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12141A - Construction project performance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using bsc and the data warehouse - Google Patents

Construction project performance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using bsc and the data warehous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12141A
KR20080112141A KR1020080057784A KR20080057784A KR20080112141A KR 20080112141 A KR20080112141 A KR 20080112141A KR 1020080057784 A KR1020080057784 A KR 1020080057784A KR 20080057784 A KR20080057784 A KR 20080057784A KR 20080112141 A KR20080112141 A KR 200801121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formance
data
analysis
project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778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문서
이현수
김남호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filed Critical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Publication of KR20080112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214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06Q10/06393Score-carding, benchmarking or key performance indicator [KPI]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A method for managing the performance of a construction project based on data warehouse utilizing a BSC and a system thereof are provided to manage the attainment of project's goal on the basis of one project and be utilized when comparing the performances between projects by managing the performances of projects through data measured within the projects. A method for managing the performance of a construction project manages the business process directly utilized in the construction project and various outcome data existing in a management system. The performance management method comprises the following steps of: defining the viewpoints of management by applying the BSC concept to the construction project, and deducing the goals of each management viewpoint and success factors to establish performance measurement indicators of each viewpoint; data-modeling the performance data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measurement indicators to loading the modeled data in a data warehouse; multi-dimensionally analyzing the modeled result stored in the data warehouse by utilizing the OLAP; and providing the analyzed result in a confirmable form.

Description

BSC를 활용한 데이터웨어하우스 기반의 건설프로젝트 성과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Construction project performance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using BSC and the data warehouse}Construction project performance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using data warehouse based on MSC and construction system

본 발명은 BSC를 활용한 데이터웨어하우스(data warehouse) 기반의 건설프로젝트 성과관리방법과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BSC를 활용하여 건설 프로젝트의 균형적인 성과를 측정하고 이를 분석 가능한 형태로 데이터웨어하우스에 저장하여 프로젝트의 성과를 다차원적으로 분석하고, 나아가 사용자가 프로젝트 내에서 필요한 여러 조건들에 맞게 성과를 관리할 수 있도록 사용성과 적용성을 향상시킨 성과관리방법과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struction project performance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based on a data warehouse using BSC, and more particularly, to measure the balanced performance of a construction project using BSC and to analyze it. It relates to a performance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that improves usability and applicability so that it can be stored in a data warehouse to analyze the performance of a project in a multi-dimensional manner and users can manage the performance according to various conditions in the project. .

기업은 이윤을 추구하는 수익성 목적, 발전을 추구하는 성장성 목적, 목적간의 균형/중요도를 추구하는 탄력성 목적 등 복수의 다차원적 목표를 추구한다. 이에, 많은 기업이 기업의 목표에 조직원들의 목표를 일치시켜 변화하는 기업환경하에서 조직유효성을 극대화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당면과제에 대한 해결 방 안으로 기업들은 성과관리를 도입하였고 이를 활용하여 조직과 기업의 목표를 달성하고 나아가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노력은 과거 전통적인 방법의 재무적인 성과관리에서부터 시작하여 Kaplan & Norton(1992)이 제안한 Balanced Scorecard(BSC, 균형평가)에 이르기까지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현재도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Firms pursue multiple multi-dimensional goals, including profitability goals for profit, growth goals for development, and resilience goals for balance / importance. Accordingly, many companies are trying to maximiz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a changing corporate environment by matching the goals of the members to the corporate goals. As a solution to these challenges, companies have introduced performance management and are making great efforts to achieve organizational and corporate goals and to strengthen their competitiveness. This effort has been carried out from the traditional method of financial performance management to the Balanced Scorecard (BSC) proposed by Kaplan & Norton (1992).

BSC 성과관리는 최근 가장 각광받고 있고 여러 기업들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개념은 재무, 고객, 내부 프로세스, 학습/성장 관점에 따라 각각 전략목표, 성과지표, 목표값, 이니셔티브와 측정값의 항목으로 구성되어 재무적 성과와 비재무적 성과를 동시에 고려할 수 있다. 이는 재무 성과에만 의존하는데 따른 결함을 극복하여 전략이나 정책에 맞게 균형적인 평가가 이루어지고 그에 따른 적절한 판단 기준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BSC performance management is one of the most recent and widely used by many companies. The concept consists of items of strategic objectives, performance indicators, target values, initiatives and measures, depending on the financial, customer, internal process, and learning / growth perspectives, so that both financial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can be considered at the same time. This aims to overcome the deficiencies of relying solely on financial performance, to provide a balanced assessment in line with strategies and policies, and to present appropriate criteria for judgment.

한편, 건설산업은 제조업이나 다른 기타 산업들과는 다르게 다양한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여러 사업수행주체가 동시에 참여하므로 관리가 복잡하다는 특징이 있으며, 이 때문에 많은 건설기업은 성과관리를 재무적 손익 중심의 성과관리방법에 의존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하지만 건설산업에서도 균형적인 평가와 판단을 위해 여러 요인을 고려한 성과관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이에 현재는 대기업을 중심으로 BSC 성과관리를 도입하여 적용하는 단계에까지 이르렀다.On the other hand, unlike the manufacturing industry or other industries, the construction industry is complicated because it manages various projects and involves multiple project execution agents at the same time. Therefore, many construction companies use performance management methods that focus on financial profit and loss. The reality is that it depends on. However,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there is a need for performance management considering various factors for balanced evaluation and judgment. Therefore, BSC performance management has been introduced and applied to large companies.

도 1은 현재 수행되는 건설산업의 성과관리 프로세스를 보여주는데, 보는 바와 같이 건설산업의 성과관리는 BSC를 활용하여 성과를 측정하고 있지만 프로젝트 내에서 측정된 성과를 분석하고 활용하는 것은 미비한 실정이다. Figure 1 shows the performance management process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currently performed, as shown, the performance management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is measuring the performance using the BSC, but it is insufficient to analyze and use the measured performance in the project.

구체적으로, 분석의 입장에서는 주기적으로 성과를 측정하여 데이터를 한 곳에 축적하고 분석을 통해 프로젝트 내의 담당자가 직접 개선할 부분을 찾아내어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고, 또한 시계열 분석으로부터 대체적인 추세, 계절성, 특이점, 변화점 등을 탐지하고 미래를 예측하는 것도 중요한데, 현재는 프로젝트의 성과가 개별 파일로 관리되어 있어 이를 취합하고 분석하는 것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문제가 있다고 판단되는 성과에 대한 원인을 성과데이터로부터 찾아내는 것이 어려운 실정이다.Specifically, from an analysis point of view, it is necessary to periodically measure performance to accumulate data in one place, and to make it possible for the person in the project to find and improve the improvement directly. It is also important to detect seasonality, outliers, and changes and predict the future. Currently, the project's performance is managed in separate files, which makes it difficult to collect and analyze the results. It is difficult to find from the data.

활용의 경우엔는, corporate level에서는 중장기적 성과를 관리하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반면 project level에서는 주간, 월간별 성과 분석한 결과를 활용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나, 현재는 단순하게 프로젝트의 성과를 취합하여 이를 순위 평가에 활용하는 것이 대부분으로 유사 프로젝트의 성과 비교나 관련성 있는 성과 결과에 대해서는 고려하지 않고 있어 프로젝트의 상황을 점검하고 관리자의 계층에 맞게 적합한 정보를 제공하여 의사결정에 도움을 주기에는 미흡한 점이 있다.In the case of utilization, it is more important to manage the mid- and long-term performance at the corporate level, while at the project level, it is more effective to utilize the results of weekly and monthly performance analysis. Most of them are used for ranking evaluations, and they do not consider performance comparisons of related projects or relevant performance results. Therefore, it is insufficient to check a project's situation and provide appropriat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hierarchy of managers to help decision making. .

이에, 본 발명자들은 건설기업들의 적극적인 성과관리 활용을 위해 성과관리 프로세스에 대한 정의를 체계적으로 정립하고 아울러 성과측정은 물론 성과분석이나 성과활용도 더불어 수행할 수 있는 효율적인 성과관리프로세스를 개발하게 되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ors have systematically defined the definition of the performance management process for the active utilization of performance management of construction companies, and also developed an efficient performance management process that can perform performance measurement as well as performance analysis or performance utilization.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를 개선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성과관리 프로세스에 따라 분석과 활용성을 보강한 모델로서, 여러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한 곳에 통합시킬 수 있는 데이터웨어하우스와 결과데이터와 최종 사용자가 다차원 정보에 직접 접근해 대화식으로 정보를 분석하는 다차원분석을 활용하고, 나아가 프로젝트 블로그 내에 이러한 성과관리를 제공하여 프로젝트 구성원들의 사용성과 적용성을 높인 건설프로젝트 성과관리방법과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impro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d is a model that reinforces analysis and usability according to a performance management process, and includes a data warehouse and result data that can integrate data provided from multiple systems in one place. We provide multi-dimensional analysis in which end-users directly access multi-dimensional information and analyze the information interactively. Furthermore, by providing such performance management in the project blog, we provide construction project performance management methods and systems that enhance the usability and applicability of project members. Its purpose is to.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건설프로젝트에서 직접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업무처리 및 관리시스템에 존재하는 각종 성과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BSC 개념을 건설프로젝트에 적용하여 관리관점을 정의하고 관리관점별 성과목표와 성공요인을 도출하여 관리관점별 성과측정지표를 설정하는 측정단계(Measure); 성과데이터를 상기 성과측정지표에 맞게 데이터모델링하여 데이터웨어하우스(DW)에 적재하는 저장단계(Collect); 상기 데이터웨어하우스에 저장된 데이터모델링결과를 OLAP을 활용하여 다차원분석을 수행하는 분석단계(Analyze); 상기 분석단계를 통한 다차원분석결과를 확인가능한 형태로 제공하는 보고단계(Report);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프로젝트 성과관리방 법을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managing various performance data existing in a business process and management system which is directly utilized in a construction project, and defines a management perspective by applying a BSC concept to a construction project. A measurement step of setting performance measurement indicators for each management perspective by deriving performance targets and success factors for each management perspective; A storage step (Collect) of loading performance data into a data warehouse (DW) by modeling data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measurement indicators; An analysis step of performing a multi-dimensional analysis of the data modeling results stored in the data warehouse using OLAP; It provides a construction project performance management method comprising a; reporting step (Report) for providing a multi-dimensional analysis results through the analysis step in a form that can be confirmed.

또한, 본 발명은 서버시스템;과 인터넷 또는 로컬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서버시스템에 데이터를 요청하여 제공받는 사용자시스템;으로 구성된 건설프로젝트 기반 성과분석시스템으로서, 상기 서버시스템은, 건설프로젝트에서 직접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업무처리 및 관리시스템에 존재하는 각종 성과데이터를 저장하는 소스제공서버; 상기 소스제공서버에 저장된 성과데이터를 제공받아 분석목적에 맞게 데이터베이스구조를 재구성하여 데이터웨어하우스에 저장하고 OLAP(On Line Analytical Processing)을 통해 분석을 실시하는 데이터웨어하우스서버; 상기 데이터웨어하우스서버를 통해 획득된 성과분석결과에 대해 보고서 형태로 페이지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성과분석결과저장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프로젝트 성과관리시스템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struction project-based performance analysis system consisting of a server system; and a user system for requesting data provided to the server system via the Internet or a local network, the server system is directly utilized in construction projects A source providing server for storing various performance data existing in a business processing and management system in place; A data warehouse server that receives the performance data stored in the source providing server, reconstructs a database structure according to an analysis purpose, stores the data in a data warehouse, and performs the analysis through OLAP (On Line Analytical Processing); It provides a construction project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a; performance analysis result storage server for generating and storing a page in the form of a report for the performance analysis results obtained through the data warehouse server.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이 사용자관점에서의 효과와 시스템관점에서의 효과가 기대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effect from the user perspective and the system perspective is expected as follows.

(1)사용자 관점(1) User perspective

첫째, 프로젝트의 성과를 점수화하여 프로젝트의 성과달성을 한눈에 알아볼 수 있으며, 이러한 성과점수는 여러 차원과 함께 분석이 이루어지므로 다양한 각도에서 분석한 결과를 얻어낼 수 있다. 또한, 프로젝트의 구성원들은 다차원 분석을 통해 측정된 성과데이터를 가지고 여러 분석결과를 얻어낼 수 있고 좀 더 합리적이고 타당한 분석을 얻을 수 있다. 나아가, 유사 사례를 통한 비교 분석은 현재 수행 중인 프로젝트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수 있다.First, the achievement of the project can be identified at a glance by scoring the performance of the project. Since these performance scores are analyzed along with various dimensions, the results of analysis from various angles can be obtained. In addition, the members of the project can obtain multiple analysis results with the performance data measured through multi-dimensional analysis, and get more rational and reasonable analysis. Furthermore, comparative analysis through similar cases can provide guidelines for the project currently underway.

둘째, 기존의 성과관리는 프로젝트 내에서 측정한 성과에 대한 결과를 기업 레벨에서 프로젝트 간의 전반적인 성과를 평가하는 도구로 사용하였다. 이를 통해서는 구성원들의 입장에서 프로젝트가 중, 장기적으로 어떠한 목표를 가지고 성과를 달성해 나가는지에 대한 내용을 이해하기 어려웠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한 모델을 활용하여 프로젝트 성과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이를 분석하고 관리하여 프로젝트의 성과 달성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Second, the existing performance management used the results of the measured results in the project as a tool to evaluate the overall performance between projects at the enterprise level. This made it difficult for the members to understand what the project aims to achieve in the medium and long term. Therefore, the model suggested in this study can be used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project performance, and to analyze and manage the project performance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project achievement.

(2)시스템 관점(2) System viewpoint

첫째, 프로젝트 내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통해 프로젝트의 성과를 관리하기 때문에, 하나의 프로젝트를 기준으로 성과 달성도를 관리하는 것은 물론 각 프로젝트 간의 성과를 비교하는데 활용한다. 아울러, 기업 레벨에서의 성과는 프로젝트 레벨에서의 지표를 수정하거나 일부 활용하고 기업 레벨에서 다루어지는 다른 측정 지표를 첨가하여 최종적으로 지표를 정하고 이를 관리하므로, 프로젝트 내에서 얻어진 성과 결과물들은 기업 레벨에서의 성과를 관리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기초 데이터의 역할을 한다.First, since project performance is managed through measured data within the project, it is used not only to manage the achievement of performance based on a project but also to compare the performance between projects. In addition, performance at the enterprise level is ultimately determined and managed by modifying or using some of the indicators at the project level and adding other metrics that are addressed at the enterprise level. It serves as the underlying data that can be used to manage performance.

둘째, 기존에는 프로젝트마다 정해진 기간별로 성과 현황에 대한 자료를 작성하여 취합하는 형태로 이루어졌다. 따라서 성과를 분석하기 위해 데이터를 가져오는 것이 번거로워 분석이 제한적이었고 성과를 관리하기보다 요청에 의해 성과를 보고하는 수준이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체계화된 시스템인 프로젝트 블로그를 도입하였고 이를 통해 한 곳에 데이터를 저장하게 되어 자유로운 분석과 관리가 가능하게 되었고 성과를 분석하고 활용하는 데 있어 수동적으로 이루어졌던 기존 시스템의 부정적 시각을 완화시킬 수 있다.Second, in the past, each project consisted of collecting and collecting data on the current status of performance. As a result, importing data to analyze performance was cumbersome and the analysis was limited and the performance was reported on demand rather than managing performanc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we introduced the project blog, which is a systematic system, so that data can be stored in one place for free analysis and management, and it can alleviate the negative view of the existing system that was passive in analyzing and utilizing performance. Can be.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preferred embodiments.

Ⅰ. 성과관리방법I. Performance Management Method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설프로젝트 성과관리방법의 프로세스를 보여주는 그림이다. 먼저 프로젝트의 목표를 정하고 그에 따른 지표를 도출한다. 그리고 실제 측정을 통하거나 업무처리시스템에 저장된 데이터로부터 실적치를 측정한다. 측정 단계가 완료되면 관련된 모든 데이터를 한 곳에 저장한다. 이때 각각의 데이터들은 여러 포맷의 형태를 가지기 때문에 그에 대한 표준화 작업이 병행된다. 다음으로 저장된 데이터를 가지고 분석이 이루어지는데 측정된 데이터를 설명할 수 있는 여러 상황 정보 요소들을 고려하여 다차원적인 분석을 수행한다. 분석된 결과는 chart와 graph를 이용하여 보고서의 형태로 제공되며 웹을 활용하여 웹사이트 내에서도 보고 및 검토가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성과보고를 통해 얻어진 결과들은 관련 지식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성과 보고들 간의 비교에 활용된다. 이러한 일련의 단계를 다음과 같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2 is a view showing a process of the construction project performance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rst, set the goals of the project and derive the indicators accordingly. Performance measures are then measured either through actual measurements or from data stored in the business processing system. When the measurement phase is complete, all relevant data is stored in one place. At this time, since each data has various formats, standardization work is performed on them. Next, the analysis is performed with the stored data. Multi-dimensional analysis is performed considering various situation information elements that can explain the measured data. The analyzed results are provided in the form of reports using charts and graphs, and can be reported and reviewed on the website using the web. Finally,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performance reporting can be used as relevant knowledge and used to compare performance reports. This series of steps is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1. 측정단계(Measure) 1. Measure

측정단계는 BSC(Balanced Score Card, 균형성과측정기록표)의 개념을 바탕으로 성과관리를 위해 필요한 관점을 정의하고 그에 맞게 성과의 목표를 설정한 후 성공요인을 도출하고 성과측정지표를 산정하여 실제 측정을 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서는 도 3과 같이 각 관점별 목표와 성공요인을 정한 후 서로에 대한 인과관계를 도출한 전략맵을 작성하여 성공요인에 따라 성과측정지표를 나누고 있다. 물론, 관점을 정의하는데 있어서는 정해진 관점을 기준으로 필요에 의해 새로운 관점을 더하거나 뺄 수 있고, 목표를 설정함에 있어서는 다른 관점들과의 목표의 중요도에 차이가 존재하기 때문에 그에 따른 중요도 가중치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The measurement stage is based on the concept of Balanced Score Card (BSC), which defines the necessary perspectives for performance management, sets performance goals accordingly, derives success factors and calculates performance measurement indicators. This is the step.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 after determining the objectives and success factors for each perspective, a strategy map that derives causal relations with each other is created, and performance indicators are divided according to success factors. Of course, when defining a perspective, a new perspective can be added or subtracted from the perspective based on a given perspective, and in setting a goal,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importance of the target with other perspectives. need.

도 3의 전략맵은 학습 및 성장 관점이 맵의 가장 하부에 배치되고 재무관점이 최상위에 배치되어 아래에서 위로 인과관계가 전달되고 최종적으로 지속적 사업가치 제고를 이끌어낸다. 이러한 인과관계에 대해, 먼저 직원 능력의 향상은 생산성 향상에 도움을 주고 생산성 향상을 통해 고객에게 최고의 가치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생산성 향상은 재무관점의 원가경쟁력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생산성 향상의 성공요인인 품질관리, 안전관리 및 환경평가는 내부고객만족도를 올리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고객의 만족도는 안정적인 매출에 영향을 주며 여러 성공요인과 더불어 재무관점의 목표 달성에 기여한다. In the strategy map of FIG. 3, the learning and growth perspective is placed at the bottom of the map, the financial perspective is placed at the top, and the causality is transmitted from the bottom to the top, finally leading to continuous improvement of business value. For these causal relationships, firstly, improving employee skills can help improve productivity and provide the best value to customers through productivity gains, which in turn increase the cost competitiveness of financial perspectives. In addition, quality control, safety management and environmental evaluation, which are the success factors of productivity improvement, play a role of raising internal customer satisfaction level. Secondly, customer satisfaction affects stable sales and contributes to the success of the financial perspective with several success factors.

결과적으로, 측정단계에서 정해진 성과측정지표를 통해 프로젝트의 성과를 분석하고 활용하게 되므로 성과측정지표를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고 각 관점별 성공 요인은 프로젝트 구성원에게 프로젝트의 목표 달성을 위한 중요한 기준이 된다. As a result, it is important to determine the performance measurement indicators by analyzing and utilizing the performance of the project through the performance measurement indicators determined at the measurement stage, and success factors for each perspective are important criteria for project members to achieve the project goals.

2. 저장단계(Collect) 2. Collect

프로젝트 성과관리 시스템에 대해 현장 내 활용을 높이기 위해 현장의 최고 관리자부터 최하위 관리자까지 요구하는 자료에 대해 다양한 분석수준을 통해 이를 충족시킬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프로젝트 성과의 여러 영향요인을 고려하고 분석수준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DB의 설계가 이루어져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데이터 웨어하우스를 활용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하였으며 데이터 모델링을 통해 프로젝트의 성과와 관련 차원들과의 관계를 정하였다. 저장단계는 성과데이터를 Data Warehouse(DW)에 적재하는 단계로, DW에 저장하는 데이터는 측정지표의 값과 기존의 업무처리 시스템에 저장된 데이터를 추출 및 정제 과정을 거쳐 필요에 맞게 변환한 데이터가 있다. In order to increase the utilization of the project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in the field, it should be possible to satisfy the data required from the top manager to the lowest manager in the field through various analysis levels. Therefore, a DB should be designed to consider various influencing factors of project performance and to freely change the analysis level.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warehouse was used to solve this problem. Through the data model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ject performance and the related dimensions was determined. The storage step is to load the performance data into the Data Warehouse (DW), and the data stored in the DW is the data obtained by converting the data of the measurement index and the data stored in the existing business processing system through the extraction and purification process. have.

(1)테이블 구조 및 정의(1) table structure and definition

데이터 웨어하우스 설계를 위해 기본적으로 테이블에 대한 정의가 필요하다. 이는 데이터베이스와 같은 형태를 가지지만 목적 지향적인 특성이 있기 때문에 그 목적에 해당하는 것은 사실 테이블에 정의가 되고 이 사실(fact)을 설명하기 위한 상황 정보들은 차원 테이블에 정의되며 도 4의 관계도에 따라 데이터가 이동 및 저장된다. 먼저 사실테이블은 각 관점별 측정 지표값과 점수로 구성되며 측정 지표값은 직접 측정을 통해 얻거나 기존의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가져올 수 있다. 그림의 왼쪽에 위치한 DB들은 기존의 관리 시스템에서 생성된 것으로 필요에 맞게 데이 터를 가져와 아래쪽에 있는 측정지표 DB의 데이터와 함께 데이터 웨어하우스의 사실테이블을 구성한다. 차원테이블은 성과관리의 사용성을 높이기 위해 여러 영향 요인을 고려하여 구성한다. 프로젝트의 정보는 프로젝트마다 생성되어 있는 웹사이트로부터 얻을 수 있고 Date 차원의 정보는 데이터 웨어하우스 설계 시 생성이 가능하다. 자재정보는 자재관리 시스템과 연결이 되며 관리자와 협력업체의 정보는 사원을 관리하는 기존 운영계 시스템으로부터 가져올 수 있다. 공정에 관한 정보는 공정관리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엑티비티 코드의 형태로 전달된다. 이렇게 구성된 데이터 웨어하우스는 각각의 관점에 따라 데이터 마트를 구성하며 관점별 성과점수를 관련 차원에 맞게 연결하여 분석과정을 거친 후, 이를 보고서 DB에 저장한다.To design a data warehouse, you basically need a definition of a table. It has the same form as a database, but because of its purpose-oriented nature, its purpose is defined in the fact table, and the contextual information to explain this fact is defined in the dimension table. The data is then moved and stored. First, the fact table is composed of measurement index values and scores for each perspective, and the measurement index values can be obtained through direct measurement or from an existing management system. The DBs on the left side of the figure are created by the existing management system and take the data as needed to form the fact table of the data warehouse along with the data of the measurement index DB at the bottom. The dimension table is constructed by considering various influencing factors to improve the usability of performance management. Project information can be obtained from the website created for each project, and date dimension information can be generated when designing the data warehouse. Material information is linked to the material management system, and information from managers and suppliers can be derived from the existing operating system for managing employees. Information about the process is conveyed in the form of activity codes from a database of process controls. The data warehouse is composed of data marts according to each perspective, and the performance scores of each perspective are connected to the relevant dimensions, analyzed and stored in the report DB.

(2)데이터 모델링과 스타스키마(2) data modeling and star schema

사실테이블과 차원테이블에 대해 정의한 내용을 바탕으로 데이터 모델링을 하여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테이블을 구성하는 항목들을 정하고 테이블 간의 관계를 설정하였다. 다차원 데이터를 표현하기 위한 설계 기법으로는 스타스키마(Star schema)가 사용되며, 이는 다차원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저장하고 조회하는 역할을 한다. 스타스키마는 기본키(Index key)와 외래키(foreign key)로 각 테이블을 연결하여 사실 테이블 중심으로 여러 개의 차원 테이블이 뻗어 나오는 별모양의 스키마를 갖는다. 도 3의 전략맵에 따라 측정성과지표를 설정하는 경우에는 도 5와 같은 스키마로 표현되는데, 보는 바와 같이 도 5의 스키마는 5개의 사실테이블과 7개의 차원테이블로 구성되며 가장 중심이 되는 사실테이블은 성과점수를 나타내는 테이블이고 성과점수를 도출하기 위한 기초 데이터를 포함하는 4개의 성과지 표 테이블과 연결된다. 그리고 측정값들을 설명하기 위한 차원테이블은 성과점수 테이블에 연결된다. Based on the contents defined for the fact table and the dimension table, data modeling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items constituting the table and to establish relationships between the tables as shown in FIG. 4. Star schema is used as a design technique for representing multidimensional data, which effectively stores and retrieves multidimensional data. Star Schema has a star-shaped schema in which several dimension tables extend around the fact table by connecting each table with an index key and a foreign key. In the case of setting measurement performance indicators according to the strategy map of FIG. 3, the schema of FIG. 5 is represented as shown in FIG. 5. As shown, the schema of FIG. 5 is composed of five fact tables and seven dimensional tables. Is a table representing performance scores and is linked to four performance indicator tables containing basic data for deriving performance scores. The dimension table for describing the measures is then linked to the performance score table.

3. 분석단계(Analyze) 3. Analyze

분석단계는 데이터 웨어하우스에 저장된 성과 및 관련 데이터를 가지고 OLAP(On-Line Analytical Processing)을 활용하여 다차원분석이 이루어진다. 다차원 모델을 구성하는 대부분의 차원들은 계층구조를 가지고 있고, 사용자가 요구하는 차원의 레벨을 정하여 그 레벨에 해당하는 데이터들의 분석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차원의 계층구조를 분류하고 레벨을 설정한 후 큐브(Cube)를 생성한다. 큐브는 분석의 목적과 상황에 맞게 방식이 결정되고 slicing&dicing의 방법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분석을 실행한다.The analysis phase uses multi-dimensional analysis using OLAP (On-Line Analytical Processing) with the performance and related data stored in the data warehouse. Most of the dimensions that make up a multidimensional model have a hierarchical structure, and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level of the dimension required by the user and analyze the data corresponding to the level. To do this, you classify the hierarchy of dimensions, set the levels, and create cubes. The cube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urpose and situation of the analysis, and the analysis is performed in the form desired by the user by slicing & dicing.

(1)OLAP(1) OLAP

OLAP은 최종 사용자가 다차원 정보에 직접 접근하여 대화식으로 정보를 분석하고 의사결정에 활용하는 과정으로(Jo, 1996) 사용자들이 정보를 분석하여 하나의 질문에 대한 답으로부터 또 다른 결과를 이끌어내는 반복적인 행동을 가능하게 한다. 이를 통해 그들의 요구를 해결하고 성과관리의 사용성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A프로젝트, 이번 달 골조공사의 매출계획 대비 실적은 어떻게 되는가?' 라는 질문에 대한 답으로부터 매출계획 대비 실적을 달성하지 못했다면 '이번 달 골조공사의 세부 공정 각각의 매출계획 대비 실적은 어떻게 되는가?' 혹은 '같은 달 고객, 내부 프로세스, 학습 및 성장 관점의 점수는 어떻게 되는가?'의 질문을 다시 할 수 있고 그에 대한 답을 얻을 수 있다. 이처럼 계속되는 질문을 통해 처음 제기했던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찾아내거나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이유를 얻을 수 있다.OLAP is the process by which end users directly access multidimensional information, interactively analyze it, and use it in decision making (Jo, 1996). Iteratively repeats the process by which users analyze information and derive another result from answering one question. Enable action This can address their needs and increase the usability of performance management. For example, 'Project A, how is the performance compared to the sales plan for this month's frame construction work?' If the answer to the question is not achieved compared to the sales plan, how is the performance compared to the sales plan for each detailed process of the framework this month? Or you can ask the question, What are the scores from the same month's customers, internal processes, learning and growth perspectives? These ongoing questions can help you find a solution to your first problem or a reason why you didn't think about it.

(2)다차원모델의 구조와 레벨(2) structure and level of multidimensional model

다차원모델을 구성하는 대부분의 차원들은 일반적으로 계층구조를 갖고 그에 따라 분석의 레벨을 정할 수 있다. 이러한 계층적인 구조상에서 항목들 사이에는 'Parent - Child' 관계가 존재한다. Parent는 계층구조에서 어떤 항목의 바로 상위항목을, Child는 바로 하위항목을 나타낸다. 도 6(a)는 Data 차원의 계층구조를 보여주는데, '1사분기' 항목의 Child는 '1월, 2월, 3월'이며, Parent는 '상반기'가 된다. 도 6(b)는 Work Process 차원에 관한 계층구조 및 레벨의 일부분을 보여주며 각 건물의 공종을 분류하는데 있어 네 단계로 나누어 각 레벨을 정의하고 있다.Most of the dimensions that make up a multidimensional model generally have a hierarchical structure and can therefore level the analysis. In this hierarchical structure, there is a 'Parent-Child' relationship between items. Parent is the immediate parent of any item in the hierarchy and Child is the child of the child. FIG. 6 (a) shows the hierarchical structure of the data dimension. The child of the first quarter is January, February, and March, and the parent is the first half. 6 (b) shows a part of the hierarchical structure and level related to the Work Process dimension, and defines each level by dividing it into four stages in classifying the construction of each building.

(3) 큐브의 생성(3) generation of cubes

다차원모델은 축과 좌표로 구성된 큐브의 형태로 표현되며 축은 각 차원들로, 좌표는 차원의 항목들로 이루어진다. 프로젝트의 성과를 효율적으로 분석하기 위해서는 각 관점별로 측정값에 대해 관련이 있는 차원들끼리만 연결하여 불필요하게 연결된 관계들을 제외시킨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측정지표에 따른 영향요인을 고려한 분석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7에서 학습 및 성장 점수의 큐브는 Project, Date, Manager, Subcontractor의 차원이 연결되어 해당 성과지표를 설명하고 이에 대한 점수를 제공한다. 마찬가지로 나머지 큐브들도 같은 방식으로 구성된다.A multidimensional model is represented in the form of a cube consisting of axes and coordinates, with axes as their dimensions and coordinates as the items of the dimensions. In order to effectively analyze the project's performance, it is necessary to connect only the relevant dimensions to the measures in each view, to exclude unnecessary connections. Through this process, an analysis considering the influencing factors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indicators is carried out. In FIG. 7, the cubes of the learning and growth scores are connected to the dimensions of Project, Date, Manager, and Subcontractor to describe the corresponding performance indicators and provide scores. Similarly, the remaining cubes are constructed in the same way.

4. 보고단계(Report) 4. Report Step

보고단계는 분석 단계에서 얻어낸 결과를 표와 그림을 이용하여 보고 가능한 형태의 페이지를 생성하는 단계로 별도의 프로그래밍 없이 원하는 형태의 페이지 생성을 할 수 있다. 이 단계에서는 사용자가 시스템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정보를 분석하며 이를 화면이나 보고서의 형태로 출력한다. 다차원분석시 간략한 정보만을 추출한 xml 포맷 데이터는 다음 단계에서 활용될 검색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 한편, 건설프로젝트의 경우는 프로젝트마다 여러 주체들이 동시에 참여하기 때문에 그에 따른 정보량도 많고 이를 사용하는 사람들도 많은 한편 이들은 각기 다른 관점에서 자신들의 요구와 필요에 맞는 자료를 얻기 원하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상세한 문제 해결부터 관리자 레벨 요약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로 제공할 수 있는 보고 체계가 필요하고 게다가 대부분의 회사 내 전산업무가 웹기반으로 전환되는 상황에서 보고의 형태도 변화가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는 바, 본 발명은 실시예를 통해 OLAP 분석 결과를 웹상에서 보여주는 웹 리포팅이 제시되며 이는 여러 사람이 함께 실시간으로 분석 자료들을 공유하며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조회 및 출력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The reporting step is a step of generating a page of a form that can be reported by using a table and a figure obtained from the analysis step. It can generate a page of a desired form without any programming. In this step, the user analyzes the information through interaction with the system and outputs it in the form of a screen or a report. In multidimensional analysis, xml format data extracted only brief information is stored in database of search system to be used in the next step.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construction projects, since many actors participate in each project at the same time, there is a large amount of information and many people use it. On the other hand, they want to obtain data that meet their needs and needs from different perspectives. There is a need for a reporting system that can provide a variety of forms, from detailed problem resolution to manager-level summaries. In addition, the form of reporting needs to change in the face of the transition of most of the company's industry affairs to the web.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eb reporting showing the results of the OLAP analysis on the web through the embodiment, which allows several people to share the analysis data in real time together and can be viewed and output regardless of the place.

(1)웹 리포팅(1) Web Reporting

웹 리포팅에서는 도 8과 같이 데이터 웨어하우스와 큐브를 통해 얻어진 데이터를 가지고 현장 내 관리자나 협력업체 사람들에게 활용이 가능한 자료를 제공한다. 이들은 전반적인 성과관리 현황과 각 지표들의 달성도 화면, BSC를 기준으로 설정된 목표들 간의 인과관계 및 전략맵 화면, 시계열적인 분석을 통해 현재의 성 과 흐름을 바탕으로 한 성과 예측 화면, 임시로 보고서를 생성하거나 OLAP 분석 결과를 출력하는 화면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In web reporting, as shown in FIG. 8, data obtained through data warehouses and cubes is provided to the managers and business partners in the field. They create a performance forecast screen based on the current performance flow and a temporary report based on the current performance flow through the overall performance management status, achievement level of each indicator screen, causal relationship and strategy map screen between targets set based on BSC, and time series analysis. Or a screen for outputting OLAP analysis results.

(2)검색기능(2) Search function

실제 다차원 분석화면에서 필요한 결과 화면을 얻기 위해서는 Roll Up과 Drill Down의 과정을 여러 번 거치게 된다(Kimball, 1996). 그리고 웹 리포트를 작성하기 위해서는 분석한 결과 내에서 필요한 부분만을 선택하게 된다. 하지만 매번 이러한 과정을 거쳐 결과를 얻는 것은 시간적인 낭비가 클 뿐만 아니라 번거로운 작업이 반복되므로 활용성이 떨어진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도 9(a)와 같은 검색기능이 필요하며 검색하고자 하는 내용을 입력하면 OLAP 분석이 이루어진 데이터베이스에서 필요한 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이 이루어진다. 성과의 측정값 및 관점별 성과점수를 보기 위해서는 여러 차원이 관련되어 있으므로 각각의 차원들을 분류하여 키워드 중심의 검색을 하게 되고 도 9(b)와 같은 출력화면을 얻게 된다.In order to obtain the necessary result screen from the actual multi-dimensional analysis screen, the process of rolling up and drilling down is performed several times (Kimball, 1996). And to create a web report, you select only the parts of the analysis you need. However, getting results through this process every time is not only time-consuming but also hassle-free operation. In order to solve these disadvantages, a search function as shown in FIG. 9 (a) is required, and when a desired content is inputted, a process of extracting necessary data from a OLAP analysis database is performed. In order to see the measurement of performance and the performance score for each point of view, several dimensions are related. Therefore, each dimension is classified to perform keyword-based search and obtain an output screen as shown in FIG. 9 (b).

5. 활용단계(Use) 5. Use

활용 단계는 분석을 통해 얻은 결과물을 가지고 문제를 해결하거나 의사결정에 활용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서는 기존 성과관리 시스템의 활용성 및 적용성을 높이기 위해 유사성 검색을 통해 사용자에게 연관된 지식을 제공하고 성과관리 결과를 지식으로 확장하여 프로젝트 블로그를 통해 프로젝트별 비교분석이 가능하도록 제안한다. 활용적인 측면에서 xml을 이용하여 검색 시스템을 바탕으로 사용자가 질의한 검색결과와 유사한 내용을 광고 형태로 제공하고, 검색 결과를 저장하 고 비교 가능한 화면을 제공하는 지원도구를 이용하여 좀 더 많은 자료를 확보하고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돕는 역할을 가능하게 한다. The utilization stage is the stage of solving problems or making decisions with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analysis.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usability and applicability of the existing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the related knowledge is provided to the user through the similarity search, and the performance management result is extended to the knowledge, so that it is possible to compare and analyze the project by project through the project blog. In terms of its utility, it is possible to provide more information similar to the user's query result based on the search system using xml in the form of advertisement, and to use the support tool that saves the search results and provides a comparable screen. And ensures a role in helping to make rational decisions.

(1) 유사성 검색(1) similarity search

활용단계에서는 그 결과물들을 의사결정에 도움이 되도록 사용한다. 그 방법 중 하나는 유사성 검색과 관련된 내용으로 이를 활용하는 과정에 있어 보고 단계와 활용 단계 사이에는 밀접한 연관관계가 있다. 먼저 보고 단계에서 사용자의 검색을 통해 생성된 보고서의 데이터를 저장하여 활용 단계에서 유사한 자료를 검색할 수 있는 데이터의 기초로 사용한다. 그리고 활용 단계에서 유사 검색 리스트에 나타난 각각의 자료들은 열람을 하게 되면 보고 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검색을 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자료를 보여준다. 본 발명에서는 유사성 검색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방안 중 하나로 Rel-Knowledge를 제시하는데, 유사 키워드 분석을 중심으로 하는 알고리즘에 따라 화면에 보이는 지식(결과물)을 선정하고 우선순위가 정해진다. Rel-Knowledge는 검색기능을 이용하여 성과분석의 결과를 화면에 출력하는 경우, 유사성 검색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연관성 있는 지식으로 정의된다. 유사성 검색 결과는 크게 두 형태를 가진다. 사용자가 정하는 차원의 순위에 따라 차원의 항목만을 변경하여 그 결과를 보여주는 형태와 이전에 검색을 통해 저장된 내용들 중 조회 수가 많은 순서대로 결과의 리스트를 만들어 보여주는 형태가 있다. 유사성 검색 알고리즘은 먼저 사용자가 필요한 차원을 직접 선택하여 검색을 실시하였다는 것을 전제로 검색에 사용된 차원의 수가 결정이 되고 차원을 결정한 순서에 따라 우선순위가 매겨진다. 이러한 우선순위는 차원의 항목을 유사 항목으로 변경 하여 얻어낸 결과를 리스트에 추가하는 과정에 활용되고 그에 따라 출력 결과의 순서가 정해진다. 추가적으로 이전 결과들 중에서 사용자가 정한 차원의 조합으로 검색하여 조회 수가 많은 순서대로 또 하나의 유사 검색 리스트를 보여준다. 이는 사용자가 생각하지 못했던 부분을 볼 수 있도록 하며 관련이 있는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In the utilization phase, the results are used to aid decision making. One of the methods is related to similarity search, and there i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reporting stage and the utilization stage in the process of using it. First, the data of the report generated by the user's search in the reporting stage is saved and used as the basis for the data that can search similar data in the utilization stage. And each data appearing in the similar search list in the usage stage shows the data in the same way as the user searches in the reporting stage. In the present invention, Rel-Knowledge is presented as one of the methods for enabling similarity search. The knowledge (result) displayed on the screen is selected and prioritized according to an algorithm centered on similar keyword analysis. Rel-Knowledge is defined as the relevant knowledge provided to users through similarity search when the results of performance analysis are output on the screen by using the search function. Similarity search results come in two forms. According to the ranking of the dimension determined by the user, only the items of the dimension are changed and the result is displayed, and the list of the results is made in the order of the number of retrieval among the contents stored through the search. The similarity search algorithm first determines the number of dimensions used in the search and prioritizes the order in which the dimensions are determined, assuming that the user selects the required dimension and performs the search. This priority is used to add the result obtained by changing the dimension item to the similar item to the list, and the output result is ordered accordingly. In addition, another similar search list is displayed in the order of the highest number of search by searching the combination of the dimension set by the user among the previous results. This will help you see what you haven't thought of and get relevant data.

(2)지식 확장(2) knowledge extension

프로젝트의 성과를 활용하는 두 번째 방법은 지식을 확장하는 개념으로 프로젝트 블로그를 통해 이루어진다. 성과관리 모델을 통해 얻어진 결과는 지식관리의 일반적인 지식 형태를 갖추어 프로젝트 블로그 내에서 프로젝트 팀원이 함께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프로젝트 팀원들은 프로젝트 성과에 관한 문제점과 해결책을 공유하고 프로젝트 완료 후에는 Best Practice의 정보로 활용이 가능하다. 블로그형 지식관리는 지식을 개인 중심으로 기록 관리하며 블로그의 커뮤니티 기능을 통해 상호간에 지식 교류를 가능하도록 한다. 건설 산업의 지식관리에서도 블로그를 활용하자는 의견이 있었고(Mills, 2006), Ahn(2007)은 건설 산업이 프로젝트 기반으로 이루어지므로 프로젝트의 블로그를 생성하고 이를 개인 블로그와 연동하여 지식을 관리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하였다. 프로젝트 블로그 내에는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생성되는 모든 지식을 포함하고 있어 프로젝트의 공정표 및 진행 상황이나 각각의 공정에 관한 방법과 사례들, 그리고 프로젝트의 월간 실적 등과 같은 정보가 관리되고 전달된다. 나아가 프로젝트 수행 중 지식을 둘러싼 프로젝트 팀원들 간의 커뮤니케이션 또한 저장하여 전달함으로써 이후에 해당 프로젝트를 참 조하거나 프로젝트에서 생성된 지식 중 일부를 재사용하는 사용자에게 더욱 풍부하고 생생한 지식을 전달할 수 있게 된다 (Ahn, 2007). 프로젝트 성과에 관한 결과는 보고서의 형태로 블로그 내에 입력 및 저장이 된다. 이렇게 저장된 지식은 프로젝트 블로그의 특성을 활용하여 블로그 내에서 팀원들 간의 질문과 답변을 한 내용이나 관련된 설명을 포함시켜 기존의 지식에 추가적으로 저장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지식이 확장되고 관리자의 레벨에 따라 분류되어 해당 관리자가 필요한 의사결정을 지원하도록 돕는다. 도 10 내지 도 12는 프로젝트 블로그에서 활용될 성과관리 시스템의 인터페이스를 보여준다.The second way to harness the results of a project is through a project blog as a concept of expanding knowledge.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e performance management model have a common knowledge form of knowledge management that can be shared with project team members within the project blog. This allows project team members to share problems and solutions on project performance and to use them as best practice information after the project is completed. Blog-type knowledge management keeps knowledge centered on individuals and enables knowledge exchange between blogs through the community function of blogs. There was an opinion that blogs should be used in knowledge management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Mills, 2006), and Ahn (2007) is a project-based project, so it is appropriate to create a blog of the project and manage the knowledge by linking it with a personal blog. It was said. The project blog contains all the knowledge that is generated as the project progresses, and manages and communicates information such as the project's timeline and progress, methods and examples of each process, and the project's monthly performance. Furthermore, by storing and communicating communication among project team members around knowledge during project execution, more rich and vivid knowledge can be delivered to users who later refer to the project or reuse some of the knowledge generated in the project (Ahn, 2007). Results on project performance are entered and stored in the blog in the form of reports. The stored knowledge is stored in addition to the existing knowledge by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ject blog, including the contents of the questions and answers among team members or related explanations within the blog. In this way, knowledge is extended and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manager's level to help the manager support the necessary decisions. 10 to 12 show the interface of the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to be utilized in the project blog.

Ⅱ. 성과관리시스템II.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도 13 내지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건설프로젝트 성과관리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와 설명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설프로젝트 성과관리시스템은 앞서 살펴본 성과관리방법의 각 단계별 세부사항에 대한 내용을 바탕으로 framework을 구성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성과관리시스템은 서버시스템과, 인터넷 또는 로컬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서버시스템에 데이터를 요청하여 제공받는 사용자시스템으로 구성되는데, 여기서 서버시스템은 소스제공서버(Source System), 데이터웨어하우스서버(Data Warehouse), 분석결과제공서버(Application)를 필수적으로 포함하면서 로그인서버를 부가적으로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13 to 19 are diagrams showing the construction project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struction project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titutes a framework based on the details of each step of the performance management method described above. The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erver system and a user system that receives and provides data to the server system through the Internet or a local network, wherein the server system is a source system server and a data warehouse server. (Data Warehouse), an analysis result providing server (Application) may be included, but a login server may be additionally included.

서버시스템에서 소스제공서버(Source System)는 건설프로젝트에서 직접적으 로 활용되고 있는 업무처리 및 관리시스템에 존재하는 성과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이다. 데이터 웨어하우스에 저장되는 데이터를 제공하는 원천시스템은 업무시스템과 측정시스템으로 구분된다. 업무시스템에는 건설 프로젝트 관리와 연계된 PMIS를 비롯하여 운영시스템인 ERP, 영업시스템, 기술지원시스템, 연구개발시스템 등이 포함된다. 측정시스템에는 기업이나 조직의 목표를 반영한 전략목표와 성과지표, 목표값과 이니셔티브의 항목이 해당된다. Source System에서는 측정단계에서 이루어지는 측정 내용을 저장하고 수집단계에서 사실테이블과 차원테이블을 구성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결정하고 준비한다. 이는 추후에 분석과정에서 Cube를 생성하는데 많은 역할을 한다. The source system in the server system is a server that provides performance data existing in the business processing and management system that is directly used in construction projects. The source system that provides data stored in the data warehouse is divided into work system and measurement system. Work systems include PMIS associated with construction project management, as well as operating systems such as ERP, sales systems, technical support systems, and R & D systems. The measurement system includes items of strategic objectives, performance indicators, target values and initiatives that reflect corporate or organizational objectives. The source system stores the measurements made in the measurement phase and determines and prepares the data needed to construct the fact table and dimension tables in the collection phase. This plays a large role in creating the cube later in the analysis.

Source System에서는 측정 시스템에서의 전략목표와 성과지표를 정하고 그에 따른 목표값과 실행계획을 정하는 것이다. 이에 맞게 측정이 이루어지고 측정값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 측정값의 경우는 업무 시스템에 저장된 데이터가 해당될 수도 있다. 그리고 업무 시스템에서는 측정값과 연관된 데이터들에 대해 선택한다. 시뮬레이션에서는 문헌 조사와 전문가들의 조언을 활용하여 BSC의 개념에 맞게 각 관점에 따른 내용을 정하였다. 재무관점에서는 수익성 극대화를 목표로 매출 달성도를, 공기 단축을 목표로 타설소요일수 관리를 성과지표로 정하였다. 고객관점에서는 이미지 향상을 목표로 민원해결건수와 프로젝트 현장 주변의 봉사활동 실시 횟수를, 고객의 만족을 목표로 고객에 대한 1:1 인터넷 서비스 답변율을 성과지표로 정하였다. 내부 프로세스관점에서는 공사수행능력 강화를 목표로 공정 달성도를, 안전, 환경, 품질 관리를 위해 각각 환산재해율, 현장점검 지적건수, 품질의 Level을 성과지표로 정하였다. 마지막으로 학습 및 성장관점에서는 역량 강화를 목표로 인력보유수준, 지식공유건수, 교육훈련비율을 성과지표로 정하였다. 목표값과 측정값에 대해서는 실제 데이터가 아닌 의도된 수치를 입력하여 예상 가능한 분석결과를 얻도록 하였다. In the source system, strategic objectives and performance indicators are determined in the measurement system, and target values and action plans are determined accordingly. Measurements are made accordingly and the measurements are stored in a database. In the case of measured values, the data stored in the work system may correspond. The business system then selects the data associated with the measurements. In the simulation, the contents of each point of view wer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oncept of BSC, using literature research and expert advice. In terms of financial performance, we set sales performance to maximize profitability and manage the number of days spent in other small-area days. In terms of customer satisfaction, we set the number of complaint resolutions and the number of volunteer activities around the project site as the goal of improving the image, and the one-to-one internet service response rate for the customer as the performance indicator. In terms of internal process, performance indicators were selected as performance indicators for the achievement of the process and the level of disaster rate, the number of on-site inspections, and the quality for safety, environment, and quality control. Lastly, in terms of learning and growth, performance indicators were defined as the level of manpower retention, knowledge sharing, and education and training ratio. For the target value and the measured value, the intended value was entered instead of the actual data to obtain the predictable analysis result.

데이터웨어하우스서버(Data Warehouse)는 상기 소스제공서버에서 제공받은 성과데이터를 매출달성도, 고객만족도, 공정달성도 및 지식 공유 정도와 같은 분석을 위한 목적에 맞게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재구성하여 이를 데이터 웨어하우스에 저장하고 OLAPOLAP(On Line Analytical Processing)을 통해 분석을 실시하는 서버이다. 관리에서 중요한 사항이 '어떠한 것을 측정할 것인가'에 있다고 한다면 '측정된 데이터를 어떻게 분석하고 활용을 할 것인가'도 마찬가지로 중요하다. 데이터 웨어하우스에서는 Framework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전체적으로 시스템의 주춧돌 역할을 한다. 이러한 DW는 프로세스의 각 단계가 순차적으로 진행되면서 성과에 대한 다차원적인 분석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에 대해 살펴보면, Source System에서 선택된 데이터는 DW에 저장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서 ETL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 과정을 거쳐 정제된 데이터는 데이터 스키마를 통해 구축된 DW에 최종 저장된다. (DW에 저장된 데이터는 단지 분석을 위해서만 활용된다.) 이를 가지고 Cube를 생성하고 OLAP이라는 Tool을 사용하여 차원과 차원 사이의 관계를 갖도록 매트릭스 형태로 구성한다. The data warehouse server restructures the database structure for the purpose of analyzing the performance data provided from the source providing server for analysis such as sales achievement, customer satisfaction, process achievement, and knowledge sharing, and stores it in the data warehouse. The server performs analysis through OLAPOLAP (On Line Analytical Processing). If management is about what to measure, then how to analyze and use the measured data is equally important. In data warehouses, the framework is the largest part of the framework and serves as the cornerstone of the system as a whole. This DW enables multidimensional analysis of performance as each step of the process proceeds sequentially. Looking at this, the data selected from the source system is stored in the DW, and for this purpose, the ETL process is performed. The data refined through this process is finally stored in the DW constructed through the data schema. (The data stored in the DW is used only for analysis.) With this, you create a cube and use a tool called OLAP to organize the matrix into a relationship between dimensions.

데이터 웨어하우스에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서는 데이터 웨어하우스의 틀이 구성되어야 한다. 먼저 그림x에서와 같이 사실테이블과 차원테이블을 정의한다. 그리고 각 테이블들의 관계를 설정하는 데이터 스키마를 작성하게 되는데 그림x에서 보면 사실테이블을 중심으로 여러 차원테이블들이 연결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고 이것을 바탕으로 실제 데이터베이스가 생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완료하고 난 후 업무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가져오는 작업이 병행된다. 업무 시스템에서 선택한 데이터는 Project의 개요, Work process, Activity, Material, Manager, Subcontractor에 관한 정보들이다. 이를 DW에 저장하기 위해서는 ETL의 과정을 거치는데 업무 시스템에 저장된 데이터를 엑셀로 불러들여 형식에 맞지 않는 데이터를 변환하거나 의미는 같지만 다른 용어로 표현된 것들을 하나의 용어로 수정하는 과정을 거쳐 DW에 저장될 수 있다. 시뮬레이션에서는 실제 생성된 데이터베이스에 위와 같은 ETL의 방법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하였다. 그러나 매번 직접적으로 엑셀에서 데이터를 불러 수정하는 것은 한계가 있으므로 매일 또는 매달 주기적으로 Source System DB와 데이터 웨어하우스 DB를 연결하여 DB내에 있는 데이터를 직접 읽어들이는 방식을 사용하여 자동적으로 저장 및 업데이트를 하는 방법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저장된 데이터를 가지고 사용자가 요구하는 분석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차원들의 계층구조와 레벨을 나누었고 그림x에서는 한 예로 date차원의 계층구조와 레벨을 볼 수 있다. 그리고 실질적인 데이터 분석을 위해 데이터 스키마를 참고하여 Cube를 생성하였다. 그러나 사실테이블의 사실들(재무, 고객, 내부 프로세스, 학습 및 성장 관점의 측정지표)과 관련되어 모든 차원이 의미가 있는 것은 아니므로 Multi Cube 방식보다는 Hyper Cube방식을 사용하였다. Hyper Cube방식은 각 사실과 연관된 차원들로만 연결되어 한 개의 Cube가 아닌 그림x에서와 같이 여러 개의 Cube가 생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OLAP Tool을 사용하여 분석을 실시하는데 그림x에서는 재무관점의 매출 달성도에 관한 성과를 date별, 공정별로 분석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고 이 결과는 Application에 활용된다. To store data in a data warehouse, the framework of the data warehouse must be configured. First we define the fact table and the dimension table as shown in Figure x. In addition, you will create a data schema that sets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table. In Figure X, you can see that several dimension tables are connected around the fact table, and the actual database is created based on this. After this configuration is completed, the data is pulled from the work system. The data selected in the work system is information about the project overview, work process, activity, material, manager, and subcontractor. In order to save this in DW, ETL process is performed.The data stored in the work system is imported into Excel to convert the data that does not conform to the format, or to modify the data expressed in other terms with the same term in one term. Can be stored. In the simulation, the data were stored using the above ETL method in the actual database. However, there is a limit to directly importing and modifying data in Excel every time, so that data can be stored and updated automatically by connecting the source system DB to the data warehouse DB and reading the data in the DB directly. It is necessary to consider how. The hierarchy and levels of the dimensions are broken down to allow for the analysis required by the user with the stored data. Figure x shows an example of the hierarchy and levels of the date dimension. And for actual data analysis, Cube was created by referring to the data schema. However, not all dimensions are meaningful in relation to the facts of the fact table (measures of financial, customer, internal processes, learning and growth perspectives), so the Hyper Cube method was used rather than the Multi Cube method. The Hyper Cube approach can be linked to only the dimensions associated with each fact so that multiple Cubes can be created, as in Figure x instead of one. Next, the analysis is carried out using the OLAP Tool. Figure x shows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performance of financial perspectives on the achievement of sales by date and process, and these results are used for the application.

성과분석결과저장서버(Application)는 상기 데이터웨어하우스서버를 통해 획득된 성과분석결과에 대해 보고서 형태로 페이지를 생성하여 저장한 정보, 유사검색에 사용될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을 활용하여 분석 결과를 요약한 정보와 사용자가 필요한 분석결과를 자신의 웹 공간에 옮겨두는 bookmark 기능을 통해 저장된 정보를 관리하는 서버이다. 성과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진 후 경영진을 포함한 최종 사용자들에게 이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에 대한 물음의 답을 제공하고자 다음과 같은 application들이 framework상에 제시된다. 성과관리 프로세스에서는 보고, 활용 단계가 이에 포함되며 분석 단계에서의 화면 구성이나 활용은 사용자의 접근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여러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 결과를 제시하는 과정이 진행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사용자들은 과거나 현재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보고서의 형태를 비롯하여 개인 컴퓨터상에서 확인이 가능한 화면 모니터링의 형태, 웹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인터넷상에서 볼 수 있도록 하는 web page의 형태를 모두 경험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성과관리를 좀 더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 IT기술을 활용하여 성과 분석의 결과를 지식의 형태로 전환하는 방법을 선택하였다. 이는 web page의 생성과 동시에 xml을 이용한 요약 page를 생성하고 이를 검색 을 위한 새로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 후 사용자가 검색을 통해 성과 분석 결과를 찾을 때 유사한 내용을 광고 형태로 제공하는 데 활용된다. The performance analysis result storage server (Application) uses the information generated by generating pages in the form of a report on the performance analysis results obtained through the data warehouse server and uses the xml (Extensible Markup Language) to be used for similar search. It is a server that manages the stored information through the bookmark function, which transfers the summarized information and the analysis results that the user needs to the web space. After analyzing the performance, the following applications are presented on the framework to answer the question of how to use it to end users, including management. In the performance management process, this includes the reporting and utilization stages, and the screen composition or utilization in the analysis stage is limited in the access of the user, and the analysis results are presented using various methods. Through this process, users can experience both the form of reports used in the past and the present, the form of screen monitoring that can be checked on personal computers, and the form of web pages that can be viewed on the Internet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web. . However, in order to use performance management more proactively, we chose a method that transforms the results of performance analysis into a form of knowledge using IT technology. This is used to generate a summary page using xml and save it in a new database for searching and to provide similar contents in the form of advertisement when the user finds the result of analysis through search.

성과에 대한 분석 결과를 최종 사용자가 접근하기 쉽게 하도록 하기 위한 여러 화면 구성이 존재한다. 시뮬레이션에서는 프로젝트에서 재무, 고객관점에 대하여 분석을 주로 하였으며 그림x는 기존의 보고서 형태를, 그림x는 모니터링 화면을, 그림x는 웹 환경에서의 웹 page를 보여준다. 그리고 분석 결과를 이와 같은 형태로 제공함과 동시에 xml 포맷의 데이터를 생성하여 검색 시스템을 위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게 된다. xml 포맷의 데이터는 프로젝트의 기본사항과 쿼리 제목이 포함된 내용이 해당되며 그림x에서와 같은 형태와 내용을 갖는다. 다음으로 검색 시스템을 통해 성과 분석한 결과를 좀 더 쉽고 정확하게 찾을 수 있다. 이러한Application을 통해 성과관리의 활용도가 높아지고 적극적인 성과관리를 기대할 수 있다. There are several screen configurations to make the results of analysis of performance accessible to end users. In the simulation, analysis was mainly conducted on the financial and customer perspectives of the project. Figure x shows the existing report form, Figure x shows the monitoring screen, and Figure x shows the web page in the web environment. In addition to providing the analysis results in this form, data in xml format is generated and stored in a database for the search system. The data in xml format includes the basics of the project and the contents including the query title, and has the form and contents as shown in Figure x. Next, the search system makes it easier and more accurate to find the results of your performance analysis. Through such application, the utilization of performance management can be increased and active performance management can be expected.

로그인서버는 시스템 사용자의 관리 차원에서 마련된 서버로서,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가 저장되고 입력정보에 따라 서버시스템의 자원을 제한하도록 제어한다. The login server is a server provided for the management of the system user. The login server stores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and controls the resource of the server system according to the input information.

사용자시스템은 PC 또는 서버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인터넷 또는 로컬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서버시스템에 접속할 수 있는 통신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서버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는 성과분석 결과를 사용자에게 보여줄 수 있는 웹 브라우저가 구비된다. 이를 통해 성과분석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한 여러 모듈이 화면에 제공된다. 사용자는 사용자시스템을 통해 서버시스템에 접속하고 로그인서버를 통해 사용자 정보를 확인하는 사용자 인증을 거친 후 성과분석 어플리케이션모듈에 접근이 가능하다. 성과분석 어플리케이션모듈에서 보여지는 내용은 데이터웨어하우스서버로부터 제공되고 화면은 메인스크린과 서브스크린으로 구성되며 보고서형태나 페이지형태로 보여진다. 그 다음으로 성과분석 어플리케이션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검색모듈이 제공된다. 검색모듈은 콤보박스의 형태로 일련의 검색 키워드가 기본적으로 제공되며 이를 통해 키워드에 맞도록 검색엔진이 활성화되어 요청한 결과를 얻어낸다. 이와 동시에 유사 검색 키워드는 성과분석결과저장서버에 있는 xml요약 정보들에서 추가적으로 검색을 실시하여 그에 맞는 정보를 Ad-knowledge(광고지식) 모듈에 제공한다. Ad-knowledge 모듈에서는 이러한 정보를 keyword 우선순위에 따라 요약된 분석 결과 정보를 화면에 제공한다. 사용자는 이러한 유사 분석 결과 정보를 성과 분석 어플리케이션 모듈의 서브 스크린을 통해 볼 수 있고 bookmark 기능을 통해 사용자 전용 웹 공간에 저장이 가능하다. 그리고 이에 대한 정보는 다시 성과분석결과저장서버로 전송된다. The user system can be configured using a PC or a server, and has a communication means for accessing the server system through the Internet or a local network, and a web browser for showing the results of the performance analysis provided from the server system to the user. Is provided. This provides several modules on the screen, including performance analysis applications. The user can access the performance analysis application module after accessing the server system through the user system and verifying the user information through the login server. The contents shown in the performance analysis application module are provided from the data warehouse server, and the screen is composed of a main screen and a sub screen and is displayed in the form of a report or page. Next, a search module is provided to increase the utilization of the performance analysis application. The search module is basically provided with a series of search keywords in the form of a combo box. Through this, the search engine is activated to match the keywords to obtain the requested result. At the same time, the similar search keyword performs additional search on xml summary information in the performance analysis result storage server and provides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to the Ad-knowledge module. The Ad-knowledge module provides the analysis result information summarized according to the keyword priority on the screen. The user can view the similar analysis result information through the sub-screen of the performance analysis application module and save it in a user-specific web space through the bookmark function. The information is sent back to the performance analysis result storage server.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건설프로젝트 성과분석시스템을 시뮬레이션한 결과 UI(User Interface)의 일례로서, A프로젝트의 골조공사, 2006년 1분기, 재무점수를(프로젝트별, work process별, date별, 점수) 콤보박스 형태의 검색을 이용하여 화면상에 결과를 보여준다. 이에 대한유사 검색으로는 A프로젝트의 벽돌공사, 2006년 1분기 재무점수, A프로젝트의 골조공사, 2007년 1분기, 재무점수 등 여러 내용 을 보여준다. 이러한 내용을 선택적으로 확인하면서 비교 가능한 자료를 재분석하여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그리고 검색 내용을 필요에 의해 bookmark할 수 있고 비교 분석이 용이하게 같은 화면에 여러 경우의 분석 자료를 볼 수 있다. 20 is an example of the UI (User Interface) as a result of simulating the construction project performance analysis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of the A project, the first quarter of 2006, the financial score (project, work process, date, Score) Displays the results on the screen using a combo box type search. A similar search shows various contents such as brick construction of project A, financial score in 1Q 2006, frame construction of project A, 1Q 2007, and financial score. You can optionally verify this and re-analyze comparable data to help support decision making. And you can bookmark the search contents as you need, and you can see the analysis data of several cases on the same screen for easy comparative analysis.

도 1은 종래의 건설프로젝트 성과관리방법의 프로세스를 보여준다.1 shows a process of the conventional construction project performance management method.

도 2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성과관리방법의 구성도와 설명도이다.2 to 12 is a configuration diagram and an explanatory diagram of a performance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3 내지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성과관리시스템의 구성도와 설명도이다.13 to 19 are diagrams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성과분석시스템을 시뮬레이션한 결과로서 UI(User Interface)의 일례를 보여준다.20 shows an example of a user interface (UI) as a result of simulating a performance analysis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5)

건설프로젝트에서 직접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업무처리 및 관리시스템에 존재하는 각종 성과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으로서,As a method for managing various performance data existing in the business process and management system that is directly used in construction projects, BSC 개념을 건설프로젝트에 적용하여 관리관점을 정의하고 관리관점별 성과목표와 성공요인을 도출하여 관리관점별 성과측정지표를 설정하는 측정단계(Measure);A measurement step of defining management perspectives by applying the BSC concept to construction projects, establishing performance measurement indicators for management perspectives by deriving performance goals and success factors for each management perspective; 성과데이터를 상기 성과측정지표에 맞게 데이터모델링하여 데이터웨어하우스(DW)에 적재하는 저장단계(Collect);A storage step (Collect) of loading performance data into a data warehouse (DW) by modeling data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measurement indicators; 상기 데이터웨어하우스에 저장된 데이터모델링결과를 OLAP을 활용하여 다차원분석을 수행하는 분석단계(Analyze);An analysis step of performing a multi-dimensional analysis of the data modeling results stored in the data warehouse using OLAP; 상기 분석단계를 통한 다차원분석결과를 확인가능한 형태로 제공하는 보고단계(Report);A reporting step (Report) for providing a multi-dimensional analysis result through the analysis step in a form that can be confirmed;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프로젝트 성과관리방법.Construction project performance managemen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1항에서,In claim 1, 상기 보고단계 후에,After the reporting step, 사용자가 질의한 검색결과와 유사한 내용을 제공하는 활용단계(Use);A use step of providing content similar to a search result queried by a user;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프로젝트 성과관리방법.Construction project performance managemen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es a. 제2항에서,In claim 2, 상기 저장단계는, 성과데이터와 상기 측정단계에서 설정된 성과측정지표를 정의하는 사실테이블;과 사실테이블의 사실을 상황정보로 정의하는 차원테이블;로 구분하되, 각 테이블마다 연결고리를 설정하여 성과데이터스키마를 구성하면서 이루어지며,The storing step may be divided into a fact table defining the performance data and the performance measurement index set in the measuring step; and a dimension table defining the facts of the fact table as situation information; Is done while constructing the schema, 상기 분석단계는 상기 차원테이블에서 정의된 차원을 계층구조로 분류하고 레벨을 설정한 후 큐브를 생성하면서 이루어지며,The analyzing step is performed by classifying the dimension defined in the dimension table into a hierarchical structure and setting a level, then generating a cube, 상기 보고단계는 다차원분석결과에 대하여 사용자가 요청한 사항만을 추출하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프로젝트 성과관리방법.The reporting step is a construction project performance managemen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extraction is made while the user requests only for the multi-dimensional analysis results. 서버시스템;과 인터넷 또는 로컬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서버시스템에 데이터를 요청하여 제공받는 사용자시스템;으로 구성된 건설프로젝트 기반 성과분석시스템으로서,A construction project-based performance analysis system comprising a server system; and a user system that requests and provides data to the server system through the Internet or a local network. 상기 서버시스템은,The server system, 건설프로젝트에서 직접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업무처리 및 관리시스템에 존재하는 각종 성과데이터를 저장하는 소스제공서버;A source providing server for storing various performance data existing in a business processing and management system which is directly used in a construction project; 상기 소스제공서버에 저장된 성과데이터를 제공받아 분석목적에 맞게 데이터 베이스구조를 재구성하여 데이터웨어하우스에 저장하고 OLAP(On Line Analytical Processing)을 통해 분석을 실시하는 데이터웨어하우스서버;A data warehouse server that receives the performance data stored in the source providing server, reconfigures the database structure according to an analysis purpose, stores the data in a data warehouse, and performs the analysis through OLAP (On Line Analytical Processing); 상기 데이터웨어하우스서버를 통해 획득된 성과분석결과에 대해 보고서 형태로 페이지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성과분석결과저장서버;A performance analysis result storage server for generating and storing a page in a report form with respect to the performance analysis result obtained through the data warehouse server;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프로젝트 성과관리시스템.Construction project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제4항에서,In claim 4, 상기 서버시스템은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가 저장되고 입력정보에 따라 서버시스템의 자원을 제한하도록 제어하는 로그인서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프로젝트 성과관리시스템.The server system is a construction project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login server for storing the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and controls to limit the resources of the server system according to the input information.
KR1020080057784A 2007-06-20 2008-06-19 Construction project performance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using bsc and the data warehouse KR20080112141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60201 2007-06-20
KR1020070060201 2007-06-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2141A true KR20080112141A (en) 2008-12-24

Family

ID=40370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7784A KR20080112141A (en) 2007-06-20 2008-06-19 Construction project performance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using bsc and the data warehous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112141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7209B1 (en) * 2009-03-16 2012-01-25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Construction Company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Based on Web
KR20180076242A (en) 2016-12-27 2018-07-05 (사)한국품질경영학회 Method for evaluating performance using qsc and recordable media thereof
CN111985738A (en) * 2019-05-21 2020-11-24 北京明树数据科技有限公司 Project performance management method, system and storage medium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7209B1 (en) * 2009-03-16 2012-01-25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Construction Company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Based on Web
KR20180076242A (en) 2016-12-27 2018-07-05 (사)한국품질경영학회 Method for evaluating performance using qsc and recordable media thereof
CN111985738A (en) * 2019-05-21 2020-11-24 北京明树数据科技有限公司 Project performance management method, system and storage mediu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uccurullo et al. Foundations and trends in performance management. A twenty-five years bibliometric analysis in business and public administration domains
Bose Understanding management data systems for enterprise performance management
US20060085455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economic development, workforce development and education information
JP2007520775A (en) System for facilitating management and organizational development processes
Jou et al. A study on the improvements of new product development procedure performance–an application of design for Six Sigma in a semi-conductor equipment manufacturer
Chang et al. Mining the text information to optimizing the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Yoon Strategic visualisation tools for managing technological information
Power Decision support basics
M Alasiri et al. The impact of business intelligence (BI) and decision support systems (DSS): Exploratory study
Hashemkhani Zolfani et al. Application of MCDM methods in short-term planning for private universities based on balanced scorecard: a case study from Iran
Seyedghorban et al. Quo vadis OSCM? An analysis of past and future trends in operations and supply chain management research
Maaitah The role of business intelligence tools in the decision making process and performance
Perng et al. A service quality improvement dynamic decision support system for refurbishment contractors
Chu et al. Spin-off Strategies and Performance: A case study of Taiwan’s Acer Group
Junaedi et al. Development of Digital Economy Teaching Materials: Basic Concepts of Business Intelligence
KR20080112141A (en) Construction project performance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using bsc and the data warehouse
CN116595418A (en) Multi-dimensional image construction method for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achievements
Jacob et al. Business market research
Spies et al. Knowledge management in a decentralized global financial services provider: a case study with Allianz Group
Bataineh et al. The impact of information technology on supply chain management in internal environment of Jordanian industrial companies
US20180189696A1 (en)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and monitoring innovation intelligence
Beem A DESIGN STUDY TO ENHANCE PERFORMANCE DASHBOARDS TO IMPROVE THE DECISION-MAKING PROCESS
Tembhekar Human Resource Information Systems: Implementing Data Analytics Techniques in Human Resource Functions
Nararya et al. Automation in Financial Reporting by using Predictive Analytics in SAP Analytics Cloud for Gold Mining Industry: a Case Study
Ferreira Implementation of a business intelligence solution: a case study of a workforce and staffing solutions compan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