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9809A - 전력 관리를 이용하는 다중 캐스트 및 브로드캐스트 트래픽 - Google Patents

전력 관리를 이용하는 다중 캐스트 및 브로드캐스트 트래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9809A
KR20080109809A KR1020087024240A KR20087024240A KR20080109809A KR 20080109809 A KR20080109809 A KR 20080109809A KR 1020087024240 A KR1020087024240 A KR 1020087024240A KR 20087024240 A KR20087024240 A KR 20087024240A KR 20080109809 A KR20080109809 A KR 200801098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ffic
received
different types
time interval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4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노즈 엠. 데시판데
알나우디 메이란
란지쓰 자야람
산지브 난다
Original Assignee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80109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98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04L12/1845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broadcast or multicast in a specific location, e.g. geo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61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 H04L65/611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for multicast or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01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accessing one among a plurality of replicated servers
    • H04L67/10015Access to distributed or replicated servers, e.g. using bro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5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ine communication networks, e.g. low power modes or reduced link r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 트래픽은 상이한 타입들의 트래픽 및 상이한 타입들의 트래픽과 각각 관련된 상이한 송신 스케줄들로 분류된다. 상이한 타입들의 브로드캐스트 및 멀티캐스트 트래픽은 802.11 기반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도 있는데, 여기서 액세스 포인트는 브로드캐스트 및 멀티캐스트 트래픽을 상이한 타입들로 분류하고, 상이한 송신 스케줄들을 상이한 트래픽 타입들 각각으로 할당하도록 구성된다. 그로 인해 관련된 무선국은 무선국이 수신을 위해 선택한 트래픽의 타입들의 전달 시간들에 대응하는 간격에서만 전력 절약 모드로부터 웨이크한다. 소정의 특징들에서, 브로드캐스트 및 멀티캐스트 트래픽의 상이한 타입들은 사용자 평면 트래픽 및 제어 평면 트래픽을 포함할 수도 있다.

Description

전력 관리를 이용하는 다중 캐스트 및 브로드캐스트 트래픽{MULTICAST AND BROADCAST TRAFFIC WITH POWER MANAGEMENT}
본 발명은 "STANDBY TIME IMPROVEMENTS FOR WLAN,"라는 명칭으로 2006년 3월 3일 출원된 미국 가출원 60/779,235, "STANDBY TIME IMPROVEMENTS FOR WLAN,"라는 명칭으로 2006년 3월 7일 출원된 미국 가출원 60/779,824, 및 "STANDBY POWER MANAGEMENT,"라는 명칭으로 2006년 4월 27일 출원된 미국 가출원 60/795,846을 우선권으로 청구하며, 이들 각각은 본 발명의 양수인에게 양도되었으며, 본 명세서에 참조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통신에 관한 것이며, 특히 대기 시간을 증가시키기 위해 트래픽을 상이한 타입의 트패픽으로 분류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전자 장치는 다른 전자 장치들과 정보를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장치는 방송전파(airwave)를 통해 다른 장치와 통신하기 위해 IEEE802.11과 같은 무선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도 있다.
무선 애플리케이션에서, 모바일 장치가 배터리 재충전 사이에 동작할 수 있는 시간의 양을 증가시키는 것은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모바일 장치는 두 상태 중 하나에서 동작한다. 토크-시간은 일반적으로 모바일 장치가 호가 진행 중일 때와 같이 사용자 트래픽을 송신 또는 수신하는데 활발히 참가하는 때를 의미한다. 대기 시간은 통상적으로 모바일 장치가 능동 통신(active communication) 상태가 아니지만, 완전하게 턴오프된 상태가 아닌 것을 의미한다. 대기 시간 동안, 모바일 장치는 시그널링과 같은 트래픽의 소정 타입들을 여전히 송신 및 수신한다. 모바일 장치의 동작 시간을 증가시키는 통상의 방법은 상대적으로 큰 배터리를 모바일 장치에 포함시키는 것이다. 유감스럽게도, 이러한 방법은 모바일 사용자에게 비용 부담과 불편함을 줄 수도 있다.
IEEE 802.11 계열에서와 같은 통신 프로토콜은 모바일 장치가 데이터를 능동적으로 송신 또는 수신하지 않을 때 모바일 장치를 전력 절약 모드로 전환하게 하는 절차를 한정함으로써 무선 통신 장치에서 전력 절약을 지원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장치에 대해 프레임들을 제공하는 802.11 기반 액세스 포인트는 모바일 장치가 전력 절약 모드에 있을 때 프레임들을 버퍼링할 수도 있다. 게다가, 프로토콜들의 802.11 계열은, 전력 절약 모드로부터 표준 동작 모드로 전환시, 모바일 장치가 프레임들을 송신 및 수신하도록 통신 채널을 액세스하게 하는 절차를 한정한다.
순방향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 트래픽의 경우, 액세스 포인트는 액세스 포인트의 서비스 세트(예를 들어,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관련된 모든 802.11 기반 국들의 세트)의 소정의 모바일 장치가 전력 절약 모드에 있는 경우 트래픽을 일시적으로 버퍼링할 것이다. 이러한 경우, 액세스 포인트는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 티캐스트 트래픽을 미리 결정된 간격들로 모바일 장치들에 전송할 것이다. 따라서, 전력 절약 모드에서 소정의 모바일 장치는 버퍼링된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를 수신하기 위해 미리 결정된 인터벌들에서 웨이크(wake)할 수도 있다.
소정의 애플리케이션들에서, 소정의 모바일 장치의 사용자는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 트래픽의 일부를 수신하기를 희망만을 할 수도 있다. 그러나 통상의 802.11 기반 방식에서, 모바일 장치는 사용자가 관심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 트래픽 모두를 수신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의도된 매 간격마다 전력 절약 모드로부터 웨이크하도록 구성될 것이다. 그 결과로, 모바일 장치의 대기 시간은 어웨이크(awake)해서 종종 원치 않는 트래픽일 수도 있는 것을 수신할 필요로 인해 감소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선택된 특징들이 이하에 개시된다. 편의상,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특징은 간단히 "일 특징" 또는 "특징"들로 개시된다.
소정의 특징들에서,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 트래픽은 상이한 타입의 트래픽으로 분류된다. 게다가, 상이한 송신 스케줄들은 트래픽의 상이한 타입들 각각과 관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일 타입의 트래픽이 제1 시간 간격에서 전송될 수도 있는 반면, 다른 타입의 트래픽은 제2 시간 간격에서 전송될 수도 있으며, 여기서, 제2 시간 간격은 제1 시간 간격보다 더 길다. 이러한 방식으로, 트래픽의 상이한 타입들(예를 들어 다른 타입)의 선택된 부분만을 수신하기를 원하는 장치는 트래픽의 선택된 타입(들)과 관련된 간격들에서 전력 절약 모드로부터 웨이크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상이한 타입의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 트래픽은 예를 들어, 스트리밍 데이터를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로 전송된 데이터로 구성될 수도 있다. 편의상, 데이터의 이러한 상이한 타입들(예를 들어, 데이터 스트림들의 상이한 타입들)은 간단히 "트래픽"의 상이한 타입들로 언급될 것이다.
소정의 특징에서, 브로드캐스트 및 멀티캐스트 트래픽의 상이한 타입들은 802.11 기반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액세스 포인트는 트래픽을 상이한 타입들로 분류하기 위해 수신된 다운링크 브로드캐스트 및 멀티캐스트 트래픽을 필터링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게다가, 액세스 포인트는 송신 스케줄이 상이한 주기성들을 갖도록 상이한 타입들 각각에 대해 상이한 송신 스케줄들을 할당할 수도 있다.
무선국은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의 상이한 타입들을 수신하도록 적응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특징에서 액세스 포인트는 트래픽의 상이한 타입들을 한정하는 알려진 분류 방식을 구현한다. 이러한 경우, (예를 들어, 서비스 또는 소정의 다른 시간에 배치될 때) 무선국은 이러한 정보로 구성될 수도 있다. 무선국은 또한 트래픽의 상이한 타입들을 "학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무선국은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지원된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 트래픽의 상이한 타입들을 수신하기 위해 액세스 포인트와 관련될 수도 있다. 여기서, 무선국은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 트래픽의 상이한 타입들의 유용성과 관련하여 액세스 포인트로 질문을 전송할 수도 있다. 이러한 질문과 관련하여, 무선국은 액세스 포인트 및 관련된 송신 스케줄들에 의해 지원된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의 상이한 타입들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이어 무선국은 하나 이상의 트래픽 타입을 수신하도록 선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무선국은 무선국이 수신하기 위해 선택한 트래픽의 타입들의 전달 시간들에 대응하는 간격에서만 전력 절약 모드로부터 웨이크할 수도 있다.
소정의 특징들에서, 브로드캐스트 및 멀티캐스트 트래픽의 상이한 타입들은 사용자 평면 트래픽 및 제어 평면 트래픽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평면 트래픽은 스트리밍 데이터, 오디오, 비디오 또는 소정의 다른 유사한 트래픽을 포함할 수도 있다. 대조적으로, 제어 평면 트래픽은 예를 들어, 접속성, 토폴로지, 경로 발견, 주소 결정 프로토콜(ARP), 동적 호스트 설정 프로토콜(DHCP), 페이징, 또는 다른 유사한 동작들과 관련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제어 평면 트래픽은 사용자 평면 트래픽보다 덜 빈번하게 전송될 수도 있다. 결론적으로, 무선국은 제어 평면 트래픽을 여전히 수신하면서 사용자 평면 트래픽을 무시하도록 선택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무선국의 대기 시간은, 무선국이 사용자 평면 트래픽 영역을 수신하기 위해 전력 절약 모드로부터 어웨이크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개선될 수도 있으며, 덜 빈번하고 더 짧은 웨이크 시간을 초래한다.
브로드캐스트 및 멀티캐스트 트래픽은 다양한 기준에 따라 분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특징들에서, 액세스 포인트는 하나 이상의 프로토콜 타입, 소스 주소, 목적지 주소, 소스 포트, 목적지 포트, 서비스 타입, 트래픽의 주파수, 트래픽과 관련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소정의 다른 적절한 기준에 기초하여 트래픽의 상이한 타입들을 식별할 수도 있다.
소정의 특징에서,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 트래픽을 수신하는 방법은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 트래픽의 다수의 상이한 타입들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이한 송신 스케줄들은 트래픽의 상이한 타입들과 관련된다.
소정의 특징들에서, 장치는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의 다수의 상이한 타입들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도록 적응된 수신기, 및 송신 스케줄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에 따라 트래픽의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수신을 스케줄링하도록 적응된 스케줄러를 포함하는데, 상이한 송신 스케줄들은 트래픽의 상이한 타입들과 관련된다.
소정의 특징들에서, 장치는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 트래픽의 다수의 상이한 타입들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수단, 및 송신 스케줄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에 따라 트래픽의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수신을 스케줄링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상이한 송신 스케줄들은 상이한 타입의 트래픽과 관련된다.
소정의 특징들에서, 명령들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 트래픽의 다수의 상이한 타입들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기 위한 제1 명령 세트를 포함하며, 상이한 송신 스케줄들은 트래픽의 상이한 타입들과 관련된다.
소정의 특징들에서, 분류된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 트래픽을 제공하는 방법은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 트래픽을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트래픽을 트래픽의 상이한 타입들로 분류하는 단계, 및 상이한 송신 스케줄을 트래픽의 상이한 타입들과 관련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소정의 특징들에서, 장치는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를 수신하도록 적응된 수신기, 수신된 트래픽을 트래픽의 상이한 타입들로 분류하도록 적응된 분류기, 및 관련된 상이한 송신 스케줄들을 트래픽의 상이한 타입들과 관련시키도록 적응된 스케줄러를 포함한다.
소정의 특징들에서, 장치는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를 수신하는 수단, 수신된 트래픽을 트래픽의 상이한 타입들로 분류하는 수단, 및 상이한 송신 스케줄들을 트래픽의 상이한 타입들과 관련시키는 수단을 포함한다.
소정의 특징들에서, 명령들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 트래픽을 수신하기 위한 제1 명령 세트, 수신된 트래픽을 트래픽의 상이한 타입들로 분류하는 제2 명령 세트, 및 상이한 송신 스케줄들을 트래픽의 상이한 타입들과 관련시키는 제3 명령 세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들, 특성들 및 장점이 이하의 상세한 설명, 첨부한 청구항들 및 도면들을 고려할 때 더욱 완전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1은 트래픽의 상이한 타입들로 분류된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 트래픽을 이용하는 통신 시스템의 몇몇 예로든 특징들의 간략화된 블록도이다.
도2는 트래픽의 상이한 타입들로 분류된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 트래픽과 관련되어 실시될 수도 있는 동작의 특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3은 액세스 포인트의 몇몇 예로든 특징들의 간략화된 블록도이다.
도4는 무선국의 특징을 나타낸 간략화된 블록도이다.
도5는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해 실시될 수도 있는 동작의 특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6은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는 동작의 특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7은 무선국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는 동작의 특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8은 다수의 무선 프로토콜들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의 몇몇 특징을 나타낸 간략화된 블록도이다.
도9는 트래픽의 상이한 타입들로 분류된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를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의 몇몇 특징을 나타낸 간략화된 블록도이다.
공통적인 실시에 따라, 도면에 도시된 다양한 특징들은 스케일링되지 않을 수도 있다. 결론적으로, 다양한 특징들의 치수는 명확화를 위해 임의로 확장 또는 감소될 수도 있다. 게다가, 소정의 도면들은 명확화를 위해 간략화될 수도 있다. 따라서, 도면들은 소정의 장치 또는 방법의 컴포넌트 모두를 도시하지 않을 수도 있다. 끝으로, 동일한 참조 번호는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을 통해 동일한 특징을 나타내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들이 이하에 개시된다. 개시된 기술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개시된 특정 구조 및/또는 기능은 단지 대표적으로 개시된 것임이 명백하다. 개시된 기술들에 기초하여,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개시된 특징이 다 른 특징과는 독립적으로 그리고 이러한 특징들 중 두 개 이상이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장치 및 방법이 설명된 소정의 특징을 이용하여 구현 및/또는 실행될 수도 있다. 게다가, 장치 및 방법은 설명된 하나 이상의 특징에 부가하여 또는 그 외의 특징으로 다른 구조 및/또는 기능들을 사용하여 실행 및/또는 실시될 수도 있다.
도1은 시스템(100)의 소정의 특징을 도시하는데, 여기서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 트래픽은 트래픽의 상이한 타입들로 분류된다. 시스템(100)은 하나 이상의 관련된 사용자 장치들(예를 들어, 액세스 터미널들)과 통신하는 네트워크 액세스 장치(102)를 포함한다. 편의를 위해, 사용자 장치의 다양한 특징들은 사용자 장치(104)를 참조하여 개시될 것이다. 사용자 장치(104)로 향하는 트래픽(예를 들어, 프레임들, 패킷들 등의 형태의 데이터)은 액세스 장치(102)를 통해 라우팅된다. 예를 들어, 액세스 장치(102)는 링크(106)를 통해 광역 네트워크("WAN")로부터 트래픽을 수신할 수도 있다. 택일적으로, 액세스 장치(102)는 다른 사용자 장치 또는 소정의 다른 장치(미도시)로부터 사용자 장치(104)로 향하는 트래픽을 수신할 수도 있다. 이어 액세스 장치(102)는 링크(108)를 통해 트래픽을 사용자 장치로 전달한다. 사용자 장치는 또한 사용자 설비(UE), 액세스 터미널, 국(STA), 무선 통신 장치, 터미널, 사용자 터미널, 모바일 설비, 가입자국, 또는 소정의 다른 용어로 지칭될 수도 있다. 사용자 장치는 셀룰러 폰, 스마트폰, 코드리스 전화, 랩탑 컴퓨터, PDA, 무선 장치, 무선 모뎀, 모자일 장치, 핸드셋, 휴대용 장치, 위성 라디오, GPS, 또는 소정의 다른 통신 장치일 수도 있다.
전력을 보존하기 위해, 그리고 그로 인해 사용자 장치(104)의 대기 시간을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자 장치(104)는 트래픽을 전송 또는 수신하지 않을 때 전력 절약 모드로 전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장치(104)의 컴포넌트들의 적어도 일부는 이때 지연 상태 또는 전력 다운 상태로 스위칭될 수도 있다. 특정 애플리케이션에서, 수신기(110)와 같은 낮은 계층의 컴포넌트(예를 들어, 라디오 컴포넌트)들은 전력을 보존하기 위해 지연 상태로 스위칭될 수도 있다.
사용자 장치(104)는 때때로 트래픽을 전송 또는 수신하기 위해 전력 절약 모드로부터 웨이크한다. 예를 들어, 액세스 장치(102)는 소정의 사용자 장치들(예를 들어, 사용자 장치(104))이 전력 절약 모드에 있을 때 사용자 장치들로 향하는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 트래픽을 버퍼링할 수도 있다. 게다가, 액세스 장치(102)는 의도된 간격에서 사용자 장치로 버퍼링된 트래픽을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각각의 사용자 장치는 트래픽을 수신하기 위해 의도된 간격들에서 자신의 전력 절약 모드로부터 웨이크하도록 구성된다.
소정의 애플리케이션들에서, 주어진 사용자 장치는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 트래픽의 일부를 수신할 필요가 없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 트래픽은 제어 평면 트래픽(예를 들어, ARP 트래픽 또는 다른 관리-관련 트래픽), 사용자 평면 트래픽(예를 들어, 스트리밍 오디오 또는 비디오) 및 아마도 소정의 다른 타입의 트래픽을 포함할 수도 있다. 소정의 예에서, 사용자 장치는 사용자 평면 트래픽을 수신하는데 관심이 없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주어진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를 수신하기 위해 예약하지 않을 수도 있다. 다른 예로서, 사용자는 현재 비디오 스트리밍을 보기를 원하지 않을 수도 있다. 결론적으로, 액세스 장치(104)는 사용자 평면 트래픽 또는 소정의 다른 원치 않는 트래픽을 송신할 때 사용자 장치가 전력 절약 모드에 유지되도록 규정이 만들어질 수도 있다.
소정의 특징들에서, 액세스 장치(102)는 사용자 장치들로 향하는 트래픽을 상이한 트래픽 타입들로 분류할 수도 있다. 여기서, 액세스 장치(102)는, 액세스 장치(102)가 트래픽의 주어진 인스턴스를 수신할 때, 액세스 장치(102)가 상기 트래픽을 한정된 트래픽 타입들 중 하나로 분류하도록 둘 이상의 트래픽 타입들을 한정한다. 게다가, 액세스 장치(102)는 상이한 시간들에서 상이한 트래픽 타입들을 송신할 수도 있다. 결론적으로, 사용자 장치가 트래픽의 하나 이상의 상이한 타입들을 수신하기를 원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 장치(104)는 액세스 장치(102)가 트래픽의 원치 않는 타입들을 송신할 때 전력 절약 모드에 유지하도록 선택할 수도 있다.
개시된 다양한 특징들은 도1 및 도2의 흐름도와 관련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2A는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 트래픽을 상이한 트래픽 타입들로 분류하기 위해 실행될 수도 있는 동작과 관련된다. 도2B는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 트래픽의 하나 이상의 상이한 타입들을 선택적으로 수신하기 위해 실행될 수도 있는 동작과 관련된다. 편의상, 도2의 동작(및 소정의 다른 흐름도)은 특정 컴포넌트들과 관련하여 설명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동작이 다른 컴포넌트와 관련 및/또는 사용하여 실행될 수도 있다.
초기에, 도2A의 블록(20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 트래픽은 예를 들어, 다른 통신 장치와 같은 소스로부터 수신된다. 도1의 예에서, 액세스 장치(104)는 링크(106)를 통해 WAN으로부터 또는 소정의 다른 소스(미도시)로부터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 트래픽을 수신할 수도 있다.
블록(20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된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 트래픽은 상응하게 지원된 트래픽 타입들로 분류된다. 예를 들어, 도1에서, 트래픽 분류기(112)는 수신된 트래픽을 트래픽의 두 타입들 중 하나로 분류할 수도 있다. 이어 트래픽 분류기(112) 및/또는 관련된 컴포넌트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장치가 전력 절약 모드에 있을 때 (두 트래픽 타입들(114 및 116) 중 하나로 표시된) 수신된 트래픽을 트래픽 버퍼(118)에 저장한다.
트래픽의 상이한 타입들은 상이한 송신 스케줄들과 관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타입의 트래픽은 소정의 주기성을 갖는 소정의 간격으로 송신되도록 스케줄링될 수도 있다. 제2 타입의 트래픽은 상이한 주기성을 갖는 상이한 간격으로 전송되도록 스케줄링될 수도 있다. 도1에 설명된 바와 같이, 액세스 장치(102)는 트래픽 타입 및 각각의 트래픽 타입(122 및 124)에 대해 관련된 송신 스케줄 정보(120)를 유지할 수도 있다.
따라서, 블록(206)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트래픽 타입은 관련된 송신 스케줄에 따라 사용자 장치들(또는 다른 장치들)에 송신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1에서, 스케줄러(126)는 스케줄 정보(122)에 의해 한정된 간격으로 버퍼링된 타입1 트래픽(114)의 송신을 개시할 수도 있다. 유사하게, 스케줄러(126)는 스 케줄 정보(124)에 의해 한정된 간격으로 버퍼링된 타입2 트래픽(116)의 송신을 개시할 수도 있다.
이제, 도2B를 참조하면, 블록(208)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블록(206)에서 송신된 트래픽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는 장치는 트래픽의 하나 이상의 상이한 타입들을 수신하도록 선택할 수도 있다. 도1에서, 수동 또는 자동 제어하에서, 트래픽 타입 선택기(128)는 사용자 장치(104)에 의해 수신될 트래픽의 타입들을 결정한다. 따라서, 트래픽 타입 선택기(128)는 예를 들어, 트래픽 타입2를 수신만하도록 선택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력을 보존하기 위해, 장치는 트래픽을 송신 또는 수신하지 않을 때 전력 절약 모드(또는 소정의 다른 유사한 모드 또는 상태)로 진입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 장치(104)는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기 위해 상태 제어기(130)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태 제어기(130)는 웨이크 모드(예를 들어, 표준, 활성 상태), 전력 절약 모드(예를 들어, 지연 또는 슬립 상태) 또는 소정의 다른 모드 사이에서 수신기(110)를 스위칭할 수도 있다.
블록(210)으로 표현된 바와 같이, 장치는 전력 절약 모드로부터 트래픽의 선택된 타입을 수신하기 위해 적절한 시기에 전력 절약 모드로부터 웨이크 모드로 전환할 수도 있다. 여기서, 주어진 트래픽 타입에 대한 적절한 웨이크 시기는 사용자 장치(104)에 저장된 대응하는 파라미터들(132 및 134)로부터 유도될 수도 있다. 예로써, 선택기(128)가 타입2 트래픽을 선택한 경우, 상태 제어기(130)는 수신기(110)로 하여금 타입2 트래픽 간격(134)에 의해 한정된 시간 간격으로 웨이크 모 드로 전환하게 할 수도 있다.
따라서, 블록(212)으로 표현된 바와 같이, 수신기는 트래픽의 선택된 타입을 수신할 수 있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기(110)는 트래픽의 선택된 타입들만을 획득하도록 링크(108)를 통해 트래픽을 수신하도록 활성화될 수도 있다. 일단 이러한 트래픽이 수신되면, 사용자 장치(104)는 전력 절약 모드로 복귀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사용자 장치(104)는 타입1 트래픽을 수신하기 위해 웨이크할 필요가 없다. 결론적으로, 사용자 장치(104)의 대기 시간은, 사용자 장치가 더 많은 통상의 방식에 대조적으로 더 긴 기간의 시간에 대해 전력 절약 모드에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향상될 수도 있는데, 여기서 사용자 장치(104)는 액세스 장치(102)에 의해 송신된 모든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 트래픽을 체크 및/또는 분석하기 위해 웨이크할 수도 있다.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 트래픽을 상이한 타입의 트래픽으로 분류하는 것을 포함하는 장치 또는 방법은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편의상, 추가의 상세 설명은 802.11 기반 시스템의 환경에서 개시될 것이다. 그러나 개시된 기술적 특징은 설명된 시스템 또는 컴포넌트 및 동작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이해할 것이다.
802.11 기반 시스템에서, 도1의 액세스 장치(102)는 액세스 포인트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사용자 장치(104)는 무선국을 포함할 수도 있다. 각각의 이러한 컴포넌트들은 도3 및 4와 관련하여 더욱 상세하게 논의될 것이다.
도3은 액세스 포인트(300)의 몇몇 특징들을 개시한다. 액세스 포인트(300) 는 분류기(302), 트래픽 버퍼(304) 및 스케줄러(306)와 도1의 대응하는 컴포넌트들과 유사할 수도 있는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한다. 간략하게, 액세스 포인트(300)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로부터 다운 링크 트래픽을 수신하는 수신기(308)(도3의 우상부 부분)를 포함한다. 분류기(302)는 수신된 트래픽을 상이한 송신 스케줄과 관련한 트래픽의 상이한 타입들로 분류한다. 액세스 포인트의 서비스 세트에서 소정의 국들이 전력 절약 모드에 있을 때, 액세스 포인트(300)는 분류된 트래픽을 트래픽 버퍼(304)에 저장한다. 이어, 각각의 송신 스케줄들에 기초하여, 스케줄러(306)는 상이한 타입들의 트래픽을 서비스 세트의 국들로 송신하기 위해 송신기와 협력한다.
도4는 무선국(400)의 몇몇 특징들을 개시한다. 국(400)은 수신기(402), 트래픽 타입 선택기(404), 및 국 제어기(406) 및 도1에 대응하는 컴포넌트들과 유사할 수도 있는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한다. 수신기(402)(도4의 우하부 일부)는 라인(408)으로 표현된 바와 같이 802.11 기반 채널을 통해 송신기(310)에 의해 송신된 트래픽을 수신하기 위해 적용된다. 선택기(404)에 의한 선택에 기초하여, 상태 제어기(406)는 수신기(402)로 하여금 선택된 타입의 트래픽을 수신하도록 적절한 간격으로 전력 절약 모드로부터 웨이크하게 할 수도 있다.
다양한 동작 예들은 도5, 6, 7 및 8의 흐름도와 관련하여 더욱 상세하게 논의될 것이다. 도5는 액세스 포인트 및 관련된 국들을 구성하도록 실행될 수도 있는 다양한 동작 특징들과 관련한다. 도6은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는 다양한 동작 특징들과 관련한다. 도7은 특정 타입의 트래픽을 수신하기 위해 국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는 다양한 동작 특징들과 관련한다. 도8은 상이한 타입의 트래픽을 수신하기 위해 국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는 동작들의 다양한 특징과 관련한다.
도5를 참조하면, 블록(502)에 의해 표현된 바와 같이, 무선국("STA")이 액세스 포인트("AP")의 커버리지 영역으로 진입할 때, 국 및 액세스 포인트는 관련 절차(블록 504)를 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컴포넌트들은 소정의 방식으로 통신하기 위해 및/또는 다양한 기능들을 지원하기 위해 협상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도4의 국(400)은 802.11 기반 채널을 통해 통신들을 구축하기 위해 도3의 액세스 포인트(300)와 통신하도록 적용되는 미디어 액세스 제어기(410)를 통합할 수도 있다. 도3 및 4의 복잡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다양한 통상적인 동작에 포함될 수도 있는 다른 컴포넌트들은 도시되지 않는다.
블록(506)에 의해 표현된 바와 같이, 소정의 다른 시간 또는 절차와 관련하여, 국은 자신이 상이한 타입들로 분류된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를 수신하는데 관심 있음을 액세스 포인트에 선택적으로 통보할 수도 있다. 도3 및 4의 예에서, 국(400)에서 지연된 트래픽 타입 식별기 컴포넌트(412)는 액세스 포인트(300)가 분류된 트래픽을 지원할 지를 결정하기 위해 액세스 포인트(300)로 질문을 전송할 수도 있다.
블록(508)에 의해 표현된 바와 같이, 액세스 포인트는 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논의될 하나 이상의 기준에 기초하여, 멀티캐스트 트래픽을 상이한 타입들의 트래픽으로 분류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액세스 포인트(300)가 이러한 분류된 트 래픽을 지원하는 경우, 액세스 포인트(300)는 데이터 메모리(316)에서 지원된 트래픽 타입들(312) 및 관련된 송신 스케줄들(예를 들어, 시간 간격 정보)과 관련한 정보를 유지할 수도 있다. 소정의 구현들에서, 액세스 포인트(300)는 사이트의 요구들에 따라 트래픽을 분류하기 위해 시스템 관리자에 의해 정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소정의 경우, 국(400)(예를 들어, 식별자(412)) 및 액세스 포인트(300)는 상이한 타입들의 트래픽 및 관련된 송신 스케줄들을 사용하기 위해 협상할 수도 있다. 이러한 협상을 통해, 국(예를 들어, 식별자(412))은 액세스 포인트(300)로부터 송신 스케줄 정보 및 트래픽 타입을 획득하고 데이터 메모리(418)에서 관련된 스케줄들(416) 및 지원된 트래픽 타입들(414)과 관련한 대응하는 엔트리들을 절약할 수도 있다.
블록(506)의 예와 대안적으로, 국(400)은 상이한 트래픽 타입들과 관련한 정보를 갖는 소정의 다른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300)는 트래픽의 상이한 타입들을 한정하기 위한 알려진 분류 방식을 구현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국(400)은 자신이 서비스 또는 소정의 다른 시간에 배치될 때 이러한 분류 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택일적으로, 국(400)은 이러한 분류 방식을 "학습(learn)"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트래픽은 소정의 시스템의 요구에 기초하여 다양한 상이한 타입들로 분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특징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일 타입의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 트래픽은 사용자 평면 트래픽으로서 한정될 수도 있다. 이러 한 트래픽은 예를 들어, 스트리밍 데이터, 오디오 또는 비디오와 같은 사용자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트래픽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트래픽은 예를 들어, 텔레비전 또는 라디오 브로드캐스트, 서버, 또는 소정의 다른 소스로부터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 평면 트래픽은 콘텐츠의 전달에 포함될 수도 있는 동작들과 관련한 트래픽 및/또는 전달되는 콘텐츠와 관련된 트래픽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타입의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는 제어 평면 트래픽으로 한정될 수도 있다. 이러한 트래픽은 국의 액세싱 관리 또는 동작 중 하나 이상과 관련한 트래픽을 포함할 수도 있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타입의 트래픽은 네트워크 브로드캐스트 트래픽의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소정의 특징들에서, 제어 평면 트래픽은 국의 접속성, 토폴로지, 경로 발견, 주소 결정 프로토콜("ARP"), 동적 호스트 설정 프로토콜(DHCP), 프레즌스(presence) 또는 페이징 중 하나 이상과 관련된 트래픽을 포함한다. 프레즌스의 예는 인스턴트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에서 이용가능한 콘택들의 리스트를 제공하는 것과 관련한다.
기술적 특징과 관련하여, 트래픽이 본 명세서에서 특정하게 설명된 트래픽 타입이 아니거나, 및/또는 이를 포함하는 다양한 타입으로 분류될 수도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소정의 국들은 콘텐츠의 소정 타입들을 수신하는데 관심을 가질 수도 있다. 그에 따라, 트래픽은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 트래픽의 특정 콘텐츠에 기초하여 분류될 수도 있다. 유사하게, 소정의 국들은 소정 타입들의 관리 트래픽을 수신하는데 관심을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트래픽은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 트래픽을 통해 국들로 전송될 수도 있는 상이한 타 입들의 관리 트래픽에 기초하여 분류될 수도 있다.
더욱이, 소정의 시스템의 요구에 기초하여, 트래픽은 소정 수의 타입들로 분류될 수도 잇다. 즉, 트래픽은 2, 3 또는 더욱 상이한 타입들로 분류될 수도 있다.
또한, 송신 스케줄들의 다양성은 트래픽의 각 타입과 관련될 수도 있다. 통상적으로, 상이한 송신 스케줄들이 각 타입과 관련될 수도 있다. 그러나 소정의 경우, 동일한 송신 스케줄을 둘 이상의 타입들에 할당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이러한 송신 스케줄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한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경우, 송신 스케줄은 소정 타입의 트래픽이 반복적으로 송신되는 시간 간격을 한정할 수도 있다. 택일적으로, 송신 스케줄은 소정 타입의 트래픽이 송신되는 시간들의 더 많은 랜덤한 스케줄을 한정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각각의 송신 스케줄은 상이한 트래픽 타입들의 송신의 일부가 조화되도록 송신 스케줄들 중 하나의 배수이다. 예를 들어, 제1 시간 간격은 액세스 포인트가 가장 빈번하게 송신하는 트래픽과 관련될 수도 있다.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지원된 소정의 다른 시간 간격은 제1 시간 간격의 배수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2 시간 간격은 제1 시간 간격의 두 배 일 수도 있는 반면, 제3 시간 간격은 제1 시간 간격의 3배일 수도 있다. 게다가, 제2 및 제3 시간 간격들은 이들이 제1 시간 간격과 일치하도록 한정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에서, 상이한 송신 스케줄들에서 상이한 트래픽 타입들을 지원하지 않는 레거시 국은, 자신의 정적 웨 이크 간격을 제1 시간 간격으로 설정함으로써,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버퍼링되고 송신된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 모두를 수신할 수도 있다.
소정 타입의 트래픽의 송신 스케줄은 트래픽의 송신 특성들에 의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는 다른 타입들의 트래픽보다 더욱 빈번하게 소정 타입들의 트래픽을 수신할 수도 있다. 게다가, 액세스 포인트는 상대적으로 일정한 간격들로 소정 타입들의 트래픽을 수신하고 더욱 불규칙하게 다른 타입들의 트래픽을 수신할 수도 있다. 스트리밍 트래픽(예를 들어, 오디오 또는 비디오 브로드캐스트)은 트래픽의 이전 타입의 통상적인 예이다.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에서, 이러한 타입의 트래픽은 100ms 이하의 간격들로 스트리밍될 수도 있다. 관리 트래픽은 트래픽의 후자의 타입의 통상적인 예이다. 이러한 타입의 트래픽은 통상적으로 특성상 버스티하며 일반적으로 평균하여 작은 양의 정보의 전달을 포함한다. 결론적으로, 액세스 포인트는 시간에 따른 데이터의 대량 이송을 포함하고, 및/또는 상대적으로 빈번하게 수신되는 트래픽에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 간격을 할당할 수도 있다. 역으로, 액세스 포인트는 시간에 따라 데이터의 소량 이송을 포함하고, 및/또는 덜 빈번하게 수신되는 트래픽에 더 긴 시간 간격을 할당할 수도 있다.
도5를 다시 참조하면, 블록(510 및 512)으로 표현된 바와 같이, 일단 국이 분류된 트래픽 정보를 수신하면, 국은 하나 이상의 지원된 트래픽 타입들을 수신하기 위해 선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4에서 라인(420)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트래픽 타입 선택기(404)는 지원된 트래픽 타입 정보(414)를 액세스할 수도 있다. 이어 트래픽 타입 선택기(404)는 지원된 트래픽 타입들(414)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할 수도 있으며, 라인(422)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선택 정보를 스케줄러 컴포넌트(424)로 제공한다.
트래픽 타입 선택기(404)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또는 소정의 다른 적절한 방식으로 자동으로 선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국(400)은 사용자가 국(400)에 의해 수신될 트래픽의 타입들을 선택할 수도 있도록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도록 적응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426)를 포함할 수도 있다.
택일적으로, 선택기(404)는 선택기(404)가 자동으로 트래픽 타입을 선택하게 하는 학습 메카니즘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선택기(404)는 링크(430) 상에서 수신된 트래픽을 분석하는 트래픽 분석기(428)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로 인해, 트래픽 분석기(428)는 어떤 타입의 트래픽이 선택될 지를 결정하기 위해 트래픽 타입 학습 모듈(432)에 의해 사용되는 정보를 수집할 수도 있다. 예로써, 링크(430) 상의 트래픽은 국이 알려진 액세스 포인트의 커버리지 영역에 진입했음을 나타낼 수도 있다. 이전 학습(예를 들어, 수동 또는 자동)에 기초하여, 학습 모듈(432)은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제공된 소정 타입들의 트래픽이 원치 않는 것임을 나타낼 수도 있다. 결론적으로, 선택기(404)는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일부 타입들의 트래픽(즉, 원치 않는 타입들의 트래픽이 아닌)만을 수신하도록 선택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되듯이, 트래픽 전달은 액세스 포인트에 의한 비컨들의 송신과 관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통상의 802.11 기반 동작에 따라, 액세스 포인트는 일정한 간격들로 비컨들을 송신할 수도 있으며, 그로 인해 각각의 비컨은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 트래픽이 비컨을 따를 지를 나타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상이한 타입들의 트래픽을 지원하기 위해, 소정의 비컨은 하나 이상의 상이한 트래픽 타입들과 관련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정보는, 예를 들어, 비컨의 타입의 표시 및 상기 타입의 비컨과 관련한 타입의 소정의 트래픽이 비컨에 이어 송신될 지의 여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소정의 특징들에서, 액세스 포인트는 트래픽 타입의 송신 스케줄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특정 타입의 트래픽과 관련한 비컨의 특정 타입을 송신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국은 액세스 포인트가 비컨에 이어 트래픽의 대응하는 타입을 송신할 지를 결정하기 위해 비컨을 수신하도록 적절한 간격으로 웨이크할 수도 있다.
도5의 블록(510)은 선택기(404)가 단일 타입의 트래픽을 선택하는 경우와 관련된다. 이러한 경우, 국(400)은 특정 타입의 트래픽과 관련한 비컨들을 수신하기 위해서만 웨이크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5의 블록(512)은 선택기(404)가 둘 이상의 타입의 트래픽을 선택하는 경우와 관련된다. 이러한 경우, 국(400)은 선택된 타입들의 트래픽 각각과 관련된 비컨들 각각을 수신하기 위해 웨이크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6을 참조하면, 트래픽을 분류하기 위해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는 선택된 동작들이 더욱 상세하게 논의될 것이다. 블록(602)으로 표현된 바와 같이, 액세스 포인트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를 통해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 트래픽을 수신한다. 도3의 예에서, 수신기(308)는 이러한 다운링크 트래픽을 수신하고 트래픽을 분류기(302)로 제공한다.
블록(604)으로 표현된 바와 같이, 분류기(302)는 수신된 트래픽을 분석하고, 트래픽을 지원된 트래픽 타입들 중 하나로 분류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수신된 트래픽은 사용자 평면 트래픽, 제어 평면 트래픽, 또는 소정의 다른 적절한 타입의 트래픽으로 분류될 수도 있다.
분류기(302)는 하나 이상의 기준에 기초하여 트래픽을 분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특징들에서, 트래픽은 트래픽의 콘텐츠에 기초하여 분류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분류기(302)는 트래픽에서 패킷들의 콘텐츠를 분석하는 패킷 검사기(318)를 포함할 수도 있다. 패킷 검사기(318)는 수신된 패킷 정보로부터 서비스 정보의 타입, 프로토콜 정보, 주소 정보 및 포트 정보와 같은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이어 비교기(322)는 분류기 데이터베이스(324)에 저장된 정보를 패킷 정보와 비교할 수도 있다. 이러한 비교에 기초하여, 분류기(302)는 수신된 트래픽(패킷)을 분류할 수도 있다. 실질적으로, 분류기(302)는 트래픽 타입에 대한 최종 결정을 위해, 독립적으로 또는 다른 정보와 관련하여(예를 들어, 분류기 데이터베이스(324)로부터) 분류기 데이터베이스(324)로부터 정보의 소정 아이템을 이용할 수도 있다. 분류기 데이터베이스(324)에 저장될 수도 있는 정보의 몇몇 예들이 후술된다.
분류기 데이터베이스(324)는 특정 타입의 트래픽을 식별하도록 작용하는 주소 정보(326)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소스 주소 및/또는 소정의 목적지 주소는 특정 타입의 트래픽(예를 들어, 스트리밍 콘텐츠, 관리 등)과 관련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주소 정보는 수신된 트래픽이 암호화되는 애플리케이션들에서 사용될 수도 있다. 즉, 일반적으로, 주소 정보는 패킷의 다른 정보(예를 들어, 포트 정보 및 콘텐츠)가 암호화될 때, 암호화되지 않을 것이다.
분류기 데이터베이스(324)는 특정 타입의 트래픽을 식별하도록 작용하는 주소 정보(328)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소스 주소 및/또는 소정의 목적지 포트는 특정 타입의 트래픽(예를 들어, 스트리밍 콘텐츠, 관리 등)과 관련될 수도 있다.
분류기 데이터베이스(324)는 특정 타입의 트래픽을 식별하도록 작용하는 프로토콜 정보(33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DP") 및/또는 실시간 프로토콜("RTP")은 스트리밍 트래픽을 전달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결론적으로, 수신된 트래픽이 특정 프로토콜(330)을 지원할 경우, 분류기(302)는 이러한 트래픽을 특정 타입의 트래픽(예를 들어, 사용자 평면)으로 분류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분류기(302)는 트래픽 타입에 대한 최종 결정을 위해 다른 정보와 관련된 정보를 이용할 수도 있다.
분류기 데이터베이스(324)는 특정 타입의 트래픽을 식별하도록 작용하는 서비스 타입("TOS")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패킷에서 TOS 비트들의 특정 설정들은 특정 타입의 트래픽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택일적으로, 트래픽은 트래픽의 다른 특성들에 기초하여 분류될 수도 있다. 소정의 특징들에서, 분류기(302)는 특정 타입의 트래픽이 수신된 주파수의 기록을 유지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트래픽 주파수 정보(334)는 특정 타입들의 트래픽과 관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트래픽과 관련된 콘텐츠는 관리 또는 제어 트래픽이 상대적으로 빈번하지 않게 수신될 수도 있는 동안 콘텐츠 관련 트래픽은 상대적으로 빈번하게 수신될 수도 있다. 게다가, 분류기(302)는 트래픽 타입과 같은 최종 결정을 위해 다른 정보와 관련하여 주파수 정보(334)를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주파수 정보는 트래픽의 특정 흐름의 주파수를 결정하기 위해 주소 또는 포트 정보와 함께 수집될 수도 있다.
소정의 특징들에서, 분류기(302)는 트래픽과 관련된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들과 관련한 기록(336)을 결정 및/또는 유지할 수도 있다. 여기서, 특정 애플리케이션은 특정 타입 또는 타입들의 트래픽과 관련될 수도 있다.
분류 동작에 사용된 기준은 다양한 방식으로 획득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정보는 정보와 특정 타입들의 트래픽 사이의 알려진 관계에 기초하여 분류기 데이터베이스(324)로 수동으로 입력될 수도 있다. 역으로, 학습 모듈(338)은 특정 타입들의 트래픽과 관련된 다양한 기준을 동적으로 분류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여기서, 학습 모듈(338)은 수신된 트래픽을 분류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선행 분류들과 관련한 정보에 기초하여 학습 모듈은 현재 또는 장래의 트래픽을 분류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는 기준을 생성할 수도 있다.
다시 도6을 참조하면, 액세스 포인트의 서비스 세트에서의 국들이 전력 절약 모드에 있는 경우, 액세스 포인트는 브로드캐스트 도는 멀티캐스트 트래픽을 버퍼링(블록 606)할 수도 있다. 도3의 예에서, 트래픽은 트래픽 버퍼(304)에 저장된 다. 여기서, 상이한 타입들의 트래픽(340 및 342)은 소정 타입의 모든 트래픽이 트래픽 버퍼(304)로부터 용이하게 검색되게 하는 방식으로 트래픽 버퍼(304)에 저장될 수도 있다.
소정의 특징들에서, 국은 국이 전력 절약 모드로 진행하고 있고 국이 소정의 트래픽 타입들에 대해서만 웨이크 할 것임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액세스 포인트로 전송할 수도 있다. 액세스 포인트는 바람직하게 국이 전력 절약 모드에 있을 때, 소정 타입들의 트래픽을 버퍼링하지 않도록 선택하기 위해 이러한 정보를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만일 전력 절약 모드에 있는 액세스 포인트의 서비스 세트의 모든 국들이 소정 타입의 트래픽을 무시하도록 결정되면, 액세스 포인트는 수신된 대로 트래픽을 즉각적으로 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트 전송하도록 결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트래픽을 버퍼링함으로써 발생할 수도 있었을 지연의 감소로 인해 시스템 성능은 향상될 수도 있다.
트래픽이 버퍼링된 경우, 블록(608)에 의해 나타난 바와 같이, 액세스 포인트는 지원된 트래픽 타입들 각각에 대응하는 비컨들을 생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비컨은 비컨의 타입을 식별하고 액세스 포인트가 비컨에 뒤이어 즉각적으로 특정 타입의 트래픽을 송신할 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분류된 타입들이 사용자 평면 트래픽 및 제어 평면 트래픽을 포함하는 예에서, 사용자 평면 트래픽은 통상의 전달 트래픽 표시 맵("DTIM") 비컨과 관련될 수도 있다. 따라서, DTIM 비컨은 사용자 평면 트래픽이 DTIM 비컨을 따를 것인지에 관한 표시를 제공할 수도 있다.
통상의 실시예에 따라, DTIM 비컨은 트래픽 표시 맵("TIM")을 포함하는 표준 802.11 기반 비컨의 시간 간격(예를 들어, 100ms)의 배수인 시간 간격으로 생성될 수도 있다. 액세스 포인트가 어떻게 구성되는 지에 따라, DTIM 간격은 비컨 간격과 동일하거나 배수일 수도 있다.
게다가, 관리 트래픽 표시 맵("MTIM") 비컨으로 불리는 새로운 형태의 비컨은 제어 평면 트래픽과 관련될 수도 있다. 따라서, MTIM 비컨은 제어 평면 트래픽이 MTIM 비컨을 따를 지에 대한 표시를 제공하도록 사용될 수도 있다.
MTIM 비컨은 DTIM 간격 및/또는 비컨 간격의 배수인 시간 간격에서 생성될 수도 있다. 게다가, DTIM 간격은 비컨 간격 및/또는 DTIM 간격보다 길거나 같을 수도 있다. 통상적으로, MTIM 간격은 대기 시간 게인이 사용자 평면 트래픽이 아닌 제어 평면 트래픽을 수신하도록 결정하는 국에 의해 달성될 수 있도록 DTIM 간격보다 길 것이다.
소정의 특징들에서, 액세스 포인트는 송신 스케줄 정보를 국들로 제공하는 동적 방법을 지원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송신된 각각의 비컨은 비컨의 각각의 타입에 대한 시간 간격(예를 들어, TIM, DTIM, MTIM 등)을 구체화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게다가, 각각의 비컨은 특정 타입의 다음 비컨(예를 들어, DTIM, MTIM, 등)의 송신 이전에 송신될 비컨들의 수(예를 들어, 정규 비컨들)를 특정하는 카운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대응하는 카운트가 제로에 도달할 때, 이는 현재 비컨이 DTIM 비컨 및/또는 MTIM 비컨이라는 표시로서 작용한다. 이러한 방식에서, 특정 타입의 비컨(예를 들어, MTIM)에만 관심 있는 국은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타입의 비컨을 송신할 때까지 전력 절약 모드를 유지하도록 선택할 수도 있다.
도3의 예를 참조하면, 비컨 생성기(344)는 각각의 비컨 타입에 대응하는 맵들(346 및 348)을 생성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맵들(346 및 348)은 대응하는 타입의 트래픽이 비컨 또는 소정의 다른 비컨에 대한 간격과 관련한 비컨 및 정보(354 및 356)를 따른 것이라는 표시(350 및 352)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시 도6을 참조하면, 액세스 포인트는 대응하는 타입의 트래픽 이전(블록 612)에 의도된 간격의 다양한 타입들의 비컨들을 송신(블록 610)할 수도 있다. 도3을 참조하면, 스케줄러(306)는 적절한 간격들로 트래픽 및 비컨들을 전송하도록 송신기(310)와 함께 협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스케줄러(306)는 특정 타입들의 비컨들을 송신할 시기를 결정하기 위해 스케줄 정보(314)를 검색할 수도 있다. 이어 스케줄러(306)는 대응하는 비컨 정보(예를 들어, 비컨 맵(346 또는 348))를 검색하고 이러한 정보를 적절한 간격으로 송신하기 위해 송신기(310)로 제공할 수도 있다. 유사하게, 스케줄러(306)는 적절한 타입의 트래픽(예를 들어, 트래픽(340 또는 342))을 검색하고 이러한 정보를 대응하는 비컨 이후에 송신하기 위해 송신기(310)로 제공할 수도 있다.
도7을 참조하면, 분류된 트래픽을 수신하기 위해 국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는 선택된 동작들이 검색될 것이다. 도7은 특정 타입의 트래픽 또는 상이한 타입들의 트래픽을 검색하기 위해 국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는 동작들을 개시한다. 다시 말해, 도4의 예에서, 도7은 선택기(404)가 하나 이상의 지원된 트래픽 타입 들(414)을 선택하고 표시 또는 선택기(들)의 표시를 스케줄러(424)로 전송하는 경우와 관련된다.
도7의 블록(702)에 의해 표현된 바와 같이, 국은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 트래픽의 원하는 타입(들)을 수신하기 위해 적절한 시간 간격들로 전력 절약 모드에서 웨이크한다. 예를 들어, 스케줄러(424)는 라인(422)을 통해 선택기(404)에 의해 제공된 바와 같이 선택된 트래픽 타입(들)에 대응하는 스케줄 정보(416)를 (라인(434)을 통해) 검색할 수도 있다. 이어 스케줄러(424)는, 수신기(402)가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송신된 각각의 트래픽 타입에 대한 대응하는 비컨을 수신하도록 수신기(402)를 전력 절약 모드에서 활성 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해 상태 제어기(406)와 협동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선택기(404)가 제어 평면 트래픽을 수신만하도록 선택될 때, 상태 제어기(406)는 DTIM 비컨이 아니라, MTIM 비컨들을 수신하기 위해 적절한 간격들로 수신기(402)를 어웨이크할 수도 있다.
택일적으로, 선택기(404)가 몇몇 타입들의 트래픽을 수신하도록 선택될 때, 상태 제어기(406)는 각각의 트래픽 타입과 관련된 상이한 타입들의 비컨들을 수신하기 위해 적절한 간격들로 수신기(402)를 웨이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비컨들은 MTIM 비컨들, DTIM 비컨들, 특정 타입의 콘텐츠를 포함하는 트래픽과 관련된 비컨들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비컨들의 속성에 따라, 수신기는 상이한 시간들 또는 동일한 시간에 비컨을 수신하도록 어웨이크될 수도 있다.
블록(704)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비컨이 수신될 때 국은 비컨의 콘 텐츠를 체크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비컨은 특정 타입의 트래픽이 비컨을 따를 것(블록 706)이라는 표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비컨들이, 관심 트래픽이 비컨을 따른다고 나타내는 엔트리를 포함하지 않은 경우, 국은 관심 트래픽이 전달될 때를 결정하기 위해 이러한 비컨들 각각으로부터 시간 간격 정보를 체크(블록 708)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스케줄러(424)는 대응하는 시간 간격 정보에 기초하여 웨이크 시간(들)을 설정(블록 710)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태 제어기(406)는, 수신기(402)가 의도된 웨이크 시간(들)까지 전력 절약 모드에 유지하도록 전력 절약 모드로 전환할 수도 있다.
대조적으로, 관심 트래픽이 비컨을 따를 것(블록 706)이라는 엔트리를 하나 이상의 비컨들이 포함하는 경우, 동작은 블록(712)으로 진행한다. 이어 국(400)은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 트래픽의 원하는 타입(들)을 수신하고 수신된 트래픽 버퍼(436)에 트래픽을 저장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수신된 트래픽은 프로토콜, 포트, 주소, 패킷 주파수, TOS, 관련된 애플리케이션, 학습 동작, 또는 소정의 다른 기준에 기초하여 분류될 수도 있다.
게다가, 전술한 바와 같이, 적용가능하면, 국(400)은 트래픽을 분석할 수도 있고 학습 동작을 실행(블록 714)할 수도 있다. 상태 제어기(406)는 각각의 비컨을 따르는 모든 트래픽이 수신될 때까지 수신기(402)를 활성 모드로 유지시킨다. 일단 모든 트래픽이 수신(및 송신될 트래픽이 있는 경우 송신)되면, 상태 제어기(406)는 수신기(402)를 전력 절약 모드로 전환(블록 716)한다.
전술한 관점에서, 다양한 장점들이 설명된 기술적 특징에 따라 달성될 수도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폰과 같은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WLAN") 장치의 대기 시간은 브로드캐스트 및 멀티캐스트 트래픽을 분류하고, 더 긴 슬립 기간들을 협상함으로써 증가(그로 인해, WLAN 장치의 웨이크 주파수를 낮춤)시킬 수도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모바일 장치에 대한 트래픽을 버퍼링하고 트래픽을 동기적으로 모바일 장치로 전달할 수도 있다.
여기서, 기술적 특징들은 다양한 프로토콜들, 사용자 장치들 및 관련된 네트워크 컴포넌트들에 적용가능하다. 결론적으로, 사용자 장치는 Wi-Fi(802.11 기반), WiMAX 또는 소정의 다른 적절한 무선 플랫폼과 같은 다양한 무선 플랫폼들을 통해 네트워크에 대한 접속성을 획득하기 위해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통합할 수도 있다. 게다가, 트래픽의 다양한 폼들은 기술적 특징에 따라 트래픽의 둘 이상의 상이한 타입들로 분류될 수도 있다. 더욱이, 이는 다양한 구조들, 프로토콜들, 특성들 또는 구체적으로 설명된 기준들에 부가하거나 이와는 다른 표준들의 사용을 통해 달성될 수도 있다.
소정의 실시예에서, 기술적 특징은 다수의 통신 프로토콜들을 지원하는 사용자 장치로 포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장치는 예를 들어, 이메일, 인터넷 액세스는 물론 통상적인 셀룰러 통신을 제공하는 다기능 장치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장치는, 예를 들어, 3세대 무선 또는 셀룰러 시스템들(3G), WiMAX(예를 들어, 802.16), 또는 다른 무선 광역 네트워크(WWAN) 기술을 사용하여 광역 무선 통신 능력이 갖춰질 수도 있다. 전술한 사항 외에, 장치는 IEEE 802.11 기반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WLAN) 통신 능력을 포함할 수도 있다. 게다가, 장치는 울트라-광역(UWB) 및/또는 블루투스 기반 무선 개인 영역 네트워크(WPAN) 로컬 통신 능력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WWAN 기술들은 광역(유비쿼터스) 커버리지 및 광역 배치에 의해 구별된다. 그러나 이들은 건물 투과 손실, 커버리지 홀들 및 상대적으로 WLAN 및 WPAN에 대해 제한된 대역폭으로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WLAN 및 WPAN 기술들은 수백 Mbps에 달하는 매우 높은 데이터 레이트를 전달하지만, 커버리지는 통상적으로 WLAN의 경우 수백 피트에, 그리고 WPAN의 경우 수십 피트에 제한된다.
네트워크들 및 프로토콜들의 다양성은 사용자들 및 애플리케이션들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적절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시도로 한정되었다. 이러한 상이한 네트워크들 및 프로토콜들은 사용자가 스위칭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으며, 많은 경우, 사용자는 소정의 시간에 사용자에 대해 최적의 네트워크가 무엇인지에 무관하게 네트워크에 트랩된다. 결론적으로, 소정의 특징들에서 사용자 장치는 사용자에 대한 최적의 통신 프로토콜을 최적화하고 커버링하기 위해 네트워크들 및/또는 프로토콜들 사이에서 결절 없는 전환을 제공하도록 적용될 수도 있다.
도1을 다시 참조하면, 시스템(100)은 유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LAN)와 관련된 WLAN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네트워크 액세스 장치(104)는 WLAN 통신 능력을 지원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장치들(102)(예를 들어, 802.11 모바일 국들)과 통신할 수도 있는 액세스 포인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액세스 포인트는 유선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링크(106))를 통해 이더넷 허브로 연결 되거나, 유선 LAN(미도시)에 대해 스위칭할 수도 있다. 이더넷 허브는 또한 개인용 컴퓨터, 주변 장치들(예를 들어, 팩시 머신, 복사기, 프린터, 스캐너 등), 서버들 등을 포함할 수도 있는 하나 이상의 전자 장치들(미도시)에 또한 접속될 수도 있다. 이더넷 허브는 또한 모뎀(미도시)으로 데이터 패킷들을 송신하는 라우터에 접속될 수도 있다. 모뎀은 데이터 패킷들을 인터넷과 같은 광역 네트워크(WAN)로 송신할 수도 있다. 시스템(100)은 단일의 상대적으로 간단한 네트워크 구성을 개시한다. 그러나 택일적인 사용자 장치들을 포함하는 시스템(100)의 많은 추가 구성들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비록 시스템(100)이 LAN을 참조하여 개시 및 설명되었지만, 시스템(100)은 WWAN 및/또는 WPAN을 개별적으로 또는 동시에 포함하는 다른 기술들을 사용할 수도 있다.
시스템(100)은 모바일 장치(예를 들어, 사용자 장치(102))가 모바일 장치에 의해 현재 사용되는 액세스 포인트와 시스템(100)과 관련된 액세스 포인트(104) 사이에서 결절 없이 스위칭하도록 할 수도 있다. 액세스 포인트(104) 및 액세스 포인트(104)에 의해 지원된 네트워크로의 전환은 모바일 장치의 사용자에게 인기 있는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바람직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전환은 모바일 장치의 위치설정 및/또는 사용자가 액세스하거나 모바일 장치에 업로드하기를 원하는 데이터의 기능일 수도 있다. 예로써, 모바일 장치는 전자 장치(들)를 통해 이용가능한 WWAN 및/또는 WLAN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 이더넷 허브에 접속된 하나 이상의 전자 장치들에 접속될 수도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전환은 시스템(100)에 의해 자율적으로 사용자 개시 또는 실행될 수 있다.
이제 도8을 참조하면, 다수의 통신 프로토콜들을 지원하는 사용자 설비(800)(예를 들어, 모바일 사용자 장치)의 다양한 특징들이 더욱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모바일국으로도 불리는 사용자 설비(800)는 소정의 특징들에서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DMA")와 같은 WWAN 및/또는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WCDMA")와 같은 3G 기술들을 지원할 수도 있다. 사용자 설비(800)는 또한 WLAN(예를 들어, IEEE 802.11) 및/또는 다른 적절한 기술들을 지원할 수도 있다.
소정의 특징들에서, 사용자 설비(800)는 애플리케이션 및 셀룰러 모듈(802)과 무선 네트워크 모듈(804)을 통합할 수도 있다. 모듈(802)은 예를 들어, 사용자 애플리케이션들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컴포넌트를 통합할 수도 있다. 게다가, 모듈(802)은 예를 들어, CDMA, GSM, 3G 또는 소정의 다른 기술과 같은 셀룰러 타입 기술을 통해 통신을 지원할 수도 있다. 모듈(802)은 정보를 송신하고 대응하는 광역 무선 네트워크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도록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810)에 결합된 송수신기(806)와 인터페이스할 수도 있다. 모듈(802)은 또한 무선 네트워크 모듈(804)과 통신하기 위해 인터페이스(808)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808)는 예를 들어, 시큐어 디지털 입출력("SDIO") 인터페이스 또는 소정의 다른 적절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설명된 바와 같이, 무선 네트워크 모듈(804)은 예를 들어, 다양한 네트워크들을 통해 통신을 지원할 수도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들은 예를 들어, Wi-Fi, WiMAX 또는 소정의 다른 적절한 기술을 지원할 수도 있다. 네트워크 모듈(804)은 적절한 송수신기를 통합하고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812)에 결합될 수도 있다. 택 일적으로, 송수신기(806)는 송수신기(806)가 모듈(802) 및 모듈(804)에 의해 공유되도록 충분한 기능을 통합할 수도 있다.
도8에 도시된 구성에서, 모듈(802)은 모듈(804)에 대해 상부 계층 동작을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업링크 패킷들을 생성하고 다운 링크 패킷들을 프로세싱하는 애플리케이션들은 모듈(802)에 통합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전체 모듈(804)(예를 들어, MAC 및 PHY 컴포넌트들을 포함하는 WLAN 모듈)은 설명된 바와 같이 전력을 보존하기 위해 지연 상태(예를 들어, 전력 절약 모드)로 설정될 수도 있다.
소정의 특징들에서, 사용자 설비는 VoIP 폰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VoIP는 인터넷 및/또는 IP 네트워크들을 통해 음성 전화 대화의 송신을 포함한다. 소정의 특징들에서, VoIP 통신 능력은 WLAN 컴포넌트를 통해 제공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자신이 VoIP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광대역 네트워크에 접속된 무선 액세스 포인트 부근에 있을 때 사용자 설비(800)의 VoIP 성능을 이용할 수도 있다. 다른 상황에서, 사용자 설비(800)는 통신 서비스들을 제공하면서 정규 무선 모바일 폰으로서 기능할 수도 있다.
사용자 설비(800)는 사용자 설비(800)의 기능들과 관련한 하나 이상의 기준에 기초하여, WWAN 또는 WLAN 중 하나에 접속하거나, 이 둘 모두에 동시에 접속할 수도 있다. 더욱이, 각각의 네트워크들 및/또는 프로토콜들 사이에서 스위칭하기 위한 프로세스 및 기준이 제공될 수도 있다. 기준은 사용자 설비(800)의 데이터 메모리(도8에 미도시)에 저장될 수도 있으며, 프로세서(도8에 미도시)는 저장된 기 준에 기초하여 네트워크를 분석할 수도 있다.
설명된 기술적 특징에 기초하여 사용자 설비가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소정의 구현예들에서, WWAN 기능 컴포넌트 및/또는 WLAN 기능 컴포넌트는 사용자 설비(800)의 프로세서에 포함될 수도 있다. 소정의 구현예들에서, WWAN 기능 및 WLAN 기능은 독립적 집적 회로들에 의해 제공될 수도 있다. 다른 구현예들에서, WWAN 기능 및 WLAN 기능은 하나 이상의 집적 회로들, 프로세서들, ASIC들, FPGA들, 이들의 결합 또는 적절한 기능을 포함하는 유사한 등가물에 의해 제공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 설비(800)에는 서비스들 및 사용자 경험의 충분한 결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광역(WWAN) 및 로컬 영역(WLAN 및 WPAN)에 대한 접속 옵션이 제공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설명된 컴포넌트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9의 시스템을 참조하면, 액세스 장치(902)는 도3의 액세스 포인트(300)의 컴포넌트들(308, 302, 306 및 310)에 상대적으로 응답할 수도 있는 컴포넌트들(904, 906, 908 및 910)을 포함한다. 게다가, 사용자 장치(912)는 도4에서 국(400)의 컴포넌트들(402, 406, 424, 404, 432 및 412)에 각각 대응할 수도 있는 컴포넌트들(914, 916, 918, 920, 922 및 924)을 포함한다. 도9는 소정의 특징들에서 이러한 컴포넌트들이 적절한 프로세서 컴포넌트들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음을 나타낸다. 이러한 프로세서 컴포넌트들은 소정의 특징들에서 설명된 구조를 이용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게다가, 도9에 개시된 컴포넌트들 및 기능들은 물론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 른 컴포넌트들 및 기능들은 소정의 적절한 수단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수단은 또한 설명된 대응하는 구조를 사용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특징들에서, 송신을 위한 수단은 송신기를 포함하며, 수신을 위한 수단은 수신기를 포함하며, 스케줄링을 위한 수단은 스케줄러를 포함하며, 선택을 위한 수단은 선택기를 포함하며, 분류를 위한 수단은 분류기를 포함하며, 관련시키기 위한 수단은 스케줄러를 포함하며, 전환을 위한 수단은 상태 제어기를 포함하며, 웨이킹을 위한 수단은 상태 제어기를 포함하며, 식별을 위한 수단은 식별기를 포함하며, 학습 동작을 실행하는 수단은 학습 모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수단들 중 하나 이상은 도9의 프로세서 컴포넌트들 중 하나 이상에 따라 구현될 수도 있다.
당업자는 정보 및 신호들이 임의의 다수의 상이한 기술들 및 테크닉들을 사용하여 표현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설명을 통해 참조될 수 있는 데이터, 지시들, 명령들, 정보, 신호들, 비트들, 심볼들 및 칩들은 전압들, 전류들, 전자기파들, 전자기장들, 또는 전자기 입자들, 광학계들 또는 광학 입자들, 또는 그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당업자는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논리적인 블럭들, 모듈들, 회로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전자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그들의 조합으로서 실행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상기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상호교환가능성을 명백히 설명하기 위해, 다양한 요소들, 블럭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이 그들의 기능성에 관련하여 전술되었다. 상기 기능성이 하드웨어로 실행되는지 또는 소프트웨어로 실행되는지의 여부는 전체 시스템에 부과된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설계 제약에 따라 결정한다. 당업자는 각각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다양한 방식들로 설명된 기능성을 실행할 수 있지만, 상기 실행 결정들은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실시예와 관련하여 다양하게 설명되는 논리들, 논리 블럭들, 모듈들, 및 회로들은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 응용 집적 회로(ASIC), 현장 프로그램가능한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램가능한 로직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요소들, 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그들의 임의의 조합을 사용하여 실행되거나 수행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가 될 수 있지만, 선택적으로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또는 상태 기계가 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예를 들어, DSP 및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 DSP 코어와 결합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임의의 다른 구성과 같은 컴퓨팅 장치들의 조합으로서 실행될 수 있다.
개시된 프로세스의 특정 순서 및 단계는 일례이다. 개시된 설계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순서 또는 단계는 변경될 수도 있다. 첨부된 방법은 예로든 순서의 다양한 단계를 청구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는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는 하드웨어에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에서, 또는 그들의 조 합에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행가능한 명령 및 관련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모듈 및 다른 데이터는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하드디스크, 제거가능한 디스크, CD-ROM 또는 임의의 다른 형태의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예를 들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형태에 상주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저장매체로부터 정보(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명령)를 판독하고 정보를 기록할 수 있는 프로세서와 같은 컴퓨터/프로세서(편의상 "프로세서"로 불림)와 같은 머신에 접속된다. 예로든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통합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ASIC 내에 상주할 수 있다. ASIC은 사용자 터미널 내에 상주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디바이스내에서 이산요소들로서 상주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의 전술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이용하기에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제공되었다. 이들 실시예에 대한 여러 가지 변형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며, 여기서 한정된 포괄적인 원리는 본 발명의 사용 없이도 다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원리 및 신규한 특징에 부합하는 광의의 사상과 일치한다.

Claims (84)

  1.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 트래픽을 수신하는 방법으로서,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 트래픽의 다수의 상이한 타입들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이한 송신 스케줄들은 상기 트래픽의 상이한 타입들과 관련되는,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 트래픽을 수신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수신될 수도 있는 트래픽의 상이한 타입들을 식별하는 단계; 및
    수신될 수도 있는 트래픽의 상이한 타입들부터, 수신되지 않을 트래픽의 적어도 하나의 타입 및 수신될 트래픽의 적어도 하나의 타입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 트래픽을 수신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수신되도록 선택된 트래픽의 각 타입과 관련된 상기 송신 스케줄에 의해 한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전력 절약 상태로부터 활성 상태로 전환함으로써 수신되도록 선택된 트래픽의 각 타입을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되지 않도록 선택된 트래픽의 각 타입과 관련된 상기 송신 스케줄에 의 해 한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전력 절약 상태로부터 활성 상태로 전환하지 않음으로써 수신되지 않도록 선택된 트래픽의 각 타입을 수신하지 않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 트래픽을 수신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수신되도록 선택된 트래픽의 각 타입과 관련된 상기 시간 간격은 수신되지 않도록 선택된 트래픽의 각 타입과 관련된 상기 시간 간격보다 길면서 배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 트래픽을 수신하는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사용자는 수신될 트래픽의 적어도 하나의 타입 및 수신되지 않을 트래픽의 적어도 하나의 타입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 트래픽을 수신하는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수신될 트래픽의 적어도 하나의 타입 및 수신되지 않을 트래픽의 적어도 하나의 타입을 자동으로 선택하도록 상기 수신된 트래픽의 분석에 기초하여 학습 동작을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 트래픽을 수신하는 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의 상이한 타입들 및 관련된 송신 스케줄들을 결정하기 위해 액세스 포인트와 관련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 트래픽을 수신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트래픽의 상이한 타입들의 이용성과 관련한 질문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 트래픽을 수신하는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의 상이한 타입들이 송신되는 시간 간격의 표시들을 포함하는 비컨들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 트래픽을 수신하는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의 상이한 타입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전달 이전에, 남아 있는 시간의 양의 표시를 포함하는 비컨들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 트래픽을 수신하는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스케줄들 각각은 시간 간격과 관련되며;
    상기 송신 스케줄들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상기 시간 간격은 상기 송신 스케줄들 중 다른 하나와 관련된 상기 시간 간격보다 길면서 배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 트래픽을 수신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의 상이한 타입들 중 제1 타입의 전달과 관련한 제1 시간 간격은 전달 트래픽 표시 맵(DTIM) 간격의 배수이며;
    상기 트래픽의 상이한 타입들 중 제2 타입의 전달과 관련한 제2 시간 간격은 상기 제1 간격보다 길며, 상기 DTIM 간격의 배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 트래픽을 수신하는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프로토콜 타입, 소스 포트, 목적지 포트, 소스 주소, 목적지 주소, 서비스 타입, 트래픽의 수신 주파수, 및 트래픽과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의 식별로 구성된 그룹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트래픽의 상이한 타입들 중 적어도 하나로 분류된 트래픽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 트래픽을 수신하는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트래픽 학습 동작에 기초하여 트래픽의 상이한 타입들 중 적어도 하나로 분류된 트래픽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 트래픽을 수신하는 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의 상이한 타입들은 제어 평면 트래픽 및 사용자 평면 트래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 트래픽을 수신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제어 평면 트래픽을 수신하기 위해 전력 절약 상태로부터 웨이킹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평면 트래픽을 수신하기 위해 상기 전력 절약 상태로부터 웨이킹하지 않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 트래픽을 수신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제1 시간 간격으로 전달 트래픽 표시 맵에서 송신된 사용자 평면 트래픽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
    제2 시간 간격으로 관리 트래픽 표시 맵에서 송신된 제어 평면 트래픽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시간 간격에 대응하는 간격들로 상기 제어 평면 트래픽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시간 간격은 상기 제1 시간 간격보다 길면서 배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 트래픽을 수신하는 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평면 트래픽은 접속성, 토폴로지, 경로 발견, ARP, DHCP, 프레즌스(presence), 및 페이징으로 구성된 그룹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 트래픽을 수신하는 방법.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평면 트래픽은 스트리밍 데이터, 오디오 및 비디오로 구성된 그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 트래픽을 수신하는 방법.
  20.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 트래픽의 다수의 상이한 타입들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도록 적응된 수신기 -여기서, 상이한 송신 스케줄들은 상기 트래픽의 상이한 타입들과 관련됨-: 및
    적어도 하나의 관련된 송신 스케줄에 따른 트래픽의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수신을 스케줄링하도록 적응된 스케줄러를 포함하는,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수신될 수도 있는 상기 트래픽의 상이한 타입들을 식별하도록 적응된 식별기; 및
    수신될 수도 있는 상기 트래픽의 상이한 타입들로부터, 수신되지 않을 트래픽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 및 수신될 트래픽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을 선택하도록 적응된 선택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수신되도록 선택된 트래픽의 각 타입과 관련된 상기 송신 스케줄에 의해 한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전력 절약 상태로부터 활성 상태로 상기 수신기를 전환시키고;
    수신되지 않도록 선택된 트래픽의 각 타입과 관련된 상기 송신 스케줄에 의해 한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전력 절약 상태로부터 활성 상태로 상기 수신기를 전환시키지 않도록 적응된 상태 제어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수신되도록 선택된 트래픽의 각 타입과 관련된 상기 시간 간격은 수신되지 않도록 선택된 트래픽의 각 타입과 관련된 상기 시간 간격보다 길면서 배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4. 제21항에 있어서,
    수신될 트래픽의 적어도 하나의 타입 및 수신되지 않을 트래픽의 적어도 하나의 타입을 선택하기 위해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도록 적응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5. 제21항에 있어서,
    수신될 트래픽의 적어도 하나의 타입 및 수신되지 않을 트래픽의 적어도 하나의 타입을 자동으로 선택하기 위해 상기 수신된 트래픽의 분석에 기초하여 학습 동작을 실행하도록 적응된 트래픽 분석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6. 제20항에 있어서,
    트래픽의 상이한 타입들 및 관련된 송신 스케줄들을 결정하기 위해 액세스 포인트와 관련시키도록 적응된 미디어 액세스 제어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7.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스케줄들 각각은 시간 간격과 관련되며,
    상기 송신 스케줄들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상기 시간 간격은 상기 송신 스케줄들 중 다른 하나와 관련된 상기 시간 간격보다 길면서 배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8.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의 상이한 타입들은 제어 평면 트래픽 및 사용자 평면 트래픽을 포함하며,
    상기 장치는 제어 평면 트래픽을 수신하기 위해 전력 절약 상태로부터 상기 수신기를 웨이크하고, 사용자 평면 트래픽을 수신하기 위해 상기 전력 절약 상태로부터 상기 수신기를 웨이크하지 않도록 적응된 상태 제어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평면 트래픽은 접속성, 토폴로지, 경로 발견, ARP, DHCP, 프레즌스(presence), 및 페이징으로 구성된 그룹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되며,
    상기 사용자 평면 트래픽은 스트리밍 데이터, 오디오 및 비디오로 구성된 그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0.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를 수신하는 장치로서,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 트래픽의 다수의 상이한 타입들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수단 -여기서, 상이한 송신 스케줄들은 상기 트래픽의 상이한 타입들과 관련됨-: 및
    적어도 하나의 관련된 송신 스케줄에 따른 트래픽의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수신을 스케줄링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를 수신하는 장치.
  31. 제30항에 있어서,
    수신될 수도 있는 상기 트래픽의 상이한 타입들을 식별하는 수단; 및
    수신될 수도 있는 상기 트래픽의 상이한 타입들로부터, 수신되지 않을 트래픽의 적어도 하나의 타입 및 수신될 트래픽의 적어도 하나의 타입을 선택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를 수신하는 장치.
  32. 제31항에 있어서,
    수신되도록 선택된 트래픽의 각 타입과 관련된 상기 송신 스케줄에 의해 한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상기 수신하는 수단을 전력 절약 상태로부터 활성 상태로 전환시키고;
    수신되지 않도록 선택된 트래픽의 각 타입과 관련된 상기 송신 스케줄에 의해 한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상기 수신하는 수단을 전력 절약 상태로부터 활성 상태로 전환시키지 않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를 수신하는 장치.
  33. 제32항에 있어서,
    수신되도록 선택된 트래픽의 각 타입과 관련된 상기 시간 간격은 수신되지 않도록 선택된 트래픽의 각 타입과 관련된 상기 시간 간격보다 길면서 배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를 수신하는 장치.
  34. 제31항에 있어서,
    수신될 트래픽의 적어도 하나의 타입 및 수신되지 않을 트래픽의 적어도 하나의 타입을 자동으로 선택하기 위해 상기 수신된 트래픽의 분석에 기초하여 학습 동작을 실행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를 수신하는 장치.
  35.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스케줄들 각각은 시간 간격과 관련되며,
    상기 송신 스케줄들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상기 시간 간격은 상기 송신 스케줄들 중 다른 하나와 관련된 상기 시간 간격보다 더 길면서 배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를 수신하는 장치.
  36.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의 상이한 타입들은 제어 평면 트래픽 및 사용자 평면 트래픽을 포함하며,
    상기 장치는 제어 평면 트래픽을 수신하기 위해 전력 절약 상태로부터 수신 하는 수단을 웨이크하고, 사용자 평면 트래픽을 수신하기 위해 상기 전력 절약 상태로부터 수신하는 수단을 웨이크하지 않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를 수신하는 장치.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평면 트래픽은 접속성, 토폴로지, 경로 발견, ARP, DHCP, 프레즌스(presence), 및 페이징으로 구성된 그룹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되며,
    상기 사용자 평면 트래픽은 스트리밍 데이터, 오디오 및 비디오로 구성된 그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를 수신하는 장치.
  38. 명령들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로서,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 트래픽의 다수의 상이한 타입들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기 위한 제1 명령 세트를 포함하며, 상이한 송신 스케줄들은 상기 트래픽의 상이한 타입들과 관련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39. 제38항에 있어서,
    수신될 수도 있는 트래픽의 상이한 타입들을 식별하는 제2 명령 세트; 및
    수신될 수도 있는 트래픽의 상이한 타입들부터, 수신되지 않을 트래픽의 적 어도 하나의 타입 및 수신될 트래픽의 적어도 하나의 타입을 선택하는 제3 명령 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40. 제39항에 있어서,
    수신되도록 선택된 트래픽의 각 타입과 관련된 상기 송신 스케줄에 의해 한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전력 절약 상태로부터 활성 상태로 전환시키고,
    수신되지 않도록 선택된 트래픽의 각 타입과 관련된 상기 송신 스케줄에 의해 한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전력 절약 상태로부터 활성 상태로 전환시키지 않기 위한 제4 명령 세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41. 제40항에 있어서,
    수신되도록 선택된 트래픽의 각 타입과 관련된 상기 시간 간격은 수신되지 않도록 선택된 트래픽의 각 타입과 관련된 상기 시간 간격보다 길면서 배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42. 제39항에 있어서,
    수신될 트래픽의 적어도 하나의 타입 및 수신되지 않을 트래픽의 적어도 하나의 타입을 자동으로 선택하도록 상기 수신된 트래픽의 분석에 기초하여 학습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제4 명령 세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43.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스케줄들 각각은 시간 간격과 관련되며;
    상기 송신 스케줄들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상기 시간 간격은 상기 송신 스케줄들 중 다른 하나와 관련된 상기 시간 간격보다 더 길면서 배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44.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의 상이한 타입들은 제어 평면 트래픽 및 사용자 평면 트래픽을 포함하고,
    상기 장치는 제어 평면 트래픽을 수신하기 위해 전력 절약 상태로부터 웨이킹하고, 상기 사용자 평면 트래픽을 수신하기 위해 상기 전력 절약 상태로부터 웨이킹하지 않기 위한 제2 명령 세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45.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평면 트래픽은 접속성, 토폴로지, 경로 발견, ARP, DHCP, 프레즌스(presence), 및 페이징으로 구성된 그룹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되며,
    상기 사용자 평면 트래픽은 스트리밍 데이터, 오디오 및 비디오로 구성된 그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46. 분류된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 트래픽을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 트래픽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트래픽을 상이한 타입들의 트래픽으로 분류하는 단계; 및
    상이한 송신 스케줄들을 상기 상이한 타입들의 트래픽과 관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류된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 트래픽을 제공하는 방법.
  47. 제46항에 있어서,
    상이한 주기들을 갖는 상이한 시간 간격들로 상기 트래픽의 상이한 타입들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된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 트래픽을 제공하는 방법.
  4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들은 전달 트래픽 표시 맵(DTIM) 간격의 주기의 배수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된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 트래픽을 제공하는 방법.
  49.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의 상이한 타입들이 송신되는 시간 간격들의 표시들을 포함하는 비컨들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된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 트래픽을 제공하는 방법.
  50.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의 상이한 타입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전달 이전에, 남아 있는 시간의 양의 표시를 포함하는 비컨들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된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 트래픽을 제공하는 방법.
  51.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는 프로토콜 타입, 소스 포트, 목적지 포트, 소스 주소, 목적지 주소, 트래픽의 수신 주파수, 서비스 타입 및 트래픽과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의 식별로 구성된 그룹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된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 트래픽을 제공하는 방법.
  52.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는 수신된 트래픽의 분석에 기초하여 학습 동작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된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 트래픽을 제공하는 방법.
  53.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의 상이한 타입들은 사용자 평면 트래픽 및 제어 평면 트래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된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 트래픽을 제공하는 방법.
  54. 제53항에 있어서,
    제1 시간 간격에 따라 상기 제어 평면 트래픽을 송신하는 단계 및 제2 시간 간격에 따라 사용자 평면 트래픽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시간 간격은 상기 제2 시간 간격보다 길면서 배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된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 트래픽을 제공하는 방법.
  55. 제53항에 있어서,
    제1 시간 간격으로 전달 트래픽 표시 맵에서 사용자 평면 트래픽 표시를 송신하는 단계;
    제2 시간 간격으로 관리 트래픽 표시 맵에서 제어 평면 트래픽 표시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시간 간격에 대응하는 간격들로 상기 제어 평면 트래픽을 송신하고, 상기 제1 시간 간격에 대응하는 간격들로 상기 사용자 평면 트래픽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시간 간격은 상기 제1 시간 간격보다 길면서 배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된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 트래픽을 제공하는 방법.
  56.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평면 트래픽은 접속성, 토폴로지, 경로 발견, ARP, DHCP, 프레즌스(presence), 및 페이징으로 구성된 그룹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된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 트래픽을 제공하는 방법.
  57.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평면 트래픽은 스트리밍 데이터, 오디오 및 비디오로 구성된 그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된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 트래픽을 제공하는 방법.
  58.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 트래픽을 수신하도록 적응된 수신기;
    상기 수신된 트래픽을 트래픽의 상이한 타입들로 분류하도록 적응된 분류기; 및
    상이한 송신 스케줄들을 상기 트래픽의 상이한 타입들과 관련시키도록 적응된 스케줄러를 포함하는, 장치.
  59. 제58항에 있어서,
    상이한 주기들을 갖는 상이한 시간 간격들로 상기 트래픽의 상이한 타입들을 송신하도록 적응된 송신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0.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들은 전달 트래픽 표시 맵(DTIM) 간격의 주기의 배수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1.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상기 트래픽의 상이한 타입들이 송신되는 시간 간격들의 표시들, 및
    상기 트래픽의 상이한 타입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전달 이전에, 남아 있는 시간의 양의 표시를 포함하는 비컨들을 송신하도록 추가로 적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2.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기는 프로토콜 타입, 소스 포트, 목적지 포트, 소스 주소, 목적지 주소, 트래픽의 수신 주파수, 서비스 타입 및 트래픽과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의 식별로 구성된 그룹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수신된 트래픽을 분류하도록 추가로 적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3.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기는 수신된 트래픽의 분석에 기초하여 학습 동작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수신된 트래픽을 분류하도록 추가로 적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4.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의 상이한 타입들은 사용자 평면 트래픽 및 제어 평면 트래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5. 제64항에 있어서,
    제1 시간 간격에 따라 상기 제어 평면 트래픽을 송신하고, 제2 시간 간격에 따라 사용자 평면 트래픽을 송신하도록 적응된 송신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시간 간격은 상기 제2 시간 간격보다 길면서 배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6. 제6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평면 트래픽은 접속성, 토폴로지, 경로 발견, ARP, DHCP, 프레즌스(presence), 및 페이징으로 구성된 그룹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하며,
    상기 사용자 평면 트래픽은 스트리밍 데이터, 오디오 및 비디오로 구성된 그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7.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 트래픽을 수신하는 수단;
    상기 수신된 트래픽을 트래픽의 상이한 타입들로 분류하는 수단; 및
    상이한 송신 스케줄들을 상기 트래픽의 상이한 타입들과 관련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68. 제67항에 있어서,
    상이한 주기들을 갖는 상이한 시간 간격들로 상기 트래픽의 상이한 타입들을 송신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9. 제68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들은 전달 트래픽 표시 맵(DTIM) 간격의 주기의 배수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0. 제68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하는 수단은,
    상기 트래픽의 상이한 타입들이 송신되는 시간 간격들의 표시들, 및
    상기 트래픽의 상이한 타입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전달 이전에, 남아 있는 시간의 양의 표시를 포함하는 비컨들을 추가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1. 제67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하는 수단은 프로토콜 타입, 소스 포트, 목적지 포트, 소스 주소, 목적지 주소, 트래픽의 수신 주파수, 서비스 타입 및 트래픽과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의 식별로 구성된 그룹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수신된 트래픽을 추가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2. 제67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하는 수단은 수신된 트래픽의 분석에 기초하여 학습 동작을 실행함 으로써 상기 수신된 트래픽을 추가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3. 제67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의 상이한 타입들은 사용자 평면 트래픽 및 제어 평면 트래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4. 제73항에 있어서,
    제1 시간 간격에 따라 상기 제어 평면 트래픽을 송신하고, 제2 시간 간격에 따라 사용자 평면 트래픽을 송신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시간 간격은 상기 제2 시간 간격보다 길면서 배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5. 제7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평면 트래픽은 접속성, 토폴로지, 경로 발견, ARP, DHCP, 프레즌스(presence), 및 페이징으로 구성된 그룹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하며,
    상기 사용자 평면 트래픽은 스트리밍 데이터, 오디오 및 비디오로 구성된 그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6. 명령들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로서,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 트래픽을 수신하기 위한 제1 명령 세트;
    상기 수신된 트래픽을 트래픽의 상이한 타입들로 분류하기 위한 제2 명령 세 트; 및
    상이한 송신 스케줄들을 상기 트래픽의 상이한 타입들과 관련시키기 위한 제3 명령 세트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77. 제76항에 있어서,
    상이한 주기들을 갖는 상이한 시간 간격들로 상기 트래픽의 상이한 타입들을 송신하기 위한 제4 명령 세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78. 제77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들은 전달 트래픽 표시 맵(DTIM) 간격의 주기의 배수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79. 제77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명령 세트는,
    상기 트래픽의 상이한 타입들이 송신되는 시간 간격들의 표시들, 및
    상기 트래픽의 상이한 타입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전달 이전에, 남아 있는 시간의 양의 표시를 포함하는 비컨들을 송신하기 위한 제5 명령 세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80. 제7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명령 세트는, 프로토콜 타입, 소스 포트, 목적지 포트, 소스 주소, 목적지 주소, 트래픽의 수신 주파수, 서비스 타입 및 트래픽과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의 식별로 구성된 그룹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수신된 트래픽을 분류하기 위한 제4 명령 세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81. 제7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명령 세트는,
    수신된 트래픽의 분석에 기초하여 학습 동작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수신된 트래픽을 분류하기 위한 제4 명령 세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82. 제76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의 상이한 타입들은 사용자 평면 트래픽 및 제어 평면 트래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83. 제82항에 있어서,
    제1 시간 간격에 따라 상기 제어 평면 트래픽을 송신하고, 제2 시간 간격에 따라 사용자 평면 트래픽을 송신하기 위한 제4 명령 세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시간 간격은 상기 제2 시간 간격보다 길면서 배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84. 제8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평면 트래픽은 접속성, 토폴로지, 경로 발견, ARP, DHCP, 프레즌스(presence), 및 페이징으로 구성된 그룹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하며,
    상기 사용자 평면 트래픽은 스트리밍 데이터, 오디오 및 비디오로 구성된 그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KR1020087024240A 2006-03-03 2007-03-05 전력 관리를 이용하는 다중 캐스트 및 브로드캐스트 트래픽 KR2008010980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7923506P 2006-03-03 2006-03-03
US60/779,235 2006-03-03
US77982406P 2006-03-07 2006-03-07
US60/779,824 2006-03-07
US79584606P 2006-04-27 2006-04-27
US60/795,846 2006-04-27
US11/538,774 US7916687B2 (en) 2006-03-03 2006-10-04 Standby time improvements
US11/538,774 2006-10-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9809A true KR20080109809A (ko) 2008-12-17

Family

ID=38117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4240A KR20080109809A (ko) 2006-03-03 2007-03-05 전력 관리를 이용하는 다중 캐스트 및 브로드캐스트 트래픽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916687B2 (ko)
EP (1) EP1992108A1 (ko)
JP (1) JP2009529301A (ko)
KR (1) KR20080109809A (ko)
TW (1) TW200803374A (ko)
WO (1) WO200710388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0794A (ko) * 2009-12-18 2011-06-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적응적 전원 절약/전원 절약 지원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KR101411056B1 (ko) * 2009-08-24 2014-06-27 인텔 코오퍼레이션 향상된 멀티캐스트 브로드캐스트 서비스를 위한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45647B2 (en) * 2005-11-04 2013-01-01 Nokia Corporation Flexible multicast and/or broadcast listening intervals
CN103209469B (zh) * 2006-01-17 2016-06-29 艾利森电话股份有限公司 用于减少移动通信网络中的功耗的方法和设备
US8880104B2 (en) 2006-03-03 2014-11-04 Qualcomm Incorporated Standby time improvements for stations in a wireless network
JP4685696B2 (ja) * 2006-04-19 2011-05-18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省電力無線lan通信品質制御方法およびシステム並びにその装置
US8433374B2 (en) * 2006-04-27 2013-04-3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ng a sleep interval to improve battery life
JP4844245B2 (ja) * 2006-06-08 2011-12-28 ソニー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GB2447878A (en) 2006-10-04 2008-10-01 Nec Corp Signalling system information in mobile telecommunications
US8619652B2 (en) * 2006-12-04 2013-12-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adaptive sleep of wirelessly networked devices
US8826348B2 (en) * 2006-12-04 2014-09-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 of uncompressed video having a relay device for power saving
US8295216B2 (en) * 2006-12-21 2012-10-23 Nokia Corporation Broadcast and multicast transmission techniques for powersave devices in wireless networks
US8238278B2 (en) * 2007-01-08 2012-08-07 Hellosoft, Inc. Hardware-based beacon processing
US8243638B2 (en) 2007-01-08 2012-08-14 Hellosoft, Inc. Passive listen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US9760146B2 (en) * 2007-01-08 2017-09-12 Imagination Technologies Limited Conditional activation and deactivation of a microprocessor
US7792141B2 (en) * 2007-01-08 2010-09-07 Hellosoft, Inc. Hardware-centric medium access control (MAC) device
KR101384078B1 (ko) 2007-01-10 2014-04-09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애크/내크 채널 자원을 할당하고시그널링하는 방법 및 장치
US8270965B2 (en) * 2007-04-05 2012-09-18 Microsoft Corporation Signaling over cellular networks to reduce the Wi-Fi energy consumption of mobile devices
US7787406B2 (en) * 2007-04-18 2010-08-31 Intel Corporation Methods and arrangements for adaptively changing snoozing intervals of wireless devices
JP2011501576A (ja) * 2007-10-19 2011-01-06 ゼットティーイー ユー.エス.エ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高次周波数再利用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改良アイドルモード電力節約のための同期式マルチbsmbs
US20090116505A1 (en) * 2007-11-07 2009-05-07 Alcatel Lucent Service Based VLAN Stacking
US9603062B2 (en) 2007-11-16 2017-03-21 Qualcomm Incorporated Classifying access points using pilot identifiers
US8848656B2 (en) * 2007-11-16 2014-09-30 Qualcomm Incorporated Utilizing broadcast signals to convey restricted association information
WO2009079653A2 (en) * 2007-12-18 2009-06-25 Zte U.S.A., Inc. Wimax multicast broadcast services (mbs) efficient handover and power saving support for intra and inter-mbs zones
FI20085480A0 (fi) * 2008-05-21 2008-05-21 Nokia Corp Radioliityntälaitteiden samanaikaisuus
US9271228B2 (en) * 2008-07-09 2016-02-23 Qualcomm Incorporated Paging and power management schemes for local network access
US8433280B2 (en) 2008-08-11 2013-04-30 Htc Corporation Method of managing reception of natural disaster warning notification messages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related communication device
KR101535437B1 (ko) * 2009-01-15 2015-07-0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전원 절약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TWI420874B (zh) * 2009-07-01 2013-12-21 Wistron Corp 主動提供資訊給電子裝置的資訊系統及其方法
JP5434330B2 (ja) * 2009-07-22 2014-03-05 ソニー株式会社 電力受信装置、電力伝送システム、充電装置および電力伝送方法
KR101612552B1 (ko) * 2009-09-22 2016-04-15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형식 비콘 운용 방법
US8665768B2 (en) * 2010-01-29 2014-03-04 Qualcomm Incorporated Femtocell one-to-many packet delivery
US8711753B2 (en) * 2010-01-29 2014-04-29 Qualcomm Incorporated Femtocell one-to-many packet delivery
US8908564B2 (en) * 2010-06-28 2014-12-09 Avaya Inc. Method for Media Access Control address learning and learning rate suppression
CA2806527A1 (en) 2010-07-26 2012-02-09 Seven Networks, Inc. Mobile network traffic coordination across multiple applications
WO2013015835A1 (en) 2011-07-22 2013-01-31 Seven Networks, Inc. Mobile application traffic optimization
CN108429800B (zh) * 2010-11-22 2020-04-24 杭州硕文软件有限公司 一种移动设备
US20130170415A1 (en) 2011-04-04 2013-07-04 Kyocera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 method and radio terminal
US9560632B2 (en) 2011-08-12 2017-01-31 Qualcomm Incorporated Devices for title of invention reduced overhead paging
US9560630B2 (en) 2011-08-12 2017-01-31 Qualcomm Incorporated Devices for reduced overhead paging
US9301266B2 (en) 2011-08-19 2016-03-29 Qualcomm Incorporated Beacons for wireless communication
KR101868635B1 (ko) * 2011-10-28 2018-07-20 삼성전자주식회사 근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
US8937918B2 (en) 2011-10-29 2015-01-20 Ofinno Technologies, Llc Efficient special subframe allocation
US8971250B2 (en) * 2011-10-29 2015-03-03 Ofinno Technologies, Llc Special subframe allocation
US11696300B2 (en) 2011-10-29 2023-07-04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Configuration of reduced transmission power time intervals based on traffic load
US8873467B2 (en) 2011-12-05 2014-10-28 Ofinno Technologies, Llc Control channel detection
US9591612B2 (en) 2011-12-05 2017-03-07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low overhead paging
US8934436B2 (en) 2011-12-31 2015-01-13 Ofinno Technologies, L.L.C. Special subframe configuration in wireless networks
CN103298135B (zh) 2012-02-24 2016-05-1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调度方法和系统、以及接入点和站点
EP3203780A1 (en) 2012-03-02 2017-08-09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beacon information
KR101909025B1 (ko) * 2012-05-17 2018-10-17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의 무선 접속 장치 스캔 방법
JP6102933B2 (ja) * 2012-09-27 2017-03-29 富士通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方法、通信プログラム、および通信システム
US9584411B2 (en) * 2012-12-06 2017-02-28 Qualcomm Incorporated Power save mechanism for low-power network devices
CN104023316B (zh) * 2013-03-01 2017-11-17 华为技术有限公司 组播信息传输方法及设备
JP6112938B2 (ja) * 2013-03-29 2017-04-12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102368461B1 (ko) * 2015-08-06 2022-02-2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에서 전원을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
US11102238B2 (en) 2016-04-22 2021-08-24 Sophos Limited Detecting triggering events for distributed denial of service attacks
US10986109B2 (en) 2016-04-22 2021-04-20 Sophos Limited Local proxy detection
US10938781B2 (en) 2016-04-22 2021-03-02 Sophos Limited Secure labeling of network flows
US11165797B2 (en) 2016-04-22 2021-11-02 Sophos Limited Detecting endpoint compromise based on network usage history
US11277416B2 (en) * 2016-04-22 2022-03-15 Sophos Limited Labeling network flows according to source applications
US20170359306A1 (en) 2016-06-10 2017-12-14 Sophos Limited Network security
JP6716356B2 (ja) 2016-06-20 2020-07-01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0440649B2 (en) * 2017-01-02 2019-10-08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erforming power management in wireless LAN system and wireless device using the same
EP3913991A1 (en) * 2020-05-22 2021-11-24 Google LLC Wi-fi adaptive beacon skipping for battery-powered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67297A (en) 1996-06-28 2000-05-23 Symbol Technologies, Inc. Embedded access point supporting communication with mobile unit operating in power-saving mode
US6212175B1 (en) 1997-04-22 2001-04-03 Telxon Corporation Method to sustain TCP connection
CA2242219A1 (en) 1997-10-03 1999-04-03 Newbridge Networks Corporation Classes of service in an mpoa network
US6363267B1 (en) 1999-04-07 2002-03-2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obile terminal decode failure procedure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FI109163B (fi) 2000-02-24 2002-05-31 Nokia Corp Menetelmä ja laitteisto liikkuvuuden tukemiseksi tietoliikennejärjestelmässä
WO2001069859A1 (en) 2000-03-17 2001-09-2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obile terminal sleep phase assignment and announcement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US7010300B1 (en) 2000-06-15 2006-03-07 Sprint Spectrum L.P. Method and system for intersystem wireless communications session hand-off
FR2812997B1 (fr) 2000-08-11 2003-01-17 Nadim Massoud Procede et installation d'interrogation telephonique
US7099629B1 (en) 2000-11-06 2006-08-2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adaptive transmission control in a high data rate communication system
WO2002078258A2 (en) 2001-03-08 2002-10-03 Desktop Tv, Inc. Method for data broadcasting
US6674738B1 (en) 2001-09-17 2004-01-06 Networks Associates Technology, Inc. Decoding and detailed analysis of captured frames in an IEEE 802.11 wireless LAN
US7721337B2 (en) * 2001-10-26 2010-05-18 Ibiquity Digita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push of background data
US20030093530A1 (en) * 2001-10-26 2003-05-15 Majid Syed Arbitrator system and method for national and local content distribution
KR100459036B1 (ko) 2001-12-18 2004-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에이티엠 스위치 시스템의 트레인 패킷 구성 방법
US20030137970A1 (en) 2002-01-22 2003-07-24 Odman Knut T. System and method for improved synchronization in a wireless network
US6961595B2 (en) 2002-08-08 2005-11-01 Flarion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operating mobile nodes in multiple states
US7515569B2 (en) 2002-11-27 2009-04-07 Agere Systems, Inc. Access control for wireless systems
CN1771693B (zh) 2003-06-30 2010-06-02 诺基亚公司 在无线短程通信终端中控制功耗的方法、设备以及短程无线通信系统
US7130668B2 (en) 2003-09-01 2006-10-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sleep mode in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KR100594009B1 (ko) 2003-09-26 2006-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슬립 구간 설정 방법
US7586864B2 (en) 2003-09-30 2009-09-08 Sharp Kabushiki Kaisha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terminal,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management method, control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ontaining the same
KR100686775B1 (ko) 2003-11-07 2007-02-23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트래픽 지시 메시지 전송 방법
US7181190B2 (en) 2004-04-30 2007-02-20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for maintaining wireless network response time while saving wireless adapter power
KR20060047692A (ko) 2004-05-07 2006-05-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에 적용되는 수면모드 수행 및 제어방법
US7424007B2 (en) * 2004-05-12 2008-09-09 Cisco Technology, Inc. Power-save method for 802.11 multicast paging applications
DE602004030956D1 (de) * 2004-06-15 2011-02-17 Panasonic Corp Prioritätsbehandlung für Datenübertragungen
US7505795B1 (en) 2004-07-07 2009-03-17 Advanced Micro Devices, Inc. Power save management with customized range for user configuration and tuning value based upon recent usage
KR100885158B1 (ko) 2004-08-09 2009-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에서 수면모드 단말의 주기적인레인징방법
EP1670179B1 (en) * 2004-12-09 2007-11-28 Research In Motion Limited Apparatus and methods for two or more delivery traffic indication message (DTIM) periods in wireless networks
US7408931B2 (en) * 2004-12-29 2008-08-05 Motorola, Inc. Methods for delivery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US7593417B2 (en) * 2005-01-21 2009-09-22 Research In Motion Limited Handling broadcast and multicast traffic as unicast traffic in a wireless network
TWI293842B (en) 2005-07-25 2008-02-21 Ind Tech Res Inst Method of reducing call establishment delay in wireless network
US7440781B2 (en) 2005-10-07 2008-10-21 Symbol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power conservation in a wireless device
US8345647B2 (en) 2005-11-04 2013-01-01 Nokia Corporation Flexible multicast and/or broadcast listening interval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1056B1 (ko) * 2009-08-24 2014-06-27 인텔 코오퍼레이션 향상된 멀티캐스트 브로드캐스트 서비스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10070794A (ko) * 2009-12-18 2011-06-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적응적 전원 절약/전원 절약 지원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9529301A (ja) 2009-08-13
EP1992108A1 (en) 2008-11-19
US7916687B2 (en) 2011-03-29
US20070211745A1 (en) 2007-09-13
WO2007103888A1 (en) 2007-09-13
TW200803374A (en) 2008-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16687B2 (en) Standby time improvements
US8274956B2 (en) Standby time improvements using sub-networks
RU2480957C2 (ru) Способ экономии потребляемой мощности для устройств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US8160000B2 (en) Achieving power savings through packet grouping
CN102611996B (zh) 无线网络中站的待机时间改进
US8223662B2 (en) Concurrent operation in multiple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US8755848B2 (en) Mobile device power management
US8284708B2 (en) Power save enhancements fo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CN101395846A (zh) 待机时间的改进
US11895589B2 (en) Power-efficient communication of group-addressed frames
JP2004234667A (ja) ネットワークインターフェースモジュール内の電力を管理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2006060788A (ja) 無線ネットワーク内の通信局のエネルギー消費を最適化する方法および通信局の制御方法
US20110158115A1 (en) Power Efficiency and Packet Delivery Ratio Through Micro Rate Control at Access Point Functionality Enabled Devices
KR100730238B1 (ko) 이기종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의 데이터 통신방법
CN101485151A (zh) 使用子网络提升待机时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