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4774A - 전화와 휴대인터넷/무선랜을 이용한 유무선 통합 통화서비스 시스템과 그 방법 - Google Patents

전화와 휴대인터넷/무선랜을 이용한 유무선 통합 통화서비스 시스템과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4774A
KR20080064774A KR1020080050952A KR20080050952A KR20080064774A KR 20080064774 A KR20080064774 A KR 20080064774A KR 1020080050952 A KR1020080050952 A KR 1020080050952A KR 20080050952 A KR20080050952 A KR 20080050952A KR 20080064774 A KR20080064774 A KR 200800647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terminal
call
telephone
wi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0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석
강문석
송재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800509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64774A/ko
Publication of KR20080064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47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229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s, i.e. services related to one subscriber independent of his terminal and/or location
    • H04M3/42263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s, i.e. services related to one subscriber independent of his terminal and/or location where the same subscriber uses different terminals, i.e. nomadis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4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 H04W92/0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between gateways and public network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3/0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2203/1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the purpose or context of the 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3/1091Fixed mobile conver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wireless LAN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전화와 휴대인터넷/무선랜을 이용한 유무선 통합 통화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전화와 휴대인터넷 또는 무선랜을 이용하여 하나의 전화번호로 유/무선 음성 통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전화와 휴대인터넷/무선랜을 이용한 유무선 통합 통화 서비스 시스템과 그 방법 및 그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사용자가 하나의 전화번호(예; 유선전화번호 등)를 사용해 댁내에서는 유선망에 연결된 서비스 단말(유선 전화기 포함)을 통해 통화를 하고 외부에서는 무선망에 연결되는 서비스 단말을 통해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전화와 휴대인터넷/무선랜을 이용한 유무선 통합 통화 서비스 시스템과 그 방법 및 그 기록매체를 제공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유무선 통화 서비스 등에 이용됨.
휴대인터넷, 유무선 통합, 무선랜, VoIP, 유선전화

Description

전화와 휴대인터넷/무선랜을 이용한 유무선 통합 통화 서비스 시스템과 그 방법{Fixed and mobile convergence voice service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전화와 휴대인터넷/무선랜을 이용한 유무선 통합 통화 서비스 시스템과 그 방법 및 그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화와 휴대인터넷 또는 무선랜을 이용하여 하나의 전화번호로 유/무선 음성 통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전화와 휴대인터넷/무선랜을 이용한 유무선 통합 통화 서비스 시스템과 그 방법 및 그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일반통화에 대해서 착신 전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은 '교환기 기반의 호 전환 서비스(착신 전환 서비스)'와, 지능망 시스템을 이용한 '패스콜 서비스'가 있다.
상기 '교환기 기반의 호 전환 서비스(착신 전환 서비스)'는 가입자가 외출시에 전화기를 이용하여 자동 라우팅을 등록하는 방식이고, '패스콜 서비스'는 유선전화로 전화를 걸었을 때 일정 시간 동안 받지 않으면 휴대폰으로 자동 라우팅되도 록 하는 지능망 서비스이다.
그런데, 부재중 호를 라우팅해주는 '교환기 기반의 착신 전환 서비스(호 전환 서비스)'는, 가입자가 외출시 그리고 돌아왔을 때, 전화기에 직접 코드를 눌러 착신 전환의 입력/해지를 선택해야 하므로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지능망 시스템을 이용하는 '패스콜 서비스'의 경우, 무응답 대기시간을 기다린 후에야 착신 전환 번호로 라우팅이 되므로, 발신자는 긴 시간(무응답 대기시간)을 기다려야 하며, 따라서 호 연결의 완료율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그런데, 현재 인터넷에서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제공되는 서비스로는 메신저(Messanger), 인터넷 전화(VoIP) 서비스 등이 있다. 하지만, 메신저(Messanger)와 인터넷 전화(VoIP) 서비스는 모두 인터넷을 통해 서비스가 제공되므로, 이용자가 자리에 앉아 있지 않으면, 서비스를 이용하기가 어렵다. 즉, 이용자의 자리비움 상태에서는 양 서비스의 사용이 불가능하다.
특히, 현재 VoIP 서비스는 070 인터넷 전화번호를 통해 발/착신하는 서비스(이하, '제1 서비스'라 함)를 제공하고 있지만, 상기 제1 서비스는 유선 전화 가입자인 경우 유선전화번호와 유선 전화의 또 다른 형태인 인터넷 전화번호(070 전화번호)를 동시에 유지해야 되며, 번호에 따른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해외 출장자의 경우, 특히 인터넷 전화(인터넷 폰)나 국제전화 등으로 발신이 가능하며 휴대폰 로밍 등을 통해서 착신이 가능하지만, 역시 이에 대한 비용은 추가적으로 증가한다.
또한, 메신저 서비스는 메신저끼리 메신저 ID를 가지고 발신하는 서비스(이하, '제2 서비스'라 함)를 제공하고 있지만, 상기 제2 서비스는 유선 전화와 연동이 안되며, 이동통신망을 통해 발신은 가능하지만 메신저로의 착신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현재, 음성통화 서비스를 이용하는 대부분의 사용자는 이동통신 서비스와, 유선전화 서비스를 동시에 가입하여 사용하고 있고, 사용자 식별번호 또한 유선전화번호와 이동통신번호 두 가지를 모두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음성통화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유선 및 무선통신 서비스를 동시에 유지해야 하는 비용상의 문제와, 유선전화번호와 무선전화번호를 동시에 가지고 있는 혼란이 발생한다. 여기에, 휴대인터넷 서비스(WiBro 서비스) 까지 서비스를 받고자 한다면 비용상의 문제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참고적으로, 휴대인터넷 서비스란, 이동 중에 야외에서 인터넷 서비스, 즉 데이터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서비스를 말한다(이동 중(약 시속 60km) 1-3Mbps 정도의 인터넷 접속).
아울러, 인터넷을 통한 전화통화(VoIP) 서비스(상기 제1 서비스)의 경우, VoIP 번호에 대한 가입을 해야되며 이에 따른 비용이 추가적으로 증가한다. 이는 유선전화번호 및 VoIP번호 그리고 여기에 이동통신번호를 유지해야되는 비용상의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하나의 번호로 유/무선 통화가 가능한 유무선 통합 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유무선 통합 통화 서비스란, 하나의 번호와 하나의 청구서와 하나의 단말기를 가지고 유/무선 네트워크에 관계없이 사용자가 통화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서비스이다.
하지만, 현재의 유무선 통합 통화 서비스(예를 들면, 원폰 서비스 등)는 야외에서는 이동통신망(CDMA)을 이용하고, 댁내에서는 일반전화망(PSTN)을 이용하여 통화가 가능하지만, 유선망 사용시는 유선전화번호를 이용하고 무선망 사용시에는 이동통신번호를 사용하며, 댁내와 야외 사이의 핸드오버가 안되는 단점이 있다. 이는 단말의 기능에 의존한 유무선 통화 서비스를 구현한 것에 불과하다.
일예로, 원폰 서비스는 원폰이 등록된 집 전화의 AP 이외의 AP와는 통신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원폰 서비스는 AP가 등록된 집에서만 사용할 수 있으며, 집 밖으로 나가면(AP 영역 밖) 무조건 이동전화로 착신 전환되기 때문에 무선전화 요금으로 과금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상기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전화와 휴대인터넷 또는 무선랜을 이용하여 하나의 전화번호로 유/무선 음성 통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전화와 휴대인터넷/무선랜을 이용한 유무선 통합 통화 서비스 시스템과 그 방법 및 그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유무선 통합 통화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서비스 가입 유선전화번호(착신 전화기)에 대해서 착신되는 호(착신 호)를 확인하여 전화 연결을 요청하고, 인터넷 도메인 상의 등록 정보 서버로부터 전송된 등록상태정보와 단말 식별자를 바탕으로 유선전화-인터넷 게이트웨이를 통해 해당 서비스 단말로 상기 착신 호를 전송하여, 발신 전화기와 착신 응답한 상기 서비스 단말을 통화 연결하기 위한 지능망 시스템; 상기 서비스 단말의 등록상태를 관리하고 등록 정보 DB에 유선전화번호와 단말 식별자를 매핑시켜 관리하며, 상기 지능망 시스템으로부터 전화 연결 요청시 상기 서비스 단말의 등록 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서비스 단말이 홈 AP 권역 내에 있으면 상기 등록상태정보를 상기 지능망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상기 서비스 단말이 홈 AP 권역 밖의 휴대인터넷/무선랜 권역 내에 있으면 상기 단말 식별자를 할당하고 상기 서비스 단말을 상기 유선전화-인터넷 게이트웨이에 연결하며, 상기 등록상태정보와 상기 단말 식별자를 상기 지능망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상기 등록 정보 서버; 및 유선전화망의 음성과 시그널을 인터넷 도메인으로 연결시켜, 상기 발신 전화기와 상기 서비스 단말의 통화를 연결하기 위한 상기 유선전화-인터넷 게이트웨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상기 지능망 시스템은, 상기 착신 호를 확인하여 전화 연결을 요청하고, 호 연결 명령에 따라 상기 단말 식별자를 바탕으로 상기 유선전화-인터넷 게이트웨이를 통해 상기 서비스 단말로 상기 착신 호를 전송하여, 상기 발신 전화기와 착신 응답한 상기 서비스 단말을 통화 연결하는 서비스 교환기(SSP); 상기 서비스 교환기로부터의 전화 연결 요청을 상기 등록 정보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등록 정보 서버로부터의 상기 등록상태정보와 상기 단말 식별자를 서비스 제어기로 전달하는 지능망 연동 게이트웨이; 및 상기 등록상태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서비스 단말이 홈 AP 권역 내에 있으면 상기 착신 호를 상기 홈 AP 권역을 담당하는 해당 홈 AP로 연결 제어하고, 상기 서비스 단말이 홈 AP 권역 밖의 휴대인터넷/무선랜 권역 내에 있으면 상기 단말 식별자를 상기 서비스 교환기로 전송하여 호 연결을 명령하는 상기 서비스 제어기(SCP)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유선전화와 휴대인터넷/무선랜을 이용한 유무선 통합 통화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등록 정보 DB에 서비스 가입 유선전화번호와 해당 서비스 단말의 단말 식별자를 매핑시켜 등록하는 단계; 지능망 시스템에서 상기 유선전화번호(착신 유선전화기의 전화번호)에 대해서 착신되는 호(착신 호)를 확인하여 인터넷 도메인 상의 등록 정보 서버로 해당 서비스 단말의 상태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단말의 등록 상태를 확인함에 따라, 상기 서비스 단말이 홈 AP 권역 내에 있으면, 상기 지능망 시스템이 상기 등록 정보 서버로부터의 등록상태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홈 AP 권역 내의 홈 AP로 상기 착신 호를 전송하는 호 연결 단 계; 및 상기 지능망 시스템이 발신 전화기와 착신 응답한 상기 홈 AP 권역 내의 상기 서비스 단말을 통화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홈 AP가 상기 홈 AP 권역 내의 상기 착신 유선전화기 및 상기 서비스 단말로 상기 착신 호를 동시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유선전화와 휴대인터넷/무선랜을 이용한 유무선 통합 통화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등록 정보 DB에 서비스 가입 유선전화번호와 해당 서비스 단말의 단말 식별자를 매핑시켜 등록하는 단계; 지능망 시스템에서 상기 유선전화번호(착신 유선전화기의 전화번호)에 대해서 착신되는 호(착신 호)를 확인하여 인터넷 도메인 상의 등록 정보 서버로 해당 서비스 단말의 상태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단말의 등록 상태를 확인함에 따라, 상기 서비스 단말이 홈 AP 권역 밖의 휴대인터넷/무선랜 권역 내에 있으면, 상기 지능망 시스템이 상기 등록 정보 서버로부터 전달된 등록상태정보와 상기 서비스 가입 유선전화번호에 맵핑된 단말 식별자를 바탕으로 유선전화-인터넷 게이트웨이를 통해 상기 착신 유선전화기에 대응되는 상기 휴대인터넷/무선랜 권역 내의 서비스 단말로 상기 착신 호를 전송하는 호 연결 단계; 및 상기 지능망 시스템이 발신 전화기와 착신 응답한 상기 휴대인터넷/무선랜 권역 내의 상기 서비스 단말을 통화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호 연결 단계에서, 상기 지능망 시스템이 상기 유선전화번호의 유선전화기와, 상기 단말 식별자를 바탕으로 상기 유선전화-인터넷 게이트웨이를 통해 상기 휴대인터넷/무선랜 권역 내의 상기 서비스 단말로 상기 착신 호를 동시에 전송함으로써, 우선 착신 응답측과 상기 발신 전화기를 통화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휴대인터넷/무선랜 권역 내의 상기 서비스 단말에서 호 발신시, 착신번호가 동일 서비스에 등록된 유선전화번호이면, 상기 등록 정보 서버에서 착신 서비스 단말의 등록 상태를 확인하여, 등록 상태이면, 상기 서비스 단말과 상기 착신 서비스 단말 간에 통화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휴대인터넷/무선랜 권역 내의 상기 서비스 단말에서 호 발신시, 착신번호가 서비스 등록되지 않았거나, 착신번호가 서비스 등록되어 있으나 착신 서비스 단말이 등록 상태가 아니면, 상기 등록 정보 서버가 상기 유선전화번호에 맵핑된 단말 식별자를 확인하여, 상기 서비스 단말을 해당 단말 식별자로 상기 유선전화-인터넷 게이트웨이에 연결시킨 후, 상기 지능망 시스템으로 상기 단말 식별자와 발신측 유선전화번호와 착신번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지능망 시스템에서 상기 서비스 단말과 착신 전화기를 통화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한편, 본 발명은, 프로세서를 구비한 유무선 통합 통화 서비스 시스템에, 등록 정보 DB에 서비스 가입 유선전화번호와 해당 서비스 단말의 단말 식별자를 매핑시켜 등록하는 기능; 지능망 시스템에서 상기 유선전화번호(착신 유선전화기의 전화번호)에 대해서 착신되는 호(착신 호)를 확인하여 인터넷 도메인 상의 등록 정보 서버로 해당 서비스 단말의 상태 정보를 요청하는 기능; 상기 서비스 단말 의 등록 상태를 확인함에 따라, 상기 서비스 단말이 홈 AP 권역 내에 있으면, 상기 지능망 시스템이 상기 등록 정보 서버로부터의 등록상태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홈 AP 권역 내의 홈 AP로 상기 착신 호를 전송하는 기능; 및 상기 지능망 시스템이 발신 전화기와 착신 응답한 상기 홈 AP 권역 내의 상기 서비스 단말을 통화 연결하는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프로세서를 구비한 유무선 통합 통화 서비스 시스템에, 등록 정보 DB에 서비스 가입 유선전화번호와 해당 서비스 단말의 단말 식별자를 매핑시켜 등록하는 기능; 지능망 시스템에서 상기 유선전화번호(착신 유선전화기의 전화번호)에 대해서 착신되는 호(착신 호)를 확인하여 인터넷 도메인 상의 등록 정보 서버로 해당 서비스 단말의 상태 정보를 요청하는 기능; 상기 서비스 단말의 등록 상태를 확인함에 따라, 상기 서비스 단말이 홈 AP 권역 밖의 휴대인터넷/무선랜 권역 내에 있으면, 상기 지능망 시스템이 상기 등록 정보 서버로부터 전달된 등록상태정보와 상기 서비스 가입 유선전화번호에 맵핑된 단말 식별자를 바탕으로 유선전화-인터넷 게이트웨이를 통해 상기 착신 유선전화기에 대응되는 상기 휴대인터넷/무선랜 권역 내의 서비스 단말로 상기 착신 호를 전송하는 기능; 및 상기 지능망 시스템이 발신 전화기와 착신 응답한 상기 휴대인터넷/무선랜 권역 내의 상기 서비스 단말을 통화 연결하는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유선전화망(PSTN)과, 휴대인터넷/무선랜을 이용하여 유/무선 통화 서비스를 실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음성 통화 서비스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에게 비용상의 절감을 가져다주며, 하나의 번호를 이용하여 유/무선상에서 통화를 할 수 있는 편리함을 가져다준다. 또한, 기존의 유선 전화 가입자는 별도의 가입 절차없이 자신의 단말을 자신의 유선전화번호에 등록만 하면 되므로, 별도의 비용 없이 유/무선 통화를 할 수 있는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유선 전화 사업자 입장에서는 번호 자원을 절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선 전화의 이동통신으로의 전환을 방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명확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휴대인터넷 서비스 혹은 무선랜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유선 전화 사업자가 유선전화번호를 가지고 유무선 통합 통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유선전화번호를 가지고 있는 사용자가 유선전화번호에 대해 걸려오는(착신) 전화에 대해서, 호 연결 요청을 유선전화기 뿐만 아니라 휴대인터넷 또는 무선랜에 연결된 서비스 단말을 통해 동시에 받을 수 있고(동시 링 기능), 해당 호(유선전화번호로 걸려온 전화 호)에 대한 통화를 유선전화기 또는 휴대인터넷/무선랜에 연결된 서비스 단말을 통해서 할 수 있으며(통화 기능), 또한 휴대인터넷 단말(서비스 단말)을 이용하여 전화를 걸 경우(발신) 상대방 CID에 자신의 유선전화번호를 보여주면서 전화를 걸 수 있게 한다(발신 표시 기능).
여기서, 서비스 단말을 통해서 통화를 함에 있어서, 자신의 유선전화기가 AP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 서비스 단말이 AP 권역내 또는 권역밖에 있더라도, 발/착신 통화가 가능해야 한다. 또한, 유선전화기가 AP에 연결되어 있지 않더라도, 서비스 단말은 발/착신 통화가 가능해야 한다.
이 모든 서비스는 사용자의 개입없이 혹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자동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이를 통해서, 본 서비스 가입자는 야외에서 이동 중에 휴대인터넷 혹은 무선랜을 통해 자신의 유선전화기로 걸려온 전화를 받을 수 있으며 이동통신 전화번호 없이 상대방에게 자신이 받을 수 있는 유선전화번호를 보여주고 전화를 걸 수 있다. 그리고, 이는 SMS에도 해당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유선전화와 휴대인터넷/무선랜을 이용한 유무선 통합 통화 서비스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선전화와 휴대인터넷/무선랜을 이용한 유무선 통합 통화 서비스를 위해서는, 서비스 가입한 유선전화번호(예를 들면, 착신 유선전화기(11)의 전화번호)에 대해서 걸리는 호(착신 호)를 확인하고 이를 서비스 제어기(SCP)(42)로 제공해주는 서비스 교환기(SSP)(43), 서비스 제어기(SCP)(42)의 상태정보 요청을 인터넷 도메인에 있는 등록 정보 서버(50)로 전달해주는 지능망 연동 게이트웨이(41), 서비스 단말(20)의 상태 정보를 받아서 등록 정보 DB(51)에 저장하고, 지능망 연동 게이트웨이(41)로부터 상태 확인 요청을 받아서, 서비스 단말(20)이 홈 AP 영역(권역)(10)에 있으면 지능망 시스템(40)으로 등록상태정보를 넘겨주고, 서비스 단말(20)이 홈 AP 외 영역(휴대인터넷/무선랜 영역(70)) 상태에 있을 경우 유선전화-인터넷 게이트웨이(31)와 서비스 단말(20)을 연결하고 단말 식별자를 부여하고 지능망 연동 게이트웨이(41)로 등록상태정보와 단말 식별자를 넘겨줌으로써 서비스 단말(20)로 호 연결 요청이 갈 수 있도록 하는 등록 정보 서버(50), 지능망 연동 게이트웨이(41)를 통해서 등록 정보 서버(50)로부터 서비스 단말(20)의 상태(등록상태정보)와 단말 식별자를 받아서 서비스 단말(20)과 실제 유선전화번호(착신 유선전화기(12)의 전화번호)로 동시링을 해주는 서비스 제어기(SCP)(42), 유선전화망(PSTN)의 음성과 시그널을 인터넷 도메인으로 연결해주는 유선전화-인터넷 게이트웨이(31), 서비스 단말(20)에서 자신의 네트워크 설정에 따라 등록 정보 서버(50)에 상태를 갱신해주는 단말 에이전트(21)를 포함한다.
상기 서비스 교환기(SSP)(43)는 본 서비스에 가입한 유선전화번호(서비스 가입된 유선전화기(12)의 전화번호)에 대해서 걸리는 호를 확인하면 서비스 제어기(SCP)(42)로 해당 정보를 제공해 주며(전화 연결 요청), 서비스 제어기(SCP)(42)로부터 명령을 받아서 유선전화-인터넷 게이트웨이(31)를 통해서 서비스 단말(20)과 발신 전화기(임의의 유선 전화 또는 유무선 연동 게이트웨이(32)를 통한 임의의 ㅇ이동통신 단말기)의 호를 연결해준다.
또한, 서비스 제어기(SCP)(42)는 서비스 교환기(SSP)(43)로부터 호 연결 요청을 받아서 지능망 연동 게이트웨이(41)를 통해서 등록 정보 서버(50)로 가입자 등록 정보(등록상태정보)를 요청하여, 등록 정보 서버(50)로부터 등록상태정보를 받아서, 서비스 단말(20)이 홈 AP 권역(10)에 있을 경우 해당 호(착신 호)를 유선 전화기(12)가 연결되어 있는 홈 AP(11)로 연결해주거나, 서비스 단말(20)이 휴대인터넷/무선랜 권역(70)에 있는 경우 등록 정보 서버(50)가 서비스 단말(20)에 부여한 유선전화-인터넷 게이트웨이(31)의 단말 식별자를 받아서 홈 AP(11)와 서비스 단말(20)에 동시에 호 연결을 요청하여, 먼저 응답하는 쪽으로 호를 연결해준다.
여기서, 유선전화-인터넷 게이트웨이(31)는 유선전화망(PSTN)과 데이터망(IP망) 사이를 연결해 주는 기능을 하며, 미디어 게이트웨이(MGW), 시그널링 게이트웨이(SGW), 트렁크 게이트웨이(TGW)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휴대인터넷 권역(70)은 기지국장치(Base Station) 영역을 의미하며, 제어국(ACR : Access Control Router), 기지국(RAS : Radio Access Station)으로 구성된다.
또한, 홈 AP(11)는 유선전화기(12)의 중계 역할 및 ADSL이나 VDSL 모뎀과 같이 인터넷에 연결할 수 있도록 해준다. 유선전화기(12)로 전화가 올 경우, 연결되어 있는 유선전화기(12)로 신호를 보내거나, 블루투스나, 무선랜을 이용하여 접속되어 있는 서비스 단말(20)로 연결 요청을 보내고 연결되었을 경우 유선 전화 신호 및 음성을 전달 가능하다. 다만, 홈 AP(11) 없이 유선전화기(12)가 직접 유선전화망(PSTN)에 연결될 수도 있다.
한편, 지능망 연동 게이트웨이(41)는 서비스 제어기(SCP)(42)로부터 상태 정보 요청(호 연결 요청)을 받아서 등록 정보 서버(50)로 가입자 등록 정보(등록상태정보)를 요청하여, 등록 정보 서버(50)로부터 등록상태정보 혹은 '등록상태정보+단말 식별자'를 전달받아 서비스 제어기(SCP)(42)로 전달해준다.
또한, 서비스 단말(20)은 휴대인터넷 혹은 무선랜을 접속(Access)할 수 있으며, 홈 AP(11)를 통해서 유선전화망(PSTN) 및 휴대인터넷/무선랜과 연결되는 휴대 인터넷 전용 단말 혹은 무선랜 단말 중 하나이며, 스피커와 마이크가 내장되어(음성 입출력 기능을 구비한) 음성을 송수신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을 의미한다.
또한, 단말 에이전트(21)는 서비스 단말(20)이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서 단말의 상태를 등록 정보 서버(50)로 전달하여 상태 정보 DB(51)를 갱신해주며, 음성 및 호 요청에 대한 처리를 한다.
등록 정보 서버(50)는 단말 에이전트(21)로부터 상태 정보를 받아서 등록 정보 DB(51)에 상태(로그인/로그아웃)를 등록하고, 지능망 연동 게이트웨이(41)를 통해서 서비스 제어기(SCP)(42)로 등록상태정보 혹은 단말 식별자를 전송하며, 유선 전화-인터넷 게이트웨이(31)에 단말 식별자를 생성하여 서비스 단말(20)에 단말 식별자를 부여하고, 등록상태정보에 따라서 서비스 단말(20)에 호 연결 요청을 전송한다.
정리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유선전화와 휴대인터넷/무선랜을 이용한 유무선 통합 통화 서비스 시스템은, 서비스 가입 유선전화번호(서비스 가입된 유선전화기(12)의 전화번호)에 대해서 착신되는 호(착신 호)를 확인하여 전화 연결을 요청하고, 인터넷 도메인 상의 등록 정보 서버(50)로부터 전송된 등록상태정보(서비스 단말(20)의 로그인/로그아웃 상태정보)와 단말 식별자(서비스 단말(20)을 유선전화-인터넷 게이트웨이(31)에 연결시키기 위한 할당된 식별자)를 바탕으로 유선전화-인터넷 게이트웨이(31)를 통해 서비스 단말(20)로 착신 호를 전송하여, 발신 전화기(임의의 유선전화기 혹은 유무선 연동 게이트웨이(32)를 통한 임의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착신 응답한 서비스 단말(20)을 통화 연결하기 위한 지능망 시스템(40)과, 서비스 단말(20)의 등록상태를 관리하고 등록 정보 DB(51)에 유선전화번호(서비스 가입된 유선전화기(12)의 전화번호)와 단말 식별자를 매핑시켜 관리하며, 지능망 시스템(40)으로부터 전화 연결 요청시 서비스 단말(20)의 등록 상태를 확인하여, 서비스 단말(20)이 홈 AP 권역(10) 내에 있으면 등록상태정보를 지능망 시스템(40)으로 전송하고, 서비스 단말(20)이 홈 AP 권역(10) 밖의 휴대인터넷/무선랜 권역(70) 내에 있으면 단말 식별자를 할당하고 서비스 단말(20)을 유선전화-인터넷 게이트웨이(31)에 연결하며, 등록상태정보와 단말 식별자를 지능망 시스템(40)으로 전송하는 등록 정보 서버(50)와, 유선전화망(PSTN)의 음성과 시그널을 인터넷 도메 인으로 연결시켜, 발신 전화기(임의의 유선전화기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서비스 단말(10)의 통화를 지원하기 위한 유선전화-인터넷 게이트웨이(31)를 포함한다.
상기 지능망 시스템(40)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착신 호를 확인하여 전화 연결을 요청하고, 호 연결 명령에 따라 단말 식별자를 바탕으로 유선전화-인터넷 게이트웨이(31)를 통해 서비스 단말(20)로 착신 호를 전송하여, 발신 전화기(임의의 유선전화기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착신 응답한 서비스 단말(20)을 통화 연결하는 서비스 교환기(SSP)(43)와, 서비스 교환기(SSP)(43)로부터의 전화 연결 요청을 등록 정보 서버(50)로 전송하고, 등록 정보 서버(50)로부터의 등록상태정보와 단말 식별자를 서비스 제어기(SCP)(42)로 전달하는 지능망 연동 게이트웨이(41)와, 등록상태정보를 참조하여, 서비스 단말(20)이 홈 AP 권역(10) 내에 있으면 착신 호를 홈 AP 권역(10)을 담당하는 해당 홈 AP(11)로 연결 제어하고, 서비스 단말(20)이 홈 AP 권역(10) 밖의 휴대인터넷/무선랜 권역(70) 내에 있으면 단말 식별자를 서비스 교환기(SSP)(43)로 전송하여 호 연결을 명령하는 서비스 제어기(SCP)(42)를 포함한다.
여기서, 서비스 교환기(SSP)(43)는, 서비스 제어기(SCP)(42)의 동시 링에 관한 호 연결 명령에 따라, 착신 호를 착신 전화기(유선전화기(12))와 유선전화-인터넷 게이트웨이(31)를 통해 서비스 단말(20)로 동시에 전송하여, 우선 착신 응답한 유선전화기(11) 혹은 서비스 단말(20)을 발신 전화기(임의의 유선전화기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화 연결하는 기능을 더 구비한다.
상기에서, 홈 AP(11)는, 서비스 단말(20)이 홈 AP 권역(10) 내에 있으면, 전 화 연결 요청시 착신 호를 착신 전화기(유선전화기(11)) 및 서비스 단말(20)로 전송하고, 착신 응답시 우선 착신 응답한 전화기(11) 혹은 단말(20)로 음성을 송수신하며, 서비스 단말(20)과 블루투스/무선랜 통신이 가능하다. 여기서, 서비스 단말(20)은, 자신의 네트워크 설정에 따라 상태를 등록 정보 서버(50)에 자동 갱신하는 단말 클라이언트(21)를 포함한다.
특히, 서비스 단말(20)이 홈 AP 권역(10) 내에서 호를 발신하면, 홈 AP(11)를 통해서 유선전화망(PSTN)으로 연결되며, 홈 AP(11)가 이를 중계하되, 일반 전화 발신 방식을 따른다.
또한, 서비스 단말(20)이 홈 AP 권역(10) 밖의 휴대인터넷/무선랜 권역(70) 내에서 호를 발신하면, 상대방 측(임의의 유/무선 착신 전화기)에 표시되는 발신번호(CID)로서, 서비스 가입 유선전화번호(유선전화기(12)의 전화번호)가 표시된다.
또한, 홈 AP 권역(10) 밖의 휴대인터넷/무선랜 권역(70) 내에서, 서비스 단말(20)의 호 발신시에는, 착신번호가 서비스 등록되지 않았거나, 착신번호가 서비스 등록되어 있으나 착신 서비스 단말(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서비스 가입된 착신 유선전화기(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 등록된 서비스 단말임)이 등록 상태가 아니면, 등록 정보 서버(50)가 유선전화번호(유선전화기(12)의 전화번호)에 맵핑된 단말 식별자를 확인하여, 서비스 단말(20)을 해당 단말 식별자로 유선전화-인터넷 게이트웨이(31)에 연결시킨 후, 지능망 시스템(40)으로 단말 식별자와 발신측 유선전화번호와 착신번호를 전송하여, 지능망 시스템(40)에서 서비스 단말(20)과 착신 전화기(임의의 유선전화기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화 연결한다.
또한, 홈 AP 권역(10) 밖의 휴대인터넷/무선랜 권역(70) 내에서, 서비스 단말(20)의 호 발신시에는, 착신번호가 동일 서비스에 등록된 유선전화번호(서비스 가입된 착신 유선전화기(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의 전화번호)이면, 등록 정보 서버(50)에서 착신 서비스 단말(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서비스 가입된 착신 유선전화기(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 등록된 서비스 단말임)의 등록 상태를 확인하여, 등록 상태이면, 서비스 단말(20)과 상기 착신 서비스 단말 간에 통화 연결한다.
이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선전화와 휴대인터넷/무선랜을 이용한 유무선 통합 통화 서비스 방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도 2를 참조하여 서비스 단말(20)이 홈 AP 권역(10)에 있어, 서비스 단말(20)이 착신 단말이 되는 경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서비스 단말(20)이 홈 AP 권역(10)에 들어가게 되면, 서비스 단말(20)의 단말 에이전트(21)는 등록 정보 서버(50)로 홈 AP 권역(10)이라는 상태를 갱신하게 된다(201).
이후, 발신 전화기(예를 들면, 임의의 유선전화기 또는 유무선 연동 게이트웨이(32)를 통한 임의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됨)가 본 서비스에 가입된 유선전화번호(유선전화기(12)의 착신 전화번호로서, 해당 전화번호에 서비스 단말(20)이 등록되어 있음)로 전화를 걸면(202), 지능망 시스템(40)의 서비스 교환기(SSP)(43)는 착신번호(유선전화기(12)의 전화번호)를 바탕으로 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하여(203), 본 서비스 가입자이면 서비스 제어기(SCP)(42)로 전화 연결을 요청한다(204).
다음으로, 서비스 제어기(SCP)(42)는 지능망 연동 게이트웨이(41)로 가입자 등록 정보(등록상태정보)를 요청하고(205), 지능망 연동 게이트웨이(41)는 해당 서비스 단말(20)의 상태정보를 등록 정보 서버(50)로 요청한다(206). 그러면, 등록 정보 서버(50)는 등록 정보 DB(51)를 확인하여(207), 가입자의 서비스 단말(20)이 홈 AP(11) 권역에 있다는 것을 알게 되어, 해당 등록상태정보를 지능망 연동 게이트웨이(41)로 보낸다(208).
이후에, 지능망 연동 게이트웨이(41)는 서비스 단말(20)이 홈 AP의 권역(10)에 있다는 등록상태정보를 서비스 제어기(SCP)(42)로 보내고(209), 이에 대해 서비스 제어기(SCP)(42)는 서비스 교환기(SSP)(43)를 통해서 발신 전화기(임의의 유선전화기 또는 유무선 연동 게이트웨이(32)를 통한 임의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유선전화망(PSTN)을 통해서 홈 AP(11)로 연결한다(210,211).
마지막으로, 서비스 교환기(SSP)(43)에서 홈 AP(11)로 유선전화 연결 신호가 가면, 홈 AP(11)는 서비스 단말(20)과 실제 착신 전화기(유선전화기(12))로 호 연결 신호를 보내고, 먼저 연결되는 쪽으로 연결한다(212).
이때, 실제 착신 전화기(유선전화기(12)) 및 서비스 단말(20)에 동시에 링이 울리며, 먼저 착신 응답(hook-off)하는 쪽으로 통화가 연결된다. 예를 들면, 서비스 단말(20)에서 착신 응답(hook-off)하는 경우, 발신 전화기(임의의 유선전화기 혹은 유무선 연동 게이트웨이(32)를 통한 임의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착신 응답한 서비스 단말(20)을 통화 연결한다. 이때, 발신 전화기(임의의 유선전화기 혹은 유무선 연동 게이트웨이(32)를 통한 임의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서비스 교환 기(SSP)(43)에 호가 연결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별도의 전화 연결 과정은 필요치 않다.
한편, 비록 도면에는 도시되지 되었지만, 상기 서비스 단말(20)에서의 발신 과정을 살펴보면, 서비스 단말(20)은 홈 AP(11)를 통해서 유선전화망(PSTN)으로 연결되며, 홈 AP(11)가 이를 중계해준다. 서비스 단말(20)이 전화를 거는 것은 유선전화기(12)에서 전화 거는 것과 동일하다. 이때, 착신측(임의의 유선전화기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보여지는 CID는 발신하는 서비스 단말(20)에 등록된 유선전화번호(유선전화기(12)의 전화번호)이다.
우선,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서비스 단말(20)이 홈 AP 권역(10) 밖의 휴대인터넷/무선랜 권역(70) 내에 있어, 서비스 단말(20)이 착신 단말 및 발신 단말이 되는 경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서비스 단말(20)이 착신 단말로 동작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서비스 단말(20)이 홈 AP 권역(10) 밖의 휴대인터넷/무선랜 권역(70) 내에 들어가게 되면, 서비스 단말(20)의 단말 에이전트(21)는 등록 정보 서버(50)로 휴대인터넷/무선랜 권역(70)이라는 상태를 갱신하게 된다(301).
이후, 발신 전화기(예를 들면, 임의의 유선전화기 또는 유무선 연동 게이트웨이(32)를 통한 임의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됨)가 본 서비스에 가입된 유선전화번호(유선전화기(12)의 착신 전화번호로서, 해당 전화번호에 서비스 단말(20)이 등록되어 있음)로 전화를 걸면(302), 지능망 시스템(40)의 서비스 교환기(SSP)(43)는 착신번호(유선전화기(12)의 전화번호)를 바탕으로 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하 여(303), 본 서비스 가입자이면 서비스 제어기(SCP)(42)로 전화 연결을 요청한다(304).
다음으로, 서비스 제어기(SCP)(42)는 지능망 연동 게이트웨이(41)를 통해서 등록 정보 서버(50)로 해당 서비스 단말(20)의 가입자 등록 정보(등록상태정보)를 요청하여(305), 등록 정보 서버(50)에서 등록 정보 DB(51)를 확인하여(206), 서비스 단말이 휴대인터넷/무선랜에 접속되어 있다는 것을 확인한 후, 발신 전화기(임의의 유선전화기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서비스 단말(20)을 연결하기 위해서 유선전화-인터넷 게이트웨이(31)에 단말 식별자를 할당한다(307). 이때, 단말 식별자의 할당은 서비스 단말(20)이 홈 AP 권역(10) 밖의 휴대인터넷/무선랜 권역(70)에 있음을 등록 정보 서버(50)에 갱신할 때 할당하여도 무방하다. 이 단말 식별자를 가지고 서비스 단말(20)은 유선전화-인터넷 게이트웨이(31)에 연결되며(308), 이때 단말 식별자 할당 및 연결하는 방법은 SIP 같은 세션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있다.
이후에, 등록 정보 서버(50)는 서비스 단말(20)이 휴대인터넷/무선랜 권역(70) 내에 있다는 등록상태정보와 해당 단말 식별자를 지능망 연동 게이트웨이(41)를 통해서 서비스 제어기(SCP)(42)로 전송하고(309), 서비스 제어기(SCP)(42)는 서비스 교환기(SSP)(43)로 유선전화-인터넷 게이트웨이(31)의 단말 식별자와 동시 링에 관한 호 연결 명령을 전송하여(310), 서비스 교환기(SSP)(43)가 착신 호를 실제 착신 전화기(유선전화기(12))와 유선전화-인터넷 게이트웨이(31)를 통해 서비스 단말(20)로 동시에 전송하도록 한다(311).
이때, 실제 착신 전화기(유선전화기(12)) 및 서비스 단말(20)에 동시에 링이 울리며, 먼저 착신 응답(hook-off)하는 쪽으로 통화가 연결된다. 예를 들면, 서비스 단말(20)에서 착신 응답(hook-off)하는 경우), 발신 전화기(임의의 유선전화기 혹은 이동통신 단말기)와 착신 응답한 서비스 단말(20)을 통화 연결한다. 이때, 발신 전화기(임의의 유선전화기 혹은 이동통신 단말기)는 서비스 교환기(SSP)(43)에 호가 연결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별도의 전화 연결 과정은 필요치 않다.
한편, 도 4를 참조하여, 서비스 단말(20)이 발신 단말로 동작하는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발신 단말로 동작하는 서비스 단말(20)과 서비스 등록된 발신 유선전화기(11)가 연계되어 있음을 가정한 것이다.
본 서비스에 등록하게 되면, 사용하고자 하는 유선전화번호(유선전화기(11) 혹은 그외 유선전화기(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의 전화번호)가 존재한다.
등록 정보 DB(51)에는 해당 유선전화번호(유선전화기(11) 혹은 그외 유선전화기의 전화번호)와 단말 및 유선전화-인터넷 게이트웨이(31)에 할당된 단말 식별자가 매핑되어 있으며, 발신 단말(서비스 단말(20))에서 전화를 걸 경우 등록 정보 서버(50)에 있는 유선전화번호(유선전화기(11)의 전화번호)를 상대방 전화기(착신 유선전화기 혹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CID에 보여주도록 한다. 이때, 단말 식별자는 서비스 단말(20)이 홈 AP 권역(10) 밖의 휴대인터넷/무선랜 권역(70)에 있음을 등록 정보 서버(50)에 갱신할 때 할당하거나 아님 요청이 있을 경우 생성된다.
만약, 발신 단말(서비스 단말(20))에서 호 발신시, 착신번호(임의의 서비스 등록된 유선전화기의 전화번호)가 동일 서비스에 등록된 유선전화번호이면(발/착신자가 모두 본 서비스 가입자인 경우), 등록 정보 서버(50)에서 착신 단말(서비스 단말(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의 등록 상태를 확인하여, 등록 상태이면, 발/착신 단말의 서비스 단말 간에 통화 연결한다. 즉, 발/착신 단말이 모두 등록 상태이면, 서비스 단말끼리 통화 연결을 시도한다(IP망). 이때, SIP 같은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발신 단말(서비스 단말(20))에서 호 발신시(전화 연결 요청시)(301), 착신번호(임의의 유선전화기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가 서비스 등록되지 않았거나, 착신번호(임의의 유선전화기의 전화번호)가 서비스 등록되어 있으나 착신 단말(서비스 단말(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이 등록 상태가 아니면, 등록 정보 서버(50)가 등록 정보 DB(51)에서 서비스 가입된 유선전화번호(유선전화기(11)의 전화번호)에 맵핑된 단말 식별자를 확인하여(402), 서비스 단말(20)을 해당 단말 식별자로 유선전화-인터넷 게이트웨이(31)에 연결시킨 후(403), 지능망 연동 게이트웨이(41)를 거쳐서 서비스 제어기(SCP)(42)로 전화 연결을 요청한다(404). 이때, 전송되는 정보는, 단말 식별자(유선전화-인터넷 게이트웨이 식별자)와 발신측 유선전화번호(유선전화기(11)의 전화번호)와 착신측 전화번호(임의의 유선전화기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전송한다.
그러면, 서비스 제어기(SCP)(42)는 서비스 교환기(SSP)(43)로 하여금 유선전화-인터넷 게이트웨이의 식별자를 바탕으로 착신 전화기(임의의 유선전화기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화가 걸리도록 한다(406). 이때, 착신측(임의의 유선전화기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보여지는 CID는 발신하는 서비스 단말(20)에 등록된 유선전화번호(유선전화기(11)의 전화번호)이다.
한편, 홈 AP(11)가 없는 경우, 서비스 단말(20)이 홈 AP 권역(10) 밖의 휴대인터넷/무선랜 권역(70) 내에 있어, 서비스 단말(20)이 착신 단말 및 발신 단말로 동작하는 경우와 유사하며, 다만 다른 점은 유선전화기로의 전화 연결은 홈 AP(11)를 통하지 않고 직접 요청이 간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작성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는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성된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정보저장매체)에 저장되고, 컴퓨터에 의하여 판독되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방법을 구현한다. 그리고 상기 기록매체는 컴퓨터가 판독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유선전화와 휴대인터넷/무선랜을 이용한 유무선 통합 통화 서비스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 통합 통화 서비스 방법 중 AP 권역 내에 있는 서비스 단말의 착신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이고,
도 3 는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 통합 통화 서비스 방법 중 AP 권역 밖에 있는 서비스 단말의 착신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 통합 통화 서비스 방법 중 AP 권역 밖에 있는 서비스 단말의 발신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홈 AP 권역 11 : 홈 AP
12 : 유선전화기 20 : 서비스 단말
21 : 단말 에이전트 31 : 유선전화-인터넷 게이트웨이
32 : 유무선 연동 게이트웨이 40 : 지능망 시스템
41 : 지능망 연동 게이트웨이 42 : 서비스 제어기(SCP)
43 : 서비스 교환기(SSP) 50 : 등록 정보 서버
51 : 등록 정보 데이터베이스(DB) 60 : 인증 서버
70 : 휴대인터넷/무선랜 권역

Claims (1)

  1. 사용자가 하나의 전화번호(예; 유선전화번호 등)를 사용해 댁내에서는 유선망에 연결된 서비스 단말(유선 전화기 포함)을 통해 통화를 하고 외부에서는 무선망에 연결되는 서비스 단말을 통해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전화와 휴대인터넷/무선랜을 이용한 유무선 통합 통화 서비스 시스템과 그 방법 및 그 기록매체.
KR1020080050952A 2008-05-30 2008-05-30 전화와 휴대인터넷/무선랜을 이용한 유무선 통합 통화서비스 시스템과 그 방법 KR200800647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0952A KR20080064774A (ko) 2008-05-30 2008-05-30 전화와 휴대인터넷/무선랜을 이용한 유무선 통합 통화서비스 시스템과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0952A KR20080064774A (ko) 2008-05-30 2008-05-30 전화와 휴대인터넷/무선랜을 이용한 유무선 통합 통화서비스 시스템과 그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1269A Division KR100849816B1 (ko) 2006-06-30 2006-06-30 유선전화와 휴대인터넷/무선랜을 이용한 유무선 통합 통화 서비스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4774A true KR20080064774A (ko) 2008-07-09

Family

ID=39815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0952A KR20080064774A (ko) 2008-05-30 2008-05-30 전화와 휴대인터넷/무선랜을 이용한 유무선 통합 통화서비스 시스템과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6477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21078A (zh) * 2011-11-24 2012-04-18 杭州东信北邮信息技术有限公司 基于业务代理的动态转接方法和系统
WO2017007134A1 (ko) * 2015-07-03 2017-01-12 정재학 유무선 융합 시스템에서의 음성 통신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290383B1 (ko) * 2020-09-10 2021-08-19 아틀라스 가이드, 인코퍼레이션. 착신전환 기반의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 유지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21078A (zh) * 2011-11-24 2012-04-18 杭州东信北邮信息技术有限公司 基于业务代理的动态转接方法和系统
WO2017007134A1 (ko) * 2015-07-03 2017-01-12 정재학 유무선 융합 시스템에서의 음성 통신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US10334102B2 (en) 2015-07-03 2019-06-25 Jae-Hak Jung Device and method for voice communication control in fixed-mobile convergence system
KR102290383B1 (ko) * 2020-09-10 2021-08-19 아틀라스 가이드, 인코퍼레이션. 착신전환 기반의 사용자 단말의 전화번호 유지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90111B2 (en) System and method for virtual wireless roaming
US6982985B1 (en) Interaction of VoIP calls and cellular networks
KR100448636B1 (ko) 프레전스 기반의 전화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호라우팅 방법
KR100849816B1 (ko) 유선전화와 휴대인터넷/무선랜을 이용한 유무선 통합 통화 서비스 시스템
US20070201688A1 (en) Cable telephony network supporting roaming VoIP terminals
EP2003865A9 (en) A method, a system and a ring back tone apparatus for offering the presence information using ring back tone
US7983680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verged network services
JP2005160094A (ja) 企業私有通信ネットワークおよびセルラ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コール・ピックアップ・サービスの相互運用性を提供するシステム
US20060034442A1 (en) Direct calling to devices via a shared telephone number
JP5614357B2 (ja) 電話制御装置、電話システム、および転送制御方法
US20050143057A1 (en) Method for forwarding call from cellular phone to IP phone
US20060159246A1 (en) Private branch exchange with remote access to features
KR100394976B1 (ko) 통화 대기 중 가입자 기반 링백톤 서비스 방법
JP3881512B2 (ja) 通信端末・情報処理機器連携方法、連携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及び通信システム
JP2006287930A (ja) 無線ネットワーク内での電源を切っている被呼者への再ダイヤル
CN101668270B (zh) 一种基于呼叫拦截与外挂平台方式解决来电免打扰的方法和平台
KR20080064774A (ko) 전화와 휴대인터넷/무선랜을 이용한 유무선 통합 통화서비스 시스템과 그 방법
CN101742689A (zh) 一种来电管理方法、装置及系统
KR101190347B1 (ko) 메신저/웹(/왑) 클라이언트를 이용한 통화 서비스 시스템및 그 방법
KR20070025207A (ko) 구내무선교환시스템 및 구내무선교환시스템에서의 발신방법
EP2770713B1 (en) Enterprise phone that can provide professional services during a communication set up on a private cellular phone
JP3917155B2 (ja) 呼接続管理システムおよび呼接続管理方法、接続先管理装置のプログラム
JP3336938B2 (ja) 移動電話システム
KR101108378B1 (ko) 통화중 대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1030820B1 (ko) 지능망 시스템을 이용한 내선교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