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3932A - Electrode for living body and device for detecting living signal - Google Patents

Electrode for living body and device for detecting living sig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3932A
KR20080063932A KR1020070000549A KR20070000549A KR20080063932A KR 20080063932 A KR20080063932 A KR 20080063932A KR 1020070000549 A KR1020070000549 A KR 1020070000549A KR 20070000549 A KR20070000549 A KR 20070000549A KR 20080063932 A KR20080063932 A KR 200800639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signal
contact
sheet member
contac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054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855247B1 (en
Inventor
김종팔
신건수
김창수
정승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05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5247B1/en
Publication of KR20080063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393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5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524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for multiple sensor units attached to the patient, e.g. using a body or personal area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 A61B5/7275Determining trends in physiological measurement data; Predicting development of a medical condition based on physiological measurements, e.g. determining a risk fac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12Manufacturing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sensors for in-vivo measur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16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Details of structural supports for sens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Physi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sychiat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An electrode for a living body and a device for detecting a living signal are provided to measure the living signal reliably with maintaining electric connection in a surface contact method instead of a conventional point contact method. An electrode for a living body and a device for detecting a living signal includes a sheet member(210) and an electrode member(220). The sheet member is formed by using insulating material. The electrode member has at least one body contact member(221) and at least one device contact member(222). The body contact member is formed on the outside bottom of the sheet member to be in contact with the sheet member. The device contact member is formed on an inside bottom of the sheet member to be in contact with a terminal of the body signal measuring device.

Description

생체용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생체신호 측정장치{ELECTRODE FOR LIVING BODY AND DEVICE FOR DETECTING LIVING SIGNAL}Biological electrode and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ELECTRODE FOR LIVING BODY AND DEVICE FOR DETECTING LIVING SIGNAL}

도 1은 종래의 생체용 전극 및 생체신호 측정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ventional bioelectrode and a biosignal measuring device.

도 2는 도 1의 생체용 전극이 부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describing a state in which the bioelectrode of FIG. 1 is attached.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생체용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생체신호 측정장치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iological electrode and a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생체용 전극 및 생체신호 측정장치의 구성요소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of a living body electrode and a biological signal measuring apparatus.

도 5는 도 3의 신호 처리 모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FIG.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components of the signal processing module of FIG. 3.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10: 시트 부재 211: 접착제210: sheet member 211: adhesive

220: 전극 부재 221: 신체 접촉부220: electrode member 221: body contact

222: 장치 접촉부 300: 신호 처리 모듈222: device contact 300: signal processing module

310: 단자 320: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310: terminal 320: analog signal processing unit

330: A/D 신호 변환부 340: 디지털 신호 처리부330: A / D signal conversion unit 340: Digital signal processing unit

350: 유/무선 송수신 모듈350: wired / wireless transceiver

본 발명은 생체용 전극 및 생체신호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생체로부터 얻어지는 전기적 신호를 손실 없이 전달할 수 있으며, 간단한 전극 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생체용 전극 및 그 전극을 이용한 생체신호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o-electrode and a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a bio-electrode and a bio-signal measurement using the electrode, which can transmit an electrical signal obtained from a living body without loss, and can form a simple electrode structure. Relates to a device.

신체도 일종의 도체이며, 신체 내에는 많은 미량의 전류가 발생한다. 따라서, 신체로부터 이러한 미량의 전류를 감지하거나 외부 자극에 대한 전류의 변화량을 감지하여 신체 내부의 특성을 측정할 수가 있다.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심전도(ECG, electrocardiogram), 근전도(EMG, electromyogram), 또는 뇌전도(EEG, electroencephalogram) 등의 생체전위, 피부저항(GSR), 안구운동(EOG), 신체온도, 맥박, 혈압 및 신체 움직임 등을 측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생체신호의 변화를 감지하기 위해 생체용 전극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The body is also a conductor, and a large amount of current is generated in the body. Therefore, by detecting such a small amount of current from the body or the amount of change in the current to the external stimulus can be measured the internal characteristics of the body. Using these principles, biopotential such as electrocardiogram (ECG), electromyogram (EMG), or electroencephalogram (EEG), skin resistance (GSR), eye movement (EOG), body temperature, pulse rate, blood pressure and Body movements and the like can be measured, and a living body electrode is generally used to detect such a change in the biological signal.

도 1은 종래의 생체용 전극 및 생체신호 측정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생체용 전극이 부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ventional bioelectrode and a biosignal measuring device, and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bioelectrode of FIG. 1 is attached.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생체용 전극(110)은 절연성을 가지며 원형으로 형성된 점착성 시트(111) 및 금속 전극(112)을 포함한다. 금속 전극(112)은 도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며, 하부에서 넓게 형성된 밀착부(114)와 밀착부(114)의 중앙에 돌출 형성된 고정 돌기(113)를 포함한다. 점착성 시트(111)의 중앙에는 홀이 형성되어 고정 돌기(113)를 통과시킬 수 있으며, 고정 돌기(113)는 홀을 통해 점착성 시트(111)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점착성 시트(111)의 저면에는 점착성 물질(115)이 도포되어 생체용 전극(110)을 신체의 피부에 밀착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conventional bioelectrode 110 includes an adhesive sheet 111 and a metal electrode 112 that are insulative and formed in a circular shape. The metal electrode 112 is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and includes a close contact portion 114 form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and a fixing protrusion 113 protruding from the center of the close contact portion 114. A hole may b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adhesive sheet 111 to allow the fixing protrusion 113 to pass therethrough, and the fixing protrusion 113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adhesive sheet 111 through the hole. An adhesive material 115 may be applied to the bottom of the adhesive sheet 111 so that the biological electrode 110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skin of the body.

생체신호 측정기(100)는 메인 컨트롤러(122), 생체용 전극(110) 및 접속 케이블(120)를 포함한다. 접속 케이블(120)의 단부에는 소켓(121)이 장착되며, 소켓(121)에는 고정 돌기(113)와 결속되기 위한 홈이 형성되어 금속 전극(112)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접속 케이블(120)은 소켓(121)을 이용하여 생체용 전극(110)과 연결될 수 있으며, 반대쪽의 플러그를 이용하여 메인 컨트롤러(122)와 연결될 수 있다. 생체용 전극(110)이 신체에 부착된 상태에서 메인 컨트롤러(122)는 필요한 생체신호를 측정할 수 있으며, 측정된 신호들로부터 심전도(ECG), 근전도(EMG), 뇌전도(EEG), 피부저항(GSR), 안구운동(EOG), 신체온도 등을 측정할 수가 있다. The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100 includes a main controller 122, a bioelectrode 110, and a connection cable 120. A socket 121 is mounted at an end of the connection cable 120, and a groove for engaging with the fixing protrusion 113 is formed in the socket 121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etal electrode 112. The connection cable 120 may be connected to the bioelectrode 110 using the socket 121, and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controller 122 using a plug on the opposite side. The main controller 122 can measure the necessary biosignals while the bioelectrode 110 is attached to the body, and from the measured signals, electrocardiogram (ECG), electromyogram (EMG), electroencephalogram (EEG) and skin resistance (GSR), eye movement (EOG), and body temperature can be measured.

일반적으로 생체용 전극(110)의 저면으로는 금속 전극(112)이 직접 노출되어 있으며, 주변의 점착성 시트(111)가 있다고 해도 금속 전극(30)과 피부 간의 접촉이 불안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젤(gel) 상태의 전해 물질(115)을 피부에 도포할 수 있으며, 도포된 전해 물질을 매개로 피부와 금속 전극(112)이 비교적 안정된 연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In general, the metal electrode 112 is directly ex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ioelectrode 110, and even if the adhesive sheet 111 is around, the contact between the metal electrode 30 and the skin may be unstable. Therefore, the gel electrolyte may be applied to the skin, and the skin and the metal electrode 112 may maintain a relatively stable connection state through the applied electrolyte.

하지만, 젤을 사용한다고 해도, 종래의 생체용 전극을 이용한 연결은 안정된 연결을 방해할 수 있는 몇몇 요소에 의해서 쉽게 영향을 받을 수가 있다. 예를 들어, 피부부터 메인 컨트롤러(122)까지 피부-젤-금속 전극(112)-소켓(121)-메인 컨 트롤러(122)의 과정을 거쳐 생체신호가 전달되는 동안 생체신호가 약해지거나 노이즈가 발생할 수가 있다. 특히, 금속 전극(112)과 소켓(121)은 고정 돌기(113)에 점(point) 접촉을 하기 때문에 전기적 연결 상태가 매우 불안하며, 정확한 측정을 방해하는 가장 큰 이유가 될 수 있다.However, even with gels, connections with conventional bioelectrodes can be easily affected by several factors that can interfere with stable connections. For example, the biosignal is weakened or noisy while the bio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the skin-gel-metal electrode 112-socket 121-main controller 122 from the skin to the main controller 122. Can occur. In particular, since the metal electrode 112 and the socket 121 make point contact with the fixing protrusion 113, the electrical connection state is very unstable, and may be the biggest reason for preventing accurate measurement.

특히, 생체용 전극은 소모품으로서 일반적으로 일회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생체용 전극을 사용할 때마다 새로운 생체용 전극을 교체할 수 있는데, 가끔 생체용 전극과 소켓이 불안정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점 접촉을 하는 종래의 전극 연결방식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가 쉽지 않다. In particular, biological electrodes are generally used as disposables as consumables. Therefore, a new bioelectrode may be replaced every time a bioelectrode is used. Sometimes, the bioelectrode and the socket may be unstablely connected, and in the conventional electrode connection method of point contact, it is not easy to solve this problem.

또한, 이렇게 고정 돌기(113)와 소켓(121)을 이용하는 방식을 스냅(snap) 연결방식이라 할 수 있는데, 이러한 스냅(snap) 연결방식은 생체신호 측정기를 소형화하는 데에 유리하지가 않다. 왜냐하면, 금속 전극(112)에 고정 돌기(113)를 형성하는데 고정 돌기(113)에 의해서 전극을 납작하게 형성할 수가 없으며, 하나의 생체용 전극에 2개 이상의 소켓을 연결하고자 할 때에도 소켓 간의 최소 간격을 확보하기 위해 생체용 전극의 면적을 작게 할 수가 없기 때문이다.In addition, a method of using the fixing protrusion 113 and the socket 121 may be referred to as a snap connection method, which is not advantageous for miniaturizing a biosignal measuring device. Because the fixing protrusion 113 is formed on the metal electrode 112, the electrode cannot be formed flat by the fixing protrusion 113, and even when two or more sockets are connected to one bioelectrode, a minimum between the sockets is required. This is because the area of the biological electrode cannot be made small to secure the gap.

특히, 하나의 몸체에 여러 개의 전극들을 집적화하고자 할 때에도, 생체용 전극에는 여러 개의 고정 돌기 혹은 스냅이 있어야 하기 때문에 전극 또는 기기를 소형화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다. In particular, even when integrating a plurality of electrodes in one body, it is difficult to miniaturize the electrode or device because the electrodes for living body must have a plurality of fixing projections or snaps.

또한, 종래의 생체신호 측정기(100)의 경우 그 부품의 수가 많기 때문에 가공하는 단계가 복잡하고, 생체신호 전달 경로가 다단계를 거치는데, 피부부터 메인 컨트롤러(122)까지 피부-젤-금속 전극(112)-소켓(121)-메인 컨트롤러(122)의 과정 을 거쳐 생체신호가 전달되는 동안 생체신호가 약해지거나 노이즈가 발생할 우려가 크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100, since the number of parts is large, the processing is complicated, and the biosignal path passes through multiple stages, and the skin-gel-metal electrode (from the skin to the main controller 122) 112) -Socket 121-Main controller 122, there is a problem that the biological signal is weakened or the noise is likely to occur during the transmission of the biological signal.

또한, 하나의 몸체에 여러 개의 스냅을 형성할 때에도 스냅 간 간격은 스냅과 연결되는 소켓의 단자 간 간격과 동일한 것이 좋다. 만약에 스냅 간의 간격이 단자 간의 간격보다 좁으면 소켓이 전극에 장착되지 않을 수가 있으며, 스냅 간의 간격이 단자 간의 간격보다 넓으면 전극의 휨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도 있었다.In addition, when forming a plurality of snaps in one body, the spacing between snaps is preferably equal to the spacing between terminals of the socket connected to the snap. If the spacing between the snaps is smaller than the spacing between the terminals, the socket may not be mounted on the electrodes. If the spacing between the snaps is wider than the spacing between the terminals, there may be a problem that the electrode may be warped.

또한, 신체의 피부와 접촉하는 면과 생체신호 측정기의 신호 처리기와의 결합면이 서로 점착성 시트(111)를 기준으로 반대면에 위치하므로 점착성 시트(111)를 관통하여 결합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가공 측면이나 생체신호의 노이즈 측면에서 불리한 점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skin of the body and the coupling surface of the signal processor of the bio-signal measuring device is located on the opposite surface with respect to the adhesive sheet 111, the coupling must be made through the adhesive sheet 111, processing side However, there are disadvantages in terms of noise of the biological signal.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생체용 전극의 구조를 간소화하여 상기 생체용 전극의 제조 공정을 단순화한 생체용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생체신호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improve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iological electrode and a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which simplifies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biological electrode by simplifying the structure of the biological electrode. It is done.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점 접촉 방식이 아닌 면 접촉 방식의 전기적 연결 상태를 유지하여 신뢰성 있는 생체신호의 측정이 가능한 생체용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생체신호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iosignal electrode and a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which can measure a reliable biosignal by maintaining an electrical connection state of a surface contact method instead of a conventional point contact method.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몸체에 여러 개의 생체용 전극의 집적화가 가능하고, 상기 생체용 전극의 제조 공정을 단순화하여 소형화된 생체신호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that is possible to integrate a plurality of biological electrodes in one body, and to simplify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biological electrodes.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신체의 피부와 접촉하는 면과 생체신호 측정기의 신호 처리 모듈과의 결합면이 시트 부재를 기준으로 동일한 피부와 접촉하는 면에 위치하도록 하여 상기 시트 부재를 관통하지 아니하도록 하여 단순화된 전극 구조 및 노이즈 없는 생체신호의 측정이 가능한 생체신호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sure that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skin of the body and the coupling surface of the signal processing module of the biosignal measuring device is located on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same skin with respect to the sheet member so as not to penetrate the sheet memb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capable of measuring a simplified electrode structure and a biosignal without noise.

상기의 목적을 이루고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생체신호 측정용 전극에 있어서, 절연성 재질을 이용하여 형성된 시트 부재; 및 상기 시트 부재의 외측 저면에 형성되어 상기 신체와 접촉하는 하나 이상의 신체 접촉부와, 상기 시트 부재의 내측 저면에 형성되어 생체신호 측정장치의 단자와 접촉되는 하나 이상의 장치 접촉부를 포함하는 전극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용 전극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iosignal measuring electrode, comprising: a sheet member formed using an insulating material; And at least one body contact portion formed on an outer bottom surface of the sheet member and in contact with the body, and at least one device contact portion formed on an inner bottom surface of the sheet member and in contact with a terminal of the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It provides a living electrode, characterized in that.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생체신호 측정장치에 있어서, 생체신호 측정용 전극 부재; 상기 생체용 전극 부재의 저면과 면접하여 상기 생체용 전극 부재로부터 전달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 상기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A/D 신호 변환부 및 상기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로 구성된 신호 처리 모듈를 포함하고, 상기 생체용 전극 부재는 절연성 재질을 이용하여 형성된 시트 부재; 및 상기 시트 부재의 외측 저면에 형성되어 상기 신체와 접촉하는 하나 이상의 신체 접촉부와, 상기 시트 부재의 내측 저면에 형성되어 상기 신호 처리 모듈의 단자와 접촉하는 하나 이상의 장치 접촉부를 포함하는 전극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신체 접촉부 및 상기 장치 접 촉부는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도전성 및 점착성을 갖는 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장치 접촉부는 상기 단자와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신호 측정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comprising: an electrode member for measuring a biosignal; An analog signal processor for processing an analog signal transmitted from the biological electrode member by interviewing a bottom surface of the biological electrode member, an A / D signal converter for converting the analog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and the converted digital signal A signal processing module including a digital signal processor configured to process the biosignal member, wherein the biological electrode member comprises: a sheet member formed using an insulating material; And one or more body contacts formed on the outer bottom of the sheet member to contact the body, and one or more device contacts formed on the inner bottom of the sheet member to contact the terminals of the signal processing module. The body contact portion and the device contact portion are integrally formed and include a material having conductivity and adhesion, and the device contact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terminal and electrically connected thereto. .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생체용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생체신호 측정장치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생체용 전극 및 생체신호 측정장치의 구성요소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iological electrode and a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biological electrode and a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Perspective view.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생체신호 측정장치는 신호 처리 모듈(300) 및 생체용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생체용 전극은 측정하고자 하는 신체에 부착되어, 상기 신체로부터 생체신호를 신호 처리 모듈(300)로 전달한다. 상 기 생체용 전극과 신호 처리 모듈(300)은 시트 부재(210)를 기준으로 상기 신체의 피부와 같은 면에 위치하여 종래의 시트 부재의 홀을 통한 관통형의 방식에 비하여 상기 생체용 전극 구조의 단순화가 가능하다.Referring to FIG. 3, the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ignal processing module 300 and a bioelectrode. The biological electrode is attached to a body to be measured, and transmits a biological signal from the body to the signal processing module 300. The biological electrode and the signal processing module 300 are located on the same surface as the skin of the body with respect to the sheet member 210, and thus, the biological electrode structure of the biological electrode and the signal processing module 300 are compared to the through-hole type through the hole of the conventional sheet member. Simplification is possible.

전극 구조가 단순화된 상기 생체용 전극은 시트 부재(210), 전극 부재(220)를 포함한다. 시트 부재(210)는 비전도성(nonconductive) 또는 절연 물질(insulating material)로 이루어 질 수 있고, 일반적으로는 종이 또는 절연성 수지 등을 이용하여 제공된다. 시트 부재(210)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The biological electrode having a simplified electrode structure includes a sheet member 210 and an electrode member 220. The sheet member 210 may be made of a nonconductive or insulating material, and is generally provided using paper or an insulating resin. The sheet member 210 may have a circular or polygonal shape.

전극 부재(220)는 시트 부재(210)의 외측 저면에 형성되어 상기 신체와 접촉하는 하나 이상의 신체 접촉부(221)와, 시트 부재(210)의 내측 저면에 형성되어 상 기 생체신호 측정장치의 단자(310)와 접촉되는 하나 이상의 장치 접촉부(222)를 포함한다. 신체 접촉부(221)와 장치 접촉부(222)는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도전성 및 점착성을 갖는 물질을 포함하며, 장치 접촉부(222)는 단자(310)와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신체 접촉부(221)와 장치 접촉부(222)는 도전성 및 점착성을 갖는 물질로 구성되기 때문에 전극 부재(220)는 상기 신체의 미세 전기적 신호를 신호 처리 모듈(30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장치 접촉부(222)가 점착성을 갖기 때문에 신호 처리 모듈(300)와 별도의 접착제에 의하지 않더라도 부착이 가능하며, 신호 처리 모듈(300)의 단자(310)에 의해서 보다 용이하게 부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전극 부재(220)를 이루는 물질은 도전성 및 점착성을 갖는 물질로서 하이드로 젤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전극 부재(220)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도전성 및 점착성을 갖는 물질이면 제한되지 아니하고 사용 가능하다. 또한, 전극 부재(220)는 시트 부재(210)와 접착제(211)에 의하여 부착이 가능하고, 전극 부재(220) 자체도 점착성을 갖는 물질이기 때문에 접착제(211)에 의하지 아니하더라도 시트 부재(210)에 부착이 가능하다.The electrode member 220 is formed on the outer bottom surface of the sheet member 210 to be in contact with the body and at least one body contact portion 221 and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sheet member 210 are formed in the terminal of the biological signal measuring apparatus. One or more device contacts 222 in contact with 310. The body contact portion 221 and the device contact portion 222 are integrally formed and include a conductive and tacky material, and the device contact portion 222 is in contact with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 310. Since the body contact portion 221 and the device contact portion 222 are made of a material having conductivity and adhesion, the electrode member 220 may transmit the micro electrical signal of the body to the signal processing module 300. In addition, since the device contact portion 222 is tacky, attachment is possible without using an adhesive other than the signal processing module 300, and may be more easily attached by the terminal 310 of the signal processing module 300. .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electrode member 2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a hydrogel as a material having conductivity and adhesion. However, the electrode member 2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used without limitation as long as the material has conductivity and adhesiveness. In addition, since the electrode member 220 may be attached by the sheet member 210 and the adhesive 211, and the electrode member 220 itself is a material having adhesiveness, the sheet member 210 may be attached even if the electrode member 220 is not attached to the adhesive 211. ) Can be attached.

신체 접촉부(221) 및 장치 접촉부(222)는 용융 또는 유동 상태에 있는 하이드로 젤을 시트 부재(210)의 저면에서 성형하여 제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신호 처리 모듈(300)의 단자(310)의 상면 주변에 유동 상태의 하이드로 젤을 분사하고, 시트 부재(210)의 상하면에서 금형으로 압축하여 신체 접촉부(221) 및 장치 접촉부(222)를 한번에 성형할 수 있다.The body contacting part 221 and the device contacting part 222 may be manufactured by molding a hydrogel in a molten or flowing state at the bottom of the sheet member 210. Specifically, a hydrogel in a fluid state is sprayed around the upper surface of the terminal 310 of the signal processing module 300, compressed into a mol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heet member 210, and then the body contacting portion 221 and the device contacting portion 222. Can be molded at once.

또한, 시트 부재(210) 및 전극 부재(220)는 유연성을 가지고 변형할 수 있으 며, 부착되는 부분의 형상에 대응하여 용이하게 부착 가능하다. 또한, 상기 생체용 전극을 용이하게 부착시키기 위해서 신체 접촉부(221)의 주변에 있는 시트 부재(210)의 저면에서 신체 접촉부(221)의 주변으로 점착성 물질이 도포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heet member 210 and the electrode member 220 can be deformed with flexibility, and can be easily attached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portion to be attached. In addition, in order to easily attach the biological electrode, an adhesive material may be applied to the periphery of the body contact part 221 at the bottom of the sheet member 210 around the body contact part 221.

전극 부재(220)는 하나 이상의 신체 접촉부(221) 간 이격 거리를 유지하기 위한 이격부(223)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격부(223)는 비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비전도성 물질은 종이 또는 절연성 수지가 적용 가능하다. 신호 처리 모듈(300)이 소형화됨에 따라 상기 생체용 전극으로부터 상기 신체의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는 신호 처리 모듈(300)의 하나 이상의 장치 접촉부(222) 간의 거리 X의 감소하게 되고, 이에 따라 신체 접촉부(221) 간 거리도 줄어들게 되고, 상기 신체의 상기 전기적 신호를 안정적으로 얻을 수 없게 된다. 이격부(223)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신체 접촉부(221) 간의 거리를 충분히 확보하고, 안정적인 신호를 얻기 위한 거리 Y를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이격부(223)를 통하여 X가 감소하더라도, 상기 생체용 전극이 상기 신체와 접촉하게 되는 거리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The electrode member 220 may further include a spacer 223 for maintaining a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one or more body contacts 221. The spacer 223 may be made of a nonconductive material, and the nonconductive material may be made of paper or an insulating resin. As the signal processing module 300 is miniaturized, the distance X between one or more device contacts 222 of the signal processing module 300 that receives the electrical signal of the body from the bioelectrode is reduced, thereby reducing the body contact portion ( 221, the distance between them is also reduced, the electrical signal of the body can not be obtained stably. Spacer 223 is to solve this problem is to ensure a sufficient distance between the body contact portion 221, to secure a distance Y for obtaining a stable signal. Even if X decreases through the spacer 223, the distance that the electrode for living body comes into contact with the body may be sufficiently secured.

신호 처리 모듈(300)의 상면에는 금속 또는 염화은(AgCl) 재질의 단자(310)가 노출될 수 있으며, 신호 처리 모듈(300)의 상면이 장치 접촉부(222)에 위치하도록 하여 신호 처리 모듈(300)을 상기 생체용 전극에 부착시킬 수 있다. 단자(310)와 장치 접촉부(222)가 평평한 접촉면을 통해 서로 부착되기 때문에 단자(310)는 상기 넓은 접촉면을 통해서 장치 접촉부(2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장치 접촉부(222) 및 단자(310) 간의 전기적 신호의 전달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으 며. 그 결과 신호 대 잡음비(S/N. signal-to-noise ratio)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신체의 피부와 접촉하는 면과 생체신호 측정기의 신호 처리 모듈과의 결합 면이 시트 부재를 기준으로 동일한 피부와 접촉하는 면에 위치하도록 하여 상기 시트 부재를 관통하지 아니하도록 하여 단순화된 전극 구조 및 노이즈 없는 생체신호의 측정이 가능하다. A terminal 310 made of metal or silver chloride (AgCl) may be ex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ignal processing module 300, and the signal processing module 300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ignal processing module 300 at the device contact portion 222. ) May be attached to the biological electrode. Because terminal 310 and device contact 222 are attached to each other via a flat contact surface, terminal 31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device contact 222 through the wide contact surface. Thus, the transmission efficiency of the electrical signal between the device contact 222 and the terminal 310 can be increased. As a result, the signal-to-noise ratio can be improved. In addition, the electrode structure is simplified so as not to penetrate the sheet member by placing the coupling surface of the surface contacting with the skin of the body and the signal processing module of the biosignal measuring unit on the surface contacting the same skin with respect to the sheet member. And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bio-signal without noise.

또한, 장치 접촉부(222)는 점착성을 갖기 때문에 별도의 고정 구조를 갖지 않아도 신호 처리 모듈(300)과의 전기적 연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신호 처리 모듈(300)은 외부의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신체에 착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착용자의 심전도(ECG), 근전도(EMG), 뇌전도(EEG), 피부저항(GSR) 등의 생체신호 자료를 전달할 수가 있다. 종래에는 신호 처리 모듈을 생체용 전극에 부착하기 위해서 돌기/홈을 이용한 체결구조를 사용하였으나, 본 실시예의 장치 접촉부(222)는 하이드로 젤이 갖는 점착성을 이용하여 결합된 상태를 유지한다.In addition, since the device contact portion 222 is adhesive, it may maintain an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signal processing module 300 without having a separate fixing structure. The signal processing module 300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in a wired or wireless manner, and the ECG, EMG, EEG, skin resistance (GSR), etc. of the wearer may be maintained while being worn on the body. Can transmit biosignal data. Conventionally, a fastening structure using protrusions / grooves is used to attach a signal processing module to an electrode for a living body, but the device contact portion 222 of the present embodiment maintains a combined state using adhesiveness of a hydrogel.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전극 부재(220)와 신호 처리 모듈(300)이 종래의 점 접촉 방식이 아니라 면 접촉 방식의 전기적 연결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신뢰성 있는 생체신호의 측정이 가능한 생체용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생체신호 측정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electrode member 220 and the signal processing module 300 maintain the electrical connection state of the surface contact method instead of the conventional point contact method, a bio-electrode capable of measuring a reliable biosignal and the same A biological signal measuring apparatus may be provided.

또한, 신호 처리 모듈(300)은 상기 신체와 접촉하여 상기 신체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직접적으로 전달받는 전달 부재(36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전달 부재(360)는 전극 부재(220)의 신체 접촉부(221)에 의해 상기 전기적 신호를 전달 받 는다 하더라도 또한, 직접적으로 상기 신체와 접촉하여 상기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signal processing module 300 may further include a transmission member 360 in contact with the body to directly receive an electrical signal from the body. Although the transmission member 360 receives the electrical signal by the body contacting portion 221 of the electrode member 220, the transmission member 360 may directly contact the body to receive the electrical signal.

또한, 본 발명의 생체신호 측정장치는 시트 부재(210)의 하면에서 신호 처리 모듈(300)의 몸체 또는 상기 단자의 가장자리를 수용하기 위한 고정부(도시되지 아니함)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고정부는 비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고정부에 의하여 보다 노이즈가 없는 안정적인 생체신호의 측정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part (not shown) for accommodating the body of the signal processing module 300 or the edge of the terminal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heet member 210. The fixing part may be made of a non-conductive material. The fixing unit can measure a stable biosignal without noise.

상술한 구성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생체신호 측정장치는 하나의 몸체에 여러 개의 생체용 전극의 집적화가 가능하고, 상기 생체용 전극의 제조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ntegrate a plurality of biological electrodes in one body and simplify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biological electrodes.

도 5는 도 3의 신호 처리 모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FIG.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components of the signal processing module of FIG. 3.

도 5를 참조하면, 신호 처리 모듈(300)는 상면 또는 하면이 될 수 있는 단자(310)로부터 순차적으로 연결된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320), A/D 신호 변환부(330), 디지털 신호 처리부(340) 및 유/무선 송신 모듈(350)을 포함한다.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320)는 단자(310)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신체의 미세 전기적 신호, 즉 아날로그 형태의 신호를 증폭 또는 필터링을 하여 A/D 신호 변환부(330)로 전달한다. A/D 신호 변환부(330)가 전달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후, 디지털 신호 처리부(340)는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프로그램된 방법에 따라 처리한다. 그리고 그 처리 결과는 유/무선 송신 모듈(350)을 통해 외부 장치로 전달될 수 있으며, 변형적으로는 내부 메모리(도시되지 아니함)에 저장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signal processing module 300 may include an analog signal processor 320, an A / D signal converter 330, and a digital signal processor 340 sequentially connected from a terminal 310, which may be an upper surface or a lower surface. ) And a wired / wireless transmission module 350. The analog signal processor 320 amplifies or filters the micro-electrical signal of the body, that is, an analog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310 and transmits the amplified or filtered signal to the A / D signal converter 330. After the A / D signal converter 330 converts the transmitted analog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340 processes the converted digital signal according to a programmed method. The processing result may be transmitted to an external device through the wired / wireless transmission module 350 and may be stored in an internal memory (not shown).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way of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hich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modif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odifications are possible. 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only by the claims set forth below, and all equivalent or equivalent modifications thereof will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의하면, 생체용 전극의 구조를 간소화하여 상기 생체용 전극의 제조 공정을 단순화한 생체용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생체신호 측정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iological electrode and a biological signal measur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which simplifies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biological electrode by simplifying the structure of the biological electrode.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점 접촉 방식이 아닌 면 접촉 방식의 전기적 연결 상태를 유지하여 신뢰성 있는 생체신호의 측정이 가능한 생체용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생체신호 측정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iosignal electrode and a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which can measure a reliable biosignal by maintaining an electrical connection state of a surface contact method instead of a conventional point contact method.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몸체에 여러 개의 생체용 전극의 집적화가 가능하고, 상기 생체용 전극의 제조 공정을 단순화하여 소형화된 생체신호 측정장치가 제공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ntegrate a plurality of biological electrodes in one body, and to simplify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biological electrodes, a miniaturized biological signal measuring apparatus is provided.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신체의 피부와 접촉하는 면과 생체신호 측정기의 신호 처리 모듈과의 결합면이 시트 부재를 기준으로 동일한 피부와 접촉하는 면에 위치하도록 하여 상기 시트 부재를 관통하지 아니하도록 하여 단순화된 전극 구조 및 노이즈 없는 생체신호의 측정이 가능한 생체신호 측정장치가 제공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e surface of the body in contact with the surface and the coupling surface of the signal processing module of the bio-signal measuring device is located on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same skin with respect to the sheet member so as not to penetrate the sheet member A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capable of measuring a simplified electrode structure and a noiseless biosignal is provided.

Claims (10)

생체신호 측정용 전극에 있어서,In the biosignal measuring electrode, 절연성 재질을 이용하여 형성된 시트 부재; 및A sheet member formed using an insulating material; And 상기 시트 부재의 외측 저면에 형성되어 상기 신체와 접촉하는 하나 이상의 신체 접촉부와, 상기 시트 부재의 내측 저면에 형성되어 생체신호 측정장치의 단자와 접촉되는 하나 이상의 장치 접촉부를 포함하는 전극 부재An electrode member including at least one body contact portion formed on an outer bottom surface of the sheet member and in contact with the body, and at least one device contact portion formed on an inner bottom surface of the sheet member and in contact with a terminal of the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용 전극.Biological electrod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전극 부재는 The electrode member is 상기 하나 이상의 신체 접촉부의 이격 거리를 유지하기 위한 이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용 전극.And a separation part for maintaining a separation distance of the at least one body contact part.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이격부는 비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용 전극.The space electrode is a biological electrode,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 non-conductive material.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신체 접촉부 및 상기 장치 접촉부는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도전성 및 점착성을 갖는 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장치 접촉부는 상기 단자와 접촉되어 전기적 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And the body contact portion and the device contact portion are integrally formed and include a material having conductivity and adhesion, wherein the device contact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terminal and electrically connecte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시트 부재의 저면에 상기 신체 접촉부의 주변으로 점착성 물질이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용 전극.And an adhes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periphery of the body contact part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heet member. 생체신호 측정장치에 있어서,In the biological signal measuring apparatus, 생체신호 측정용 전극 부재;An electrode member for measuring a biological signal; 상기 생체용 전극 부재의 저면과 면접하여 상기 생체용 전극 부재로부터 전달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 상기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A/D 신호변환부 및 상기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로 구성된 신호 처리 모듈An analog signal processor for processing an analog signal transmitted from the biological electrode member by interviewing a bottom surface of the biological electrode member, an A / D signal converter for converting the analog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and the converted digital signal Signal processing module consisting of a digital signal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the 를 포함하고,Including, 상기 생체용 전극 부재는 The biological electrode member is 절연성 재질을 이용하여 형성된 시트 부재; 및A sheet member formed using an insulating material; And 상기 시트 부재의 외측 저면에 형성되어 상기 신체와 접촉하는 하나 이상의 신체 접촉부와, 상기 시트 부재의 내측 저면에 형성되어 상기 신호 처리 모듈의 단자와 접촉하는 하나 이상의 장치 접촉부를 포함하는 전극 부재An electrode member including at least one body contact portion formed on an outer bottom surface of the sheet member and in contact with the body, and at least one device contact portion form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sheet member and in contact with a terminal of the signal processing module. 를 포함하고,Including, 상기 신체 접촉부 및 상기 장치 접촉부는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도전성 및 점착성을 갖는 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장치 접촉부는 상기 단자와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신호 측정 장치.And the body contact portion and the device contact portion are integrally formed, and include a material having conductivity and adhesion, and wherein the device contact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terminal and electrically connected thereto.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신호 처리 모듈은 The signal processing module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에 의해서 처리된 신호를 외부로 전달하는 유/무선 송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신호 측정장치.And a wired / wireless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the signal processed by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to the outside.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시트 부재의 하면에서 상기 신호 처리 모듈의 몸체 또는 상기 단자의 가장자리를 수용하기 위한 고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비도전성 물질을 이용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신호 측정장치.And a fixing part for accommodating an edge of the terminal or the body of the signal processing module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heet member, wherein the fixing part is formed using a non-conductive material.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시트 부재의 저면에서 상기 신체 접촉부의 주변으로 점착성 물질이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신호 측정장치.A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adhes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periphery of the body contact portion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sheet member. 제6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신호 처리 모듈은 The signal processing module 상기 신체와 접촉하여 상기 신체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전달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신호 측정장치.And a transmission member in contact with the body to transmit an electrical signal from the body.
KR1020070000549A 2007-01-03 2007-01-03 Electrode for living body and device for detecting living signal KR10085524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0549A KR100855247B1 (en) 2007-01-03 2007-01-03 Electrode for living body and device for detecting living sig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0549A KR100855247B1 (en) 2007-01-03 2007-01-03 Electrode for living body and device for detecting living sig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3932A true KR20080063932A (en) 2008-07-08
KR100855247B1 KR100855247B1 (en) 2008-09-01

Family

ID=39815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0549A KR100855247B1 (en) 2007-01-03 2007-01-03 Electrode for living body and device for detecting living sig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5247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5419A (en) * 2014-07-30 2016-02-15 주식회사 원바이오젠 Bio-signal measurement devices attached to the skin
US9543946B2 (en) 2012-11-23 2017-01-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Signal processing device without mechanical switch for on/off opera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3544A (en) 2021-04-16 2022-10-25 고려대학교 세종산학협력단 Optimal Electrode Position and Re-reference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Various Biosignals Measured Around the Ea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27881A (en) 1983-11-14 1988-03-01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Biomedical electrode
JP2004215964A (en) 2003-01-16 2004-08-05 Fukuda Denshi Co Ltd Bioelectrode
JP2005110801A (en) * 2003-10-03 2005-04-28 Aprica Kassai Inc Biomedical measurement sensor and biomedical measurement metho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43946B2 (en) 2012-11-23 2017-01-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Signal processing device without mechanical switch for on/off operation
KR20160015419A (en) * 2014-07-30 2016-02-15 주식회사 원바이오젠 Bio-signal measurement devices attached to the ski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5247B1 (en) 2008-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76922B1 (en) Biosignal electrode
KR100773447B1 (en) Electrode for living body and device for detecting living signal
US8862199B2 (en) Electrode member and apparatus for measuring biosignal including the electrode member
US8382531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8251736B2 (en) Connector assembly for connecting an electrical lead to an electrode
CN104665806B (en) Electrode, biological signal detection device and method for measuring biological signal
KR101674579B1 (en) Electrode for living body and device for detecting living signal
KR100615431B1 (en) Physiological signal detection module, a multi-channel connector module and physiological signal detection apparatus with the same
JP5124602B2 (en) Biological signal measuring device
US9705239B2 (en) Flexible electrode assembly and apparatus for measuring electrophysiological signals
KR20050072941A (en) Body-surface bio-potential sensor having multi-electode and apparatus for detecting bio-potential signal adopting the sensor
KR100855247B1 (en) Electrode for living body and device for detecting living signal
JPH0566809B2 (en)
KR100742402B1 (en) Electrode for living body and device for detecting living signal
WO2022176559A1 (en) Bioelectrode
JP6215987B2 (en) Biological signal monitoring system
JP5913485B2 (en) Biological signal monitoring system
KR101357671B1 (en) Structure and fabrication method of dry bio-electrode with super hydrophobic surface for measurement of living body signal
US20230066856A1 (en) Dry Electrode And Wearable Device
CN219835620U (en) Electrocardiogram patch
US20230000422A1 (en) Electrode for electroencaphalography
EP3818924A1 (en) Apparatus for measuring bio-signals
CN113038879A (en) System for detecting biological sign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