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3958A - 단말기의 디지털 저작권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단말기의 디지털 저작권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3958A
KR20080063958A KR1020070000602A KR20070000602A KR20080063958A KR 20080063958 A KR20080063958 A KR 20080063958A KR 1020070000602 A KR1020070000602 A KR 1020070000602A KR 20070000602 A KR20070000602 A KR 20070000602A KR 20080063958 A KR20080063958 A KR 200800639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contents
drm
schem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0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54759B1 (ko
Inventor
이현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0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4759B1/ko
Priority to US11/969,179 priority patent/US8402551B2/en
Priority to EP08000057A priority patent/EP1942429A3/en
Publication of KR20080063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39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4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47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06F21/107License processing; Key processing
    • G06F21/1075Edi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echnology Law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의 디지털 저작권 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선택한 저작권 콘텐츠를 다운로드 받아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저작권 콘텐츠와 동일한 이름의 콘텐츠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동일한 이름의 콘텐츠가 존재하는 경우, 각 콘텐츠에 적용된 DRM(Digital Rights Management)방식과 RO(Right Object)의 내용을 확인하여 기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콘텐츠 사용시 적용할 DRM 방식 및 RO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된 DRM 방식 및 RO를 이용하여 상기 콘텐츠의 이용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동일한 이름의 콘텐츠가 다운로드된 경우 각 콘텐츠에 적용된 DRM 방식 및 권리객체(Right Object, RO)의 속성에 따라 콘텐츠 리스트를 관리함으로써 DRM 콘텐츠의 관리 및 사용상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단말기의 디지털 저작권 관리방법{DIGITAL RIGHTS MANAGEMENT METHOD FOR TERMINAL}
도 1은 디지털 저작권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디지털 저작권 관리방법의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디지털 저작권 관리방법의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콘텐츠 서버 3 : DRM 서버
10 : 단말기 12 : DRM 제어부
14 : 송수신부 16 : RO 분석부
18 : 콘텐츠재생 애플리케이션 20 : 콘텐츠 저장부
본 발명은 단말기의 디지털 저작권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저작권 관리(Digital Rights Management, 이하 'DRM'이라 함)시스템 은 다양한 채널을 통해 유통되는 텍스트, 음악, 이미지, 영상, 동영상강의, 영화, 소프트웨어, 게임 등 각종 디지털 콘텐츠의 사용자, 사용권한(횟수, 기간) 등을 제한함으로써, 사용자가 사업자와 체결한 콘텐츠 사용권리 내에서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이에, DRM시스템은 콘텐츠를 암호화하여 배포하고 정당한 권리객체(Right Object, 이하, RO라 함) 획득한 사용자에게만 복호화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불법복제 및 불법전송 등의 저작권 침해 행위를 방지한다. 여기서, RO는 콘텐츠 객체에 대한 사용 권한을 갖는 일종의 라이센스로서, 콘텐츠 암호화 키, 허가 정보, 제한 정보, 상태 정보, 및 콘텐츠 암호화 키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DRM 기술의 구현 방법에는 세 가지 방법이 있는데, 첫 번째는 포워드-락(Foward-Lock) 방식이다. 포워드-락은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자신이 수신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자신만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로서, 수신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수정하거나 다른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달(forward)이 금지된다. 이러한 포워드-락은 멀티미디어 콘텐츠 보안을 위한 별도의 인증키가 존재하지 않는다.
두 번째는 콘텐츠 및 RO 결합 전송(combined delivery) 방식이다. 결합 전송 방식에서는 서비스사업자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생성 시 멀티미디어 콘텐츠와 인증키를 함께 결합하여(binding) DRM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한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는 서비스 사업자로부터 DRM 메시지를 수신하고 DRM 메시지에 포함된 인증키에 따른 권리에 따라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사용한다.
세 번째는 콘텐츠 및 RO 분리 전송(separate delivery) 방식이다. 분리 전송 방식에서는 서비스사업자가 멀티미디어 콘텐츠와 해당 인증키를 별도의 메시지로 구성하여 제공한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는 서비스사업자로부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수신하고 이를 이용 시 별도로 구성된 인증키를 따로 수신하여야 한다. 이러한 분리 전송 방식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는 DCF(DRM Contents Format)로 변형 및 암호화되고 이에 대한 인증키는 CEK(Contents Encryption Key) 또는 RO(Right object)라 하며 별도의 메시지로 구성한다.
이러한 DRM방식들은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사업자에 따라 각각 적용될 수 있으며, 같은 서비스사업자에게 구매한 콘텐츠라 할지라도 사용자가 구매한 사용권한에 따라 RO의 속성이 상이해진다. 즉, 동일한 이름의 콘텐츠라도 각기 다른 사용권한이 부여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DRM시스템에서는 동일한 이름을 갖는 콘텐츠를 다운로드하는 경우 콘텐츠가 중복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단말기가 자체적으로 다운로드를 차단하고 있다. 이에 따라, 사용권한이 상이한 컨테츠임에도 동일한 이름의 콘텐츠를 다운로드 받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동일한 이름을 갖는 콘텐츠는 다른 이름으로 다운로드 받아 사용하도록 하는 기술이 소개된바 있으나, 이러한 경우, 동일한 내용의 콘텐츠가 각기 다른 이름으로 저장됨으로 관리 및 사용상 불편함이 따른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 된 것으로서, 동일한 이름의 콘텐츠가 다운로드된 경우 각 콘텐츠에 적용된 DRM 방식 및 권리객체(Right Object, RO)의 속성에 따라 콘텐츠 리스트를 관리함으로써 DRM 콘텐츠의 관리 및 사용을 용이하게 하는 단말기의 디지털 저작권 관리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디지털 저작권 관리방법은, 사용자가 선택한 저작권 콘텐츠를 다운로드 받아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저작권 콘텐츠와 동일한 이름의 콘텐츠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동일한 이름의 콘텐츠가 존재하는 경우, 각 콘텐츠에 적용된 DRM(Digital Rights Management)방식과 RO(Right Object)의 내용을 확인하여 기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콘텐츠 사용시 적용할 DRM 방식 및 RO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된 DRM 방식 및 RO를 이용하여 상기 콘텐츠의 이용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동일한 이름의 콘텐츠가 존재하는 경우, 각 콘텐츠에 적용된 DRM방식과 RO의 내용을 확인하여 기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콘텐츠 사용시 적용할 DRM 방식 및 RO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각 콘텐츠에 적용된 DRM 방식이 동일할 경우, 각 콘텐츠의 RO에 설정된 값을 합산하여 상기 콘텐츠 사용시 적용할 RO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각 콘텐츠에 적용된 DRM 방식이 동일할 경우, 각 콘텐츠의 RO에 설정된 값을 합산하여 상기 콘텐츠 사용시 적용할 RO로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각 RO의 설정값 중, 상기 콘텐츠를 재생하거나 다른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는 한도를 나타내는 횟수(count) 제한, 일시(datetime) 제한, 기간(interval) 제한, 누 적시간(accumulated)제한 중 어느 하나를 합산하여 상기 콘텐츠 사용시 적용할 RO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동일한 이름의 콘텐츠가 존재하는 경우, 각 콘텐츠에 적용된 DRM방식과 RO의 내용을 확인하여 기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콘텐츠 사용시 적용할 DRM 방식 및 RO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각 콘텐츠에 적용된 DRM 방식이 각각 포워드-락(Foward-Lock) 방식과 결합 전송(combined delivery) 방식으로 상이할 경우, 상기 콘텐츠를 다른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데에는 상기 결합 전송(combined delivery) 방식의 RO를 사용하도록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에서 이용 시엔 상기 포워드-락(Foward-Lock) 방식의 RO에 따라 무한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동일한 이름의 콘텐츠가 존재하는 경우, 각 콘텐츠에 적용된 DRM방식과 RO의 내용을 확인하여 기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콘텐츠 사용시 적용할 DRM 방식 및 RO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각 콘텐츠에 적용된 DRM 방식이 각각 포워드-락(Foward-Lock) 방식과 분리 전송(separate delivery) 방식으로 상이할 경우, 상기 콘텐츠를 다른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데에는 상기 분리 전송(separate delivery) 방식의 RO를 사용하도록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에서 이용 시엔 상기 포워드-락(Foward-Lock) 방식의 RO에 따라 무한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동일한 이름의 콘텐츠가 존재하는 경우, 각 콘텐츠에 적용된 DRM방식과 RO의 내용을 확인하여 기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콘텐츠 사용시 적용할 DRM 방식 및 RO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각 콘텐츠에 적용된 DRM 방식이 각각 결합 전송(combined delivery) 방식과 분리 전송(separate delivery) 방식으로 상이할 경우, 상기 결합 전송(combined delivery) 방식의 RO 설정값과 상기 분리 전송(separate delivery) 방식의 RO 설정값을 합산하여 전송횟수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에서 이용 시엔 상기 RO는 상기 결합 전송(combined delivery) 방식의 RO 및 분리 전송(separate delivery) 방식의 RO 중 어느 하나를 따르도록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각 콘텐츠에 적용된 DRM 방식이 각각 결합 전송(combined delivery) 방식과 분리 전송(separate delivery) 방식으로 상이할 경우, 상기 결합 전송(combined delivery) 방식의 RO 설정값과 상기 분리 전송(separate delivery) 방식의 RO 설정값을 합산하여 전송횟수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각 RO의 설정값 중, 상기 콘텐츠를 재생하거나 다른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는 한도를 나타내는 횟수(count) 제한, 일시(datetime) 제한, 기간(interval) 제한, 누적시간(accumulated)제한 중 어느 하나를 합산하여 상기 콘텐츠 사용시 적용할 RO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디지털 저작권 관리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디지털 저작권 관리(Digital Rights Management, 이하 'DRM'이라 함)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DRM 시스템은, 사용자의 단말기(10)에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서버(1)와, 콘텐츠 서버(1)와 연동하여 해당 콘텐츠에 권리객체(Right Object, 이하, RO라 함)를 발급하는 DRM 서버(3)와, 콘텐츠 서버(1)로부터 DRM데이터를 다운로드하여 해당 RO에 따라 이용하는 단말기(10)를 포함한다.
콘텐츠 서버(1)는 동영상이나 영화, 음악, 온라인교육과 같은 콘텐츠를 DRM 서버(3)로부터 발급받은 암호화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하고, 단말기(10)의 콘텐츠 요청에 따라 암호화된 콘텐츠를 전송한다.
DRM 서버(3)는 암호화된 콘텐츠를 복호화할 수 있는 콘텐츠 복호화키와, 허가 정보, 제한 정보, 상태 정보, 및 콘텐츠 암호화 키 등의 사용권한에 대한 정보로 구성된 RO를 발급한다. 또한, DRM 서버(3)는 콘텐츠 서버(1)와 연동하여 RO 발급 내역을 관리하여 콘텐츠 서버(1)에 보고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콘텐츠 서버(1)와 DRM 서버(3)가 동일 주체일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10)에 수신되는 DRM데이터는 서비스사업자가 채택한 DRM 방식에 따라, 콘텐츠 및 RO 결합 전송(combined delivery) 방식이나, 콘텐츠 및 RO 분리 전송(separate delivery)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콘텐츠의 이동을 차단하여 최초 다운로드 받은 단말기(10)에서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포워드-락(Foward-Lock)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10)는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핸드헬드(handheld)PC, 핸드폰,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이 CDMA(Code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모듈,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IrDA), 유무선 랜카드와 같은 소정의 통신 모듈을 구비하여 DRM파일을 수신할 수 있으며,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소정의 마이크로프로세서가 탑재된 단말기(10)를 통칭한다.
단말기(10)는, DRM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14)와, 송수신부(14)를 통해 다운로드 된 콘텐츠가 저장되는 콘텐츠 저장부(20)와, RO의 속성 및 내용 등을 분석하여 관리하는 RO 분석부(16)와, 콘텐츠 사용을 위한 콘텐츠재생 애플리케이션(18)과, 단말기(10)는 송수신부(14)를 통해 다운로드 받은 콘텐츠를 DRM 서버(3)에서 발급한 RO에 따라 처리하며, 동일한 이름의 콘텐츠들을 해당 콘텐츠에 적용된 DRM 방식 및 RO의 속성에 따라 통합 관리하는 DRM 제어부(12)를 포함한다.
송수신부(14)는 콘텐츠 서버(1) 내지는 다른 단말기(10)가 전송한 콘텐츠, RO, RO가 결합된 콘텐츠 등의 DRM데이터를 수신하며, 저장된 DRM데이터를 다른 단말기(10) 측에 송신한다.
RO 분석부(16)는 각 콘텐츠의 RO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권한 정보를 파악한다. 예컨대, 플레이(play), 디스플레이(display), 실행(execute), 인쇄(print) 등 콘텐츠의 재생(play back) 방식과, RO의 복사(copy) 및 이동(move) 등의 복제 방식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를 재생하거나 다른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는 한도를 나타내는 횟수(count) 제한, 일시(datetime) 제한, 기간(interval) 제한, 누적시간(accumulated)제한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콘텐츠 애플리케이션은 특정 포맷으로 인코딩된 콘텐츠를 본래의 콘텐츠 포맷으로 디코딩하고, RO 분석부(16)에 의해 분석된 사용권한 정보를 이용하여 그 사용권한에 따라 콘텐츠를 처리한다.
DRM 제어부(12)는 수신된 DRM데이터의 DRM방식에 따라, 콘텐츠 및 RO 결합 전송(combined delivery) 방식이나, 포워드-락(Foward-Lock) 방식이 적용된 경우 DRM데이터에 포함된 RO를 분석하고, 콘텐츠 및 RO 분리 전송(separate delivery) 방식인 경우 DRM 서버(3)에 요청하여 RO를 발급받는다. DRM 제어부(12)는 각 DRM데이터의 콘텐츠에 부여된 RO를 RO 분석부(16)를 통해 분석하여 분석된 내용에 따라 해당 처리되도록 한다.
여기서, DRM 제어부(12)는 동일한 이름을 갖는 콘텐츠가 복수개 존재하는 경우 각각의 RO를 분석하여 기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사용권한을 적용할 수 있으며, RO의 우선순위는 단말기(10)의 시스템 설계시 설계자에 의해 설정되거나 DRM데이터의 서비스 사업자들 간에 협의 되어 단말기(10)에 저장될 수 있다. RO의 우선순위는 동일한 내용의 콘텐츠에 복수개의 RO가 부여되어 동일한 사용권한이 각기 다르게 설정되어 있는 경우 어느 쪽 내용을 따를 것인가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RO의 우선순위는 설정자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설정될 수 있으며, 다음의 <RO 우선순위표>는 각기 다른 RO를 갖는 동일한 콘텐츠가 두 개일 경우 적용되는 RO의 우선순위를 예시한 것이다.
<RO 우선순위표>
포워드-락 (Foward-Lock, F/D) 결합 전송 C/D (combined delivery, C/D) 분리 전송 S/D (separate delivery, S/D)
포워드-락 (Foward-Lock, F/D) F/D 콘텐츠이동기준: C/D RO는 무한대 콘텐츠이동기준: S/D RO는 무한대
결합 전송 C/D (combined delivery, C/D) 콘텐츠이동기준: C/D RO는 무한대 두 RO의 합 두 RO의 합
분리 전송 S/D (separate delivery, S/D) 콘텐츠이동기준: S/D RO는 무한대 두 RO의 합 두 RO의 합
이러한 구성을 갖는 DRM 시스템에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10)의 저작권 관리방법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단말기(10)는 사용자가 선택한 콘텐츠를 다운로드 받아 콘텐츠 저장부(20)에 저장한다(S10). 여기서, 콘텐츠 및 RO 분리 전송(separate delivery) 방식인 경우 DRM 서버(3)에 RO의 발급을 요청한다.
DRM 제어부(12)는 다운로드 받은 DRM 데이터의 콘텐츠와 동일한 이름의 콘텐츠가 콘텐츠 저장부(20)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12). 이에, 동일한 이름의 콘텐츠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다운로드 받은 DRM 데이터를 콘텐츠 저장부(20)에 저장하고 해당 RO에 따라 이용한다.
한편, 콘텐츠 저장부(20)에 중복되는 이름의 콘텐츠가 존재하는 경우, DRM 제어부(12)는 저장된 콘텐츠의 RO와 다운로드된 콘텐츠의 RO를 분석하고(S14), 각 RO의 속성 및 내용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적용할 RO를 설정한다(S16).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이름이 중복되는 콘텐츠인 경우에도 일단 해당 콘텐츠를 다운로드 받아 저장하고 각 콘텐츠에 적용된 DRM방식과 RO의 내용을 기 설 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관리 및 적용함으로써 콘텐츠의 이용 및 관리상 편의성을 증진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디지털 저작권 관리방법의 흐름도로서, 중복되는 이름의 콘텐츠에 RO의 우선순위를 적용하는 과정을 예시한 것이다.
DRM 제어부(12)는 콘텐츠 저장부(20)에 저장된 콘텐츠 중 동일한 이름을 갖는 콘텐츠들을 검색하고(S20), 이들이 동일한 DRM 방식의 콘텐츠인지를 판단한다(S22). 여기서, 적용되는 DRM 방식으로는 콘텐츠 및 RO 결합 전송(combined delivery) 방식이나, 콘텐츠 및 RO 분리 전송(separate delivery) 방식, 혹은 콘텐츠 이동을 차단하는 포워드-락(Foward-Lock)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확인 결과, 두 콘텐츠의 DRM방식이 동일한 경우 RO 분석부(16)를 통해 그 설정값을 확인한다(S24). RO 분석부(16)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설정값으로는 콘텐츠를 재생하거나 다른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는 한도를 나타내는 횟수(count) 제한, 일시(datetime) 제한, 기간(interval) 제한, 누적시간(accumulated)제한 등이 있다.
이에, 각 RO의 설정값을 합산하여 해당 콘텐츠에 적용할 RO를 설정한다(S26). 예컨대, 재생 횟수가 각각 3회와 4회로 설정된 경우 이를 7회로 설정할 수 있으며, 재생기간이 일주일 씩 남은 경우에도 총 사용기간을 2주로 합산하여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재생 일시가 제한된 경우 더 많이 남은 날짜로 사용기간을 설정함으로써 콘텐츠 사용에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확인 결과, 두 콘텐츠의 DRM방식이 상이한 경우 각 DRM 방식과 RO의 내용을 분석하고(S28), 정해진 우선순위, 예컨대, 상기 <RO 우선순위표>에 따라 콘텐츠 이용시 적용할 RO를 설정한다(S30). 제 1 예를 들어, 미리 저장된 콘텐츠가 포워드-락(Foward-Lock) 방식이고 다운로드 받은 콘텐츠가 콘텐츠 및 RO 결합 전송(combined delivery) 방식이거나 그 반대의 상황인 경우, 콘텐츠를 다른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데에는 결합 전송(combined delivery) 방식의 RO에 따라 그 전송횟수를 제한한다. 그리고, RO는 포워드-락(Foward-Lock) 방식에 따라 무한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설정한다. 제 2 예를 들어, 미리 저장된 콘텐츠가 포워드-락(Foward-Lock) 방식이고 다운로드 받은 콘텐츠가 콘텐츠 및 RO 분리 전송(separate delivery) 방식이거나 그 반대의 상황인 경우, 콘텐츠를 다른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데에는 분리 전송(separate delivery) 방식의 RO에 따라 그 전송횟수를 제한한다. 그리고, RO는 포워드-락(Foward-Lock) 방식에 따라 무한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설정한다. 제 3 예를 들어, 미리 저장된 콘텐츠가 결합 전송(combined delivery) 방식이고 다운로드 받은 콘텐츠가 콘텐츠 및 RO 분리 전송(separate delivery) 방식이거나 그 반대의 상황인 경우, 콘텐츠를 다른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데에는 결합 전송(combined delivery) 방식의 RO 설정값과 분리 전송(separate delivery) 방식의 RO 설정값을 합산하여 그 전송횟수를 제한한다. 그리고, 전송된 콘텐츠의 RO는 결합 전송(combined delivery) 방식의 RO 및 분리 전송(separate delivery) 방식의 RO 중 어느 하나를 따르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DRM방식 및 RO의 내용에 따라 사용할 RO의 내용이 설정 되면, 콘텐츠 이용시 해당 RO를 적용하도록 한다(S32).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디지털 저작권 관리방법은, 동일한 이름의 콘텐츠가 다운로드된 경우 각 콘텐츠에 적용된 DRM 방식 및 권리객체(Right Object, RO)를 기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적용하도록 하고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단말기의 디지털 저작권 관리방법은, 동일한 이름의 콘텐츠가 다운로드된 경우 각 콘텐츠에 적용된 DRM 방식 및 권리객체(Right Object, RO)를 기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적용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저작권을 갖는 콘텐츠의 관리 및 사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Claims (7)

  1. 사용자가 선택한 저작권 콘텐츠를 다운로드 받아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저작권 콘텐츠와 동일한 이름의 콘텐츠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동일한 이름의 콘텐츠가 존재하는 경우, 각 콘텐츠에 적용된 DRM(Digital Rights Management)방식과 RO(Right Object)의 내용을 확인하여 기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콘텐츠 사용시 적용할 DRM 방식 및 RO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된 DRM 방식 및 RO를 이용하여 상기 콘텐츠의 이용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디지털 저작권 관리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일한 이름의 콘텐츠가 존재하는 경우, 각 콘텐츠에 적용된 DRM방식과 RO의 내용을 확인하여 기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콘텐츠 사용시 적용할 DRM 방식 및 RO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각 콘텐츠에 적용된 DRM 방식이 동일할 경우, 각 콘텐츠의 RO에 설정된 값을 합산하여 상기 콘텐츠 사용시 적용할 RO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디지털 저작권 관리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콘텐츠에 적용된 DRM 방식이 동일할 경우, 각 콘텐츠의 RO에 설정된 값을 합산하여 상기 콘텐츠 사용시 적용할 RO로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각 RO의 설정값 중, 상기 콘텐츠를 재생하거나 다른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는 한도를 나타내는 횟수(count) 제한, 일시(datetime) 제한, 기간(interval) 제한, 누적시간(accumulated)제한 중 어느 하나를 합산하여 상기 콘텐츠 사용시 적용할 RO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디지털 저작권 관리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일한 이름의 콘텐츠가 존재하는 경우, 각 콘텐츠에 적용된 DRM방식과 RO의 내용을 확인하여 기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콘텐츠 사용시 적용할 DRM 방식 및 RO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각 콘텐츠에 적용된 DRM 방식이 각각 포워드-락(Foward-Lock) 방식과 결합 전송(combined delivery) 방식으로 상이할 경우, 상기 콘텐츠를 다른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데에는 상기 결합 전송(combined delivery) 방식의 RO를 사용하도록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에서 이용 시엔 상기 포워드-락(Foward-Lock) 방식의 RO에 따라 무한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디지털 저작권 관리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일한 이름의 콘텐츠가 존재하는 경우, 각 콘텐츠에 적용된 DRM방식과 RO의 내용을 확인하여 기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콘텐츠 사용시 적용할 DRM 방식 및 RO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각 콘텐츠에 적용된 DRM 방식이 각각 포워드-락(Foward-Lock) 방식과 분리 전송(separate delivery) 방식으로 상이할 경우, 상기 콘텐츠를 다른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데에는 상기 분리 전송(separate delivery) 방식의 RO를 사용하도록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에서 이용 시엔 상기 포워드-락(Foward-Lock) 방식의 RO에 따라 무한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디지털 저작권 관리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일한 이름의 콘텐츠가 존재하는 경우, 각 콘텐츠에 적용된 DRM방식과 RO의 내용을 확인하여 기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콘텐츠 사용시 적용할 DRM 방식 및 RO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각 콘텐츠에 적용된 DRM 방식이 각각 결합 전송(combined delivery) 방식과 분리 전송(separate delivery) 방식으로 상이할 경우, 상기 결합 전송(combined delivery) 방식의 RO 설정값과 상기 분리 전송(separate delivery) 방식의 RO 설정값을 합산하여 전송횟수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에서 이용 시엔 상기 RO는 상기 결합 전송(combined delivery) 방식의 RO 및 분리 전송(separate delivery) 방식의 RO 중 어느 하나를 따르도록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디지털 저작권 관리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콘텐츠에 적용된 DRM 방식이 각각 결합 전송(combined delivery) 방식과 분리 전송(separate delivery) 방식으로 상이할 경우, 상기 결합 전송(combined delivery) 방식의 RO 설정값과 상기 분리 전송(separate delivery) 방식의 RO 설정값을 합산하여 전송횟수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각 RO의 설정값 중, 상기 콘텐츠를 재생하거나 다른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는 한도를 나타내는 횟수(count) 제한, 일시(datetime) 제한, 기간(interval) 제한, 누적시간(accumulated)제한 중 어느 하나를 합산하여 상기 콘텐츠 사용시 적용할 RO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디지털 저작권 관리방법.
KR1020070000602A 2007-01-03 2007-01-03 단말기의 디지털 저작권 관리방법 KR1013547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0602A KR101354759B1 (ko) 2007-01-03 2007-01-03 단말기의 디지털 저작권 관리방법
US11/969,179 US8402551B2 (en) 2007-01-03 2008-01-03 Digital rights management method for terminal
EP08000057A EP1942429A3 (en) 2007-01-03 2008-01-03 Digital rights management method for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0602A KR101354759B1 (ko) 2007-01-03 2007-01-03 단말기의 디지털 저작권 관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3958A true KR20080063958A (ko) 2008-07-08
KR101354759B1 KR101354759B1 (ko) 2014-01-22

Family

ID=39167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0602A KR101354759B1 (ko) 2007-01-03 2007-01-03 단말기의 디지털 저작권 관리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402551B2 (ko)
EP (1) EP1942429A3 (ko)
KR (1) KR10135475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9853A (ko) * 2011-05-31 2014-02-17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계층화된 라이센싱 장치 및 방법
US9524378B2 (en) 2011-05-31 2016-12-20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of in-application licensi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01658B2 (en) 2006-11-03 2012-10-30 Google Inc. Site directed management of audio components of uploaded video files
KR100983793B1 (ko) * 2007-04-18 2010-09-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상호운용적 디지털저작권관리 장치 및 그 방법
US8611422B1 (en) 2007-06-19 2013-12-17 Google Inc. Endpoint based video fingerprinting
KR101487176B1 (ko) 2009-07-30 2015-02-0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분리 실행 기반의 컨텐츠용 코드 블록 제공 시스템, 그 방법 및 그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US20110213720A1 (en) * 2009-08-13 2011-09-01 Google Inc. Content Rights Management
JP5093331B2 (ja) * 2010-04-02 2012-12-12 オンキヨー株式会社 コンテンツ再生装置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CN101902333B (zh) 2010-07-20 2015-08-1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数字版权管理的应用方法及终端设备
US9071818B2 (en) * 2011-08-30 2015-06-30 Organizational Strategies International Pte. Ltd. Video compression system and method using differencing and clustering
WO2013059597A1 (en) * 2011-10-21 2013-04-25 Organizational Strategies International Pte. Ltd. An interface for use with a video compression system and method using differencing and clustering
EP2807800B1 (en) * 2012-01-27 2018-10-1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ermissions for exploitable content
US11770584B1 (en) * 2021-05-23 2023-09-26 Damaka, Inc.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ing video communications based on device capabilities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32233A1 (en) * 2000-05-10 2005-06-16 Cisco Technology, Inc. Digital rights framework
US20050021467A1 (en) * 2001-09-07 2005-01-27 Robert Franzdonk Distributed digital rights network (drn), and methods to access operate and implement the same
US20030206710A1 (en) * 2001-09-14 2003-11-06 Ferman Ahmet Mufit Audiovisual management system
US7080043B2 (en) * 2002-03-26 2006-07-18 Microsoft Corporation Content revocation and license modification in a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system on a computing device
JP4447821B2 (ja) * 2002-04-15 2010-04-07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
JP3966503B2 (ja) 2002-05-30 2007-08-29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コンテンツ再生制御装置、データ管理装置、蓄積型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コンテンツの配信方法、制御データ送信サーバ、プログラム
US7142645B2 (en) * 2002-10-04 2006-11-28 Frederick Lowe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nd distributing personalized media
US20060107330A1 (en) * 2003-01-02 2006-05-18 Yaacov Ben-Yaacov Method and system for tracking and managing rights for digital music
US7318236B2 (en) * 2003-02-27 2008-01-08 Microsoft Corporation Tying a digital license to a user and tying the user to multiple computing devices in a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system
WO2004077911A2 (en) 2003-03-03 2004-09-16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Rights request method
US20060041511A1 (en) * 2004-03-11 2006-02-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digital rights management in a mobile terminal
JP2005351994A (ja) * 2004-06-08 2005-12-22 Sony Corp コンテンツ配信サーバ,コンテンツ配信方法,プログラム
KR100677344B1 (ko) * 2004-07-29 2007-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권리객체 처리를 위한 메시지 및 이를 이용한 권리객체 처리 방법 및 시스템
US7551551B2 (en) * 2004-12-10 2009-06-23 Cisco Technology, Inc. Fast reroute (FRR) protection at the edge of a RFC 2547 network
KR100709751B1 (ko) * 2005-02-22 2007-04-19 일공오이닷컴 주식회사 디지털 저작권 관리 방법 및 시스템
US8713696B2 (en) * 2006-01-13 2014-04-29 Demand Media, Inc.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 digital rights bundling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9853A (ko) * 2011-05-31 2014-02-17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계층화된 라이센싱 장치 및 방법
US9524378B2 (en) 2011-05-31 2016-12-20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of in-application licensing
US9990475B2 (en) 2011-05-31 2018-06-05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of in-application licens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42429A3 (en) 2012-01-04
US20080163378A1 (en) 2008-07-03
US8402551B2 (en) 2013-03-19
KR101354759B1 (ko) 2014-01-22
EP1942429A2 (en) 2008-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4759B1 (ko) 단말기의 디지털 저작권 관리방법
EP1509024B1 (en) Method for sharing rights objects between users
US8225097B2 (en) Anchor point-based digital content protection
KR101135145B1 (ko) 보안용 멀티미디어 카드, 디지털 컨텐츠 사용을 위한 권리객체 발급 방법 및 장치
KR100689648B1 (ko) 자료의 라이센시에게 자료를 안전하게 제공하기 위한방법, 장치 및 시스템
US898387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gital rights management
US20070033414A1 (e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sharing digital rights management-protected multimedia content using biometric data
CN102016863A (zh) 内容的嵌入许可证
JP2008524681A (ja) ネットワーク・クラスタ近接性要件を強化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060135833A (ko) 허가된 도메인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836952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ncrypted key based on DRM type of host device
EP1638292B1 (en) Digital rights management
JP5837219B2 (ja) デジタルコンテンツ貸出の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US20050138400A1 (en) Digital content protection method
US20080162170A1 (en) Method and system for digital rights management based on message exchange between drm agent and rendering
US9154508B2 (en) Domain membership rights object
KR20090003420A (ko) 휴대단말의 콘텐츠 권리객체 획득방법 및 장치
US2007006126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icensing
KR20040038456A (ko) 홈 서버 컨텐츠 공유가 가능한 디알엠 장치 및 방법
JP4959796B2 (ja) コンテンツサブスクリプションサービスを提供する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KR20090000155A (ko) 저작권 관리시스템 및 저작권 관리방법
EP4270218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protected media content
KR20080009951A (ko) 디지털 권한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134043B1 (ko) 저작권 관리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저작권관리방법
KR20080045815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저작권 관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