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6200A - Data input device using touch-screen - Google Patents

Data input device using touch-scree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6200A
KR20080076200A KR1020070015832A KR20070015832A KR20080076200A KR 20080076200 A KR20080076200 A KR 20080076200A KR 1020070015832 A KR1020070015832 A KR 1020070015832A KR 20070015832 A KR20070015832 A KR 20070015832A KR 20080076200 A KR20080076200 A KR 200800762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screen
touch screen
reference position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58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오의진
Original Assignee
오의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의진 filed Critical 오의진
Priority to KR1020070015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76200A/en
Priority to CN2007800479601A priority patent/CN101568894B/en
Priority to RU2009118514/08A priority patent/RU2451981C2/en
Priority to CA002667276A priority patent/CA2667276A1/en
Priority to EP07833540A priority patent/EP2074492A1/en
Priority to BRPI0717471-3A2A priority patent/BRPI0717471A2/en
Priority to JP2009534492A priority patent/JP2010507861A/en
Priority to AU2007309911A priority patent/AU2007309911B2/en
Priority to PCT/KR2007/005231 priority patent/WO2008051011A1/en
Publication of KR20080076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6200A/en
Priority to US12/428,392 priority patent/US20090262090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6Details of scanning methods, e.g. sampling time, grouping of sub areas or time sharing with display dr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A data input device using a touch screen is provided to enhance accuracy and convenience in inputting data on the touch screen and to reduce inputting time compared to a conventional input device. A data input device includes a screen(10), a sensing unit, a memory(70), a controller, a reference display unit(40), plural input targets(50), and a direction input display unit(60). The screen generates an input signal caused by a touch of a user, and displays an input target corresponding to the input signal. The sensing unit senses a touch on the screen. The memory stores the input targets corresponding to the input signals. The controller extracts the input target corresponding to the input signal sensed by the sensing unit when a user touches on the screen, and displays the extracted input target on the screen. The reference display unit displays a reference position. The plural input targets are radially arranged from the reference position display unit. The direction input display unit enables a user to input a direction toward one among the plural input targets. The reference display unit, the plural input targets and the direction input display unit are all displayed on the screen.

Description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DATA INPUT DEVICE USING TOUCH-SCREEN} Data input device using touch screen {DATA INPUT DEVICE USING TOUCH-SCREE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ata input device using a touch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의 정면도이며, 2 is a front view of a data input device using a touch scree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는 외향이동입력을 도시한 도면이고, 3A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utward movement input;

도 3b는 내향이동입력을 도시한 도면이며, 3B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ward movement input,

도 3c는 기울임입력을 도시한 도면이고, 3C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tilt input,

도 3d는 접촉입력을 도시한 도면이며, 3D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tact input,

도 3e는 원주방향이동입력을 도시한 도면이고, 3E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ircumferential movement input;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의 정면도이며, 4 is a front view of a data input device using a touch scree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기준위치표시부, 방향입력표시부 및 입력대상이 스크린상에서 이동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ference position display unit, a direction input display unit, and an input object moving on a screen;

도 6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의 정면도이다. 6 is a front view of a data input device using a touch screen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 : 스크린                       20 : 감지부 10: screen 20: detection unit

22 : 제 1 압력감지부              24 : 제 2 압력감지부 22: first pressure sensing unit 24: second pressure sensing unit

30 : 제어부                       40 : 기준위치표시부 30: control unit 40: reference position display unit

45 : 이동점                       50 : 입력대상 45: moving point 50: input target

52 : 제 2 입력대상                54 : 제 3 입력대상 52: second input object 54: third input object

60 : 방향입력표시부               70 : 메모리부 60: direction input display part 70: memory part

80 : 투명조절부                   90 : 안착영역 80: transparent control part 90: seating area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폰, PDA 등 휴대용 정보기기에 있어서, 터치스크린상에 방향입력방식에 의해 데이터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ta input device using a touch screen. In particular, in a portable information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or a PDA, data can be input quickly and accurately on the touch screen by a direction input method.

최근 소프트웨어와 반도체기술 및 정보처리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달함에 따라 휴대폰, PDA, 컴퓨터 등 각종 정보기기가 점차 소형화, 다기능화되는 추세에 있으며, 이와 더불어 정보기기에 있어서의 데이터 등의 입력을 통한 정보저장 및 통신의 중요성 또한 날로 커지고 있다. Recently,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software, semiconductor technology, and information processing technology, various information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PDAs, computers, etc. are gradually becoming smaller and more multifunctional. In addition, information storage through input of data in information devices And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is also growing day by day.

종래에는 상기 정보기기에 데이터를 입력함에 있어서, 입력키의 누름에 의한 방식을 사용하고 있었으나, 최근에는 휴대폰(Hand Held Phone), 개인정보단말 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휴대용 컴퓨터(Palm-sized Personal Computer)와 같은 상기 정보기기에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방식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Conventionally, in inputting data into the information device, a method of pressing an input key has been used, but recently, a hand held phone,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portable computer (Palm- Increasingly, data input methods using a touch screen are increasing in the information devices such as sized personal computers.

일반적으로 터치스크린이란, 입력키, 키보드 및 마우스를 대체하는 입력장치로서, 터치스크린을 스크린상에 장착한 후 본 스크린상에 손 또는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등을 통해 직접 터치하여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장치이다. In general, a touch screen is an input device that replaces an input key, a keyboard, and a mouse. The touch screen is mounted on a screen, and then touched directly on the screen using a hand or a stylus pen to input data. It is a device that can.

여기서, 상기 터치스크린은 GUI(Graphic User Interface) 환경에서 직관적인 업무 수행이 가능한 장치로 휴대용 입력장치(휴대폰, PDA, 스마트 폰)에 적합하며, 컴퓨터 기분 훈련 및 시뮬레이션 응용분야, 사무 자동화 응용분야, 교육 응용분야 및 게임 응용분야 등에서 널리 사용될 수 있다. Here, the touch screen is a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intuitive tasks in a GUI (Graphic User Interface) environment, and is suitable for portable input devices (mobile phones, PDAs, smart phones), computer mood training and simulation applications, office automation applications, It can be widely used in educational applications and game applications.

이러한 터치스크린방식을 이용한 입력장치는 기본적으로 모니터에 부착되는 터치패널(Touch Panel), 컨트롤러, 디바이스 구동부 및 응용(Application) 프로그램을 기본 구성으로 하고 있다. The input device using the touch screen method basically includes a touch panel attached to a monitor, a controller, a device driver, and an application program.

이 경우, 상기 터치패널은 사용자가 입력하는 신호를 감지할 수 있도록 특수 처리된 전극 유리(ITO GLASS)와 전극 필름(ITO FILM)을 포함한 여러 층으로 구성되며, 상기 터치패널의 표면에 손 또는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등을 이용하여 접촉하면, 디스플레이 위치인식센서가 터치패널 상에서 접촉되는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touch panel is composed of several layers including an electrode glass (ITO GLASS) and an electrode film (ITO FILM) that is specially processed to detect a signal input by the user, the hand or stylus on the surface of the touch panel When a touch is made using a pen, such as a stylus pen, the display position sensor may detect a touch position on the touch panel.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위치인식 센서에서 감지된 입력신호를 컨트롤러에 전달하면, 상기 컨트롤러에서는 A/D 컨버터에 신호를 전달하고, A/D 컨버터에서는 아 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디바이스 구동부에 전달한다. In addition, when an input signal sensed by the display position sensor is transmitted to a controller, the controller transmits a signal to an A / D converter, and the A / D converter converts an analog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and transmits the signal to a device driver. do.

여기서, 상기 디바이스 구동부는 A/D 컨버터로부터 전달받은 입력신호에 따라 해당값을 출력하며, 본 해당값에 따라 응용프로그램을 구동하게 된다. Here, the device driver outputs a corresponding value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received from the A / D converter, and drives an application program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value.

그러나, 종래의 터치스크린상에 손 또는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등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방식은, 사용자가 상기 터치스크린상에 데이터를 직접 기입하는 방식으로서, 입력하고자하는 데이터를 정확하게 기입하지 못하면 예상하지 못한 다른 데이터가 입력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데이터 입력의 정확성이 떨어지며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method of inputting data using a hand or a stylus pen on a touch screen is a method in which a user directly writes data on the touch screen. If not, other unexpected data may be input, which causes a problem in that the data input accuracy is reduced.

또한, 상기 터치스크린상에 손 또는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등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려면, 반드시 양손을 사용해야 하며, 한 손으로 데이터 입력이 가능한 종래의 입력키방식에 비해 편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in order to input data using a hand or a stylus pen on the touch screen, two hands must be used, and the convenience of the data is reduc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input key method that enables data input with one hand. There was this.

한편, 사용자가 이동 중에 상기 데이터를 입력하는 경우, 정보기기자체가 흔들리게 되며, 이로 인해 데이터 입력의 정확성은 떨어질뿐만 아니라, 입력키를 사용하는 방식에 비해 상대적으로 데이터 입력시간도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inputs the data while moving, the information device itself is shaken, and this causes not only the accuracy of the data input to be lowered but also the data input time is increased compared to the method of using the input key. there was.

또한, 휴대폰, PDA 같은 소형 정보기기에서는 공간상의 제약으로 인해 전술한 '1타 1음소'를 구현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즉, '1타 1음소'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한글입력의 경우에는 최소 24개 이상, 영어나 일본어 등의 외국어의 경우에는 이보다 더 많은 수의 입력키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In addition, in a small information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or a PDA, it is very difficult to implement the above-described 'one-to-one phoneme' due to space limitations. That is, in order to implement 'one other one phoneme', at least 24 input letters are required for Korean input and a larger number of input keys are required for foreign languages such as English or Japanese.

따라서, 종래의 휴대폰에서는 제한된 개수의 입력키로 다양한 문자, 숫자, 기호등을 입력하기 위해 1개의 입력키에 다수 개의 문자를 중복배열하고 추가로 마 련된 기능키를 통해 문자세트를 선택하여 문자를 입력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Therefore, in the conventional mobile phone, in order to enter various characters, numbers, symbols, etc. with a limited number of input keys, a plurality of characters are arranged in one input key and the character set is selected through additional function keys to input characters. There was a problem that can only be don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터치스크린상에서의 방향입력을 통해 데이터입력의 정확성과 편리성을 향상시킨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ata input device using a touch screen that improves the accuracy and convenience of data input through direction input on the touch screen.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터치스크린상에서 스타일러스 펜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입력하는 경우보다 입력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ata input device using a touch screen that can reduce the input time than when using a tool such as a stylus pen on the touch screen.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터치스크린상에서 1회의 입력동작으로 2 이상의 음소입력이 가능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ata input device using a touch screen capable of two or more phoneme inputs in one input operation on the touch screen.

본 발명은 전술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특히 휴대폰, PDA 등 휴대용 정보기기에 있어서, 터치스크린상에 방향입력방식에 의해 데이터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improve the problems of the data input device using the above-described touch screen, in particular, in a portable information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PDA, it is possible to quickly and accurately input data on the touch screen by the direction input method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터치로 인한 입력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입력대상을 표시하는 스크린과; 상기 스크린상의 터치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입력대상이 저장된 메모리부와; 상기 스크린상의 터치시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상기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입력대상 을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스크린상에 표시하는 제어부;로 마련되는 터치스크린에 있어서,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creen for generating an input signal due to the touch, and displays an input object corresponding to the input signal; A detector for detecting a touch on the screen; A memory unit storing an input object corresponding to the input signal; A touch screen comprising: a control unit which extracts an input object corresponding to the input signal sensed by the sensing unit from the memory unit and displays it on the screen when the touch on the screen is performed.

기준위치를 표시하는 기준위치표시부와, 본 기준위치표시부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열된 복수의 입력대상과, 상기 기준위치표시부로부터 상기 복수의 입력대상 중 어느 하나로 향하는 방향입력이 이루어지는 방향입력표시부가 터치스크린에 표시될 수 있다. A reference position display portion for displaying a reference position, a plurality of input objects arranged radially around the reference position display portion, and a direction input display portion for direction input from the reference position display portion 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input objects is touched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여기서, 상기 방향입력은 상기 기준위치표시부를 터치한 상태에서, 본 기준위치표시부로부터 상기 입력대상이 위치한 방향을 향해 방사상으로 이동하여 해당 입력대상을 입력하는 외향이동입력으로 마련될 수 있다. Here, the direction input may be provided as an outward movement input for inputting the corresponding input object by moving radially from the reference position display part toward the direction in which the input object is located while touching the reference position display part.

또한, 상기 방향입력은 상기 입력대상을 터치한 상태에서, 본 입력대상으로부터 상기 기준위치표시부가 위치한 방향을 향해 이동하여 해당 입력대상을 입력하는 내향이동입력으로 마련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irection input may be provided as an inward movement input for inputting a corresponding input object by moving toward the direction in which the reference position display unit is located while the input object is touched.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향입력은 상기 기준위치표시부를 터치한 상태에서, 본 기준위치표시부로부터 상기 입력대상 중 어느 하나로 터치부위를 변경함으로써 최초 터치 면적에 변화가 생기는 경우, 상기 터치 면적이 변화된 방향에 따라 터치되고 있는 방향의 해당 입력대상을 입력하는 기울임입력으로 마련될 수 있다. Preferably, when the change in the initial touch area occurs by changing the touch area from the reference position display part to any one of the input objects while the direction input is in touch with the reference position display part,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touch area is changed. Therefore, it may be provided as an inclination input for inputting the corresponding input target in the direction of being touched.

여기서, 상기 방향입력은 상기 입력대상을 터치하여 해당 입력대상을 입력하는 접촉입력으로 마련될 수 있다. Here, the direction input may be provided as a touch input for touching the input target and inputting the corresponding input target.

또한, 상기 방향입력은 다단입력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irection input may be provided to enable a multi-stage input.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향이동입력은 다단입력이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스크린상에서 상기 기준위치표시부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입력대상으로 이동입력시 설정된 수치이상의 이동변위가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에서 외향이동다단입력으로 판단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outward movement input is provided to enable a multi-stage input, and when the displacement detects a movement displacement equal to or greater than a value set when the movement input from the reference position display unit to the one or more input targets is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 It can be determined as an outward moving multi-stage input.

여기서, 상기 내향이동입력은 다단입력이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스크린상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입력대상으로부터 상기 기준위치표시부로 이동입력시 설정된 수치이상의 이동변위가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에서 내향이동다단입력으로 판단할 수 있다. Here, the inward movement input is provided to enable a multi-stage input, and the inward movement in the control unit when a movement displacement of more than a value set when the movement input from the one or more input objects to the reference position display unit is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on the screen. It can be determined by multi-stage input.

또한, 상기 기울임입력은 다단입력이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스크린상에 압력을 감지하는 제 1 압력감지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기준위치표시부의 최초 터치 면적에 변화가 발생한 후, 상기 제 1 압력감지부에서 설정된 수치이상의 압력이 설정된 입력시간 이내에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에서 기울임다단입력으로 판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clination input is provided to enable a multi-stage input, and further includes a first pressure sensing unit for sensing the pressure on the screen, after the change occurs in the initial touch area of the reference position display, the first pressure sensing unit When a pressur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value set in the step is detected within a predetermined input time, the control unit may determine it as a tilt multistage input.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촉입력은 다단입력이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스크린에 마련된 하나 이상의 입력대상에 압력을 감지하는 제 2 압력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대상을 터치한 후, 상기 제 2 압력감지부에서 설정된 수치이상의 압력이 설정된 입력시간 이내에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에서 접촉다단입력으로 판단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contact input includes a second pressure sensing unit configured to enable a multi-stage input to sense pressure on at least one input object provided on the screen, and after touching the input object, in the second pressure sensing unit When a pressure equal to or greater than a set value is detected within a set input time, the control unit may determine the contact multi-stage input.

한편,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는 상기 기준위치표시부만을 터치하는 경우, 제 2 입력대상이 입력되는 중앙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data input device using the touch screen may include a central input for inputting a second input object when only the reference position display unit is touched.

여기서, 상기 방향입력은 상기 입력대상을 터치한 후, 설정된 입력시간 이내 에 본 입력대상을 기준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원주방향의 이동을 수행하는 경우, 해당 입력대상이 입력되는 원주방향이동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direction input is a circumferential movement to which the input object is input whe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moved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based on the input object within the set input time after touching the input object. May contain input.

또한, 상기 중앙입력이 상기 이동입력 또는 상기 기울임입력 중 어느 하나와 동시 또는 설정된 입력시간 내에 함께 수행되는 경우, 제 3 입력대상이 입력되는 중앙방향조합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central input is performed simultaneously with either the movement input or the tilt input, or simultaneously within a set input time, the central input may include a central direction combination input to which a third input target is input.

바람직하게는, 상기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는 상기 외향이동입력, 상기 내향이동입력, 상기 기울임입력, 상기 접촉입력, 상기 외향이동다단입력, 상기 내향이동다단입력, 상기 기울임다단입력 또는 상기 접촉다단입력 중 두 개 이상의 입력방식을 사용하여 상기 입력대상이 입력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data input device using the touch screen includes the outward movement input, the inward movement input, the tilt input, the contact input, the outward movement multistage input, the inward movement multistage input, the inclination multistage input, or the contact. The input object may be input using two or more input methods among multiple inputs.

여기서, 상기 방향입력표시부는 상기 방사상으로 배열된 입력대상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방향입력은 4 방향으로 구성되어 각 방향에 입력대상이 표시될 수 있다. The direction input display unit may be provided inside the radially arranged input objects, and the direction input may be configured in four directions to display the input objects in each direction.

또한, 상기 방향입력표시부는 상기 방사상으로 배열된 입력대상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방향입력은 8 방향으로 구성되어 각 방향에 입력대상이 표시될 수 있다. The direction input display unit may be provided inside the radially arranged input objects, and the direction input may be configured in eight directions to display the input objects in each direc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향입력표시부는 상기 스크린상에 2벌로 마련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direction input display unit may be provided in duplicate on the screen.

여기서, 상기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는 상기 기준위치표시부와 상기 방향입력표시부 중 어느 하나를 터치한 상태에서 특정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Here, the data input device using the touch screen may be provided to move in a specific direction while touching any one of the reference position display unit and the direction input display unit.

또한, 상기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는 상기 기준위치표시부와 상기 방향입력표시부 중 어느 하나를 터치한 상태에서 특정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e data input device using the touch screen may be provided to move in a specific direction while touching any one of the reference position display unit and the direction input display unit.

바람직하게는, 상기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는 상기 기준위치표시부와 상기 방향입력표시부 중 어느 하나를 터치한 상태에서 특정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data input device using the touch screen may be provided to move in a specific direction while touching any one of the reference position display unit and the direction input display unit.

여기서, 상기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는 상기 기준위치표시부와 상기 방향입력표시부 중 어느 하나를 터치한 상태에서 특정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Here, the data input device using the touch screen may be provided to move in a specific direction while touching any one of the reference position display unit and the direction input display unit.

또한, 상기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는 상기 기준위치표시부와 상기 방향입력표시부 중 어느 하나를 터치한 상태에서 특정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e data input device using the touch screen may be provided to move in a specific direction while touching any one of the reference position display unit and the direction input display unit.

바람직하게는, 상기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는 상기 기준위치표시부와 상기 방향입력표시부 중 어느 하나를 터치한 상태에서 특정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data input device using the touch screen may be provided to move in a specific direction while touching any one of the reference position display unit and the direction input display unit.

여기서, 상기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는 투명조절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본 투명조절부에 의해 본 스크린상에 표시되는 상기 기준위치표시부, 상기 방향입력표시부 및 상기 입력대상의 투명도의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The data input device using the touch screen may further include a transparent control unit, and the reference position display unit, the direction input display unit, and the transparency of the input object displayed on the screen may be controlled by the transparent control unit. have.

또한, 상기 복수의 입력대상은 상기 기준위치표시부로부터의 이격거리를 반경으로 하는 원주의 일부 영역에만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input objects may be disposed only in a partial region of the circumference having a radius of the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reference position display por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는 상기 제어부에서 추출된 입력대상을 소리로 알려주는 음향표시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data input device using the touch screen may further include a sound display unit for notifying the input object extracted by the controller in soun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는, 터치로 인한 입력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입력대상(50)을 표시하는 스크린(10)과, 상기 스크린(10)상의 터치를 감지하는 감지부(20)와, 상기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입력대상(50)이 저장된 메모리부(70)와, 상기 스크린(10)상의 터치시 상기 감지부(20)에서 감지된 상기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입력대상(50)을 상기 메모리부(70)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스크린(10)상에 표시하는 제어부(30);로 마련되는 터치스크린에 있어서, 기준위치를 표시하는 기준위치표시부(40)와, 본 기준위치표시부(40)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열된 복수의 입력대상(50)과, 상기 기준위치표시부(40)로부터 상기 복수의 입력대상(50) 중 어느 하나로 향하는 방향입력이 이루어지는 방향입력표시부(60)가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Referring to FIG. 1, a data input device using a touch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creen 10 for generating an input signal due to a touch and displaying an input object 50 corresponding to the input signal, and the screen. A sensing unit 20 for sensing a touch on the touch screen 10, a memory unit 70 storing an input object 50 corresponding to the input signal, and the sensing unit 20 when touching the screen 10. A control unit 30 which extracts an input object 50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input signal from the memory unit 70 and displays it on the screen 10; A reference position display section 40, a plurality of input objects 50 arranged radially about the reference position display section 40, and one of the plurality of input objects 50 from the reference position display section 40; The direction input display unit 60 is configured to make a direction input. Characterized in that displayed on the screen.

여기서, 상기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는 투명조절부(80)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data input device using the touch screen may additionally include a transparent control unit 80.

또한, 상기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는 상기 제어부(30)에서 추출된 입력대상(50)을 소리로 알려주는 음향표시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ata input device using the touch screen may further include a sound display unit for notifying the input object 50 extracted by the control unit 30 by sound.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먼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입력방식의 의미를 도 3을 참조하여 명확히 구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before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the meaning of the input method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clearly distinguished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또한, 이하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스크린(10)은 터치스크린 뿐만 아니라, 터치패드, 또는 터치키패드를 포함하는 접촉방식에 의한 입력장치로 구성된 광범위한 의미의 구성요소임을 먼저 밝혀둔다.In addition, the screen 10, which is a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first as a component having a broad meaning composed of a touch screen as well as a touch pad or an input device by a touch method including a touch keypad.

외향이동입력이란, 사용자가 상기 기준위치표시부(40)를 터치한 상태에서, 상기 본 기준위치표시부(40)로부터 상기 입력대상(50)이 위치한 방향을 향해 방사상으로 이동하여 해당 입력대상(50)을 입력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The outward movement input refers to the input object 50 by moving radially from the reference position display part 40 toward the direction in which the input object 50 is located while the user touches the reference position display part 40. It means how to input.

즉,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입력대상(50) 중 한글 자음인 " ㄱ " 을 입력하는 경우라면, 상기 기준위치표시부(40)를 먼저 터치하며, 상기 터치 상태를 계속 유지하면서 X1으로부터 X2만큼 A 방향을 향해 이동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입력대상(50) 중 한글 자음인 " ㄱ " 의 입력이 가능하며, 이러한 입력방식을 외향이동입력이라 정의한다. That is, as shown in FIG. 3A, when the user inputs "a", which is a Korean consonant, among the input objects 50, first touches the reference position display unit 40, and maintains the touch state. Can move toward direction A by X2 from. Thereby, the input of the object 50, "a" of the Korean consonant can be input, and this input method is defined as an outward movement input.

여기서, 상기 외향이동입력에 의해, 입력대상(50) 중 한글 자음인 " ㄱ " 이 입력될 수도 있지만,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글 자음인 " ㅈ " 이나 한글 모음인 " ㅏ " 가 입력되도록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Here, by the outward movement input, "a", which is a Korean consonant, may be input among the input objects 50, but as shown in FIG. 3A, the Korean consonant "" or a Korean vowel "ㅏ" is input. Of course, it can be provided.

내향이동입력이란, 사용자가 상기 입력대상(50)을 터치한 상태에서, 본 입력대상(50)으로부터 상기 기준위치표시부(40)가 위치한 방향을 향해 이동하여 해당 입력대상(50)을 입력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The inward movement input is a method of inputting the corresponding input object 50 by moving toward the direction in which the reference position display unit 40 is located from the input object 50 while the user touches the input object 50. Means.

즉,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입력대상(50) 중 한글 자음인 " ㄱ " 을 입력하는 경우라면, 상기 입력대상(50), 즉, 한글 자음인 " ㄱ " 을 먼저 터치하며, 상기 터치 상태를 계속 유지하면서 Y3으로부터 Y2만큼 B 방향을 향해 이동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입력대상(50) 중 한글 자음인 " ㄱ " 의 입력이 가능하며, 이러한 입력방식을 내향이동입력이라 정의한다. That is, as illustrated in FIG. 3B, when the user inputs "a", which is a Korean consonant, among the input objects 50, first touches the input object 50, that is, "a", which is a Korean consonant. While maintaining the touch state, it is possible to move in the direction of B from Y3 to Y2. Thereby, the input of the object 50, "a" of the Korean consonant can be input, and this input method is defined as an inward movement input.

여기서, 상기 내향이동입력에 의해, 입력대상(50) 중 한글 자음인 " ㄱ " 이 입력될 수도 있지만,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글 자음인 " ㅈ " 이나 한글 모음인 " ㅏ " 가 입력되도록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Here, by the inward movement input, "a", which is a Korean consonant, may be input among the input targets 50, but as shown in FIG. 3b, "한글", which is a Korean consonant or "ㅏ", which is a Korean vowel. Of course, it can be provided.

기울임입력이란, 사용자가 상기 기준위치표시부(40)를 터치한 상태에서, 본 기준위치표시부(40)로부터 상기 입력대상(50) 중 어느 하나로 터치 부위를 변경함으로써 최초 터치 면적에 변화가 생기는 경우, 상기 터치 면적이 변화된 방향에 따라 터치되고 있는 방향의 해당 입력대상(50)을 입력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With the tilt input, when the user touches the reference position display unit 40, when the touch area is changed from the reference position display unit 40 to any one of the input objects 50, the initial touch area changes. A method of inputting a corresponding input object 50 in a direction in which the touch area is touched according to the changed direction.

즉,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입력대상(50) 중 한글 자음인 " ㄱ " 을 입력하는 경우라면, 상기 기준위치표시부(40)를 먼저 터치하며, 상기 터치 상태를 계속 유지하면서 C 방향을 향해 터치 부위의 면적을 변화시킨다. 즉, 사용자의 손가락을 상기 기준위치표시부(40)에 터치한 상태에서 입력대상(50) 중 한글 자음인 " ㄱ " 을 향해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을 기울일 수 있다. 이에 의해, 입력대상(50) 중 한글 자음인 " ㄱ " 의 입력이 가능하며, 이러한 입력방식을 기울임입력이라 정의한다. That is, as illustrated in FIG. 3C, when the user inputs "a", which is a Korean consonant, among the input objects 50, the reference position display unit 40 is first touched, while the touch state is maintained. The area of the touched part is changed toward the direction. That is, the user's finger may be tilted toward “a” which is a Korean consonant among the input objects 50 while the user's finger touches the reference position display unit 40. Thereby, the input of the subject 50 is possible to input the "a" of the Korean consonant, this input method is defined as italic input.

여기서, 상기 기울임입력에 의해, 입력대상(50) 중 한글 자음인 " ㄱ " 이 입력될 수도 있지만,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글 자음인 " ㅈ " 이나 한글 모 음인 " ㅏ " 가 입력되도록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Here, by the italic input, "a", which is a Korean consonant, may be input among the input objects 50, but as shown in FIG. 3c, the Korean consonant "" or a Korean vowel "ㅏ" may be input. Of course, it can be prepared.

접촉입력이란, 사용자가 상기 입력대상(50)을 터치하여 해당 입력대상(50)을 입력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The touch input refers to a method in which a user touches the input object 50 to input the corresponding input object 50.

즉,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입력대상(50) 중 한글 자음인 " ㄱ " 을 입력하는 경우라면, 상기 스크린(10)상의 상기 한글 자음인 " ㄱ " 을 직접 터치하는 방식이다. 이에 의해, 입력대상(50) 중 한글 자음인 " ㄱ " 의 입력이 가능하며, 이러한 입력방식을 접촉입력이라 정의한다. That is, as illustrated in FIG. 3D, when the user inputs "a", which is a Korean consonant, among the input objects 50, the user directly touches the "a" which is the Korean consonant on the screen 10. Thereby, the input of the consonant "a" of the Korean consonant 50 is possible, and this input method is defined as a contact input.

여기서, 상기 접촉입력에 의해, 입력대상(50) 중 한글 자음인 " ㄱ " 이 입력될 수도 있지만,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글 자음인 " ㅈ " 이나 한글 모음인 " ㅏ " 가 입력되도록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Here, the contact input may be input a "a", which is a Korean consonant, among the input targets 50, but as shown in FIG. 3d, the Korean consonant "" "or a Korean vowel" ㅏ "may be input. Of course, it can be prepared.

외향이동다단입력이란, 상기 스크린(10)상에서 상기 기준위치표시부(40)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입력대상(50)으로 이동입력시 설정된 수치이상의 이동변위가 상기 감지부(20)에서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30)에서 외향이동다단입력으로 판단하여 상기 입력대상(50)이 입력되는 방식을 의미한다. The outward movement multi-stage input means that when the movement unit detects a movement displacement equal to or greater than a value set when the movement input from the reference position display unit 40 to the one or more input objects 50 on the screen 10 is performed, The controller 30 determines the outward movement multi-stage input, and means the input object 50.

즉,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입력대상(50) 중 한글 자음인 " ㄱ " 을 입력하는 경우라면, 상기 기준위치표시부(40)를 먼저 터치하며, 상기 터치 상태를 계속 유지하면서 X1으로부터 X3만큼 A 방향을 향해 이동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입력대상(50) 중 한글 자음인 " ㄱ " 의 입력이 가능하며, 이러한 입력방식을 외향이동입력이라 정의한다. That is, as shown in FIG. 3A, when the user inputs "a", which is a Korean consonant, among the input objects 50, first touches the reference position display unit 40, and maintains the touch state. Can move toward direction A by X3 from. Thereby, the input of the object 50, "a" of the Korean consonant can be input, and this input method is defined as an outward movement input.

여기서, 상기 외향이동다단입력에 의해, 입력대상(50) 중 한글 자음인 " ㄱ " 이 입력될 수도 있지만,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글 자음인 " ㅈ " 이나 한글 모음인 " ㅏ " 가 입력되도록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Here, by the outward movement multi-stage input, "a", which is a Korean consonant, may be input among the input objects 50, but as shown in FIG. 3A, the Korean consonant "" "or the Korean vowel" ㅏ "may be input. Of course, it can be provided to be input.

또한, 상기 외향이동입력에 의해 상기 한글 자음인 " ㄱ " 이 입력되도록 설정된 경우라면, 상기 외향이동다단입력에 의해서는 한글 자음인 " ㅈ " 이나 한글 모음인 " ㅏ " 가 입력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Further, when the Korean consonant "a" is set to be input by the outward movement input, the outward movement multi-stage input may be set to input "" which is a Korean consonant or "ㅏ" which is a Korean vowel. .

내항이동다단입력이란, 상기 스크린(10)상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입력대상(50)으로부터 상기 기준위치표시부(40)로 이동입력시 설정된 수치이상의 이동변위가 상기 감지부(20)에서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30)에서 내향이동다단입력으로 판단하여 상기 입력대상(50)이 입력되는 방식을 의미한다. Inner port moving multi-stage input means that when the displacement is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 20 more than the value set during the movement input from the at least one input object 50 to the reference position display unit 40 on the screen 10, The controller 30 determines the inward movement multi-stage input, and means a method of inputting the input target 50.

즉,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입력대상(50) 중 한글 자음인 " ㄱ " 을 입력하는 경우라면, 상기 입력대상(50), 즉, 한글 자음인 " ㄱ " 을 먼저 터치하며, 상기 터치 상태를 계속 유지하면서 Y3으로부터 Y1만큼 B 방향을 향해 이동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입력대상(50) 중 한글 자음인 " ㄱ " 의 입력이 가능하며, 이러한 입력방식을 내향이동입력이라 정의한다. That is, as illustrated in FIG. 3B, when the user inputs "a", which is a Korean consonant, among the input objects 50, first touches the input object 50, that is, "a", which is a Korean consonant. While maintaining the touch state, it is possible to move in the direction of B from Y3 to Y1. Thereby, the input of the object 50, "a" of the Korean consonant can be input, and this input method is defined as an inward movement input.

여기서, 상기 내향이동다단입력에 의해, 입력대상(50) 중 한글 자음인 " ㄱ " 이 입력될 수도 있지만,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글 자음인 " ㅈ " 이나 한글 모음인 " ㅏ " 가 입력되도록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Here, by the inward movement multi-stage input, "a", which is a Korean consonant, may be input among the input objects 50, but as shown in FIG. 3b, "", which is a Korean consonant, or "ㅏ", which is a Korean vowel. Of course, it can be provided to be input.

또한, 상기 내향이동입력에 의해 상기 한글 자음인 " ㄱ " 이 입력되도록 설정된 경우라면, 상기 내향이동다단입력에 의해서는 한글 자음인 " ㅈ " 이나 한글 모음인 " ㅏ " 가 입력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when the Korean consonant "a" is set to be input by the inward movement input, the inward movement multi-stage input may be set so that the Korean consonant "" "or the Korean vowel" ㅏ "is input. .

기울임다단입력이란, 상기 스크린(10)상에 압력을 감지하는 제 1 압력감지부(22)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기준위치표시부(40)의 최초 터치 면적에 변화가 발생한 후, 상기 제 1 압력감지부(22)에서 설정된 수치이상의 압력이 설정된 입력시간 이내에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30)에서 기울임다단입력으로 판단하여 상기 입력대상(50)이 입력되는 방식을 의미한다. The tilt multistage input further includes a first pressure sensing unit 22 for sensing pressure on the screen 10, and after the change occurs in the initial touch area of the reference position display unit 40, the first pressure. When the pressure greater than the value set by the sensing unit 22 is detected within the set input time, the control unit 30 determines that the input target 50 is input as determined by the tilt multistage input.

즉,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입력대상(50) 중 한글 자음인 " ㄱ " 을 입력하는 경우라면, 상기 기준위치표시부(40)를 먼저 터치하며, 상기 터치 상태를 계속 유지하면서 C 방향을 향해 터치 부위의 면적을 변화시킨 후, 상기 스크린(10)상에 설정된 수치이상의 압력을 부가한다. 즉, 사용자의 손가락을 상기 기준위치표시부(40)에 터치한 상태에서 입력대상(50) 중 한글 자음인 " ㄱ " 을 향해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을 기울인 후, 일정한 압력을 부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입력대상(50) 중 한글 자음인 " ㄱ " 의 입력이 가능하며, 이러한 입력방식을 기울임다단입력이라 정의한다. That is, as illustrated in FIG. 3C, when the user inputs "a", which is a Korean consonant, among the input objects 50, the reference position display unit 40 is first touched, while the touch state is maintained. After changing the area of the touched portion toward the direction, pressure above the numerical value set on the screen 10 is added. That is, the user's finger inclined toward the "a", which is the Korean consonant among the input objects 50, while touching the reference position display unit 40, and then may apply a constant pressure. As a result, input of the alphabetic consonant "a" among the input target 50 is possible, and this input method is defined as an inclination multi-step input.

여기서, 상기 기울임다단입력에 의해, 입력대상(50) 중 한글 자음인 " ㄱ " 이 입력될 수도 있지만,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글 자음인 " ㅈ " 이나 한글 모음인 " ㅏ " 가 입력되도록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Here, the input of the italic multi-stage input, "a", which is a Korean consonant, may be input, but as shown in FIG. 3c, the Korean consonant "" "or the Korean vowel" ㅏ "may be input. Of course, it can be provided.

또한, 상기 기울임입력에 의해 상기 한글 자음인 " ㄱ " 이 입력되도록 설정된 경우라면, 상기 기울임다단입력에 의해서는 한글 자음인 " ㅈ " 이나 한글 모음인 " ㅏ " 가 입력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when the Korean consonant "a" is set to be input by the inclination input, the Korean consonant "" "or the Korean vowel" 한글 "may be set by the tilt input.

접촉다단입력이란, 상기 스크린(10)에 마련된 하나 이상의 입력대상(50)에 압력을 감지하는 제 2 압력감지부(24)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대상(50)을 터치한 후, 상기 제 2 압력감지부(24)에서 설정된 수치이상의 압력이 설정된 입력시간 이내에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30)에서 접촉다단입력으로 판단하여 상기 입력대상(50)이 입력되는 방식을 의미한다. The contact multi-stage input includes a second pressure sensing unit 24 for sensing pressure on at least one input object 50 provided on the screen 10, and after touching the input object 50, the second pressure sensing unit 24. When a pressur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value set by the pressure sensing unit 24 is detected within the set input time, the controller 30 determines that the input target 50 is input as determined as a multi-stage contact.

즉,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입력대상(50) 중 한글 자음인 " ㄱ " 을 입력하는 경우라면, 먼저 한글 자음인 " ㄱ "  을 터치하며, 본 한글 자음인 " ㄱ " 을 터치한 상태를 계속 유지한 상태에서 설정된 입력시간 이내에 설정된 수치이상의 압력을 부가한다. 즉, 사용자의 손가락을 한글 자음인 " ㄱ " 에 터치한 상태에서 일정한 압력을 부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입력대상(50) 중 한글 자음인 " ㄱ " 의 입력이 가능하며, 이러한 입력방식을 접촉다단입력이라 정의한다. That is, as shown in FIG. 3D, when the user inputs "a", which is a Korean consonant, among the input target 50, first touches the "a", which is a Korean consonant, and touches the "a" which is a Korean consonant. The pressure above the set value is added within the set input time while maintaining one state. That is, a certain pressure may be applied while the user's finger is touched on the letter "a", which is a Korean consonant. Thereby, the input of the subject 50 is possible to input the "a" of the Korean consonant, this input method is defined as a contact multi-stage input.

여기서, 상기 접촉다단입력에 의해, 입력대상(50) 중 한글 자음인 " ㄱ " 이 입력될 수도 있지만,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글 자음인 " ㅈ " 이나 한글 모음인 " ㅏ " 가 입력되도록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In this case, the contact multi-stage input may be input a "a", which is a Korean consonant, among the input targets 50, but as shown in FIG. 3d, a Korean consonant "" "or a Korean vowel" ㅏ "is input. Of course, it can be provided.

또한, 상기 접촉입력에 의해 상기 한글 자음인 " ㄱ " 이 입력되도록 설정된 경우라면, 상기 접촉다단입력에 의해서는 한글 자음인 " ㅈ " 이나 한글 모음인 " ㅏ " 가 입력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when the Korean consonant "a" is set to be input by the contact input, the contact multi-stage input may be set to input the Korean consonant "" "or the Korean vowel" ㅏ ".

한편, 상기 방향입력방식에 의해 입력되는 입력대상(50) 중 한글 자/모음은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상기 입력대상(50)은 다양한 문자, 숫자, 기호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의 배열 또한 다양할 수 있으며, 상기 도 3에 도시된 한글 자/모음의 배열은 하나의 예시일 뿐임을 밝혀둔다. Meanwhile, the Hangul alphabet / vowel of the input object 50 input by the direction input method is just one example, and the input object 50 may include various letters, numbers, and symbols. In addition, the arrangement of the data may also vary, and the arrangement of the Hangul characters / vowels shown in FIG. 3 is just one example.

중앙입력이란, 사용자가 상기 기준위치표시부(40)만을 터치하는 경우, 제 2 입력대상(52), 즉, 설정된 상기 데이터 또는 정보기기상의 일정기능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방식을 의미한다. When the user touches only the reference position display unit 40, the central input refers to an input method capable of inputting a second input object 52, that is, a predetermined function on the set data or information device.

즉, 상기 기준위치표시부(40)를 터치한 상태에서 설정된 입력시간 이내에 이동이나 기울임 등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스크린(10)상의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이동입력 또는 상기 기울임입력으로 판단할 수 있지만, 상기 기준위치표시부(40)만의 터치가 감지된다면, 상기 제어부(30)는 중앙입력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입력방식을 중앙입력이라 정의한다. That is, when movement or tilting occurs within a set input time while the reference position display unit 40 is touched, the control unit 30 on the screen 10 may determine the movement input or the tilting input. However, if only the touch of the reference position display unit 40 is sensed, the controller 30 may determine the center input, and this input method is defined as the center input.

여기서, 상기 중앙입력에 의해 입력될 수 있는 제 2 입력대상(52)으로는 문자, 숫자, 기호 등이며, 또한, 일정한 기능이 입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정보기기의 모드변경기능, 상기 데이터의 엔터(Enter)기능 또는 취소기능, 통화시에는 통화기능 또는 통화종료기능 등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Here, the second input object 52 that may be input by the central input may be a letter, a number, a symbol, or the like, and a predetermined function may be input. That is, it may be provided as a mode change function of the information device, an enter function or a cancel function of the data, a call function or a call termination function during a call.

한편, 상기 문자, 숫자, 기호의 데이터와 모드변경, 엔터 또는 취소, 통화 또는 종료의 일정기능은 본 발명에 따른 중앙입력 방식의 예시일 뿐이며, 상기 중앙입력을 통해 입력될 수 있는 데이터 또는 기능은 다양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On the other hand, the constant function of the data and mode change, enter or cancellation, call or end of the letters, numbers, symbols is only an example of the central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or functions that can be input through the central input Note that it may vary.

원주방향이동입력이란,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입력대상(50)을 터치한 후, 설정된 입력시간 이내에 본 입력대상(50)을 기준으로 시계방향(E방향) 또는 반시계방향(D방향)으로 원주방향의 이동을 수행하는 경우, 해당 입력대상(50)이 입력되는 입력방식을 의미한다. As shown in FIG. 3E, the circumferential movement input refers to the clockwise direction (E direction) or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D) with respect to the input object 50 within the set input time after the input object 50 is touched. Direction), it means an input method in which the corresponding input target 50 is input.

여기서, 상기 원주방향이동입력은 사용자가 터치한 최초의 입력대상(50)과 사용자의 터치가 해제되는 최후의 입력대상(50)을 조합하여 입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최초 입력대상(50)은 한글자음이며, 최후 입력대상(50)은 한글모음으로 상기 자음과 상기 모음의 조합입력이 가능할 수 있다. Here, the circumferential movement input may be provided by combining the first input target 50 touched by the user and the last input target 50 released by the user. In this case, the first input target 50 may be a Korean consonant, and the last input target 50 may be a Korean input as a combination input of the consonant and the vowel.

즉, 도 3e를 예로 들면, 사용자가 한글 자음인 " ㅈ " 을 터치한 후, 시계방향, 즉, E 방향으로 이동하여 한글 모음인 " ㅑ " 에서 터치를 해제하였다면, 상기 제어부(30)에서는 상기 한글 자음인 " ㅈ " 과 상기 한글 모음인 " ㅑ " 를 조합하여, 상기 스크린(10)상에 " 쟈 " 가 표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3E, if the user touches the Korean consonant “” and then moves clockwise, that is, in the E direction and releases the touch from the Korean vowel “ㅑ”, the control unit 30 determines that The combination of the Korean consonant "" "and the Korean vowel" ㅑ "may be provided so that" Ja "is displayed on the screen 10.

여기서, 상기 원주방향이동입력에 의한 입력방식은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다양한 방식 또는 조합에 의해 해당 입력대상(50)이 입력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Here, the input method by the circumferential movement input is only one example, and it is noted that the corresponding input object 50 may be input by various methods or combinations.

또한, 상기 원주방향이동입력에 의해, 상기 정보기기의 볼륨조절이나 스크롤 바(Scroll Bar)의 이동 또는 메뉴선택 등의 기능입력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circumferential movement input may provide a function input such as volume control of the information device, movement of a scroll bar, or menu selection.

중앙방향조합입력이란, 상기 중앙입력이 상기 이동입력 또는 상기 기울임입력 중 어느 하나와 동시 또는 설정된 입력시간 내에 함께 수행되는 경우, 제 3 입력대상(54)이 입력되는 입력방식을 의미한다. The central direction combination input refers to an input method in which the third input object 54 is input when the central input is simultaneously performed with either the movement input or the tilt input, or within a set input time.

즉, 예들 들어, 설정된 입력시간이 2초에서 4초의 범위라면, 상기 기준위치표시부(40)를 터치한 상태로 2초가 경과되기 전에 상기 이동입력 또는 상기 기울임입력이 감지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이동입력 또는 상기 기울임입력으로 판단할 수 있다. That is, for example, if the set input time ranges from 2 seconds to 4 seconds, when the movement input or the tilt input is detected before 2 seconds elapses while the reference position display unit 40 is touched, the controller 30 ) May be determined as the movement input or the tilt input.

또한, 상기 기준위치표시부(40)를 터치한 상태로 4초가 경과되거나, 또는 상 기 4초가 경과되기 전이라도 상기 기준위치표시부(40)를 터치 후 상기 방향입력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기준위치표시부(40)의 터치해제가 발생하는 때에는,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중앙입력으로 판단할 수 있다. In addition, even after 4 seconds have elapsed while the reference position display unit 40 is touched, or even before the 4 seconds have elapsed, the reference position has not been made after touching the reference position display unit 40. When the touch release of the display unit 40 occurs, the controller 30 may determine the center input.

여기서, 상기 기준위치표시부(40)를 터치 후, 상기 2초와 상기 4초의 입력시간 범위 내에 상기 이동입력 또는 상기 기울임입력이 감지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30)는 중앙방향조합입력으로 판단할 수 있다. Here, after touching the reference position display unit 40, when the movement input or the tilt input is detected within the input time ranges of 2 seconds and 4 seconds, the control unit 30 may determine the center direction combination input. have.

즉, 사용자가 상기 이동입력 시, 상기 기준위치표시부(40)를 터치하는 경우가 발생하더라도, 상기 기준위치표시부(40)를 터치 후 터치해제까지의 시간이 2초 내라면,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기준위치표시부(40)의 터치를 무시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상기 이동입력 중에 상기 기준위치표시부(40)를 터치하더라도 상기 중앙입력이나 상기 중앙방향조합입력이 입력되는 경우는 발생하지 않는다. That is, even if a user touches the reference position display unit 40 during the movement input, if the time until the touch release after touching the reference position display unit 40 is within 2 seconds, the controller 30 The touch of the reference position display unit 40 can be ignored, and thus, even if the reference position display unit 40 is touched during the movement input, the center input or the central direction combination input does not occur.

한편, 상기 중앙방향조합입력에 의해 입력될 수 있는 제 3 입력대상(54)으로는 문자, 숫자, 기호, 또는 한글 쌍자음 등이며, 또한, 일정한 기능이 입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정보기기의 모드변경기능, 상기 데이터의 엔터(Enter)기능 또는 취소기능, 통화시에는 통화기능 또는 통화종료기능 등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Meanwhile, the third input object 54 which may be input by the central direction combination input may be a letter, a number, a symbol, a Korean consonant, or the like, and a predetermined function may be provided. That is, it may be provided as a mode change function of the information device, an enter function or a cancel function of the data, a call function or a call termination function during a call.

즉, 상기 중앙입력과 상기 이동입력이 동시에 수행되는 경우에는 모드변경이, 상기 중앙입력과 상기 기울임입력이 동시에 수행되는 경우에는 기능입력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at is, the mode change may be performed when the center input and the movement input are performed at the same time, and the function input may be performed when the center input and the tilt input are performed at the same time.

여기서, 상기 문자, 숫자, 기호의 데이터와 모드변경, 엔터 또는 취소, 통화 또는 종료의 일정기능은 본 발명에 따른 중앙입력 방식의 예시일 뿐이며, 상기 중 앙입력을 통해 입력될 수 있는 데이터 또는 기능은 다양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Here, the schedule function of data and mode change, enter or cancellation, call or end of the letters, numbers, and symbols is merely an example of a central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data or functions that can be input through the central input. Note that may vary.

이하, 각 구성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ach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를 참조하면, 스크린(10)은 기준위치를 표시하는 기준위치표시부(40)와, 본 기준위치표시부(40)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열된 복수의 입력대상(50)과, 상기 기준위치표시부(40)로부터 상기 복수의 입력대상(50) 중 어느 하나로 향하는 방향입력이 이루어지는 방향입력표시부(60)가 표시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screen 10 includes a reference position display unit 40 for displaying a reference position, a plurality of input objects 50 arranged radially around the reference position display unit 40, and the reference position. The direction input display unit 60 in which a direction input is made from the display unit 40 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input objects 50 may be displayed.

즉, 사용자는 상기 스크린(10)상에 표시되어 있는 기준위치표시부(40)를 터치한 상태로 각 입력대상(50)을 향해 방향입력을 수행할 수 있으며, 또는 각 입력대상(50)을 직접 터치하는 방식으로 방향입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사용자는 원하는 입력대상(50)의 입력이 가능해 진다. That is, the user may perform a direction input toward each input object 50 while touching the reference position display unit 40 displayed on the screen 10, or directly input each input object 50. The direction input may be performed by touching. As a result, the user can input the desired input target 50.

여기서, 상기 방향입력이란, 상기 외향이동입력, 상기 내향이동입력, 상기 기울임입력, 상기 접촉입력, 상기 외향이동다단입력, 상기 내향이동다단입력, 상기 기울임다단입력, 상기 접촉다단입력, 상기 중앙입력, 상기 원주방향이동입력 또는 상기 중앙방향조합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direction input is the outward movement input, the inward movement input, the tilt input, the contact input, the outward movement multi-stage input, the inward movement multi-stage input, the inclination multi-stage input, the contact multi-stage input, the center input. It may include the circumferential movement input or the central direction combination input.

한편, 상기 스크린(10)은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며, 본 터치스크린은 키보드를 사용하지 않고도, 상기 터치스크린에 나타난 문자나 특정 위치에 사람의 손 등이 접촉되면, 상기 특정 위치를 파악하여 스크린(10)에 입력대상(50)을 표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creen 10 includes a touch screen, the touch screen, without using a keyboard, when a person's hand, etc. in contact with the character or a specific position shown on the touch screen, grasp the specific position screen ( It may be provided to display the input target 50 on 10).

또한, 상기 스크린(10)은 사용자가 손 등을 접촉하여 입력대상(50)을 입력하는 방식의 화면을 모두 포함하며, 예를 들어, 컴퓨터의 입력에 사용될 수 있는 터치패널 역시 상기 스크린(10)에 포함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creen 10 includes all screens in which a user inputs an input object 50 by touching a hand or the like. For example, a touch panel that can be used for input of a computer also includes the screen 10. Can be included.

여기서, 상기 스크린(10)은 상기 감지부(20)에 연결되며, 본 감지부(20)에서 사용자의 터치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30)에서는 상기 감지부(20)에서 감지된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입력대상(50)을 상기 메모리부(70)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스크린에 표시하도록 마련된다. Here, the screen 10 is connected to the sensing unit 20, when the user's touch is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20, the control unit 30 detects the input signal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20. It is provided to extract the input target 50 corresponding to the from the memory unit 70 to display on the screen.

또한, 상기 스크린(10)은 상기 제 1 압력감지부(22)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기준위치표시부의 최초 터치 면적에 변화가 발생한 후, 본 제 1 압력감지부(22)에서 설정된 수치이상의 압력이 설정된 입력시간 이내에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30)는 기울임다단입력으로 판단하여 해당 입력대상(50)을 본 스크린(10)에 표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creen 10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pressure sensing unit 22, and after a change occurs in the initial touch area of the reference position display unit, the pressure greater than the value set in the first pressure sensing unit 22. When it is detected within the set input time, the controller 30 may determine that the input is a tilted multistage input and display the corresponding input object 50 on the screen 10.

즉, 예를 들어, 상기 기울임입력에 의해 한글이 입력되고 상기 기울임다단입력에 의해 영어 알파벳이 입력되며, 입력시간이 1초로 설정되었다면, 상기 기울임입력이 입력된 후, 상기 제 1 압력감지부(22)에서 설정된 수치이상의 압력이 감지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설정된 입력시간인 1초가 경과한 경우라면,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기울임입력으로 판단하여 상기 기울임입력에 해당하는 한글을 입력할 수 있다. That is, for example, if the Hangul is input by the tilt input and the English alphabet is input by the tilt input, and the input time is set to 1 second, after the tilt input is input, the first pressure sensing unit ( When 1 second, which is the set input time, has elapsed while the pressur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value set in 22) has not been detected, the controller 30 may determine that the tilt input is performed and input a Hangul corresponding to the tilt input.

그러나, 상기 기울임입력이 입력된 후, 상기 설정된 입력시간인 1초 이내에 상기 제 1 압력감지부(22)에서 설정된 수치이상의 압력이 감지되는 경우라면,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기울임다단입력으로 판단하여 상기 기울임다단입력에 해당하는 영어 알파벳을 입력할 수 있다. However, if a pressure equal to or greater than a value set by the first pressure sensing unit 22 is sensed within 1 second of the set input time after the tilt input is input, the controller 30 determines that the tilt input is performed. The English alphabet corresponding to the italic input may be input.

또한, 상기 스크린(10)은 상기 제 2 압력감지부(24)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입력대상(50)을 터치한 후, 상기 제 2 압력감지부(24)에서 설정된 수치이상의 압력이 설정된 입력시간 이내에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30)는 접촉다단입력으로 판단하여 해당 입력대상(50)을 본 스크린(10)에 표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creen 10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pressure sensing unit 24, and after touching the input target 50, an input having a pressure higher than a value set by the second pressure sensing unit 24 is set. If detected within the time, the control unit 30 may determine that the contact multi-stage input and display the corresponding input target 50 on the screen 10.

즉, 예를 들어, 상기 접촉입력에 의해 한글이 입력되고 상기 접촉다단입력에 의해 영어 알파벳이 입력되며, 입력시간이 1초로 설정되었다면, 상기 접촉입력이 입력된 후, 상기 제 2 압력감지부(24)에서 설정된 수치이상의 압력이 감지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설정된 입력시간인 1초가 경과한 경우라면,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접촉입력으로 판단하여 상기 접촉입력에 해당하는 한글을 입력할 수 있다. That is, for example, if the Korean alphabet is input by the contact input, the English alphabet is input by the contact multi-stage input, and the input time is set to 1 second, after the contact input is input, the second pressure sensing unit ( When 1 second, which is the set input time, has elapsed while the pressur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value set in 24) is not detected, the controller 30 may determine the touch input and input a Hangul corresponding to the touch input.

그러나, 상기 접촉입력이 입력된 후, 상기 설정된 입력시간인 1초 이내에 상기 제 2 압력감지부(24)에서 설정된 수치이상의 압력이 감지되는 경우라면,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접촉다단입력으로 판단하여 상기 접촉다단입력에 해당하는 영어 알파벳을 입력할 수 있다. However, if a pressure equal to or greater than a value set by the second pressure sensing unit 24 is detected within 1 second of the set input time after the contact input is input, the controller 30 determines that the contact multi-stage input is performed. The English alphabet corresponding to the contact multi-stage input may be input.

감지부(20)는 상기 스크린(10)상의 터치를 감지하도록 마련된다. 즉, 사용자가 상기 스크린(10)상에 터치를 하는 경우, 본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The sensing unit 20 is provided to detect a touch on the screen 10. That is, when the user makes a touch on the screen 10, the user is provided to sense the touch.

상기 감지부(20)는 상기 스크린(10)과 상기 제어부(30)에 연결되어, 상기 스크린(10)에서 터치가 발생한 경우 본 스크린(10)상의 터치를 감지하며, 감지된 상 기 입력신호를 상기 제어부(3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감지부(20)에서 감지된 상기 입력신호를 전송받으며, 본 입력신호에 대응되는 상기 입력대상(50)을 상기 메모리부(70)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스크린(10)상에 표시하도록 마련된다. The detection unit 20 is connected to the screen 10 and the control unit 30, and when a touch occurs on the screen 10, detects a touch on the screen 10, and detects the detected input signal. It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30. The control unit 30 receives the input signal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 20, extracts the input object 50 corresponding to the input signal from the memory unit 70, and then displays the screen 10. Is provided for display.

상기 감지부(20)는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적외선을 감지할 수 있는 광센서를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스크린(10)상에 적외선이 흐르도록 마련되는 경우, 사용자의 손 등이 본 스크린(10)에 접촉되면, 본 접촉을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감지부(20)는 적외선의 감지가 가능한 광센서로 마련될 수 있다. The sensing unit 20 may be provid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may be provided with an optical sensor that can detect infrared light. That is, when infrared rays are provided on the screen 10, when the user's hand or the like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creen 10, the detection unit 20 may detect infrared rays so as to detect the main contact. It may be provided as an optical sensor.

또한, 상기 감지부(20)는 상기 기울임다단입력을 수행하는 경우, 설정된 수치이상의 압력을 감지할 수 있는 제 1 압력감지부(22)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제 1 압력감지부(22)는 상기 스크린(10)에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스크린(10)에 포함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nsing unit 20 may include a first pressure sensing unit 22 capable of sensing a pressure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when the tilt multi-stage input is performed, and the first pressure sensing unit 22 is present. May be connected to the screen 10 or provided to be included in the screen 10.

즉, 상기 기울임입력이 수행된 후, 설정된 입력시간 이내에 설정된 수치이상의 압력이 상기 제 1 압력감지부(22)에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30)는 기울임다단입력으로 판단하여, 해당 입력대상(50)을 입력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That is, after the tilt input is performed, if a pressure equal to or greater than a set value is detected within the set input time by the first pressure detecting unit 22, the controller 30 determines that the tilt is multistage input, and determines the corresponding input target ( 50) can be entered.

또한, 상기 감지부(20)는 상기 접촉다단입력을 수행하는 경우, 설정된 수치이상의 압력을 감지할 수 있는 제 2 압력감지부(24)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제 2 압력감지부(24)는 상기 스크린(10)에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스크린(10)에 포함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nsing unit 20 may include a second pressure sensing unit 24 capable of sensing a pressure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when the contact multi-stage input is performed, and the second pressure sensing unit 24 is present. May be connected to the screen 10 or provided to be included in the screen 10.

즉, 상기 접촉입력이 수행된 후, 설정된 입력시간 이내에 설정된 수치이상의 압력이 상기 제 2 압력감지부(24)에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30)는 접촉다단입력으로 판단하여, 해당 입력대상(50)을 입력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That is, after the contact input is performed, if a pressure equal to or greater than a set value is detected within the set input time by the second pressure detecting unit 24, the controller 30 determines that the contact is multi-stage input, and the corresponding input object ( 50) can be entered.

제어부(30)는 상기 스크린(10)을 터치하는 경우, 상기 감지부(20)에서 감지된 상기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입력대상(50)을 상기 메모리부(70)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스크린(10)상에 표시하도록 마련된다. When the control unit 30 touches the screen 10, the control unit 30 extracts an input object 50 corresponding to the input signal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 20 from the memory unit 70 to display the screen 10. It is arranged to display on the image.

여기서,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각각 방향입력에 대한 다단입력을 판단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즉, 상기 외향이동입력과 상기 내향이동입력은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 이동변위가 상기 감지부(20)에서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30)는 각각 외향다단입력과 내향다단입력으로 판단할 수 있다. Here, the control unit 30 is provided to determine the multi-stage input for each direction input. That is, the outward movement input and the inward movement input may be determined as the outward multi-stage input and the inward multi-stage input, when the movement displacement exceeding a set range is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20, respectively. .

또한,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제 1 압력감지부(22)와 제 2 압력감지부(24)에서 설정된 입력시간 이내에 설정된 수치이상의 압력이 감지되는 경우, 각각 기울임다단입력과 접촉다단입력으로 판할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30 may be configured to be inclined multi-stage input and contact multi-stage input, respectively, when a pressure equal to or greater than a set value is detected within the input time set by the first pressure sensing unit 22 and the second pressure sensing unit 24. can do.

한편,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중앙방향조합입력을 판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기준위치표시부(40)를 터치 후, 입력시간 범위 내에 상기 이동입력 또는 상기 기울임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방향입력을 중앙방향조합입력으로 판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30 may be provided to determine the central direction combination input. That is, the controller 30 may determine the direction input as the center direction combination input when the movement input or the tilt input is detected within the input time range after touching the reference position display unit 40.

기준위치표시부(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입력대상(50)이 방사상으로 위치하는 경우 본 입력대상(50)의 중심에 마련되며, 상기 방향입력시 기준위치를 표시하도록 마련된다. As shown in FIG. 2, the reference position display unit 40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input object 50 when the input object 50 is located radially, and is provided to display a reference position when the direction input is performed. .

즉, 상기 기준위치표시부(40)는 상기 외향이동입력, 상기 외향이동다단입력, 상기 기울임입력 또는 상기 기울임다단입력시 기준을 표시하며, 본 기준위치표시부(40)를 터치 후 상기 방향입력이 이루어지도록 마련된다. That is, the reference position display unit 40 displays a reference when the outward movement input, the outward movement multi-stage input, the inclination input, or the inclination multi-stage input, and the direction input is made after touching the reference position display unit 40. To be built.

또한, 상기 기준위치표시부(40)는 중앙입력이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즉, 사용자가 상기 기준위치표시부(40)만을 터치 후, 상기 터치해제를 수행하는 경우라면, 상기 중앙입력에 해당하는 입력대상(50)이 입력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ference position display unit 40 is provided to enable a central input. That is, if the user touches only the reference position display unit 40 and then releases the touch, the input object 50 corresponding to the center input may be input.

여기서, 상기 기준위치표시부(40)는 상기 중앙방향조합입력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기준위치표시부(40)를 터치 후, 입력시간 범위 내에 상기 이동입력 또는 상기 기울임입력이 감지되는 경우라면, 상기 중앙방향조합입력에 해당하는 입력대상(50)이 입력될 수 있다. Here, the reference position display unit 40 may be provided to enable the center direction combination input. That is, after the touch of the reference position display unit 40, if the movement input or the tilt input is detected within the input time range, the input object 50 corresponding to the center direction combination input may be input.

한편, 상기 기준위치표시부(40)는 상기 스크린(10)상에서 특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기준위치표시부(40) 내지 상기 방향입력표시부(60) 중 어느 하나를 터치한 상태로 상기 스크린(10)상에서 이동가능하다. Meanwhile, the reference position display unit 40 may be provided to be movable in a specific direction on the screen 10. That is, as shown in FIG. 5, the user is movable on the screen 10 while touching any one of the reference position display unit 40 to the direction input display unit 60.

이 경우, 예를 들어, 상기 기준위치표시부(40)를 한 번 터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방향입력이 이루어지지만, 상기 기준위치표시부(40)를 일정한 입력시간 내에 두 번 이상 터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기준위치표시부(40)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In this case, for example, when the reference position display unit 40 is touched once, the direction input is made, but when the reference position display unit 40 is touched more than once within a predetermined input time, the reference position is displayed. The display unit 40 may be provided to be movable.

여기서, 상기 기준위치표시부(40)와 상기 방향입력표시부(60) 및 상기 입력대상(50)은 사용자의 접촉이동에 대응하여 동일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마련된다. Here, the reference position display unit 40, the direction input display unit 60 and the input target 50 is provided to move in the same direction in response to the user's contact movement.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가 상기 기준위치표시부(40) 내 지 상기 방향입력표시부(60)를 터치하여 이동하는 경우, 상기 기준위치표시부(40)는 안착영역(90) 내부로 이동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기준위치표시부(40)와 상기 방향입력표시부(60) 및 상기 입력대상(50)은 하나의 이동점(45)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5, when the user moves by touching the reference position display unit 40 or the direction input display unit 60, the reference position display unit 40 is inside the seating area 90. In this case, the reference position display unit 40, the direction input display unit 60, and the input target 50 may be displayed in the form of one moving point 45.

즉, 상기 기준위치표시부(40)와 상기 방향입력표시부(60) 및 상기 입력대상(50)은 상기 안착영역(90) 내부에서는 하나의 이동점(45) 형태로 유지되며, 사용자가 상기 이동점(45) 형태를 터치하여 상기 안착영역(90) 외부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기준위치표시부(40)와 상기 방향입력표시부(60) 및 상기 입력대상(50)이 상기 스크린(10)상에 다시 표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at is, the reference position display unit 40, the direction input display unit 60, and the input target 50 are maintained as one moving point 45 in the seating area 90, and the user moves the moving point 45. (45) When moving to the outside of the seating area 90 by touching the shape, the reference position display unit 40, the direction input display unit 60 and the input target 50 is again on the screen (10) It may be arranged to be displayed.

또한, 상기 기준위치표시부(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벌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기준위치표시부(40)에 대응하여 2벌로 마련된 입력대상(50)에는 다양한 입력대상(50)이 표시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ference position display unit 40 may be provided in two pairs, as shown in FIG. 4, and in this case, various input targets may be provided in the input target 50 provided in two pairs corresponding to the reference position display unit 40. 50 may be displayed.

상기 기준위치표시부(40)는 투명조절부(80)에 의해 투명도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기준위치표시부(40)는 상기 투명조절부(80)를 조절하여 상기 스크린(10)에서 표시되지 않도록, 즉, 완전히 투명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e reference position display unit 40 may be provided to enable the control of the transparency by the transparent control unit 80. In this case, the reference position display unit 40 may be provided so as not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10 by adjusting the transparent control unit 80, that is, completely transparent.

입력대상(50)은 상기 스크린(10)상에 입력되는 문자, 숫자, 특수문자, 기호 등이며, 상기 기준위치표시부(40)를 중심으로 상기 스크린(10)상에 방사상으로 배열되도록 마련된다. The input object 50 is letters, numbers, special characters, symbols, etc. input on the screen 10, and is arranged to be radially arranged on the screen 10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position display unit 40.

여기서, 상기 입력대상(50)은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즉, 한글문자 뿐만 아니라 영어, 일어 등의 외국문자도 포함될 수 있다. Here, the input target 50 may be provided in various ways. That is, not only Korean characters but also foreign characters such as English and Japanese may be included.

또한, 상기 입력대상(50)은 정보기기의 기능입력이나 모드변경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입력대상(50)이 상기 문자, 숫자, 특수문자, 기호 등으로 마련되는 경우, 상기 제 2 입력대상(52)은 일정한 기능이 입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정보기기의 모드변경기능, 상기 데이터의 엔터(Enter)기능 또는 취소기능, 통화시에는 통화기능 또는 통화종료기능 등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input object 50 may include a function input or a mode change of the information device. That is, when the input object 50 is provided with the letters, numbers, special characters, symbols, etc., the second input object 52 may be provided so that a predetermined function is input. That is, it may be provided as a mode change function of the information device, an enter function or a cancel function of the data, a call function or a call termination function during a call.

여기서, 상기 제 3 입력대상(54)은 상기 제 2 입력대상(52)과 상이한 일정한 기능이 입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메뉴선택기능과 볼륨조절기능 등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또한, 한글 쌍자음이 입력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Here, the third input object 54 may be provided so that a predetermined function different from the second input object 52 is input. That is, it may be provided as a menu selection function, a volume control function, or the like, and may also be provided to input Korean twin consonants.

한편, 상기 입력대상(50)은 상기 스크린(10)상에서 특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기준위치표시부(40) 내지 상기 방향입력표시부(60) 중 어느 하나를 터치한 상태로 상기 스크린(10)상에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입력대상(50) 역시 이동되도록 마련된다. Meanwhile, the input object 50 may be provided to be movable in a specific direction on the screen 10. That is, as shown in FIG. 5, when the user moves on the screen 10 while touching any one of the reference position display unit 40 to the direction input display unit 60, the input target 50. ) Is also arranged to be moved.

이 경우, 예를 들어, 상기 기준위치표시부(40)를 한 번 터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방향입력이 이루어지지만, 상기 기준위치표시부(40)를 일정한 입력시간 내에 두 번 이상 터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기준위치표시부(40)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입력대상(50) 또한 이동이 가능해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In this case, for example, when the reference position display unit 40 is touched once, the direction input is made, but when the reference position display unit 40 is touched more than once within a predetermined input time, the reference position is displayed. The display unit 40 may be provided to be movable, and the input object 50 may also be provided to be movable.

여기서, 상기 기준위치표시부(40)와 상기 방향입력표시부(60) 및 상기 입력대상(50)은 사용자의 접촉이동에 대응하여 동일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마련된다. Here, the reference position display unit 40, the direction input display unit 60 and the input target 50 is provided to move in the same direction in response to the user's contact movement.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가 상기 기준위치표시부(40) 내 지 상기 방향입력표시부(60)를 터치하여 이동하는 경우, 상기 입력대상(50)은 안착영역(90) 내부로 이동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기준위치표시부(40)와 상기 방향입력표시부(60) 및 상기 입력대상(50)은 하나의 이동점(45)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5, when the user moves by touching the reference position display unit 40 or the direction input display unit 60, the input object 50 moves into the seating area 90. In this case, the reference position display unit 40, the direction input display unit 60, and the input object 50 may be displayed in the form of one moving point 45.

즉, 상기 기준위치표시부(40)와 상기 방향입력표시부(60) 및 상기 입력대상(50)은 상기 안착영역(90) 내부에서는 하나의 이동점(45) 형태로 유지되며, 사용자가 상기 이동점(45) 형태를 터치하여 상기 안착영역(90) 외부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기준위치표시부(40)와 상기 방향입력표시부(60) 및 상기 입력대상(50)이 상기 스크린(10)상에 다시 표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at is, the reference position display unit 40, the direction input display unit 60, and the input target 50 are maintained as one moving point 45 in the seating area 90, and the user moves the moving point 45. (45) When moving to the outside of the seating area 90 by touching the shape, the reference position display unit 40, the direction input display unit 60 and the input target 50 is again on the screen (10) It may be arranged to be displayed.

또한, 상기 입력대상(5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벌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입력대상(50)에는 한글, 영어/일어 등의 외국어, 특수문자, 기호 등의 다양한 입력대상(50)이 표시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the input object 50 may be provided in two pieces. In this case, the input object 50 may include various foreign languages such as Korean, English / Japanese, special characters, symbols, and the like. The input object 50 may be displayed.

여기서, 상기 입력대상(5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준위치표시부(40)로부터의 이격거리를 반경으로 하는 원주의 일부 영역에만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입력대상(50)은 상기 기준위치표시부(40)를 기준으로 반원형태로 배치될 수 있을 뿐만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6, the input object 50 may be provided only in a partial region of the circumference having a radius of the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reference position display unit 40. That is, the input object 50 may not only be arranged in a semicircle shape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position display part 40, but may be arranged in various forms.

상기 입력대상(50)은 투명조절부(80)에 의해 투명도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입력대상(50)은 상기 투명조절부(80)를 조절하여 상기 스크린(10)에서 표시되지 않도록, 즉, 완전히 투명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e input object 50 may be provided to be able to adjust the transparency by the transparent control unit 80. In this case, the input object 50 may be provided so as not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10 by adjusting the transparent control unit 80, that is, completely transparent.

방향입력표시부(60)는 상기 기준위치표시부(40)로부터 상기 복수의 입력대 상(50) 중 어느 하나로 향하는 방향입력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스크린(10)상에서 상기 입력대상(50)과 상기 기준위치표시부(40)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The direction input display unit 60 has the input object 50 and the reference position display unit on the screen 10 such that a direction input from the reference position display unit 40 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input targets 50 is made. 40 may be provided between.

상기 방향입력표시부(60)는 다양한 방향이 표시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4방향 또는 8방향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향입력표시부(60)는 12방향으로 표시될 수도 있으며, 방향수가 더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 direction input display unit 60 may be provided to display various directions. For example, the direction input display unit 60 may be provided in four or eight directions. In addition, the direction input display unit 60 may be displayed in 12 directions, and the number of directions may be provided in various ways.

한편, 상기 방향입력표시부(60)는 상기 스크린(10)상에서 특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기준위치표시부(40) 내지 상기 방향입력표시부(60) 중 어느 하나를 터치한 상태로 상기 스크린(10)상에서 이동가능하다. Meanwhile, the direction input display unit 60 may be provided to be movable in a specific direction on the screen 10. That is, as shown in FIG. 5, the user is movable on the screen 10 while touching any one of the reference position display unit 40 to the direction input display unit 60.

이 경우, 예를 들어, 상기 방향입력표시부(60)를 한 번 터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방향입력이 이루어지지만, 상기 방향입력표시부(60)를 일정한 입력시간 내에 두 번 이상 터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방향입력표시부(60)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In this case, for example, when the direction input display unit 60 is touched once, the direction input is performed, but when the direction input display unit 60 is touched more than once within a predetermined input time, the direction input is performed. The display unit 60 may be provided to be movable.

여기서, 상기 기준위치표시부(40)와 상기 방향입력표시부(60) 및 상기 입력대상(50)은 사용자의 접촉이동에 대응하여 동일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마련된다. Here, the reference position display unit 40, the direction input display unit 60 and the input target 50 is provided to move in the same direction in response to the user's contact movement.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가 상기 기준위치표시부(40) 내지 상기 방향입력표시부(60)를 터치하여 이동하는 경우, 상기 방향입력표시부(60)는 안착영역(90) 내부로 이동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기준위치표시부(40)와 상기 방향입력표시부(60) 및 상기 입력대상(50)은 하나의 이동점(45) 형태로 표시 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5, when the user moves by touching the reference position display unit 40 to the direction input display unit 60, the direction input display unit 60 moves into the seating area 90. In this case, the reference position display unit 40, the direction input display unit 60, and the input object 50 may be displayed in the form of one moving point 45.

즉, 상기 기준위치표시부(40)와 상기 방향입력표시부(60) 및 상기 입력대상(50)은 상기 안착영역(90) 내부에서는 하나의 이동점(45) 형태로 유지되며, 사용자가 상기 이동점(45) 형태를 터치하여 상기 안착영역(90) 외부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기준위치표시부(40)와 상기 방향입력표시부(60) 및 상기 입력대상(50)이 상기 스크린(10)상에 다시 표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at is, the reference position display unit 40, the direction input display unit 60, and the input target 50 are maintained as one moving point 45 in the seating area 90, and the user moves the moving point 45. (45) When moving to the outside of the seating area 90 by touching the shape, the reference position display unit 40, the direction input display unit 60 and the input target 50 is again on the screen (10) It may be arranged to be displayed.

또한, 상기 방향입력표시부(6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벌로 마련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irection input display unit 60 may be provided in duplicates, as shown in FIG. 4.

여기서, 상기 방향입력표시부(6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준위치표시부(40)로부터의 이격거리를 반경으로 하는 원주의 일부 영역에만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방향입력표시부(60)는 상기 기준위치표시부(40)를 기준으로 반원형태로 배치될 수 있을 뿐만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As shown in FIG. 6, the direction input display unit 60 may be provided only in a partial region of the circumference having a radius of the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reference position display unit 40. That is, the direction input display unit 60 may not only be arranged in a semicircular shape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position display unit 40 but also may be arranged in various forms.

상기 방향입력표시부(60)는 투명조절부(80)에 의해 투명도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방향입력표시부(60)는 상기 투명조절부(80)를 조절하여 상기 스크린(10)에서 표시되지 않도록, 즉, 완전히 투명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e direction input display unit 60 may be provided so that the transparency can be adjusted by the transparent control unit 80. In this case, the direction input display unit 60 may be provided so as not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10 by adjusting the transparent control unit 80, that is, completely transparent.

메모리부(70)는 상기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입력대상(50)이 저장되도록 마련된다. 즉, 상기 스크린(10)상에 사용자의 접촉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감지부(20)는 감지된 입력신호를 제어부(30)로 전송하며,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입력대상(50)을 상기 메모리부(70)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스크린(10)상에 표시하도록 마련된다. The memory unit 70 is provided to store an input object 50 corresponding to the input signal. That is, when a user's contact is detected on the screen 10, the detection unit 20 transmits the detected input signal to the control unit 30, and the control unit 30 inputs corresponding to the input signal. The object 50 is provided to be extracted from the memory unit 70 and displayed on the screen 10.

상기 메모리부(70)는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30)와 분리되어 본 제어부(30)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70)는 상기 제어부(30)와 일체형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The memory unit 70 may be provided in various forms, and may be configured to be separated from the control unit 30 and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30. In addition, the memory unit 70 may be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control unit 30.

투명조절부(80)는 본 스크린(10)상에 표시되는 상기 기준위치표시부(40), 상기 방향입력표시부(60) 및 상기 입력대상(50)의 투명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즉, 상기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는 본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의 일측에 상기 투명조절부(8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transparent control unit 80 is provided to adjust the transparency of the reference position display unit 40, the direction input display unit 60, and the input object 50 displayed on the screen 10. That is, the data input device using the touch screen may include the transparent control unit 80 on one side of the data input device using the touch screen.

여기서, 상기 투명조절부(80)는 상기 기준위치표시부(40), 상기 방향입력표시부(60) 및 상기 입력대상(50)이 상기 스크린(10)상에 표시되지 않도록 투명도의 조절이 가능하며, 상기 스크린(10)에는 상기 기준위치표시부(40), 상기 방향입력표시부(60) 및 상기 입력대상(50)의 표시 없이 입력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스크린(10)의 넓은 면적을 통해 상기 입력대상(50)의 입력이 가능해진다. Here, the transparent control unit 80 is capable of adjusting the transparency so that the reference position display unit 40, the direction input display unit 60 and the input object 50 is not displayed on the screen 10, The screen 10 may be provided to enable input without displaying the reference position display unit 40, the direction input display unit 60, and the input target 50. As a result, the input target 50 can be input through a large area of the screen 10.

이하, 이하, 전술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의 방향입력의 조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the combination of the direction input of the data input device using the touch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will be described.

제 1 First 실시예Example

상기 방향입력은 상기 8 방향으로의 외향이동다단입력과 상기 8 방향으로의 접촉입력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외향이동다단입력과 상기 접촉입력이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경우, 상기 각 입력위치신호에 대응하는 입력대상(50)을 추출하여 조합하며, 상기 조합된 입력대상(50)을 상기 스크린(10)에 표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e direction input is provided to enable outwardly moving multi-stage inputs in the eight directions and contact inputs in the eight directions, and when the outwardly moving multistage inputs and the contact inputs are performed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the respective input position signals Extracting and combining the input object 50 corresponding to the, and may be provided to display the combined input object 50 on the screen (10).

즉, 상기 방향입력은 상기 8 방향의 외향이동입력으로 마련되어 다단이 가능하므로 16 신호를 발생할 수 있으며, 또한, 접촉입력에 의해 8 신호를 발생할 수 있으므로, 총 24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는 상기 24 신호에 의해 상기 입력대상(50)이 입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at is, since the direction input is provided as the outward movement input in the eight directions, multi-stage is possible, so that 16 signals can be generated, and since 8 signals can be generated by the contact input, a total of 24 signals can be generated. Here, the data input device using the touch screen may be provided so that the input object 50 is input by the 24 signals.

제 2 2nd 실시예Example

상기 방향입력은 상기 4 방향으로의 외향이동다단입력과 상기 4 방향으로의 접촉입력이 가능하되, 상기 방향입력표시부(60)가 2벌로 마련되며, 상기 외향이동다단입력과 상기 접촉입력이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경우, 상기 각 입력위치신호에 대응하는 입력대상(50)을 추출하여 조합하며, 상기 조합된 입력대상(50)을 상기 스크린(10)에 표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e direction input may include an outward movement multistage input in the four directions and a contact input in the four directions, and the direction input display unit 60 is provided in duplicate, and the outward movement multistage input and the contact input are simultaneously or When performed sequentially, the input objects 50 corresponding to the input position signals may be extracted and combined, and the combined input objects 50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10.

즉, 상기 방향입력은 상기 4 방향의 외향이동입력으로 마련되어 다단이 가능하므로 8 신호를 발생할 수 있으며, 또한, 접촉입력에 의해 4 신호를 발생할 수 있되, 2벌로 마련되므로, 총 24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는 상기 24 신호에 의해 상기 입력대상(50)이 입력되도록 마 련될 수 있다. That is, since the direction input is provided as the outward movement input in the four directions, multi-stage is possible, so that 8 signals can be generated and 4 signals can be generated by the contact input. Can be. Here, the data input device using the touch screen may be prepared so that the input object 50 is input by the 24 signals.

제 3 3rd 실시예Example

상기 방향입력은 상기 8 방향으로의 외향이동입력과 상기 8 방향으로의 접촉입력이 가능하되, 상기 방향입력표시부(60)가 2벌로 마련되며, 상기 외향이동입력과 상기 접촉입력이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경우, 상기 각 입력위치신호에 대응하는 입력대상(50)을 추출하여 조합하며, 상기 조합된 입력대상(50)을 상기 스크린(10)에 표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e direction input may include an outward movement input in the eight directions and a contact input in the eight directions, and the direction input display unit 60 may be provided in duplicate, and the outward movement input and the contact input may be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When performed, the input object 50 corresponding to each input position signal may be extracted and combined, and the combined input object 50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10.

즉, 상기 방향입력은 상기 8 방향의 외향이동입력에 의해 8 신호를 발생할 수 있으며, 또한, 접촉입력에 의해 8 신호를 발생할 수 있되, 2벌로 마련되므로, 총 32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는 상기 32 신호에 의해 상기 입력대상(50)이 입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at is, the direction input may generate eight signals by the outward movement input in the eight directions, and may generate eight signals by the touch input, and thus, two signals may be generated, and thus, a total of 32 signals may be generated. Here, the data input device using the touch screen may be provided so that the input object 50 is input by the 32 signals.

제 4 4th 실시예Example

상기 방향입력은 상기 8 방향으로의 외향이동다단입력과 상기 8 방향으로의 기울임입력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외향이동다단입력과 상기 기울임입력이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경우, 상기 각 입력위치신호에 대응하는 입력대상(50)을 추출하여 조합하며, 상기 조합된 입력대상(50)을 상기 스크린(10)에 표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e direction input is provided to enable the outward movement multi-stage input in the eight directions and the inclination input in the eight directions, and when the outward movement multi-stage input and the inclination input are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performed, the respective input position signals Extracting and combining the input object 50 corresponding to the, and may be provided to display the combined input object 50 on the screen (10).

즉, 상기 방향입력은 상기 8 방향의 외향이동입력으로 마련되어 다단이 가능 하므로 16 신호를 발생할 수 있으며, 또한, 기울임입력에 의해 8 신호를 발생할 수 있으므로, 총24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는 상기 24 신호에 의해 상기 입력대상(50)이 입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at is, since the direction input is provided as the outward movement input in the eight directions, multi-stage is possible, so that 16 signals can be generated, and since 8 signals can be generated by the tilt input, a total of 24 signals can be generated. Here, the data input device using the touch screen may be provided so that the input object 50 is input by the 24 signals.

제 5 5th 실시예Example

상기 방향입력은 상기 4 방향으로의 외향이동다단입력과 상기 4 방향으로의 기울임입력이 가능하되, 상기 방향입력표시부(60)가 2벌로 마련되며, 상기 외향이동다단입력과 상기 기울임입력이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경우, 상기 각 입력위치신호에 대응하는 입력대상(50)을 추출하여 조합하며, 상기 조합된 입력대상(50)을 상기 스크린(10)에 표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e direction input may include an outward movement multistage input in the four directions and an inclination input in the four directions, and the direction input display unit 60 is provided in duplicate, and the outward movement multistage input and the inclination input are simultaneously or When performed sequentially, the input objects 50 corresponding to the input position signals may be extracted and combined, and the combined input objects 50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10.

즉, 상기 방향입력은 상기 4 방향의 외향이동입력으로 마련되어 다단이 가능하므로 8 신호를 발생할 수 있으며, 또한, 기울임입력에 의해 4 신호를 발생할 수 있되, 2벌로 마련되므로, 총 24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는 상기 24 신호에 의해 상기 입력대상(50)이 입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at is, since the direction input is provided as the outward movement input in the four directions, multi-stage is possible, so that 8 signals can be generated and 4 signals can be generated by the tilt input. Can be. Here, the data input device using the touch screen may be provided so that the input object 50 is input by the 24 signals.

제 6 6th 실시예Example

상기 방향입력은 상기 8 방향으로의 외향이동입력과 상기 8 방향으로의 기울임입력이 가능하되, 상기 방향입력표시부(60)가 2벌로 마련되며, 상기 외향이동입력과 상기 기울임입력이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경우, 상기 각 입력위치 신호에 대응하는 입력대상(50)을 추출하여 조합하며, 상기 조합된 입력대상(50)을 상기 스크린(10)에 표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e direction input may include an outward movement input in the eight directions and an inclination input in the eight directions, and the direction input display unit 60 may be provided in duplicate, and the outward movement input and the inclination input may be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When performed, the input object 50 corresponding to each input position signal may be extracted and combined, and the combined input object 50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10.

즉, 상기 방향입력은 상기 8 방향의 외향이동입력에 의해 8 신호를 발생할 수 있으며, 또한, 기울임입력에 의해 8 신호를 발생할 수 있되, 2벌로 마련되므로, 총 32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는 상기 32 신호에 의해 상기 입력대상(50)이 입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at is, the direction input may generate eight signals by the outward movement input in the eight directions, and may generate eight signals by the tilt input, and thus, two signals may be generated, thereby generating a total of 32 signals. Here, the data input device using the touch screen may be provided so that the input object 50 is input by the 32 signals.

제 7 7th 실시예Example

상기 방향입력은 상기 8 방향으로의 내향이동다단입력과 상기 8 방향으로의 접촉입력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내향이동다단입력과 상기 접촉입력이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경우, 상기 각 입력위치신호에 대응하는 입력대상(50)을 추출하여 조합하며, 상기 조합된 입력대상(50)을 상기 스크린(10)에 표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e direction input is provided to enable the inwardly moving multi-stage input in the eight directions and the contact input in the eighth direction, and when the inwardly moving multistage input and the contact input are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performed, the respective input position signals Extracting and combining the input object 50 corresponding to the, and may be provided to display the combined input object 50 on the screen (10).

즉, 상기 방향입력은 상기 8 방향의 내향이동입력으로 마련되어 다단이 가능하므로 16신호를 발생할 수 있으며, 또한, 접촉입력에 의해 8신호를 발생할 수 있으므로, 총 24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는 상기 24신호에 의해 상기 입력대상(50)이 입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at is, since the direction input is provided as the inward movement input in the eight directions, multi-stage is possible, and thus 16 signals can be generated, and since the eight signals can be generated by the touch input, a total of 24 signals can be generated. Here, the data input device using the touch screen may be provided so that the input object 50 is input by the 24 signals.

제 8 8th 실시예Example

상기 방향입력은 상기 4 방향으로의 내향이동다단입력과 상기 4 방향으로의 접촉입력이 가능하되, 상기 방향입력표시부(60)가 2벌로 마련되며, 상기 내향이동다단입력과 상기 접촉입력이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경우, 상기 각 입력위치신호에 대응하는 입력대상(50)을 추출하여 조합하며, 상기 조합된 입력대상(50)을 상기 스크린(10)에 표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e direction input may include an inwardly moving multistage input in the four directions and a contact input in the four directions, and the direction input display unit 60 is provided in duplicate, and the inwardly moving multistage input and the contact input are simultaneously or When performed sequentially, the input objects 50 corresponding to the input position signals may be extracted and combined, and the combined input objects 50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10.

즉, 상기 방향입력은 상기 4 방향의 내향이동입력으로 마련되어 다단이 가능하므로 8 신호를 발생할 수 있으며, 또한, 접촉입력에 의해 4 신호를 발생할 수 있되, 2벌로 마련되므로, 총 24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는 상기 24 신호에 의해 상기 입력대상(50)이 입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at is, since the direction input is provided as the inward movement input in the four directions, multi-stage is possible, so that 8 signals can be generated, and 4 signals can be generated by the contact input. Can be. Here, the data input device using the touch screen may be provided so that the input object 50 is input by the 24 signals.

제 9 9th 실시예Example

상기 방향입력은 상기 8 방향으로의 내향이동입력과 상기 8 방향으로의 접촉입력이 가능하되, 상기 방향입력표시부(60)가 2벌로 마련되며, 상기 내향이동입력과 상기 접촉입력이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경우, 상기 각 입력위치신호에 대응하는 입력대상(50)을 추출하여 조합하며, 상기 조합된 입력대상(50)을 상기 스크린(10)에 표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e direction input may include an inward movement input in the eight directions and a contact input in the eight directions, wherein the direction input display unit 60 is provided in duplicate, and the inward movement input and the contact input are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When performed, the input object 50 corresponding to each input position signal may be extracted and combined, and the combined input object 50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10.

즉, 상기 방향입력은 상기 8 방향의 내향이동입력에 의해 8 신호를 발생할 수 있으며, 또한, 접촉입력에 의해 8 신호를 발생할 수 있되, 2벌로 마련되므로, 총 32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는 상기 32 신호에 의해 상기 입력대상(50)이 입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at is, the direction input may generate 8 signals by the inward movement input of the 8 directions, and may generate 8 signals by the contact input, and is provided in duplicate, thereby generating a total of 32 signals. Here, the data input device using the touch screen may be provided so that the input object 50 is input by the 32 signals.

제 10 10th 실시예Example

상기 방향입력은 상기 8 방향으로의 내향이동다단입력과 상기 8 방향으로의 기울임입력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내향이동다단입력과 상기 기울임입력이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경우, 상기 각 입력위치신호에 대응하는 입력대상(50)을 추출하여 조합하며, 상기 조합된 입력대상(50)을 상기 스크린(10)에 표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e direction input is provided to enable the inwardly moving multistage input in the eight directions and the inclination input in the eight directions, and when the inwardly moving multistage input and the inclination input are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performed, the respective input position signals Extracting and combining the input object 50 corresponding to the, and may be provided to display the combined input object 50 on the screen (10).

즉, 상기 방향입력은 상기 8 방향의 내향이동입력으로 마련되어 다단이 가능하므로 16 신호를 발생할 수 있으며, 또한, 기울임입력에 의해 8 신호를 발생할 수 있으므로, 총24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는 상기 24 신호에 의해 상기 입력대상(50)이 입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at is, since the direction input is provided as the inward movement input in the eight directions, multi-stage is possible, and thus 16 signals may be generated, and since eight signals may be generated by the tilt input, a total of 24 signals may be generated. Here, the data input device using the touch screen may be provided so that the input object 50 is input by the 24 signals.

제 11 11th 실시예Example

상기 방향입력은 상기 4 방향으로의 내향이동다단입력과 상기 4 방향으로의 기울임입력이 가능하되, 상기 방향입력표시부(60)가 2벌로 마련되며, 상기 내향이동다단입력과 상기 기울임입력이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경우, 상기 각 입력위치신호에 대응하는 입력대상(50)을 추출하여 조합하며, 상기 조합된 입력대상(50)을 상기 스크린(10)에 표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e direction input may include an inwardly moving multistage input in the four directions and an inclination input in the four directions, and the direction input display unit 60 is provided in duplicate, and the inwardly moving multistage input and the inclination input are simultaneously or When performed sequentially, the input objects 50 corresponding to the input position signals may be extracted and combined, and the combined input objects 50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10.

즉, 상기 방향입력은 상기 4 방향의 내향이동입력으로 마련되어 다단이 가능하므로 8 신호를 발생할 수 있으며, 또한, 기울임입력에 의해 4 신호를 발생할 수 있되, 2벌로 마련되므로, 총 24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는 상기 24 신호에 의해 상기 입력대상(50)이 입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at is, since the direction input is provided as the inward movement input in the four directions, multi-stage is possible, so that 8 signals can be generated, and since 4 signals can be generated by the tilt input, the signal is generated in duplicate, so that a total of 24 signals can be generated. Can be. Here, the data input device using the touch screen may be provided so that the input object 50 is input by the 24 signals.

제 12 Article 12 실시예Example

상기 방향입력은 상기 8 방향으로의 내향이동입력과 상기 8 방향으로의 기울임입력이 가능하되, 상기 방향입력표시부(60)가 2벌로 마련되며, 상기 내향이동입력과 상기 기울임입력이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경우, 상기 각 입력위치신호에 대응하는 입력대상(50)을 추출하여 조합하며, 상기 조합된 입력대상(50)을 상기 스크린(10)에 표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e direction input may include an inward movement input in the eight directions and an inclination input in the eight directions, and the direction input display unit 60 is provided in duplicate, and the inward movement input and the inclination input are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When performed, the input object 50 corresponding to each input position signal may be extracted and combined, and the combined input object 50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10.

즉, 상기 방향입력은 상기 8 방향의 내향이동입력에 의해 8 신호를 발생할 수 있으며, 또한, 기울임입력에 의해 8 신호를 발생할 수 있되, 2벌로 마련되므로, 총 32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는 상기 32 신호에 의해 상기 입력대상(50)이 입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at is, the direction input may generate 8 signals by the inward movement input of the 8 directions, and may generate 8 signals by the tilt input, and is provided in duplicate, thereby generating a total of 32 signals. Here, the data input device using the touch screen may be provided so that the input object 50 is input by the 32 signals.

제 13 Article 13 실시예Example

상기 방향입력은 상기 8 방향으로의 기울임다단입력과 상기 8 방향으로의 접촉입력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기울임다단입력과 상기 접촉입력이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경우, 상기 각 입력위치신호에 대응하는 입력대상(50)을 추출하여 조합하며, 상기 조합된 입력대상(50)을 상기 스크린(10)에 표시하도록 마 련될 수 있다. The direction input is provided to enable the tilt multistage input in the 8 direction and the touch input in the 8 direction, and when the tilt multistage input and the touch input are performed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input position signals. Extracts and combines the input object 50, and displays the combined input object 50 on the screen 10.

즉, 상기 방향입력은 상기 8 방향의 기울임입력으로 마련되어 다단이 가능하므로 16신호를 발생할 수 있으며, 또한, 접촉입력에 의해 8신호를 발생할 수 있으므로, 총 24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는 상기 24신호에 의해 상기 입력대상(50)이 입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at is, since the direction input is provided as the tilt input in the eight directions, multi-stage is possible, so that 16 signals can be generated. In addition, since 8 signals can be generated by the contact input, a total of 24 signals can be generated. Here, the data input device using the touch screen may be provided so that the input object 50 is input by the 24 signals.

제 14 Article 14 실시예Example

상기 방향입력은 상기 4 방향으로의 기울임다단입력과 상기 4 방향으로의 접촉입력이 가능하되, 상기 방향입력표시부(60)가 2벌로 마련되며, 상기 기울임다단입력과 상기 접촉입력이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경우, 상기 각 입력위치신호에 대응하는 입력대상(50)을 추출하여 조합하며, 상기 조합된 입력대상(50)을 상기 스크린(10)에 표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e direction input may include a tilt input in the four directions and a touch input in the four directions, and the direction input display unit 60 may be provided in duplicate, and the tilt input and the contact input may be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When performed, the input object 50 corresponding to each input position signal may be extracted and combined, and the combined input object 50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10.

즉, 상기 방향입력은 상기 4 방향의 기울임입력으로 마련되어 다단이 가능하므로 8 신호를 발생할 수 있으며, 또한, 접촉입력에 의해 4 신호를 발생할 수 있되, 2벌로 마련되므로, 총 24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는 상기 24 신호에 의해 상기 입력대상(50)이 입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at is, since the direction input is provided as the tilt input in the four directions, multi-stage is possible, so that 8 signals can be generated. Also, since 4 signals can be generated by the contact input, the signal can be generated in duplicate, so that a total of 24 signals can be generated. have. Here, the data input device using the touch screen may be provided so that the input object 50 is input by the 24 signals.

제 15 Article 15 실시예Example

상기 방향입력은 상기 8 방향으로의 기울임입력과 상기 8 방향으로의 접촉입 력이 가능하되, 상기 방향입력표시부(60)가 2벌로 마련되며, 상기 기울임입력과 상기 접촉입력이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경우, 상기 각 입력위치신호에 대응하는 입력대상(50)을 추출하여 조합하며, 상기 조합된 입력대상(50)을 상기 스크린(10)에 표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e direction input may be an inclination input in the eight directions and a contact input in the eight directions, and the direction input display unit 60 is provided in duplicate, and the inclination input and the contact input are performed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In this case, an input object 50 corresponding to each input position signal may be extracted and combined, and the combined input object 50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10.

즉, 상기 방향입력은 상기 8 방향의 기울임입력에 의해 8 신호를 발생할 수 있으며, 또한, 접촉입력에 의해 8 신호를 발생할 수 있되, 2벌로 마련되므로, 총 32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는 상기 32 신호에 의해 상기 입력대상(50)이 입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at is, the direction input may generate 8 signals by the tilt input in the 8 directions, and may generate 8 signals by the contact input, but may be provided in duplicate, thereby generating a total of 32 signals. Here, the data input device using the touch screen may be provided so that the input object 50 is input by the 32 signals.

제 16 Article 16 실시예Example

상기 방향입력은 상기 8 방향으로의 기울임다단입력과 상기 8 방향으로의 이동입력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기울임다단입력과 상기 이동입력이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경우, 상기 각 입력위치신호에 대응하는 입력대상(50)을 추출하여 조합하며, 상기 조합된 입력대상(50)을 상기 스크린(10)에 표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e direction input is provided to enable the tilt multistage input in the eight directions and the movement input in the eight directions. When the tilt multistage input and the movement input are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performed, the direction input corresponds to the respective input position signals. Extracts and combines the input object 50, and displays the combined input object 50 on the screen 10.

즉, 상기 방향입력은 상기 8 방향의 기울임입력으로 마련되어 다단이 가능하므로 16 신호를 발생할 수 있으며, 또한, 이동입력에 의해 8 신호를 발생할 수 있으므로, 총24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는 상기 24 신호에 의해 상기 입력대상(50)이 입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at is, since the direction input is provided as the tilt input in the eight directions, multi-stage is possible, so that 16 signals can be generated, and since 8 signals can be generated by the movement input, a total of 24 signals can be generated. Here, the data input device using the touch screen may be provided so that the input object 50 is input by the 24 signals.

제 17 Article 17 실시예Example

상기 방향입력은 상기 4 방향으로의 기울임다단입력과 상기 4 방향으로의 이동입력이 가능하되, 상기 방향입력표시부(60)가 2벌로 마련되며, 상기 기울임다단입력과 상기 이동입력이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경우, 상기 각 입력위치신호에 대응하는 입력대상(50)을 추출하여 조합하며, 상기 조합된 입력대상(50)을 상기 스크린(10)에 표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e direction input may include a tilt multistage input in the four directions and a movement input in the four directions, and the direction input display unit 60 is provided in duplicate, and the tilt multistage input and the movement input are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When performed, the input object 50 corresponding to each input position signal may be extracted and combined, and the combined input object 50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10.

즉, 상기 방향입력은 상기 4 방향의 기울임입력으로 마련되어 다단이 가능하므로 8 신호를 발생할 수 있으며, 또한, 이동입력에 의해 4 신호를 발생할 수 있되, 2벌로 마련되므로, 총 24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는 상기 24 신호에 의해 상기 입력대상(50)이 입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at is, since the direction input is provided as the tilt input in the four directions, multi-stage is possible, so that 8 signals can be generated. Also, since 4 signals can be generated by the moving input, the signal can be generated in duplicate, so that a total of 24 signals can be generated. have. Here, the data input device using the touch screen may be provided so that the input object 50 is input by the 24 signals.

제 18 Article 18 실시예Example

상기 방향입력은 상기 8 방향으로의 기울임입력과 상기 8 방향으로의 이동입력이 가능하되, 상기 방향입력표시부(60)가 2벌로 마련되며, 상기 기울임입력과 상기 이동입력이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경우, 상기 각 입력위치신호에 대응하는 입력대상(50)을 추출하여 조합하며, 상기 조합된 입력대상(50)을 상기 스크린(10)에 표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e direction input may be an inclination input in the eight directions and a movement input in the eight directions, and the direction input display unit 60 is provided in duplicate, and the inclination input and the movement input are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performed. In this case, an input object 50 corresponding to each input position signal may be extracted and combined, and the combined input object 50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10.

즉, 상기 방향입력은 상기 8 방향의 기울임입력에 의해 8 신호를 발생할 수 있으며, 또한, 이동입력에 의해 8 신호를 발생할 수 있되, 2벌로 마련되므로, 총 32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는 상기 32 신호에 의해 상기 입력대상(50)이 입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at is, the direction input may generate 8 signals by the tilt input in the 8 directions, and may generate 8 signals by the movement input, and is provided in duplicate, thereby generating a total of 32 signals. Here, the data input device using the touch screen may be provided so that the input object 50 is input by the 32 signals.

제 19 Article 19 실시예Example

상기 방향입력은 상기 8 방향으로의 접촉다단입력과 상기 8 방향으로의 기울임입력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접촉다단입력과 상기 기울임입력이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경우, 상기 각 입력위치신호에 대응하는 입력대상(50)을 추출하여 조합하며, 상기 조합된 입력대상(50)을 상기 스크린(10)에 표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e direction input is provided to enable the contact multi-stage input in the eight directions and the tilt input in the eight directions. When the contact multi-stage input and the inclination input are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performed, the direction input corresponds to each input position signal. Extracts and combines the input object 50, and displays the combined input object 50 on the screen 10.

즉, 상기 방향입력은 상기 8 방향의 접촉입력으로 마련되어 다단이 가능하므로 16신호를 발생할 수 있으며, 또한, 기울임입력에 의해 8신호를 발생할 수 있으므로, 총 24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는 상기 24신호에 의해 상기 입력대상(50)이 입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at is, since the direction input is provided as the contact input in the eight directions, multi-stage is possible, and thus 16 signals may be generated, and since the eight signals may be generated by the tilt input, a total of 24 signals may be generated. Here, the data input device using the touch screen may be provided so that the input object 50 is input by the 24 signals.

제 20 Article 20 실시예Example

상기 방향입력은 상기 4 방향으로의 접촉다단입력과 상기 4 방향으로의 기울임입력이 가능하되, 상기 방향입력표시부(60)가 2벌로 마련되며, 상기 접촉다단입력과 상기 기울임입력이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경우, 상기 각 입력위치신호에 대응하는 입력대상(50)을 추출하여 조합하며, 상기 조합된 입력대상(50)을 상기 스크린(10)에 표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e direction input may be a contact multistage input in the four directions and a tilt input in the four directions, and the direction input display unit 60 may be provided in duplicate, and the contact multistage input and the tilt input may be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When performed, the input object 50 corresponding to each input position signal may be extracted and combined, and the combined input object 50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10.

즉, 상기 방향입력은 상기 4 방향의 접촉입력으로 마련되어 다단이 가능하므로 8 신호를 발생할 수 있으며, 또한, 기울임입력에 의해 4 신호를 발생할 수 있되, 2벌로 마련되므로, 총 24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는 상기 24 신호에 의해 상기 입력대상(50)이 입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at is, since the direction input is provided as the contact input in the four directions, multi-stage is possible, so that 8 signals can be generated. Also, since 4 signals can be generated by the tilt input, the signal can be generated in duplicate, so that a total of 24 signals can be generated. have. Here, the data input device using the touch screen may be provided so that the input object 50 is input by the 24 signals.

제 21 Article 21 실시예Example

상기 방향입력은 상기 8 방향으로의 접촉입력과 상기 8 방향으로의 기울임입력이 가능하되, 상기 방향입력표시부(60)가 2벌로 마련되며, 상기 접촉입력과 상기 기울임입력이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경우, 상기 각 입력위치신호에 대응하는 입력대상(50)을 추출하여 조합하며, 상기 조합된 입력대상(50)을 상기 스크린(10)에 표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e direction input may include a touch input in the eight directions and a tilt input in the eight directions, wherein the direction input display unit 60 is provided in duplicate, and the contact input and the tilt input are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performed. In this case, an input object 50 corresponding to each input position signal may be extracted and combined, and the combined input object 50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10.

즉, 상기 방향입력은 상기 8 방향의 접촉입력에 의해 8 신호를 발생할 수 있으며, 또한, 기울임입력에 의해 8 신호를 발생할 수 있되, 2벌로 마련되므로, 총 32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는 상기 32 신호에 의해 상기 입력대상(50)이 입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at is, the direction input may generate 8 signals by the contact inputs in the 8 directions, and may generate 8 signals by the tilt input, but may be generated in duplicate, thereby generating a total of 32 signals. Here, the data input device using the touch screen may be provided so that the input object 50 is input by the 32 signals.

제 22 Article 22 실시예Example

상기 방향입력은 상기 8 방향으로의 접촉다단입력과 상기 8 방향으로의 이동입력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접촉다단입력과 상기 이동입력이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경우, 상기 각 입력위치신호에 대응하는 입력대상(50)을 추출하여 조합하며, 상기 조합된 입력대상(50)을 상기 스크린(10)에 표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e direction input is provided to enable the contact multi-stage input in the eight directions and the movement input in the eight directions. When the contact multi-stage input and the movement input are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performed, the direction input corresponds to each input position signal. Extracts and combines the input object 50, and displays the combined input object 50 on the screen 10.

즉, 상기 방향입력은 상기 8 방향의 접촉입력으로 마련되어 다단이 가능하므로 16 신호를 발생할 수 있으며, 또한, 이동입력에 의해 8 신호를 발생할 수 있으므로, 총24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는 상기 24 신호에 의해 상기 입력대상(50)이 입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at is, since the direction input is provided as the contact input in the eight directions, multi-stage is possible, so that 16 signals can be generated, and since 8 signals can be generated by the movement input, a total of 24 signals can be generated. Here, the data input device using the touch screen may be provided so that the input object 50 is input by the 24 signals.

제 23 Article 23 실시예Example

상기 방향입력은 상기 4 방향으로의 접촉다단입력과 상기 4 방향으로의 이동입력이 가능하되, 상기 방향입력표시부(60)가 2벌로 마련되며, 상기 접촉다단입력과 상기 이동입력이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경우, 상기 각 입력위치신호에 대응하는 입력대상(50)을 추출하여 조합하며, 상기 조합된 입력대상(50)을 상기 스크린(10)에 표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e direction input may be a contact multi-stage input in the four directions and a movement input in the four directions, and the direction input display unit 60 may be provided in duplicate, and the contact multi-stage input and the movement input may be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When performed, the input object 50 corresponding to each input position signal may be extracted and combined, and the combined input object 50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10.

즉, 상기 방향입력은 상기 4 방향의 접촉입력으로 마련되어 다단이 가능하므로 8 신호를 발생할 수 있으며, 또한, 이동입력에 의해 4 신호를 발생할 수 있되, 2벌로 마련되므로, 총 24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는 상기 24 신호에 의해 상기 입력대상(50)이 입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at is, since the direction input is provided as the contact input in the four directions, multi-stage is possible, so that 8 signals can be generated. Also, since 4 signals can be generated by the movement input, the direction input can be generated in duplicate so that a total of 24 signals can be generated. have. Here, the data input device using the touch screen may be provided so that the input object 50 is input by the 24 signals.

제 24 Article 24 실시예Example

상기 방향입력은 상기 8 방향으로의 접촉입력과 상기 8 방향으로의 이동입력이 가능하되, 상기 방향입력표시부(60)가 2벌로 마련되며, 상기 접촉입력과 상기 이동입력이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경우, 상기 각 입력위치신호에 대응하는 입력대상(50)을 추출하여 조합하며, 상기 조합된 입력대상(50)을 상기 스크린(10)에 표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e direction input may be a contact input in the eight directions and a movement input in the eight directions, and the direction input display unit 60 is provided in duplicate, and the contact input and the movement input are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performed. In this case, an input object 50 corresponding to each input position signal may be extracted and combined, and the combined input object 50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10.

즉, 상기 방향입력은 상기 8 방향의 접촉입력에 의해 8 신호를 발생할 수 있으며, 또한, 이동입력에 의해 8 신호를 발생할 수 있되, 2벌로 마련되므로, 총 32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는 상기 32 신호에 의해 상기 입력대상(50)이 입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at is, the direction input may generate 8 signals by the contact inputs in the 8 directions, and may generate 8 signals by the movement input, and is provided in duplicate, thereby generating a total of 32 signals. Here, the data input device using the touch screen may be provided so that the input object 50 is input by the 32 signals.

제 25 Article 25 실시예Example

(1)상기 방향입력은 상기 4 방향으로의 외향이동다단입력과 상기 4 방향으로의 내향이동다단입력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외향이동다단입력과 상기 외향이동다단입력이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경우, 상기 각 입력위치신호에 대응하는 입력대상(50)을 추출하여 조합하며, 상기 조합된 입력대상(50)을 상기 스크린(10)에 표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1) The direction input is provided to enable outwardly moving multistage input in the 4 directions and inwardly moving multistage input in the 4 directions, wherein the outwardly moving multistage input and the outwardly moving multistage input are performed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In this case, an input object 50 corresponding to each input position signal may be extracted and combined, and the combined input object 50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10.

즉, 상기 방향입력은 상기 4 방향의 외향이동입력으로 마련되어 다단이 가능하므로 8 신호를 발생할 수 있으며, 또한, 4 방향의 내향이동입력으로 마련되어 다단이 가능하므로 8 신호를 발생할 수 있으므로, 총 16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는 상기 16 신호에 의해 상기 입력대상(50)이 입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at is, since the direction input is provided as the outward movement input in the four directions, multi-stage is possible, so that 8 signals can be generated. Also, since the direction input is provided as the inward movement input in 4 directions, it can be multi-stage, so that 8 signals can be generated. Can be generated. Here, the data input device using the touch screen may be provided so that the input target 50 is input by the 16 signals.

(2)또한, 상기 방향입력에 더불어 4방향의 접촉다단입력이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총 24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2) In addition to the direction input, a multi-direction contact input in four directions is provided to generate a total of 24 signals.

(3)또한, 상기 방향입력은 4방향으로의 외향이동다단입력과 내향이동다단입력과 접촉다단입력 중 어느 하나가 8방향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다단입력이 아닌 1단입력으로 마련될 수 있다. (3) In addition, the direction input may include any one of an outward moving multi-stage input, an inward moving multistage input, and a contact multistage input in four directions in eight directions, and may be provided as a single stage input instead of a multistage input. .

또한, 상기 방향입력은 4 방향으로의 접촉입력과 외향이동입력과 내향이동입력이 가능하게 되어 2 벌로 마련되거나 상기 (1), (2), (3)의 형태 또한, 2 벌로 마련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irection input may be provided in two sets of contact inputs, outward movement inputs, and inward movement inputs in four directions, or may be provided in sets of (1), (2), and (3) . .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는 터치스크린상에서의 방향입력을 통해 데이터입력의 정확성과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data input device using the touch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accuracy and convenience of data input through the direction input on the touch screen.

또한, 터치스크린상에서 스타일러스 펜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문자나 숫자 등을 직접 입력하는 경우보다 입력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an input time may be shortened than when letters or numbers are directly input using a tool such as a stylus pen on the touch screen.

또한, 터치스크린상에서 1회의 입력동작으로 2 이상의 음소입력이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In addition, two or more phonemes may be provided in one input operation on the touch screen.

또한, 투명조절부에 의해 상기 방향입력표시부, 기준위치표시부 및 입력대상 을 스크린에 표시하지 않고도 입력이 가능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상기 스크린의 넓은 면적을 통해 상기 입력대상의 입력이 가능해진다. In addition, the transparent control unit may enable input without displaying the direction input display unit, the reference position display unit, and the input object on the screen, whereby the input object may be input through a large area of the screen.

Claims (26)

터치로 인한 입력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입력대상을 표시하는 스크린과; A screen generating an input signal due to a touch and displaying an input object corresponding to the input signal; 상기 스크린상의 터치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A detector for detecting a touch on the screen; 상기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입력대상이 저장된 메모리부와; A memory unit storing an input object corresponding to the input signal; 상기 스크린상의 터치시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상기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입력대상을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스크린상에 표시하는 제어부;로 마련되는 터치스크린에 있어서, The touch screen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extracting an input object corresponding to the input signal sensed by the sensing unit from the memory unit to display on the screen when the touch on the screen; 기준위치를 표시하는 기준위치표시부와, 본 기준위치표시부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열된 복수의 입력대상과, 상기 기준위치표시부로부터 상기 복수의 입력대상 중 어느 하나로 향하는 방향입력이 이루어지는 방향입력표시부가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A reference position display portion for displaying a reference position, a plurality of input objects arranged radially around the reference position display portion, and a direction input display portion for direction input from the reference position display portion 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input objects is touched Data input device using a touch screen, characterized in that displayed on the screen.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방향입력은 상기 기준위치표시부를 터치한 상태에서, 본 기준위치표시부로부터 상기 입력대상이 위치한 방향을 향해 방사상으로 이동하여 해당 입력대상을 입력하는 외향이동입력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Wherein the direction input is a touch screen, characterized in that the touch screen is provided as an outward movement input for moving the radially from the reference position display portion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input target is located, and inputs the corresponding input object. Data input device used.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방향입력은 상기 입력대상을 터치한 상태에서, 본 입력대상으로부터 상기 기준위치표시부가 위치한 방향을 향해 이동하여 해당 입력대상을 입력하는 내향이동입력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The direction input is a data input using a touch screen, characterized in that the inward movement input for inputting the input target by moving from the present target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reference position display unit is located while touching the input target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방향입력은 상기 기준위치표시부를 터치한 상태에서, 본 기준위치표시부로부터 상기 입력대상 중 어느 하나로 터치부위를 변경함으로써 최초 터치 면적에 변화가 생기는 경우, 상기 터치 면적이 변화된 방향에 따라 터치되고 있는 방향의 해당 입력대상을 입력하는 기울임입력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The direction input is touch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touch area is changed when a change occurs in the initial touch area by changing the touch area from the reference position display part to any one of the input objects while touching the reference position display part. A data input device using a touch screen, characterized in that the tilt input for inputting the corresponding input target in the direction.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방향입력은 상기 입력대상을 터치하여 해당 입력대상을 입력하는 접촉입력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The direction input is a data input device using a touch screen,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as a touch input for inputting the input target by touching the input target.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방향입력은 다단입력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The direction input is a data input device using a touch screen, characterized in that the multi-stage input is provided. 제 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외향이동입력은 다단입력이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스크린상에서 상기 기준위치표시부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입력대상으로 이동입력시 설정된 수치이상의 이동변위가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에서 외향이동다단입력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The outward movement input is provided to enable a multi-stage input, and when a movement displacement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is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when a movement input is input from the reference position display unit to the at least one input object on the screen, the outward movement multiple stage input is performed by the controller. Data input device using a touch screen, characterized in that determined by. 제 3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내향이동입력은 다단입력이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스크린상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입력대상으로부터 상기 기준위치표시부로 이동입력시 설정된 수치이상의 이동변위가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에서 내향이동다단입력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The inward movement input is provided to enable a multi-stage input, and when the displacement detects a movement displacement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when the movement input from the one or more input objects to the reference position display unit is detected on the screen, the inward movement multi-stage input is input by the control unit. Data input device using a touch screen, characterized in that determined by. 제 4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기울임입력은 다단입력이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스크린상에 압력을 감지하는 제 1 압력감지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기준위치표시부의 최초 터치 면적에 변화가 발생한 후, 상기 제 1 압력감지부에서 설정된 수치이상의 압력이 설정된 입력시간 이내에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에서 기울임다단입력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The tilt input is provided to enable a multi-stage input, and further includes a first pressure sensing unit for sensing pressure on the screen, and after a change occurs in the initial touch area of the reference position display unit, the tilt input is set in the first pressure sensing unit. And if a pressure greater than a numerical value is detected within a set input time,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input is a tilted multistage input. 제 5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접촉입력은 다단입력이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스크린에 마련된 하나 이상의 입력대상에 압력을 감지하는 제 2 압력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대상을 터치한 후, 상기 제 2 압력감지부에서 설정된 수치이상의 압력이 설정된 입력시간 이내에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에서 접촉다단입력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The touch input includes a second pressure sensing unit configured to enable a multi-stage input to sense a pressure on at least one input object provided on the screen, and after touching the input object, a pressure equal to or higher than a value set by the second pressure sensing unit. If detected within the set input time, the data input device using a touch screen,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contact multi-stage input.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0, 상기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는 상기 기준위치표시부만을 터치하는 경우, 제 2 입력대상이 입력되는 중앙입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The data input device using the touch screen includes a center input for inputting a second input object when only the reference position display unit is touched.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0, 상기 방향입력은 상기 입력대상을 터치한 후, 설정된 입력시간 이내에 본 입력대상을 기준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원주방향의 이동을 수행하는 경우, 해당 입력대상이 입력되는 원주방향이동입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The direction input includes a circumferential movement input in which the corresponding input object is input when the circumferential movement is performed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input object within a set input time after the input object is touched. Data input device using a touch screen, characterized in that. 제 1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중앙입력이 상기 이동입력 또는 상기 기울임입력 중 어느 하나와 동시 또는 설정된 입력시간 내에 함께 수행되는 경우, 제 3 입력대상이 입력되는 중앙방 향조합입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When the central input is performed simultaneously with either the movement input or the tilt input, or together with a predetermined input time, data using the touch scree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entral direction combination input to which the third input target is input. Input device. 제 2항 내지 제 5항 또는 제 7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5 or 7 to 10, 상기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는 상기 외향이동입력, 상기 내향이동입력, 상기 기울임입력, 상기 접촉입력, 상기 외향이동다단입력, 상기 내향이동다단입력, 상기 기울임다단입력 또는 상기 접촉다단입력 중 두 개 이상의 입력방식을 사용하여 상기 입력대상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The data input device using the touch screen includes two of the outward movement input, the inward movement input, the inclination input, the contact input, the outward movement multistage input, the inward movement multistage input, the inclination multistage input, or the contact multistage input. A data input device using a touch screen, characterized in that the input target is input using more than one input method.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0, 상기 방향입력표시부는 상기 방사상으로 배열된 입력대상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방향입력은 4 방향으로 구성되어 각 방향에 입력대상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The direction input display unit is provided inside the radially arranged input objects, and the direction input is configured in four directions so that the input objects are displayed in each direction.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0, 상기 방향입력표시부는 상기 방사상으로 배열된 입력대상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방향입력은 8 방향으로 구성되어 각 방향에 입력대상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The direction input display unit is provided inside the radially arranged input objects, and the direction input is configured in eight directions so that the input objects are displayed in each direction. 제 1항 내지 제 10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상기 방향입력표시부는 상기 스크린상에 2벌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And the direction input display unit is provided on the screen in duplicate. 제 1항 내지 제 10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상기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는 상기 기준위치표시부와 상기 방향입력표시부 중 어느 하나를 터치한 상태에서 특정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The data input device using the touch screen is a data input device using a touch scree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to be able to move in a specific direction while touching any one of the reference position display and the direction input display. 제 1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는 상기 기준위치표시부와 상기 방향입력표시부 중 어느 하나를 터치한 상태에서 특정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The data input device using the touch screen is a data input device using a touch scree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to be able to move in a specific direction while touching any one of the reference position display and the direction input display. 제 1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는 상기 기준위치표시부와 상기 방향입력표시부 중 어느 하나를 터치한 상태에서 특정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The data input device using the touch screen is a data input device using a touch scree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to be able to move in a specific direction while touching any one of the reference position display and the direction input display. 제 13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는 상기 기준위치표시부와 상기 방향입력표시부 중 어느 하나를 터치한 상태에서 특정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The data input device using the touch screen is a data input device using a touch scree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to be able to move in a specific direction while touching any one of the reference position display and the direction input display. 제 14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는 상기 기준위치표시부와 상기 방향입력표시부 중 어느 하나를 터치한 상태에서 특정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The data input device using the touch screen is a data input device using a touch scree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to be able to move in a specific direction while touching any one of the reference position display and the direction input display. 제 17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7, 상기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는 상기 기준위치표시부와 상기 방향입력표시부 중 어느 하나를 터치한 상태에서 특정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The data input device using the touch screen is a data input device using a touch scree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to move in a specific direction while touching any one of the reference position display and the direction input display.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0, 상기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는 투명조절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본 투명조절부에 의해 본 스크린상에 표시되는 상기 기준위치표시부, 상기 방향입력표시부 및 상기 입력대상의 투명도의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The data input device using the touch screen further includes a transparent control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parency of the reference position display unit, the direction input display unit and the input target displayed on the screen by the transparent control unit can be adjusted. Data input device using a touch screen. 제 1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0, 상기 복수의 입력대상은 상기 기준위치표시부로부터의 이격거리를 반경으로 하는 원주의 일부 영역에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And the plurality of input objects are arranged only in a partial region of a circumference having a radius of a distance from the reference position display unit. 제 1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0, 상기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는 상기 제어부에서 추출된 입력대상을 소리로 알려주는 음향표시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The data input device using the touch screen further includes a sound display unit for notifying the input object extracted by the control unit as a sound.
KR1020070015832A 2006-10-23 2007-02-15 Data input device using touch-screen KR20080076200A (en)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5832A KR20080076200A (en) 2007-02-15 2007-02-15 Data input device using touch-screen
CN2007800479601A CN101568894B (en) 2006-10-23 2007-10-23 Input device
RU2009118514/08A RU2451981C2 (en) 2006-10-23 2007-10-23 Input device
CA002667276A CA2667276A1 (en) 2006-10-23 2007-10-23 Input device
EP07833540A EP2074492A1 (en) 2006-10-23 2007-10-23 Input device
BRPI0717471-3A2A BRPI0717471A2 (en) 2006-10-23 2007-10-23 INPUT DEVICE
JP2009534492A JP2010507861A (en) 2006-10-23 2007-10-23 Input device
AU2007309911A AU2007309911B2 (en) 2006-10-23 2007-10-23 Input device
PCT/KR2007/005231 WO2008051011A1 (en) 2006-10-23 2007-10-23 Input device
US12/428,392 US20090262090A1 (en) 2006-10-23 2009-04-22 Input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5832A KR20080076200A (en) 2007-02-15 2007-02-15 Data input device using touch-scre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6200A true KR20080076200A (en) 2008-08-20

Family

ID=39879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5832A KR20080076200A (en) 2006-10-23 2007-02-15 Data input device using touch-scree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76200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09185A (en) * 2010-12-29 2012-07-25 微软公司 Virtual controller for touch display
US9937416B2 (en) 2013-06-11 2018-04-1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daptive touch input controls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09185A (en) * 2010-12-29 2012-07-25 微软公司 Virtual controller for touch display
WO2012092296A3 (en) * 2010-12-29 2012-11-29 Microsoft Corporation Virtual controller for touch display
CN102609185B (en) * 2010-12-29 2015-11-18 微软技术许可有限责任公司 Comprise computing equipment and the input method thereof of Virtual Controller
US9411509B2 (en) 2010-12-29 2016-08-0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Virtual controller for touch display
US9817569B2 (en) 2010-12-29 2017-11-1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Virtual controller for touch display
US9937416B2 (en) 2013-06-11 2018-04-1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daptive touch input control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317874A1 (en) Radial based user interface on touch sensitive screen
AU2007309911B2 (en) Input device
KR10163670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letter in portable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US8390583B2 (en) Pressure sensitive user interface for mobile devices
US8151209B2 (en) User input for an electronic device employing a touch-sensor
US2010022559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numerals for communication terminal
WO2007009096A2 (en) Predictive user interface
KR101077790B1 (en) Data Input Device
JP6740389B2 (en) Adaptive user interface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s
KR20080010267A (en) Character input device
JP2010525480A (en) Character input device
JP2010518530A (en) Character input device
KR20100121218A (en) Method for letter inputting of touch screen
KR20110082956A (en) Method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using touch screen
WO2009038430A2 (en) Character inputting device
JP2010518529A (en) Character input device
JP2009099057A (en) Mobile terminal and character input method
KR20080076200A (en) Data input device using touch-screen
KR10220706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gnizing character based on hologram
TWI468986B (en) Electronic device, input method thereof,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thereof
KR20080070110A (en) Character input device
KR20100106635A (en) Method and apparatus of input characters through touch screen
JP2011529597A (en) Character input device using an array of circular keypads
KR20080075669A (en) Character input device
KR20090112197A (en) Character inpu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