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8503A -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8503A
KR20080078503A KR1020070025739A KR20070025739A KR20080078503A KR 20080078503 A KR20080078503 A KR 20080078503A KR 1020070025739 A KR1020070025739 A KR 1020070025739A KR 20070025739 A KR20070025739 A KR 20070025739A KR 20080078503 A KR20080078503 A KR 200800785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isplayed
display
auxiliary image
appl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57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고광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1/873,651 priority Critical patent/US20080204596A1/en
Publication of KR20080078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850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5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e.g. extracting service information from an MPEG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04N21/44026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by altering the spatial resolution, e.g. for displaying on a connected PD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1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characterized by the use of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API] libra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8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modifying screen layout parameters, e.g. fonts, size of the 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A display apparatus and a display method of the display apparatus are provided to remove image sticking easily which is caused by a sub image generated according to execution of an application without using a complicated image processing algorithm. A display apparatus(100) includes an image processor(10), a display unit(20), and a controller(30). The image processor processes a main image corresponding to a received external image signal and a sub image generated according to execution of an application. The display unit displays the main image and the sub image processed by the image processor. The controller controls the image processor to prevent the sub image from being displayed when the sub image is displayed for longer than a reference time.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방법 {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THEREOF }Display device and its display method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보조영상을 표시하지 않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며,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display an auxiliary image.

도 3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3A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3b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어플리케이션의 표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3C is a view for explaining a display method of an application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며,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user interface of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디스플레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isplay method of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영상처리부 20 : 디스플레이부10: image processing unit 20: display unit

30 : 제어부 40 : 사용자입력부30: control unit 40: user input unit

50 : UI생성부 60 : 그래픽영역50: UI generation unit 60: graphics area

70 : 스크린 80 : 어플리케이션70: screen 80: application

100, 200 : 디스플레이장치 300 : 사용자 인터페이스100, 200: display device 300: user interfac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해 생성되는 보조영상의 표시에 따른 잔상을 제거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and a display method thereof.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apparatus and a display method for removing an afterimage caused by the display of an auxiliary image generated by execution of an application.

디스플레이장치는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장치는 프레임과 같은 일련의 영상을 연속적으로 표시함으로써 동적인 영상을 표현한다. 그런데, 소정 시간 이상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영상의 변화가 거의 없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디스플레이장치에 포함된 디스플레이부의 화소가 열화되어 잔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특정 화소가 주변의 다른 화소에 비해 수명이 단축될 수 있다.The display apparatus displays an image based on the image signal. The display apparatus displays a dynamic image by continuously displaying a series of images such as a frame. However, there may be little change of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In this case, afterimages may deteriorate due to deterioration of pixels of the display unit included in the display apparatus, and a specific pixel may have a shorter lifespan than other pixels in the vicinity.

종래의 기술에 의하면 이러한 잔상의 제거를 위해 다양한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예컨대, 영상이 소정 시간 이상 변화되지 않는 경우, 변화되지 않는 영상의 전부 또는 일부를 표시하지 않거나, 상하좌우로 조금씩 이동시키거나, 다른 영상으로 대체하여 표시하는 방법에 의해 잔상을 제거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ior art, various methods have been proposed for removing such afterimages. For example, when the image does not change for more than a predetermined time, the afterimage may be removed by displaying all or a part of the unchanged image, moving it up, down, left, or right, or replacing it with another image.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변화되지 않는 영상이 표시되는 영역을 파악해야 하며, 영역의 파악을 위해서는 복잡한 이미지 처리 알고리즘이 필요한 문제가 있다.However, in order to use the conventional technology, it is necessary to grasp an area where an unchanged image is displayed, and a complex image processing algorithm is required to grasp an area.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해 생성되는 보조영상에 의해 발생하는 잔상을 복잡한 이미지 처리 알고리즘에 의하지 않고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lay apparatus and a display method thereof, which can easily remove an afterimage generated by an auxiliary image generated by execution of an application without using a complicated image processing algorithm.

상기 목적은,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주영상과,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의 실행에 의해 생성되는 보조영상의 영상처리를 수행하는 영상처리부와; 상기 영상처리부에 의해 처리된 상기 주영상 및 상기 보조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보조영상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기준시간 이상 표시되는 경우, 상기 보조영상이 표시되지 않도록 상기 영상처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달성된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an image processor for performing image processing of a main image corresponding to an image signal received from the outside and an auxiliary image generated by execution of an application; A display unit which displays the main image and the sub image processed by the image processor; When the auxiliary image is displayed for more than a reference time on the display unit, the display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image processing unit so that the auxiliary image is not displayed.

여기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데이터방송에 대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application preferably includes an application for data broadcasting.

그리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방송신호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pplication is preferably included in a broadcast signal.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application.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조영상이 표시되는 그래픽 플레인의 표시를 제어하는 그래픽 플레인 (Graphic Plane) 관리부와; 상기 그래픽 플레인에 포함되어 적어도 하나의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스크린 (Screen)의 표시를 제어하는 스크린 관리부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표시를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include a graphic plane manager configured to control a display of a graphic plane on which the auxiliary image is displayed; A screen manager included in the graphic plane to control a display of a screen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applications; It may include an application manager for controlling the display of the application.

여기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관리부는, 복수의 상기 어플리케이션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상기 보조영상이 상기 기준시간 이상 표시되는 경우, 당해 보조영상이 표시되지 않도록 상기 영상처리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when the auxiliary image corresponding 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applications is displayed for more than the reference time, the application manager may control the image processor to not display the auxiliary image.

그리고, 상기 그래픽 플레인 관리부는, 복수의 상기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상기 보조영상이 상기 기준시간 이상 표시되는 경우, 상기 보조영상 전체가 표시되지 않도록 상기 영상처리부를 제어할 수 있다.The graphic plane manager may control the image processor such that the entire auxiliary image is not displayed when the auxiliary image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the applications is displayed for more than the reference time.

또한, 상기 스크린 관리부는, 복수의 상기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상기 보조영상이 상기 기준시간 이상 표시되는 경우, 상기 보조영상을 포함하는 상기 스크린이 표시되지 않도록 상기 영상처리부를 제어할 수 있다.The screen manager may control the image processor so that the screen including the auxiliary image is not displayed when the auxiliary image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applications is displayed for the reference time or more. .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조영상이 표시되지 않도록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일시적으로 중지하거나 종료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temporarily stop or terminate execution of the application so that the auxiliary image is not displayed.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조영상이 상기 기준시간 이상 표시되는 경우,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보조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when the auxiliary image is displayed for more than the reference time, the controller may display the auxiliary image on the display unit when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또한, 사용자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조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입력부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이 있으면 상기 보조영 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isplay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user input unit, and the controller may display the auxiliary image on the display unit when there is a user input through the user input unit while the auxiliary image is not displayed.

그리고, 사용자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조영상의 표시 중 상기 사용자입력부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이 있는 때부터 상기 기준시간을 기산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user input unit, and the controller may calculate the reference time from when a user input is received through the user input unit during the display of the auxiliary image.

또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보조영상의 표시에 대한 UI를 생성하는 UI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UI generator for generating a UI for displaying the auxiliary imag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한편,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디스플레이방법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주영상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해 생성되는 보조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보조영상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기준시간 이상 표시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보조영상이 상기 기준시간 이상 표시되는 경우, 상기 보조영상이 표시되지 않도록 영상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디스플레이방법에 의해서도 상기 목적은 달성된다.On the other hand, a display method of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display unit, comprising: displaying a main image corresponding to an image signal received from the outside and an auxiliary image generated by the execution of the application on the display unit; Determining whether the auxiliary image is displayed for more than a reference time on the display unit; When the auxiliary image is displayed for more than the reference time, the object is also achieved by the display method of the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tep of performing an image processing so that the auxiliary image is not displayed.

여기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데이터방송에 대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application preferably includes an application for data broadcasting.

그리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방송신호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pplication is preferably included in a broadcast signal.

또한, 상기 영상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는, 복수의 상기 어플리케이션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상기 보조영상이 상기 기준시간 이상 표시되는 경우, 당해 보조영상이 표시되지 않도록 영상처리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erforming of the image processing, when the auxiliary image corresponding 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applications is displayed for more than the reference time, the image processing may be performed so that the auxiliary image is not displayed.

또한, 상기 영상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는, 복수의 상기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 도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상기 보조영상이 상기 기준시간 이상 표시되는 경우, 상기 보조영상 전체가 표시되지 않도록 영상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In the performing of the image processing, when the auxiliary image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applications is displayed for more than the reference time, the image processing may be performed so that the entire auxiliary image is not displayed. .

그리고, 상기 영상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보조영상이 표시되지 않도록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일시적으로 중지하거나 종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erforming of the image processing, the execution of the application may be temporarily stopped or terminated so that the auxiliary image is not displayed.

또한, 상기 영상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보조영상이 상기 기준시간 이상 표시되는 경우,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보조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erforming of the image processing, when the auxiliary image is displayed for more than the reference time, it is preferable to display the auxiliary image on the display unit when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그리고, 상기 보조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상태에서 사용자의 입력이 있으면 상기 보조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displaying the auxiliary image on the display unit when there is a user input while the auxiliary image is not displayed.

또한, 상기 주영상과 상기 보조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보조영상의 표시 중 사용자의 입력이 있는 때부터 상기 기준시간을 기산할 수 있다.The displaying of the main image and the sub-image may include calculating the reference time from when a user input is displayed during the display of the sub-image.

그리고, 상기 영상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보조영상의 표시에 대한 UI를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erforming of the image processing may further include generating a UI for displaying the auxiliary image and displaying the UI on the display unit.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display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영상처리부(10)와, 디스플레이부(20)와, 제어부(30)를 포함하며 디지털 TV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display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mage processing unit 10, a display unit 20, and a controller 30, and may be implemented as a digital TV.

영상처리부(10)는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주영상과, 주영 상에 대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의 실행에 의해 생성되는 보조영상의 영상처리를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처리부(10)는 입력된 영상신호로부터 영상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디코딩(decoding), 디스플레이부(20)의 특성 및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디코딩된 영상의 해상도를 조정하는 스케일링(scaling), 영상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처리(picture enhancement) 등을 수행할 수도 있다.The image processor 10 performs image processing of the main image corresponding to the image signal received from the outside and the sub image generated by the execution of the application for the main image. The image processo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cales to adjust the resolution of the decoded image according to decoding for extracting image information from an input image signal, characteristics of the display unit 20 and user's setting. ) May be performed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image.

여기서,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에는 방송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 뿐만 아니라, DVI와, S-Video 등과 같이 인터페이스 등을 통해 외부의 영상소스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인 것도 가능하다.Here, the video signal received from the outside may be a video signal received from an external video source through an interface such as DVI, S-Video, or the like as well as a video signal received from a broadcasting station.

또한, 영상처리부(10)는 제어부(30)의 제어에 따라 UI 이미지를 입력받아, UI 이미지를 포함한 영상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20)에 표시하기 위한 영상처리를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image processing unit 10 may receive a UI imag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30, generate an image including the UI image, and perform image processing for displaying on the display unit 20.

디스플레이부(20)는 영상처리부(10)에 의해 처리된 주영상 및 보조영상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20)는 CRT(cathode ray tube), PDP(plasma display panel), LCD(liquid crystal display), DLP(digital light processing), SED(surface-conduction electron-emitter display), FED(field emission display)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20 displays the main image and the sub image processed by the image processing unit 10. The display unit 20 includes a cathode ray tube (CRT), a plasma display panel (PDP),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digital light processing (DLP), a surface-conduction electron-emitter display (SED), and a field emission display (FED). I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여기서, PDP는 정지영상이 장시간 지속되어 표시되는 경우 셀(Cell)의 격벽의 형광체가 마모되어 밝은 부분과 어두운 부분 간의 잔상이 많이 발생하며, LCD는 영상신호에 매우 신속하게 반응하지 못하여 정지영상이 장시간 지속된 후 다른 영상으로 장시간 지속될 때 잔상이 많이 발생하므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부(20)는 PDP 또는 LCD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case of the PDP, when the still image is displayed for a long time, the fluorescent material of the partition wall of the cell wears out, causing a lot of afterimages between the bright part and the dark part. Since afterimages occur a long time when the image is continued for a long time as another image, the display unit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implemented as a PDP or LCD.

제어부(30)는 보조영상이 디스플레이부(20)에 기준시간 이상 표시되는 경우, 보조영상이 표시되지 않도록 영상처리부(10)를 제어한다.When the auxiliary imag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0 for more than a reference time, the controller 30 controls the image processor 10 so that the auxiliary image is not displayed.

여기서, 보조영상이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해 표시되는 영상 뿐만 아니라 OSD와, UI 등 영상을 표시하는 데 있어서 부가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보조영상은 주영상에 대한 영상 뿐만 아니라, 주영상과는 독립적인 메뉴, 자막(Caption), EPG (Electronic Program Guid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보조영상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은 방송신호에 포함되어 수신될 수 있으며, 이미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해 표시되는 영상을 보조영상의 일예로서 설명하기로 한다.Here, the auxiliary image may include not only an image displayed by the execution of the application but also an image for performing an additional function in displaying an image such as an OSD and a UI. The auxiliary image may include not only an image of the main image, but also a menu, caption, and EPG (Electronic Program Guide) independent of the main image. An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auxiliary image may be included in a broadcast signal and may be received, and an already received application may be stored in a storage unit (not shown). Hereinafter, the image displayed by the execution of the application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of the auxiliary image.

제어부(30)는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대해 어플리케이션이 디스플레이부(20)에 표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숨기기(Hide) 기능이 지원되는 경우,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중 어플리케이션의 표시를 해제하기 위한 함수(예 : Hide())를 호출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른 보조영상 표시를 해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0)는 보조영상이 디스플레이부(20)에 표시되지 않는 경우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기 위한 함수(예 : Show())를 호출하여 다시 보조영상을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The controller 30 is a function for releasing the display of the application among the API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when a hide function for preventing the application from being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0 is supported for each application. By calling Hide (), the display of the sub-image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the application can be released. When the auxiliary image is not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0, the controller 30 may call a function (eg, Show ()) for displaying an application to display the auxiliary image again when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

만일, 제어부(30)가 어플리케이션이 표시되는 위치정보를 가지고 있는 경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한 보조영상이 표시되지 않도록 하는 데 있어서 영역을 판단하는 과정을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If the control unit 30 has the location information on which the application is displayed, it is possible to omit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area in order not to display the auxiliary image by the execution of the application.

그리고, 제어부(30)는 외부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영상신호에 포함된 PSIP(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에 의해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0)는 영상신호에 포함된 PMT (Program Map Table) 데이터를 수신하고, PMT 데이터에 포함된 채널목록정보에 대응하는 서비스타입 정보값에 따라 AIT (Application Information Table)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When the video signal is received from the outside, the controller 30 may receive information about an application by using a 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 (PSIP) included in the video signal. In detail, the controller 30 receives PMT (Program Map Table) data included in the video signal, and AIT (Application Information Table) data exists according to a service type information value corresponding to the channel list information included in the PMT data. Check it.

여기서, 서비스타입 정보값이 0x05이면 제어부(30)는 AIT 데이터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AIT 데이터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의 속성에 따라 정지영상의 표시의 해제여부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AIT 데이터에 포함된 속성에 의해 어플리케이션의 숨기기 기능이 지원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30)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정지영상이 기준시간 이상 표시되면 정지영상이 표시되는 영역 자체가 디스플레이부(20)에 표시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If the service type information value is 0x05, the controller 30 determines that the AIT data exists and determines whether to release the still image according to the attribute of the application included in the AIT data. For example, when the hiding function of the application is not supported by the attributes included in the AIT data, the controller 30 may display a display unit (eg, a display unit) when the still image corresponding to the application is displayed for a reference time or more. 20) can be controlled not to be displayed.

한편, 제어부(30)는 디스플레이부(20)에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정지영상이 모두 표시되지 않도록 영상처리부(10)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제어부(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이 표시됨으로 인해 수신된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의 크기가 작아진 경우,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의 크기를 디스플레이부(20) 전체의 크기에 맞도록 조절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ler 30 may control the image processor 10 such that all still images corresponding to the applic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0 are not displayed. In this case, when the size of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image signal is reduced due to the application being displayed as shown in FIG. 2, the controller 30 displays the size of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image signal as a whole. You can adjust the size to fit.

그리고, 제어부(30)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해 표시되는 보조영상을 표시하지 않는 방법 이외에,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자체를 종료하여 디스플레이부(20)에 표시될 수 있는 잔상을 제거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이 종료되는 경우, 제어부(30)는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다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In addition to the method of not displaying the auxiliary image displayed by the execution of the application, the controller 30 may terminate the execution of the application itself to remove an afterimage that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0. Here, when the execution of the application is terminated, the controller 30 may of course execute the application again aft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그리고, 제어부(30)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해 표시되는 보조영상 각각을 독립적으로 표시하지 않도록 영상처리부(10)를 제어할 수 있으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디스플레이부(20)에 기준시간 이상 표시되는 경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보조영상 전체가 표시되지 않도록 영상처리부(10)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30 may control the image processor 10 to independently display each of the auxiliary images displayed by the execution of the application when a plurality of applications are executed, and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applications is displayed. When the display unit 20 displays more than a reference time, the image processor 10 may be controlled so that the entire auxiliary image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applications is not displayed.

한편, 제어부(30)는 보조영상이 표시되는 시간을 측정하고, 사용자의 입력이 있는 경우 보조영상이 표시되는 시간을 초기화하여 기준시간을 다시 기산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30)는 보조영상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사용자의 입력이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보조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상태에서 사용자의 입력이 있는 경우에도 보조영상의 표시와 동시에 기준시간을 다시 기산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ler 30 may measure the time for displaying the auxiliary image, and if there is a user input, initialize the time for displaying the auxiliary image and calculate the reference time again. Here, the controller 30 may calculate the reference time again at the same time as the display of the auxiliary image even when the user input is not only displayed while the auxiliary image is displayed. Can be.

제어부(30)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독립적으로 기준시간을 기산할 수 있고, 기준시간은 어플리케이션이 디스플레이부(20)에 표시되면서 기산될 수 있다.The controller 30 may calculate the reference time independently for each application when a plurality of applications are executed, and the reference time may be calculated while the applicati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0.

또한, 제어부(30)는 보조영상이 기준시간 이상 표시되어 디스플레이부(20)에 표시되지 않게 되는 경우,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다시 보조영상을 디스플레이부(20)에 표시하도록 영상처리부(10)를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auxiliary image is not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0 because the auxiliary image is displayed for more than a reference time, the controller 30 displays the auxiliary image on the display unit 20 again when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Can be controlled.

그리고, 제어부(30)는 보조영상이 기준시간 이상 표시되는 경우, 보조영상이 표시되는 위치와 다른 곳에 보조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auxiliary image is displayed for a reference time or more, the controller 30 may display the auxiliary image at a different position from where the auxiliary image is displayed.

이하, 도 3a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200)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display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A.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200)는 사용자입력부(40)와, UI생성부(50)를 더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와 중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As shown in FIG. 3A, the display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user input unit 40 and a UI generating unit 50. Hereinafter, a description of the overlapping configuration with the display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사용자입력부(40)는 보조영상의 표시여부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입력부(40)는 디스플레이장치(200)의 동작을 위한 각종 입력 역시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입력부(40)는 무선 리모트 컨트롤러로 구현되어 메뉴 키와, 키 조작에 대응하여 키 신호를 발생하는 키 신호발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입력부(40)는 디스플레이장치(200)의 본체 일측에 마련될 수도 있다.The user input unit 40 may receive a user input on whether to display an auxiliary image. In addition, the user input unit 40 may also receive various inputs for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apparatus 200. The user input unit 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a wireless remote controller and include a menu key and a key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 key signal in response to a key operation. Of course, the user input unit 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of the display apparatus 200.

제어부(30)는 디스플레이부(20)에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한 보조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상태에서 사용자입력부(40)를 통해 소정의 입력이 있는 경우, 보조영상을 다시 디스플레이부(20)에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입력부(40)는 어플리케이션의 표시를 위한 별도의 키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어부(30)는 기준시간이 경과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입력이 있는 경우 보조영상을 대신하여 보조영상과는 다른 영상을 디스플레이부(20)에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If there is a predetermined input through the user input unit 40 while the auxiliary image by the execution of the application is not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0, the controller 30 may display the auxiliary image on the display unit 20 again. Can be. In this case, the user input unit 40 may be provided with a separate key for displaying an application. In addition, the controller 30 may display an image different from the auxiliary image on the display unit 20 in place of the auxiliary image when a user input is input while the reference time has elapsed.

그리고, 사용자입력부(40)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한 보조영상의 표시여부를 입력받기 위한 UI가 디스플레이부(20)에 표시되는 경우, 보조영상의 표시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The user input unit 40 may select whether to display the auxiliary image when the UI for receiving the display of the auxiliary image by the execution of the applicati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0.

제어부(30)는 보조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상태에서 사용자입력부(40)로부터 소정의 입력이 있는 경우, 사용자의 입력에도 불구하고 보조영상이 계속 표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0)는 보조영상이 디스플레이부(20)에 표시되지 않는 상태에서 보조영상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포커스를 받지 못하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If there is a predetermined input from the user input unit 40 while the auxiliary image is not displayed, the controller 30 may prevent the auxiliary image from being displayed continuously despite the user's input. In addition, the controller 30 may control an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auxiliary image not to receive focus while the auxiliary image is not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0.

한편, 제어부(30)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영상이 표시되는 그래픽 플레인의 표시를 제어하는 그래픽 플레인(Graphic Plane) 관리부(30a)와, 그래픽 플레인에 포함되어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스크린(Screen)의 표시를 제어하는 스크린 관리부(30b)와, 어플리케이션의 표시를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리부(30c)와, 보조영상이 디스플레이부(20)에 기준시간 이상 표시되는 경우, 보조영상이 표시되지 않도록 영상처리부(10)를 제어하는 잔상제거 관리부(30d)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as illustrated in FIG. 3B, the controller 30 includes a graphic plane manager 30a for controlling the display of the graphic plane on which the sub-image is displayed, and at least one application included in the graphic plane. The screen management unit 30b for controlling the display of the screen, the application manager 30c for controlling the display of the application, and the auxiliary image are displayed when the auxiliary imag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0 for more than a reference time. It may include a residual image removal management unit 30d for controlling the image processing unit 10 so as not to.

여기서, 그래픽 플레인이란 영상신호를 제외한 보조영상이 표시되는 전체 그래픽 영역을 의미하며, 스크린이란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고 그래픽 플레인에 포함되는 영역을 말한다.Here, the graphic plane refers to the entire graphic area in which an auxiliary image except for an image signal is displayed, and the screen refers to an area including at least one application and included in the graphic plane.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200)에서의 그래픽 플레인과, 스크린과, 어플리케이션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60a, A)과 어플리케이션(60b, B)은 스크린(70a)에 포함되며, 어플리케이션(60c, C)은 스크린(70b)에 포함된다. 그리고, 스크린(70a)과, 스크린(70b)는 그래픽 플레인(80)에 포함된다.3C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lationship between a graphic plane, a screen, and an application in the display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C, the applications 60a and A and the applications 60b and B are included in the screen 70a, and the applications 60c and C are included in the screen 70b. The screen 70a and the screen 70b are included in the graphics plane 80.

여기서, 제어부(30)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 관리부(30c)는 어플리케이션 각각이 디스플레이부(20)에 표시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스크린 관리부(30b)는 스크린 단위로 어플리케이션이 디스플레이부(20)에 표시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스크린 관리부(30b)가 스크린(70a)가 표시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경우, 어플리케이션(60a, A)과, 어플리케이션(60b, B)은 디스플레이부(20)에 표시되지 않는다. 그리고, 그래픽 플레인 관리부(30a)가 그래픽 플레인이 표시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20)에 표시되는 모든 어플리케이션이 표시되지 않게 된다.Here, the application manager 30c included in the controller 30 may control each application not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20, and the screen manager 30b displays the applications on the display 20 in units of screens. Can be controlled to prevent That is, when the screen management unit 30b controls the screen 70a not to be displayed, the applications 60a and A and the applications 60b and B are not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0. In addition, when the graphic plane management unit 30a controls the graphic plane not to be displayed, all application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0 are not displayed.

UI생성부(50)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한 보조영상의 표시여부를 입력받기 위한 UI를 생성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200)의 UI생성부(50)에 의해 생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30)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한 보조영상이 디스플레이부(20)에 기준시간 이상 표시되어 보조영상을 표시하지 않도록 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이를 알리기 위한 UI를 생성하도록 UI생성부(5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30)는 UI의 투명도를 기준값 이상으로 투명하게 조절하여 디스플레이부(20)에 잔상이 표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UI generator 50 generates a UI for receiving input of whether to display an auxiliary image by executing an applica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user interface generated by the UI generator 50 of the display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4, the controller 30 generates a UI for notifying the user when the auxiliary image by executing the applicati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0 for more than a reference time so that the auxiliary image is not displayed. The UI generator 50 may be controlled. Here, the controller 30 may prevent the afterimage from being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0 by transparently adjusting the transparency of the UI to a reference value or mor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UI생성부(50)에 의해 생성된 UI는 보조영상의 표시여부에 대한 기능 뿐만 아니라,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부가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30)는 외부로부터 수신된 영상신호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 뿐만 아니라, UI생성부(50)에 의해 생성된 UI가 디스플레이부(20)에 기준시간 이상 정지 영상으로 표시되는 경우 UI가 디스플레이부(20)에 표시되지 않도록 영상처리부(10)를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the UI generated by the UI generator 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perform an additional function for displaying an image as well as a function for displaying an auxiliary image.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30 is not only an application included in the image signal received from the outside, but also when the UI generated by the UI generator 50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0 as a still image for more than a reference time. The image processor 10 may be controlled to not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0.

물론, 제어부(30)는 UI생성부(50)에 의해 생성된 UI가 기준시간 이상 정지영상으로 표시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20)에 표시되는 UI 자체를 주기적으로 변화시키거나 UI가 디스플레이부(20)에 표시되는 위치를 변화시키도록 UI생성부(50)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Of course, if the UI generated by the UI generating unit 50 is displayed as a still image for more than a reference time, the controller 30 periodically changes the UI itself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0 or the UI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 It is also possible to control the UI generation unit 50 to change the position displayed on 20).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 200)의 디스플레이방법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display method of the display apparatuses 100 and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먼저, 제어부(30)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주영상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해 생성되는 보조영상을 디스플레이부(20)에 표시한다(S10).First, the controller 30 displays the main image corresponding to the image signal input from the outside and the auxiliary image generated by the execution of the application on the display unit 20 (S10).

여기서, 단계 S10은 기준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사용자입력부(60)를 통한 소정의 입력이 있는 경우 기준시간을 다시 기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Here, step S10 may include calculating the reference time again when there is a predetermined input through the user input unit 60 before the reference time elapses.

그리고, 제어부(30)는 보조영상이 디스플레이부(20)에 기준시간 이상 표시되는지 판단한다(S20). 제어부(30)는 단계 S20에서 보조영상이 디스플레이부(10)에 표시되는 경우라 하더라도 사용자입력부(60)를 통한 소정의 입력이 있는 때부터 기준시간을 기산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30 determines whether the auxiliary imag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0 for a reference time or more (S20). The controller 30 may calculate the reference time from when there is a predetermined input through the user input unit 60 even if the auxiliary imag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0 in step S20.

그리하여, 제어부(30)는 보조영상이 기준시간 이상 표시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보조영상이 디스플레이부(10)에 표시되지 않도록 영상처리를 수행한다(S30).Thu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auxiliary image is displayed for more than a reference time, the controller 30 performs image processing so that the auxiliary image is not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0 (S30).

그리고, 단계 S30에서 제어부(30)는 보조영상의 일예로서 어플리케이션이 복수 개 존재하는 경우, 복수 개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한 복수의 보조영상 중 어느 하나가 기준시간 이상 디스플레이부(10)에 표시되면 복수의 보조영상 전체가 디스플레이부(20)에 표시되지 않도록 영상처리를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in operation S30,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applications as an example of the auxiliary image, the controller 30 displays a plurality of auxiliary images by the execution of the plurality of applications when the display unit 10 displays more than a reference time. It is also possible to perform the image processing so that the entire auxiliary image of the display unit 20 is not displayed.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As mention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rough preferred embodiment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variously implemented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방법에 의하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해 생성되는 보조영상에 의해 발생하는 잔상을 복잡한 이미지 처리 알고리즘에 의하지 않고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display device and the display method thereof, the afterimage generated by the auxiliary image generated by the execution of the application can be easily removed without using a complicated image processing algorithm.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방법에 의하면 어플리케이션이 외부로부터 수신되거나 디스플레이장치 내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모두에 대해 잔상의 제거가 가능하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display apparatus and the display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images can be removed for all applications when the application is received from the outside or stored in the display apparatus.

그리고,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보조영상이 독립적으로 표시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복수의 보조영상 전체가 표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보조영상에 의해 잔상이 발생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plurality of applications are executed, an auxiliary image by each application may not be displayed independently, and an afterimage may be prevented from occurring by the auxiliary image by not displaying the entire plurality of auxiliary images. have.

Claims (23)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In the display device,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주영상과, 어플리케이션 (Application)의 실행에 의해 생성되는 보조영상의 영상처리를 수행하는 영상처리부와;An image processor for performing image processing of a main image corresponding to an image signal received from the outside and an auxiliary image generated by executing an application; 상기 영상처리부에 의해 처리된 상기 주영상 및 상기 보조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A display unit which displays the main image and the sub image processed by the image processor; 상기 보조영상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기준시간 이상 표시되는 경우, 상기 보조영상이 표시되지 않도록 상기 영상처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the image processor so that the auxiliary image is not displayed when the auxiliary image is displayed for more than a reference time on the display uni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데이터방송에 대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The application is a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application for data broadcasting.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방송신호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The application is a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ncluded in the broadcast signal.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And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applicati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어부는,The control unit, 상기 보조영상이 표시되는 그래픽 플레인의 표시를 제어하는 그래픽 플레인 (Graphic Plane) 관리부와;A graphic plane manager configured to control a display of a graphic plane on which the auxiliary image is displayed; 상기 그래픽 플레인에 포함되어 적어도 하나의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스크린 (Screen)의 표시를 제어하는 스크린 관리부와;A screen manager included in the graphic plane to control a display of a screen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applications;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표시를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And an application manager to control the display of the application.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어플리케이션 관리부는, 복수의 상기 어플리케이션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상기 보조영상이 상기 기준시간 이상 표시되는 경우, 당해 보조영상이 표시되지 않도록 상기 영상처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And the application managing unit controls the image processing unit so that the auxiliary image is not displayed when the auxiliary image corresponding 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applications is displayed for more than the reference time.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그래픽 플레인 관리부는, 복수의 상기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어느 하 나에 대응하는 상기 보조영상이 상기 기준시간 이상 표시되는 경우, 상기 보조영상 전체가 표시되지 않도록 상기 영상처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The graphic plane manager may control the image processor to not display the entire auxiliary image when the auxiliary image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applications is displayed for more than the reference time. .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스크린 관리부는, 복수의 상기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상기 보조영상이 상기 기준시간 이상 표시되는 경우, 상기 보조영상을 포함하는 상기 스크린이 표시되지 않도록 상기 영상처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The screen manager may control the image processor to not display the screen including the auxiliary image when the auxiliary image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applications is displayed for the reference time or more. Display device.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조영상이 표시되지 않도록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일시적으로 중지하거나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temporarily stop or terminate execution of the application so that the auxiliary image is not displaye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조영상이 상기 기준시간 이상 표시되는 경우,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보조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the auxiliary image on the display unit when a preset time elapses when the auxiliary image is displayed for more than the reference tim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사용자입력부를 더 포함하고,Further comprising a user input unit,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조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입력부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이 있으면 상기 보조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The control unit, if there is a user input through the user input unit in the state that the auxiliary image is not displayed, th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displaying on the display uni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사용자입력부를 더 포함하고,Further comprising a user input unit,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조영상의 표시 중 상기 사용자입력부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이 있는 때부터 상기 기준시간을 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And the control unit calculates the reference time from when the user inputs through the user input unit during the display of the auxiliary image.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0 to 12,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보조영상의 표시에 대한 UI를 생성하는 UI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And a UI generator for generating a UI for displaying the auxiliary imag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디스플레이방법에 있어서,In the display method of the display device including a display unit,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주영상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해 생성되는 보조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와;Displaying a main image corresponding to an image signal received from the outside and an auxiliary image generated by execution of an application on the display unit; 상기 보조영상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기준시간 이상 표시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Determining whether the auxiliary image is displayed for more than a reference time on the display unit; 상기 보조영상이 상기 기준시간 이상 표시되는 경우, 상기 보조영상이 표시되지 않도록 영상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디스플레이방법.And if the auxiliary image is displayed for more than the reference time, performing image processing so that the auxiliary image is not displayed. 제1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데이터방송에 대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디스플레이방법.And said application comprises an application for data broadcasting. 제1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방송신호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디스플레이방법.And the application is included in a broadcast signal. 제1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영상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는,Performing the image processing, 복수의 상기 어플리케이션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상기 보조영상이 상기 기준시간 이상 표시되는 경우, 당해 보조영상이 표시되지 않도록 영상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디스플레이방법.If the auxiliary image corresponding 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applications is displayed for more than the reference time, the display method of th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performing the image processing so that the auxiliary image is not displayed. 제1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영상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는,Performing the image processing, 복수의 상기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상기 보조영상이 상기 기준시간 이상 표시되는 경우, 상기 보조영상 전체가 표시되지 않도록 영상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디스플레이방법.And when the auxiliary image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applications is displayed for more than the reference time, performing image processing so that the entire auxiliary image is not displayed. 제14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4 to 18, 상기 영상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는,Performing the image processing, 상기 보조영상이 표시되지 않도록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일시적으로 중지하거나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디스플레이방법.And temporarily stop or terminate execution of the application such that the auxiliary image is not displayed. 제1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영상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보조영상이 상기 기준시간 이상 표시되는 경우,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보조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디스플레이방법.In the performing of the image processing, when the auxiliary image is displayed for more than the reference time, the auxiliary imag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when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제1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보조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상태에서 사용자의 입력이 있으면 상기 보조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디스플레이방법.And displaying the auxiliary image on the display unit if there is a user input while the auxiliary image is not displayed. 제1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주영상과 상기 보조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보조영상의 표시 중 사용자의 입력이 있는 때부터 상기 기준시간을 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디스플레이방법.The displaying of the main image and the sub-image may include calculating the reference time from the time when the user inputs the display of the sub-image. 제20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0 to 22, 상기 영상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는,Performing the image processing, 상기 보조영상의 표시에 대한 UI를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디스플레이방법.And generating a UI for displaying the auxiliary image and displaying the UI on the display unit.
KR1020070025739A 2007-02-23 2007-03-15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thereof KR2008007850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873,651 US20080204596A1 (en) 2007-02-23 2007-10-17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0287507P 2007-02-23 2007-02-23
US60/902,875 2007-02-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8503A true KR20080078503A (en) 2008-08-27

Family

ID=39880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5739A KR20080078503A (en) 2007-02-23 2007-03-15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78503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59524A1 (en) * 2017-09-21 2019-03-28 삼성전자 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eventing pixel deteriorat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59524A1 (en) * 2017-09-21 2019-03-28 삼성전자 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eventing pixel deterioration
US11315521B2 (en) 2017-09-21 2022-04-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brightness control of electronic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1909B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eliminating an image sticking thereof
KR20070025292A (en) Display apparatus
EP1956478A2 (en) Display apparatus and image output method thereof
KR20070068795A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80042997A (e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thereof
CN107025087B (en) Image display method and equipment
US7403194B2 (en) Image displayer having function of automatically eliminating afterimage and a method thereof
JP2007274070A (en) Video signal processor, video apparatus and video signal processing method
US20080034389A1 (en) Video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display method thereof
KR100756584B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eliminating an incidental image thereof
KR101189455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CN101106639A (en) Residual image prevention method for image display device
US20080204596A1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thereof
JPWO2010064319A1 (en) VIDEO DISPLAY CONTROL DEVICE, VIDEO DISPLAY DEVICE, ITS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CONTAINING THE PROGRAM
KR20080078503A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thereof
US20160055624A1 (en)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9418631B2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and image processing method
KR10051750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afterimage on display unit
KR101585247B1 (en) Method for processing a image signal and display apparatus thereof
JP5293574B2 (en) Video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KR100784690B1 (en) Auto sharpness control method
EP2031579A2 (en) Screen saver via on screen display (OSD) percentage detection
KR100646877B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eliminating afterimage
KR10149052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KR20080067214A (en) Method for eliminating after-image of display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