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3469A - 비접촉 센서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아이템 목록 탐색 방법 - Google Patents

비접촉 센서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아이템 목록 탐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3469A
KR20080043469A KR1020060112063A KR20060112063A KR20080043469A KR 20080043469 A KR20080043469 A KR 20080043469A KR 1020060112063 A KR1020060112063 A KR 1020060112063A KR 20060112063 A KR20060112063 A KR 20060112063A KR 20080043469 A KR20080043469 A KR 200800434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sensor
sensing object
item
mobile terminal
indic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2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07451B1 (ko
Inventor
조혜연
임민택
심규대
송치원
오영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120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7451B1/ko
Publication of KR200800434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34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7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74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42Graphical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접촉 센서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아이템 목록 탐색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소정 거리 내에 있는 감지 대상의 3차원 움직임을 비접촉으로 감지하는 기능과 상기 감지 대상의 접촉을 감지하는 기능을 갖는 비접촉 센서(non-contacting sensor)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계층을 갖는 계층 구조에 의한 아이템 목록을 탐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계층 구조 중 어느 계층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중 어느 하나의 아이템을 지시하는 지시자(indicator)를 디스플레이하는 진입 단계; 및 상기 감지 대상이 상기 비접촉 센서와 접촉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비접촉 센서에 대해 3차원으로 움직임에 따라 상기 계층 구조를 탐색하는 탐색 단계를 포함하는 비접촉 센서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아이템 목록 탐색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메뉴와 같은 아이템 목록을 효율적으로 탐색할 수 있고, 3차원 개념의 새로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동 단말기, 비접촉 센서, 아이템 목록, 계층 구조

Description

비접촉 센서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아이템 목록 탐색 방법 {Mobile Terminal Having Non-Contacting Sensor And Method Of Searching Item List Using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비접촉 센서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C 포인트가 다양한 형태로 이동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센서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아이템 목록 탐색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계층 구조에 의한 아이템 목록의 예로서 메뉴 트리(menu tree)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탐색 단계[S420]의 흐름도이다.
도 7은, 감지 대상(20)이 비접촉 센서(107)에 대해 수평 이동하는 상황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도 7의 경우에 의해 지시자가 아이템 간에 이동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감지 대상(20)이 비접촉 센서(107)에 대해 수직 이동하는 상황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도 9의 경우에 의해 다른 계층으로 진입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입력부 107: 비접촉 센서
110: 제어부 120: 표시부
130: 오디오 처리부 140: 메모리부
20: 감지 대상 80: 지시자(indicator)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메뉴와 같은 아이템 목록을 효율적으로 탐색할 수 있고, 3차원 개념의 새로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비접촉 센서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아이템 목록 탐색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출시되는 이동 단말기는 통신, MP3, 동영상, 카메라 등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최근의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가 전술한 다양한 기능들을 선택하여 실행시킬 수 있도록 매우 복잡한 메뉴 구조를 제공한다.
종래 기술에 의하면, 사용자가 어느 메뉴에서 그 하위 메뉴로 진입하려면 " 확인(OK)" 버튼을 누르고, 어느 하위 메뉴에서 그 상위 메뉴로 진입하려면 "이전(Previous)" 버튼 혹은 "취소(Cancel)" 버튼을 눌러야만 했다. 그리고 동일한 메뉴 계층에서 다른 메뉴로 커서(cursor)를 이동시키기 위해 방향키가 이용되었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 기술에 의하면, 매우 복잡한 메뉴 구조에서 사용자가 일일이 키 버튼을 눌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해, 사용자는 메뉴 목록 혹은 파일 목록과 같은 계층 구조가 가능한 아이템 목록을 탐색하는데 있어서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하는 최근이 이동 단말기에서는, 보다 효율적으로 아이템 목록을 탐색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최근의 추세와 요청에 따라 제안된 것으로서, 3차원 움직임(motion)을 통한 사용자 입력이 가능한 새로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비접촉 센서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아이템 목록 탐색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메뉴 트리(menu tree), 파일 트리(file tree)와 같이 계층 구조로 이루어진 아이템 목록을 보다 효율적으로 탐색할 수 있는 비접촉 센서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아이템 목록 탐색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비 접촉 센서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아이템 목록 탐색 방법은, 소정 거리 내에 있는 감지 대상의 3차원 움직임을 비접촉으로 감지하는 기능과 상기 감지 대상의 접촉을 감지하는 기능을 갖는 비접촉 센서(non-contacting sensor)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계층을 갖는 계층 구조에 의한 아이템 목록을 탐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계층 구조 중 어느 계층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중 어느 하나의 아이템을 지시하는 지시자(indicator)를 디스플레이하는 진입 단계; 및 상기 감지 대상이 상기 비접촉 센서와 접촉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비접촉 센서에 대해 3차원으로 움직임에 따라 상기 계층 구조를 탐색하는 탐색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탐색 단계는, 상기 감지 대상이 상기 비접촉 센서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지시자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간에 이동시키는 수평 탐색 단계; 및 상기 감지 대상이 상기 비접촉 센서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된 계층으로부터 다른 계층으로 진입하는 수직 탐색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평 이동 단계는, 상기 감지 대상의 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지시자를 이동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직 이동 단계는, 상기 감지 대상과 상기 비접촉 센서와의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점점 하위 계층으로 진입하고, 상기 감지 대상과 상기 비접촉 센서와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점점 상위 계층으로 진입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 센서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아이템 목 록 탐색 방법은, 상기 감지 대상이 상기 비접촉 센서와 접촉하면, 상기 지시자가 현재 지시하고 있는 아이템이 선택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 센서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아이템 목록 탐색 방법은, 상기 감지 대상이 소정 시간 동안 상기 비접촉 센서에 대해 3차원 움직임이 없으면, 상기 지시자가 현재 지시하고 있는 아이템이 선택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양상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 센서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는, 적어도 하나의 계층을 갖는 계층 구조에 의한 아이템 목록을 탐색하는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표시부; 소정 거리 내에 있는 감지 대상의 3차원 움직임을 비접촉으로 감지하는 기능과 상기 감지 대상의 접촉을 감지하는 기능을 갖는 비접촉 센서(non-contacting sensor); 및 상기 계층 구조 중 어느 계층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중 어느 하나의 아이템을 지시하는 지시자(indicator)를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감지 대상이 상기 비접촉 센서와 접촉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비접촉 센서에 대해 3차원으로 움직임에 따라 상기 계층 구조를 탐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 대상이 상기 비접촉 센서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지시자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간에 이동시키고, 상기 감지 대상이 상기 비접촉 센서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된 계층으로부터 다른 계층으로 진입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 대상의 수평 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지시자를 이동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 대상과 상기 비접촉 센서와의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점점 하위 계층으로 진입하고, 상기 감지 대상과 상기 비접촉 센서와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점점 상위 계층으로 진입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 대상이 상기 비접촉 센서와 접촉하면, 상기 지시자가 현재 지시하고 있는 아이템이 선택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 대상이 소정 시간 동안 상기 비접촉 센서에 대해 3차원 움직임이 없으면, 상기 지시자가 현재 지시하고 있는 아이템이 선택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입력부(100), 제어부(110), 표 시부(120), 오디오 처리부(130) 및 메모리부(140)를 포함한다.
입력부(100)는, 사용자로부터 각종 정보나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장치로서, 각종 숫자키, 방향키 등을 구비하는 키 패드(103) 및/또는 터치 패드(105)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 구비되는 입력부(100)는, 비접촉 센서(non-contacting sensor, 107)를 포함한다.
비접촉 센서(107)는, 소정 거리 내에 있는 감지 대상의 3차원 움직임(motion)을 비접촉으로 감지하는 기능과, 상기 감지 대상의 접촉을 감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감지 대상의 예를 들면, 사용자의 손가락, 펜 등이 있다.
비접촉 센서(107)의 비접촉 감지 기능은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외선 방식, 초음파 방식 및 영상 처리 방식 등이 있다. 비접촉 센서(107)의 비접촉 감지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방식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간단하게 언급하기로 한다.
적외선 방식은 적외선 LED를 이용하여 적외선을 방사하고, 감지 대상에 맞고 되돌아 오는 적외선 양 혹은 반사광이 집중되는 위치를 측정하여 거리를 측정하는 방식이다. 반사량은 거리 제곱에 반비례하므로, 반사량이 많으면 센서와 물체와의 거리는 가까운 것이고, 반사량이 적으면 거리는 멀리 떨어져 있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초음파 방식은, 초음파를 발생시키고, 감지 대상에 맞고 반사되는 초음파를 검출함으로써 거리를 측정하는 방식이다. 그리고 영상 처리 방식은,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정보를 통해 거리를 측정하는 방식이다.
도 2는 비접촉 센서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서 속이 채워 진 원(20)은 비접촉 센서(107)가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 대상을 나타낸다. 도 2는 비접촉 센서(107)가 감지할 수 있는 감지 대상(20)의 움직임의 형태를 도시한다. 도 2에서 점선이 나타내는 공간(30)은, 비접촉 센서(107)가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감지 대상(20)이 이동 가능한 3차원 감지 공간을 나타낸다. 즉 감지 대상(20)이 감지 공간(30)을 벗어나면, 비접촉 센서(107)는 감지 대상(20)의 움직임을 감지하지 못한다.
예를 들어 도 2의 A 포인트 및 B 포인트는, 감지 대상(20)이 비접촉 센서(107)와 1회 접촉(클릭 혹은 포인팅) 및 2회 접촉(더블 클릭)을 각각 나타낸다. 즉 비접촉 센서(107)는 감지 대상(20)이 비접촉 센서와 접촉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의 C 포인트는, 비접촉 센서(107)로부터 소정 거리 내에 있고 비접촉 센서(107)와 평행을 이루는 어느 면에서 움직이는 감지 대상(20)을 나타낸다. 즉 비접촉 센서(107)는 감지 대상(20)이 비접촉 센서(107)와 평행을 이루는 2차원 비접촉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C 포인트가 다양한 형태로 이동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2의 D 포인트는, 비접촉 센서(107)로부터 소정 거리 내에 있고 비접촉 센서(107)와 수직을 이루는 어느 면에서 움직이는 감지 대상(20)을 나타낸다. 즉 비접촉 센서(107)는 감지 대상(20)이 비접촉 센서(107)와 수직을 이루는 2차원 비접촉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감지 대상(20)의 3차원 움직임이란, 도 2의 C 포인트와 D 포인 트의 이동을 모두 포괄하는 용어이다.
그리고 도 2의 E 포인트는 비접촉 센서(107)로의 접근을 나타내고, F 포인트는 비접촉 센서(107)로부터 멀어지는 것을 나타낸다.
비접촉 센서(107)를 이용한 입력 기능에 관한 기타 세부 사항은, 본 발명의 동작에 관한 상세한 설명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표시부(120)는, 제어부(11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이동 단말기의 상태 혹은 각종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표시 장치이다.
오디오 처리부(130)는, 마이크(MIC)와 스피커(SPK)를 통해 오디오를 입출력하도록 오디오를 처리한다. 오디오처리부(130)는 이동 단말기의 각종 처리 및 제어동작을 스피커(SPK)를 통해 오디오로 출력하거나, 각종 정보나 명령을 마이크(MIC)를 통해 오디오로 입력하도록 오디오를 처리한다.
메모리부(140)는,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소정의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으며, 제어부(110)에 의해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이 수행될 때 입출력되는 데이터 및 처리되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한다.
제어부(110)는, 상기 구성 요소들을 제어하고,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총괄한다.
이동통신 모듈(150)은, 이동통신망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무선통신 장치이다. 이동통신 모듈(150)은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한 필수적인 구성 요소는 아니지만,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한 회전 정보 처리 기능 외에도 음성/영상 통화 및 메시지 송수신과 같은 통신 기능을 동시에 구현하는 경우 필요한 구성 요소이다.
이하 제어부(110)의 동작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계층을 갖는 계층 구조 중 어느 계층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중 어느 하나의 아이템을 지시하는 지시자(indicator)를 표시부(120)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한다. 도 5는 상기 계층 구조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계층 구조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지시자의 대표적인 예로서, 커서(cursor) 혹은 바(bar)가 있다.
제어부(110)는, 감지 대상(20)이 비접촉 센서(107)와 접촉하지 않은 상태에서 비접촉 센서(107)에 대해 3차원으로 움직임에 따라 상기 계층 구조를 탐색하도록 제어한다.
감지 대상(20)의 3차원 움직임에 따라 상기 계층 구조를 탐색하는 형태는 다음과 같이 크게 두 가지로 나뉠 수 있다.
첫째, 제어부(110)는, 감지 대상(20)이 비접촉 센서(107)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면(예를 들어, 도 2의 C 포인트의 이동) 상기 지시자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간에 이동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10)는, 감지 대상(20)의 수평 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지시자를 이동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둘째, 제어부(110)는, 감지 대상(20)이 비접촉 센서(107)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면(예를 들어, 도 2의 D 포인트의 이동) 상기 디스플레이된 계층으로부 터 다른 계층으로 진입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제어부(110)는, 감지 대상(20)과 비접촉 센서(107)와의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점점 하위 계층으로 진입하고, 감지 대상(20)과 비접촉 센서(107)와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점점 상위 계층으로 진입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감지 대상(20)의 비접촉 센서(107)에 대한 비접촉 3차원 움직임에 따라, 상기 지시자가 동일한 계층 내에서 아이템 간에 이동하거나 다른 계층으로 진입함으로써 상기 계층 구조에 의한 아이템 목록이 탐색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10)는, 감지 대상(20)이 비접촉 센서(107)와 접촉하면 상기 지시자가 현재 지시하고 있는 아이템이 선택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2에서 A 포인트 또는 B 포인트가, 감지 대상(20)과 비접촉 센서(107)의 접촉의 대표적인 예에 해당한다.
또한 제어부(110)는, 감지 대상(20)이 소정 시간 동안 비접촉 센서(107)에 대해 3차원 움직임이 없으면, 상기 지시자가 현재 지시하고 있는 아이템이 선택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 대상(20)이 도 2의 C 포인트에서 아무런 이동 없이 2초간 정지하고 있는 경우, 상기 지시자가 현재 지시하는 아이템이 선택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센서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아이템 목록 탐색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 센서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아이템 목록 탐색 방법의 일 실시예를 상 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아이템 목록 탐색 방법은,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 센서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아이템 목록을 갖는 계층 구조로 진입한다[S400]. 즉 상기 아이템 목록은, 적어도 하나의 계층을 갖는 계층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아이템은, 메뉴, 파일 등 계층 구조로 구성될 수 있는 모든 아이템을 포함한다. 도 5는 계층 구조에 의한 아이템 목록의 예로서 메뉴 트리(menu tree)를 도시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상기 아이템 목록을 갖는 계층 구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계층, 제2 계층, 제3 계층 및 그 이상의 하위 계층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계층 구조 중 어느 계층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중 어느 하나의 아이템을 지시하는 지시자(indicator)를 디스플레이한다[S410]. 상기 지시자의 대표적인 예로서, 커서(cursor) 또는 바(bar)가 있다.
그리고 감지 대상(20)이 비접촉 센서(107)와 접촉하지 않은 상태에서 비접촉 센서(107)에 대해 3차원으로 움직임에 따라 상기 계층 구조를 탐색한다[S420].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탐색 단계[S420]의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S420 단계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감지 대상(20)이 비접촉 센서(107)와 접촉하는지를 판단한다[S600]. 상기 S600 단계의 판단 결과, 감지 대상(20)이 비접촉 센서(107)와 접촉하면, 상기 지시자가 현재 지시하고 있는 아이템이 선택된다[S660]. 상기 S660 단계의 세부적인 사항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S600 단계의 판단 결과, 감지 대상(20)이 비접촉 센서(107)와 접촉하지 않으면, 감지 대상(20)이 비접촉 센서(107)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지를 판단한다[S610]. 상기 S610 단계의 판단 결과, 감지 대상(20)이 비접촉 센서(107)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지시자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간에 이동시킨다[S620]. 여기서, 상기 S620 단계는, 감지 대상(20)의 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지시자를 이동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은, 감지 대상(20)이 비접촉 센서(107)에 대해 수평 이동하는 상황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도 7의 경우에 의해 지시자가 아이템 간에 이동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는 어떤 계층에 포함된 아라비아 숫자 1부터 9까지의 9개의 아이템 목록을 디스플레이하고 있고, 지시자(80)는 상기 디스플레이된 9개의 아이템 중 "5"를 지시하고 있다. 도 8(a)에서는 감지 대상(20)이 사용자의 손가락이다. 예를 들어, 도 8(a)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가락을 비접촉 센서(107) 위에서 오른쪽으로 이동시키면, 도 8(b)의 상태가 된다. 즉 감지 대상(20)인 손가락이 오른쪽으로 수평 이동함에 따라,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시자(80)가 도 8(a)의 "5"를 지시하던 상태에서 "6"을 지시하도록 이동한다.
도 8(c)에서는, 도 8(a)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가락을 비접촉 센서(107) 위에서 위쪽 방향으로 수평 이동시킴에 따라, 지시자(80)가 도 8(a)의 "5"를 지시하던 상태에서 "2"를 지시하도록 이동한다.
상기 S610 단계의 판단 결과, 감지 대상(20)이 비접촉 센서(107)에 대해 수 평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으면, 감지 대상(20)이 비접촉 센서(107)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지를 판단한다[S630]. 상기 S630 단계의 판단 결과, 감지 대상(20)이 비접촉 센서(107)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S41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된 계층을 벗어나 다른 계층으로 진입한다[S640]. 여기서, 상기 S640 단계는, 감지 대상(20)과 비접촉 센서(107)와의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점점 하위 계층으로 진입하고, 감지 대상(20)과 비접촉 센서(107)와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점점 상위 계층으로 진입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는, 감지 대상(20)이 비접촉 센서(107)에 대해 수직 이동하는 상황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도 9의 경우에 의해 다른 계층으로 진입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a) 내지 도 10(c)에 도시된 아이템 목록은 도 5의 메뉴 트리 구조에 의한다.
도 10(a)는 제1 계층에 포함된 상위 메뉴 목록을 디스플레이하고 있고, 지시자(80)는 상기 디스플레이된 상위 메뉴 목록 중 "콘텐츠 보관함"을 지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도 10(a)의 상태에서, 감지 대상(20)이 비접촉 센서(107) 위에서 수직 방향으로 아래로 이동하면, 도 10(b)의 상태가 된다. 즉 감지 대상(20)이 아래로 수직 이동함에 따라,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계층으로서 "콘텐츠 보관함"의 하위 메뉴로 진입한다.
또한 예를 들어, 도 10(b)의 상태에서, 감지 대상(20)이 비접촉 센서(107) 위에서 수직 방향으로 아래로 이동하면, 도 10(c)의 상태가 된다. 즉 도 10(b)에서는 지시자(80)가 "사진"을 지시하고 있으므로, 감지 대상(20)이 아래로 수직 이동 함에 따라,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계층으로서 "사진"의 하위 메뉴로 진입한다.
상기 S630 단계의 판단 결과, 감지 대상(20)이 비접촉 센서(107)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으면, 감지 대상(20)이 비접촉 센서(107)에 대해 소정 시간 동안 정지하고 있는지를 판단한다[S650]. 즉 S650 단계는, 감지 대상(20)이 소정 시간 동안 비접촉 센서(107)에 대해 3차원 움직임이 없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상기 S650 단계의 판단 결과, 감지 대상(20)이 비접촉 센서(107)에 대해 소정 시간 동안 정지하고 있으면, 상기 지시자가 현재 지시하고 있는 아이템이 선택된다[S660]. 아이템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아이템에 할당된 기능이 실행된다. 상기 선택된 아이템이 하위 메뉴를 갖는 경우, 그 하위 메뉴로 진입한다. 한편 상기 선택된 아이템이 최하위 메뉴로서 더 이상의 하위 메뉴를 갖지 않는 경우, 상기 선택된 아이템의 성격에 맞는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선택된 아이템이 사진 파일인 경우, 사진 파일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어 상기 사진 파일을 디스플레이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 센서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아이템 목록 탐색 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에 의하면, 3차원 움직임(motion)을 통한 사용자 입력이 가능한 새로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새로운 재미와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에 의하면, 메뉴 트리(menu tree), 파일 트리(file tree)와 같이 계층 구조로 이루어진 아이템 목록을 보다 효율적으로 탐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예를 들어 3차원을 이용한 탐색을 통하여 탐색 속도를 비약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다.

Claims (12)

  1. 소정 거리 내에 있는 감지 대상의 3차원 움직임을 비접촉으로 감지하는 기능과 상기 감지 대상의 접촉을 감지하는 기능을 갖는 비접촉 센서(non-contacting sensor)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계층을 갖는 계층 구조에 의한 아이템 목록을 탐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계층 구조 중 어느 계층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중 어느 하나의 아이템을 지시하는 지시자(indicator)를 디스플레이하는 진입 단계; 및
    상기 감지 대상이 상기 비접촉 센서와 접촉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비접촉 센서에 대해 3차원으로 움직임에 따라 상기 계층 구조를 탐색하는 탐색 단계를
    포함하는 비접촉 센서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아이템 목록 탐색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탐색 단계는,
    상기 감지 대상이 상기 비접촉 센서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지시자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간에 이동시키는 수평 탐색 단계; 및
    상기 감지 대상이 상기 비접촉 센서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된 계층으로부터 다른 계층으로 진입하는 수직 탐색 단계를
    포함하는 비접촉 센서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아이템 목록 탐색 방 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이동 단계는,
    상기 감지 대상의 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지시자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센서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아이템 목록 탐색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이동 단계는,
    상기 감지 대상과 상기 비접촉 센서와의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점점 하위 계층으로 진입하고, 상기 감지 대상과 상기 비접촉 센서와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점점 상위 계층으로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센서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아이템 목록 탐색 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대상이 상기 비접촉 센서와 접촉하면, 상기 지시자가 현재 지시하고 있는 아이템이 선택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비접촉 센서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아이템 목록 탐색 방법.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대상이 소정 시간 동안 상기 비접촉 센서에 대해 3차원 움직임이 없으면, 상기 지시자가 현재 지시하고 있는 아이템이 선택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비접촉 센서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에서 아이템 목록 탐색 방법.
  7. 적어도 하나의 계층을 갖는 계층 구조에 의한 아이템 목록을 탐색하는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표시부;
    소정 거리 내에 있는 감지 대상의 3차원 움직임을 비접촉으로 감지하는 기능과 상기 감지 대상의 접촉을 감지하는 기능을 갖는 비접촉 센서(non-contacting sensor); 및
    상기 계층 구조 중 어느 계층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중 어느 하나의 아이템을 지시하는 지시자(indicator)를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감지 대상이 상기 비접촉 센서와 접촉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비접촉 센서에 대해 3차원으로 움직임에 따라 상기 계층 구조를 탐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비접촉 센서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 대상이 상기 비접촉 센서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지시자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간에 이동시키고, 상기 감지 대상이 상기 비접 촉 센서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된 계층으로부터 다른 계층으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센서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 대상의 수평 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지시자를 이동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센서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 대상과 상기 비접촉 센서와의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점점 하위 계층으로 진입하고, 상기 감지 대상과 상기 비접촉 센서와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점점 상위 계층으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센서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 대상이 상기 비접촉 센서와 접촉하면, 상기 지시자가 현재 지시하고 있는 아이템이 선택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센서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 대상이 소정 시간 동안 상기 비접촉 센서에 대해 3차원 움직임이 없으면, 상기 지시자가 현재 지시하고 있는 아이템이 선택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센서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KR1020060112063A 2006-11-14 2006-11-14 비접촉 센서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아이템 목록 탐색 방법 KR1012074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2063A KR101207451B1 (ko) 2006-11-14 2006-11-14 비접촉 센서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아이템 목록 탐색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2063A KR101207451B1 (ko) 2006-11-14 2006-11-14 비접촉 센서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아이템 목록 탐색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3469A true KR20080043469A (ko) 2008-05-19
KR101207451B1 KR101207451B1 (ko) 2012-12-03

Family

ID=39661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2063A KR101207451B1 (ko) 2006-11-14 2006-11-14 비접촉 센서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아이템 목록 탐색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745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37408A2 (ko) * 2009-09-24 2011-03-31 Chun Hea-Kyung 가상 공간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단말기 및 가상 공간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WO2011037409A2 (ko) * 2009-09-24 2011-03-31 Chun Hea-Kyung 단말기에 의하여 실행되는 가상 공간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WO2011090816A3 (en) * 2010-01-21 2011-10-27 Sony Corporation Three or higher dimensional graphical user intreface for tv menu and document navigatio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85864B2 (ja) 2004-06-23 2009-12-16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端末及び情報入力方法
KR100635523B1 (ko) 2005-06-16 2006-10-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커서 제어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37408A2 (ko) * 2009-09-24 2011-03-31 Chun Hea-Kyung 가상 공간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단말기 및 가상 공간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WO2011037409A2 (ko) * 2009-09-24 2011-03-31 Chun Hea-Kyung 단말기에 의하여 실행되는 가상 공간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WO2011037408A3 (ko) * 2009-09-24 2011-09-09 Chun Hea-Kyung 가상 공간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단말기 및 가상 공간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WO2011037409A3 (ko) * 2009-09-24 2011-09-09 Chun Hea-Kyung 단말기에 의하여 실행되는 가상 공간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WO2011090816A3 (en) * 2010-01-21 2011-10-27 Sony Corporation Three or higher dimensional graphical user intreface for tv menu and document navig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7451B1 (ko) 2012-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63878A1 (en) Systems, methods, and media for providing an enhanced remote control having multiple modes
AU2014201585B9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display using temperature and humidity
JP5793426B2 (ja) グラフィカル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との物理的相互作用を解釈するためのシステムと方法
JP6270982B2 (ja) バックグラウンドタスク用の対話式入力
US9798443B1 (en) Approaches for seamlessly launching applications
CN102216893B (zh) 在不使用光标的情况下移动屏上对象的触摸屏设备、方法和图形用户界面
CN105051705B (zh) 便携式设备及其控制方法
US9007299B2 (en) Motion control used as controlling device
EP2823385B1 (en) Portabl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80041049A (ko) 상황 압력 감지 햅틱 응답
US20110087983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ouch interface and touch interface method
US2010021424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preting Physical Interactions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20140082489A1 (en)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100201618A1 (en) User interface
KR20150119135A (ko) 전자 장치에 표시된 콘텐츠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19453A (ko) 감지 어셈블리를 갖는 전자 장치 및 오프셋 제스처를 해석하는 방법
KR20140056860A (ko) 광 센서를 구비한 전자 기기 및 이의 제어 방법, 이 전자 기기를 위한 제스처 인식 장치와 방법
KR20140141089A (ko)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전자 장치
KR101207451B1 (ko) 비접촉 센서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아이템 목록 탐색 방법
US9983029B2 (en) Integrated optical encoder for tilt able rotatable shaft
KR10211745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12221219A (ja) 携帯端末
KR102466219B1 (ko) 사용자 행위에 기반한 컨텐츠 연관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KR20080017194A (ko) 무선 마우스 및 그의 구동 방법
KR20120135126A (ko)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한 증강현실 제어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