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0019A - Successive data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by information exchange - Google Patents

Successive data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by information exchan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0019A
KR20090000019A KR1020060128549A KR20060128549A KR20090000019A KR 20090000019 A KR20090000019 A KR 20090000019A KR 1020060128549 A KR1020060128549 A KR 1020060128549A KR 20060128549 A KR20060128549 A KR 20060128549A KR 20090000019 A KR20090000019 A KR 200900000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cessing
data
information
processe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854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진원일
성맹희
김희진
정태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285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0019A/en
Priority to US11/819,229 priority patent/US20080148263A1/en
Publication of KR20090000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001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4Interprogram commun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48Program initiating; Program switching, e.g. by interrupt
    • G06F9/4806Task transfer initiation or dispatching
    • G06F9/4843Task transfer initiation or dispatching by program, e.g. task dispatcher, supervisor, operating system
    • G06F9/485Task life-cycle, e.g. stopping, restarting, resuming execu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33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 H04N21/6332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directed to client
    • H04N21/6334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directed to client for authorisation, e.g. by transmitting a ke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5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client and server
    • H04N21/658Transmission by the client directed to the server
    • H04N21/6583Acknowled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holding data processing continuity through information exchange are provided to enable a data management device to authenticate a data processing device when the data processing device and the data management devic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pply processing right information capable of processing the processing object data of the authenticate data processing device, thereby processing data safely and reliably. A processing object data is selected. The processing object information of the selected processing object data is transmitted to a data management device. Processing right information based on the processing object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data management device. The processing object data is processed on the basis of the processing right information(S816). Processing status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ocessed processing object data is transmitted to the data management device(S818).

Description

정보교환을 통한 데이터처리 연속성 확보 방법 및 장치{Successive data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by information exchange}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ing data processing continuity through information exchange {Successive data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by information exchang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처리장치의 구조를 도시한다.1 shows a structure of a data processing apparatus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처리장치의 구조를 도시한다.2 shows a structure of a data processing apparatus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처리장치의 구조를 도시한다.3 shows a structure of a data processing apparatus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처리장치의 구조를 도시한다.4 shows a structure of a data processing apparatus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관리장치의 구조를 도시한다.5 shows the structure of a data management apparatus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관리장치의 구조를 도시한다.6 shows a structure of a data management apparatus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처리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flow chart)를 도시한다.Fig. 7 shows a flow chart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for explain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처리장치의 동작을 설 명하는 흐름도(flow chart)를 도시한다.FIG. 8 shows a flow chart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a data processing apparatus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관리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flow chart)를 도시한다.Fig. 9 shows a flow chart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data management apparatus for explain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관리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flow chart)를 도시한다.Fig. 10 shows a flow chart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data management apparatus for explain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200, 300, 400 : 데이터처리장치100, 200, 300, 400: Data processing device

102, 202, 302, 402 : 데이터처리장치의 제어부102, 202, 302, 402: control unit of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104, 204, 304, 404 : 데이터처리장치의 인터페이스부104, 204, 304, 404: interface unit of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106, 206, 306, 406 : 데이터처리장치의 처리부106, 206, 306, 406: processing unit of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208, 408 : 데이터처리장치의 표시부208, 408: display section of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310, 410 : 데이터처리장치의 저장부310, 410: storage unit of the data processing device

500, 600 : 데이터관리장치500, 600: Data management device

502, 602 : 데이터관리장치의 제어부502, 602: control unit of the data management device

504, 604 : 데이터관리장치의 인터페이스부504, 604: interface unit of the data management device

506, 606 : 데이터관리장치의 저장부506, 606 storage unit of the data management device

608 : 데이터관리장치의 디지털권리관리부608: Digital rights management unit of the data management device

본 발명은 데이터처리장치 및 상기 데이터처리장치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관리하는 데이터관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데이터처리장치 및 상기 데이터관리장치 간의 연결이 끊어졌다 재설정되는 경우에도 연속적인(seamless)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하는 데이터처리장치 및 데이터관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a data management apparatus for managing data processed by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even when the connection between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the data management apparatus is disconnected and rese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ta processing device and a data management device for enabling a service.

최근 퍼스털컴퓨터(PC), PDA, 디지털카메라, MP3플레이어, PMP, 게임기, 디지털 TV, DVD플레이어 등 다양한 디지털 장치의 발달과 더불어 상기 장치들이 처리하는 데이터의 종류는 도큐먼트, 데이터베이스 또는 영상, 음악과 같은 디지털 컨텐츠에 이르기까지 다양해지고 있다.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various digital devices such as personal computers (PCs), PDAs, digital cameras, MP3 players, PMPs, game machines, digital TVs, DVD players, and the like, the types of data processed by the devices include documents, databases, videos, music, It is becoming diverse to the same digital content.

상기 디지털 장치들이 처리하는 디지털 데이터가 다양해지고 그 처리 대상 데이터 자체가 보호되어야 할 가치를 가지게 됨으로써 안전하고 합법적인 처리권리관리의 필요성이 커지게 되었다. 더욱이 네트워크 기술 및 통신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보호 받아야 할 가치를 지닌 처리대상데이터가 원하든 원하지 않든 네트워크를 통해 빠르게 전파되어 저작권을 갖는 디지털 데이터의 권리가 침해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As the digital data processed by the digital devices are diversified and the data to be processed have a value to be protected, the necessity of safe and legal processing right management is increased. Moreover, with the development of network technology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ight of digital data to be copyrighted is violated by the rapid propagation through the network, whether or not the data to be protected has the value to be protected.

상기와 같은 디지털 데이터의 보호를 위하여 디지털권리관리(DRM : Digital Rights Management)기술이 등장하게 되었다. 상기한 디지털권리관리 기술은 디지털 데이터 유통에 안전성, 유통성, 재사용을 지원하며, 저작권자, 유통업자, 소비자에 이르는 디지털 데이터 라이프사이클에 관계된 모든 에이전트를 만족시킬 수 있는 신뢰구조를 제공하는 기술이다.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technology has emerged to protect the digital data as described above. The digital rights management technology is a technology that supports the safety, circulation, and reuse of digital data distribution, and provides a trust structure that can satisfy all agents involved in the digital data lifecycle, including copyright holders, distributors, and consumers.

상기 디지털권리관리 기술은 처리대상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장치가 디지털권리관리부를 포함하고 있어서 처리대상데이터의 처리권한을 상기 장치가 확인하고 상기 데이터를 처리한다. 그러나, 처리대상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처리장치와 상기 처리대상데이터의 처리정보를 갖는 데이터관리장치가 별도로 존재하는 경우, 안전하고 신뢰할만한 데이터처리를 가능하게 해야 하는 기술적 과제가 요구된다. 또한, 연결이 되어 처리하던 처리대상데이터를 연결이 해제되었다가 다시 연결되는 경우, 과거 처리되던 부분부터 연속적으로 처리되도록 하는 요구도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두 장치가 분리되었을 때 분리공격(Removable Attack)에도 강인성을 갖게 하는 기술적 과제가 존재한다.In the digital rights management technology, the device that stores the data to be processed includes a digital rights management unit so that the device checks the processing authority of the data to be processed and processes the data. However, if a data processing device for processing the data to be processed and a data management device having processing information of the data to be processed exist separately, a technical problem of enabling safe and reliable data processing is required. In addition, there is a request to continue processing from the previously processed portion when the data to be processed by the connection is disconnected and then connected again. In addition, when the two devices are separated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technical problem of making the robustness even in a removable attack.

처리대상데이터의 처리권리 및 관리권한을 데이터처리장치가 모두 가지고 있는 경우, 데이터처리장치가 데이터 처리를 하다가 다시 재개할 경우 과거 처리정보를 가지고 있으므로, 이전에 처리하던 위치부터 이어서 연속적으로 처리하는데 문제가 없었다. 그러나, 데이터처리장치와 데이터관리장치가 서로 독립적인 장치로 존재하며 처리대상데이터의 처리는 상기 데이터처리장치가 담당하고 상기 처리대상데이터의 처리권리는 상기 데이터관리장치가 담당하는 경우에 문제가 발생한다. 즉, 이 경우, 두 장치가 연결되어 데이터를 처리하다가 연결이 해제되고 다시 연결이 설정되는 경우, 데이터처리장치가 기존에 처리하던 데이터의 처리를 재개하여야 한다. 따라서, 이 경우, 데이터처리장치는 기존 처리된 데이터의 다음 위치부터 연속성을 갖고 데이터를 처리하여야 한다. 이를 데이터처리 연속성 문제라고 한다. 상기 두 장치가 서로 연결되어 데이터 처리가 이루어지다가 두 장치간 연결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데이터처리장치 측은 처리하던 데이터 처리동작을 계속해야 할지 결정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상기 결정에 따라 처리동작을 지속해야 할 경우, 처리동작을 할 때마다 상기 데이터관리장치로부터 처리권리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처리권리정보에 기반하여 데이터 처리를 함으로써 기기분리공격(Removable Attack)에 대한 강인성을 갖는 데이터처리 연속성 확보 방법 및 그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If the data processing device has all the processing rights and management rights of the data to be processed, the data processing device has past processing information when the data processing device resumes processing and then resumes processing. There was no. However, a problem occurs when a data processing device and a data management device exist as independent devices, and the data processing device is in charge of processing the data to be processed and the right to process the data is in charge. do. That is, in this case, when the two devices are connected to process data and the connection is released and the connection is established again, the data processing device must resume processing of the data previously processed. Therefore, in this case,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must process the data with continuity from the next position of the previously processed data. This is called a data processing continuity problem. When the two devic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data processing is performed, a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two devices is released, the data processing device side has a problem of determining whether to continue the data processing operation. In addition, when the processing operation is to be continued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the processing right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data management apparatus every time the processing operation is performed, and the data processing is performed based on the processing right information so that the device is subject to a Removable Attack.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and apparatus for ensuring data processing continuity having robustness.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데이터처리장치와 데이터관리장치가 서로 연결될 때 상기 데이터관리장치가 상기 데이터처리장치를 인증하고, 상기 인증된 데이터처리장치의 처리대상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처리권리정보를 부여함으로써 안전하고 신뢰할만한 데이터처리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overcom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data management apparatus authenticates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when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the data management apparatu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processing of the authenticated data processing apparatus. By granting processing right information that can process the target data, it is possible to enable safe and reliable data processing.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데이터처리장치와 데이터관리장치가 서로 연결되어 데이터 처리될 때 상기 데이터처리장치의 데이터 처리상태정보를 상기 데이터관리장치와 공유함으로써 연결이 해제되었다가 다시 연결되었을 때 과거 처리되던 데이터의 처리위치를 알려주는 처리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연속적인 데이터처리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hare the data processing state information of the data processing device with the data management device when the data processing device and the data management device is connected to each other when the data is processed in the past when the connection is released and then connected again It is to enable continuous data processing based on the processing posi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processing position of the data.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데이터처리장치와 데이터관리장치가 서로 연결되어 데이터 처리상태정보와 데이터 처리권리정보를 교환함으로써 연결이 해제되면 상기 데이터처리장치 측에서 처리대상데이터의 처리권리정보를 검사함으로써 상기 처리 권리정보를 수신하지 못하면 더 이상의 처리대상데이터의 처리동작을 하지 않음으로써 기기분리공격(Removable Attack)에 대한 강인성을 가지게 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data processing device and the data management device is connected to each other when the connection is released by exchanging data processing status information and data processing right information by checking the processing right information of the processing target data on the data processing device side; If the processing right information is not received, the processing operation of the data to be processed is not performed any more, thereby making it robust to the Removable Attack.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처리대상데이터를 선택하는 과정, 선택된 상기 처리대상데이터의 처리대상정보를 데이터관리장치로 전송하는 과정 및 상기 데이터관리장치로부터 상기 처리대상정보에 기반한 처리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처리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처리대상데이터를 처리하며, 상기 처리대상데이터의 처리상황에 따른 처리상태정보를 상기 데이터관리장치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데이터관리장치 및 데이터처리장치 사이의 정보교환을 통한 데이터 처리 연속성 확보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 of selecting the processing target data, transmitting the processing target information of the selected processing target data to a data management device and the processing target from the data management device Receiving processing information based on the information, processing the processing target data based on the processing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processing stat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ocessing status of the processing target data to the data management apparatus; And a data processing continuity securing method through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data processing apparatuses.

상기 데이터처리장치는 상기 데이터관리장치와 연결되면 데이터처리장치정보를 상기 데이터관리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데이터처리장치정보가 포함하는 상기 데이터처리장치의 ID를 기반으로 상기 데이터관리장치에 의하여 인증 처리되고 상기 데이터관리장치로부터 처리대상정보, 또는 처리상태정보를 포함하는 선택정보를 수신한다.When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is connected to the data management apparatus,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transmits data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to the data management apparatus and performs authentication processing by the data management apparatus based on the ID of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included in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And receiving selection information including processing target information or processing status information from the data management device.

상기 데이터관리장치 측에서 상기 데이터처리장치로 전송되는 상기 처리정보는 처리대상정보, 처리상태정보, 또는 처리권리정보 등을 포함하고, 상기 처리대상정보는 처리대상데이터의 ID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상태정보는 처리대상데이터가 처리되는 상황에 따라서 처리완료정보 또는 처리위치정보 등을 포함한다.The processing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data management apparatus side to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includes processing target information, processing status information, processing rights information, and the like, and the processing target information includes an ID of the processing target data, and the processing The status information includes processing completion information or processing posi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ituation in which the processing target data is processed.

상기 처리완료정보는 처리대상데이터의 처리결과에 따라서 처리할 부분이 더 남아있을 때는 미완료, 처리대상데이터의 처리가 완료되었을 때는 처리완료를 알려주는 정보로서 상기 처리완료정보에 기반하여 처리완료 또는 처리지속을 결정하는 판단기준이 된다. 또한 처리결과에 따라 처리완료인 경우 처리완료정보를 상기 데이터관리장치 측에 전송하거나 처리할 대상이 아직 남아있는 경우 현재까지의 처리상태정보를 데이터관리장치로 전송하게 된다.The processing completion information is incomplete when there are more parts to be processed according to the processing result of the processing target data, and when the processing of the processing target data is completed, the processing completion information is processing completion or processing based on the processing completion information. It is the criteria for determining sustainability. In addition, if the processing is completed according to the processing result, the processing comple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data management device side, or if there is still a subject to be processed, the processing status information so far is transmitted to the data management device.

상기 처리위치정보는 데이터처리장치 측에서 처리대상데이터를 처리할 때 현재까지의 처리상태를 알려줌으로써 다음 처리위치를 결정하여 처리를 재개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로서 데이터관리장치 측에 전송되어 저장된다.The processing posi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and stored in the data management apparatus side as information for informing the processing state so far when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side processes the processing target data so as to determine the next processing position and to resume the processing.

상기 처리권리정보는 데이터관리장치 측에서 데이터처리장치로 전송되는 정보로써 처리대상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권한을 포함하는 정보이다.The processing right information is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data management device side to the data processing device, and includes information on the processing right data.

상기 데이터처리장치는 상기 데이터관리장치와 연결되면, 처리할 대상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문의하는 처리대상정보 조회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관리장치 측은 상기 처리대상정보 조회메시지에 응답하여 데이터처리장치 ID에 상응하는 선택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선택정보를 상기 데이터처리장치가 수신하게 된다. 상기 선택정보는 이전에 상기 데이터처리장치가 상기 데이터관리장치와 연결되어 데이터 처리되던 중 완료되지 못한 처리대상데이터가 있을 경우 이를 알려주는 처리대상정보, 또는 처리상태정보 등을 포함하고 있다.When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is connected to the data management apparatus,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may transmit a processing target information inquiry message inquiring whether the target data to be processed exists. The data management device generates the selec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ata processing device ID in response to the processing target information inquiry message, and the data processing device receives the selection information. The selection information includes processing target information, or processing state information, which informs of the processing data which has not been completed while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was previously connected to the data management apparatus and processing data.

상기 데이터처리장치는 상기 데이터관리장치와 연결될 때, 처리할 대상 데이터를 선택할 경우, 상기 데이터관리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상기 선택정보에 기반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입력신호에 기반하여 선택할 수 있다.When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is connected to the data management apparatus, when selecting target data to be processed,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may select the data based on the selec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data management apparatus or based on a user input signal.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처리장치로부터 처리대상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처리대상정보에 기반한 처리대상데이터의 처리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처리정보를 상기 데이터처리장치로 전송하는 과정 및 상기 데이터 처리장치로부터 상기 처리정보에 기반하여 처리된 상기 처리대상데이터의 상황에 따른 처리상태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정보교환을 통한 데이터 처리 연속성 확보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ocess of receiving processing object information from a data processing device, generating processing information of processing object data based on the processing object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processing information to the data processing device. And a process of receiving processing stat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the processing target data processed based on the processing information from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상기 처리상태정보는 처리완료정보 또는 처리위치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완료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데이터처리장치에서 데이터를 처리하는데 필요한 처리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동작이 처리대상데이터의 처리가 완료될 때까지 반복된다.The processing state information includes processing completion information or processing position information, and the operation of generating and transmitting processing information necessary for processing data in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based on the processing completion information may be completed. Is repeated until.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장치와 연결되어 처리대상데이터, 정보 또는 메시지를 인터페이싱하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처리대상데이터를 입력 받고, 처리지시정보에 기반하여 처리대상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부 및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수신되는 메시지를 해독하고, 해독 결과에 응답하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전송하며, 처리대상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상기 처리지시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데이터 처리부에 상기 처리지시정보를 출력하며, 상기 처리지시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데이터 처리부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처리결과에 따른 처리상태정보를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데이터관리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데이터처리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terface unit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for interfacing processing data, information or a message, receiving processing data from the interface unit, and processing the processing data based on the processing instruction information; Decrypts the message received through the data processing unit and the interface unit, generates a message in response to the decryption result, transmits the message through the interface unit, generates the processing instruction information for processing the data to be processed, and generates the data processing unit. A data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a control unit which outputs the processing instruction information and transmits processing state information according to a processing result of data processed by the data processing unit to the data management apparatus based on the processing instruction information. do.

상기 데이터처리장치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로부터 처리대상데이터에 대한 처리동작에 따라 처리상태정보 및 처리대상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unit configured to display processing state information and processing target information according to a processing operation on the processing target data from the data processing unit.

상기 데이터처리장치는 상기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처리대상데이터, 정보 및 메시지를 입력 받고, 상기 입력된 처리대상데이터, 정보 및 메시지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unit configured to receive processing object data, information, and a message from the interface unit, and store the input processing object data, information, and message.

상기 외부장치는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연결되는 디스플레이장치일 수 있고, 데이터처리결과 생성되는 처리된 데이터, 정보, 또는 메시지 등을 표시할 수 있다.The external device may be a display device connected through the interface unit, and may display processed data, information, or messages generated as a result of data processing.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연결되는 외부장치는 상기 데이터처리장치의 대상데이터를 관리하는 데이터관리장치일 수 있다.The external device connected through the interface unit may be a data management device for managing target data of the data processing device.

상기 데이터처리장치는 상기 데이터관리장치와 연결되면 상기 제어부에 의해 데이터처리장치 ID를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관리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데이터관리장치로부터 인증된다.When the data processing device is connected to the data management device, the control unit transmits a data processing device ID to the data management device through the interface unit and is authenticated by the data management device.

상기 데이터처리장치의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관리장치 측에 처리대상데이터가 있는지 조회하는 조회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메시지를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관리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관리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선택정보를 해독하고, 상기 해독된 선택정보에 기반하여 처리대상데이터를 선택하거나, 사용자의 입력신호에 기반하여 처리대상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of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generates an inquiry message for inquiring whether there is data to be processed on the data management apparatus side, transmits the message to the data management apparatus through the interface unit, and from the data management apparatus through the interface unit. The received selection information may be decrypted, and the processing target data may be selected based on the decrypted selection information, or the processing target data may be selected based on a user input signal.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관리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처리대상데이터의 처 리권리정보를 해독하여 처리권한이 부여되는 경우, 처리대상데이터의 처리를 위한 처리지시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처리지시정보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에 전달되고 상기 지시에 따라 데이터 처리된다.The control unit decrypts the processing right information of the processing target data received from the data management device, and generates processing instruction information for processing the processing target data when the processing authority is granted. The processing instruc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data processing unit and processed in accordance with the instructions.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장치와 연결되어 처리대상데이터, 정보 또는 메시지를 인터페이싱하는 인터페이스부, 처리대상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수신되는 처리대상데이터, 정보 또는 메시지를 해독하여 저장지시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저장부에 상기 저장지시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처리대상데이터에 기반하여 처리대상데이터의 처리권리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처리권리정보를 상기 외부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데이터관리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terface unit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to interface processing object data, information or message, a storage unit storing processing object data, and processing object data, information or message received through the interface unit A control unit for generating the storage instruction information by decoding the data, outputting the storage instruction information to the storage unit, generating processing rights information of the processing target data based on the processing target data, and transmitting the processing rights information to the external device. Provided is a data management device comprising a.

상기 데이터관리장치는 상기 연결되는 외부장치의 ID에 기반하여 인증을 수행하거나 처리대상데이터 ID에 기반하여 처리권리정보를 발부하는 디지털권리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ata management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digital rights management unit that performs authentication based on the ID of the connected external device or issues processing right information based on the processing target data I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처리장치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데이터처리장치(100)는 제어부(102), 인터페이스부(104), 처리부(106)를 포함한다. 1 shows a structure of a data processing apparatus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100 includes a control unit 102, an interface unit 104, and a processing unit 106.

인터페이스부(104)는 외부장치와 연결되어 처리대상데이터, 정보, 또는 메 시지를 인터페이싱한다.The interface unit 104 is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to interface data, information, or messages to be processed.

처리부(106)는 인터페이스부(104)로부터 처리대상데이터를 입력 받고, 처리지시정보에 기반하여 처리대상데이터를 처리한다.The processing unit 106 receives the processing target data from the interface unit 104 and processes the processing target data based on the processing instruction information.

제어부(102)는 인터페이스부(104)를 통하여 수신되는 메시지를 해독하고, 해독 결과에 응답하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인터페이스부(104)를 통해 전송하며, 외부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처리정보를 해독하여 처리대상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처리지시정보를 생성하고, 데이터 처리부(106)에 생성된 처리지시정보를 출력하며, 처리지시정보에 기반하여 데이터 처리부(106)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처리결과에 따른 처리상태정보를 인터페이스부(104)를 통하여 외부장치로 전송하는 동작을 수행한다.The control unit 102 decrypts the message received through the interface unit 104, generates a message in response to the decryption result, transmits it through the interface unit 104, and decodes the process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external device. Generate processing instruction information for processing data, output processing instruction information generated to the data processing unit 106, and processing stat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ocessing result of the data processed by the data processing unit 106 based on the processing instruction information. Transmits the data to an external device through the interface unit 104.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처리장치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데이터처리장치(200)는 제어부(202), 인터페이스부(204), 처리부(106), 그리고 표시부(208)를 포함한다.2 shows a structure of a data processing apparatus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200 includes a control unit 202, an interface unit 204, a processing unit 106, and a display unit 208.

인터페이스부(204)는 도1의 인터페이스부(104) 와 동일한 기능을 담당한다.The interface unit 204 has the same function as the interface unit 104 of FIG.

처리부(206)는 도1의 처리부(106)와 동일한 기능을 담당한다.The processing unit 206 has the same function as the processing unit 106 of FIG.

표시부(208)는 데이터 처리부(206)에서 처리되는 처리대상정보에 포함되어있는 처리대상데이터 명칭 등을 표시하거나 처리되는 처리대상데이터의 처리상황에 따라 생성되는 처리완료 여부를 알리는 처리완료정보 또는 처리대상데이터의 어느 부분이 처리되고 있는지 알려주는 처리위치정보를 표시한다.The display unit 208 displays the processing target data name or the like included in the processing target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data processing unit 206 or the processing completion information or processing for notifying whether the processing is completed according to the processing status of the processing target data to be processed. Processing position information indicating which part of the target data is being processed is displayed.

제어부(202)는 인터페이스부(204)를 통하여 수신되는 메시지를 해독하고, 해독 결과에 응답하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인터페이스부(204)를 통해 전송하며, 처리대상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처리지시정보를 생성하고, 데이터 처리부(206)에 생성된 처리지시정보를 출력하며, 처리지시정보에 기반하여 데이터 처리부(206)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처리결과에 따른 처리상태정보를 인터페이스부(204)를 통하여 외부장치로 전송하고, 처리대상정보 또는 처리상태정보 등을 표시부(208)에 표시하도록 지시하는 표시지시정보를 생성하고 출력한다.The control unit 202 decrypts the message received through the interface unit 204, generates a message in response to the decryption result, transmits it through the interface unit 204, and generates processing instruction information for processing the data to be processed. And outputs the processing instruction information generated to the data processing unit 206, and outputs the processing stat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ocessing result of the data processed by the data processing unit 206 based on the processing instruction information through the interface unit 204. And display indication information instructing the display unit 208 to display processing target information or processing status information and the lik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처리장치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데이터처리장치(300)는 제어부(302), 인터페이스부(304), 처리부(306), 그리고 저장부(310)를 포함한다.3 shows a structure of a data processing apparatus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300 includes a control unit 302, an interface unit 304, a processing unit 306, and a storage unit 310.

인터페이스부(304)는 도 1의 인터페이스부(104)와 동일한 기능을 담당한다.The interface unit 304 has the same function as the interface unit 104 of FIG. 1.

처리부(306)는 도 1의 처리부(106)와 동일한 기능을 담당한다.The processing unit 306 has the same function as the processing unit 106 of FIG. 1.

저장부(310)는 인터페이스부(304)를 통해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처리대상데이터를 저장하거나 CD, DVD, 또는 메모리의 형태로 미리 저장된 처리대상데이터를 저장한다.The storage unit 310 stores the processing target data received from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interface unit 304 or stores the processing target data previously stored in the form of a CD, DVD, or memory.

제어부(302)는 인터페이스부(304)를 통하여 수신되는 메시지를 해독하고, 해독 결과에 응답하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메시지를 상기 인터페이스부(304)를 통해 전송하며, 처리대상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처리지시정보를 생성하고, 데이터 처리부(306)에 생성된 처리지시정보를 출력하며, 처리지시정보에 기반하여 데이터 처리 부(306)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처리결과에 따른 처리상태정보를 인터페이스부(304)를 통하여 외부장치로 전송하고, 처리대상데이터를 저장부(310)로부터 독출하여 처리부(306)에서 처리되도록 지시한다.The control unit 302 decrypts the message received through the interface unit 304, generates a message in response to the decryption result, transmits the message through the interface unit 304, and a processing instruction for processing the data to be processed. The interface unit 304 generates information, outputs processing instruction information generated to the data processing unit 306, and processes processing stat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ocessing result of data processed by the data processing unit 306 based on the processing instruction information. It transmits to the external device through, and instructs the processing unit 306 to read the processing target data from the storage unit 310.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처리장치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데이터처리장치(400)는 제어부(402), 인터페이스부(404), 처리부(406), 표시부(408), 그리고 저장부(410)를 포함한다.4 shows a structure of a data processing apparatus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4,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400 includes a control unit 402, an interface unit 404, a processing unit 406, a display unit 408, and a storage unit 410.

인터페이스부(404)는 도 1의 인터페이스부(104)와 동일한 기능을 담당한다.The interface unit 404 has the same function as the interface unit 104 of FIG. 1.

처리부(406)는 도 1의 처리부(106)와 동일한 기능을 담당한다.The processing unit 406 has the same function as the processing unit 106 of FIG. 1.

표시부(408)는 도 2의 표시부(208)와 동일한 기능을 담당한다.The display unit 408 has the same function as the display unit 208 of FIG. 2.

저장부(410)는 도 3의 저장부(310)와 동일한 기능을 담당한다.The storage unit 410 has the same function as the storage unit 310 of FIG. 3.

제어부(402)는 인터페이스부(404)를 통하여 수신되는 메시지를 해독하고, 해독 결과에 응답하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메시지를 상기 인터페이스부(404)를 통해 전송하며, 처리대상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처리지시정보를 생성하고, 데이터 처리부(406)에 생성된 처리지시정보를 출력하며, 처리지시정보에 기반하여 데이터 처리부(406)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처리결과에 따른 처리상태정보를 인터페이스부(404)를 통하여 외부장치로 전송하고, 처리대상정보 또는 처리상태정보 등을 표시부(408)에 표시하도록 지시하는 표시지시정보를 생성하고 출력하고, 처리대상데이터를 저장부(410)로부터 독출하여 처리부(406)에서 처리되도록 지시한다.The control unit 402 decrypts the message received through the interface unit 404, generates a message in response to the decryption result, transmits the message through the interface unit 404, and a processing instruction for processing the data to be processed. Generates the information, outputs the processing instruction information generated to the data processing unit 406, and processes the processing uni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ocessing result of the data processed by the data processing unit 406 based on the processing instruction information. Transmits to the external device via the display unit 408, generates and outputs display instruction information instructing the display unit 408 to display the processing target information or the processing status information, and reads the processing target data from the storage unit 410 to process the processing unit 406. Instructs to process from.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관리장치의 구조를 도 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데이터관리장치(500)는 제어부(502), 인터페이스부(504), 그리고 저장부(506)를 포함한다.5 illustrates a structure of a data management apparatus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5, the data management apparatus 500 includes a control unit 502, an interface unit 504, and a storage unit 506.

인터페이스부(504)는 외부장치와 연결되어 처리대상데이터, 정보, 또는 메시지를 인터페이싱한다.The interface unit 504 is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to interface data, information, or a message to be processed.

저장부(506)는 인터페이스부(504)를 통하여 외부장치로부터 처리대상데이터를 입력 받거나, 외부장치정보, 메시지 등을 저장한다.The storage unit 506 receives the processing target data from an external device through the interface unit 504, or stores external device information, a message, and the like.

제어부(502)는 인터페이스부(504)를 통하여 수신되는 처리대상데이터, 정보, 또는 메시지를 해독하고, 해독 결과에 응답하는 저장지시정보를 생성하여 저장부(506)에 저장지시정보를 출력하고, 처리대상데이터에 기반하여 처리대상데이터의 처리정보를 생성하고 처리정보를 인터페이스부(504)를 통하여 외부장치로 전송한다.The control unit 502 decrypts the processing target data, information, or message received through the interface unit 504, generates storage instruction information in response to the decryption result, and outputs the storage instruction information to the storage unit 506. The processing information of the processing target data is generated based on the processing target data, and the processing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interface unit 504.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관리장치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6를 참조하면, 데이터관리장치(600)는 제어부(602), 인터페이스부(604), 저장부(606), 그리고 디지털권리관리부(608)를 포함한다.6 shows a structure of a data management apparatus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6, the data management apparatus 600 includes a control unit 602, an interface unit 604, a storage unit 606, and a digital rights management unit 608.

인터페이스부(604)는 도 5의 인터페이스부(504)와 동일한 기능을 담당한다.The interface unit 604 has the same function as the interface unit 504 of FIG. 5.

저장부(606)는 도 5의 저장부(506) 와 동일한 기능을 담당한다.The storage unit 606 has the same function as the storage unit 506 of FIG. 5.

디지털권리관리부(608)는 인터페이스부(604)를 통하여 연결되는 외부장치의 ID에 기반하여 인증을 수행하거나 외부장치에서 선택하는 처리대상데이터의 ID에 기반하여 처리권리정보를 발부한다.The digital rights management unit 608 performs authentication based on the ID of the external device connected through the interface unit 604 or issues processing right information based on the ID of the processing target data selected by the external device.

제어부(602)는 인터페이스부(604)를 통하여 수신되는 처리대상데이터, 정보, 또는 메시지를 해독하고, 해독 결과에 응답하는 메시지 또는 저장지시정보를 생성하여 저장부(606)에 저장하도록 저장지시정보를 출력하고, 디지털권리관리부(608)에 의해 발부되는 처리권리정보를 포함하는 처리정보를 인터페이스부(604)를 통하여 외부장치로 전송한다.The control unit 602 decodes the processing target data, information, or message received through the interface unit 604, and generates a message or storage instruction information in response to the decryption result and stores the storage instruction information to store in the storage unit 606. And outputs the process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processing right information issued by the digital rights management unit 608 to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interface unit 604.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처리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flow chart)를 도시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데이터처리장치는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외부장치와 연결되며, 외부장치는 처리대상데이터를 관리하는 기능을 하는 데이터관리장치일 수 있다. 데이터관리장치와 연결되는 데이터처리장치는 처리대상데이터를 선택(S702)한다. 선택된 처리대상 데이터에 해당하는 처리대상정보를 데이터관리장치로 전송(S704)한다. 처리대상정보는 아래 [표 1]을 참조하면, 처리대상데이터 ID, 처리대상데이터 이름, 크기, 종류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Fig. 7 shows a flow chart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for explain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7, the data processing device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through an interface unit, and the external device may be a data management device having a function of managing data to be processed. The data processing device connected to the data management device selects the processing target data (S702). The processing targe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processing target data is transmitted to the data management apparatus (S704). The processing target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such as a processing target data ID, a processing target data name, a size, and a type, referring to [Table 1] below.

[표 1]TABLE 1

처리정보Processing Information 처리대상정보Information to be processed 처리상태정보Processing status information 처리권리정보Processing Rights Information 처리대상데이터IDTarget Data ID 처리완료정보Processing completed information 처리위치정보Processing location information 처리권한정보Processing Rights Information

처리대상정보에 기반하여 데이터관리장치 측에서 전송하는 처리대상데이터의 처리정보를 수신(S706)한다. 처리정보에 기반하여 데이터처리장치의 처리부는 처리대상데이터를 처리(S708)한다. 처리대상데이터의 처리결과에 따라 처리상태정보가 생성된다. 처리상태정보는 [표 1]을 참조하면, 처리완료 여부를 알 수 있는 처리완료정보와 처리되는 처리대상데이터가 얼마만큼 처리되었는지 알 수 있는 처리위치정보를 포함한다. 처리위치정보는 데이터관리장치와 공유되고 처리대상데이터의 처리동작을 수행할 때 참조되어 처리할 위치를 결정하는 정보가 된다.Based on the processing target information, the processing information of the processing target data transmitted from the data management device is received (S706). The processing unit of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processes the processing target data based on the processing information (S708). The processing state information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processing result of the processing target data. The processing state information includes the processing completion information for knowing whether the processing is completed and the processing position information for knowing how much the processing target data is processed, referring to [Table 1]. The processing position information is shared with the data management apparatus and referred to when performing the processing operation of the data to be processed, and becomes information for determining the processing position.

생성된 처리상태정보는 데이터관리장치로 전송(S710)되고, 처리가 완료되었는지 확인(S712)되고, 처리대상 데이터 처리가 완료된다. The generated processing stat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data management apparatus (S710), it is confirmed whether the processing is completed (S712), and the processing of the data to be processed is completed.

처리가 완료되지 않은 경우 처리완료정보는 처리미완료 상태임을 알리는 미완료 속성을, 처리가 완료된 경우 처리완료 속성을 포함한다. 처리가 완료되지 않은 경우 현재 처리된 위치 또는 다음 번 처리동작에서 처리할 위치를 알리는 처리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처리상태정보가 데이터관리장치로 전송된다. 상기와 같은 처리대상데이터 처리(S708), 처리상태정보 전송(S710), 처리완료여부 확인(S712) 동작은 처리대상데이터 처리가 완료(S714)될 때까지 반복된다.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데이터처리장치는 연결이 해제되더라도 수신한 처리권리정보에 기반하여 처리대상데이터의 처리를 완료할 수 있다. 따라서 연결이 해제되는 경우 더 이상의 처리가 진행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처리대상데이터 처리(S708)동작을 수행하기 전 상기 데이터관리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처리정보를 검사하여 처리권리정보가 수신되면 처리동작을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처리동작을 종료하는 방법도 가능하다.When the processing is not completed, the processing completion information includes an incomplete attribute indicating that the processing is not completed, and processing completion attribute when the processing is completed. If the processing is not completed, processing status information including processing posi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current processed position or the position to be processed in the next processing operation is transmitted to the data management apparatus. The processing of the processing target data (S708), the processing state information transmission (S710), and checking whether the processing is completed (S712) is repeated until the processing of the processing target data is completed (S714).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operating as described above may complete the processing of the processing target data based on the received processing right information even if the connection is released.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further processing when the connection is released, the process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data management apparatus is inspected before performing the processing of the processing target data (S708), and when the processing right information is received, the processing operation is performed. Otherwise, it is possible to end the processing operation.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처리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flow chart)를 도시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데이터처리장치는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데이터관리장치와 연결(S802)된다. 데이터처리장치는 자신의 장치정보 즉, 데이터처리장치정보를 데이터관리장치로 전송(S804)한다. 데이터처리장 치정보는 아래 [표 2]를 참조하면, 데이터처리장치 ID, 데이터처리장치 제조사, 또는 데이터처리장치 종류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Fig. 8 shows a flow chart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for explain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8,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is connected to the data management apparatus through the interface unit in operation S802.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transmits its own device information, that is, data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to the data management apparatus (S804). Referring to Table 2 below, the data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such as a data processing device ID, a data processing device manufacturer, or a data processing device type.

[표 2]TABLE 2

데이터처리장치정보Data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데이터처리장치 IDData Processing Unit ID 데이터처리장치 제조사Data processing device manufacturer 데이터처리장치 종류Data processing device type

데이터처리장치는 데이터관리장치 측에서는 전송하는 선택정보를 수신(S808)한다. 선택정보는 아래 [표 3]을 참조하면, 처리대상정보, 또는 처리상태정보를 포함한다.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receives selec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data management apparatus side (S808). The selection information includes the processing target information or the processing status information, referring to [Table 3] below.

[표 3]TABLE 3

선택정보Selection Information 처리대상정보Information to be processed 처리상태정보Processing status information

선택정보는 상기 데이터관리장치 측에서 인증된 데이터장치정보를 기반으로 생성하여 전송해 줌으로써 데이터처리장치가 수신할 수 있지만, 데이터처리장치가 데이터처리장치정보를 전송(S804)하고, 데이터관리장치와 과거 연결되었을 때 처리완료 하지 못한 처리대상데이터가 있는지 문의하는 처리대상정보 조회메시지를 전송(S806)할 수 있다.The selection information may be received by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by generating and transmitting the data based on the data device information authenticated by the data management apparatus, but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transmits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S804), and the data management apparatus. When connected in the past, the processing object information inquiry message inquiring whether there is the processing object data that has not been processed may be transmitted (S806).

데이터처리장치는 선택정보를 기반으로 처리완료 되지 못한 데이터 중에서 처리대상데이터를 선택할 수도 있고, 사용자의 입력신호에 기반하여 처리대상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다. 처리대상데이터를 선택(S810)하면 처리대상정보를 생성하여 데이터관리장치 측에 보고하는 처리대상정보 전송(S812)단계를 수행한다.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may select data to be processed from among data that has not been processed based on the selection information, or may select data to be processed based on a user input signal. When the processing target data is selected (S810), the processing target information transmission (S812) of generating processing target information and reporting it to the data management apparatus is performed.

데이터처리장치는 처리대상데이터의 처리권한을 포함하는 처리권리정보를 포함하는 처리정보를 데이터관리장치로부터 수신(S814)한다. 처리권리정보에 기반 하여 제어부에서 처리부로 지시하는 처리지시정보에 기반하여 처리대상데이터가 처리(S816) 되고, 그 처리상태에 따라서 처리상태정보가 생성된다. 생성된 처리상태정보는 데이터관리장치로 전송(S818)되고, 처리가 완료되었는지 확인(S820)된다.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receives the process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processing right information including the processing authority of the processing target data from the data management apparatus (S814). Based on the processing right information, the processing target data is processed based on the processing instruction information instructed by the control unit to the processing unit (S816), and processing state information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processing state. The generated processing stat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data management apparatus (S818), and it is confirmed whether the processing is completed (S820).

처리상태정보에 포함된 처리완료정보에 기반하여 처리대상데이터의 처리가 완료된다. Processing of the processing target data is completed based on the processing comple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processing state information.

처리가 완료되지 않은 경우 처리완료정보는 처리 미완료 상태임을 알리는 속성정보를 포함하고, 현재 처리된 위치 또는 다음 번 처리동작에서 처리할 위치를 암시하는 처리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처리상태정보가 데이터관리장치로 전송된다. 상기와 같은 처리대상데이터 처리(S816), 처리상태정보 전송(S818), 처리완료여부 확인(S820) 동작은 처리대상데이터 처리가 완료(S822)될 때까지 반복된다.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상기 데이터처리장치는 연결이 해제되더라도 수신된 처리권리정보에 기반하여 처리대상데이터의 처리를 지속하여 완료할 수 있다. 따라서 연결이 해제되는 경우 더 이상의 처리가 진행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처리대상데이터 처리(S816)동작을 수행하기 전 데이터관리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처리정보를 검사하여 처리권리정보가 수신(S814)되면 처리동작을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처리동작을 종료하는 방법도 가능하다.If the processing is not completed, the processing completion information includes attribute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processing is incomplete, and the processing status information including processing posi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current processing position or the position to be processed in the next processing operation is the data management apparatus. Is sent to. The processing of the processing target data (S816), the processing state information transmission (S818), and checking whether the processing is completed (S820) is repeated until the processing of the processing target data is completed (S822). The data processing device operating as described above may continue to complete the processing of the data to be processed based on the received processing right information even when the connection is released.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further processing when the connection is released, the process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data management apparatus is inspected before the processing target data processing (S816), and the processing right information is received (S814). It is also possible to execute the processing or otherwise terminate the processing operation.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관리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flow chart)를 도시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데이터관리장치는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외부장치와 연결되며, 외부장치는 처리대상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하는 데이터처리장치일 수 있다. 데이터처리장치와 연결되는 데이터관리장 치는 처리대상데이터를 알 수 있는 처리대상정보를 수신(S902)한다. 처리대상정보의 처리대상데이터 ID에 기반하여 [표 1]과 같은 처리정보를 생성(S904)하고 처리정보는 데이터처리장치로 전송(S906)된다. 데이터처리장치가 생성하는 처리상태정보를 수신(S908)하여 저장부에 저장함으로써 처리대상데이터의 처리상황에 따라 처리위치정보가 데이터관리장치와 데이터처리장치 사이에 공유된다. 처리상태정보가 포함하는 처리완료정보를 기반으로 처리대상데이터의 처리완료(S910) 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처리완료정보를 기반으로 처리상태정보 수신(S908), 처리완료 확인(S910) 동작은 처리 완료될 때까지 반복된다.Fig. 9 shows a flow chart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data management apparatus for explain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9, the data management device is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through an interface unit, and the external device may be a data processing device that functions to process data to be processed. The data management device connected to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receives the processing target information for knowing the processing target data (S902). Based on the processing target data ID of the processing target information, processing information as shown in [Table 1] is generated (S904), and the processing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S906). By receiving the processing stat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S908) and storing it in the storage unit, the processing position information is shared between the data management apparatus and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ocessing status of the data to be processed. Based on the processing comple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processing state information, it may be checked whether the processing target data is completed (S910). Therefore, based on the processing completion information, receiving the processing state information (S908), processing completion confirmation (S910) operation is repeated until the processing is completed.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데이터관리장치는 데이터처리장치와 연결이 해제되더라도 전송된 처리권리정보에 기반하여 처리대상데이터의 처리는 지속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이 해제되는 경우 더 이상의 처리가 진행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처리상태정보 수신(S908)동작을 수행하기 전 데이터처리장치로 처리정보를 전송(S906)하는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데이터처리장치 측에서는 수신하는 처리정보에 기반하여 처리동작이 수행되고 처리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처리동작이 종료되도록 하는 방법도 가능하다.Even if the data management device operating as described above is disconnected from the data processing device, the processing of the data to be processed may continue based on the transmitted processing right information.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further processing when the connection is released,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receives the processing by repeating the operation of transmitting the processing information to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S906) before performing the processing state information receiving operation (S908). If a processing operation is performed based on the information and no processing information is received, the method may be terminated.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관리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flow chart)를 도시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데이터관리장치는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데이터처리장치와 연결(S1002)된다. 데이터관리장치는 상기 데이터처리장치로부터 데이터처리장치정보를 수신(S1004)하고 수신된 데이터처리장치정보가 포함하는 데이터처리장치 ID를 기반으로 데이터처리장치를 인증(S1006)한 다.Fig. 10 shows a flow chart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data management apparatus for explain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0, the data management apparatus is connected to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through an interface unit (S1002). The data management apparatus receives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from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S1004) and authenticates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based on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ID included in the received data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S1006).

데이터관리장치는 데이터처리장치 ID를 기반으로 과거 연결되었을 때 처리되지 못한 처리대상데이터가 있는지 탐색하여 리스트를 작성하고, 데이터처리장치 측에서 처리를 재개할지 결정할 수 있도록 선택정보를 생성하여 전송(S1010)할 수 있다. 선택정보는 [표 3]과 같이 처리대상정보, 또는 처리상태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정보 전송(S1010)단계 이전에 데이터관리장치는 데이터처리장치로부터 처리완료 하지 못한 처리대상데이터가 있는지 문의하는 처리대상정보 조회메시지를 수신(S1008)할 수 있다. 처리대상정보 조회메시지는 데이터관리장치의 제어부에서 해독되고, 해독결과 처리대상데이터 ID에 상응하는 선택정보를 생성하여 데이터처리장치로 전송한다.The data management device creates a list by searching for any data that has not been processed when connected in the past based on the data processing device ID, and generates and transmits selection information so that the data processing device can decide whether to resume processing (S1010). )can do. The selection information includes processing target information or processing status information as shown in [Table 3]. Before the selec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S1010) step, the data management device may receive a processing target information inquiry message for inquiring whether there is processing target data that has not been processed from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S1008). The processing target information inquiry message is decrypted by the control unit of the data management apparatus, and generates selec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ecryption result processing target data ID and transmits it to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데이터관리장치는 데이터처리장치로부터 선택된 처리대상데이터의 처리대상정보를 수신(S1012)하면, 데이터관리장치의 제어부에서 처리대상데이터의 처리권한을 포함하는 처리권리정보를 생성하거나, 디지털권리관리부를 포함하는 데이터관리장치일 경우 디지털권리관리부에서 발부하는 처리권리정보가 포함된 처리정보가 제어부의 지시에 의하여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데이터처리장치로 전송(S1014)된다.When the data management apparatus receives the processing target information of the selected processing target data from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S1012), the control unit of the data management apparatus generates the processing right information including the processing authority of the processing target data, or includes a digital rights management unit. In the case of the data management device, the process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processing right information issued by the digital rights management unit is transmitted to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through the interface unit at the instruction of the control unit (S1014).

데이터관리장치는 데이터처리장치 측에서 처리하는 처리대상데이터의 처리상황에 따라 생성되는 처리상태정보를 수신(S1016)한다.The data management apparatus receives the processing state information generated according to the processing status of the processing target data processed by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S1016).

처리상태정보가 수신(S1016)되면 처리상태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하고 처리상태정보가 포함하는 처리완료정보를 기반으로 처리가 완료되었는지 확인(S1018)한 다.When the processing state information is received (S1016), the processing state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and the processing is completed based on the processing comple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processing state information (S1018).

상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관리장치가 데이터처리장치로부터 수신된 처리상태정보가 포함하는 처리위치정보를 공유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data management apparatus shares the processing posi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processing stat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데이터관리장치는 수신되는 처리완료정보를 기반으로 처리상태정보 수신(S1016), 처리완료 확인(S1018) 동작을 처리 완료될 때까지 반복한다.The data management apparatus repeats the operation of receiving the processing status information based on the received processing completion information (S1016) and processing completion confirmation (S1018) until the processing is completed.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데이터관리장치는 데이터처리장치와 연결이 해제되더라도 전송된 처리권리정보에 기반하여 처리대상데이터의 처리는 지속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이 해제되는 경우 더 이상의 처리가 진행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처리상태정보 수신(S1016)동작을 수행하기 전 데이터처리장치로 처리정보를 전송(S1014)하는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데이터처리장치 측에서는 수신하는 처리정보에 기반하여 처리동작이 수행되고 그렇지 않으면 처리동작이 종료되도록 하는 방법도 가능하다.Even if the data management device operating as described above is disconnected from the data processing device, the processing of the data to be processed may continue based on the transmitted processing right information. Therefore, when the connection is released,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receives the processing by repeating the operation of transmitting the processing information to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S1014) before performing the processing state information receiving operation (S1016) in order to prevent further processing. It is also possible to perform a processing operation based on the information or otherwise terminate the processing opera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관리장치는 상기 데이터관리장치와 물리적으로 분리된 데이터처리장치의 처리대상데이터의 ID, 및 상기 처리대상데이터의 처리위치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데이터관리장치와 재연결된 경우, 상기 데이터처리장치의 상기 처리대상데이터의 ID, 및 상기 처리대상데이터의 상기 처리위치정보를 상기 데이터관리장치로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ata management apparatus includes a storage unit for storing ID of processing target data of a data processing apparatus physically separated from the data management apparatus, and processing position information of the processing target data; And a control unit which, when reconnected with the data management device, transmits the ID of the data to be processed and the processing position information of the data to be processed to the data management device.

데이터처리장치는 자신의 ID 및 자신이 처리하고 있거나 처리할 예정인 처리대상데이터의 ID를 상기 데이터관리장치로 전송한다. 그러면, 데이터관리장치는 상기 저장부에 상기 처리대상데이터의 ID를 상기 데이터처리장치의 ID에 대응하여 저장한다. 데이터관리장치는 데이터처리장치를 인증하고, 상기 처리대상데이터 ID에 대응하는 처리대상데이터를 일부분씩 데이터처리장치로 전송한다. 데이터처리장치는 데이터관리장치로부터 수신한 처리대상데이터를 처리한다. 데이터처리장치는 상기 처리대상데이터를 일정한 단위씩 처리할 때마다 상기 처리대상데이터의 처리위치정보를 데이터관리장치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상기 처리대상데이터는 동영상 데이터일 수 있고, 이 경우, 데이터처리장치는 상기 동영상 데이터를 10MB씩 재생할 때마다, 처리위치정보를 1씩 증가시켜 데이터관리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데이터관리장치는 상기 저장부에 상기 처리위치정보를 상기 데이터처리장치의 ID에 대응하여 저장한다.The data processing device transmits its ID and the ID of the data to be processed or to be processed to the data management device. Then, the data management apparatus stores the ID of the processing target data in the storage unit corresponding to the ID of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The data management apparatus authenticates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transmits the processing target data corresponding to the processing target data ID to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partly.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processes the processing target data received from the data management apparatus.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transmits the processing position information of the processing target data to the data management apparatus every time the processing target data is processed by a predetermined unit. For example, the data to be processed may be moving picture data, and in this case, the data processing device may increase the processing location information by 1 and transmit the moving location information to the data management device every 10 MB. Then, the data management apparatus stores the processing position information in the storage unit corresponding to the ID of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처리대상데이터는 데이터관리장치로부터 데이터처리장치에 전송되지 않고, 처음부터 데이터처리장치에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 경우, 데이터관리장치는 상기 처리대상데이터의 부분에 대한 권한을 데이터처리장치로 전송하여, 데이터처리장치가 상기 처리대상데이터를 부분씩 처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처리장치가 데이터관리장치로부터 처리대상데이터인 동영상 데이터 400MB 중 앞부분 50MB의 재생에 대한 권한을 수신하면, 상기 50MB를 재생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처리장치는 상기 동영상 데이터를 10MB씩 재생할 때마다, 처리위치정보를 1씩 증가시켜 데이터관리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데이터관리장치는 상기 저장부에 상기 처리위치정보를 상기 데이터처리장치의 ID에 대응하여 저장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to be processed may not be transmitted from the data management device to the data processing device, but may be stored in the data processing device from the beginning. In this case, the data management apparatus may transmit the authority for the portion of the processing target data to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so that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may process the processing target data partly. For example, when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receives a right to play the first 50MB of the moving image data 400MB from the data management device, the 50MB may be played. At this time,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may increase the processing position information by 1 every time the moving image data is played back by 10MB and transmit the data to the data management apparatus. Then, the data management apparatus stores the processing position information in the storage unit corresponding to the ID of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데이터관리장치가 상기 데이터처리장치와 연결이 끊어진 후 재연결된 경 우, 데이터관리장치는 상기 데이터처리장치의 ID를 식별한다. 그 다음, 데이터관리장치는 상기 데이터관리장치의 ID를 참조하여 상기 데이터처리장치의 상기 처리대상데이터의 ID, 및 상기 처리대상데이터의 상기 처리위치정보를 식별한다. 상기 식별된 처리대상데이터의 ID, 및 상기 처리대상데이터의 상기 처리위치정보는 상기 데이터처리장치로 전송된다. 그러면, 데이터처리장치는 수신한 처리대상데이터의 ID를 통해 자신이 처리 중이었던 데이터가 무엇이었는지 판단하고, 또한 그 데이터의 처리위치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처리대상데이터를 이어서 처리한다. 예를 들어, 상기 데이터처리장치는 처리대상데이터가 동영상인 경우, 중단되었던 부분부터 상기 처리대상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다.When the data management device is reconnected after disconnecting from the data processing device, the data management device identifies the ID of the data processing device. Then, the data management apparatus identifies the ID of the processing target data of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the processing position information of the processing target data with reference to the ID of the data management apparatus. An ID of the identified processing target data and the processing position information of the processing target data are transmitted to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Then,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determines what data it has been processing based on the received ID of the processing target data, and subsequently processes the processing target data with reference to the processing position information of the data. For example, when the data to be processed is a moving picture,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may reproduce the data to be processed from where it was interrupt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상기 본 발명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구성을 포함하여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following claims, including various forms of configuration that can achieve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본 발명에 따르면, 데이터처리장치와 데이터관리장치가 서로 연결될 때 상기 관리장치가 상기 처리장치를 인증하고, 처리대상 데이터의 처리권리를 부여함으로써 안전하고 신뢰할만한 데이터처리를 가능하게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ata processing device and the data management devic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management device authenticates the processing device and grants the processing right of the data to be processed, thereby enabling safe and reliable data processing.

본 발명에 따르면, 데이터처리장치와 데이터관리장치가 서로 연결되어 데이터 처리될 때 상기 데이터처리장치의 데이터처리결과에 따른 처리상태정보를 상 기 데이터관리장치와 공유함으로써 연결이 해제되었다가 다시 연결되었을 때 이전에 처리하던 처리대상데이터의 처리위치 정보를 기초로 연속적인 데이터처리를 가능하게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the data management apparatu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process data, the connection state is disconnected and then reconnected by sharing processing stat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ata processing result of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with the data management apparatus. In this case, continuous data processing is possible based on the processing position information of the data to be processed previously.

본 발명에 따르면, 데이터처리장치와 데이터관리장치가 서로 연결되어 처리대상데이터의 처리상태정보와 처리권리정보를 공유함으로써 연결이 해제되더라도 상기 데이터처리장치 측에서는 상기 처리권리정보를 검사함으로써 기기분리공격(Removable Attack)에 대해서도 강인성을 갖게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the data management apparatu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connection is released by sharing the processing state information and the processing right information of the data to be processed,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checks the processing right information to separate the device separation attack It also has robustness against Removable Attack.

Claims (25)

데이터관리장치 및 데이터처리장치 사이의 정보교환을 통한 데이터 처리 연속성 확보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of ensuring data processing continuity by exchanging information between a data management device and a data processing device, 처리대상데이터를 선택하는 과정;Selecting data to be processed; 선택된 상기 처리대상데이터의 처리대상정보를 상기 데이터관리장치로 전송하는 과정; 및Transmitting the processing target information of the selected processing target data to the data management apparatus; And 상기 데이터관리장치로부터 상기 처리대상정보에 기반한 처리권리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처리권리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처리대상데이터를 처리하며, 처리된 상기 처리대상데이터의 상황에 따른 처리상태정보를 상기 데이터관리장치로 전송하는 과정Receiving processing right information based on the processing target information from the data management device, processing the processing target data based on the processing right information, and managing the processing stat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the processed processing target data. The process of transferring to the device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교환을 통한 데이터 처리 연속성 확보 방법.Method for ensuring data processing continuity through information exchang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데이터처리장치는 상기 데이터관리장치와 연결되면 데이터처리장치정보를 상기 데이터관리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데이터처리장치정보에 따라 인증된 선택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교환을 통한 데이터 처리 연속성 확보 방법.The data processing device further includes the step of transmitting data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to the data management device when the data processing device is connected, and receiving selection information authenticated according to the data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How to secure data processing continuity through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데이터처리장치정보는 상기 데이터처리장치의 I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교환을 통한 데이터 처리 연속성 확보 방법.And the data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includes an ID of the data process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처리대상정보는 상기 처리대상데이터의 I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교환을 통한 데이터 처리 연속성 확보 방법.And the processing target information includes an ID of the processing target data.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처리상태정보는 상기 처리대상데이터의 처리완료정보 또는 처리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교환을 통한 데이터 처리 연속성 확보 방법.And said processing state information includes processing completion information or processing position information of said processing target data.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처리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처리대상데이터의 처리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교환을 통한 데이터 처리 연속성 확보 방법.And a processing position of the data to be processed is determined based on the processing position information.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처리완료정보는 데이터처리 또는 상기 처리상태정보의 전송을 결정하는 판단기준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교환을 통한 데이터 처리 연속성 확보 방법.And said processing completion information is a criterion for determining data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aid processing state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데이터관리장치에 처리대상정보 조회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데이터관리장치로부터 상기 처리대상정보 조회메시지에 응답하는 상기 처리대상데이터의 선택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교환을 통한 데이터 처리 연속성 확보 방법.And transmitting the processing subject information inquiry message to the data management apparatus and receiving the selection information of the processing subject data in response to the processing subject information inquiry message from the data management apparatus. How to secure data processing continuity through 제2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8, 상기 처리대상데이터는 상기 데이터관리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선택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교환을 통한 데이터 처리 연속성 확보 방법.And the data to be processed is selected based on the selec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data management devic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처리대상데이터는 사용자 입력신호에 기반하여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교환을 통한 데이터 처리 연속성 확보 방법.And the data to be processed is selected based on a user input signal. 데이터처리장치 및 데이터관리장치 사이의 정보교환을 통한 데이터 처리 연속성 확보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of ensuring data processing continuity by exchanging information between a data processing device and a data management device, 상기 데이터처리장치로부터 처리대상데이터의 처리대상정보를 수신하는 과 정;Receiving processing object information of the object data from the data processing device; 상기 처리대상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처리대상데이터의 처리권리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처리권리정보를 상기 데이터처리장치로 전송하는 과정; 및Generating processing rights information of the processing target data based on the processing target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processing rights information to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상기 데이터처리장치로부터 상기 처리권리정보에 기반하여 처리된 상기 처리대상데이터의 상황에 따른 처리상태정보를 수신하는 과정Receiving processing stat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the processing target data processed based on the processing right information from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교환을 통한 데이터 처리 연속성 확보 방법.Method for ensuring data processing continuity through information exchange, comprising a. 제11항 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처리상태정보는 처리완료정보 또는 처리위치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완료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데이터처리장치에서 데이터를 처리하는데 필요한 상기 처리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처리장치로 전송하는 동작이 상기 처리대상데이터의 처리가 완료될 때까지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교환을 통한 데이터 처리 연속성 확보 방법.The processing state information includes processing completion information or processing position information, and the operation of generating the processing information necessary for processing data in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based on the processing completion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processing information to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is performed. A method of ensuring data processing continuity through information exchange,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cess is repeated until the processing of the target data is completed. 외부장치와 연결되어 처리대상데이터, 정보 또는 메시지를 인터페이싱하는 인터페이스부;An interface unit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to interface data, information, or messages to be processed; 상기 인터페이스부로부터 데이터를 입력 받고, 처리지시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처리대상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부; 및A data processing unit which receives data from the interface unit and processes the processing target data based on processing instruction information; And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수신되는 상기 메시지를 해독하고, 해독 결과 에 응답하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전송하며, 상기 처리대상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상기 처리지시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데이터 처리부에 상기 처리지시정보를 출력하며, 상기 처리지시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데이터 처리부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처리결과에 따른 처리상태정보를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외부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처리장치.Decrypts the message received through the interface unit, generates a message in response to the decryption result, transmits the message through the interface unit, generates the processing instruction information for processing the processing target data, and processes the processing unit in the data processing unit. And a control unit which outputs instruction information and transmits processing state information according to a processing result of data processed by the data processing unit to an external device based on the processing instruction information. 제1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데이터 처리부로부터의 상기 처리대상데이터에 대한 처리동작에 따라 상기 처리상태정보 및 상기 처리대상데이터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처리장치.And a display unit which displays the processing state information and the information of the processing target data in accordance with a processing operation on the processing target data from the data processing unit.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3 or 14, 상기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상기 처리대상데이터, 정보 또는 메시지를 입력 받고, 상기 입력된 처리대상데이터, 정보 및 메시지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처리장치.And a storage unit configured to receive the processing target data, information or message from the interface unit, and store the input processing target data, information, and message. 제1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외부장치는 디스플레이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처리장치.And the external device is a display device. 제1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외부장치는 데이터관리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처리장치.And the external device is a data management device. 제1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7, 상기 제어부는 데이터처리장치 ID를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관리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처리장치.And the control unit transmits a data processing apparatus ID to the data management apparatus through the interface unit. 제1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7, 상기 제어부는 처리대상데이터 조회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조회메시지를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관리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관리장치로부터 수신된 선택정보를 해독하고, 상기 선택정보에 기반하여 처리대상데이터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처리장치.The control unit generates a processing target data inquiry message, transmits the inquiry message to the data management apparatus through the interface unit, decrypts the selec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data management apparatus through the interface unit, and based on the selection information. And selecting data to be processed. 제1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입력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처리대상데이터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처리장치.The controller selects the processing target data based on a user input signal. 외부장치와 연결되어 처리대상데이터, 정보 또는 메시지를 인터페이싱하는 인터페이스부;An interface unit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to interface data, information, or messages to be processed; 처리대상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A storage unit for storing processing target data; And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수신되는 처리대상데이터, 정보 또는 메시지 를 해독하여 저장지시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저장지시정보에 따라 처리대상데이터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처리대상데이터에 기반하여 처리대상데이터의 처리권리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상기 처리권리정보를 외부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데이터관리장치.Decode processing data, information or message received through the interface unit to generate storage instruction information, and store the processing target data in the storage unit according to the storage instruction information, the processing target data based on the processing target data And a control unit which generates the processing right information of the control unit and transmits the processing right information to an external device through the interface unit. 제2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1, 외부장치를 인증하거나 처리대상데이터의 처리권리정보를 발부하는 디지털권리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관리장치.And a digital rights management unit for authenticating an external device or issuing processing rights information of the data to be processed. 데이터관리장치에 있어서,In the data management device, 상기 데이터관리장치와 물리적으로 분리된 데이터처리장치의 처리대상데이터의 ID, 및 상기 처리대상데이터의 처리위치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A storage unit which stores ID of processing target data of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physically separated from the data management apparatus and processing position information of the processing target data; And 상기 데이터처리장치와 재연결된 경우, 상기 데이터처리장치의 상기 처리대상데이터의 ID, 및 상기 처리대상데이터의 상기 처리위치정보를 상기 데이터처리장치로 송신하는 제어부A controller for transmitting the ID of the processing target data of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the processing position information of the processing target data to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when reconnected with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관리장치.Data management device comprising a.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The method of claim 23, wherein the storage unit, 상기 데이터처리장치의 상기 처리대상데이터의 ID, 및 상기 처리대상데이터의 상기 처리위치정보를 상기 데이터처리장치의 ID에 대응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데이터관리장치.And the processing position information of the processing target data and the processing position information of the processing target data corresponding to the ID of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24,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데이터처리장치와 재연결된 경우, 상기 데이터처리장치의 ID를 참조하여 상기 데이터처리장치의 상기 처리대상데이터의 ID, 및 상기 처리대상데이터의 상기 처리위치정보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관리장치.When reconnected with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the ID of the processing target data of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the processing position information of the processing target data are identified by referring to the ID of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
KR1020060128549A 2006-12-15 2006-12-15 Successive data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by information exchange KR20090000019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8549A KR20090000019A (en) 2006-12-15 2006-12-15 Successive data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by information exchange
US11/819,229 US20080148263A1 (en) 2006-12-15 2007-06-26 Method and apparatus for successive data processing by information exchan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8549A KR20090000019A (en) 2006-12-15 2006-12-15 Successive data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by information exchan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0019A true KR20090000019A (en) 2009-01-07

Family

ID=39529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8549A KR20090000019A (en) 2006-12-15 2006-12-15 Successive data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by information exchang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80148263A1 (en)
KR (1) KR20090000019A (en)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81963B2 (en) * 2002-02-14 2004-08-24 Qualcomm Inc Method and an apparatus for terminating a user from a group call in a group communication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148263A1 (en) 2008-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0341B1 (en) Cross-transport authentication
US8325927B2 (en) Anchor point-based digital content protection with an escrow anchor point
US8793762B2 (en) Simple nonautonomous peering network media
KR101396756B1 (en) Accessory device authentication
US7979913B2 (en) Home network system and method therefor
CN103748592B (en) For controlling the system and method to the access of protected content
EP2196932A2 (en) Secure data transmission bewteen communication devices in a digital network
US20090151000A1 (en) License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KR20150037840A (en) Protecting media items using a media security controller
EP1585249A1 (en) Content reproduction device, license issuing server, and content reproduction system
US20100034391A1 (en) Cryptographic-key management system, external device, and cryptographic-key management program
JP518805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EP2481006B1 (en) Method for using rights to contents
JP4760273B2 (en) Content delivery method and system
US9979541B2 (en) Content management system, host device and content key access method
JP2009031898A (en) Information saving system, server, server program, client, and client program
US20100275023A1 (en) Transmitter, receiver, and content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thod
JP2007096801A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ntent transmitting and receiving system, and content list management method of communication apparatus
KR20090000019A (en) Successive data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by information exchange
KR101199159B1 (en) Method for installing file based on online and device controlling thereof
KR20080084481A (en) Method for transmitting contents between devices and system thereof
US10735816B2 (en) Content reproduction method and device
US8020214B2 (en) Transmitter, receiver, and content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thod
JP2004240959A (en) Contents reproducing device, license issue server and contents reproducing system
JP456070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and method, management server and management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