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9839A - Apparatus and method for photographing image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photographing ima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9839A
KR20080089839A KR1020070032507A KR20070032507A KR20080089839A KR 20080089839 A KR20080089839 A KR 20080089839A KR 1020070032507 A KR1020070032507 A KR 1020070032507A KR 20070032507 A KR20070032507 A KR 20070032507A KR 20080089839 A KR20080089839 A KR 200800898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subject
face
signal
audit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25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고성식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325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89839A/en
Priority to GB0805805.9A priority patent/GB2448221B/en
Priority to US12/080,048 priority patent/US7973848B2/en
Priority to CNA2008101686802A priority patent/CN101370087A/en
Publication of KR20080089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983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ing to control or operation of the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 H04N23/61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where the recognised objects include parts of the human bod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4Computer-aided capture of images, e.g. transfer from script file into camera, check of taken image quality, advice or proposal for image composition or decision on when to take im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Indication In Cameras, And Counting Of Exposures (AREA)

Abstract

An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method are provided to induce a pre-set image capturing composition by outputting a current image capturing composition as audible information in capturing an image to thus resolve a problem of repeated image capturing. A face recognizing unit(49-1) detects the composition of a subject from a preview image to be captured. A comparing unit(49-2) compares the detected composition of the subject with a reference composition. A controller(49-3) controls to output an audible alarm signal until the composition of the subject and the reference composition become consistent. When the composition of the subject and the reference composition are consistent, the controller controls to output an audible consistent signal. The composition of the subject and the reference composition are size, position and direction information of the subject to be captured. The reference composition is set by a user. The controller controls to output each different audible alarm signal until the composition of the subject and the reference composition are consistent.

Description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hotographing image}Apparatus and method for photographing image

도 1은 일반적인 피사체 촬영 및 셀프 촬영의 실시 예를 보이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general subject photographing and self photographing.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촬영 장치의 일 예로써 디지털 카메라의 앞쪽 및 위쪽 외형을 보여주는 사시도 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ront and the top of the digital camera as an example of the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뒤쪽 외형을 보여주는 배면도 이다.FIG. 3 is a rear view illustrating a rear shape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of FIG. 1.

도 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영상 촬영 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 이다.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the image capturing apparatus illustrated in FIGS. 1 and 2.

도 5는 도 4의 영상 촬영 장치에서 피사체 구도에 따라 발생하는 청각적 경고신호 및 청각적 일치신호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audio warning signal and an audio coincidence signal generated according to a composition of a subject in the image capturing apparatus of FIG. 4.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촬영 방법의 동작을 보이는 흐름도 이다.6 is a flow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image cap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프리뷰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피사체 구도정보를 청각정보로 제공하여, 촬영할 피사체 구도를 설정된 구도로 유도하여 촬영이 가능하도록 하는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에 관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a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subject composition information displayed on a preview screen as auditory information to guide a subject composition to be photographed to a set composition. It is a tube.

최근 영상 처리 기술의 발달에 따라 사람이 휴대하기 편리한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그리고 더 나아가서는 휴대폰과 같은 휴대용 통신 단말에 영상 촬영 기능을 부가한 휴대폰 카메라와 같은 영상 촬영 기기가 등장하여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영상 촬영 기기들은 정지된 영상(still picture)뿐만 아니라 움직이는 피사체를 위한 동영상(moving picture) 촬영 기능도 구비하고 있는데, 특히 영상 촬영 기기는 인물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는 데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image processing technology, a video recording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camera that adds an image capturing function to a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digital camera, a camcorder, and even a mobile phone, which is easy to carry, has been widely used. Such image capturing devices have a moving picture capturing function for a moving subject as well as a still picture. In particular, the image capturing device is widely used for capturing an image of a person.

도 1a는 일반적인 피사체 촬영의 실시 예를 보이는 도면으로 사용자의 시각적 정보에만 의존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b는 LCD가 영상 촬영 장치의 후면에 존재할 경우 셀프 촬영의 실시 예를 보이는 도면으로, 셀프 촬영 시에 후면의 LCD가 보이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사진을 얻기 위한 신뢰성이 떨어진다.FIG. 1A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photographing a general subject, and it may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relies only on visual information of a user. FIG. 1B is a view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self-taking when the LCD is present at the rear of the image capturing apparatus. Since the LCD at the rear is not visible at the time of self-taking, reliability for obtaining a desired picture is low.

이와 같이 영상 촬영 장치의 피사체 정보 인지 방법은 시각적으로만 판단이 가능하다. 따라서 시각이 불편한 사용자는 영상 촬영 장치의 조작이 불가능하게 된다. 또한 자기 자신을 촬영하는 셀프 모드의 경우, LCD가 회전하지 않으면 원하는 영상이 얻어질 때까지 반복적으로 촬영해야 하며, 영상 촬영 장치 조작법에 익숙할지라도 시각적으로 LCD를 확인하면서 영상의 구도를 맞춰야 하므로 불편한 문제점이 발생한다.As described above, the method of recognizing subject information of the image capturing apparatus can be visually determined. Therefore, a user who is uncomfortable with vision cannot operate the image capturing apparatus. Also, in self-mode shooting yourself, if the LCD does not rotate, you need to shoot repeatedly until the desired image is obtained, and even if you are familiar with how to operate the image capture device, you need to visually check the LCD and compose the image. A problem occurs.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영상 촬영 시에 프리뷰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피사체 구도정보를 청각정보로 제공하여, 촬영할 피사체 구도를 설정된 구도로 유도하여 촬영이 가능하도록 하는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an effort to provide an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subject composition information displayed on a preview screen as auditory information when capturing an image, thereby inducing a subject composition to be photographed by a set composition. .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상기 기술적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는 촬영될 프리뷰 영상으로부터 피사체의 구도를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검출된 피사체 구도 및 기준 구도를 비교하는 비교부; 및 상기 비교 결과 피사체 구도와 기준 구도가 일치할 때까지 청각적 경고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피사체 구도와 기준 구도가 일치하면 청각적 일치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a detector configured to detect a composition of a subject from a preview image to be photographed; A comparator for comparing the detected object composition and reference composition; 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control the audio warning signal to be output until the subject composition and the reference composition coincide with each other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and output the audio matching signal when the subject composition and the reference composition match.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피사체 구도 및 기준 구도는 촬영될 피사체의 크기, 위치 및 방향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ubject composition and the reference composition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size, position and direction information of the subject to be photographed.

본 발명에 있어서,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구도는 사용자에 의한 설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ference composi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r can be set.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피사체 구도와 기준 구도가 일치할 때까지 서로 다른 청각적 경고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o output different auditory warning signals until the object composition matches the reference composition.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청각적 일치신호가 출력된 후,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피사체가 자동으로 촬영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o automatically photograph the subject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after the auditory matching signal is output.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 제어하는 상기 청각적 경고신호 및 청각적 일치신호는 음성 메시지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uditory warning signal and the auditory matching signal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voice message signal.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상기 기술적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디지털 영상 처리 방법은 (a) 촬영될 프리뷰 영상으로부터 피사체의 구도를 검출하는 단계; (b) 상기 검출된 피사체 구도 및 기준 구도를 비교하는 단계; 및 (c) 상기 비교 결과 피사체 구도와 기준 구도가 일치할 때까지 청각적 경고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피사체 구도와 기준 구도가 일치하면 청각적 일치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gital image processing method including: (a) detecting a composition of a subject from a preview image to be photographed; (b) comparing the detected object composition and reference composition; And (c) outputting an auditory warning signal until the subject composition matches the reference composition, and outputting an auditory matching signal when the subject composition matches the reference composition.

본 발명에 있어서, (d) 상기 청각적 일치신호가 출력된 후,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피사체를 자동으로 촬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utomatically photographing the subject when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after the auditory coincidence signal is output.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c)단계에서 상기 피사체 구도와 기준 구도가 일치할 때까지 서로 다른 청각적 경고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ep (c)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so that different auditory warning signals are output until the object composition and the reference composition is identical.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c)단계의 청각적 경고신호 및 청각적 일치신호는 음성 메시지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uditory warning signal and the auditory matching signal of step (c)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voice message signal.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촬영 장치의 일 예로써 디지털 카메라의 앞쪽 및 위쪽 외형을 보여주는 사시도 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ront and the top of the digital camera as an example of the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을 참조하면, 셔터-릴리즈 버튼(11), 전원 버튼(13), 플래시(15), 보조광(17), 렌즈부(19)가 있다.Referring to FIG. 2, there is a shutter-release button 11, a power button 13, a flash 15, an auxiliary light 17, and a lens unit 19.

셔터-릴리즈 버튼(11)은 정해진 시간 동안 CCD나 필름을 빛에 노출시키기 위해 열리고 닫히며, 조리개(미도시)와 연동하여 피사체를 적정하게 노출시켜 CCD에 영상을 기록한다. The shutter release button 11 is opened and closed to expose the CCD or film to light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records the image on the CCD by properly exposing the subject in conjunction with an aperture (not shown).

셔터-릴리즈 버튼(11)은 촬영자 입력에 의해 제1 및 제2 영상 촬영 신호를 생성한다. 반셔터 신호로써의 제1 셔터-릴리즈 버튼(11)이 입력되면,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는 초점을 잡고 빛의 양을 조절하며, 이때 초점이 맞은 경우 디스플레이부(25)에 녹색 불이 켜지게 된다. 제1 셔터-릴리즈 버튼(11)의 입력으로 초점이 잡히고 빛의 양이 조절되면, 비로소 완전셔터 신호로써의 제2 셔터-릴리즈 버튼(11)을 입력하여 영상을 촬영한다.The shutter release button 11 generates the first and second image capturing signals by a photographer input. When the first shutter release button 11 as a half shutter signal is input,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cuses and adjusts the amount of light, and when the focus is achieved, the green light is turned on in the display unit 25. . When focus is achieved by the input of the first shutter release button 11 and the amount of light is adjusted, the second shutter release button 11 as a full shutter signal is input to capture an image.

전원 버튼(13)은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여 동작시키기 위해 입력된다.The power button 13 is input to supply power to and operate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플래시(15)는 어두운 곳에서 촬영할 경우 밝은 빛을 순간적으로 비추어 밝게 해주는 것으로 플래시 모드에는 자동플래시, 강제발광, 발광금지, 적목감소, 슬로우 싱크로 등이 있다. The flash 15 brightens the bright light instantly when shooting in a dark place. Flash modes include auto flash, forced flash, flash off, red-eye reduction, and slow synchro.

보조광(17)은 광량이 부족하거나 야간 촬영 시에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가 자동으로 초점을 빠르고 정확하게 잡을 수 있도록 피사체에 광을 공급한다.The auxiliary light 17 supplies light to the subject so that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utomatically focuses quickly and accurately when the amount of light is insufficient or at night.

렌즈부(19)는 외부 광원으로부터 빛을 받아 영상을 처리한다. The lens unit 19 receives light from an external light source and processes an image.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영상 처리 장치의 뒤쪽 외형을 보여주는 배면도 이다.FIG. 2 is a rear view illustrating a rear shape of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shown in FIG. 1.

도 2를 참조하면,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뒤쪽에는 광각(wide angle)-줌(zoom) 버튼(21w), 망원(telephoto)-줌 버튼(21t), 기능버튼(23), 디스플레이부(25) 및 오디오 신호 출력부로써의 스피커(27)가 있다.Referring to FIG. 2, a wide angle zoom button 21w, a telephoto zoom button 21t, a function button 23, and a display unit 25 are provided at the rear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a speaker 27 as an audio signal output section.

광각-줌 버튼(21w) 또는 망원-줌 버튼(21t)은 입력에 따라 화각이 넓어지거나, 화각이 좁아지는데, 특히, 선택된 노출영역의 크기를 변경시키고자 할 때 입력 한다. 광각-줌 버튼(21w)이 입력되면, 선택된 노출영역의 크기가 작아지고, 망원-줌 버튼(21t)이 입력되면, 선택된 노출영역의 크기가 커진다. The wide-zoom button 21w or the tele-zoom button 21t increases the angle of view or narrows the angle of view depending on the input, particularly when the size of the selected exposure area is to be changed. When the wide-zoom button 21w is input, the size of the selected exposure area is reduced, and when the tele-zoom button 21t is input, the size of the selected exposure area is increased.

기능버튼(23)은 상향버튼, 하향 버튼, 좌향버튼, 우향버튼 및 메뉴/OK버튼을 포함하여 총 5개의 버튼을 포함한다. 기능버튼(23)은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동작에 관한 각종 메뉴를 실행시키기 위해 입력되며, 상기 각 키들은 단축키로써도 이용될 수 있다.The function button 23 includes a total of five buttons including an up button, a down button, a left button, a right button and a menu / OK button. The function button 23 is input to execute various menu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each of the keys may be used as a shortcut key.

스피커(27)는 카메라에 저장된 음성 신호 예를 들면, 저장된 동영상의 음성 신호, 저장된 음악파일 신호 등을 출력한다. 본 발명에서 스피커(27)는 제어신호에 의해 촬영될 피사체 구도와 기준 구도가 일치할 때까지 청각적 경고신호를 출력하고, 피사체 구도와 기준 구도가 일치하면 청각적 일치신호를 출력한다.The speaker 27 outputs a voice signal stored in the camera, for example, a voice signal of a stored video, a stored music file signal, and the lik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peaker 27 outputs an auditory warning signal until the subject composition to be photographed by the control signal coincides with the reference composition, and outputs an auditory coincidence signal when the subject composition matches the reference composition.

도 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영상 촬영 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로서, 디스플레이부(25), 스피커(27), 사용자 입력부(41), 촬상부(43), 영상 처리부(45), 저장부(47) 및 디지털 신호 처리부(49)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디지털 신호 처리부(49)는 얼굴 인식부(49-1), 비교부(49-2) 및 제어부(49-3)를 포함한다.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image capturing apparatus illustrated in FIGS. 1 and 2, wherein the display unit 25, the speaker 27, the user input unit 41, the imaging unit 43, and the image processing unit 45 are shown. , A storage unit 47 and a digital signal processing unit 49.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49 includes a face recognition unit 49-1, a comparator 49-2, and a controller 49-3.

사용자 입력부(41)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정해진 시간 동안 CCD나 필름을 빛에 노출시키기 위해 열리고 닫히는 셔터-릴리즈 버튼(11),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동작을 온/오프 시키는 전원버튼(13), 입력에 따라 화각을 넓어지게 하거나, 화각을 좁아지게 하는 광각-줌 버튼(21w) 또는 망원-줌 버튼(21t) 및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동작에 관한 각종 메뉴를 실행시키기 위해 입력하는 기능 버튼(23)이 있다.1 and 2, the user input unit 41 may include a shutter release button 11 that opens and closes to expose a CCD or a film to light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a power button that turns on / off an operation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13) An input for executing a wide angle-zoom button 21w or a tele-zoom button 21t and various menus relating to the operation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to widen the angle of view or narrow the angle of view according to the input. There is a function button 23.

촬상부(43)는 셔터-릴리즈 버튼(11),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렌즈부, 조리개 및 CCD(Charge Coupled Device) 및 ADC를 포함한다.The imaging unit 43 includes a shutter-release button 11, a lens unit not shown in the figure, an aperture, a charge coupled device (CCD), and an ADC.

셔터-릴리즈 버튼(11)은 조리개와 함께 노광하는 빛의 양을 조절하는 기구이다. 렌즈부는 외부 광원으로부터 빛을 받아 영상을 처리한다. 이 때, 조리개는 개폐 정도에 따라 입사되는 빛의 양(광량)을 조절한다. 조리개의 개폐 정도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49)에 의해 제어된다.The shutter release button 11 is a mechanism for adjusting the amount of light exposed together with the aperture. The lens unit receives light from an external light source and processes an image. At this time, the iris adjusts the amount of light incident (light quantity) according to the degree of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and closing degree of the iris is controlled by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unit 49.

CCD는 렌즈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광량을 축적하고 그 축적된 광량에 따라 렌즈부에서 촬상된 영상을 수직 동기신호에 맞추어 출력한다.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영상 획득은 피사체로부터 반사되어 나오는 빛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켜 주는 CCD에 의해 이루어진다. The CCD accumulates the amount of light input through the lens unit and outputs an image captured by the lens unit in accordance with the accumulated light amount in accordance with the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Image acquisition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is performed by a CCD that converts light reflected from a subject into an electrical signal.

영상 처리부(45)는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신호처리 한다. 이를 위해 영상 처리부(45)는 암 전류에 의해 발생된 블랙레벨을 제거하고, 인간 시각의 비선형성에 맞추어 입력 영상 신호를 부호화 하는 감마 보정을 수행한다. 또한 영상 처리부(45)는 감마 보정된 소정 데이터의 RGRG라인 및 GBGB 라인으로 구현된 베이어 패턴을 RGB 라인으로 보간하는 CFA 보간을 수행하고, 보간된 RGB 신호를 YUV 신호로 변환하고, 고 대역 필터에 의해 Y 신호를 필터링 하여 영상을 뚜렷하게 처리하는 에지 보상과, 표준 컬러 좌표계를 이용하여 U, V 신호의 컬러 값을 정정하는 컬러 정정을 수행하며, 이들의 노이즈를 제거한다. 이후 영상 처리부(45)는 노이즈가 제거된 Y, U, V 신호를 압축 및 신호 처리하여 Exif 파일을 생성하고, 생성된 Exif 파일은 디스플레이부(25)에 디스플레이 되고, 저장부(47)에 저장된다. 이와 같은 영상 처리부(45)의 모든 동작은 디지털 신호 처리부(49)의 제어 하에 동작한다.The image processor 45 performs signal processing to display an image signal converted into an electrical signal. To this end, the image processor 45 removes the black level generated by the dark current and performs gamma correction to encode the input image signal according to the nonlinearity of human vision. In addition, the image processor 45 performs CFA interpolation to interpolate the Bayer pattern implemented by the RGRG line and the GBGB line of the gamma-corrected predetermined data into the RGB line, converts the interpolated RGB signal into a YUV signal, By performing the Y signal filtering, the edge compensation for sharply processing the image and the color correction for correcting the color values of the U and V signals using the standard color coordinate system are performed, and the noise is removed. Afterwards, the image processor 45 generates an Exif file by compressing and signal-processing Y, U, and V signals from which noise is removed, and the generated Exif fil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5 a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47. do. All of the operations of the image processor 45 operate under the control of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49.

시각적 정보에만 의존한 영상 촬영 장치 조작 방식의 한계를 벗어나 청각적인 정보만으로도 카메라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디지털 신호 처리부(49)는 얼굴 인식부(49-1), 비교부(49-2) 및 제어부(49-3)를 포함한다.The digital signal processor 49 may include a face recognition unit 49-1, a comparator 49-2, and the like so that the camera can be operated with only the auditory informa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limitation of the image photographing device operation method that depends only on the visual information. The control unit 49-3 is included.

얼굴 인식부(49-1)는 촬영될 프리뷰 영상으로부터 피사체의 구도를 검출하는 검출부로써의 역할을 수행한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얼굴 인식부(49-1)는 디스플레이부(25)에 표시된 프리뷰 영상으로부터 피사체 구도로써의 얼굴 정보 즉, 디스플레이부(25) 내에서의 얼굴 크기, 얼굴 위치, 얼굴 방향을 검출한다. The face recognizing unit 49-1 functions as a detection unit that detects a composition of the subject from the preview image to be photographed. In more detail, the face recognizing unit 49-1 detects face information as a composition of a subject from the preview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5, ie, a face size, a face position, and a face direction in the display unit 25. Detect.

얼굴 인식부(49-1)는 얼굴 크기 검출 시에, 컬러를 기반으로 얼굴 영역을 검출하거나, 에지를 기반으로 얼굴 영역을 검출하는 등의 방법을 이용하며, 얼굴 크기 검출에 관한 내용은 이미 공지된 내용이 많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얼굴 인식부(49-1)는 얼굴의 위치 검출 시에, 추출된 얼굴의 중심부와 미리 설정되어 있는 디스플레이부(25) 중심부 사이의 거리로 얼굴 위치를 계산할 수 있다. 얼굴 인식부(49-1)는 얼굴의 방향 검출 시에, 추출된 얼굴로부터 눈과 입으로 구성된 삼각형 형태로 얼굴 방향을 검출할 수 있으며, 얼굴 방향 검출에 관한 내용은 이미 공지된 내용이 많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When detecting the size of the face, the face recognizing unit 49-1 uses a method of detecting a face area based on color or a face area based on an edge, and the face size detection is already known. Many details are given, so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When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face, the face recognizing unit 49-1 may calculate the face position based on a distance between the center of the extracted face and a predetermined center of the display unit 25. The face recognizing unit 49-1 may detect a face direction in the form of a triangle composed of eyes and mouth from the extracted face at the time of detecting the direction of the fac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저장부(47)에는 기준 구도가 저장되어 있다. 저장부(47)에 저장된 기준 구도는 기준 얼굴 정보 즉, 기준 얼굴의 크기, 기준 얼굴의 위치, 기준 얼굴의 방향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저장부(47)에 저장된 기준 구도는, 촬영 시에 디스플레이 부(25)에 표시된 얼굴 영상의 구도를 바람직한 촬영 구도로 유도하기 위한 기준 구도로 이용된다. 이러한 기준 구도는 디폴트 값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적정한 값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The reference structure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47. The reference composi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47 stores reference face information, that is, the size of the reference face, the position of the reference face, and the direction information of the reference face. The reference composi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47 is used as a reference composition for guiding the composition of the fac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5 to the desired photographing composition at the time of photographing. This reference composition may be set to a default value, or may be set to an appropriate value according to a user's preference.

비교부(49-2)는 얼굴 인식부(49-1)에서 검출된 현재의 얼굴 구도와 저장부(47)에 저장된 기준 구도를 비교하여 그 결과를 제어부(49-3)로 출력한다.The comparator 49-2 compares the current face composition detected by the face recognition unit 49-1 with the reference composi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47, and outputs the result to the controller 49-3.

제어부(49-3)는 비교부(49-2)의 비교 결과, 현재 얼굴의 구도와 기준 구도가 일치하지 않으면 청각적 경고신호가 출력되도록 스피커(27)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49-3)는 비교부(49-2)의 비교 결과, 현재 얼굴의 구도와 기준 구도가 일치하면, 청각적 일치신호가 출력되도록 스피커(27)를 제어한다. The controller 49-3 controls the speaker 27 to output an auditory warning signal when the comparison result of the comparator 49-2 does not match the composition of the current face and the reference composition. In addition, the controller 49-3 controls the speaker 27 to output an audio matching signal when the comparison result of the comparator 49-2 matches with the composition of the current face.

제어부(49-3)는 현재 얼굴 크기와 저장부(47)에 저장된 기준 얼굴 크기를 비교하여 일치하지 않으면 청각적 경고 신호를 출력하고, 현재 얼굴 위치와 저장부(47)에 저장된 기준 얼굴 위치를 비교하여 일치하지 않으면 청각적 경고 신호를 출력하며, 현재 얼굴 방향과 저장부(47)에 저장된 기준 얼굴 방향을 비교하여 일치하지 않으면 청각적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데, 최종 스피커(27)를 제어하는 청각적 경고신호는 (얼굴 크기의 청각적 경고신호 + 얼굴 위치의 청각적 경고 신호 + 얼굴 방향의 청각적 경고신호)가 된다. The controller 49-3 compares the current face size with the reference face size stored in the storage 47 and outputs an auditory warning signal, and compares the current face position with the reference face position stored in the storage 47. If the comparison does not match, the audio warning signal is output, and if it does not match by comparing the current face direction and the reference face direc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47, and outputs the audio warning signal, the auditory controlling the final speaker 27 The red warning signal becomes (acoustic warning signal of face size + auditory warning signal of face position + auditory warning signal of face direction).

스피커(27)가 청각적 일치신호를 출력한 후, 제어부(49-3)는 소정 시간(예를 들어 2초) 후에 자동 셔터 입력에 의해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현재 얼굴의 구도와 기준 구도가 일치한 후, 촬영을 위해 사용자가 셔터-릴리즈 버튼(11)을 입력하는 과정에서 손떨림이 발생하여 바람직하지 못한 영상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49-3)는 스피커(27)가 청각적 일치신호를 출력한 후, 소정 시간 경과 후에 현재 얼굴 구도의 영상을 자동으로 촬영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After the speaker 27 outputs the audio coincidence signal, the controller 49-3 may control to capture an image by an automatic shutter input afte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2 seconds). After the composition of the current face and the reference composition coincide with each other, hand shake may occur in a process of inputting the shutter-release button 11 by the user to capture an undesirable image. Therefore, the controller 49-3 may control the speaker 27 to automatically capture an image of the current face composition aft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after the speaker 27 outputs an audio coincidence signal.

도 5a 내지 도 5i는 제어부(49-3)가 피사체 구도에 따라 스피커(27)를 통하여 청각적 경고신호 및 청각적 일치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일 예를 보여준다.5A to 5I illustrate an example in which the controller 49-3 controls the audio signal and the audio coincidence signal to be output through the speaker 27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of the subject.

먼저, 도 5f는 디스플레이부(25)의 프리뷰 화면에 표시된 얼굴 구도(얼굴 크기, 위치, 방향)와 저장부(47)에 저장된 기준 구도가 일치한 최적의 화면을 보여준다. 이때 제어부(49-3)는 스피커(27)를 통하여 청각적 일치신호(Sf)가 출력되도록 제어한다.First, FIG. 5F illustrates an optimal screen in which the face composition (face size, position, and orientation) displayed on the preview screen of the display unit 25 matches the reference composi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47. At this time, the controller 49-3 controls the acoustic matching signal S f to be output through the speaker 27.

도 5a는 디스플레이부(25)의 프리뷰 화면에 표시된 얼굴 구도가 왼쪽 윗부분으로 치우친 예를 보여주고 있다. 도 5a와 도 5f 비교 시에 얼굴의 크기, 위치, 방향이 모두 일치 하지 않으므로, 제어부(49-3)는 스피커(27)를 통하여 청각적 경고신호(Sa)가 출력되도록 제어한다.5A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face composition displayed on the preview screen of the display unit 25 is biased to the upper left part. Figure 5a and Figure does not match all of the size, position or orientation of the face at the time of comparison 5f, the control unit (49-3) is controlled so that the audible warning signal (S a) output through the speaker 27.

도 5b는 디스플레이부(25)의 프리뷰 화면에 표시된 얼굴 구도가 왼쪽 중앙부분으로 치우친 예를 보여주고 있다. 도 5b와 도 5f 비교 시에 얼굴의 크기, 위치, 방향이 모두 일치 하지 않으므로, 제어부(49-3)는 스피커(27)를 통하여 청각적 경고신호(Sb)가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경고신호(Sa)와 경고신호(Sb)는 다른 청각적 신호임을 알 수 있다. 5B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face composition displayed on the preview screen of the display unit 25 is shifted to the left center portion. Since the size, position, and orientation of the face do not coincide with each other in comparison with FIGS. 5B and 5F, the controller 49-3 controls the audio warning signal S b to be output through the speaker 27. In this case, it can be seen that the warning signal S a and the warning signal S b are different audio signals.

도 5c는 디스플레이부(25)의 프리뷰 화면에 표시된 얼굴 구도가 중앙에 위치 한 예를 보여주고 있다. 도 5c와 도 5f 비교 시에 얼굴의 위치는 도 5f와 일치하지만 얼굴의 크기 및 방향이 일치 하지 않으므로, 제어부(49-3)는 스피커(27)를 통하여 청각적 경고신호(Sc)가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경고신호(Sc)는 다른 경고신호들(Sa,Sb)과 다른 청각적 신호임을 알 수 있다. 5C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a face composition displayed on the preview screen of the display unit 25 is positioned at the center. 5C and 5F, the position of the face coincides with FIG. 5F, but the size and direction of the face do not coincide, so that the controller 49-3 outputs the auditory warning signal S c through the speaker 27. Control as possible. In this case, it can be seen that the warning signal S c is an auditory signal different from the other warning signals Sa and S b .

도 5d는 디스플레이부(25)의 프리뷰 화면에 표시된 얼굴 구도가 도 5a와 유사하나 얼굴의 크기가 도 5a 보다 큰 예를 보여주고 있다. 도 5d와 도 5f 비교 시에 얼굴의 크기, 위치, 방향이 모두 일치 하지 않으므로, 제어부(49-3)는 스피커(27)를 통하여 청각적 경고신호(Sd)가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경고신호(Sd)는 다른 경고신호들(Sa,Sb,Sc)과 다른 청각적 신호임을 알 수 있다. 5D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a face composition displayed on the preview screen of the display unit 25 is similar to that of FIG. 5A, but the size of the face is larger than that of FIG. 5A. Since the siz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face do not coincide with each other in comparison with FIGS. 5D and 5F, the controller 49-3 controls the audio warning signal S d through the speaker 27. In this case, it can be seen that the warning signal S d is an audio signal different from the other warning signals Sa , S b , and S c .

도 5e는 디스플레이부(25)의 프리뷰 화면에 표시된 얼굴 구도가 도 5b와 유사하나 얼굴의 크기가 도 5b 보다 큰 예를 보여주고 있다. 도 5e와 도 5f 비교 시에 얼굴의 크기, 위치, 방향이 모두 일치 하지 않으므로, 제어부(49-3)는 스피커(27)를 통하여 청각적 경고신호(Se)가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경고신호(Se)는 다른 경고신호들(Sa,Sb,Sc,Sd)과 다른 청각적 신호임을 알 수 있다. FIG. 5E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a face composition displayed on the preview screen of the display unit 25 is similar to that of FIG. 5B, but the size of the face is larger than that of FIG. 5B. Since the siz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face do not coincide with each other in comparison with FIGS. 5E and 5F, the controller 49-3 controls the audio warning signal S e to be output through the speaker 27. At this time, it can be seen that the warning signal (S e) is different warning signal (S a, S b, S c, S d) and other audible signals.

도 5g는 디스플레이부(25)의 프리뷰 화면에 표시된 얼굴 구도가 도 5d와 유사하나 얼굴의 크기가 도 5d 보다 큰 예를 보여주고 있다. 도 5g와 도 5f 비교 시에 얼굴의 크기, 위치, 방향이 모두 일치 하지 않으므로, 제어부(49-3)는 스피커(27)를 통하여 청각적 경고신호(Sg)가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경고신호(Sg) 는 다른 경고신호들(Sa,Sb,Sc,Sd,Se)과 다른 청각적 신호임을 알 수 있다. 5G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a face composition displayed on the preview screen of the display unit 25 is similar to that of FIG. 5D, but the size of the face is larger than that of FIG. 5D. Since the size, the position, and the direction of the face do not coincide with each other in comparison with FIGS. 5G and 5F, the controller 49-3 controls the audio warning signal S g to be output through the speaker 27. In this case, it can be seen that the warning signal S g is an acoustic signal different from the other warning signals Sa , S b , S c , S d , and S e .

도 5h는 디스플레이부(25)의 프리뷰 화면에 표시된 얼굴 구도가 도 5e와 유사하나 얼굴의 크기가 도 5e 보다 큰 예를 보여주고 있다. 도 5h와 도 5f 비교 시에 얼굴의 크기, 위치, 방향이 모두 일치 하지 않으므로, 제어부(49-3)는 스피커(27)를 통하여 청각적 경고신호(Sh)가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경고신호(Se)는 다른 경고신호들(Sa,Sb,Sc,Sd,Se,Sg)과 다른 청각적 신호임을 알 수 있다. 5H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a face composition displayed on the preview screen of the display unit 25 is similar to that of FIG. 5E, but the size of the face is larger than that of FIG. 5E. Since the siz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face do not coincide with each other in comparison with FIGS. 5H and 5F, the controller 49-3 controls the audio warning signal S h to be output through the speaker 27. At this time, it can be seen that the warning signal (S e) is different warning signal (S a, S b, S c, S d, S e, S g) and other audible signals.

도 5i는 디스플레이부(25)의 프리뷰 화면에 표시된 얼굴 구도가 중앙에 위치한 예를 보여주고 있다. 도 5i와 도 5f 비교 시에 얼굴의 위치는 도 5f와 일치하지만 얼굴의 크기 및 방향이 일치 하지 않으므로, 제어부(49-3)는 스피커(27)를 통하여 청각적 경고신호(Si)가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경고신호(Si)는 다른 경고신호들(Sa,Sb,Sc,Sd,Se,Sg,Sg,Sh)과 다른 청각적 신호임을 알 수 있다. 5I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a face composition displayed on the preview screen of the display unit 25 is located at the center. Figure 5i and also the location of the face matching and Figure 5f when compared 5f, but because the size and orientation of the face do not match, the control unit (49-3) is an audible alarm signal (S i) is output through the speaker 27 Control as possible. At this time, it can be seen that the warning signal (S i) is other warning signals (S a, S b, S c, S d, S e, S g, S g, S h) and other audible signals.

이와 같이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49-3)는 현재 얼굴의 구도 즉, 얼굴의 크기, 위치, 방향과 기준 구도 즉 기준 얼굴의 크기, 위치, 방향을 비교하여, 현재 얼굴의 구도가 기준 구도와 일치될 때까지 각각 다른 청각적 경고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구도를 다시 잡도록 유도한다. 사용자가 청각적 경고신호를 듣고 구도를 다시 잡아 현재 얼굴의 구도가 기준구도와 일치되는 경우, 제어부(49-3)는 청각적 일치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 예로 현재 얼굴 구도를 기준 구도로 유도하는 기 저장된 음성 메시지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얼굴의 구도가 기준 구도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음성 메시지 신호로 "구도를 다시 잡아 주세요" 등의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현재 얼굴의 구도가 기준 구도와 일치하는 경우, 음성 메시지 신호로 "얼짱 구도입니다. 2초 후 자동으로 촬영합니다" 등의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referring to FIG. 5, the controller 49-3 compares the composition of the current face, that is, the siz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face with the reference composition, that is, the size, position, and orientation of the reference face. Different acoustic warning signals are output until they match the composition, inducing the user to recompose the composition. When the user hears the auditory warning signal and recomposes the composition, the controller 49-3 may control to output the auditory coincidence signal when the composition of the current face matches the reference composition. In another embodiment, a pre-stored voice message signal for inducing a current face composition to a reference composition may be output. For example, when the composition of the current face does not match the reference composition, a message such as "Please recompose" may be output as a voice message signal. In addition, when the composition of the current face matches the reference composition, a voice message signal such as "Ulzzang composition. Automatically captures after 2 seconds" can be output.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촬영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영상 합성 방법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영상 처리장치의 내부에서 수행될 수 있는데, 실시 예에 따라 동작 방법의 주 알고리즘은 장치 내의 주변 구성 요소들의 도움을 받아 디지털 신호 처리부(49) 내부에서 수행될 수 있다.Hereinafter, an image cap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6. The image synthesizing method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erformed inside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as shown in FIG. 4.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main algorithm of the operation method may be performed by the help of peripheral components in the apparatus. It may be performed in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49.

사용자가 촬영을 위해 영상 촬영 장치의 전원을 동작시키면, 제어부(49-3)는 현재 얼굴 구도를 디스플레이부(25)에 프리뷰 화면으로 디스플레이 한다(601단계).When the user operates the power of the image capturing apparatus for capturing, the controller 49-3 displays the current face composition on the display unit 25 as a preview screen (S601).

이후, 제어부(49-3)는 얼굴 구도를 검출한다(603단계). 얼굴 구도 검출 시에 얼굴 인식부(49-1)는 컬러를 기반으로 얼굴 영역을 검출하거나, 에지를 기반으로 얼굴 영역을 검출하는 등의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여 얼굴 크기를 검출하고, 추출된 얼굴의 중심부와 미리 설정되어 있는 디스플레이부(25) 중심부 사이의 거리로 얼굴 위치를 계산하며, 추출된 얼굴 크기로부터 눈과 입으로 구성된 삼각형 형태로 얼굴 방향을 검출할 수 있다.In operation 603, the controller 49-3 detects a face composition. Upon detecting the composition of the face, the face recognition unit 49-1 detects the face size using a known method such as detecting a face region based on color or a face region based on an edge, and extracts the extracted face. The position of the face is calculated by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 of the display unit and the center of the preset display unit 25, and the face direction may be detected in a triangular form consisting of eyes and mouth from the extracted face size.

이와 같이 얼굴 크기, 위치, 방향을 포함하는 얼굴 구도가 검출되면, 비교부(49-2)는 얼굴 인식부(49-1)에서 검출된 현재 얼굴 구도와 저장부(47)에 저장된 기준 구도를 비교한다(605단계). 저장부(47)에 저장된 기준 구도는 디폴트 값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적정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When a face composition including a face size, a position, and a direction is detected as described above, the comparator 49-2 compares the current face composition detected by the face recognition unit 49-1 with a reference composi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47. Compare (step 605). The reference composition stored in the storage 47 may be set to a default value, and may be set to an appropriate value according to a user's preference.

이후, 제어부(49-3)는 검출된 얼굴 구도와 기준 구도가 동일한지 판단한다(607단계).In operation 607, the controller 49-3 determines whether the detected face composition and the reference composition are the same.

검출된 얼굴 구도와 기준 구도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 제어부(49-3)는 검출된 현재 검출된 얼굴 구도에 따라 각기 다른 청각적 경고신호를 스피커(27)를 통하여 출력되도록 제어한다(609단계). 제어부(49-3)는 현재 얼굴 크기와 저장부(47)에 저장된 기준 얼굴 크기를 비교하여 일치하지 않으면 청각적 경고 신호를 출력하고, 현재 얼굴 위치와 저자부(47)에 저장된 기준 얼굴 위치를 비교하여 일치하지 않으면 청각적 경고 신호를 출력하며, 현재 얼굴 방향과 저장부(47)에 저장된 기준 얼굴 방향을 비교하여 일치하지 않으면 청각적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데, 최종 스피커(27)를 제어하는 청각적 경고신호는 (얼굴 크기의 청각적 경고신호 + 얼굴 위치의 청각적 경고 신호 + 얼굴 방향의 청각적 경고신호)가 된다. 도 5f를 제외한 도 5a 내지 도 5i에 현재 검출된 얼굴구도에 따라 출력되는 청각적 경고신호가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f the detected face composition and the reference composition are not the same, the controller 49-3 controls to output different acoustic warning signals through the speaker 27 according to the detected detected facial composition (step 609). . The controller 49-3 compares the current face size with the reference face size stored in the storage 47 and outputs an auditory warning signal, and compares the current face position with the reference face position stored in the hypothesis 47. If the comparison does not match, the audio warning signal is output, and if it does not match by comparing the current face direction and the reference face direc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47, and outputs the audio warning signal, the auditory controlling the final speaker 27 The red warning signal becomes (acoustic warning signal of face size + auditory warning signal of face position + auditory warning signal of face direction). 5A to 5I except for FIG. 5F, an auditory warning signal output according to a currently detected face composition is illustrated and described above,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후, 제어부(49-3)는 검출된 현재 얼굴 구도가 기준 구도가 될때까지 청각적 경고신호를 지속적으로 발생하여 사용자의 구도 변화를 유도한다(611단계).Thereafter, the controller 49-3 continuously generates an auditory warning signal until the detected current face composition becomes a reference composition to induce a change in composition of the user (step 611).

검출된 얼굴 구도와 기준 구도가 동일한 경우, 제어부(49-3)는 현재 검출된 얼굴 구도와 기준 구도가 일치하였음을 알리는 청각적 일치신호를 스피커(27)를 통하여 출력되도록 제어한다(613단계). 도 5f에는 현재 검출된 얼굴 구도와 기준구도가 일치할 경우 출력되는 청각적 일치신호가 도시되어 있다.If the detected face composition and the reference composition are the same, the controller 49-3 controls to output an auditory matching signal through the speaker 27 indicating that the currently detected face composition and the reference composition match (step 613). . 5F illustrates an acoustic matching signal output when the currently detected face composition matches the reference composition.

스피커(27)가 청각적 일치신호를 출력한 후, 제어부(49-3)는 소정 시간(예를 들어 2초) 후에 자동 셔터 입력에 의해 영상을 촬영한다(615단계). 현재 얼굴의 구도와 기준 구도가 일치한 후, 촬영을 위해 사용자가 셔터-릴리즈 버튼(11)을 입력하는 과정에서 손떨림이 발생하여 바람직하지 못한 영상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49-3)는 스피커(27)가 청각적 일치신호를 출력한 후, 소정 시간 경과 후에 현재 얼굴 구도의 영상을 자동으로 촬영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After the speaker 27 outputs the audio coincidence signal, the controller 49-3 captures an image by the automatic shutter input afte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2 seconds) (step 615). After the composition of the current face and the reference composition coincide with each other, hand shake may occur in a process of inputting the shutter-release button 11 by the user to capture an undesirable image. Therefore, the controller 49-3 controls the speaker 27 to automatically capture an image of the current face composition aft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after the speaker 27 outputs the audio coincidence signal.

이와 같이, 제어부(49-3)는 현재 얼굴의 구도 즉, 얼굴의 크기, 위치, 방향과 기준 구도 즉 기준 얼굴의 크기, 위치, 방향을 비교하여, 현재 얼굴의 구도가 기준 구도와 일치될 때까지 각각 다른 청각적 경고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구도를 다시 잡도록 유도한다. 사용자가 청각적 경고신호를 듣고 구도를 다시 잡아 현재 얼굴의 구도가 기준구도와 일치되는 경우, 제어부(49-3)는 청각적 일치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 예로 현재 얼굴 구도를 기준 구도로 유도하는 기 저장된 음성 메시지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얼굴의 구도가 기준 구도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음성 메시지 신호로 " 구도를 다시 잡아 주세요" 등의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현재 얼굴의 구도가 기준 구도와 일치하는 경우, 음성 메시지 신호로 "얼짱 구도입니다. 2초 후 자동으로 촬영합니다" 등의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ler 49-3 compares the composition of the current face, that is, the siz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face with the reference composition, that is, the siz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reference face, and when the composition of the current face coincides with the reference composition, By controlling the output of a different acoustic warning signal until the user is encouraged to recompose the composition. When the user hears the auditory warning signal and recomposes the composition, the controller 49-3 may control to output the auditory coincidence signal when the composition of the current face matches the reference composition. In another embodiment, a pre-stored voice message signal for inducing a current face composition to a reference composition may be output. For example, when the composition of the current face does not match the reference composition, a message such as "Please recompose" may be output as a voice message signal. In addition, when the composition of the current face matches the reference composition, a voice message signal such as "Ulzzang composition. Automatically captures after 2 seconds" can be output.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시각적 정보에만 의존한 영상 촬영 장치 조작 방식의 한계를 벗어나 청각적인 정보만으로도 카메라 조작이 가능한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영상 촬영 장치를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nveniently operate the image capturing apparatus by providing an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a method capable of operating the camera using only the auditory informa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limitation of the image capturing apparatus operating method depending only on the visual information. .

또한 영상 촬영 시에 현재의 촬영 구도를 청각 정보로 출력하여 설정된 촬영 구도를 유도함으로써 반복 촬영의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olve the inconvenience of repetitive shooting by outputting the current shooting composition as auditory information at the time of image capturing and inducing the set shooting composition.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So far I looked at the center of the preferred embodiment for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 modified form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in descriptive sense only and not for purposes of limita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the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will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0)

촬영될 프리뷰 영상으로부터 피사체의 구도를 검출하는 검출부;A detector detecting a composition of the subject from the preview image to be photographed; 상기 검출된 피사체 구도 및 기준 구도를 비교하는 비교부; 및A comparator for comparing the detected object composition and reference composition; And 상기 비교 결과 피사체 구도와 기준 구도가 일치할 때까지 청각적 경고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피사체 구도와 기준 구도가 일치하면 청각적 일치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영상 촬영 장치.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output an auditory warning signal until the subject composition and the reference composition coincide with each other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and output an audio matching signal when the subject composition and the reference composition match.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사체 구도 및 기준 구도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ubject composition and the reference composition is 촬영될 피사체의 크기, 위치 및 방향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 장치.Imag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size, position and direction information of the subject to be photographed.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구도는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reference composition is 사용자에 의한 설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 장치.Imag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tting is possible by the us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피사체 구도와 기준 구도가 일치할 때까지 서로 다른 청각적 경고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 장치.And controlling to output different auditory warning signals until the subject composition matches the reference composi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청각적 일치신호가 출력된 후,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피사체가 자동으로 촬영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 장치.And the subject is automatically photographed when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after the auditory coincidence signal is outpu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 제어하는 상기 청각적 경고신호 및 청각적 일치신호는 음성 메시지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 장치.The image capturing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auditory warning signal and the auditory coincidence signal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are voice message signals. (a) 촬영될 프리뷰 영상으로부터 피사체의 구도를 검출하는 단계;(a) detecting the composition of the subject from the preview image to be taken; (b) 상기 검출된 피사체 구도 및 기준 구도를 비교하는 단계; 및(b) comparing the detected object composition and reference composition; And (c) 상기 비교 결과 피사체 구도와 기준 구도가 일치할 때까지 청각적 경고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피사체 구도와 기준 구도가 일치하면 청각적 일치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촬영 방법. and (c) outputting an auditory warning signal until the subject composition and the reference composition coincide with each other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and outputting an audio matching signal when the subject composition and the reference composition match. 제 7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d) 상기 청각적 일치신호가 출력된 후,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피사체를 자동으로 촬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 방법.and (d) automatically photographing the subject when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after the auditory coincidence signal is output.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에서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in step (c) 상기 피사체 구도와 기준 구도가 일치할 때까지 서로 다른 청각적 경고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 방법.And controlling to output audible warning signals until the subject composition matches the reference composition.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의 청각적 경고신호 및 청각적 일치신호는 음성 메시지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 방법.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auditory warning signal and the auditory coincidence signal of step (c) are voice message signals.
KR1020070032507A 2007-04-02 2007-04-02 Apparatus and method for photographing image KR20080089839A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2507A KR20080089839A (en) 2007-04-02 2007-04-02 Apparatus and method for photographing image
GB0805805.9A GB2448221B (en) 2007-04-02 2008-03-31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mposition information in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US12/080,048 US7973848B2 (en) 2007-04-02 2008-03-31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mposition information in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CNA2008101686802A CN101370087A (en) 2007-04-02 2008-04-02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mposition information in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2507A KR20080089839A (en) 2007-04-02 2007-04-02 Apparatus and method for photographing ima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9839A true KR20080089839A (en) 2008-10-08

Family

ID=40151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2507A KR20080089839A (en) 2007-04-02 2007-04-02 Apparatus and method for photographing imag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80089839A (en)
CN (1) CN101370087A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2757A (en) * 2011-06-24 2014-02-03 애플 인크. Facilitating image capture and image review by visually impaired users
WO2015154383A1 (en) * 2014-07-08 2015-10-1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Photographing method and photographing terminal
KR20150131815A (en) * 2014-05-16 2015-1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9503632B2 (en) 2012-12-04 2016-11-22 Lg Electronics Inc. Guidance based image photograph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for high definition imagi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57157B2 (en) * 2009-03-11 2013-08-07 ソニー株式会社 IMAGING DEVICE, IMAGING DEVICE CONTROL METHOD, AND PROGRAM
KR101594000B1 (en) 2009-12-02 2016-02-26 삼성전자주식회사 Auto focusing method medium for recording the method auto focusing apparatus
US8957981B2 (en) 2010-03-03 2015-02-17 Intellectual Ventures Fund 83 Llc Imaging device for capturing self-portrait images
JP5648298B2 (en) * 2010-03-15 2015-01-07 ソニー株式会社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CN103312949A (en) * 2012-03-16 2013-09-18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System and method for prompting autodyne
CN102801857B (en) * 2012-07-30 2014-06-18 无锡智感星际科技有限公司 Smart phone photographing guiding method based on image matching
KR102092571B1 (en) * 2013-01-04 2020-04-14 삼성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taking a picture of portrait portable terminal having a camera and camera device
US20140204263A1 (en) * 2013-01-22 2014-07-24 Htc Corporation Image capture methods and systems
CN105635562B (en) * 2015-07-31 2018-12-25 南京酷派软件技术有限公司 A kind of photographic method and system
KR102469694B1 (en) 2015-08-24 2022-11-23 삼성전자주식회사 Scheme for supporting taking picture in apparatus equipped with camera
WO2019095096A1 (en) * 2017-11-14 2019-05-23 深圳传音通讯有限公司 Method for photographic processing and photographing terminal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2757A (en) * 2011-06-24 2014-02-03 애플 인크. Facilitating image capture and image review by visually impaired users
US9503632B2 (en) 2012-12-04 2016-11-22 Lg Electronics Inc. Guidance based image photograph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for high definition imaging
KR20150131815A (en) * 2014-05-16 2015-1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WO2015154383A1 (en) * 2014-07-08 2015-10-1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Photographing method and photographing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370087A (en) 2009-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8983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hotographing image
US797384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mposition information in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US839569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blurring image background in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US8441542B2 (en) Self-timer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involving checking the number of persons
US20040012682A1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KR2009008675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gital picturing image
JP2009065577A (en)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KR20100001272A (en)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having self capture navigator function and thereof method
JP5048614B2 (en)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KR20120025341A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6145629A (en) Imaging apparatus
KR2009006791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apturing image by composition recommandation
KR20060035198A (en) Auto zooming system used face recognition technology and mobile phone installed it and auto zooming method used face recognition technology
JP2012019341A (en) Imaging device, and method and program for controlling the same
JP4879127B2 (en) Digital camera and digital camera focus area selection method
JP2008022280A (en) Imaging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KR10134530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hotographing image
KR10141781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gital picturing image
KR10142193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using face detection function
KR101369752B1 (en)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336239B1 (en)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being capblie of chaning auto focus area in captured image and method thereof
KR10142765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apturing human in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JP2010026459A (en) Imaging device
KR101436324B1 (en)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detecting still image from moving image, and the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JP2010092066A (en) Imaging apparatus, automatic focusing method, and program for allowing computer to perform the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