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2942A - Information presentation device - Google Patents

Information presentation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2942A
KR20080102942A KR1020077026921A KR20077026921A KR20080102942A KR 20080102942 A KR20080102942 A KR 20080102942A KR 1020077026921 A KR1020077026921 A KR 1020077026921A KR 20077026921 A KR20077026921 A KR 20077026921A KR 20080102942 A KR20080102942 A KR 200801029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nformation
display
image
attitu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69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유이찌로 아까쯔까
아끼또 사이또
가즈히꼬 다까하시
아끼라 시라이
나오히로 후꾸야마
다께마사 스기따
다이지 미네
Original Assignee
올림푸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올림푸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올림푸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77026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102942A/en
Publication of KR20080102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294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5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ion of battery packs and other power supplies such as fuel cells or integrated AC adap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An information presentation device(10), which presents an object image and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object to an operator, is comprised of a user interface unit (14) including an operation unit (13) which the operator operates or a display unit (an information display unit (12) and a transparent reflective plate) for presenting information to the operator, and a user interface control unit (21) for detecting or estimating a posture of the operation unit or the display unit and for switching operations or functions of the user interface unit based on the detected or estimated posture.

Description

정보 정시 장치{INFORMATION PRESENTATION DEVICE}Information on time device {INFORMATION PRESENTATION DEVICE}

본 발명은, 대상물의 상과 함께 그 대상물과 관련되는 정보를 조작자에게 정시하는 정보 정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formation presenting apparatus for presenting to an operator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n object along with an image of the object.

휴대형의 정보 정시 장치로서, 예를 들면, 일본 특개평 5-323229호 공보나 일본 특개평 5-303054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옵티컬 시스루형 정보 정시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것은, 조작자의 시선 상에 하프 미러 등이 배치되도록 정보 정시 장치를 조작자의 측두부에 유지시키고, 그 하프 미러를 투과하여 관찰되는 관찰 대상의 실상 상에, 정보 표시부에 의해 소정의 화상을 중첩 표시함으로써 정보 제시를 행한다고 하는 것이다.As a portable information presenting apparatus, for example, an optical see-through type information presenting apparatu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5-323229 or Japanese Patent Laid-Open No. 5-303054 is known. This is done by holding the information display device on the head of the operator so that a half mirror or the like is placed on the operator's line of sight, and superimposing and displaying a predetermined image on the actual image of the observation target observed through the half mirror. It is to present information.

또한,US 2003/0064758 A1에는, 표시부와 조작부를 가진 절첩의 휴대 정보 단말기에서, 그 개폐 자세에 따라서 표시부의 표시의 방향을 적절하게 변환하여 표시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In addition, US 2003/0064758 A1 discloses a technique in which a folded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having a display unit and an operation unit appropriately converts a display direction of a display unit according to its open / close posture and displays it.

상기 일본 특개평 5-323229호 공보나 일본 특개평 5-303054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휴대형의 정보 정시 장치에서는, 조작자나 그 사용하는 상황에 따라서, 그 정보 정시 장치를 보는 데에 사용하는 눈(우안이나 좌안) 및 장치를 유지하는 손(오른손이나 왼손)이 상이하다. 따라서, 정보 정시 장치의 사용 상황에 따라서, 유저 인터페이스, 즉 표시하는 화상의 방향이나 조작부의 버튼의 역할을 절환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그 절환을 조작자가 조작하는 절환 스위치에 의해 행하였기 때문에, 번잡하였다.In the portable information presenting device a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5-323229 or Japanese Patent Laid-Open No. 5-303054, it is used to view the information presenting device depending on the operator or the situation of use thereof. The eye (right or left eye) and the hand (right or left hand) holding the device are differ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witch the role of the user interface, ie, the direction of the image to be displayed and the button of the operation part, according to the use situation of the information presenting apparatus. However, in the past, the switching was complicated by a switching switch operated by an operator.

여기서, 표시의 방향의 절환에 대해서는, 상기 US 2003/0064758 A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기술이 있지만, 그 기술은 표시를 보는 데에 사용하는 눈과는 무관계하여, 그 기술을 상기한 바와 같은 정보 정시 장치에 그대로 적용할 수는 없다. Here, regarding the switching of the display direction, there is a technique as disclosed in the above US 2003/0064758 A1, but the technique is independent of the eye used to view the display, and the technique is described above. It cannot be applied to the device on time.

<발명의 개시><Start of invention>

본 발명은, 상기의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사용 상황에 따라서 유저 인터페이스를 자동적으로 절환하는 것이 가능한 정보 정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is invention is made | formed in view of the said point, and an object of this invention is to provide the information timing apparatus which can switch a user interface automatically according to a use situation.

본 발명의 정보 정시 장치의 일 양태는, 대상물의 상과 함께 그 대상물과 관련되는 정보를 조작자에게 정시하는 정보 정시 장치로서, One aspect of the information presen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formation presenting apparatus for presenting an information related to an object with an image of an object to an operator.

상기 조작자가 조작을 행하는 조작부 또는 그 조작자에 대하여 정보를 정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부와, A user interface unit including an operation unit for performing the operation by the operator or a display unit for specifying information on the operator;

상기 조작부 또는 상기 표시부의 자세를 검출 또는 추정하고, 그 검출 또는 추정된 자세에 기초하여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부의 동작 또는 기능을 절환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제어부A user interface control unit for detecting or estimating a posture of the operation unit or the display unit and switching the operation or function of the user interface unit based on the detected or estimated posture.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Characterized in having a.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정시 장치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ppearance of an information prese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정시 장치의 블록 구성도.2 is a block diagram of an information prese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정보 정시 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information presenting apparatus;

도 4는 표시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4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display unit;

도 5는 정보 정시 장치의 오른손 유지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Fig.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right hand holding state of the information timing apparatus.

도 6은 정보 정시 장치의 왼손 유지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Fig.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left hand holding state of the information presenting apparatus.

도 7은 유저 인터페이스 제어부의 동작 플로우차트를 도시하는 도면.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flowchart of a user interface control unit.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정시 장치의 블록 구성도.8 is a block diagram of an information prese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정시 장치의 블록 구성도.9 is a block diagram of an information prese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정시 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information prese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the best form for implementing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with reference to drawings.

[제1 실시예][First Embodiment]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정시 장치(10)는, 조작자 전방의 소정의 위치의 화면 상에 소정의 정보를 나타내는 소정의 화상(문자, 기호 또는 화상 등으로 구성된 정보)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갖고 있다. 이 표시부는, 하프 미러인 투명 반사판(11)과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정보 표 시부(12)를 포함한다. 투명 반사판(11)은 투과 기능을 갖고 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자(100)가 자신의 오른손(101)으로 정보 정시 장치(10)를 유지하고, 조작자 두부(102)에 그 정보 정시 장치(10)를 대고 우안(103)으로 들여다 보았을 때, 그 투명 반사판(11)을 투과하여 관찰 대상의 실상을 관찰할 수 있다. 또한,이 투명 반사판(11)의 반사 기능에 의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정보 표시부(12)에 표시한 상기 소정의 화상의 투영상이 그 반사면에서 우안구(103A)를 향하여 반사된다. 따라서, 상기 소정의 화상도 상기 관찰 대상의 실상에 중첩시켜 조작자(100)에게 관찰시킬 수 있다. 즉, 투명 반사판(11)을 표시 화면으로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edetermined image (character, symbol) representing predetermined information on a scree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front of the operator. Or information composed of an image or the like). This display part includes the transparent reflecting plate 11 which is a half mirror, and the information display part 12,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The transparent reflecting plate 11 has a transmission function. Thus, as shown in FIG. 3, the operator 100 holds the information presenting device 10 with his right hand 101, and places the information presenting device 10 on the operator head 102 with the right eye 103. ), The actual image of the object to be observed can be observed through the transparent reflecting plate 11. In addition, due to the reflection function of the transparent reflecting plate 11, as shown in FIG. 4, the projection image of the predetermined image displayed on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12 is directed toward the right eye 103A from the reflecting surface. Reflected. Therefore, the said predetermined image can also be superimposed on the real object of the said observation object, and can be observed by the operator 100. FIG. That is, the transparent reflecting plate 11 can be used as a display screen.

또한, 정보 정시 장치(10)는, 조작자(100)가 조작을 행하는 복수개의 조작 버튼을 포함하는 조작부(13)를 갖고 있다. 이 조작부(13)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자(100)가 우안(103)으로 관찰을 행하는 유지 또는 장착의 형태에서 상측으로 되는 정보 정시 장치(10)의 측면에 배치된 복수개의 조작 버튼(예를 들면, A버튼(13A) 및 B버튼(13B))을 포함한다. 또한, 조작부(13)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자(100)가 좌안(104)으로 관찰을 행하는 유지 또는 장착의 형태에서 상측으로 되는 정보 정시 장치(10)의 측면에 배치된 복수개의 조작 버튼(예를 들면, C버튼(13C) 및 D버튼(13D))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조작 버튼을 정보 정시 장치(10)의 양측에 배치함으로써, 조작자(100)가 주로 잘 쓰는 쪽의 눈, 주로 잘 쓰는 쪽의 팔에 의해 사용 형태의 자유도를 늘리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The information presenting apparatus 10 also has an operation unit 13 including a plurality of operation buttons for which the operator 100 performs an operation. As shown in FIG. 5, the operation unit 13 includes a plurality of operation unit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information display device 10 that is positioned upward in the form of holding or mounting in which the operator 100 observes the right eye 103. Operation buttons (e.g., A button 13A and B button 13B). Moreover, as shown in FIG. 6, the operation part 13 has a some arrange | positioned at the side of the information display device 10 which becomes the upper side in the form of the holding | maintenance or attachment which the operator 100 observes with the left eye 104. As shown in FIG. Operation buttons (e.g., C button 13C and D button 13D). In this way, by arranging the operation buttons on both sides of the information display device 10, the operator 100 can increase the degree of freedom of the use form by the eyes of the user who writes well and the arms of the user who writes well.

상기 정보 표시부(12)(및 투명 반사판(11))와 조작부(13)는, 유저 인터페이 스부(14)를 구성한다.The information display unit 12 (and the transparent reflecting plate 11) and the operation unit 13 constitute a user interface unit 14.

또한, 정보 정시 장치(10)는, 화상 입력부(15)와 표시 정보 검색부(16)를 갖고 있다. 화상 입력부(15)는, 조작자(100)가 투명 반사판(11)을 통해서 관찰하고 있는 관찰 대상을 포함하는 화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를 포함한다. 표시 정보검색부(16)는, 상기 정보 표시부(12)에 표시하여 관찰 대상의 실상에 중첩 표시시킬 정보 또는 화상을, 상기 화상 입력부(15)로부터 입력된 화상에 기초하여 검색한다. 즉, 이들 화상 입력부(15)와 표시 정보 검색부(16)는,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소정의 화상으로서의, 입력 화상에 관련되는 정보 또는 화상을 생성하는 화상 생성부(17)를 구성한다.In addition, the information presenting apparatus 10 includes an image input unit 15 and a display information search unit 16. The image input unit 15 includes a camera for photographing an image including an observation target that the operator 100 is observing through the transparent reflecting plate 11. The display information retrieval unit 16 searches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12 for information or an image to be superimposed and displayed on the actual object to be observed based on the image input from the image input unit 15. That is, these image input unit 15 and the display information retrieval unit 16 constitute an image generation unit 17 that generates information or an image related to the input image as a predetermined image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또한, 정보 정시 장치(10)의 유지 또는 장착의 형태로서, 상기 표시부와 상기 조작부(13)의 실질적인 상대적 위치 관계는 동일하여도, 조작자(100)가 정보 정시 장치(10)를,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안(103)으로 관찰을 행하도록 유지 또는 장착한 경우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안(104)으로 관찰을 행하도록 유지 또는 장착한 경우에서는, 정보 정시 장치(10)의 상하 관계가 반전된다. 그 때문에, 그 유지 또는 장착한 상태에 따라서 정보 표시부(12)에 표시하는 화상의 방향을 변경하는 것이 필요하다.Moreover, as a form of holding or mounting of the information presenting apparatus 10, even if the actual relativ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display unit and the operation unit 13 is the same, the operator 100 shows the information presenting apparatus 10 in FIG. 5. As shown in FIG. 6, when the device is held or mounted to observe the right eye 103 and when the holder is held or mounted to observe the left eye 104 as shown in FIG. The up-down relationship is revers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image displayed on the information display part 12 according to the holding or attaching state.

또한, 예를 들면, 조작자(100)에게 있어서 각각 좌측, 우측으로의 화상의 스크롤을 대표하는 아이콘을 표시하고, 그것에 따라서 조작자(100)가 화상 스크롤의 조작을 행하는 경우가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자 두부(102) 우측에 정보 정시 장치(10)를 유지할 때에는, 조작자(100)는 오른손으로 정보 정시 장 치(10)를 유지한다. 이 경우, 그 오른손의 제1 손가락(엄지)부터 제5 손가락(소지) 중, 우측 스크롤을 지시하기 위한 버튼으로서는 제3 손가락(중지)으로 조작하는 쪽이 제4 손가락(약지)으로 조작하는 것보다도 직감적으로 다루기 쉽다. 마찬가지로, 좌측 스크롤을 지시하기 위한 버튼으로서는 오른손 제4 손가락(약지)으로 조작하는 쪽이 자연스럽다. 따라서, 그와 같은 우측 스크롤을 지시하는 조작부(13)의 버튼으로서는 상기 A버튼(13A), 좌측 스크롤을 지시하는 조작부(13)의 버튼으로서는 상기 B버튼(13B)이 할당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조작자(100)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자 두부(102) 좌측에 정보 정시 장치(10)를 유지할 때에는, 왼손으로 정보 정시 장치(10)를 유지한다. 그 때문에, 그 왼손의 제1 손가락(엄지)부터 제5 손가락(소지) 중, 우측 스크롤을 지시하기 위한 버튼으로서는 제4 손가락(약지)으로 조작하는 쪽이 제3 손가락(중지)으로 조작하는 것보다도 직감적으로 다루기 쉽다. 마찬가지로, 좌측 스크롤을 지시하기 위한 버튼으로서는 왼손 제3 손가락(중지)으로 조작하는 쪽이 자연스럽다. 따라서, 그와 같은 우측 스크롤을 지시하는 조작부(13)의 버튼으로서는 상기 C버튼(13C), 좌측 스크롤을 지시하는 조작부(13)의 버튼으로서는 상기 D버튼(13D)이 할당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for example, the operator 100 displays icons representing the scrolling of the image to the left and the right, respectively, and the operator 100 may operate the image scrolling accordingly. As shown in FIG. 5, when holding the information display device 10 on the right side of the operator's head 102, the operator 100 holds the information display device 10 with his right hand. In this case, as a button for instructing the right scroll among the first to fifth fingers of the right hand, the one to operate with the third finger (stop) operates with the fourth finger (finger finger). It is easier to handle more intuitively. Similarly, the button for instructing the left scroll is more naturally operated by the fourth finger of the right hand (the ring finger).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button A of 13A is assigned as a button of the operation unit 13 which instructs such a right scroll, and the button B 13B which is assigned as a button of the operation unit 13 instructing a left scroll. On the other hand, when the operator 100 holds the information display device 10 on the left side of the operator head 102 as shown in Fig. 6, the information display device 10 is held by the left hand. Therefore, as a button for instructing the right scroll among the first finger (thumb) of the left hand and the fifth finger (holding), the one operating with the fourth finger (finger finger) operates with the third finger (stop). It is easier to handle more intuitively. Similarly, the button for instructing the left scroll is naturally operated by the third finger (stop) of the left hand.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assign the C button 13C as the button of the operation unit 13 for instructing such right scroll and the D button 13D as the button of the operation unit 13 for instructing the left scroll.

이와 같이, 정보 정시 장치(10)의 유지 또는 장착의 형태에 따라서, 조작부(13)의 버튼의 할당도 변경할 필요가 있다.In this way,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assignment of the buttons of the operation unit 13 in accordance with the form of the holding or mounting of the information presenting apparatus 10.

따라서, 그와 같은 정보 정시 장치(10)의 유지 또는 장착의 형태에 따른 표시의 방향 및 조작 버튼 할당의 변경을 행하기 위해서, 본 실시예에서는, 정보 정시 장치(10)는, 자세 추정/검출부(18)와, 조작 지시 판정부(19)와, 표시 변환 부(2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자세 추정/검출부(18)는,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부(14)의 자세, 즉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부(14)의 상대적인 상 또는 하 방향을 추정 또는 검출한다. 상기 조작 지시 판정부(19)는, 이 자세 추정/검출부(18)의 추정 또는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조작부(13)에 할당된 기능을 절환한다. 상기 표시 변환부(20)는, 상기 자세 추정/검출부(18)의 추정 또는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정보 표시부(12)에 표시하는 화상을 변환한다. 이들 자세 추정/검출부(18)와, 조작 지시 판정부(19)와, 표시 변환부(20)는, 유저 인터페이스 제어부(21)를 구성한다.Therefore, in order to change the direction of display and the operation button assignment according to the type of holding or mounting such information presenting device 10, in this embodiment, the information presenting device 10 is a posture estimating / detecting unit. 18, the operation instruction determination unit 19, and the display conversion unit 20 are provided. The attitude estimation / detector 18 estimates or detects the attitude of the user interface 14, that is, the relative up or down direction of the user interface 14. The operation instruction determination unit 19 switches the function assigned to the operation unit 13 based on the estimation or detection result of the attitude estimation / detection unit 18. The display conversion unit 20 converts an image displayed on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12 based on the estimation or detection result of the attitude estimation / detection unit 18. These attitude estimation / detecting units 18, the operation instruction determining unit 19, and the display converting unit 20 constitute a user interface control unit 21.

이 유저 인터페이스 제어부(21)의 동작을, 도 7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정보 표시부(12)에, 예를 들면 「상측의 조작부를 조작해 주십시오」라고 하는 바와 같은, 상대적으로 상 또는 하측의 상기 조작부(13)의 조작을 재촉하는 표시를 행한다(스텝 S1). 이것은, 정보 정시 장치(10)가 도 5 및 도 6 중 어느 쪽의 유지 또는 장착 형태라도 조작자(100)가 이해할 수 있도록, 상향으로도 하향으로도 표시한다. 그리고, 자세 추정/검출부(18)는, 상기의 조작부(13)의 조작을 재촉하는 표시에 따른 상기 조작자(100)의 조작을 검출하고(스텝 S2), 그 검출 결과에 의해,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부(14)의 자세(상하 방향)를 추정한다(스텝 S3). 즉, 조작부(13)의 상기 A버튼(13A) 또는 B버튼(13B)이 조작된 경우에는, 도 5에 도시하는 유지 또는 장착 형태이며, 그들 A버튼(13A) 및 B버튼(13B)이 배치 된 측이 상방향인 것으로 추정한다. 또한, 조작부(13)의 상기 C버튼(13C) 또는 D버튼(13D)이 조작된 경우에는, 도 6에 도시하는 유지 또는 장착 형태이며, 그들 C버 튼(13C) 및 D버튼(13D)이 배치된 측이 상방향인 것으로 추정한다.The operation of the user interface control unit 21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of FIG. 7. First, the information display part 12 displays the display which prompts operation | movement of the said operation part 13 of the upper side or the lower side relatively, for example, "please operate the upper operation part" (step S1). This is displayed upward or downward, so that the operator 100 can understand the information or display device 10 in either the holding or the mounting form of Figs. 5 and 6. And the attitude | position estimation / detection part 18 detects the operation of the said operator 100 according to the display which prompts the operation of the said operation part 13 (step S2), and,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the said user interface part The attitude (up and down direction) of (14) is estimated (step S3). That is, when the said A button 13A or B button 13B of the operation part 13 was operated, it is the holding | maintenance or mounting form shown in FIG. 5, and those A button 13A and B button 13B are arrange | positioned. It is assumed that the side is upward. In addition, when the said C button 13C or the D button 13D of the operation part 13 was operated, it is the holding | maintenance or mounting form shown in FIG. 6, and those C buttons 13C and D button 13D are It is assumed that the arranged side is upward.

그리고, 이 추정에 따라서, 조작 지시 판정부(19)는 조작부(13)의 기능 할당을 변경하고, 표시 변환부(20)는, 정보 표시부(12)의 표시의 방향의 변경을 행한다(스텝 S4).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정보 정시 장치(10)는, 도 5에 도시하는 유지 또는 장착 형태를 디폴트로 하고 있다. 따라서, 실제로는, 이 스텝 S4의 동작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A버튼(13A) 및 B버튼(13B)이 배치된 측이 상방향인 것으로 추정된 경우에는, 아무것도 행하지 않는다. 즉,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C버튼(13C) 및 D버튼(13D)가 배치된 측이 상방향인 것으로 추정된 경우에만, 이 스텝 S4의 동작이 행해진다. 이 경우, 조작 지시 판정부(19)는, 예를 들면, 상기 C버튼(13C)에는 표시 화상의 우측 스크롤을 지시하는 기능을, 상기 D버튼(13D)에는 좌측 스크롤을 지시하는 기능을 할당하고, 상기 A버튼(13A) 및 B버튼(13B)에는 다른 기능을 할당한다. 그리고, 조작부(13)의 어느 하나의 버튼이 조작되면, 그 할 당한 기능에 따른 조작 지시 내용을 상기 화상 생성부(17)의 표시 정보 검색부(16)에 공급하여, 새로운 검색을 행하게 하거나 하여 화상을 생성시킨다. 또한, 표시 변환부(20)는, 상기 표시 정보 검색부(16)에서 생성한 화상의 방향을 변경하고, 그 화상을 정보 표시부(12)에 표시시킨다.And according to this estimation, the operation instruction determination part 19 changes the function assignment of the operation part 13, and the display conversion part 20 changes the direction of the display of the information display part 12 (step S4). ). In addition, in the present Example, the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10 defaults to the holding | maintenance or mounting form shown in FIG. Therefore, in practice, the operation of step S4 does nothing when it is estimated that the side on which the A button 13A and the B button 13B are arranged is upward as shown in FIG. 5. That is, as shown in Fig. 6, the operation of step S4 is performed only when the side on which the C button 13C and the D button 13D are disposed is estimated to be upward. In this case, the operation instruction determining unit 19 assigns, for example, a function of instructing the right scroll of the display image to the C button 13C, and a function of instructing the left scroll to the D button 13D. The A button 13A and the B button 13B are assigned different functions. Then, when any button of the operation unit 13 is operated, the operation instruction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assigned function is supplied to the display information retrieval unit 16 of the image generation unit 17 so as to perform a new search. Create an image. In addition, the display conversion unit 20 changes the direction of the image generated by the display information retrieval unit 16, and causes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12 to display the image.

또한,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제어부(21)에 의한 상하 판정을 할 수 있을 때 까지는, 화상 생성부(17)에서, 관찰 대상의 실상에 중첩 표시시킬 입력 화상에 관련되는 정보 또는 화상의 생성은 행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상하 판정이 행해진 후, 화상 생성부(17)에서 생성한 정보 또는 화상의 상하의 방향을, 상기 표시 변환부(20)에서 변환하여, 정보 표시부(12)에 표시한다.In addition, the image generation unit 17 does not generate information or images related to the input image to be superimposed on the actual object to be observed until the user interface control unit 21 can determine the up and down. After the upper and lower determinations are made, the display converting unit 20 converts th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image generating unit 17 or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s of the image to be displayed on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12.

또한, 정보 정시 장치(10)의 실제의 사용 시에는, 상기 상하 판정에 의한 유저 인터페이스부(14)의 절환뿐만 아니라, 상세 설명은 생략하지만, 실제의 관찰 대상의 관찰을 개시하기 전에, 시선 캘리브레이션의 조작 및 처리를 실행하는 것이 필요한 것은 물론이다. 이것은, 소정의 캘리브레이션 대상의 상을 관찰하고, 그 실상에 대하여 소정 위치에 상기 화상 생성부(17)에서 생성된 정보 또는 화상이 중첩 표시되도록 하는 조작 및 처리이다.In addition, at the time of actual use of the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10, not only the switching of the user interface part 14 by the said up-and-down judgment, but a detailed description are abbreviate | omitted, but before starting an observation of an actual observation target, it is a gaze calibration. Of course it is necessary to perform the operation and processing of. This is an operation and processing for observing an image of a predetermined calibration target and causing the information or image generated by the image generating unit 17 to be superimposed and display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actual imag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상대적으로 상 또는 하측의 조작부(13)의 조작을 재촉하는 표시가 정보 표시부(12)에 이루어진 후의 조작자(100)의 조작에 기초하여 유저 인터페이스부(14)의 자세를 추정한다. 이에 의해, 사용 상황에 따라서 유저 인터페이스부(14)를 자동적으로 절환하는 것이 가능한 정보 정시 장치(10)를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interface is based on the operation of the operator 100 after the display for prompting the operation of the upper or lower operation unit 13 is made on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12. The posture of the unit 14 is estimated. Thereby, the information timing apparatus 10 which can switch the user interface part 14 automatically according to a use situation can be provided.

[제2 실시예]Second Embodiment

상기 제1 실시예에서는, 자세 추정/검출부(18)는, 상대적으로 상 또는 하측의 조작부(13)의 조작을 재촉하는 표시가 정보 표시부(12)에 이루어진 후의 조작자(100)의 조작에 기초하여 유저 인터페이스부(14)의 자세를 추정하도록 하였다.In the first embodiment, the attitude estimation / detection unit 18 is based on the operation of the operator 100 after the display for prompting the operation of the upper or lower operation unit 13 is made on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12. The posture of the user interface 14 was estimated.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정시 장치(10)에서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세 추정/검출부(18)는, 중력 방향을 검출하는 중력 센서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실시예와 같이 조작자(100)의 조작을 대기하지 않고, 그 자세 추정/검출부(18)만으로, 유저 인터페이스부(14) 의 자세를 추정할 수 있다.In contrast, in the information presenting device 1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8, the attitude estimating / detecting unit 18 is configured as including a gravity sensor for detecting the direction of gravity. have. Therefore, the attitude of the user interface unit 14 can be estimated only by the attitude estimation / detection unit 18 without waiting for the operation of the operator 100 as in the first embodiment.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중력 센서를 이용함으로써, 용이하게 유저 인터페이스부(14)의 자세를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 상황에 따라서 유저 인터페이스부(14)를 자동적으로 절환하는 것이 가능한 정보 정시 장치(10)를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ttitude of the user interface unit 14 can be easily estimated by using the gravity sensor. Therefore, the information timing apparatus 10 which can switch the user interface part 14 automatically according to a use situation can be provided.

[제3 실시예]Third Embodiment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정시 장치(10)에서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 생성부(17)는, 화상 입력부(15) 및 표시 정보 검색부(16) 외에 자세추정/검출부(18)를 포함한다. 또한, 유저 인터페이스 제어부(21)는, 자세 추정/검출부(18), 조작 지시 판정부(19) 및 표시 변환부(20) 외에, 화상 입력부(15)를 포함한다. 즉, 화상 입력부(15) 및 자세 추정/검출부(18)는, 화상 생성부(17)의 일부로서 이용됨과 함께 유저 인터페이스 제어부(21)의 일부로서도 이용된다. 또한, 자세 추정/검출부(18)는, 본 실시예에서는, 위치 및 자세 판정부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구성되어 있다.In the information presenting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9, the image generating unit 17 is in addition to the image input unit 15 and the display information retrieval unit 16 in posture estimation / The detection unit 18 is included. In addition, the user interface control unit 21 includes an image input unit 15 in addition to the attitude estimation / detection unit 18, the operation instruction determination unit 19, and the display conversion unit 20. That is, the image input unit 15 and the attitude estimation / detection unit 18 are used as part of the image generation unit 17 and also as part of the user interface control unit 21. In addition, the attitude | position estimation / detection part 18 is comprised in this embodiment as including a position and a attitude | position determination part.

즉, 본 실시예에서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책상면(200) 등의 기준면 상에, 대상물(201) 외에 기준면 판정용 마커(202)를 배치한다. 그리고, 자세 추정/검출부(18)의 위치 및 자세 판정부는, 이 기준면 판정용 마커(202)가 보이는 방식에 의해, 유저 인터페이스부(14)의 상하 방향을 판정한다. 즉, 이 위치 및 자세 판정부는, 실세계 중의 절대 좌표계에서의 위치 및 자세와 광학적 특징이 기지인 기준면 판정용 마커(202)를 화상 입력부(카메라)(15)에서 촬영한 화상을 이용하여, 그 기준면 판정용 마커(202)의 촬영 시에서의 그 화상 입력부(카메라)(15)의 자세를 추정하는 것이다. 그 추정은, 예를 들면 「VR 인터페이스를 위한 단안에 의한 장방형 마커 위치·자세의 고정밀도 실시간 추정법」(3D Image Conference '96 予稿集 pp.167-172 高橋章, 石井郁夫, 牧野秀夫, 中靜眞(1996))에 개시되어 있는 기준 마크 위치로부터 화상 입력 수단의 위치 및 자세를 구하는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그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That is,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10, the reference plane determination marker 202 is disposed on the reference plane such as the desk surface 200 in addition to the object 201. And the position and attitude determination part of the attitude | position estimation / detection part 18 determines the up-down direction of the user interface part 14 by the method which this reference surface determination marker 202 sees. That is, this position and attitude determination part uses the image which image | photographed the reference plane determination marker 202 whose position and attitude | position and optical characteristic in a real world coordinate system are known by the image input part (camera) 15, and the reference plane The attitude | position of the image input part (camera) 15 at the time of imaging of the determination marker 202 is estimated. The estimation is, for example, "a high-precision real-time estimation method of the rectangular marker position and posture by monocular for the VR interface" (3D Image Conference '96 予 稿 集 pp.167-172, 高井 章, 石井郁 夫, 牧野 秀 夫, 中 靜) This can be easily realized by using a method of obtaining the position and attitude of the image input means from the reference mark position disclosed in reference (1996). Therefor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또한, 화상 생성부(17)의 표시 정보 검색부(16)는, 상기 자세 추정/검출부(18)의 출력을 이용하여 표시 정보를 검색한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은 촬영한 기준면 판정용 마커(202)에 대한 관련 정보를 또는 화상을 검색한다.In addition, the display information retrieval unit 16 of the image generation unit 17 retrieves the display information using the output of the attitude estimation / detection unit 18. That is, the relevant information about the photographed reference plane determination marker 202 as described above or an image is searched.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유저 인터페이스 제어부(21)의 표시 변환부(20)는, 상기 제1 및 제2 실시예와 같은 상하의 방향을 변환할뿐만 아니라, 상기 위치 및 자세 판정부를 포함하는 자세 추정/검출부(18)에서 추정한 유저 인터페이스부(14)의 위치 및 자세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정보 검색부에서 검색된 관련 정보 또는 화상의 위치 및 자세를 변경하여 정보 표시부(12)에 표시시킨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대상물(201)의 위치 및 자세에 대응하는 위치 및 자세로, 그들 관련 정보 또는 화상을 조작자(100)에게 관찰시킬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촬영한 기준면 판정용 마커(202)에 대한 관련 정보를 중첩 표시하는 방법은, 예를 들면 USP6,577,249에 개시되어 있는 화상 입력 수단의 시점에 따라서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그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display conversion unit 20 of the user interface control unit 21 not only converts the up and down directions as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but also includes the position and attitude determination unit. Based on the position and attitude of the user interface unit 14 estimated by the / detector 18, the position and attitude of the related information or image retrieved from the display information retrieval unit are changed and displayed on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12. By doing in this way, the operator 100 can observe those related information or an image in the position and attitude |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and attitude | position of the object 201. In addition, the method of superimposing the related information about the photographed reference plane determination marker 202 by using the method of displaying the related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viewpoint of the image input means disclosed in USP6,577,249, for example is shown. It can be easily realized. Therefor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정시 장치(10)의 사용상의 시퀀스로서, 기준면 판정용 마커(202)를 인식할 때까지는 정보를 중첩하여 정시하지 않는다고 하는 것은 물론이다.In addition,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the information is not superimposed and indicated until the reference plane determination marker 202 is recognized as a sequence of use of the information presenting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이상과 같이, 본 제3 실시예에 따르면, 용이하게 유저 인터페이스부(14)의 자세를 추정할 수 있어, 사용 상황에 따라서 유저 인터페이스부(14)를 자동적으로 절환하는 것이 가능한 정보 정시 장치(10)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중첩 표시할 화상도, 그 상하 방향의 방향뿐만 아니라, 유저 인터페이스부(14)의 위치 및 자세에 따른 위치 및 자세로 정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the posture of the user interface unit 14 can be easily estimated, and the information presentation device 10 capable of automatically switching the user interface unit 14 in accordance with the use situation. ) Can be provided. In addition, the image to be superimposed also can be determined not only in the vertical direction but also in the position and posture according to the position and posture of the user interface unit 14.

이상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ased on the above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예를 들면, 정보 정시 장치(10)는 한쪽 손으로 유지되는 것으로서 설명하였지만, 손이 아니라, 어떠한 유지구에 의해 조작자 두부(102)에 유지 또는 장착하고, 조작부(13)의 조작만으로 손으로 행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표시부와 조작부(13)의 상대적 위치 및 자세가 실질적으로 변하지 않으면, 조작부(13)를 포함하는 부위를 표시부와는 별체로 하여, 예를 들면 표시부는 조작자 두부(102)에 유지 내지는 장착되고, 조작부(13)를 포함하는 부위는 조작자(100)의 허리 부분의 측부, 벨트 등에 장착되는 형태를 채용하도록 해도 된다.For example, the information presentation device 10 has been described as being held by one hand, but is held or mounted on the operator's head 102 by some holding tool, not by hand, and performed by hand only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unit 13. It may be. In addition, if the relative position and attitude | position of the display part and the operation part 13 do not change substantially, the site | part containing the operation part 13 will be separate from a display part, for example, a display part will be hold | maintained or mounted in the operator head 102, The portion including the operation portion 13 may be adopted to be attached to the side of the waist portion of the operator 100, the belt, or the like.

<부기>Bookkeeping

상기의 구체적 실시예로부터, 이하와 같은 구성의 발명을 추출할 수 있다.From the specific examples described above, the invention having the following structure can be extracted.

(1) 대상물의 상과 함께 그 대상물과 관련되는 정보를 조작자에게 정시하는 정보 정시 장치로서, (1) As an information presenting device for presenting an image of an object with information related to the object to an operator,

상기 조작자가 조작을 행하는 조작부 또는 그 조작자에 대하여 정보를 정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부와, A user interface unit including an operation unit for performing the operation by the operator or a display unit for specifying information on the operator;

상기 조작부 또는 상기 표시부의 자세를 검출 또는 추정하고, 그 검출 또는 추정된 자세에 기초하여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부의 동작 또는 기능을 절환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제어부A user interface control unit for detecting or estimating a posture of the operation unit or the display unit and switching the operation or function of the user interface unit based on the detected or estimated posture.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정시 장치. An information presenting apparatus comprising: a.

<대응하는 실시예>Corresponding Example

이 (1)에 기재된 정보 정시 장치에 관한 실시예는, 제1 내지 제3 실시예가 대응한다.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correspond to the embodiment of the information prese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is (1).

<작용 효과><Action effect>

이 (1)에 기재된 정보 정시 장치는, 검출 또는 추정된 연직 방향에 기초하여 유저 인터페이스부의 동작을 절환한다.The information prese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is (1) switches the operation of the user interface unit based on the detected or estimated vertical direction.

따라서, 이 (1)에 기재된 정보 정시 장치에 따르면, 사용 상황에 따라서 유저 인터페이스부를 자동적으로 절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timing apparatus described in this (1), it becomes possible to automatically switch a user interface part according to a use situation.

(2) 상기 표시부는, 상기 대상물의 실상과 소정의 정보를 나타내는 소정의 화상을 중첩하여, 상기 조작자에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에 기재된 정보 정시 장치.(2) The information presenting apparatus according to (1), wherein the display unit displays the actual image of the object and a predetermined image representing predetermined information and displays the same to the operator.

<대응하는 실시예>Corresponding Example

이 (2)에 기재된 정보 정시 장치에 관한 실시예는, 제1 내지 제3 실시예가 대응한다. As for the embodiment relating to the information prese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is (2),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correspond.

<작용 효과><Action effect>

이 (2)에 기재된 정보 정시 장치는, 표시부는 대상물의 실상과 생성된 화상을 중첩하여 조작자에게 정시한다.In the information prese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is (2), the display unit superimposes the actual image of the object and the generated image on the operator.

따라서, 이 (2)에 기재된 정보 정시 장치에 따르면, 관찰 대상물의 실상과 화상을 조작자에게 관찰시킬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described in this (2), the operator can observe the real image and the image of an observation object.

(3) 상기 소정의 화상으로서, 입력된 화상에 관련되는 정보 또는 화상을 생성하는 화상 정보 생성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에 기재된 정보 정시 장치.(3) The information presenting apparatus according to (2), further comprising an imag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that generates information or an image related to the input image as the predetermined image.

<대응하는 실시예>Corresponding Example

이 (3)에 기재된 정보 정시 장치에 관한 실시예는, 제1 내지 제3 실시예가 대응한다. As for the embodiment relating to the information prese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is (3),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correspond.

<작용 효과><Action effect>

이 (3)에 기재된 정보 정시 장치는, 입력된 화상에 관련되는 정보 또는 화상을 생성하는 화상 정보 생성부를 더 갖는다. The information prese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is (3) further includes an image information generating unit that generates information or an image related to the input image.

따라서, 이 (3)에 기재된 정보 정시 장치에 따르면, 입력된 화상에 관련되는 정보 또는 화상을 아울러 정시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presenting apparatus described in this (3), the information or the image related to the input image can also be displayed simultaneously.

(4) 상기 조작자에게 장착 또는 유지되는 형태(장착 또는 유지 방법)를 복수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에 기재된 정보 정시 장치.(4) The information presenting apparatus according to (1), having a plurality of forms (mounting or holding methods) to be mounted or held by the operator.

<대응하는 실시예>Corresponding Example

이 (4)에 기재된 정보 정시 장치에 관한 실시예는, 제1 내지 제3 실시예가 대응한다.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correspond to the embodiment of the information prese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is (4).

<작용 효과><Action effect>

이 (4)에 기재된 정보 정시 장치는, 복수의 장착 또는 유지되는 형태(유지 또는 장착 방법)를 갖는다.The information prese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is (4) has a form (holding or mounting method) which is attached or held in multiple numbers.

따라서, 이 (4)에 기재된 정보 정시 장치에 따르면, 복수의 유지 또는 장착 방법이 가능하게 된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presentation apparatus described in this (4), several holding | maintenance or mounting method becomes possible.

(5) 상기 복수의 형태에서, 상기 표시부와 상기 조작부의 실질적인 상대적 위치 관계는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4)에 기재된 정보 정시 장치.(5) The information presenting apparatus according to (4), wherein in the plurality of aspects, substantial relativ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display unit and the operation unit is the same.

<대응하는 실시예>Corresponding Example

이 (5)에 기재된 정보 정시 장치에 관한 실시예는, 제1 내지 제3 실시예가 대응한다.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correspond to the embodiment of the information prese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is (5).

<작용 효과><Action effect>

이 (5)에 기재된 정보 정시 장치는, 복수의 장착 또는 유지되는 형태에서는, 표시부와 조작부의 「상대적 위치 및 자세」는 동일하다.In the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described in this (5), the "relative position and attitude" of a display part and an operation part are the same in the form of several mounting or holding | maintenance.

따라서, 이 (5)에 기재된 정보 정시 장치에 따르면, 조작자도 그 유지 또는 장착의 형태를 헤매지 않고, 또한, 기기 자체의 처리도 유지 또는 장착의 형태에 따라서 크게 변경할 필요가 없어진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described in this (5), an operator does not have to wander about the form of the holding | maintenance or attachment, and also the process of the apparatus itself does not need to change greatly according to the form of the holding | maintenance or attachment.

(6) 상기 복수의 형태에서,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상의 방향이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4)에 기재된 정보 정시 장치.(6) The information presenting apparatus according to (4), wherein the directions of the image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re different in the plurality of forms.

<대응하는 실시예>Corresponding Example

이 (6)에 기재된 정보 정시 장치에 관한 실시예는, 제1 내지 제3 실시예가 대응한다.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correspond to the embodiment of the information prese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is (6).

<작용 효과><Action effect>

이 (6)에 기재된 정보 정시 장치는, 복수의 「형태」에서는, 표시부 상에 표시되는 화상의 방향이 상이하다.In the information presentation device of this (6), the direction of the image displayed on a display part differs in several "forms."

따라서, 이 (6)에 기재된 정보 정시 장치에 따르면, 복수의 장착 또는 유지되는 형태에 상관없이 조작자에게 항상 올바른 방향으로 화상을 정시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described in this (6), an image can always be displayed to an operator in a correct direction regardless of the form of mounting or holding in multiple numbers.

(7) 상기 복수의 형태에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조작자의 측부에 장착 또는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에 기재된 정보 정시 장치.(7) The information presenting apparatus according to (4), wherein in the plurality of aspects, the display unit is mounted or held on the side of the operator.

<대응하는 실시예>Corresponding Example

이 (7)에 기재된 정보 정시 장치에 관한 실시예는, 제1 내지 제3 실시예가 대응한다.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correspond to the embodiment of the information prese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is (7).

<작용 효과><Action effect>

이 (7)에 기재된 정보 정시 장치는, 조작부는 조작자의 측부에 장착 또는 유지된다. In the information prese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is (7), the operation portion is mounted or held on the side of the operator.

따라서, 이 (7)에 기재된 정보 정시 장치에 따르면, 조작부를 포함하는 부위를 별체로 할 수 있으므로, 사용 형태가 다채롭게 된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presentation apparatus described in this (7), since the site | part containing an operation part can be set separately, the use form becomes versatile.

(8)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제어부는, (8) The user interface control unit,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부의 자세를 추정 또는 검출하는 자세 추정/검출부와,A posture estimation / detection unit for estimating or detecting a posture of the user interface unit;

상기 자세 추정/검출부의 추정 또는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조작부에 할당된 기능을 절환하는 조작 지시 판정부와, An operation instruction determination unit for switching a function assigned to the operation unit based on an estimation or detection result of the attitude estimation / detection unit;

상기 자세 추정/검출부의 추정 또는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화상을 변환하는 표시 변환부A display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an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based on an estimation or detection result of the attitude estimation / detection unit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에 기재된 정보 정시 장치.The information presentation device of (1) characterized by having a.

<대응하는 실시예>Corresponding Example

이 (8)에 기재된 정보 정시 장치에 관한 실시예는, 제1 내지 제3 실시예가 대응한다. As for the embodiment relating to the information prese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is (8),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correspond.

<작용 효과><Action effect>

이 (8)에 기재된 정보 정시 장치는, 유저 인터페이스부의 자세를 추정 또는 검출하고, 그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조작부에 할당된 기능을 절환함과 함께,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화상을 변환한다.The information presenting apparatus described in this (8) estimates or detects the attitude | position of a user interface part, and switches the function displayed on the said display part while switching the function assigned to the said operation part based on the result.

따라서, 이 (8)에 기재된 정보 정시 장치에 따르면, 유저 인터페이스부의 자세에 따라서 조작부 또는 표시부를 자동적으로 절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presentation apparatus described in this (8), it becomes possible to automatically switch an operation part or a display part according to the attitude | position of a user interface part.

(9) 상기 자세 추정/검출부는,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부의 상대적인 상 또는 하 방향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8)에 기재된 정보 정시 장치.(9) The information presenting apparatus according to (8), wherein the attitude estimation / detecting unit detects a relative up or down direction of the user interface unit.

<대응하는 실시예>Corresponding Example

이 (9)에 기재된 정보 정시 장치에 관한 실시예는, 제1 및 제2 실시예가 대응한다.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correspond to the embodiment of the information presenting apparatus described in this (9).

<작용 효과><Action effect>

이 (9)에 기재된 정보 정시 장치는, 유저 인터페이스부의 상대적인 상 또는 하 방향을 검출한다.The information presenting apparatus described in this (9) detects the relative up or down direction of a user interface part.

따라서, 이 (9)에 기재된 정보 정시 장치에 따르면, 유저 인터페이스부의 상대적인 상 또는 하 방향에 따라서 조작부 또는 표시부를 자동적으로 절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presentation apparatus described in this (9), it becomes possible to automatically switch an operation part or a display part according to the relative up or down direction of a user interface part.

(10) 상기 자세 추정/검출부는, 중력 방향을 검출하는 중력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8)에 기재된 정보 정시 장치.(10) The information presenting apparatus according to (8), wherein the attitude estimation / detection unit includes a gravity sensor that detects a gravity direction.

<대응하는 실시예>Corresponding Example

이 (10)에 기재된 정보 정시 장치에 관한 실시예는, 제2 실시예가 대응한다.The second embodiment corresponds to the embodiment of the information presenting apparatus described in this (10).

<작용 효과><Action effect>

이 (10)에 기재된 정보 정시 장치는, 중력 센서에서 중력 방향을 검출함으로써, 유저 인터페이스부의 자세를 추정 또는 검출한다.The information timing apparatus described in this (10) estimates or detects the attitude | position of a user interface part by detecting a gravity direction with a gravity sensor.

따라서, 이 (10)에 기재된 정보 정시 장치에 따르면, 조작자의 손을 번거롭게 하지 않고 용이하게 유저 인터페이스부의 자세를 추정 또는 검출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described in this (10), the attitude | position of a user interface part can be estimated or detected easily, without bothering an operator's hand.

(11) 상기 자세 추정/검출부는, 상대적으로 상 또는 하측의 상기 조작부의 조작을 재촉하는 표시가 상기 표시부에 이루어진 후의 상기 조작자의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부의 자세를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8)에 기재된 정보 정시 장치. (11) The attitude estimation / detecting unit estimates the attitude of the user interface unit based on the operation of the operator after the display prompting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unit on the upper or lower side is made to the display unit. The information timing device described in (8).

<대응하는 실시예>Corresponding Example

이 (11)에 기재된 정보 정시 장치에 관한 실시예는, 제1 실시예가 대응한다.The first embodiment corresponds to the embodiment of the information presenting apparatus described in this (11).

<작용 효과><Action effect>

이 (11)에 기재된 정보 정시 장치는, 위 또는 아래 방향의 조작부의 조작을 요구하는 표시가 표시된 후의 조작에 기초하여 유저 인터페이스부의 자세를 추정 또는 검출한다. The information presentation apparatus described in this (11) estimates or detects the attitude | position of a user interface part based on operation after the display which requested operation of the operation part of an up-down direction is displayed.

따라서, 이 (11)에 기재된 정보 정시 장치에 따르면, 특별한 검출 기구를 설치하지 않고, 유저 인터페이스부의 자세를 추정 또는 검출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presentation apparatus described in this (11), the attitude | position of a user interface part can be estimated or detected, without providing a special detection mechanism.

(12) 상기 자세 추정/검출부는, 실세계 중의 절대 좌표계에서의 위치 및 자세와 광학적 특징이 기지인 마커를 카메라로 촬영한 화상을 이용하여, 그 마커의 촬영 시에서의 그 카메라의 자세를 추정하는 위치 및 자세 판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8)에 기재된 정보 정시 장치.(12) The posture estimating / detecting unit estimates the posture of the camera at the time of capturing the marker, using an image of the camera having photographed a marker whose position and posture in an absolute coordinate system in the real world and the optical characteristic are known An information presenting apparatus according to (8), comprising a position and attitude determining unit.

<대응하는 실시예>Corresponding Example

이 (12)에 기재된 정보 정시 장치에 관한 실시예는, 제3 실시예가 대응한다.The third embodiment corresponds to the embodiment of the information presenting apparatus described in this (12).

<작용 효과><Action effect>

이 (12)에 기재된 정보 정시 장치는, 마커 화상에 기초하여 유저 인터페이스부의 자세를 추정 또는 검출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prese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is (12) can estimate or detect the posture of the user interface unit based on the marker image.

따라서, 이 (12)에 기재된 정보 정시 장치에 따르면, 단순한 유저 인터페이스부의 상하 방향뿐만 아니라, 기울기나 방향 등을 포함시킨 위치 및 자세를 추정 또는 검출할 수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presenting apparatus described in this (12), it is possible to estimate or detect not only the up-down direction of a simple user interface part but also the position and attitude which included the inclination, the direction, etc.

(13) 상기 위치 및 자세 판정부의 출력은,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화상을 생성할 때에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2)에 기재된 정보 정시 장치.(13) The information presenting apparatus according to (12), wherein the output of the position and attitude determining unit is used when generating an image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대응하는 실시예>Corresponding Example

이 (13)에 기재된 정보 정시 장치에 관한 실시예는, 제3 실시예가 대응한다.The third embodiment corresponds to the embodiment of the information presenting apparatus described in this (13).

<작용 효과><Action effect>

이 (13)에 기재된 정보 정시 장치는, 추정 또는 검출한 위치 및 자세를 이용하여 표시하는 화상을 생성할 수 있다. The information presenting apparatus described in this (13) can generate an image to display using the estimated or detected position and attitude.

따라서, 이 (13)에 기재된 정보 정시 장치에 따르면, 추정 또는 검출한 위치 및 자세에 따른 위치 및 자세로 화상을 정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described in this (13), it becomes possible to display an image by the position and attitude | position according to the position and attitude which were estimated or detected.

(14) 상기 표시 변환부는, 상기 자세 추정/검출부의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부의 동작을 절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8)에 기재된 정보 정시 장치.(14) The information presentation device according to (8), wherein the display conversion unit switches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unit based on an output of the attitude estimation / detection unit.

<대응하는 실시예> Corresponding Example

이 (14)에 기재된 정보 정시 장치에 관한 실시예는, 제1 내지 제3 실시예가 대응한다.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correspond to the embodiment of the information presenting apparatus described in this (14).

<작용 효과><Action effect>

이 (14)에 기재된 정보 정시 장치는, 표시 변환부는, 자세 추정/검출의 출력에 기초하여, 표시부의 동작을 절환한다.In the information presenting apparatus described in this (14), the display conversion unit switches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unit based on the output of the attitude estimation / detection.

따라서, 이 (14)에 기재된 정보 정시 장치에 따르면, 추정 또는 검출한 위치 및 자세에 따라서 표시부의 동작을 절환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presenting apparatus described in this (14),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unit can be switched in accordance with the estimated or detected position and attitude.

(15) 상기 표시 변환부에 의해 절환되는 상기 표시부의 동작은, 그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상의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4)에 기재된 정보 정시 장치.(15) The information presenting apparatus according to (14), wherein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unit switched by the display conversion unit is the direction of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대응하는 실시예>Corresponding Example

이 (15)에 기재된 정보 정시 장치에 관한 실시예는, 제1 내지 제3실시예가 대응한다. As for the embodiment of the information presenting apparatus described in this (15),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correspond.

<작용 효과><Action effect>

이 (15)에 기재된 정보 정시 장치는, 추정 또는 검출한 위치 및 자세에 따라서,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상의 방향을 절환한다.The information presenting apparatus described in this (15) switches the direction of the image displayed on a display part according to the position and attitude which were estimated or detected.

따라서, 이 (15)에 기재된 정보 정시 장치에 따르면, 표시부의 자세에 상관없이, 표시부에 올바른 방향으로 화상이 정시되게 된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presenting apparatus described in this (15), an image is shown in a correct direction to a display part irrespective of the attitude | position of a display part.

(16) 상기 조작 지시 판정부는, 상기 자세 추정/검출부의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조작부에 할당되는 기능을 절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8)에 기재된 정보 정시 장치. (16) The information presenting apparatus according to (8), wherein the operation instruction determining unit switches a function assigned to the operation unit based on an output of the attitude estimation / detection unit.

<대응하는 실시예>Corresponding Example

이 (16)에 기재된 정보 정시 장치에 관한 실시예는, 제1 내지 제3 실시예가 대응한다.As for the embodiment relating to the information presenting apparatus described in this (16),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correspond.

<작용 효과><Action effect>

이 (16)에 기재된 정보 정시 장치는, 추정 또는 검출한 위치 및 자세에 따라서 조작부에 할당된 기능을 절환한다.The information timing apparatus described in this (16) switches the function assigned to the operation part according to the position and attitude which were estimated or detected.

따라서, 이 (16)에 기재된 정보 정시 장치에 따르면, 조작부의 자세에 상관없이, 조작하기 쉬운 조작부를 제공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presenting apparatus described in this (16), the operation part which is easy to operate can be provided irrespective of the attitude | position of the operation part.

Claims (16)

대상물의 상과 함께 그 대상물과 관련되는 정보를 조작자에게 정시(呈示)하는 정보 정시 장치(10)로서, As an information presenting device 10 for presenting an image of an object a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object to an operator, 상기 조작자가 조작을 행하는 조작부(13) 또는 그 조작자에 대하여 정보를 정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부(14)와, A user interface unit 14 including an operation unit 13 on which the operator performs an operation, or a display unit for indicating information to the operator; 상기 조작부(13) 또는 상기 표시부의 자세를 검출 또는 추정하고, 그 검출 또는 추정된 자세에 기초하여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부(14)의 동작 또는 기능을 절환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제어부(21)A user interface control unit 21 for detecting or estimating the attitude of the operation unit 13 or the display unit and switching the operation or function of the user interface unit 14 based on the detected or estimated attitude.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정시 장치. An information presenting apparatus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표시부는, 상기 대상물의 실상과 소정의 정보를 나타내는 소정의 화상을 중첩하여, 상기 조작자에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정시 장치.And the display unit displays the actual image of the object and a predetermined image representing predetermined information and displays the same to the operator.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소정의 화상으로서, 입력된 화상에 관련되는 정보 또는 화상을 생성하는 화상 정보 생성부(17)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정시 장치.And an image information generating unit (17) for generat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input image or an image as said predetermined imag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조작자에게 장착 또는 유지되는 형태를 복수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정시 장치. An information presenting apparatus comprising a plurality of forms mounted or held by the operator.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복수의 형태에서, 상기 표시부와 상기 조작부(13)의 실질적인 상대적 위치 관계는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정시 장치.In the plurality of forms, the information present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substantial relativ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display unit and the operation unit (13) is the same.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복수의 형태에서,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상의 방향이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정시 장치.In the plural forms, the information presenting apparatus characterized by different directions of image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복수의 형태에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조작자의 측부에 장착 또는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정시 장치. In the plural forms, the information display device is mounted or held on the side of the operato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제어부(21)는, The user interface control unit 21,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부(14)의 자세를 추정 또는 검출하는 자세 추정/검출부(18)와, A posture estimator / detector 18 for estimating or detecting a posture of the user interface 14; 상기 자세 추정/검출부(18)의 추정 또는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조작 부(13)에 할당된 기능을 절환하는 조작 지시 판정부(19)와, An operation instruction determination unit 19 for switching a function assigned to the operation unit 13 based on the estimation or detection result of the attitude estimation / detection unit 18; 상기 자세 추정/검출부(18)의 추정 또는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화상을 변환하는 표시 변환부(20)The display conversion part 20 which converts the image displayed on the said display part based on the estimation or detection result of the said attitude | position estimation / detection part 18.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정시 장치.Information presentation device having a.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자세 추정/검출부(18)는,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부(14)의 상대적인 상 또는 하 방향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정시 장치.The attitude estimation / detection unit (18) detects the relative up or down direction of the user interface (14).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자세 추정/검출부(18)는, 중력 방향을 검출하는 중력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정시 장치.And the attitude estimating / detecting section (18) includes a gravity sensor for detecting the direction of gravity.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자세 추정/검출부(18)는, 상대적으로 상 또는 하측의 상기 조작부(13)의 조작을 재촉하는 표시가 상기 표시부에 이루어진 후의 상기 조작자의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부(14)의 자세를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정시 장치. The posture estimating / detecting section 18 is a posture of the user interface section 14 based on an operation of the operator after a display for prompting an operation of the upper or lower side of the manipulation section 13 is made on the display section. Information tim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for estimating.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자세 추정/검출부(18)는, 실세계 중의 절대 좌표계에서의 위치 및 자세와 광학적 특징이 기지인 마커(202)를 카메라(15)에 의해 촬영한 화상을 이용하여, 그 마커의 촬영 시에서의 그 카메라의 자세를 추정하는 위치 및 자세 판정부(1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정시 장치.The posture estimation / detector 18 uses the image of the marker 202 whose position and posture in the real world coordinate system and the optical characteristic are known by the camera 15 to capture the marker. And a position determining position (18) for estimating the pose of the camera. 제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위치 및 자세 판정부(18)의 출력은,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화상을 생성할 때에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정시 장치.The output of the position and attitude determining unit (18) is used when generating an image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표시 변환부(20)는, 상기 자세 추정/검출부(18)의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부의 동작을 절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정시 장치.And the display conversion unit (20) switches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unit on the basis of the output of the attitude estimation / detection unit (18). 제1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표시 변환부(20)에 의해 절환되는 상기 표시부의 동작은, 그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상의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정시 장치.The operation of the display unit switched by the display conversion unit (20) is the direction of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조작 지시 판정부(19)는, 상기 자세 추정/검출부(18)의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조작부(13)에 할당되는 기능을 절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정시 장치.The operation instruction determining unit (19) switches the function assigned to the operation unit (13) based on the output of the attitude estimation / detection unit (18).
KR1020077026921A 2007-11-19 2006-03-20 Information presentation device KR2008010294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7026921A KR20080102942A (en) 2007-11-19 2006-03-20 Information presenta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7026921A KR20080102942A (en) 2007-11-19 2006-03-20 Information presentation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2942A true KR20080102942A (en) 2008-11-26

Family

ID=40288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6921A KR20080102942A (en) 2007-11-19 2006-03-20 Information presentation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102942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39087B2 (en) Image presentation system, image presentation method, program for causing computer to execute the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the program
JP5762892B2 (en) Information display system,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information display program
JP5564300B2 (en) Head mounted augmented reality video presentation device and virtual display object operating method thereof
JP6390799B2 (en) Input device, input method, and program
WO2011018901A1 (en) Image recognition device, operation determination method, and program
EP2189835A1 (en) Terminal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and display control program
CN105264572A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2017059062A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EP3342326A1 (en) Instrument operation device, instrument operation method, and electronic instrument system
CN105103198A (en) Display control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program
US2018031691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9658685B2 (en) Three-dimensional input device and input system
JP4678428B2 (en) Virtual space position pointing device
US11049306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nd rendering composite images
JP7078568B2 (en) Display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display system
JP6319220B2 (en) Transparent wearable terminal,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data processing system
KR20080102942A (en) Information presentation device
US11275547B2 (en) Display system, display method, and program
WO2007108093A1 (en) Information presentation device
JP2006146700A (en) Information presenting device
CN106095088B (en) A kind of electronic equipment and its image processing method
JP2021039567A (en) Work support system and program
JP2014206990A (en) Head-mounted augmented reality video presentation device and virtual display object operation method
JP2019079469A (en) Work supporting device, method for supporting work, work supporting program, and helmet-mounted display device
EP4252871A1 (en) System, imag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