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6509A -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응답 신호를 위한 라디오 자원을시그널링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응답 신호를 위한 라디오 자원을시그널링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6509A
KR20080066509A KR1020070004018A KR20070004018A KR20080066509A KR 20080066509 A KR20080066509 A KR 20080066509A KR 1020070004018 A KR1020070004018 A KR 1020070004018A KR 20070004018 A KR20070004018 A KR 20070004018A KR 20080066509 A KR20080066509 A KR 200800665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ch
ackch
terminal
data
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4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범
이주호
조준영
곽용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40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66509A/ko
Priority to PCT/KR2007/006837 priority patent/WO2008084927A1/en
Publication of KR20080066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65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87Scheduling and prioritis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4Erro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2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 H04L1/000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by switching between different modulation schemes
    • H04L1/0004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by switching between different modulation schemes applied to contro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9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channel coding
    • H04L1/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channel coding applied to control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전송 데이터에 대한 응답 신호를 전송하기 위하여 응답 신호 라디오 자원을 통지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송신 장치가 응답 신호(ACK/NACK) 전송 자원을 그룹화하고, 상기 응답 신호(ACK/NACK) 전송 자원을 통지하기 위한 제어 채널을 상기 그룹화된 전송 자원에 대응하여 그룹화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응답 신호(ACK/NACK) 전송 자원에 대응하는 해당 제어 채널 그룹 중 한 제어 채널을 통해, 상기 전송 자원과의 대응 관계를 통지하는 제어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줄이는 효과를 제공한다.
LTE 시스템, 스케줄링(scheduling), HARQ, ACK/NACK, 제어채널, 응답 채널(ACKCH), 응답 신호(ACK/NACK) 전송 자원

Description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응답 신호를 위한 라디오 자원을 시그널링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INDICATION OF ACK/NACK RESOURCE IN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LTE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및 응답 신호 송수신의 개념을 설명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LTE 시스템에서 시간-주파수영역 전송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에 따라 응답 신호(ACK/NACK) 전송 자원을 통지하는 일 예를 설명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제어 채널(CCH)및 응답 채널(ACKCH)을 그룹화하는 개념을 설명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기지국이 응답 신호(ACK/NACK) 전송 자원을 통지하는 절차를 나타낸 도면.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단말이 응답 신호(ACK/NACK)을 전송하는 절차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과 단말 간의 응답 신호 전송 자원을 통지받고 전송하는 전체 신호 흐름도.
도 8a와 도 8b는 본 발명에 따라 응답 신호 전송 자원을 통지하는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응답 신호를 전송하는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
본 발명은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전송 데이터에 대한 응답 신호를 위한 라디오 자원을 통지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
최근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무선 채널에서 고속데이터 전송에 유용한 방식으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이하 OFDM이라 함) 방식, 혹은 이와 비슷한 방식으로 단반송파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Single Carrier -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이하 SC-FDMA 이라 함)이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현재 비동기 셀룰러 이동통신 표준단체인 3GPP(3rd Ger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인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을 상기 다중 접속 방식 기반으로 연구 중이다.
상기와 같은 다중 접속 방식은, 각 사용자 별로 데이터 혹은 제어정보를 실어 보낼 시간-주파수 자원을 서로 겹치 않도록, 즉 직교성(Orthogonality)이 성립 하도록, 할당 및 운용함으로써 각 사용자의 데이터 혹은 제어정보를 구분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LTE 시스템의 데이터 송수신 및 ACK/NACK 자원 할당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기지국(102, 이하 'Node B' 라 칭함)이 각각의 단말#1(103) 및 단말#2(104)(이하 'UE(User Equipment)'라 칭함 )한테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이하 '하향링크'라 칭함)를 가정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참조번호 118 시점에 기지국(102)이 단말#1(103)한테 제어채널(106)을 전송하고, 단말#2(104)한테 제어채널(108)을 전송한다.
상기 제어채널(106, 108)은 기지국(102)이 단말에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자원정보 및 단말 식별자 정보인 단말 아이디(ID), 데이터 전송형식, 복합 재 전송(HARQ(Hybrid ARQ(Automatic Retransmission Request))관련 정보, 단말이 전송할 데이터의 자원 및 전송형식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기지국(102)은 단말에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에 대한 자원정보뿐만 아니라, 전송 데이터의 수신오류 여부를 나타내는 긍정적 인지 신호인 ACK(Acknowledge)/부정적 인지 신호인 NACK(Nagative Acknowledge)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자원 정보를 알려줄 필요가 있다.
즉, 기지국(102)은 단말로 하여금, 상기 전송 데이터에 대한 ACK/NACK을 어떤 자원을 사용해서 어떻게 기지국(102)에 피드백해야 하는지 알려줌으로써, 각 사용자별 ACK/NACK 신호를 구분하게 된다.
도 1의 예에서는 단말#1(103)은 ACK/NACK 자원#1을, 단말#2(104)는 ACK/NACK 자원#2를 각각 사용하도록 기지국(102)이 시그널링 한다.
참조번호 120 시점에 기지국(102)은 데이터채널(110, 112)을 통해 단말#1(103), 단말#2(104)한테 각각 데이터를 전송한다.
단말#1(103) 및 단말#2(104)는 상기 수신한 제어채널(106, 108)로부터 상기 데이터채널을 디코딩하는데 필요한 데이터의 자원정보, 데이터 전송형식, HARQ 정보 등을 획득하여, 각각 데이터 디코딩을 수행한다.
단말#1(103) 및 단말#2(104)는 상기 각각의 데이터 디코딩 오류 여부를 기지국으로 ACK/NACK 신호로서 피드백하여 기지국으로 하여금 상기 데이터의 재전송 여부를 결정하도록 한다. 즉, 단말#1(103)은 상기 제어채널(106)로부터 획득한 정보에 따라 ACK/NACK 자원#1을 사용하여 ACK/NACK 전송을 하고(114), 단말#2(104)는 상기 제어채널(108)으로부터 획득한 정보에 따라 ACK/NACK 자원#2를 사용하여 ACK/NACK 전송을 한다(116).
참조번호 122 시점에 기지국은 각 단말로부터 ACK/NACK 신호를 수신하여 NACK이면 상기 데이터를 재전송하고, ACK이면 새로운 데이터를 전송한다. 단말은 재전송 데이터에 대하여 이전에 수신한 데이터와 컴바이닝함으로써 수신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LTE 시스템에서 하향링크에서 상기 데이터 혹은 제어채널의 시간-주파수영역 전송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서 가로축은 시간영역을, 세로축은 주파수영역을 나타낸다. 시간영역 에서의 최소 전송단위는 OFDM 심벌로서, Nsymb (202)개의 OFDM 심벌이 모여 하나의 길이 0.5ms 인 슬롯(206)을 구성하고, 2개의 슬롯이 모여 길이 1.0ms 인 서브프레임을 구성한다.
주파수영역에서의 최소 전송단위는 서브캐리어로서, 전체 시스템 전송 대역은 총 NBW (204)개의 서브캐리어로 구성된다.
시간-주파수영역에서 자원의 기본 단위는 리소스 엘리먼트(212, Resource Element; RE)로서 OFDM 심벌 인덱스 및 서브캐리어 인덱스로 정의할 수 있다.
리소스 블록(208, Resource Block; RB)은 시간영역에서 Nsymb (202)개의 연속된 OFDM 심벌과 주파수영역에서 NRB (210)개의 연속된 서브캐리어로 정의된다. 따라서, 하나의 RB(208)는 Nsymb * NRB 개의 RE(212)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데이터 혹은 제어정보의 최소 전송단위는 상기 RB 단위이다. 현재 고려하고 있는 LTE 시스템에서 상기 Nsymb = 7, NRB=12 이고, NBW 는 시스템 전송 대역에 비례하여 값을 갖는다.
예를 들어, 10MHz 시스템 전송대역인 경우 NBW 는 600 이고, RB 개수는 50 (=600/12)개이다. 데이터 전송의 최소 전송단위가 RB 이므로, 상기 예에서 기지국은 최대 50 개의 단말들을 동시에 스케쥴링 해 줄 수 있고, 따라서 상기 데이터 전송에 대응되는 ACK/NACK 신호 역시 총 50 개가 필요하다. 이 경우 단말이 사용할 ACK/NACK 자원을 알려주기 위해 log250
Figure 112007003510730-PAT00001
7 비트의 시그널링이 필요하다.
다시 설명하면, 총 50 개의 단말을 위한 총 50 개의 ACK/NACK 신호에 대하여, 7비트에 대응하는 시그널링 오버헤드가 존재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도한 시그널링 오버헤드는 시스템 효율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
이에 따라, 차세대 이동통신시스템에서는 전송 데이터에 대응하여 수신 장치로부터 전송되어야 할 ACK/NACK 신호를 위한 응답 신호 라디오 자원 통지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즉, 상기 ACK/NACK 신호를 위한 라디오 자원을 통지하는 방안과, 통지할 라디오 자원에 대한 제어 정보의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줄이는 구체적인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는 곧, 한정되어 있는 라디오 자원의 사용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상기 ACK/NACK 자원을 알려주기 위한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경감시키기 위한 방안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동작되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창안된 본 발명은, 차세대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응답 신호를 위한 라디오 자원을 시그널링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송 데이터에 대한 응답 채널을 수신하기 위한 라디오 자원을 단말에 통지할 때, 제어 채널을 전체 응답 채널과 동일한 다수의 그룹으로 그룹화하고, 상기 그룹화에 대응하는 정보와, 상기 응답 채널을 구별하기 위한 식별 자 정보를 통지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응답 신호를 위한 라디오 자원을 통지할 때, 그룹화된 제어 채널의 그룹 정보와, 해당 그룹에서의 제어 채널의 순서 정보와, 단말별 응답 채널을 구별하기 위한 지시자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채널을 단말에 통지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전송 데이터에 대한 응답 신호를 위한 라디오 자원을 통지하는 방법에 있어서, G개의 제어 채널 그룹들 중 선택된 하나의 제어채널 그룹의 제어 채널을 통해, 응답 채널 지시자를 포함하는 제어 정보를 단말에게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제어 채널 그룹에 대응하는 응답 채널 그룹의, 상기 응답 채널 지시자에 대응하는 응답 채널을 통해서 응답 신호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전송 데이터에 대한 응답 신호를 위한 라디오 자원을 통지받는 방법에 있어서, G개의 제어 채널 그룹들 중 선택된 하나의 제어채널 그룹의 제어 채널을 통해, 응답 채널 지시자를 포함하는 제어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제어 채널 그룹에 대응하는 응답 채널 그룹의, 상기 응답 채널 지시자에 대응하는 응답 채널을 통해서, 상기 기지국으로 응답 신호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후술되는 본 발명은 이동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OFDM 혹은 SC-FDMA 기반의 차세대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송신 장치가 수신장치에게 응답 신호 전송에 필요한 라디오 자원을 통지하는 방안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은, 하향링크인 경우 기지국이 데이터를 전송하고 단말이 전송 데이터에 대응되어 ACK/NACK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ACK/NACK 신호를 전송에 필요한 ACK/NACK 전송 자원을, 상기 단말에 어떻게 통지하고 운용할 것인지를 설명할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향링크인 경우도 적용되는 것으로, 상향 링크인 경우는 단말이 데이터를 전송하고 기지국이 상기 전송된 데이터에 대응하여 ACK/NACK을 전송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사용자간 ACK/NACK 다중화(Multiplexing)하는 방법에 제한을 받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ACK/NACK 전송에 대하여 한정함이 아니더라도, 자원할당 정보를 통지하고 운용해야하는 신호 전송의 경우도 확장 적용 가능함은 자명하다.
이하 본 발명은 일 실시 예로,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 표준화가 진행중인 LTE(Long Tern Evolution) 시스템을 기반으로 설명한다. 또한, 설명의 용이를 위하여 하향링크 전송을, 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3a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시스템에서 응답 신호 전송 자원(이하 'ACK/NACK 전송 자원'이라 칭함)을 통지하는 일 예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기지국은 데이터를 전송하고, 전송된 데이터에 대응하여 단말은 ACK/NACK 신호를 전송한다. 이때, ACK/NACK 신호는 ACK/NACK 채널(이하 'ACKCH'라 칭함)을 통해서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된다.
일 예로, 시스템내에 총 16개의 ACKCH이 존재한다고 가정하는 경우, 이에 따라 기지국은 동일한 시점에 최대 16 개의 단말들로부터 ACKCH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ACKCH는 응답 신호 전송 자원(이하 'ACKCH 전송 자원'라 칭함)과 일대일 대응된다. 상기 자원은 시간-주파수 자원 혹은 코드자원 혹은 시간-주파수 및 코드자원의 조합이 될 수 있고, 서로간에 직교성(Orthogonal)을 유지하고 있다.
즉, 도 3a 에서 기지국은 각각의 단말한테 상기 16개의 ACKCH 들중에서 어떤 ACKCH을 사용하여야 하는지 알려주기 위해서, 총 log216 = 4 비트의 시그널링 정보를 제어채널(302, Control Channel, 이하 CCH 라고 칭함)에 포함해서 전송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일 예로 하향링크 전송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다. 즉, 기지국이 데이터 혹은 제어 정보를 전송하고, 단말이 상기 데이터 혹은 제어 정보에 대한 수신오류 여부를 할당된 ACKCH을 통해 ACK/NACK 신호를 상기 기지국으로 피드백한다.
한편, 상향링크의 경우는 단말이 데이터 혹은 제어 정보를 전송하고, 기지국이 상기 데이터 혹은 제어 정보에 대한 수신오류 여부를 각각의 단말에 할당된 ACK/NACK 전송 자원을 통해 해당 단말로 피드백한다.
도 3b는 본 발명에 따라 ACKCH을 통지하기 위한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줄이는 개념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러한 도 3b에 따른 본 발명은 기지국이 할당 가능한 전체 ACKCH을 그룹화하고, 상기 ACKCH 그룹과 대응하여 제어채널을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채널 내에 상기 ACKCH 그룹내의 특정 ACKCH을 통지하는 제어 정보를 삽입하여 시그널링한다.
도 3b를 참조하면, 기지국은 일 예로, 총 16개의 ACKCH을 4개의 ACKCH 그룹(312, 314, 316, 318)으로 그룹화한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ACKCH 그룹과 일대일 대응하여 그룹 제어채널#A, 제어채널#B, 제어채널#C, 제어채널#D(304, 306, 308, 310)을 구성한다. 이때, 상기 각 구별되는 제어채널#A, 제어채널#B, 제어채널#C, 제어채널#D(304, 306, 308, 310)내에서 2 비트의 제어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함으로써, 상기 제어 채널과 일대일 대응되는 ACKCH 그룹 내의 어떤 ACKCH가 자신(단말)에게 지정하는지를 통지하여 준다.
즉, 각각의 제어채널#A, 제어채널#B, 제어채널#C, 제어채널#D(304, 306, 308, 310)내에서 해당 단말에게 대응하는 ACKCH를 2비트로 구별되게 지정하여 통지하여 알려준다.
이는 상기 도 3a의 예와 비교하여, 상기 ACKCH을 지정하기 위한 시그널링 오 버헤드가 4 비트에서 2비트로 줄어든 것을 알 수 있다.
다시 설명하면, 상기 도 3b에서 기지국이 단말한테 제어채널#A(304)를 전송하고, 이를 단말이 수신하면 단말은 상기 제어채널#A(304)와 일대일 대응관계에 있는 ACKCH 그룹A(312) 내에서 ACKCH을 선택해서 전송해야 함을 알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ACKCH 그룹A(312) 내의 4개의 ACKCH(ACKCH#1, ACKCH#2, ACKCH#3, ACKCH#4) 중에서 어떤 ACKCH을 단말이 사용해야 하는지는 상기 제어채널#A(304)에 포함되어 있는지는 상기 2 비트 정보로부터 알게 된다.
또한, 단말이 상기 제어채널#A, 제어채널#B, 제어채널#C, 제어채널#D(304, 306, 308, 310)중에서 어떤 제어 채널 혹은 그 조합을 수신해야 하는지는, 상기 기지국이 사전에 시그널링를 통해 알려줄 수 있다.
한편, 만약에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ACKCH을 통지하기 위한 상기 제어채널의 전송이 생략되고 데이터 전송만 발생할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데이터에 대응하는 ACK/NACK을 전송하기 위해 이전 전송에 사용했던 ACKCH을 사용하여 응답 신호를 전송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제어 채널(CCH) 및 응답 채널(ACKCH)를 그룹화하여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줄이는 개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기지국은 자신의 제어하에 있는 단말들한테 전송하는 제어채널(이하 CCH, 402)을 총 (L1+L2++LG) 개로 구성한다. 그리고, 단말이 전송하는 ACKCH(404)을 총 (K1+K2++KG)개 구성한다. 즉, 상기 CCH는 G 개의 그룹(406, 408, 410)으로 나뉘고, 'CCH 그룹 g' 는 'Lg' 개의 CCH들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자신의 제어하에 있는 단말들을 고려하여 상기 ACKCH는 G 개의 그룹 (412, 414, 416)으로 나뉘고, 'ACKCH 그룹 g' 는 'Kg' 개의 CCH로 구성된다. 상기 CCH 그룹 개수 G 와 ACKCH 그룹 개수 G 는 서로 동일하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CCH 그룹 g' 내의 l 번째 CCH를 CCH (g, l)로, 'ACKCH 그룹 g' 내의 k 번째 ACKCH를 ACKCH(g, k) 로 나타내기로 한다.
상기 CCH는 CCH 전송용 자원과 일대일 대응되고, 상기 ACKCH는 ACKCH 전송용 자원과 일대일 대응된다. 상기 자원은 시간-주파수 자원 혹은 코드자원 혹은 시간-주파수 및 코드자원의 조합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CCH 끼리는 서로 직교(orthogonal)하고, 또한 상기 ACKCH 끼리는 서로 직교(orthogonal) 하다.
기지국은 단말한테 데이터를 전송하기에 앞서서 상기 데이터 디코딩에 필요한 정보와, ACKCH 지시자 등을 포함하는 제어정보를, CCH를 통해 전송한다.
기지국이 단말#1한테 CCH(1, 1)(참조번호 418)을 통해 상기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상기 ACKCH 지시자는 상기 CCH (1, 1)과 일대일 대응하는 'ACKCH 그룹 1 (412)' 내에서 단말이 어떤 ACKCH을 통해 ACK/NACK 을 전송해야 하는지를 지시한다.
상기 도 4의 예에서는 상기 CCH(1, 1)내의 ACKCH 지시자가 ACKCH(1, 2) (참조번호 420)를 지시한다. 상기 ACKCH 지시자는 상기 'ACKCH 그룹 1 (412)'을 구성하는 ACKCH 들의 개수 K1 과 비례하는 ceil(Log2 K1) 개의 비트로 표현가능하다. 이 때 ceil(x) 는 x 보다 큰 최소 정수를 의미한다.
기지국이 다른 단말#2한테 CCH(1, 2)(참조번호 420)을 통해 상기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상기 ACKCH 지시자는 상기 CCH (1, 2)와 일대일 대응하는 'ACKCH 그룹 1 (412)' 내에서 ACKCH(1, K1) (참조번호 422)를 지시한다.
기지국이 또다른 단말#3한테 CCH(1, L1) (참조번호 422)을 통해 상기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상기 ACKCH 지시자는 상기 CCH (1, L1)과 일대일 대응하는 'ACKCH 그룹 1 (412)' 내에서 ACKCH(1, 1) (참조번호 418)를 지시한다.
이때, 각 단말별로 상기 CCH들(418, 420, 422)을 수신하는데 있어서, 어떤 CCH를 검색해야하는지는(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 'CCH 검색 그룹'으로 칭함) 사전 약속 또는 시그널링에 의해 기지국과 단말들 상호간에 공통적으로 인지하도록 함으로써 단말로 하여금 상기 CCH 검색으로 인한 복잡도를 경감시킨다.
상기 'CCH 검색 그룹' 과 'CCH 그룹' 사이에는 특별한 연관관계가 존재하지는 않는다. 단말은 상기 CCH를 검색할 때, CCH 내에 포함되어 있는 단말 ID와 자신의 ID를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확인함으로써 상기 CCH가 자신한테 해당하는 정보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알 수 있다.
한편,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CCH의 전송이 생략되고 데이터 전송만 발생할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최초 CCH 전송 이후 상기 데이터의 전송 형식 또는 사용하는 데이터 전송자원의 변화가 없이 유지되는 경우, 상기 CCH의 전송을 생략하더라도 단말 은 이전에 수신한 CCH로부터 데이터 디코딩에 필요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러므로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줄이기 위해 상기 기지국은 상기 CCH의 전송을 생략하고 데이터만 전송하게 된다. 이 때, 상기 데이터 전송에 대응되는 ACKCH은 이전 전송에 단말이 사용했던 ACKCH과 동일하게 유지함으로써 상기 ACKCH 지시자에 대한 오버헤드 역시 추가적으로 줄이게된다.
도 4에서, 'CCH 그룹 2 (408)'는 'ACKCH 그룹 2 (414)'와 일대일 대응되고, 구체적으로 상기 'CCH 그룹 2 (408)'내의 CCH(2,1)(참조번호 424), CCH(2,2) (참조번호 426), CCH(2, L2) (참조번호 428)는 각각 'ACKCH 그룹 2 (414)' 내의 ACKCH(2,2) (참조번호 426), ACKCH(2,1) (참조번호 424), ACKCH(2, K2) (참조번호 428)를 ACKCH 지시자를 통해 지시한다.
상기 ACKCH 지시자는 상기 'ACKCH 그룹 2 (414)'를 구성하는 ACKCH 들의 개수 K2 와 비례하는 ceil(Log2 K2) 개의 비트로 표현가능하다.
마찬가지 방법으로 'CCH 그룹 G (410)'는 'ACKCH 그룹 G (416)'와 일대일 대응되고, 구체적으로 상기 'CCH 그룹 G (410)'내의 CCH(G, 1)(참조번호 430), CCH(G, 2) (참조번호 432), CCH(G, LG) (참조번호 434)는 각각 'ACKCH 그룹 G (416)' 내의 ACKCH(G, 1) (참조번호 430), ACKCH(G, KG) (참조번호 434), ACKCH(G, 2) (참조번호 432)를 ACKCH 지시자를 통해 지시한다. 상기 ACKCH 지시자는 상기 'ACKCH 그룹 G (416)'를 구성하는 ACKCH 들의 개수 KG 와 비례하는 ceil(Log2 KG) 개 의 비트로 표현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상기 각각의 'ACKCH 그룹'을 구성하는 ACKCH 개수 K1, K2, KG 는 임의의 수로 정해질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모두 동일하게 유지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기지국이 그룹화된 응답 신호 전송 자원을 CCH를 통해 통지하는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500에서 기지국이 버퍼상태, 채널상태, 우선순위 등을 고려하여 단말한테 데이터 전송을 결정한다. 그러면, 기지국은 단계 502에서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기에 앞서 CCH의 전송 여부를 판단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CCH는 데이터 전송시 함께 전송되어 상기 데이터의 디코딩을 위한 정보로 이용된다.
한편, 기지국은 상기 CCH의 전송이 생략되고 데이터 전송만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초 CCH 전송 이후 상기 데이터의 전송 형식 또는 사용하는 데이터 전송자원의 변화가 없이 유지되는 경우, 상기 CCH의 전송을 생략하더라도 단말은 이전에 수신한 CCH로부터 데이터 디코딩에 필요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므로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줄이게 된다.
상기 단계 502에서 기지국이 CCH 전송을 결정하면, 단계 504에서 기지국은 어떤 자원 혹은 동등하게 어떤 CCH를 사용할 지를 결정한다. 다음 단계 506에서 기지국은 기지국의 데이터 전송에 대응되는 단말의 ACK/NACK을 어떤 자원 혹은 동등하게 어떤 ACKCH를 사용할 지를 결정한다.
이후 단계 508에서 상기 CCH의 전송형식을 결정하여 채널 코딩한 후, 상기 단계 504에서 결정한 자원을 사용하여 전송한다. 상기 CCH는 단말한테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자원정보 및 단말 ID, 데이터 전송형식, HARQ 관련 정보, 단말이 전송할 데이터의 자원정보 및 전송형식, ACKCH 지시자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단계 510에서 기지국은 단말한테 데이터를 전송한다. 만약, 상기 단계 502에서 기지국이 상기 CCH의 전송을 생략하기로 결정하면, 기지국은 단계 504, 506, 508의 절차를 생략하고 단계 510에서 바로 데이터 전송을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단말이 ACK/NACK을 전송하는 절차를 나타낸다. 이는 기지국이 CCH의 유무에 상관없이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의 상기 단말의 ACK/NACK 전송 절차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단계 600에서 단말은 자신에게 할당된 CCH를 검색한다. 이때, 단말은 사전에 기지국으로부터 단말이 검색해야 하는 'CCH 검색 그룹'을 통보받아 상기 'CCH 검색 그룹' 내의 CCH를 검색한다. 상기 'CCH 검색 그룹'은 사전 약속에 의해 기지국과 단말들 상호간에 공통적으로 인지하도록 설정되는 것으로써,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한테 통보된다.
단계 602에서, 단말이 상기 CCH 검색에 성공하면, 단계 604에서 CCH에 포함되어 있는 제어정보를 획득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오류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606에서, 상기 수신된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 판단 결과, 단말은 오류가 없음을 확인하면 ACK을 생성하고, 반면에 오류가 있으면 NACK을 생성한다. 단말은 상기 CCH내의 ACKCH 지시자가 통지한 ACKCH을 통해 상기 생성한 ACK/NACK을 전송한 다.
만약 기지국이 상기 CCH의 전송을 생략한 채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단말은 상기 단계 600에서 CCH 검색을 실패할 것이다. 이 경우, 단말은 단계 608에서 이전에 수신한 CCH로부터, 데이터 디코딩에 필요한 제어정보 및 ACK/NACK 전송을 위한 ACKCH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단계 604에서의 수신된 데이터를 디코딩한다.
그리고, 단계 606에서 수신된 데이터에 대한 오류 여부를 확인하여 ACK 또는 NACK 신호를 포함하는 ACKCH 전송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상기 도 6의 설명에서는, 기지국이 CCH를 전송했으나, 오류가 발생하여 단말이 제대로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는 편의상 고려하지 않고 설명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방법을 후술되는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과 단말간의 응답 신호 전송 자원을 할당 받고 응답 신호를 전송하는 전체 신호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참조번호 730 시점에 기지국(700)이 단말#1(702)한테 CCH(1, 1)(참조번호 706)을 전송한다. 상기 CCH(1, 1)(참조번호 706)은 'CCH 그룹 1'에 속하는 제어채널로서, 단말#1(702)로 하여금 상기 'CCH 그룹 1'과 일대일 대응되는 'ACKCH 그룹 1'을 ACKCH 전송용으로 사용할 것을 알려준다. 추가적으로 상기 CCH(1, 1)(참조번호 706)내에 'ACKCH 지시자 = 2'를 삽입하여 상기 단말#1(702)이 사용해야하는 ACKCH이 상기 'ACKCH 그룹 1'내의 2번째 ACKCH, 즉 ACKCH(1, 2)임 을 통지한다(742).
기지국(700)은 단말#2(704)한테 CCH(2, 2)(참조번호 708)을 전송한다. 상기 CCH(2, 2)(참조번호 708)은 'CCH 그룹 2'에 속하는 제어채널로서, 단말#2(704)로 하여금 상기 'CCH 그룹 2'와 일대일 대응되는 'ACKCH 그룹 2'를 ACKCH 전송용으로 사용할 것을 알려준다. 추가적으로 상기 CCH(2, 2)(참조번호 708)내에 'ACKCH 지시자 = 3'를 삽입하여 상기 단말#2(704)가 사용해야하는 ACKCH이 상기 'ACKCH 그룹 2'내의 3번째 ACKCH, 즉 ACKCH(2, 3)임을 통지한다(744).
참조번호 732 시점에 기지국(700)은 단말#1(702)한테 데이터(710)를 전송한다. 상기 데이터(710)의 전송형식은 상기 CCH(1, 1)(참조번호 706)내에 포함되어 있는 데이터 전송 관련 제어정보가 지시한 전송형식에 맞춰 전송한다. 기지국(700)이 단말#2(704)한테 전송하는 데이터(712)의 전송형식은 상기 CCH(2, 2)(참조번호 708)내에 포함되어 있는 데이터 전송 관련 제어정보가 지시한 전송형식에 따른다.
단말#1(702) 및 단말#2(704)는 상기 데이터(710, 712)를 각각 수신하여 오류여부를 판단한 후 ACK/NACK 신호를 생성한다.
이때, 상기 단말#1(702)은 상기 수신한 CCH(1, 1)(참조번호 706)로부터 통지받은대로(742) 즉, 상기 ACKCH 그룹 1의 2번째 ACKCH인 ACKCH(1, 2)를 사용하여 상기 생성한 ACK/NACK을 전송한다(714).
한편, 상기 단말#2(704)는 상기 수신한 CCH(2, 2)(참조번호 708)로부터 통지받은대로(744) 즉, ACKCH 그룹 2의 3번째 ACKCH인 ACKCH(2, 3)을 사용하여 상기 생성한 ACK/NACK을 전송한다(716).
기지국(700)은 ACKCH(1, 2)(참조번호 714) 와 ACKCH(2, 3)(참조번호 716)을 수신하여 이전에 전송한 데이터(710, 712)에 대한 재전송 여부를 판단한다.
기지국이 단말로부터 NACK을 수신하여 데이터 재전송을 결정한 경우,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 방법으로 CCH 및 데이터를 전송한다. 그런데, 상기 재전송 데이터의 전송형식이 이전 전송과 비교해 변화 없이 유지되는 경우, 상기 CCH의 전송을 생략함으로써 추가적인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1(702)에 대한 재전송 데이터의 전송형식이 이전에 전송된 데이터와 변화가 없다면, 상기 단말#1(702)에 대한 CCH 전송을 생략한다(718). 상기 CCH 가 생략된 채 단말#1(702)이 수신한 재전송 데이터(722)에 대한 ACK/NACK 전송용 ACKCH은 이전에 수신한 CCH(1, 1)(참조번호 706)이 통지한 바를 따라서 ACKCH(1, 2)(참조번호 726)를 사용한다(746).
반면, 단말#2(704)는 CCH(1, 1)(참조번호 720)이 통지한 대로(748) ACKCH(1, 3)(참조번호 728)을 사용하여 ACK/NACK을 전송한다.
-그룹화 예-
상기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에서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상기 CCH를 그룹화할 수 있다.
하기 설명에서, CCH(i), (i = 1, 2, , I) 는 특정 시점에서 기지국이 전송하는 CCH를 나타내는 것으로 인덱스 i 는 매 전송 시점마다 변할 수 있고, 최대 전송 가능한 채널 개수 I는 상기 도4에서 설명한 (L1+L2++LG) 보다 작거나 같다.
여기서, CCH(g, l), (g = 1, 2, , G, l = 1, 2, , LG) 은 'CCH 그룹 g' 내의 l 번째 CCH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CCH(i)가 하기 방법에 따라 매핑된다.
상기 'CCH 그룹'의 총 개수 G 와 각 'CCH 그룹'내에 최대 몇 개(L1, L2,LG)의 CCH가 설정될 수 있는지는 사전 약속 혹은 시그널링을 통해 기지국과 단말간에 공통으로 인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CCH(i) 및 CCH(g, l)은 논리적인 개념으로, 물리적인 전송에 사용되는 시간-주파수 자원과는 일대일 대응 관계에 있다.
<방법 1>
Figure 112007003510730-PAT00002
상기 <방법 1>은 현재 시점에 기지국이 전송하고자하는 CCH를 상기 'CCH 그룹 g' 에 매핑함에 있어서, 상기 인덱스 g가 낮은 'CCH 그룹'부터 순서대로 상기 CCH를 매핑한다.
예를 들어, G = 4, L1 = L2 = L3 = L4 = 2 로 설정되고, 현재 기지국이 CCH(1), CCH(2), , CCH(5), 5개의 CCH를 전송하고자할 때, 각각의 그룹은
CCH_GROUP(1) = {CCH(1,1) = CCH(1), CCH(1,2) = CCH(2)},
CCH_GROUP(2) = {CCH(2,1) = CCH(3), CCH(2,2) = CCH(4)},
CCH_GROUP(3) = {CCH(3,1) = CCH(5)},
CCH_GROUP(4) = { }
와 같이 구성된다.
<방법 2>
Figure 112007003510730-PAT00003
상기 <방법 2>는, 예를들어 'CCH 그룹'을 총 4개 설정하고 현재 기지국이 CCH(1), CCH(2),... , CCH(6), 6개의 CCH를 전송하고자할 때, 각각의 그룹은
CCH_GROUP(1) = {CCH(1,1) = CCH(1), CCH(1,2) = CCH(5)},
CCH_GROUP(2) = {CCH(2,1) = CCH(2), CCH(2,2) = CCH(6)},
CCH_GROUP(3) = {CCH(3,1) = CCH(3)},
CCH_GROUP(4) = {CCH(4,1) = CCH(4)}
와 같이 설정되어 동작함을 나타낸다.
따라서 현재 전송하고자 하는 CCH 개수가 시간에 따라 가변하더라도 최대한 각각의 'CCH 그룹'내에 매핑되는 CCH 개수를 비슷하게 유지함으로써, 특정 'CCH 그룹'으로 CCH가 편중되지 않도록 한다.
<방법 3>
상기 <방법 3>은 CCH의 변조 및 코딩 방식(Modulaiton and Coding Scheme, 이하 'MCS'라 칭함)에 따라 'CCH 그룹'을 구성한다.
상기 CCH의 MCS는 채널상황에 따라 변경 가능한데, 예를 들어 채널 상황이 좋은 단말들한테는 16QAM 과 같은 고차 변조 방식 혹은 고부호율의 코딩을 통해 자원 효율을 높일수 있다. 한편, 채널 상황이 안 좋은 단말들한테는 QPSK 혹은 저부호율의 코딩을 통해 오류정정능력을 극대화 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방법 3>은 동일한 혹은 유사한 MCS를 적용하는 CCH 끼리 동일 'CCH 그룹'을 구성하도록 한다.
<방법 4>
방법 4는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가 스케줄링 이득을 얻기위해 로컬화(localized) 전송되는지 또는 주파수 다이버시티를 얻기위해 분산화(distributed) 전송되는지에 따라 'CCH 그룹'을 구성한다.
도 8a와 도 8b는 본 발명에 따라 동작하는 기지국장치를 나타낸다.
도 8a를 참조하면, 기지국 장치는 스케쥴러(810)와, 파일롯 생성 장치(812)와, 데이터 생성 장치(814), CCH 생성장치(816), 다중화기(817), 직/병렬 변환기(818), 매핑 장치(820), IFFT (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블록(822), 병/직렬 변환기(824), CP (Cyclic Prefix) 삽입기(830), 안테나(8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케쥴러(810)는 기지국 장치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로 데이터 혹은 제어신호의 전 송여부, 자원매핑 방법 등을 결정한다. 상기 스케쥴러(810)는 다중화기(817), 매핑 장치(820), 파일롯 생성 장치(812), 데이터 생성장치(814), CCH 생성장치(816) 등 주요 블록에서 필요로 하는 제어 정보를 인가한다.
파일롯 생성 장치(812)에 입력되는 제어 정보로는 할당 파일롯 시퀀스 생성을 위한 시퀀스 인덱스, 시간영역 순환 쉬프트 정보 등이 있다. 상기 파일롯은 RS(Reference Signal)이라고도 칭하며, 수신측에서 채널추정 및 코히어런트 복조(Coherent demodulation)을 위해 사용된다.
데이터 생성장치(814) 및 CCH 생성장치(816)로는 데이터 전송 및 CCH 전송 여부 및 전송형식 등과 관련된 각종 정보가 입력된다.
다중화기(817)는 상기 파일롯 생성 장치(812)와 데이터 생성장치(814) 및 CCH 생성장치(816)에서 생성된 파일롯 및 데이터, CCH 등을 전송하기 위하여 스케줄러(810)로부터 타이밍 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상기 정보들을 실제 주파수 자원에 매핑하는 매핑 장치(820)는 스케줄러(810)로부터 타이밍 정보, 주파수 할당 정보 등을 입력 받는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CCH는 상기 다중화기(817)와 매핑장치(820)를 통해서 할당된 시간-주파수 자원에 매핑된다.
다중화기(817)의 출력 신호는 직/병렬변환기(818)에서 병렬신호로 변환된 후, 매핑 장치(820)에 입력되어 실제 전송될 주파수 자원에 매핑된다. 매핑 장치(820)의 출력신호는 IFFT(822) 장치에서 시간 영역의 신호로 변환되고 병직렬 변환기(824)로 입력되어 직렬 신호가 된다. CP 삽입기(830)에서는 상기 신호에 심볼간 간섭 방지를 위한 순환 프리픽스(Cyclic Prefix)를 추가한 후 송신 안테나(832)를 통해 전송된다.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도 8a의 CCH 생성장치(816)를 좀더 구체적으로 도시 한 도면이다.
도 8b를 참조하면, 제어정보생성기(840)는 스케줄러(810)로부터 데이터 전송 관련 제어정보를 입력받아(836), 즉, 기지국이 단말한테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자원정보 및 단말 ID, 데이터 전송형식, HARQ 관련 정보, 단말이 전송할 데이터의 자원 및 전송형식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정보를 생성한다.
ACKCH 지시자 생성기(842)는 스케줄러(810)로부터 단말이 ACK/NACK 전송에 사용할 ACKCH 관련 제어정보를 입력받아(838), ACKCH 정보를 생성한다.
다중화기(844)는 상기 제어정보생성기(840) 및 ACKCH 지시자 생성기(842)에서 만들어진 신호를 다중화 하여 부호화기로 입력시킨다.
부호화기(846)에서는 상기 입력된 신호에 오류정정능력을 부가하여 다중화기(817)로 입력시킨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동작하는 단말장치를 나타낸다.
도 9를 참조하면, 단말장치는 수신안테나(910), CP 제거기(912), 직/병렬 변환기(914), FFT 블록(916), 디매핑장치(918), 병/직렬 변환기(922), 역다중화기(924), 제어부(926), CCH 수신기(928), 채널추정기(930), 데이터 수신기(932), ACK/NACK 생성장치(934), 변조기(936), 송신파트(938), 송신안테나(94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제어부(926)는 수신 장치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로 역다중화기(924), 디매핑 장치(918), CCH 수신기(928), 채널추정기(930), 데이터 수신기(932), ACK/NACK 생성장치(934) 등 주요 블록에서 필요로 하는 제어 정보를 전송 한다.
CCH 수신기(928), 데이터 수신기(932), 그리고 ACK/NACK 생성장치(934)로는 각각 CCH 수신 타이밍, 데이터 수신 타이밍, ACKCH 송신 타이밍 등의 정보가 입력된다.
채널추정기(930)에 입력되는 제어 정보로는 수신하고자 하는 단말한테 할당한 파일롯 시퀀스 생성을 위한 시퀀스 인덱스, 시간영역 순환 쉬프트 정보 등이 있다.
역다중화기(924)는 상기 CCH 수신기(928) 및 데이터 수신기(932)와 채널추정기(930)로 입력되는 CCH 신호 및 데이터, 파일롯 등을 분류하기 위하여 제어부(926)로부터 타이밍 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상기 정보들을 실제 주파수 자원으로부터 추출하는 디매핑 장치(918)는 제어부(926)로부터 타이밍 정보, 주파수 할당 정보 등을 입력 받는다. 이때, 상기 단말장치는 CCH 수신을 위해 어떤 시간-주파수 자원을 검색해야 하는지에 대한 정보인 'CCH 검색 그룹' 정보를 사전에 시그널링을 통해 수신한 상태이다..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안테나(910)를 통해 신호를 수신하여, CP를 제거한 후(912), 직/병렬변환기(914)에서 병렬신호로 변환한 후, FFT 블록(916)으로 입력된다. 상기 FFT 블록의 출력신호는 디매핑 장치(918)를 거쳐, 병/직렬 변환기(922)에서 직렬 신호로 변환되고, 역다중화기(924)에서 CCH, 파일럿, 데이터로 분류되어 각각 CCH 수신기(928), 채널추정기(930), 데이터 수신기(932)로 입력된다. 채널추정기(930)는 입력된 파일롯 신호로부터 채널추정값을 획득하여 각각 CCH 및 데이터 신호의 채널 보상을 위해 사용한다.
특히, CCH 수신기(928)는 입력된 신호를 복조 및 디코딩하여 데이터 자원정보 및 전송형식 관련 제어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데이터 수신기(932)로 인가한다.
상기 CCH 에 대한 전송형식, 이를테면 변조방식, 코딩레이트 등이 변화하는 경우, 기지국은 별도의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CCH 전송형식에 대한 제어정보를 알려줌으로써 단말이 상기 CCH를 복조 및 디코딩 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CCH 수신기(928)는 수신된 CCH로부터 ACKCH 지시자를 획득하여 단말이 사용할 ACKCH 정보를 ACK/NACK 생성장치(934)로 인가한다. 만약 기지국과 단말간의 사전 약속에 의해 상기 CCH 수신 없이 데이터 수신만 되는 경우, 단말이 ACK/NACK 전송에 사용할 ACKCH 정보는 이전 ACK/NACK 전송에 사용한 ACKCH과 동일하게 유지한다. 따라서 이 경우를 위하여 상기 CCH 수신기(928)는 메모리에 이전 ACKCH정보를 저장하고 있다가 데이터 수신기(932)로 인가한다.
제어부(926)는 상기와 같은 CCH 유무에 따른 CCH 수신기(928) 동작을 제어한다.
데이터 수신기(932)는 상기 CCH 수신기(928)로부터 데이터 자원정보 및 전송형식 관련 정보를 획득하여, 데이터 복조 및 디코딩을 수행한다.
ACK/NACK 생성장치(934)는 데이터 수신기(932)로부터 수신 데이터의 오류여부를 통보받아, 오류가 없으면 ACK을 생성하고, 오류가 있으면 NACK을 생성한다. 그리고 CCH 수신기(928)로부터 입력받은 ACKCH 정보로부터 상기 생성한 ACK/NACK을 전송할 ACKCH를 구성한다.
그리고 제어부(926)는 상기 구성한 ACKCH의 전송 타이밍을 제어한다. ACK/NACK 생성장치(934)가 생성한 신호는 변조기(936)에서 변조되어, 송신파트(938)에서 신호처리된 후, 송신안테나(940)를 통해 전송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에 있어서, 개시되는 발명중 대표적인 것에 의하여 얻어지는 효과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데이터 전송에 대응되는 ACK/NACK 전송 자원을 통지함에 있어서, ACK/NACK 전송 자원을 그룹화하고, ACK/NACK 전송 자원을 통지하기 위한 제어채널을 상기 ACK/NACK 전송 자원 그룹과 대응하도록 그룹화한다.
또한, 상기 제어 채널내에 대응되어 그룹화된 ACK/NACK 전송 자원을 통지하는 제어 정보를 삽입하여 전송함으로서,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줄인다.

Claims (4)

  1.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전송 데이터에 대한 응답 신호를 위한 라디오 자원을 통지하는 방법에 있어서,
    G개의 제어 채널 그룹들 중 선택된 하나의 제어채널 그룹의 제어 채널을 통해, 응답 채널 지시자를 포함하는 제어 정보를 단말에게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제어 채널 그룹에 대응하는 응답 채널 그룹의, 상기 응답 채널 지시자에 대응하는 응답 채널을 통해서 응답 신호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응답 신호를 위한 라디오 자원 통지 방법.
  2.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전송 데이터에 대한 응답 신호를 위한 라디오 자원을 통지받는 방법에 있어서,
    G개의 제어 채널 그룹들 중 선택된 하나의 제어채널 그룹의 제어 채널을 통해, 응답 채널 지시자를 포함하는 제어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제어 채널 그룹에 대응하는 응답 채널 그룹의, 상기 응답 채널 지시자에 대응하는 응답 채널을 통해서, 상기 기지국으로 응답 신호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응답 신호를 위한 라디오 자원 통지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G개의 제어 채널 그룹들 중 선택된 하나의 제어채널 그룹을 나타내는 그룹 정보와, 상기 선택된 하나의 제어채널 그룹에서의 순서 정보와, 상기 응답 채널 지시자를 포함하는 상기 제어 정보를 제어 채널을 통해 상기 단말에게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자원 통지 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수신된 전송 데이터에 대한 응답 정보와, 상기 선택된 제어 채널 그룹에 대응하는 응답 채널 그룹을 나타내는 그룹 정보와, 상기 응답 채널 지시자를 상기 응답 채널을 통해서,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응답 신호를 위한 라디오 자원 통지 방법.
KR1020070004018A 2007-01-12 2007-01-12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응답 신호를 위한 라디오 자원을시그널링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8006650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4018A KR20080066509A (ko) 2007-01-12 2007-01-12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응답 신호를 위한 라디오 자원을시그널링하는 방법 및 장치
PCT/KR2007/006837 WO2008084927A1 (en) 2007-01-12 2007-12-26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ack/nack signa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4018A KR20080066509A (ko) 2007-01-12 2007-01-12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응답 신호를 위한 라디오 자원을시그널링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6509A true KR20080066509A (ko) 2008-07-16

Family

ID=39608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4018A KR20080066509A (ko) 2007-01-12 2007-01-12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응답 신호를 위한 라디오 자원을시그널링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80066509A (ko)
WO (1) WO20080849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635987B (zh) * 2008-07-25 2012-03-0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反馈下行接收状态的方法
WO2010099653A1 (zh) 2009-03-03 2010-09-10 深圳华为通信技术有限公司 信号编码方法及装置、联合反馈信号编码方法
CN102083187B (zh) * 2010-01-15 2013-02-20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传输上行信息和处理上行信息的方法、系统及装置
TW201204116A (en) * 2010-04-07 2012-01-16 Htc Corp Communication method
US10027443B2 (en) 2013-08-09 2018-07-17 Guangdong Nufront Computer System Chip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frame acknowledgment
CN107528675B (zh) * 2016-06-22 2021-08-2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确定ack/nack反馈结果的方法、装置、基站设备及重传调度方法
WO2021223047A1 (en) * 2020-05-02 2021-11-11 Qualcomm Incorporated Feedback scheme for systematic raptor code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8817A (ko) * 2004-03-03 2005-09-07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가입자 단말기의핸드오버에 따른 네트워크 재진입 시스템 및 방법
KR101119351B1 (ko) * 2005-05-04 2012-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시스템에서 정보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와 그 시스템
EP1880500A1 (en) * 2005-05-06 2008-01-23 Nokia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viding multi-carrieracknowledgment chann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084927A1 (en) 2008-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45841B2 (ja) 肯定応答信号及びサウンディングレファレンス信号を多重化する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JP7372393B2 (ja) 基地局、通信方法及び集積回路
KR101416994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주파수 자원 할당 장치 및 방법
US1034847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uplink signaling information in a single carrier FDMA system
KR101563000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 방법
AU2018216827B9 (en) Short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 design for 5th generation (5G) new radio (NR)
KR101186619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신호 송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4717929B2 (ja) 単一キャリア周波数分割多重接続システムにおけるアップリンクシグナリング情報を送受信する方法及び装置
KR100918729B1 (ko) 단반송파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시스템에서 역방향 제어정보와 데이터의 시간적 다중화 방법 및 장치
JP5898180B2 (ja) 広帯域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アップリンク資源割当指示装置及びその方法
US9363811B2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apparatus, mobile station apparatus, mobile communication method, and integrated circuit
KR20120004470A (ko) 반송파 병합 전송을 위한 제어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100020411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sr 전송 방법
KR20180034539A (ko) 업링크 제어 정보 송신 방법과 수신 방법, 및 관련 장치
KR101617934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ack/nack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80066509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응답 신호를 위한 라디오 자원을시그널링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80088127A (ko) 하이브리드 자동 재전송 요구 및 다중 안테나 기법을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비동기 긍정적/부정적 인지검파를 사용하는 상향 링크 긍정적/부정적 인지 채널 자원할당을 위한 암시적 시그널링 장치 및 방법
RU2776435C2 (ru) Базовая станция, терминал и способ связ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