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0182A - 조리 시스템 및 조리 방법 - Google Patents

조리 시스템 및 조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0182A
KR20090000182A KR1020070007803A KR20070007803A KR20090000182A KR 20090000182 A KR20090000182 A KR 20090000182A KR 1020070007803 A KR1020070007803 A KR 1020070007803A KR 20070007803 A KR20070007803 A KR 20070007803A KR 20090000182 A KR20090000182 A KR 200900001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cooking
information
server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7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원경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7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0182A/ko
Priority to US12/522,846 priority patent/US8820624B2/en
Priority to MX2009007508A priority patent/MX2009007508A/es
Priority to PCT/KR2007/005753 priority patent/WO2008084916A1/en
Priority to AU2007342774A priority patent/AU2007342774B2/en
Priority to EP07834059.3A priority patent/EP2118799B1/en
Priority to RU2009126172/08A priority patent/RU2440612C2/ru
Priority to CN2007800496414A priority patent/CN101595485B/zh
Publication of KR20090000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01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xi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조리 시스템은, 알에프태그; 상기 알에프태그로 부터 음식관련 정보를 입력받기 위하여 알에프리더가 제공되는 조리기기; 및 상기 조리기기로부터 적어도 상기 음식관련 정보를 송신받고 상기 음식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조리기기에 맞도록 음식물을 조리하는 음식물 조리 데이터를 송신하는 서버가 포함되고, 상기 음식물 조리 데이터에 의해서 상기 조리기기가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서, 사용자가 원하는 음식물의 조리상태를 서적에서 제공하는 대로 정확하게 구현할 수 있고, 서적의 활용성을 다양화하여 보다 많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서 서적 구매자에 대한 만족감을 증진할 수 있다. 또한, 일단 주어진 조리기기의 제어 데이터를 다시금 수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음식물을 자신이 원하는 방향으로 더욱 정확하게 조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조리 데이터

Description

조리 시스템 및 조리 방법{Cooking syetem and method for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쿡북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Ⅰ-Ⅰ'의 단면도.
도 4는 알에프태그에 수록되는 정보의 테이블.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정보 제공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는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조리 시스템의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조리 시스템의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알에프태그에 수록되는 정보의 테이블.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조리기기 2 : 알에프태그 6 : 서버
본 발명은 조리 시스템 및 조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음식물을 조리 가이드에 주어져 있는 조리방법 그대로 정확하게 조리할 수 있는 조리 시스템 및 조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상황으로 음식을 조리할 때에는 사용자가 기존에 알고 있는 경험을 통해서 조리를 하게 된다. 또 다른 경우로서 서적을 통해서 음식을 조리하는 방법을 습득하고서, 습득된 지식을 바탕으로 하여 조리기기를 조작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이 음식물에 대한 정보는 기존에 한정되어 있는 상태에 머무르고 있어서, 음식물에 대한 기호도나, 만들어진 음식물의 상태나, 음식물을 조리하는 구체적인 예시에 대해서는, 서적 지면의 제약에 의해서 그와 같은 구체적인 정보를 실을 수 없는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서적을 보고서 음식물을 조리할 때에는 서적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만으로 불충분한 경우에도, 추측을 통해서 음식물을 조리하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인하여, 사용자는 결국 책에서 주어져 있는 조리 가이드 그대로 음식물을 조리하지 못할 뿐 아니라, 결국에는 자신이 원하는 대로 음식물을 조리하지 못하는 일이 잦다.
본 발명은 상기되는 불편함을 해소하고, 나아가서, 사용자가 원하는 음식물이 조리상태를 정확하게 구현할 수 있고, 지면의 제약으로 인하여 충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없는 경우에, 서적의 활용성을 다양화하여 보다 많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 서적 구매자에 대한 만족감을 증진할 수 있는 조리 시스템 및 조리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리 시스템은, 알에프태그; 상기 알에프태그로 부터 음식관련 정보를 입력받기 위하여 알에프리더가 제공되는 조리기기; 및 상기 조리기기로부터 적어도 상기 음식관련 정보를 송신받고 상기 음식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조리기기에 맞도록 음식물을 조리하는 음식물 조리 데이터를 송신하는 서버가 포함되고, 상기 음식물 조리 데이터에 의해서 상기 조리기기가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리 방법은, 상기 조리기기로 음식관련 정보가 입력되는 단계; 상기 음식관련 정보가 서버로 송신되는 단계; 상기 음식관련 정보를 참조하여, 음식물 조리 데이터가 상기 조리기기로 송신되는 단계; 상기 음식물 조리 데이터가 사용자에 의해서 수정되는 단계; 및 상기 음식물 조리 데이터에 따라서 음식물의 조리가 수행되는 단계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리 시스템은, 알에프태그; 및 상기 알에프태그로 부터 음식관련 정보를 입력받기 위하여 적어도 알에프리더가 제공되는 조리기기가 포함되고, 상기 음식관련 정보에는 적어도 상기 조리기기의 제어 데이터가 포함되고, 상기 조리기기의 제어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제어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상기 제어 데이터를 수정하는 조작부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의해서 음식관련 정보를 보다 정확하고 실시간으로 얻을 수 있고, 음식물의 조리를 원하는 조리상태 별로 완벽하게 할 수 있고, 많은 분량의 조리 정 보를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어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진되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본 발명의 음식정보 제공 시스템은, RF 태그(이하, 알에프태그라고 한다)와 RF 리더(이하 알에프리더라고 한다)가 포함되는 알에프 태그 리딩 시스템으로 형성된다. 상기 알에프 태그 리딩 시스템은 알에프태그와 알에프리더로서 구현되는 것으로서, 리더가 태그에 대하여 태그데이터 전송을 요청하면, 태그가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형태로 대그 데이터를 리더로 전송하여 주는 방식으로 동작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알에프태그가 서적에 제공되고 상기 알에프리더가 조리기기에 제공되는 형태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특정 음식에 관한 고유정보가 수록되는 알에프태그(2), 상기 알에프태그(2)에 수록되어 있는 음식관련 정보가 독출되기 위하여 알에프리더모듈이 내장되는 조리기기(1)와, 상기 음식관련 정보를 조리기기(1)로부터 전송받아서 회신정보를 가공하는 서버(6)와, 상기 서버(6) 및 조리기기(1)를 연결하는 네트워크(18)가 포함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알에프태그(2)는 다수매의 종이가 집합되는 쿡북(cook book)에 제공되어 있다. 도 2는 쿡북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Ⅰ-Ⅰ'의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서적에 제공되는 각 페이지에는 특정 음식의 그림이 요리관련정보표시부(51)로서 도시되어 있어서, 상기 요리관련정보표시부(51)는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음식을 그림의 형태로 알 수 있도록 하고 있어서, 더욱 편리하다. 그리고, 상기 요리관련정보표시부(51)가 도시되어 있는 페이지의 내측에는 알에프태그(54)가 내장되어 있다.
상기 쿡쿱의 페이지, 특히 요리관련정보표시부(51)는 각 페이지의 상면을 이루는 제 1 종이(52)와, 음식에 관한 고유정보가 수록되어 있는 알에프태그(54)와, 상기 알에프태그(54)에서 발생되는 고주파가 종이의 하면으로는 전파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알에프태그(54)의 하면을 차폐하는 도전체(55)와, 각 페이지의 하면을 이루는 제 2 종이(53)가 포함되어 있다.
상기 쿡북의 작용을 설명하면, 먼저, 상기 알에프태그(54)가 제공되는 위치는 상기 요리관련정보표시부(51)와 상하로 정렬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음식이 그려져 있는 도안을 조리기기(1)로 접근시키는 편리한 동작에 의해서, 상기 알에프태그(54)에 수록되어 있는 음식에 관한 고유정보를 독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쿡북(5)은 다수 매의 종이가 집합되어 있는 형태로 제공된다. 그러므로, 알에프리더를 접근시키면 이전의 페이지에 내장되는 알에프태그로부터 음식에 관한 고유정보가 독출될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사용자가 지정한 페이지의 알에프태그(54)의 정보가 독출되도록 하기 위하여 각 페이지에 수록되어 있는 알에프태그(54)의 하측에는 도전체가 내장되어 있다. 상기 도전체(55)에 의해서 어느 하나의 페이지에 내장되는 알에프태그(54)는 그 상측으로만 고주파를 방사하게 된다. 물론, 사용자가 원하는 페이지의 다음 페이지에 내장되는 알에프태그는 현재 페이지의 도전체(55)에 의해서 차폐된다.
이와 같은 쿡북의 구성에 의해서, 사용자는 항상 자신이 원하는 페이지, 원하는 그림의 음식에 대한 고유정보를 독출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알에프태그(1)에는 적어도 음식관련 고유정보가 수록되는 아이씨칩(21)과, 상기 아이씨칩(21)에 수록되는 정보가 고주파 형태로 방사되도록 하는 안테나(22)가 제공된다. 상기 안테나(22)를 통해서는 알에프리더(3)로부터 에너지를 받을 수 있는 것도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알에프리더(3)에는 상기 알에프태그(1)와 고주파 신호를 교환하는 안테나(31)와, 상기 안테나(31)에 의해서 수신된 정보가 처리되는 데이터판독부(32)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조리기기(1)에는 조리기기의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는 조리기제어부(11)와, 조리기기(1)의 상태 및 여타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2)와, 조리기기(1)가 외부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16)와, 사용자가 조리기기(1)의 동작 상태를 조작하는 조작부(13)와, 조리기기의 동작에 필요한 다수의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14)와, 가열원등과 같이 조리기기의 원천적인 동작이 수행되는 동작부(15)와, 조리기기 내부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17)가 포함된다.
상세하게, 상기 통신부(16)은 네트워크(18)를 통하여 서버(6)와 접속되어, 서로 데이터를 교환한다. 상기 메모리(14)에는 상기 조리기제어부(11)가 상기 동작부(15)를 제어하는 동작정보가 저장된다. 상기 감지부(17)에는 조리기 동작 중의 온도, 연기, 및 습도 등의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가 제공되고, 감지된 정보는 상기 조리기 제어부(11)로 전달된다.
상기 조리 시스템의 작용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쿡북(5)을 조리기기로 접근시킨다. 그러면, 알에프태그(2)에 수록되는 음식관련 고유정보가 안테나(22)를 통하여 조리기기(1)로 전달된다. 여기서, 상기 알에프태그는 쿡북(5)의 요리관련정보표시부(51)와 정렬된 상태로 제공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음식에 대한 음식관련 고유정보를 독출할 수 있다.
상기 알에프태그에 수록되는 정보는 도 4에 제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시작코드에는 데이터의 시작을 나타내는 코드가 수록되고, 종료코드에는 데이터의 종료를 나타내는 코드가 기록된다. 인증코드에는 정보를 판독하는 조리기기(1)의 인증코드 및 서버(6)에서 알에프태그(1)의 인증에 사용되는 코드가 수록된다. 에러필드에는 데이터의 전송 시에 에러의 발생 여부를 검증하는 코드가 수록된다. 상기되는 각각의 필드는 알에프 태그 리딩 시스템의 동작을 위하여 근본적으로 필요한 코드로서, 구체적인 상태에 따라서는 달라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정보에 더해서 본 발명의 음식정보 제공시스템에는 알에프태그에 음식의 계층정보, 서버가 위치하는 네트워크 상의 주소정보, 및 음식의 고유 아이디가 각각의 주소에 수록되어 있다.
상세하게, 음식의 계층정보는, 음식물이 양식인 경우에는 [0002], 양식 중에서도 음식물이 피자인 경우에는 [0001], 상기 피자 중에서도 팬 피자인 경우에는 [0002], 팬 피자 중에서도 야채만 사용된 피자인 경우에는 [0001]와, 같이 하위메뉴를 추가적으로 가지는 다수의 계층으로 이루어지는 형태의 정보가 수록된다. 결국, 상기 음식의 계층정보에는 [0002/0001/0002/0001]과 같은 다수의 계층을 가지는 정보가 수록된다. 상기 서버(6)가 위치하는 네트워크의 상의 주소정보는 인터넷상의 IP주소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버(6)는 상기 쿡북을 제공하였던 서적회사의 서버로서, 쿡북을 구매한 구매자에 대한 추가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형태로 제안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네트워크(18)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모두 칭하는 것으로서, 유선 네트워크인 경우에는 기 설명된 바와 같이 인터넷 망을 예로 들 수 있다. 그리고,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홈 네트워크의 주소정보로서 가정에 설치되는 서버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음식의 고유 아이디는 직접 음식물의 이름을 표시하는 [팬 사이즈의 야채 피자]등과 같은 고유이름과, 상기 고유이름이 서버에 의해서 용이하게 인식가능하도록 하는 단축번호로서 [12345678]등과 같은 숫자의 조합 및 여타 부호의 조합으로 제시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조리기기(1)로 전달된 정보는 상기 데이터 판독부(32)에 의해서 판독된 다음에, 통신부(16)에 의해서 외부로 전달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조리기(1)의 제어부(11)에 의해서 제어된 상태에서 네트워크(18)를 통하여 서버(6)로 전달된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조작부(13)를 통하여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추가적으로 기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리기기(1)에서 서버(6)로 전달되는 정보에는 상기 알에프태그(2)로부터 수신된 정보뿐만 아니라 조리기기(1)의 사양정보가 더 추가되어 있을 수 있고, 상기 조리기기의 사양정보에는 조리기기가 동작가능한 히터의 상태, 히터의 위치, 히터의 운전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서버(6)로 전달된 정보는, 다양한 방법에 의해서 특정의 음식으로 인식된 다음에 해당되는 음식에 관한 정보가 취합된다. 취합된 정보는 네트워크(18)를 통하여 다시금 조리기기(1)로 전달되고, 전달된 정보는 디스플레이(12)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된다. 나아가서, 도시는 되어 있지 않지만, 스피커를 통하여 음향정보로서 출력될 수도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12)를 통하여 음식관련 정보가 출력되면 사용자는 이를 참조로 하여 해당되는 음식의 부가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되는 음식과 관련되는 다른 음식물의 정보를 얻을 수 있고, 음식물을 조리하는 동영상과 관련되는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고, 특정 음식물에 대하여 다른 사람이 느끼는 음식물의 선호도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음식과 관련되는 정보를 실시간으로 볼 수 있기 때문에, 음식에 관한 최근정보를 보다 정확하게 얻을 수 있고, 사용자가 알 수 있는 음식정보의 폭을 다양화해서 음식과 관련되는 다양한 정보를 손쉽게 습득할 수 있고, 지면의 제약으로 인하여 충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없는 경우에, 서적의 활용성을 다양화하여 보다 많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서버(6)로부터 상기 조리기기(1)로 전송되는 음식관련 정보에는 조리기기의 운전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알에프태그(2)에 의해서 전송된 음식관련 정보에 부가하여 전송되는 조리기기의 사양정보를 참조하여, 조리기기(1)의 운전에 적용되는 최적의 운전정보가 전송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서버(6)로부터 전송된 조리기기의 최적의 운전정보는 메모리에 수록된 상태에서 조리기기의 운전에 사용될 수 있다.
이 뿐만 아니라, 보다 바람직하게 음식물이 조리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서버(6)는 실시간으로 상기 동작부(15)의 동작상태와, 상기 감지부(17)에서 감지되는 감지상태를 수신하고, 상기 동작부(15)의 동작상태와 상기 감지부(17)의 감지상태를 반영하여 실시간으로 최적의 조리기기(1)의 동작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이렇게 되면 항상 최적의 상태로 조리기기(1)가 동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기기가 노후화되어 300도씨로 조리기기가 운전되도록 동작상태를 조성하였다고 할지라도 실제로는 그 온도에 이르지 않아서 상기 감지부(17)에는 250도씨로 감지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서버에서는 이러한 동작상태 및 감지상태를 반영하여 조리기기의 히터가 보다 강하게 동작되도록 상기 동작부(15)의 동작상태를 변경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방법을 그 흐름도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정보 제공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특정 음식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를 얻고자 하는 사용자는 쿡북을 조리기기를 접근시킨다. 그러면, 조리기기(1)에서는 알에프태그(2)로 알에프태그에 수록되어 있는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게 된다(S1). 이때, 상기 알에프태그(2)가 수동형으로 동작되는 경우에는 에너지가 전송될 수 있는 것도 당연한다.
전송요청이 있은 다음에, 알에프태그(2)는 수록되어 있는 정보는 조리기기(1)로 전송한다(S2). 그 이전에 알에프태그에서는 쿡북에 대하여 인증절차를 더 거쳐서 인증이 된 경우에만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다.
조리기기(1)에서는 알에프태그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 다음에 음식의 고유정보를 디스플레이 한다(S3). 여기서, 디스플레이 되는 정보로는 음식의 고유아이디로서 [팬 사이즈의 야채 피자]와 같은 정보와, 그 외에 상기 음식의 계층정보 및 상기 서버가 놓이는 네트워크 상의 주소정보 일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 되는 정보를 가공해서(S4), 상기 서버(4)로 음식정보를 요청하게 된다(S5). 여기서, 정보를 가공하는 과정은 서버(4)와 조리기기(1) 간에 미리 규약되어 있는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식의 계층정보를 특정의 전송필드에 채워서 이를 서버(4)로 전송하는 것으로 미리 규약되어 있을 수 있는 것이다. 이 뿐만 아니라, 비록 사용자가 인식하지는 못하지만 상기 조리기기(1)의 사양정보가 함께 전송된다.
음식정보의 전송을 요청받은 서버(6)는 해당되는 음식의 정보를 서버의 내부에서 검색하거나 외부 시스템의 데이터를 취합해서(S6), 직접 전송되어야 하는 정보로 가공한다(S7). 여기서, 가공되는 정보로는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특정의 조리기기(1)에서 요청된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한 최적의 조리 알고리즘 정보와, 요청된 음식과 관련되는 다른 음식물로서 야채피자가 전송된 경우에는 불고기 피자와 같은 다른 음식의 정보와, 특정의 오븐을 이용하여 야채피자를 만드는 조리방법의 정보와, 음식물을 준비하는 과정의 구체적인 동영상 정보와, 야채 피자를 쿡북에 제시된 방법으로 조리하여 취식한 다른 사용자가 느끼는 음식물의 선호도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서버(6)는 조리기기(1)로 음식정보를 제공하기 전에, 해당되는 요청을 한 조리기기 또는 쿡북이 인증을 받은 조리리기 또는 쿡북인지를 식별하기 위한 인증정보를 요청한다(S8). 그리고, 인증정보를 요청받은 조리기는 인증코드를 전송한다(S9). 인증코드는 상기 알에프태그(2)로부터 전달받은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인증코드를 수신받아, 인증코드의 진정성이 인증된 다음에는 상기 가공된 음식정보를 서버에서 조리기 측으로 전송한다(S10).
이후에는 전송받은 다양한 정보 중에서, 조리기기의 운전정보는 조리기기(1)의 메모리(14)에 저장되어 조리기기의 운전에 사용될 수 있다. 그 외에 부가적인 정보는 디스플레이에 디스플레이되거나 음향으로 표현되고, 사용자는 이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 이후에도, 상기 조리기기(1)는 실시간으로 상기 감지부(17)에 의해서 감지되는 조리기기(1)의 감지상태를 전송받아서(S11), 동작부(15)의 현재 동작 상태에서 올바르게 예측되는 감지부(17)의 감지상태의 벗어난 정도를 판단하여 조리기기(1)의 동작상태를 변경해야 하는 보정정도를 알아내 수 있다(S12). 그리고, 보정정도를 참조하여 직접적으로 조리기기(1)가 제어되어야 하는 제어정보를 생성하여 조리기기(1)측으로 전송한다(S13). 이렇게 되면, 조리기기가 노후화되어 조리기기가 예상된 대로 동작이 되지 않는 경우에도, 실시간으로 조리기기의 제어상태를 변경 조작해서 음식물의 조리에 최적인 상태로 조리기기를 운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 2 실시예>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조리기기가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버와 연결되는 것은 동일하지만, 조리기기가 일단은 옥내서버에 접속되어 다른 기기와 함께 연동되도록 하는 것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조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가정에 설치되어 옥내의 다양한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옥내서버(71)와, 상기 옥내서버(71)와 접속되는 조리기기(1), 공조기(72), 및 냉장고(73)가 제시되어 있다. 즉, 상기 옥내서버(71)는 가정이 설치되는 다수의 기기를 일차적으로 상호 연동시키는 서버이다.
이와 같은 조리 시스템에 따르면, 상기 조리기기(1)로부터 요청되는 정보는 제 2 네트워크(74)를 거쳐서 옥외로 전달될 필요가 없이, 가정에 직접 설치되는 옥내서버(71)에 의해서 처리될 수 있다. 그렇게 되면 전체적인 제어 트래픽이 줄어들어서 제어시스템의 안정성이 개선되는 장점을 더 얻을 수 있다. 물론, 이 경우에는 상기 서버에 조리기기(1)의 요청에 대응하는 다수의 정보가 미리 수록되어 있는 것은 쉽게 예상 가능한 일이다. 그리고, 상기 옥내서버(71)에 수록되어 있는 정보가 부족한 경우에는 옥외서버(6)와 연결되어 필요한 정보를 다운로드받을 수 있는 것도 쉽게 예측가능하다.
<제 3 실시예>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는 조리기기가 네트워크에 의해서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쿡북에 제공되는 알에프태그로부터 조리기기의 제어 데이터를 직접 전송받는 것에 있어서만 특징적으로 다르다. 그러므로, 구체적인 설명이 없는 부분에 대해서는 상기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하도록 하고, 본 실시예에서 특징적으로 달라지는 부분에 대해서만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조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다른 부분은 상기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와 동일하고, 상기 조리기기(1)에 통신부가 제공될 필요가 없고, 나아가서, 조리기기(1)가 네트워크로 연결되도록 하는 구성이 제공되지 않는 것이 다르다.
본 실시예의 조리 시스템에 따르면, 쿡북(5)의 특정 음식과 정렬되어 놓이는 알에프태그(2)에는 자체적으로 조리기기의 제어 데이터가 수록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알에프리터(3)에서 상기 알에프태그(2)에 수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독출할 때, 상기 조리기기(1)의 제어 데이터도 함께 독출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알에프태그의 수록 정보는 도 8에 제시되어 있으므로 이를 참조할 수 있다.
상기 조리기기(1)에 의해서 독출된 제어 데이터는, 상기 메모리(14)에 수록된 상태에서 조리기 제어부(11)의 동작을 위한 정보로서 사용되고, 상기 제어 데이터에 따라서 조리기기(1)가 운전되어 음식물이 조리된다. 본 실시예에 적합한 조리기기의 제어 데이터는 결과론 적인 제어 데이터로서, 예를 들면 상기 제어 데이터는 히터를 몇분 동안 운전하는 것이 아니라, 캐비티 내부의 온도를 몇도로 유지하는 것과 같은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리기기에서 독출된 제어 데이터는 사용자에 의해서 수정되는 과정이 더 수행될 수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어 데이터가 상기 메모리(14)에 수록됨과 동시에 상기 디스플레이부(12)에 디스플레이 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를 참조하면서, 사용자는 조작부(13)를 이용하여 제어 데이터를 수정한다. 다만, 이와 같은 제어 데이터의 수정은 조리기기의 동작 상태를 정확하게 알고 있는 사람에 한하여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에 수정된 정보는 메모리(14)에 다시 저장되어 조리기기의 동작 정보로서 계속해서 활용될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조리기기가 네트워크로 연결되지 못하는 상태에서도, 쿡북에서 자체적으로 어느 정도의 정확성을 가지는 조리기기의 제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고, 나아가서, 쿡북에서 제안되는 방식 그대로 음식물이 조리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서, 음식물의 조리 방법을 사용자의 취향에 맞도록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성이 더욱 개선되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3 실시예는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와는 반드시 개별적으로 사용된다고는 볼 수 없고, 제 3 실시예에 의해서 조리기기의 제어 데이터가 조리기기에 직접 수록되어 음식물이 조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과 함께,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서버로부터 조리기기의 제어 데이터를 가져와서 이를 서로 비교하여 더 바람직한 제어 데이터를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되는 실시예에 더해서 다음과 같은 실시예를 더 가질 수 있다.
먼저,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조리기 측으로 상기 인증요청단계(S8) 및 인증 코드전송(S9)는, 조리기에서 서버로 음식정보를 요청하는 음식정보요청단계(S5)와 서버에서 조리기로 음식정보를 전송하는 음식정보 전송단계(S10)의 사이에 수행되기만 하면되고, 그 구체적인 순서는 무관하다.
또한, 음식물의 조리가 수행 중인 동안에도, 상기 조리기기에 내장되는 디스플레이(12)에는 음식물과 관련되는 다양한 정보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사용자가 음식물이 조리되는 것을 지루하게 기다릴 필요가 없어서 편리하고, 음식물의 진행상태를 동영상을 통하여 관찰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편리하다.
상기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 사상의 구현되는 하나의 예에 지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및 추가 등에 의해서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고, 나아가서,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는 요소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되는 것에 의해서 또 다른 실시예도 용이하게 구성이 가능하지만, 이러한 다른 실시예들도 본원발명의 사상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서, 사용자가 원하는 음식물의 조리상태를 서적에서 제공하는 대로 정확하게 구현할 수 있고, 서적의 활용성을 다양화하여 보다 많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서 서적 구매자에 대한 만족감을 증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서 음식관련 정보를 편리하게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나아가서, 사용자의 편리해지게 된다.
또한, 일단 주어진 조리기기의 제어 데이터를 다시금 수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음식물을 자신이 원하는 방향으로 더욱 정확하게 조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알에프태그;
    상기 알에프태그로 부터 음식관련 정보를 입력받기 위하여 알에프리더가 제공되는 조리기기; 및
    상기 조리기기로부터 적어도 상기 음식관련 정보를 송신받고 상기 음식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조리기기에 맞도록 음식물을 조리하는 음식물 조리 데이터를 송신하는 서버가 포함되고,
    상기 음식물 조리 데이터에 의해서 상기 조리기기가 동작되는 조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알에프태그는 쿡북에 내장되는 조리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 조리 데이터는 사용자에 의해서 수정이 가능한 조리 시스템.
  4. 상기 조리기기로 음식관련 정보가 입력되는 단계;
    상기 음식관련 정보가 서버로 송신되는 단계;
    상기 음식관련 정보를 참조하여, 음식물 조리 데이터가 상기 조리기기로 송신되는 단계;
    상기 음식물 조리 데이터가 사용자에 의해서 수정되는 단계; 및
    상기 음식물 조리 데이터에 따라서 음식물의 조리가 수행되는 단계가 포함되는 조리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 조리 데이터는 사용자에 의해서 수정된 뒤에, 음식물 조리에 사용되는 조리 방법.
  6. 알에프태그; 및
    상기 알에프태그로 부터 음식관련 정보를 입력받기 위하여 적어도 알에프리더가 제공되는 조리기기가 포함되고,
    상기 음식관련 정보에는 적어도 상기 조리기기의 제어 데이터가 포함되고,
    상기 조리기기의 제어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제어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상기 제어 데이터를 수정하는 조작부가 포함되는 조리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기기와 접속되어, 상기 음식관련 정보를 제공받아서 부가 정보를 상기 조리기기로 전송하는 서버가 더 포함되는 조리 시스템.
KR1020070007803A 2007-01-11 2007-01-25 조리 시스템 및 조리 방법 KR20090000182A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7803A KR20090000182A (ko) 2007-01-25 2007-01-25 조리 시스템 및 조리 방법
US12/522,846 US8820624B2 (en) 2007-01-11 2007-11-15 Cooking information book, cooking system, cooking method, and using method for the cooking system
MX2009007508A MX2009007508A (es) 2007-01-11 2007-11-15 Libro de informacion para cocinar, sistema para cocinar, metodo para cocinar y metodo de uso para el sistema para cocinar.
PCT/KR2007/005753 WO2008084916A1 (en) 2007-01-11 2007-11-15 Cooking information book, cooking system, cooking method, and using method for the cooking system
AU2007342774A AU2007342774B2 (en) 2007-01-11 2007-11-15 Cooking information book, cooking system, cooking method, and using method for the cooking system
EP07834059.3A EP2118799B1 (en) 2007-01-11 2007-11-15 Cooking information book, cooking system, cooking method, and using method for the cooking system
RU2009126172/08A RU2440612C2 (ru) 2007-01-11 2007-11-15 Книга с информацией о приготовлении пищи, система приготовления пищи, способ приготовления пищи и способ использования для системы приготовления пищи
CN2007800496414A CN101595485B (zh) 2007-01-11 2007-11-15 烹饪信息簿、烹饪系统、烹饪方法及烹饪系统的使用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7803A KR20090000182A (ko) 2007-01-25 2007-01-25 조리 시스템 및 조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0182A true KR20090000182A (ko) 2009-01-07

Family

ID=40483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7803A KR20090000182A (ko) 2007-01-11 2007-01-25 조리 시스템 및 조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018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95314A (ko) 음식정보 제공 시스템 및 음식정보 제공 방법
US8403232B2 (en) Cookbook
AU2007342775B2 (en) Cooking appliance, controlling system for cooking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for cooking device
US10303136B2 (en) Control method, recording medium, an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for terminal device and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KR20190000908U (ko) 주방 기구들의 유도성 가열 및 무선 급전을 갖는 요리 시스템
CN101595485B (zh) 烹饪信息簿、烹饪系统、烹饪方法及烹饪系统的使用方法
US20100192784A1 (en) Cooking appliance, controlling system for cooking appliance and controlling method for cooking appliance
JP2007107766A (ja) 調理システム
US20160338531A1 (en) Cooking Apparatus and Method
KR101559980B1 (ko) 조리 방법 생성 장치, 단말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90100525A (ko) 조리기기 기반 레시피 저작 및 공유를 위한 서비스 시스템
CN106647532A (zh) 烹饪设备的推荐方法和装置
US8820624B2 (en) Cooking information book, cooking system, cooking method, and using method for the cooking system
CN109541946A (zh) 服务器、烹饪装置、信息处理系统及服务器的控制方法
KR20040005985A (ko) 조리실적 관리방법, 컨텐츠 관리방법, 서버 및 조리기기
KR101250650B1 (ko) 조리 시스템 및 조리 방법
KR20090000182A (ko) 조리 시스템 및 조리 방법
KR20090000151A (ko) 조리정보 제공 시스템, 및 조리정보 제공 방법
KR100871492B1 (ko) 음식 정보 서적, 음식 조리 가이드 시스템 및 방법
KR102189589B1 (ko) 사용자 단말기와 조리기기를 연동한 간편식품 조리 방법
KR20080075933A (ko) 쿡북, 음식정보 제공 시스템, 및 음식정보 제공 방법
KR101250675B1 (ko) 조리기기 제어 시스템 및 조리기기 제어방법
RU2440612C2 (ru) Книга с информацией о приготовлении пищи, система приготовления пищи, способ приготовления пищи и способ использования для системы приготовления пищи
KR20090000152A (ko) 조리 시스템, 및 조리정보 제공방법
JP6901615B2 (ja) 火力制御システムおよび火力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30314

Effective date: 20141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