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1759A - 오디오 칩의 동작 검증 방법 및 동작 검증이 가능하도록설계된 오디오 칩 - Google Patents

오디오 칩의 동작 검증 방법 및 동작 검증이 가능하도록설계된 오디오 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1759A
KR20080051759A KR1020060123375A KR20060123375A KR20080051759A KR 20080051759 A KR20080051759 A KR 20080051759A KR 1020060123375 A KR1020060123375 A KR 1020060123375A KR 20060123375 A KR20060123375 A KR 20060123375A KR 20080051759 A KR20080051759 A KR 200800517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signal
receiver
transmitter
audio
c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3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기웅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23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51759A/ko
Publication of KR20080051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17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6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22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computer hardware by testing during standby operation or during idle time, e.g. start-up testing
    • G06F11/26Functional test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 G11B20/1816Te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디오 칩의 동작 검증 방법에 관한 것으로, 오디오 칩의 동작 검증을 수행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여 동작 검증을 수행하기로 결정되면, 송신부로부터 송신된 오디오 신호를 수신부로 직접적으로 전달하고, 송신부로부터 송신된 오디오 신호와 수신부에서 수신된 오디오 신호의 유사도를 비교함으로써, DAC 장치, ADC 장치와 같은 별도의 장치 없이 오디오 칩을 검증할 수 있다.
오디오칩, 검증, 테스트, 오디오, 연결

Description

오디오 칩의 동작 검증 방법 및 동작 검증이 가능하도록 설계된 오디오 칩{Method for verifying operation of audio chip and the audio chip can be verified the operation}
도 1은 종래의 오디오 칩의 동작 검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칩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칩의 동작 검증 방법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칩의 동작 검증 방법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오디오 칩의 동작 검증 방법 및 동작 검증이 가능하도록 설계된 오디오 칩에 관한 것이다.
오디오 칩은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고, 외부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오디오 칩이 설계가 잘못되거나 생산 과정에서의 결함 이 있는 경우에는 오디오 신호가 왜곡되어 출력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신호가 왜곡될 수 있다. 따라서, 오디오 칩이 올바르게 동작하는지를 검증할 수 있는 오디오 칩의 동작 검증 방법이 필요하다.
도 1은 종래의 오디오 칩의 동작 검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오디오 칩은 제1 메모리(102), 송신부(104), 수신부(106), 제2 메모리(108)를 포함하고, 오디오 칩의 동작 검증을 위하여 DAC 장치(110), 스피커(120), ADC 장치(130), 마이크(140)를 필요로 하였다.
먼저, 송신부의 동작을 테스트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송신부(104)가 오디오 신호가 저장된 제1 메모리(102)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독출하고, 그 독출된 오디오 신호를 인코딩한 후, 그 인코딩한 오디오 신호를 DAC 장치(110)로 전송한다.
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 장치(100)는 송신부(104)로부터 전송된 오디오 신호가 디지털 신호 형식으로 되어 있으므로, 수신된 디지털 신호 형식의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 형식으로 변환하여 스피커(120)로 전송한다.
스피커(120)는 수신된 아날로그 형식의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면 사용자는 2가지의 방법을 이용하여, 출력된 오디오 신호가 왜곡되지 않았는지 즉, 송신부(104)가 올바르게 동작하는지를 검증하게 된다.
첫 번째 방법은 사용자가 직접 청취하여 판단하는 방법으로, 사용자가 스피커(120)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직접 청취하여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는지 여부와 오디오 신호가 출력된다면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에 왜곡이 없는지를 판단한다. 다만, 이 경우에는 왜곡의 정도가 심할 경우에만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에 문제가 있는지를 알 수 있다.
두 번째 방법은 별도의 장비를 이용하는 방법으로, 별도의 장비를 이용하여 제1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오디오 신호를 추출한 후에, 그 추출된 오디오 신호와 스피커(120)를 통하여 출력된 오디오 신호를 비교하여 양 신호 사이의 유사도를 비교하게 된다. 이 경우에 두 신호 사이에 유사도가 높지 않으면 송신부(104)는 올바로 동작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다.
다음으로, 수신부의 동작을 테스트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마이크(140)가 외부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여, ADC 장치(130)에 전송한다.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 장치(130)는 마이크(140)가 외부로부터 수신한 오디오 신호가 아날로그 형식의 신호이므로, 이 신호를 디지털 형식의 신호로 변환하여 수신부(104)로 전송한다.
수신부(104)는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디코딩한 후, 그 디코딩한 오디오 신호를 제2 메모리(108)에 저장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오디오 신호가 수신되면 사용자는 2가지의 방법을 이용하여, 수신된 오디오 신호가 왜곡되지 않았는지 즉, 수신부(106)가 올바르게 동작하는지를 검증하게 된다.
첫 번째 방법은, 사용자가 직접 청취하여 판단하는 방법으로, 제2 메모리(108)에 저장된 오디오 신호를 제1 메모리(102)로 전송한 후에, 스피커(120)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직접 청취하여 수신된 오디오 신호의 왜곡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이다.
두 번째 방법은, 별도의 장치를 이용하는 방법으로 제1 메모리에 저장된 오디오 신호와 제2 메모리에 저장된 오디오 신호를 별도의 장치를 이용하여 추출한 후, 추출된 양 신호를 비교하여 유사도를 비교하는 방법이다.
이와 같이 종래의 오디오 칩의 동작 검증 방법은 동작의 검증을 위하여, DAC 장치, ADC 장치, 스피커, 마이크 등의 장치들이 필요하였고, 아날로그 신호와 디지털 신호의 변환 과정 중에 오디오 신호가 손실되거나 왜곡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DAC 장치, ADC 장치와 같이 별도의 장치 없이 오디오 칩을 검증할 수 있는 오디오 칩의 동작 검증 방법 및 상기 동작 검증이 가능하도록 설계된 오디오 칩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 및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하는 오디오 칩의 동작 검증 방법은 상기 오디오 칩의 동작 검증을 수행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동작 검증을 수행하기로 결정되면, 상기 송신부로부터 송신된 오디오 신호를 상기 수신부로 직접적으로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송신부로부터 송신된 오디오 신호와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된 오디오 신호의 유사도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송신된 오디오 신호는 소정의 부호화 방법에 의하여 인코 딩된 신호이고, 상기 비교하는 단계는 상기 인코딩되기 이전의 오디오 신호와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디코딩하여 얻어진 신호의 유사도를 비교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오디오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 및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하는 오디오 칩은 동작 검증의 수행 여부에 따라, 상기 송신부에서 송신된 오디오 신호 또는 외부에서 송신된 오디오 신호 중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수신부에 전달하는 스위칭부; 상기 송신부와 상기 수신부를 직접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경로; 및 상기 동작 검증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송신부에서 송신된 오디오 신호와 상기 연결 경로를 통하여 상기 수신부에 수신된 오디오 신호의 유사도를 비교하는 비교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동작 검증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송신부에서 송신된 오디오 신호를 상기 수신부에 전달하고, 상기 동작 검증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외부에서 송신된 오디오 신호를 상기 수신부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송신부에서 송신된 오디오 신호는 소정의 부호화 방법에 의하여 인코딩된 신호이고, 상기 비교부는 상기 인코딩되기 이전의 오디오 신호와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디코딩하여 얻어진 신호의 유사도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칩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칩은 제1 메모리(201), 송신부(202), 연결 경로(203), 스위칭부(204), 수신부(205), 제2 메모리(206) 및 비교부(207)를 포함한다. 다만, 제1 메모리(201) 및 제2 메모리(206)는 구현예에 따라서는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제1 메모리(201)에는 동작 검증을 위한 오디오 신호가 저장되어 있다.
송신부(202)는 제1 메모리(201)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독출하여, 그 독출한 오디오 신호를 인코딩한 후, 연결 경로(203)를 통하여 수신부(205)로 송신한다.
연결 경로(203)는 송신부(202)와 수신부(205) 사이를 연결한다. 즉, 종래의 기술과는 달리 송신부(202)로부터 전송되는 오디오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것이 아니라, 직접 수신부(205)로 전송함으로써, DAC 장치(미도시) 또는 ADC 장치(미도시)를 거치느라 오디오 신호가 손실되거나 왜곡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스위칭부(204)는 동작 검증의 수행 여부에 따라, 송신부(202)에서 송신된 오디오 신호 또는 외부에서 송신된 오디오 신호 중 하나를 선택하여 수신부(205)에 전달한다.
동작 검증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스위칭부(204)는 송신부(202)에서 송신된 오디오 신호를 연결 경로(203)를 통하여 수신부(205)로 전달하게 된다.
하지만, 동작 검증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수신부(205)가 외부의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본래의 기능을 수행하여야 하므로, 스위칭부(204)는 송신부(202)와 수신부(205) 사이에 연결된 연결 경로(203)를 통하여 송신되는 오디오 신호가 아니라 외부에서 송신된 오디오 신호를 수신부(205)로 전달하게 된다.
이와 같이 스위칭부(204)가 동작 검증을 수행할지 여부에 따라, 송신부(202)로부터 송신되는 오디오 신호 또는 외부에서 송신되는 오디오 신호 중에 하나를 선택하여 수신부(205)로 전달하는 이유는, 만일 두 신호를 동시에 수신부(205)로 전달하게 되면 양 신호가 충돌을 일으키게 되어 동작 검증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게 되기 때문이다.
수신부(205)는 송신부(202) 또는 외부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디코딩하여 제2 메모리(206)에 저장한다.
제2 메모리(206)에는 수신부(205)에 의하여 디코딩된 오디오 신호가 저장된다.
비교부(207)는 제1 메모리에 저장된 오디오 신호와 제2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오디오 신호의 유사도를 비교한다.
즉, 비교부(207)는 제 1 메모리에 저장된 동작 검증을 위한 오디오 신호와 수신부(205)가 송신부(202)로부터 연결 경로(203)를 통하여 직접 수신한 오디오 신호를 비교하게 된다.
이때, 구현 예에 따라서는 제1 메모리(201) 및 제2 메모리(206)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비교부(207)는 인코딩되기 이전의 오디오 신호와 수신부(205)에서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디코딩하여 얻어진 신호의 유사도를 비교하게 된다.
이와 같이 비교된 두 신호 사이에 유사도가 높지 않으면 본 발명에 따른 오 디오 칩이 올바로 동작하지 않는 것이 된다. 여기서 유사도가 높은지 여부는 예컨대, 양 신호의 상호 연관 값(cross correlation value)을 비교하여 판단할 수 있다. 즉, 양 신호의 상호 연관 값이 소정의 임계치보다 높은 경우에는 유사도가 높은 것으로 볼 수 있고, 소정의 임계치보다 낮은 경우에는 유사도가 낮은 것으로 볼 수 있다. 다만, 상기 소정의 임계치는 구현예에 따라 다르게 결정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방법에 따른 오디오 칩의 동작 검증 방법은 송신부(202) 및 수신부(204)가 모두 잘 동작하는지에 대해서는 판단할 수 있지만, 송신부(202) 또는 수신부(204) 중 어느 것이 올바르게 동작하지 않는지에 대해서는 알 수 없다.
따라서, 이상과 같은 방법을 통해서 오디오 칩이 올바로 동작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종래의 오디오 칩의 검증 방법을 사용하여 송신부(202)와 수신부(204) 중에 어느 부분이 잘못된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칩의 동작 검증 방법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310 단계에서는, 오디오 칩의 동작 검증을 수행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이때, 동작 검증을 수행할 것인지 여부는 사용자가 입력 장치 등을 통하여 동작 검증을 수행하기 위한 신호를 입력하는 방법 등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결정에 의하여 검증을 수행하지 않게 되면 스위칭부(204)는 외부에서 송신되는 오디오 신호를 수신부(205)에 전달하게 된다.
320 단계에서는, 동작 검증을 수행하기로 결정되면, 수신부가 송신부로부터 인코딩된 오디오 신호를 수신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결정에 의하여 오디오 칩의 동작 검증을 수행하기로 결정하면 스위칭부(204)는 송신부(202)가 연결 경로(203)를 통하여 송신하는 오디오 신호를 수신부(205)에 전달하게 된다.
330 단계에서는, 수신부가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디코딩한 후 제2 메모리에 저장한다.
340 단계에서는, 제1 메모리에 저장된 오디오 신호와 제2 메모리에 저장된 오디오 신호의 유사도를 비교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와 같이 비교된 두 신호 사이에 유사도가 높지 않으면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칩이 올바로 동작하지 않는 것이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칩의 동작 검증 방법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410 단계에서는, 오디오 칩의 동작 검증을 수행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420 단계에서는, 동작 검증을 수행하기로 결정되면, 송신부로부터 송신된 오디오 신호를 수신부로 직접적으로 전달한다.
430 단계에서는, 송신부로부터 송신된 오디오 신호와 수신부에서 수신된 오디오 신호의 유사도를 비교한다.
전술한바와 같이, 이때 비교부(207)는 별도의 메모리를 사용하지 않고 송신부(202)에서 송신된 오디오 신호와 연결 경로(203)를 통하여 수신부(205)에 수신된 오디오 신호의 유사도를 비교하게 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 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
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DAC 장치, ADC 장치와 같은 별도의 장치 없이 오디오 칩을 검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오디오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 및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하는 오디오 칩의 동작 검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칩의 동작 검증을 수행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동작 검증을 수행하기로 결정되면, 상기 송신부로부터 송신된 오디오 신호를 상기 수신부로 직접적으로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송신부로부터 송신된 오디오 신호와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된 오디오 신호의 유사도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증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된 오디오 신호는 소정의 부호화 방법에 의하여 인코딩된 신호이고, 상기 비교하는 단계는 상기 인코딩되기 이전의 오디오 신호와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디코딩하여 얻어진 신호의 유사도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증 방법.
  3. 오디오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 및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하는 오디오 칩에 있어서,
    동작 검증의 수행 여부에 따라, 상기 송신부에서 송신된 오디오 신호 또는 외부에서 송신된 오디오 신호 중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수신부에 전달하는 스위칭 부;
    상기 송신부와 상기 수신부를 직접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경로; 및
    상기 동작 검증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송신부에서 송신된 오디오 신호와 상기 연결 경로를 통하여 상기 수신부에 수신된 오디오 신호의 유사도를 비교하는 비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칩.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동작 검증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송신부에서 송신된 오디오 신호 를 상기 수신부에 전달하고, 상기 동작 검증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외부에서 송신된 오디오 신호를 상기 수신부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칩.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에서 송신된 오디오 신호는 소정의 부호화 방법에 의하여 인코딩된 신호이고, 상기 비교부는 상기 인코딩되기 이전의 오디오 신호와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디코딩하여 얻어진 신호의 유사도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칩.
KR1020060123375A 2006-12-06 2006-12-06 오디오 칩의 동작 검증 방법 및 동작 검증이 가능하도록설계된 오디오 칩 KR200800517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3375A KR20080051759A (ko) 2006-12-06 2006-12-06 오디오 칩의 동작 검증 방법 및 동작 검증이 가능하도록설계된 오디오 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3375A KR20080051759A (ko) 2006-12-06 2006-12-06 오디오 칩의 동작 검증 방법 및 동작 검증이 가능하도록설계된 오디오 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1759A true KR20080051759A (ko) 2008-06-11

Family

ID=39806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3375A KR20080051759A (ko) 2006-12-06 2006-12-06 오디오 칩의 동작 검증 방법 및 동작 검증이 가능하도록설계된 오디오 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5175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74660B (zh) 用於編碼及偵測浮水印信號之裝置
CN103297909B (zh) 一种耳机测试方法及装置
JP2004529526A (ja) ロバスト・チェックサム
JPH10224722A (ja) コマーシャル検出装置及び検出方法
JP4197307B2 (ja) 電子透かし検出装置、その検出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590239B1 (ko) 워터마킹된 신호를 인코딩 및 디코딩하는 디바이스들
TWI449935B (zh) 磁條解碼晶片之測試系統及方法
US2007017452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bitstream of s/pdif data in hdmi
KR20130126700A (ko) 워터마킹된 신호의 적응적 인코딩 및 디코딩을 위한 디바이스
KR100504141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삼차원 서라운드 효과를 가지는 장치및 방법
US11721346B2 (en) Authentication device
JP2000134112A (ja) ビタビ検出方法並びにビタビ検出装置
KR20080095726A (ko) 패킷 생성과 처리에 관한 방법 및 그 장치
US2016010449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watermark robust to acoustic channel distortion
KR20080051759A (ko) 오디오 칩의 동작 검증 방법 및 동작 검증이 가능하도록설계된 오디오 칩
US2007006416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TV channel selecting status
CN110168639B (zh) 数据编码检测
JP4119083B2 (ja) Pcmオーディオ信号再生装置
KR20030005226A (ko) 데이터 스트림의 무손실 전송을 보호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TWI602076B (zh) 音訊處理編碼鎖定方法與收音裝置
JP2009033649A (ja) コンテンツデータ送受信システム、コンテンツデータ送信装置、コンテンツデータ受信装置、コンテンツデータ送信方法、コンテンツデータ受信処理方法
US6868522B2 (en) Method for testing a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associated recording medium
KR100531321B1 (ko) 오디오 디코딩 시스템 및 오디오 포맷 검출 방법
WO2016165056A1 (zh) 单板测试的方法、单板及系统
KR100775705B1 (ko) 송수신 시스템,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송수신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