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5972A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ding mobile video telephony by using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ding mobile video telephony by using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5972A
KR20080095972A KR1020070040692A KR20070040692A KR20080095972A KR 20080095972 A KR20080095972 A KR 20080095972A KR 1020070040692 A KR1020070040692 A KR 1020070040692A KR 20070040692 A KR20070040692 A KR 20070040692A KR 20080095972 A KR20080095972 A KR 200800959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video call
calling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recei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069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택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KR10200700406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95972A/en
Publication of KR20080095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597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7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 H04H60/81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system itself
    • H04H60/90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H04H60/91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70Administration or customization aspects; Counter-checking correct charges
    • H04M15/75Account location specifications
    • H04M15/751Card based account, e.g. smart card, SIM card or USI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15/00Metering arrangements; Time controlling arrangements; Time indicating arrangements
    • H04M2215/72Account specifications
    • H04M2215/7204Account location
    • H04M2215/7209Card based, e.g. smart card, SIM card or USI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T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ANDARDS FOR 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T2001/00Standards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T2001/113SIM, USI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providing mobile video telephony by using a display device are provided to recognize a call request easily from another person through the display device while watching TV or working and perform a video call while watching TV or working. A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151) includes subscriber authentication information for requesting subscriber registration to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 external signal input unit(172) receives a video signal and a voice signal from the outside. A video call signal input unit receives video or voice generated during a video call. A mobile communication modem unit(173) transmits and receives data generated during a video call with a calling terminal. Video/voice output units(175a,175b) output video and voice. A controller(179) outputs the video and voice received from the calling terminal while outputting the video signal or voice signal received from the external signal input unit through the video/voice output unit.

Description

디스플레이 기기를 이용한 이동통신 영상 통화 제공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ding Mobile Video Telephony by Using Display Device}Apparatus and Method for Provding Mobile Video Telephony by Using Display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를 이용한 이동통신 영상 통화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system for providing a mobile communication video call us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영상 통화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display device for providing a mobile communication video c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를 이용한 이동통신 영상 통화를 제공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3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thod for providing a mobile communication video call us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에서의 이동통신 영상 통화를 제공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for providing a mobile communication video call in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이동통신 영상 통화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기기를 이용한 이동통신 영상 통화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video call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video call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a display device.

최근, 이동통신 단말기의 하드웨어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에 서 구현가능한 기능이 다양해지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이동통신망 기술의 발전에 따라 고속데이터 통신이 가능해지면서 기존의 음성 중심의 통화에서 영상을 제공하는 통화로 그 서비스 범위가 확대되고 있으며 영상 통화를 지원하는 전용 단말기가 점차 보급되고 있다.Recently, as the hardware technolog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elops, functions that can be implement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e been diversified, and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echnology, high-speed data communication is possible, thereby providing video in an existing voice-oriented call. This service is expanding its service range, and dedicated terminals supporting video calls are gradually being used.

하지만, 이러한 영상 통화를 지원하는 전용 단말기는 휴대성 위주의 기기이기 때문에 영상을 출력할 수 있는 영상 출력부의 크기가 한정되어 있어, 영상 통화 중 발생하는 영상을 명확하게 인지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However, since a dedicated terminal supporting such a video call is a portable device, the size of the video output unit capable of outputting a video is limited, which causes a problem that the video generated during the video call cannot be clearly recognized. .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기기인 TV 또는 PC 등을 사용하는 도중에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타인으로부터 통화 요청 수신되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는 본인이 시청 또는 작업을 멈추고 이동통신 단말기를 직접 확인하여 타인과 통화를 시도해야 하기 때문에,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타인으로부터 통화가 있으면 그때마다 자신이 행하고 있던 시청 또는 작업을 멈추고 통화 요청을 확인해야 번거로움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으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시청 또는 작업에 몰두한 경우 타인으로부터의 통화 요청을 인지할 수 없어 통화를 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ceives a call request from another user through the user's mobile terminal while using a TV or PC, which is a device including a display,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stops watching or working. Since the user must check the terminal directly and try to talk with others, when a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a call from another pers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er must stop watching or working on the call and confirm the call request. When the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devoted to watching or working, there may be a problem in that a call request from another person cannot be recognized and thus a call cannot be made.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기기를 이용한 영상 통화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영상 통화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video call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video call using a display device.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하여 영상 통화를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이동통신망으로 가입자 등록을 요청하기 위한 가입자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가입자 식별 모듈; 외부로부터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외부 신호 입력부; 영상 통화중 발생하는 영상 또는 음성을 입력받는 영상 통화 신호 입력부; 발신 단말기와의 영상 통화중 발생하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이동통신 모뎀부; 영상 또는 음성을 출력하는 영상/음성 출력부; 및 상기 영상/음성 출력부를 통해 상기 외부 신호 입력부로부터 수신한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하면서, 상기 발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영상 또는 음성을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evice for providing a video call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comprising: subscrib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ing subscriber authentication information for requesting subscriber registration to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use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module; An external signal input unit for receiving a video signal or an audio signal from the outside; A video call signal input unit for receiving a video or audio generated during a video call; A mobile communication modem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generated during a video call with a calling terminal; A video / audio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video or audio; And a controller for outputting a video or audio signal received from the caller terminal while outputting a video signal or an audio signal received from the external signal input unit through the video / audio output unit.

또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하여 영상 통화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발신 단말기로부터 영상 통화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발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을 출력할 수 있는 상태인지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에서 상기 수신되는 영상을 출력할 수 있는 상태로 판단하면, 상기 발신 단말기로부터 영상 통화 요청이 있음을 표시하는 단계; (c) 상기 영상 통화 요청이 있음을 확인한 사용자로부터 상기 영상 통화 요청에 대한 수락명령이 입력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d)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수락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발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영상 및 음성을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및 음성을 상기 발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oviding a video call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a) if a video call request is received from a calling terminal, determining whether the video received from the calling terminal can be outputted; ; (b) if it is determined in the step (a) that the received video can be output, indicating that there is a video call request from the calling terminal; (c) determining whether an acceptance command for the video call request is input from a user who confirms that the video call request exists; And (d) if the accept command is input in step (c), outputting the video and audio received from the calling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video and audio input from the user to the calling terminal.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 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As those skilled in the art would realize, the described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different ways, a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In addi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except to exclude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를 이용한 이동통신 영상 통화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system for providing a mobile communication video call us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를 이용한 이동통신 영상 통화 제공 시스템은 발신 단말기(110), 이동통신망(130), 이동통신 모듈(151) 및 디스플레이 기기(17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170)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반적으로 가장 널리 이용되는 디스플레이 기기인 TV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하며, 디스플레이 기기(170)의 사용자가 발신 단말기(110)로부터 영상 통화 요청을 받아 디스플레이 기기(170)를 통해 발신 단말기(110)의 사용자와 영상 통화를 제공받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1, a mobile communication video call providing system us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lling terminal 110,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30,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51, and a display device 170. do. Here, the display device 17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a TV, which is a display device that is most widely us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the user of the display device 170 is the calling terminal 110.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t is assumed that a video call is received from a user of the calling terminal 110 through the display device 170.

여기서, 디스플레이 기기(170)는 이동통신 모뎀부를 포함하여 이동통신망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고 외부로부터 영상 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는 기기를 의미하며, 이러한 기기로는 대표적으로 TV, PC 모니터, 프로젝터 등이 있다.Here, the display device 170 refers to a device that can transmit and receive data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cluding a mobile communication modem unit, and can receive and output video signals from the outside, such as TV, PC monitor, Projectors.

발신 단말기(110)는 이동통신망(130)을 통해 가입자 식별 모듈(151)이 결합 된 디스플레이 기기(170)로 음성 통화 또는 영상 통화를 요청하는 단말기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신 단말기(110)는 가입자 식별 모듈(151)이 결합된 디스플레이 기기(170)로 영상 통화를 요청한다.The calling terminal 110 is a terminal for requesting a voice call or a video call to the display device 170 to which the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151 is coupled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30. Here, the calling terminal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quests a video call to the display device 170 to which the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151 is coupled.

이동통신망(130)은 가입자 식별 모듈(151)이 결합된 디스플레이 기기(170)와의 영상 통화를 요청한 발신 단말기(110)와 이동통신 모듈(151)이 결합된 디스플레이 기기(170) 간의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망이다.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30 provides a video call service between the calling terminal 110 requesting a video call with the display device 170 to which the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151 is coupled and the display device 170 to which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51 is coupled. It is a network to provide.

가입자 식별 모듈(151)은 디스플레이 기기(170)의 사용자가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가입자 인증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The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151 includes subscriber authentication information for the user of the display device 170 to use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여기서, 가입자 식별 모듈(151)은 단말 번호와 전화 번호가 할당되어 있어, 가입자 식별 모듈(151)이 결합 가능한 다른 디스플레이 기기에도 영상 통화를 제공할 수 있는 모듈이다.Here, the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151 is a module that is assigned a terminal number and a telephone number, so that the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151 can provide a video call to another display device that can be combined.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가입자 식별 모듈(151)을 디스플레이 기기(170)에 삽입하여 결합하는 별도의 장치로 설명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하는 것은 아니며, 디스플레이 기기(170)에 포함되는 것도 가능하다.Here, 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151 is described as a separate device that is inserted into the display device 170 and coupled thereto.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included in the display device 170. .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가입자 식별 모듈(151)은 디스플레이 기기(170)에 삽입 가능한 모듈형의 장치 이외에, 디스플레이 기기(170)와 결합 가능하며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이동통신 단말기, PDA 등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장치도 가능하다.Her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151 may be combined with the display device 170 and use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in addition to the modular device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display device 170. It is also possible to include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디스플레이 기기(170)는 영상과 음성을 출력할 수 있는 기기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170)는 가입자 식별 모듈(151)과 결합 가능하며 발 신 단말기(110)와 통화 중 발생하는 영상 또는 음성을 출력할 수 있는 기기이다.The display device 170 is a device capable of outputting video and audio. The display device 17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mbined with the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151 and is generated during a call with the calling terminal 110. It is a device that can output video or audio.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170)는 외부로부터 수신한 TV 영상을 출력하면서 발신 단말기(110)와 통화 중 발생하는 영상 또는 음성을 출력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디스플레이 기기(170)는 PIP(Picture In Picture)와 같은 기능을 이용하여 발신 단말기(110)와 통화 중 발생하는 영상의 크기 및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device 170 may output an image or audio generated during a call with the calling terminal 110 while outputting a TV image received from the outside. In this case, the display device 170 may change the size and position of an image generated during a call with the calling terminal 110 using a function such as Picture In Picture (PIP).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 기기(170)의 구조는 아래에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of the display device 17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영상 통화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개략적인 구성도로,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영상 통화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2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display device for providing a mobile communication video c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 configuration of a display device for providing a mobile communication video c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This will be described.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170)는 가입자 식별 모듈(151), 가입자 식별 모듈 결합부(171), 외부 신호 입력부(172), 이동통신 모뎀부(173), 명령어 입력부(174), 영상 출력부(175a), 음성 출력부(175b), 음성 입력부(177a), 영상 입력부(177b) 및 제어부(179)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 기기(170)의 가입자 식별 모듈 결합부(171)에 가입자 식별 모듈(151)이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2, the display device 17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bscriber identity module 151, a subscriber identity module coupling unit 171, an external signal input unit 172, and a mobile communication modem unit 173. ), A command input unit 174, an image output unit 175a, an audio output unit 175b, an audio input unit 177a, an image input unit 177b, and a controller 179. Her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described that the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151 is coupled to the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coupling unit 171 of the display device 170.

여기서, 가입자 식별 모듈(151)은 디스플레이 기기(170)의 사용자가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하는데 있어 이용되는 가입자 인증 정보가 포함된 UIM(User Identity Module), SIM(Subcriber Identity Module) 또는 USIM(Universal Subcriber Identity Module) 중의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가입자 식별 모듈 결합부(171)와 가입자 식별 모듈(151)이 별개의 장치로 설명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가입자 식별 모듈(151)이 제어부(179)와 직접 연결되어 있거나 이동통신 모뎀부(173)과 일체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Here, the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151 may include a user identity module (UIM), a 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or a universal subcriber (USIM) including subscriber authentication information used by a user of the display device 170 in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It is preferably one of Identity Module. Her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coupling unit 171 and the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151 are described as separate devices, but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The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151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79. It may be connected or made integral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modem unit 173.

가입자 식별 모듈 결합부(171)는 외부에서 삽입되는 가입자 식별 모듈(151)과의 결합을 제공하며, 가입자 식별 모듈(15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가입자 식별 모듈 결합부(171)와 가입자 식별 모듈(151)을 별개의 장치로 설명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가입자 식별 모듈(151)이 제어부(179)와 직접 연결되어 있는 것도 가능하다.The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coupling unit 171 provides a coupling with the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151 inserted externally,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151. Her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coupling unit 171 and the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151 are described as separate devices, but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The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151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79. It is also possible to be connected.

외부 신호 입력부(172)는 외부로부터 영상 신호를 수신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 신호 입력부(172)는 TV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TV 수신기(미도시)를 통해 TV 신호를 수신한다.The external signal input unit 172 receives an image signal from the outside, and the external signal input unit 17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 TV signal through a TV receiver (not shown) capable of receiving a TV signal.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TV 수신기를 통해 TV 신호를 수신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VCR, DVD 플레이어 등의 영상 매체 재생 기기, 프로그램 작업중인 PC로부터 영상 신호를 수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영상 신호는 영상과 음성 모두를 포함하는 신호이다.Here, although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s receiving a TV signal through a TV recei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reception of a video signal from a video media reproducing apparatus such as a VCR or a DVD player or a PC working on a program is also required. It is possible. Here, the video signal is a signal including both video and audio.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 신호 입력부(172)는 무선 DMB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DMB 수신기 또는 무선인터넷을 제공하는 무선인터넷 수신기인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external signal input unit 17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DMB receiver capable of receiving a wireless DMB signal or a wireless Internet receiver for providing a wireless Internet.

이동통신 모뎀부(173)는 이동통신망(130)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모뎀부(173)는 디스플레이 기기(170)의 사용자와 발신 단말기(110) 간에 발생하는 영상 통화 관련 데이터를 송수신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modem unit 173 may transmit / receive data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3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modem unit 17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between the user of the display device 170 and the calling terminal 110. Sends and receives video call related data.

명령어 입력부(174)는 디스플레이 기기(170)의 사용자로부터 디스플레이 기기(170)에 대한 제어 명령을 입력받다.The command input unit 174 receives a control command for the display device 170 from a user of the display device 170.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명령어 입력부(174)는 발신 단말기(110)로부터 영상 통화 요청이 수신되었음을 확인한 디스플레이 기기(170)의 사용자로부터 영상 통화 요청을 수락하는 명령어를 입력받는다.Here, the command input unit 174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 command for accepting a video call request from the user of the display device 170 confirming that the video call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calling terminal 110.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명령어 입력부(174)는 디스플레이 기기(170)의 사용자가 발신 단말기(110)의 사용자와 영상 통화중 발신 단말기(11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의 크기 또는 음성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해 입력하는 명령어를 입력받는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명령어 입력부(174)는 TV 영상과 발신 단말기(110)에서 수신한 영상의 주부화면 전환 명령어, TV 영상과 발신 단말기(110)에서 수신한 영상의 비율 설정 명령어를 입력받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command input unit 174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user of the display device 170 to adjust the size or height of the video received from the calling terminal 110 during a video call with the user of the calling terminal 110. It accepts a command that you enter to control it. At this time, the command input unit 174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the housewife screen switching command of the TV image and the image received from the calling terminal 110, the ratio setting command of the TV image and the image received from the calling terminal 110. It is also possible to receive inpu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명령어 입력부(174)는 TV 영상 신호에 따라 출력하는 TV 음성의 크기와 발신 단말기(110)로부터 수신한 음성의 소리 비율을 조정하는 명령어를 입력받는 것도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command input unit 174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receive a command for adjusting the volume of the TV voice output according to the TV video signal and the sound ratio of the voice received from the calling terminal 110.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명령어 입력부(174)는 디스플레이 기기(170)의 외부에 설치된 키입력부 또는 리모콘 수신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명령어 입력부(174)는 리모콘 수신부인 경우 디스플레이 기기(170)에서 원거리에 위치한 디스플레이 기기(170)의 사용자로부터 리모콘을 통해 명령어를 수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mand input unit 174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a key input unit or a remote control receiver installed outside the display device 170. In this case, the command input unit 174 may receive a command from a user of the display device 170 located at a long distance from the display device 170 through the remote control.

영상 출력부(175a)는 영상을 출력하는 장치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출력부(175a)는 외부 신호 입력부(172)를 통해 수신한 TV 영상 신호에 따른 TV 영상을 출력하면서 발신 단말기(11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을 출력한다. 이때, 영상 출력부(175a)는 디스플레이 기기(170)의 사용자에 의해 사전에 설정된 설정값에 따라 발신 단말기(110)로부터 수신한 영상만을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image output unit 175a is an apparatus for outputting an image. The image output unit 175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utputs a TV image according to a TV image signal received through an external signal input unit 172, and sends a terminal. The image received from the 110 is output. In this case, the image output unit 175a may output only an image received from the calling terminal 110 according to a preset value set by the user of the display apparatus 170.

여기서, 영상 출력부(175a)는 CRT(Cathode-Ray Tube),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등과 같은 방식의 영상 출력이 가능한 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image output unit 175a may be a device capable of outputting an image such as a cathode-ray tube (CRT),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plasma display panel (PDP), or the like.

음성 출력부(175b)는 음성을 출력하는 장치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 출력부(175b)는 발신 단말기(110)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을 출력한다.The voice output unit 175b is a device for outputting voice, and the voice output unit 175b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utputs the voice received from the calling terminal 110.

이때, 음성 출력부(175b)는 디스플레이 기기(170)의 사용자가 사전에 설정한 설정값에 따라 발신 단말기(110)로부터 수신한 음성만을 출력하거나 수신된 음성과 TV 음성을 사전에 설정된 음량 비율에 따라 함께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At this time, the voice output unit 175b outputs only the voice received from the calling terminal 110 according to a preset value set by the user of the display apparatus 170 or outputs the received voice and the TV voice to a preset volume ratio. It is also possible to output them together.

여기서, 음성 출력부(175b)는 디스플레이 기기(170)에 내장된 스피커 또는 디스플레이 기기(170)에 연결 가능한 홈 씨어터(Home Theater)와 같은 별도의 음성 출력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voice output unit 175b may be a separate voice output device such as a speaker built in the display device 170 or a home theater connectable to the display device 170.

음성 입력부(177a)는 음성을 입력받는 장치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 입력부(177a)는 디스플레이 기기(170)의 사용자와 발신 단말기(110) 간의 영상 통화중 디스플레이 기기(170)의 사용자 측에서 발생하는 음성을 입력받는다. 여기 서, 음성 입력부(177a)는 디스플레이 기기(170)에 내장된 마이크 또는 디스플레이 기기(170)에 연결 가능한 외부 마이크와 같은 음성 입력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voice input unit 177a is a device for receiving a voice, and the voice input unit 177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user of the display device 170 during a video call between the user of the display device 170 and the calling terminal 110. The voice generated from the side is input. Here, the voice input unit 177a is preferably a voice input device such as a microphone built in the display device 170 or an external microphone connectable to the display device 170.

영상 입력부(177b)는 영상을 입력받는 장치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입력부(177b)는 디스플레이 기기(170)의 사용자와 발신 단말기(110) 간의 영상 통화중 디스플레이 기기(170)의 사용자 측에서 발생하는 영상을 입력받는다. 여기서, 영상 입력부(177b)는 디스플레이 기기(170)에 내장되거나 디스플레이 기기(170)에 연결 가능한 카메라, 캠코더 등과 같은 영상 입력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image input unit 177b is an apparatus for receiving an image, and the image input unit 177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user of the display apparatus 170 during a video call between the user of the display apparatus 170 and the calling terminal 110. Receive the video generated from the side. Here, the image input unit 177b may be an image input device such as a camera, a camcorder, or the like, which is embedded in the display device 170 or connectable to the display device 170.

프로그램 저장부(178)는 디스플레이 기기(170)의 사용자가 작업하는데 있어 필요한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 저장부(178)는 인터넷 작업을 제공하는 웹 브라우저, 문서 작성 프로그램,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 프로그램 등과 같은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rogram storage unit 178 stores a program necessary for the user of the display apparatus 170 to work. Here, the program storage unit 178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stores a program such as a web browser, a document writing program, a multimedia file playing program, and the like, for providing Internet work.

제어부(179)는 디스플레이 기기(17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가입자 식별 모듈(151)이 가입자 식별 모듈 결합부(171)에 결합되어 있으면, 이동통신 모뎀부(174)를 통해 이동통신망(130)으로 가입자 인증을 요청한다. The controller 179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display device 170, and if the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151 is coupled to the subscriber identity module coupling unit 171,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30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modem unit 174. Request subscriber authentication with).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79)는 이동통신 모뎀부(174)로부터 발신 단말기(110)로부터 통화 요청이 있는지 확인하고, 발신 단말기(110)로부터 통화 요청이 있음을 영상 출력부(175a) 또는 음성 출력부(175b)를 통해 표시한다. 이때, 제어부(179)는 영상 출력부(175a)에서 영상 출력 가능한 상태인지 판단하고, 만일 TV의 전원이 인가되지 않아 영상 출력이 불가능한 상태로 판단하면 TV의 전원 을 인가하여 영상 출력부(175a)를 영상 출력 가능한 상태로 전환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79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hecks whether there is a call request from the calling terminal 110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modem unit 174, and indicates that there is a call request from the calling terminal 110. 175a or the voice output unit 175b. At this time, the controller 179 determines whether the image output unit 175a is capable of outputting the image,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image output is impossible because the TV power is not applied, the controller 179 applies the power of the TV to the image output unit 175a. Switch to the state where the video can be display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79)는 명령어 입력부(174)로부터 발신 단말기(110)와의 통화 요청에 대한 수락 명령이 수신되면, 영상 출력부(175a)와 음성 출력부(175b)를 통해 발신 단말기(110)로부터 수신되는 음성과 영상을 출력하고, 영상 입력부(177b)와 음성 입력부(177a)를 통해 입력되는 디스플레이 기기(170)의 사용자의 영상과 음성을 이동통신 모뎀부(174)를 통해 발신 단말기(110)로 전송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79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acceptance command for the call request with the calling terminal 110 is received from the command input unit 174, the image output unit 175a and the audio output unit 175b The mobile communication modem unit 174 outputs a voice and an image received from the calling terminal 110 through the video input unit 177b and the voice input unit 177a. Through the transmission to the calling terminal 110.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79)는 외부 신호 입력부(172)를 통해 수신한 TV 신호에 포함된 TV 영상과 TV 음성을 영상 출력부(175a)와 음성 출력부(175b)를 통해 출력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79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image output unit 175a and the audio output unit 175b for TV image and TV audio included in the TV signal received through the external signal input unit 172. Output

또한, 제어부(179)는 프로그램 저장부(178)에 저장된 프로그램 실행에 따른 신호 또는 이동통신 모뎀부(173)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인터넷에 관련된 데이터 신호를 처리하여 출력하면서 발신 단말기(110)로부터의 통화 요청이 있음을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79 processes and outputs a signal according to a program stored in the program storage unit 178 or a data signal related to the wireless Internet received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modem unit 173 and outputs the data signal from the calling terminal 110. It is also possible to indicate that there is a call reques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170)는 외부 신호 입력부(172)를 통해 수신된 외부 신호를 출력하면서 영상 통화를 제공한다고 한정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하는 것은 아니며 PC와 같이 자체적으로 프로그램을 구동하면서 영상 및 음성을 출력하면서 영상 통화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display device 17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s limited to provide a video call while outputting an external signal received through the external signal input unit 172.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video call while outputting video and audio while running the program.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를 이용한 이동통신 영상 통화를 제공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에서의 이동통신 영상 통화를 제공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thod for providing a mobile communication video call us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view illustrating a mobile communication video call in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gure shows the screen.

이하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를 이용한 이동통신 영상 통화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providing a mobile communication video call us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제어부(179)는 이동통신 모듈(151)이 결합된 이동통신 모뎀부(173)를 통해 발신 단말기(110)로부터 통화 요청이 있으면(S310), TV의 전원이 인가되어 있는지 판단한다(S320).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TV의 전원이 인가되어 있는 상태는 외부 신호 입력부(172)를 통해 수신한 TV 영상을 영상 출력부(175a)를 통해 출력하고 있는 상태로, 디스플레이 기기(170)의 사용자로부터 발신 단말기(110)로부터의 영상 통화 요청 확인 명령이 있으면 발신 단말기(110)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바로 출력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때, 발신 단말기(110)로부터 수신된 영상은 디스플레이 기기(170)의 사용자가 사전에 설정한 설정값에 따라 TV 영상을 출력하고 영상 출력부(175a)의 일부분에 출력되거나 영상 출력부(175a)의 전체에 출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troller 179 determines whether the TV power is applied when a call request is made from the calling terminal 110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modem unit 173 to which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51 is coupled (S310). Her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state where the TV power is applied is the state in which the TV image received through the external signal input unit 172 is output through the image output unit 175a, and the user of the display device 170 If there is a video call request confirmation command from the calling terminal 110 from the means means a state that can immediately output the video received from the calling terminal (110). In this case, the image received from the calling terminal 110 outputs a TV image according to a preset value set by a user of the display device 170 and is output to a portion of the image output unit 175a or the image output unit 175a. It is preferable to output to the whole.

만일, 단계 S320에서 TV의 전원이 인가되어 있다고 판단되면, 제어부(179)는 영상 출력부(175a)를 통해 발신 단말기(110)로부터 통화 요청이 수신되었음을 표시한다(S340, 4a).If it is determined in step S320 that the TV power is applied, the controller 179 indicates that a call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calling terminal 110 through the image output unit 175a (S340, 4a).

이어서, 제어부(179)는 명령어 입력부(174)를 통해 디스플레이 기기(170)의 사용자로부터 통화 요청에 대한 수락이 있는지 판단한다(S330).Subsequently, the controller 179 determines whether the call request is accepted from the user of the display apparatus 170 through the command input unit 174 (S330).

만일, 단계 S330에서 통화 요청 수락이 있다고 판단하면, 제어부(179)는 발 신 단말기(110)의 통화 요청이 영상 통화 요청인지 판단한다(S340).If it is determined in step S330 that the call request is accepted, the controller 179 determines whether the call request of the calling terminal 110 is a video call request (S340).

만일, 단계 S340에서 영상 통화 요청이라고 판단하면, 제어부(179)는 디스플레이 기기(170)의 사용자에게 발신 단말기(110)의 사용자와의 영상 통화를 제공한다(S343, 4b). 이때, 제어부(179)는 도 4b와 같이 영상 출력부(175a)를 통해 TV 영상 출력중 영상 출력부(175a)의 일부분(410) 또는 전체에 발신 단말기(11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을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영상 입력부(177b)로부터 디스플레이 기기(170)의 사용자로부터 영상 입력이 있으면 발신 단말기(11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과 함께 디스플레이 기기(170)의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영상을 함께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S340 that the video call request, the controller 179 provides a video call with the user of the calling terminal 110 to the user of the display device 170 (S343, 4b).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79 outputs the image received from the calling terminal 110 to a part 410 or the whole of the image output unit 175a during the TV image output through the image output unit 175a as shown in FIG. 4B. Preferably, if there is an image input from the user of the display device 170 from the image input unit 177b, it is preferable to display an image received from the user of the display device 170 together with the image received from the calling terminal 110. .

이어서, 제어부(179)는 디스플레이 기기(170)의 사용자와 발신 단말기(110)의 사용자 간의 통화가 종료되는지 판단하고(S350), 통화가 종료되었다고 판단하면 발신 단말기(110)로부터 수신한 영상의 출력을 종료하고, 영상 출력부(175a) 또는 음성 출력부(175b)를 통해 발신 단말기(110)의 사용자와의 통화가 종료되었음을 영상 출력부(175a) 또는 음성 출력부(175b)를 통해 표시한다(S360).Subsequently, the controller 179 determines whether the call between the user of the display apparatus 170 and the user of the calling terminal 110 ends (S350),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all is terminated, outputs an image received from the calling terminal 110. Then, the video output unit 175a or the audio output unit 175b indicates that the call with the user of the calling terminal 110 is terminated through the video output unit 175a or the audio output unit 175b ( S360).

만일, 단계 S320에서 TV의 전원이 인가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제어부(179)는 TV에 전원을 인가하여 영상 출력부(175a)를 영상 출력이 가능한 상태로 전환하고, 단계 S323으로 진행한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S320 that the power of the TV is not applied, the controller 179 applies power to the TV to switch the image output unit 175a to a state capable of outputting the image, and proceeds to step S323.

만일, 단계 S330에서 통화 요청 수락이 없다고 판단하면, 제어부(179)는 발신 단말기(110)와의 통화 종료를 영상 출력부(175a)를 통해 표시한다(S360).If it is determined in step S330 that there is no call request acceptance, the controller 179 displays the end of the call with the calling terminal 110 through the image output unit 175a (S360).

만일, 단계 S340에서 영상 통화 요청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제어부(179)는 디스플레이 기기(170)의 사용자에게 발신 단말기(110)의 사용자와의 음성 통화를 제공한다(S345).If it is determined in step S340 that the call is not a video call request, the controller 179 provides a voice call with the user of the calling terminal 110 to the user of the display device 170 (S345).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이동통신 모듈을 통해 영상 통화를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동통신 모듈을 유선 통신을 제공할 수 있는 유선통신 모듈로 대체하면 유선망을 통한 영상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ideo call is provide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that can use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However,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is replaced with a wired communication module that provides wired communication, the wired network is replaced.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video call service through.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provided.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s.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기기에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이동통신 모듈을 결합하여 영상 통화를 제공함으로써, 디스플레이 기기의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기기를 통한 TV 시청 또는 작업중에도 타인으로부터 통화 요청을 쉽게 인지할 수 있게 하고, TV 시청 또는 작업을 병행하면서 타인과 영상 통화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video call by combining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that can use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to the display device, the user of the display device requests a call from another person while watching TV or working on the display device Can be easily perceived, and the ability to make a video call with others while watching TV or working at the same time.

또한, 기존의 영상 통화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작은 화면보다 큰 화면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기기를 통해 영상 통화를 제공함으로써, 영상 통화의 상대방을 명확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providing a video call through a display device that provides a larger screen than a small scree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pporting a conventional video call, it is possible to clearly recognize the other party of the video call.

Claims (10)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하여 영상 통화를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An apparatus for providing a video call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이동통신망으로 가입자 등록을 요청하기 위한 가입자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가입자 식별 모듈;A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including subscriber authentication information for requesting subscriber registration to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use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외부로부터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외부 신호 입력부;An external signal input unit for receiving a video signal or an audio signal from the outside; 영상 통화중 발생하는 영상 또는 음성을 입력받는 영상 통화 신호 입력부;A video call signal input unit for receiving a video or audio generated during a video call; 발신 단말기와의 영상 통화중 발생하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이동통신 모뎀부;A mobile communication modem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generated during a video call with a calling terminal; 영상 또는 음성을 출력하는 영상/음성 출력부; 및A video / audio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video or audio; And 상기 영상/음성 출력부를 통해 상기 외부 신호 입력부로부터 수신한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하면서, 상기 발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영상 또는 음성을 출력하는 제어부A control unit which outputs a video or audio signal received from the calling terminal while outputting a video signal or audio signal received from the external signal input unit through the video / audio output unit 를 포함하는 영상 통화 제공 장치.Device for providing a video call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가입자 식별 모듈은The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상기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단말 번호와 전화 번호가 포함되어 있는 모듈인 영상 통화 제공 장치.And a module including a terminal number and a phone number for receiving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어부는 The control unit 상기 발신 단말기로부터 영상 통화 요청이 있으면, 상기 영상/음성 출력부의 영상 출력이 가능한 상태인지 판단하고,When there is a video call request from the calling terminal,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video output of the video / audio output unit is possible, 상기 영상/음성 출력부의 영상 출력이 불가능한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영상/음성 출력부의 상태를 영상 출력 가능한 상태로 전환하는 영상 통화 제공 장치.If it is determined that the video output of the video / audio output unit is impossible, the video call providing apparatus for switching the state of the video / audio output unit to the video output.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가입자 식별 모듈은The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가입자 인증을 위한 UIM(User Identity Module), SIM(Subcriber Identity Module) 또는 USIM(Universal Subcriber Identity Module) 중 하나인 영상 통화 제공 장치.A device for providing a video call, which is one of a User Identity Module (UIM), a Subcriber Identity Module (SIM), or a Universal Subcriber Identity Module (USIM) for subscriber authentication.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영상 통화 요청이 있음을 확인한 상기 수신자로부터 상기 영상 통화 요청에 대한 수락 명령을 입력받아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명령어 입력부A command input unit for receiving an acceptance command for the video call request from the receiver confirming that the video call request is sent to the control unit 를 더 포함하는 영상 통화 제공 장치.Video call provid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상기 명령어 입력부는The command input unit 상기 영상 출력부에서 출력하는 영상의 크기를 조절하거나 상기 음성 출력부에서 출력하는 음성의 크기를 조절하는 명령을 입력받는 영상 통화 제공 장치.And a video call providing device that receives a command for adjusting the size of an image output from the video output unit or adjusting the size of an audio output from the audio output unit.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하여 영상 통화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for providing a video call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a) 발신 단말기로부터 영상 통화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발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을 출력할 수 있는 상태인지 판단하는 단계;(a) if a video call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calling terminal, determining whether the video received from the calling terminal can be output; (b) 상기 단계 (a)에서 상기 수신되는 영상을 출력할 수 있는 상태로 판단하면, 상기 발신 단말기로부터 영상 통화 요청이 있음을 표시하는 단계;(b) if it is determined in the step (a) that the received video can be output, indicating that there is a video call request from the calling terminal; (c) 상기 영상 통화 요청이 있음을 확인한 사용자로부터 상기 영상 통화 요청에 대한 수락명령이 입력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c) determining whether an acceptance command for the video call request is input from a user who confirms that the video call request exists; And (d)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수락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발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영상 및 음성을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및 음성을 상기 발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d) when the accept command is input in step (c), outputting the video and audio received from the calling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video and audio input from the user to the calling terminal. 를 포함하는 영상 통화 제공 방법.Video call providing method comprising a.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단계 (a)에서In step (a) 상기 발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을 출력할 수 있는 상태는 TV 신호 수신기 또는 영상 매체 재생 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프로그램 작업중 발생하는 영상 또는 인터넷 이용중 발생하는 영상 중 어느 한가지 영상을 출력하고 있는 상 태인 영상 통화 제공 방법.The state in which the image received from the calling terminal can be output is a video call which is outputting any one of a video input from a TV signal receiver or a video medium reproducing apparatus, a video generated during a program work, or a video generated while using the Internet. How to Provide.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단계 (a)에서 In step (a) 상기 수신되는 영상을 출력할 수 없는 상태로 판단하면, 상기 수신되는 영상을 출력 가능한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If it is determined that the received image cannot be output, the step of switching the received image to a state capable of outputting 를 추가로 포함하는 영상 통화 제공 방법.The video call providing method further comprising. 제 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단계 (d) 이후에After step (d) (e) 상기 영상 통화가 종료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e) determining whether the video call ends; And 상기 단계 (e)에서 상기 영상 통화가 종료되었다가 판단하면, 상기 영상 통화가 종료되었음을 표시하는 단계If it is determined in step (e) that the video call has ended, indicating that the video call has ended 를 추가로 포함하는 영상 통화 제공 방법.The video call providing method further comprising.
KR1020070040692A 2007-04-26 2007-04-26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ding mobile video telephony by using display device KR2008009597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0692A KR20080095972A (en) 2007-04-26 2007-04-26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ding mobile video telephony by using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0692A KR20080095972A (en) 2007-04-26 2007-04-26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ding mobile video telephony by using display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5972A true KR20080095972A (en) 2008-10-30

Family

ID=40155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0692A KR20080095972A (en) 2007-04-26 2007-04-26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ding mobile video telephony by using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95972A (en)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7765A (en) * 2009-10-30 2011-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Video call method and apparatus
KR20110066740A (en) * 2009-12-11 2011-06-17 엘지전자 주식회사 Call controlling apparatus of video call system and method thereof
KR20160053995A (en) * 2013-09-10 2016-05-13 오픈티브이, 인크. System and method of displaying content and related social media data
KR20160113853A (en) 2015-03-23 2016-10-04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System for providing high-definition video communication and video process method of thereof,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performing video call application
KR20170039629A (en) 2017-03-29 2017-04-11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System for providing high-definition video communication and video process method of thereof,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performing video call application
KR20180020199A (en) * 2018-02-19 2018-02-27 삼성전자주식회사 Video call method and apparatus
KR20180090978A (en) * 2018-08-06 2018-08-14 삼성전자주식회사 Video call method and apparatus
US10992995B2 (en) 2013-09-10 2021-04-27 Opentv, Inc. Systems and methods of displaying content

Cited B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20202B2 (en) 2009-10-30 2017-11-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communication
US9781667B2 (en) 2009-10-30 2017-10-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communication
US10772019B2 (en) 2009-10-30 2020-09-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communication
US9413800B2 (en) 2009-10-30 2016-08-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communication
KR20110047765A (en) * 2009-10-30 2011-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Video call method and apparatus
US9609562B2 (en) 2009-10-30 2017-03-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communication
US10200926B2 (en) 2009-10-30 2019-02-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communication
US9769724B2 (en) 2009-10-30 2017-09-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communication
US9961602B2 (en) 2009-10-30 2018-05-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communication
US11503524B2 (en) 2009-10-30 2022-11-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communication
KR20110066740A (en) * 2009-12-11 2011-06-17 엘지전자 주식회사 Call controlling apparatus of video call system and method thereof
US10992995B2 (en) 2013-09-10 2021-04-27 Opentv, Inc. Systems and methods of displaying content
US11825171B2 (en) 2013-09-10 2023-11-21 Opentv, Inc. Systems and methods of displaying content
US11363342B2 (en) 2013-09-10 2022-06-14 Opentv, Inc. Systems and methods of displaying content
KR20160053995A (en) * 2013-09-10 2016-05-13 오픈티브이, 인크. System and method of displaying content and related social media data
KR20160113853A (en) 2015-03-23 2016-10-04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System for providing high-definition video communication and video process method of thereof,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performing video call application
KR20170039629A (en) 2017-03-29 2017-04-11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System for providing high-definition video communication and video process method of thereof,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performing video call application
KR20180020199A (en) * 2018-02-19 2018-02-27 삼성전자주식회사 Video call method and apparatus
KR20180090978A (en) * 2018-08-06 2018-08-14 삼성전자주식회사 Video call method and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9597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ding mobile video telephony by using display device
US6839079B2 (en) Video-telephony system
JP2017516433A (en) Network connection method and apparatus,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KR101510723B1 (en) Mobile terminal having projector and method for displaying data thereof
US8805353B2 (en) System to provide entertainment in association with telecommunication service
KR2008005368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te control in portable terminal
JP2007006209A (en) Intercom system equipped with image sensing function, and sound terminal, video terminal, home gateway device, and intercom adapter constituting the system
TW201215086A (en) An apparatus for providing image and a voice communication method thereon
KR20110044690A (en) A mobile phone and a notice system of the arrival of an incoming call
JP2006238329A (en) Connection control device, communication system, and connection control method
WO2017113695A1 (en) Video communication method for smart television, terminal equipment and smart television
KR101292288B1 (en) System and method for tv telephone-based wireless communication
KR2013007587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home security service in a communication system
KR20030074025A (en) Displayphone system using internet as a network and set-top box therefor
KR100607645B1 (en) Transmission and reception system for short message using display device set up in the subscriber's home, and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thod for short message using the same
JP2007281600A (en) Content providing system and content switching method
KR20020096486A (en) Remote supervisory apparatus and method using mobile phone
JP2008160472A (en) Interphone system
KR100833877B1 (en) Interworking system for television receiver-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054661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utput Message of Phone with External Device
KR200276880Y1 (en) Apparatus for displaying telephone-Number of Caller
JP2002125208A (en) Videophone system
KR20010009069A (en) TV for serving caller information and a method therefor
KR100366364B1 (en) Method and apparatus to control Television sets using functions of Telephone sets
KR20060063259A (en) Confirmation system for telephone receiving sou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