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9965A - Rear suspension system of multi-link type - Google Patents

Rear suspension system of multi-link typ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9965A
KR20080109965A KR1020070058115A KR20070058115A KR20080109965A KR 20080109965 A KR20080109965 A KR 20080109965A KR 1020070058115 A KR1020070058115 A KR 1020070058115A KR 20070058115 A KR20070058115 A KR 20070058115A KR 20080109965 A KR20080109965 A KR 200801099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uckle
inner race
control arm
angle variable
camber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81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정원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58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109965A/en
Publication of KR20080109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996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7/00Means on vehicles for adjusting camber, castor, or toe-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A multi-link rear wheel suspension system is provided to secure the cornering of vehicle performance. The camber angle and toe angle are nearly controlled in 0 and directivity is improved in the driving straight ahead. A multi-link rear wheel suspension system comprises a knuckle(101) supporting wheel, a lower control arm connecting knuckle to the car body, an upper control arm, a trailing arm, an assist link, a camber angle variable bush unit(10) which varies the camber angle of the wheel by taking advantage of the fluid pressure of the working fluid, a toe angle variable bush unit(20) which varies the toe of above wheel by taking advantage of the fluid pressure of the working fluid.

Description

멀티 링크타입 후륜 현가장치 {REAR SUSPENSION SYSTEM OF MULTI-LINK TYPE}Multi-Link Rear Suspension System {REAR SUSPENSION SYSTEM OF MULTI-LINK TYP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멀티 링크타입 후륜 현가장치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ulti-link type rear wheel suspension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링크타입 후륜 현가장치에 적용되는 너클의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 knuckle applied to a multi-link type rear wheel suspen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캠버각 가변 부시유닛의 구성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2, and is a block diagram of a camber angle variable bush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2의 B-B선에 따른 단면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우각 가변 부시유닛의 구성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of Figure 2,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tow angle variable bush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캠버각 가변 부시유닛의 작동 상태도이다.5 is an operation state diagram of the camber angle variable bush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캠버각 가변 부시유닛 11 : 제1아웃터 레이스10: camber angle variable bush unit 11: the first outer race

13 : 제1인너 레이스 15 : 제1인슐레이터13: the first inner race 15: the first insulator

16 : 제1유압챔버 17 : 제2유압챔버16: 1st hydraulic chamber 17: 2nd hydraulic chamber

18 : 제1포트 19 : 제2포트18: first port 19: second port

20 : 토우각 가변 부시유닛 21 : 제2아웃터 레이스20: toe angle variable bush unit 21: the second outer race

23 : 제2인너 레이스 25 : 제2인슐레이터23: second inner race 25: second insulator

26 : 제3유압챔버 27 : 제4유압챔버26: third hydraulic chamber 27: fourth hydraulic chamber

28 : 제3포트 29 : 제4포트28: third port 29: fourth port

본 발명은 멀티 링크타입 후륜 현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차속과 조향각에 따라서 캠버각과 토우각을 능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멀티 링크타입 후륜 현가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link type rear wheel suspens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link type rear wheel suspension device for actively controlling a camber angle and a toe angle according to a vehicle speed and a steering angle of a vehicle.

차량에 있어서의 현가장치는 차체와 휠 사이에 존재하며, 이 두 강체를 하나 혹은 다수의 링크를 이용하여 연결하여 주는 장치로서, 상하방향으로는 스프링과 유압 쇽 업소오버등에 의해 지지되고, 기타방향으로는 높은 강성과 유연성을 적절히 조화시킴으로써, 차체와 휠 사이의 상대운동을 기계적으로 적절히 조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Suspension in a vehicle exists between a vehicle body and a wheel, and is a device that connects these two rigid bodies by using one or more links. It is supported by springs and hydraulic shock absorber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n other directions. By properly matching the high rigidity and flexibility, it performs a function to mechanically match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vehicle body and the wheel.

이러한 현가장치는 차량의 주행 중에 발생되는 노면의 불규칙한 입력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탑승자에게 안락한 승차감을 제공하고, 운전자의 운전행위 및 노면의 굴곡에 의해 발생된 차체의 흔들림을 적절히 제어하여 운전 편의성을 제공하며, 불규칙한 노면의 주행시 타이어 접지면에서의 수직하중을 적절한 수준으로 유지하여 선회, 제동 구동시 차량의 조종성 및 안정성을 확보하여야 한다는 기본 조건을 만족시켜야만 한다.The suspension system effectively blocks irregular input of the road surface generated while driving the vehicle, providing a comfortable ride to the occupant, and provides driving convenience by appropriately controlling the shaking of the vehicle body caused by the driver's driving behavior and the curvature of the road surface. In the case of driving on irregular roads, the vertical load on the tire ground surface should be maintained at an appropriate level to satisfy the basic conditions of ensuring the maneuverability and stability of the vehicle during turning and braking.

이와 같은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서스펜션 지오메트리에 의한 휠의 자세가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게 되는데, 휠의 자세는 차체와의 상대 운동에 따 라 크게 변하게 되며, 변하는 휠의 자세에 따라 차량의 전체적인 성능을 크게 좌우하게 된다.In order to satisfy these conditions, the wheel's posture by the suspension geometry is very important. The wheel's posture changes greatly according to the relative movement with the body, and the overall performance of the vehicle is changed according to the changing wheel posture. It will be greatly influenced.

이에 따라 최근에는 적어도 3개 이상의 링크를 사용하여 노면으로부터 입력되는 충격 및 진동과, 차체의 진동을 이상적인 기구학적 운동으로 이들을 효과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멀티 링크타입(Multi-Link Type) 후륜 현가장치가 개발되어 양산 차량에 적용되고 있다.Recently, a multi-link type rear suspension system has been developed that can effectively accommodate shocks and vibrations input from the road surface using at least three links and vibrations of the vehicle body with ideal kinematic movements. It is applied to a mass production vehicle.

이러한 멀티 링크타입 후륜 현가장치의 구성은,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휠(미도시)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너클(101)과, 차폭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너클(101)의 후방 하부 일측을 차체와 연결하여 주는 로워 컨트롤 암(103)과, 차폭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너클(101)의 상부 일측을 차체와 연결하여 주는 어퍼 컨트롤 암(105), 상기 로워 컨트롤 암(103)의 전측부에 차폭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너클(101)의 전측 부분을 차체와 연결하여 주는 어시스트 링크(107), 및 차체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너클(101)의 전측 부분을 차체와 연결하여 주는 트레일링 암(109)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illustrated in FIG. 1, the multi-link type rear wheel suspension includes a knuckle 101 rotatably supporting a wheel (not shown), and a rear lower side of the knuckle 101 disposed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A lower control arm 103 for connecting the vehicle to the vehicle body, an upper control arm 105 arranged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to connect an upper side of the knuckle 101 to the vehicle body, and a front side of the lower control arm 103. An assist link 107 disposed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to connect the front side portion of the knuckle 101 to the vehicle body, and a trailing arm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to connect the front side portion of the knuckle 101 to the vehicle body; 109.

물론 상기의 현가장치에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면서 완충작용을 수행하는 코일 스프링(미도시) 및 쇽 업소오버(111)가 배치된다.Of course, the suspension device is dispo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coil spring (not shown) and shock absorber 111 to perform a buffering action is disposed.

여기서, 상기 로워 컨트롤 암(103)과 어시스트 링크(107)는 상기 너클(101)에 각각 부시(113)를 매개로 연결된다.Here, the lower control arm 103 and the assist link 107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knuckle 101 via a bush 113.

이러한 구성을 갖는 멀티 링크타입 후륜 현가장치는 차량의 선회시, 선회반경이 적어져 앞바퀴의 슬립각보다 뒷바퀴의 슬립각이 커지는 현상인 오버스티 어(Over Steer)나, 오버스티어에 반해 선회반경이 커져 앞바퀴의 슬립각이 뒷바퀴의 슬립각에 비해 커지는 현상인 언더스티어(Under Steer)를 방지하여, 차량에 안정성을 부여하도록 설계 시 여러 수단을 적용하게 된다.The multi-link type rear suspension with such a configuration has less turning radius when the vehicle is turning, so that the slip angle of the rear wheel becomes larger than the slip angle of the front wheel. In order to prevent understeer, which is a phenomenon in which the slip angle of the front wheel becomes larger than the slip angle of the rear wheel, it is applied to various means in the design to give stability to the vehicle.

이중, 한 예로서 범프(Bump)시에 상기 로워 컨트롤 암(103)은 운동 궤적에 의하여 휠의 하측부를 밀면서 상승하게 되므로 휠의 캠버각은 (-) 쪽을 향하게 기울어지게 되고, 상기 어시스트 링크(107)는 토우(Toe) 변화를 토우인(Toe-in)으로 하여 횡력을 최대한 증가시켜주거나 또는, 횡력에 대한 토우(Toe) 변화를 토우인(Toe in)으로 하여 횡력을 증가시키는 방법이 있다.Among them, as an example, the lower control arm 103 is raised while pushing the lower part of the wheel by the motion trajectory during the bump, so that the camber angle of the wheel is inclined toward the negative side, and the assist link ( 107) has a method of increasing the lateral force by increasing the toe change as a toe-in, or increasing the lateral force by changing the toe change in the lateral force as a toe in.

하지만 이들은 모두 범프(Bump)시 토우인(Toe in)변화에 의해 직진성능이 저하되므로 통상적으로는, 직진성과 조종안정성 및 승차감등을 감안하여 범프(Bump)시와 횡력 작용시 토우인(Toe in)변화가 작게 일어나지 않도록 절충되므로 각 성능을 극대화하는데는 제약이 있게 된다. However, since they all fall straight due to the change in toe in during bump, the change in toe in during bump and lateral force is generally considered in consideration of straightness, steering stability and ride comfort. Is compromised so that it does not occur small, and there is a limit to maximizing each performance.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멀티 링크타입 후륜 현가장치는, 설계 상 제약을 해소하기 위해 AGCS(Active Geometry Control Suspension)를 사용하는데, 이는 모터(액튜에이터)를 장착하여 직진 시에는 휠(차륜)의 상하운동에 의한 토우(Toe)변화를 영(Zero)으로 하고, 선회 시에는 토우인(Toe in)으로 능동 제어함으로써, 일반적인 현가장치에서는 구현이 어려운 성능을 얻을 수 있지만, 가격이 고가이면서 모터의 무게로 인한 연비의 저하 및 고장 발생 가능성 등의 큰 한계가 있다는 등의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Therefore, the conventional multi-link type rear wheel suspension uses the AGCS (Active Geometry Control Suspension) in order to solve the design constraint, which is the top and bottom of the wheel (wheel) when the motor (actuator) is mounted straight By changing the toe caused by exercise to zero and actively controlling it with toe in during turning, performance that is difficult to achieve in general suspension systems is obtained, but the price is high and the weight of the motor There is a problem that there is a big limit such as the reduction of fuel economy and the possibility of failure.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너클과 로워 컨트롤 암 및 너클과 어시스트 링크의 각 연결부에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라 유압 공급시스템으로부터 공급되는 작동유체에 의해 작동하는 캠버각 가변 부시유닛과 토우각 가변 부시유닛을 각각 적용하여 후륜의 캠버각과 토우각을 능동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차량의 선회성능을 확보하고, 직진 주행 시에는 캠버각 및 토우각을 0에 가깝게 제어하여 직진성을 향상시키는 멀티 링크타입 후륜 현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operate the knuckle and the lower control arm and the knuckle and the assist link at each connection of the hydraulic supply system according to the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By controlling the camber angle variable bushing unit and the tow angle variable bushing unit operated by fluid, respectively, the camber angle and the toe angle of the rear wheel are actively controlled to secure the turning performance of the vehicle, and to adjust the camber angle and the toe angle when driving straight. It is to provide a multi-link type rear wheel suspension which improves straightness by controlling close to zero.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링크타입 후륜 현가장치는, 휠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너클과, 상기 너클을 차체와 연결하여 주는 로워 컨트롤 암 및 어퍼 컨트롤 암, 트레일링 암, 그리고 어시스트 링크를 포함하는 차량용 멀티 링크 타입의 후륜 현가장치에 있어서, 상기 로워 컨트롤 암과 상기 너클의 연결부에 구성되어 작동 유체의 유압을 이용하여 상기 휠의 캠버각을 가변하는 캠버각 가변 부시유닛; 및 상기 어시스트 링크와 상기 너클의 연결부에 구성되어 작동 유체의 유압을 이용하여 상기 휠의 토우를 가변하는 토우각 가변 부시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ulti-link type rear wheel suspen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is object, a knuckle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wheel, a lower control arm and upper control arm, trailing arm, and assist connecting the knuckle to the vehicle body A rear link suspension of a vehicle multi-link type including a link, comprising: a camber angle variable bushing unit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lower control arm and the knuckle to vary the camber angle of the wheel by using hydraulic pressure of a working fluid; And a tow angle variable bushing unit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assist link and the knuckle to vary the tow of the wheel by using hydraulic pressure of a working fluid.

상기 캠버각 가변 부시유닛은,상기 캠버각 가변 부시유닛은, 상기 로워 컨트롤 암이 연결되는 상기 너클의 연결부에 일체로 고정되는 제1아웃터 레이스; 상기 제1아웃터 레이스 내부에서, 상기 로워 컨트롤 암이 체결되는 제2인너 레이스; 상기 아웃터 레이스와 인너 레이스 사이에 가류 접착되며 내부에는 상기 인너 레이스 를 중심하여 차폭 방향으로 그 외측에 반원 형상의 제1유압챔버를 형성하며, 상기 인너 레이스를 중심하여 차폭 방향으로 그 내측에 반원 형상의 제2유압챔버를 형성하는 제1인슐레이터; 및 상기 제1, 제2유압챔버에 각각 연결되어 작동유체를 공급 및 배출하는 제1,제2포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amber angle variable bushing unit, The camber angle variable bushing unit, the first outer race which is integrally fixed to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knuckle to which the lower control arm is connected; A second inner race in which the lower control arm is fastened in the first outer race; It is vulcanized and bonded between the outer race and the inner race, and forms a semi-circular first hydraulic chamber on the outside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inner race therein, and has a semicircle shape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inner race. A first insulator forming a second hydraulic chamber of the first insulator; And first and second ports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hydraulic chambers, respectively, to supply and discharge the working fluid.

상기 토우각 가변 부시유닛은, 상기 어시스트 암과 상기 너클의 연결부에 일체로 고정되는 제2아웃터 레이스; 상기 아웃터 레이스 내부에서, 상기 어시스트 암이 체결되는 제2인너 레이스; 상기 아웃터 레이스와 인너 레이스 사이에 가류 접착되며 내부에는 상기 인너 레이스를 중심하여 차폭 방향으로 그 외측에 반원 형상의 제3유압챔버를 형성하며, 상기 인너 레이스를 중심하여 차폭 방향으로 그 내측에 반원 형상의 제4유압챔버를 형성하는 제2인슐레이터; 및 상기 제3, 제4유압챔버에 각각 연결되어 작동유체를 공급 및 배출하는 제3,제4포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oe angle variable bushing unit may include: a second outer race fixed integrally with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assist arm and the knuckle; A second inner race inside the outer race, to which the assist arm is fastened; It is vulcanized and bonded between the outer race and the inner race, and forms a semi-circular third hydraulic chamber on the outer side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inner race therein, and has a semicircle shape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around the inner race. A second insulator forming a fourth hydraulic chamber of the fuel cell; And third and fourth ports connected to the third and fourth hydraulic chambers, respectively, to supply and discharge the working flui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링크타입 후륜 현가장치에 적용되는 너클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캠버각 가변 부시유닛의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2의 B-B선에 따른 단면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우각 가변 부시유닛의 구성도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knuckle applied to a multi-link type rear wheel suspen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2 and shows a camber angle variable bush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2, and is a block diagram of a tow angle variable bushing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상기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적용되는 멀티 링크타입 후륜 현가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First, the configuration of the multi-link type rear wheel suspension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링크타입 후륜 현가장치의 기본적인 구성은,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휠(미도시)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너클(101)과, 차폭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너클(101)의 후방 하부 일측을 차체와 연결하여 주는 로워 컨트롤 암(103)과, 차폭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너클(101)의 상부 일측을 차체와 연결하여 주는 어퍼 컨트롤 암(105), 상기 로워 컨트롤 암(103)의 전측부에 차폭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너클(101)의 전측 부분을 차체와 연결하여 주는 어시스트 링크(107), 및 차체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너클(101)의 전측 부분을 차체와 연결하여 주는 트레일링 암(109)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at is, the basic configuration of the multi-link type rear wheel suspens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1, is disposed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and the knuckle 101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wheel (not shown) A lower control arm 103 connecting the rear lower side of the knuckle 101 with the vehicle body, an upper control arm 105 arranged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and connecting the upper one side of the knuckle 101 with the vehicle body; An assist link 107 disposed at the front side of the lower control arm 103 to connect the front side of the knuckle 101 with the vehicle body, and the front side portion of the knuckle 101 disposed at the vehicle body lengthwise direction. It comprises a trailing arm 109 for connecting to the vehicle body.

물론, 상기의 현가장치에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면서 완충작용을 수행하는 코일 스프링(미도시) 및 쇽 업소오버(111)가 배치된다.Of course, the suspension device is dispo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coil spring (not shown) and shock absorber 111 to perform a buffering action is disposed.

이러한 구성을 갖는 멀티 링크타입 후륜 현가장치에서,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너클(101)과 로워 컨트롤 암(103) 및 상기 너클(101)과 상기 어시스트 링크(107)가 각각 연결되는 각 연결부에 작동 유체의 유압을 이용하여 휠의 캠버각을 가변하는 캠버각 가변 부시유닛(10)과 휠의 토우를 가변하는 토우각 가변 부시유닛(20)이 각각 구성된다.In the multi-link type rear wheel suspens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2, in this embodiment, the knuckle 101, the lower control arm 103, the knuckle 101, and the assist link 107 Each of the connecting portions are respectively configured to the camber angle variable bush unit 10 for varying the camber angle of the wheel by using the hydraulic pressure of the working fluid and the tow angle variable bush unit 20 for varying the tow of the wheel.

먼저, 상기 캠버각 가변 부시유닛(10)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아웃터 레이스(11), 제1인너 레이스(13), 제1인슐레이터(15), 및 제1, 제2포트(18)(19)로 구성된다.First, as shown in FIG. 3, the camber angle variable bushing unit 10 includes a first outer race 11, a first inner race 13, a first insulator 15, and first and second parts. It consists of ports 18 and 19.

즉, 상기 제1아웃터 레이스(11)는 상기 로워 컨트롤 암(103)이 연결되는 상기 너클(101)의 연결부에 일체로 고정된다.That is, the first outer race 11 is integrally fixed to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knuckle 101 to which the lower control arm 103 is connected.

상기 제1아웃터 레이스(11)의 내부에는 제1인너 레이스(13)가 구성된다.The first inner race 13 is formed inside the first outer race 11.

상기한 제1인너 레이스(13)는 상기 로워 컨트롤 암(103)과 조립볼트를 통하여 체결된다.The first inner race 13 is fastened through the lower control arm 103 and the assembly bolt.

그리고, 상기 제1아웃터 레이스(11)와 제1인너 레이스(13) 사이에는 제1인슐레이터(15)가 개재된다.The first insulator 15 is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outer race 11 and the first inner race 13.

상기 제1인슐레이터(15)는 상기 제1아웃터 레이스(11)와 제1인너 레이스(13) 사이에 가류 접착되며, 내부에는 상기 제1인너 레이스(11)를 중심하여 차폭 방향으로 그 외측에 반원 형상의 제1유압챔버(16)를 형성하며, 상기 제1인너 레이스(13)를 중심으로 차폭 방향으로 그 내측에는 반원 형상의 제2유압챔버(17)가 형성된다.The first insulator 15 is vulcanized and bonded between the first outer race 11 and the first inner race 13, and has a semicircle on the outside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inner race 11. A first hydraulic chamber 16 having a shape is formed, and a semicircular second hydraulic chamber 17 is formed inside the first inner race 13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여기서, 상기 제1,제2유압챔버(16)(17)에는 작동유체를 공급 및 배출하는 상기 제1,제2포트(18)(19)가 각각 형성된다.Here, the first and second hydraulic chambers 16 and 17 are formed with the first and second ports 18 and 19 for supplying and discharging a working fluid, respectively.

그리고 상기 토우각 가변 부시유닛(20)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아웃터 레이스(21), 제2인너 레이스(23), 제2인슐레이터(25), 및 제3,제4포트(28)(29)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4, the tow angle variable bush unit 20 includes a second outer race 21, a second inner race 23, a second insulator 25, and third and fourth ports. It consists of (28) (29).

상기 제2아웃터 레이스(21)는 상기 어시스트 암(107)이 연결되는 상기 너클(101)의 연결부에 일체로 고정된다.The second outer race 21 is integrally fixed to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knuckle 101 to which the assist arm 107 is connected.

상기 제2아웃터 레이스(21)의 내부에는 제2인너 레이스(23)가 구성된다.A second inner race 23 is formed inside the second outer race 21.

상기한 제2인너 레이스(23)는 상기 어시스트 암(107)과 조립볼트를 통하여 체결된다.The second inner race 23 is fastened to the assist arm 107 through the assembly bolt.

그리고, 상기 제2아웃터 레이스(21)와 제2인너 레이스(23) 사이에는 제2인슐 레이터(25)가 개재된다.A second insulator 25 is interposed between the second outer race 21 and the second inner race 23.

상기 제2인슐레이터(25)는 상기 제2아웃터 레이스(21)와 제2인너 레이스(23) 사이에 가류 접착되며, 내부에는 상기 제2인너 레이스(23)를 중심하여 차폭 방향으로 그 외측에 반원 형상의 제3유압챔버(26)를 형성하며, 상기 제2인너 레이스(23)를 중심으로 차폭 방향으로 그 내측에는 반원 형상의 제4유압챔버(27)가 형성된다.The second insulator 25 is vulcanized and bonded between the second outer race 21 and the second inner race 23, and has a semicircle on the outside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econd inner race 23. A third hydraulic chamber 26 having a shape is formed, and a semicircular fourth hydraulic chamber 27 is formed inside the second inner race 23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여기서, 상기 제3,제4유압챔버(26)(27)에는 작동유체를 공급 및 배출하는 제3,제4포트(28)(29)가 각각 형성된다.Here, the third and fourth hydraulic chambers 26 and 27 are formed with third and fourth ports 28 and 29 for supplying and discharging working fluid, respectively.

이와 같이 구성되는 캠버각 가변 부시유닛(10)과 토우각 가변 부시유닛(20)은 상기 제1,제2,제3,제4포트(18,19,28,29)가 각각 유압공급시스템(40)과 연결되는데, 상기 유압공급시스템(40)은 제어기(50)의 제어신호에 따라 유압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을 솔레노이드 밸브를 통하여 공급 및 차단하는 일반적인 구성을 갖는다.The camber angle variable bushing unit 10 and the tow angle variable bushing unit 2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ve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ports 18, 19, 28, and 29 respectively provided with a hydraulic supply system ( 40), the hydraulic pressure supply system 40 has a general configuration for supplying and blocking the hydraulic pressure supplied from the hydraulic pump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50 through the solenoid valve.

여기서, 상기 제어기(50)는 차량의 속도 및 조향각에 따라서 제어신호를 상기 유압공급시스템(40)에 출력하게 되며, 이 신호에 따라서 유압이 상기 제1, 제2, 제3,제4포트(18,19,28,29)를 통하여 상기 제1,제2,제3,제4유압챔버(16,17,26,27)에 공급 및 배출된다.Here, the controller 50 outputs a control signal to the hydraulic pressure supply system 40 according to the speed and the steering angle of the vehicle, and the hydraulic pressure is supplied to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ports according to the signal. It is supplied to and discharged from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hydraulic chambers 16, 17, 26 and 27 through 18, 19, 28 and 29.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멀티 링크타입 후륜 현가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는데 이하, 우측 현가장치와 좌측 현가장치로 나누어 설명한다.Therefore, the operation of the multi-link type rear wheel suspens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below.

먼저, 차량이 우측으로 선회할 경우, 도 5의 (S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 현가장치의 캠버각 가변 부시유닛(10)은 속도 및 조향각에 따라 상기 제어 기(5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통해서 상기 유압공급시스템(40)에 의해 유압이 상기 캠버각 가변 부시유닛(10)의 제2유압챔버(17)에 공급되어 그 부피가 증가하고, 상기 제1유압챔버(16)에서는 유압이 배출되면서 그 부피가 줄어들게 된다.First, when the vehicle turns to the right, as shown in FIG. 5 (S1), the camber angle variable bushing unit 10 of the right suspension is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50 according to the speed and the steering angle. The hydraulic pressure is supplied to the second hydraulic chamber 17 of the camber angle variable bushing unit 10 by the hydraulic pressure supply system 40 via a signal, and the volume thereof increases, and the hydraulic pressure is applied to the first hydraulic chamber 16. As it is released, its volume is reduced.

그러면 상기 제1인너 레이스(13)는 부피가 증가된 상기 제2유압챔버(17)에 의해 차폭 방향 외측으로 이동되고, 동시에, 상기 로워 컨트롤 암(103)도 같은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캠버각이 증가하게 된다.Then, the first inner race 13 is moved outward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by the second hydraulic chamber 17 having increased volume, and at the same time, the lower control arm 103 is also moved in the same direction (-) The angle will increase.

반면에, 좌측 현가장치의 캠버각 가변 부시유닛(10)은, 도 5의 (S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 현가장치와는 반대로 상기 캠버각 가변 부시유닛(10)의 제1유압챔버(16)에 유압이 공급되어 그 부피가 증가하고, 상기 제2유압챔버(17)에서는 유압이 배출되면서 그 부피가 줄어들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camber angle variable bushing unit 10 of the left suspension is, as shown in (S2) of Figure 5, as opposed to the right suspension, the first hydraulic chamber (10) of the camber angle variable bushing unit 10 ( Hydraulic pressure is supplied to 16 to increase the volume, and the volume is reduced while the hydraulic pressure is discharged from the second hydraulic chamber 17.

그러면 제1상기 인너 레이스(13)는 부피가 증가된 상기 제1유압챔버(16)에 의해 차폭 방향 내측으로 이동되고, 동시에, 상기 로워 컨트롤 암(103)도 같은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캠버각이 증가하게 된다.Then, the first inner race 13 is moved inward of the vehicle width direction by the first hydraulic chamber 16 having increased volume, and at the same time, the lower control arm 103 is also moved in the same direction while having a positive camber. The angle will increase.

그리고 상기 토우각 가변 부시유닛(20)은 상기 캠버각 가변 부시유닛(10)이 작동하는 것과는 반대로 작동하고, 이로 인해, 차량의 우측 선회 시, 우측 현가장치의 토우각 가변 부시유닛(20)은, 도 5의 (S2)와 같은 형상으로 변형되어 토우인(Toe-In)이 증가하게 된다.In addition, the tow angle variable bush unit 20 operates opposite to that of the camber angle variable bush unit 10. Therefore, when the vehicle is turned to the right, the tow angle variable bush unit 20 of the right suspension device , Toe-in is increased by being deformed into the shape as shown in FIG. 5 (S2).

반면에, 좌측 현가장치의 토우각 가변 부시유닛(20)은, 도 5의 (S1)과 같은 형상으로 변형되어 토우아웃(Toe-Out)이 증가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tow angle variable bushing unit 20 of the left suspension is deformed into a shape as shown in FIG. 5 (S1), thereby increasing the toe-out.

이에 따라서, 차량의 우측 선회 시, 차량 우측 바퀴는 상기 캠버각 가변 부 시유닛(10)과 토우각 가변 부시유닛(20)에 의해서 (-)캠버각 증가 및 토우인이 증가하며, 반대로 차량 좌측 바퀴에서는 (+)캠버각 증가 및 토우아웃이 증가하고, 차량의 좌측 선회 시에는 상기와 반대의 작동이 이루어지면서 횡력을 최대한 증가시켜주기 때문에 오버스티어나 언더스티어를 방지하여 보다 안전한 선회가 가능해 진다.Accordingly, when turning the right side of the vehicle, the right wheel of the vehicle is increased by the camber angle variable bushing unit 10 and the tow angle variable bushing unit (-) and the toe-in increases. The positive camber angle increases and the toe-out increases, and when the vehicle is turning to the left side, the reverse operation is performed while the lateral force is increased as much as possible, thereby preventing oversteering or understeering, thereby enabling safer turning.

또한, 차량의 직진 주행 시에는 캠버각 및 토우각을 상기 캠버각 가변 부시유닛(10)과 토우각 가변 부시유닛(20)을 통하여 0에 가깝게 제어하여 직진성을 향상시키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vehicle travels straight, the camber angle and toe angle are controlled to be close to zero through the camber angle variable bush unit 10 and the tow angle variable bush unit 20 to improve the straightnes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링크타입 후륜 현가장치에 의하면, 너클과 로워 컨트롤 암 및, 너클과 어시스트 링크의 각 연결부에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라 작동유체에 의해 제어되는 캠버각 가변 부시유닛과 토우각 가변 부시유닛을 적용하여 후륜의 캠버각과 토우각을 능동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오버스티어나 언더스티어를 방지하여 차량의 선회 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multi-link type rear wheel suspen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knuckle and the lower control arm, and the camber angle variable bush unit controlled by the working fluid according to the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at each connection portion of the knuckle and the assist link; By actively controlling the camber angle and toe angle of the rear wheel by applying the variable toe angle bushing unit,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overturning or understeer to improve the turning performance of the vehicle.

또한, 직진 시에는 캠버각 및 토우각을 0에 가깝게 제어하여 직진성을 향상시키는 등의 효과가 있다.In addition, when going straight, the camber angle and the tow angle are controlled to be close to zero, thereby improving the straightness.

Claims (3)

휠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너클과, 상기 너클을 차체와 연결하여 주는 로워 컨트롤 암 및 어퍼 컨트롤 암, 트레일링 암, 그리고 어시스트 링크를 포함하는 차량용 멀티 링크 타입의 후륜 현가장치에 있어서,In a vehicle multi-link type rear wheel suspension including a knuckle for rotatably supporting a wheel, a lower control arm and an upper control arm for connecting the knuckle to a vehicle body, a trailing arm, and an assist link, 상기 로워 컨트롤 암과 상기 너클의 연결부에 구성되어 작동 유체의 유압을 이용하여 상기 휠의 캠버각을 가변하는 캠버각 가변 부시유닛; 및A camber angle variable bush unit configured to connect the lower control arm and the knuckle to vary the camber angle of the wheel by using hydraulic pressure of a working fluid; And 상기 어시스트 링크와 상기 너클의 연결부에 구성되어 작동 유체의 유압을 이용하여 상기 휠의 토우를 가변하는 토우각 가변 부시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링크 타입의 차량용 후륜 현가장치.And a toe angle variable bushing unit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assist link and the knuckle to vary the toe of the wheel by using hydraulic pressure of a working flui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캠버각 가변 부시유닛은,The camber angle variable bush unit, 상기 로워 컨트롤 암이 연결되는 상기 너클의 연결부에 일체로 고정되는 제1아웃터 레이스;A first outer race fixed integrally with a connection portion of the knuckle to which the lower control arm is connected; 상기 제1아웃터 레이스 내부에서, 상기 로워 컨트롤 암이 체결되는 제2인너 레이스;A second inner race in which the lower control arm is fastened in the first outer race; 상기 아웃터 레이스와 인너 레이스 사이에 가류 접착되며 내부에는 상기 인너 레이스를 중심하여 차폭 방향으로 그 외측에 반원 형상의 제1유압챔버를 형성하 며, 상기 인너 레이스를 중심하여 차폭 방향으로 그 내측에 반원 형상의 제2유압챔버를 형성하는 제1인슐레이터; 및It is vulcanized and bonded between the outer race and the inner race, and forms a semicircular first hydraulic chamber on the outside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inner race therein, and a semicircle on the inner side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around the inner race. A first insulator forming a second hydraulic chamber of a shape; And 상기 제1, 제2유압챔버에 각각 연결되어 작동유체를 공급 및 배출하는 제1,제2포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링크타입 후륜 현가장치.Multi-link type rear wheel suspens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and second ports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hydraulic chamber, respectively, for supplying and discharging the working flui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토우각 가변 부시유닛은,The tow angle variable bush unit, 상기 어시스트 암과 상기 너클의 연결부에 일체로 고정되는 제2아웃터 레이스;A second outer race fixed integrally with a connection portion of the assist arm and the knuckle; 상기 아웃터 레이스 내부에서, 상기 어시스트 암이 체결되는 제2인너 레이스;A second inner race inside the outer race, to which the assist arm is fastened; 상기 아웃터 레이스와 인너 레이스 사이에 가류 접착되며 내부에는 상기 인너 레이스를 중심하여 차폭 방향으로 그 외측에 반원 형상의 제3유압챔버를 형성하며, 상기 인너 레이스를 중심하여 차폭 방향으로 그 내측에 반원 형상의 제4유압챔버를 형성하는 제2인슐레이터; 및It is vulcanized and bonded between the outer race and the inner race, and forms a semi-circular third hydraulic chamber on the outer side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inner race therein, and has a semicircle shape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around the inner race. A second insulator forming a fourth hydraulic chamber of the fuel cell; And 상기 제3, 제4유압챔버에 각각 연결되어 작동유체를 공급 및 배출하는 제3,제4포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링크타입 후륜 현가장치.And a third and fourth ports connected to the third and fourth hydraulic chambers respectively to supply and discharge the working fluid.
KR1020070058115A 2007-06-14 2007-06-14 Rear suspension system of multi-link type KR2008010996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8115A KR20080109965A (en) 2007-06-14 2007-06-14 Rear suspension system of multi-link typ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8115A KR20080109965A (en) 2007-06-14 2007-06-14 Rear suspension system of multi-link typ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9965A true KR20080109965A (en) 2008-12-18

Family

ID=40368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8115A KR20080109965A (en) 2007-06-14 2007-06-14 Rear suspension system of multi-link typ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109965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206342A1 (en) 2017-04-12 2018-10-1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Radführungslenker for a suspension of a vehicle
KR20190065639A (en) 2017-12-04 2019-06-12 주식회사 만도 Suspension system for use in vehicl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206342A1 (en) 2017-04-12 2018-10-1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Radführungslenker for a suspension of a vehicle
DE102017206342B4 (en) 2017-04-12 2023-04-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Wheel control arm for a wheel suspension of a vehicle
KR20190065639A (en) 2017-12-04 2019-06-12 주식회사 만도 Suspension system for use in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66563B1 (en) Stabilizer device and stabilizer system
US9399384B2 (en) Coupled torsion beam axle type of suspension system
US7878511B2 (en) Wheel suspension
US7717438B2 (en) Chassis system for a motor vehicle and method for driving dynamics regulation
JPS60169314A (en) Stabilizer for vehicle
KR20110108777A (en) Actuating device for active geometry control suspension system
US20130020772A1 (en) Individual Wheel Suspension With Automatic Camber Adaptation
KR20110103957A (en) Semi-trailing arm axle for a motor vehicle
JP2021194924A (en) Vehicular stabilizer system
JP2010512272A (en) Wheel suspension
CN109484125B (en) Vehicle suspension stabilizer and vehicle
KR20080109965A (en) Rear suspension system of multi-link type
JP2009234518A (en) Variable alignment angle vehicle
JP2569714B2 (en) Rear suspension for vehicles
KR20120032340A (en) Active geometry control suspension system
EP3118033B1 (en) Wheel suspension system with adjustable roll stiffness, typically for off-road vehicles
US2004004635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spending a vehicular wheel assembly
KR100507096B1 (en) Suspension system for vehicles
KR20110058462A (en) Suspension system for vehicle
KR100650320B1 (en) Apparatus for controling toe-angle of rear wheel in automobile
JPS60179320A (en) Rear suspension structure for car
KR100412712B1 (en) Rear multi-link suspension having a dual upper arm
JPH02283509A (en) Macpherson strut type suspension
WO2020095869A1 (en) Strut suspension device for in-wheel motor drive device
KR100962202B1 (en) Multi-link type rear suspens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