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6964A - A service method of the intelligence type home network system for the user of an equipment control base - Google Patents

A service method of the intelligence type home network system for the user of an equipment control bas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6964A
KR20080046964A KR1020060116709A KR20060116709A KR20080046964A KR 20080046964 A KR20080046964 A KR 20080046964A KR 1020060116709 A KR1020060116709 A KR 1020060116709A KR 20060116709 A KR20060116709 A KR 20060116709A KR 20080046964 A KR20080046964 A KR 200800469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formation
schedule
home gateway
bath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670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세현
김용
이민수
조주형
Original Assignee
(주)오로라 디자인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로라 디자인랩 filed Critical (주)오로라 디자인랩
Priority to KR1020060116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46964A/en
Publication of KR20080046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696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27Reporting to a device within the home network; wherein the reception of the information reported automatically triggers the execution of a home appliance functionality
    • H04L12/2829Reporting to a device within the home network; wherein the reception of the information reported automatically triggers the execution of a home appliance functionality involving user profiles according to which the execution of a home appliance functionality is automatically trigger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2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based on user interaction within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2Network 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A service method for a user-centered intelligent home network system based on equipment control is provided to share user information, thereby operating each equipment connected to a home network dynamically according to the schedule and pattern of a user. A service method for a user-centered intelligent home network system based on equipment control comprises the following steps of: determining the location of a user; checking the scheduling information of the user(S135); performing an equipment control instruction when the schedule of the user is stored; and performing the equipment control instruction and storing the result.

Description

기기제어 기반 사용자 중심의 지능형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서비스 방법{A service method of the intelligence type home network system for the user of an equipment control base}A service method of the intelligence type home network system for the user of an equipment control bas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전체 서비스 구성도,1 is an overall service configuration diagram of a home network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전체 서비스 흐름도,2 is an overall service flow diagram of a home network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차장 서비스의 구성도,3 is a block diagram of a parking lot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주차장 서비스의 주차 흐름도,4 is a parking flow chart of a parking lot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주차장 서비스의 출차 흐름도,5 is a flow chart of a parking lot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출입문 서비스의 구성도,6 is a block diagram of a door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출입문 서비스의 흐름도,7 is a flowchart of a door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주방 서비스의 구성도,8 is a block diagram of a kitchen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주방 서비스의 흐름도,9 is a flowchart of a kitchen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욕실 서비스의 구성도,10 is a block diagram of a bathroom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욕실 서비스의 흐름도,11 is a flowchart of a bathroom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거실 서비스의 구성도,12 is a block diagram of a living room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거실 서비스의 흐름도이다.13 is a flowchart of a living room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홈게이트웨이 150 : 유비토이(단말기)100: home gateway 150: ubitoy (terminal)

200 : 월패드 305 : 주차장 주차서버200: wall pad 305: parking lot parking server

405 : 출입문 VCM 505 : 주방 VCM405: door VCM 505: kitchen VCM

605 : 욕실 VCM 705 : 거실 VCM605: bathroom VCM 705: living room VCM

본 발명은 기기제어 기반 사용자 중심의 지능형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홈게이트웨이를 사용하는 홈네트워크 환경에 있어서, 홈게이트웨이에 연결된 월패드를 통해 가정의 각종 기기를 제어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미리 입력한 설정에 의해 자동으로 기기 제어를 할 수 있는 기기제어 기반 사용자 중심의 지능형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rvice method of a device control-based user-centered intelligent home network system. More specifically, in a home network environment using a home gateway, various devices in a home can be controlled through a wall pad connected to the home gatewa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rvice method of a device control-based user-centered intelligent home network system that can automatically control a device by a user input in advance.

인터넷의 발달로 말미암아 각 가정에서 소유하고 있는 가전제품에도 네트워크 연결이 가능해지면서, 가정의 각 기기들을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With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it is possible to connect home appliances owned by each home, and the development of a home network system that can remotely control each device in the home is being actively developed.

그러나, 현재 사용되고 있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각각의 기기를 제어함에 있어서, 사용자가 요청하는 제어명령에 대한 동작 수행을 할 뿐이며, 기기들 간에 정보 공유를 통한 능동적인 동작 수행을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home network system currently in use has a problem in that it does not perform an active operation by sharing information among devices, only performing an operation for a control command requested by a user in controlling each device.

즉, 사용자가 입력한 제어 명령에 대한 동작 수행 또는 사용자가 저장한 예약 제어 명령에 대한 동작 수행을 할 뿐이며, 사용자의 스케줄이나, 행동 패턴들에 연관된 동작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That is, there is a problem in that only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command input by the user or the operation of the reserved control command stored by the user is performed and the operation related to the schedule or behavior patterns of the user cannot be performed.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기제어 기반 사용자 중심의 지능형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홈네트워크에 연결된 각 기기들이 서로 정보를 공유하며, 사용자의 제어 명령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스케줄 및 패턴에 따라 능동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기기제어 기반 사용자 중심의 지능형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in the device control-based user-centered intelligent home network system service method, each device connected to the home network shares information with each other, and performs a user's control command Rathe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ervice method of an intelligent home network system based on device control that can be actively operated according to a schedule and pattern of a user.

또한, 본 발명은 홈네트워크 내에 포함된 정보 기기들을 제어함에 있어서, 홈게이트웨이와 연결된 월패드를 사용하여 각 기기들을 제어할 수 있는 기기제어 기반 사용자 중심의 지능형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 다른 목적이 있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rvice method of a device control-based user-centered intelligent home network system that can control each device using a wall pad connected to the home gateway in controlling information devices included in the home network. There is a purpose.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사용자 위치에 기반한 기기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에 대한 위치를 판단하는 제1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스케줄 정보를 확인하는 제2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스케줄이 저장된 경우, 상기 스케줄에 따라 기 기제어 명령을 수행하는 제3단계 및 상기 기기제어 명령을 수행한 이후, 수행된 결과를 저장하는 제4단계에 의해 달성된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control method based on a user location, the first step of determining the location of the movement of the user and the second step of confirming the schedule information of the user and the user's schedule is stored, A third step of performing a device control command according to the schedule and a fourth step of storing the result performed after the device control command is perform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Prior to this, terms or words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having a conventional or dictionary meaning, and the inventors should properly explain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best explain their own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s that can be defined,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s and concepts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전체 서비스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가정 내의 정보 기기들을 제어하며 사용자의 스케줄을 관리하는 홈게이트웨이(100)와 사용자에 의해 기기 제어 명령을 입력받고, 해당되는 내용을 출력하기 위한 월패드(200)를 구비하고 있으며, 물리적 또는 신호의 강도에 의해서 공간을 분리하여 해당되는 영역 내의 기기들을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제어장치(305, 405, 505, 605, 705)를 포함한다.1 is an overall service configuration diagram of a home network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the home network system controls the information devices in the home and receives a device control command by the home gateway 100 and a user who manages a user's schedule, and a wall pad for outputting corresponding contents. And a plurality of controllers 305, 405, 505, 605, and 705 for separating the space by physical or signal strength and controlling the devices in the corresponding area.

또한, 사용자가 휴대하여 가정 내에서 홈게이트웨이(100) 및 복수의 제어장치(305, 405, 505, 605, 705)와의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인 유비토이(150)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mobile device includes a ubiquitous 150 which is a terminal that a user can carry and communicate with the home gateway 100 and the plurality of control devices 305, 405, 505, 605, and 705 in the home.

복수의 제어장치는 주차장에 구비된 주차서버(305), 사용자 가정의 출입문에 구비된 출입문 VCM(405), 주방 VCM(505), 욕실 VCM(605) 및 거실 VCM(705)으로 구성되어 있다.The plurality of control devices include a parking server 305 provided in the parking lot, a door VCM 405 provided in the door of the user's home, a kitchen VCM 505, a bathroom VCM 605, and a living room VCM 705.

홈게이트웨이(100)와 월패드(200) 또는 홈게이트웨이(100)와 복수의 제어장치(305, 405, 505, 605, 705)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호 연결된 회선을 통해 기기 정보 및 제어 명령을 송수신한다.The home gateway 100 and the wall pad 200 or the home gateway 100 and the plurality of control devices 305, 405, 505, 605, and 705 are connected by wire or wirelessly, and device information and Send and receive control commands.

또한, 복수의 제어장치(305, 405, 505, 605, 705)는 사용자가 휴대하는 단말기인 유비토이(150)와 무선통신이 가능하며, 무선통신을 통해 사용자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control apparatuses 305, 405, 505, 605, and 705 may wirelessly communicate with the UBITO 150, which is a terminal carried by the user, and may recognize a user location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복수의 제어장치(305, 405, 505, 605, 705)는 가정 내의 공간인 현관, 거실, 주방, 욕실 및 방 등으로 물리적 또는 기능적으로 분리된 영역에 위치하며, 분리된 위치에서 사용자를 인식하기 위한 방법으로서는 사용자가 휴대한 유비토이(150)와 복수의 제어장치(305, 405, 505, 605, 705) 간의 신호 세기에 따라 인식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controllers 305, 405, 505, 605, and 705 are located in physically or functionally separated areas such as entrances, living rooms, kitchens, bathrooms, and rooms, which are spaces in the home, and recognize the user from the separated locations. As a method for detecting the signal, the user may recognize the ubiquitous 150 carried by the user according to the signal strength between the plurality of control devices 305, 405, 505, 605, and 705.

즉, 가정 내에 구성된 거실과 주방은 대부분 물리적으로 분리되지 않고 하나의 공간 안에 구성된 경우가 많으며, 상기 예와 같이 거실과 주방에서의 사용자를 인식하기 위해서는 거실 및 주방에 설치된 제어장치와 사용자가 휴대한 유비토이(150)의 통신신호 세기를 측정하여 거실 VCM(705)과 유비토이(150) 사이의 신호가 강한 경우, 사용자가 거실에 위치한 것으로 인식하며, 주방 VCM(505)과 유비토이 사이의 신호가 강한 경우, 사용자는 주방에 위치한 것으로 인식한다.That is, most of the living room and kitchen configured in the home are often configured in a single space without being physically separated. In order to recognize the user in the living room and the kitchen as in the above example, the control devices installed in the living room and the kitchen and the user If the signal between the living room VCM 705 and the ubiquitous 150 is strong by measuring the communication signal strength of the ubiquitous 150, the user is recognized as being located in the living room, and the signal between the kitchen VCM 505 and the ubitoy If it is strong, the user recognizes that it is located in the kitchen.

도 2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전체 서비스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장치 내에 포함되거나 가정 내의 소정의 장소에 위치한 태그 리더기가 사용자가 휴대한 유비토이를 인식하고(S105) 유비토이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한 다. 만약, 태그 리더기가 제어장치의 외부에 위치하는 경우, 수신된 사용자 정보를 제어장치로 전송하고(S110) 제어장치에서 홈게이트웨이로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S115).2 is an overall service flow diagram of a home network system. As shown in FIG. 2, the tag reader included in the control device or located at a predetermined place in the home recognizes the ubiquitous carried by the user (S105) and receives user information from the ubiquitous toy. If the tag reader is located outside the control device, the received user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device (S110), and the control device transmits an authentication request signal including the user information to the home gateway (S115).

또한, 태그 리더기가 제어장치 내부에 위치하는 경우, 수신된 사용자 정보를 제어장치에서 홈게이트웨이로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S115).In addition, when the tag reader is located inside the control device, the received user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device to the home gateway to transmit an authentication request signal including the user information (S115).

홈게이트웨이는 제어장치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홈게이트웨이 내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통해 사용자를 인증한다(S120).The home gateway receives the authentication request signal including the user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device and authenticates the user through the user information stored in the home gateway (S120).

사용자 인증이 실패한 경우, 홈게이트웨이는 인증 실패 메시지를 해당 제어장치로 전송하여 사용자 인증이 실패하였음을 알리며, 인증 실패 메시지를 수신한 제어장치는 음성 또는 영상으로 인증 실패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통보한다(S125).If the user authentication fails, the home gateway sends an authentication failure message to the corresponding control device to inform that the user authentication has failed, and the control device receiving the authentication failure message notifies the user of the authentication failure message by voice or video (S125). ).

이후, 사용자가 재인증을 요청하는 경우(S130), S115 단계부터 재수행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 이때, 사용자의 재인증 요청은 제어장치, 월패드 또는 유비토이를 통해 요청신호를 재전송할 수 있다.Thereafter, when the user requests reauthentication (S130), the user re-performs from step S115 to perform user authentication. In this case, the user's reauthentication request may retransmit the request signal through a control device, a wall pad, or a ubiquitous toy.

S120 단계에서 사용자 인증이 성공한 경우, 홈게이트웨이는 수신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홈게이트웨이에 저장된 해당 사용자의 스케줄을 검색한다(S135).If the user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in step S120, the home gateway searches for the schedule of the corresponding user stored in the home gateway using the received user information (S135).

만약, 사용자가 위치한 장소에서의 사용자 스케줄이 검색되는 경우(S140), 사용자의 스케줄에 따라 기기제어를 위한 명령어가 선택되고, 선택된 기기제어 명령신호를 패턴학습 할 것인지를 선택한다(S155). If the user schedule is searched in the place where the user is located (S140), a command for device control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user's schedule, and whether or not to pattern study the selected device control command signal is selected (S155).

패턴학습은 사용자에 의해 미리 저장될 수 있으며, 기기제어 명령을 수행하기 전에 사용자로부터 패턴학습 저장 여부를 선택받을 수 있다. 사용자가 패턴학습의 저장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제어장치, 월패드 또는 유비토이를 통해 패턴학습 저장 요청신호를 홈게이트웨이로 전송할 수 있다.The pattern learning may be stored in advance by the user, and the user may be selected whether to save the pattern learning before the device control command. In order to select the storage of the pattern learning, the user may transmit a pattern learning storage request signal to the home gateway through a controller, a wall pad, or a ubiquitous toy.

홈게이트웨이는 사용자가 미리 저장되거나 패턴학습 저장 요청신호를 수신한 경우, 수행하고자 하는 기기 제어명령을 해당 사용자의 패턴에 저장한 후, 생성된 기기 제어 명령 신호를 제어장치에 전송한다(S160).When the user stores the user in advance or receives the pattern learning storage request signal, the home gateway stores the device control command to be performed in the user's pattern, and then transmits the generated device control command signal to the control device (S160).

제어장치는 사용자 스케줄에 따른 제어 명령 신호를 생성하고(S165), 생성한 제어 명령 신호를 대응되는 기기로 전송한다(S170). 이후, 제어장치로부터 명령신호를 수신한 정보기기는 해당 명령신호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The control device generates a control command signal according to the user schedule (S165), and transmits the generated control command signal to the corresponding device (S170). Thereafter, the information device receiving the command signal from the control device performs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command signal.

S140 단계에서 사용자의 스케줄이 검색되지 않는 경우, 홈게이트웨이는 해당 사용자의 패턴 정보를 검색하고, 패턴 정보가 검색되면 패턴정보에 의한 기기제어를 요청하는 요청신호를 사용자가 휴대한 유비토이로 전송하거나, 현재 위치한 곳으로부터 가까운 곳에 위치한 월패드로 전송하여 음성 또는 영상으로 출력하며, 사용자의 선택신호를 수신한다(S145).If the user's schedule is not found in step S140, the home gateway searches for the pattern information of the user, and if the pattern information is found, transmits a request signal for requesting device control based on the pattern information to the ubiquitous carried by the user. In operation S145, the user transmits the selected audio signal to a wall pad located near the current location and outputs the audio or video signal.

S145 단계에서 사용자가 패턴에 의한 기기제어를 허용하는 경우, 홈게이트웨이는 사용자 패턴에 따라 기기제어를 위한 제어명령을 생성하여(S150), 해당되는 제어장치로 명령신호를 전송한다(S170). 이후, 제어장치로부터 명령신호를 수신한 정보기기는 해당 명령신호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한다.If the user allows the device control by the pattern in step S145, the home gateway generates a control command for device control according to the user pattern (S150), and transmits a command signal to the corresponding control device (S170). Thereafter, the information device receiving the command signal from the control device performs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command signal.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차장 서비스의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 이, 주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구비된 주차관리 서버(305)는 각 가정 내에 위치하는 홈게이트웨이(1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주차관리 서버(305)는 주차장 내에 구비된 주차장 월패드(31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주차장에 위치한 사용자로부터의 입력되는 명령신호를 수신한다.3 is a block diagram of a parking lot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 the parking management server 305 provided to provide a parking service is connected to the home gateway 100 located in each home by wire or wirelessly, and the parking management server 305 is The parking lot wall pad 310 provided in the parking lot is connected to a wired or wireless connection to receive an input command signal from a user located in the parking lot.

또한, 주차장 입구의 일측에는 출입하는 자동차(320)를 인식하여 해당하는 자동차(320)의 정보를 주차관리 서버(305)에 전송하기 위한 제1리더기(315)가 구비되어 있으며, 주차장 내의 각 주차면에는 주차된 자동차(320)를 인식하기 위한 제2리더기(335-1, 335-2, …, 335-n)가 구비되어 있다.In addition, one side of the entrance of the parking lot is provided with a first reader 315 for recognizing the entering and exiting vehicle 320 and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vehicle 320 to the parking management server 305, each parking in the parking lot. The surface is provided with second readers 335-1, 335-2,..., 335-n for recognizing the parked vehicle 320.

각 사용자들이 보유한 자동차(320)에는 주차관리 서버(305)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자동차(320) 내부의 정보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장치(325)가 구비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스케줄 정보에 따라 자동차(320)의 운행 경로를 설정할 수 있는 네비게이션(330)이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Each vehicle 320 owned by the user is provided with a control device 325 for receiv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parking management server 305 to control the information device inside the vehicle 320, the user's schedule information Accordingly, the navigation 330 may be selectively provided to set the driving route of the vehicle 320.

홈게이트웨이(100)는 저장된 사용자의 스케줄을 분석하여 외출 스케줄이 존재하는 경우, 저장된 스케줄에 따라 자동차(320) 운행 정보를 주차관리 서버(305)로 전송한다.The home gateway 100 analyzes the stored user's schedule and transmits the driv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320 to the parking management server 305 according to the stored schedule when the outing schedule exists.

또한, 홈게이트웨이(100)는 자동차(320)가 주차장 내에 진입하여, 주차를 완료한 경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전송되는 자동차(320)의 주차 정보를 출력 및 저장할 수 있으며, 자동차(320)가 주차면으로부터 이동하여 주차장 외부로 진출하는 경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전송되는 자동차(320)의 출차 정보를 출력 및 저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me gateway 100 may output and store parking information of the vehicle 320 transmitted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when the vehicle 320 enters the parking lot and completes parking. When moving from the parking surface to advance to the outside of the parking lot, the exit information of the vehicle 320 transmitted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may be output and stored.

주차관리 서버(305)는 홈게이트웨이(100), 주차장 월패드(310) 및 제1리더기(315)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홈게이트웨이(100)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 스케줄 정보를 대응되는 자동차(320) 내부에 구비된 제어장치(325)로 전송한다.The parking management server 305 is connected to the home gateway 100, the parking lot wall pad 310, and the first reader 315 by wire or wirelessly, and corresponds to the user schedul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home gateway 100. The control unit 320 transmits the control unit 325 provided therein.

또한, 자동차(320)가 주차장 내부에 구비된 주차면에 주차할 경우, 대응되는 주차면에 구비된 제2리더기(335-1, 335-2, …, 335-n)에서 생성한 자동차(320) 주차관련 정보를 주차관리 서버(305)에서 수신하여 저장하며 필요한 경우, 자동차(320)에 대응되는 홈게이트웨이(100)로 해당 주차관련 정보를 전송한다.In addition, when the vehicle 320 is parked on the parking surface provided in the parking lot, the vehicle 320 generated by the second readers 335-1, 335-2, ..., 335-n provided on the corresponding parking surface ) Receives and stores the parking related information from the parking management server 305 and, if necessary, transmits the corresponding parking related information to the home gateway 100 corresponding to the vehicle 320.

또한, 자동차(320)가 주차장 내부에 구비된 주차면으로부터 출차하는 경우, 대응되는 주차면에 구비된 제2리더기(335-1, 335-2, …, 335-n)에서 생성한 자동차(320) 출차관련 정보를 주차관리 서버(305)에서 수신하여 저장하며, 필요한 경우 자동차(320)에 대응되는 홈게이트웨이(100)로 해당 출차관련 정보를 전송한다.In addition, when the vehicle 320 exits from the parking surface provided in the parking lot, the vehicle 320 generated by the second readers 335-1, 335-2,..., 335-n provided on the corresponding parking surface. The vehicle-related information is received and stored by the parking management server 305, and if necessary, the vehicle-related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home gateway 100 corresponding to the vehicle 320.

주차장 월패드(325)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명령신호를 주차관리 서버(305)로 전송하고, 사용자가 요청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자동차(320)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 번호를 입력하면, 해당 번호에 대응되는 주차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주차관리 서버(305)로 전송하며, 이에 대응하는 응답을 주차관리 서버(305)로부터 수신하고,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 자동차(320)의 주차 정보를 음성 또는 영상을 출력한다.The parking lot wall pad 325 may transmit a command signal input by the user to the parking management server 305 and display information requested by the user. That is, when an identification number for identifying the user's car 320 is input, a signal for requesting park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number is transmitted to the parking management server 305, and a response corresponding to the parking management server ( Received from the 305, and displays the parking information of the user's vehicle 320 to output an audio or video.

제1리더기(315)는 자동차(320)가 주차장으로 진입하는 경우, 자동차(320)에 구비된 제어장치(325)로부터 자동차 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정보를 주차관리 서 버(305)로 전송한다. When the vehicle 320 enters the parking lot, the first reader 315 receives vehicle information from the control device 325 provided in the vehicle 320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parking management server 305. .

이때, 자동차(320) 정보는 제1리더기(315)에서 자동차 정보 요청 신호를 자동차(320)의 제어장치(325)로 전송함에 따라 제어장치(325)로부터 수신하거나, 자동차(320) 내에 구비된 제어장치(325)에서 제1리더기(315)를 인식하여 자동차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 없이 직접 제1리더기(315)로 전송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vehicle 320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controller 325 or transmitted in the vehicle 320 as the first reader 315 transmits the vehicle information request signal to the controller 325 of the vehicle 320. The controller 325 may recognize the first reader 315 and transmit the first reader 315 directly to the first reader 315 without a signal requesting vehicle information.

또한, 제1리더기(315)는 자동차(320)가 주차장 외부로 이동하는 경우에도 자동차(320)에 구비된 제어장치(325)로부터 자동차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여, 주차관리 서버(305)로 전송한다.In addition, the first reader 315 receives a signal including vehicle information from the control device 325 provided in the vehicle 320 even when the vehicle 320 moves outside the parking lot, and the parking management server 305. To send.

제2리더기(335-1, 335-2, …, 335-n)는 주차장 내에 구비된 각각의 주차면에 구비되어 있으며, 자동차(320)가 주차면에 주차하는 경우나 출차하는 경우에 대응되는 자동차 정보를 자동차(320)의 제어장치(325)로부터 수신하여 주차관리 서버(305)로 전송한다.The second readers 335-1, 335-2,..., 335-n are provided on respective parking surfaces provided in the parking lot, and correspond to the case where the vehicle 320 parks on the parking surface or exits. The vehicle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control device 325 of the vehicle 320 and transmitted to the parking management server 305.

자동차(320) 내부에 구비된 제어장치(325)는 자동차 정보를 포함하며, 제1리더기(315) 및 제2리더기(335-1, 335-2, …, 335-n)에서 자동차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이에 응답하여 자동차(320) 정보를 제1리더기(315) 및 제2리더기(335-1, 335-2, …, 335-n)에 전송한다. 또한, 제1리더기(315) 및 제2리더기(335-1, 335-2, …, 335-n)로부터 자동차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에도, 제1리더기(315) 및 제2리더기(335-1, 335-2, …, 335-n)에 자동차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The control device 325 provided in the vehicle 320 includes vehicle information, and the vehicle information is requested from the first reader 315 and the second reader 335-1, 335-2, ..., 335-n. In response to receiving the signal, the vehicle 320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first reader 315 and the second reader 335-1, 335-2, ..., 335-n in response. Further, even when a signal for requesting vehicle information is not received from the first reader 315 and the second reader 335-1, 335-2, ..., 335-n, the first reader 315 and the second reader are not received. Car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readers 335-1, 335-2, ..., 335-n.

또한, 제어장치(325)는 주차관리 서버(305)로부터 자동차(320)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스케줄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수신된 스케줄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자동차(320) 운행에 따른 목적지를 분석하여 목적지 정보를 네비게이션(330)으로 전송한다. 이후, 네비게이션(330)에서는 수신한 사용자의 목적지 정보에 대응하는 운행경로를 검색하여 경로를 설정한다.In addition, when the control device 325 receives the schedule information of the user corresponding to the vehicle 320 from the parking management server 305, the control device 325 analyzes the received schedule information to analyze the destination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user's vehicle 320. To transmit the destination information to the navigation 330. Thereafter, the navigation 330 searches for a driving route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destin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and sets a route.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주차장 서비스의 주차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가 주차장 입구로 진입하는 경우, 자동차에 구비된 제어장치에서 자동차 정보를 주차장 입구의 일측에 구비된 제1리더기로 전송하고(S205), 제1리더기는 자동차 정보를 수신하며(S205), 수신된 자동차 정보를 주차관리 서버로 전송한다(S210).4 is a parking flowchart of a parking lot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4, when the car enters the parking lot entrance, the control device provided in the vehicle transmits the car information to the first read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parking lot entrance (S205), the first reader is the car information Received (S205), and transmits the received car information to the parking management server (S210).

주차관리 서버는 수신된 자동차 정보를 분석하여, 자동차의 사용자 정보를 검색한다. 분석된 자동차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가 검색되는 경우, 주차가 가능한 자동차로 인식하여, 주차장 내에 주차가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한다(S215).The parking management server analyzes the received car information and retrieves user information of the car. When a user corresponding to the analyzed car information is searched, it is recognized as a car which can be parked,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parking is possible in the parking lot (S215).

주차장 내에 빈 주차면이 존재하는 경우, 주차관리 서버는 해당 사용자의 댁과 가장 가까운 주차면을 검색하고(S225), 검색된 결과인 주차 안내 정보를 자동차에 구비된 제어장치로 전송한다(S230). 제어장치는 수신된 주차안내 정보에 따라 해당 정보를 음성 또는 영상으로 출력한다(S235).If there is an empty parking surface in the parking lot, the parking management server searches for the parking surface closest to the user's home (S225), and transmits the parking guide information, which is the searched result, to the control device provided in the vehicle (S230). The control device outputs the information as an audio or video according to the received parking guide information (S235).

이후, 사용자가 전송된 주차안내 정보에 따른 주차면에 주차를 완료한 경우, 해당 주차면에 구비된 제2리더기에서 주차된 자동차의 정보를 제어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자동차 정보를 주차관리 서버로 전송하여 저장한다(S240).Subsequently, when the user completes parking on the parking surface according to the transmitted parking guide information, the information of the car parked in the second reader provided on the corresponding parking surface is received from the control device, and the received vehicle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parking management server. Transfer to and store (S240).

사용자가 주차를 완료한 이후, 주차완료 정보를 사용자 댁내에 구비된 홈게 이트웨이로 전송을 요청하는 신호가 주차장 내에 구비된 주차장 월패드로부터 주차관리 서버에 입력되는 경우(S245), 주차정보를 해당하는 사용자의 홈게이트웨이로 전송한다(S250). 이때, 전송되는 주차정보는 주차관리 서버에 저장되어 있으며, 주차관리 서버에 저장된 정보가 주차장 월패드로부터 전송되는 명령신호에 대응하여 홈게이트웨이로 전송된다.After the user completes parking, when a signal for requesting transmission of the parking completion information to the home gateway provided in the user's home is input to the parking management server from the parking wall pad provided in the parking lot (S245), the parking information corresponds to the corresponding parking information. The user transmits to the home gateway (S250). At this time, the transmitted parking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parking management server, and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parking management server is transmitted to the home gateway in response to a command signal transmitted from the parking lot wall pad.

S215 단계에서 해당 주차장에 주차가 불가능한 경우, 주차관리 서버는 대응하는 자동차의 제어장치로 주차 불가능 메시지를 전송하며, 자동차는 수신된 메시지를 음성 또는 영상으로 출력한다(S220).If parking is not possible in the corresponding parking lot in step S215, the parking management server transmits a parking impossible message to the control device of the corresponding vehicle, and the vehicle outputs the received message as an audio or video (S220).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주차장 서비스의 출차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월패드를 이용하여 자동차 운행 요청정보를 입력하면, 홈게이트웨이에서 자동차 운행 요청정보를 수신하고(S305), 이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스케줄 정보를 검색한다(S310).5 is a flow chart of a parking lot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5, when a user inputs car driving request information using a wall pad, the home gateway receives car driving request information (S305), and searches for schedule information of the user accordingly (S310). .

S310 단계에서 해당 사용자의 스케줄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S315), 자동차 운행 요청정보를 분석하여 자동차 시동요청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검색한다(S320).If the schedule information of the user exists in step S310 (S315), and analyzes the car driving request information to search whether the car start request information is included (S320).

자동차 시동요청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의 스케줄 정보 및 자동차 시동요청 정보를 포함한 운행정보를 생성하고(S335), 해당 사용자의 제어장치로 전송한다(S345).When the vehicle start request information is included, the driv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schedule information and the vehicle start request information of the user is generated (S335) and transmitted to the control device of the corresponding user (S345).

S315 단계에서 해당 사용자의 스케줄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자동차 운행 요청정보를 분석하여 자동차 시동요청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검색한다(S325).If the schedule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user does not exist in step S315, the vehicle driving request information is analyzed to search whether the vehicle starting request information is included (S325).

자동차 시동요청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자동차 시동요청 정보를 포함한 운행정보를 생성하고(S340), 해당 사용자의 제어장치로 전송한다(S345).When the vehicle start request information is included, the driv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vehicle start request information is generated (S340) and transmitted to the control device of the corresponding user (S345).

S320 단계에서 자동차 운행 요청정보에 자동차 시동 요청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스케줄 정보를 포함하는 운행정보를 생성하고(S330), 해당 사용자의 제어장치로 전송한다(S345).When the vehicle driving request information is not included in the vehicle driving request information in step S320, it generates driv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schedule information (S330), and transmits to the control device of the user (S345).

이때, 홈게이트웨이로부터 해당 자동차의 제어장치로 전송되는 정보는 주차관리 서버를 경유하여 전송된다.At this time, th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home gateway to the control device of the vehicle is transmitted via the parking management server.

자동차의 제어장치는 사용자의 운행정보를 수신한 뒤, 운행정보를 분석하여 자동차의 시동 요청 정보를 포함하는지 판단한다(S350).After receiving the driving information of the user, the control apparatus of the vehicle analyzes the driving information to determine whether the vehicle includes starting request information (S350).

S350 단계에서 자동차 시동 요청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제어장치는 해당 자동차의 시동요청에 대응하여 자동차를 시동한 이후(S360), 운행정보에 사용자의 스케줄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분석한다(S365).When the vehicle start request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step S350, the control device starts the car in response to the start request of the corresponding vehicle (S360), and analyzes whether the schedule information of the user is included in the driving information (S365).

만약 사용자의 스케줄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스케줄에 의한 목적지를 네비게이션으로 전송하고, 네비게이션은 목적지 정보를 수신하여,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설정한다(S370).If the schedule information of the user is included, the destination by the schedule is transmitted to the navigation, and the navigation receives the destination information and sets a path to the destination (S370).

S365 단계에서 운행정보 내에 스케줄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자동차의 출차 단계를 종료한다.If the schedule information is not included in the driving information at step S365, the step of discharging the vehicle is ended.

또한, S350 단계에서 자동차 시동 요청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제어장치는 수신한 운행정보 내에 스케줄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분석하고(S355), 스케줄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스케줄에 의한 목적지를 네비게이션으로 전송하고, 네비게이션은 목적지 정보를 수신하여,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설정한다(S370).In addition, when the vehicle start request information is not included in step S350, the control device analyzes whether the schedule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received driving information (S355), and if the schedule information is included, the destination by the schedule is navigated to. In operation S370, the navigation device receives the destination information and sets a path to the destination.

S355 단계에서 운행정보 내에 스케줄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자동차의 출차 단계를 종료한다.If the schedule information is not included in the driving information in step S355, the car leaving step ends.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출입문 서비스의 구성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게이트웨이(100)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출입문은 홈게이트웨이(100)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 인증 정보를 수신하여 출입문을 제어한다.6 is a block diagram of a door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6, the door connected to the home gateway 100 by wire or wirelessly receives the user authenti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home gateway 100 to control the door.

출입문은 디스플레이어(415) 또는 스피커(420)를 포함하며, 출입문 제어장치(405)에서 발생하는 명령 수행에 따라 영상 및 음성을 출력한다.The door includes a display 415 or a speaker 420, and outputs video and audio according to command execution generated by the door controller 405.

사용자는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기(150)를 휴대하고 있으며, 단말기(150)가 출입문으로 접근하는 경우, 출입문의 일측에 구비된 태그리더기(410)가 단말기(150)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사용자 정보를 출입문 제어장치(405)로 전송한다.The user carries the terminal 150 including the user information, and when the terminal 150 approaches the door, the tag reader 410 provided on one side of the door receives the user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150, The received user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door control device 405.

출입문 제어장치(405)는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기 위해 수신된 사용자 정보를 홈게이트웨이(100)로 전송하며, 홈게이트웨이(100)에서 사용자 인증에 대한 응답신호를 수신하여, 출입문 개폐를 수행한다. 즉, 응답신호가 허가된 사용자임을 인증하는 경우, 출입문 제어장치(405)는 응답신호에 대응하여 출입문을 개방하며, 응답신호가 허가되지 않은 사용자임을 알리는 경우, 출입문을 개방하지 않는다.The door controller 405 transmits the received user information to the home gateway 100 to perform user authentication, and receives a response signal for the user authentication from the home gateway 100 to perform door opening and closing. That is, when authenticating that the response signal is an authorized user, the door control device 405 opens the door in response to the response signal, and when notifying that the response signal is an unauthorized user, the door is not opened.

또한, 허가된 사용자에게 출입문을 개방하는 경우, 출입문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어(415) 또는 스피커(420)에서 출입하는 사용자의 신원, 사용자에게 남겨진 메시지 및 현재 댁내에 위치하는 가족 구성원 등의 정보를 출력한다.In addition, when the door is opened to the authorized user, information such as the identity of the user entering and exiting from the display 415 or the speaker 420 provided at the door, a message left to the user, and a family member currently located in the home is output. do.

태그리더기(410)는 출입문의 일측에 구비되며, 사용자가 휴대한 단말기(150)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여 출입문 제어장치(405)로 전송하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태그리더기(410)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에 출입문 제어장치(405)가 직접 사용자가 휴대한 단말기(150)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The tag reader 410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door, receives the user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150 carried by the user and transmits the user information to the door control device 405,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ag reader 410. If it is not provided, the door control device 405 can directly receive the user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150 carried by the user.

사용자 단말기(150)는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으며, 태그 리더기(410) 또는 출입문 제어장치(405)에서 사용자 정보를 요구하는 경우,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전송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The user terminal 150 is carried by the user, and when the tag reader 410 or the door controller 405 requests user information, the user terminal 150 may transmit the stored user information to perform user authentica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출입문 서비스의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단말기가 출입문 일측에 구비된 태그리더기와 통신할 수 있는 소정의 거리에 도달하는 경우(S405), 태그리더기가 사용자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기는 이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를 태그리더기로 전송한다(S410). 이후, 사용자 정보를 수신한 태그리더기는 출입문 제어장치에게 수신한 사용자 정보를 전송한다(S415).7 is a flowchart of a door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7, when the terminal that the user carries reaches a predetermined distance to communicate with the tag reader provided at one side of the door (S405), the tag reader receives a signal for requesting user information. The user terminal transmits the corresponding user information to the tag reader (S410). Thereafter, the tag reader receiving the user information transmits the received user information to the door controller (S415).

출입문 제어장치는 수신한 사용자 정보를 홈게이트웨이로 전송하여 사용자 인증을 요청한다. 홈게이트웨이는 수신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검색을 수행하고, 검색한 결과가 허가된 사용자일 경우(S420), 홈게이트웨이는 사용자 인증성공 신호 및 해당 사용자에게 제공될 환경정보를 함께 출입문 제어장치로 전송한다(S435).The door controller transmits the received user information to the home gateway to request user authentication. The home gateway performs a user search using the received user information, and if the search result is an authorized user (S420), the home gateway sends a user authentication success signal and environment information to be provided to the user together with the door control device. It transmits (S435).

출입문 제어장치는 수신된 사용자 인증성공 신호를 수신하여 출입문을 개방하며, 사용자에게 제공될 환경정보를 분석하여 출입문에 구비된 출력장치(영상 또 는 음성)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남겨진 메시지 등의 환경정보를 제공한다(S440).The door control device receives the received user authentication success signal, opens the door, analyzes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to be provided to the user, and uses the output device (video or audio) provided in the door to display environmental information such as a message left to the user. Provides (S440).

S420 단계에서 사용자 인증이 성공하지 않을 경우, 홈게이트웨이는 해당 출입문 제어장치로 인증 실패 신호를 전송하고 출입문 제어장치는 수신된 인증 실패 신호에 대응되는 인증실패 메시지를 출력한다(S425). 이후, 사용자 재인증 요청 여부를 출입문 제어장치에서 사용자 단말기 측으로 전송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기는 이를 수신하여, 사용자 재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S430). 사용자가 재인증을 요청하는 신호를 출입문 제어장치로 전송하면, S405 단계부터 재수행한다. 이때, 출입문 제어장치는 태그리더기를 통해 사용자 정보를 재수신하거나, 출입문 제어장치가 사용자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직접 수신할 수 있다.If the user authentication is not successful at step S420, the home gateway transmits an authentication failure signal to the corresponding door control device, and the door controller outputs an authentication failure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authentication failure signal at step S425. Thereafter, whether the user reauthentication request can be transmitted from the door control apparatus to the user terminal side, and the user terminal may receive the request, may request the user reauthentication (S430). When the user transmits a signal requesting re-authentication to the door control apparatus, the process is performed again from step S405. In this case, the door controller may re-receive user information through the tag reader, or the door controller may directly receive user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주방 서비스의 구성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게이트웨이(100)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거나 사용자가 요구하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월패드(2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사용자 정보의 인증을 통해 홈게이트웨이(100)에 저장된 사용자의 스케줄에 따라 주방 내에 구비된 정보기기로 제어 명령을 전송하기 위한 주방 제어장치(505)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다.8 is a block diagram of a kitchen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8, the home gateway 100 is wired or wirelessly connected to the wall pad 200 capable of receiving information from a user or outputting information requested by the user, and receiving user information. Through the authentication of the received user information is connected to the kitchen control device 505 for transmitting a control command to the information device provided in the kitchen according to the schedule of the user stored in the home gateway 100 by wire or wireless.

또한, 주방 제어장치(505)는 주방의 각 구성요소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출력장치(영상 또는 음성)를 구비하여 사용자에게 제어명령 수행결과 및 각종 환경정보를 출력한다.In addition, the kitchen control device 505 is connected to each component of the kitchen by wire or wireless to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and is provided with an output device (video or audio) to output the control command execution result and various environmental information to the user do.

주방 제어장치(505)와 연결된 주방의 각 구성요소는 에어커튼(535), 가스밸브(530), 환풍기(525), 양념센서(520) 및 가스레인지 센서(515) 등이 있다.Each component of the kitchen connected to the kitchen control device 505 includes an air curtain 535, a gas valve 530, a fan 525, a seasoning sensor 520, and a gas range sensor 515.

주방 제어장치(505)는 사용자가 주방으로 들어오는 것을 감지하여, 홈게이트웨이(100)로 사용자 인증을 요청하고, 홈게이트웨이(100)는 요청된 사용자를 검색하여 인증 성공 신호 및 사용자의 스케줄 정보를 주방 제어장치(505)로 전송한다. 사용자가 주방으로 들어오는 것을 감지하는 것은 태그리더기(510) 또는 주방 제어장치(505)에서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단말기(150)를 인식하고, 해당 단말기(150)로 사용자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면, 사용자 단말기(150)는 이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를 전송한다. The kitchen control device 505 detects that the user enters the kitchen, requests the user authentication to the home gateway 100, and the home gateway 100 searches for the requested user and displays the authentication success signal and the schedule information of the user. It transmits to the control device 505. Detecting that the user is coming into the kitchen when the tag reader 510 or the kitchen control device 505 recognizes the terminal 150 that the user is carrying, and transmits a signal requesting user information to the terminal 150 The user terminal 150 transmits us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hereto.

만약, 태그리더기(510)가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는 태그리더기(510)가 수신한 사용자 정보를 주방 제어장치(505)로 전송을 하며, 주방 제어장치(505)는 수신한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증 요청신호를 홈게이트웨이(100)로 전송한다. If the tag reader 510 receives user information, the tag reader 510 transmits the user information received to the kitchen controller 505, and the kitchen controller 505 includes the received user information. The user authentication request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home gateway 100.

또한, 주방 제어장치(505)에서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는 주방 제어장치(505)가 수신한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증 요청신호를 홈게이트웨이(100)로 전송한다.In addition, when the kitchen controller 505 receives user information, the kitchen controller 505 transmits a user authentication request signal including the user information received to the home gateway 100.

홈게이트웨이(100)는 사용자 인증 요청신호를 수신하고, 신호에 포함된 사용자 정보를 분석하여 허가된 사용자임을 판별한 이후, 해당 사용자가 허가된 사용자일 경우, 해당 사용자의 스케줄을 검색하고, 주방과 관련된 스케줄 정보가 있는 경우, 해당 스케줄 정보와 사용자 인증완료 정보를 포함하는 환경정보를 해당 주방 제어장치(505)로 전송한다.The home gateway 100 receives a user authentication request signal and analyzes user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ignal to determine that the user is an authorized user. When the user is an authorized user, the home gateway 100 searches for a schedule of the corresponding user. When there is related schedule information, the environment information including the schedule information and user authentication comple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kitchen control apparatus 505.

주방 제어장치(505)는 홈게이트웨이(100)로부터 전송된 스케줄 정보를 분석 하고 스케줄에 대응하여 주방에 구비된 각각의 기기들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수행한다. The kitchen controller 505 analyzes the schedul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home gateway 100 and performs a command for controlling each device provided in the kitchen in response to the schedule.

또한, 주방 제어장치(505)는 가스레인지가 위치한 곳의 상부 소정의 위치에 구비된 가스레인지 센서(515)로부터 습도 및 냄새 정보를 수신하여, 가스레인지 주변의 습도나 음식 냄새의 수치가 소정의 임계치 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 가스레인지로부터 상부 소정의 장소에 위치한 에어커튼(535)을 동작시켜 가스레인지 상부에서 조리중인 음식의 냄새 등이 주방 밖으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한다.In addition, the kitchen controller 505 receives humidity and odor information from the gas range sensor 515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bove the gas range, so that the value of the humidity or food smell around the gas range is predetermined. When rising above the threshold, the air curtain 535 located at the upper predetermined place is operated from the gas range to prevent the smell of food being cooked in the upper part of the gas range from leaking out of the kitchen.

또한, 주방 제어장치(505)는 홈게이트웨이(10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이용하여 댁내의 사용자 존재를 판별하고, 사용자가 댁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가스레인지의 동작여부를 검출하여 가스레인지가 사용중인 경우에는 예약설정 여부를 식별한다.In addition, the kitchen controller 505 determines the presence of the user in the home by using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home gateway 100, and if the user does not exist in the home, the gas range is used by detecting the operation of the gas range. If it is, identify whether reservation is made.

가스레인지의 예약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주방 제어장치(505)는 예약된 시간에 가스밸브(530)를 차단하여 가스레인지의 동작을 중지시키며, 예약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주방 제어장치(505)에서 가스밸브(530)를 차단하여 가스레인지의 동작(밸브잠금 등)을 중지시킨다.If the reservation of the gas range is set, the kitchen controller 505 shuts off the operation of the gas range by blocking the gas valve 530 at the scheduled time, and if the reservation is not set, the kitchen controller 505. ) To shut off the gas valve 530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gas range (valve lock, etc.).

또한, 주방 제어장치(505)는 가스레인지가 위치한 곳으로부터 상부 소정의 위치에 구비된 가스레인지 센서(515)로부터 습도 및 냄새 정보를 수신하여 가스레인지 주변의 습도나 음식 냄새의 수치가 소정의 임계치 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 가스레인지로부터 상부 소정의 장소에 위치한 환풍기(525)를 동작시켜 주방 내부의 수증기 및 냄새를 외부로 배출한다.In addition, the kitchen control device 505 receives the humidity and smell information from the gas range sensor 515 provided at the upper predetermined position from where the gas range is located, so that the numerical value of the humidity or food smell around the gas range is predetermined threshold. If the above rises, by operating the ventilator 525 located in the upper predetermined place from the gas range to discharge the steam and smell inside the kitchen to the outside.

또한, 주방 제어장치(505)는 각종 양념 그릇에 구비된 압력센서인 양념센서(520)로부터 각 양념의 잔량 정보를 수신한 후, 홈게이트웨이(100)로 전송하여 저장한다. 이후, 사용자가 주방에 위치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때, 홈게이트웨이(100)가 허가된 사용자임을 확인하고 사용자의 스케줄을 검색하여 주방 제어장치(505)로 정보를 전송하기 전에 주방 제어장치(505)로부터 저장된 양념의 잔량 정보를 검색하여 사용자 인증 결과와 사용자 스케줄 및 양념의 잔량 정보를 포함하는 환경정보를 전송한다.In addition, the kitchen control device 505 receives the remaining amount of each seasoning information from the seasoning sensor 520, which is a pressure sensor provided in various seasoning vessels, and transmits to the home gateway 100 to store. Then, when the user is located in the kitchen to perform the user authentication, confirm that the home gateway 100 is an authorized user, search the user's schedule before sending the information to the kitchen control device 505 kitchen control device (505) Search for the remaining amount of seasoning information from) and transmit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including the user authentication result and the user schedule and the remaining amount of seasoning information.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주방 서비스의 흐름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방 제어장치는 소정의 시간 간격에 따라서 홈게이트웨이로부터 사용자가 댁내에 존재하고 있는 것에 관한 사용자 정보를 수신받는다(S505). 주방 제어장치는 홈게이트웨이로부터 사용자가 댁내에 위치하는 정보를 수신한다면, 정상적으로 대기하고 있으며, 이후, 사용자가 주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사용자가 보유한 단말기에서 주방 입구 소정의 장소에 설치된 태그리더기로 사용자 정보를 전송하고, 사용자 정보를 수신한 태그리더기는 수신한 사용자 정보를 주방 제어장치에 전송한다(S535). 9 is a flowchart of a kitchen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9, the kitchen control apparatus receives user information regarding the presence of the user from the home gateway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S505). If the user receives the information located in the home from the home gateway, the kitchen controller waits normally. After that, when the user moves to the kitchen, the kitchen control device is provided with a tag reader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lace in the kitchen entrance by the user's terminal. The tag reader receiving the user information transmits the received user information to the kitchen control apparatus (S535).

주방 제어장치는 홈게이트웨이로 사용자 정보를 전송하여(S540), 사용자 인증을 요청하고, 홈게이트웨이는 이에 대응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며, 사용자가 인증된 경우, 홈게이트웨이는 주방 제어장치로 주방 정보에 해당하는 각종 센서를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한다(S545). The kitchen control device transmits user information to the home gateway (S540), requests user authentication, the home gateway authenticates the user in response thereto, and when the user is authenticated, the home gateway corresponds to the kitchen information with the kitchen control device. A signal for requesting various sensors is transmitted (S545).

각종 센서 정보는 주방에 포함된 각종 센서 및 정보기기에서 수집한 정보에 해당하며, 주방 제어장치는 홈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한 요청 정보에 대응하여 주방에 포함된 각각의 센서 및 정보기기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고, 이에 대응되는 센서 정보를 수신하여 홈게이트웨이로 전송한다. 이때, 각종 센서 정보 및 정보기기 정보는 주방에 구비된 양념 등의 잔량을 나타내는 데이터 또는 사용자에게 남겨진 메시지 등이다.The various sensor information corresponds to information collected from various sensors and information devices included in the kitchen, and the kitchen control device requests signals for each sensor and information device included in the kitchen in response to the reques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home gateway. And transmits the senso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nsor to the home gateway. At this time, the various sensor information and information device information is data indicating the remaining amount of the seasoning and the like provided in the kitchen or the message left to the user.

홈게이트웨이는 주방 제어장치로 전송한 센서 정보 요청신호에 대응하는 주방 신호를 주방 제어장치로부터 수신한 이후, 수신한 정보를 분석한다. 홈게이트웨이에서 주방 정보를 분석하는 경우(S550), 각종 센서에서 작성된 정보 중에서 사용자가 설정한 임계치를 벗어난 정보를 취합하고(S555), 취합된 정보를 홈게이트웨이의 분석결과로서 다시 주방 제어장치로 전송한다(S560). The home gateway analyzes the received information after receiving a kitche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ensor information request signal transmitted to the kitchen controller from the kitchen controller. In the case of analyzing the kitchen information in the home gateway (S550), information out of the threshold set by the user is collected from the information created by the various sensors (S555), and the collected information is transmitted back to the kitchen controller as an analysis result of the home gateway. (S560).

주방 제어장치는 수신한 분석결과를 영상 또는 음성으로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한다(S565).The kitchen control apparatus outputs the received analysis result as an image or an audio and transmits the result to the user (S565).

또한, S505 단계에서 가정 내에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주방 제어장치는 각종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센서 및 정보기기로 전송하고, 각종 센서 및 정보기기는 이에 대응하는 정보를 주방 제어장치로 전송한다(S510).In addition, when the user does not exist in the home in step S505, the kitchen control device transmits a signal for requesting various information to the sensor and the information device, the various sensors and information device transmits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to the kitchen control device (S510).

주방 제어장치는 해당되는 정보를 분석하여(S515), 가스가 동작하는 경우, 홈게이트웨이로 가스레인지 예약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한다. 이후, 홈게이트웨이는 가스레인지 예약정보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색하여, 결과를 주방 제어장치로 전송한다.The kitchen controller analyzes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S515), and when the gas is operated, transmits a signal requesting gas range reservation information to the home gateway. Thereafter, the home gateway searches whether the gas range reservation information is stored and transmits the result to the kitchen controller.

홈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한 가스레인지 예약 결과에서 가스레인지의 종료시 간이 예정되어 있는 경우(S520), 예정된 시간에 가스레인지의 동작을 종료시키며(S525), 가스레인지의 종료시간이 예약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결과를 확인하는 즉시 가스레인지의 동작을 중지시킨다(S530). 이때, 가스레인지의 동작은 가스를 차단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When the end of the gas range is scheduled in the gas range reservation result received from the home gateway (S520), the operation of the gas range is terminated at the scheduled time (S525), and the end of the gas range is not reserved. As soon as confirming that the operation of the gas range stops (S530). At this time, the operation of the gas range can be made by blocking the gas.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욕실 서비스의 구성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게이트웨이(100)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거나 사용자가 요구하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월패드(2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사용자 정보의 인증을 통해 홈게이트웨이(100)에 저장된 사용자의 스케줄에 따라 욕실 내에 구비된 정보기기로 제어 명령을 전송하기 위한 욕실 제어장치(61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다.10 is a block diagram of a bathroom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0, the home gateway 100 is wired or wirelessly connected to the wall pad 200 capable of receiving information from a user or outputting information requested by the user, and receiving user information. It is connected by wire or wirelessly with the bathroom control device 610 for transmitting a control command to the information device provided in the bathroom according to the user's schedule stored in the home gateway 100 through the authentication of the received user information.

또한, 욕실 제어장치(610)는 욕실의 각 구성요소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출력장치(영상 또는 음성)를 구비하여 사용자에게 제어명령 수행결과 및 각종 환경정보를 출력한다.In addition, the bathroom control device 610 is connected to each component of the bathroom by wire or wireless to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and is provided with an output device (video or audio) to output the control command execution result and various environmental information to the user do.

욕실 제어장치(610)와 연결된 욕실의 각 구성요소는 급수장치(620), 배수장치(640), 환풍기(625), 온도센서(630) 및 조명장치(635) 등과 연결되어 있다.Each component of the bathroom connected to the bathroom controller 610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620, the drain 640, the fan 625, the temperature sensor 630 and the lighting device 635.

욕실 제어장치(610)는 사용자가 욕실 내로 들어오는 것을 감지하여, 홈게이트웨이(100)로 사용자 인증을 요청하고, 홈게이트웨이(100)는 요청된 사용자를 검색하여 인증 성공 신호 및 사용자의 스케줄 정보를 욕실 제어장치(610)로 전송한다. 사용자가 욕실 내로 들어오는 것을 감지하는 것은 태그리더기(615) 또는 욕실 제어장치(610)이며,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단말기(150)를 인식하고, 해당 단말 기(150)로 사용자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면, 사용자 단말기(150)는 이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를 전송한다. The bathroom controller 610 detects that the user enters the bathroom, requests the user authentication to the home gateway 100, and the home gateway 100 searches for the requested user to display the authentication success signal and the schedule information of the user. Transmission to the control device 610. The tag reader 615 or the bathroom controller 610 detects that the user enters the bathroom, recognizes the terminal 150 that the user carries, and sends a signal for requesting user information to the terminal 150. When transmitting, the user terminal 150 transmits corresponding user information.

만약, 태그리더기(615)가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는 태그리더기(615)가 수신한 사용자 정보를 욕실 제어장치(610)로 전송을 하며, 욕실 제어장치(610)는 수신한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증 요청신호를 홈게이트웨이(100)로 전송한다. If the tag reader 615 receives the user information, the tag reader 615 transmits the user information received to the bathroom controller 610, and the bathroom controller 610 includes the received user information. The user authentication request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home gateway 100.

또한, 욕실 제어장치(610)에서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는 욕실 제어장치(610)가 수신한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증 요청신호를 홈게이트웨이(100)로 전송한다.In addition, when the bathroom controller 610 receives user information, the bathroom controller 610 transmits a user authentication request signal including the user information received to the home gateway 100.

홈게이트웨이(100)는 사용자 인증 요청신호를 수신하고, 신호에 포함된 사용자 정보를 분석하여 허가된 사용자임을 판별한 이후, 해당 사용자가 허가된 사용자일 경우, 해당 사용자의 스케줄을 검색하여, 욕실과 관련된 스케줄 정보가 있는 경우, 해당 스케줄 정보와 사용자 인증완료 정보를 포함하는 환경정보를 해당 욕실 제어장치(610)로 전송한다.The home gateway 100 receives a user authentication request signal, analyzes the user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ignal, and determines that the user is an authorized user. When the user is an authorized user, the home gateway 100 searches for a schedule of the corresponding user. When there is related schedule information, the environment information including the schedule information and user authentication comple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bathroom control apparatus 610.

욕실 제어장치(610)는 홈게이트웨이(100)로부터 전송된 스케줄 정보를 분석하고 스케줄에 대응하여 주방에 구비된 각각의 기기들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수행한다. The bathroom controller 610 analyzes the schedul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home gateway 100 and performs a command for controlling each device provided in the kitchen in response to the schedule.

또한, 욕실 제어장치(610)는 욕실 내의 소정의 위치에 구비된 습도 센서(미도시)로부터 습도 정보를 수신하여, 욕실 내의 습도가 소정의 임계치 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 욕실 내부 소정의 장소에 위치한 환풍기(625)를 동작시켜 욕실 내의 습도를 조절한다.In addition, the bathroom controller 610 receives humidity information from a humidity sensor (not shown)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bathroom, and when the humidity in the bathroom rises above a predetermined threshold, the bathroom controller 610 is located at a predetermined place inside the bathroom. The fan 625 is operated to control humidity in the bathroom.

또한, 욕실 제어장치(610)는 홈게이트웨이(10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목욕 스케줄 정보를 확인하고 사용자의 목욕 스케줄이 있는 경우, 정보에 포함된 시간에 맞추어 급수장치(62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예약한 스케줄 정보에 포함된 물은 온도 및 양에 맞추어 물을 받는다. 즉, 사용자는 목욕 스케줄을 예약함에 있어서, 목욕 시간, 물의 온도 및 양을 지정하여 저장한다.In addition, the bathroom controller 610 checks the user's bath schedule information using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home gateway 100 and, if there is a user's bath schedule, adjusts the water supply device 620 according to the time included in the information. The water contained in the schedule information reserved by the user under control receives water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and quantity. That is, the user designates and stores a bath time, a water temperature, and an amount in reserving a bath schedule.

만약, 욕실 제어장치(610)가 사용자 스케줄에 따라 급수 명령을 수행함에 있어서, 예약된 목욕 시간 정보만을 포함하고 물은 온도 및 양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면, 욕실 제어장치(610)는 사용자의 목욕 패턴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홈게이트웨이(100)로 전송하며, 홈게이트웨이(100)는 저장된 사용자의 목욕 패턴정보를 검색하여 욕실 제어장치(610)로 전송한다. 이때, 사용자의 목욕 패턴은 기존에 사용자가 목욕을 하기 위한 저장한 예약 정보 중에서 사용자가 가장 선호하는 물의 온도 및 양을 검색하여 가장 많이 예약된 물의 온도 및 양의 정보를 말한다. If the bathroom controller 610 executes the water supply command according to the user schedule, the bathroom controller 610 may include the user's scheduled bath time information and the water does not include temperature and amount information. The signal requesting the bath patter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home gateway 100, and the home gateway 100 searches for the stored bath pattern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stored bath pattern information to the bathroom controller 610. In this case, the user's bath pattern refers to information on the temperature and amount of the water most reserved by searching for the temperature and amount of the water most preferred by the user from the previously stored reservation information for the user to take a bath.

또한, 욕조 내에 물이 급수됨에 있어서, 욕조 내 소정의 장소에 위치한 온도 센서는 물의 온도를 수시로 체크하고, 체크된 물의 온도 정보를 욕실 제어장치(610)로 전송한다. 욕조 내의 물 온도가 사용자가 입력한 물 온도 입계값 보다 낮은 경우, 욕실 제어장치(610)는 욕조 내 소정의 장소에 위치한 조명장치(635)를 제어하여 푸른 빛을 발산하게 한다. 반면, 욕조 내의 물 온도가 사용자가 입력한 물 온도의 임계값보다 높은 경우, 욕실 제어장치(610)는 욕조 내 소정의 장소에 위치한 조명장치(635)를 제어하여 붉은 빛을 발산하게 한다.In addition, when water is supplied into the bathtub, the temperature sensor located at a predetermined place in the bathtub checks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at any time, and transmits the temperature information of the checked water to the bathroom controller 610. When the water temperature in the bathtub is lower than the water temperature threshold value input by the user, the bathroom controller 610 controls the lighting device 635 located at a predetermined place in the bathtub to emit blue light. On the other hand, when the water temperature in the bathtub is higher than the threshold of the water temperature input by the user, the bathroom controller 610 controls the lighting device 635 located in a predetermined place in the bathtub to emit red light.

이후, 사용자가 목욕을 종료하고, 욕실 밖으로 퇴장함에 있어서, 사용자가 별도의 명령을 입력하지 않는 경우, 욕실 내 소정의 장소에 위치한 태그리더기(615) 또는 욕실 제어장치(610)가 사용자의 퇴장을 감지하고, 사용자 퇴장 정보에 따라, 욕실 제어장치(610)는 배수장치(640)로 배수 명령을 전송하여 욕조 내의 물을 배수한다.Thereafter, when the user ends the bath and leaves the bathroom, if the user does not input a separate command, the tag reader 615 or the bathroom controller 610 located at a predetermined place in the bathroom may exit the user. In response to the user's exit information, the bathroom controller 610 sends a drain command to the drain 640 to drain the water in the bathtub.

또한, 욕실 제어장치(610)는 사용자의 욕실 스케줄이 예약되어 있지 않은 경우, 욕실 내의 각종 센서로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고, 이에 대응하는 센서 정보를 수신하고, 분석하여 그 결과를 출력장치(영상 또는 음성)로 출력한다. In addition, when the bathroom schedule of the user is not scheduled, the bathroom controller 610 transmits a signal for requesting information to various sensors in the bathroom, receives corresponding sensor information, analyzes the output, and outputs the result. Output as (video or audio).

급수장치(520)는 욕실 제어장치(610)의 명령에 따라 온수 및 냉수의 급수량을 조절하여 욕조 내의 물의 양 및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The water supply device 520 may control the amount and temperature of water in the bathtub by adjusting the amount of hot and cold water supplied according to the command of the bathroom controller 610.

환풍기(625)는 욕실 내에 구비된 습도 센서가 욕실 내의 습도를 측정하여, 욕실 제어장치(610)로 습도 정보를 전송하고, 욕실의 습도가 사용자가 지정한 임계값보다 높은 경우, 욕실 제어장치(610)에서 전송되는 제어 명령신호에 대응하여 동작된다.The ventilator 625 measures the humidity in the bathroom by a humidity sensor provided in the bathroom, and transmits humidity information to the bathroom controller 610, and when the humidity of the bathroom is higher than a user-specified threshold, the bathroom controller 610. It operates in response to the control command signal transmitted from).

온도센서(630)는 욕조 내의 소정의 장소에 위치하며, 욕조 내에 물이 급수되는 경우, 물의 온도를 소정의 주기로 측정하여 욕실 제어장치(610)로 전송한다.The temperature sensor 630 is located at a predetermined place in the bathtub, and when water is supplied to the bathtub, the temperature sensor 630 measures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at a predetermined cycle and transmits the temperature to the bathroom controller 610.

조명장치(635)는 온도센서(630)에서 전송한 욕조 내의 물 온도와 사용자가 지정한 물 온도의 임계값을 비교한 결과값에 대한 제어 명령을 욕실 제어장치(610)로부터 수신하여 욕조 내의 물 온도가 임계값보다 낮은 경우, 조명을 푸른 빛으로 발산하며, 욕조 내의 물 온도가 임계값보다 높은 경우, 조명을 붉은 빛으로 발산한 다. 따라서, 사용자가 욕조 내의 물에 직접 접촉하지 않고서도 물은 온도를 알 수 있다.The lighting device 635 receives a control command for the result of comparing the water temperature in the bathtub transmitted from the temperature sensor 630 with a threshold value of the water temperature specified by the user, from the bathroom controller 610 to receive the water temperature in the bathtub. Is below the threshold, emits light in blue light, and when the water temperature in the bath is above the threshold, emits light in red light. Thus, the water can know the temperature without the user directly contacting the water in the bathtub.

또한, 배수 장치(640)는 사용자가 별도의 제어명령 입력 없이 욕실에서 퇴실하는 경우, 욕실 제어장치(610)로부터 수신되는 배수 명령 신호를 수신하여 욕조 내의 물을 배수한다.In addition, when the user leaves the bathroom without a separate control command input, the drain device 640 receives the drain command signal received from the bathroom control device 610 to drain the water in the bathtub.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욕실 서비스의 흐름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단말기가 욕실 내 소정의 위치에 구비된 태그리더기 또는 욕실 제어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소정의 거리에 도달하는 경우(S605), 태그리더기 또는 욕실 제어장치가 사용자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기는 이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를 욕실 제어장치로 전송한다. 만약 태그리더기로 사용자 정보가 전송되는 경우, 태그리더기는 수신한 사용자 정보를 욕실 제어장치로 전송한다(S610).11 is a flow chart of a bathroom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illustrated in FIG. 11, when the terminal that the user carries reaches a predetermined distance that can communicate with the tag reader or the bathroom controller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bathroom (S605), the tag reader or the bathroom control The device transmits a signal for requesting user information to the user's terminal, and the user terminal transmits the corresponding user information to the bathroom control apparatus. If the user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tag reader, the tag reader transmits the received user information to the bathroom control apparatus (S610).

이후, 사용자 정보를 수신한 욕실 제어장치는 수신한 사용자 정보를 홈게이트웨이로 전송하여 사용자 인증을 요청한다. 홈게이트웨이는 이에 대응하여 사용자 정보를 통해 사용자를 인증하고, 대응되는 사용자가 허가된 사용자인 경우, 사용자의 스케줄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완료 신호를 욕실 제어장치로 전송한다.Subsequently, the bathroom controller receiving the user information transmits the received user information to the home gateway to request user authentication. In response, the home gateway authenticates the user through the user information, and when the corresponding user is an authorized user, transmits an authentication completion signal including the schedule information of the user to the bathroom control apparatus.

욕실 제어장치는 인증완료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 정보를 욕실 내에 구비된 출력장치로 출력하고(S615), 스케줄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며(S620), 사용자 스케줄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S625), 욕실 제어장치는 스케줄 정보를 획득하여(S630), 정보에 포함된 욕실 사용시간, 물의 양 및 온도 정보를 획득하고(S635) 대응되는 욕실 사용시간에 맞추어 욕조에 물을 급수한다(S640).The bathroom control device receives the authentication completion signal and outputs the user information to the output device provided in the bathroom (S615), check whether the schedule information is included (S620), if the user schedule is included (S625), bathroom The control device obtains schedule information (S630), obtains bathroom usage time, water amount and temperatur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information (S635), and supplies water to the bath in accordance with the corresponding bathroom usage time (S640).

욕조에 물을 급수하면서, 물의 온도 및 욕실 내의 습도를 체크하여 욕조 내에 구비된 조명과 욕실 내에 구비된 환풍기를 동작시켜, 물의 온도를 표시하거나 습도를 조절한다(S645).While supplying water to the bathtub,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and the humidity in the bathroom are checked to operate the lighting provided in the bathtub and the fan provided in the bathroom to display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or control the humidity (S645).

이후, 사용자가 욕실 사용을 종료하고 욕실에서 퇴장하는 경우(S650), 욕실 제어장치는 사용자 퇴장을 감지하여, 욕조 내에 급수된 물을 배수한다(S655). 만약,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배수정지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배수가 되지 않는다.Then, when the user ends using the bathroom and leaves the bathroom (S650), the bathroom controller detects the user's exit and drains the water supplied in the bathtub (S655). If the drainage stop command is input at the request of the user, the drainage is not performed.

만약 S630 단계에서 욕실 사용 예약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나, 물의 양 및 온도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사용자의 욕실 사용 패턴을 요청하는 신호를 홈게이트웨이로 전송하고(S675), 홈게이트웨이는 이에 대응되는 저장된 사용자의 욕실 사용 패턴 정보를 추출하여 전송한다. 이후 욕실 제어장치에서 사용자 패턴 정보를 수신한다(S680).If the bath use reservation information is included in step S630, but the amount and temperature information of the water is not included, a signal for requesting the user's bathroom use pattern is transmitted to the home gateway (S675), and the home gateway corresponds to this. Extracts and stores stored bathroom usage pattern information. After receiving the user pattern information in the bathroom control apparatus (S680).

욕실 제어장치는 전송된 사용자 패턴을 분석하여 사용자가 선호하는 물의 양 및 온도를 추출하여(S685) 이에 대응되는 급수 동작을 수행하며(S640), 이후 단계는 S645 단계부터 동일하다.The bathroom controller analyzes the transmitted user pattern, extracts the amount and temperature of the water preferred by the user (S685), and performs a water supply operation corresponding thereto (S640), and the subsequent steps are the same from step S645.

S625 단계에서 사용자의 스케줄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욕실 제어장치는 욕실 내에 구비된 각종 센서들에게 수집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고(S660), 각각의 센서는 이에 대응하여 수집된 정보를 욕실 제어장치로 전송한다.If the user's schedule is not included in step S625, the bathroom control unit transmits a signal for requesting collection information to the various sensors provided in the bathroom (S660), each sensor is to collect the information collected in response to the bathroom Send to the control unit.

이후, 욕실 제어장치는 전송받은 정보를 분석하여(S665), 분석된 결과를 음성 또는 영상으로 출력한다(S670).Thereafter, the bathroom control apparatus analyzes the received information (S665), and outputs the analyzed result as an audio or video (S670).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거실 서비스의 구성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게이트웨이(100)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거나 사용자가 요구하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월패드(2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사용자 정보의 인증을 통해 홈게이트웨이(100)에 저장된 사용자의 스케줄에 따라 거실 내에 구비된 정보기기로 제어 명령을 전송하기 위한 거실 제어장치(705)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다.12 is a block diagram of a living room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2, the home gateway 100 is wired or wirelessly connected to the wall pad 200 capable of receiving information from a user or outputting information required by the user, and receiving user information. Through the authentication of the received user information, the living room control device 705 for transmitting a control command to the information device provided in the living room according to the user's schedule stored in the home gateway 100 is wired or wirelessly connected.

또한, 거실 제어장치(705)는 거실의 각 구성요소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출력장치(영상 또는 음성)를 구비하여 사용자에게 제어명령 수행결과 및 각종 환경정보를 출력한다.In addition, the living room control device 705 is connected to each component of the living room by wire or wireless to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and is provided with an output device (video or audio) to output the control command execution results and various environmental information to the user do.

거실 제어장치(705)와 연결된 거실의 각 구성요소는 TV/오디오(735), 보일러(730), 조명(725), 가습기(720) 및 에어컨(715) 등이 있다.Each component of the living room connected to the living room controller 705 includes a TV / audio 735, a boiler 730, a light 725, a humidifier 720, and an air conditioner 715.

거실 제어장치(705)는 사용자가 거실로 들어오는 것을 감지하여, 홈게이트웨이(100)로 사용자 인증을 요청하고, 홈게이트웨이(100)는 요청된 사용자를 검색하여 인증 성공 신호 및 사용자의 스케줄 정보를 거실 제어장치(705)로 전송한다. 사용자가 거실로 들어오는 것을 감지하는 것은 태그리더기(710) 또는 거실 제어장치(705)이며,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단말기(150)를 인식하고, 해당 단말기(150)로 사용자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면, 사용자 단말기(150)는 이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를 전송한다.The living room control device 705 detects that the user enters the living room, requests the user authentication to the home gateway 100, and the home gateway 100 searches for the requested user to display the authentication success signal and the schedule information of the user. It transmits to the control device 705. The tag reader 710 or the living room controller 705 detects that the user enters the living room, recognizes the terminal 150 that the user carries, and transmits a signal for requesting user information to the corresponding terminal 150. If so, the user terminal 150 transmits corresponding user information.

만약, 태그리더기(710)가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는 태그리더기(710)가 수신한 사용자 정보를 거실 제어장치(705)로 전송하며, 거실 제어장치(705)는 수신 한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증 요청신호를 홈게이트웨이(100)로 전송한다.If the tag reader 710 receives user information, the tag reader 710 transmits the user information received to the living room controller 705, and the living room controller 705 includes the received user information. The user authentication request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home gateway 100.

또한, 거실 제어장치(705)에서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거실 제어장치(705)가 수신한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증 요청신호를 홈게이트웨이(100)로 전송한다.In addition, when receiving the user information from the living room control device 705, the living room control device 705 transmits a user authentication request signal including the received user information to the home gateway 100.

홈게이트웨이(100)는 사용자 인증 요청신호를 수신하고, 신호에 포함된 사용자 정보를 분석하여 허가된 사용자임을 판별한 이후, 해당 사용자가 허가된 사용자일 경우, 해당 사용자의 스케줄을 검색하여, 거실과 관련된 스케줄 정보가 있는 경우, 해당 스케줄 정보와 사용자 인증완료 정보를 포함하는 환경정보를 해당 거실 제어장치(705)로 전송한다.The home gateway 100 receives a user authentication request signal, analyzes user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ignal, and determines that the user is an authorized user. Then, when the user is an authorized user, the home gateway 100 searches for a schedule of the corresponding user. If there is related schedule information, the environment information including the schedule information and user authentication comple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living room control device 705.

거실 제어장치(705)는 홈게이트웨이(100)로부터 전송된 스케줄 정보를 분석하고 스케줄에 분석하여 거실에 구비된 각각의 정보기기들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수행한다.The living room control device 705 analyzes the schedul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home gateway 100, analyzes the schedule information, and performs a command for controlling each information device provided in the living room.

만약, 사용자의 스케줄 정보에 TV 시청 또는 음악감상이 있는 경우, 해당되는 TV/오디오(735)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호하는 채널 또는 음악을 재생한다.If the schedule information of the user includes watching TV or listening to music, the corresponding TV / audio 735 is controlled to play a channel or music preferred by the user.

또한, 사용자가 인증되는 경우, 사용자가 선호하는 온도에 맞추어 보일러(730)의 온도를 조정하거나, 거실 조명(725)의 조도를 조정하고, 사용자의 선호에 따라 거실 내에 구비된 가습기(720)를 이용하여 거실 내의 습도를 조정한다. 또한, 거실 내의 기온이 높은 경우 에어컨(715)을 동작시킨다.In addition, if the user is authenticated, adjust the temperature of the boiler 730 according to the user's preferred temperature, or adjust the illuminance of the living room lighting 725, the humidifier 720 provided in the living room according to the user's preference To adjust the humidity in the living room. In addition, when the temperature in the living room is high, the air conditioner 715 is operated.

거실 제어장치(705)는 TV/오디오(735), 보일러(730), 조명기기(725), 가습 기(720) 및 에어컨(715) 등의 기기 등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제어 명령을 송수신하며, PLM(Power Line Management)을 이용하여 각각 기기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The living room controller 705 is connected to devices such as a TV / audio 735, a boiler 730, a lighting device 725, a humidifier 720, and an air conditioner 715 and the like to transmit and receive a control command. The power of each device can be controlled using PLM (Power Line Management).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거실 서비스의 흐름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단말기가 거실 내 소정의 위치에 구비된 태그리더기 또는 거실 제어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소정의 거리에 도달하는 경우(S705), 태그리더기 또는 거실 제어장치가 사용자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기는 이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를 거실 제어장치로 전송한다. 만약 태그리더기로 사용자 정보가 전송되는 경우, 태그리더기는 수신한 사용자 정보를 거실 제어장치로 전송한다.13 is a flowchart of a living room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3, when the terminal that the user carries reaches a predetermined distance that can communicate with the tag reader or the living room control device provided at a predetermined location in the living room (S705), the tag reader or the living room control The device transmits a signal for requesting user information to the user's terminal, and the user terminal transmits the corresponding user information to the living room control device. If the user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tag reader, the tag reader transmits the received user information to the living room control device.

이후, 사용자 정보를 수신한 거실 제어장치는 수신한 사용자 정보를 홈게이트웨이로 전송하여 사용자 인증을 요청한다(S710). 홈게이트웨이는 이에 대응하여 사용자 정보를 통해 사용자를 인증하고, 대응되는 사용자가 허가된 사용자인 경우, 사용자의 스케줄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완료 신호를 거실 제어장치로 전송한다.Thereafter, the living room control device receiving the user information transmits the received user information to the home gateway to request user authentication (S710). In response, the home gateway authenticates the user through the user information, and when the corresponding user is an authorized user, the home gateway transmits an authentication completion signal including the schedule information of the user to the living room control device.

거실 제어장치는 인증완료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 정보를 거실 내에 구비된 출력장치로 출력하고, 스케줄 정보를 검색하여(S715), 스케줄 정보에 사용자 스케줄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S720), 거실 제어장치는 스케줄 정보를 획득하고 스케줄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의 기기제어 정보를 패턴학습에 사용할 것인지의 여부를 사용자에게 요청한다(S735). 사용자에 의해 입력 장치에 사용자 패턴을 저장하고자 하는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사용자 스케줄에 대응되는 기기제어 명령 정보를 홈게이 트웨이로 저장하고(S740), 스케줄 정보에 대응되는 기기의 제어 명령신호를 생성한다(S745). 이후, 생성된 기기의 제어 명령신호를 대응되는 기기로 전송한다(S750).The living room control device receives the authentication completion signal and outputs the user information to the output device provided in the living room, and retrieves the schedule information (S715), when the user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schedule information (S720), the living room control device The schedule information is acquired and a user is requested whether or not to use the device control information of the user included in the schedule information for pattern learning (S735). When a signal for storing a user pattern is input to the input device by the user, the device control comman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 schedule is stored as the home gateway (S740), and the control command signal of the device corresponding to the schedule information is generated. (S745). Thereafter, the control command signal of the generated device is transmitted to the corresponding device (S750).

S735 단계에서 사용자 패턴의 저장을 요청하지 않는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사용자 패턴을 저장하지 않고, 사용자 스케줄에 대응되는 기기제어 명령신호를 생성한다(S745). 이후, 생성된 기기의 제어 명령신호를 대응되는 기기로 전송한다(S750).When a signal not requesting the storage of the user pattern is input in step S735, the device control command signal corresponding to the user schedule is generated without storing the user pattern (S745). Thereafter, the control command signal of the generated device is transmitted to the corresponding device (S750).

S720 단계에서 홈게이트웨이로부터 전송된 정보에 사용자 스케줄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거실 제어장치는 패턴 검색을 할 것인지를 여부를 묻는 신호를 출력장치를 통해 사용자에게 출력하며(S725), 사용자가 입력장치에 패턴검색을 요청하는 신호를 입력하는 경우, 거실 제어장치는 홈게이트웨이에 저장된 사용자 패턴 중에서 해당 사용자가 거실에서 선호하는 행동 패턴을 추출하여 이에 대응되는 기기제어 명령신호를 생성하고(S730), 생성된 기기의 제어 명령신호를 대응되는 기기로 전송한다(S750).If the user schedule is not included in th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home gateway in step S720, the living room control device outputs a signal to the user through the output device asking whether to search for a pattern (S725), the user input device In the case of inputting a signal for requesting a pattern search, the living room controller extracts a user's preferred behavior pattern from the user pattern stored in the home gateway and generates a device control command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S730). The control command signal of the device is transmitted to the corresponding device (S750).

만약, S725 단계에서 사용자가 패턴 검색을 요청하지 않는 경우, 거실 제어장치는 아무런 명령을 수행하지 않는다.If the user does not request a pattern search in step S725, the living room controller does not perform any command.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as described above, it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ll be possible.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의 정보 공유를 통해 사용자의 스케줄 및 패턴에 따라 능동적으로 홈네트워크에 연결된 각 기기들을 능동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there is an effect that can actively operate each device actively connected to the home network according to the user's schedule and pattern through the user's information sharing.

또한, 본 발명은 홈게이트웨이와 연결된 월패드를 이용하여 사용자 스케줄을 입력하는 경우, 사용자 스케줄 정보에 따라 가정 내에 구비된 정보기기들을 제어할 수 있어, 별도의 제어명령이 필요없이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when the user schedule is input using a wall pad connected to the home gateway,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ol the information devices provided in the home according to the user schedule information, so that the device can be controlled without a separate control command. It has an effect.

Claims (6)

사용자 위치에 기반한 기기제어 방법에 있어서,In the device control method based on the user location,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판단하는 제1단계;A first step of determining a location of the user; 상기 사용자의 스케줄 정보를 확인하는 제2단계;A second step of checking schedule information of the user; 상기 사용자의 스케줄이 저장된 경우, 상기 스케줄에 따라 기기제어 명령을 수행하는 제3단계; 및Performing a device control command according to the schedule when the schedule of the user is stored; And 상기 기기제어 명령을 수행한 이후, 수행된 결과를 저장하는 제4단계A fourth step of storing the performed result after executing the device control command 를 포함하는 기기제어 기반 사용자 중심의 지능형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서비스 방법.Device control-based user-oriented intelligent home network system service method comprising a.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3단계에서 사용자의 스케줄이 저장되지 않은 경우, 학습된 사용자의 선호도에 따라 기기제어 명령을 수행하는 단계If the user's schedule is not stored in the third step, performing a device control command according to the learned user's preference 를 더 포함하는 기기제어 기반 사용자 중심의 지능형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서비스 방법.Device control-based user-oriented intelligent home network system service method further comprising a. 제 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사용자의 스케줄은 상기 홈게이트웨이에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사용자 스케줄에 대응되는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 신호가 해당 기기의 제어부로 전송되는 기기제어 기반 사용자 중심의 지능형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서비스 방법.The schedule of the user is stored in the home gateway, and a command signal for controlling a device corresponding to the user schedule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of the device control-based user-centered intelligent home network system service metho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step 사용자를 인식하기 위한 인식신호의 강도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식별하는 기기제어 기반 사용자 중심의 지능형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서비스 방법.Device control-based user-oriented intelligent home network system for identifying the location of the user according to the strength of the recognition signal for recognizing the user.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인식신호는 상기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제어 기반 사용자 중심의 지능형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서비스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recognition signal is a signal for performing user authentication through a terminal possessed by the user. 제 5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상기 사용자 인증은 상기 단말기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상기 홈게이트웨이로 전송하여 이루어지는 기기제어 기반 사용자 중심의 지능형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서비스 방법.The user authentication is a device control-based user-oriented intelligent home network system service method that is performed by transmitting the user information stored in the terminal to the home gateway.
KR1020060116709A 2006-11-24 2006-11-24 A service method of the intelligence type home network system for the user of an equipment control base KR2008004696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6709A KR20080046964A (en) 2006-11-24 2006-11-24 A service method of the intelligence type home network system for the user of an equipment control ba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6709A KR20080046964A (en) 2006-11-24 2006-11-24 A service method of the intelligence type home network system for the user of an equipment control bas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6964A true KR20080046964A (en) 2008-05-28

Family

ID=39663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6709A KR20080046964A (en) 2006-11-24 2006-11-24 A service method of the intelligence type home network system for the user of an equipment control bas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46964A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79873A (en) * 2015-01-27 2015-04-29 三星电子(中国)研发中心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intelligent home equipment
WO2019078469A1 (en) * 2017-10-19 2019-04-25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and service providing method therefor
WO2019132052A1 (en) * 2017-12-26 2019-07-04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for controlling related device on basis of operation situation, and schedule bot and server for controlling said apparatus
WO2019235810A1 (en) * 2018-06-08 2019-12-12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extual expansion between iot devices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79873A (en) * 2015-01-27 2015-04-29 三星电子(中国)研发中心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intelligent home equipment
CN104579873B (en) * 2015-01-27 2017-09-22 三星电子(中国)研发中心 The method and system being controlled to intelligent home device
WO2019078469A1 (en) * 2017-10-19 2019-04-25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and service providing method therefor
KR20190043940A (en) * 2017-10-19 2019-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apparatus and service providing method thereof
WO2019132052A1 (en) * 2017-12-26 2019-07-04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for controlling related device on basis of operation situation, and schedule bot and server for controlling said apparatus
US11310068B2 (en) 2017-12-26 2022-04-19 Lg Electronics Inc. Device of controlling related device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on operation situation, schedule bot and server controlling thereof
WO2019235810A1 (en) * 2018-06-08 2019-12-12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extual expansion between iot devic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659179B (en) Device and method for interacting with HVAC controller
US7925383B2 (en) Building management system controlling HVAC based on received HVAC, door, lighting, and occupancy states
CN105182767B (en) A kind of intelligent home furnishing control method, control device and control system
KR100640064B1 (en) Method of controlling numerous home devices using single controller and system thereof
KR101014993B1 (en) The system which integrated controls the multi housing
KR101654040B1 (en) Device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setting electrical appliances using user&#39;s input of step pattern and method thereof
CN10485481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evices in home network system
CN105487396A (en) Method and device of controlling smart home
CN105137771A (en) Intelligent household appliance control system and method based on mobile terminal
KR20080046964A (en) A service method of the intelligence type home network system for the user of an equipment control base
CN204832939U (en) Intelligence house controlling means and control system
CN110119093A (en) A kind of intelligent home furnishing control method, terminal and storage medium
JP2011004424A (en) Control system, control device, and program for control device
CN106056085A (en) Gesture recognition method, gesture recognition device and equipment
KR100754521B1 (en) Home network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therein
CN110147047A (en) Smart home device screening technique, device, computer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10422712A (en) Elevator management method, system and equipment
KR101239526B1 (en)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homeappliances using rfid and zigbee and system thereof
KR100892997B1 (en) Ubiquitous home network system and audio service and illumination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KR20200126501A (en) Automatic enterance system for apartmet house
KR20060027728A (en) Remote appliance control system and method in using robot cleaner
CN106547214A (en) A kind of intelligent vehicle in-ou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KR101839267B1 (en) Settop terminal, application for settop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of server
KR20200116285A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00094845A (en) Server,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managing home appli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