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2031A - Internet based remote control system for co-generation - Google Patents

Internet based remote control system for co-gener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2031A
KR20080082031A KR1020070021799A KR20070021799A KR20080082031A KR 20080082031 A KR20080082031 A KR 20080082031A KR 1020070021799 A KR1020070021799 A KR 1020070021799A KR 20070021799 A KR20070021799 A KR 20070021799A KR 20080082031 A KR20080082031 A KR 200800820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cogeneration
site
internet
remot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17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래원
Original Assignee
(주)이레에너지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레에너지테크 filed Critical (주)이레에너지테크
Priority to KR1020070021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82031A/en
Publication of KR20080082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203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7Providing Remote input by a user located remotely from the client device, e.g. at 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A system for controlling and managing cogeneration remotely on the Internet is provided to check operation/abnormality of a cogeneration plant and control operation of the cogeneration plant in a remote place by extending a relay function using a two-way Internet network without modifying any design of the cogeneration plant. A site device control system(200) is formed by each device, and a site controller(210) transferring operation information detected from each device to a site PC and providing control information of the site PC to each device. A site central control system(100) is formed by the site PC including an automatic cogeneration system control program and a web server program, and controlling operation of each device of a cogeneration system by exchange information/operation data with the controller. A network between the controller and the site PC is constructed by using a data relay Ethernet(300) using a serial port, and an external remote control PC(600) is connected to through the Internet by connecting a router(400) and the Ethernet.

Description

인터넷을 이용한 열병합 발전용 원격 제어 및 관리 시스템{Internet based remote control system for co-generation}Internet based remote control system for co-gener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열병합 발전 장치의 개략적인 시스템 구성도 1 is a schematic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gener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병합 발전용 원격 제어 및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시스템 블록 구성도2 is a system block diagram showing a remote control and management system for cogen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시스템의 연결 구성도 Figure 3 is a connection diagram of a remot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흐름도4 is a data flow dia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요 경보 동작 흐름도5 is a flowchart of a critical alarm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실시간 데이터 흐름을 도표로 표시한 모니터 화면FIG. 6 is a monitor screen graphically displaying real-time data flow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열병합 발전기와 보일러 제어 화면 7 is a cogeneration generator and the boiler control screen as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일실시예의 난방 제어 화면 8 is a heating control screen of an embodiment as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급탕 제어 화면 9 is a hot water control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발전기 내부 감시 제어 화면10 is a generator internal monitoring control screen of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전력 감시 제어 화면11 is a power monitoring control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1:전력회사 2:수전설비 1: power company 2: power supply equipment

3:수용가 4:가스회사  3: water-soluble 4: gas company

10:열병합발전기 20:보일러 10: cogeneration generator 20: boiler

30:열교환기 40:펌프 30: heat exchanger 40: pump

50:밸브 50: valve

100:현장 중앙 제어시스템 110:현장 PC 100: site central control system 110: site PC

120:자동 제어 프로그램 130:웹서버 프로그램120: automatic control program 130: web server program

140:시스템 화면 141:보일러 제어140: system screen 141: boiler control

142:난방제어 143:급탕제어142: heating control 143: hot water control

144:발전기제어 145:전력제어 144: generator control 145: power control

146:트렌드 150:데이터베이스146: Trend 150: Database

200:현장장치제어시스템 210:제어장치200: field device control system 210: control device

300:이더넷 400:라우터300: Ethernet 400: Router

500:인터넷 600:원격제어 PC500: Internet 600: Remote Control PC

본 발명은 인터넷을 이용한 열병합발전 원격 제어 및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히는 원격지에서도 열병합 발전 장치의 운전 및 이상 여부 정보 를 네트워크화된 내부 인프라의 통합제어시스템과 연결되는 인터넷 기반의 외부 네트워크를 통하여 감지 데이터, 운전 데이터 등의 정보를 별도의 응용프로그램이 장착되지 않은 범용 컴퓨터로 원격지에서도 생성된 각종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할 수 있게 다양한 포맷으로 구성된 웹브라우저 화면을 보면서 장치의 동작을 효율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어 발전기를 포함한 메인 장치 및 주변 장치 모두를 최적의 운전조건으로 유지 관리할 수 있게 하는 원격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generation power generation remote control and management system using the Internet. More specifically, the operation and abnormality information of the cogeneration unit is remotely connected through an internet-based external network connected to the integrated control system of the networked internal infrastructure. It is a general-purpose computer that does not have a separate application program for information such as sensing data and operation data, so that users can efficiently monitor and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evice while viewing a web browser screen composed of various formats to use various databases created remote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mote control system that can maintain and maintain both main and peripheral devices including generators in optimum operating conditions.

종래 다량의 전기에너지와 열에너지를 소비하는 아파트 등의 공동주택이나 업무용 빌딩, 소규모 공장 단지 등에서는 전기에너지를 전력회사로부터 공급받고 있으나 발전에 따른 폐열손실과 송전손실이 많고 난방용 열에너지는 단독 보일러 을 이용한 불규칙적이고 간헐적인 공급으로 인하여 열효율이 현저하게 낮은 문제점이 있어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로서 열에너지와 전기에너지를 동시에 공급할 수 있어 종래의 발전방식보다 30∼40%의 전력 및 연료 등의 에너지 절감효과로 환경친화적이고 에너지 절약성이 높은 열병합 발전(Cogeneration)이 고유가 시대에 각광받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LNG 등의 가스를 연료원으로 하는 가스 열병합 발전은 친환경적이며 하절기 전기 피크 수요를 가스 수요로 전환하므로서 계절별 수요 관리가 가능하고 24시간 연속운전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Conventional apartments, office buildings, and small factory complexes, which consume large amounts of electric and thermal energy, receive electric energy from power companies, but there is a lot of waste heat and transmission losses due to power generation. Due to irregular and intermittent suppl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hermal efficiency is remarkably low. As a technology to solve this problem, it is possible to supply heat energy and electric energy at the same time. Eco-friendly and energy-saving cogeneration is in the spotlight in the era of high oil prices. Among them, gas cogeneration, which uses gas such as LNG, is eco-friendly and shifts from peak electricity demand to gas demand in summer, thereby making seasonal demand. Manageable There is an advantage that 24 hours of continuous operation is possible.

상기한 소규모 열병합 발전을 위한 시스템 구성은 연료원 및 전력부하, 난방부하 등 수요처 특성에 따라 상이하나 통상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전력생산, 난방(급탕)이 동시에 가능한 통합 시스템으로서, 예를 들어 전기 에너지의 대부분은 가스회사(4)에서 공급되는 도시 가스를 연료원으로 하는 소형 열병합 발전기(10)를 통하여 생산하며(80∼90%), 부족분은 상용 배전 선로를 경유하는 수전설비(2)를 경유 전력회사(1)로부터 수전하며(10∼20%), 난방에 따른 난방열과 급탕열은 열병합 발전기(10)로부터 발생하는 폐열을 회수하고 열원측 열교환기(30)로 열교환하여 공급하되 부족분은 보조 열원으로 보일러(20)의 가동에 의한 열공급으로 충당하고 전기 에너지와 열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어 수용가(3)에 전기공급은 물론 난방과 급탕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system configuration for the small-scale cogeneration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urce of demand such as fuel source, power load, heating load, etc., but is generally an integrated system capable of simultaneously generating power and heating (hot water supply), as shown in FIG. For example, most of the electrical energy is produced through a small cogeneration generator 10 using a city gas supplied from a gas company 4 as a fuel source (80 to 90%), and a shortage is a power receiving facility via a commercial power distribution line ( 2) is received from the diesel power company (10) (10 to 20%), and the heating heat and hot water supply of heating recover waste heat generated from the cogeneration generator 10 and heat exchange it to the heat source side heat exchanger 30 to supply it. However, the shortage is supplemented by the heat supply by the operation of the boiler 20 as an auxiliary heat source, and can supply electric energy and heat energy, thereby simultaneously supplying the consumer 3 with heating and hot water supply. There are advantages that can be realized.

장치의 이상 유무를 사전에 감지하여 안전 사고를 예방하고, 사고발생시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게끔 정밀한 제어가 요구되는 열병합 발전소를 유지 관리하는 종래의 방법은 담당 인력을 현장에 배치시키고 보일러 및 발전기의 운전 상태, 장치 이상 유무 등을 관찰 및 기록하여 관리하는 것으로서 인력 배치에 따른 비용이 추가 발생되어 경제적이지 못함은 물론 사고가 발생하기 쉬우며 현장 관리자 부재시 아무리 간단한 고장이라도 사고에 신속하게 대처하지 못함은 물론 대용량의 운전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처리하거나 분석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Conventional methods of maintaining a cogeneration plant that requires precise control so that the system can detect the abnormality of the device in advance to prevent safety accidents and respond quickly in case of accidents can be achieved by placing personnel in the field and operating conditions of boilers and generators. It is not only economical but also easy to cause accidents in case of absence of site manager, and it is not possible to cope with accidents quickly even in the absence of site manager.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process or analyze the operating data in real time.

최근에는 컴퓨터를 이용한 제어기술의 발달로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 사람이 직접 감시하고 제어하던 것을 대체하여 열병합 발전 시스템의 각 장치에 자동제어장치와 시각적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모니터를 장착하고 전용 프로그램이 내장된 컴 퓨터 제어 시스템을 이용하여 관리하고 있으나 이 또한 장치의 운전 상태를 지속적이고 주기적으로 관찰하고 기록 관리하여야 하므로 번거롭고 별도의 관리 인원이 필요하여 비경제적이며 사고 발생에 신속하게 대처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어 장치의 이상 유무를 원격지에서도 손쉽게 확인할 수 있고 범용 컴퓨터를 이용 인터넷에 접속하여 사고에 신속한 대처가 가능함으로써 양방향 통신을 통해 실시간 모니터링 및 원격 제어가 가능한 열병합발전장치용 원격제어 시스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In recent years, the development of computer-based control technology replaces the ones that have been directly monitored and controlled by the conventional people. As a result, each unit of the cogeneration system is equipped with an automatic control device and a monitor capable of visual display, and a dedicated program is built in. It is managed by using a computer control system, but this also requires continuous and periodic monitoring and recording of the operation status of the device, which is cumbersome and requires separate management personnel. The remote control system for the cogeneration system that can be easily checked from the remote site and can quickly respond to accidents by accessing the Internet using a general-purpose computer is possible in real time monitoring and remote control through bidirectional communication.

본 발명자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노력한 결과 원격지에서 언제라도 열병합 발전 장치 및 부대설비의 운전에 관한 이상 유무 정보를 네트워크화된 내부 인프라의 통합제어시스템과 연결되는 인터넷을 통하여 효율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동작을 제어할 수 있어 장치를 최적의 운전조건으로 유지 관리할 수 있으며 긴급 사고가 발생할 때에는 경고 메시지를 실시간(Real time)으로 원격지의 사용자 단말기로 전달할 수 있어 사고 유무를 확인한 기술자가 직접 현장을 방문하지 아니하고도 열병합발전 시스템의 동작을 원격으로 제어함으로써 사고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열병합 발전 장치용 원격 제어 시스템을 개발하게 된 것이다.  As a result of effort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ors efficiently monitor the operation and control the oper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Internet connected with the integrated control system of the networked internal infrastructure at any time in the remote place,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cogeneration unit and the auxiliary equipment. The device can be maintained in the optimal operating conditions. When an emergency accident occurs, a warning message can be delivered to the remote user terminal in real time so that a technician who has confirmed the accident does not have to visit the site. By remotel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ogeneration system, a remote control system for a cogeneration unit that can flexibly cope with an accident has been developed.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열병합 발전기와 보일러, 열교환기를 구비하고 배관상에 주변 장치로서 다수 개의 펌프 장치와 밸브 장치 등이 장착되어 전기는 물론 난방열과 급탕열을 동시에 공급하는 열병합 발전 시스템으로서,It is a cogeneration system that is equipped with cogeneration generator, boiler, heat exchanger and supplies a plurality of pumps and valves as peripheral devices on the pipe and supplies heating heat and hot water at the same time.

상기 열병합 발전 시스템의 각 장치에 부착된 다수개의 감지수단에서 감지한 데이터를 제어장치에서 전송가능한 디지털 데이터의 통신망 신호로 변조하여 직렬 통신(RS-485C)포트로 연결되는 네트워크로서 이더넷(모듈)망을 통하여 현장 PC 또는 라우터(인터넷 통신모듈)로 원격지 PC에 연결하고 전국 어디에서든지 인터넷으로 원격지와 통신이 가능한 쌍방향의 열병합 발전 장치용 원격 제어 시스템을 구성하여,Ethernet (module) network as a network connected to a serial communication (RS-485C) port by modulating the data detected by a plurality of sensing means attached to each device of the cogeneration system to a communication network signal of digital data that can be transmitted from a control device. By connecting to a remote PC through a site PC or a router (Internet communication module) through a remote control system for a two-way cogeneration unit that can communicate with the remote site anywhere in the country,

기존의 열병합발전기 장치에 별도의 시스템 설계 변경 없이 양방향 인터넷 통신망을 이용한 중계기능의 확장으로 열병합 발전 장치의 운전 및 이상 여부 정보를 원격지에서 확인하고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원격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Provides a remote control system that can check the operation and abnormality information of the cogeneration unit remotely and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cogeneration unit by expanding the relay function using the bidirectional internet communication network without changing the system design of the existing cogeneration unit. There is a purpose.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기술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의 구성 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component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본 발명은 열병합 발전기(10)와 보일러(20), 열교환기(30) 등의 장치로 구성되어 전기 에너지와 열 에너지를 동시에 공급하는 열병합 발전 시스템으로서,The present invention is a cogeneration system that is composed of a cogeneration generator 10, a boiler 20, a heat exchanger 30 and the like to supply electric energy and heat energy at the same time,

상기 열병합 발전 시스템의 각 장치부와 상기 각 장치부에서 감지된 운전 정보를 현장 PC(110)에 전달하고 현장 PC(110)로부터 공급되는 제어 정보를 각 장치부에 제공하는 제어장치(210)로 현장 장치 제어시스템(200)을 구성하고,Each device unit of the cogeneration system and the operation information detected by each device unit to the control unit 210 to deliver the control information supplied from the site PC (110) to each device unit to each device unit Configure the field device control system 200,

열병합발전 시스템용 자동 제어 프로그램(120)과 웹서버프로그램(130)을 내장하고 상기 현장 장치 제어시스템(200)의 제어장치(210)와 정보 데이터 및 운전 데이터를 주고 받아 열병합 발전 시스템의 각 장치부 동작을 제어하는 현장 PC(110)로 현장 중앙 제어시스템을 구성하되,Built-in automatic control program 120 and web server program 130 for the cogeneration system, each device unit of the cogeneration system to exchange information and operation data with the control device 210 of the field device control system 200 Configure the site central control system to the site PC (110) to control the operation,

상기 제어장치(210)와 내부의 현장 PC(110) 사이로는 인터페이스 수단으로서 직렬 통신(RS-485C)포트를 이용 데이터 통신 중계용 이더넷(300)을 연결 네트워크를 구축하고,Between the control device 210 and the internal field PC 110 to establish a connection network to the data communication relay Ethernet 300 using a serial communication (RS-485C) port as an interface means,

상기 이더넷(300)으로는 인터넷 통신모듈로서 라우터(400)를 연결하여 인터넷망(500)을 통하여 외부 원격 제어 PC(600)와 연결되는 쌍방향 통신의 열병합 발전 장치용 원격 제어 시스템을 구성하여,The Ethernet 300 is connected to the router 400 as an Internet communication module to configure a remote control system for a cogeneration unit of two-way communication connected to an external remote control PC 600 through the Internet network 500,

기존의 열병합발전기 장치에 별도의 시스템 설계 변경 없이도 전국 어디에서든지 인터넷으로 원격 제어 PC와 쌍방향통신이 가능하여 열병합 발전 장치의 운전 및 이상 여부 정보를 원격지에서 확인하고 이상 시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는 원격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It enables two-way communication with remote control PC through the Internet anywhere in the country without changing the existing system design to the existing cogeneration device, so that the operation and abnormality information of the cogeneration device can be remotely checked and the device operation can be controlled in case of an error. It relates to a remote control system having an effect.

또한 열병합 발전기의 각 장치부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자동 제어 프로그램(120)과 웹서버프로그램(130)을 내장한 하나 이상의 상기 현장 PC(110)에는 장치 의 운전, 관리, 경보 등의 데이터가 수록된 데이터 베이스(150)가 구축되어 상기 정보 및 명령 데이타를 소정의 포맷으로 형성된 웹브라우저의 시스템 상세화면(140)에 디스플레이하여 상세 화면들을 통하여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게 한다. In addition, at least one field PC 110 with an automatic control program 120 and a web server program 130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each unit of the cogeneration generator is a database containing data such as operation, management, alarm of the device A 150 is constructed to display the information and command data on the system detail screen 140 of the web browser formed in a predetermined format so that the user can selectively monitor the detailed screens.

본 발명은 열병합발전 시스템 장치 제어 시스템이 네트워크화된 이더넷망에 연결되고 내부의 현장 PC는 물론 라우터를 통하여 외부의 원격 제어 PC로 연결되어 별도 프로그램이 입력되고 전용선으로 연결된 특정 산업용 PC를 사용하지 않고도 설치된 운영 체제 관계없이 언제라도 범용 컴퓨터를 이용 원격지에서 열병합 발전 장치의 운전 및 이상 여부 정보를 확인하고 이상 시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어 직접 현장에 가지 않고도 원격 접속으로 문제의 원인 분석 및 해결이 가능한 시스템 구성에 특징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generation system device control system is connected to a networked Ethernet network and connected to an external remote control PC through a router as well as an internal site PC installed without using a specific industrial PC connected to a separate program and connected by a dedicated line Regardless of the operating system, you can check the operation and abnormality information of the cogeneration unit at any time by using a general-purpose computer and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unit in case of an abnormality. There is a characteristic in the system configura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기본이 되는 장치의 시스템 구성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As shown in FIG. 1, the system configuration of the device underlying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전기 에너지의 대부분을 가스회사(4)에서 공급하는 가스를 연료원으로 하는 열병합 발전기(10)를 통하여 생산하며(80∼90%), 부족분은 상용 배전 선로를 경유하는 수전설비(2)를 경유 전력회사(1)로부터 수전하며(10∼20%), 난방에 따른 난방열과 급탕열은 열병합 발전기(10)로부터 발생하는 폐열을 회수하고 열원측 열교 환기(30)로 열교환하여 공급하되 부족분은 보조 열원으로 보일러(20)의 가동에 의한 열공급으로 충당하고 전기 에너지와 열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어 수용가(3)에 전기공급은 물론 난방과 급탕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게 하는 구성이다.Most of the electric energy is produced through the cogeneration generator 10 using gas supplied from the gas company 4 as a fuel source (80 to 90%), and the shortage is passed through the power receiving facility 2 through a commercial distribution line. It receives power from the power company (10) (10-20%), and the heating heat and hot water supply of the heat are recovered from the cogeneration generator 10, and the heat is supplied to the heat exchanger side heat exchanger (30) for supplying heat. As a heat source, the boiler can be supplied with heat supplied by the operation of the boiler 20 and supply electric energy and heat energy, thereby enabling electric power to be supplied to the customer 3 as well as heating and hot water supply at the same time.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편의상 도시 가스를 연료원으로 열병합발전시스템을 실시예로 채택하였으나 축산폐수 등에서 생성하는 바이오 가스(bio-gas)나 쓰레기 매립지 등의 매립지 발생 가스(LFG: Landfill gas)를 연료원으로 하는 열병합발전시스템 적용이 가능하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generation system is adopted as an embodiment for the city gas as a fuel source, but landfill gas (LFG: landfill gas) such as bio-gas generated from livestock wastewater or landfills is used as a fuel source. Cogeneration system can be applied.

또한 본 발명의 인터넷을 통한 열병합발전 시스템의 원격제어 및 관리 시스템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장의 제어장치(210)에서 열병합발전기, 보일러 등의 각 장치부에서 보내온 디지털 및 아날로그 데이터를 입력(DI,AI)시켜 마이크로 프로세서(CPU)로 연산처리하여 이더넷 허브(Ethernet Hub)(300)를 통하여 현장의 중앙제어시스템(100)에 제공(DO,AO)하고 역으로 현장의 중앙제어시스템(100)에서 보내온 제어 데이터를 현장의 제어장치(210)에 제공하여 본 발명의 열병합발전 시스템 각 장치의 운전 및 제어 데이터를 중앙제어시스템(100)에서 주고 받아 장치의 운전을 제어하는 것에 부가하여, 이더넷 허브(Ethernet Hub)(300)에 연결되는 라우터(방화벽이 내장된 인터넷 모뎀, Router/Firewall)(400)로 인터넷망(500)을 통하여 외부(사무실, 가정, 해외 등)의 원격 제어 PC(600)에 연결하여 설치된 운영 체제에 관계없이 언제라도 범용 컴퓨터를 이용 원격지에서 열병합 발전 장치의 운 전 및 이상 여부 정보를 확인하고 이상 발생시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게 하는 구성으로서 간편하고 경제적인 네트워크(Network)를 구성할 수 있고 동시에 여러 경로를 통해 다양한 접속이 가능하여 확장성이 뛰어나며 범용성 있는 통신 프로토콜의 채용으로 호환성이 월등한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remote control and management system of the cogeneration system through the Interne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5, the input of digital and analog data sent from each device unit, such as a cogeneration generator, a boiler in the field control device 210 (DI, AI) and arithmetic processing with a microprocessor (CPU) to provide to the central control system 100 in the field (DO, AO) through the Ethernet Hub (300) and conversely the central control system ( In addition to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evice by providing the control data sent from the 100) to the control unit 210 of the field, the operation and control data of each device of the cogener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nd from the central control system 100, Remote control PC of the outside (office, home, overseas, etc.) through the Internet network 500 to the router (Firewall-embedded Internet modem, Router / Firewall) 400 connected to the Ethernet Hub (Ethernet Hub) 300 ( 600) Regardless of the operating system installed and connected, you can check the operation and abnormality information of the cogeneration unit at any time using a general-purpose computer and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evice in case of an error. It is possible to have various connections through multiple paths at the same time, so it has excellent scalability and excellent compatibility with the adoption of universal communication protocol.

본 발명에 적용되는 상기 열병합발전시스템은 열병합 발전기(10), 보일러(20), 열교환기(30)와 이의 연결 배관상에 장착된 순환펌프, 대류 펌프 등 다수개의 펌프장치(40)와 밸브 장치(50)로 구성되며 각각의 장치에 대응하는 독립 제어장치 또는 메인 제어장치에 분기 연결된 서브 제어장치 등의 제어장치(210)로 현장 장치 제어 시스템(200)을 구성함으로써, 각각의 장치부에 장착된 센서 등 감지장치(미도시함)로 감지된 장치 이상 유무 및 동작상태 정보를 PLC(피엘씨,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또는 DDC(DIRECT DIGITAL CONTROLLER) 등의 제어장치(210)에 전달하고 제어장치(210)는 작업 현장에 장착된 현장 PC(110)로부터의 제어 정보를 수신하여 각 장치부에 전달하게 하여 각 장치의 동작을 조정하게 된다. The cogeneration system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generation generator 10, a boiler 20, a heat pump 30, a plurality of pump devices such as a circulation pump, a convection pump, and a valve device mounted on a connection pipe thereof. The field device control system 200 is configured by a control device 210 such as an independent control device or a sub-control device branched to a main control device corresponding to each device, and is attached to each device part. The device detects the abnormality of the device detected by the sensing device (not shown) and the operation state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control device 210 such as PLC (PLC,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or DDC (DIRECT DIGITAL CONTROLLER) and the control device ( 210 receives the control information from the site PC (110) mounted on the job site and transmits it to each device unit to adjust the operation of each device.

그리고 상기 제어장치(210)에 각각 대응 연결되는 각 구성 장치부에는 미도시한 센서 등의 감지장치가 부설되어 있으며 상기 감지장치에서는 디지털 기기로 계측된 전력량 등의 디지털 정보 또는 아날로그 기기로 감지된 장치 동작 정보, 열교환기의 입출구 온도 등 다양한 아날로그 정보를 디지털 정보로 변환하여 각 제어 장치(210)에 공급하게 되며, 이더넷(Ethernet)통신이 가능하도록 TCP/IP 프로토콜 기능을 지원하는 본 발명의 제어장치(210)에서는 전송가능한 디지털 데이터로 처리하게 된다. In addition, a sensing device such as a sensor (not shown) is installed in each component unit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device 210. In the sensing device, a device detected by digital information or an analog device, such as an amount of power measured by a digital device, is installed. The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verts various analog information such as operation information and inlet / outlet temperature of the heat exchanger into digital information and supplies them to each control device 210 and supports the TCP / IP protocol function to enable Ethernet communication. In 210, the data is processed as transmittable digital data.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수 개 제어장치(210)와 내부의 현장 PC(110) 사이의 전송 경로에는 각 제어장치(210)를 직렬 통신(RS-485C)포트를 이용 네트워크로 연결 구성하여 관리하는 이더넷(모듈)(300)을 장착하여 제어장치(210)와 현장 PC(110) 상호간에 정보 데이터 및 운전 데이터를 주고 받아 열병합 발전 시스템의 각 장치부 동작을 제어하게 하는 것으로 이더넷(모듈)(300)에 의한 네트워크 구축으로 내부 현장 중앙 제어시스템의 현장PC(110)에 의한 열병합발전장치의 현장 제어 및 외부의 원격 PC(600)에 의한 장치 원격 제어가 동시에 가능하다.In addition, in the transmission path between the plurality of control devices 210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nd the field PC 110 therein, each control device 210 is connected to a network using a serial communication (RS-485C) port. Ethernet (module) to control the operation of each unit of the cogeneration system by send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data and operation data between the control device 210 and the field PC 110 by mounting the Ethernet (module) 300 to manage By the network construction by 300, the site control of the cogeneration unit by the site PC 110 of the internal site central control system and the device remote control by an external remote PC 600 is possible at the same time.

주지하는 바와 같이 시리얼 인터페이스로서 RS-485C는 송,수신을 동시에 할 수 있는 직렬 통신 방식의 통신포트로서 하나의 여러 개의 장치를 하나의 라인으로 연결할 수 있고 손실이 적어 장거리 통신이 가능한 장점이 있으며, 이더넷(모듈)(300)은 TCP/IP 네트워크 접속을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방화벽의 구축이 용이한 편리성이 있다. As is well known, RS-485C is a serial communication type communication port that can transmit and receive at the same time. It can connect several devices to one line and has long-term communication with low loss. Ethernet (module) 300 allows a TCP / IP network connection and at the same time easy to build a firewall.

상기와 같이 열병합 발전 시스템에 산재한 각 장치부 동작을 제어하게 되는 현장 PC(110)에는 장치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자동 제어 프로그램(120)과 웹서버프 로그램(130)이 내장되어 있으며 데이터 베이스(150)와 이에 연결되어 연산처리된 결과치 등의 운전 정보 등을 다양하게 가공 처리하여 화면상에 나타내는 다수개의 시스템 화면(140)으로 현장 중앙 제어 시스템(100)을 구성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field PC 110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each unit scattered in the cogeneration system as described above includes an automatic control program 120 and a web server program 130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device. 150 and a plurality of system screens 140 displayed on the screen by processing a variety of operation information, such as the result of the operation process and the like is configured to configure the field central control system 100.

또한 상기 이더넷(300)에는 라우터(인터넷 통신모듈)(400)가 연결되어 인터넷망(500)을 통하여 외부 원격 제어 PC(600)와 연결되는 쌍방향 통신의 열병합 발전 장치용 원격 제어 시스템을 구성하게 되어, 사용자는 전국 어디에서든지 범용의 원격 제어 PC(600)를 이용하여 인터넷을 통한 쌍방향통신으로 현재의 장치 상태, 특이상황, 제어상태 등으로 구분되는 열병합 발전 장치의 운전 및 이상 여부 정보를 원격지에서 확인하고 이상 동작시 원인을 분석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a router (Internet communication module) 400 is connected to the Ethernet 300 to configure a remote control system for a cogeneration unit of two-way communication connected to an external remote control PC 600 through the Internet network 500. User can remotely check the operation and abnormality information of the cogeneration device classified into the current device status, unusual situation, control status, etc. by bidirectional communication through the Internet using a universal remote control PC 600 anywhere in the country. And the abnormal operation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cause analysis device.

그리고 상기 라우터(인터넷 통신모듈)(400)는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고정된 아이피(IP)를 부여받아 인터넷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게 되는데 아이피(IP)를 공유하여 원격으로 접속할 수 있는 담당자는 피제어기기로서 현장 장비들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수준의 레벨에 따라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차별적으로 부여하게 된다. And the router (Internet communication module) 400 is given a fixed IP (IP) from the Internet service provider to perform Internet data communication, the person who can remotely access the IP (IP) as a controlled device ID and password will be given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level of remote control of the field equipment.

상기한 웹서버프로그램(130)은 장치의 자동 제어 프로그램(120)과 더불어 데이터 베이스(150)에 연결되며, 인터넷이 구비된 곳이면 어느 곳에서나 원하는 시간 에 열병합발전 시스템의 각 구성 장치에 대한 구조나 각 장치부의 운전상태 등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정보를 검색, 조회가능하게 하여 장치를 제어하는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데 HTML 문서는 물론 GUI(Graphic User Interface) 환경의 화면을 제공하게 된다.The web server program 130 is connected to the database 150 together with the automatic control program 120 of the device, the structure for each component of the cogeneration system at any time, anywhere the Internet is provided In addition, by performing the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function to control the device by enabling the search and inquiry of the screen information on which the operation state of each device is displayed, the screen of the GUI (Graphic User Interface) environment is provided as well as the HTML document.

또한 보일러 제어(141), 난방제어(142), 급탕제어(142), 발전기 제어(144), 전력제어(145), 트렌드(14) 등의 상세 화면으로 구성되어 모니터에 디스플레이되는 시스템 화면(140)은 데이터 베이스(150)에 링크되는 안내 팝업 메뉴화면으로서 입력된 데이터로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내장된 현장 PC(110)에서 웹서버프로그램(130)과 자동 제어 프로그램(120)을 구동시켜 연산처리된 데이터를 최소 클릭과 빠른 검색이 가능하여 원하는 조건에 따라 데이터를 선택 및 판단할 수 있게 하는 모니터링 기능을 수행하게 하며 장치가 이상 동작시 사고가 발생한 장치의 응급조치 진행과정을 온라인상에서 확인하면서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보수작업을 완료하여 장치가 정상적으로 가동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 In addition, the system screen 140, which is composed of detailed screens such as the boiler control 141, the heating control 142, the hot water control 142, the generator control 144, the power control 145, the trend 14, and the like, is displayed on the monitor. ) Is a guide pop-up menu screen linked to the database 150, and the data processed by driving the web server program 130 and the automatic control program 120 in the field PC 110 with a microprocessor as input data. Minimal click and quick search enable monitoring function to select and judge data according to the desired condition. By completing the maintenance work, the device can be operated normally.

통상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의 흐름은 원격 PC(600)에서 인터넷을 이용 이더넷(200)을 경유 현장 PC(110)에 데이터 제공 및 제어 요구를 하게 되면 현장 PC(110)에서는 현장 제어장치(210)를 통하여 열병합발전기나 보일러 등의 현장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게 되는데, Typically, the flow of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remote control device 210 in the field PC 110 when the data is requested to provide and control the site PC 110 via the Ethernet 200 via the Internet in the remote PC (600) ) To receive the data or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evice by connecting to a field device such as a cogeneration generator or a boiler.

비상시에는 상황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시스템 화면에 표시할 수 있으나 도 5 의 흐름도에 표시된 된 바와 같이 담당자에게 이메일(E-mail)이나 휴대폰으로 중요 경보 메시지를 보내줄 때에는, 현장에 설치된 열병합발전기, 보일러 등의 장비에서 경보를 발생하게 되면(S1), 현장에 설치된 제어장치에서 경보 신호를 수신하게 되고(S2), 경보의 진위를 파악하기 위해 설정된 시간(예:5초) 대기한 다음(S3), 대기하는 시간 동안 경보 신호가 계속 유지되면 현장 PC(110)의 감시 화면에 경보 팝업 화면을 디스플레이함과 동시에 경보음을 발생하게 되고(S4), 현장 PC의 제어 프로그램에서는 경보 메시지를 지정한 관리자에게 E-mail 및 휴대폰을 통한 문자 메시지를 발송하는 방법으로 중요 경보 메시지를 전달하는데(S5) 이때 경보의 중요도에 따라 지역에 관계없이 경보 메시지를 수신하게 되는 관리자 설정을 다르게 할 수도 있다. In case of an emergency, situation data can be displayed on the system screen in real time, but when an important alarm message is sent to an e-mail or a mobile phone as shown in the flowchart of FIG. 5, a cogeneration generator, a boiler, etc. installed in the field When an alarm occurs in the equipment of (S1), the control device installed in the field receives an alarm signal (S2), waits for a set time (for example, 5 seconds) to determine the authenticity of the alarm (S3), If the alarm signal is maintained during the waiting time, an alarm pop-up screen is displayed on the monitoring screen of the site PC 110 and an alarm sound is generated (S4). Important messages are sent by sending a text message via -mail and a mobile phone (S5). May be different from the administrator set is to receive the message.

도 6은 트렌드(Trend) 화면으로서, 데이터의 수집주기별로 아날로그 및 디지털 데이터가 집계되어 데이터 베이스(DB)(150)에 저장되며, 저장된 데이터는 라인, 3D 라인, 막대, 3D 막대 등의 상호 비교가 용이하도록 구성된 그래프 뷰어(VIWER)로 형성되어 경시적으로 변화되는 데이터 경향(Trend)을 한번에 볼 수 있게 하여 시스템의 진단을 용이하게 하는 것으로서 주기적 또는 간헐적으로 용도에 따라 다양한 포맷으로 선택적인 디스플레이가 가능하다.FIG. 6 is a trend screen, in which analog and digital data are aggregated for each data collection period and stored in a database 150, and the stored data are compared with each other in lines, 3D lines, bars, and 3D bars. It is formed as a graph viewer (VIWER) configured to be easy to use, and it is easy to diagnose the system by viewing data trends that change over time at a time. The display is selectively displayed in various formats periodically or intermittently depending on the purpose. It is possible.

또한 본 발명은 열병합 발전기의 실시간으로 계측된 온도 및 전류를 제어함에 있어 PID(Proportional, Differential, Integral) 귀환제어(Feedback Control) 을 채택하여 부하가 걸리는 히터 전력제어의 정밀도를 높여 이에 반응하는 온도를 보다 정확히 구현할 수 있도록 하였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dopts PID (Proportional, Differential, Integral) feedback control in controlling the measured temperature and current of the cogeneration generator in real time to increase the precision of the heater power control applied to the load to increase the temperature It can be implemented more accurately.

도 7의 발전기와 보일러 제어 화면(1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 발전기와 보일러를 제어함에 있어, 발전기는 PID 정밀 제어로 발전기로 들어가는 열을 일정하게 유지시킴으로써 발전기의 열 효율을 극대화하며, 발전기에 연계된 순환펌프나 급/배기팬 등을 제어하게 되며 보일러는 시간표(Time Schedule) 및 환수 온도에 의한 제어를 수행하여 상기 발전기에서 부족한 열을 보충한다In controlling the generator and the boiler configured as shown in the generator and boiler control screen 141 of FIG. 7, the generator maximizes thermal efficiency of the generator by maintaining constant heat entering the generator with PID precision control. The associated circulation pump or supply / exhaust fan is controlled, and the boiler compensates for the insufficient heat in the generator by performing control by a time schedule and a return temperature.

도 8은 난방 제어화면으로서, 난방을 제어함에 있어서 PID 정밀 제어로 난방수를 온도 편차 없이 일정하게 공급할 수 있으며, 보일러와 연계되어 자동으로 난방을 제어하고, 급탕을 하고 남은 열은 난방열로 보충하여 줌으로써 발전기에서 나온 폐열을 최대한 사용하게 한다.8 is a heating control screen, in the heating control by PID precision control can supply a constant heating water without temperature deviation, and automatically control the heating in conjunction with the boiler, and the remaining heat is supplemented with heating heat By making the most of the waste heat from the generator.

도 9는 급탕 제어화면으로서, PID 정밀 제어로 급탕 탱크의 온도를 온도 편차 없이 일정하게 유지시키게 하며, 미도시한 대류펌프와 순환펌프 등의 펌프 장치(40)를 자동으로 제어하여 탱크안의 온도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키며, 수용가의 각 세대에는 따뜻한 물을 보내주어 세대에서 바로 급탕을 사용할 수 있다.9 is a hot water supply control screen, by PID precision control to maintain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tank constant without temperature variation, and automatically controls the pump device 40 such as a convection pump and a circulation pump not shown to control the temperature in the tank. It is always kept constant, and hot water is sent to each generation of consumers so that hot water can be used directly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열병합 발전기 내부를 감시하는 상세 화면으로서, 표준 프로토콜인 RS-485 MODBUS RTU 통신으로 열병합 발전기(10)에 연결되어 발전기 내부 온도 및 발전량 등 내부 장치의 상태를 본 발명의 제어 시스템에서 모니터링할 수 있어 발전기의 상태를 점검할 수 있게 한다.10 is a detailed screen for monitoring the inside of the cogeneration gen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ed to the cogeneration generator 10 by RS-485 MODBUS RTU communication, the standard protocol, the internal device such as the generator internal temperature and power generation amount It can be monitored at to allow the status of the generator to be checked.

도 11은 전력감시 화면으로서, ACB 및 VCB 에 설치되어 있는 디지털 미터(Digital Meter)와 RS-485 MODBUS RTU 통신을 수행하여 필요한 데이터 수치를 표시하여 전력을 감시한다FIG. 11 is a power monitoring screen, which monitors power by displaying necessary data values by performing RS-485 MODBUS RTU communication with digital meters installed in ACB and VCB.

결국 본 발명은 기존의 열병합발전 시스템의 각 장치에 TCP/IP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자동 제어장치를 부가하고 이더넷(Ethernet)통신이 가능하도록 내부와 외부의 통신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열병합 발전 장치의 운전 및 이상 여부 정보를 원격지에서 확인하고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As a result, the present invention adds an automatic control device supporting TCP / IP protocol to each device of the existing cogeneration system, and establishes an internal and external communication network to enable Ethernet communication.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the information is remote an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evic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s various substitu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기존의 열병합발전기 장치에 별도의 시스템 설계 없이도 양방향 인터넷 통신망을 이용한 중계기능의 확장으로 열병합 발전 장치의 운 전 및 이상 여부 정보를 원격지에서 확인하고 장치의 동작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able to remotely check the operation and abnormality information of the cogeneration device by expanding the relay function using the bidirectional Internet communication network without a separate system design to the existing cogeneration device and to precisel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evice. It can be effective.

따라서 본 발명은 인터넷 기반의 외부 네트워크를 통하여 감지 데이터, 운전 데이터 등의 정보를 별도의 응용프로그램이 장착되지 않은 범용 컴퓨터를 이용 원격지에서도 생성된 각종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할 수 있게 다양한 포맷으로 구성된 웹브라우저 화면을 보면서 장치의 동작을 효율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장치를 제어할 수 있어 발전기를 포함한 메인 장치 및 주변 장치 모두를 최적의 운전조건으로 유지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eb browser screen configured in various formats so that information such as sensed data and driving data can be used through a general-purpose computer that is not equipped with a separate application program through an internet-based external network. By effectively monitoring the operation of the device and controlling the device, it is possible to maintain both the main device and the peripheral device including the generator in optimum operating conditions.

Claims (2)

열병합 발전기(10)와 보일러(20), 열교환기(30) 등의 장치로 구성되어 전기 에너지와 열 에너지를 동시에 공급하는 열병합 발전 시스템으로서,As a cogeneration system, which is composed of devices such as a cogeneration generator 10, a boiler 20, and a heat exchanger 30, and simultaneously supplies electric energy and heat energy, 상기 열병합 발전 시스템의 각 장치부와 상기 각 장치부에서 감지된 운전 정보를 현장 PC(110)에 전달하고 현장 PC(110)로부터 공급되는 제어 정보를 각 장치부에 제공하는 제어장치(210)로 현장 장치 제어시스템(200)을 구성하고,Each device unit of the cogeneration system and the operation information detected by each device unit to the control unit 210 to deliver the control information supplied from the site PC (110) to each device unit to each device unit Configure the field device control system 200, 열병합발전 시스템용 자동 제어 프로그램(120)과 웹서버프로그램(130)을 내장하고 상기 현장 장치 제어시스템(200)의 제어장치(210)와 정보 데이터 및 운전 데이터를 주고 받아 열병합 발전 시스템의 각 장치부 동작을 제어하는 현장 PC(110)로 현장 중앙 제어시스템(100)을 구성하되,Built-in automatic control program 120 and web server program 130 for the cogeneration system, each device unit of the cogeneration system to exchange information and operation data with the control device 210 of the field device control system 200 Configure the site central control system 100 to the site PC 110 to control the operation, 상기 제어장치(210)와 내부의 현장 PC(110) 사이로는 인터페이스 수단으로서 직렬 통신(RS-485C)포트를 이용 데이터 통신 중계용 이더넷(300)을 연결 네트워크를 구축하고,Between the control device 210 and the internal field PC 110 to establish a connection network to the data communication relay Ethernet 300 using a serial communication (RS-485C) port as an interface means, 상기 이더넷(300)으로는 인터넷 통신모듈로서 라우터(400)를 연결하여 인터넷망(500)을 통하여 외부 원격 제어 PC(600)와 연결되는 쌍방향 통신의 열병합 발전 장치용 원격 제어 시스템을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열병합 발전용 원격 제어 및 관리 시스템The Ethernet 300 is connected to the router 400 as an Internet communication module to configure a remote control system for a cogeneration unit for two-way communication connected to an external remote control PC 600 through the Internet network 500. Remote control and management system for cogeneration using the Internet 제 1항에 있어서, 인터넷망(500)을 통하여 외부 원격 제어 PC(600)와 연결되 는 쌍방향 통신은 시스템 운영 체계에 관계없이 원격지에서도 접속 가능한 이더넷(300)에 의한 네트워크 구축으로 내부 현장 중앙 제어시스템의 현장PC(110)에 의한 열병합발전장치의 현장 제어와 외부의 원격 PC(600)에 의한 장치 원격 제어가 동시에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열병합 발전용 원격 제어 및 관리 시스템According to claim 1, Interactive communication connected to the external remote control PC 600 via the Internet network 500 is the internal site central control by the network construction by the Ethernet 300 that can be accessed from a remote location regardless of the system operating system On-site control of the cogeneration system by the site PC 110 of the system and remote control and management system for cogeneration using the Internet, characterized in that the remote control of the device by the external remote PC (600) at the same time.
KR1020070021799A 2007-03-06 2007-03-06 Internet based remote control system for co-generation KR2008008203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1799A KR20080082031A (en) 2007-03-06 2007-03-06 Internet based remote control system for co-gener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1799A KR20080082031A (en) 2007-03-06 2007-03-06 Internet based remote control system for co-gener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2031A true KR20080082031A (en) 2008-09-11

Family

ID=40021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1799A KR20080082031A (en) 2007-03-06 2007-03-06 Internet based remote control system for co-gener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82031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2644B1 (en) * 2011-09-23 2014-01-23 주식회사 더블유티엠 Remote control device and the method therer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2644B1 (en) * 2011-09-23 2014-01-23 주식회사 더블유티엠 Remote control device and the method therer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0503B1 (en) Electronic smart meter enabling demand response and method for demand response
CN102081399B (en) Remote monitoring maintenance method and system based on 3G and wind-solar complementary power supply technology
US6553418B1 (en) Energy information and control system
JP5576498B2 (en) Power management system and power management method
JP6030561B2 (en) Resource measurement system for smart energy consumption and method using the same
CN102687463B (en) The method of network system and control net system
US9903617B2 (en) Engine heater control system
CN102591310A (en) Comprehensive monitoring system for hospital logistics
CN102721107A (en) Internet-of-things-based heater control system
RU2355091C2 (en) Device for controlling power supply
WO2013040851A1 (en) Cloud computing-based system and method for management and control of electricity generator set
CN101261513A (en) Heat exchanging units long-range control system
KR20090032411A (en) Power management system for providing multiple power service policy reflecting power consumption of house in real-time
CN202275317U (en) Remote monitoring maintenance system based on third generation (3G) and wind-light complementary power supply technology
US20130030553A1 (en) Method of controlling network system
CN204880344U (en) Cloud calculates timesharing and divides temperature controlling means and system distinguished based on mobile terminal
JP2002006937A (en) Equipment management method, equipment management system and equipment management relay server
KR20080082031A (en) Internet based remote control system for co-generation
CN203909837U (en) Online monitoring and energy efficiency assessing system applied to combustion gas distributed energy system
RU78966U1 (en) AUTOMATED INFORMATION-MEASURING SYSTEM OF ACCOUNTING, MONITORING AND MANAGEMENT OF ENERGY RESOURCES IN HOUSING AND COMMUNAL SERVICES
KR20050106650A (en) Boiler remote control and united management system using by internet
KR100928291B1 (en) Engine remote control method for generator
JP2002238186A (en) Remote monitor system for distributed power supply
JP2019139509A (en) Housing
Fang et al. Integrated monitoring and management system for heat-supplying proc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