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13576A -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13576A
KR20080113576A KR1020070062230A KR20070062230A KR20080113576A KR 20080113576 A KR20080113576 A KR 20080113576A KR 1020070062230 A KR1020070062230 A KR 1020070062230A KR 20070062230 A KR20070062230 A KR 20070062230A KR 20080113576 A KR20080113576 A KR 200801135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crystal display
display panel
photoreactive
surfact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2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욱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62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113576A/ko
Publication of KR20080113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35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 G02F1/13378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by treatment of the surface, e.g. embossing, rubbing or light irradiation
    • G02F1/133788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by treatment of the surface, e.g. embossing, rubbing or light irradiation by light irradiation, e.g. linearly polarised light photo-polymeris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워크(rework)가 용이함과 아울러 생산성을 극대화시키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액정표시패널과; 상기 액정표시패널의 앞면 및 뒷면에 각각 부착되는 제1 및 제2 편광판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편광판은 광반응성 표면활성제(photoresponsive surfactant)에 의해 상기 액정표시패널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REOF}
도 1은 종래의 액정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광반응성 표면활성제의 구체적인 물질의 분자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광반응성 표면활성제의 또 다른 물질의 분자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102 : 액정표시패널 45,145 : 백라이트 유닛
120 : 램프 124 : 도광판
126 : 반사판 130 : 확산시트
40, 140 : 하부 편광판 42, 142 : 상부 편광판
146 : 접착물질 132 : 하부기판
101 : 상부기판 104 : 블랙 매트릭스
118 : 공통전극 116 : 화소전극
106 : 컬러필터 152 : 액정
144 : 게이트 절연막 150 : 보호막
113 : 스페이서 108 : 상부 배향막
128 : 하부 배향막 109 : 게이트 전극
102a :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102b : 컬러필터 어레이 기판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편광판의 리워크(rework) 작업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액정표시장치는 전계를 이용하여 액정의 광투과율을 조절함으로써 화상을 표시하게 된다. 이러한, 액정표시장치는 화상이 표시되는 액정표시패널과 액정표시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회로부를 포함한다.
도 1은 구동회로부를 제외한 액정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셀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 되어진 액정표시패널(2)과, 액정표시패널(2)의 앞면과 뒷면에 각각 위치한 상/하부 편광판을 구비한다.
액정표시패널(2)은 액정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여 합착된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2a) 및 컬러필터 어레이 기판(2b)을 구비한다.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2a)은 하부기판 상에 형성된 신호라인 및 박막 트랜지스터로 구성되며, 컬러필터 어레이 기판(2b)은 상부기판 상에 형성된 컬러필터 및 블랙 매트릭스로 구성된다.
하부 편광판(40)은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2a)에 부착되며 백라이트 유닛(45)에서 출사되는 광을 편광시키고, 상부 편광판(42)은 컬러필터 어레이 기판(2b)에 부착되어 액정표시패널(2)에서 출사되는 광을 편광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편광판(40,42)은 일반적으로 롤러 등에 감겨있다가 원하는 편광방향으로 연신 된 후 액정표시패널(2)의 크기 및 형태로 절단된다. 그리고, 접착제에 의해 액정표시패널(2)의 앞면 및 뒷면에 부착된다.
한편, 종래의 액정표시장치(2)는 편광판(40,42)과 액정표시패널(2) 간에 강한 접착력으로 인하여 리워크(rework)가 용이하지 않게 된다. 리워크는 편광판(40,42) 부착 단계 혹은 부착 후 불량이 발견되었을 경우에 편광판(40,42)을 액정표시패널(2)로부터 분리하고 다시 부착 공정을 실시하는 작업을 말한다.
그러나, 종래 편광판(40,42)과 액정표시패널(2)의 접착을 위해 접착제의 강한 접착력으로 인하여 편광판(40,42)을 액정표시패널(2)로부터 분리하기가 매우 어렵다. 즉, 종래 통상적인 접착제는 강한 접착력으로 인하여 편광판(40,42)을 액정표시패널(2)에 견고히 부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리워크 공정의 용이성이 저하되는 단점 또한 가지고 있다. 그 결과, 리워크 작업 중 작업자가 액정표시패 널(2)로부터 편광판(40,42)을 분리하는 과정에서 액정표시패널(2)이 손상되는 일이 빈번히 발생 되고 액정표시패널(2)에서 분리된 편광판(40,42)은 더 이상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발생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리워크(rework) 공정의 용이하게 함과 아울러 생산성을 극대화시키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액정표시패널과; 상기 액정표시패널의 앞면 및 뒷면에 각각 부착되는 제1 및 제2 편광판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편광판은 광반응성 표면활성제(photoresponsive surfactant)에 의해 상기 액정표시패널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광반응성 표면활성제는 자외선에 노출되면 시스(cis)형 분자구조에서 트랜스(trans)형 분자구조로 변하게 되고 다시 가시광선에 노출되면 트랜스형 분자구조에서 시스형 분자구조로 변한다.
상기 광반응성 표면활성제의 분자구조가 시스형에서 트랜스형으로 변하면 상기 제1 및 제2 편광판과 상기 액정표시패널 간의 접착력은 약해지게 되고, 상기 광반응성 표면활성제의 분자구조가 트랜스형에서 시스형으로 변하게 되면 상기 제1 및 제2 편광판과 상기 액정표시패널 간의 접착력은 강해진다.
광반응성 표면활성제는 1,2-diphenylethene(디페닐에텐) 및 2-(5-(4-(4-butylstyryl)phenoxy)ethanol(부틸스티릴페녹시에탄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물질을 포함한다.
상기 액정표시패널의 앞면과 상기 제1 편광판 사이 및 상기 액정표시패널의 뒷면과 상기 제2 편광판 사이에 위치함과 아울러 상기 광반응성 표면활성제가 포함되는 접착물질을 더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은 액정표시패널을 형성하는 단계와; 광반응성 표면활성제 접착용액을 제1 및 제2 편광판에 분사하는 단계와; 상기 광반응성 표면활성제 접착용액을 이용하여 상기 제1 편광판을 상기 액정표시패널의 앞면에 부착시키고 상기 제2 편광판을 상기 액정표시패널의 뒷면에 부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편광판 또는 제2 편광판이 상기 액정표시패널에 비정상적으로 부착된 경우 자외선을 상기 광반응성 표면활성제에 조사하는 단계와; 상기 제1 편광판 또는 제2 편광판을 상기 액정표시패널에서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자외선에 의해 상기 광반응성 표면활성제의 분자구조가 시스형에서 트랜스형으로 변화되어 상기 제1 편광판 또는 제2 편광판과 상기 액정표시패널 간의 접착력이 약해진다.
광반응성 표면활성제 접착용액은 10~20 wt% 정도의 광반응성 표면활성제와 80~90 wt% 정도의 알코올류 용매를 포함한다.
상기 자외선은 10 mw/cm2 정도의 광량으로 1~10분 정도 조사된다.
상기 광반응성 표면활성제 접착용액은 광반응성 표면활성제, 알코올류 용매 및 점착물질을 포함한다.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셀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 되어진 액정표시패널(102)과, 액정표시패널(102)의 앞면과 뒷면에 각각 위치한 상/하부 편광판(142,140)과, 하부 편광판(140) 하부에 위치하여 액정표시패널(102)에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유닛(145)을 구비한다.
액정표시패널(102)은 액정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여 합착된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102a) 및 컬러필터 어레이 기판(102b)을 구비한다.
도 1의 하단에는 액정표시패널(102) 내의 구조를 확대하여 도시하였다. 액정표시패널(102)의 구조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부기판(101) 상에 순차적으로 형성된 블랙 매트릭스(104), 컬러필터(106), 공통전극(118), 상부 배향막(108)으로 구성되는 컬러필터 어레이 기판(102b)과, 하부기판(132) 상에 형성된 TFT와, 화소전극(116) 및 하부 배향막(138)으로 구성되는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102a) 과, 컬러필터 어레이 기판(102b) 및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102a) 사이에 내부공간에 주입되는 액정(152)을 구비한다. 한편, IPS 모드 액정표시패널에서는 공통전극(118)이 하부기판(132) 상에 형성되고 상부기판(102) 상의 컬러필터(106) 상에 컬러필터(106)의 단차를 보상하기 위해 평탄화층이 형성된다.
컬러필터 어레이 기판(102b)에 있어서, 블랙 매트릭스(104)는 하판의 TFT 영역과 도시하지 않은 게이트라인들 및 데이터라인들 영역에 대응되어 상부기판(101) 상에 형성되며, 컬러필터(106)가 형성될 셀영역을 마련한다. 블랙 매트릭스(104)는 빛샘을 방지함과 아울러 외부광을 흡수하여 콘트라스트를 높이는 역할을 한다. 컬러필터(106)는 블랙 매트릭스(104)에 의해 분리된 셀영역 및 블랙 매트릭스(104)에 걸쳐 형성된다. 이 컬러필터(106)는 R,G,B 별로 형성되어 R, G, B 색상을 구현한다. 공통전극(118)에는 액정의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한 공통전압이 공급된다. 스페이서(113)는 컬러필터 어레이 기판(102b)과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102a) 사이의 셀 갭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102a)에 있어서, TFT는 게이트라인과 함께 하부기판(132) 위에 형성되는 게이트전극(109)과, 이 게이트전극(109)과 게이트 절연막(144)을 사이에 두고 중첩되는 반도체층(114,147)과, 반도체층(114,147)을 사이에 두고 데이터라인(도시하지 않음)과 함께 형성되는 소스/드레인전극(140,142)을 구비한다. 이러한 TFT는 게이트라인으로 부터의 스캔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터라인으로부터 화소신호를 화소전극(116)에 공급한다. 화소전극(116)은 광투과율이 높은 투명전도성 물질로 보호막(150)을 사이에 두고 TFT의 드레인 전극(142)과 접촉된 다. 액정배향을 위한 상/하부 배향막(108,138)은 폴리이미드 등과 같은 배향물질을 도포한 후 러빙공정을 수행함으로써 형성된다.
백라이트 유닛(145)에는 광을 발생하는 램프(120)와, 램프(120)를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는 램프하우징(110)과, 램프(120)로 부터 입사되는 광을 평면광원으로 변환하는 도광판(124)과, 도광판(124)의 배면에 설치되는 반사판(126)과, 도광판(124)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확산시트들(130)로 구성된다. 도 2에서는 에치형 백라이트를 나타내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직하형 백라이트, LED 등 기타 여러 가지 백라이트가 이용될 수 있다.
하부 편광판(140)은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102a)에 부착되며 백라이트 유닛(145)에서 출사되는 광을 편광시키고, 상부 편광판(142)은 컬러필터 어레이 기판(102b)에 부착되어 액정표시패널(102)에서 출사되는 광을 편광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편광판(140,142)은 일반적으로 롤러 등에 감겨있다가 원하는 편광방향으로 연신된 후 액정표시패널(102)의 크기 및 형태로 절단된다. 그리고, 접착제에 의해 액정표시패널(102)의 앞면 및 뒷면에 부착된다.
그리고, 하부 편광판(140) 및 상부 편광판(142)은 광반응성 표면활성제(photoresponsive surfactant) 또는 광반응성 표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접착물질(146)에 의해 액정표시패널(102)에 부착된다.
광반응성 표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접착물질(146)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광반응성 표면활성제는 50~80 mJ/m2 정도의 높은 표면에너지를 가지고 있으나 자외선(UV)에 의해 노출되게 되면 20~30 mJ/m2 정도의 낮은 표면에너지를 갖는다. 여기서, 표면에너지는 공기와 계면을 이루기 위해 필요한 에너지를 말하며, 표면에너지가 높을수록 공기와 계면을 이루기 어려우며 접촉되는 액상 또는 고상 등의 그 상대물질과 계면을 이루려는 성질이 강하다. 이와 달리, 표면에너지가 낮아지면 공기와 계면을 이루기 용이하며 접촉되는 상대물질과의 계면을 이루려는 성질이 약해지게 된다.
따라서, 광반응성 표면활성제를 이용하여 하부 편광판(140) 및 상부 편광판(142)을 액정표시패널(102)에 부착시키면 종래 접착제와 동일하거나 그 이상의 접착력으로 하부 편광판(140) 및 상부 편광판(142)은 액정표시패널(102)에 부착된다. 그리고, 편광판(140,142) 부착 단계 혹은 부착 후 불량이 발견되어 리워크 작업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300~450㎚ 정도의 파장을 가지는 자외선(UV)을 광반응성 표면활성제 또는 광반응성 표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접착물질(146)에 조사하게 된다. 그러면, 광반응성 표면활성제의 표면에너지가 낮아지게 됨에 따라 편광판(140,142)과 액정표시패널(102) 간의 접착력 또한 현저히 약해지게 된다. 그 결과, 편광판(140,142)을 손쉽게 액정표시패널(102)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되어 리워크(rework) 작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리워크 작업이 용이해지게 됨으로써 생산성이 극대화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액정표시패널(102)로부터 분리된 편광판(140,142)은 적당한 크기로 절단되어 작은 크기의 모 델에 재활용될 수 있게 됨으로써 비용 측면에서도 매우 유리하다. 한편, 표면에너지가 낮아진 광반응성 표면활성제에 가시광(visible light)을 조사하면 표면에너지는 다시 커지게 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필요에 따라 표면에너지가 낮아진 광반응성 표면활성제 가시광을 조사하여 편광판(140,142)을 액정표시패널(102)에 견고히 부착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작용 및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광반응성 표면활성제의 구체적인 물질과 그의 특성 변화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서는 광반응성 표면활성제 물질 중 하나인 1,2-diphenylethene(디페닐에텐)의 시스(cis)형과 트랜스(trans)형을 나타내었다.
1,2-diphenylethene(디페닐에텐)는 소수성 작용기와 친수성 작용기를 모두 갖는다. 도 3에서 R1은 소수성 작용기를 나타내고 R2는 친수성 작용기를 나타낸다.
이러한 1,2-diphenylethene(디페닐에텐)은 300~450㎚ 정도의 파장을 가지는 자외선(UV)에 노출되면 시스(cis)형에서 트랜스(trans)형으로 분자구조가 변하게 된다. 여기서, R1 보다 R2가 더 큰 사슬 길이(chain length)를 가지게 되고 더 큰 사슬 길이를 가지는 R2가 회전하게 된다.
도 4는 광반응성 표면활성제의 또 다른 물질과 그의 특성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서는 광반응성 표면활성제 물질 중 하나인 2-(5-(4-(4-butylstyryl)phenoxy)ethanol: 부틸스티릴페녹시에탄올)의 시스형과 트랜스형을 나타내었다.
도 3과 마찬가지로 시스형 2-(5-(4-(4-butylstyryl)phenoxy)ethanol: 부틸스티릴페녹시에탄올)은 300~450㎚ 정도의 파장을 가지는 자외선(UV)에 노출되면 친수성 작용기(R2)가 회전하게 되면서 트랜스형 2-(5-(4-(4-butylstyryl)phenoxy)ethanol: 부틸스티릴페녹시에탄올)으로 변하게 된다.
아래 표 1은 도 4에 도시된 광반응성 표면활성제가 자외선(UV)에 의해 노출됨에 따라 갖게 되는 표면에너지 값과 접착력(Wa)의 크기를 나타내었다.
표면 에너지 Wa(접착력)
시스(cis)형 55 mJ/m2 142
트랜스(trans)형 21 mJ/m2 81
표 1을 참조하면, 시스형에서 트랜스형으로 변함에 따라 표면에너지가 감소하게 됨에 따라 액정표시패널(102)의 하부기판(132) 또는 상부기판(101) 간의 접착력이 "142" 에서 "81"로 작아짐을 알 수 있다. 즉, 시스형과 트랜스형 간의 접착력은 약 1.75 배 정도 차이가 남을 알 수 있다.
결과적으로,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광반응성 표면활성제에 자외선을 조사하게 되면 광반응성 표면활성제의 분자구조는 시스형에서 트랜스형으로 변하게 되고 표면에너지는 낮아지게 된다. 표면에너지가 낮아지게 되면 액정표시패널(102)과 편광판(140,142) 간의 접착력은 약해지게 된다.
이러한 성질을 가지는 광반응성 표면활성제를 이용하여 편광판(140,142)을 액정표시패널(102)에 부착시키고 리워크 작업이 필요하게 되면 자외선(UV)을 조사함에 따라 편광판(140,142)을 액정표시패널(102)에서 쉽게 분리해낼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리워크(rework) 작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게 됨으로써 생산성이 극대화되고 비용이 절감된다. 뿐만 아니라, 액정표시패널(102)로부터 분리된 편광판(140,142)을 작은 크기의 모델에 재활용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먼저, 게이트 라인, 데이터 라인, 박막 트랜지스터 및 화소전극 등을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102a)을 형성하고, 블랙 매트릭스 및 컬러필터 등을 포함하는 컬러필터 어레이 기판(102b)을 형성한다. 그리고,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102a) 및 컬러필터 어레이 기판(102b)을 합착함에 따라 액정표시패널(102)을 형성한다.(S2)
10~20 wt% 정도의 광반응성 표면활성제와 80~90 wt% 정도의 알코올류 용매를 포함하는 광반응성 표면활성제 접착용액을 마련한다.(S4) 한편, 광반응성 표면활성제 접착용액에는 광반응성 표면활성제 및 알코올류 이외에 종래 이용되는 점착물질이 조합하여 제조할 수 도 있다.
액정표시패널(102)에 부착될 편광판(140,142)에 광반응성 표면활성제 접착용액을 스프레이 방식을 이용하여 분사한 후 상온에서 10분 정도 방치한다. 이후, 편광판(140,142)에서 광반응성 표면활성제 접착용액이 분사된 면이 액정표시패널(102)과 접촉되도록 편광판(140,142)을 액정표시패널(102)에 부착시킨다.(S6) 이에 따라, 광반응성 표면활성제를 통해 편광판(140,142)은 액정표시패널(102)에 견고히 접착되게 된다.
그리고, 작업자는 편광판(140,142)의 부착 단계 혹은 부착 후 편광판(140,142)이 정상적으로 부착되지 않거나 다른 불량 등을 조사하여 리워크 진행 여부를 판단한다.(S8)
리워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면 광반응성 표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접착물질(146)에 10 mw/cm2 정도의 자외선(UV)을 1~10분 정도 조사한다.(S10) 이에 따라, 광반응성 표면활성제의 분자구조는 트랜스형으로 변하게 되고 표면에너지는 급격히 낮아지게 됨으로써 편광판(140,142)과 액정표시패널(102) 간의 접착력이 약해지게 된다. 그 결과, 작업자는 쉽게 편광판(140,142)을 액정표시패널(102)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됨으로써 용이하게 리워크 작업을 실시할 있게 된다.(S12)
한편, 필요에 따라 편광판을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다시 접착력을 높이려면 광반응성 표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접착물질에 약 20분 정도 가지광을 조사하거나 암실과 같은 빛이 없는 곳에서 약 5분 이상 방치하면 접착력이 강한 원래 상태로 돌아오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은 광반응성 표면활성제를 이용하여 편광판을 액정표시패널에 부착시킨다. 그리고, 리워크 작업이 필요하게 되면 자외선(UV)을 광반응성 표면활성제를 조사함에 따라 편광판을 액정표시패널에서 쉽게 분리해낼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리워크(rework) 작업이 용 이하게 실시될 수 있게 됨으로써 생산성이 극대화되고 비용이 절감된다. 뿐만 아니라, 액정표시패널로부터 분리된 편광판을 작은 크기의 모델에 재활용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12)

  1. 액정표시패널과;
    상기 액정표시패널의 앞면 및 뒷면에 각각 부착되는 제1 및 제2 편광판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편광판은 광반응성 표면활성제(photoresponsive surfactant)에 의해 상기 액정표시패널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광반응성 표면활성제는 자외선에 노출되면 시스(cis)형 분자구조에서 트랜스(trans)형 분자구조로 변하게 되고 가시광선에 노출되면 트랜스형 분자구조에서 시스형 분자구조로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광반응성 표면활성제의 분자구조가 시스형에서 트랜스형으로 변하면 상기 제1 및 제2 편광판과 상기 액정표시패널 간의 접착력은 약해지게 되고, 상기 광반응성 표면활성제의 분자구조가 트랜스형에서 시스형으로 변하게 되면 상기 제1 및 제2 편광판과 상기 액정표시패널 간의 접착력은 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광반응성 표면활성제는 1,2-diphenylethene(디페닐에텐) 및 2-(5-(4-(4-butylstyryl)phenoxy)ethanol(부틸스티릴페녹시에탄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표시패널의 앞면과 상기 제1 편광판 사이 및 상기 액정표시패널의 뒷면과 상기 제2 편광판 사이에 위치함과 아울러 상기 광반응성 표면활성제가 포함되는 접착물질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6. 액정표시패널을 형성하는 단계와;
    광반응성 표면활성제 접착용액을 제1 및 제2 편광판에 분사하는 단계와;
    상기 광반응성 표면활성제 접착용액을 이용하여 상기 제1 편광판을 상기 액정표시패널의 앞면에 부착시키고 상기 제2 편광판을 상기 액정표시패널의 뒷면에 부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편광판 또는 제2 편광판이 상기 액정표시패널에 비정상적으로 부착된 경우 자외선을 상기 광반응성 표면활성제에 조사하는 단계와;
    상기 제1 편광판 또는 제2 편광판을 상기 액정표시패널에서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에 의해 상기 광반응성 표면활성제의 분자구조가 시스형에서 트랜스형으로 변화되어 상기 제1 편광판 또는 제2 편광판과 상기 액정표시패널 간의 접착력이 약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광반응성 표면활성제 접착용액은 10~20 wt% 정도의 광반응성 표면활성제와 80~90 wt% 정도의 알코올류 용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광반응성 표면활성제는 1,2-diphenylethene(디페닐에텐) 및 2-(5-(4-(4-butylstyryl)phenoxy)ethanol(부틸스티릴페녹시에탄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은 10 mw/cm2 정도의 광량으로 1~10분 정도 조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광반응성 표면활성제 접착용액은 광반응성 표면활성제, 알코올류 용매 및 점착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20070062230A 2007-06-25 2007-06-25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801135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2230A KR20080113576A (ko) 2007-06-25 2007-06-25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2230A KR20080113576A (ko) 2007-06-25 2007-06-25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3576A true KR20080113576A (ko) 2008-12-31

Family

ID=40370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2230A KR20080113576A (ko) 2007-06-25 2007-06-25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113576A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40443B2 (en) 2012-12-13 2016-05-17 Corning Incorporated Bulk annealing of glass sheets
US9889635B2 (en) 2012-12-13 2018-02-13 Corning Incorporated Facilitated processing for controlling bonding between sheet and carrier
US10014177B2 (en) 2012-12-13 2018-07-03 Corning Incorporated Methods for processing electronic devices
US10046542B2 (en) 2014-01-27 2018-08-14 Corning Incorporated Articles and methods for controlled bonding of thin sheets with carriers
US10086584B2 (en) 2012-12-13 2018-10-02 Corning Incorporated Glass articles and methods for controlled bonding of glass sheets with carriers
US10510576B2 (en) 2013-10-14 2019-12-17 Corning Incorporated Carrier-bonding methods and articles for semiconductor and interposer processing
US10543662B2 (en) 2012-02-08 2020-01-28 Corning Incorporated Device modified substrate article and methods for making
US11097509B2 (en) 2016-08-30 2021-08-24 Corning Incorporated Siloxane plasma polymers for sheet bonding
US11167532B2 (en) 2015-05-19 2021-11-09 Corning Incorporated Articles and methods for bonding sheets with carriers
US11192340B2 (en) 2014-04-09 2021-12-07 Corning Incorporated Device modified substrate article and methods for making
US11331692B2 (en) 2017-12-15 2022-05-17 Corning Incorporated Methods for treating a substrate and method for making articles comprising bonded sheets
US11535553B2 (en) 2016-08-31 2022-12-27 Corning Incorporated Articles of controllably bonded sheets and methods for making same
US11905201B2 (en) 2015-06-26 2024-02-20 Corning Incorporated Methods and articles including a sheet and a carrier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43662B2 (en) 2012-02-08 2020-01-28 Corning Incorporated Device modified substrate article and methods for making
US9889635B2 (en) 2012-12-13 2018-02-13 Corning Incorporated Facilitated processing for controlling bonding between sheet and carrier
US10014177B2 (en) 2012-12-13 2018-07-03 Corning Incorporated Methods for processing electronic devices
US9340443B2 (en) 2012-12-13 2016-05-17 Corning Incorporated Bulk annealing of glass sheets
US10086584B2 (en) 2012-12-13 2018-10-02 Corning Incorporated Glass articles and methods for controlled bonding of glass sheets with carriers
US10538452B2 (en) 2012-12-13 2020-01-21 Corning Incorporated Bulk annealing of glass sheets
US10510576B2 (en) 2013-10-14 2019-12-17 Corning Incorporated Carrier-bonding methods and articles for semiconductor and interposer processing
US10046542B2 (en) 2014-01-27 2018-08-14 Corning Incorporated Articles and methods for controlled bonding of thin sheets with carriers
US11123954B2 (en) 2014-01-27 2021-09-21 Corning Incorporated Articles and methods for controlled bonding of thin sheets with carriers
US11192340B2 (en) 2014-04-09 2021-12-07 Corning Incorporated Device modified substrate article and methods for making
US11660841B2 (en) 2015-05-19 2023-05-30 Corning Incorporated Articles and methods for bonding sheets with carriers
US11167532B2 (en) 2015-05-19 2021-11-09 Corning Incorporated Articles and methods for bonding sheets with carriers
US11905201B2 (en) 2015-06-26 2024-02-20 Corning Incorporated Methods and articles including a sheet and a carrier
US11097509B2 (en) 2016-08-30 2021-08-24 Corning Incorporated Siloxane plasma polymers for sheet bonding
US11535553B2 (en) 2016-08-31 2022-12-27 Corning Incorporated Articles of controllably bonded sheets and methods for making same
US11331692B2 (en) 2017-12-15 2022-05-17 Corning Incorporated Methods for treating a substrate and method for making articles comprising bonded sheet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113576A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6801293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n in-plane electric field mode liquid crystal element
US6304309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9244320B2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262376B1 (ko) 액정표시장치및그제조방법
US8673104B2 (en) Fabricating method of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4801671B2 (ja) 表示装置
CN102116948B (zh) 显示器的修补方法及其修补后的结构
WO2011058796A1 (ja) 表示パネル及び液晶表示装置
TWI246618B (en)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KR100811640B1 (ko) 액정 표시 장치
CN108646336A (zh) 偏光片及其制作方法与液晶显示装置
WO2012063719A1 (ja) 液晶表示パネルとその製造方法
JP2003186022A (ja)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6879369B2 (en) Structure of LCD manufactured by one-drop fill technology including a substrate with transparent conductive patterns
KR20060067040A (ko) 액정표시패널의 리페어 장치 및 방법
US20120204404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multi-display device
JPH11149071A (ja) 液晶表示装置
KR100648228B1 (ko) 박막트랜지스터 액정표시장치의 편광층 형성방법
JP2008076771A (ja) 液晶表示装置とその製造方法
KR100877537B1 (ko) 액정패널의 불량화소 리페어 방법
KR102012823B1 (ko) 곡면형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JP2005115056A (ja) 液晶表示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101043682B1 (ko) 액정표시패널의 제조장치 및 방법
JP2005084087A (ja)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