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9032A - Apparatus for selecting song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selecting so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9032A
KR20080079032A KR1020070019045A KR20070019045A KR20080079032A KR 20080079032 A KR20080079032 A KR 20080079032A KR 1020070019045 A KR1020070019045 A KR 1020070019045A KR 20070019045 A KR20070019045 A KR 20070019045A KR 20080079032 A KR20080079032 A KR 200800790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ource
data
image
digital data
prin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90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재진
Original Assignee
자프린트닷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자프린트닷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자프린트닷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190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79032A/en
Priority to PCT/KR2008/001088 priority patent/WO2008105610A1/en
Publication of KR200800790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903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1/00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 G11B31/02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with automatic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oys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An apparatus for selecting music is provided to recognize an image from a print having a music data list so as to select/play music from the list and check the music data before listening to music by transferring a signal to a music data play device. An apparatus(100) for selecting music comprises a data recognition part(110) and a music data generating signal part(120). The data recognition part recognizes the digital data, which is one music data of the music data list. The data recognition part includes an image acquisition device(111) such as a scanner, a digital camera, and an infrared camera to acquire an image, and a data processing part(112) for recognizing the digital data from the image. The image acquisition device recognizes the image from a print having the music data list. The music data generating signal part transfers a signal to a music data play device. An operating part(130) generates a control signal to transfer the control signal to the music data play device.

Description

노래선별장치 {Apparatus for selecting song}Song selector {Apparatus for selecting son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노래선별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ystem including a song sel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노래선별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구성도들이다.2A and 2B are diagrams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ong selection device shown in FIG.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음원목록데이터와 디지털데이터가 함께 인쇄된 화상영역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3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image area in which sound source list data and digital data are printed toge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및 도 5는 각각 도 3에 도시된 화상영역 내의 망점군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4 and 5 are conceptual views showing a group of dots in the image area shown in FIG. 3, respectively.

도 6a 내지 도 6e는 각 디지털데이터에 대응되어 화상영역을 이루는 서브영역들 중 해당되는 서브영역에 망점군을 형성하는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6A to 6E illustrate an example of forming a mesh group in a corresponding subregion among subregions of an image region corresponding to each digital data.

도 7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데이터 인쇄방법에 따라서 인쇄된 인쇄물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7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printed matter printed according to the image data print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

10 : 디지털코드가 인쇄된 노래집10: Digitally printed songbook

11 : 디지털코드인 망점군과 음원목록이 인쇄되는 영역11: Digital dot code group and sound source list printed area

100 : 노래선별장치 110 : 데이터인식부100: song selection device 110: data recognition unit

120 : 음원신호발생부 130 : 조작부120: sound source signal generation unit 130: operation unit

200 : 음원재생장치200: sound source playback device

본 발명은 노래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원목록과 함께 각 음원에 대응되는 디지털데이터가 인쇄된 인쇄물을 인식하여 자동으로 음원을 선별할 수 있는 노래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ng select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ong selection device capable of automatically selecting a sound source by recognizing printed matter on which digital data corresponding to each sound source is printed together with a sound source list.

노래방은 가요, 트롯트, 팝송 등 각종 노래를 포함하는 음원들이 저장된 노래방기기를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음원을 재생시키면서 노래를 부르는 장소이다.Karaoke is a place where a user sings a song while playing a karaoke device in which sound sources including various songs such as a song, a trot, and a pop song are reproduced by a user's selection.

사용자는 노래가 가나다 순과 같은 특정 순서와 각 노래에 대응되는 코드가 기록된 노래집에서 노래를 고른 후에 그 코드를 노래방기기에 입력하여 노래를 선별하게 된다.The user selects a song from a songbook in which a specific order such as song order and song code corresponding to each song is recorded, and inputs the code into a karaoke device to select a song.

그런데 상기와 같은 경우 노래집에서 노래를 선별하고 그 노래에 대응되는 코드를 사용자가 별도로 버튼 또는 리모콘을 이용하여 노래방기기에 입력하여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above case, there is a troublesome problem of selecting a song from a songbook and inputting a code corresponding to the song into a karaoke device using a button or a remote controller separately.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별도로 음원, 즉 노래에 해당되는 코드의 입력없이 자동으로 그 코드가 입력되도록 하여 자동으로 선곡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이 편리한 노래선별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ong selection device that is easy to use by allowing the user to automatically input the chord without input of the code corresponding to the sound source, that is, the song separately, so a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re i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음원목록과 함께 상기 음원목록의 각 음원을 지시하는 디지털데이터가 인쇄된 인쇄물에서 상기 음원목록 중 어느 하나의 음원을 지시하는 디지털데이터를 인식하는 데이터인식부와; 상기 데이터인식부에 의하여 인식된 디지털데이터에 따라서 해당되는 음원을 음원재생장치가 재생하도록 음원재생장치에 신호를 전달하는 음원발생신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선별장치를 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a sound source list of any one of the sound source list in the printed data printed with digital data indicating each sound source of the sound source list A data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digital data to indicate; Disclosed is a song selection device comprising a sound source generation signal unit for transmitting a signal to a sound source playback device so that the sound source playback device reproduces a corresponding sound source according to the digital data recognized by the data recognition unit.

상기 음원발생신호부의 신호에 따라서 해당되는 음원을 재생시키는 음원재생장치를 일체로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nd a sound source reproducing apparatus for reproducing a corresponding sound source according to the signal of the sound source generation signal unit.

상기 음원재생장치는 음원과 함께 영상을 동시에 재생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데이터인식부에 의하여 인식된 디지털데이터에 따라서 해당되는 음원의 적어도 일부를 재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sound source reproducing apparatus may be configured to simultaneously reproduce an image together with a sound source, and may be configured to reproduce at least a part of a corresponding sound source according to the digital data recognized by the data recognition unit.

상기 음원재생장치는 상기 데이터인식부에 의하여 인식된 디지털데이터에 따라서 해당되는 음원의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sound source reproducing apparatus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information of a corresponding sound source according to the digital data recognized by the data recognition uni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노래선별장치는 사용자가 음원의 재생여부를 제어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음원발생신호부에 의하여 제어신호를 발생시켜 음원재생장치를 전달하도록 하는 조작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ong sel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operation unit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by the sound source generation signal unit by the user's operation to transfer the sound source playback device so that the user can control whether or not the sound source is reproduced. Can b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노래선별장치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의 편의상 노래 대신 '음원'이라는 단어를 사용하였다.Hereinafter, the song sel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word 'sound source' is used instead of song.

본 발명에 따른 노래선별장치(100)는 도 1,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인식부(110) 및 음원발생신호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ong selec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ata recognition unit 110 and a sound source generation signal unit 120, as shown in FIGS. 1, 2A and 2B.

상기 데이터인식부(110)는 음원목록(11)과 함께 음원목록(11)의 각 음원을 지시하는 디지털데이터가 인쇄된 인쇄물(10)에서 상기 음원목록(11) 중 어느 하나의 음원을 지시하는 디지털데이터를 인식하는 장치이다.The data recognition unit 110 indicates a sound source of any one of the sound source lists 11 in the printed material 10 in which digital data indicating each sound source of the sound source list 11 together with the sound source list 11 is printed. It is a device that recognizes digital data.

상기 데이터인식부(110)는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스캐너, 디지털카메라, 적외선카메라와 같은 이미지획득장치(111)와, 이미지획득장치(111)에 의하여 획득된 이미지로부터 디지털데이터를 인식하는 데이터처리부(1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data recognition unit 110 is an image acquisition device 111 such as a scanner, a digital camera, an infrared camera for acquiring an image, and a data processing unit for recognizing digital data from an image acquired by the image acquisition device 111 ( 112).

상기 이미지획득장치(111)는 노래집과 같은 음원목록(11)이 인쇄된 인쇄물(10)로부터 이미지를 인식하도록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적외선LED에 의하여 조사되는 빛에 반응될 수 있는 탄소를 포함하는 잉크에 의하여 인쇄된 화상데이터를 인식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이미지획득장치(111)에는 화상데이터에 적외선을 조사할 수 있는 적외선 LED 등을 추가로 구비하도록 구성된다.The image acquisition device 111 is configured to recognize the image from the printed matter 10, the sound source list 11, such as a songbook, preferably comprises carbon that can react to the light irradiated by the infrared LED It is preferably configured to recognize the image data printed by the ink. At this time, the image acquisition device 111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n infrared LED or the like that can irradiate the infrared to the image data.

상기 데이터처리부(112)는 이미지획득장치에 의하여 획득된 이미지를 분석하게 되며, 도 6a 내지 도 6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망점군의 위치 등,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서 디지털데이터를 해독하게 된다.The data processor 112 analyzes the image acquired by the image acquisition apparatus, and decodes the digital data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rule, such as the position of the halftone group, as shown in FIGS. 6A to 6F.

이때 데이터처리부(112)는 인식방향에 따라서 이미지가 어긋나거나 회전될 수 있는데, 이미지가 어긋난 경우에는 기준망점(101)을 기준으로 화상영역(CS)을 인식하게 되며, 이미지가 회전된 경우에는 화상의 보정과정을 걸쳐 인식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data processor 112 may shift or rotate the image according to the recognition direction. If the image is misaligned, the data processor 112 recognizes the image area CS based on the reference network 101 and, if the image is rotated, the image. It will be recognized throughout the calibration process.

특히 이미지가 회전된 경우 그 인식속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으로 미리 망점 군(101, 102)들이 소정의 각도, 즉 각도, 1°에서부터 45°까지 1°단위로 회전시킨 45개의 이미지데이터와 매칭시켜 디지털데이터를 인식할 수 있다.In particular, when the image is rotated, the group of dots 101 and 102 are matched with 45 pieces of image data rotated in a predetermined angle, that is, from 1 ° to 45 ° in 1 ° increments. The data can be recognized.

한편 상기 음원발생신호부(120)는 데이터인식부(110)에 의하여 인식된 디지털데이터에 따라서 해당되는 음원을 음원재생장치(200)가 재생하도록 음원재생장치(200)에 신호를 전달하도록 구성된다.Meanwhile, the sound source generation signal unit 120 is configured to transmit a signal to the sound source playback device 200 so that the sound source playback device 200 reproduces the corresponding sound source according to the digital data recognized by the data recognition unit 110. .

상기 음원발생신호부(120)는 그 전달방식에 따라서 유선 또는 무선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하여 가능하다.The sound source generation signal unit 120 is possible by a variety of methods, such as wired or wireless, depending on the transmission method.

상기 음원재생장치(200)는 음원발생신호부(120)로부터 받은 신호에 따라서 해당되는 음원을 발생시키는 장치로서, 일체로 또는 별도로 구성이 가능하며, 기존의 노래방기기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물론 상기 음원재생장치(200)는 음원발생신호부(120)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부(210)를 추가로 구비한다.The sound source reproducing apparatus 200 is a device for generating a corresponding sound source according to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sound source generation signal unit 120, may be configured integrally or separately, and may be configured in the same manner as the existing karaoke apparatus. At this time, of course, the sound source reproducing apparatus 200 further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210 that can communicate with the sound source generation signal unit 120.

또한 상기 음원재생장치(200)는 음원과 함께 영상을 동시에 재생하도록 스피커와 같은 음향발생장치(220) 및 영상을 재생할 수 있는 모니터와 같은 영상표시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ound source reproducing apparatus 20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sound generating device 220 such as a speaker and an image display unit 230 such as a monitor capable of reproducing the image to simultaneously reproduce the image with the sound source.

상기 노래선별장치(100)는 사용자가 미리 음원의 일부를 들어본 후 노래를 선별할 수 있도록 데이터인식부(110)에 의하여 인식된 디지털데이터에 따라서 해당되는 음원의 적어도 일부를 재생하도록 음원재생장치(200)를 구성하거나, 별도의 보조 음원재생장치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The song selection apparatus 100 reproduces at least a portion of the corresponding sound source according to the digital data recognized by the data recognition unit 110 so that the user can select a song after hearing a portion of the sound source in advance. 200 or an additional auxiliary sound source playback apparatus may be further provided.

또한 상기 음원재생장치(200)는 데이터인식부(110)에 의하여 인식된 디지털데이터에 따라서 해당되는 음원의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ound source reproducing apparatus 200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sound source according to the digital data recognized by the data recognition unit 110.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노래선별장치(100)는 사용자가 음원의 재생여부를 제어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음원발생신호부(120)에 의하여 제어신호를 발생시켜 음원재생장치(200)에 전달하도록 하는 조작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ong selec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 control signal by the sound source generation signal unit 120 by the user's operation so that the user can control whether or not the sound source is reproduced to the sound source playback device 200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operation unit 130 to b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노래선별장치에 의하여 인식되는 각 음원에 대응되는 디지털데이터는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하여 형성 및 노래집과 같은 인쇄물(10)로 인쇄된다.On the other hand, digital data corresponding to each sound source recognized by the song sel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and printed in the printed matter 10 such as a songbook by the following method.

일반적으로 인쇄물은 600DPI, 1200DPI, 3000DPI 등의 해상도로 R, G, B 등 3원색, C, M, Y, K 등 4 가지 색상 또는 단색의 잉크의 망점들의 조합에 의하여 인쇄된다. 여기서 DPI는 인치(inch) 당 인쇄되는 망점(Dot)들의 갯수를 의미한다. 그리고 1개 망점의 크기는 1200DPI의 경우 약 0.02mm×0.02mm 정도가 된다.In general, the printed matter is printed by a combination of dots of three colors, such as R, G, and B, C, M, Y, and K, or monochromatic inks, at a resolution of 600 DPI, 1200 DPI, 3000 DPI, or the like. Here, DPI refers to the number of dots printed per inch. The size of one dot is about 0.02mm × 0.02mm at 1200DPI.

이러한 미세한 망점들을 이용하여 디지털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해서는 인쇄면의 크기나 페이지 수량에 제한을 받지 않게 하기 위하여 충분한 양의 데이터를 표현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정보화 할 수 있는 화상데이터를 만들면 된다. In order to display digital data using such fine dot dots, a sufficient amount of data can be represented so as not to be limited by the size of the printing surface or the number of pages, and image data capable of informing the information can be created.

이때 망점의 모양은 인쇄장치의 제조사마다 각기 다른 모양 즉 원형, 다이아몬드형, 육각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갖게 되나 극히 미세한 망점의 크기를 감안하면 망점의 모양은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At this time, the shape of the halftone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manufacturer of the printing device, that is, circular, diamond, hexagon, etc., but considering the extremely fine size of the halftone does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shape of the halftone.

이러한 미세한 망점들의 조합으로 화상데이터를 형성할 때 주의할 점은 가시화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일정 화상데이터들이 가능한 가장 적은 면적을 차지하도록 구성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화상데이터들은 망점들의 조합이므 로 겹치지 않고 연속되지 않으면서도 고루 분포가 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When forming image data with a combination of such fine dot dots, it is necessary to configure the constant image data so as to occupy the smallest area possible so as not to be visualized. Since the image data are a combination of dots, it is important to distribute the image data evenly without overlapping and continuous.

따라서 본 발명은 인쇄망점이 단독으로 사용될 경우 인쇄장치(인쇄하기 위한 원판을 제작하는 기계)에서 레이저로 인쇄망점을 표시하게 되는데 이때 하나의 망점으로 사용되는 경우 크기가 너무 작아 인쇄할 때 잉크 입자가 잘 표현되지 못할 우려가 있으므로 망점을 2개 내지 4개씩 등 2개 이상으로 연속으로 붙여 하나의 망점군을 형성하여 화상데이터를 만들 필요가 있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rinting halftone is used alone, the printing halftone is displayed by a laser in a printing apparatus (a machine for manufacturing the original plate for printing). Sinc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it may not be well expressed, it is necessary to form one dot group by attaching two or more dots in succession, such as two to four, to form image data.

그리고 상기와 같은 망점군들을 디지털데이터에 사용하는 이진수의 비트(bit) 개념으로 정의하여 망점군의 위치와 데이터 비트와 대응시키면 정확한 정보 표현이 가능하면서도 손실의 우려가 없고 가시화되지 않는 점을 이용한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groups of dots are defined as a bit concept of binary numbers used for digital data and correspond to the positions of the dots and the data bits, so that accurate information can be expressed, but there is no risk of loss and it is not visible.

한편 디지털데이터는 디지털화된 패턴을 카메라와 같은 화상인식장치로 읽어 디지털데이터를 인식할 때 가장 기본이 되는 비트, 또는 바이트(8 비트) 단위로 데이터가 처리됨을 감안하고, 요구되는 디지털데이터의 데이터량을 감안하여 망점군들의 수량을 선정한다.On the other hand, digital data is required by considering that data is processed in the most basic bit or byte (8-bit) unit when digital data is read by an image recognition device such as a camera and the digital data is recognized. Considering this, select the number of halftone groups.

그리고 표시되는 디지털데이터의 단위정보들을 고루 분포시키면서 가시화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단위정보를 표시하는 인쇄 잉크가 표시되는 망점군과 그 망점군 주위의 잉크가 표시되지 않은 여백과의 비율을 1:1.5이상 정도로 여백이 차지하는 부분이 망점군이 차지하는 부분보다 크도록 한다.In order to uniformly distribute the unit information of the displayed digital data and prevent it from being visible, the ratio of the halftone group where the printing ink displaying the unit information is displayed and the margin around which the ink is not displayed is about 1: 1.5 or more. Make sure that the space occupied by the margin is larger than that occupied by the halftone group.

각 음원에 대응되는 디지털데이터를 포함하는 음원목록에 관한 화상데이터를 형성하는 방법은 인쇄장치의 해상도를 기준으로 다수개의 화상영역으로 분할하는 화상영역분할단계와; 상기 화상영역을 상기 인쇄장치의 해상도를 기준으로 가로방 향으로 2 이상의 정수인 n개 이상으로 분할하고 및 세로방향으로 2 이상의 정수인 m개 이상으로 분할하여 n×m개의 서브영역으로 분할하는 서브영역분할단계와; 상기 서브영역 내에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 중 적어도 일방향으로 여백을 가지면서 상기 인쇄장치의 해상도에 따른 인쇄망점을 기준으로 연속하는 인쇄망점들을 하나의 망점군으로 지정하는 망점군지정단계와; 디지털데이터에 따라서 해당되는 상기 각 서브영역 내에 망점군을 형성하는 망점군형성단계를 통하여 이루어진다.A method of forming image data relating to a sound source list including digital data corresponding to each sound source comprises: an image region dividing step of dividing the image data into a plurality of image regions based on a resolution of a printing apparatus; Sub-area division for dividing the image area into n or more integers of 2 or mor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ased on the resolution of the printing apparatus, and dividing the image area into m or more sub m integers of 2 or more in the vertical direction. Steps; A dot group designation step of designating continuous print dots as one dot group with a margin in at least one of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vertical direction in the sub area based on a printing dot according to the resolution of the printing apparatus; The dot group is formed by forming a dot group in each of the sub-regions according to the digital data.

여기서 화상영역 및 서브영역의 형성은 가로 및 세로 방향은 물론, 극좌표, 등 다양한 방법으로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image area and the sub area may be formed by various methods such as polar coordinates as well as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또한 상기와 같은 각 음원에 대응되는 디지털데이터를 포함하는 음원목록에 관한 화상데이터를 형성하는 방법은 인쇄장치의 해상도를 기준으로 하나 이상의 화상영역으로 분할하는 화상영역분할단계와; 상기 화상영역을 상기 인쇄장치의 해상도를 기준으로 다수 개의 서브영역으로 분할하는 서브영역분할단계와; 상기 서브영역 내에 여백을 가지면서 상기 인쇄장치의 해상도에 따른 인쇄망점을 기준으로 다수개의 인쇄망점들을 하나의 망점군으로 지정하는 망점군지정단계와; 디지털데이터에 따라서 해당되는 상기 각 서브영역 내에 망점군을 형성하는 망점군형성단계를 통하여 이루어진다.In addition, a method of forming image data relating to a sound source list including digital data corresponding to each sound source includes: an image region dividing step of dividing the image data into one or more image regions based on a resolution of a printing apparatus; A sub area dividing step of dividing the image area into a plurality of sub areas based on the resolution of the printing apparatus; A dot group designation step of designating a plurality of print dots as one dot group based on printing dots according to the resolution of the printing apparatus while having a margin in the sub area; The dot group is formed by forming a dot group in each of the sub-regions according to the digital data.

한편 상기와 같이 각 음원에 대응되는 디지털데이터를 포함하는 화상데이터를 형성하는 방법은 실행가능한 컴퓨터프로그램으로 구현이 가능하며, 컴퓨터프로그램은 CD 등과 같은 저장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method of forming image data including digital data corresponding to each sound source may be implemented by an executable computer program, and the computer program may be stored in a storage medium such as a CD.

화상데이터 형성 및 인쇄Image data formation and printing

먼저 음원목록을 포함하는 화상데이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장치의 해상도(1200DPI)를 기준으로 다수개의 화상영역(CS)으로 분할된다. 여기서 화상데이터는 노래집인 인쇄물에 인쇄될 음원목록, 그림, 도형, 글자 등의 문양을 포함하는 바탕을 이루는 화상데이터와 동일 인쇄물에 인쇄될 음원목록, 그림, 도형, 글자 등의 문양을 포함하지 않고 인쇄물에 대응되는 망점군으로 형성된 패턴만을 가지는 화상데이터로 구성될 수 있다.First, the image data including the sound source list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image areas CS based on the resolution 1200DPI of the printing apparatus. Here, the image data does not include the underlying image data including patterns of sound source lists, pictures, figures, and letters to be printed on the printed material of the songbook, and the patterns of sound source lists, pictures, shapes, and letters to be printed on the same printed material. It can be composed of image data having only a pattern formed of a group of dots corresponding to the printed matter.

그리고 상기 화상영역(CS) 중 적어도 일부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장치의 해상도를 기준으로 가로방향으로 2 이상의 정수인 n개 이상으로 분할하고 및 세로방향으로 2 이상의 정수인 m개 이상으로 분할하는 동시에 n×m개의 서브영역(SS)으로 분할한다.At least a part of the image area CS is divided into n or more integers of 2 or mor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ased on the resolution of the printing apparatus, and divided into m or more of integers of 2 or more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shown in FIG. 4. At the same time, the data is divided into n x m sub-regions SS.

도 4 및 도 5는 음원목록 중 하나의 화상영역에 가로 및 세로로 각각 5개씩의 서브영역으로 분할한 것을 나타내며, 도 4는 2개의 기준망점군 만이 표시된 것을, 도 5는 최대 망점군들이 표시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4 and 5 are divided into five sub-areas each vertically and horizontally in one image area of the sound source list, FIG. 4 shows only two reference network groups, and FIG. 5 shows the maximum network of groups. It is shown.

상기 서브영역(SS) 내에는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 중 적어도 일방향으로 여백을 가지면서 인쇄장치의 해상도에 따른 인쇄망점을 기준으로 연속하는 다수개의 인쇄망점들을 연결하여 하나의 망점군(101, 102)으로 지정한다. In the sub area SS, one half point group 101 and 102 has a margin in at least one of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vertical direction, and connects a plurality of continuous half points based on a half point according to the resolution of the printing apparatus. To be specified.

이때 상기 망점군(101, 102)들이 인쇄되었을 때 가시화되지 않기 위해서는 상기 서브영역(CS) 내에서 여백과 망점군(101, 102)의 비가 1.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4 및 도 5의 경우에는 망점군들은 가로방향으로 2개, 여백은 4개로 이루어져 있다.In this case, in order not to be visible when the halftone groups 101 and 102 are printed, it is preferable that the ratio of the margin and the halftone groups 101 and 102 in the sub area CS is 1.5 or more. In the case of Figures 4 and 5 the dot group is composed of two in the transverse direction, four margins.

즉, 상기 망점군(101, 102)은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적어도 일방향으로 연속된 2개 이상의 망점들로 구성되며, 상기 여백은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적어도 일방향으로 연속된 3개 이상의 망점들로 구성될 수 있다.That is, the group of dots 101, 102 is composed of two or more dots in succession in at least one direction in the horizontal and longitudinal direction, the margin is three or more dots in succession in at least one direction in the horizontal and longitudinal direction. It can be configured as.

한편 상기 화상영역(CS)은 이웃하는 화상영역(CS)과 분리되어 인식될 수 있도록 여백을 두어 구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image area CS may be divided with a margin so as to be recognized separately from the neighboring image area CS.

따라서 상기 망점군(101, 102) 중 적어도 하나는 화상영역(CS)을 인식할 수 있는 기준망점군(101)으로 하고, 상기 기준망점군(101)은 다른 망점군(102)의 형상과 다르게 할 수 있다.Accordingly, at least one of the halftone groups 101 and 102 may be a reference halftone group 101 capable of recognizing an image area CS, and the reference halftone group 101 may be different from the shape of another halftone group 102. can do.

즉, 상기 기준망점군(101)은 'ㄱ'자 형상을, 다른 망점군들(102)은 'ㄴ'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망점군들(102)의 형상을 여러가지로 구성하여 디지털데이터를 각 형상에 대응되도록 할 수 있다.That is, the reference point group 101 may be formed in a 'b' shape, the other group of dots 102 may be formed in a 'b' shape, and the data of the halftone groups 102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It may be to correspond to each shape.

한편 상기 망점군은 인쇄방식에 따라서 외곽선(outline) 방식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그 내부는 채워지거나 비워질 수 있다.The dot group may be formed by an outline method according to a printing method, and the inside thereof may be filled or emptied.

또한 도 4 및 도 5에서 화상영역(CS) 중 맨 좌측 및 맨 하측에는 디지털데이터에서 NULL과 같은 표시를 위한 서브영역(NCS)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4 and 5, subregions NCS for displaying such as NULL in digital data may be additionally formed at the leftmost and lowermost portions of the image region CS.

그리고 상기와 같은 화상이미지는 포함시키고자 하는 디지털데이터에 따라서 화상영역(CS)을 이루는 서브영역(SS)들 중 해당되는 서브영역(SS)에 망점군(102)을 형성하게 된다. The dot group 102 is formed in the corresponding subregion SS among the subregions SS forming the image region CS according to the digital data to be included in the image image.

도 6a 내지 도 6e은 각 디지털데이터의 각 비트에 대응되어 망점군들의 위치가 표시된 서브영역(SS)들을 형성하는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6A to 6E illustrate an example of forming subregions SS in which positions of the halftone groups are displayed corresponding to each bit of each digital data.

즉, 도 6a는 이진데이터로 00000000을, 도 6b는 00000001, 도 6c는 00000010, 도 6d는 00000011을, 도 6e는 00000100을, 도 6f는 NULL을 표시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In other words, Fig. 6A shows 00000000 as binary data, Fig. 6B shows 00000001, Fig. 6C shows 00000010, Fig. 6D shows 00000011, Fig. 6E shows 00000100, and Fig. 6F shows NULL.

한편 상기와 같은 각 음원에 대응되는 디지털데이터를 가지는 화상영역(CS)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래선별장치(100)에 의하여 그 인식이 용이하도록 인쇄물(1) 상의 일정한 영역에 반복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각 화상영역(CS) 안의 서브영역(SS)은 기준망점(101)에 의하여 인식된다. 특히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원목록에서 각 음원과 겹쳐서 또는 이웃하는 영역 등에 각 음원에 대응되는 디지털데이터가 인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image area (CS) having the digital data corresponding to each sound source as described above is repeated in a predetermined area on the printed matter (1) to facilitate the recognition by the song selection apparatus 100, as shown in FIG. In this case, the sub area SS in each image area CS is recognized by the reference network 101. In particular, as illustrated in FIG. 3, digital data corresponding to each sound source may be printed in the sound source list, such as overlapping with each sound source or in a neighboring area.

도 7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그리드는 실제로는 인쇄되지 않은 선이며 설명의 편의상 그려진 선이다. 그러나 각 망점군의 기준을 잡기 위하여 인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도면들에 도시된 눈금선들도 설명의 편의상 그려진 선이나, 각 망점군의 기준을 잡기 위하여 인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In FIG. 7, the grid indicated by a dotted line is actually a non-printed line and a line draw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However, it can of course be printed to set the standard for each dot group. Grid lines shown in the other drawings may also be prin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or to set the standard of each dot group.

상기와 같이 음원목록(11)을 인쇄할 때 사용되는 디지털데이터가 포함된 화상데이터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원목록(11)이 인쇄되는 인쇄물(10)에 인쇄될 그림, 도형, 글자 등의 문양을 포함하는 바탕을 이루는 화상데이터와 인쇄될 화상데이터 또는 인쇄될 그림, 도형, 글자 등의 문양이 포함되지 않고 인쇄물(10)의 크기에 대응되어 망점군으로 형성된 패턴으로 이루어진 서브 화상데이터로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7, the image data including digital data used when printing the sound source list 11 may be printed on the printed material 10 on which the sound source list 11 is printed. Sub-image data consisting of a pattern formed of a dot group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printed matter 10 without including image data that forms the background including patterns such as a pattern, image data to be printed, or patterns such as pictures, figures, and characters to be printed. It can be configured as.

이때 디지털데이터가 포함된 서브 화상데이터를 문양이 포함된 화상데이터와 합성한 후에 함께 인쇄하거나, 문양이 포함된 화상데이터를 먼저 인쇄한 후에 별도로 인쇄할 수 있다. 이때 화상데이터의 합성방법은 PDF 파일, BMP파일 등 다양한 포맷으로 합성할 수 있다. 어떠한 방법으로 인쇄를 하든 서브화상데이터를 인쇄할 경우에는 일반 인쇄잉크 중에서도 탄소가 함유된 인쇄잉크를 사용하여야 한다.In this case, the sub image data including the digital data may be combined with the image data including the pattern and then printed together, or the image data including the pattern may be printed first and then separately printed. At this time, the synthesis method of the image data can be synthesized in various formats such as PDF file, BMP file. Regardless of the printing method, when printing sub-image data, carbon-based printing ink should be used among general printing ink.

일반 인쇄잉크의 성분을 보면 기본으로 쓰이는 4가지 색상 잉크 즉 빨강, 파랑, 노랑색 잉크는 탄소성분이 들어있지 않고 오직 검정색 잉크에만 탄소성분이 들어 있음을 알 수 있다.  If you look at the components of a normal printing ink, you can see that the four basic color inks, red, blue, and yellow, do not contain carbon but only black.

그리고 3가지 색상의 합 즉 빨강, 파랑, 노랑을 같은 비율로 합성하면 검정색이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인쇄잉크의 성분특성을 이용하여 화상데이터와 서브 화상데이터를 구분하여 인쇄를 할 수 있다.And if you combine the sum of the three colors: red, blue, and yellow in the same proportions, you get black.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printing by dividing image data and sub image data by using the component characteristics of the printing ink.

또한 여러 가지 색을 인쇄할 경우 사용되는 인쇄잉크도 일정 순서에 의해 인쇄가 되어야 한다. 가장 먼저는 삼원색으로 배합한 탄소성분이 들어 있지 않은 검정색 잉크가 사용되어야 하며 가장 마지막으로 탄소성분이 들어있는 검정색으로 망점군들로 조합된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서브 화상데이터를 인쇄해야 한다. In addition, the printing ink used when printing several colors should be printed in a certain order. First of all, black ink containing no carbon components blended with the three primary colors should be used, and lastly, sub-image data having a pattern composed of halftone groups in black containing carbon components should be printed.

또한 이때 사용되는 마지막 서브 화상데이터에는 인쇄농도를 4%에 맞추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인쇄농도가 더 진하면(5%이상) 다른 색상에 영향을 미치게 되며, 농도가 더 낮을 경우(3%미만)에는 인쇄시에 잉크가 고르게 묻지 않음으로 화상인식장치가 잘 인식을 못하는 경우가 생긴다.In addition, it is most preferable to adjust the print density to 4% in the last sub-image data used at this time. If the print density is higher (more than 5%), it affects other colors. If the print density is lower (less than 3%), the image recognition device may not recognize the ink because the ink is not evenly printed during printing.

상기와 같이 망점군 인쇄에 사용된 잉크가 탄소가 사용되는 경우 적외선 LED를 사용하여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ink used for printing the dot group is carbon, it can be accurately recognized using an infrared LED.

노래선별Song selection

사용자는 상기와 같이 노래집인 인쇄물(10)에 인쇄된 음원목록(11)중에서 원하는 음원을 선택하게 된다.The user selects a desired sound source from the sound source list 11 printed on the printed matter 10 which is a songbook as described above.

이때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노래선별장치(100)를 사용하게 되며, 사용자가 인쇄물(10)에 인쇄된 음원목록 중 어느 하나의 음원을 선택하고 그 음원 상에 노래선별장치(100)를 위치시킨다. In this case, the user uses the song selection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user selects any sound source from the sound source list printed on the printed matter 10 and places the song selection device 100 on the sound source. .

이때 노래선별장치(100)를 구성하는 이미지 획득장치(111)는 카메라가 사용되므로 사용자가 카메라를 해당되는 음원 상에 위치시키게 되며, 자동으로 또는 조작부(130) 조작에 의하여 이미지 획득장치(111)가 음원과 함께 인쇄된 디지털데이터에 관한 이미지를 획득하게 된다. 여기서 노래선별장치(100)의 위치는 노래집에 인쇄된 음원을 지시하는 디지털데이터의 위치에 따라서 달라진다.At this time, since the image acquisition device 111 constituting the song selection device 100 uses a camera, the user places the camera on a corresponding sound source, and automatically or by operating the operation unit 130, the image acquisition device 111. Acquires an image relating to digital data printed with the sound source. Here, the position of the song selection device 100 varies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digital data indicating the sound source printed on the songbook.

한편 인쇄물(10)에는 음원목록(11)과 함께 각 음원에 대응되는 디지털데이터가 함께 인쇄되어 있으므로, 이미지 획득장치(111)에 의하여 획득된 데이터 처리부(112)는 획득된 이미지에서 디지털데이터만을 분석 및 해독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printed material 10 is printed with the digital data corresponding to each sound source together with the sound source list 11, the data processing unit 112 obtained by the image acquisition device 111 analyzes only the digital data in the acquired image. And detoxification.

한편 데이터 처리부(112)에 의하여 해독된 디지털데이터는 음원발생신호부(120)에 전달되며, 음원발생신호부(120)는 음원재생장치(200)가 각 디지털데이터가 지시하는 음원을 재생하도록 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여기서 디지털데이터는 음원을 지시하는 숫자 등 다양한 데이터의 가공과정을 거쳐서 음원재생장치(200)에 전달될 수 있다.Meanwhile, the digital data decoded by the data processing unit 112 is transmitted to the sound source generation signal unit 120, and the sound source generation signal unit 120 signals the sound source reproducing apparatus 200 to reproduce the sound source indicated by each digital data. Will be delivered. The digital data may be transmitted to the sound source playback apparatus 200 through a process of processing various data such as a number indicating a sound source.

또한 음원재생장치(200)는 노래선별장치(100)가 음원목록(11)에서 각 음원에 위치될 때 자동으로 해당 음원의 적어도 일부를 재생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노래선별장치(100)에 음원의 시작부분을 일부 재생하는 별도의 재생장치가 설치될 수 있는데 사용자는 상기와 같이 음원의 적어도 일부의 재생을 통하여 원하는 음원을 재생하게 된다.In addition, the sound source playback apparatus 200 may be configured to automatically play at least a portion of the corresponding sound source when the song selection device 100 is located in each sound source in the sound source list 11, the sound source in the song selection device 100 A separate playback device for partially reproducing the beginning of the may be installed, and the user may reproduce the desired sound source by reproduc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sound source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에 따른 노래선별장치는 사용자가 별도로 음원, 즉 노래에 해당되는 코드의 입력없이 자동으로 그 코드가 입력되도록 하여 자동으로 선곡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이 편리한 이점이 있다.The song sel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that the user can conveniently select the sound source, that is, the chord is automatically input without inputting a code corresponding to the song, thereby automatically selecting the song.

본 발명은 노래방에서 음원을 선곡할 때 음원목록이 인쇄된 인쇄물, 즉 노래집을 이용하여 음원을 선곡함과 동시에 음원재생장치에 의하여 재생되도록 함으로써 음원선곡시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avoiding the hassle during the selection of the sound source by selecting the sound source using the printed material, that is, the karaoke book to be reproduced by the sound source playback device when selecting the sound source in the karaoke.

본 발명은 또한 음원 선곡 시 미리 음원을 재생하여 원하는 음원의 선택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has the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selection of the desired sound source by reproducing the sound source in advance when selecting the sound sourc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by way of exampl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specific embodiments, and may be appropriately changed within the scope described in the claims.

Claims (6)

음원목록과 함께 상기 음원목록의 각 음원을 지시하는 디지털데이터가 인쇄된 인쇄물에서 상기 음원목록 중 어느 하나의 음원을 지시하는 디지털데이터를 인식하는 데이터인식부와;A data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digital data indicating any sound source of the sound source list in a printed material in which digital data indicating each sound source of the sound source list is printed together with a sound source list; 상기 데이터인식부에 의하여 인식된 디지털데이터에 따라서 해당되는 음원을 을 음원재생장치가 재생하도록 음원재생장치에 신호를 전달하는 음원발생신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선별장치.And a sound source generation signal unit for transmitting a signal to the sound source playback device so that the sound source playback device reproduces the corresponding sound source according to the digital data recognized by the data recognition unit.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음원발생신호부의 신호에 따라서 해당되는 음원을 재생시키는 음원재생장치를 일체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선별장치.And a sound source reproducing apparatus for reproducing a corresponding sound source in accordance with a signal of the sound source generation signal unit.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음원재생장치는 음원과 함께 영상을 동시에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선별장치.The sound source reproducing apparatus is a song sel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playing the image simultaneously with the sound source.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음원재생장치는 상기 데이터인식부에 의하여 인식된 디지털데이터에 따라서 해당되는 음원의 적어도 일부를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선별장치.And the sound source reproducing apparatus reproduces at least a part of the corresponding sound source according to the digital data recognized by the data recognizing unit.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음원재생장치는 상기 데이터인식부에 의하여 인식된 디지털데이터에 따라서 해당되는 음원의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선별장치.And the sound source reproducing apparatus displays information of a corresponding sound source according to the digital data recognized by the data recognizing unit.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사용자가 음원의 재생여부를 제어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음원발생신호부에 의하여 제어신호를 발생시켜 음원재생장치를 전달하도록 하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선별장치.And a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by the sound source generation signal unit to deliver a sound source reproducing apparatus so that the user can control whether or not the sound source is reproduced.
KR1020070019045A 2007-02-26 2007-02-26 Apparatus for selecting song KR20080079032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9045A KR20080079032A (en) 2007-02-26 2007-02-26 Apparatus for selecting song
PCT/KR2008/001088 WO2008105610A1 (en) 2007-02-26 2008-02-25 Apparatus for selecting so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9045A KR20080079032A (en) 2007-02-26 2007-02-26 Apparatus for selecting so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9032A true KR20080079032A (en) 2008-08-29

Family

ID=39721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9045A KR20080079032A (en) 2007-02-26 2007-02-26 Apparatus for selecting song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80079032A (en)
WO (1) WO2008105610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7547A (en) * 2016-08-10 2018-02-21 김철회 Electronic pen and method for controlling karaoke machine by using the electric pe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67217B2 (en) * 2002-09-26 2011-06-28 Kenji Yoshida Information reproduction/i/o method using dot pattern, information reproduction device, mobile information i/o device, and electronic toy
KR20060114089A (en) * 2005-04-27 2006-11-06 이상협 Input control device that using color information
KR100726723B1 (en) * 2006-05-19 2007-06-11 주식회사 엔터기술 Song accompaniment apparatus for selecting musical program using code recognition
KR100803347B1 (en) * 2006-09-05 2008-02-13 주식회사유비와이즈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of a song, and system for accompanying in a singing roo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reb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7547A (en) * 2016-08-10 2018-02-21 김철회 Electronic pen and method for controlling karaoke machine by using the electric p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105610A1 (en) 2008-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53172A (en) Picture scanning and recording method
US9846797B2 (en) Method for producing indicators and processing apparatus and system utilizing the indicators
US4974171A (en) Page buffer system for an electronic gray-scale color printer
EP0213507A2 (en) Decorative character printer
US5140431A (en) Digital electronic system for halftone printing
US8275203B2 (en) Sheet music processing method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EP0616293B1 (en) Encoded data printing apparatus and method
JPH0248967A (en) High-resolution printing dot generator
US20070041608A1 (en) Watermark information embedd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device, watermark information embedding method and image processing method
KR20080079032A (en) Apparatus for selecting song
EP0469882B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CN103581497B (en) Image processing equipment and image processing method
JP2009153067A (e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CN114663271A (en) Processing method for anti-counterfeit label image symbolization before printing
JP2005313327A (en) Image output controller, image output controlling method, image output control program and printer apparatus
US9609169B2 (en) Interactive decor
KR100402801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871430B1 (en) Method for making image data, Method for printing image data, Method for recognizing image data
JP2009151713A (en) Sheet music creation method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KR200368146Y1 (en) Coding video electronic book structure
JP2011023964A (en) Image processing program, image processing method, image processor
JP2547716B2 (en) Data processing system
KR100923445B1 (en) Providing Method of Digital Contents, System of the Same, and Reproducing Apparatus of Digital Contents
JP2862505B2 (en) Data processing device
US8243327B2 (en) Method for generating basic template utilized to form screening mas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