황 화면은 도 10의 1(혹은 2, 3, 4)→6→7→8→9→15의 과정을 거쳐 표시된다.17 and 18 is displayed through the process of 1 (or 2, 3, 4) → 6 → 7 → 8 → 9 → 15 of FIG.

도 5의 시스템구성도 조회화면(360)은 업무와 관련된 장애에 대해 업무별 전산자원 구성을 한 눈에 알아 볼 수 있는 구성도와 구성도 상의 항목별 장애현황을 조회할 수 있으며, 도 10의 1(혹은 2, 3, 4)→6→7→8→9→13의 과정을 거쳐 표시된다.The system configuration inquiry screen 360 of FIG. 5 may query the fault status of each item on the schematic diagram and the schematic diagram for finding out at a glance the computational resource composition for each task related to the task-related obstacles. (Or 2, 3, 4) → 6 → 7 → 8 → 9 → 13

도 15는 시스템구성도의 구현화면으로, 채널, 대내채널, Server System, Host System, 연계System, 대외채널, 대외기관 등 7개의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채널은 사용자와의 접점을, 대내채널은 채널과 해당업무시스템과의 연결형태를, Server System은 해당업무와 관련된 전산자원을, Host System은 해당업무와 관련된 Host System을, 연계시스템은 해당업무와 관련된 사내 연계시스템을, 대외기관은 해당업무와 관련된 대외기관을, 대외채널은 해당업무시스템과 대외기관과의 연결형태를 각각 나타내며, 장애발생시 해당 항목이 빨갛게 표시되며, 조치완료시 평상시 상태인 하얀색으로 돌아온다.15 is an implementation screen of a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which is composed of seven areas such as a channel, an internal channel, a server system, a host system, a linked system, an external channel, and an external institution, and a channel is a contact point with a user. The type of connection between the channel and the relevant business system, the server system is the computational resources related to the relevant task, the host system is the host system related to the relevant task, the linked system is the in-house linked system related to the relevant task, and the external organization is the relevant task. The external channels related to the external channels, and the external channels indicate the type of connection between the relevant business system and the external organizations, are marked in red when a failure occurs, and return to the normal white color when the action is completed.

도 5의 업무흐름도 조회화면(370)은 업무와 관련된 장애에 대해 업무별 기능과 입출력 요소를 한 눈에 알아 볼 수 있는 흐름도와 업무흐름도 상의 항목별 장애현황을 조회할 수 있으며, 도 10의 1(혹은 2, 3, 4)→6→7→8→9→14의 과정을 거쳐 표시된다.The task flow inquiry screen 370 of FIG. 5 may inquire at a glance about a task-specific function and input / output elements with respect to a task-related disorder, and query the fault status of each item on the task flow diagram. (Or 2, 3, 4) → 6 → 7 → 8 → 9 → 14

도 16은 업무흐름도의 구현화면으로, 입력자료, 출력자료, 업무기능, 연계업무, 외부연계업무 등 5개의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입력자료는 해당업무에 입력되는 정보의 매체유형을, 출력자료는 해당업무를 통해 출력되는 자료의 매체유형을, 업무기능은 해당업무의 개별 기능구성을, 연계업무는 해당업무와 관련된 사내 타 업무를, 외부 연계업무는 회사 외부의 관련된 기관 혹은 업무를 각각 나타내며, 장애발생시 해당 항목이 빨갛게 표시되며, 조치완료시 평상시 상태인 하얀색으로 돌아온다.FIG. 16 is an implementation screen of a work flow diagram, which is composed of five areas, such as input data, output data, work function, linked work, and external linkage work. The input data shows the media type of information input to the corresponding work. Indicates the media type of the data output through the relevant business, the business function indicates the individual function configuration of the relevant business, the linked business refers to other internal tasks related to the relevant business, and the external linked business refers to related organizations or tasks external to the company. In case of a failure, the corresponding item is displayed in red, and when the action is completed, the item returns to the normal white color.

도 5의 연결관계 조회화면(380)은 모니터링항목과 관련이 있는 항목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화면이다.The connection relationship inquiry screen 380 of FIG. 5 is a screen showing a relationship between items related to a monitoring item.

도 20은 연결관계를 도식화하여 구현한 화면으로 중심에 대상 모니터링항목이 존재하고, 방사형으로 관계된 모니터링항목들을 표시함으로써 상호관계를 알 수 있게 하였다. 도 21은 대상모니터링항목을 기준으로 관계된 항목들을 표 형태로 구현한 화면이며, 이들은 도 7의 구성마스터테이블(2)과 도7의 CI관계 테이블(1)을 상호 참조하여 화면으로 표시한다.FIG. 2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which shows a target monitoring item in the center, and displays the monitoring items related to a radial line so that the correlation can be seen. FIG. 21 is a screen in which items related to a target monitoring item are implemented in a tabular form, and they are displayed on the screen by referring to the configuration master table 2 of FIG. 7 and the CI relationship table 1 of FIG. 7.

다시 도 5로 돌아가서, 비즈니스 영향도분석시스템의 어플리케이션(도 5의 302)은 장애이벤트 처리모듈(410), 영향도분석처리모듈(420), 장애이벤트/영향도 화면표시모듈(430), 모니터링항목 관리모듈(440), 모니터링화면 맵관리모듈(450)로 구성되어 있다.5 again, the application of the business impact analysis system (302 of FIG. 5) includes a fault event processing module 410, an impact analysis processing module 420, a fault event / impact display module 430, and monitoring. The item management module 440 and the monitoring screen map management module 450 are configured.

도 7은 장애이벤트 처리모듈(도 5의 410)의 처리 흐름을 상세히 나타내고 있다. 도 4의 시스템구성도의 서비스데스크(도 4의 600)에서 장애를 접수하면, 영향도분석시스템(300)으로 장애접수내용이 메시지 형태로 자동으로 전달되고(S411), 이로부터 장애접수 메시지를 분해한 후(S412), 데이터베이스의 모니터링항목(도 6의 구성마스터 테이블(2))과 비교검색하여 이벤트 식별자와 모니터링 항목을 판별/매핑시킨 후(S413), 장애접수내용은 도 6의 장애현황 테이블(26)에, 장애이벤트 현황은 도 6의 이벤트 현황(27)에 각각 저장한다. FIG. 7 illustrates the processing flow of the fault event processing module 410 of FIG. 5 in detail. When a failure is received at the service desk (600 of FIG. 4) of the system configuration of FIG. 4, the failure reception information is automatically delivered to the impact analysis system 300 in a message form (S411), and a failure reception message is received therefrom. After disassembly (S412), and compare and search the monitoring items (configuration master table (2) of Fig. 6) of the database to determine and map the event identifier and monitoring items (S413), the failure reception details are the failure status of Fig. In the table 26, the fault event status is stored in the event status 27 of FIG.

도 8은 영향도분석 처리모듈(도 5의 420)의 흐름을 자세히 나타내고 있다. 분석 처리의 호출은 화면표시모듈(도 5의 430)에서 모니터링항목의 식별자를 입력함으로써 구동이 되며(S421), 모니터링 항목의 식별자를 데이터베이스의 마스터정보(도 6의 구성마스터 테이블(2))에 저장된 기초정보와 영향도정보를 추출하고, 관계정보 테이블(도 7의 CI 관계 테이블(1))에 저장되어 있는 모니터링항목간의 관계정보를 기초로 관련된 항목의 식별자들을 추출해 낸 후(S422), 영향도 정보와 관계정보를 병합/가공한 후(S423), 호출한 화면표시모듈(도 5의 430)로 영향도정보와 관계정보를 전달한다(S424).8 shows the flow of the impact analysis processing module 420 of FIG. 5 in detail. Call of the analysis process is driven by inputting the identifier of the monitoring item in the display module (430 of FIG. 5) (S421), the identifier of the monitoring item to the master information of the database (configuration master table (2) of FIG. 6) After extracting the stored basic information and the impact information, and extract the identifiers of the related items based on the relationship information between the monitoring items stored in the relationship information table (CI relationship table (1) of FIG. 7) (S422) After merging / processing the degree information and the relationship information (S423), the influence information and the relationship information are transmitted to the called screen display module (430 of FIG. 5) (S424).

도 9는 장애이벤트/영향도화면 표시모듈(도 5의 430)의 흐름을 자세히 나타내고 있다.9 shows the flow of the fault event / effect screen display module 430 of FIG. 5 in detail.

장애이벤트/영향도 화면은 맵 형태의 화면과 그렇지 않은 화면으로 구분된다. 맵 형태의 화면은 도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서비스상황도, IT종합상황도, 네트웍상황도, 시스템구성도, 업무흐름도 등이 있으며, 도 22의 맵 관리기능을 통해 등록/수정/삭제할 수 있으며, 유형별 맵 템플릿은 도 6의 맵 템플릿 테이블(3)에, 작성된 맵 정보는 도 6의 맵 테이블(5)에 각각 저장되어 있다.The fault event / effect screen is divided into a map screen and a screen that is not. As shown in Fig. 10, the map type screen includes a service status diagram, an IT overall status diagram, a network status diagram, a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a work flow diagram, and the like. The map management function of FIG. 22 can be registered / modified / deleted. The map template for each type is stored in the map template table 3 of FIG. 6, and the created map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map table 5 of FIG.

우선 사용자가 모니터링 화면을 선택하면(도 9의 S431), 맵 식별자를 기초로 데이터베이스의 맵 테이블(도 6의 맵(5))을 참조하여 XML 형태로 저장되어 있는 맵 구성요소 정보를 조회한 후(S432), 맵 구성요소와 맵 정보에 포함된 개별 모니터링 항목의 식별자를 매핑한 후(S433), 모니터링 항목 식별자를 이용하여 미조치된 장애접수(도 6의 장애현황(26)) 정보와 비교하여 장애여부를 판단, 메모리에 저장하여 둔다. 이러한 과정을 맵 구성요소 전체에 대해 수행한 후(S435), 모니터링 맵 정보를 가공하여 기존 맵 XML 정보를 수정한 후(S436) 수정된 맵 XML 정보를 이용하여 화면으로 표시한다(S437).First, when the user selects the monitoring screen (S431 of FIG. 9), the user views the map component information stored in XML form by referring to the map table of the database (map 5 of FIG. 6) based on the map identifier. In operation S432, the identifiers of the individual monitoring items included in the map elements and the map information are mapped (S433), and compared with the information on the failure reception (failure status 26 of FIG. 6) using the monitoring item identifiers. To determine the fault and store it in memory. After this process is performed on the entire map component (S435), the monitoring map information is processed to modify the existing map XML information (S436), and then displayed on the screen using the modified map XML information (S437).

도 10은 장애이벤트의 접수에서 조회화면까지의 장애이벤트 처리흐름을 자세히 나타낸 것이다. 10 is a detailed flowchart of a fault event processing flow from a fault event reception to an inquiry screen.

장애이벤트는 크게 M/F 인프라장애(1), M/F 어플리케이션장애(2), 서버 인프라장애(3), 서버 어플리케이션 장애(4), 네트웍장애(5)로 구분되며, 장애 이벤트가 접수되면 개별 자원(혹은 모니터링 항목)과 CI 식별코드를 매핑을 하게 된다(도 10 단계 6). 장애 이벤트는 도 6의 이벤트현황 테이블(27)에 저장되어 있고, 모니터링항목정보는 도 6의 구성마스터 테이블(2)에 저장되어 있으며, 상호 참조 키는 CI 식별코드이다.Failure events are classified into M / F infrastructure failure (1), M / F application failure (2), server infrastructure failure (3), server application failure (4), and network failure (5). Each resource (or monitoring item) is mapped to the CI identification code (Fig. 10 step 6). The fault event is stored in the event status table 27 of FIG. 6, the monitoring item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configuration master table 2 of FIG. 6, and the cross-reference key is a CI identification code.

비즈니스 영향도 분석은 관리도구에서 발생하는 이벤트 중 장애심각도가 높은 장애(예를 들어, 심각도 1~5 중 1, 2인 장애만 해당(1: 가장 높음, 5: 가장 낮음))만 처리한다(도 10의 단계 7). Business impact analysis only handles failures with high severity of failures (e.g., failures 1 and 2 of severity 1-5 (1: highest, 5: lowest)) Step 7 of FIG. 10.

다음 단계는 장애이벤트에 대해 업무와 관련되어 있는 장애와 그렇지 않은 장애로 구분한다(도 10의 단계 7). 이는 도 6의 CI관계 테이블(1)에 저장된 관계정보 중 장애이벤트에 포함된 모니터링 항목 식별자와 어플리케이션 CI 식별자와의 관계레코드가 존재하는지(업무와 관련된 장애) 존재하지 않는지(업무와 관련되지 않은, 혹은 관련짓지 못하는)로 구분이 가능하다.The next step is to distinguish between the task-related and non-working faults for the fault event (step 7 of Figure 10). This indicates whether there is a relationship record between the monitoring item identifier included in the failure event and the application CI identifier among the relationship information stored in the CI relationship table 1 of FIG. 6 (fault related to the task) or not (not related to the task, Or not related).

업무와 관계된 모니터링 항목으로는 서버,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트랜잭션코드, IMSDB 등이 있으며, 업무와 관계짓지 못하는 모니터링 항목으로는 네트워크, 탠덤포트, M/F 채널, Address Space, Are, PSB, DB2, 테이블스페이스, 스토리지 볼륨 등이 있다. 업무와 관계된 장애의 경우 도 6의 CI관계테이블(1)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 식별자를 모두 읽어 들여(도 10의 8), 맵 구성항목과 매핑을 시킨 후(도 10의 9) 해당 맵으로 표시하게 된다(도 10의 11, 12, 13, 14, 15, 19). 업무와 관계없는(혹은 관계짓지 못하는) 장애의 경우 모니터링항목 식별자와 맵구성항목을 직접 매핑시킨 후(도 10의 10) 해당 맵으로 표시한다(도 10의 16, 17, 18, 20).Monitoring-related items include server, application, program, transaction code, and IMSDB. Monitoring items not related to work include network, tandem port, M / F channel, address space, are, PSB, DB2, and table. Space, storage volumes, and so on. In the case of work-related disability, all application identifiers included in the CI relationship table 1 of FIG. 6 are read (8 in FIG. 10), mapped to map configuration items (9 in FIG. 10), and displayed in the corresponding map. (11, 12, 13, 14, 15, 19 in Fig. 10). In the case of an unrelated (or unrelated) fault, the monitoring item identifier and the map configuration item are directly mapped (10 in FIG. 10) and then displayed in the corresponding map (16, 17, 18, and 20 in FIG. 10).

다시 도 5로 돌아가, 데이터베이스(303)는 비즈니스영향도 분석시스템의 주요 데이터베이스 구성을 나타낸 것이며, 이에 대한 세부 구조는 도 6에 나타낸바 있다. 아래 표 2, 3은 데이터베이스의 각 테이블에 대한 설명을 나타낸 것이다.5, the database 303 shows the main database configuration of the business impact analysis system, and the detailed structure thereof is shown in FIG. Tables 2 and 3 below describe each table in the database.

테이블번호Table number 테이블명Table name 설명Explanation 포함 필드Include field 1One CI관계CI relationship 모니터링항목(CI)간의 관계Relationship between monitoring items (CI) 소스CI일련번호,대상CI일련번호,소스유형구분코드,대상유형구분코드,CI관계구분코드Source CI serial number, Target CI serial number, Source type identification code, Target type identification code, CI relation identification code 22 구성마스터Configuration Master 모니터링 항목 기초정보 Monitoring Item Basic Information CI일련번호,CI명,등록년월일,등록직원번호,수정년월일,수정직원번호,삭제여부,CI상태구분코드,담당직원번호,삭제년월일,CI구성유형구분코드,ITSM지역구분코드,CI설명,운영부점코드,정운영직원번호,부운영직원번호,관리부점코드,정관리직원번호,부관리직원번호,운영시간번호,물품분류번호,물품고유번호CI serial number, CI name, registration date, registered employee number, modified date, modified employee number, whether to delete, CI status code, staff number, date of deletion, CI configuration type code, ISM region code, CI description, Operation department code, administrative staff number, administrative staff number, administrative department code, administrative staff number, secondary administrative staff number, operating time number, article classification number, article unique number 33 맵 템플릿Map template 맵별 템플릿정보Template Information by Map 맵템플릿일련번호,ITSM맵유형구분코드,파일일련번호,템플릿명,템플릿설명Map template serial number, ISM map type identification code, file serial number, template name, template description 44 어플리케이션과목관계Application Subject Relationship 어플리케이션과 과목간의 관계정보Relationship between application and subject 어플리케이션코드,업무이니셜코드,과목코드,어플리케이션CI일련번호,어플리케이션명,과목명,관리직원명,생성년월일Application code, business initial code, subject code, application CI serial number, application name, subject name, management staff name, date of creation 55 Map 작성된 맵 정보Created map information 맵일련번호,ITSM맵유형구분코드,어플리케이션CI일련번호,맵템플릿일련번호,작성년월일,수정년월일,작성완료여부,담당직원번호,XML내용Map serial number, ISM map type classification code, application CI serial number, map template serial number, date of creation, date of modification, whether or not it was completed, employee number, XML contents 66 프로그램program 상세정보(프로그램)Detailed Information (Program) CI일련번호,어플리케이션CI일련번호,업무이니셜코드,과목코드,거래구분코드,거래보조코드,2차메뉴명,화면명CI serial number, application CI serial number, business initial code, subject code, transaction identification code, transaction assistance code, secondary menu name, screen name 77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상세정보(어플리케이션)Detailed Information (Application) CI일련번호,어플리케이션그룹코드,CI업무구분코드,대고객업무여부,형상관리여부,어플리케이션모니터링여부,어플리케이션모니터링툴명,DR구축여부,유지보수계약업체구분코드,유지보수계약년월일,SLA대상여부,CS어플리케이션여부CI serial number, application group code, CI business division code, customer service status, configuration management, application monitoring status, application monitoring tool name, DR implementation status, maintenance contractor identification code, maintenance contract date, SLA target status, CS Application 88 어플리케이션서버거래관계Application Server Transaction Relationship 어플리케이션, 서버 거래관계정보Application, Server Transaction Relationship Information 과목코드,거래구분코드,거래보조코드,거래구분보조명,생성년월일Course code, Transaction code, Transaction code, Transaction code, Date of creation 99 서버server 상세정보(서버)Detailed Information (Server) CI일련번호,ITSM서버제조사구분코드,모델명,서버관리번호,설치년월일,유지보수계약년월일,유지보수계약업체구분코드,OS분류구분코드,OS버전명,CPU속도수,CPU개수,CPUTPMC,메모리용량,내장디스크용량,외장디스크용량,ITSM관리구분코드,ITSM서버분류구분코드,업무명,상세업무명,CPU사용율,메모리사용율,스왑사용율CI serial number, ISM server manufacturer identification code, model name, server management number, installation date, maintenance contract year, maintenance contract vendor identification code, OS classification code, OS version name, CPU speed, CPU count, CPUTPMC, memory Capacity, Internal Disk Capacity, External Disk Capacity, ITSM Management Code, ITSM Server Classification Code, Task Name, Detailed Task Name, CPU Usage, Memory Usage, Swap Usage 1010 소프트웨어software 상세정보(소프트웨어)Details (Software) CI일련번호,소프트웨어버전명,소프트웨어종류구분코드,소프트웨어용도명,물품일련번호,소프트웨어라이센스명,소프트웨어내용,소프트웨어제조회사구분코드,패치년월일CI serial number, software version name, software type identification code, software use name, product serial number, software license name, software contents, software manufacturer identification code, patch year 1111 탠덤포트Tandem pot 상세정보(탠텀포트)Detailed Information (Tantum Pot) CI일련번호,텐덤CI일련번호CI serial number, tandem CI serial number 1212 은행외부 시스템Bank Outer System 상세정보(은행외부 시스템)Detailed Information (External Bank System) CI일련번호,텐덤포트CI일련번호,회선명CI serial number, tandem port CI serial number, line name 13 13 채널channel 상세정보(메인프레임 채널) Details (mainframe channel) CI일련번호,메인프레임엘파CI일련번호CI serial number, mainframe Elpa CI serial number 14 14 스토리지 볼륨Storage volume 상세정보(스토리지 볼륨)Details (storage volume) CI일련번호,스토리지CI일련번호CI serial number, storage CI serial number

테이블번호Table number 테이블명Table name 설명Explanation 포함 필드Include field 1515 스토리지storage 상세정보(스토리지)Details (storage) CI일련번호,볼륨어드레스내용,ITSM지역구분코드,시스템환경명,업무명,상세업무명,스토리지제조회사구분코드,컨트롤모델명,캐쉬구성내용,캐쉬용량,드라이브구성내용,물리용량,레이드구성내용,사용량,포트구성내용,주주파수,설치년월일,컨트롤러등급구분코드,마이크로코드내용,모뎀번호,구매년월일,공급회사명,계약년월일,계약명,유지보수계약년월일,유지보수업체구분코드CI serial number, volume address contents, ISM region classification code, system environment name, task name, detailed task name, storage manufacturer identification code, control model name, cache configuration contents, cache capacity, drive configuration contents, physical capacity, RAID configuration contents , Usage, Port Configuration Content, Main Frequency, Date of Installation, Controller Class Classification Code, Microcode Content, Modem Number, Purchase Date, Supplier Name, Contract Date, Contract Name, Maintenance Contract Date, Maintenance Contractor Code 1616 메인프레임 박스Mainframe box 상세정보(메인프레임 박스)Details (Mainframe Box) CI일련번호,구입년월일,메인프레임제조회사구분코드,공급회사명,계약번호,계약년월일,계약명,유지보수계약년월일,유지보수계약업체구분코드,사용용도명,모델명,물품일련번호,MIPS,메모리용량,병렬채널개수,ESCON채널개수,FICON채널개수,OSA카드EX개수,OSA카드GB개수,ICB개수,ITSM관리구분코드CI serial number, date of purchase, main frame manufacturer identification code, supplier name, contract number, contract date, contract name, maintenance contract date, maintenance contractor identification code, use name, model name, product serial number, MIPS Memory capacity, Parallel channel count, ESCON channel count, FICON channel count, OSA card EX count, OSA card GB count, ICB count, ISM management code 1717 메인프레임 엘파Mainframe elpa 상세정보(메인프레임 엘파)Details (Mainframe Elpa) 메인프레임박스CI일련번호,메인프레임박스CI일련번호,MIPS,메모리용량,CPU사용율,페이지사용율,CSA사용율Main frame box CI serial number, main frame box CI serial number, MIPS, memory capacity, CPU utilization, page utilization, CSA utilization 1818 PSBPSB 상세정보(PSB)Detailed Information (PSB) CI일련번호,DBPCB순서번호,PSB종류구분코드,PSB유형구분코드,PSB처리옵션구분코드,MSDB여부,멀티PCB여부,PSB언어구분코드CI serial number, DBPCB sequence number, PSB type classification code, PSB type classification code, PSB processing option classification code, MSDB status, multi-PCB status, PSB language classification code 1919 트랜잭션 코드Transaction code 상세정보(트랜잭션 코드Details (transaction code CI일련번호,PSBCI일련번호,메인프레임엘파CI일련번호,트랜잭션유형구분코드,과목코드,거래구분코드CI serial number, PSBCI serial number, mainframe Elpa CI serial number, transaction type identification code, course code, transaction identification code 2020 IMSDBIMSDB 상세정보(IMSDB)Detailed Information (IMSDB) CI일련번호,메인프레임엘파CI일련번호,DB엑세스타입구분코드,AREA개수,세그먼트수,RM종류구분코드,RM명CI serial number, main frame alpha CI serial number, DB access type classification code, AREA number, segment number, RM type classification code, RM name 2121 AreaArea 상세정보(Area)Details CI일련번호,데이터셋CI일련번호,IMSDBCI일련번호,AREA번호,생성년월일CI serial number, data set CI serial number, IMSDBCI serial number, AREA number, date of creation 2222 DB2DB2 상세정보(DB2)Detailed Information (DB2) CI일련번호,메인프레임엘파CI일련번호CI serial number, mainframe Elpa CI serial number 2323 AddressSpaceAddressSpace 상세정보(AddressSpace)Details (AddressSpace) CI일련번호,메인프레임엘파CI일련번호,어플리케이션명,어플리케이션이니셜명,ADDRESSAPACE구분코드CI serial number, main frame alpha CI serial number, application name, application initial name, ADDRESSAPACE 2424 테이블스페이스/테이블Tablespace / table 상세정보(테이블스페이스/테이블)Details (Tablespace / Table) CI일련번호,DB2CI일련번호,스토리지볼륨CI일련번호,테이블명,테이블스페이스유형구분코드CI serial number, DB2CI serial number, storage volume CI serial number, table name, table space type classification code 2525 장애전파 현황Disability Propagation Status 장애전파현황 정보Disability Propagation Information 장애전파일련번호,장애일련번호,전파시스템구분코드,전파분류구분코드,전파매체구분코드,발송직원번호,수신직원번호,수신자내용,장애전파내용,전송일시,적재일시Disability file number, Disability serial number, Radio system classification code, Radio classification code, Radio media classification code, Sending employee number, Receiving employee number, Recipient details, Disturbance contents, Transmission date, Load date 2626 장애현황Disability Status 장애접수 및 처리현황 정보Fault Reception and Treatment Status Information 장애일련번호,장애처리상태구분코드,장애대분류코드,장애중분류코드,장애소분류코드,접수경로명,장애심각도구분코드,ITSM장애영향도구분코드,ITSM장애유형구분코드,요청직원번호,요청직원명,요청직원부점코드,요청직원팀코드,요청직원직위명,요청직원전화번호,이벤트일련번호,이벤트발생일시,CI일련번호,상담직원명,상담직원전화번호,장애발생일시,장애종료일시,장애시간분,장애접수일시,이관일시,장애담당직원접수일시,부점코드,문제일련번호,어플리케이션CI일련번호,장애제목명,장애내용,만족도측정값Disability Serial Number, Disability Status Classification Code, Disability Classification Code, Disability Classification Code, Disability Classification Code, Reception Path Name, Disability Critical Tool Code, ISM Disability Impact Tool Code, ISM Disability Type Classification Code, Requested Employee Number, Requested Employee Name , Requesting employee department code, requesting employee team code, requesting employee's job title, requesting employee's phone number, event serial number, event occurrence date, CI serial number, counselor's name, counselor's phone number, error occurrence date, disability termination date, disability Hours minutes, Disability Receipt Date, Escalation Date, Disability Staff Receipt Date, Department Code, Problem Serial Number, Application CI Serial Number, Disability Title, Disability Description, Satisfaction Measure 2727 이벤트현황Event Status 장애이벤트 현황정보Event Status Information 호스트명,이벤트발생일시,이벤트명,이벤트중요도구구분코드,장애여부,어플리케이션CI일련번호,이벤트내용Host Name, Event Occurrence Date, Event Name, Event Critical Tool Separation Code, Fault Status, Application CI Serial Number, Event Description 2828 처리내역Treatment history 장애조치 내역정보Disaster Action History Information 종합장애처리구분코드,종합장애처리일련번호,장애일련번호,문제일련번호,변경일련번호,처리담당직원번호,처리담당직원명,처리담당직원부점코드,처리담당직원팀코드,처리담당직위명,처리담당직원전화번호,조치사항내용,처리일시Comprehensive disability treatment identification code, Comprehensive disability treatment serial number, Disability serial number, Problem serial number, Change serial number, Disposal staff number, Disposal staff name, Disposal staff department code, Disposal staff team code, Disposition staff name, Phone number of handling staff, details of action, date of processing

도 11은 비즈니스영향도분석시스템(300)의 가장 핵심적인 정보인 도 6의 CI관계 정보 테이블(1)에 저장된 모니터링항목간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11에 나타낸 개별 항목은 모니터링 항목을 나타내는데, 개별 모니터링항목은 13자리의 고유한 식별자(CI일련번호)를 가지고 있으며, 표 2의 CI관계테이블 필드항목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소스 CI일련번호, 대상 CI일련번호 등 한 쌍의 레코드로 저장되어 있다. FIG.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monitoring items stored in the CI relationship information table 1 of FIG. 6, which is the most important information of the business impact analysis system 300. The individual items shown in FIG. 11 represent monitoring items, each of which has a 13-digit unique identifier (CI serial number). As shown in the CI relationship table field items of Table 2, the source CI serial number, It is stored as a pair of records such as the target CI serial number.

이하, 본 발명의 전반적 작용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장애 발생 단계 - 도 4의 관리대상 전산자원(800)에 장애가 발생하면, 각 전산자원(800)에 미리 설치된 장애 모니터링도구 에이전트에 의해 개별 장애 모니터링도구(700)로 장애 이벤트가 자동 전송된다. 장애 모니터링 관리도구(700)는 가령, 시스템장애감지도구, 네트웍장애감지도구, 어플리케이션 장애감지도구 등을 사용가능하다.Failure generation step-If a failure occurs in the managed computer resource 800 of FIG. 4, a failure event is automatically transmitted to the individual failure monitoring tool 700 by a failure monitoring tool agent pre-installed in each computer resource 800. The failure monitoring management tool 700 may use, for example, a system failure detection zone, a network failure detection zone, an application failure detection zone, and the like.

장애 이벤트 통합단계 - 도 4의 개별 장애모니터링 관리도구(700)는 수신된 장애 이벤트를 통합 관리하기 위하여 중앙의 이벤트 통합관리도구(500)로 장애 이벤트를 자동 전송한다. Failure Event Integration Step-The individual failure monitoring management tool 700 of FIG. 4 automatically transmits the failure event to the central event integration management tool 500 in order to integrate management of the received failure event.

장애 내부공지단계 - 이벤트 통합도구(500)에 보내어진 이벤트는 이벤트 통합도구(500)에 미리 설정된 알람 기능에 의해 단문메시징(SMS)이나 이메일 등을 통해 해당 실무 담당자에게 통지하고, 전광판, 상황실 화면 등에 해당 이벤트 내용을 전송하고, 서비스데스크시스템(600)으로 미리 정의된 포맷 형태로 장애 티켓(Trouble Ticket)을 전송한다.Fault internal notification step-Events sent to the event integration tool 500 is notified to the relevant staff through a short message (SMS) or e-mail by the alarm function set in advance in the event integration tool 500, the display board, situation room screen The event content is transmitted to the service desk system 600 and the like, and a trouble ticket is transmitted in a predefined format.

장애 접수단계 - 서비스데스크 시스템(600)은 수신된 장애 이벤트에 대해 미리 설정된 중요도 조건과 비교한 후, 영향도분석시스템(300)으로의 전달 대상에 해당하는 중요도 이상인 경우 해당 장애이벤트를 영향도 분석시스템(300)으로 전송한다.Fault reception phase-Service desk system 600 compares the received critical event with a pre-set importance condition, and analyzes the failure event when the failure event is more than the importance corresponding to the delivery target to the impact analysis system 300 Transmit to system 300.

장애 전파단계 - 영향도분석시스템(300)으로 전송된 이벤트는 시스템에 미리 정의된 정책/규칙에 의해 장애심각도와 장애 공지 매체(SMS, 포털사이트, 전광판 등)가 결정되며, 해당 이벤트(혹은 변형된 장애 메시지)를 장애 공지 매체에 전송하게 된다. 상황실(혹은 이에 준하는 비상 대응 권한을 가진 자)에서는 전광판, SMS 등으로 전달받은 이벤트를 확인하고, 장애 상황을 파악한 후 필요시 직통선(Hot-Line), 사내 방송 등을 통해 장애 상황을 신속하게 전파하여 서비스데스크, 창구담당자, 고객 대응 조직 등 현업 사용자들이 장애 상황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영향도분석시스템(300)에서는 장애영향도 분석, 장애이력 조회, 시스템구성조회, 구성정보 조회, 변경이력 조회 등 보다 신속한 장애 현상 파악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Fault propagation phase-The event transmitted to the impact analysis system 300 is determined the failure severity and failure notification medium (SMS, portal site, billboard, etc.) according to the policy / rule predefined in the system, the corresponding event (or transformation) Failure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failure notification medium. The situation room (or a person with equivalent emergency response authority) checks the events received through the electronic signboard, SMS, etc., identifies the failure situation, and promptly identifies the failure situation through hot-line or in-house broadcasting, if necessary. By disseminating, business users, such as service desks, counter staff, and customer response organizations, are aware of the failure situation. Influence analysis system 300 provides a variety of functions for faster failure identification, such as failure impact analysis, failure history inquiry, system configuration inquiry, configuration information inquiry, change history inquiry.

장애 조치단계 - 상황실 담당자는 상황실의 전광판을 통해 수신된 긴급 장애 알림 메시지를 확인하고, 후속 장애 조치 대응을 한다. 장애조치 담당자는 이벤트통합도구(500)에서 자동으로 송신한 휴대폰 단문메시지(SMS)와 이메일 메시지를 통해 장애상황을 통지 받고 후속 장애 조치 대응을 한다. 서비스 데스크 접수담당자는 장애관리시스템의 장애이벤트 조회 화면을 통해 장애 상황을 감지하고 후속 장애 조치 대응을 한다.Failover Phase-The situation room manager checks the emergency failure notification message received through the display board of the situation room and responds to the subsequent failover. The person in charge of the failover is notified of the failure situation through a mobile phone short message (SMS) and an e-mail message automatically transmitted from the event integration tool 500 and responds to the subsequent failover. The service desk receptionist detects the failure situation through the failure event inquiry screen of the failure management system and responds to the subsequent failover.

장애 종료단계 - 장애조치자가 장애를 조치 완료시 서비스데스크시스템(600)의 장애이벤트 레코드의 상태를 장애완료로 변경하게 되고, 서비스데스크 시스템(600)은 장애이벤트 레코드의 상태가 장애완료상태가 되면 자동으로 영향도분석시스템(300)으로 해당 장애 종료 메시지를 전송한다. 영향도분석시스템(300)은 장애 종료 메시지 수신 즉시 관련 데이터베이스 내의 장애레코드 상태를 종료상태로 변경함과 동시에 화면처리기에서는 모니터링화면의 상태를 정상상태로 처리하여 사용자에게 장애가 종료되었음을 인지하게 한다.Failure Termination Step-When the failover handler completes the failure, the status of the failure event record of the service desk system 600 changes to failure completion, and the service desk system 600 changes the status of the failure event record to the completion status. Automatically transmit the failure termination message to the impact analysis system 300. The impact analysis system 300 changes the fault record state in the relevant database to the end state as soon as the failure end message is received, and at the same time, the screen processor treats the state of the monitoring screen as a normal state so that the user recognizes that the failure is over.

이상에서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실현할 수 있다. 즉, 각 구성 모듈을 프로그램으로 구현하여 기록매체에 저장해서 결제처리 시스템을 구축하고, 사용자의 휴대전화 단말기에 설치함으써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이들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도 미치게 된다.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realized by a computer program. In other words, each component module can be implemented as a program, stored in a recording medium to build a payment processing system, and installed in a user's mobile phone terminal. At this tim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extends to the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se programs are recorded.

본 발명에 따르면, EA기반의 비즈니스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을 통하여 고객 지향적인 서비스 체계 확립과 컨버전스 시대의 시장 선점을 위한 비즈니스 경쟁력 확보가 가능해진다. 구체적으로는 IT장애에 대한 비즈니스 영향분석및 대응체계 구현, 업무 취약영역 분석에 따른 투자 우선순위 결정, EA, ITSM 등과의 효율적 연계를 통한 IT ROI 구현, EA의 현행화, 실용화를 통한 전사 활용도 확대, 비즈니스 감시 및 통제에 대한 대응관리체계 표준화, 정보분석 및 전략경영지원 등의 고부가가치 서비스의 지속 발굴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establishing an EA-based business monitoring system, it is possible to establish a customer-oriented service system and to secure business competitiveness for preoccupation of the market in the convergence era. Specifically, business impact analysis and response system for IT obstacles, investment prioritization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weak areas of work, IT ROI implementation through effective linkage with EA, ITSM, EA utilization, and enterprise-wide utilization through practical use In addition, it can be expected to continuously find high value-added services such as standardization of response management system for business monitoring and control, information analysis and strategic management support.

Claims (10)

메인프레임, 서버, 데이터베이스, 어플리케이션, 통신장비, 네트워크 등 조직의 전산자원에서 발생하는 장애를 감지하여 장애 이벤트 메시지를 전송하는 관리도구 수단, Management tool means for detecting failures occurring in the organization's computing resources such as mainframes, servers, databases, applications, communication equipment, networks, and transmitting failure event messages; 상기 장애 이벤트 메시지를 수신 및 분석하여 장애심각도 등급을 판별하여 장애 메시지를 전송하는 서비스데스크 수단, Service desk means for receiving and analyzing the failure event message to determine a failure severity level and transmitting a failure message; 상기 장애 메시지를 수신하여 이 메시지에 포함된 장애 이벤트를, 통합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구성자원 정보 및 영향도정보와 실시간으로 비교, 분석한 후 그 결과 데이터를 출력하는 영향도분석 수단을 포함하되,And an impact analysis means for receiving the failure message, comparing the failure event included in the message with the component resource information and the impact information stored in the integrated database in real time, and outputting the result data. 상기 영향도분석 수단은 장애이벤트 처리 모듈, 영향도 분석처리 모듈, 장애이벤트/영향도 화면표시모듈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처리된 영향도분석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모니터링부와; 상기 모니터링부 및 어플리케이션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산장애로 인한 비즈니스 영향도 분석 시스템.The impact analysis means includes an application including a fault event processing module, an impact analysis processing module, and a fault event / effect screen display module; A monitoring unit for providing a user with impact analysis data processed by the application; And a database storing data processed by the monitoring unit and the applic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도구 수단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anagement tool means 조직의 시스템 장애를 감지하는 도구, 네트웍장애 감지도구, 어플리케이션장애 감지도구를 포함하는 개별 장애 모니터링 도구; 및Individual failure monitoring tools, including tools for detecting system failures in the organization, network failure detection tools, and application failure detection tools; And 상기 시스템장애 감지도구, 네트웍장애 감지도구, 어플리케이션장애 감지도 구에서 출력되는 장애 신호를 통합적으로 처리하여 장애 이벤트 메시지를 생성하는 이벤트 통합관리 도구를 포함하는, 전산장애로 인한 비즈니스 영향도 분석 시스템. Comprising a system failure detection tool, a network failure detection tool, an integrated event processing tool for generating a failure event message by integrally processing the failure signal output from the application failure detection tool, business impact analysis system due to computer fail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향도분석 수단의 모니터링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onitoring unit of the impact analysis means 상기 전산자원의 장애로 인해 조직의 어떤 업무가 지장을 받고 있는지의 상황을 표시하는 서비스상황도 조회화면과,In addition, the service status display screen that displays the status of what kind of work of the organization is affected by the failure of the computer resources, 개별 장애에 대한 장애조치현황을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는 장애조치상황도 조회화면과, In addition, you can view the status of the disability actions on each disability at a glance. 업무와 관련된 장애에 대해 장애심각도나 영향범위를 파악할 수 있도록 영향도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화면으로 표시하는 업무영향도 조회화면과,Work impact inquiry screen that displays the impact-related information so that you can grasp the severity of the disability and the scope of impact on the work-related disability, 업무와 관련된 장애에 대해 업무별 기능과 입출력 요소를 나타내는 업무흐름도와 이 업무흐름도 상의 항목별 장애현황을 조회하도록 하는 업무흐름도 조회화면과, Work flow diagram inquiry screen for inquiring work flow that shows functions and input / output elements of work for the work-related obstacles, and the fault status of each item in the work flow diagram. 모니터링항목과 관련이 있는 항목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연결관계 조회화면을 포함하는, 전산장애로 인한 비즈니스 영향도 분석 시스템.A business impact analysis system due to computer failure, includ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inquiry screen indicating a relationship between items related to the monitoring item. 제1항에 있어서, 영향도분석 수단 내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pplication of said application in impact analysis means. 장애이벤트 처리모듈은, 상기 서비스데스크 수단으로부터 수신한 장애접수 메시지를 분석하여 데이터베이스의 모니터링항목과 비교검색하여 이벤트 식별자와 모니터링 항목을 판별/매핑시킨 후, 장애접수 내용과 장애이벤트 현황을 저장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The fault event processing module analyzes the fault reception message received from the service desk means, compares and searches the monitoring items in the database, determines / maps the event identifier and the monitoring item, and stores the fault reception contents and the fault event status. Including, 영향도분석 처리모듈은, 모니터링 항목의 식별자를 데이터베이스의 마스터정보에 저장된 기초정보와 영향도정보를 추출하고, 관계정보 테이블에 저장되어 있는 모니터링항목간의 관계정보를 기초로 관련된 항목의 식별자들을 추출해 낸 후, 영향도 정보와 관계정보를 병합/가공하여 장애이벤트/영향도화면 표시모듈로 영향도정보와 관계정보를 전달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산장애로 인한 비즈니스 영향도 분석 시스템.The impact analysis processing module extracts basic information and impact information stored in the master information of the database as the identifier of the monitoring item, and extracts identifiers of related items based on the relationship information between the monitoring items stored in the relationship information table. And a means for transferring the impact information and the relationship information to the fault event / effect screen display module by merging / processing the impact information and the relationship information. 메인프레임, 서버, 데이터베이스, 어플리케이션, 통신장비, 네트워크 등 조직의 전산자원에서 발생하는 장애 메시지를 수신하여 이 메시지에 포함된 장애 이벤트를, 통합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구성자원 정보 및 영향도정보와 실시간으로 비교, 분석한 후 그 결과 데이터를 출력하는 장치로서, Receives the failure message generated from the organization's computer resources such as mainframe, server, database, application, communication equipment, and network, and compares the failure event included in this message with the configuration resource information and impact information stored in the integrated database in real time. A device that analyzes and outputs the resulting data, 이 장치는 인터넷 환경으로 구현된 영향도 분석시스템을 통해 영향도 분석의 제반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모니터링부와, 장애이벤트 처리 모듈, 영향도 분석처리 모듈, 장애이벤트/영향도 화면표시모듈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모니터링부 및 어플리케이션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산장애로 인한 비즈니스 영향도 분석 장치.This device includes a monitoring unit that provides various services of impact analysis to the user through an impact analysis system implemented in the Internet environment, a fault event processing module, an impact analysis processing module, and a fault event / impact display module. And a database storing data processed by the monitoring unit and the applica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부는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monitoring unit 상기 전산자원의 장애로 인해 조직의 어떤 업무가 지장을 받고 있는지의 상 황을 표시하는 서비스상황도 조회화면과,In addition, the service status display screen that displays the status of what kind of work of the organization is affected by the failure of the computer resource, and 개별 장애에 대한 장애조치현황을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는 장애조치상황도 조회화면과, In addition, you can view the status of the disability actions on each disability at a glance. 업무와 관련된 장애에 대해 장애심각도나 영향범위를 파악할 수 있도록 영향도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화면으로 표시하는 업무영향도 조회화면과,Work impact inquiry screen that displays the impact-related information so that you can grasp the severity of the disability and the scope of impact on the work-related disability, 업무와 관련된 장애에 대해 업무별 기능과 입출력 요소를 나타내는 업무흐름도와 이 업무흐름도 상의 항목별 장애현황을 조회하도록 하는 업무흐름도 조회화면과, Work flow diagram inquiry screen for inquiring work flow that shows functions and input / output elements of work for the work-related obstacles, and the fault status of each item in the work flow diagram. 모니터링항목과 관련이 있는 항목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연결관계 조회화면을 포함하는, 전산장애로 인한 비즈니스 영향도 분석 장치.Apparatus for analyzing the business impact due to computer failure, includ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inquiry screen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tems related to the monitoring item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application of 장애이벤트 처리모듈은, 상기 서비스데스크 수단으로부터 수신한 장애접수 메시지를 분석하여 데이터베이스의 모니터링항목과 비교검색하여 이벤트 식별자와 모니터링 항목을 판별/매핑시킨 후, 장애접수 내용과 장애이벤트 현황을 저장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The fault event processing module analyzes the fault reception message received from the service desk means, compares and searches the monitoring items in the database, determines / maps the event identifier and the monitoring item, and stores the fault reception contents and the fault event status. Including, 영향도분석 처리모듈은, 모니터링 항목의 식별자를 데이터베이스의 마스터정보에 저장된 기초정보와 영향도정보를 추출하고, 관계정보 테이블에 저장되어 있는 모니터링항목간의 관계정보를 기초로 관련된 항목의 식별자들을 추출해 낸 후, 영향도 정보와 관계정보를 병합/가공하여 장애이벤트/영향도화면 표시모듈로 영향도 정보와 관계정보를 전달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산장애로 인한 비즈니스 영향도 분석 장치.The impact analysis processing module extracts basic information and impact information stored in the master information of the database as the identifier of the monitoring item, and extracts identifiers of related items based on the relationship information between the monitoring items stored in the relationship information table. And a means for transferring the impact information and the relationship information to the fault event / effect screen display module by merging / processing the impact information and the relationship information. 메인프레임, 서버, 데이터베이스, 어플리케이션, 통신장비, 네트워크 등 조직의 전산자원에서 발생하는 장애 메시지를 수신하여 이 메시지에 포함된 장애 이벤트를, 통합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구성자원 정보 및 영향도정보를 영향도 분석 장치를 통해 실시간으로 비교, 분석한 후 그 결과 데이터를 출력하는 방법으로서, Receives the failure message generated from the organization's computer resources such as mainframe, server, database, application, communication equipment, network, and analyzes the failure event included in this message, and analyzes the component resource information and impact information stored in the integrated database. It is a method of comparing and analyzing in real time through the device and outputting the result data. 상기 관리대상 전산자원에 장애가 발생하면, 각 전산자원에 미리 설치된 장애 모니터링도구 에이전트에 의해 장애 이벤트가 자동 전송되는 단계, When a failure occurs in the computer resource to be managed, a failure event is automatically transmitted by a failure monitoring tool agent pre-installed in each computer resource, 개별 전산자원에서 수신된 장애 이벤트들을 통합하는 단계, Incorporating fault events received from individual computing resources, 통합된 장애이벤트를 미리 설정된 알람 기능에 의해 단문메시징(SMS)이나 이메일 등을 통해 해당 실무 담당자에게 통지하고, 전광판, 상황실 화면 등에 해당 이벤트 내용을 전송하고, 미리 정의된 포맷 형태로 장애 티켓(Trouble Ticket)을 전송하는 장애 내부공지단계, The integrated alarm event is notified to the staff in charge through SMS or e-mail by using the preset alarm function, the content of the event is transmitted to the billboard, the situation room screen, and the trouble ticket in the predefined format. Fault internal notification step for transmitting Ticket, 수신된 장애 이벤트에 대해 미리 설정된 중요도 조건과 비교한 후, 상기 영향도분석 장치로의 전달 대상에 해당하는 중요도 이상인 경우 해당 장애이벤트를 영향도 분석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장애 접수단계,A failure reception step of comparing the received criticality event with a preset criticality condition and transmitting the corresponding failure event to the impact analysis system when the criticality level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delivery target to the impact analysis device; 영향도분석 장치로 전송된 이벤트를 시스템에 미리 정의된 정책/규칙에 의해 장애심각도와 장애 공지 매체에 따라, 해당 장애 이벤트를 장애 공지 매체에 전송하여 현업 사용자들이 장애 상황을 인지하여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장애 전파단계 를 포함하는, 전산장애로 인한 비즈니스 영향도 분석 방법.According to the fault severity and fault notification medium, the event sent to the impact analysis device is transmitted to the fault notification medium according to the fault severity and fault notification medium, so that business users can recognize and respond to the fault situation. A method of analyzing business impact of computer disturbances, including a disability propagation step. 제8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장애 전파단계에 의해 수신된 장애 알림 메시지를 확인한 사용자가 장애 대응 조치를 하기 위하여 장애이벤트 레코드의 상태를 장애완료로 변경하면, 상기 영향도분석 장치로 해당 장애종료 메시지가 전송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전산장애로 인한 비즈니스 영향도 분석 방법.When the user who checks the failure notification message received by the failure propagation step changes the status of the failure event record to failure completion in order to take a countermeasure, the failure termination message is further transmitted to the impact analysis device. Including, business impact analysis method due to computer failure. 제8항 또는 제9항의 방법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기록매체. A computer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method of claim 8 or 9.
KR1020070049298A 2007-05-21 2007-05-21 System for analyzing business influence due to computational failure KR2009000178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9298A KR20090001786A (en) 2007-05-21 2007-05-21 System for analyzing business influence due to computational fail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9298A KR20090001786A (en) 2007-05-21 2007-05-21 System for analyzing business influence due to computational fail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1786A true KR20090001786A (en) 2009-01-09

Family

ID=40484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9298A KR20090001786A (en) 2007-05-21 2007-05-21 System for analyzing business influence due to computational fail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1786A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1650B1 (en) * 2009-12-17 2010-07-29 대한민국 Early warning system and method for recovering error of customs clearance system
KR101520103B1 (en) * 2009-06-11 2015-05-21 주식회사 케이티 System and method for inference and surveillance of application fault of it service using functional partitioning
WO2017047951A1 (en) * 2015-09-15 2017-03-23 에스케이 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integrated monitoring of enterprise business service levels
KR20230064046A (en) * 2021-11-02 2023-05-10 (주)와치텍 A workflow-based system control method for autonomous operation of IT infrastructure
CN116132261A (en) * 2022-12-26 2023-05-16 浪潮通信信息系统有限公司 Correlation analysis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equipment faults and service
KR102568392B1 (en) * 2023-03-08 2023-08-18 강원석 dashboard system based on dynamic data
CN116132261B (en) * 2022-12-26 2024-05-28 浪潮通信信息系统有限公司 Correlation analysis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equipment faults and service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0103B1 (en) * 2009-06-11 2015-05-21 주식회사 케이티 System and method for inference and surveillance of application fault of it service using functional partitioning
KR100971650B1 (en) * 2009-12-17 2010-07-29 대한민국 Early warning system and method for recovering error of customs clearance system
WO2017047951A1 (en) * 2015-09-15 2017-03-23 에스케이 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integrated monitoring of enterprise business service levels
KR20230064046A (en) * 2021-11-02 2023-05-10 (주)와치텍 A workflow-based system control method for autonomous operation of IT infrastructure
CN116132261A (en) * 2022-12-26 2023-05-16 浪潮通信信息系统有限公司 Correlation analysis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equipment faults and service
CN116132261B (en) * 2022-12-26 2024-05-28 浪潮通信信息系统有限公司 Correlation analysis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equipment faults and service
KR102568392B1 (en) * 2023-03-08 2023-08-18 강원석 dashboard system based on dynamic data
KR102588260B1 (en) * 2023-03-08 2023-10-11 강원석 Intuitively improved infographic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85476B2 (en) Evaluating business components in an enterprise
US6876993B2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management solutions
US10380079B1 (en) Information technology configuration management
CN110278097B (en) Server operation and maintenance system and method based on Android system
CN104486346B (en) A kind of springboard machine system
Reid et al. Invisible data quality issues in a CRM implementation
US7562024B2 (en) Method and system for addressing client service outages
US20020188493A1 (en) Method for delivering a technical framework
KR20090001786A (en) System for analyzing business influence due to computational failure
KR2020003648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information security
US9632904B1 (en) Alerting based on service dependencies of modeled processes
CN114416769A (en) To-do task query method and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JP2019139773A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20160132472A1 (en) Process intelligence system
KR100781211B1 (en) It service management method for bank and system there-of
CN114840519A (en) Data labeling method,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US20160314424A1 (en) Mobile analytics collaboration alerts
CN114254908A (en) Risk perception and supervision platform for regional financial non-bank financial institution
US20200184428A1 (en) Using Distributed Databases for Network Regression Analysis
US9727835B2 (en) Business systems management mobile administration
US20060004687A1 (en) Web-based event correction and prevention system
JP4821736B2 (en) Risk control device in internal control
US20240154994A1 (en) Automated system access review using inter-system mappings
CN114547173A (en) Data warehouse construction method, device and equipment and computer storage medium
Xu et al. High Quality and Efficiency Operation and Mainten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0417

Effective date: 20110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