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0414A -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screen in portable terminal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screen in portab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0414A
KR20080040414A KR1020060108356A KR20060108356A KR20080040414A KR 20080040414 A KR20080040414 A KR 20080040414A KR 1020060108356 A KR1020060108356 A KR 1020060108356A KR 20060108356 A KR20060108356 A KR 20060108356A KR 20080040414 A KR20080040414 A KR 200800404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contour
images
unit
extra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83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광우
윤여정
이대룡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08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40414A/en
Publication of KR20080040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041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3Edg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A screen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in a mobile terminal are provided to display two images with the same size as a display unit, rather than as a PIP(Picture In Picture) or a PBP(Picture By Picture), to allow a user to easily watch the images. An image switching unit(300) outputs the first image between two images to a contour line extracting unit(302) and the second image of the two images to an image combining unit(304). The contour line extracting unit extracts a contour line from the image inputted from the image switching unit and outputs the extracted contour line to the image combining unit. The image combining unit combines the contour line inputted from the contour line extracting unit and the image inputted from the image switching unit. When an event for changing a contour line image occurs, the image switching unit outputs the second image to the contour line extracting unit and the first image to the image combining unit.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에서 화면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SCREEN IN PORTABLE TERMINAL}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screen on mobile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SCREEN IN PORTABLE TERMINAL}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두 개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화면구성을 도시하는 도면,1 is a view showing a screen configuration for displaying two images in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2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영상처리부의 상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n image processing unit in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두 개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dure of displaying two images in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화면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두 개의 영상을 하나의 화면에 동시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 screen in a portab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simultaneously displaying two images on a single screen in the portable terminal.

오늘날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혹은 멀티미디어(Multimedia) 기술의 발달로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다양한 컨텐츠를 시청하는 사용자들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상기 사용자들이 상기 컨텐츠를 보다 편리하게 시청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능들이 연구 개발되고 있다. 예들 들어, 두 개의 컨텐츠를 동시에 시청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능들이 연구되고 있다.Today, with the development of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or multimedia technology, the number of users who watch various contents through the portable terminal is increasing. Accordingly, functions for enabling the users to view the contents more conveniently in the portable terminal have been researched and developed. For example, functions are being studied to allow two contents to be viewed simultaneously.

현재, 단일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두 개 혹은 그 이상의 영상신호를 표현하여 사용자가 복수의 영상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기법들이 제공되고 있다. 그 대표적인 예로서,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영상 내에 또 다른 영상인 부영상을 재생하는 PIP(Picture In Picture) 기법과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을 분할하여 분할된 화면 각각에 서로 다른 영상을 재생하는 PBP(Picture By Picture) 기법이 있다.Currently, techniques for allowing a user to view a plurality of images by representing two or more image signals in a single display device are provided. As a representative example, as shown in FIG. 1 (a), a picture in picture (PIP) technique for reproducing a sub-picture, which is another picture in a main picture, and a screen is divided as shown in FIG. 1 (b). There is a PBP (Picture By Picture) technique that plays different images on each divided screen.

상술한 PIP 기법이나 PBP 기법을 디스플레이 장치가 작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이용할 경우,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크기가 지나치게 작아져 사용자들이 컨텐츠 시청에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When the above-described PIP technique or PBP technique is used in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small display device, the size of the displayed screen may be so small that users may feel uncomfortable in content viewing.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화면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creen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in a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영상의 윤곽선을 이용하여 하나의 화면에 두 개의 영상을 동시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simultaneously displaying two images on one screen by using the contour of the image in a portable terminal.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견지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에서 두 개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은, 두 개의 영상을 동시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이벤트가 발생될 시, 두 개의 영상 중 제 1 영상으로부터 윤곽선을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제 1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윤곽선을 제 2 영상과 결합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method for displaying two images in a portable terminal, when an event for displaying two images at the same time, from the first one of the two images And extracting the contour, and displaying the contour extracted from the first image in combination with the second image.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견지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에서 두 개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장치는, 두 개의 영상을 동시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이벤트가 발생될 시, 두 개의 영상 중 어느 하나의 영상으로부터 윤곽선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윤곽선을 다른 하나의 영상과 결합하여 출력하는 영상처리부와, 상기 영상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apparatus for displaying two images in the portable terminal, when an event for displaying two images at the same time, any one of the two images And an image processor for extracting an outline from the image, combining the extracted outline with another image,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image output from the image processor.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 본 발명에서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영상의 윤곽선을 이용하여 하나의 화 면에 두 개의 영상을 동시에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해 설명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서, 상기 윤곽선만이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부 영상이라 하고 원래의 영상 그대로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주 영상이라 칭할 것이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spect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simultaneously displaying two images on one screen using the contour of the image in a portable terminal. Hereinafter, in the present invention, an image on which only the outline is displayed will be referred to as a sub-image and an image displayed as it is will be referred to as a main image.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제어부(200), 송수신부(202), 영상처리부(204), 표시부(206), 저장부(208), 입력부(2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2 shows a block configuration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case, the portable terminal includes a controller 200, a transceiver 202, an image processor 204, a display unit 206, a storage unit 208, and an input unit 210.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상기 제어부(200)는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영상의 윤곽선을 이용하여 상기 표시부(206)에 두 종류의 영상을 동시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기능을 제어 및 처리한다. 다시 말해, 상기 입력부(208)를 통해 선택되는 두 종류의 영상데이터를 상기 영상처리부(204)로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영상데이터는 상기 저장부(108)에 저장된 영상데이터일 수도 있으며, 상기 송수신부(202)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 영상데이터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입력부(208)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두 종류의 영상데이터 중에서 원래 영상 그대로 디스플레이될 주 영상 혹은 윤곽선만이 디스플레이될 부 영상을 선택받고, 상기 영상처리부(104)에 상기 선택 결과를 알린다.Referring to FIG. 2, first, the controller 200 performs overall operations of the portable terminal, for example, processes and controls for voice call and data communication.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and processes a function for simultaneously displaying two types of images on the display unit 206 using the outlines of the images. In other words, two types of image data selected through the input unit 208 are provided to the image processing unit 204. The image data selected by the user may be image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108 or may be broadcast image data received through the transceiver unit 202. In addition, the controller 200 receives a main image or a sub-image in which only a contour image is to be displayed from the two types of image data through the input unit 208, and displays only the original image, and the image processor 104. Inform the selection result.

상기 송수신부(202)는 안테나를 통해 입출력되는 데이터의 무선신호를 송수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 의 해 선택된 특정 채널의 방송 영상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200)로 제공한다.The transceiver 202 transmits and receives a radio signal of data input and output through an antenna, and receives broadcast image data of a specific channel selected by the us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00. Provided to the controller 200.

상기 영상처리부(204)는 영상 코덱(CODEC : Coder-Decoder)이라고 칭하기도 하며,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설정된 방식으로 코딩하여 상기 제어부(200)로 제공하며, 코딩된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원래의 영상으로 디코딩하여 상기 표시부(206)로 출력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영상처리부는 상기 제어부(200)로부터 입력되는 두 종류의 영상데이터를 원래의 영상으로 디코딩하고, 상기 디코딩된 두 종류의 영상 중 부 영상으로 선택된 영상으로부터 윤곽선을 추출한 후, 상기 추출된 윤곽선을 다른 하나의 영상, 즉, 주 영상으로 선택된 영상과 결합하여 상기 표시부(206)로 제공한다. The image processor 204 may be referred to as an image coder (Coder-Decoder). The image processor 204 encodes an image signal input from a camera in a set manner and provides the image signal to the controller 200, and provides the coded frame image data. The image is decoded and output to the display unit 206. Particular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processing unit decodes two types of image data input from the controller 200 into an original image, extracts an outline from an image selected as a sub-image among the two decoded images, and The extracted contour is combined with another image, that is, the image selected as the main image, and provided to the display unit 206.

상기 표시부(206)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중에 발생되는 상태 정보, 제한된 숫자의 문자들을 디스플레이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상기 표시부(206)는 상기 영상처리부(204)로부터 주 영상과 부 영상이 결합된 영상을 입력받아 디스플레이한다. 즉, 상기 표시부(206)는 상기 주 영상은 원래 영상 그대로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부 영상은 원래 영상에서 추출된 윤곽선만을 디스플레이한다.The display unit 206 displays status information and a limited number of characters generat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In particul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unit 206 receives and displays an image in which the main image and the sub image are combined from the image processor 204. That is, the display unit 206 displays the main image as it is, and the sub image displays only the outline extracted from the original image.

상기 저장부(208)는 롬(ROM: Read Only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쉬 롬(flash ROM)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어부(20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의 마이크로코드와 각종 참조 데이터를 저장하며, 각종 프로그램 수행중에 발생하는 일시적인 데이터 및 갱신 가능한 각종 보관용 데이터들을 저장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저장부(112)는 코딩된 영상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208 is composed of a read only memory (ROM), a random access memory (RAM), a flash ROM, and a microcode of a program for processing and controlling the control unit 200. Various reference data are stored, and temporary data generated during execution of various programs and various updatable storage data are stored. In particul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rage unit 112 may store coded image data.

상기 입력부(210)는 다수의 숫자키 혹은 기능키들을 구비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200)로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입력부(210)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두 개의 영상 중 주 영상 혹은 부 영상을 선택받아 상기 제어부(200)로 제공한다.The input unit 210 includes a plurality of numeric keys or function keys to provide data input from the user to the controller 200. In particul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 unit 210 receives a main image or a sub-image among two images from the user and provides them to the controller 200.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영상처리부의 상세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영상처리부는 영상 스위칭부(300), 윤곽선 추출부(302), 영상 결합부(30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3 illustrates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n image processor in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the image processing unit includes an image switching unit 300, a contour extracting unit 302, and an image combining unit 304.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영상 스위칭부(300)는 상기 제어부(200)로부터 화면에 디스플레이될 두 종류의 영상을 입력받고, 추가로 상기 두 종류의 영상 중 어느 영상이 주 영상으로 선택되고 어느 영상이 부 영상으로 선택되었는지 입력받아 상기 입력된 두 종류의 영상 중 부 영상으로 선택된 영상을 상기 윤곽선 추출부(302)로 출력하고, 주 영상으로 선택된 영상을 상기 영상 결합부(304)로 출력한다. Referring to FIG. 3, the image switching unit 300 receives two types of images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from the control unit 200, and in addition, which of the two types of images is selected as the main image and which ones are selected. Receives whether the image is selected as the sub-image and outputs the image selected as the sub-image among the two input images to the contour extracting unit 302 and outputs the image selected as the main image to the image combiner 304. .

상기 윤곽선 추출부(302)는 상기 영상 스위칭부(30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에서 윤곽선을 추출하여 상기 결합부(304)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윤곽선 추출부(302)는 소벨(sobel), 프리위트(prewitt), 로버트(robert), 라플라시안(laplacian) 등과 같은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의 윤곽선을 추출할 수 있다.The contour extracting unit 302 extracts the contour from the image input from the image switching unit 300 and outputs the contour to the combiner 304. Here, the contour extracting unit 302 may extract the contour of the image using algorithms such as sobel, prewitt, robert, laplacian, and the like.

상기 영상 결합부(304)는 상기 영상 스위칭부(300)로부터 입력되는 주 영상 과 상기 윤곽선 추출부(302)로부터 입력되는 부 영상의 윤곽선을 결합하여 표시부(206)로 출력한다. The image combiner 304 combines the main image input from the image switching unit 300 and the outline of the sub image input from the contour extracting unit 302 and outputs the contour to the display unit 206.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두 개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4 illustrates a procedure of displaying two images in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단말은 401단계에서 윤곽선을 이용하여 두 종류의 영상을 하나의 화면에 동시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POP(Picture On Picture)디스플레이 모드가 선택되는지 검사한다. 상기 POP디스플레이 모드가 선택될 시, 상기 단말은 403단계에서 상기 POP디스플레이를 위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두 종류의 영상데이터를 확인하고, 405단계로 진행하여 주 영상 및 부 영상이 설정되었는지 검사한다. 다시 말해, 상기 확인된 두 종류의 영상 중 어느 하나의 영상이 주 영상으로 설정되고 다른 하나의 영상이 부 영상으로 설정되었는지 검사한다.Referring to FIG. 4, in step 401, the terminal determines whether a picture on picture (POP) display mode is selected for simultaneously displaying two types of images on one screen using an outline. When the POP display mode is selected, the terminal checks the two types of image data selected by the user for the POP display in step 403, and proceeds to step 405 to check whether the main image and the sub image are set. In other words, it is checked whether one of the identified two types of images is set as the main image and the other is set as the sub-image.

만일, 상기 주 영상 및 부 영상이 설정되지 않았을 시, 상기 단말은 419단계에서 상기 두 종류의 영상에서 임의로 주 영상과 부 영상을 설정하고, 하기 407단계로 진행한다.If the main image and the sub-image are not set, the terminal randomly sets the main image and the sub-image from the two types of images in step 419, and proceeds to step 407.

상기 주 영상 및 부 영상이 설정되었을 시, 상기 단말은 407단계에서 상기 부 영상으로 선택된 영상에서 윤곽선을 추출한다. 여기서, 상기 윤곽선은 소벨(sobel), 프리위트(prewitt), 로버트(robert), 라플라시안(laplacian) 등과 같은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단말은 40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추출된 윤곽선을 상기 주 영상으로 설정된 영상과 결합하여 표시부(206)에 디스플 레이한다. When the main image and the sub image are set, the terminal extracts an outline from the image selected as the sub image in step 407. Here, the contour may be extracted using an algorithm such as sobel, prewitt, robert, laplacian, or the like. In step 409, the terminal combines the extracted contour with the image set as the main image and displays the image on the display unit 206.

이후, 상기 단말은 411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주 영상과 부 영상을 변경하기 위한 이벤트가 발생되는지 검사한다. 다시 말해, 상기 단말은 현재 부 영상으로 설정되어 윤곽선만이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원래 영상 그대로 디스플레이하고, 현재 주 영상으로 설정되어 원래 영상 그대로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윤곽선만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이벤트가 발생되는지 검사한다.In step 411, the terminal checks whether an event for changing the main image and the sub image is generated by the user. In other words, the terminal displays an image which is set as the current sub-image and displays only the contour as the original image, and checks whether an event for displaying only the contour as the image which is set as the current main image and displayed as the original image is generated.

상기 주 영상과 부 영상 변경 이벤트가 발생될 시, 상기 단말은 413단계에서 상기 주 영상은 부 영상으로, 부 영상은 주 영상으로 설정을 변경하여 상기 부 영상으로 변경된 영상의 윤곽선을 추출한다. 이후, 상기 단말은 415단계에서 상기 추출된 윤곽선과 상기 주 영상으로 변경된 영상의 원래 영상을 결합하여 상기 표시부(206)에 디스플레이한다. 다시 말해, 상기 주 영상과 부 영상 변경 이벤트가 발생될 시, 상기 단말은 윤곽선만이 추출되던 영상을 원래 영상 그대로 디스플레이하고, 원래 영상 그대로 디스플레이되던 영상을 윤곽선만 추출하여 디스플레이한다. When the main image and the sub image change event occur, the terminal extracts the contour of the changed image by changing the setting to the sub image and the sub image to the sub image in step 413. In step 415, the terminal combines the extracted contour with the original image of the image changed into the main image and displays the combined image on the display unit 206. In other words, when the main image and the sub-image change event occur, the terminal displays the image from which only the contour is extracted as the original image, and extracts and displays only the contour as the original image.

이후, 상기 단말은 417단계에서 상기 POP 디스플레이 종료 이벤트가 발생되는지 검사하여 상기 POP 디스플레이 종료 이벤트가 발생되지 않을 시, 상기 411단계로 되돌아가 이하 단계를 재수행하고, 그렇지 않을 시,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Thereafter, the terminal checks whether the POP display end event occurs in step 417, and when the POP display end event does not occur, returns to step 411 and performs the following steps again, otherwise, the algorith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exit.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 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Meanwhil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However,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not only by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but also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하나의 영상은 원래 영상 그대로 디스플레이하고 다른 하나의 영상은 윤곽선만을 추출하여 디스플레이함으로써, PIP(Picture In Picture) 혹은 PBP(Picture By Picture)와 같이 영상을 작은 화면에 디스플레이하지 않고, 사용자가 시청하기 쉽도록 상기 두 개의 영상을 표시부 크기와 동일한 크기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one image is displayed as it is i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other image is extracted and displayed only as a contour, so that a small screen such as a picture in picture (PIP) or picture by picture (PBP) is displayed. The two images may be displayed in the same size as the display unit size so that the user may easily view the image without displaying them in the display unit.

Claims (7)

휴대용 단말기에서 두 개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for displaying two images in a portable terminal, 두 개의 영상을 동시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이벤트가 발생될 시, 두 개의 영상 중 제 1 영상으로부터 윤곽선을 추출하는 과정과,When an event for simultaneously displaying two images occurs, extracting an outline from a first image of the two images; 상기 제 1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윤곽선을 제 2 영상과 결합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displaying the contour line extracted from the first image in combination with the second image.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1 영상으로부터 윤곽선을 추출하는 과정은,Extracting an outline from the first image, 사용자로부터 상기 두 개의 영상 중 윤곽선을 추출할 영상을 선택받는 과정과,Receiving an image from which a user extracts an outline from the two images; 상기 선택된 영상으로부터 윤곽선을 추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Extracting an outline from the selected image.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사용자로부터 윤곽선을 추출할 영상이 선택되지 않을 시, 상기 단말이 임의적으로 상기 윤곽선 추출 영상을 선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when the image for extracting the contour is not selected from the user, the terminal randomly selecting the contour extract imag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결합된 영상의 디스플레이 중 윤곽선 영상 변경을 위한 이벤트가 발생될 시, 상기 제 2 영상으로부터 윤곽선을 추출하는 과정과,Extracting a contour from the second image when an event for changing the contour image is generated during the display of the combined image; 상기 제 2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윤곽선을 제 1 영상과 결합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displaying the contour extracted from the second image in combination with the first image. 휴대용 단말기에서 두 개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장치에 있어서,In the device for displaying two images in a portable terminal, 두 개의 영상을 동시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이벤트가 발생될 시, 두 개의 영상 중 어느 하나의 영상으로부터 윤곽선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윤곽선을 다른 하나의 영상과 결합하여 출력하는 영상처리부와,When an event for displaying two images at the same time, the image processing unit for extracting the contour from any one of the two images, and combines the extracted contour with the other image and outputs; 상기 영상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image output from the image processor. 제 5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영상처리부는,The image processor, 상기 두 개의 영상 중 제 1 영상을 윤곽선 추출부로 출력하고, 제 2 영상을 영상 결합부로 출력하는 영상 스위칭부와,An image switching unit for outputting a first image of the two images to a contour extracting unit and outputting a second image to the image combining unit; 상기 영상 스위칭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에서 윤곽선을 추출하여 상기 영상 결합부로 출력하는 상기 윤곽선 추출부와,The contour extracting unit extracting an outline from an image input from the image switching unit and outputting the contour to the image combining unit; 상기 윤곽선 추출부로부터 입력되는 윤곽선과 상기 영상 스위칭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을 결합하는 상기 영상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And an image combiner configured to combine the contour input from the contour extracting unit and the image input from the image switching unit.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영상 스위칭부는,The image switching unit, 윤곽선 영상을 변경하기 위한 이벤트가 발생될 시, 상기 제 2 영상을 윤곽선 추출부로 출력하고, 상기 제 1 영상을 영상 결합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And outputting the second image to the contour extracting unit and outputting the first image to the image combiner when an event for changing the contour image occurs.
KR1020060108356A 2006-11-03 2006-11-03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screen in portable terminal KR2008004041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8356A KR20080040414A (en) 2006-11-03 2006-11-03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screen in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8356A KR20080040414A (en) 2006-11-03 2006-11-03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screen in portable termi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0414A true KR20080040414A (en) 2008-05-08

Family

ID=39648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8356A KR20080040414A (en) 2006-11-03 2006-11-03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screen in portab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40414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48269B2 (en) 2008-07-30 2017-05-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an enlarged target region of a reproduced imag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48269B2 (en) 2008-07-30 2017-05-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an enlarged target region of a reproduced imag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94854B2 (en) Image/audio playback devic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8120623B2 (en) Apparatuses for overlaying images, portable devices having the same and methods of overlaying images
KR101146926B1 (en) Method Of Providing Key Frames Of Video In Mobile Terminal
EP1746829A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of video communications thereof
JP2007088959A (en) Image output apparatus and program
KR10104235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broadcasting signal in DMB system
KR2008004041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screen in portable terminal
CN115205164A (en) Training method of image processing model, video processing method, device and equipment
KR100815121B1 (en) Method for magnifying of selected area using screen division in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713355B1 (en)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multivision in mobile telephone
KR2010006017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ositing image using a face recognition of broadcasting program
KR100718450B1 (en) Image processing device having image overlay function,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image overlay
KR100856253B1 (en) Method for performing video communication service in mobile terminal
JP2005079920A (en) Device, method and program for announcing tv program, electronic apparatus,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recording medium with the announcing program recorded therein
JP2007201816A (en) Video image display system and video image receiver
KR10124161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current displaying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dmb) and applications's user interface
JP2008079086A (en) Portable terminal
KR100547706B1 (en) How to register wallpaper on TV
JP2007027974A (en) Television receiver and electronic apparatus
KR20060112934A (en) Method for turning image state in wireless terminal
JP4697482B2 (en) Image synthesizer
JP2008193317A (en) Information processor
KR10077419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in a combination mobile and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receiver
JP2005142919A (en) Communication equipment and image communication system
KR20000009456A (en) Radio portable telephone with television receiving function and television receiv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