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5489A - 콘텐츠 전달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콘텐츠 전달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5489A
KR20080045489A KR20060114679A KR20060114679A KR20080045489A KR 20080045489 A KR20080045489 A KR 20080045489A KR 20060114679 A KR20060114679 A KR 20060114679A KR 20060114679 A KR20060114679 A KR 20060114679A KR 20080045489 A KR20080045489 A KR 200800454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user mobile
mobile communication
information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60114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21013B1 (ko
Inventor
장재석
전석천
최병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KR20060114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1013B1/ko
Publication of KR200800454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54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1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1013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텐츠 전달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무선 인터넷을 통하여 필요한 데이터를 용이하게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콘텐츠 전달 서비스의 대상이 되는 콘텐츠를 선별하기 위한 기준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선별 기준에 부합되는 콘텐츠 데이터를 콘텐츠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수집한 다음,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에게 상기 수집된 콘텐츠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준비가 진행되도록 요청하는 호출 메시지를 전송하고,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호출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다운로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후,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로 상기 수집된 콘텐츠를 전송한다.
이동통신 단말기, 콘텐츠, 다운로드

Description

콘텐츠 전달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tents delivery servic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전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들간의 상호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전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사전 준비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해당 콘텐츠 데이터를 적합한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전달 서비스 장치가 콘텐츠 데이터를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전달 서비스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전달 서비스 장치가 콘텐츠 데이터를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콘텐츠 전달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무선 인터넷을 통하여 필요한 데이터를 용이하게 제공받을 수 있는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 또는 인트라넷 기술이 혁신적으로 개발되면서 전자상거래 및 각종 상업광고 등과 같은 일반 자료뿐만 아니라 음악, 뉴스, 동영상과 같은 다양한 콘텐츠를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을 통하여 용이하게 송수신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컨텐츠 자료는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말미암아 데이터의 양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말미암아 사용자가 필요로하는 콘텐츠를 발견하기가 어렵게 되어, 사용자 스스로 콘텐츠를 검색하고 수집하는데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최근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기술의 발전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실행할 수 있는 콘텐츠의 종류가 증가하면서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들에 있어서도 다양한 콘텐츠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이러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들의 수도 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이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는 일반 개인용 컴퓨터(PC)와 데이터통신케이블을 이용한 유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PC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를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거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직접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여 필요한 콘텐츠를 제공받는 방법이 있다. 이때, 유선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방법은 초기에 이용되던 방법으로서, PC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필요한 콘텐츠 데이터를 검색하여 수집한 다음, 별도의 작업을 거쳐 전송하여야 한다는 불편이 있다.
그에 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로 직접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여 콘텐츠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는 방법은 사용자가 필요한 콘텐츠를 검색하고 나면, 상기 콘텐츠를 쉽게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로 접속할 수 있는 무선 인터넷은 속도 및 비용에 한계가 있어, 사용자가 장시간에 걸쳐 필요한 콘텐츠를 검색하고 다운로드하는 방법에 적용하기에는 현실적이지 못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무선 인터넷을 통하여 필요한 데이터를 용이하게 제공받을 수 있는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콘텐츠 전달 서비스 방법은,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콘텐츠 전달 서비스의 대상이 되는 콘텐츠를 선별하기 위한 기준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는 제 1단계;
상기 선별 기준에 부합되는 콘텐츠 데이터를 콘텐츠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수집하는 제 2단계;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에게 상기 제 2단계에서 수집된 콘텐츠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준비가 진행되도록 요청하는 호출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 3단계;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호출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다운로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제 4단계;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로 상기 제 2단계에서 수집된 콘텐츠를 전송하는 제 5단계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콘텐츠 전달 서비스 장치는,
콘텐츠 전달 서비스를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에게 제공하는데 필요한 서비스 정보를 저장하고, 또한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하기 위하여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집된 콘텐츠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달된 콘텐츠 선별 기준에 부합되는 콘텐츠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전달 서비스를 개시할 것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를 개시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에게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는 준비가 진행되도록 요청하는 호출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어 서버; 및,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다운로드 요청이 있으면 해당 콘텐츠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사용자가 정당한 사용자인지 여부에 대한 인증을 행하며, 또한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과 통신하여 해당 콘텐츠 데이터의 다운로드 작업을 수행하는 다운로드 서버로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전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들간의 상호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물론 상기 과정은 상술한 구성 이외에 다른 구성이 포함될 수 있으나, 도 1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필요한 구성만을 도시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전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은 서비스 제공자(100),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00), 콘텐츠 전달 서비스 장치(300) 및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400)을 포함하고 있다.
서비스 제공자(100)는 상기 콘텐츠 전달 서비스 장치(300)를 통하여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400)에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전달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자(100)는 뉴스, 음악, 동영상 등과 같은 콘텐츠들 중에서 사용자가 제공하는 서비스 내용에 부합되는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고 관리하면서, 상기 콘텐츠 중에서 각 사용자가 상기 콘텐츠 전달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기준을 선택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예컨대 서비스 제공자(100)가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400)로 제공할 수 있는 콘텐츠에 대한 전체 또는 카테고리 목록을 제공하여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400)의 사용자가 직접 필요한 콘텐츠를 선택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거나 콘텐츠 이용에 관한 선별기준을 미리 생성하여 이를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400)에 제공한다. 이때, 이에 대한 응답으로부터 상기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400)이 제공받을 콘텐츠에 대한 선택 기준에 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며, 이렇게 수집된 정보는 콘텐츠 전달 서비스 장치(300)에게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콘텐츠가 음악 콘텐츠이고, 서비스 제공자(100)가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400)의 사용자에게 선별된 음악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전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에, 서비스 제공자(100)는 전체 음악 콘텐츠 목록이나 장르 또는 가수 등과 같은 카테고리별로 정리된 목록을 제공하여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400)의 사용자가 직접 필요한 콘텐츠를 선택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거나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400)로 제공되는 음악 콘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선별기준, 예컨대 '주간 인기가요 베스트 10' 또는 '오늘의 추천 음악' 과 같은 형태의 선별기준을 생성하여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400)로 제공한다.
상기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00)는 본 발명의 콘텐츠 전달 서비스에 따라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400)로 제공되는 콘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로서, 뉴스, 음악, 동영상 등과 같은 다양한 콘텐츠 데이터들이 저장되어 있다. 이러한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100)에 의하여 생성되거나 또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100)와는 무관하게 별도로 독립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는데, 서비스 제공자(100)는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 중에서 본 발명의 콘텐츠 전달 서비스 내용에 부합되는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수집, 관리하여 이용함으로써 콘텐츠 전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콘텐츠 전달 서비스 장치(300)는 서비스 제공자(100)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따라 상기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400) 각각에 대하여 콘텐츠 선별기준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콘텐츠 선별기준에 기초하여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00)로부터 해당 콘텐츠를 수집하여 선별한 다음,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400)에게 제공한다. 이때 상기 콘텐츠 전달 서비스 장치(300)는 상기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400)이 상기 콘텐츠 전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사용자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인증을 행한 다음, 정당한 사용자의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400)에 대해서만 상기 선별기준에 부합되는 콘텐츠 데이터를 전송한다.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400)는 서비스 제공자(100)가 제공하는 콘텐츠 전달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콘텐츠 선별기준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여 콘텐츠 전달 서비스 장치(300)에게 제공하고, 상기 설별기준에 따라 선별된 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콘텐츠 전달 서비스 장치(300)로부터 제공받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400)는 휴대폰, PDA 등과 같이 개인이 언제 어디서나 소지할 수 있도록 소형 및 경량화된 무선 통신 기기를 말하는 것으로, 기본적으로, 이동통신망을 통한 데이터 및 음성 신호의 송수신을 수행하는 송/수신 수단과, 프로그램된 제어 절차에 따라서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 과,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싱을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과, 상기 제어 수단의 제어에 따라서 동작 상태별 화면 및 안내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 수단을 구비하고, 브라우저 혹은 특정 용도의 애플리케이션이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전달 서비스가 제공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전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사전 준비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서비스 제공자(100)는 콘텐츠 전달 서비스에 관한 정보(이하, '서비스 정보'라 한다)를 콘텐츠 전달 서비스 장치에게 제공하면서 상기 정보에 의하여 특정되는 콘텐츠 전달 서비스에 대한 개시 요청을 행한다(S200).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서비스 개시 요청과 함께 제공되는 서비스 정보는, 서비스 가입자 정보, 서비스의 대상이 되는 콘텐츠 정보 및 콘텐츠 데이터베이스의 위치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정보는 서비스 제공자(100)가 서비스 가입자인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400)에게 제공하는 콘텐츠를 선별하기 위한 선별기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S200단계의 서비스 개시요청을 전달받은 콘텐츠 전달 서비스 장치(300)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100)로부터 제공받은 서비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400)을 확인한 다음, 서비스에 가입한 것으로 확인된 정당한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400)에게 콘텐츠 선별 기준에 관한 정보를 요청한다(S201). 이때 상기 콘텐츠 선별 기준은 각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400)이 상기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들 중에서 상기 콘텐츠 전달 서비스를 통하여 전달받고자 하는 콘텐츠를 선별해내기 위한 기준이다.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S201단계에서 콘텐츠 전달 서비스 장치(300)는 콘텐츠 선별 기준에 관한 정보를 요청하면서, 상기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400)의 사용자가 기준을 선택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거나, 콘텐츠 이용에 관한 선별기준을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400)의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형태로 미리 생성하여, 이를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400)에 제공한다.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는 실시예에서, 상기 S200단계와 S201단계 사이에, 상기 서비스 제공자(100)로부터 제공받은 서비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비스에 가입되지 않은 것으로 사용된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하여, 서비스에 관한 안내 정보를 제공한 다음, 상기 서비스에 새로이 가입하는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400)에 관한 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서비스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콘텐츠 전달 서비스 장치(300)는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400)로부터 콘텐츠 선별 기준 정보를 제공받는다(S202). 이는 상기 S201단계의 요청에 따른 응답 형태로 제공받을 수 있다. 이렇게 제공된 콘텐츠 선별 기준 정보는 별도의 저장장치에 저장되거나 상기 서비스 제공자(100)로부터 제공받은 서비스 정보에 추가적으로 저자장된다(203).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해당 콘텐츠 데이터를 적합한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 기로 제공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콘텐츠 전달 서비스 장치(300)는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400)로부터 전달받은 콘텐츠 선별 기준을 참조하여 각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400)에게 바람직한 콘텐츠 데이터를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00)에서 검색한다(S300). 상기 검색 결과 해당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400)의 콘텐츠 선별 기준에 부합되는 콘텐츠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콘텐츠를 상기 S300단계의 검색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콘텐츠 전달 서비스 장치(300)로 전달한다(S301).
다음으로, 콘텐츠 전달 서비스 장치(300)는 해당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400)에게 호출 메시지(wakeup message)를 전송한다(S302). 상기 호출 메시지는 상기 콘텐츠 전달 서비스 장치(300)로부터 해당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400)로 전달할 콘텐츠가 있음을 알리고, 상기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400)에게 상기 콘텐츠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준비가 진행되도록 요청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호출 메시지를 전달받은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400)는 상기 메시지를 분석한 다음, 상기 S302단계에서 전달된 메시지가 콘텐츠 다운로드와 관련된 메시지인 것으로 확인되면 콘텐츠 전달 서비스 장치(300)로 콘텐츠 다운로드를 요청한다(S303).
상기 S303단계의 콘텐츠 다운로드 요청을 수신한 콘텐츠 전달 서비스 장치는 상기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400)의 사용자가 상기 서비스 제공자(100)가 제공하는 서비스의 가입자인지 여부에 대한 인증을 행한다(S304). 상기 인증 결과 정당한 사용자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400)에게 적합한 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400)에게 제공하고(S305), 다운로드가 완료되었다는 응답을 제공받는다(S306).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전달 서비스 장치가 콘텐츠 데이터를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흐름도는 도 2에 나타낸 준비과정이 완료된 이후의 과정을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전달 서비스 장치(300)는 데이터테이스 서버(310), 제어 서버(320) 및 다운로드 서버(3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도 4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전달 서비스 장치(300)는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400)과 같은 외부 장치와의 데이터 또는 메시지 송수신을 담당하는 인터페이스 서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제어 서버(320)는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400)로부터 전달된 콘텐츠 선별 기준에 부합되는 콘텐츠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전달 서비스를 개시할 것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400).
상기 S400단계의 확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전달 서비스를 개시하는 경우에는 상기 콘텐츠 전달 서비스 장치(300)의 제어 서버(320)는 해당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400)에게 호출 메시지(wakeup message)를 전송한다(S401). 이때, 상기 메시지는 상기 콘텐츠 전달 서비스 장치(300)로부터 해당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400)로 전달할 콘텐츠가 있음을 알리고, 상기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400)이 상기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는 준비가 진행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호출 메시지를 전달받은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400)는 상기 메시지를 분석한 다음, 상기 S401단계에서 전달된 메시지가 콘텐츠 다운로드와 관련된 메시지인 것으로 확인되면 콘텐츠 전달 서비스 장치(300)의 다운로드 서버(330)로 콘텐츠 다운로드를 요청한다(S303).
상기 S303단계의 콘텐츠 다운로드 요청을 수신한 다운로드 서버(330)는 상기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400)에게 제공한 콘텐츠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고(S403), 다음으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서비스 제공자(100)가 제공하는 서비스의 가입자인지 여부에 대한 인증을 행한다(S404). 상기 인증 결과 정당한 사용자인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다운로드 서버(330)는 데이터베이스 서버(310)에게 상기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400)에게 제공할 콘텐츠 데이터를 제공하여 줄 것을 요청하고(S405), 이에 대한 응답으로 콘텐츠 데이터(406)를 제공받는다.
다음으로, 상기 다운로드 서버(330)는 다운로드 디스크립션 정보를 메시지 형태로 작성한 다음(S407), 이를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400)에게 제공하면(S408),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은 상기 디스크립션 정보를 참조하여 다운로드 서버(330)에게 콘텐츠 데이터를 요청한다(S409). 상기 요청을 접수한 다운로드 서버(330)는 해당 콘텐츠 데이터를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400)에게 제공하고(S410), 이에 대한 응답을 접수하여(S411), 데이터베이스 서버(S412)에게 제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전달 서비스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전달 서비스 장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310), 제어 서버(320), 다운로드 서버(330) 및 인터페이스 서버(3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310)는, 상기 콘텐츠 전달 서비스를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에게 제공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하기 위하여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집된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하기 전에 저장한다.
상기 제어 서버(320)는,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400)로부터 전달된 콘텐츠 선별 기준에 부합되는 콘텐츠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전달 서비스를 개시할 것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를 개시하는 경우에는 상기 콘텐츠 전달 서비스 장치(300)의 제어 서버(320)는 해당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400)에게 호출 메시지(wakeup message)를 전송한다. 이때, 상기 메시지는 상기 콘텐츠 전달 서비스 장치(300)로부터 해당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400)로 전달할 콘텐츠가 있음을 알리고, 상기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400)이 상기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는 준비가 진행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다운로드 서버(330)는,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다운로드 요청이 있으면 해당 콘텐츠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사용자가 정당한 사용자인지 여부에 대한 인증을 행하며, 또한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과 통신하여 해당 콘텐츠 데이터의 다운로드 작업을 수행한다.
상기 인터페이스 서버(340)는, 상기 콘텐츠 전달 서비스 장치가 서비스 제공자,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또는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과 같이 콘텐츠 전달 서비스 장치의 외부에 존재하는 장치들과 데이터 또는 메시지 교환을 담당한다.
이때,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는 실시예에서, 상기 콘텐츠 전달 서비스 장치는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콘텐츠 선별기준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정보 및 각각의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제공받은 콘텐츠 선별기준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에게 제공할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데이터베이스에서 각각 검색하는 개인화 엔진(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6을 통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전달 서비스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전달 서비스 장치가 콘텐츠 데이터를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때, 도 6에 도시된 흐름도는 도 2에 나타낸 준비과정이 완료된 이후의 과정을 나타낸다.
먼저, 콘텐츠 다운로드는 제어서버(320)에서 푸쉬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시작된다. 이는 제어서버(320)의 메시지 전송 데몬이 데이터베이스 서버(310)에 저장되어 있는 전송 대상 테이블에서 상기 서비스의 대상에 관한 데이터를 가져온 다음, 이에 기초하여 네트워크를 통하여 푸쉬 메시지를 전송하고(1), 상기 메시지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호출 메시지(WakeUp message) 형태로 사용자 단말(400)의 어플 리케이션에게 제공된다(2).
호출 메시지를 수신한 어플리케이션은, 라이브러리의 인터페이스 모듈을 호출하고(3), 인터페이스 모듈은 상기 메시지를 큐에 저장한다(4). 다음으로 메시지 파서가 상기 큐에서 차례대로 메시지를 가져와서 받은 메시지 데이터를 파싱한다(5). 이때, 상기 메시지 타입이 다운로드인 경우에는 콘텐츠 다운로드 요청을 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서는 다운로드 서버(330)에 접속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메시지 파서는 다운로드 모듈을 호출하고(6), 다운로드 모듈은 네트워크 모듈을 통하여 상기 다운로드 서버(330)에게 콘텐츠 다운로드 요청을 행한다(7).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다운로드 모듈은 상기 콘텐츠 다운로드 요청을 WICGS(Wireless Contents Gateway System)를 통하여 행하고(8), 상기 요청은 다운로드 서버(330)의 통신 게이트웨이(통신 G/W)에 있는 소켓(SOCKET)으로 전송된 다음(9), WICGS 파서에 의하여 파싱된다(10). WICGS 파서는 WICGS 해더값을 파싱하여 필요한 데이터 항목을 뽑아낸다.
다음으로, 인증 모듈은 상기 통신 게이트웨이에서 얻어진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증을 행한다(11). 이때,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외부에 존재하는 인증 서버에서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가 정상 사용자인지 여부, 일시정지/해지, 법인 사용자, 선불사용자, 지능망 선불 등의 단말 사용자 인증을 행하고,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 모델 정보(고객 구분 코드, 이동통신 단말기 모델명, Poly정보, 컬러 정보 등을 확인하고(12), 상기 다운로드 요청을 행한 사용자가 해당 채널에 가입되어 있는 사용자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310)에 저장되어 있는 채널 가입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면, 다운로드 모듈을 호출하여 해당 콘텐츠 데이터를 요청한다(13). 이에, 상기 다운로드 모듈은 데이터베이스 모듈(DB 모듈) 및 콘텐츠 모듈을 호출하여 데이터베이스 서버(310)에 저장된 콘텐츠 데이터를 수집한다(14, 15). 이때, 콘텐츠 파일은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310)와 별도로 존재하는 저장장치인 NAS(Network Attached Storage)로부터 수집할 수 있다.
콘텐츠 파일이 수집되고 나면, 다운로드 모듈은 콘텐츠 파일 정보에 기초하여 다운로드 디스크립션 정보를 구성한 다음, 이것이 사용자 단말(400)에 제공되도록 통신 게이트웨이에게 제공한다(16). 통신 게이트웨이는 상기 다운로드 디스크립션 정보를 WICGS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한다(17, 18).
다운로드 디스크립션 정보를 제공받은 사용자 단말(400)의 네트워크 단말은 이를 파일 모듈 및 다운로드 모듈에게 제공하고(19, 20), 다운로드 모듈은 상기 다운로드 디스크립션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다운로드 서버(330)로 콘텐츠 다운로드 요청을 행한다(20). 상기 요청은 상기 네트워크 모듈 및 WICGS를 통하여 다운로드 서버(330)에게 전달되고, 다운로드 서버(330)의 다운로드 모듈은 해당 콘텐츠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400)에게 제공한다. 사용자단말(400)은 상기 제공된 콘텐츠 파일을 네트워크 모듈을 거쳐 다운로드 모듈로 제공하고(20), 다운로드 모듈은 이를 인터페이스 모듈을 거쳐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한다(21, 22).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필요한 콘텐츠 데이터를 직접 무선 인터넷을 통하여 검색하고 수집하지 않아도, 용이하게 제공받을 수 있다.

Claims (12)

  1.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콘텐츠 전달 서비스의 대상이 되는 콘텐츠를 선별하기 위한 기준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는 제 1단계;
    상기 선별 기준에 부합되는 콘텐츠 데이터를 콘텐츠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수집하는 제 2단계;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에게 상기 제 2단계에서 수집된 콘텐츠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준비가 진행되도록 요청하는 호출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 3단계;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호출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다운로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제 4단계;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로 상기 제 2단계에서 수집된 콘텐츠를 전송하는 제 5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콘텐츠 전달 서비스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 이전에,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콘텐츠 전달 서비스에 관한 정보화 함께 상기 정보에 의하여 특정되는 콘텐츠 전달 서비스에 대한 개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서비스에 가입한 것으로 확인된 정당한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에게 콘텐츠 선별 기준에 관한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전달 서비스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정보는, 서비스 가입자 정보, 서비스의 대상이 되는 콘텐츠 정보 및 콘텐츠 데이터베이스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전달 서비스 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정보는, 서비스 제공자가 서비스 가입자인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에게 제공하는 콘텐츠를 선별하기 위한 선별기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전달 서비스 방법.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에 가입되지 않은 것으로 사용된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하여, 서비스에 관한 안내 정보를 제공한 다음, 상기 서비스에 새로이 가입하는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서비스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전달 서비스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에서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제공된 콘텐츠 선별 기준 정보는 별도의 저장장치에 저장되거나 상기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제공받은 서비스 정보에 추가적으로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전달 서비스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4단계는 상기 호출 메시지를 전달받은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이 상기 메시지를 분석한 다음, 상기 메시지가 콘텐츠 다운로드와 관련된 메시지인 것으로 확인되면 콘텐츠 전달 서비스 장치로 콘텐츠 다운로드를 요청하는 과정을 통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전달 서비스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5단계는,
    다운로드 디스크립션 정보를 메시지 형태로 작성하여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에게 제공하는 단계;
    상기 디스크립션 정보를 참조한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콘텐츠 데이터를 요청받는 단계; 및,
    상기 요청에 따라 해당 콘텐츠 데이터를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통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전달 서비스 방법.
  9.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은 이동통신 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전달 서비스 방법.
  10. 콘텐츠 전달 서비스를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에게 제공하는데 필요한 서비스 정보를 저장하고, 또한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하기 위하여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집된 콘텐츠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달된 콘텐츠 선별 기준에 부합되는 콘텐츠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전달 서비스를 개시할 것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를 개시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에게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는 준비가 진행되도록 요청하는 호출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어 서버; 및,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다운로드 요청이 있으면 해당 콘텐츠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사용자가 정당한 사용자인지 여부에 대한 인증을 행하며, 또한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과 통신하여 해당 콘텐츠 데이터의 다운로드 작업을 수행하는 다운로드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전달 서비스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콘텐츠 전달 서비스 장치가 서비스 제공자,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또는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과 같이 콘텐츠 전달 서비스 장치의 외부에 존재하는 장치들과 데이터 또는 메시지 교환을 담당하는 인터페이스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전달 서비스 장치.
  12. 제 10항에 있어서,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콘텐츠 선별기준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정보 및 각각의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제공받은 콘텐츠 선별기준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에게 제공할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데이터베이스에서 각각 검색하는 개인화 엔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전달 서비스 장치.
KR20060114679A 2006-11-20 2006-11-20 콘텐츠 전달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09210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114679A KR100921013B1 (ko) 2006-11-20 2006-11-20 콘텐츠 전달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114679A KR100921013B1 (ko) 2006-11-20 2006-11-20 콘텐츠 전달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5489A true KR20080045489A (ko) 2008-05-23
KR100921013B1 KR100921013B1 (ko) 2009-11-12

Family

ID=39662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60114679A KR100921013B1 (ko) 2006-11-20 2006-11-20 콘텐츠 전달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10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3662B1 (ko) * 2008-10-21 2014-09-23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컨텐츠 다운로드시 다운로드 디스크랩터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3672B1 (ko) * 2004-09-20 2007-05-3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맞춤형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706896B1 (ko) * 2004-11-03 2007-04-1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맞춤형 컨텐츠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3662B1 (ko) * 2008-10-21 2014-09-23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컨텐츠 다운로드시 다운로드 디스크랩터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1013B1 (ko) 2009-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30668B2 (en) Managing differences in user devices when sharing content on mobile devices
US7664802B2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a characteristic of a set of data accessible via a link specifying a network location
US7849135B2 (en) Sharing content on mobile devices
CN101606371B (zh) 内容发布管理装置、通信终端、程序以及内容发布系统
US20020147687A1 (en) Method and computer system for program recording service
KR100725541B1 (ko) 일체형 포탈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사용자단말장치
US20070067400A1 (en) User matching server, user matching method and user matching program
US20080261562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Bidirectional Message Communication Services with Portable Terminals
CN105611422B (zh) 基于多媒体榜单的在线直播方法及装置
US9143552B2 (en) Dynamic profile management based on transport detection
RU2357298C1 (ru) Способ доставки целевой рекламы и/или информации и система для осуществления способа
US20070130211A1 (en) System and method for downloading contents to mobile terminal
KR100921013B1 (ko) 콘텐츠 전달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0433531B1 (ko) 사용자 개인 정보 데이터 관리 방법, 사용자 개인 정보 데이터 관리 컴퓨터 및 기록매체
KR10081239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관리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장치
KR100431594B1 (ko) 인터넷을 통한 무선컨텐츠 접속 방법 및 시스템
KR100587158B1 (ko) 무선 인터넷에서 자동 인증 방법 및 그 장치
KR100590699B1 (ko) 최신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와 함께 컨텐츠를 제공하는방법 및 시스템
CN116708948A (zh) 一种基于iptv增值业务场景下的集约订购方法
US20070124808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bi-directional communication service
KR20020074333A (ko) 무선 단말기에 대한 정보제공 방법
KR101022370B1 (ko) 대표번호 기반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20074004A (ko) 정보서비스 제공방법
KR20100003031A (ko) 단말기의 기종 별로 분류된 커뮤니티를 통한 정보 제공방법 및 장치
KR20050099882A (ko) 텔레뱅킹 고객을 모바일뱅킹으로 유도하기 위한 직접연결관리 서버, 그를 이용한 무선인터넷 직접연결 시스템 및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