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3683A -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3683A
KR20080063683A KR1020070000357A KR20070000357A KR20080063683A KR 20080063683 A KR20080063683 A KR 20080063683A KR 1020070000357 A KR1020070000357 A KR 1020070000357A KR 20070000357 A KR20070000357 A KR 20070000357A KR 20080063683 A KR20080063683 A KR 200800636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wire
main body
display device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03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장운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03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63683A/en
Priority to CNA2007101365845A priority patent/CN101086902A/en
Publication of KR200800636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368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3Allowing translations
    • F16M11/046Allowing translations adapted to upward-downward translation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 F16M2200/04Balancing means
    • F16M2200/047Balancing means for balancing translational movement of the h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 F16M2200/08Foot or support ba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A display device is provided to support the loads of the display device, reduce a volume of a stand, facilitate the movement of the stand and enable a user to move a location of the main body conveniently. A lifting member(22) lifts together with a display main body(1). A support unit(23) guides the lifting motion of the lifting member. A base(5) supports a lower side of the support unit. A slider(51) moves after being placed on the base. A wire(25) connects the lifting member with the slider. A pulley(24) is installed in the support unit so as to change a prolongation direction of the wire by being wound with the wire. A spring(54) provides elastic force to the motion of the slider. A hinge assembly is provided to a connection unit of the support unit and the base. The hinge assembly comprises a stopper guide(32), at least two grooves(33,34) provided in the outer surface of the stopper guide, and a folding stopper(35) selectively engaged with the grooves.

Description

디스플레이 기기{Display device}Display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배면 사시도.1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상기 도 1에서 Ⅰ-Ⅰ'의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II ′ in FIG. 1.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에서 지주부를 제거한 상태에서 도시된 디스플레이 기기의 동작 상태도.Figure 3 is an operating state of the display device shown in a state in which the holding portion is removed from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기기가 월 마운트 상태로 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측면도.4 is a side view of the display device in which th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a wall mounted state.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본체 2 : 스탠드 5 : 베이스1: body 2: stand 5: base

22 : 승강부재 23 : 지주부 25 : 와이어22: lifting member 23: holding portion 25: wire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스탠드의 부피를 줄이면서도 디스플레이 본체의 하중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기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play device capable of stably supporting a load of a display main body while reducing a volume of a stand.

디스플레이 기기는 모니터 또는 텔레비전으로 예시가능한 기기로서, 내부에 디스플레이 모듈이 수용되는 본체,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스탠드, 상기 스탠드의 하단부에 제공되는 베이스가 포함되어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는 상기 본체의 위치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편리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하여 디스플레이 모듈이 자중이 지지되면서 그 위치를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탄성 장치가 내장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The display device is a device exemplified as a monitor or a television, and includes a main body in which a display module is accommodated, a stand supporting the main body, and a base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stand. In addition, the display device should allow the user to conveniently change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to a desired position. To this end, an elastic device is built in which the display module can easily move its position while supporting its own weight. to be.

그러나, 종래의 상기 탄성 장치는 코일 스프링을 이용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기기를 움직이는 정도에 따라서 가하여야 하는 힘의 크기가 증가되는 단점이 있었다. 다시 말하면, 어느 정도의 움직이는 거리 까지는 사용자가 작은 힘으로도 본체를 움직이게 할 수가 있지만, 일정한 정도를 넘어서고 나서 부터는 스프링에 의한 탄성력이 커지기 때문에, 어느 정도 강한 힘이 주어지지 않으면 움직이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이는 스프링은 각각이 미리 지정되는 스프링 상수(k)가 있고, 변위(x)가 커짐에 따라서 탄성력이 커지기 때문이다. 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elastic device uses a coil spring,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magnitude of the force to be applied is increased according to the extent to which the user moves the display device. In other words, the user can move the body with a small force up to a certain moving distance, but since the elastic force by the spring increases after exceeding a certain degree, the problem that it does not move unless a certain strong force is given It is. This is because the springs each have a spring constant (k) that is predefined, and the elastic force increases as the displacement (x) increases.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스탠드의 지주부에 판 스프링을 내장하고, 판 스프링에 의해서 제공되는 어느 정도 일정한 유지되는 탄성력에 의해서 사용자가 편리하게 본체를 움직이도록 하는 기술도 제안된 바가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상기 판 스프링이 상기 스탠드의 몸체부에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스탠드 지주부의 부피가 커지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다시 말하면, 디스플레이 본체의 자중을 지지하는 지주부의 부피가 커짐에 따라서, 제품의 포장시나 이동시에 불편함이 있고, 그 구조가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there is also proposed a technology that allows the user to conveniently move the main body by the built-in leaf spring in the holding portion of the stand, the elastic force maintained to some extent provided by the leaf spring. However, this conventional technique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volume of the stand holding portion becomes large because the leaf spring is inserted into the body portion of the stand. In other words, as the volume of the support portion supporting the weight of the display main body increases, there is an inconvenience in packaging or moving the product, and the structure thereof is complicated.

본 발명은 상기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것으로서, 디스플레이 기기의 자중이 지지되면서도 스탠드의 부피가 작아지고, 이동이 용이하고, 사용자가 본체의 위치를 이동할 때 편리하게 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기기를 제안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propo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proposes a display device that can support a small weight of the stand while moving the body of the main body while the weight of the display device is supported. do.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는, 디스플레이 본체;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와 함께 승강하는 승강부재; 상기 승강부재의 승강운동을 가이드하는 지주부; 상기 지주부의 하측을 지지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놓여 움직이는 슬라이더; 상기 승강부재와 상기 슬라이더를 연결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가 감겨져서 상기 와이어의 연장방향을 바꾸기 위하여 상기 지주부에 설치되는 도르레; 및 상기 슬라이더의 움직임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이 포함된다.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display body; An elevating member that elevates with the display main body; A holding portion for guiding the lifting movement of the lifting member; A base supporting the lower side of the support portion; A slider placed on the base and moving; A wire connecting the elevating member and the slider; A pulley which is wound around the wire and installed on the support to change an extension direction of the wire; And a spring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the movement of the slider.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는, 디스플레이 본체;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에 연결되어 함께 움직이는 승강부재; 상기 승강부재의 승강운동을 가이드하는 지주부; 상기 지주부의 하측을 지지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놓여 움직이는 슬라이더; 상기 승강부재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슬라이더에 연결되어, 상기 승강부재의 운동 시에 상기 슬라이더가 움직이는 힘을 제공하는 와이어; 및 상기 슬라이더가 움직일 때,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이 포함된다.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display body; A lifting member connected to the display main body and moving together; A holding portion for guiding the lifting movement of the lifting member; A base supporting the lower side of the support portion; A slider placed on the base and moving; A wire connected at one end to the elevating member and connected at the other end to the slider to provide a force for moving the slider during movement of the elevating member; And a spring that provides an elastic force when the slider moves.

본 발명에 의해서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의 부피가 작아지고, 사용자가 편리하게 본체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고, 이동이 편리해지고, 포장의 부피가 축소되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olume of the stand of the display device may be reduced, the user may conveniently adjust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the movement may be convenient, and the volume of the packaging may be reduced.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 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의 배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에서 지주부를 제거한 상태에서 도시된 디스플레이 기기의 동작 상태도이다. 1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operating state of the display device shown in a state in which the holding portion is removed from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모듈이 수용되는 본체(1)와, 상기 본체(1)의 자중을 지지하는 스탠드(2)와, 상기 스탠드(2)의 하단부에 놓여서 바닥면에 대하여 상기 스탠드(2) 및 본체(1)의 자중을 지지하는 베이스(5)가 포함된다. 1 and 3, the main body 1 in which the display module is accommodated, the stand 2 supporting the weight of the main body 1,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stand 2 are placed on the bottom surface thereof. A base 5 supporting the weight of the stand 2 and the main body 1 is included.

상기 스탠드(2)의 구성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The structure of the said stand 2 is demonstrated in more detail.

상기 스탠드(2)는, 상기 본체(1)의 배면에 고정되는 배면 고정부(11)와, 상기 배면 고정부(11)의 후방에 형성되는 경사힌지(21)와, 상기 경사힌지(21)의 후방에 체결되는 승강부재(22)와, 상기 승강부재(22)의 상하방향으로의 승강작용을 가이드하는 지주부(23)가 포함된다. The stand 2 includes a rear fixing part 11 fix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1, an inclined hinge 21 formed behind the rear fixing part 11, and the inclined hinge 21. Lifting member 22 is fastened to the rear of the, and the holding portion 23 for guiding the lifting ac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lifting member 22 is included.

상기 승강부재(22)는 상기 지주부(23)의 의해서 그 이동이 가이드되는 것으로서, 원활한 승강동작을 위하여, 상기 지주부(23)는 승강부재(22)를 안쪽에 수용한 상태에서 승강부재(22)의 상하승강작용을 가이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elevating member 22 is to be guided by the movement of the support portion 23, for the smooth lifting operation, the support portion 23 is a lifting member ( It is preferable to guide the lifting and lowering action of 22).

또한, 상기 지주부(23)의 내면에는 제 1 도르레(풀리라고도 할 수 있고 이하 동일하다)(24)가 고정되어 있고, 그 외면에는 와이어(25)가 감겨져 있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의 일단부는 상기 승강부재(32)에 고정되어 있다. In addition, a first pulley (also referred to as pulley and the same below) 24 is fix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23, and a wire 25 is wound around the outer surface thereof. One end of the wire is fixed to the elevating member 32.

상기 베이스(5)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The structure of the said base 5 is demonstrated in detail.

상기 베이스(5)에는 상기 스탠드(2)의 하단부를 직접 지지하는 힌지 어셈블 리(3)가 놓여있고, 상기 힌지 어셈블리(3)의 일측에는 슬라이더(51)와, 상기 슬라이더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가이더(52)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51)에는 상기 와이어(25)의 타단이 연결되어 있어서, 결국 상기 와이어(25)는 일단은 상기 승강부재(22)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슬라이더(51)에 연결되는 것이 된다. 물론, 상기 제 1 도르레(24)는 상기 와이어(25)를 적어도 한번 감고 있어서, 승강부재가 하측으로 이동할 때, 상기 슬라이더(51)를 당기는 방향을 힘이 발생한다. 상기 와이어(25)와 상기 슬라이더(51)가 연결되는 부분의 구성을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슬라이더(51)에는 풀리(53)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그 풀리(53)의 외면에 와이서(25)가 감겨져 있다. 상기 풀리(53)가 제공되는 것에 의해서, 상기 제 1 도르레(24)가 좌우 양측에 하나씩 제공된 상태에서 승강부재(22)의 좌우양측이 일정 정도 불균등 하게 하측으로 이동하더라도, 와이어(25)가 부분적으로 굽는 일이 발생되지 않고, 상기 풀리(53)에 의해서 양방향으로 균형이 맞게 된다. The base 5 has a hinge assembly 3 that directly supports the lower end of the stand 2, and on one side of the hinge assembly 3 a slider 51 and a guider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slider. 52 is provided. In addition, the other end of the wire 25 is connected to the slider 51, so that one end of the wire 25 is connected to the elevating member 22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slider 51. . Of course, the first pulley 24 winds the wire 25 at least once, so that a force is generat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lider 51 is pulled when the lifting member moves downward. When the wire 25 and the slider 51 ar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pulley 53 is connected to the slider 51. And the Weiser 25 is wound a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pulley 53. By providing the pulley 53, even i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elevating member 22 are unevenly moved to the lower side in a state where the first pulleys 24 are provided one by one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the wire 25 is partially No burning occurs, and the pulley 53 is balanced in both directions.

또한, 상기 힌지 어셈블리(3)에는 상기 지주부(23)의 회전동작을 가이드하여 지지하기 위하여, 지주부(23)가 일정한 각도에서 멈춰지도록 하기 위한 스토퍼구조가 더 제공된다. In addition, the hinge assembly 3 is further provided with a stopper structure for stopping the support 23 at a predetermined angle to guide and support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support 23.

상기 스토퍼 구조로는, 상기 힌지 어셈블리(3)의 양측 단부에 형성되는 스토퍼 가이드(32)와, 상기 스토퍼 가이드에 외주면에 형성되는 홈(33)(34)과, 상기 홈(33)(34)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지주부(23)의 회전동작이 멈춰지도록 하는 폴딩 스토퍼(35)가 제공된다. The stopper structure includes a stopper guide 32 formed at both ends of the hinge assembly 3, grooves 33 and 34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opper guide, and the grooves 33 and 34. A folding stopper 35 is provided, which is selectively inserted in and which stops the rotation of the support 23.

상기 와이어(25)와 관련되는 작용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An operation associated with the wire 25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와이어(25)는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일단은 상기 승강부재(22)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슬라이더(51)에 연결되어 있다. 1 and 3, the wire 25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elevating member 22,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slider 51, as described above.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본체(1)를 하방으로 내리면, 상기 승강부재(22)고 함께 내려가게 되고, 그러면 와이어(25)도 하측으로 당겨지게 된다. 상기 와이어(25)가 하측으로 당겨지더라도 상기 제 1 도르레(24)는 승강부재(22)의 움직임과는 무관하게 상기 지주부(23)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와이어(25)의 끝단에 연결되는 슬라이더(51)가 당겨진다. In this state, when the user lowers the main body 1 downward, the elevating member 22 is lowered together, and the wire 25 is also pulled downward. Even if the wire 25 is pulled downward, since the first pulley 24 is fixed to the support 23 regardless of the movement of the elevating member 22, the first pulley 24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wire 25. The slider 51 is pulled.

여기서, 상기 와이어(25)는 상기 스탠드(2)의 안쪽에 놓여있는 부재로서, 스탠드를 따라서 하측으로 연장된 다음에 슬라이더(51)를 향하여 연장방향이 바뀌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힌지 어셈블리(3)에는 제 2 도르레(31)가 제공되어, 와이어(25)의 연장방향을 바꾸도록 한다. 이와 같은 와이어(25)의 연결구조에 의해서 상기 슬라이더(51)는 가이더(52)에 의해서 가이드되는 상태에서 상기 제 2 도르레(31)를 향하여 이동한다. Here, the wire 25 is a member lying inside the stand 2 and extends downward along the stand, and then the extension direction is changed toward the slider 51. To this end, the hinge assembly 3 is provided with a second pulley 31 to change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wire 25. Due to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wire 25, the slider 51 moves toward the second pulley 31 in a state of being guided by the guider 52.

또한, 상기 슬라이더(51)와 상기 가이더(52)의 사이에는, 상기 본체(1)의 자중을 지지하기 위한 탄성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Further, an elastic device for supporting the weight of the main body 1 is provided between the slider 51 and the guider 52.

도 2는 상기 도 1에서 Ⅰ-Ⅰ'의 단면도로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가이더(52)에 일단이 고정된 상태에서 원형으로 말려있는 스프링(54)이, 상기 슬라이더(51)의 앞쪽 단부에 제공되어 있는 것이다. 그래서, 상기 슬라이더(51)가 와이어(25)에 의해서 당겨져서 전방으로 움직이면, 상기 슬라이더(51)의 앞쪽 단부는 스프링(54)과 접한 상태에서 스프링이 펼쳐지는 방향으로 움직인다. 이때, 상기 스 프링(54)은 상기 슬라이더(51)로 탄성력을 제공하게 되고, 상기 슬라이더(51)로 제공된 탄성력은 상기 본체(1)가 하방으로 내려가고자 하는 자중을 지지하는 힘으로 작용한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기기를 상방으로 이동시키거나 하방으로 이동시킬 때에, 작은 힘을 들이고도 용이하게 본체(1)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 of FIG. 1. Referring to FIG. 2, the spring 54, which is rolled in a circular shape with one end fixed to the guider 52, is located in front of the slider 51. It is provided at the end. Thus, when the slider 51 is pulled by the wire 25 and moved forward, the front end of the slider 51 move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pring is unfolded in contact with the spring 54. At this time, the spring 54 provides the elastic force to the slider 51, the elastic force provided to the slider 51 acts as a force for supporting the self-weight that the main body 1 wants to move downward. Therefore, when the user moves the display device upward or downward, it is possible to move the main body 1 easily with little force.

여기서, 상기 스프링(54)은 태엽 스프링으로 예시되어 있으며, 상기 태엽 스프링에 의해서 상기 슬라이더(51)가 이동한 거리에 무관하게 스프링에서는 항상 어느정도 일정한 탄성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로써, 사용자는 더욱 편리하게 본체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Here, the spring 54 is exemplified as a spring spring, and the spring force always generates a certain constant elastic force regardless of the distance the slider 51 is moved by the spring. Thus, the user can adjust the height of the main body more conveniently.

한편,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기기는 일반적인 스탠드의 상태와 벽에 걸려있는 월 마운트 상태, 두 가지의 경우가 다 구현되는데, 이는 상기 도 1과, 도 4에 제시되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기기가 벽에 걸린 상태에서의 측면도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On the other hand, th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in two cases, the state of the general stand and the wall mounted state hanging on the wall, which is th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ures 1 and 4 above the wall It demonstrates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side view in a state.

도 1을 다시 보면, 상기 스토퍼 가이드(32)의 외면에는 제 1 홈(33) 및 제 2 홈(3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홈(33)(34)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폴딩 스토퍼(35)와, 상기 폴딩 스토퍼(35)의 외주에 형성되는 턱(36)과, 상기 폴딩 스토퍼(35)의 좌우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축(38)과, 상기 폴딩 스토퍼(35)의 안쪽 단부와 가이드 축(38)의 사이에 개입되어 폴딩 스토퍼(35)에 항상 바깥쪽으로 향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푸쉬 스프링(37)이 제공되어 있다. Referring again to FIG. 1, first and second grooves 33 and 34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topper guide 32. Then, the folding stopper 35 selectively caught by the grooves 33 and 34, the jaw 36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olding stopper 35, and the left and right movements of the folding stopper 35. A push spring 37 is provided which is interposed between the guide shaft 38 and the inner end of the folding stopper 35 and the guide shaft 38 to provide the folding stopper 35 with an outwardly directed elastic force at all times. .

먼저, 사용자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기기를 스탠드 상태에서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폴딩 스토퍼(35)가 제 1 홈(33)에 걸려있다. 그러면, 상기 폴딩 스토퍼(35)는 상기 지주부(23)에도 걸려있는 구성부품이기 때문에, 지주부(23)는 뉘어지지 않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기기를 월 마운트 상태로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폴딩 스토퍼(35)를 안쪽으로 밀어 넣는다. 물론, 이때 상기 폴딩 스토퍼(35)는 푸쉬 스프링(37)에 의해서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항상 바깥으로 인출되는 힘이 발생되고 있다. First, when the user intends to use th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and state, the folding stopper 35 is caught in the first groove 33. Then, since the folding stopper 35 is a component that is also hung on the support 23, the support 23 is not divided. In this state, when the user intends to use th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wall mount state, the folding stopper 35 is pushed inward. Of course, at this time, since the folding stopper 35 is supported by the push spring 37, a force that is always drawn out is generated.

사용자는 폴딩 스토퍼(35)를 안쪽으로 밀어넣은 다음에는, 스탠드(2)를 도면을 기준으로 전방으로 접는다. 이때, 상기 폴딩 스토퍼(35)는 상기 스토퍼 가이드(52)의 내면을 따라서 이동한다. 이후에 상기 스탠드(23)가 완전히 접혀지는 상태-다시 말하면 월 마운드 상태-에 이를 정도로 접히면, 이 상태는 곧 상기 폴딩 스토퍼(35)와 상기 제 2 홈(34)이 정렬되는 상태로서, 상기 폴딩 스토퍼(35)가 상기 제 2 홈(34)을 따라서 바깥쪽으로 돌출된다. 일단 상기 폴딩 스토퍼(35)가 상기 제 2 홈(34)에 걸리고 나면, 상기 스탠드(2)는 다시 펼쳐지지 않고 접혀진 위치에서 고정된다. 다시 말하면 완전히 접혀진 상태가 유지되는 것이다. The user pushes the folding stopper 35 inward, and then folds the stand 2 forward based on the drawing. At this time, the folding stopper 35 moves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stopper guide 52. When the stand 23 is fully folded, that is, the wall mount state, the folding stopper 35 and the second groove 34 are aligned. The folding stopper 35 protrudes outward along the second groove 34. Once the folding stopper 35 is caught in the second groove 34, the stand 2 is fixed in the folded position without being unfolded again. In other words, it remains fully folded.

도 4에는 월 마운트 상태로 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기기가 도시되어 있고, 이후에는 상기 베이스(5)와 벽을 관통하는 나사등과 같은 소정의 체결부재(57)를 이용하여 양자를 체결하면 된다. 4 shows a display device which is in a wall mounted state, and then, both may be fastened using a predetermined fastening member 57 such as a screw or the like that penetrates the base 5 and the wall.

상기 월 마운트 상태로 디스플레이 기기가 장착될 때에도, 상기 본체(1)는 상하방향으로 일정한 탄성력으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이 경우에도, 상기 슬라이더와 가이드의 상호작용과, 스프링에 의해서 가하여지는 탄성력이 본 체(1)의 이동을 저지하는 힘으로서 작용한다.Even when the display device is mounted in the wall mounted state, the main body 1 may be moved with a constant elastic force in the vertical direction. Also in this case, the interaction between the slider and the guide and the elastic force applied by the spring act as a force for preventing the movement of the main body 1.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항상 일정한 탄성력이 제공되는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본체를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기기의 자중이 지지되면서도, 스탠드의 부피가 작아지게 된다. 특히, 상기 스탠드의 부피가 줄어들면서도 종래와 동일한 본체의 자중지지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더욱 편리하다. 일측면에서는 상기 베이스의 자중이 무거워지고, 상기 스탠드의 자중은 가벼워지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기기가 전도될 가능성도 현저하게 줄어드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move the display body in a state where a constant elastic force is always provided. In addition, while the weight of the display device is supported, the volume of the stand becomes small. In particular, while the volume of the stand is reduced, it is more convenient because the same weight-bearing effect of the same body as in the prior art can be obtained. In one aspect, since the weight of the base becomes heavy and the weight of the stand becomes light, the possibility that the display device is turned over may be remarkably reduced.

본 발명의 사상은 하기되는 실시예를 더 포함한다.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the following examples.

먼저, 상기 경사힌지(21)는 상기 본체가 상하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스위벨 힌지, 포트레이트 힌지등과 같이 삼차원의 전체적인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어떠한 힌지 구성이 더 개재될 수도 있다. First, the inclined hinge 21 is configured to allow the main body to rotate in the vertical direc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y hinge configuration such as a swivel hinge, a portrait hinge, and the like, which enables three-dimensional overall movement, may be further interposed.

또한, 상기되는 실시예에서 도르레는 상기 와이어가 회전하는 동작을 원활하게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르레는 자유로운 회전동작이 가능한 물품이다. 그러나, 상기 도르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비록 회전이 되지 않지만 상기 와이어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어떠한 물품이라도 가능한 일이고,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명세서안에서는 상기 도르레는 원활한 와이어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어떠한 물품이라도 포함하는 구성으로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상기 도르레가 이용됨으로써, 상기 와이어의 원활한 움직임이 가이드되는 것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구현에 있어서, 바람직하게 적용이 가능한 것도 물론이다. 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pulley is for smoothly guiding the rotation of the wire, and the pulley is an article capable of free rotation.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e pulley, although any article that guides the movement of the wire may be possible although it is not rotated. For this purpose, the pulley includes any article that guides the smooth movement of the wire. It will be understood as a configuration. However, by using the pulley, of course, the smooth movement of the wire is guided, of course,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f course, can be preferably applied.

또한, 상기되는 실시예에서는 와이어가 하나로 설치되는 상태에서 동작되는 것으로 설명이 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두개 또는 세개 이상이 설치될 수도 있다. 그러나 좌우 양쪽 방향에서 힘의 균형을 이루기 위하여 하나의 와이어가 제공되고, 제 1 도르레는 한개가 제공되고, 제 2 도르레는 두개가 제공되고, 풀리는 하나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은 사실이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s described as being operated in a state where one wire is install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wo or three or more may be installed. However, it is true that one wire is provided, one first pulley is provided, two second pulleys are provided, and one pulley is provided to balance the force in both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또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기기에서 본체가 뉘어졌을 때, 이를 고정시키는 폴딩 스토퍼 등의 구조는 필수가 아니라서 제조자가 이를 선택적으로 제공하지 아니할 수도 있다. 그러나, 폴딩 스토퍼 구조가 제공되면, 사용자가 월 마운드 상태로도 스탠드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진되는 것은 물론이다.In addition, when the main body is laid down in th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ructure such as a folding stopper for fixing the main body is not essential, and the manufacturer may not selectively provide it. However, if the folding stopper structure is provided, the user can use the stand even in the wall mount state, so that the user's convenience is of course enhanced.

또한, 상기 제 1 도르레는 지주부에 설치되어 와이어의 밀림/당김을 가이드하고 있지만, 상기 제 1 도르레에 의한 작용은 상기 승강부재의 승강시에, 상기 슬라이더가 당겨지는 힘을 제공하기 위한 것에 지나지 않아서, 도르레와 같은 특정의 형태로 제한된다고 할 수 없고, 힘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어떠한 구조도 채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although the first pulley is installed in the support portion to guide the wire push / pull, the action by the first pulley is only for providing a force for pulling the slider when the lifting member is lifted. Therefore,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a specific form such as a pulley, and any structure for changing the direction of force may be employed.

본 발명의 사상은 이상에 설명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및 추가 등에 의해서 더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포함된다고 볼 것이다. 또한, 상기되는 어느 한 실시예에 포함되는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포함되는 것에 의해서 또 다른 실시예도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s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other embodiment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idea by adding, changing, deleting, and adding components. It may be proposed, but this is also included 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by including the components included in any one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may be proposed in another embodiment, it will also be included 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기기의 자중이 지지되면서도, 스탠드의 부피가 작아지고, 이동이 용이하고, 사용자가 본체의 위치를 이동할 때 편리하게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le the weight of the display device is supported, the volume of the stand is small, it is easy to move, and it is convenient when the user moves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또한, 태엽방식으로 동작되는 스프링에 의해서 탄성력을 제공받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기기의 자중지지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기기의 자중을 상쇄시키는 정도의 탄성력을 일정하게 발생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이로써, 사용자가 더욱 편리하게 디스플레이 기기를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elastic force is provided by the spring operated in the main winding method, in the self-weight support of the display devic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elastic force of the degree that offsets the self-weight of the display device can be constantly generated, thereby allowing the user to furth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display device can be used conveniently.

Claims (5)

디스플레이 본체;Display main body;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와 함께 승강하는 승강부재;An elevating member that elevates with the display main body; 상기 승강부재의 승강운동을 가이드하는 지주부;A holding portion for guiding the lifting movement of the lifting member; 상기 지주부의 하측을 지지하는 베이스;A base supporting the lower side of the support portion; 상기 베이스에 놓여 움직이는 슬라이더;A slider placed on the base and moving; 상기 승강부재와 상기 슬라이더를 연결하는 와이어;A wire connecting the elevating member and the slider; 상기 와이어가 감겨져서 상기 와이어의 연장방향을 바꾸기 위하여 상기 지주부에 설치되는 도르레; 및A pulley which is wound around the wire and installed on the support to change an extension direction of the wire; And 상기 슬라이더의 움직임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이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기기. And a spring for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the movement of the slider.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슬라이더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가이더가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기기. And a guider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slider.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스프링은 태엽 스프링인 디스플레이 기기. The spring is a spring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지주부와 상기 베이스의 연결부에는 힌지 어셈블리가 제공되고, A hinge assembly is provided at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and the base, 상기 힌지 어셈블리에는, The hinge assembly, 스토퍼 가이드; Stopper guide; 상기 스토퍼 가이드의 외면에 제공되는 적어도 두 개의 홈; 및At least two grooves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stopper guide; And 상기 홈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폴딩 스토퍼가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기기. And a folding stopper selectively caught in the groove. 디스플레이 본체;Display main body;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에 연결되어 함께 움직이는 승강부재;A lifting member connected to the display main body and moving together; 상기 승강부재의 승강운동을 가이드하는 지주부;A holding portion for guiding the lifting movement of the lifting member; 상기 지주부의 하측을 지지하는 베이스;A base supporting the lower side of the support portion; 상기 베이스에 놓여 움직이는 슬라이더;A slider placed on the base and moving; 상기 승강부재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슬라이더에 연결되어, 상기 승강부재의 운동 시에 상기 슬라이더가 움직이는 힘을 제공하는 와이어; 및A wire connected at one end to the elevating member and connected at the other end to the slider to provide a force for moving the slider during movement of the elevating member; And 상기 슬라이더가 움직일 때,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이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기기. And a spring that provides an elastic force when the slider moves.
KR1020070000357A 2007-01-02 2007-01-02 Display device KR20080063683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0357A KR20080063683A (en) 2007-01-02 2007-01-02 Display device
CNA2007101365845A CN101086902A (en) 2007-01-02 2007-07-12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0357A KR20080063683A (en) 2007-01-02 2007-01-02 Display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3683A true KR20080063683A (en) 2008-07-07

Family

ID=38937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0357A KR20080063683A (en) 2007-01-02 2007-01-02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80063683A (en)
CN (1) CN101086902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189456A1 (en) * 2021-12-13 2023-06-15 Qisda Corporation Display device and fixing module thereof
CN117267558A (en) * 2023-11-09 2023-12-22 山西东鼎电力发展有限公司 Multi-angle range finder for electric power construc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59747B (en) * 2016-04-18 2019-03-29 西安邮电大学 A kind of angle adjustable television set based on fingerprint recognitio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189456A1 (en) * 2021-12-13 2023-06-15 Qisda Corporation Display device and fixing module thereof
US11889641B2 (en) * 2021-12-13 2024-01-30 Qisda Corporation Display device and fixing module thereof
CN117267558A (en) * 2023-11-09 2023-12-22 山西东鼎电力发展有限公司 Multi-angle range finder for electric power construction
CN117267558B (en) * 2023-11-09 2024-02-09 山西东鼎电力发展有限公司 Multi-angle range finder for electric power constru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086902A (en) 2007-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31486B1 (en) Counterbalancing lift mechanisms and methods
US20120162760A1 (en) Portable Projection Screen
JPWO2009133808A1 (en) Portable screen device, telescopic column and operating tool used therefor
KR20080063683A (en) Display device
US11018487B2 (en) Overhead electrical infeed
KR101300990B1 (en) Display Device
KR20080063685A (en) Display device and elastic force regulating apparatus for adjusting of the display device
KR101858444B1 (en) Cable drum apparatus having function for lifting and fixing
JP6683341B2 (en) Elevating storage device
JP2000023759A (en) Desk incorporating display
JP2007279567A (en) Stand for display devices
KR101761519B1 (en) Push and pull drying rack
KR101260225B1 (en) Laundry drying rack stick on ceiling
JP2003015225A (en) Self-supported manual elevating screen
KR20080063682A (en) Display device
CN204961342U (en) Mobilizable novel floor fan
JP6548553B2 (en) Wiring induction device and furniture system
JPH1142398A (en) Ceiling lift type clothing drying device
CN210238093U (en) Balanced coupling mechanism and airing machine between host computer part and clothes hanger that dries in air
KR101777081B1 (en) Backache prevention drying rack
CA2982256A1 (en) Rectangular frame with height adjustment for a first and/or second device for coupling to the frame
JP6498928B2 (en) Lifting shelf
KR20130024215A (en) Display elevation system
CN213587679U (en) Pull table
JP4383595B2 (en) Lifting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