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8265A - Expandable stent having check valve therein - Google Patents

Expandable stent having check valve therei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8265A
KR20080078265A KR1020070018114A KR20070018114A KR20080078265A KR 20080078265 A KR20080078265 A KR 20080078265A KR 1020070018114 A KR1020070018114 A KR 1020070018114A KR 20070018114 A KR20070018114 A KR 20070018114A KR 20080078265 A KR20080078265 A KR 200800782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nt
mesh structure
check valve
wire
tu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81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안성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텐다드싸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텐다드싸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텐다드싸이텍
Priority to KR10200700181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78265A/en
Publication of KR20080078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826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0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08Materials for coatings
    • A61L31/10Macromolecular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50/00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50/0014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having different values of a given property or geometrical feature, e.g. mechanical property or material property,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 A61F2250/0039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having different values of a given property or geometrical feature, e.g. mechanical property or material property,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differing in diame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50/00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50/0058Additional features; Implant or prostheses propert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250/0069Sealing means

Abstract

A contractile and expandable stent having a cylindrical check valve at the inside is provided to secure a passage for fluid such as food and to remove a side effect caused by a backflow by installing the sleeve check valve at the inner side. A contractile and expandable stent inserted into the internal cavity of living bodies is composed of: a cylindrical wire meshed structure produced by plaiting one or more wires or crossing the wires across each other in zigzag; a coating film(2) made of biocompatible elastic polymer being applied on the wire meshed structure; and a backflow preventing check valve(3) formed in the shape of a cylindrical sleeve and joined along the cylinder formed at an inner upper end(4) of the wire meshed structure. Diameters of both ends of the wire meshed structure are expanded larger than a diameter of a body.

Description

스텐트 내부에 원통형 체크 밸브를 포함하는 수축-팽창 가능형 스텐트{Expandable Stent having Check Valve therein}Expandable Stent having Check Valve therein

도 1은 와이어 메쉬 구조만을 구성요소로 하는 종래 스텐트의 정면도이다.1 is a front view of a conventional stent having only a wire mesh structure as a component.

도 2는 돌출된 슬리브 밸브를 갖는 종래 스텐트의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stent with a protruding sleeve valve.

도 3은 상기 도 2의 스텐트가 식도 및 위 내강에 설치된 상태도이다.Figure 3 is a state diagram of the stent of Figure 2 installed in the esophagus and stomach lumen.

도 4는 스텐트 내부에 "S"자형 체크 밸브를 포함하는 종래 스텐트의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stent including an "S" shaped check valve inside the stent.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스텐트의 정면도이다.5 is a front view of a stent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원통형 슬리브 밸브를 내부에 포함하는 본 발명의 스텐트의 모식도이다.6 is a schematic diagram of a s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a cylindrical sleeve valve therein.

본 발명은 인체 내강이 협착하여 좁아진 환자에 삽입하여 음식물 등의 유체 통로를 확보하기 위한 스텐트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원통형 의 와이어 메쉬 구조물(wire meshed struture), 상기 메쉬 구조물을 둘러싸는 생체 적합성 탄성 수지 피막, 그리고 역류 방지를 위한 체크 밸브를 포함하는 스텐트로서 역류 방지 기능이 있는 팽창-축소 가능형 스텐트에 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nt for securing a fluid passageway such as food by inserting into a patient narrowed by the lumen of the human body.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ent including a wire meshed struture of a cylindrical shape, a biocompatible elastomeric film surrounding the mesh structure, and a check valve for preventing backflow, wherein the stent includes an inflation-resistant expansion- For a collapsible stent.

일반적으로 스텐트는 질병, 외상, 수술 등으로 인하여 좁아진 장기 또는 혈관 등의 내강을 넓히기 위하여 사용되는 구조물이다. 즉, 스텐트는 내강이 협착되어 폐색되거나 협착이 진행 중인 환자에 대하여 협착 부위에 삽입됨으로써 내강이 더 이상 좁아지지 아니하도록 하는 내부 버팀 구조물로서 작용하는 것이며, 그에 따라 협착된 내강에 음식물 또는 체액 등의 유체가 통과하도록 통로를 확보하는데 사용되는 것이다.In general, the stent is a structure used to widen the lumen of the organ or blood vessel narrowed due to disease, trauma, surgery, and the like. That is, the stent acts as an internal brace structure in which the lumen is no longer narrow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stenosis of the patient in which the lumen is constricted due to the narrowing of the lumen or the stenosis is in progress. It is used to secure passages for fluid to pass through.

종래에는 암조직 등에 의한 협착으로 인하여 식도 등이 막히거나 그러한 협착이 진행 중인 환자에 대하여 주로 외과적인 수술을 통해 치료하여 왔으나, 이러한 수술방법은 환자에게 큰 고통을 가하게 됨은 물론 수술효과가 만족스럽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었다.Conventionally, patients who have blocked or esophageal esophagus due to stenosis due to cancer tissues have been treated mainly through surgical surgery, but these surgical methods are not only satisfactory to the patient but also have unsatisfactory surgical effects. There was a downside.

이러한 수술방법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서 스텐트를 사용하는 시술이 개발되었다. 즉, 식도가 협착된 환자에게 와이어를 엮어서 제조한 메쉬 구조물(스텐트, 도 1 참조)을 협착 부위 내부에 삽입하고, 삽입된 메쉬 구조물이 협착 압력에 대항하여 물리적인 버팀 구조물로서 역함을 함으로써 음식물 등의 유체 통로를 마련해주었다.As an alternativ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surgical method, a procedure using a stent has been developed. That is, by inserting a wire mesh structure (stent, see Figure 1) to the stenosis patient is inserted into the stricture site, the inserted mesh structure serves as a physical support structure against the stenosis pressure, food and the like To provide a fluid passageway.

그러나 이러한 와이어 메쉬 구조물에 있어서는, 환자의 협착 내강에 유체의 통로를 확보한다는 스텐트로서의 기능에 한계가 있었다. 즉, 스텐트를 통과하는 음식물 또는 담즙 등의 체액이 메쉬 구조물에 침적되거나 성장한 암세포가 메쉬 구조물의 틈으로 빠져 나와 내강을 침범하는 등 메쉬 구조물의 통로를 다시 메우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However, in such a wire mesh structure, there is a limit to the function as a stent to secure a passage of fluid in the stenosis of a patient. That is, a problem arises in that body fluids such as food or bile passing through the stent are deposited or grown on the mesh structure, and the cancer cells escape from the gaps of the mesh structure and invade the lumen, thereby filling the passage of the mesh structure again.

따라서, 메쉬 구조 사이로 암세포 등이 밀려들어와 내강을 침범하는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상기 메쉬 구조물에 생체 적합성 탄성 수지를 피복시킨 스텐트를 사용하게 되었다. 생체 적합성 탄성 수지로 피복된 스텐트는 각 와이어 메쉬 구조 사이의 공간에 피막을 형성하여 메쉬 구조 사이로 음식물, 체액 등이 침적되거나 암세포 등이 밀려들어와 내강을 다시 막는 문제를 극복할 수 있었다.Therefore, in order to overcome the problem of cancer cells being pushed through the mesh structure and invading the lumen, a stent in which the biocompatible elastic resin is coated on the mesh structure is used. The stent coated with the biocompatible elastic resin formed a film in the space between the wire mesh structures to overcome the problem of food, body fluids, or cancer cells being pushed between the mesh structures to prevent the lumen again.

그러나, 축소-팽창 기능이 없는 스텐트의 경우에는 환자의 내강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환자에게 심한 고통을 주고, 삽입된 이후에도 이물감이 심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외력에 의해 수축되고, 외력이 제거되면 자체 팽창하는 수축-팽창 가능형의 스텐트를 사용하게 되었다. However, in the case of a stent without a contraction-expansion func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patient suffers severely during insertion into the lumen of the patient, and the foreign body feels severe even after insertion.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contraction-expandable stent that contracts by an external force and expands itself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is used.

즉, 상기 수축-팽창 가능형 스텐트는 삽입수단을 이용하여 그 부피를 현저하게 줄인 상태에서 식도 등의 협착부위에 삽입시키고, 상기 삽입수단에서 분리된 스텐트는 그 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팽창 복귀하면서 식도의 협착부위를 바깥으로 밀어내어 내강에 통로를 확장하게 된다.That is, the contraction-expandable stent is inserted into a constriction site such as the esophagus while the volume thereof is significantly reduced by using an insertion means, and the stent separated from the insertion means is expanded and returned to its original state by its elastic force. By pushing out the narrowing part of the body, the passageway expands in the lumen.

그런데, 상기한 협착부위가 위와 연결된 식도부위, 즉 식도를 좁혔다가 확장하도록 조절하는 괄약근 부위인 경우, 상기 스텐트는 병적인 협착부위는 물론 식도의 괄약근 부위까지 팽창상태로 유지하게 하므로 상기 식도와 위는 항상 열린 상태에 있게 된다. 이렇게 열린 상태의 식도와 위를 유지하는 스텐트를 통해서는 위 (胃) 내부의 음식물이 식도를 통해 역류하게 되고, 음식물과 함께 역류한 위산이 식도를 손상시킨다는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By the way, when the stenosis is the esophagus site connected to the stomach, that is, the sphincter site to adjust the narrowing and expansion of the esophagus, the stent to maintain the swelling of the esophageal and gastric sphincter site as well as pathological stricture site Will always be open. Through the open stent and the stent to maintain the stomach, the food inside the stomach (胃) is refluxed through the esophagus, the acid flow back with the food has a problem that damage the esophagus.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상기 스텐트의 하부로 연결된 플랙시블한 튜브가 위 내부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역류를 방지하는 스텐트가 공개되었다(미합중국 특허 제5,861,036호 및 제6,302,917 B1호, 일본국 특허 제 평9-32933호 등).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stents have been disclosed to prevent backflow by having a flexible tube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stent positioned inside the stomach (US Pat. Nos. 5,861,036 and 6,302,917 B1, Japanese Patent Laid-Open). 9-32933, etc.).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기술은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역류방지튜브가 플랙시블한 재질로 되어 있기 때문에 위 내부에서 유동하면서 위벽 내면에 마찰되는 이물감 내지 통증을 유발한다는 문제가 있었으며, 더욱이 역류방지 효과를 높이기 위해 위 내강으로 길게 돌출된 슬리브 밸브가 십이지장을 폐쇄하는 심각한 부작용을 야기하여, 이러한 이유로 리콜된 사례가 발생하였다. However, the conventional technology described above has a problem in that the backflow prevention tube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as shown in FIGS. 2 and 3, causing foreign matter or pain that is rubbed on the inner wall of the stomach wall while flowing in the stomach. Moreover, a sleeve valve protruding into the gastric lumen to increase the anti-backflow effect caused serious side effects of closing the duodenum, resulting in a recall case.

한편, 이러한 역류방지 장치가 돌출된 형태의 밸브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역류방지 수단인 체크 밸브가 스텐트 내부에 설치된 발명이 공개되었다. 그 중에 하나는 체크 밸브의 단면이 태극무늬 형상으로 이루어진 "S"자 형태의 역류방지 장치가 외부로 돌출된 것으로서, 대한민국 특허 제442330호에 개시된 스텐트이다(도 4 참조).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the valve of the non-return valve protruding form has been disclosed an invention in which the check valve is installed inside the stent. One of them is a stent disclosed in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No. 442330, which has an S-shaped backflow prevention device having a checkered cross section in the shape of a taegeuk pattern.

그러나, 상기 특허등록된 스텐트는 밸브 구조물의 생산 과정에 있어서 정교한 금형에 의한 성형작업을 필요로 하는 바, 금형의 제작이 어렵고 그로 인한 제조원가의 상승, 불량률 증가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비교적 두꺼운 밸브 날개는 유연성이 저하되므로 밸브의 "S"자형 틈으로 역류가 발생하게 되었고, 결과적 으로 이러한 체크 밸브의 역류 방지의 목적이 완벽하게 달성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었다.However, the patented stent requires a molding operation by a precise mold in the process of producing the valve structure, which makes it difficult to manufacture the mold, resulting in an increase in manufacturing cost and an increase in defective rate. In addition, the relatively thick valve blade has a disadvantage in that flexibility is reduced, so that the back flow occurs to the "S" gap of the valve, and as a result, the purpose of preventing the back flow of the check valve is not completely achieved.

상기한 바와 같이 선행 기술들은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역류 방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스텐트를 만들기 위하여 노력하였으나, 여전히 이러한 문제점을 완전하게 극복하지 못하고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ior arts have tried to make stents capable of minimizing side effects and performing a backflow prevention function, but still do not completely overcome these problems.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통형의 와이어 메쉬 구조물(1), 이러한 메쉬 구조물(1)을 피복하는 생체 적합성 탄성 고분자 피막(2), 그리고 상기 와이어 메쉬 구조물(1)의 내면 상단(4)의 원통 둘레를 따라 접합된 역류 방지 수단으로서 원통형 슬리브 형상의 체크 밸브(3)를 포함하는 스텐트를 착안하고, 역류 방지 기능을 완전하게 수행하면서도 제작이 용이하고 제작비가 저렴한 스텐트를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Therefore, the inventors have shown that, as shown in FIG. 7, the cylindrical wire mesh structure 1, the biocompatible elastomeric film 2 covering the mesh structure 1,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wire mesh structure 1. To focus on the stent including the check valve (3) of the cylindrical sleeve shape as a backflow prevention means join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ylinder (4), to complete the stent easy to manufacture and low-cost production while performing the backflow prevention function Reached.

본 발명에 따른 스텐트는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대부분 해결함은 물론, 그 제작의 용이함과 비용의 저렴함으로 인하여 매우 경제적이라는 산업상 장점을 가지고 있다.The s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industrial advantage of being very economical because of solving most of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s well as ease of manufacture and low cost.

따라서 본 발명의 기본적인 목적은 협착 또는 폐색된 생체 내강에 대하여 유체 통로를 형성하기 위한 축소-팽창 가능형 스텐트로서, 종래 스텐트의 부작용을 제거하기 위하여 스텐트 내부에 원통형 역류 방지 체크 밸브 구조체를 형성시킨 수축-팽창 가능형 스텐트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 basic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hrink-expandable stent for forming a fluid passage in a stricture or occluded living lumen, in which a contraction of a cylindrical backflow check valve structure is formed inside the stent to eliminate side effects of the conventional stent. To provide an expandable stent.

전술한 본 발명의 기본적인 목적은 한 가닥 또는 그 이상의 가닥의 와이어를 서로 엮거나 지그재그로 교차시켜서 제조되는 원통형 와이어 메쉬 구조물(wire meshed struture)(1), 상기 와이어 메쉬 구조물을 피복시키는 생체 적합성 탄성 고분자 피막(2), 그리고 상기 와이어 메쉬 구조물 내면 상단의 원통 둘레를 따라 접합되어 있는 원통형 슬리브(cylindrical sleeve) 형상의 역류방지용 체크 밸브 구조물(3)을 포함하는 수축-팽창 가능형 스텐트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The basic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a cylindrical wire meshed structure (1) prepared by weaving or zigzag crossing one or more strands of wire with each other, and a biocompatible elastomeric polymer covering the wire mesh structure. By providing a retractable expandable stent comprising a coating (2) and a backflow preventive check valve structure (3) shaped like a cylindrical sleeve join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top of the inner surface of the wire mesh structure. Can be.

상기 와이어 메쉬 구조물은 일반적으로 원통형의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와이어 메쉬 구조물은 바람직하게는 형상기억합금으로 된 와이어를 사용한다.The wire mesh structure is generally cylindrical in shape. The wire mesh structure preferably uses a wire made of a shape memory alloy.

본 발명의 와이어 메쉬 구조는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메쉬 구조를 모두 포함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상기 와이어 메쉬 구조물은 제조작업이 간편하게 됨과 아울러 최소한의 시간을 소요조밀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내강의 휨 형상에 따라 꺽임없이 유연하게 휘면서도 휨 부분에서의 부분 팽창력이 크게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강의 삽입된 위치에서 쉽게 이동하지 않도록 하는 메쉬 구조를 가질 수 있다. The wire mesh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the mesh structures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but preferably, the wire mesh structure can be manufactured in a compact and time-consuming manner while simplifying the manufactur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bending shape of the flexural flexion without bending can not only greatly improve the partial expansion force in the bending portion but also have a mesh structure that does not move easily in the inserted position of the lumen.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와이어 메쉬 구조를 구체적인 예로써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다음의 예들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이들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하거나 제한해석하고자 의도하는 것이 아니다.Hereinafter, a wire mesh structure that can b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a specific example. However, the following examples are not intended to limit or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contents described therein.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와이어 메쉬 구조의 첫 번재 예(이하 '제1의 메쉬 구조'라 한다)로서는, 단위길이로 각각 형성되는 제1 단위부재와, 제2 단위부재로 구성되고, 상기한 제1 단위부재는 원통형상의 구조체를 이루도록 일정한 기준점을 기준으로 일정한 주기를 갖고서 지그재그로 일회전하여 제1의 일턴을 형성하고, 상기한 제1의 일턴의 형성 후 이 제1의 일턴에서 위상 차이를 두고서 서로 대응되게 간섭되어 메쉬 구조를 이루면서 지그재그로 일회전하여 제1의 이턴을 형성하며, 상기한 제2단위부재는 제1의 일턴의 기준점과 대향되는 점에서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갖는 점을 기준점으로 함과 아울러 제1의 일턴과 일정한 위상 차이를 두고서 이 제1의 일턴과 제1의 이턴의 사이로 일정하게 교차되어 메쉬 구조를 이루면서 지그재그로 일회전하여 제2의 일턴을 형성하고, 상기한 제2의 일턴의 형성 후 이 제2의 일턴에서 위상차이를 두고서 서로 대응되게 간섭되어 메쉬 구조를 이루게 됨과 아울러 제1의 일턴과 제1의 이턴의 사이로 일정하게 교차되어 메쉬 구조를 이루면서 지그재그로 일회전하여 제2의 이턴을 형성한다.As a first example of the wire mesh structure that can b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first mesh structure'), the first unit member and the second unit member each formed in a unit length and the second unit member One unit member is rotated in a zigzag with a certain period of time based on a constant reference point to form a cylindrical structure to form a first one turn, and after the formation of the first one turn, the phase difference in the first one turn Corresponding to each other to form a mesh structure while rotating one zigzag to form a first Eaton, the second unit member is a reference point having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point facing the reference point of the first one turn In addition, at a constant phase difference from the first one turn, the first one turn and the first eater are regularly intersected to form a mesh structure and rotate one zigzag. To form a second one turn, and after the formation of the second one turn, the second one turns to interfere with each other with a phase difference to form a mesh structure and between the first one and the first eaton. It crosses constantly and forms a mesh structure, and rotates one zigzag to form a second eaten.

상기 제1의 메쉬 구조에 있어서는, 상기한 제1의 일턴 및 제1의 이턴은 다수의 벤딩 포인트에 의하여 형성되는 제1의 일직선부들 및 제1의 이직선부들과, 상기한 제1의 일직선부들 및 제1의 이직선부들을 각각 연결하는 다수의 제1의 일피크부 및 제1의 이피크부와 제1의 일밸리부 및 제1의 이밸리부로 구성되며, 상기한 제1의 일직선부와 제1의 이직선부가 교차되면서 메쉬를 형성하며, 상기한 제2의 일턴 및 제2의 이턴은 다수의 벤딩 포인트에 의하여 형성되는 제2의 일직선부들 및 제2의 이직선부들과, 상기한 제2의 일직선부들 및 제2의 이직선부들을 각각 연결하는 다수의 제2의 일피크부 및 제2의 이피크부와 제2의 일 밸리부 및 제2의 이밸리부로 구성되며, 상기한 제2의 일직선부와 제2의 이직선부가 교차되면서 메쉬를 형성함과 이 제 2의 일,이직선부들이 제1의 일,이직선부들과 교차되어 메쉬를 형성할 수 있다.In the first mesh structure, the first one-turn and the first-turn may include first straight lines and first straight lines formed by a plurality of bending points, and the first straight lines. And a plurality of first one-peak portions, a first two-peak portion, a first one-valley portion, and a first two-valley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straight line portions, respectively, the first straight portion and the first straight portion. 1 straight line portion intersects to form a mesh, wherein the second one turn and the second turn are second straight lines and second straight lines formed by a plurality of bending points, and the second straight line. And a plurality of second one-peak portions, a second two-peak portion, a second one-valley portion, and a second two-valley portion connecting the straight portions and the second straight portions of, respectively; The second and second straight line portions intersect to form a mesh and the second one, straight line portion One of the first, the cross-line portion and the turnover can form a mesh.

또한 상기 제1의 메쉬 구조에 있어서는, 상기한 제1단위부재는 제1의 이턴을 형성한 후 제2의 일턴을 형성하기 전에 제1의 일턴의 제1의 일직선부를 따라서 적어도 1회이상 꼬임으로 연결하며, 상기한 제2단위부재는 제2의 이턴을 형성한 후 제2의 이턴과 이웃하는 제1의 일턴을 형성하기 전이 미리 제2의 일턴의 제2의 일직선부를 따라서 적어도 1회이상 꼬임으로 연결될 수 있다.In the first mesh structure, the first unit member is twisted at least once along the first straight portion of the first one turn after forming the first eat and before forming the second one turn. The second unit member may be twisted at least one or more times along the second straight portion of the second one turn before the second unit member is formed and before forming the first one that is adjacent to the second one. Can be.

또한 상기 제1의 메쉬 구조에 있어서는, 상기한 제1의 일, 이턴의 제1의 일,이피크부와 제1의 일,이밸리부는 이 제1의 일,이턴과 이웃하는 제1의 일,이턴의 제1의 일,이밸리부와 제1의 일,이피크부와 서로 걸어서 연결되며, 상기한 제2의 일,이턴의 제2의 일,이피크부와 제2의 일,이밸리부는 이 제2의 일,이턴과 이웃하는 제2의 일,이턴의 제2의 일,이밸리부와 제2의 일,이피크부와 서로 걸어서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first mesh structure, the first work, the first work of the Eaton, the two peak parts and the first work, the Evalley part, the first work, the first work neighboring the Eaton, Eaton's first work, the Evalley part and the first work, the two-peak part is connected to each other, the second work, the second work of Eaton, the two-peak part and the second work, this valley part The second work, the second work neighboring the Eaton, the second work of the Eaton, the Evalley and the second work,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two-peak.

또한 상기 제1의 메쉬 구조에 있어서는, 상기한 스텐트에는 이 스텐트가 내강의 협착부위에 삽입되어 팽창할 때 내강과의 마찰을 최소화 함과 아울러 혈액 또는 음식물 등이 원활하게 흐를수 있도록 이 스텐트의 내,외측면을 덮어주기 위한 코팅부재가 코팅될 수 있다.In the first mesh structure, the stent is inserted into the stenosis of the lumen to minimize friction with the lumen when it expands and to allow blood or food to flow smoothly. , Coating member for covering the outer surface may be coated.

또한 상기 제1의 메쉬 구조에 있어서는, 상기한 스텐트의 어느 일단부 또는 양단부에 이 스텐트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고서 코팅부재에 의하여 일체로 연결 되고, 이 스텐트가 내강의 협착부위에 삽입될 때 이 스텐트를 내강에 지지하면서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이동방지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Further, in the first mesh structure, one end or both ends of the stent have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stent and are integrally connected by a coating member, and when the stent is inserted into the stenosis of the lumen, A movement preventing member may be provided to prevent movement while supporting the stent in the lumen.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와이어 메쉬 구조의 두 번째 예(이하 '제2의 메쉬 구조'라 한다)는, 일정한 단위 길이를 갖는 와이어를 원통형상의 구조체를 이루도록 원주면상을 따라 다수의 밴딩 포인트에 의하여 형성되는 직선부들과, 상기한 직선부들을 연결하는 다수의 피크부와 밸리부를 갖도록 지그재그로 일 회전하여 형성되는 제1턴과; 상기한 제1턴에서 위상 차이를 두고 적어도 하나 이상 순차적으로 간섭됨과 아울러 상기 직선부와 교차됨에 의하여 각각 메쉬를 형성하는 다른 직선부들과, 이 다른 직선부들을 각각 연결하는 다수의 다른 피크부들과 다른 밸리부들을 갖도록 지그재그로 순차적으로 회전하여 형성되는 간섭턴을 포함한다.The second example of the wire mesh structure that can b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second mesh structure') is formed by a plurality of bending points alo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to form a wire having a predetermined unit length to form a cylindrical structure. A first turn formed in one zigzag rotation to have a plurality of peaks and valleys connecting the straight portions to the straight portions; Interference with at least one or more sequential phases in the first turn and intersecting with the straight portion, and different from the other straight portion forming a mesh, and a plurality of other peak portions connecting the other straight portion, respectively And an interference turn formed by sequentially rotating in zigzag to have valley portions.

또한 상기 제2의 메쉬 구조에 있어서는, 상기한 제1턴 및 간섭턴의 밸리부는 이 제1턴,간섭턴과 이웃하는 제1턴,간섭턴의 대응하는 피크부를 서로 걸어서 연결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Further, in the second mesh structure, the valley portions of the first turn and the interference turn may be formed by walking the corresponding peaks of the first turn, the interference turn, and the neighboring first turn and the interference turn.

또한 상기 제2의 메쉬 구조에 있어서는, 상기한 간섭턴들 중에서 제일 마지막에 간섭되는 간섭턴의 일단부는 제1턴의 직선부에 적어도 일회 이상 나선상으로 꼬아서 연결하는 연결부를 형성할 수 있다.In the second mesh structure, one end of the interfering turns interfering at least one of the interfering turns may form a connecting portion that is twisted in a spiral at least once in a straight portion of the first turn.

또한 상기 제2의 메쉬 구조에 있어서는, 상기한 연결부는 제1턴,간섭턴과 견고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스텐트가 수축된 상태에서 팽창할 때 길이방향으로 용이하게 뻗칠 수 있도록 직선부들이 서로 교차하는 부위에 적어도 1회 이상 꼬임으로 연결될 수 있다.Further, in the second mesh structure, the connection part is firmly coupled to the first turn and the interference turn, and a portion where the straight parts cross each other so that the stent is easily exten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n the stent is expanded in the contracted state. At least one or more times may be connected to the twist.

또한 상기 제2의 메쉬 구조에 있어서는, 상기한 제1턴과 간섭턴은 동일한 주기로 형성하거나 서로 다른 주기로 형성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second mesh structure, the first turn and the interference turn may be formed at the same period or at different periods.

또한 상기 제2의 메쉬 구조에 있어서는, 상기한 제1턴과 간섭턴은 동일한 폭을 갖도록 형성하거나 서로 다른 폭을 갖도록 형성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second mesh structure, the first turn and the interference turn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width or may be formed to have different widths.

또한 상기 제2의 메쉬 구조에 있어서는, 상기한 제1턴 또는 간섭턴의 적어도 어느 부위에 내강의 협착부위에 견고하게 고정시켜 줌과 아울러 고정된 상태를 유지시켜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이동방지부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econd mesh structure, a movement preventing part for firmly fixing the stenosis of the lumen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turn or the interference turn and maintaining the fixed state is provided. Can be.

또한 상기 제2의 메쉬 구조에 있어서는, 상기한 이동방지부는 제1턴 또는 간섭턴의 일단부에 외측방향으로 직경이 확대되는 플레어형상으로 일체로 형성되거나, 제1턴 또는 간섭턴의 일단부에 이 제1턴 또는 간섭턴의 중심축과 직각방향으로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In the second mesh structure, the movement preventing part is integrally formed in a flare shape in which the diameter of the first turn or the interference turn extends outward, or at one end of the first turn or the interference turn. It may be integrally formed to protrud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entral axis of the first turn or interference turn.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와이어 메쉬 구조의 세 번째 예(이하 '제3의 메쉬 구조'라 한다)는, 단위길이를 갖는 단위부재를 원통형상을 이루도록 기준 원주면을 따라 다수의 밴딩 포인트를 가지면서 지그재그로 일회전하고, 서로 인접하는 대응 부분과 메쉬 구조를 이루면서 걸림 방식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기준 턴과; 상기한 단위부재를 일 기준 턴의 직선부의 외주면을 따라 꼬임 방식으로 연결하여 상기한 기준 턴과 이중으로 겹치게 되는 주 중복 턴을 포함하고, 자체적으로 수축 및 팽창이 가능하며 유연성을 갖는 일정한 단위 길이의 단위부재가 기준 원주면의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지그재그 형상으로 왕복함과 아울러 기준 원주면을 따라서 나선상으로 감겨지면서 서로 교차하여 메쉬 구조를 형성하고, 상기한 단위부재와 단 위부재가 서로 교차할 때 1~3회 거르면서 이 교차부위에서 단위부재들을 서로 꼬임으로 연결하여,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으로 형성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The third example of the wire mesh structure that can b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ird mesh structure') has a plurality of bending points along the reference circumferential surface to form a cylindrical unit member having a unit length A plurality of reference turns which are rotated in a zigzag and connected in a latching manner while forming a mesh structure with corresponding portions adjacent to each other; The unit member is connect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raight portion of one reference turn in a twisted manner, and includes a main overlap turn that overlaps the reference turn in a double way, and is capable of contracting and expanding on its own and having a constant unit length having flexibility. The unit members reciprocate in a zigzag shape from one end of the reference circumferential surface to the other end and are wound spirally along the reference circumferential surface to cross each other to form a mesh structure, and the unit member and the unit member may cross each other. When filtering 1 to 3 times, by connecting the unit members by twisting each other at this intersection, it can be made to form a cylindrical shape as a whole.

또한 상기 제3의 메쉬 구조에 있어서는, 상기한 단위부재는 기준 원주면의 일단부에 형성된 피크부들과; 상기한 기준 원주면의 타단부에 형성된 밸리부들과; 상기한 피크부들과 밸리부들을 서로 연결시켜 주면서 기준 원주면을 따라서 나선상으로 감겨지는 나선부로 이루어 질 수 있다.In the third mesh structure, the unit member may include: peak portions formed at one end of the reference circumferential surface; Valley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reference circumferential surface; It may be made of a spiral wound around the reference circumferential surface spirally connecting the peaks and valleys to each other.

또한 상기 제3의 메쉬 구조에 있어서는, 상기한 나선부들이 서로 교차할 때 이 교차부위를 적어도 일회 이상 거르면서 나선부와 나선부를 꼬임으로 연결하여 연결부를 형성할 수 있다.In the third mesh structure, when the spiral portions intersect with each other, the connecting portion may be twisted to connect the spiral portion and the spiral portion by twisting at least one or more times.

또한 상기 제3의 메쉬 구조에 있어서는, 상기한 연결부는 우수한 유연성과 축소성을 보유하면서도 팽창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나선부의 교차부위를 적어도 한번 이상으로 일정하게 거르면서 일회 꼬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third mesh structure, the connection part may have a single twist while regularly filtering at least one or more crossing portions of the spiral part to ensure expansion while maintaining excellent flexibility and shrinkability.

또한 상기 제3의 메쉬 구조에 있어서는, 자체적으로 수축 및 팽창이 가능하며 유연성을 갖는 일정한 단위길이를 갖는 단위부재를 준비하는 단계와;상기한 단위부재를 기준 원주면의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지그재그 형상으로 왕복하여 피크부와 밸리부 및 이들을 연결하는 나선부를 형성함과 아울러 기준 원주면을 따라서 나선부를 나선상으로 감아주면서 나선부가 교차할 때 메쉬구조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한 단계에서 나선부들이 서로 교차할 때 이 교차부위를 적어도 일회 이상 거르면서 나선부와 나선부를 꼬임으로 연결하여 연결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third mesh structure, preparing a unit member having a predetermined unit length, which is capable of contracting and expanding itself and having flexibility; Zigzags the unit member from one end of the reference circumferential surface to the other end thereof. Forming a mesh structure when the spiral portions intersect while forming a peak portion, a valley portion, and a spiral portion connecting the spiral portions and winding the spiral portion along the reference circumferential surface in a spiral manner. When the spirals intersect with each other in the above step, it may include forming a connection by twisting the intersection portion at least once or more by twisting the spiral portion and the spiral portion.

또한 상기 제3의 메쉬 구조에 있어서는, 상기한 연결부는 우수한 유연성과 축소성을 보유하면서도 팽창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나선부의 교차부위를 적어도 한번 이상으로 일정하게 거르면서 일회 꼬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third mesh structure, the connection part may have a single twist while regularly filtering at least one or more crossing portions of the spiral part to ensure expansion while maintaining excellent flexibility and shrinkability.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와이어 메쉬 구조의 네 번째 예(이하 '제4의 메쉬 구조'라 한다)는, 와이어로 이루어져 있으며 길이방향의 축을 가지는 원통형 스텐트에 있어서, 와이어가 원주면을 따라 직선부들로 연결되는 다수의 피크부와 밸리부를 가지면서 지그재그로 일회전 하면서 형성하는 기준턴들이 원통 길이방향을 따라 기준턴의 높이와 동일한 간격으로 서로 교차점 없이배열되어 있는 복수개의 기준턴과, 상기 기준턴의 좌·우 경사방향으로 배열되면서 겹쳐지는 기준턴의 직선부들을 코일 상으로 감아 상기 복수 개의 기준턴들을 메쉬형태로 서로 연결하고 있는 연결턴들이 좌·우 경사방향으로 기준턴 직선부 간의 거리와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 되어있는 복수개의 연결턴으로 구성될 수 있다.A fourth example of a wire mesh structur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ourth mesh structure') that can b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ylindrical stent composed of a wire and having a longitudinal axis, wherein the wire is formed into straight portions along a circumferential surface. A plurality of reference turns having a plurality of peaks and valleys connected to each other and having one reference turn formed while zipping in a zigzag direction without an intersection point at intervals equal to the height of the reference turns along the length of the cylinder; The connecting turns connecting the plurality of reference turns to each other in a mesh form by winding the linear portions of the reference turns overlapping while being arranged in the left and right tilt directions are equal to the distance between the reference turn straight portions in the left and right tilt directions. It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connecting turns arranged at intervals.

상기 제4의 메쉬 구조에 있어서는, 와이어가 형상기억 합금인 니타놀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fourth mesh structure, the wire may be made of nitanol which is a shape memory alloy.

또한 상기 제4의 메쉬 구조에 있어서는, 연결턴이 이와 겹쳐지는 기준턴의 직선부(1a)들을 2-10회 감쌀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fourth mesh structure, the connection turn may cover the straight portions 1a of the reference turn overlapping with each other 2 to 10 times.

본 발명의 생체 적합성 탄성 고분자 피막(2)은 폴리비닐클로라이드(polyvinyl chloride, PVC), 천연고무, 실리콘 (silicon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ly methacrylate, PMMA), 폴리우레탄(polyurethane, PU), 열가소성 탄성체(thermoplastic elastomer, TPE),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알콜폴리 머(ethylene-vinyl acetate alcohol polymer, EVAL polymer),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아세틸셀룰로오스 (acetyl cellulos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ate, PET), 또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PTF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된 생체 적합성이 있는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이 외에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생체 적합성 있는 고분자 물질로서 알려진 모든 물질은 본 발명의 와이어 메쉬 구조물의 피복 물질로 사용될 수 있다. The biocompatible elastomeric film 2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de of polyvinyl chloride (PVC), natural rubber, silicone, polymethyl methacrylate (PMMA), polyurethane (PU), Thermoplastic elastomer (TPE), ethylene-vinyl acetate alcohol polymer (EVAL polymer), polypropylene (PP), polyethylene (PE), acetyl cellulos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ethyleneterephthalate (PET), or polytetrafluoroethylene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may be made of a biocompatible polymer material of any one or a mixture thereof, in addition to the present invention All materials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s biocompatible polymer materials are Name wire may be used as the covering material of the mesh structure.

상기 와이어 메쉬 구조물(1)과 여기에 피복된 고분자 피막(2)은 외력에 의하여 수축되고, 그 외력이 제거되면 자체 팽창하는 성질, 즉 탄성을 가지게 되므로 삽입수단을 이용하여 그 부피를 현격하게 줄인 상태로 식도의 병변부위에 삽입하여 장착시키고, 삽입수단으로부터 분리된 스텐트는 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팽창 복귀하면서 식도의 협착부위를 바깥으로 밀어내어 그 통로를 확장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스텐트 내부에 부착된 체크 밸브도 탄성을 가진 스텐트와 함께 팽창 복귀하면서 튜브 형태를 유지하게 된다.The wire mesh structure 1 and the polymer film 2 coated thereon are contracted by an external force, and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the wire mesh structure 1 has a property of self-expansion, that is, elasticity. It is inserted into the lesion site of the esophagus in the state, and the stent separated from the insertion means is expanded and returned to its original state by elastic force to push the constriction of the esophagus outward to expand the passage. At the same time, the check valve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stent also maintains the tube shape while expanding and returning with the elastic stent.

이와 같이 설치된 스텐트는 협착된 병변부위를 확장하게 되고, 입으로 섭취된 음식물을 상기 스텐트 및 역류방지튜브를 통해 위까지 원활하게 전달하게 된다.The stent installed as described above expands the constricted lesion site and smoothly delivers the food taken through the mouth to the stomach through the stent and the backflow prevention tube.

상기 체크 밸브(3)는 본 발명의 기본적인 목적인 역류 방지를 위한 것으로서, 도 7에서와 같이 원통형의 슬리브(cylindrical sleeve)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스텐트 외부로 길게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와이어 메쉬 구조물의 내면 상단(4)의 원통을 따라 원형의 접합부위(4)를 형성하여 부착되어 있다. The check valve 3 is for preventing the backflow, which is a basic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eck valve 3 has a cylindrical sleeve shape as shown in FIG. 7, and the upper end of the inner surface of the wire mesh structure so as not to protrude out of the stent. A circular joint 4 is formed and attached along the cylinder of 4).

종래의 기술은 플랙시블한 재질로 된 역류방지튜브가 위 내강에서 유동하면서 위벽 내면을 자극하여 통증을 유발하는 경우가 있었고, 또한 역류방지 효과를 높이기 위해 위 내강으로 길게 돌출된 슬리브 밸브는 십이지장을 폐쇄하는 부작용을 야기하여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스텐트에 대하여는 리콜이 실시되기도 하였다. The conventional technique is that the backflow tub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flows in the lumen of the stomach and causes pain by stimulating the inner wall of the stomach wall. Recall was also performed on the stent according to the prior art, causing side effects of closure.

본 발명에 따르는 스텐트는 상기 와이어 메쉬 구조물(1)의 내부에 삽입된 원통형 슬리브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종래의 스텐트가 가지는 단점을 제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이다. The s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vented to eliminate the disadvantages of the conventional stent as having a cylindrical sleeve inserted into the wire mesh structure (1).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역류 방지 기능을 수행하면서도 생산 비용 및 노력이 절감되는 원통형 슬리브 형상의 얇은 막으로 된 체크 밸브를 포함하는 스텐트를 제공하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ent including a check valve made of a thin membrane in the shape of a cylindrical sleeve which reduces production cost and effort while performing a backflow prevention function.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환자의 상태에 따라 구토 등을 위한 제한적인 역류의 허용 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상기 체크 밸브가 상기 스텐트 내부 중간에 추가적인 고정포인트(5)를 가질 수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heck valve can have an additional fixing point 5 in the middle of the stent so as to select whether to allow limited backflow for vomiting or the like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the patient. To provide a stent.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텐트가 보다 안정적으로 생체 내강에 삽입되어 위치되도록 하고, 장착된 상태에서 유체의 흐름을 보다 원활히 하도록 하는, 말단이 확장된 형태의 스텐트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ent with an extended end shape that allows the stent to be more stably inserted into the living body lumen, and facilitates the flow of fluid in a mounted state.

또한 본 발명의 체크 밸브(3)는 단순한 원통형 슬리브 형상으로 되어있으므 로 제작이 매우 용이하다. 즉, 체크 밸브의 제작을 위한 정교한 금형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그에 따른 노력이나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제품의 불량률이 현저하게 감소한다. In addition, the check valve 3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imple cylindrical sleeve shape, so it is very easy to manufacture. That is, since it does not require an elaborate mold for the manufacture of the check valv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effort or cost, and the defective rate of the product is significantly reduced.

또한 상기 원통형 슬리브 밸브(3)는 슬리브의 길이에 따라 역류의 방지 정도를 쉽게 조절할 수 있고, 완벽에 가까운 역류 방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cylindrical sleeve valve 3 can easily adjust the degree of prevention of backflow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sleeve, it is possible to perform a near-backflow prevention function.

상기 원통형 슬리브는 인체 내강으로부터의 정상적인 압력하에서는 역류가 발생하지 않지만, 일정 수준이상의 역압, 즉 내강으로부터 식도방향의 압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원통형 슬리브가 식도 바깥으로 향하여 뒤집히게 되는 인버트(invert)현상이 발생하고, 이때에는 본 발명의 스텐트가 예외적으로 역류를 허용하게 된다. 즉, 환자가 구토 또는 트림 등으로 인한 역압이 작용하는 경우에 역류를 제한적으로 허용하게 된다.In the cylindrical sleeve, no reverse flow occurs under normal pressure from the lumen of the human body, but inverting the cylindrical sleeve to the outside of the esophagus when the pressure in the esophageal direction is applied to a certain level of back pressure, ie, the lumen, is inverted. Occurs, in which case the s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exceptional backflow. That is, the patient is allowed to restrict the backflow in the case of the back pressure due to vomiting or belching.

나아가 상기의 제한적인 역류의 허용 여부는 다음과 같은 고정포인트(5)의 형성 여부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즉, 원통형 슬리브(3)가 상기 와이어 메쉬 구조물(1) 내면 상단에서 원통을 따라 접합부위(4)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와이어 메쉬 구조물(1)에 부착되는 것 이외에, 상기 접합부위(4)의 아래에서 상기 와이어 메쉬 구조물 내면의 원통을 따라 원을 그리는 고정포인트(5)를 추가적으로 형성함으로써 구토 등으로 인한 역압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역류를 허용하지 않을 수 있다. Furthermore, whether to allow the limited backflow can be selected depending on whether the following fixed points 5 are formed. That is, the cylindrical sleeve 3 is attached to the wire mesh structure 1 in addition to being attached to the wire mesh structure 1 by forming a joining portion 4 along the cylinder at the upper end of the inner surface of the wire mesh structure 1. In addition, by forming a fixed point (5) that draws a circle along the cylinder of the inner surface of the wire mesh structure may not allow backflow even if the back pressure due to vomiting, etc. act.

예컨대, 단순한 식도 협착 등의 경우에는 구토 또는 트림 등을 위한 역류를 허용하는 것이 환자를 보다 편안하게 할 수 있을 것이나, 의식이 불명하거나 죽음에 임박한 환자의 경우에는 구토 또는 트림에 의한 역류를 허용하는 것이 무의미하 고, 완벽한 역류 방지 기능만이 요구된다고 할 것이므로, 상기 와이어 메쉬 구조물(1)과 상기 원통형 슬리브 밸브(3)의 부착을 위하여 상기 접합부위(4)를 형성하는 것 이외에 상기 와이어 메쉬 구조물(1) 내면 상단의 상기 접합부위(4)의 아래 위치에서 내면의 원통을 따라 원을 그리는 고정 포인트를 추가적으로 형성함으로써 역류를 완전하게 차단하는 스텐트를 삽입한다.For example, allowing simple reflux for vomiting or burping may be more comfortable for patients with simple esophageal strictures, but for patients with unconscious or impending death, reflux due to vomiting or burping may be possible. Since it is meaningless and only a perfect backflow prevention function is required, the wire mesh structure is formed in addition to forming the joint portion 4 for attachment of the wire mesh structure 1 and the cylindrical sleeve valve 3. (1) Insert a stent that completely blocks backflow by further forming a fixed point that draws a circle along a cylinder of the inner surface at a position below the junction 4 at the upper end of the inner surface.

전술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원통형 슬리브 밸브(3)가 얇은 막의 생체 적합성 고분자 물질로 구성되는 스텐트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원통형 슬리브 밸브(3)은 생체 적합성 탄성 고분자 물질, 즉 폴리비닐클로라이드(polyvinyl chloride, PVC), 천연고무, 실리콘 (silicon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ly methacrylate, PMMA), 폴리우레탄(polyurethane, PU), 열가소성 탄성체(thermoplastic elastomer, TPE),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알콜폴리머(ethylene-vinyl acetate alcohol polymer, EVAL polymer),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아세틸셀룰로오스 (acetyl cellulos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ate, PET), 또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PTF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된 생체 적합성이 있는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외에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생체 적합성 있는 고분자 물질로서 알려진 모든 물질은 본 발명의 원통형 슬리브 밸브(3)로 사용될 수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achieved by providing a stent in which the cylindrical sleeve valve 3 is composed of a thin membrane biocompatible polymer material. The cylindrical sleeve valve 3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biocompatible elastomeric material, that is, polyvinyl chloride (PVC), natural rubber, silicone, polymethly methacrylate (PMMA), polyurethane ( polyurethane, PU), thermoplastic elastomer (TPE), ethylene-vinyl acetate alcohol polymer (EVAL polymer), polypropylene (PP), polyethylene (PE), acetyl cellulose (acetyl) cellulos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or polytetrafluoroethylene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or any one or a mixture thereof. It is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s a biocompatible polymer material. Any material known can be used as the cylindrical sleeve valve 3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얇은 막으로 된 원통형 슬리브 밸브(3), 바람직하게는 실리콘으로 이루 어진 원통형 슬리브 밸브는 본 발명의 기본적인 목적인 역류 방지 기능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하게 한다. The thin-walled cylindrical sleeve valve 3, preferably a cylindrical sleeve valve made of silicone, makes it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carry out the backflow prevention function which is the basic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메쉬 와이어 구조물(1) 양 말단의 직경이 본체의 직경보다 확장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achieved by providing a st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diameter of both ends of the mesh wire structure (1)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body.

상기 메쉬 와이어 구조물(1)은 그 양 말단에서 본체의 직경보다 확장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며,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5% 정도 확장되고, 불연속적으로 확장된다. 상기 확장된 직경을 갖는 말단은 환자에 삽입된 위치에서 안정감을 증가시키고, 음식물 등의 흐름을 원활하게 한다. The mesh wire structure 1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extended at both ends than the diameter of the body, preferably 15% to 25%, and discontinuously expanded. The end having the expanded diameter increases the sense of stability at the position inserted into the patient, and facilitates the flow of food and the like.

본 발명의 스텐트는 인체 내강이 협착하여 좁아진 환자에 있어서, 그 환자의 내강에 삽입하여 음식물 등 유체의 통로를 확보함은 물론, 스텐트 내부에 역류방지수단인 슬리브형 체크밸브를 갖춤으로써 역류로 인한 부작용을 제거하였다. 한편, 본 발명의 스텐트는 환자의 상태에 따라 구토 등을 위한 제한적인 역류의 허용 여부가 선택될 수 있게 함으로써 스텐트를 삽입한 환자에게 최적의 편안함을 제공하도록 하였다.In the s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arrowing of the lumen of the human body allows the patient to be inserted into the lumen of the patient, thereby securing a passage of fluid such as food, and having a sleeve-type check valve as a backflow prevention means in the stent. Side effects were eliminated. On the other hand, the s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to allow the limited reflux for vomiting, etc.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the patient to be selected to provide optimal comfort to the patient inserted the stent.

또한 본 발명은 그 제작의 용이함으로 인하여 생산 비용의 절감은 물론, 불량률을 현저히 낮춤으로써 산업상의 이용 가치가 증가한 스텐트를 제공하고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ent having an increased industrial use value by significantly lowering a defect rate as well as a reduction in production cost due to its ease of manufacture.

Claims (6)

생물체 내강에 삽입되는 수축-팽창이 가능한 스텐트에 있어서, 한 가닥 또는 그 이상의 가닥의 와이어를 서로 엮거나 지그재그로 교차시켜서 제조되는 원통형의 와이어 메쉬 구조물(wire meshed struture)(1); 상기 와이어 메쉬 구조물(1)을 피복시키는 생체 적합성 탄성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진 피막(2); 그리고 상기 와이어 메쉬 구조물(1) 내면 상단의 원통을 따라 접합된 원통형 슬리브(cylindrical sleeve) 형상의 역류방지용 체크 밸브(3)를 포함하는 축소-팽창 가능형 스텐트.1. A shrink-expandable stent inserted into an organism lumen, comprising: a cylindrical wire meshed struture (1) made by weaving or zigzag crossing one or more strands of wire together; A film (2) made of a biocompatible elastomeric polymer material covering the wire mesh structure (1); And a non-return check valve (3) in the shape of a cylindrical sleeve joined along a cylinder at the top of the inner surface of the wire mesh structure (1). 제1항의 스텐트에 있어서, 상기 메쉬 와이어 구조물(1)은 양 말단의 직경이 본체의 직경보다 확장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The sten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esh wire structure (1) has a diameter at both ends of the stent being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main body. 제1항의 스텐트에 있어서, 상기 탄성 고분자 피막(2)이, 폴리비닐클로라이드(polyvinyl chloride, PVC), 천연고무, 실리콘 (silicon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ly methacrylate, PMMA), 폴리우레탄(polyurethane, PU), 열가소성 탄성체(thermoplastic elastomer, TPE),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알콜폴리머(ethylene-vinyl acetate alcohol polymer, EVAL polymer),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아세틸셀룰로오스 (acetyl cellulos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ate, PET), 그리고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PTF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 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The stent of claim 1, wherein the elastic polymer film 2 is made of polyvinyl chloride (PVC), natural rubber, silicone, polymethyl methacrylate (PMMA), or polyurethane (polyurethane). , PU), thermoplastic elastomer (TPE), ethylene-vinyl acetate alcohol polymer (EVAL polymer), polypropylene (PP), polyethylene (PE), acetyl cellulose ),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ethyleneterephthalate, PET), and polytetrafluoroethylene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any one or a mixture thereof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stent. 제1항의 스텐트에 있어서, 상기 체크 밸브(3)가, 폴리비닐클로라이드(polyvinyl chloride, PVC), 천연고무, 실리콘 (silicon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ly methacrylate, PMMA), 폴리우레탄(polyurethane, PU), 열가소성 탄성체(thermoplastic elastomer, TPE),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알콜폴리머(ethylene-vinyl acetate alcohol polymer, EVAL polymer),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아세틸셀룰로오스 (acetyl cellulos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ate, PET), 그리고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PTF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생체 적합성 탄성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The stent of claim 1, wherein the check valve (3) is made of polyvinyl chloride (PVC), natural rubber, silicone, polymethly methacrylate (PMMA), polyurethane (polyurethane, PU), thermoplastic elastomer (TPE), ethylene-vinyl acetate alcohol polymer (EVAL polymer), polypropylene (PP), polyethylene (PE), acetyl cellulose ,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ethyleneterephthalate, PET), and polytetrafluoroethylene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is a stent,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 biocompatible elastic polymer material which is any one or a mixture thereof. 제1항의 스텐트에 있어서, 상기 체크 밸브(3)가 0.1mm 이하의 얇은 막으로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Stent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check valve (3) consists of a thin film of 0.1 mm or less. 제1항의 스텐트에 있어서, 상기 체크 밸브(3)가 상기 접합부위(4) 아래에서 상기 와이어 메쉬 구조물(1) 내면의 원통을 따라 고정포인트(5)를 추가로 갖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Stent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check valve (3) further has a fixed point (5) along the cylinder of the inner surface of the wire mesh structure (1) below the junction (4).
KR1020070018114A 2007-02-22 2007-02-22 Expandable stent having check valve therein KR2008007826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8114A KR20080078265A (en) 2007-02-22 2007-02-22 Expandable stent having check valve therei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8114A KR20080078265A (en) 2007-02-22 2007-02-22 Expandable stent having check valve therei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8265A true KR20080078265A (en) 2008-08-27

Family

ID=39880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8114A KR20080078265A (en) 2007-02-22 2007-02-22 Expandable stent having check valve therei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78265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0646B1 (en) * 2010-05-14 2012-06-29 신경민 Abstinence-only stent on the prevention of food emissions
WO2015147381A1 (en) * 2014-03-28 2015-10-01 주식회사 에스앤지바이오텍 Stent for preventing reverse flow
CN108186072A (en) * 2018-01-19 2018-06-22 西安交通大学医学院第附属医院 A kind of anti-stent that backflows coincideing for hollow orga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20189A1 (en) * 1997-12-09 2001-09-06 Taylor Thomas V. Sutureless gastroesophageal anti-reflux valve prosthesis and tool for peroral implantation thereof
KR100393548B1 (en) * 2001-06-05 2003-08-02 주식회사 엠아이텍 Stent
KR20040021266A (en) * 2002-09-03 2004-03-10 주식회사 엠아이텍 St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 same
KR100572136B1 (en) * 1998-08-31 2006-04-19 윌슨-쿡 메디컬, 인크. Backflow Prevention Esophageal Prosthetics
US7118600B2 (en) * 1998-08-31 2006-10-10 Wilson-Cook Medical, Inc. Prosthesis having a sleeve valv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20189A1 (en) * 1997-12-09 2001-09-06 Taylor Thomas V. Sutureless gastroesophageal anti-reflux valve prosthesis and tool for peroral implantation thereof
KR100572136B1 (en) * 1998-08-31 2006-04-19 윌슨-쿡 메디컬, 인크. Backflow Prevention Esophageal Prosthetics
US7118600B2 (en) * 1998-08-31 2006-10-10 Wilson-Cook Medical, Inc. Prosthesis having a sleeve valve
KR100393548B1 (en) * 2001-06-05 2003-08-02 주식회사 엠아이텍 Stent
KR20040021266A (en) * 2002-09-03 2004-03-10 주식회사 엠아이텍 St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 sam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0646B1 (en) * 2010-05-14 2012-06-29 신경민 Abstinence-only stent on the prevention of food emissions
WO2015147381A1 (en) * 2014-03-28 2015-10-01 주식회사 에스앤지바이오텍 Stent for preventing reverse flow
CN108186072A (en) * 2018-01-19 2018-06-22 西安交通大学医学院第附属医院 A kind of anti-stent that backflows coincideing for hollow orga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02907B1 (en) Flexible endoluminal stent and process of manufacture
JP6059227B2 (en) Bifurcated stent graft device and deployment
JP7213290B2 (en) Stent-grafts with enhanced flexibility
US9566182B2 (en) Pyloric obesity valve
JP5523700B2 (en) Flexible stent
AU2015277089B2 (en) Biliary stent
KR101314224B1 (en) Flexible devices
ES2752187T3 (en) Multilumen stent endoprosthesis
US6241757B1 (en) Stent for expanding body's lumen
CN109875733B (en) Ureter bracket
KR101937112B1 (en) Endoluminal device
CN104936557A (en) Esophageal stent
WO2004103451A1 (en) Temporarily indwelled stent and stent graft
JP2017533806A (en) Stent prosthesis
KR20130096724A (en) Trimmable catheter including distal portion stability features
CN115697216A (en) High-retention drainage device
KR20080078265A (en) Expandable stent having check valve therein
KR100267019B1 (en) Stent for expanding body's lume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23134841A (en) Stent with atraumatic spacer
JP2021019709A (en) Stent
US20230087452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attaching non-connected anatomical structures
KR102459751B1 (en) Stents and Medical Devices
JP6901869B2 (en) Covered stent
JP2004105381A (en) Intracelom expansion apparatus
KR101574496B1 (en) Anti migraition stent for non vascul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