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1616A -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1616A
KR20080051616A KR1020060123074A KR20060123074A KR20080051616A KR 20080051616 A KR20080051616 A KR 20080051616A KR 1020060123074 A KR1020060123074 A KR 1020060123074A KR 20060123074 A KR20060123074 A KR 20060123074A KR 20080051616 A KR20080051616 A KR 200800516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signal
mode
display uni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30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서명수
이용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23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51616A/en
Publication of KR20080051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161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5Out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04Synchroni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8Alteration of picture size, shape, position or orientation, e.g. zooming, rotation, rolling, perspective, trans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04N7/0117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convers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 H04N7/012Conversion between an interlaced and a progressive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646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for image enhancement, e.g. vertical detail restoration, cross-colour elimination, contour correction, chrominance trapping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A display apparatus and a display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enhance user convenience by preventing the signal delay in a display panel without omitting de-interlacing and image enhancing. A display apparatus includes a signal process unit(110), a display unit(120), and a controller(130). The signal process unit processes image signals. The display unit displays images based on a first mode by delaying respective frames of image signals processed in the signal process unit and a second mode when the respective frames of the image signals is normally displayed. The controller controls the display unit to activate one of the first and second modes according to an operation mode of the display apparatus.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thereof}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2는 도 1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 중 신호 처리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signal processor of the display apparatus of FIG. 1.

도 3은 도 1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 중 디스플레이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display unit of the display device of FIG. 1.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isplay method of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100 : 디스플레이 장치 110 : 신호 처리부100: display device 110: signal processing unit

120 : 디스플레이부 130: 제어부 120: display unit 130: control unit

210 : 디코더 220 : 디인터레이서210: decoder 220: deinterlacer

230 : 스케일러 240 : 이미지 인핸서 230: Scaler 240: Image Enhancer

310 : 디스플레이 제어부 320 : 메모리310: display control unit 320: memory

330 : 디스플레이 패널330 display panel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질을 개선시키는 디인터레이싱 프로세스 및 이미지 인핸싱 프로세스를 수행하면서, 게임 영상의 딜레이를 방지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apparatus and a display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play apparatus and a display method capable of preventing delay of a game image while performing a deinterlacing process and an image enhancement process for improving image quality.

최근 보급되는 영상 디스플레이장치에서는 내부에 구비된 외부 비디오 신호입력단자를 통해 게임기를 연결하여 게임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영상 디스플레이장치에서 게임모드 수행은, 입력되는 게임비디오 신호를 디코딩하고, 디인터레이싱 과정을 통해 입력된 비월신호를 순차신호로 바꾸어 화질을 개선한 후, 화면 사이즈를 조정하는 스케일링 과정을 거쳐 게임모드에 진입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Recently, a video display device that is widely used may perform a game function by connecting a game machine through an external video signal input terminal provided therein. In the video display device, the game mode is decoded, and the interlaced signal is converted into a sequential signal through a deinterlacing process to improve image quality and then enter a game mode through a scaling process of adjusting the screen size. It is done in such a way.

게임장르에는 아케이드, 비트게임, 어드벤처, 시뮬레이션, 롤플레잉 등이 있다. 이 중에서 스피드를 요구하는 아케이드 종류의 게임을 종래의 영상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실행한다면, 게임 속도가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Game genres include arcade, bitgame, adventure, simulation, role-playing, and more. Of these, if an arcade-type game that requires speed is executed on a conventional video display devic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game speed is lowered.

즉, 사용자가 게임조작기를 통해 키 입력을 하였을 때, 게임비디오 신호 처리과정에서 화질개선을 위해 사용되는 디인터레이서 신호처리과정과 이미지인핸서 신호처리과정에서 딜레이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입력과 비디오의 동기가 맞질 않아 입력되는 신호를 바로 처리하지 못하게 된다. That is, when a user inputs a key through a game controller, a delay may occur in a deinterlacer signal process and an image enhancer signal process used for image quality improvement in a game video signal process. Accordingly, the user's input is not synchronized with the video, and thus the input signal cannot be processed immediately.

이러한 신호지연이 발생함으로써, 사용자가 게임을 하면서 행하는 동작에 대 응되는 게임동작이 반영된 영상이 사용자의 실제 동작보다 비교적 많이 늦게 디스플레이되어서 게임의 생동감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When such a signal delay occurs, the video reflecting the game motion corresponding to the motion that the user performs while playing the game is displayed relatively much later than the actual motion of the user, thereby reducing the liveness of the game.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신호처리 딜레이를 유발하는 디인터레이서 신호처리과정과 이미지인핸서 신호처리과정을 생략함으로써 게임 속도를 향상시키려는 기술이 사용되고 있다. 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technique for improving the game speed by omitting the de-interlacer signal processing and the image enhancer signal processing causing the signal processing delay has been used.

하지만, 화질을 개선시키는 디인터레이서 신호처리과정과 이미지인핸서 신호처리과정을 생략하게 되면, 화질이 열화되어 사용자 만족도가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f the de-interlacer signal processing and the image enhancer signal processing to improve the image quality are omitt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mage quality is degraded and the user satisfaction is lowered.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인터레이서 신호처리과정과 이미지인핸서 신호처리과정을 생략하지 않고 디스플레이 패널에서의 신호 지연을 방지함으로써 게임 영상의 딜레이 및 화질 저하를 모두 방지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signal delay in the display panel without omitting the deinterlacer signal processing and the image enhancer signal processing, thereby preventing both game image delay and image quality degrada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splay device and a method thereof.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게임모드에서 신호 지연을 완화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입력된 영상신호를 신호처리하는 신호처리부, 상기 신호처리된 영상신호의 각 프레임을 딜레이 처리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제1 모드 및 상기 신호처리된 영상신호의 각 프레임을 정상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제2 모드 중 하나의 모드에 따라 디스플레이를 수행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제1 모드 및 상기 제2 모드 중 하나의 모 드로 동작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display device for alleviating signal delay in the game mode, the signal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the input video signal, delay each frame of the signal processed video signal A display unit configured to perform display according to one of a first mode for processing and displaying and a second mode for normally displaying each frame of the signal-processed video signal, and the first mode according to an operation mode of the display apparatus.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to operate in one of a mode and the second mode.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모드가 일반모드이면 상기 제1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모드가 게임모드이면 상기 제2 모드로 동작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Preferably,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display unit to operate in the first mode when the operation mode of the display device is a normal mode and to operate in the second mode when the operation mode of the display device is a game mode. .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신호처리부는, 디코더(Decorder), 디인터레이서(De-interlacer), 스케일러(Scaler) 및 이미지인핸서(Image-Enhanc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signal processing un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decoder, a de-interlacer, a scaler, and an image-enhancer.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2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신호처리된 영상신호의 각 프레임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상기 신호처리된 영상신호가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제어부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제1 모드 및 상기 제2 모드 중 하나의 모드로 동작하도록 상기 메모리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display unit, when operating in the second mode, a memory for storing each frame of the signal-processed video signal, a display panel on which the signal-processed video signal is displayed, and communicating with the controller And a display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the memory and the display panel to operate in one of the first mode and the second mode.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은, 입력된 영상신호를 신호처리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모드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동작모드가 일반모드이면 상기 신호처리된 영상신호의 각 프레임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딜레이 처리하여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동작모드가 게임모드이면 상기 신호처리된 영상신호의 각 프레임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정상 처리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display method of the display device having a displa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gnal processing of the input image signal, check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display device, and if the operation mode is a normal mode And displaying each frame of the signal-processed video signal by delaying the display in the display unit, and when the operation mode is a game mode, displaying each frame of the signal-processed video signal by normal processing in the display unit. .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1에 따르면, 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신호 처리부(110), 디스플레이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한다.1 is a block diagram of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Referring to FIG. 1, the display apparatus 100 includes a signal processor 110, a display 120, and a controller 130.

신호 처리부(110)는 튜너(미도시) 또는 영상 수신부(미도시)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신호를 신호처리하는 역할을 한다. 튜너(미도시)는 유/무선으로 수신되는 방송신호들 중 어느 하나를 선국하여 신호처리부(110)로 인가하며, 영상 수신부(미도시)는 외부장치(예를 들면, 게임기, S-비디오 입력단자, 외부 셋탑박스, 외부 TV 등)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신호 처리부(110)로 인가한다.The signal processor 110 serves to signal-process an image signal received from a tuner (not shown) or an image receiver (not shown). A tuner (not shown) tunes any one of the broadcast signals received via wired / wireless to the signal processor 110, and the image receiver (not shown) is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eg, game machine, S-video input). Terminals, external set-top boxes, external TVs, etc.) to the signal processor 110.

디스플레이부(120)는 신호 처리부(110)에서 신호처리된 영상신호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며, DLP(Digital Light Processing),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등과 같이 다양한 유형으로 구현 가능하다. The display unit 120 displays an image signal processed by the signal processor 110 on the screen,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types such as digital light processing (DLP), liquid crystal display (LCD), plasma display panel (PDP), and the like. Do.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120)는 신호 처리부(110)에서 신호처리된 영상신호의 각 프레임을 딜레이 처리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제1 모드 및 신호처리된 영상신호의 각 프레임을 정상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제2 모드 중 하나의 모드에 따라 디스플레이를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제1 모드는 일반모드이고, 제2 모드는 게임모드가 될 수 있다. In detail, the display unit 120 delays and displays each frame of the image signal processed by the signal processor 110 and displays one of the first mode and the second mode of displaying each frame of the signal processed image signal normally. It serves to perform the display according to the mode of the. Here, the first mode may be a general mode and the second mode may be a game mode.

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20)의 응답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DDC 방법을 이용한다. DCC 방법은 임의의 화소에 대한 이전 프레임의 계조값과 현재 프레임의 계조값을 비교하여 그 차이보다 더 큰 값이 이전 프레임의 계조값에 더해지도록 RGB 데이터의 처리를 수행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1 프레임의 지속 시간은 16.7 ms이며, 임의의 화소에서 액정 물질 양단에 전압이 가해질 때, 액정 물질이 응답하는 데에는 시간이 걸린다. 따라서 의도하는 계조값이 표현되기 위해서는 시간지연이 필연적이다. DCC 방법은 원래의 계조값보다 더 큰 값이 화소에 인가되도록 함으로써 이러한 시간 지연을 최소화하기 위한 기술이다. 일반적인 DCC 방법은 이전 프레임의 계조값과 현재 프레임의 계조값만을 비교하므로 화면 딜레이는 거의 없게 된다. (이하에서, 이를 DCC 1 방법이라 한다)The display apparatus 100 uses a DDC method to improve the response speed of the display 120. The DCC method compares the grayscale value of the previous frame and the grayscale value of the current frame for an arbitrary pixel and performs processing of the RGB data so that a value larger than the difference is added to the grayscale value of the previous frame. In general, the duration of one frame is 16.7 ms, and when a voltage is applied across the liquid crystal material in any pixel, it takes time for the liquid crystal material to respond. Therefore, time delay is inevitable for the intended gray scale value to be expressed. The DCC method is a technique for minimizing such time delay by allowing a value larger than the original grayscale value to be applied to the pixel. Since the general DCC method compares only the gray value of the previous frame and the gray value of the current frame, there is almost no picture delay. (Hereinafter referred to as DCC 1 method)

하지만, 디스플레이부(120)의 응답 속도를 더욱 향상시키기 위하여 이전 프레임의 계조값과 현재 프레임의 계조값 이외에 다음 프레임의 계조값을 비교하는 방법이 현재 대부분의 TV에서 이용된다. 이 경우, 다음 프레임을 저장하는 과정이 필요하며, 이로 인해 1 프레임이 딜레이되는 결과가 발생한다. (이하에서, 이를 DCC 2 방법이라 한다)However, in order to further improve the response speed of the display 120, a method of comparing the gray value of the previous frame with the gray value of the next frame is used in most TVs. In this case, a process of storing the next frame is required, which results in a delay of one frame. (Hereinafter, this is called DCC 2 method)

본 디스플레이부(120)는 일반모드의 경우 신호처리된 영상신호의 각 프레임을 딜레이 처리하는 DCC 2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20)의 응답속도를 향상시키는 점에 중점을 두고, 게임모드의 경우 화면 딜레이의 신호처리된 영상신호의 각 프레임을 딜레이 시키지 않고 정상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DCC 1 방법을 이용한다. 따라서, 게임모드의 경우, 디스플레이부(120)에서의 딜레이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In the case of the game mode, the display unit 120 focuses on improving the response speed of the display unit 120 by using the DCC 2 method of delaying each frame of the signal processed video signal in the normal mode. DCC 1 method is used to display each frame of the processed video signal without delay. Therefore, in the game mode,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delay in the display unit 120.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하는 역할을 하며, 마이컴(MICOM) 및/또는 신호처리 IC 내에 마련된 컨트롤러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The controller 130 controls the display unit 120 and may be implemented by a controller provided in the MICOM and / or the signal processing IC.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 모드에 따라, 제1 모드 및 제2 모드 중 하나의 모드로 동작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하는 역 할을 한다. 마찬가지로, 여기서 제1 모드는 DDC 2방식으로 디스플레이를 수행하는 모드이고, 제2 모드는 DDC 1 방식으로 디스플레이를 수행하는 모드가 될 수 있다. In detail, the controller 130 controls the display unit 120 to operate in one of the first mode and the second mode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of the display apparatus 100. Similarly, the first mode may be a mode for displaying in the DDC 2 scheme, and the second mode may be a mode for displaying in the DDC 1 scheme.

즉, OSD 메뉴를 통해 입력부(미도시)에 의해 일반모드가 선택되면, 각 프레임을 저장하는 DCC 2의 방식으로 동작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하고, 게임모드가 선택되면, 각 프레임을 저장하지 않는 DCC 1 방식으로 동작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0)의 세부 동작은 디스플레이부(120)의 세부구성을 도시한 도 3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That is, when the general mode is selected by the input unit (not shown) through the OSD menu, the display unit 120 is controlled to operate in the DCC 2 method of storing each frame, and when the game mode is selected, each frame is stored. The display unit 120 may be controlled to operate in a DCC 1 manner. The detailed operation of the display 12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which shows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display 120.

도 2는 도 1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신호 처리부(110)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에 따르면, 신호 처리부(110)는 디코더(210), 디인터레이서(220), 스케일러(230) 및 이미지 인핸서(240)를 포함한다.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signal processor 110 in the display device of FIG. 1. According to FIG. 2, the signal processor 110 includes a decoder 210, a deinterlacer 220, a scaler 230, and an image enhancer 240.

디코더(210)는 인가받은 압축된 영상신호를 원래의 신호로 만들어 주기 위한 디코딩 프로세스를 수행하며, 입력된 영상신호의 코딩방식에 따라 다양한 포맷의 디코딩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코더(210)에서는 아날로그/디지털 컨버젼, 컬러 스페이스 컨버젼, 화질조정 등의 신호 변환 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코더(210)에 의해 디코딩된 신호는 디인터레이서(220)에 입력된다.The decoder 210 performs a decoding process for making an applied compressed video signal an original signal, and may support decoding of various formats according to a coding method of an input video signal. For example, the decoder 210 may perform a signal conversion process such as analog / digital conversion, color space conversion, and image quality adjustment. The signal decoded by the decoder 210 as described above is input to the deinterlacer 220.

디인터레이서(220)는 디코더부(210)에서 디코딩된 인터레이스(interace) 방식의 영상신호를 디인터레이싱하여, 프로그레시브 영상신호(progressive image)로 변환해 준다.The deinterlacer 220 deinterlaces the interlaced video signal decoded by the decoder 210 and converts the interlaced video signal into a progressive video signal.

스케일러(230)는 인가되는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부(120)의 출력규격에 맞도록 수직 주파수, 해상도, 화면 비율 등을 변환한다. The scaler 230 converts the applied image signal to the vertical frequency, resolution, aspect ratio, etc. so as to meet the output standard of the display 120.

이미지 인핸서(240)는 스케일러(230)를 통해 출력된 영상신호를 조작하여, 이미지를 더욱 선명하게 하여 화질을 개선하는 이미지 인핸싱(image enhancing) 프로세스를 수행한다.The image enhancer 240 operates an image signal output through the scaler 230 to perform an image enhancing process of sharpening an image to improve image quality.

도 3은 도 1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부(120)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120)는 디스플레이 제어부(310), 메모리(320) 및, 디스플레이 패널(330)을 포함한다.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display unit 120 in the display device of FIG. 1. According to FIG. 3, the display 120 includes a display controller 310, a memory 320, and a display panel 330.

디스플레이 제어부(310)는 I²C 또는 UART 통신을 통하여 도 1의 제어부(130)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제어신호에 따라 메모리(320) 및 디스플레이 패널(330)을 컨트롤하는 역할을 한다. 제어부(130)와 디스플레이부(120) 사이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이용되는 I²C(Inter-Integrated Circuit)커넥터에는 GND, SDA, SCL 등이 있으며, UART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Transmitter) 커넥터에는 UART Rx, UART Tx 등이 있다.The display controller 310 receives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ler 130 of FIG. 1 through I²C or UART communication to control the memory 320 and the display panel 330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Inter-Integrated Circuit (I²C) connectors used to communicate between the control unit 130 and the display unit 120 include GND, SDA, and SCL, and UART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Transmitter) connectors include UART Rx and UART Tx. Etc.

구체적으로, OSD 메뉴를 통해 입력부(미도시)에 의해 일반모드가 선택되면,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부(120)가 각 프레임을 저장하는 방법으로 동작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I²C 또는 UART 통신을 통하여 디스플레이부(120)에 위치한 디스플레이 제어부(310)에 전송하게 된다. 제어신호를 전송받은 디스플레이 제어부(3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DCC 2 방식을 수행하도록 메모리(320) 및 디스플레이 패널(330)을 제어할 수 있다.In detail, when a general mode is selected by an input unit (not shown) through an OSD menu, the controller 130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operating the display unit 120 in a manner of storing each frame through I²C or UART communication. The display 120 is transmitted to the display controller 310 located in the display 120. The display controller 310 receiving the control signal may control the memory 320 and the display panel 330 such that the display apparatus 100 performs the DCC 2 scheme.

또한, OSD 메뉴를 통해 게임모드가 선택되면,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부(120)가 각 프레임을 저장하지 않는 방법으로 동작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I²C 또는 UART 통신을 통하여 디스플레이부(120)에 위치한 디스플레이 제어부(310)에 전송하게 된다. 제어신호를 전송받은 디스플레이 제어부(3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DCC 1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동작을 수행하도록 메모리(320) 및 디스플레이 패널(330)을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game mode is selected through the OSD menu, the controller 130 may control the display 120 to control the control signal to the display 120 through I²C or UART communication. The display is transmitted to the display controller 310. The display controller 310 receiving the control signal may control the memory 320 and the display panel 330 to allow the display apparatus 100 to perform a display operation in a DCC 1 manner.

메모리(320)는 도 1의 신호 처리부(110)에서 신호처리된 영상신호의 각 프레임을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The memory 320 stores each frame of the image signal processed by the signal processor 110 of FIG. 1.

메모리(320)는 제어부(130)에 의해 제어 신호가 디스플레이 제어부(310)에 전송되면, 디스플레이 제어부(310)의 제어에 따라 영상신호의 각 프레임을 저장할 수 있다.When the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display controller 310 by the controller 130, the memory 320 may store each frame of the image signal under the control of the display controller 310.

디스플레이 패널(330)에서는 신호처리된 영상신호가 디스플레이 제어부(310)의 제어에 따라 디스플레이된다. The display panel 330 displays the processed image signal under the control of the display controller 310.

이에 따라, 화질 저하 및 게임 화면의 딜레이를 모두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both deterioration of image quality and delay of the game scree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isplay method of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4에 따르면, 입력된 영상을 신호처리하면(S410),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모드가 게임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420).According to FIG. 4, when the input image is signal processed (S41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operation mode of the display device is a game mode (S420).

S420 단계의 판단 결과,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모드가 게임모드라고 판단되면(S420 : Y), 신호처리된 영상 신호의 각 프레임을 디스플레이부에서 딜레이 처리하지 않고(즉, DCC 1 방식) 디스플레이한다(S430).If it is determined in operation S420 that the operation mode of the display device is the game mode (S420: Y), the display unit displays each frame of the signal processed image signal without delay processing (ie, DCC 1 method) (S430). ).

S420 단계의 판단 결과, 디스플레이 장치의 모드가 게임모드가 아니라고 판단되면(S420 : N), 신호처리된 영상신호의 각 프레임을 디스플레이부에서 딜레이 처리하여(즉, DCC 2 방식) 디스플레이 한다(S440).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420,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mode of the display apparatus is not the game mode (S420: N), each frame of the signal-processed video signal is delayed by the display unit (that is, the DCC 2 method) and displayed (S440). .

이에 따라, 게임모드에서 화질을 저하시키지 않고도 화면 딜레이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creen delay without degrading the picture quality in the game mod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디인터레이싱 프로세스 및 이미지 인핸서 프로세스를 정상적으로 수행하고,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발생하는 딜레이를 방지한다. 이에 따라, 게임모드 실행시 신호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딜레이를 최소화하면서, 화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신호 지연과 화질 저하라는 게임모드의 문제점을 동시에 해결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einterlacing process and the image enhancer process are normally performed, and delays occurring in the display panel are prevented. Accordingly, the image quality can be prevented while minimizing the delay in the signal processing process when the game mode is executed.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user's convenience by simultaneously solving the problems of the game mode such as signal delay and image quality deterioration.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In addition, 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specific embodiment,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invention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the pro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5)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In the display device, 입력된 영상신호를 신호처리하는 신호처리부;A signal processor for signal-processing the input video signal; 상기 신호처리된 영상신호의 각 프레임을 딜레이 처리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제1 모드 및 상기 신호처리된 영상신호의 각 프레임을 정상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제2 모드 중 하나의 모드에 따라 디스플레이를 수행하는 디스플레이부; 및,A display unit configured to perform display according to one of a first mode for delaying and displaying each frame of the signal-processed video signal and a second mode for normally displaying each frame of the signal-processed video signal; And,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제1 모드 및 상기 제2 모드 중 하나의 모드로 동작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the display unit to operate in one of the first mode and the second mode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of the display devic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어부는,The control unit,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모드가 일반모드이면 상기 제1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모드가 게임모드이면 상기 제2 모드로 동작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And control the display unit to operate in the first mode when the operation mode of the display device is a normal mode and to operate in the second mode when the operation mode of the display device is a game mod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신호처리부는,The signal processing unit, 디코더(Decorder), 디인터레이서(De-interlacer), 스케일러(Scaler) 및 이미 지인핸서(Image-Enhanc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A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at least one of a decoder, a de-interlacer, a scaler, and an image-enhancer.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디스플레이부는,The display unit, 상기 제2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신호처리된 영상신호의 각 프레임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A memory for storing each frame of the signal-processed video signal when operating in the second mode; 상기 신호처리된 영상신호가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A display panel on which the signal processed image signal is displayed; And, 상기 제어부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제1 모드 및 상기 제2 모드 중 하나의 모드로 동작하도록 상기 메모리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nd a display controller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controller to control the memory and the display panel to operate in one of the first mode and the second mode.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에 있어서,In the display method of the display device provided with a display unit, 입력된 영상신호를 신호처리하는 단계;Signal processing the input video signal;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모드를 확인하는 단계; 및,Checking an operation mode of the display device; And, 상기 동작모드가 일반모드이면 상기 신호처리된 영상신호의 각 프레임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딜레이 처리하여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동작모드가 게임모드이면 상기 신호처리된 영상신호의 각 프레임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정상 처리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If the operation mode is a normal mode, each frame of the signal-processed video signal is delayed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f the operation mode is a game mode, each frame of the signal-processed video signal is normally processed by the display unit. And displaying the display method.
KR1020060123074A 2006-12-06 2006-12-06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thereof KR2008005161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3074A KR20080051616A (en) 2006-12-06 2006-12-06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3074A KR20080051616A (en) 2006-12-06 2006-12-06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1616A true KR20080051616A (en) 2008-06-11

Family

ID=39806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3074A KR20080051616A (en) 2006-12-06 2006-12-06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51616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32589A1 (en) * 2022-01-06 2023-07-13 삼성전자 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server computer,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WO2023140684A1 (en) * 2022-01-21 2023-07-27 삼성전자 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32589A1 (en) * 2022-01-06 2023-07-13 삼성전자 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server computer,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WO2023140684A1 (en) * 2022-01-21 2023-07-27 삼성전자 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24134B2 (en) Dynamic frame rate adjustment
US7734143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adjusting image quality by using moving image samples
JP4708259B2 (en)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1675382A2 (en) Video signal processing
KR20050000956A (en) Apparatus for converting video format
US20060221237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060274206A1 (en) Display apparatus having adjustable pip func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070146237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40204272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27081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sub-picture
US20070122045A1 (en) System for scaling a picture unit from a first video resolution format to a second video resolution format
KR20080011026A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display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KR20080051616A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thereof
US2005003042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component video signals
US20060132479A1 (en) Image display device for generating input image signals in best mode and method thereof
US20060161963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607264B1 (en) A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setting screen ratio of the same
KR20200110024A (en) A display apparatus and a method for operating the display apparatus
KR100546599B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Twin Picture of Projector
KR20080010007A (en) Video apparatus for alleviating delay of game mo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693579B1 (en) An image display device for having a auto image mode
US20080079850A1 (en)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for providing commerce broadcast without modifying broadcast picture and broadcast providing method thereof
KR20060053509A (en) Lcd tv having video projection system
KR980007573A (en) How to display TV screen (TV) using double window function
KR20070067918A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