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4739A -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패킷 수신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패킷 수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4739A
KR20080084739A KR1020080023950A KR20080023950A KR20080084739A KR 20080084739 A KR20080084739 A KR 20080084739A KR 1020080023950 A KR1020080023950 A KR 1020080023950A KR 20080023950 A KR20080023950 A KR 20080023950A KR 20080084739 A KR20080084739 A KR 200800847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l
packet
receiving
mobile station
re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3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흥
이경석
김정임
유병한
방승찬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080084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47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8Discontinuous transmission [DTX]; Discontinuous reception [DR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18Negotiating wireless communic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using a pre-established activity schedule, e.g. traffic indication fr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패킷을 수신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제공되는 서비스의 종류와 해당 서비스를 통하여 전송되는 패킷 데이터의 활성도에 따라, 이동국이 서로 다른 값을 가지는 DRX(Discontinuous Reception) 동작 파라미터들을 토대로 하는 서로 다른 DRX 동작 레벨들 중에서, 하나의 동작 레벨로 동작하여 패킷을 수신한다.
따라서 효율적인 저전력 소모가 수행되어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DRX, 불연속수신, 패킷수신

Description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패킷 수신 방법{METHOD FOR RECEIVING PACKET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국이 패킷을 수신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도록 이동국이 패킷을 수신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정보 통신부 및 정보통신연구진흥원의 IT 성장동력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2005-S-404-13, 과제명:3G Evolution 무선전송 기술 개발].
기존의 WCDMA 방식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국들은 데이터 전송 상태에 따라 연결 상태와 휴지 상태로 구분되며, 필요에 따라 전력 소모 방지를 위하여 불연속 수신(Discontinuous Reception, 이하 DRX라고 함) 동작을 수행한다. DRX 동작은 이동국이 기지국과 최소한의 제어 채널만을 유지한 상태에서 소정 주기 동안 수면 모드로 동작하다가 상기 주기가 경과되면 깨어나서 트래픽의 발생 여부를 확인하고, 트래픽이 발생하면 수신 동작을 수행하고 트래픽이 발생하지 않으면 다시 수면 모드로 돌아가는 과정을 반복하는 저전력 소모 동작이다.
서킷 기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휴지 상태의 이동국들만 DRX 동작을 수행하였다. 반면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인 패킷 기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휴지 상태의 이동국들 뿐만 아니라 활성 상태의 이동국들에 대해서도 패킷 트래픽의 버스트한 특성에 따라 전송할 데이터가 없는 구간에서도 이동국의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DRX가 적용된다. 구체적으로, 패킷 데이터 전송을 위한 무선자원을 패킷 서비스의 버스트한 특성에 따라 불연속으로 할당하여 운용하면서, 별도 설정된 제어 채널을 유지한다. 그리고 제어 채널을 활성도에 따라 미리 정해진 형태의 단순한 게이팅(gating)을 통하여 활성 상태의 이동국들을 대상으로 DRX 동작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패킷 기반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패킷 데이터 전송을 위한 무선자원 할당뿐만 아니라 제어 채널도 함께 DRX 동작을 수행하는 절차가 요구되며, 보다 저전력 소모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패킷 수신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패킷 기반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저전력 소모 성능을 최대화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저전력 소모 동작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기지국과 이동국 사이에 저전력 소모 동작을 위한 송수신되는 제어 정보를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패킷 수신 방법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국이 패킷을 수신하는 방법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수신 주기를 포함하는 불연속 수신 동작 파라미터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 및 제1 수신 주기마다 패킷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1 동작 레벨 및 상기 제1 주기 보다 짧은 제2 수신 주기마다 패킷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2 동작 레벨 그리고 연속적으로 패킷 데이터를 수신하는 연속 수신 레벨 중 하나의 레벨로 동작하여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제공되는 서비스가 실시간 서비스인 경우,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실시간 서비스에 따른 패킷 데이터가 전송되는 제1 구간에서 상기 제2 동작 레벨로 동작하여 상기 제2 주기마다 상기 패킷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실시간 서비스에 따른 패킷 데이터가 전송되지 않는 제2 구간에서 상기 제1 동작 레벨로 동작하여 상기 제1 수신 주기마다 상기 패킷 데이터의 전송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외에도,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실시간 서비스에 따른 패킷 데이터가 전송되는 제1 구간에서 제2 동작 레벨로 동작하여 상기 패킷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동작 레벨로 패킷 데이터를 수신하는 상태에서 비실시간 서비스가 발생하면 연속 수신 레벨로 레벨 변경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연속 수신 레벨에서 패킷 데이터를 수신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비실시간 서비스에 따른 패킷 데이터 전송이 완료되면 상기 제2 동작 레벨로 변경하여 상기 실시간 서비스에 따른 패킷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패킷 수신 방법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국이 패킷을 수신하는 방법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제1 수신 주기 및 상기 제1 주기 보다 짧은 제2 수신 주기를 포함하는 불연속 수신 동작 파라미터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제공되는 서비스가 실시간 서비스인 경우, 상기 실시간 서비스에 따른 음성 패킷이 전송되는 음성 발생 구간에서 제2 동작 레벨로 동작하여 상기 제2 주기마다 상기 음성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음성 패킷이 전송되지 않는 묵음 구간에서 제1 동작 레벨로 동작하여 상기 제1 수신 주기마다 상기 음성 패킷의 전송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패킷 전송을 위한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서비스의 형태와 QoS에 따라 이동국의 저전력 소모 동작을 위한 DRX 동작 파라미터들을 가변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 결과 효율적인 저전력 소모가 수행되어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해당 서비스의 패킷 데이터의 활성도에 따라 서로 다른 DRX 동작 파라미터를 토대로 하는 DRX 동작 레벨들 중에서 하나의 레벨로 동작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저전력 소모 동작이 이루어진다.
또한 기지국으로부터의 별도의 제어 메시지 없이도 이동국에서 자체적으로 패킷의 활성도에 따라 DRX 레벨 변경을 수행함으로써, 레벨 변경을 위하여 기지국과 이동국 사이에 송수신되는 제어 정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이동국(Mobile Station, MS)은 단말(terminal),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MT),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SS), 휴대 가입자국(Portable Subscriber Station, PSS),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UE), 접근 단말(Access Terminal, AT)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이동 단말, 가입자국, 휴대 가입자 국, 사용자 장치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지국(Base Station, BS)은 접근점(Access Point, AP), 무선 접근국(Radio Access Station, RAS), 노드B(Node B), ENB(Evolved Node B), 송수신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 MMR(Mobile Multihop Relay)-BS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접근점, 무선 접근국, 노드B, 송수신 기지국, MMR-BS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조도이다.
첨부한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은 하나의 기지국(100)이 다수의 이동국(201,202,…20n, n=양의 정수,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동국에는 대표 번호 "200"을 할당함)과, 무선 채널 환경(300)을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한정된 무선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이동국의 상태를 다수 정의하여 관리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국의 다수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첨부한 도 2에서와 같이, 이동국이 기지국을 통하여 망에 등록된 경우는 이동국의 상태를 어태치 모드(attached mode)(M1)로 정의하고, 기지국을 포함하는 망에서 이동국을 인지할 수 없거나 이동국이 망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이동국의 상태를 디태치 모드(Detached mode)(M2)로 정의한다.
어태치 모드의 이동국들은 패킷 서비스의 제공 여부에 따라 활성 상태(M11)와 휴지 상태(M12)로 구분할 수 있다. 활성 상태에서, 이동국은 기지국에 위치한 스케줄러(도시하지 않음)의 제어를 통하여 패킷 데이터 전송 및 수신을 위한 무선 자원을 할당받을 수 있다. 활성 상태에 있는 이동국은, 패킷 데이터 전송을 위한 무선 자원 점유 여부에 따라 전송 모드(Tx on)(M111) 또는 전송중지 모드(Tx off)(M112)로 동작한다. 여기서, 어태치 모드에 있는 이동국의 활성 상태는 LTE 시스템의 RRC(Radio Resource Control) 연결 상태 (RRC_conected) 상태에 해당하며, 휴지 상태는 LTE 시스템의 RRC 아이들 (RRC_idle) 상태에 해당한다.
기지국(100)이 이동국(200)으로 전송할 패킷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이동국(200)이 전송 모드로 동작하여 수신 구간에서 하향 링크 정보를 수신하며, 패킷 데이터가 없는 경우에는 전송 중지 모드로 동작하여 수면 구간에서 DRX 동작을 수행한다. 기지국과 이동국은 이러한 DRX 동작을 위한 파라미터들을 무선 베어러(radio bearer)를 구성(setup)하면서 설정(configuration)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DRX 동작을 위한 파라미터들이 패킷 서비스의 형태, 패킷 데이터의 활성도에 따라 달라진다. 패킷 서비스는 크게, 패킷 데이터의 발생이 주기적인 특성을 갖는 실시간 서비스(예를 들어 VoIP(Voice of IP) 서비스)와 패킷 데이터의 발생이 비주기적이고 예측이 불가능한 비실시간 서비스(예를 들어 web browsing)로 나누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패킷 서비스가 실시간 서비스인 경우, 비실시간 서비스인 경우 그리고 실시간 서비스와 비실시간 서비스가 함께 제공되는 경우 등에 따라, DRX 동작 파라미터들을 다르게 설정한다. DRX 동작 파라미터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1) DRX-1 주기 (DRX-1 interval)
2) DRX-2 주기 (DRX-2 interval)
3) DRX 타이머-1~4 : DRX-1 주기 또는 DRX-2 주기를 유지하기 위한 시간을 측정하기 위한 타이머들이다.
여기서 DRX-1 주기 및 DRX-2 주기는 총칭하여 "불연속 수신 주기 또는 DRX 주기"라고 명명될 수 있으며, DRX-1 주기가 DRX-2 주기보다 길다. DRX-1 주기에 의 하여 설정되는 구간 내에서 동일한 DRX-2 주기가 적용될 수 있다.
이외에도, DRX-1 구간의 끝에서 DRX-1 주기 및 DRX-2 주기를 증가시키기 위한 팩터인 증가 계수, 최대 DRX-1/DRX-2 주기, DRX 동작 천이를 지시하는 동작 지시자 등이 있다. 증가 계수는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즉, DRX-1 및 DRX-2 주기는 고정되거나 또는 증가 계수에 따라 최대 DRX-1 주기 또는 최대 DRX-2 주기까지 증가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RX 동작 파라미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기지국과 이동국은 협의를 통하여 DRX 동작 파라미터들을 설정하며, 또한 별도의 제어 시그널링(signalling) 없이 DRX 주기들의 값들을 변경할 수도 있다.
첨부한 도 3에 예시되어 있듯이, DRX-1 주기 동안에 동일한 값을 가지는 DRX-2 주기가 적용된다. 물론 DRX-2 주기의 값이 DRX-1 주기의 값보다 작다. 패킷 서비스의 형태에 따라서 DRX-1 주기 및/또는 DRX-2 주기의 값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RX 동작은 제1 레벨(DRX-1 레벨) 또는 제2 레벨(DRX-2 레벨)로 수행된다. 여기서 제1 레벨은 이동국이 DRX-1 주기마다 깨어나서 패킷의 수신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이며, 제2 레벨은 이동국이 DRX-2 주기마다 깨어나서 패킷의 수신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이다.
한편 기지국은 도 2에서와 같이, DRX 주기의 종료 시점에 위치하는 모니터링 구간에서 하향 링크로 트래픽이 발생하였음을 알리거나, 상향 링크로의 상태 또는 측정 보고나 자원 요청을 위한 무선 자원 할당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전송 중지 모드로 동작중인 이동국은 모니터링 구간에서 하향 링크의 트래픽 통보 채널로 전송되는 하향 링크 트래픽 발생 정보의 유무를 인지하여 하향 링크 패킷 데이터 수신 여부를 결정한다. 또는 이동국은 하향 링크의 제어 채널로 전송되는 상향 링크에 대한 무선 자원 할당 정보를 인지하여 상향 링크로 측정 정보 또는 무선 자원 할당 요청 등의 제어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하향 링크로의 트래픽 발생이 없거나, 상향 링크로 전송할 패킷 데이터가 이동국의 상위 계층으로부터 수신되지 않으면, 이동국은 다음 모니터링 구간까지 이어지는 DRX 주기 동안에는 하향 링크 신호를 수신하지 않고 상향 링크로도 신호를 송신하지 않는 저전력 소모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도 2에서와 같이 실시간 서비스(real-time service)인 음성 서비스(VoIP: Voice of IP)가 제공되는 경우, DRX-2 주기를 20ms로 설정하고 DRX-1 주기와는 상관 없이 증가 계수를 ”1“로 설정하여, 음성 서비스가 제공되는 활성 상태에서는 DRX 주기에 대한 변경을 제한하여 DRX-2 주기에 따라 저전력 소모 동작을 수행할 수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즉, 실시간 서비스의 경우에는 DRX 주기를 고정하여 운용함으로써 무선자원 할당을 위하여 별도의 제어 메시지(예: L1/L2 제어 시그널링(control signaling))의 전송 없이 주기적인 무선자원 할당을 통하여 제어 정보 전송에 따른 오버헤드를 감소함과 동시에 단말기의 소모 전력을 줄이면서도 시스템에 요구하는 해당 서비스의 QoS를 만족시킬 수 있다. 여기서 DRX-2 주기는 실시간 서비스의 형태와 이동국의 능력(capacity)에 따라 이동국별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비실시간 서비스인 Http 서비스(인터넷 접속) 경우에 있어서, 도 2에서와 같이, 기지국 내의 부하 상태를 고려하여 DRX-2 주기를 유지하는 구간인 DRX-1 주기를 패킷 서비스 형태의 통계적 특성에 따라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의 배수로 설정하고, 증가 계수를 ”2“이상으로 설정하여 DRX 주기들을 가변함으로써 시스템의 전송용량(throughput)을 향상기킬 수 있다. 즉, 비실시간 서비스는 패킷 데이터의 지연에 민감하지 않으며 서비스의 활동성(activity)이 예측되지 않는 서비스들이다. 따라서, 기지국의 부하 상태, 비실시간 서비스 형태, 단말기의 능력(capacity)에 따라 실시간 서비스보다는 긴 DRX 주기를 설정하며, DRX-1 주기와 증가 계수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DRX 주기를 가변할 수 있다.
다음에는 위에 기술된 DRX 동작 파라미터들을 토대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패킷 수신 방법들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패킷 수신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패킷 수신 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DRX 동작 타이밍을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는 패킷 서비스가 실시간 서비스 예를 들어, VoIP 서비스가 제공되는 경우에 DRX 동작을 수행하여 패킷을 수신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음성 서비스인 VoIP는 대표적인 실시간 서비스로 주기적인 특성을 가지므로 사용자가 말하는 음성 발생 구간(talkspurt)에서는 VoIP 패킷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발생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말을 하지 않는 묵음 구간(silent period)에서는 음성 발생 구간의 VoIP 패킷 발생 간격보다는 긴 간격으로 SID(SIlence Descriptor) 패킷이 주기적으로 발생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는 VoIP 서비스가 제공되는 경우 DRX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DRX 동작 파라미터를 다음 표 1과 같이 설정한다.
파라미터 설정값
DRX-1 주기 160 ms
DRX-2 주기 20 ms
DRX 타이머-1 40 ms
DRX 타이머-2 40 ms
여기서 DRX 타이머-1은 DRX-2 레벨에서 DRX-1 레벨로의 천이를 위한 타이머이고, DRX 타이머-2는 DRX-1레벨에서 DRX-2 레벨로의 천이를 위한 타이머이다.
이러한 동작 파라미터를 토대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 VoIP 서비스 즉, 실시간 서비스가 제공되는 경우 저전력 소모 동작을 수행하는 패킷 수신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기지국(100)은 도 4에 도시되어 있듯이, 저전력 소모 동작을 위한 DRX 동작 파라미터들을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설정하고, 그 설정된 파라미터들에 대한 정보를 방송 채널로 전송되는 시스템 정보에 포함시켜 전송한다(S100). 시스템 정보에 포함되는 DRX 동작 파라미터들을 DRX-1 주기, DRX-2 주기, DRX 타이머-1 그리고 DRX 타이머-2를 포함하며, 이외에도 다른 파라미터들이 포함될 수도 있다.
기지국(100)은 패킷 데이터가 발생하면 그에 따른 서비스를 시도한다. 기지국(100)은 페이징을 통해 서비스를 시도하고, 이동국(200)은 페이징 모니터링 구간에 시스템 정보를 수신한 다음에, 임의 접속(random access)을 시도함으로써, 서비스에 따른 패킷 데이터 수신을 시도한다(S110).
기지국(100)은 상태 천이 제어를 통해 이동국(200)을 활성 상태로 천이시키고, 이동국(200)은 활성 상태로 천이한 다음에 전송 모드로 동작한다. 이동국이 휴지 상태에서 활성 상태로 천이할 때, 기지국과 이동국은 협의를 통해 세션 설정 과정을 수행한다. 그리고 패킷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하여, 세션 설정 과정을 통하여 RRC 연결을 구성하고 이를 위한 상위 계층의 기본적인 파라미터들을 설정한다(S120). 이 때, 무선 베어러(radio bearer)를 설정하면서 기지국과 이동국이 DRX 동작 파라미터들을 협의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기지국이 RRC 메시지를 이용하여 협의된 동작 파라미터들을 통보할 수 있다.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활성 상태의 전송 모드에서, VoIP 서비스가 시작되면(T1) 이동국(200)은 음성 발생 구간(P1)에서 기지국(100)으로부터 송신되는 VoIP 패킷 데이터를 수신한다(S130∼S140). 특히, 이동국(200)은 DRX-2 레벨로 동작하면서 패킷을 수신하며(S150),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되어 있듯이, DRX-2 주기 즉, 20ms 마다 깨어나서 VoIP 패킷 즉, 음성 패킷을 수신한다(T2).
이러한 음성 발생 구간(P1)에서 사용자가 말을 하지 않는 묵음 구간(P2)으로 진입하면 이동국(200)은 DRX-1 레벨로 천이하여 DRX 동작을 수행한다(S160∼S170).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되어 있듯이, 이동국(200)은 DRX 타이머-1에 의하여 설정되는 시간 동안에 DRX-2 주기마다 깨어나서 음성 패킷이 수신되는가를 확인한다. 그리고 DRX 타이머-1에 의하여 설정되는 시간이 경과하도록 음성 패킷이 수신되지 않으면, 현재 구간이 묵음 구간(P2)인 것으로 판단하고, 묵음 구간을 위한 DRX-1 주기에 따라 DRX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이동국(200)은 DRX-1 주기마다 깨어나서 패킷 수신 여부를 확인하면서 SID 패킷을 수신한다(T4). 이때 이동국(200)은 SID 패킷이 발생하는 구간을 DRX 타이머-1의 값을 토대로 알 수 있다.
이러한 DRX 레벨 변경은 기지국과 이동국 사이의 묵시적 약속(implicit rule)에 따라 이루어지거나, 또는 명시적 시그날링(explicit signaling)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 묵시적으로 레벨 변경을 수행하는 경우의 흐름도이다.
묵시적 약속에 따라 레벨 변경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DRX-2 레벨에서 묵음 구간(P2)으로 진입한 후, 이동국(200)이 개별적으로 DRX 타이머-1을 구동시켜 시간을 카운트한다(S300∼S310). 이동국(200)은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DRX 타이머-1에 의하여 설정되는 시간이 경과하도록 패킷이 수신되지 않으면 기지국(100)으로부터의 별도의 명령이 없어도 DRX-2 레벨에서 DRX-1 레벨로 천이하여 DRX 동작을 수행한다(S320∼S340). 이 경우, 기지국(100)도 DRX 타이머-1을 자체적으로 동작시켜 설정되는 시간이 경과하도록 패킷이 발생하지 않으면 이동국(200)이 DRX-1 레벨로 천이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인지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 명시적으로 레벨 변경을 수행하는 경우의 흐름도이다.
명시적 약속에 따라 레벨 변경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이동국(200)이 기지국(100)의 명령에 따라 DRX-2 레벨에서 DRX-1 레벨로의 천이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기지국(100)이 DRX 타이머-1을 관리하며, 묵음 구간(P2)으로 진입하면 DRX 타이머-1을 동작시키고(S500∼S510), 설정되는 시간이 경과하도록 패킷이 발생하지 않으면 묵음 구간(P2)으로 완전히 진입한 것으로 판단하여 이동국(200)에게 DRX-1 레벨로 동작할 것을 지시한다(S520∼S540). 이 경우, 기지국(100)은 레벨 변경 동작 지시자를 MAC(medium access control) 제어 메시지에 포함시켜 이동국(200)으로 전송할 수 있다(S550). 이동국(200)은 MAC 제어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지시자에 따라 DRX-1 레벨로의 천이를 수행한다(S560). 이외에도 레벨 변경 동작 지시자가 스케줄링 제어 정보에 포함되어 이동국(200)으로 제공될 수 있다.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은 레벨 변경시에, 음성 발생 구간(P1)에서 마지막 음성 패킷을 보낸 시점에서 또는 HARQ(Hybrid Automatic Retransmit Request)에 따라 ACK(acknowledgement)를 받은 다음이나 또는 보낸 다음에 DRX 타이머-1을 구동시켜 묵음 구간으로의 진입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이동국(200)이 DRX-1 레벨에서 DRX-2 레벨로 천이한 다음에 DRX-1 주기마다 패킷의 수신 여부를 확인하는 상태에서, 첨부한 도 4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듯이, 상대방 사용자가 다시 말을 하기 시작하여 음성 패킷이 발생하여 음성 발생 구간으로 진입하면(S180), 이동국(200)은 DRX 타이머-2를 구동시킨다. 즉, DRX-1 주기마다 깨어나서 SID 패킷을 수신하던 이동국(200)은 도 5에서와 같이, 음성 패킷이 수신되는 시점에 DRX 타이머-2를 구동시킨다.
그리고 DRX 타이머-2에 의하여 설정되는 시간 동안에 음성 패킷이 수신되는 가를 관찰하여 새로운 음성 패킷이 발생하면 음성 발생 구간으로 진입하였음을 인지하고 DRX-2 레벨로 천이하여, DRX-2 주기에 따라 DRX 동작을 수행한다(S190).
이러한 DRX 레벨 변경을 위해서 이동국(200)은 묵음 구간에서 DRX-1 주기로 동작을 하지만, 해당 주기내의 SID 패킷 수신을 위하여 깨어난 이후에 DRX 타이머-2가 설정하는 시간 동안 음성 패킷이 수신되는 가를 관찰하여야 하므로, 이 주기내의 수면 구간은 실질적으로 120ms가 된다(DRX-1 주기 : 160msec, DRX 타이머-2 : 40ms인 경우).
DRX-1 레벨에서 DRX-2 레벨로의 변경도 위의 타이머(DRX 타이머-2) 값을 기준으로 묵시적인 방법으로 변경할 수 있으며, 이와는 달리 명시적 시그날링을 통하여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명시적인 레벨 변경을 위해서는 기지국(100)이 DRX 타이머-2를 관리하고 동작시키며, 새로운 음성 패킷 발생이 있으면 묵음 구간에서 음성 발생 구간으로의 레벨 변경을 지시하는 MAC 제어 메시지(또는 스케줄링 제어 정보)를 이동국(200)으로 전송한다. 당업자라면 위에 기술된 도 6 및 도 7의 방법을 토대로, DRX 타이머-2를 이용한 묵시적 및 명시적 레벨 변경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만일, 기지국 또는 이동국의 MAC 계층에서 VoIP 서비스 중에 발생한 패킷 데이터가 SID 패킷인지 순수한 음성 패킷인지를 구분할 수 있다면, DRX 타이머-1 및 DRX 타이머-2의 설정 없이, DRX 레벨 변경이 가능하다.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은 제1 실시 예에 따르면, 제공되는 서비스가 실시간 서비스인 경우에도 실질적인 패킷 데이터가 전송되는 구간과 패킷 데이터가 전송되지 않는 구간에서의 DRX 동작이 서로 다르게 수행된다. 그 결과 데이터 패킷의 활성도에 따른 효율적인 DRX 레벨 변경이 수행되어, 저전력 소모 성능이 향상된다.
또한, 기지국으로부터의 별도의 제어 메시지 없이도 이동국에서 자체적으로 패킷의 활성도에 따라 DRX 레벨 변경을 수행함으로써, 레벨 변경을 위하여 기지국과 이동국 사이에 송수신되는 제어 정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다음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패킷 수신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패킷 수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특히 실시간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는 상태에서 비실시간 서비스가 개시된 경우의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패킷 수신을 위한 동작 타이밍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는 비실시간 서비스와 실시간 서비스가 함께 제공되는 경우에 패킷 데이터의 활성도에 따라 DRX 레벨을 변경하여 패킷을 수신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서는 DRX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DRX 동작 파라미터들을 다음 표 2와 같이 설정한다. 비실시간 서비스와 실시간 서비스가 함께 제공되는 경우에 DRX 주기 설정은 제1 실시 예와 같이 실시간 서비스를 위주로 설정한다.
파라미터 설정값
DRX-1 주기 160 ms
DRX-2 주기 20 ms
DRX 타이머-3 40 ms
DRX 타이머-4 40 ms
여기서 DRX 타이머-3은 패킷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수신하는 연속 수신 레벨에서, 패킷 데이터를 불연속적으로 수신하는 DRX-2 레벨로의 천이를 위한 타이머이고, DRX 타이머-4는 연속 수신 레벨에서 패킷 데이터를 불연속적으로 수신하는 DRX-1 레벨로의 천이를 위한 타이머이다. 이러한 연속 수신 레벨에서의 DRX-2 레벨 또는 DRX-1 레벨로의 천이를 위한 타이머 DRX 타이머-3과 DRX 타이머-4는, 기지국의 상황, 이동국의 성능(capability), 비실시간 서비스의 QoS에 따라 동일한 값 또는 각각 다른 값을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 파라미터를 토대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서, 실시간 서비스와 비실시간 서비스가 함께 제공되는 경우 저전력 소모 동작을 수행하는 패킷 수신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활성 상태의 전송 모드에서 실시간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는 상태에서 비실시간 서비스가 개시된 경우의 패킷 수신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위의 제1 실시 예와 동일하게, 도 8 및 도 9에 도시되어 있듯이, 이동국(200)은 기지국(100)으로부터 DRX 동작 파라미터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고 활성 상태의 전송 모드에서(S1000∼S1300) 실시간 서비스 예를 들어 VoIP 서비스가 시작되면 DRX-2 주기마다 깨어나서 VoIP 패킷을 수신한다(S1400∼S1500). 그리고 이동국(200)은 DRX-2 주기에 따라 VoIP 패킷을 수신함과 동시에 기지국(100)으로부터 스케줄링 제어 정보 메시지가 전송되었는지를 확인하여, 비실시간 서비스를 위한 무선자원이 할당되었는 가를 확인한다.
기지국(100)은 비실시간 서비스 (예를 들어 웹 브라우징 등)가 발생하면, DRX-2 주기 또는 DRX-1 주기에 따라 실시간 서비스를 위한 자원할당 시점에서 실시간 서비스에 관련된 패킷 데이터를 전송할 때, 스케줄링 제어 정보 메시지 또는 MAC 제어 메시지를 통하여 비실시간 서비스가 제공됨을 이동국(200)에 알린다(S1600∼S1700).
이동국(200)은 DRX-2 주기에 따라 DRX-2 레벨로 저전력 소모 동작을 수행하던 중에 비실시간 서비스를 위한 스케줄링 제어 정보 메시지 또는 MAC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면, DRX-2 주기와 무관하게 연속적으로 비실시간 서비스를 위한 패킷 데이터를 수신해야 함을 인지하고 연속 수신 레벨로 천이한다. 그리고 하향링크 무선자원을 통하여 패킷 데이터를 수신한다(S1800).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실시간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는 상태에서 비실시간 서비스가 발생하여 이동국(200)이 연속 수신 레벨에서 패킷 데이터를 수신하고 있는 상태에서, 비실시간 서비스를 위한 패킷 데이터가 모두 전송되면 이동국(200)은 연속 수신 레벨에서 DRX-2 레벨로 천이하여 실시간 서비스에 따른 패킷 데이터를 수신한다(S1900).
구체적으로 기지국(100)은 비실시간 패킷 데이터를 모두 전송하면 DRX 타이머-3을 구동시켜 시간을 카운트하고, 해당 서비스의 전송 버퍼를 관찰한다. DRX 타이머-3에 의하여 설정되는 시간이 경과하도록 전송 버퍼에 새로운 패킷 데이터가 저장되지 않으면, 기지국(100)은 DRX-2 레벨로의 변경을 지시하는 MAC 제어 메시지 또는 L1/L2 제어 메시지를 이동국(200)으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이동국(200)은 DRX-2 레벨로의 변경을 지시하는 MAC 제어 메시지 또는 L1/L2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면, 연속 수신 레벨에서 DRX-2 레벨로 천이하고 DRX-2 주기마다 패킷 데이터를 수신하는 저전력 소모 동작을 수행한다.
위에서는 기지국(100)의 지시에 따라 이동국(200)이 레벨 변경을 수행하는 명시적인 방법으로 레벨 변경이 이루어졌지만, 이와는 달리 묵시적인 방법으로 레벨 변경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이동국(200)이 DRX 타이머-3을 관리하고 동작시키는 방법으로, 기지국의 제어 없이, 연속 수신 레벨에서 DRX-2 레벨로의 DRX 레벨 변경을 수행한다. 이 경우 이동국(200)은 연속 수신 레벨에서 패킷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으면 DRX 타이머-3을 구동시키고, DRX 타이머-3에 의하여 설정되는 시간이 경과하도록 패킷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으면 DRX-2 레벨로 천이하여 저전력 소모 동작을 수행한다.
다음에는 활성 상태의 전송 중지 모드에서 비실시간 서비스가 개시된 경우의 패킷 수신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패킷 수신 방법의 흐름도이며, 특히 묵음 구간에서 비실시간 서비스가 개시된 경우의 흐름도이다.
실시간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는 상태에서 이동국(200)이 DRX-1 레벨에 따라 묵음 구간에서 동작중인 경우에(S3000∼S3100), 첨부한 도 10에 도시되어 있듯이, 이동국(200)에 대하여 전송해야 할 패킷 데이터가 발생하면, 기지국(100)은 DRX-1 주기에 따라 SID 패킷을 전송해야 하는 시점에서 스케줄링 제어 메시지 또는 MAC 제어 메시지를 통하여 이동국(200)에게 비실시간 서비스가 제공됨을 알린다(S3200∼S3300).
묵음 구간에서 DRX-1 주기에 따라 DRX-1 레벨로 저전력 소모 동작을 수행중인 이동국(200)은 비실시간 서비스를 위한 스케줄링 제어 정보 또는 MAC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면, DRX-1 주기와 무관하게 연속적으로 비실시간 서비스를 위한 패킷 데이터를 수신해야 함을 인지하고 연속 수신 레벨로 천이한다. 그리고 하향링크 무선자원을 통하여 패킷 데이터를 수신한다(S3400).
이와 같이 DRX-1 레벨에서 연속 수신 레벨로 천이하여 패킷 데이터를 수신하던 이동국(200)은 비실시간 서비스의 패킷 데이터가 모두 전송된 경우 연속 수신 레벨에서 DRX-1 레벨로 동작한다(S3500∼S3600).
구체적으로, 기지국이 패킷 데이터를 모두 전송한 다음에 DRX 타이머-4를 동작시킨 후, DRX 타이머-4에 의하여 설정되는 시간이 경과하도록 새로운 패킷 데이터가 발생되지 않으면, MAC 제어 메시지 또는 L1/L2 제어 메시지를 이동국(200)으로 전송하여, DRX-2 레벨로 천이 하라고 지시한다. 또는 묵시적인 방법으로, 이동국(200)이 DRX 타이머-4를 자체적으로 관리하여 설정 시간이 경과되면 DRX-1 레벨로 동작한다.
한편 연속 수신 레벨에서, 실시간 서비스에 대한 SID 패킷이 아닌 VoIP 패킷을 수신해야 함을 기지국이 통보했거나, 이동국(200)이 이를 인지한 경우, 이동국은 연속 수신 레벨에서 DRX-1 레벨이 아닌, DRX-2 레벨로 천이한다.
이러한 제2 실시 예에 따르면, 서로 다른 종류의 서비스가 제공되는 경우에도 데이터 패킷의 활성도에 따른 효율적인 DRX 레벨 변경이 수행되어, 저전력 소모 성능이 향상된다. 또한, 기지국으로부터의 별도의 제어 메시지 없이도 이동국에서 자체적으로 패킷의 활성도에 따라 DRX 레벨 변경을 수행함으로써, 레벨 변경을 위하여 기지국과 이동국 사이에 송수신되는 제어 정보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실시간 서비스와 함께 비실시간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에는 실시간 서비스에 준하여 DRX 동작 파라미터를 설정하기 때문에, 비실시간 서비스 발생 시점과 비실시간 서비스 패킷 전송 시점 사이에 일정치 않은 시간차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타미어 값을 변경하거나 또는 별도의 타이머를 두어서 시간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조절할 수 있다.
위에 기술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있어서, DRX 레벨 변경이 기지국과 이동국 사이의 명시적 시그널링(예를 들어, MAC 제어 메시지)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기지국이 실시 예들에 따른 타이머들(DRX 타이머-1~4)을 관리하고 동작시킨다. 반면, 기지국과 이동국간의 별도의 시그널링 절차 없이 묵시적으로 DRX 레벨 변경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이동국(200)이 각 타이머들을 동작시키고 관리한다. 물론 묵시적 DRX 레벨 변경에서도 필요한 경우 기지국도 함께 타이머들을 동작 및 관리하여, 이동국과의 DRX 동작 파라미터 및 레벨 변경에 대한 처리 일치를 이룰 수 있다.
또한 비실시간 서비스만이 제공되는 경우에, DRX 동작 파라미터들은 기지국의 상황, 이동국의 성능, 비실시간 서비스의 QoS에 따라 가변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DRX-1 주기와 DRX-2 주기는 실시간 서비스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상에서 설명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국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RX 동작 파라미터들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패킷 수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패킷 수신 방법의 타이밍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패킷 수신 방법에서의 묵시적 레벨 변경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패킷 수신 방법에서의 명시적 레벨 변경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패킷 수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패킷 수신 방법의 타이밍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패킷 수신 방법의 다른 흐름도이다.

Claims (19)

  1.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국이 패킷을 수신하는 방법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수신 주기를 포함하는 불연속 수신 동작 파라미터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 및
    제1 수신 주기마다 패킷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1 동작 레벨 및 상기 제1 주기 보다 짧은 제2 수신 주기마다 패킷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2 동작 레벨 그리고 연속적으로 패킷 데이터를 수신하는 연속 수신 레벨 중 하나의 레벨로 동작하여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패킷 수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은 상기 제공되는 서비스의 패킷 데이터의 활성도에 따라 상기 제1 동작 레벨, 제2 동작 레벨 그리고 연속 수신 레벨 중 하나를 선택하여 동작하는 패킷 수신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제공되는 서비스가 실시간 서비스인 경우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실시간 서비스에 따른 패킷 데이터가 전송되는 제1 구간에서 상기 제2 동작 레벨로 동작하여 상기 제2 주기마다 상기 패킷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실시간 서비스에 따른 패킷 데이터가 전송되지 않는 제2 구간에서 상기 제1 동작 레벨로 동작하여 상기 제1 수신 주기마다 상기 패킷 데이터의 전송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패킷 수신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간에서 상기 제2 구간으로 진입하면, 상기 이동국이 상기 제2 동작 레벨에서 상기 제1 동작 레벨로 레벨 변경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구간에서 상기 제1 구간으로 진입하면, 상기 이동국이 상기 제1 동작 레벨에서 상기 제2 동작 레벨로 레벨 변경을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패킷 수신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실시간 서비스에 따른 패킷 데이터가 전송되는 제1 구간에서 제2 동작 레벨로 동작하여 상기 패킷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동작 레벨로 패킷 데이터를 수신하는 상태에서 비실시간 서비스가 발생하면 연속 수신 레벨로 레벨 변경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연속 수신 레벨에서 패킷 데이터를 수신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비실 시간 서비스에 따른 패킷 데이터 전송이 완료되면 상기 제2 동작 레벨로 변경하여 상기 실시간 서비스에 따른 패킷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패킷 수신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서비스에 따른 패킷 데이터가 전송되지 않는 제2 구간에서 제1 동작 레벨로 동작하여 상기 제1 수신 주기마다 패킷 데이터의 수신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동작 레벨로 동작하고 있는 상태에서 비실시간 서비스가 발생하면 연속 수신 레벨로 레벨 변경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연속 수신 레벨에서 패킷 데이터를 수신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비실시간 서비스에 따른 패킷 데이터 전송이 완료되면 상기 제1 동작 레벨로 변경하여 상기 실시간 서비스에 따른 패킷 데이터의 수신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패킷 수신 방법.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 변경을 수행하는 단계들은 이동국이 기지국의 지시와는 상관없는 묵시적 절차에 따라 레벨 변경을 수행하는 패킷 수신 방법.
  8.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 변경을 수행하는 단계에서, 이동국이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고 레벨 변경을 나타내는 지시자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토대로 하는 명시적 절차에 따라 레벨 변경을 수행하는 패킷 수신 방법.
  9.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국이 패킷을 수신하는 방법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제1 수신 주기 및 상기 제1 주기 보다 짧은 제2 수신 주기를 포함하는 불연속 수신 동작 파라미터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제공되는 서비스가 실시간 서비스인 경우, 상기 실시간 서비스에 따른 음성 패킷이 전송되는 음성 발생 구간에서 제2 동작 레벨로 동작하여 상기 제2 주기마다 상기 음성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음성 패킷이 전송되지 않는 묵음 구간에서 제1 동작 레벨로 동작하여 상기 제1 수신 주기마다 상기 음성 패킷의 전송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패킷 수신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발생 구간에서 상기 묵음 구간으로 진입하면, 제1 타이머를 구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 타이머에 의하여 설정되는 시간이 경과하여도 음성 패킷이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이동국이 상기 제2 동작 레벨에서 상기 제1 동작 레벨로 레벨 변경을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패킷 수신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묵음 구간에서 제2 타이머를 구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2 타이머에 의하여 설정되는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상기 실시간 서비스에 따른 음성 패킷이 수신되면 상기 제1 동작 레벨에서 상기 제2 동작 레벨로 레벨 변경을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패킷 수신 방법.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이 상기 제1 타이머 또는 제2 타이머를 관리하고, 기지국의 지시와는 상관없이 상기 제1 타이머 또는 제2 타이머에 의하여 설정되는 시간에 따라 레벨 변경을 수행하는 패킷 수신 방법.
  13.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이 상기 제1 타이머 또는 제2 타이머를 관리하고, 상기 제1 타이머 또는 제2 타이머에 의하여 설정되는 시간이 경과하면 레벨 변경 지시자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이동국으로 전송하여 상기 레벨 변경을 제어하는 패킷 수신 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동작 레벨로 동작하여 상기 제2 주기마다 상기 음성 패킷을 수신하는 경우, 비실시간 서비스가 발생하면 연속 수신 레벨로 레벨 변경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연속 수신 레벨에서 패킷 데이터를 수신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비실시간 서비스에 따른 패킷 데이터 전송이 완료되면 상기 제2 동작 레벨로 변경하여 상기 음성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패킷 수신 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패킷이 전송되지 않는 묵음 구간에서 제1 동작 레벨로 동작하는 경우, 비실시간 서비스가 발생하면 연속 수신 레벨로 레벨 변경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연속 수신 레벨에서 패킷 데이터를 수신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비실시간 서비스에 따른 패킷 데이터 전송이 완료되면 상기 제1 동작 레벨로 변경하여 상기 음성 패킷의 수신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패킷 수신 방법.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 수신 레벨에서 제2 동작 레벨로의 변경을 위한 제1 타이머와, 상 기 연속 수신 레벨에서 제2 동작 레벨로의 변경을 위한 제2 타이머를 설정하고, 상기 이동국이 묵시적인 절차에 따라 레벨 변경을 수행하는 패킷 수신 방법.
  17.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비실시간 서비스가 발생하면 연속 수신 레벨로 레벨 변경을 수행하는 단계는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비실시간 서비스 발생을 알리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메시지에 따라 상기 연속 수신 레벨로의 레벨 변경을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패킷 수신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비실시간 서비스를 위한 패킷이 발생하면, 실시간 서비스를 위하여 설정된 상기 제1 동작 레벨 또는 상기 제2 동작 레벨의 주기에 맞추어 MAC 제어 메시지 또는 스케줄링 제어 정보를 통하여 비실시간 서비스의 수신을 이동국으로 통보하는 패킷 수신 방법.
  19. 제1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는
    상기 이동국이 기지국과 무선 베어러를 설정 또는 추가 또는 삭제하는 경우 에, 상기 불연속 수신 동작 파라미터들을 협의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국이 협의된 불연속 수신 동작 파라미터를 RRC(radio resource ontrol) 메시지를 통하여 제공받는 단계
    를 포함하는 패킷 수신 방법.
KR1020080023950A 2007-03-15 2008-03-14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패킷 수신 방법 KR2008008473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5374 2007-03-15
KR20070025374 2007-03-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4739A true KR20080084739A (ko) 2008-09-19

Family

ID=39759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3950A KR20080084739A (ko) 2007-03-15 2008-03-14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패킷 수신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00034145A1 (ko)
KR (1) KR20080084739A (ko)
WO (1) WO200811182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17053B2 (en) 2009-10-01 2017-07-2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termina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ing multi-carrier structur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11593B2 (en) * 2008-08-11 2012-11-13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an on duration in a discontinuous receive transmission mode
DE102008063454B4 (de) * 2008-12-17 2012-05-31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Überwachen von Netzwerkknoten
US8848547B2 (en) * 2009-06-22 2014-09-30 Nokia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signaling between a user equipment and a wireless network
US9693299B2 (en) 2009-11-30 2017-06-27 Nokia Technology Oy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saving operations in wireless network elements
US9007972B2 (en) * 2011-07-01 2015-04-14 Intel Corporation Communication state transitioning control
KR101790036B1 (ko) 2011-07-11 2017-10-25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불연속 통신 제어 방법.
US8995319B2 (en) * 2011-07-12 2015-03-31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Terminal of supporting direct communication using infra communication and direct communication method of the same
US9526091B2 (en) 2012-03-16 2016-12-20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ordination of self-optimization functions in a wireless network
ES2565824T3 (es) * 2012-06-27 2016-04-07 Huawei Technologies Co., Ltd. Método para la configuración de un parámetro, estación base y equipo de usuario
CN102740429B (zh) * 2012-07-05 2016-03-3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非连续性接收周期设置方法及移动终端
WO2015034403A1 (en) 2013-09-03 2015-03-12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Radio base station and method therein
CN105813177B (zh) 2014-12-27 2019-10-22 华为技术有限公司 非连续接收周期管理方法和装置
US10051568B2 (en) * 2015-10-26 2018-08-14 Qualcomm, Incorporated Extending DRX operation in a high-power state
US10178627B2 (en) * 2015-12-17 2019-01-08 Qualcomm Incorporated Performance monitoring in mission-critical wireless networks
EP3473053A1 (en) 2016-06-17 2019-04-2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oft discontinuous reception (soft drx)
CN114245317B (zh) * 2020-09-09 2023-04-18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 数据处理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1985597B2 (en) * 2021-08-05 2024-05-14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aperiodic discontinuous reception mode communication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80476B1 (en) * 1998-10-15 2002-11-1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Variable sleep mode for mobile stations in a mobile communications
JP4763051B2 (ja) * 2005-07-18 2011-08-31 サムスン 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パケットデータ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逆方向チャネルの送受信装置及び方法
WO2007024095A2 (en) * 2005-08-26 2007-03-01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Sleep mode controlling apparatus and method in cellular system
KR20070024302A (ko) * 2005-08-26 2007-03-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셀룰러 시스템의 수면 모드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US7916675B2 (en) * 2006-06-20 2011-03-29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terim discontinuous reception/transmission
DK2958395T3 (en) * 2007-01-30 2018-02-26 Interdigital Tech Corp Implicit DRX cycle length adjustment control in LTE_ACTIVE mode
US20080232310A1 (en) * 2007-03-19 2008-09-25 Shugong Xu Flexible user equipment-specified discontinuous receptio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17053B2 (en) 2009-10-01 2017-07-2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termina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ing multi-carrier structure
US10405277B2 (en) 2009-10-01 2019-09-0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termina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ing multi-carrier structure
US10863439B2 (en) 2009-10-01 2020-12-08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termina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ing multi-carrier structure
US11570714B2 (en) 2009-10-01 2023-01-31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termina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ing multi-carrier structure
US11877243B2 (en) 2009-10-01 2024-01-1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termina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ing multi-carrier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034145A1 (en) 2010-02-11
WO2008111823A1 (en) 2008-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76352B2 (en) Macro and micro discontinuous reception
KR20080084739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패킷 수신 방법
JP6575783B2 (ja) ユーザ端末の方法及びユーザ端末
KR101164117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상에서 물리 하향 채널의 모니터링 동작을 효율적으로 제어하는 방법
KR101312876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단말기의 측정 방법 및 장치
US8837340B2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receiving data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2079269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active period starting point for user equipment
US10728951B2 (en) Communications terminal, infrastructure equipment and methods for discontinuous reception, DRX
KR20130126403A (ko) 패킷 도착 간격을 고려한 drx 재구성 방법 및 장치
WO2024092570A1 (zh) 一种非连续接收的实现方法及装置、终端设备
CN117957902A (zh) 用于载波聚合的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